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5327B1 - ticket wicket system with realtime variable gate - Google Patents

ticket wicket system with realtime variable ga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5327B1
KR102475327B1 KR1020220001982A KR20220001982A KR102475327B1 KR 102475327 B1 KR102475327 B1 KR 102475327B1 KR 1020220001982 A KR1020220001982 A KR 1020220001982A KR 20220001982 A KR20220001982 A KR 20220001982A KR 102475327 B1 KR102475327 B1 KR 102475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cket gate
platform
gate
camera
t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19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남성원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20001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532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5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53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2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 G07B15/04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comprising devices to free a barrier, turnstile, or the lik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2Surveillance or monitoring of activities, e.g. for recognising suspicious objects
    • G06V20/53Recognition of crowd images, e.g. recognition of crowd conges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72Classification, e.g. identif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al-time variable turnstile system. More specifically, by adjusting an entrance direction of a turnstile according to the number of passengers per traffic line in a sta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real-time variable turnstile system that not only reduces a degree of congestion and allows the passengers to move quickly, but can also reduce waste of energy.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ive is made of: a turnstile formed with a plurality of gates; and a controller that controls an entrance direction of the gate, wherein the controll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ntrance direction of each gate is adjusted according to a ratio of the passengers moving from a platform to the turnstile direction or from the outside to the turnstile direction.

Description

실시간 가변 개찰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ticket wicket system with realtime variable gate}Real-time variable ticket gate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ticket wicket system with realtime variable gate}

본 발명은 실시간 가변 개찰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역사에서 동선별 승객의 수에 따라 개찰구의 진입방향을 조절함으로써, 혼잡도를 줄여주어 신속하게 승객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에너지의 낭비를 줄여줄 수 있는 실시간 가변 개찰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al-time variable ticket gate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reduce congestion by adjusting the entry direction of a ticket gate according to the number of passengers by line in a station, thereby enabling passengers to move quickly. It relates to a real-time variable turnstile system that can reduce energy wast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도 1은 통상적인 지하철 등의 개찰구를 도시한 것으로서, 승객이 탑승을 위하여 들어가는 개찰구는 파란색으로, 승객이 나오는 개찰구는 빨간색으로 구분하여 승객들이 각각의 개찰구를 이용하게 된다.1 shows ticket gates of a typical subway, etc., the ticket gates through which passengers enter for boarding are blue, and the ticket gates from which passengers exit are colored red, so that passengers use each ticket gat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철도역 개찰구는 플랫폼 A, B에 있는 승객수에 상관없이 In-Out 방향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승객수에 따라 유동적으로 운영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conventional railway station ticket gate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cannot be operated flexibly according to the number of passengers because the in-out direction is determined regardless of the number of passengers on platforms A and B.

예를 들면, 플랫폼 A에 열차가 정차하여 많은 승객들이 하차하고, 플랫폼 B에는 열차가 없는 경우라면, 플랫폼 A에 하차한 승객들은, 최단거리 동선을 따라, 왼쪽에 있는 개찰구들을 통과하여 출구로 나가길 원하지만, 도 2와 같이 개찰구 방향이 고정되어 있으면, 이동 동선이 길어지고, 또한, 좌측 개찰구로 들어가서 플랫폼 B를 이용하려는 승객들의 동선과도 겹치는 현상이 발생하여 혼잡도가 증대된다.For example, if a train stops at platform A and many passengers get off, but there is no train at platform B, the passengers who get off at platform A must follow the shortest route and pass through the ticket gates on the left to exit. However, if the direction of the ticket gate is fixed as shown in FIG. 2, the movement line is lengthened, and also overlaps with the traffic line of passengers who enter the left ticket gate and use platform B, resulting in increased congestion.

그래서, 이용객들간에 동선이 겹치게 되면, 이동 시간이 어느 정도 길어지는지를 여객유동 해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비교하였다.(한국철도기술연구원에서 개발한 P_FLOW 라는 여객유동 해석 프로그램을 사용함)So, when the traffic lines overlap between users, how much longer the travel time is compared using a passenger flow analysis program (using a passenger flow analysis program called P_FLOW developed by the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도 3의 (a)모델은 개찰구 입출구를 엇갈림 방향으로 (b)모델은 우측 방향, (c)모델은 좌측방향으로 개찰구가 오픈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도 3에서 파란색 승객들은 아래쪽 입구 2군데에서 유입되어, 개찰구를 통과한 후, 위쪽 좌측 출구로 이동하고, 빨간색 승객들은 위쪽 입구 2군데에서 유입되어, 개찰구를 통과한 후, 아래쪽 우측 출구로 나가는 것으로 시뮬레이션 조건을 정하였다. It is assumed that the (a) model of FIG. 3 opens the ticket gate in the crosswise direction, the (b) model in the right direction, and the (c) model in the left direction. In FIG. 3, blue passengers flow in from two lower entrances, pass through ticket gates, and move to the upper left exit, and red passengers flow in from two upper entrances, pass through the ticket gates, and exit through the lower right exit. Simulation conditions were set.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5초 경과시에는 (a) (b) (c) 모델간에 여객 유동 분포에 큰 차이가 없지만, 개찰구에서 동선이 겹치는 시간대 이후로는, 모델별로 혼잡도가 확연하게 달라짐을 알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assenger flow distribution between (a) (b) (c) models after 5 seconds have elapsed, but after the time period when traffic lines overlap at the ticket gate, the degree of congestion varies significantly for each model. Able to know.

20초 경과 후의 그림들을 비교하면, (c) 모델에서는 대부분의 파란색 및 빨간색 승객들이 개찰구를 통과하여 각자의 출구쪽으로 이동하고 있지만, (b)모델에서는 파란색 및 빨간색 승객들이 개찰구를 통과하지 못한 사람들이 많음을 볼 수 있다. Comparing the pictures after 20 seconds, in (c) model, most of the blue and red passengers pass through the ticket gate and move toward their respective exits, but in (b) model, the blue and red passengers who did not pass through the ticket gate can see a lot

즉, 승객들 동선에 맞게 개찰구의 in-out 방향을 설정하는 것이 혼잡도를 줄이는 데에 큰 효과가 있음을 보여준다.In other words, it shows that setting the in-out direction of the ticket gate according to the flow of passengers has a great effect on reducing congestion.

한국등록특허 제10-1012737호(2011.01.27.등록)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012737 (registered on January 27, 2011)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각 동선에 따른 승객들의 수에 따라 개찰구의 진입방향을 조절하여 혼잡도를 줄이도록 하는 것으로서, 각 역에 설치되는 카메라를 통하여 각 플랫폼으로부터 개찰구로 진입하거나 외부에서 개찰구로 진입하는 승객을 확인할 때, 승객의 얼굴을 감지하도록 함으로써, 승객의 방향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실시간 가변 개찰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congestion by adjusting the entry direction of the ticket gate according to the number of passengers along each line, through cameras installed at each station. To provide a real-time variable ticket gate system capable of accurately checking the direction of a passenger by detecting a passenger's face when checking a passenger entering a ticket gate from each platform or entering the ticket gate from the outside.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열차가 도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카메라의 작동은 멈추고 개찰구의 방향을 기본 방향으로 설정하며, 열차가 도착한 상태에서만 카메라를 작동시켜 동선에 따른 승객의 수에 따라 개찰구의 진입방향을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에너지 낭비를 줄일 수 있는 실시간 가변 개찰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camera when the train has not arrived and set the direction of the ticket gate to the default direction, and operate the camera only when the train has arrived to enter the ticket gate according to the number of passengers along the route. It is to provide a real-time variable turnstile system that can reduce energy waste by adjusting the direction.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se problems;

다수개의 게이트가 형성되는 개찰구와, 상기 게이트의 진입방향을 제어하는 제어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기는 플랫폼에서 개찰구 방향으로 또는 외부에서 개찰구 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객의 비율에 따라 각 게이트의 진입방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consists of a ticket gate where a plurality of gates are formed and a controller that controls the entrance direction of the gate, and the controller adjusts the entry direction of each gate according to the ratio of passengers moving from the platform to the ticket gate or from the outside to the ticket gate. It is characterized by doing.

여기서, 외부에서 상기 개찰구 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객을 촬영하도록 개찰구 카메라가 상기 개찰구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고, 각 플랫폼에서 상기 개찰구 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객을 촬영하도록 플랫폼 카메라가 상기 개찰구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개찰구 카메라와 플랫폼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수신하여 상기 게이트의 진입방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a ticket gate camera is install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ticket gate to photograph passengers moving in the direction of the ticket gate from the outside, and a platform camera is install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ticket gate to photograph passengers moving in the direction of the ticket gate on each platform. ,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ler controls the entry direction of the gate by receiving images taken by the turnstile camera and the platform camera.

이때, 상기 제어기의 내부에는 수신한 영상을 분석하기 위한 영상분석모듈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영상분석모듈을 통하여 각 승객의 얼굴을 인식하여 승객의 이동방향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an image analysis module for analyzing the received image is further provided inside the controller, and the controller recognizes each passenger's face through the image analysis module to determine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passenger.

그리고, 상기 제어기는 일측 플랫폼에 열차가 도착할 경우, 해당 플랫폼에서 상기 개찰구로 이동하는 승객과 외부에서 개찰구로 진입하는 승객의 비에 대응되도록, 열차가 도착한 플랫폼과 인접한 게이트는 역사의 외부로 진출하도록 방향을 조절하고, 열차가 도착하지 않은 플랫폼과 인접한 게이트는 역사의 내부로 진입하도록 방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a train arrives at one platform, the controller controls the gate adjacent to the platform on which the train arrived to advance to the outside of the station, corresponding to the ratio of passengers moving to the ticket gate from the corresponding platform and passengers entering the ticket gate from the outside. The direction is adjusted, and the gate adjacent to the platform where the train has not arrive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rection is adjusted to enter the interior of the station.

여기서, 상기 제어기는 양측 플랫폼에 열차가 도착할 경우, 양측 플랫폼에서 상기 개찰구 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객과 외부에서 개찰구로 진입하는 승객의 비에 대응되도록, 양측 플랫폼과 인접한 게이트는 역사의 외부로 진출하도록 방향을 조절하고, 중심부의 게이트는 역사의 내부로 진입하도록 방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when a train arrives at both platforms, the controller directs the gates adjacent to both platforms to advance to the outside of the station so as to correspond to the ratio of passengers moving toward the ticket gate on both platforms and passengers entering the ticket gate from the outside. and the gate in the center adjusts the direction to enter the interior of the station.

또한, 각 역사에는 열차의 진입 및 진출을 감지하는 트리거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기는 트리거를 통하여 열차의 진입이 감지되면 열차가 진입하는 플랫폼을 촬영하는 상기 플랫폼 카메라 및 개찰구 카메라를 작동시킨 후, 승객의 비율에 따라 게이트의 방향을 조절하고, 열차가 역사에서 진출하고, 상기 플랫폼 카메라 및 개찰구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한 영상에서 승객의 얼굴이 인식되지 않으면 상기 플랫폼 카메라 및 개찰구 카메라의 전원을 차단한 후, 게이트의 방향을 기본 방향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each sta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trigger for detecting entry and exit of a train, and when the entry of a train is detected through the trigger, the controller operates the platform camera and ticket gate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platform on which the train enters, The direction of the gate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ratio of passengers, the train advances from the station, and if the passenger's face is not recognized in the image taken through the platform camera and the ticket gate camera, the platform camera and ticket gate camera are powered off. , characterized in that the direction of the gate is adjusted to the basic direction.

그리고, 전술한 실시간 가변 개찰구 시스템을 사용한 실시간 가변 개찰구 제어 방법은, 역사에 열차가 진입하는 것을 감지하는 열차 진입 감지 단계와, 동선별 승객의 비를 확인하는 혼잡도 확인 단계와, 상기 혼잡도 확인 단계에서 확인한 승객의 비에 대응되도록 개찰구의 게이트의 진입 방향을 조절하는 개찰구 조절 단계와, 열차가 역사에서 진출하는 것을 감지하는 열차 진출 감지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eal-time variable ticket gate control method using the real-time variable ticket gate system described above includes a train entry detection step of detecting the entry of a train into a station, a congestion check step of checking the ratio of passengers by line, and a congestion check step.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ticket control step of adjusting the entry direction of the gate of the ticket gate to correspond to the confirmed number of passengers, and a train entry detection step of detecting that a train is leaving the station.

여기서, 상기 열차 진입 감지 단계에서는 열차가 진입하는 플랫폼을 확인하고, 해당 플랫폼에 대응되는 플랫폼 카메라와 개찰구 카메라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in the train entry detection step, a platform to which the train enters is identified, and a platform camera and a ticket gate camera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platform are operated.

한편, 상기 혼잡도 확인 단계는 상기 플랫폼 카메라와 개찰구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여 승객의 얼굴 인식을 통하여 승객의 이동방향을 특정하여 플랫폼에서 개찰구 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객, 외부에서 개찰구 방향으로 진입하는 승객의 비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step of confirming the degree of congestion analyzes the images taken by the platform camera and the ticket gate camera and identifies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passenger through face recognition of the passenger, and passengers moving from the platform to the ticket gate direction and passengers entering the ticket gate direction from the outside. It is characterized by checking the ratio of

이때, 상기 열차 진출 감지 단계에서는 상기 플랫폼 카메라와 개찰구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한 영상에서 승객의 얼굴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 상기 개찰구의 진입 방향을 기본 설정 방향으로 조절하고, 상기 플랫폼 카메라와 개찰구 카메라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in the step of detecting train entry, if the passenger's face is not detected in the image captured through the platform camera and the ticket gate camera, the entering direction of the ticket gate is adjusted to a basic setting direction, and the information is supplied to the platform camera and ticket gate camera.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ower is cut off.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각 동선에 따른 승객들의 수에 따라 개찰구의 진입방향을 조절하여 혼잡도를 줄이도록 하는 것으로서, 각 역에 설치되는 카메라를 통하여 각 플랫폼으로부터 개찰구로 진입하거나 외부에서 개찰구로 진입하는 승객을 확인할 때, 승객의 얼굴을 감지하도록 함으로써, 승객의 방향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the congestion is reduced by adjusting the entrance direction of the ticket gate according to the number of passengers along each line, entering the ticket gate from each platform through cameras installed in each station or entering the ticket gate from the outside. When checking a passenger entering the , by detecting the passenger's face, there is an effect of accurately checking the direction of the passenger.

그리고, 본 발명은 열차가 도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카메라의 작동은 멈추고 개찰구의 방향을 기본 방향으로 설정하며, 열차가 도착한 상태에서만 카메라를 작동시켜 동선에 따른 승객의 수에 따라 개찰구의 진입방향을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에너지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of the camera is stopped when the train has not arrived, and the direction of the ticket gate is set to the basic direction, and the camera is operated only when the train has arrived to adjust the entry direction of the ticket gate according to the number of passengers along the traffic line. By doing so,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energy waste.

도 1은 종래의 도시 철도 역사 내 개찰구의 사진이다.
도 2는 종래의 철도역의 평면 개념도이다.
도 3은 개찰구를 통하여 승객들이 이동하는 승객 유동 해석을 위한 해석 모델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3의 해석 모델을 사용한 시뮬레이션 결과인 시간에 따른 승객의 유동형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가변 개찰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가변 개찰구 시스템의 A플랫폼에 열차가 도착한 상태의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가변 개찰구 시스템의 B플랫폼에 열차가 도착한 상태의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가변 개찰구 시스템의 A,B플랫폼에 열차가 도착한 상태의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가변 개찰구 시스템의 제어 순서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1 is a photograph of a ticket gate in a conventional urban railway station.
2 is a plan conceptual diagram of a conventional railway station.
3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analysis model for analyzing passenger flow in which passengers move through ticket gates.
FIG. 4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flow pattern of passengers over time, which is a simulation result using the analysis model of FIG. 3 .
5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real-time variable turnstil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train arrives at platform A of the real-time variable ticket gat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train arrives at platform B of the real-time variable ticket gat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rains arrive at platforms A and B of the real-time variable ticket gat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showing the control sequence of the real-time variable turnstil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nd redundant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가변 개찰구 시스템의 개념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가변 개찰구 시스템의 A플랫폼에 열차가 도착한 상태의 개념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가변 개찰구 시스템의 B플랫폼에 열차가 도착한 상태의 개념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가변 개찰구 시스템의 A,B플랫폼에 열차가 도착한 상태의 개념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가변 개찰구 시스템의 제어 순서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5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real-time variable ticket gat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tate in which a train arrives at platform A of the real-time variable ticket gat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real-time variable ticket gat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tate in which trains have arrived at platform B, and FIG. 8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tate in which trains have arrived at platforms A and B of the real-time variable ticket gat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control sequence of the real-time variable ticket gat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low chart showing

본 발명은 각 역사에 설치되는 실시간 가변 개찰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다수개의 게이트(210)가 형성되는 개찰구(200)와 상기 게이트(210)의 진입방향을 제어하는 제어기(300)로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al-time variable ticket gate system installed in each station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as shown in FIGS. ) It consists of a controller 300 that controls the entry direction.

여기서, 상기 제어기는 플랫폼(230,240)에서 개찰구(200) 방향으로 또는 외부에서 개찰구(200) 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객의 비율에 따라 각 게이트(210)의 진입방향을 조절함으로써, 역사 내부, 특히 개찰구(200)와 인접한 부분의 혼잡도를 최소화할 수 있어 승객들이 보다 쾌적한 상태로 개찰구(200)를 통과할 수 있게 한다.Here, the controller adjusts the entry direction of each gate 210 according to the ratio of passengers moving from the platforms 230 and 240 to the ticket gate 200 or from the outside to the ticket gate 200, so that the inside of the station, especially the ticket gate ( 200) and the adjacent portion can be minimized, allowing passengers to pass through the ticket gate 200 in a more comfortable state.

그리고, 상기 역사의 내부에는 상기 개찰구와 인접한 위치에 외부에서 상기 개찰구(200) 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객을 촬영하도록 개찰구 카메라(110)가 설치된다.And, inside the station, a ticket gate camera 110 is install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ticket gate to photograph passengers moving in the direction of the ticket gate 200 from the outside.

여기서, 상기 개찰구(200)와 인접한 위치, 즉, 상기 개찰구 카메라(110)의 양측에는 각 플랫폼(230,240)에서 상기 개찰구(200) 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객을 촬영하도록 플랫폼 카메라(120,130)가 각각 설치된다.Here, platform cameras 120 and 130 are installed at locations adjacent to the ticket gate 200, that is, on both sides of the ticket gate camera 110 to photograph passengers moving in the direction of the ticket gate 200 from the platforms 230 and 240, respectively. .

한편, 상기 제어기(300)는 상기 개찰구 카메라(110)와 플랫폼 카메라(120,130)에서 촬영한 영상을 수신하여 승객의 이동방향(동선)에 따른 비율을 확인하고 그에 따라 상기 게이트(210)의 진입방향을 제어하게 된다.Meanwhile, the controller 300 receives images captured by the ticket gate camera 110 and the platform cameras 120 and 130 and checks the ratio according to the moving direction (moving line) of the passengers, and accordingly the entry direction of the gate 210. will control

여기서, 상기 제어기(300)의 내부에는 영상분석모듈(미도시)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영상분석모듈은 상기 개찰구 카메라(110)와 플랫폼 카메라(120,130)로부터 수신한 영상을 분석하여 각 승객들의 이동방향을 확인하게 된다.Here, an image analysis module (not shown) is further provided inside the controller 300, and the image analysis module analyzes the images received from the ticket gate camera 110 and the platform cameras 120 and 130 to move each passenger. check the direction.

이때, 상기 영상분석모듈은 수신한 영상을 분석하여 각 승객들을 확인한 후, 승객들의 얼굴을 인식하여 승객이 향하고 있는 방향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mage analysis module analyzes the received image to identify each passenger, and then recognizes the faces of the passengers to accurately determine the direction the passenger is heading.

즉, A 플랫폼(230)쪽을 향하고 있는 플랫폼 카메라(120)의 영상에서 확인한 승객의 얼굴이 감지될 경우에는 해당 승객은 개찰구(200)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알 수 있고, 얼굴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에는 해당 승객이 A 플랫폼(230)을 향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That is, when the face of the passenger confirmed in the image of the platform camera 120 facing the platform A 230 is detected, it can be seen that the passenger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ticket gate 200, and when the face is not detected , it can be seen that the corresponding passenger is heading toward platform A 230 .

또한, 역사의 내부에서 개찰구(200)쪽을 향하고 있는 상기 개찰구 카메라(110)의 영상에서 확인한 승객의 얼굴이 감지될 경우에는 해당 승객은 외부에서 개찰구(200)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알 수 있고, 반대로 얼굴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에는 해당 승객이 개찰구(200)를 통하여 외부로 이동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passenger's face is detected in the image of the ticket gate camera 110 facing the ticket gate 200 inside the station, it can be seen that the passenger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ticket gate 200 from the outside, Conversely, when the face is not detected, it can be seen that the corresponding passenger moves outside through the ticket gate 200 .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영상을 통하여 확인한 각 객체의 이동궤적을 추적하여 이동방향을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각 객체의 얼굴이 확인되는지 아니면 뒷머리가 확인되는지를 통하여 승객방향을 확인할 수 있어 보다 단순한 구성으로 승객의 이동방향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than checking the direction of movement by tracking the movement trajectory of each object confirmed through the image, it is possible to check the direction of the passenger by checking whether the face or back of the head of each object is checked. You can accurately check the direction of movement.

그리고, 역사에 형성되는 플랫폼(230,240) 중에서 어느 일측으로 열차가 도착할 경우, 승객의 이동에 변화가 발생하게 되므로 상기 제어기(300)는 이동방향에 따른 승객의 비에 대응되도록 개찰구(200)의 진입 방향을 제어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a train arrives on one side of the platforms 230 and 240 formed in the station, a change occurs in the movement of passengers, so the controller 300 enters the ticket gate 200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passengers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You control the direction.

여기서, 상기 제어기(3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개찰구 카메라(110)와 플랫폼 카메라(120,130)를 통하여 해당 플랫폼(120,130)에서 상기 개찰구(200)로 이동하는 승객과 외부에서 개찰구(200)로 진입하는 승객의 비(예를 들어 5:3)를 확인한다.Here, the controller 300 enters the ticket gate 200 from the outside with passengers moving from the platform 120, 130 to the ticket gate 200 through the ticket gate camera 110 and the platform cameras 120, 130, as described above. Check the ratio of passengers (e.g. 5:3).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차가 A 플랫폼(230)에 도착한 경우, 상기 제어기(300)는 이동방향에 따른 승객의 비(5:3)에 대응되도록 열차가 도착한 A 플랫폼(230)과 인접한 게이트(210)는 역사의 외부로 진출하도록 방향을 조절하고, 열차가 도착하지 않은 B 플랫폼(240)과 인접한 게이트(210)는 역사의 내부로 진입하도록 방향을 조절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6, when the train arrives at platform A 230, the controller 300 adjusts the ratio of passengers to platform A 230 and The adjacent gate 210 adjusts the direction to go outside the station, and the gate 210 adjacent to the B platform 240 where no train arrives adjusts the direction to enter the inside of the station.

반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차가 B 플랫폼(240)에 도착할 경우에는 열차에서 하차하여 개찰구(200)로 이동하는 승객과 외부에서 개찰구(200)를 통하여 진입하는 승객의 비가 3:5일 경우, 그 비에 대응되도록 B 플랫폼(240)과 인접한 게이트(210)는 역사의 외부로 진출하도록 방향을 조절하고, 열차가 도착하지 않은 A 플랫폼(230)과 인접한 게이트(210)는 역사의 내부로 진입하도록 방향을 조절한다.Conversely, as shown in FIG. 7, when the train arrives at platform B 240, the ratio of passengers getting off the train and moving to the ticket gate 200 and passengers entering through the ticket gate 200 from the outside is 3:5. In this case, the gate 210 adjacent to the B platform 240 adjusts the direction so as to go out of the station to correspond to the ratio, and the gate 210 adjacent to the A platform 230 where no train has arrived is inside the station. Adjust the direction to enter.

또한, 도 8에 도 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기(300)는 양측 A,B 플랫폼(230,240)에 동시에 열차가 도착할 경우, 양측 플랫폼(230,240)에서 상기 개찰구(200) 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객과 외부에서 개찰구(200)로 진입하는 승객의 비가 예를 들어 3:3:2이면, 그에 대응되도록, 양측 플랫폼(230,240)과 인접한 게이트(210)는 역사의 외부로 진출하도록 방향을 조절하고, 중심부의 게이트(210)는 역사의 내부로 진입하도록 방향을 조절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8, the controller 300, when a train arrives at both A and B platforms 230 and 240 at the same time, controls passengers moving from both platforms 230 and 240 toward the ticket gate 200 and from the outside. If the ratio of passengers entering the ticket gate 200 is, for example, 3:3:2, the direction of the gate 210 adjacent to both platforms 230 and 240 is adjusted so as to go out of the station, and the gate in the center corresponds thereto. (210) adjusts the direction to enter the inside of history.

그래서, 다양한 상황에 맞도록 상기 개찰구(200)를 구성하는 각 게이트(210)의 진입 방향을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개찰구(200)를 이용하는 승객이 보다 신속하게 개찰구(200)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So, by adjusting the entry direction of each gate 210 constituting the ticket gate 200 to suit various situations, passengers using the ticket gate 200 can pass through the ticket gate 200 more quickly. .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각 역사에는 열차가 각 플랫폼(230,240)으로 진입하거나 진출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트리거(미도시)가 구비되는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기(300)는 상기 트리거로부터 열차의 진입 신호를 수신할 경우에만 열차가 진입하는 해당 플랫폼(230,240)의 플랫폼 카메라(120,130)와 개찰구 카메라(110)를 작동시키도록 한다.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each station is provided with a trigger (not shown) for detecting that a train enters or leaves each platform 230 or 240. As shown in FIG. 9, the controller 300 causes the platform cameras 120 and 130 and the turnstile camera 110 of the corresponding platform 230 and 240 to be operated only when a train entry signal is received from the trigger.

즉, A 플랫폼(230)에만 열차가 진입한 경우에는 A 플랫폼 카메라(120)와 개찰구 카매라(110)를 작동시키고, B 플랫폼(240)에만 열차가 진입한 경우에는 B 플랫폼 카메라(130)와 개찰구 카매라(110)를 작동시키도록 하며, 모든 플랫폼(230,240)에 열차가 진입한 경우에는 모든 플랫폼 카메라(120,130)와 개찰구 카메라(110)를 작동시키도록 한다.That is, when the train enters only the A platform 230, the A platform camera 120 and the ticket gate camera 110 are operated, and when the train enters only the B platform 240, the B platform camera 130 and the ticket gate The cameras 110 are operated, and when trains enter all the platforms 230 and 240, all the platform cameras 120 and 130 and the turnstile cameras 110 are operated.

여기서, 상기 제어기(3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확인한 이동방향에 따른 승객의 비율에 따라 개찰구(200)를 구성하는 각 게이트(210)의 진입 방향을 조절하여 승객들이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Here, the controller 300 adjusts the entry direction of each gate 210 constituting the turnstile 200 according to the ratio of passengers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confirmed as described above so that passengers can move quickly.

이때, 열차에서 승객이 모두 하차하거나 승차한 후, 열차가 해당 플랫폼(230,240)을 떠나 역사에서 진출하게 되면 상기 트리거를 통하여 제어기(300)에서 이를 확인하게 되고, 상기 플랫폼 카메라(120,130) 및 개찰구 카메라(110)를 통하여 수신한 영상에서 얼굴 인식자가 확인되지 않으면, 제어기(300)는 상기 플랫폼 카메라(120,130) 및 개찰구 카메라(110)의 전원을 차단한 후, 각 게이트(210)의 방향을 기본으로 설정된 방향으로 조절하게 된다.At this time, after all passengers get off or board the train, and the train leaves the corresponding platform (230, 240) and advances from the station, the controller 300 confirms this through the trigger, and the platform cameras (120, 130) and ticket gate cameras If the face recognizer is not confirmed in the image received through 110, the controller 300 cuts off the power of the platform cameras 120 and 130 and the turnstile camera 110, and then based on the direction of each gate 210 It adjusts in the set direction.

그래서, 열차가 역사에 진입해 있을 동안에만 상기 플랫폼 카메라(120,130) 및 개찰구 카메라(110)의 전원을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열차가 역사에 진입하지 않아 승객의 이동이 많지 않을 경우에는 전원 소비를 줄여주어 에너지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So, by supplying power to the platform cameras 120 and 130 and the turnstile camera 110 only while the train is entering the station, power consumption is reduced when the train does not enter the station and there is not much movement of passengers. Energy waste can be minimiz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to those within the scope substantially equivalent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lementation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in the scope that does not deviate from the above.

본 발명은 실시간 가변 개찰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역사에서 동선별 승객의 수에 따라 개찰구의 진입방향을 조절함으로써, 혼잡도를 줄여주어 신속하게 승객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에너지의 낭비를 줄여줄 수 있는 실시간 가변 개찰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al-time variable ticket gate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by adjusting the entrance direction of a ticket gate according to the number of passengers by line in a station, congestion is reduced so that passengers can move quickly and energy is wasted. It is about a real-time variable turnstile system that can reduce.

110 : 개찰구 카메라 120,130 : 플랫폼 카메라
200 : 개찰구 210 : 게이트
230 : A 플랫폼 240 : B 플랫폼
300 : 제어기
110: turnstile camera 120, 130: platform camera
200: turnstile 210: gate
230: A platform 240: B platform
300: controller

Claims (10)

다수개의 게이트가 형성되는 개찰구와,
상기 게이트의 진입방향을 제어하는 제어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기는 플랫폼에서 개찰구 방향으로 또는 외부에서 개찰구 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객의 비율에 따라 각 게이트의 진입방향을 조절하며,
외부에서 상기 개찰구 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객을 촬영하도록 개찰구 카메라가 상기 개찰구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고,
각 플랫폼에서 상기 개찰구 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객을 촬영하도록 플랫폼 카메라가 상기 개찰구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개찰구 카메라와 플랫폼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수신하여 상기 게이트의 진입방향을 제어하고,
각 역사에는 열차의 진입 및 진출을 감지하는 트리거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기는 트리거를 통하여 열차의 진입이 감지되면 열차가 진입하는 플랫폼을 촬영하는 상기 플랫폼 카메라 및 개찰구 카메라를 작동시킨 후, 승객의 비율에 따라 게이트의 방향을 조절하고,
열차가 역사에서 진출하고, 상기 플랫폼 카메라 및 개찰구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한 영상에서 승객의 얼굴이 인식되지 않으면 상기 플랫폼 카메라 및 개찰구 카메라의 전원을 차단한 후, 게이트의 방향을 기본 방향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가변 개찰구 시스템.
A ticket gate in which a plurality of gates are formed;
It consists of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entry direction of the gate,
The controller adjusts the entry direction of each gate according to the ratio of passengers moving from the platform to the ticket gate or from the outside to the ticket gate,
A ticket gate camera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ticket gate to photograph passengers moving in the direction of the ticket gate from the outside,
A platform camera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ticket gate to photograph passengers moving in the direction of the ticket gate on each platform,
The controller controls the entry direction of the gate by receiving images taken by the turnstile camera and the platform camera,
Each sta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trigger that detects the entry and exit of the train,
When the entry of the train is sensed through the trigger, the controller operates the platform camera and ticket gate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platform on which the train enters, and adjusts the direction of the gate according to the ratio of passengers,
When the train leaves the station and the passenger's face is not recognized in the image taken through the platform camera and the ticket gate camera, the power of the platform camera and ticket gate camera is turned off, and then the direction of the gate is adjusted to the basic direction. Real-time variable turnstile system.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의 내부에는 수신한 영상을 분석하기 위한 영상분석모듈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영상분석모듈을 통하여 각 승객의 얼굴을 인식하여 승객의 이동방향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가변 개찰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n image analysis module for analyzing the received image is further provided inside the controller,
The controller recognizes the face of each passenger through the image analysis module to determine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asseng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일측 플랫폼에 열차가 도착할 경우,
해당 플랫폼에서 상기 개찰구로 이동하는 승객과 외부에서 개찰구로 진입하는 승객의 비에 대응되도록, 열차가 도착한 플랫폼과 인접한 게이트는 역사의 외부로 진출하도록 방향을 조절하고, 열차가 도착하지 않은 플랫폼과 인접한 게이트는 역사의 내부로 진입하도록 방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가변 개찰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n a train arrives at one platform, the controller
In order to correspond to the ratio of passengers moving from the platform to the ticket gate and passengers entering the ticket gate from the outside, the gate adjacent to the platform where the train arrived is oriented so that it goes out of the station, and the gate adjacent to the platform where the train did not arrive A real-time variable turnstil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gate adjusts the direction to enter the interior of the st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양측 플랫폼에 열차가 도착할 경우,
양측 플랫폼에서 상기 개찰구 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객과 외부에서 개찰구로 진입하는 승객의 비에 대응되도록, 양측 플랫폼과 인접한 게이트는 역사의 외부로 진출하도록 방향을 조절하고, 중심부의 게이트는 역사의 내부로 진입하도록 방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가변 개찰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n a train arrives at both platforms, the controller
To correspond to the ratio of passengers moving in the direction of the ticket gate on both platforms and passengers entering the ticket gate from the outside, the gates adjacent to the platforms on both sides adjust the direction to go out of the station, and the gate in the center enters the inside of the station. A real-time variable turnstil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adjusting the direction so as to.
삭제delete 역사에 열차가 진입하는 것을 감지하는 열차 진입 감지 단계와,
동선별 승객의 비를 확인하는 혼잡도 확인 단계와,
상기 혼잡도 확인 단계에서 확인한 승객의 비에 대응되도록 개찰구의 게이트의 진입 방향을 조절하는 개찰구 조절 단계와,
열차가 역사에서 진출하는 것을 감지하는 열차 진출 감지 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열차 진입 감지 단계에서는 열차가 진입하는 플랫폼을 확인하고, 해당 플랫폼에 대응되는 플랫폼 카메라와 개찰구 카메라를 작동시키며,
상기 열차 진출 감지 단계에서는 상기 플랫폼 카메라와 개찰구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한 영상에서 승객의 얼굴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 상기 개찰구의 진입 방향을 기본 설정 방향으로 조절하고, 상기 플랫폼 카메라와 개찰구 카메라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가변 개찰구 제어 방법.
A train entry detection step of detecting a train entering the station;
A congestion check step of checking the ratio of passengers for each route;
A ticket gate adjustment step of adjusting the entry direction of the gate of the ticket gate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passengers checked in the congestion check step;
It consists of a train departure detection step that detects the train leaving the station,
In the train entry detection step, the platform on which the train enters is identified, and the platform camera and ticket gate camera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platform are operated.
In the step of detecting train entry, when the passenger's face is not detected in the image captured through the platform camera and the ticket gate camera, the entry direction of the ticket gate is adjusted to a default direction, and power supplied to the platform camera and ticket gate camera is set. A real-time variable turnstile control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for blocking.
삭제delet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혼잡도 확인 단계는 상기 플랫폼 카메라와 개찰구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여 승객의 얼굴 인식을 통하여 승객의 이동방향을 특정하여 플랫폼에서 개찰구 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객, 외부에서 개찰구 방향으로 진입하는 승객의 비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가변 개찰구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7,
The step of checking the congestion level analyzes the images taken by the platform camera and the ticket gate camera, identifies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passenger through face recognition of the passenger, and determines the ratio of passengers moving from the platform to the ticket gate direction and passengers entering the ticket gate direction from the outside. Real-time variable turnstile control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for checking.
삭제delete
KR1020220001982A 2022-01-06 2022-01-06 ticket wicket system with realtime variable gate KR1024753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1982A KR102475327B1 (en) 2022-01-06 2022-01-06 ticket wicket system with realtime variable g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1982A KR102475327B1 (en) 2022-01-06 2022-01-06 ticket wicket system with realtime variable ga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5327B1 true KR102475327B1 (en) 2022-12-08

Family

ID=84437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1982A KR102475327B1 (en) 2022-01-06 2022-01-06 ticket wicket system with realtime variable ga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5327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1010A (en) * 2008-11-28 2010-06-0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System and method for auto adjusting gate passing direction in ticket barrier
JP2016035665A (en) * 2014-08-04 2016-03-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Entry/exit gate control system and entry/exit control method
KR20160049693A (en) * 2014-10-28 2016-05-10 한국공항공사 Cooperating Passenger transport and escalators automatic oper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1010A (en) * 2008-11-28 2010-06-0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System and method for auto adjusting gate passing direction in ticket barrier
KR101012737B1 (en) 2008-11-28 2011-02-09 주식회사 비츠로시스 System and method for auto adjusting gate passing direction in ticket barrier
JP2016035665A (en) * 2014-08-04 2016-03-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Entry/exit gate control system and entry/exit control method
KR20160049693A (en) * 2014-10-28 2016-05-10 한국공항공사 Cooperating Passenger transport and escalators automatic operation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861095B (en) Robot control method, robot, and readable storage medium
KR101718806B1 (en) Automatic calculation server for platform stop time of train,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1226638B1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coordinate operation of vehicle doors of and corresponding platform guiding systems, especially platform doors
JP4030543B2 (en) Detection of obstacles in the elevator door and movement toward the elevator door using a neural network
CN109311622B (en) Elevator system and car call estimation method
US20040193336A1 (en) Signal safety method, signal safety apparatus and signal safety system
CN108883767A (en) Cooperate automated vehicle system
JP2005126184A (en) Control device of elevator
KR102475327B1 (en) ticket wicket system with realtime variable gate
KR101066562B1 (en) Screen door system using stereo image
JP2003146201A (en) Accident preventing device and accident preventing method at use of platform door
KR102302767B1 (en) System for Detecting Subway Entrance Door based on Image Deep Learning Reading
CN111063190B (en) Pre-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oversaturated passenger flow of urban rail transit station platform
CN115879582B (en) Hotel intelligent check-in management system based on face recognition
JPH11255126A (en) Train operation control device
JPH06278599A (en) Train stop position detecting device
JP2004114825A (en) Control system of platform door
JP2012012188A (en) Automatic operation control device of passenger conveyor
KR20170024260A (en) Screen door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787511B2 (en) Entry / exit mode switching control device for entrance / exit gates
TW201938426A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platform door
JP2019218164A (en)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and method
WO2021177112A1 (en) Boarding/alighting passage opening/closing control system, boarding/alighting passage opening/closing control device, boarding/alighting passage opening/closing control method, and vehicle-side light communication module
JP2005162434A (en) Elevator device
JP2003054864A (en) Control device of passenger convey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