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7638B1 - 타종용 모형종 - Google Patents

타종용 모형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7638B1
KR101687638B1 KR1020150178894A KR20150178894A KR101687638B1 KR 101687638 B1 KR101687638 B1 KR 101687638B1 KR 1020150178894 A KR1020150178894 A KR 1020150178894A KR 20150178894 A KR20150178894 A KR 20150178894A KR 101687638 B1 KR101687638 B1 KR 1016876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l
column
roof
main body
life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8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정훈
Original Assignee
안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정훈 filed Critical 안정훈
Priority to KR1020150178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76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7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7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00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striking a resonating body, e.g. bells, chimes or gongs
    • G10K1/06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striking a resonating body, e.g. bells, chimes or gongs the resonating devices having the shape of a bell, plate, rod, or tube
    • G10K1/062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striking a resonating body, e.g. bells, chimes or gongs the resonating devices having the shape of a bell, plate, rod, or tube electrically operated
    • G10K1/063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striking a resonating body, e.g. bells, chimes or gongs the resonating devices having the shape of a bell, plate, rod, or tube electrically operated the sounding member being a bell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00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striking a resonating body, e.g. bells, chimes or gongs
    • G10K1/06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striking a resonating body, e.g. bells, chimes or gongs the resonating devices having the shape of a bell, plate, rod, or tube
    • G10K1/062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striking a resonating body, e.g. bells, chimes or gongs the resonating devices having the shape of a bell, plate, rod, or tube electrically operated
    • G10K1/063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striking a resonating body, e.g. bells, chimes or gongs the resonating devices having the shape of a bell, plate, rod, or tube electrically operated the sounding member being a bell
    • G10K1/064Operating or striking mechanism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Abstract

1. 기술분야
본 발명은 타종용 모형종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장식용 모형종으로, 종신을 타격할 때 낮고 은은한 공명을 생성하면서 소리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면서 전통종을 구현하면서 고풍스러움을 제공하는 한편, 편백 향기 또는 단청의 미려함 및 화려함을 함께 제공하여 정신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타종용 모형종에 관한 것이다.
2. 구성
본 발명은 지붕과, 상단부가 상기 지붕에 결합된 기둥과, 상기 지붕의 저부에 결합되어 상기 지붕을 지탱하는 보와, 상기 기둥의 하단부가 지지되는 받침대를 포함하는 전통 구조물; 상기 보에 매달린 종신; 및 상기 보 또는 상기 지붕의 처마에 매달려 상기 종신을 타종하는 당목을 포함하되, 상기 받침대는 울림통을 구비하되, 상기 울림통은 상기 당목이 상기 종신을 타격할 때, 상기 종신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손실없이 전달받아 낮고 은은한 공명을 생성하면서 소리의 전달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중심축이 상기 종신의 중심축과 일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종용 모형종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타종용 모형종{MODEL BELL FOR A STRIKING BELL}
본 발명은 타종용 모형종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장식용 모형종으로, 종신을 타격할 때 낮고 은은한 공명을 생성하면서 소리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면서 전통종을 구현하면서 고풍스러움을 제공하는 한편, 편백 향기 또는 단청의 미려함 및 화려함을 함께 제공하여 정신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타종용 모형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鐘)은 용도상으로 악종(樂鐘)·시종(時鐘)·경종(警鐘)·범종(梵鐘) 등으로 분류한다. 고전적인 동양식 종(鐘)의 형태는 종의 입구가 오므라지고 두툼한 형태를 이루면서, 종신의 표면에 당좌(撞座)가 구비되어 당목(撞木)으로 당좌를 쳐서 소리를 내게 되어 있으며, 타종시 종신의 내부에서 회돌이치는 공기가 밖으로 새어나오지 않고 오래 머물도록 하여 소리의 여운이 길게 유지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타종시 소리의 여운이 길게 유지되도록 하여 원거리까지 소리를 전달하는 '맥놀이 현상'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종으로는 국보 제29호로 지정된 성덕대왕 신종(에밀레종)이 있다. 이러한 성덕대왕 신종은 신비한 종소리의 특성과 뛰어난 자태를 지니고 있어 일정 비율로 축소 제작되어 다양한 형태의 모형종이 상품화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제작되고 있는 대부분의 모형종들은 성덕대왕 신종에 비해 종신의 무게가 가볍고, 당목 대신에 금속 재질의 당쇠 또는 나무 망치를 사용하여 종신을 타종하고 있기 때문에 한국을 방문하는 외국인에게 전통종의 타종 방법에 대한 오해를 불러 일으키고 있을 뿐만 아니라, 당쇠의 진자운동 또는 사람의 손목힘에 의한 나무 망치의 타격 방식으로 타종이 이루어짐에 따라 소리 세기가 강하여 듣는 사람에게 오히려 불쾌감을 주고, 높은 음의 발생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소리 도달거리가 짧아 성덕대왕 신종과 같은 낮고 은은한 타종 소리를 재현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에 의해 2015년 4월 22일자로 출원되어 등록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55285호(등록일: 2015.09.15)에는 종신을 타격할 때 종신을 타격할 때 종신의 당좌와 당목 간의 접촉시간을 증대시켜 낮고 은은한 공명을 생성하면서 소리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는 타종용 모형종이 제안된 바 있었다.
그러나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55285호에서 제안된 타종용 모형종은 종신을 타격할 때 종신의 당좌와 당목 간의 접촉시간을 증대시켜 낮고 은은한 공명을 생성하면서 소리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킬 수는 있으나, 실질적으로 전통종을 구현하는데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고풍스러움, 심미감과 화려함을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KR 10-1998-0064856 A, 1998. 10. 07. KR 20-1995-0031300 U, 1995. 11. 22. KR 10-2008-0095114 A, 2008. 10. 28. KR 20-0308380 Y1, 2003. 03. 11. KR 10-1555285 B1, 2015. 09. 15.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목적들이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종신 타격시 낮고 은은한 공명을 생성하면서 소리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면서 전통종을 구현할 수 있는 타종용 모형종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고풍스러움을 제공할 수 있는 타종용 모형종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편백 향기를 제공하거나 단청의 미려함과 화려함을 함께 제공하여 정신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타종용 모형종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지붕과, 상단부가 상기 지붕에 결합된 기둥과, 상기 지붕의 저부에 결합되어 상기 지붕을 지탱하는 보와, 상기 기둥의 하단부가 지지되는 받침대를 포함하는 전통 구조물; 상기 보에 매달린 종신; 및 상기 보 또는 상기 지붕의 처마에 매달려 상기 종신을 타종하는 당목을 포함하되, 상기 받침대는 울림통을 구비하되, 상기 울림통은 상기 당목이 상기 종신을 타격할 때, 상기 종신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손실없이 전달받아 낮고 은은한 공명을 생성하면서 소리의 전달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중심축이 상기 종신의 중심축과 일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종용 모형종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받침대는 기단으로서, 외벽; 상기 외벽의 적어도 일측부에 설치된 계단; 상기 외벽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종신에서 발생된 진동을 증폭시키는 상기 울림통; 상기 외벽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기둥의 하부가 지지되는 기둥 받침대; 및 상기 울림통과 상기 기둥 받침대를 제외한 상기 외벽의 내측 상부를 덮는 복수 개의 판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받침대를 구성하는 상기 외벽, 상기 계단, 상기 울림통 및 상기 기둥 받침대는 플라스틱 재질을 가공 성형하여 일체형으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통 구조물은 공포, 창방, 평팡, 귀한대, 추녀, 사래, 대공 및 서까래의 부재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부재들과, 상기 보 또는 상기 판재는 편백나무 원목 또는 집성목으로 이루어지거나, 단청 또는 단청 모양의 비닐이 코팅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외벽은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판재가 안착되는 제1 안착턱이 구비되고, 상기 기둥 받침대는 일측 또는 양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판재가 안착되는 제2 안착턱이 구비되되, 상부에 상기 기둥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기둥 받침홈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당목은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부에 부착되어 상기 종신의 당좌를 타격하는 충격완화재; 상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된 제1 및 제2 고리; 및 상기 본체에는 전면부와 상기 제1 고리 사이, 후면부와 상기 제2 고리 사이의 중간에 구비된 제1 및 제2 당목띠를 포함하되, 상기 제2 당목띠는 상기 제1 당목띠보다 1.5 내지 2배 정도로 무거운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는 상기 충격완화재가 부착되는 일측부에 내측으로 함몰된 완충홈이 형성되고, 상기 충격완화재는 상기 오목홈에 대응하는 부위가 외측으로 볼록한 볼록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종신의 상부에 구비된 종뉴를 상기 보에 결합하는 달기고리와 덮개를 더 포함하되, 상기 달기고리는 상부와 하부에 'ㄷ'자 형상의 하부 결합부와 상부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결합부는 상기 종뉴의 일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볼트 또는 상기 전용핀에 의해 체결되고, 상기 상부 결합부에는 상기 보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보의 상부를 감싸고 양측부에 상기 덮개가 고정피스를 통해 결합됨에 따라 상기 종신은 상기 고정볼트 또는 전용핀을 축으로 상기 당목이 진행하는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종신과 이격되어 상기 종신의 하부에 설치되되 중앙부에 하부로 갈수록 완만한 곡률을 갖는 사발형 구조 또는 다단 곡률을 갖는 파도형 구조로 이루어진 오목홈이 구비된 울림통를 포함하는 타종용 모형종을 제공함으로써 종신 타격시 종신의 내부에서 발생된 진동음을 증폭시켜 소리 발생 시간을 연장하고, 낮은 소리를 만들어 전달 거리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통 구조물(한옥 구조물)에 종신, 당목 및 울림통을 결합하고, 편백나무 원목 또는 집성목을 이용하여 전통 구조물의 구성 부재들을 구현한 타종용 모형종을 제공함으로써 전통종을 구현하면서 고풍스러움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통 구조물(한옥 구조물)에 종신, 당목 및 울림통을 결합하고, 전통 구조물의 구성 부재들에 단청을 칠하거나, 혹은 단청 모양의 비닐을 코팅하여 단청의 미려함 및 화려함을 함께 제공하여 정신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편백 향기를 제공하거나, 단청의 미려함과 화려함을 함께 제공하여 정신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타종용 모형종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의 일측부에 부착되어 상기 종신의 당좌를 타격하는 충격완화재를 포함하는 당목을 제공함으로써 종신의 당좌와 당목 간의 접촉시간을 증대시켜 낮고 은은한 공명을 생성하면서 소리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타종용 모형종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타종용 모형종에서 지붕을 제외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타종용 모형종을 각 구성별로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타종용 모형종을 상하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받침대를 설명하기 위하여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당목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의 (a)는 도 6에 도시된 당목을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7의 (b)는 도 7의 (a)에 도시된 I-I' 절취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당목을 도시한 사시도.
도 9의 (a)는 도 8에 도시된 당목을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9의 (b)는 도 9의 (a)에 도시된 II-II' 절취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타종용 모형종을 도시한 정면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타종용 모형종에서 지붕을 제외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타종용 모형종을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타종용 모형종을 각 구성별로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4는 도 11에 도시된 타종용 모형종의 정면도.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I-I' 절취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
도 16은 도 11에 도시된 타종용 모형종의 평면도.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타종용 모형종에 도시된 II-II' 절취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달기고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부분 사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타종용 모형종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타종용 모형종에서 지붕을 제외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타종용 모형종을 각 구성별로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타종용 모형종을 상하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타종용 모형종(10)은 전통종을 구현하기 위하여 지붕(11), 기둥(12), 보(13) 및 받침대(15) 등을 포함하는 전통 구조물과, 상기 전통 구조물의 보(13)에 매달린 종신(14)과, 체인(17)을 통해 보(13) 또는 지붕(11)의 처마에 매달려 종신(14)을 타종하는 당목(16)을 포함한다.
상기 전통 구조물은 종신(14)과 당목(16)을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매달기 위한 구조물로서, 전통 구조물에서 그 구조 및 형상은 제한을 두지 않고 다양한 구조 및 형상이 가능하다.
종신(14)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상부에 상부로 돌출된 종뉴(141)가 구비되고, 고정볼트(b)와 너트(n)를 통해 종뉴(141)가 달기고리(131)에 체결되어 보(13)에 매달린다. 즉, 종신(14)의 상부에는 고정볼트(b)가 관통 결합되는 종뉴(141)가 구비되고, 이와 대응하여 보(13)의 하부에는 달기고리(131)가 설치되어 고정볼트(b)와 너트(n)를 통해 종뉴(141)와 달기고리(131)를 상호 체결하는 방식으로 종신(14)을 보(13)에 매단다. 이때, 고정볼트(b) 대신에 전용핀으로 대체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종뉴(141)에는 용뉴와 음통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종신(14)에는 표면에 당좌가 구비되고, 천판, 견대, 상대, 유두, 유곽, 공양상(비천상) 또는 하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받침대(15)는 도 2와 같이, 종신(14)의 하부 개구부와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종신(14)에서 발생된 진동을 증폭시키는 울림통으로서, 종신(14)에서 발생된 소리를 반사하거나, 또는 소리에 의해 진동이 발생하는 금속 또는 비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울림을 증대하기 위하여 얇은 금속판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받침대(15)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중앙부에 오목하게 함몰된 울림통(15a)이 형성되도록 충분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기둥(12)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기둥(12)과 분리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일측에는 기둥(12)의 하단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기둥 받침홈(15b)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종신(14)의 하부 개구부와 대향하도록 상부로 개방된 울림통(15a)이 형성되어 종신(14)의 내부에서 발생된 진동음을 증폭시켜 소리 발생 시간을 연장하고, 낮은 소리를 만들어 전달 거리를 증대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받침대(15)는 도 4와 같이, 종신(14)에서 처음 발생된 종소리의 고유 주파수와 받침대(15)를 거쳐 나오는 주파수가 일치되도록 하여 종신(14)에서 품어져 나오는 종소리의 감쇠량을 감소시켜 소리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하부(깊이방향)로 갈수록 완만한 곡률을 갖는 사발형 또는 파도형 구조로 이루어진다.
울림통(15a)은 도 4와 같이, 당목(16)의 타격에 의해 종신(14)에서 발생된 소리를 손실없이 전달받아 낮고 은은한 공명을 생성하면서 소리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중심축이 종신(14)의 중심축과 일치하도록 받침대(15)의 중앙부에 형성된다.
이러한 울림통(15a)의 깊이(L2)와 직경(D2)은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수학식 1]
D2 = D1 × (0.8 ~ 0.9)
L2 = L1 × (0.3 ~ 0.4)
여기서, 'D1'는 종신(14)의 종구직경을 나타내고, 'L1'는 종신(14)의 길이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받침대를 설명하기 위하여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받침대(15)는 중앙부에 울림통(15a)이 형성되도록 충분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부 일측에는 기둥(12)의 하단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기둥 받침홈(15b)이 형성된다. 그리고 측면 둘레에는 12개의 각부(15c)를 형성하고, 각부(15c)에는 순서에 따라 십이지신상(十二支神像)이 조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십이지신상은 현존하는 김유신 장군묘의 십이지신 조각상과 동일한 형태로 조각될 수 있다.
또한, 받침대(15)는 각부(15c)에 대응하는 상면에 각부(15c)에 조각된 십이지신상에 해당하는 십이지신을 나타내는 '한자'가 더 표시될 수도 있고, 울림통(15a)을 둘러싸도록 상부에는 경계선(15e)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울림통(15a)과 경계선(15e) 사이에는 다양한 문양 또는 무늬가 표시되어 심미감과 화려함을 더욱 극대화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당목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의 (a)는 도 6에 도시된 당목을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고, 도 7의 (b)는 도 7의 (a)에 도시된 I-I' 절취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과 같이, 당목(16)은 본체(161)와, 본체(161)의 일측부에 부착되어 종신(14)의 당좌를 타격하는 충격완화재(162)를 포함한다. 이때, 충격완화재(162)는 종신(14)의 타종시 당목(16)과 종신(14) 간의 충격량을 완화시켜 당목(16)과 당좌 간의 충격음을 낮추고 접촉시간을 증대시켜 약한 소리와 낮은 소리를 생성한다.
본체(161)는 전면부(종신(14)에 충돌되는 면)에 충격완화재(162)가 부착된 일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길이(L3)는 종신(14)의 종구직경(D1)과 동일하거나 약간 짧고, 직경(D3)은 종신(14)에 구비된 당좌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약간 작게 형성할 수 있다.
본체(161)는 상부에 도 2 및 도 6과 같이, 체인(17)이 연결되는 제1 및 제2 고리(163, 164)가 구비된다. 이때, 제1 및 제2 고리(163, 164)는 당목(16)의 길이, 즉 본체(161)의 전면부로부터 1/4 지점과 3/4 지점에 각각 하나씩 총 2개가 구비된다.
본체(161)에는 전면부와 제1 고리(163) 사이, 후면부와 제2 고리(164) 사이의 중간에 제1 및 제2 당목띠(165, 166)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당목띠(165, 166)는 금속고리로 본체(161)의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되되, 당목(16)의 전면측에 구비된 제1 당목띠(165)는 본체(161)의 무게와 동일하고, 당목(16)의 후면측에 구비된 제2 당목띠(166)는 제1 당목띠(165)의 1.5 내지 2배 정도의 무게를 갖는다.
이와 같이, 제1 당목띠(165)에 비해 제2 당목띠(166)의 중량을 1.5 내지 2배 정도의 더 무겁게 함으로써 당목(16)을 이용하여 종신(14)을 타종할 때 당목(16)의 전면부가 종신(14)의 당좌에 접촉시 후면부의 중량에 의해 발생하는 힘에 의해 본체(161)의 몸통이 스프링 작용을 하여 당좌와 전면부 간의 접촉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체(161)는 외면,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당목띠(165, 166) 사이의 공간에 고풍스러움, 심미감 및 화려함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다양한 무늬 및 문양이 조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모양이 조각될 수 있다.
충격완화재(162)는 본체(161)의 일측부에 접착재를 통해 부착될 수 있고, 당목(16)과 당좌 간의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해 완충성을 갖는 재질, 예를 들면, 피혁, 에폭시 수지, PVC(Polyvinyl Chloride) 또는 코르크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당목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의 (a)는 도 8에 도시된 당목을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고, 도 9의 (b)는 도 9의 (a)에 도시된 II-II' 절취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당목(26)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당목(16)과 같이, 본체(261), 충격완화재(262), 제1 및 제2 고리(263, 264), 제1 및 제2 당목띠(265, 266)를 포함한다. 다만, 본체(261)는 충격완화재(262)가 부착되는 전면부에 완충홈(261a)이 형성되고, 충격완화재(262)는 완충홈(261a)에 대응하는 부위가 외측으로 볼록한 볼록 형상을 갖는다. 이때, 완충홈(261a)의 직경은 본체(261)의 직경(D4)에 1/2 크기(D4/2)가 되도록 형성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당목(26)을 이용하여 종신(14)을 타종하면, 당목(26)의 전면부에 구비된 충격완화재(262)의 볼록부가 먼저 종신(14)의 당좌에 충돌된 후 그 충격력에 의해 충격완화재(262)의 볼록부가 후방의 완충홈(261a)의 내부로 밀려들어와 완충 작용을 증대시킴으로써 당좌와 당목(26) 간의 접촉시간을 증대시켜 충격음을 낮추고 약한 소리와 낮은 소리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타종용 모형종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타종용 모형종에서 지붕을 제외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타종용 모형종을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타종용 모형종을 각 구성별로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1에 도시된 타종용 모형종의 정면도이고,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I-I' 절취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6은 도 11에 도시된 타종용 모형종의 평면도이고,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타종용 모형종에 도시된 II-II' 절취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타종용 모형종(30)은 고풍스러운 전통 한옥 형상을 갖는 전통종을 구현하기 위하여 지붕(31), 기둥(32), 공포(控包)(33), 보(34), 기단(35) 등을 포함하는 전통적인 한옥 구조물과, 상기 한옥 구조물의 보(34)에 매달려 좌우측으로 회동하는 종신(36)과, 체인(38)을 통해 보(34) 또는 지붕(31)의 처마에 매달려 종신(36)을 타종하는 당목(37)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옥 구조물은 지붕(31), 기둥(32), 공포(控包)(33), 보(34), 기단(35) 이외에도, 창방, 평팡, 귀한대, 추녀, 사래, 대공, 서까래 등의 부재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전통 한옥 구조물을 구성하는 부재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기둥(32), 공포(控包)(33), 보(34), 기단(35) 이외에도, 창방, 평팡, 귀한대, 추녀, 사래, 대공, 서까래 등의 부재들의 구조 및 형상은 도시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라, 지금까지 알려진 전통 한옥 구조물은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지붕(31)은 도 10과 같이, 플라스틱 재질, 바람직하게는 아크릴 재질을 가공 성형하여 기와를 얹는 모양으로 제작된다. 그리고, 그 표면에는 다양한 색상이 입혀질 수 있으며, 종각의 규격 등을 감안하여 팔작지붕 또는 맞배지붕 양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기둥(32)은 편백나부 원목 또는 집성목으로 제작하며, 형식은 배흘림기둥형식으로 제작하며, 규격에 따라 상기 한옥 구조물의 전후면에 각각 3 내지 5개가 설치되거나, 측면은 없거나 또는 각 2개씩 설치될 수도 있으나, 그 개수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공포(33)는 향기와 색채에 의한 심미감과 화려함을 제공하기 위해 편백나무 원목 또는 집성목으로 제작하고, 주심포 양식 또는 다포 양식으로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공포(33)는 궁궐 또는 사찰을 포함한 전통 한옥의 형태를 갖추되, 모형 가옥의 견고성과 제작 용이성 등을 확보하기 위하여 창방, 평방, 귀한대, 보, 대공, 마루도리, 추녀, 사래, 서까래 등의 부재들을 적정 구간으로 구획 및 분류하여 하나로 조각하거나, 끼움, 접착 또는 피스 등과 같은 체결방식를 이용하여 조립할 수 있다.
물론 창방, 평방, 귀한대, 대공, 마루도리, 추녀, 사래, 서까래 등의 부재들 또한 향기와 색채에 의한 심미감과 화려함을 제공하기 위해 편백나무 원목 또는 집성목으로 제작하고, 그 표면에 단청이 칠해지거나, 혹은 단청 모양의 비닐을 코팅할 수도 있다.
한옥 구조물에서 공포(33)는 기둥(32)과 보(34), 기둥(32)과 도리 등의 수직재와 횡재가 서로 긴밀하게 맞추어질 때 장식적 또는 구조적으로 결합되어 여러 부재가 결속된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지붕(31)의 무게를 분산, 혹은 집중시켜 구조적으로 안전한 완충적 기능을 하기도 하고, 내부 공간을 확장시키고 건물을 높여 웅장한 멋을 낼 수 있으며, 그 구성과 공작이 섬세하고 화려하여 장식적으로 중요한 기능을 한다.
기단(35)은 기둥(32)과 지붕(31)을 포함하여 공포(33)와 다른 부재들을 받치는 받침대로서, 빗물이 건물 안으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주변보다 높이 쌓은 구조물로서, 도 11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벽(351)과, 외벽(351)의 양측부에 설치된 계단(352)과, 외벽(351)의 내측에 종신(36)의 하부 개구부와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종신(36)에서 발생된 진동을 증폭시키는 울림통(353)과, 외벽(351)의 내측에 설치되어 기둥(32)의 하부가 지지되는 기둥 받침대(354)와, 울림통(353)과 기둥 받침대(354)를 제외한 외벽(351)의 내측 상부를 덮는 복수개의 판재(355)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단(35)은 판재(355)를 제외한 외벽(351), 계단(352), 기둥 받침대(354)는 모두 플라스틱 재질, 바람직하게는 아크릴 재질을 가공 성형하여 일체형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외벽(351)은 울림통(353)이 설치될 수 있는 충분한 높이를 갖도록 제작하고, 울림통(353)은 금속 또는 비금속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판재(355)는 편백나무로 제작하여 외벽(351)의 내측 상면을 덮고,
외벽(351)은 도 15 및 도 17과 같이, 내측으로 돌출되어 판재(355)가 안착되는 제1 안착턱(351a)이 구비되고, 외벽(351)과 일체로 제작된 기둥 받침대(354) 또한 일측 또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판재(355)가 안착되는 제2 안착턱(354b)이 구비된다. 또한 기둥 받침대(354)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기둥(32)의 하단부가 삽입된 후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부로 함몰된 기둥 받침홈(354a)이 마련되어 있다.
한편, 기둥(32)은 기둥 받침홈(354a)에 삽입된 상태에서 기둥 받침홈(354a)의 하부에서 상부로 결합되는 고정피스(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기둥 받침대(354)에 고정된다.
그리고 한옥 구조물을 구성하는 지붕(31), 기둥(32), 공포(控包)(33), 보(34), 기단(35)의 구조적인 차이점을 제외한 종신(36) 및 당목(37)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타종용 모형종(10)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종신(36) 및 당목(37)의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1을 통해 설명한 내용으로 대신하기로 한다.
종신(36)은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종뉴(361)가 구비되고, 고정볼트(b)와 너트(n)를 통해 종뉴(361)가 달기고리(39)에 체결되어 보(34)에 결합된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달기고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13 및 도 18을 참조하면, 종신(36)은 상부에 볼트(b)가 관통 결합되는 종뉴(361)가 구비되고, 종뉴(361)는 고정볼트(b)와 너트(n)를 통해 달기고리(39)에 결합된다. 물론, 본 발명은 고정볼트(b) 대신에 전용핀을 사용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달기고리(39)는 도 18과 같이, 상부와 하부에 각각 'ㄷ'자 형상의 결합부(391a, 391b)를 구비하고, 하부 결합부(391a)에는 종뉴(361)의 일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볼트(b)와 너트(n)에 의해 체결된다. 이에 따라 종신(36)은 하부 결합부(391a) 내에서 고정볼트(b)를 축으로 당목(37)이 진행하는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그리고,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달기고리(39)의 상부 결합부(391b)에는 보(34)가 삽입된 상태에서 보(34)의 상부를 감싸 보(37)가 상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덮개(392)가 결합된다. 덮개(392)는 보(37)의 상부를 덮은 상태에서 양측부가 고정피스(393)를 통해 각각 달기고리(39)의 상부 결합부(391b)에 각각 고정된다.
따라서, 종신(36)은 당목(37)을 이용한 타종시 달기고리(39)에 의해 보(34)를 축으로 회전하지 않고 당목(37)의 진행방향으로만 회동함에 따라 종신(36)의 회전에 의해 당좌가 당목(37)의 타격 위치를 벗어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한옥 구조물 중 원목이나 집성목으로 제작되는 부재들에는 전통방식의 단청을 칠하거나, 또는 단청 모양의 비닐을 코팅하여 신비감과 고급스러움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30 : 타종용 모형종 11, 31 : 지붕
12, 32 : 기둥 13, 34 : 보
14 : 종신 15 : 받침대
15a : 울림통 15b : 기둥 받침홈
16, 26, 37 : 당목 17, 38 : 체인
33 : 공포 35 : 기단(받침대)
39, 131 : 달기고리 141 : 종뉴
161, 261 : 본체 162, 262 : 충격완화재
163, 164, 263, 264 : 제1 및 제2 고리
165, 166, 265, 266 : 제1 및 제2 당목띠
261a : 완충홈 351 : 외벽
351a : 제1 안착턱 352 : 계단
353 : 울림통 354 : 기둥 받침대
354a : 기둥 받침홈 354b : 제2 안착턱
355 : 판재 b : 고정볼트(전용핀)
n : 너트 391a : 하부 결합부
391b : 상부 결합부

Claims (8)

  1. 지붕과, 상단부가 상기 지붕에 결합된 기둥과, 상기 지붕의 저부에 결합되어 상기 지붕을 지탱하는 보와, 상기 기둥의 하단부가 지지되는 받침대를 포함하는 전통 구조물; 상기 보에 매달린 종신; 및 상기 보 또는 상기 지붕의 처마에 매달려 상기 종신을 타종하는 당목; 외벽과, 상기 외벽의 적어도 일측부에 설치된 계단과, 상기 외벽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종신에서 발생된 진동을 증폭시키는 울림통과, 상기 외벽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기둥의 하부가 지지되는 기둥 받침대와, 상기 울림통과 상기 기둥 받침대를 제외한 상기 외벽의 내측 상부를 덮는 복수개의 판재를 포함하는 받침대를 포함하되, 상기 받침대는 울림통을 구비하며, 상기 울림통은 상기 당목이 상기 종신을 타격할 때, 상기 종신에서 발생되는 소리의 전달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중심축이 상기 종신의 중심축과 일치되는 타종용 모형종에 있어서,
    상기 종신의 상부에 구비된 종뉴를 상기 보에 결합하는 달기고리와 덮개를 더 포함하되,
    상기 달기고리는 상부와 하부에 'ㄷ'자 형상의 하부 결합부와 상부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결합부는 상기 종뉴의 일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볼트 또는 전용핀에 의해 체결되고, 상기 상부 결합부에는 상기 보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보의 상부를 감싸고 양측부에 상기 덮개가 고정피스를 통해 결합됨에 따라 상기 종신은 상기 고정볼트 또는 전용핀을 축으로 상기 당목이 진행하는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종용 모형종.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를 구성하는 상기 외벽, 상기 계단, 상기 울림통 및 상기 기둥 받침대는 플라스틱 재질을 가공 성형하여 일체형으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종용 모형종.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통 구조물은 공포, 창방, 평팡, 귀한대, 추녀, 사래, 대공 및 서까래의 부재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부재들과, 상기 보 또는 상기 판재는 편백나무 원목 또는 집성목으로 이루어지거나, 단청 또는 단청 모양의 비닐이 코팅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종용 모형종.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은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판재가 안착되는 제1 안착턱이 구비되고,
    상기 기둥 받침대는 일측 또는 양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판재가 안착되는 제2 안착턱이 구비되되, 상부에 상기 기둥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기둥 받침홈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종용 모형종.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당목은,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부에 부착되어 상기 종신의 당좌를 타격하는 충격완화재;
    상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된 제1 및 제2 고리; 및
    상기 본체에는 전면부와 상기 제1 고리 사이, 후면부와 상기 제2 고리 사이의 중간에 구비된 제1 및 제2 당목띠; 를 포함하되,
    상기 제2 당목띠는 상기 제1 당목띠보다 1.5 내지 2배 정도로 무거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종용 모형종.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충격완화재가 부착되는 일측부에 내측으로 함몰된 완충홈이 형성되고,
    상기 충격완화재는 오목홈에 대응하는 부위가 외측으로 볼록한 볼록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종용 모형종.

  8. 삭제
KR1020150178894A 2015-12-15 2015-12-15 타종용 모형종 KR1016876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8894A KR101687638B1 (ko) 2015-12-15 2015-12-15 타종용 모형종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8894A KR101687638B1 (ko) 2015-12-15 2015-12-15 타종용 모형종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7638B1 true KR101687638B1 (ko) 2016-12-19

Family

ID=57735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8894A KR101687638B1 (ko) 2015-12-15 2015-12-15 타종용 모형종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7638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3284Y1 (ko) * 1990-01-30 1992-05-25 이강쇠 도어용 챠임벨
KR950031300U (ko) 1994-04-21 1995-11-22 조명호 장식용 모조범종의 자동타종장치
KR19980064856A (ko) 1998-03-19 1998-10-07 주태헌 자동식 타종장치
KR200227299Y1 (ko) * 2001-01-17 2001-06-15 주식회사비엔비무역 장식용 종각
KR200308380Y1 (ko) 2002-10-25 2003-03-28 주식회사 비엔비무역 모형종의 타종장치
KR20080095114A (ko) 2007-04-23 2008-10-28 김흥곤 자동 타종 장치
KR101555285B1 (ko) 2015-04-22 2015-09-24 안정훈 타종용 모형종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3284Y1 (ko) * 1990-01-30 1992-05-25 이강쇠 도어용 챠임벨
KR950031300U (ko) 1994-04-21 1995-11-22 조명호 장식용 모조범종의 자동타종장치
KR19980064856A (ko) 1998-03-19 1998-10-07 주태헌 자동식 타종장치
KR200227299Y1 (ko) * 2001-01-17 2001-06-15 주식회사비엔비무역 장식용 종각
KR200308380Y1 (ko) 2002-10-25 2003-03-28 주식회사 비엔비무역 모형종의 타종장치
KR20080095114A (ko) 2007-04-23 2008-10-28 김흥곤 자동 타종 장치
KR101555285B1 (ko) 2015-04-22 2015-09-24 안정훈 타종용 모형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87170B2 (en) Percussion instrument
US9669323B2 (en) Children's toy
Reznikoff On the sound related to painted caves and rocks
JP5952940B2 (ja) 音色変更された音楽用ドラムヘッド
KR101687638B1 (ko) 타종용 모형종
Ling Stucco decoration in pre-augustan Italy
KR101555285B1 (ko) 타종용 모형종
JP5294106B2 (ja) りん
US312420A (en) Toy block
Mols Mamluk metalwork fittings in their artistic and architectural context
JP3170914U (ja) 墓所用仏鈴
JP3173661U (ja) ショーケース楽器
KR20240029984A (ko) 오르골 장치
KR102474430B1 (ko) 목탁소리가 나는 소원성취 모자
JP7054080B2 (ja) 三味線
Spink Ajanta: The arrival of the uninvited
Oswalt Inanimate imitatives in Pomo
JPS6013507Y2 (ja) ノツカ−玩具
JP3142801U (ja) 小型門松
Tao Carl Craig: Party/After-Party
JP3235797U (ja)
KR20130054756A (ko) 장식용 액자
Lautier The West Rose Window of the Cathedral of Chartres
JP3222021U (ja) 花立て
Sketck survey with the feelings of artists the landscape around us, we we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