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6710B1 - Cooperating Passenger transport and escalators automatic operation system - Google Patents

Cooperating Passenger transport and escalators automatic opera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6710B1
KR101686710B1 KR1020140147161A KR20140147161A KR101686710B1 KR 101686710 B1 KR101686710 B1 KR 101686710B1 KR 1020140147161 A KR1020140147161 A KR 1020140147161A KR 20140147161 A KR20140147161 A KR 20140147161A KR 101686710 B1 KR101686710 B1 KR 101686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scalator
passenger
transportation means
passenger transportation
arriv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71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49693A (en
Inventor
김동수
주현수
Original Assignee
한국공항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공항공사 filed Critical 한국공항공사
Priority to KR1020140147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6710B1/en
Publication of KR20160049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969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6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67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5/00Control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Landscapes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승객운송수단과 연동하는 에스컬레이터 자동운전 시스템이 개시된다. 승객운송수단의 도착 예정시간, 도착시간, 도어개방, 도어닫힘, 도착유무, 여객하차, 기차 출발 신호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송신하는 철도운행 정보부, 철도운행 정보부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며, 에스컬레이터를 제어하는 감시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평상시에는 에스컬레이터 양방향 운전을 하고 기차가 도착하는 시간, 여객이 하차를 종료하여 문을 닫는 시간 이후에는, 에스컬레이터 전부를 하차하는 방향으로 전환하여 불필요하게 사용되는 에스컬레이터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An escalator automatic operation system interlocked with passenger transportation means is disclosed. A railroad operation information section for transmitting at least one of information on scheduled arrival time and arrival time of the passenger transportation means, door opening, door closing, arrival and departure, passenger departure and train departure signal, information on the escalator And a monitoring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monitoring unit. This allows the escalator to be used in an unnecessary manner by effectively switching the direction of descending the entire escalator after the time when the escalator is normally operated and the time when the train arrives and the time when the passenger finishes getting off and the door is closed.

Description

승객운송수단과 연동하는 에스컬레이터 자동운전 시스템{Cooperating Passenger transport and escalators automatic operation system}[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scalator automatic operation system linked with passenger transportation means,

본 발명은 승객운송수단과 연동하는 에스컬레이터 자동운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에스컬레이터의 운행방향을 열차 또는 항공기가 도착하고 출발하는 신호와 연동하여 에스컬레이터의 운행 방향을 자동으로 상, 하향운행 방향을 설정하여 여객의 이동효율을 향상시키는 승객운송수단과 연동하는 에스컬레이터 자동운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scalator automatic operation system interlocked with a passenger transporting mean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tomatic escalator operating system in which an escalator is operated in an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 To an escalator automatic operation system interlocked with a passenger transportation means for improving the travel efficiency of a passenger.

에스컬레이터의 기차를 승차하는 방향은 여객이 분산 이용하여 적은 수의 이용객이 지속적으로 이용하는 반면 기차를 하차하는 방향은 기차가 도착한 후 한꺼번에 하차하므로 이용부하가 높고 탑승 입구 쪽이 혼잡하여, 넘어져 다치는 사고, 여객 이동시간의 지연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The direction of getting on the train of the escalator is distributed by the passengers so that a small number of passengers continue to use the train while the train departs at the same time after the train arrives. There is a problem such as a delay in passenger moving time.

따라서, 상하 운전방향이 고정된 운영방식을 여객이 하차시에는 두 에스컬레이터 같은 하차방향으로 운전하여 장비 운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치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에스컬레이터에 대해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3-054864호(2003.02.26.)에 관련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device that can improve the operation efficiency of the equipment by operating the passenger operating in the up /
On the other hand, the escalator is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3-054864 (Feb. 26, 2003).

본 발명의 목적은 평상시에는 에스컬레이터 양방향 운전을 하고 기차가 도착하는 시간, 여객이 하차를 종료하여 문을 닫는 시간 이후에는, 에스컬레이터 전부를 하차하는 방향으로 전환하여 불필요하게 사용되는 에스컬레이터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승객운송수단과 연동하는 에스컬레이터 자동운전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scalator that can be used in a bidirectional operation of an escalator at normal times and after a time when a train arrives and a passenger closes a door by closing the door, And an escalator automatic operation system interlocked with the passenger transportation mean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에스컬레이터 주변부에 안내 모니터가 설치 됨으로써, 기차도착, 도어 개폐유무, 도착시간 등을 여객에게 실시간 송출하도록 하여, 여객의 이동에 보다 편리함을 줄 수 있는 승객운송수단과 연동하는 에스컬레이터 자동운전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uide monitor in the periphery of an escalator for realizing the arrival of a train, the opening and closing of a door, the arrival time and the like to a passenger in real time, thereby interlocking with a passenger transportation means So as to provide an escalator automatic operation system.

본 발명에 따른 승객운송수단과 연동하는 에스컬레이터 자동운전 시스템을 설명한다. 승객운송수단운행과 연동하는 에스컬레이터 자동운전 시스템은 승객운송수단의 도착 예정시간, 도착시간, 도어개방, 도어닫힘, 도착유무, 여객하차, 출발 신호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송신하는 운행 정보부, 운행 정보부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며, 에스컬레이터를 제어하는 감시제어부를 포함하며, 승객운송수단이 타역으로 출발하기 위하여, 도어가 닫힐 경우, 감시제어부는 운행 정보부로부터 도어닫힘 신호를 수신하여, 에스컬레이터를 승객운송수단을 탑승하기 위한 방향을 정지시키며, 하차한 여객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에스컬레이터를 역회전 운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n escalator automatic operation system interlocked with the passenger transportation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n escalator automatic operation system interlocked with a passenger transportation means operation includes an operation information section for transmitting at least one of information on expected arrival time, arrival time, door open, door close, arrival, passenger departure, departure signal of passenger transportation means, And a monitoring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escalator. When the door is closed so that the passenger transportation means starts to the other station, the monitoring control unit receives the door closing signal from the driving information unit and transmits the escalator to the passenger transportation means The direction in which the passengers get off is stopped, and the escalator is oper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assengers get off.

승객운송수단 주변부에는 카메라가 구비되며, 카메라는 CCTV일 수 있으며, 승객운송수단의 운행상태, 승객운송수단의 도착유무, 도어개방, 도어닫힘, 여객하차등을 촬영할 수 있다. 에스컬레이터 주변부의 카메라로부터 촬영한 화면을 표출하는 안내모니터는 도어 개폐상황, 승객운송수단의 진입전 시간, 도착유무, 도어개방, 여객 하차, 도어 닫힘, 승객운송수단출발시간, 에스컬레이터 탑승 대기의 안내글자를 표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 camera is provided on the periphery of the passenger transportation means, and the camera can be a CCTV, and can photograph the operation state of the passenger transportation means, the arrival of the passenger transportation means, the door opening, the door closing, and the passenger departure. A guide monitor for displaying a screen photographed by a camera on the periphery of an escalator is a guidance monitor for displaying a door opening / closing situation, a time before entry of a passenger transportation means, a presence / absence of arrival, door opening, passenger departure, door closing, departure time of a passenger transportation means, . ≪ / RTI >

또한, 승객운송수단에 설치되어, 승객운송수단의 운행상태인 철도역사 진입전 시간, 도착유무, 도어개방, 여객 하차, 도어 닫힘, 기차 출발상태 신호를 송출하는 무선통신장치가 승객운송수단에 설치 될 수 있으며, 무선통신장치로부터 신호를 전송 받는 수신안테나는 에스컬레이터 측에 설치되며, 수신 받은 승객운송수단의 운행상태를 감시제어부와 연동하여 에스컬레이터를 구동시킬 수 있다.Furthe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hich is provided in the passenger transportation means and transmits a time before the entry of the railroad history, a state of arrival, door opening, passenger departure, door closing, A receiving antenna for receiving a signal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escalator and the operation state of the received passenger transportation means can be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the monitoring and control unit to drive the escalator.

에스컬레이터의 주변부에는 리모콘 신호 수신장치가 구비될 수 있으며, 리모콘 수신장치는 에스컬레이터 정지, 상향운전, 하향운전등을 수동으로 제어하도록 구성이 가능하다. A remote control signal receiving device may be provided at the periphery of the escalator, and the remote control receiving device may be configured to manually control the escalator stop, the upward operation, and the downward operation.

또한, 에스컬레이터의 상부 혹은 하부의 입구에 이용자 진입차단장치가 구비되어, 에스컬레이터가 상향운전을 정지할 때, 이용자 진입차단장치가 하부 입구를 차단시키고, 상향 운전하던 에스컬레이터가 하향운전하기 위해 가동을 중지할 때 이용자 진입차단장치가 상부 입구를 차단 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user entry blocking device is provided at the entrance of the upper or lower part of the escalator so that when the escalator stops the upward operation, the user entrance blocking device blocks the lower entrance and the escalator that is operating in the upward direction stops the operation The user entry blocking device may be configured to block the top entrance.

한편, 에스컬레이터의 상부 혹은 하부의 입구에 조명형태의 에스컬레이터의 운전방향을 나타내기 위한 운행방향표시등이 구비될 수 있으며, 운행방향 표시등은 에스컬레이터와 연동하여 에스컬레이터의 운행방향에 대응하여, 점등되도록 구성이 가능하다. A traveling direction indicator for indicating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escalator in the form of an illumination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or lower entrance of the escalator, and the traveling direction indicator may be configured to be turned on in association with the escalator in association with the escalator It is possible.

여기에서의 승객운송수단은 기차, 지하철, 항공기, 선박 일 수 있으며, 항공기일 시, 항공기의 운항스케줄이 시스템으로 저장되고 실시간으로 갱신되어 최신정보를 수신하는 항공기 운항안내 운항정보는 감시제어부와 연동하여, 항공기 도착시 에스컬레이터의 운행방향을 여객의 하기방향으로 자동전환하고 여객의 하기가 종료된 후에는 탑승방향으로 전환하도록 구성이 가능하다.Here, the passenger transportation means may be a train, a subway, an airplane, a ship, and the flight schedule of the aircraft is stored in the system and updated in real time to receive the latest information.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escalator is automatically switched to the direction of the passenger when the aircraft arrives and the direction of the passenger is switched to the direction of boarding after the completion of the passenger's operation.

이는, 평상시에는 에스컬레이터 양방향 운전을 하고 기차가 도착하는 시간, 여객이 하차를 종료하여 문을 닫는 시간 이후에는, 에스컬레이터 전부를 하차하는 방향으로 전환하여 불필요하게 사용되는 에스컬레이터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This allows the escalator to be used in an unnecessary manner by effectively switching the direction of descending the entire escalator after the time when the escalator is normally operated and the time when the train arrives and the time when the passenger finishes getting off and the door is closed.

본 발명에 따르면, 평상시에는 에스컬레이터 양방향 운전을 하고 기차가 도착하는 시간, 여객이 하차를 종료하여 문을 닫는 시간 이후에는, 에스컬레이터 전부를 하차하는 방향으로 전환하여 불필요하게 사용되는 에스컬레이터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utilize an escalator which is unnecessarily used by switching the direction of descending the entire escalator after a time when the escalator is normally operated and the time when the train arrives and the time when the passenger finishes getting off and the door is closed have.

또한, 에스컬레이터 주변부에 안내 모니터가 설치 됨으로써, 기차도착, 도어 개폐유무, 도착시간 등을 여객에게 실시간 송출하도록 하여, 여객의 이동에 보다 편리함을 줄 수 있다.
In addition, by providing a guide monitor in the periphery of the escalator, the arrival of a train, the opening / closing of a door, the arrival time, and the like can be transmitted to the passenger in real time.

도 1은 철도운행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2는 승객운송수단과 연동하는 에스컬레이터 자동운전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3은 스크린도어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4는 운행 정보부과 에스컬레이터 감시제어부, 스크린 도어 감시제어부가 연동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diagram of a railway operating system.
2 is a view of an escalator automatic operation system interlocked with passenger transportation means.
3 is a view of a screen door system.
4 is a view showing that the travel information part, the escalator monitoring control part and the screen door monitoring control part are interlocked.

도 1은 철도운행 정보부의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철도역사(10)에 진입하는 기차(20)는 철도운행 정보부(19)에 의해 운행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다.FIG. 1 is a view of a railroad operation information section. FIG. Referring to FIG. First, the train 20 entering the railroad history 10 can monitor the running state in real time by the railroad driving information unit 19. [

철도운행 정보부(19)은 각 전체 운행 노선에 대해 전체 기차(20)의 운행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 제어 및 정보의 통신이 가능하며, 철도역사(10)로 진입하는 기차(20)의 일정시간 전에 에스컬레이터 감시제어부(39)로 정보제공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railroad operation information section 19 is capable of monitoring, controlling, and communicating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state of the entire train 20 in real time for each entire operation route, The escalator monitoring and control unit 39 can be provided with information beforehand.

예를들어, 기차가 타역으로 출발하기 위하여, 도어가 닫힐 경우, 감시제어부(39)는 철도운행 정보부(19)로부터 도어닫힘 신호를 수신하여, 기차를 탑승하기 위한 방향의 에스컬레이터를 정지시키고, 하차한 여객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에스컬레이터가 역회전 운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door is closed so that the train can start to the other station, the monitoring control unit 39 receives the door closing signal from the railroad driving information unit 19, stops the escalator in the direction for boarding the train, The escalator can be configured to operate in the reverse direction in the direction in which one passenger moves.

도 2는 승객운송수단과 연동하는 에스컬레이터 자동운전 시스템의 도면이며, 도 3은 스크린도어 시스템의 도면이며, 도 4는 철도운행 정보부와 에스컬레이터 감시제어부, 스크린도어 감시제어부가 연동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FIG. 3 is a view of a screen door system, and FIG. 4 is a view showing that a railway driving information section, an escalator monitoring control section, and a screen door monitoring control section are interlocked. Referring to FIG.

먼저, 철도역사(10)에는 기차(20)에 탑승하기 위한 층과 탑승수속을 위한 층이 다른 층으로 구분될 수 있다. 기차 탑승층과 탑승 수속층 간에 여객 이동을 위하여 계단 외에 2대 이상의 에스컬레이터(30)가 인접하여 설치되며, 운행방향은 여객 동선을 위하여 상하로 구분하여, 승차용 에스컬레이터(31), 하차용 에스컬레이터(32)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에서의 에스컬레이터(30)는 운행방향을 다르게 구동할 수 있다.First, in the railroad history 10, a layer for boarding the train 20 and a layer for boarding can be divided into different layers. Two or more escalators 30 are installed adjacent to the stairs for the passenger movement between the train boarding layer and the check-in procedure layer, and the direction of travel is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sections for the passenger's moving line, and the escalator 31 for the passenger and the escalator 32 may be provided. The escalator 30 here can drive different driving directions.

만약의 경우, 기차(20)에 승차하기 위한 쪽의 승차용 에스컬레이터(31)는 시간대와 관계없이 기차 운행시간 내내 적은 수의 이용자가 이용되는 반면에, 기차에서 하차한 여객의 이동방향의 하차용 에스컬레이터(32)는 기차가 도착한 후 일시에 이용객이 몰리면서 에스컬레이터 입구는 이용객이 많게 되면, 승차용 에스컬레이터(31)는 하차용 에스컬레이터의 이동방향과 동일하게 하기 위하여, 이동객이 내린 후 역회전 구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escalator 31 for the passenger on the side of the train 20 will use a small number of passengers during the train operating time, regardless of the time zone. On the other hand, The escalator 32 is moved in the reverse direction after the passenger is lowered in order to make the escalator for the passenger 31 equal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escalator for escape when the passengers are driven at the moment of arrival of the train, .

철도역사(10)의 구조에 따라 에스컬레이터(30)가 하향 방향이나, 상향 방향으로 구동이 가능하다.The escalator 30 can be driven in the downward direction or in the upward direction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railroad history 10.

한편, 기차 탑승층에는 기차의 운행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기 위한 CCTV카메라(11)가 설치될 수 있다. 카메라(11)는 기차(20)의 도어(22) 또는 스크린도어(25)가 열리고 닫히는 상태를 잘 확인할 수 있는 곳에 설치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CCTV camera 11 for confirming the running state of the train in real time can be installed on the train boarding floor. The camera 11 can be installed at a place where the door 22 or the screen door 25 of the train 20 can be clearly seen in the opened and closed state.

CCTV카메라(11)에서 촬영한 화면은 탑승 수속층의 에스컬레이터(30) 진입구 일면에 설치한 안내 모니터(12)에 실시간 표출이 가능하다.The screen photographed by the CCTV camera 11 can be displayed in real time on the guidance monitor 12 provided on one side of the entrance of the escalator 30 of the check-in procedure layer.

안내 모니터(12)에는 철도운행 정보부(19)로부터 전송받은 기차 도착 예정시간, 예를 들면 도착 2분전, 1분전, 도착유무, 도착 예정시간, 스크린 도어(25) 개방, 기차도어(22) 개방, 여객 하차, 스크린 도어(25) 닫힘, 기차도어(22) 닫힘, 기차 출발 등의 기차 운행상태를 탑승층 상태 화면과 탑승대기의 안내글과 함께 표시될 수 있다.  The guide monitor 12 displays a train arrival scheduled time, for example, two minutes before arrival, one minute before arrival, presence / absence of arrival, scheduled arrival time, opening of the screen door 25, opening of the train door 22 , The passenger departure, the screen door 25 closing, the train door 22 closing, the train departure, etc., can be displayed together with the boarding status screen and the announcement of waiting for boarding.

또한 철도역사(10)에 도착한 기차(20)는 철도역사(10)에 설치한 수신안테나(23)와 기차(10)에 설치된 무선통신장치(21)로도 기차 도착 예정시간, 도착유무, 스크린 도어(25) 개방, 기차도어(22) 개방, 여객하차, 스크린 도어(25) 닫힘, 기차도어(22) 닫힘, 기차 출발 등의 기차 운행상태를 에스컬레이터 감시제어부(39) 혹은 스크린 도어 감시제어부(29)로 신호를 전송하여 탑승층 에스컬레이터 입구에 설치된 안내모니터(12)에 표시되도록 구성이 가능하다.The train 20 arriving at the railroad history 10 can also receive the train arrival expectation time, the arrival date and the arrival time of the train, the radio communication device 21 installed in the train 10, The escalator monitoring control unit 39 or the screen door surveillance control unit 29 or the escalator monitoring control unit 39 or the escalator monitoring control unit 39, ) To be displayed on the guidance monitor 12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boarding-floor escalator.

탑승층의 승차용 에스컬레이터(31) 진입구에 설치된 모니터(12)는 에스컬레이터(30)를 탑승하기 위한 이용객의 시야에 가장 잘 들어오는 장소에 설치할 수 있다.The monitor 12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escalator 31 for boarding the passenger compartment can be installed in the place that best comes into view of the passenger for boarding the escalator 30. [

기차(20) 탑승용인 승차용 에스컬레이터(31)는, 철도운행 정보부(19), 기차(20)의 무선통신장치(21), 에스컬레이터 감시제어부(39), 스크린 도어 감시제어부(29)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부터 기차의 운행상태를 전송받아 자동으로 에스컬레이터(30)의 운전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The escalator 31 for boarding the train 20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railroad driving information section 19, th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21 of the train 20, the escalator monitoring control section 39 and the screen door monitoring control section 29 From the above,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control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escalator 30 by receiving the driving state of the train.

에스컬레이터(30)는 양방향 운전을 하고 기차가 도착하는 시간, 여객이 하차를 종료하여 도어 닫는 시간 이후에는, 승객이 출구측으로 나가는 방향인 에스컬레이터(30) 전부를 하차하는 방향으로 전환하여 불필요하게 사용되는 에스컬레이터(30)를 줄이도록 구성이 가능하다.The escalator 30 is used in bidirectional operation and is switched to a direction in which the passenger departs the escalator 30, which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passenger exits to the exit side, after unnecessary use The escalator 30 can be configured to be shortened.

예를들어, 승차용 에스컬레이터(31)를 정지하는 시간은 기차(20)가 도착한 후 여객이 다 내리고 스크린 도어(25), 기차도어(22)가 닫히는 순간에 운행을 정지하고 하차하는 방향으로 역회전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time for stopping the riding escalator 31 is stopped when the passenger is completely exhausted after the arrival of the train 20, and when the screen door 25 and the train door 22 are closed, As shown in FIG.

에스컬레이터(30)는 내부에 인버터를 활용하여 서서히 감속 후 정지하도록 구성 가능하며, 완전한 정지 후 역회전 가동되도록 구성 가능하다.The escalator 30 can be configured to stop after a gradual deceleration using an inverter in the inside thereof, and to be configured so as to be operated in a reverse rotation after a complete stop.

또한, 기차(20)에 기차운행상태 무선통신장치(21)가 구비되어, 기차의 운행상태인 철도역사 진입전 시간, 도착유무, 도어 개방, 여객 하차, 도어 닫힘, 기차 출발상태 신호를 기차운행상태 수신안테나(23)로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 가능하다. 기차운행상태 수신안테나(23)는 에스컬레이터 측에 설치되며, 수신 받은 기차의 운행상태를 에스컬레이터 감시제어부(39)와 연동하여 에스컬레이터(30)를 구동하도록 구성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train 20 is provided with a radio communication device 21 in a state of train operation, so that the time before arrival of the railroad history, the arrival state of the train, the door opening, the passenger departure, the door closing, And to transmit the signal to the state receiving antenna 23. [ The train operating state receiving antenna 23 is provided on the escalator side and can be configured to drive the escalator 30 by interlock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received train with the escalator monitoring control unit 39. [

한편, 에스컬레이터의 정지, 역가동은 에스컬레이터 감시제어부(39)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가 가능하며, 에스컬레이터(30) 일측에 리모콘용 수신안테나(13)를 설치하고 에스컬레이터의 운전용 리모콘(14)으로 동작신호를 입력하여 에스컬레이터(30)를 정지 및 상향, 하향의 역회전 운전을 하도록 수동 조작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the stop and reverse operation of the escalator can be automatically controlled by the escalator monitoring and control unit 39, and the remote control receiver antenna 13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escalator 30 and operated by the remote controller for operation 14 of the escalator It is also possible to manually input the signal so as to stop the escalator 30 and operate it so as to perform upside downward reverse rotation operation.

또한, 철도역사(10)에 배치된 스크린 도어(25)는 스크린 도어 감시 제어부(29)에 의하여, 스크린 도어(25)의 개폐유무에 따라 에스컬레이터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The screen door 25 disposed in the railroad track 10 can control the driving of the escalator depending on whether the screen door 25 is open or closed by the screen do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unit 29. [

스크린 도어 감시 제어부(29)는 에스컬레이터 측에 설치된, 기차운행상태 수신안테나(23)로부터 수신 받은 기차의 운행상태와 연동하여 스크린 도어(25)를 구동하도록 구성이 가능하다.The screen door monitoring and control unit 29 can be configured to drive the screen door 25 in conjunction with the running state of the train received from the train running state receiving antenna 23 provided on the escalator side.

기차의 운행상태인 철도역사 진입시간, 도착유무, 기차 출발상태를 기차운행상태 수신안테나(23)로부터 수신 받아 스크린 도어(25)를 제어할 수 있다.A train history entry time, arrival / absence of arrival, and a train departure state, which are the operating states of the train, from the train running state receiving antenna 23 and can control the screen door 25.

또한, 스크린 도어 감시 제어부(29)는 운행정보부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스크린 도어를 구동하는 구성도 가능하다.The screen door monitoring and control unit 29 may receive information from the driving information unit and drive the screen door.

한편, 에스컬레이터(30) 상, 하부입구에 이용자 진입 차단장치(33)를 설치하여 에스컬레이터 정지신호를 받게 되면, 여객의 진입을 차단하도록 차단장치가 작동하여 여객의 진입을 막도록 구성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entrance blocking device 33 is installed on the lower entrance of the escalator 30 to receive the escalator stop signal, the blocking device is operated to block entry of passengers, thereby preventing entry of passengers.

이용자 진입 차단장치(33)는 에스컬레이터의 역회전이 시작되고 일정시간 후, 예를 들어 3초 후, 탑승층에서 진입한 여객이 빠져 나갈 수 있도록 차단위치에서 개방위치로 자동 전환되며, 이용객이 다 빠져나갔을 경우, 차단위치로 변경 가능하다. 일정시간이 지나면 다시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역회전한 에스컬레이터의 이용이 종료되면 에스컬레이터는 다시 원래 운행방향으로 구동가능하다. The user entrance blocking device 33 is automatically switched from the blocking position to the open position so that the passenger entering the boarding floor can escape after a certain time, for example, 3 seconds after the start of the reverse rotation of the escalator, If it exits, it can be changed to the blocking position. And may be configured to be opened again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When the use of the reverse-rotated escalator is ended, the escalator can be driven again in the original driving direction.

예를들어, 에스컬레이터가 상향운전을 정지할 때 이용자 진입 차단장치는 하부 입구를 차단시키고, 상향 운전하던 에스컬레이터가 하향운전하기 위해 가동을 중지할 때 이용자 진입 차단장치는 상부 입구 측을 차단 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escalator stops the upward operation, the user entrance blocking device blocks the lower entrance, and when the escalator that is operating in the upward direction stops the operation for the downward operation, the user entrance blocking device is configured to block the upper entrance side .

여기에서, 운행방향이 원래상태로 구동될시, 에스컬레이터가 서서히 감속하다 정지된 후, 역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으며, 역방향으로 구동되게 위하여, 정지할 시, 정지신호 전달과 동시에 에스컬레이터 입구측에 설치된 이용자 진입 차단장치(33)가 차단되어, 여객을 진입 못하도록 구성이 가능하다.Here, when the direction of travel is the original state, the escalator can be driven in the reverse direction after the speed is gradually decelerated and stopped. In order to be driven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entry blocking device 33 is shut off and the passenger can not enter.

정 역회전의 가동 중지 및 역회전 운전신호는 에스컬레이터 운전감시제어장치(39)에서 자동으로 실시할 수 있으며, 리모콘(14) 신호 수신에 의해서 작동될 수도 있다. The operation stop and reverse rotation operation signal for the forward rotation can be automatically executed by the escalator operation monitoring control device 39 or may be activated by receiving the remote controller 14 signal.

또한, 에스컬레이터(30) 상, 하부 입구에 에스컬레이터 운전방향을 불빛에 의한 발광되는 운행방향표시등(34)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on the escalator 30, a direction indicator 34 for emitting the escalator in the escape direction by light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entrance.

운행방향표시등(34)은 에스컬레이터의 상, 하부 입구에 구비되며, 에스컬레이터의 구동방향에 대응되게, 에스컬레이터의 운전방향 형태의 화살표 표시등이 발광되도록 구성이 가능하다. The travel direction indicator 34 is provided at the upper and lower entrance of the escalator and can be configured to emit an arrow indicator in the form of the direction of operation of the escalator so as to correspond to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escalator.

하차용 에스컬레이터, 승차용 에스컬레이터 상, 하부 입구에 상승, 하강의 2개 방향의 화살표 전등형태의 표시등이 구비되어, 에스컬레이터 운행방향과 함께 연동하여 점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n escalator for getting off, an escalator for getting on, and an indicator light in the form of an arrow lamp in two directions of ascending and descending on the lower entrance, and may be configured to be turned on in conjunction with the escalator traveling direction.

방향표시등은 에스컬레이터 진입발판이나 건축바닥 또는 에스컬레이터 입구의 별도의 장치 또는 천장에 고정하는 방식이든 위치와 방법은 현장에 따라 어떤 형태든 적용가능하며, 에스컬레이터 운행방향에 따라 자동으로 변경 점등될 수 있다. The direction indicator can be applied in any form depending on the location, whether it is an escalator footing, a building floor or a separate device at the entrance of the escalator or fixing it on the ceiling. It can be changed automatically according to the escalator direction.

승객운송수단은, 기차에만 한정하지 않으며, 기차, 지하철뿐만 아닌 항공기, 선박 등의 운송수단일 수 있으며, 승객운송수단은 에스컬레이터와 연계되어 에스컬레이터 방향을 자동으로 변환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The passenger transportation means is not limited to a train but may be a transportation means such as an aircraft or a ship as well as a train or a subway, and the passenger transportation means may be configured to automatically change the direction of the escalator in conjunction with the escalator.

일 실시예로서, 항공기가 주기하고 여객이 탑승 및 하기하는 공항터미널에 항공기 탑승용 게이트가 배치되고, 항공기는 탑승교로 터미널의 탑승용 게이트와 연결된다. 그리고 공항터미널에는 탑승 게이트와 연계되어 에스컬레이터가 배치될 수 있어서, 여객이 In one embodiment, an aircraft ride gate is located at an airport terminal where the aircraft is boarding and passengers, and the aircraft is connected to the boarding gate of the boarding bridge terminal. The escalator can be arranged at the airport terminal in connection with the boarding gate,

여기에서의, 에스컬레이터는 1대 이상 복수대로 설치 운영될 수 있다.Here, the escalator can be installed and operated in multiple units of one or more.

또한 공항터미널은 항공기의 운항스케쥴이 시스템으로 저장되고 실시간으로 갱신되어 최신정보가 공항 전체의 항공기운항안내시스템으로 송신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irport terminal can save the flight schedule of the aircraft as a system and update in real time, so that the latest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flight navigation system of the entire airport.

항공기운항시스템은 각 탑승 게이트마다 안내장치가 설치되어 항공기의 출발,도착 예정시간 및 운항편 등이 안내되도록 모니터에 출력 될 수 있다.The aircraft navigation system may be provided with a guide device for each boarding gate, and may be output to the monitor so as to guide the departure, arrival time, and flight of the aircraft.

항공기운항시스템과 연동한 감시 제어부는 항공기가 도착하는 시간에는 에스컬레이터를 여객이 내려 도착하는 방향으로 자동운전 할 수 있고, 하기가 완료되고 탑승시간대에는 자동으로 탑승하는 방향으로 전환하도록 구성이 가능하다.
The supervisory control unit linked with the aircraft operation system can automatically operate the escalator in the direction that the passenger arrives when the aircraft arrives and can be configured to switch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passenger completes the following and is automatically boarded at the time of boarding.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상술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사상은 상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hereto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ll of the equivalents or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철도역사 11: CCTV카메라
12: 안내 모니터 13: 리모콘 수신안테나
14: 에스컬레이터 운전용 리모콘 19: 철도운행 정보부
20: 기차 21: 무선통신장치
22: 기차 도어 23: 기차운행상태 수신안테나
25: 스크린 도어 29: 스크린도어 감시제어부
30: 에스컬레이터 31: 승차용 에스컬레이터
32: 하차용 에스컬레이터 33: 여객 진입차단장치
34: 운행방향 안내등 39: 에스컬레이터 감시제어부
10: Railroad History 11: CCTV Camera
12: Information monitor 13: Remote control receiver antenna
14: Remote controller for escalator operation 19: Railroad information department
20: train 21: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22: Train door 23: Train operating state Receiving antenna
25: Screen door 29: Screen door monitoring control part
30: Escalator 31: Escalator for riding
32: escalator for getting off 33: passenger entry blocking device
34: Guide to the direction of operation 39: Escalator monitoring control

Claims (9)

승객운송수단의 도착 예정시간, 도착시간, 도어개방, 도어닫힘, 도착유무, 여객하차, 승객운송수단 출발신호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행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운행 정보부;
상기 운행 정보부로부터 상기 운행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에스컬레이터를 제어하는 감시제어부;
상기 승객운송수단 주변부에 구비되는 카메라; 및
상기 에스컬레이터 주변부에 구비되며 상기 카메라로부터 촬영한 화면을 표출하는 안내모니터;
를 포함하고,
상기 에스컬레이터는 여객의 동선에 따라 상기 승객운송수단에 탑승하기 위한 승차용 에스컬레이터와, 상기 승객운송수단에서 하차하기 위한 하차용 에스컬레이터를 포함하여 복수개가 설치되고,
상기 감시제어부는,
상기 승객운송수단의 도착 시 상기 승차용 에스컬레이터를 상기 하차용 에스컬레이터와 동일 방향으로 구동되도록 운전하고,
상기 승객운송수단의 상기 운행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승차용 에스컬레이터를 상기 여객이 상기 승객운송수단에 탑승하기 위한 방향으로 운전하고, 상기 여객은 상기 모니터를 통해 상기 승객운송수단이 출발하는 것을 보고 상기 승차용 에스컬레이터를 타도록 하고,
상기 승객운송수단의 운행이 정지되면 상기 승차용 에스컬레이터를 정지시키고 역회전 운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운송수단과 연동하는 에스컬레이터 자동운전 시스템.
A driving information section for receiving at least one driving state information of a scheduled arrival time, an arrival time, a door opening, a door closing, a arrival / no-arrival, a passenger departure, and a passenger transportation start signal of the passenger transportation means;
A monitoring control unit for receiving the driving state information from the driving information unit and controlling the escalator;
A camera provided at a periphery of the passenger transportation means; And
A guide monitor provided at a periphery of the escalator for displaying a screen shot by the camera;
Lt; / RTI >
Wherein the escalato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escalators for riding on the passenger transportation means along a line of a passenger and an escalator for getting off from the passenger transportation means,
The monitoring control unit,
The escalator for racing is driven so as to be driven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escalator for escape when the passenger transportation means arrives,
Wherein the passenger is operated in the direction for the passenger to ride on the passenger transportation means when the traveling state information of the passenger transportation means is received, and the passenger, when the passenger transportation means departs from the monitor, Ride escalator,
Wherein when the passenger transportation means stops operating, the escalator is stopped and oper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CCTV이며, 상기 승객운송수단의 운행상태, 상기 승객운송수단의 도착유무, 도어개방, 도어닫힘, 여객하차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운송수단과 연동하는 에스컬레이터 자동운전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amera is a CCTV and photographs at least one of a running state of the passenger transportation means, a arrival of the passenger transportation means, a door opening, a door closing, and a passenger departure.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모니터는 상기 도어 개폐상황, 상기 승객운송수단의 진입전 시간, 도착유무, 도어개방, 여객 하차, 도어 닫힘, 승객운송수단출발시간, 에스컬레이터 탑승 대기의 안내글자를 실시간으로 표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운송수단과 연동하는 에스컬레이터 자동운전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uide monitor displays the guide letters of the door open / close status, the time before entering the passenger transportation means, the arrival / no-arrival, the door opening, the passenger departure, the door closing, the departure time of the passenger transportation means, Escalator automatic operation system interlocked with passenger transportation mea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객운송수단에 설치되어, 상기 승객운송수단의 운행상태인 철도역사 진입전 시간, 도착유무, 도어개방, 여객 하차, 도어 닫힘, 승객운송수단의 출발상태 신호를 송출하는 무선통신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무선통신장치로부터 신호를 전송 받는 수신안테나는 상기 에스컬레이터 측에 설치되며, 수신 받은 상기 승객운송수단의 운행상태를 상기 감시제어부와 연동하여 상기 에스컬레이터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운송수단과 연동하는 에스컬레이터 자동운전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nstalled in the passenger transportation means for transmitting a departure status signal of a time before entry into the railway station, a state of arrival, presence of a door, a passenger departure, a door close, and a passenger transportation means, Wherein the receiving antenna for receiving a signal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escalator and drives the escalator by interlock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received passenger transportation means with the monitoring control unit Escalator automatic operation system link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주변부에 설치되는 리모콘 신호 수신장치와 운전용 리모콘을 더 포함하며,
상기 리모콘 신호 수신장치와 상기 운전용 리모콘에 의하여 상기 에스컬레이터 정지, 상향운전, 하향운전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동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운송수단과 연동하는 에스컬레이터 자동운전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remote control signal receiving device provided at a peripheral portion of the escalator and a remote controller for operation,
Wherein at least one of the escalator stop, the upward operation, and the downward operation is manually controlled by the remote control signal receiving device and the operation remote controll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상부 입구 혹은 하부 입구에 이용자 진입차단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용자 진입차단장치는 상기 에스컬레이터가 상향운전을 정지할 때 상기 하부 입구를 차단시키고, 상향 운전하던 에스컬레이터가 하향운전하기 위해 가동을 중지할 때 상기 상부 입구 측을 차단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운송수단과 연동하는 에스컬레이터 자동운전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ser entrance blocking device blocks the lower inlet when the escalator stops the upward operation and controls the escalator when the escalator is operated for the downward operation The escalator automatic operation system interlocked with the passenger transportation mea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상부 입구 혹은 하부 입구에 전등형태의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운전방향을 나타내기 위한 운행방향표시등을 더 포함하며, 상기 운행방향 표시등은 상기 에스컬레이터와 연동하여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운행방향에 대응하여,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운송수단과 연동하는 에스컬레이터 자동운전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scalator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operation direction indicator for indicating the operation direction of the escalator in the form of a lamp at an upper entrance or a lower entrance of the escalator, And an escalator automatic operation system interlocked with the passenger transportation means.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40147161A 2014-10-28 2014-10-28 Cooperating Passenger transport and escalators automatic operation system KR1016867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7161A KR101686710B1 (en) 2014-10-28 2014-10-28 Cooperating Passenger transport and escalators automatic oper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7161A KR101686710B1 (en) 2014-10-28 2014-10-28 Cooperating Passenger transport and escalators automatic operat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9693A KR20160049693A (en) 2016-05-10
KR101686710B1 true KR101686710B1 (en) 2016-12-14

Family

ID=56020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7161A KR101686710B1 (en) 2014-10-28 2014-10-28 Cooperating Passenger transport and escalators automatic operat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671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84961A (en) * 2018-12-28 2019-03-19 苏州江南嘉捷电梯有限公司 A kind of escalator and automatically-controlled door linked system
KR102475327B1 (en) * 2022-01-06 2022-12-0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ticket wicket system with realtime variable gat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9336A (en) * 1999-07-09 2001-01-23 Hitachi Ltd Passenger conveyor device
JP2003054864A (en) * 2001-08-14 2003-02-26 Hitachi Ltd Control device of passenger conveyer
JP2004256187A (en) * 2003-02-24 2004-09-16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Operation controller for passenger conveyo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73407B2 (en) * 1997-10-06 2002-04-08 森尾電機株式会社 Escalator monitoring automatic controll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9336A (en) * 1999-07-09 2001-01-23 Hitachi Ltd Passenger conveyor device
JP2003054864A (en) * 2001-08-14 2003-02-26 Hitachi Ltd Control device of passenger conveyer
JP2004256187A (en) * 2003-02-24 2004-09-16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Operation controller for passenger convey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9693A (en) 2016-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6638B1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coordinate operation of vehicle doors of and corresponding platform guiding systems, especially platform doors
EP2437995B1 (en) Elevator system
JP6781284B2 (en) Elevator system
RU2013113625A (en) LIFT SYSTEM AND METHOD FOR FINDING SERVICE LIFTS IN RESPONSE TO EVERY RECOMMENDED CALL OF THE LIFT CABIN
JP6141035B2 (en) Train control system and automatic train operation device
US10577219B2 (en) Method, program and mobile device for controlling an elevator system
KR20240031430A (en) Autonomous transportation techniques
KR101686710B1 (en) Cooperating Passenger transport and escalators automatic operation system
CN106044419A (en) System and method for entering and coming out of elevator automatically
KR101957899B1 (en) Aerial cableway system
JP4934227B1 (en) Platform door device control system
KR100953067B1 (en) Method for controlling of subway door
CN111971246B (en) Cooperative operation system of elevator and autonomous driving vehicle
KR101897424B1 (en) Elevator device
WO2013092373A1 (en) Informing passengers of person-conveying device operation
US20190325548A1 (en) Unmanned aerial vehicle people detection and evacuation systems
CA3180813A1 (en) Cableway station having a safety barrier
KR102282909B1 (en) Bus buzzer remote system
CN111902357A (en) Cooperative operation system of elevator and autonomous traveling vehicle
KR101089819B1 (en) System for warning information of train driver to use wireless communication data
JP2009029422A (en) Platform door control device
JP2004224548A (en) Escalator system
KR102476748B1 (en) Screen door remain closing time and boarding information system using PI information
KR101915004B1 (en) Hall lantern capable of directly supplying common power and quickly grasping each arrival of plurality of elevators
JP6898578B2 (en) User detection device and elevating move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