KR101687871B1 - 토사의 퇴적방지를 위한 세굴효과 증가형 구조물 - Google Patents

토사의 퇴적방지를 위한 세굴효과 증가형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7871B1
KR101687871B1 KR1020140066234A KR20140066234A KR101687871B1 KR 101687871 B1 KR101687871 B1 KR 101687871B1 KR 1020140066234 A KR1020140066234 A KR 1020140066234A KR 20140066234 A KR20140066234 A KR 20140066234A KR 101687871 B1 KR101687871 B1 KR 1016878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vel
preventing
deposition
flow
sew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6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9001A (ko
Inventor
정준교
임장혁
지윤환
권은동
Original Assignee
현대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건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66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7871B1/ko
Publication of KR20150139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9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7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78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2Stream regulation, e.g. breaking up subaqueous rock, cleaning the beds of waterways, directing the water flow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2Stream regulation, e.g. breaking up subaqueous rock, cleaning the beds of waterways, directing the water flow
    • E02B3/023Removing sedi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물을 통해 하수의 유동방향을 변경함으로써 하천의 퇴적사면 측에서 토사가 퇴적하는 것을 최소화하거나 방지할 수 있는 토사의 퇴적방지를 위한 세굴효과 증가형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토사의 퇴적이 발생하는 영역의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토사의 퇴적이 발생하는 영역을 마주보는 전면에는 수심이 깊어짐에 따라 외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되는 경사부가 형성되되, 하수가 상기 경사부를 따라 하강하도록 상기 경사부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되어 하수의 유동방향을 안내하는 유동안내부가 형성되는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는 상기 경사부 및 상기 유동안내부에 의해 상기 몸체 측으로 근접하는 하수가 상기 토사의 퇴적이 발생하는 영역 측을 향하도록 하수의 유동방향을 전환함으로써 상기 몸체의 전방에 퇴적된 토사를 분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토사의 퇴적방지를 위한 세굴효과 증가형 구조물{STRUCTURE FOR PREVENTING SEDIMENTATION OF SOIL BY INCREASING SCOURING EFFECT}
본 발명은 토사의 퇴적방지를 위한 세굴효과 증가형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물를 통해 하수의 유동방향을 변경함으로써 하천의 퇴적사면 측에서 토사가 퇴적하는 것을 최소화하거나 방지할 수 있는 토사의 퇴적방지를 위한 세굴효과 증가형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 등에 설치되는 수제(spur dyke, groin)는 물의 흐름을 조절하여 유로의 폭과 수심을 유지하고 퇴적을 유도하여 제방과 하상을 보호하고 유로를 교정 및 고정하기 위해 물의 흐름에 직각 또는 평행하게 설치되는 구조물이다.
이와 같은 수제는 물의 흐름에 대하여 조도의 역할을 하여 유속을 감소시키고 이로 인하여 유사이송능력을 감소시키고 또한 물의 흐름의 방향과 유로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수제의 효과로는 첫째, 수제를 설치함으로써 유속을 감소시키고 이로 인하여 유사이송능력이 감소한다. 결과적으로 흐름을 제방에서 멀리하고 토사의 퇴적을 유발하여 제방의 세굴을 방지한다. 둘째, 계획된 평면 선형에 따라 물이 흐르도록 유로를 변경하고 흐름의 폭이 일정하도록 저수로를 유지시켜 유로의 교정 및 저수로를 고정시킨다. 셋째, 물 이용목적으로 유량 일부를 전환하거나 취수하기에 충분한 수심의 확보가 필요한 지점에 수제를 설치하여 수위를 상승시킨다. 넷째, 지류의 유입으로 본류의 흐름 상태가 심하게 교란되거나 지류의 유입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 흐름을 유도하도록 하는 제방의 역할을 수행한다. 다섯째, 배가 이송하기에 필요한 수심을 확보하기 위하여 일반적인 저수로 고정으로 운항 조건이 개선된다. 여섯째, 수제의 주변에는 여울과 웅덩이가 형성되어 수생생물의 서식장소를 제공하여 생태계를 보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친수적인 하천을 조성하기 위하여 수제를 설치할 수 있다. 그러나, 단순한 경관 개선의 목적보다는 수제가 경관개선과 다른 목적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기능 외에도 수제가 설치되는 장소의 특수성에 따라 또 다른 기능이 요구되기도 한다.
예컨대, 자유곡류 하천의 경우 내측면에서의 하수의 유속과 외측면에서의 하수의 유속이 차이나므로 하천의 내측면은 퇴적되고 하천의 외측면은 침식되어 하중도가 발달하게 되며, 결론적으로 자유곡류 하천은 직류하천으로 변화하고 구하도 및 우각호 등이 발달한다.
여기서, 자유곡류 하천이 직류하천으로 변화하면, 주변 영역의 홍수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에 따라, 자유곡류 하천에 수제를 설치하는 경우, 수제는 자유곡류 하천이 직류 하천으로 변화하는 속도를 늦추거나,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기능을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제를 통해 하수의 유동방향을 변경함으로써 하천의 퇴적사면 측에서 토사가 퇴적되는 것을 최소화시키거나 또는 방지할 수 있는 토사의 퇴적방지를 위한 세굴효과 증가형 수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토사의 퇴적이 발생하는 영역의 후방에 설치되고, 수심이 깊어짐에 따라 상기 토사의 퇴적이 발생하는 영역을 마주보는 면에만 선택적으로 경사부가 형성되되, 하수가 상기 경사부를 따라 하강하도록 상기 경사부가 형성된 면에는 하수의 유동방향을 안내하는 홈 형태의 유동안내부가 형성되는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는 상기 경사부 및 상기 유동안내부에 의해 상기 몸체 측으로 근접하는 하수가 상기 토사의 퇴적이 발생하는 영역 측을 향하도록 하수의 유동방향을 전환함으로써 상기 몸체의 전방에 퇴적된 토사를 분산시키고, 상기 몸체 전방의 하수와 상기 몸체 후방의 하수를 서로 연통시키는 관통부가 상기 몸체의 상부에만 형성되며, 상기 유동안내부는 상기 경사부 전방에 와류가 형성되도록 지그재그로 형성되는 토사의 퇴적방지를 위한 세굴효과 증가형 구조물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는 단면이 역사다리꼴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또한, 상기 몸체의 상부는 식생 영역이 조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또한, 상기 유동안내부는 복수개가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는 자유곡류 하천의 퇴적사면 또는 하중도의 적어도 일측면 상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방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하천 내의 토사 퇴적을 최소화하여 통수단면적 변화를 감소시킬 수 있는 토사의 퇴적방지를 위한 세굴효과 증가형 구조물가 제공된다.
또한, 하천구간 중 유속이 느리고 정체된 구간, 예컨대 퇴적이 활발히 발생하는 퇴적사면 측에 흐름을 개선하여 퇴적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하중도가 발달하거나 저니퇴적층에 의한 수질 오염이 발생하는 문제를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사의 퇴적방지를 위한 세굴효과 증가형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토사의 퇴적방지를 위한 세굴효과 증가형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토사의 퇴적방지를 위한 세굴효과 증가형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따른 토사의 퇴적방지를 위한 세굴효과 증가형 구조물을 설치 전에 토사가 퇴적된 영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에 따른 토사의 퇴적방지를 위한 세굴효과 증가형 구조물이 토사가 퇴적된 영역에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에 따른 토사의 퇴적방지를 위한 세굴효과 증가형 구조물에 의해 토사 퇴적물이 주변 영역으로 분산되어 평탄화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1에 따른 토사의 퇴적방지를 위한 세굴효과 증가형 구조물이 하중도가 형성되는 영역의 일측면에 설치된 전후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1에 따른 토사의 퇴적방지를 위한 세굴효과 증가형 구조물이 자유곡류하천의 퇴적사면에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사의 퇴적방지를 위한 세굴효과 증가형 구조물(10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사의 퇴적방지를 위한 세굴효과 증가형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토사의 퇴적방지를 위한 세굴효과 증가형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토사의 퇴적방지를 위한 세굴효과 증가형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사의 퇴적방지를 위한 세굴효과 증가형 구조물(100)은 하수가 토사가 퇴적되는 영역을 향하도록 하수의 유동 방향을 전환시킴으로써 토사의 퇴적을 최소화하거나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서, 몸체(110)와 경사부(120)와 유동안내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11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물(100)의 메인 프레임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인 구조물의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제방 등을 보호하고, 유로를 교정하는 구조물 본연의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몸체(110)는 대부분이 수면 내측에 배치되고, 유수에 의해 인가되는 압력 등을 지지해야 하므로, 콘크리트 구조물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공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경사부(120)는 상기 몸체(110)의 전면, 더 정확히는 토사가 퇴적되는 영역의 전방을 마주보는 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수심이 깊어짐에 따라 내측으로 함몰되어 수면의 수직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몸체(110) 측으로 근접하는 유수는 경사부(120)를 따라 유동하도록 유동방향이 전환된다. 만약, 몸체(110)에 경사부(120)가 형성되지 않는다면, 유수는 몸체(110)와의 충돌하여 유동방향이 전환되지 않거나, 전환되더라도 충돌에 의해 힘이 소실되어 퇴적된 토사를 분산시킬 수 있을 정도의 힘은 남아있지 않을 것이다.
즉, 경사부(120)는 부메랑과 같이 유수의 유동방향을 전환하도록 유도할 뿐, 유동에 의한 힘에는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다.
여기서, 경사부(120)의 경사진 정도는 몸체(110)와 토사가 퇴적되는 영역 사이의 간격 및 유수의 유동속도 등을 고려하여 달리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몸체(110)는 단면이 역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도록 마련된다. 즉, 몸체(110)의 전방 및 후방에 모두 경사부(120)가 형성되는 형상으로 마련된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몸체(110)의 양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경사부(120)가 형성될 수 있는 형상으로 마련되면 충분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토사가 퇴적되는 영역을 마주보는 면을 전방으로 하여, 전면에 경사부(120)가 형성되게 마련되는 것이 좋을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유동안내부(130)는 하수가 경사부(120)를 따라 유동하도록 경사부(120)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되어 하수의 유동방향을 안내하는 것이다.
즉, 유동안내부(130)를 통해 사용자의 요구대로 유수의 유동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유동안내부(130)는 지그재그형으로 마련되는 복수개가 몸체(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됨으로써 유수가 몸체(110)의 사선방향을 따라 유동하되 유동방향이 몸체(110)에 근접하는 방향에서 몸체(1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더 정확히는 토사가 퇴적되는 영역을 향하도록 전환되도록 안내한다.
또한, 유동안내부(130)에는 좌우방향이 전환되는 적어도 2개의 지점이 존재하여 이 지점에서 유수가 경사부(120)로부터 튕겨져 나가도록 함으로써 말굽형의 난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몸체(110)와 토사가 퇴적되는 영역 사이의 간격 및 유수의 유동속도 등을 고려하여 와류가 더 활발히 발생할 수 있도록 유동안내부(130)의 개수, 이격 간격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경사부(120)와 유동안내부(130)는 세굴(scour) 현상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세굴 현상이란 유수에 의해 기슭이나 바닥의 바위, 또는 토사들이 씻겨져 파이는 현상을 말한다. 소정의 평탄화 영역에서는 세굴 현상을방지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본원 발명과 같이 토사가 퇴적된 영역에 경사부(120)와 유동안내부(130)를 통해 세굴 현상을 극대화함으로써 오히려 토사가 퇴적된 영역이 소실되는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토사가 퇴적된 영역이 세굴 현상에 의해 실질적으로 평탄화되는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몸체(110)에 의해 몸체(110)의 전방인 제1 영역과 몸체(110)의 후방인 제2 영역으로 구획되고, 제1 영역과 제2 영역이 서로 단절될 수 있다.
예컨대, 우기인 경우 평균적으로 하수면은 몸체(110)의 상단보다 상측에 위치하게 되며, 제1 영역과 제2 영역은 몸체(110)의 상단부와 하수면 사이의 영역을 통해 연통할 수 있다.
그러나, 건조기인 경우, 몸체(110)의 상단부는 하수면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고, 제1 영역과 제2 영역은 서로 독립적인 영역으로 구획될 수 있다.
이는 제1 영역의 생태계와 제2 영역의 생태계를 서로 단절시켜 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몸체(110)의 전면 및 후면을 관통하는 관통부(140)를 형성하여 제1 영역과 제2 영역이 서로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관통부(140)는 복수개가 필요에 따라 임의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나, 유수의 유동방향 전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몸체(110)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관통부(140)는 단순히 유수가 유동할 수 있는 통로로써 활용될 뿐만 아니라, 하천에 서식하는 생물, 예컨대 어류들의 이동 통로 및 어류 서식처로써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몸체(110)의 상단에는 식생 영역(150)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식생 영역(150)이란 해당 영역에서 생식할 수 있는 식생(151)들이 생장하는 공간을 의미한다.
즉, 몸체(110) 상단에 식생 영역(150)을 형성하여 자연형 생태하천에 부합한 시각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몸체(110)의 상단은 하수면 하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는 계절별 하수면의 높이 변화 등을 고려하여 어느 정도 하수면 하측에 배치될 지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물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식생 영역(150)이 하수면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몸체(110)의 상단이 하수면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토사의 퇴적방지를 위한 세굴효과 증가형 구조물의 설치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사의 퇴적방지를 위한 세굴효과 증가형 구조물(100)이 설치될 수 있는 장소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1에 따른 토사의 퇴적방지를 위한 세굴효과 증가형 구조물을 설치 전에 토사가 퇴적된 영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에 따른 토사의 퇴적방지를 위한 세굴효과 증가형 구조물이 토사가 퇴적된 영역에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에 따른 토사의 퇴적방지를 위한 세굴효과 증가형 구조물에 의해 토사 퇴적물이 주변 영역으로 분산되어 평탄화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사의 퇴적방지를 위한 세굴효과 증가형 구조물(100)은 유수의 유동방향을 전환하여 전방에 퇴적된 토사를 주위 영역으로 분산시킴으로써 토사의 퇴적을 최소화하거나 방지할 수 있는 것이므로, 토사의 퇴적이 발생하는 영역(S)의 후방에 설치된다.
여기서, 도 4는 이미 퇴적이 형성된 영역(S) 후방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사의 퇴적방지를 위한 세굴효과 증가형 구조물(100)이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퇴적이 형성될 것으로 예정되는 영역의 후방에 설치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예컨대, 자유곡류 하천에 적용되는 경우, 하천의 퇴적사면(S2), 즉 하천의 외측면에 형성되거나 하천의 중앙부로서 하중도가 형성될 수 있는 영역(S1)의 일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설치예는 도 7 및 도 8에 개시되어 있다.
도 7은 도 1에 따른 토사의 퇴적방지를 위한 세굴효과 증가형 구조물이 하중도가 형성되는 영역의 일측면에 설치된 전후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1에 따른 토사의 퇴적방지를 위한 세굴효과 증가형 구조물이 자유곡류하천의 퇴적사면에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즉, 도 7(a)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사의 퇴적방지를 위한 세굴효과 증가형 구조물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하천의 중앙부 측에 소정의 퇴적이 발생하여 하중도가 발생될 염려가 있었으나, 도 7(b)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사의 퇴적방지를 위한 세굴효과 증가형 구조물에 의해 세굴 효과가 증대되어 하천의 중앙부 영역에 토사물의 퇴적이 방지된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하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사의 퇴적방지를 위한 세굴효과 증가형 구조물(100)에 의해 유동 방향이 전환되어 토사물 측을 향하고, 이러한 하수에 의해 토사는 하수의 유동방향을 따라 하천의 하류 측으로 유동한다.
물론, 각각의 경우에 설치되더라도 몸체(110)의 방향성은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즉, 경사부(120)가 유수를 마주보게 배치되어야 한다.
더 자세히 설명하면, 하천의 퇴적사면 측에 설치된다면, 토사의 퇴적방지를 위한 세굴효과 증가형 구조물(100)은 경사부(120)가 하천의 내측을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하중도가 형성될 수 있는 영역에 설치된다면, 토사의 퇴적방지를 위한 세굴효과 증가형 구조물(100)은 경사부(120)가 하중도를 마주보도록 설치된다.
한편, 토사의 퇴적방지를 위한 세굴효과 증가형 구조물(100)이 설치되는 과정에서 몸체(110)의 하단부는 일부가 해저면에 인입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토사의 퇴적방지를 위한 세굴효과 증가형 구조물(100)은 구조물의 일반적인 기능을 수행하지만, 유수의 유동방향을 전환하여 세굴 현상을 증가시켜야 하므로 마주오는 유수를 지지할 수 있도록 고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몸체(110)의 일부가 해저면에 인입되어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물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몸체(110)의 하단에 고중량체를 연결시켜 하중을 가함으로써 이를 지지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각각의 영역에 복수개의 토사의 퇴적방지를 위한 세굴효과 증가형 구조물(100)을 설치할 수 있다. 퇴적이 발생하는 영역(S)이 좁은 영역일 수 있으나, 광범위한 영역에 걸쳐 퇴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토사의 퇴적방지를 위한 세굴효과 증가형 구조물(100) 복수개가 각각 퇴적물을 마주보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각각의 토사의 퇴적방지를 위한 세굴효과 증가형 구조물(100)들은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술한 것과 같이 제1 영역과 제2 영역이 서로 연통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사의 퇴적방지를 위한 세굴효과 증가형 구조물(100)을 사용함으로써 세굴 현상을 증가시켜 토사가 퇴적되는 것을 최소화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즉, 유속이 느리고 정체된 영역이라 할지라도 강제적으로 유수의 유동, 즉 유속과 유량을 개선하여 토사가 퇴적되는 것을 최소화하거나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 토사의 퇴적이 방지되거나 최소화됨으로써 통수단면적의 변화를 최소화시켜 우기시 하천이 범람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토사의 퇴적방지를 위한 세굴효과 증가형 구조물(100)이라는 인위적인 구조물이 설치되더라도 이에 의해 하천 영역이 구획되지 않고 서로 연통될 수 있어 생태계가 분리되거나 수질오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인위적인 구조물 설치에 의해 시각적으로 부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을 식생 영역을 형성하거나 몸체(110)의 상단을 하수면 하측에 배치시킴으로써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토사의 퇴적방지를 위한 세굴효과 증가형 구조물
110: 몸체 120: 경사부
130: 유동안내부 140: 관통부
150: 식생 영역

Claims (7)

  1. 토사의 퇴적이 발생하는 영역의 후방에 설치되고, 수심이 깊어짐에 따라 상기 토사의 퇴적이 발생하는 영역을 마주보는 면에만 선택적으로 경사부가 형성되되, 하수가 상기 경사부를 따라 하강하도록 상기 경사부가 형성된 면에는 하수의 유동방향을 안내하는 홈 형태의 유동안내부가 형성되는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는 상기 경사부 및 상기 유동안내부에 의해 상기 몸체 측으로 근접하는 하수가 상기 토사의 퇴적이 발생하는 영역 측을 향하도록 하수의 유동방향을 전환함으로써 상기 몸체의 전방에 퇴적된 토사를 분산시키고,
    상기 몸체 전방의 하수와 상기 몸체 후방의 하수를 서로 연통시키는 관통부가 상기 몸체의 상부에만 형성되며,
    상기 유동안내부는 상기 경사부 전방에 와류가 형성되도록 지그재그로 형성되는 토사의 퇴적방지를 위한 세굴효과 증가형 구조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단면이 역사다리꼴 형상인 토사의 퇴적방지를 위한 세굴효과 증가형 구조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부는 식생 영역이 조성되는 토사의 퇴적방지를 위한 세굴효과 증가형 구조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안내부는 복수개가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토사의 퇴적방지를 위한 세굴효과 증가형 구조물.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자유곡류 하천의 퇴적사면 또는 하중도의 적어도 일측면 상에 설치되는 토사의 퇴적방지를 위한 세굴효과 증가형 구조물.
  6. 삭제
  7. 삭제
KR1020140066234A 2014-05-30 2014-05-30 토사의 퇴적방지를 위한 세굴효과 증가형 구조물 KR1016878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6234A KR101687871B1 (ko) 2014-05-30 2014-05-30 토사의 퇴적방지를 위한 세굴효과 증가형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6234A KR101687871B1 (ko) 2014-05-30 2014-05-30 토사의 퇴적방지를 위한 세굴효과 증가형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9001A KR20150139001A (ko) 2015-12-11
KR101687871B1 true KR101687871B1 (ko) 2016-12-21

Family

ID=55020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6234A KR101687871B1 (ko) 2014-05-30 2014-05-30 토사의 퇴적방지를 위한 세굴효과 증가형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78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42491B (zh) * 2015-11-12 2017-07-18 东北师范大学 一种河湖底泥就地处理与生态护坡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5172B1 (ko) * 2009-08-24 2010-10-05 현대건설주식회사 국부세굴 유도형 하도 육역화 방지공
KR101349523B1 (ko) * 2013-07-05 2014-01-10 현대건설주식회사 유사퇴적 방지 기능을 구비하는 수로형 습지 및 이의 구축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2883B2 (ja) * 1985-09-02 1994-12-14 日本ソリツド株式会社 洗掘防止用海水用構造物及びその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型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5172B1 (ko) * 2009-08-24 2010-10-05 현대건설주식회사 국부세굴 유도형 하도 육역화 방지공
KR101349523B1 (ko) * 2013-07-05 2014-01-10 현대건설주식회사 유사퇴적 방지 기능을 구비하는 수로형 습지 및 이의 구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9001A (ko) 2015-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53164A (zh) 一种用于河道生态修复的下沉式河道湿地系统及构建方法
KR100530493B1 (ko) 친환경적인 도로부근 하천바닥의 세굴방지구조
KR101687871B1 (ko) 토사의 퇴적방지를 위한 세굴효과 증가형 구조물
KR100465647B1 (ko) 하천의 물속 생태계 복원 공법
KR101585639B1 (ko) 어도블록 및 어도시공방법
KR101349523B1 (ko) 유사퇴적 방지 기능을 구비하는 수로형 습지 및 이의 구축방법
KR101155744B1 (ko) 퇴적방지용 가속유로가 형성되는 하상구조
KR20060018757A (ko) 토목 섬유대를 이용한 다목적 생태여울시스템 및 그시공방법
KR101352835B1 (ko) 자연형 여울-소 조성을 위한 다공질 수제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여울-소 조성방법
JP2007023573A (ja) 河川用ブロック及び河川用ブロック堰
JP4758882B2 (ja) 魚道付き護岸ブロック及びこれを用いた魚道付き護岸面の構築方法
CN204898463U (zh) 一种污水处理结构
JP4097639B2 (ja) 魚道
KR101349463B1 (ko) 세정가능한 퇴적방지용 가속유로가 형성되는 하상구조
JP2008223446A (ja) 航路埋没防止方法及び埋没を防止した港湾設備
KR101187094B1 (ko) 생태유지 기능을 구비하는 래버린스 보
CN106049373A (zh) 泥石流拦挡重力坝体结构
KR101039619B1 (ko) 퇴사 방지용 가속수로가 형성된 하천
CN207227228U (zh) 一种仿生式多组合生态净水堰
KR20110117857A (ko) 여울목 및 수중 도랑을 구비한 다단 생태하천 수중보와 그의 시공방법
CN205530160U (zh) 一种跌水消能装置
JP4056515B2 (ja) 堤脚水路構築物および堤防強化ドレーン構造
JP3996407B2 (ja) 土砂の集積構造
JP6776487B1 (ja) 河川における二極化現象への対策方法
JP4501131B2 (ja) 河川生物の生育に適した河川構造の形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