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6112B1 - 거짓 뜸 장치 - Google Patents

거짓 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6112B1
KR102126112B1 KR1020170162814A KR20170162814A KR102126112B1 KR 102126112 B1 KR102126112 B1 KR 102126112B1 KR 1020170162814 A KR1020170162814 A KR 1020170162814A KR 20170162814 A KR20170162814 A KR 20170162814A KR 102126112 B1 KR102126112 B1 KR 102126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ortion
insulating
heat
indirect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2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3783A (ko
Inventor
김주희
Original Assignee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한의학 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162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6112B1/ko
Publication of KR20190063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37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6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6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21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 A61H2201/025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by direct air flow on the patient's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21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 A61H2201/0278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by chemical rea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뜸에 사용되는 간접구에 연관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연소 대상물을 수용하는 상층부; 피부와 대면하여 열을 전달하는 하층부; 상기 상층부와 상기 하층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층부의 열을 하층부에 미리 지정된 작용 온도만큼 전달하는 중간층부; 및 단열재를 포함하며 상기 상층부와 상기 중간층부 사이의 열 전달을 감소시키는 제1 단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거짓 뜸 장치{APPARATUS FOR SHAM MOXIBUSTUIN}
거짓 뜸을 제공하는 장치에 연관되며, 보다 특정하게는 외형은 일반적인 간접구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면서 뜸 효과는 없는 거짓 뜸을 제공하는 장치에 연관된다.
뜸 요법은 고대로부터 열 자극을 이용한다는 근본 목적은 유지한 채 현대에 이르러 다양한 형태와 방법으로 발전되어 왔으며, 치료 부위에 간접적인 매개체를 사용하는 등으로 화상과 같은 부작용을 경감시키는 추세에 있다.
또한 한방 의료에서 구술의 이용 빈도는 간접구, 기기구술, 직접구 순으로 나타났으며, 간접구의 사용빈도가 직접구에 비해 10배 이상 높았고, 주로 사용하는 뜸은 제품화된 간접구가 74.1%로 전통 간접구 18.4%에 비해 4배 이상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볼 때 현대에 임상에서 가장 흔히 사용된다고 볼 수 있는 제품화된 상용 간접구를 대상으로 하는 거짓 뜸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국 공개특허 10-2011-0128976호 (공개일자 2011년12월01일)는 다수의 파장대를 가지는 발광소자를 이용한 한방뜸 모사장치를 제시한다. LED 등을 이용하여 뜸을 모사하는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뜸에 사용되는 간접구로서, 연소 대상물을 수용하는 상층부; 피부와 대면하여 열을 전달하는 하층부; 상기 상층부와 상기 하층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층부의 열을 하층부에 미리 지정된 작용 온도만큼 전달하는 중간층부; 및 단열재를 포함하며 상기 상층부와 상기 중간층부 사이의 열 전달을 감소시키는 제1 단열부를 포함하는 간접구가 개시된다.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열재를 포함하며 상기 하층부와 상기 피부 사이의 열 전달을 감소시키는 제2 단열부를 더 포함하는 간접구도 가능하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단열부는, 단열 유리 섬유, 엠보싱 알루미늄 판재, 실리콘 및 스티로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간접구가 제시된다.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중간층부는, 측벽을 관통하고 지름이 3.5mm 이상 4.5mm 이하인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1 단열부는, 단열 섬유를 포함하고 상층부의 하단에 배치되는 단열 섬유층; 알루미늄 판재를 포함하고 상기 단열 섬유층 하단에 배치되는 제1 알루미늄 판재층; 및 실리콘 또는 스티로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알루미늄 판재층 하단에 배치되는 제1 단열재층을 포함하는 간접구가 개시된다.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2 단열부는, 알루미늄 판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층부에 배치되는 제2 알루미늄 판재층; 및 실리콘 또는 스티로폼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알루미늄 판재층 하단에 배치되는 제2 단열재층을 포함하는 간접구도 제시된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단열 섬유층은 0.1mm 이상 1mm 이하 두께의 단열 유리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알루미늄 판재층은 0.1mm 이상 1mm 이하 두께의 엠보싱 알루미늄 판재를 포함하는 간접구도 개시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간접구의 정면도이다.
도 2a는 일실시예에 따른 간접구를 정면 위쪽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다.
도 2b는 일실시예에 따른 간접구의 하면도이다.
도 3a는 일실시예에 따른 간접구의 열 전달 흐름을 도시한다.
도 3b는 일실시예에 따른 간접구의 다른 열 전달 흐름을 도시한다.
도 3c은 일실시예에 따른 간접구의 복사열 흐름도 도시한다.
도 4은 일실시예에 따른 간접구의 상층 단열부 구성을 도시한다.
도 5은 일실시예에 따른 간접구의 하층 단열부 구성을 도시한다.
이하에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아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연관되는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것으로 선택되었으나, 기술의 발달 및/또는 변화, 관례, 기술자의 선호 등에 따라 다른 용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아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설명 부분에서 상세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아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이해되어야 한다.
뜸 요법은 한의학에서 질병치료에 침 치료와 함께 가장 널리 쓰이는 주요한 치료 방법으로, 쑥을 이용하여 체표의 혈위 상에 놓고 연소시켜 경혈에 온열 자극 및 화학적 자극을 주어 경락의 작용을 통해 질병의 치료, 예방 관리 및 건강증진을 목적으로 오랜 기간 동안 임상에서 활용되어 오고 있다.
최근 근거중심의학(Evidence-based Medicine)의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이러한 뜸 치료의 특정효과 및 안전성에 대한 근거 구축이 요구되며, 임상시험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소들을 통제하고 평가하기 위해 의약품 및 의료기술 효능 검증의 이상적 표준으로 간주되고 있는 무작위 배정 대조군 임상시험(Randomized Controlled Trial)을 통한 규명이 가장 추천되는 방법이다.
이를 위해서는 실제 제공되는 뜸 치료에 대응하는 플라세보 대조군(Placebo control)의 설정이 필요한데, 여타의 약물요법 연구에서와 달리 침구치료와 같은 한의학의 비약물적 치료 중재(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 연구에서는 치료 자체의 특성상, 생리적으로 비활성이며 환자의 맹검(Blinding)을 유지할 수 있는 거짓 치료 모델의 개발에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현재 뜸 임상시험에서 적용 가능한 적절한 거짓 뜸 모델의 제약으로 인해 관련 임상 시험 설계·수행 및 이를 통한 근거 구축이 매우 빈약한 실정이다.
온열 자극이 주 요소인 뜸 치료에 있어서,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생리적 효과를 제거 또는 최소화 하면서 환자의 맹검을 유지할 수 있도록 임상시험에 적합한 거짓 뜸(Sham Moxibustion) 모델의 개발에 있어서는 뜸 치료 시술 동안 피부 전달 온도의 조절이 주 타겟이 될 수 있으며, 실제 임상시험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뜸 치료 방법에 따라 요구되는 목표 온도를 설정하기 위한 거짓 뜸의 형태 또한 조절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맹검용 거짓 뜸에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간접구를 설명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라 맹검용 거짓 뜸에 사용되는 간접구의 정면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간접구는 상층부(110), 중간층부(120) 및 하층부(130)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단열부(140)와 제2 단열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층부(110)는 뜸봉이 위치하며, 뜸의 연소로 인한 열이 직접 발생하는 영역이다. 사용자는 상기 상층부(110)의 내부 공간에 뜸봉을 위치시키고 불을 붙인다. 상기 뜸봉이 연소하면서 열을 발생시키고, 발생하는 열은 중간층부 및 하층부를 거쳐 피부까지 전달된다. 상기 뜸봉은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쑥봉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뜸 재료일 수 있다.
중간층부(120)는 내부에 공기를 포함하고 있으며, 공기 영역을 통해 상층부의 열이 하층부까지 미리 지정되는 만큼만 전달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간층부에는 외부와 통하는 구멍이 존재할 수 있으며, 상기 구멍을 통해 대류열을 제어할 수 있다. 구멍이 많을수록 외부의 찬공기가 많이 유입되기 때문에 작용온도를 낮추는 효과가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구멍이 없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상기 구멍에 대하여는 도3b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하층부(130)는 피부와 맞닿아 열을 전달한다. 보다 자세하게는 상층부(110)로부터 중간층부(120)를 거쳐 하층부(130)로 전달되는 열이 피부로 전달된다.
일실시예에 따른 간접구에는 제1 단열부(140)와 제2 단열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그러나 한정되지 않게 상기 제1 단열부(140)는 상층부(110)의 아래쪽 부분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단열부(150)는 하층부(130)의 아래쪽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단열부(140, 150)는 단열 섬유층, 알루미늄 판재층 및 단열재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열부(140)는 단열 유리 섬유를 포함하고 상층부(110)의 하단에 배치되는 단열 섬유층과 상기 단열 섬유층 아래에 배치되고 알루미늄 판재를 포함하는 알루미늄 판재층 그리고 상기 알루미늄 판재층 아래에 배치되는 제1 단열재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알루미늄 판재는 엠보싱 알루미늄 판재일 수 있고, 상기 제1 단열재층은 실리콘 또는 스티로폼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단열부(150)는 알루미늄 판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층부(130)에 배치되는 제2 알루미늄 판재층; 및 상기 제2 알루미늄 판재층 하단에 배치되는 제2 단열재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단열부(140, 150)의 구성 및 위치는 예시적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기술자의 입장에서 용이하게 변경 가능한 정도를 포함한다. 즉, 단열 섬유층, 알루미늄 판재층 및 단열재층의 위치는 서로 변경될 수 있고, 단열재는 스티로폼과 실리콘 이외에 단열 성능을 갖는 다양한 소재로 응용이 가능하다.
도 2a는 일실시예에 따른 맹검에 사용되는 거짓 뜸 간접구를 정면 위쪽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간접구는 상층부(210), 중간층부(220) 및 하층부(230)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층부(210)의 중심 공간에 뜸봉을 넣고 태울수 있도록 구성된다.
중간층부(220)는 내부에 빈 공간을 포함하기 때문에 공기를 이용해 단열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하층부(230)는 아랫면이 피부에 닿아 실제 뜸 효과는 없으나 플라시보 효과를 검증할 수 있도록 미리 지정되는 온도의 열이 전달될 수 있다.
도 2b는 일실시예에 따른 간접구의 하면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간접구를 아래에서 보면 하층부(230)의 바닥면에 제2 단열부(240)가 배치되어 있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대로 제2 단열부(240)는 알루미늄 판재층 및 단열재층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단열 섬유층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a는 일실시예에 따른 맹검에 사용되는 거짓 뜸 간접구의 열 전달 흐름을 도시한다.
간접구의 상층부(310)로부터 중간층부(320)를 거쳐 하층부(330) 및 피부로 전도되는 열을 화살표로 도시한다. 각 층부(310, 320, 330)의 두께 및 재질을 이용하여 전도되는 열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중간층부(320)의 두께를 얇게하는 경우에 상기 중간층부(320)를 통해 전도되는 열을 줄일 수 있으며, 소재를 단열 성능이 있는 소재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전도열을 더 줄일 수 있다.
도 3b는 일실시예에 따른 간접구의 다른 열 전달 흐름을 도시한다. 간접구는 중간층부의 내부 빈 공간을 통해 대류열이 전달될 수 있다. 도 3b에서 대류열의 흐름을 화살표로 도시하였다.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중간층부에는 외부로 관통되는 구멍(340)이 존재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그러나 한정되지 않게 상기 구멍(340)은 지름이 4mm일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상기 구멍(340)은 마주보는 형태로 두 개 또는 네 개가 배치될 수 있으며 그 개수와 배치되는 방향에는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지름은 4mm로 예시하였으나 간접구의 크기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다. 예시적으로 중형 간접구에는 4mm 지름의 구멍을 사용하고, 대형 간접구에는 6mm 지름의 구멍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중간층부에 구멍(340)이 존재함으로써, 대류열의 전달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중간층부는 내부에 공기를 포함하고 있음으로써 단열을 수행하는데, 외부로 관통되는 구멍이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내부 공기가 외부와 쉽게 교류할 수 있으므로 단열이 더 잘 수행된다. 즉, 뜸봉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차가운 외부 공기와 섞이면서 전도열이 하층부까지 쉽게 전달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간접구의 하층부(330)에는 제2 단열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중간층부(320)와 같이 내부가 빈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c은 일실시예에 따른 간접구의 복사열 흐름도 도시한다. 복사열은 뜸봉에서 전자기파 형태로 방출되는 열에너지를 의미하며, 뜸봉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이 바로 피부까지 전달되며, 복사열을 차단하기 위한 알루미늄 판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루미늄 판재는 도 4 및 도 5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은 일실시예에 따른 간접구의 상층 단열부 구성을 도시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간접구는 제1 단열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단열부는 상층부하단과 중간층부 상단 사이에 걸쳐서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위치일 뿐 상기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층부 하단이나 중간층부 상단에만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단열부는 단열 섬유층(410), 제1 알루미늄 판재층(420) 및 제1 단열재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각 층의 구성과 배열 순서는 예시적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단열 섬유층(410)은 단열 유리 섬유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층부의 하단에 배치되며 뜸봉이 상기 단열 유리 섬유 위에 올려질 수 있다. 상기 단열 유리 섬유는 중간층부 및 하층부로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두께가 두꺼울수록 차단율이 높다.
다음으로 제1 알루미늄 판재층(420)은 알루미늄 판재로 구성되며, 예시적으로 엠보싱 알루미늄 판재일 수 있다. 엠보싱 알루미늄 판재는 알루미늄 판재의 표면에 울퉁불퉁한 엠보싱(요철)이 존재하여 복사열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제1 단열재층(430)은 폴리우레탄, 실리콘, 스티로폼, 아이소핑크, 발포고무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재질은 상기 열거된 항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단열 소재로 이용될 수 있는 소재면 가능하다.
상기 제1 단열재층(430)은 상기 제1 알루미늄 판재층 아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전체 간접구 내에서는 중간층부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도 5은 일실시예에 따른 간접구의 하층 단열부 구성을 도시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간접구는 제2 단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단열부는 예시적으로 그러나 한정되지 않게 제2 알루미늄 판재층(510)과 제2 단열재층(5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단열부는 제1 단열부와 마찬가지로 각 층부의 구성과 배치 순서는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변형 가능한 정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예시적으로 제2 알루미늄 판재층(510)과 제2 단열재층(520)으로 구성되는 경우를 도시하였다.
상기 제2 알루미늄 판재층(510)은 엠보싱 알루미늄 판재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단열재층(520)은 단열 소재로 구성되어 상기 제2 알루미늄 판재층(510)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단열부는 예시적으로 피부와 맞닿는 하층부의 하단에 배치되었으나, 반드시 하층부에 배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중간층부의 하단 등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간접구의 구성을 통하여 동일하게 뜸봉을 연소하면서 실제 뜸의 효과는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가짜 뜸이 가능하다. 뜸을 받는 사람(피험자)이 뜸의 온도가 전혀 느껴지지 않는 경우에는 가짜 뜸이라고 의심할 수 있어 정확한 맹검이 어렵기 때문에, 피험자가 온도를 느끼되 실제 효과는 없는 온도로 동작하는 것이 중요하다.
피험자의 피부 표면 온도는 성별, 연령, 측정시기, 체질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따라서 각 피부 표면 온도에 맞는 간접구의 작용 온도를 제공해야 한다. 사람의 피부 표면 온도는 일반적으로 28 내지 35℃ 에서 분포한다. 상기 분포를 세 그룹으로 나누면, 28 내지 31℃의 제1 그룹, 31 내지 33℃의 제2 그룹, 33 내지 35℃의 제3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그룹에 따라 두께와 구성이 다른 간접구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그룹에는 제1 간접구를, 제2 그룹에는 제2 간접구를, 제3 그룹에는 제3 간접구를 사용할 수 있다.
피부 표면 온도가 28 내지 31℃인 제1 그룹에 사용되는 제1 간접구는 상층부에 존재하는 제1 단열부가 단열 유리 섬유로만 구성되고, 중간층부에는 외부로 관통하는 구멍이 없으며, 하층부에는 알루미늄 판재층과 단열재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피부 표면 온도가 31 내지 33℃인 제2 그룹에 사용되는 제2 간접구는 상층부에 존재하는 제1 단열부가 단열 섬유층, 알루미늄 판재층 및 단열재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중간층부에는 외부로 관통하는 구멍이 없으며, 하층부에는 알루미늄 판재층과 단열재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피부 표면 온도가 33 내지 35℃인 제3 그룹에 사용되는 제3 간접구는 제2 간접구와 상층부 구성이 동일하며, 중간층부에는 측벽에 지름 4mm 의 구멍을 두 개 포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단열재층은 5mm 두께의 스티로폼 단열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예시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에 적절한 맹검온도에 도달하도록 할 수 있어, 뜸의 의학적 효과를 유효하게 검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7)

  1. 뜸에 사용되는 간접구로서,
    연소 대상물을 수용하는 상층부;
    피부와 대면하여 열을 전달하는 하층부;
    상기 상층부와 상기 하층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층부의 열을 하층부에 미리 지정된 작용 온도만큼 전달하는 중간층부; 및
    단열재를 포함하며 상기 상층부와 상기 중간층부 사이의 열 전달을 감소시키는 제1 단열부
    를 포함하고,
    피험자의 피부 표면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상층부, 상기 하층부, 상기 중간층부, 및 상기 제1 단열부의 두께 및 재질이 선택되고,
    선택된 상기 상층부, 하층부, 중간층부, 및 제1 단열부의 두께 및 재질에 따라 상기 피부 표면 온도에 맞는 상기 작용 온도가 제공되는 간접구.
  2. 제1항에 있어서,
    단열재를 포함하며 상기 하층부와 상기 피부 사이의 열 전달을 감소시키는 제2 단열부
    를 더 포함하는 간접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단열부는,
    단열 유리 섬유, 엠보싱 알루미늄 판재, 실리콘 및 스티로폼 중 적어도 하나
    를 포함하는 간접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부는,
    측벽을 관통하고 지름이 3.5mm 이상 4.5mm이하인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더 포함하는 간접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열부는,
    단열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상층부의 하단에 배치되는 단열 섬유층;
    알루미늄 판재를 포함하고 상기 단열 섬유층 하단에 배치되는 제1 알루미늄 판재층; 및
    실리콘 또는 스티로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알루미늄 판재층 하단에 배치되는 제1 단열재층
    을 포함하는 간접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열부는,
    알루미늄 판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층부에 배치되는 제2 알루미늄 판재층; 및
    실리콘 또는 스티로폼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알루미늄 판재층 하단에 배치되는 제2 단열재층
    을 포함하는 간접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섬유층은 0.1mm 이상 1mm 이하 두께의 단열 유리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알루미늄 판재층은 0.1mm 이상 1mm 이하 두께의 엠보싱 알루미늄 판재
    를 포함하는 간접구.
KR1020170162814A 2017-11-30 2017-11-30 거짓 뜸 장치 KR102126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2814A KR102126112B1 (ko) 2017-11-30 2017-11-30 거짓 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2814A KR102126112B1 (ko) 2017-11-30 2017-11-30 거짓 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3783A KR20190063783A (ko) 2019-06-10
KR102126112B1 true KR102126112B1 (ko) 2020-06-24

Family

ID=66848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2814A KR102126112B1 (ko) 2017-11-30 2017-11-30 거짓 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611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1177A (ja) * 2002-12-02 2004-07-02 Isamu Yoshikado 温灸用容器
KR101087618B1 (ko) * 2009-06-30 2011-11-29 한국 한의학 연구원 이중맹검용 뜸장치
KR101413946B1 (ko) 2012-08-22 2014-07-01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간접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8976A (ko) 2010-05-25 2011-12-01 (주)드림메딕스 다수의 파장대를 가지는 발광소자를 이용한 한방뜸 모사장치
KR101686423B1 (ko) * 2015-02-23 2016-12-19 김부연 불연막을 포함하는 화상방지 뜸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1177A (ja) * 2002-12-02 2004-07-02 Isamu Yoshikado 温灸用容器
KR101087618B1 (ko) * 2009-06-30 2011-11-29 한국 한의학 연구원 이중맹검용 뜸장치
KR101413946B1 (ko) 2012-08-22 2014-07-01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간접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3783A (ko) 2019-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609484U (zh) 远红外线温风机
CN206867425U (zh) 一种可调温限位艾灸盒和艾灸隔垫
CN103222926B (zh) 温灸装置
KR20160038459A (ko) 근적외선 좌훈 찜질패드
KR102126112B1 (ko) 거짓 뜸 장치
KR20130078979A (ko) 비만과 암 치료용 전신온열장치
CN107669481A (zh) 一种艾电透灸理疗装置
CN109701164A (zh) 一种理疗设备
CN106420327A (zh) 一种自主按摩药物熏蒸光疗暖足器
EP3443946B1 (en) Moxibustion box
CN205286920U (zh) 一种无烟式艾灸仪
KR101727929B1 (ko) 건식 습식 겸용 적외선 좌욕기
CN206295449U (zh) 一种自主按摩药物熏蒸光疗暖足器
CN205359958U (zh) 艾灸刮痧按摩器
CN104207929A (zh) 用于下半身的干式水疗装置
CN108030660A (zh) 一种中药熏蒸设备
CN103239358B (zh) 恒温多灸艾疗器
KR101727629B1 (ko) 뜸 기구
CN201701476U (zh) 新型脐疗养生灸炉
CN213852003U (zh) 一种多功能艾灸床理疗罩
KR102624167B1 (ko) 온침 및 온침장치
CN204814829U (zh) 坐靠加手持式冷热熏灸一体机
CN209529674U (zh) 一种使用方便的电热艾灸仪
CN207784422U (zh) 一种护肝艾灸鞋
TWI795318B (zh) 艾灸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