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6423B1 - 불연막을 포함하는 화상방지 뜸기 - Google Patents

불연막을 포함하는 화상방지 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6423B1
KR101686423B1 KR1020150024906A KR20150024906A KR101686423B1 KR 101686423 B1 KR101686423 B1 KR 101686423B1 KR 1020150024906 A KR1020150024906 A KR 1020150024906A KR 20150024906 A KR20150024906 A KR 20150024906A KR 101686423 B1 KR101686423 B1 KR 1016864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triangular
mugwort
safety net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4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2620A (ko
Inventor
김부연
Original Assignee
김부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부연 filed Critical 김부연
Priority to KR1020150024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6423B1/ko
Publication of KR20160102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2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6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64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07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21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 A61H2201/025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by direct air flow on the patient's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 A61H2201/105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with means for delivering media, e.g. drugs or cosmet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불연막을 포함하는 화상방지 뜸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불연막과 안전망 및 보호용 천을 구비하는 불연막을 포함하는 화상방지 뜸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불연막을 포함하는 화상방지 뜸기는 일반적인 뜸기에 있어서, 쑥을 넣을 수 있는 삼각뿔 형상의 쑥압축통(12)과 상기 쑥압축통(12)의 외부를 둘러싸고 불연재질의 불연막(10)이 형성되는 삼각뿔 형상의 본체(20); 삼각뿔의 쑥압축통과 본체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안전망(30); 상기 안전망(30)의 중심에 형성되어 불을 점화하기 위한 점화구(32); 상기 본체(20)의 하단에 속이 비어 있는 공간부(42)가 형성되며, 안전망(30)을 거치하기 위한 거치부(44)가 형성된 원통형 틀(40);및 상기 원통형 틀의 하단부에 피부와의 직접 접촉을 방지하고, 재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천(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불연막을 포함하는 화상방지 뜸기{Cautery For Preventing a Burn With Nonflammable Membrane}
본 고안은 불연막을 포함하는 화상방지 뜸기(뜸과 뜸기구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이하 '뜸기'라 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불연막과 안전망 및 보호용 천을 구비하는 불연막을 포함하는 화상방지 뜸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쑥뜸은 약쑥을 피부의 혈(穴) 위에 올려놓고 약쑥이 타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열효과로 경혈을 자극하게 함으로써 체표가 열려 쑥진과 빛에너지가 환부에 유입되도록 하여 양기를 보완하여 따뜻하게 해 주고, 기가 가라앉는 것을 끌어올려 주며, 기혈을 활발하게 움직여, 약이 미치지 못하고 침이 치료하지 못하는 한계부위를 쑥뜸의 열기가 침투하여 통증을 완화시켜 혈액순환을 촉진시킨다. 또한 쑥이 갖는 약리작용을 통해 피하조직의 활성과 밸런스를 회복시켜서 질병치료와 그 치료효과를 증대시키는 치료요법이다. 이러한 쑥뜸의 효능은 여러 의학관련 보고서를 통해 종종 보고되고 있으며 또 임상실험을 통해서도 입증되고 있다.
뜸은 그 환자의 상태에 따라 뜸을 뜨는 시간이 각각 달라지는데, 쑥 기운의 흡수가 촉진될 수 있게 피부조직의 모세혈관과 모공을 확장시킬 수 있는 적당한 열 자극을 가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고 알려져 있다. 약쑥을 태워서 뜸을 뜨는 방법 중에서, 약쑥을 피부 위에 올려놓고 직접 뜸을 뜨는 원시적인 방법은 직구라고 하여 순간적이고 직접적인 강한 열 자극으로 상당한 고통과 그 자국이 화상에 의한 흉터가 일생에 남게 된다.
따라서, 환자가 긴장하여 모세혈관이 수축됨으로써 오히려 혈압이 오르고 질병이 악화 될 수 있는바, 가능한 환자의 통증에 의한 고통과 죽음에 대한 기다림의 심리적 부담을 덜어주고 또 흉한 흉터가 남지 않도록 하는 여러 가지 간접용 뜸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종래의 간접용 뜸기로서 가운데 구멍이 있는 링(ring)형 뜸장판이 잘 알려져 있다. 링형, 뜸장판은 통상 밀가루와 콩가루 등을 반죽하여 틀에 넣고 경화시켜 제조된다. 이러한 링형, 뜸장판을 사용하는 뜸을 링뜸이라고 하는데, 링뜸은 링형, 뜸장판을 피부 위에 올려놓고 그 위에 약쑥을 뜸용으로서 원뿔모양으로 빚어 놓은 쑥봉을 올려놓고 뜸을 뜨는 것이다. 링형, 뜸장판은 쑥봉이 연소 되면서 발생 되는 열이 직접 피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면서 그 구멍으로 쑥봉 연소에 의한 쑥기운을 통과시켜 피부에 흡수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쑥봉이 점차 타들어가면서 뜨거워지면 그 뜸장판을 추가로 쌓아줌으로써 고통을 줄일 수 있게 된 것이다.
그러나, 쑥봉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쑥봉이 타들어 가면서 발생 되는 재 속의 불씨와 그때 흘러나오는 뜨거운 액상의 쑥진이 피부에 떨어짐으로써 2차적인 화상을 입게 되는 경우도 있고 그것이 이불이나 기타 다른 곳에 떨어져 화재의 위험이 발생할 수 있는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화상방지를 위한 불연막과 안전망 및 보호용 천을 구비하는 뜸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불연막을 포함하는 화상방지 뜸기는 일반적인 뜸기에 있어서, 점화구(11)가 형성된 쑥을 넣을 수 있는 삼각뿔 형상의 쑥압축통(12)을 포함하는 삼각뿔 형상의 본체(20); 상기 본체(20)의 하단에 속이 비어 있는 공간부(42)가 형성되며, 안전망(30)을 거치하기 위한 거치부(44)가 형성된 원통형 틀(40); 상기 본체와 원통형 틀(40) 사이에 끼워져, 쑥의 열기는 아래로 통하고, 연기는 위로 나오며, 재와 불씨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망(30); 상기 본체(20)와 원통형틀(40)을 둘러싸고 있는 불연재질의 불연막(10);및 상기 원통형 틀의 하단부에 피부와의 직접 접촉으로 인한 화상을 방지하고, 재와 불씨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천(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불연막(10)은 알루미늄 호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본체(20)의 삼각뿔 형상의 꼭대기 부분에는 연기가 빠져나갈 수 있는 홀(1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본 고안의 상기 쑥압축통(12)은 틀의 고정을 위해 사용한 찹쌀과 수분흡수를 위한 약쑥을 혼합하여 반죽한 후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원통형 틀(40)의 측면에는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120도 등 간격으로 발열을 위한 숨구멍(46)이 바늘 구멍 크기로 3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쑥뜸기를 사용하면, 불연재질의 불연막과 보호천 및 공간부로 인해 피부와의 직접 접촉을 방지하고, 일정한 열기를 효율적으로 약쑥을 연소할 수 있으며, 뜸을 뜨고 있는 동안 움직이게 되면 연소 되는 재와 불씨가 피부에 떨어져서 발생하는 화상 위험과 기타 다른 물질에 떨어져 발생할 수 있는 화재를 예방할 수 있다.
쑥뜸기 전체가 불연막으로 싸여 있어서, 뜸의 본체가 넘어지거나 떨어졌을 때 발생할 수도 있는 화재와 피부의 이차적인 화상 위험을 미리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뜸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뜸기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쑥압축통(12)을 포함하는 본체를 뒤집어 놓은 모습으로서, 점화구(11)가 홀 형태로 형성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뜸기를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뜸기를 아래에서 바라본 저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은 불연막과 안전망 및 보호용 천을 구비하는 불연막을 포함하는 화상방지 뜸기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뜸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불연막을 포함하는 화상방지 뜸기는 일반적인 뜸기에 있어서, 점화구(11)가 형성된 쑥을 넣을 수 있는 삼각뿔 형상의 쑥압축통(12)을 포함하는 삼각뿔 형상의 본체(20); 상기 본체(20)의 하단에 속이 비어 있는 공간부(42)가 형성되며, 안전망(30)을 거치하기 위한 거치부(44)가 형성된 원통형 틀(40); 상기 본체와 원통형 틀(40) 사이에 끼워져, 쑥의 열기는 아래로 통하고, 연기는 위로 나오며, 재와 불씨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망(30); 상기 본체(20)와 원통형틀(40)을 둘러싸고 있는 불연재질의 불연막(10);및 상기 원통형 틀의 하단부에 피부와의 직접 접촉으로 인한 화상을 방지하고, 재와 불씨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천(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본 고안의 쑥압축통(12)은 쑥을 압축해 놓은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상기 쑥압축통(12)은 약쑥과 찹쌀을 혼합하여 반죽한 후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찹쌀을 혼합함으로써, 수분이 약쑥에 포함될 수 있으며, 불연막(호일)이 일찍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쑥압축통은 삼각뿔 형상으로서, 이 쑥압축통(12)을 둘러싸고 있는 외부 하우징 부분이 본체(20)에 해당하며, 상기 본체(20)와 원통형틀(40)의 외면은 불연재질의 불연막(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쑥압축통은 약쑥과 찹쌀을 혼합하여 반죽한 것으로서, 쑥압축통은 바로 연소되는 본체에 비해 틀이 마지막까지 남아있어 모양을 유지시켜주며 약쑥이 연소되면서 그 열을 아래 뜸을 뜨는 피부 접촉면으로 모아주는 역할을 한다. 불연막에 바로 닿는 불을 일차적으로 막아주는 역할을 하면서 불과 불연막에 생길 수 있는 수분을 흡수시켜주기도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쑥압축통(12)을 포함하는 본체를 뒤집어 놓은 모습으로서, 점화구(11)가 홀 형태로 형성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움푹 파인 형태의 점화구(11)가 형성됨으로써, 쑥뜸에 불을 붙였을 때, 화력을 집중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쑥압축통(12)은 상기 본체 내에 쑥이 가득 차도록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불연막(10)은 알루미늄 호일인 것이 바람직하다. 불연막은 쑥뜸으로 인한 뜸기의 열이 빠져나가는 것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으며, 불연막은 뜸이 연소되는 과정에서 옆으로 넘어져 이차적인 화상을 입는 경우와 뜸이 연소되면서 옆으로 떨어져 옷이나 기타 물질에 이차적인 화재로부터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실시 예로서, 알루미늄 호일을 제시하였으나, 균등 범위 내에서 이러한 불연 효과를 갖는 다양한 재질의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4는 본 고안의 뜸기를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20)의 삼각뿔 형상의 꼭대기 부분에는 연기가 빠져나갈 수 있는 홀(14)이 하나만 형성되어 분산되는 열을 아래 피부 쪽으로 잠시 머물면서 그 열을 한 곳으로 다 모을 수 있도록 하며, 연기가 조그만 홀(14)로 한 방향으로 천천히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한다.
본체(20)와 원통형 틀(40)은 서로 연결된 구조로서, 상기 원통형 틀(40)은 속이 비어 있는 공간부(42)가 형성된 원통 형상이며, 본체(20)와 원통형 틀(40) 사이에 안전망이 설치되며, 원통형 틀(40)의 좌우 양끝에 설치되는 거치부(44)에 안전망(30)이 설치된다.
상기 원통형 틀(40)의 측면에는 공기를 공급하여 화력을 높일 수 있도록 원통 형틀에 120도 등 간격으로 숨구멍(46)이 3개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공기의 공급이 원활하게 될 수 있다. 2개 이하인 경우에는 공기 공급이 원활하지 않으며, 4개 이상인 경우는 연소효율만 높아질 수 있기 때문에 바늘크기의 숨구멍이 3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고안의 뜸기를 아래에서 바라본 저면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원통형 틀(40)의 하단부는 피부와 접촉되는 곳으로서, 직접적인 피부와의 접촉을 방지하고, 쑥뜸의 재가 직접 피부에 닿아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호천(50)이 설치된다. 피부와는 보호천이 직접 접촉하게 되므로, 되도록 피부에 자극이 없는 소재의 천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크게 본체(20)와 안전망(30) 및 본체 하단의 보호천을 구비하는 원통형틀(40)로 구성되며, 그 제조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원뿔모양의 쑥압축통(12)을 만들어 그 안에 쑥을 꾹꾹 눌러 다져서 채우되, 원뿔 하단 중앙부에 점화구 모양의 홈을 형성하여 본체(20)를 제조한다.
2. 안전망(30)을 원통형틀(40)의 거치부(44)에 설치한다.
3. 불연막(10)을 본체(20)와 원통형틀(40) 전체에 씌운다.
4. 원통형틀(40)의 하단에 보호천(50)을 붙인다.
5. 안전망(30)의 상단에 쑥압축통(12)을 포함하는 본체를 설치한다.
본 고안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본체(20) 제품의 쑥압축통(12)의 중앙에 형성된 점화구(11)에 불을 붙인다.
2. 안전망(30)이 설치된 원통형틀(40)에 점화된 쑥압축통(12)을 올려놓는다.
3. 뜸을 올려놓을 피부부위에 보호천(50)을 올려 뜸을 뜬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뜸기를 사용하면, 불연재질의 불연막과 보호천 및 공간부를 구비함으로써, 일정한 뜸 열기를 효율적이며 심신이 편안하고 안전한 뜸을 연소시켜 뜸을 뜨고 있는 동안 움직이게 되어 연소 된 재가 피부에 떨어져서 발생할 수 있는 화상에 의한 피부와의 직접접촉을 방지하고 화재 위험을 예방할 수 있다.
상기에 제시된 실시한 예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제시되어 실시한 예에 대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고안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 고안에 의하여 본 고안의 범위는 제한되지 않는다.
10 : 불연막 11 : 점화구
12 : 쑥압축통
20 : 본체
30 : 안전망
40 : 원통형 틀 42 : 공간
50 : 보호천

Claims (5)

  1. 뜸기에 있어서,
    점화구(11)가 형성된 쑥을 넣을 수 있는 삼각뿔 형상으로서, 약쑥과 찹쌀을 혼합하여 반죽한 후 제조되는 쑥압축통(12)을 포함하며, 삼각뿔 형상의 꼭대기 부분에는 연기가 빠져나갈 수 있는 홀(14)이 형성되는 삼각뿔 형상의 본체(20);
    상기 본체(20)의 하단에 속이 비어 있는 공간부(42)가 형성되며, 안전망(30)을 거치하기 위한 거치부(44)가 형성되며, 측면에는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120도 등 간격으로 숨구멍(46)이 3개 형성되는 원통형 틀(40);
    상기 본체와 원통형 틀(40) 사이에 끼워져, 쑥의 열기는 아래로 통하고, 연기는 위로 나오며, 재와 불씨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망(30);
    상기 본체(20)와 원통형틀(40)을 둘러싸고 있는 알루미늄 호일 재질의 불연막(10);및
    상기 원통형 틀의 하단부에 피부와의 직접 접촉으로 인한 화상을 방지하고, 재와 불씨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천(5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막을 포함하는 화상방지 뜸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50024906A 2015-02-23 2015-02-23 불연막을 포함하는 화상방지 뜸기 KR1016864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4906A KR101686423B1 (ko) 2015-02-23 2015-02-23 불연막을 포함하는 화상방지 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4906A KR101686423B1 (ko) 2015-02-23 2015-02-23 불연막을 포함하는 화상방지 뜸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2620A KR20160102620A (ko) 2016-08-31
KR101686423B1 true KR101686423B1 (ko) 2016-12-19

Family

ID=56877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4906A KR101686423B1 (ko) 2015-02-23 2015-02-23 불연막을 포함하는 화상방지 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64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6112B1 (ko) * 2017-11-30 2020-06-24 한국 한의학 연구원 거짓 뜸 장치
CN113101203B (zh) * 2021-04-22 2023-08-15 华沃生物科技(武汉)有限公司 一种防止掉灰烫伤且能自动送料的艾灸仪
CN114652608B (zh) * 2022-04-16 2023-10-24 金昌市中医医院 一种多功能便携式针灸康复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777Y1 (ko) * 2004-09-15 2004-12-23 신영지 링형상을 갖는 뜸기구의 구조
KR100902312B1 (ko) * 2008-11-18 2009-06-12 이순영 뜸 옹기 및 이를 이용한 좌훈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7834B1 (ko) * 2003-10-21 2006-07-10 윤재호 덮개부를 구비하는 뜸기
KR20070027896A (ko) * 2005-08-30 2007-03-12 김동선 무연성 탄화쑥뜸구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777Y1 (ko) * 2004-09-15 2004-12-23 신영지 링형상을 갖는 뜸기구의 구조
KR100902312B1 (ko) * 2008-11-18 2009-06-12 이순영 뜸 옹기 및 이를 이용한 좌훈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2620A (ko) 2016-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70939B2 (ja) 磁気灸装置
KR101686423B1 (ko) 불연막을 포함하는 화상방지 뜸기
KR101740544B1 (ko) 단열 쑥뜸기
JP2021508582A (ja) 多機能もぐさ灸箱
CN104000725B (zh) 防烫伤温针灸架及其多穴位温针灸盒
KR102112350B1 (ko) 뜸 기구
SG175876A1 (en) Moxibustion device
CN107049772A (zh) 新型艾灸装置
KR200477900Y1 (ko) 훈증장치
KR20110008282U (ko) 황토 용기 온구기
CN106667754A (zh) 新型艾灸装置
CN204521560U (zh) 一种无烟温针灸器
CN107582382B (zh) 一种香薰灸疗罐
CN107440901A (zh) 一种可控温艾灸凳
CN209437657U (zh) 一种温针灸器
KR101371207B1 (ko) 일회용 쑥뜸 장치
JP2010119555A (ja) 温灸具
CN207614044U (zh) 一种灸具
CN209172903U (zh) 一种火龙灸辅助装置
CN203885844U (zh) 防烫伤温针灸架及其多穴位温针灸盒
KR101852090B1 (ko) 쑥뜸기
CN204618836U (zh) 艾灸器及其底部防烫装置
CN209500244U (zh) 一种艾灸装置
CN215961122U (zh) 一种艾灸理疗用灸条点火装置
CN211096019U (zh) 一种便捷灭火刮痧艾灸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