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6239B1 - 수평형 단안식 입체 카메라 - Google Patents

수평형 단안식 입체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6239B1
KR101686239B1 KR1020160083236A KR20160083236A KR101686239B1 KR 101686239 B1 KR101686239 B1 KR 101686239B1 KR 1020160083236 A KR1020160083236 A KR 1020160083236A KR 20160083236 A KR20160083236 A KR 20160083236A KR 101686239 B1 KR101686239 B1 KR 101686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imaging lens
lens assembly
unit
light b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3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표도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연시스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연시스템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연시스템즈
Priority to KR1020160083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62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6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6239B1/ko
Priority to PCT/KR2017/005134 priority patent/WO201800412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2B27/2228
    • G02B27/2264
    • H04N13/0239
    • H04N13/024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39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two 2D image sensors having a relative position equal to or related to the interocular dist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46Calibration of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13/00Details of stereoscopic systems
    • H04N2213/001Constructional or mechanical detail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수평형 단안식 입체 카메라는, 좌ㆍ우안 카메라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대신에 미러 박스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양안 시차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좌ㆍ우안 카메라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는 대신에 제2 결상렌즈 조립체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좌ㆍ우안 카메라의 상 크기를 동일하게 할 수 있으며, 좌ㆍ우안 카메라를 이동 또는 회전시키는 대신에 제1,2 미러의 기울기를 조절함으로써 광축을 제3 결상렌즈 조립체의 높이 및 틸트 값에 맞출 수 있고, 좌ㆍ우안 카메라를 회전시키는 대신에 제1,2 미러를 회전시킴으로써 주시각을 조절하되 제1,2 미러를 동시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Description

수평형 단안식 입체 카메라{Single Lens Camera of horizontal rig type for three dimensional image}
본 발명은 수평형 단안식 입체 카메라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좌ㆍ우안 카메라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대신에 미러 박스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양안 시차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좌ㆍ우안 카메라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는 대신에 제2 결상렌즈 조립체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좌ㆍ우안 카메라의 상 크기를 동일하게 할 수 있으며, 좌ㆍ우안 카메라를 이동 또는 회전시키는 대신에 제1,2 미러의 기울기를 조절함으로써 광축을 제3 결상렌즈 조립체의 높이 및 틸트 값에 맞출 수 있고, 좌ㆍ우안 카메라를 회전시키는 대신에 제1,2 미러를 회전시킴으로써 주시각을 조절하되 제1,2 미러를 동시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수평형 단안식 입체 카메라에 대한 것이다.
입체 카메라는 두 개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피사체의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동시에 획득할 수 있는 카메라로서, 통상적인 입체 카메라는 피사체의 좌안 영상을 획득하는 좌안 카메라, 피사체의 우안 영상을 획득하는 우안 카메라 및, 좌안 카메라와 우안 카메라를 거치하는 입체 카메라 리그를 포함한다.
상기 입체 카메라 리그는 크게 평행 방식(수평형)과 직교 방식으로 구분된다. 수평형 입체 카메라 리그는 좌안 카메라와 우안 카메라를 피사체를 향해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일정한 거리를 이격시켜 거치하는데, 좌안 카메라와 우안 카메라가 각각 피사체의 광을 수광하여 영상을 획득할 수 있게 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41909호는 수평형 입체 카메라 리그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입체 카메라 리그는 양안식인데, 양안시차를 조절하기 위해서 좌,우안 카메라를 좌,우로 직선 이동시키고 주시각을 조절하기 위해서 좌,우안 카메라를 회전시키는 구성을 갖고 있다.
그러나, 상기 입체 카메라 리그는 직선 이동과 회전을 위한 구조가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실제 촬영 현장에서 적용하기가 어렵고, 장비가 고가(高價)라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입체 카메라 리그는 양안식이므로 단안식에는 적용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도 있다.
한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214855호는 직교 방식의 단안식 입체 카메라 리그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단안식 입체 카메라 리그는 좌안 카메라와 우안 카메라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두 카메라 모두를 조절모듈에 장착하고, 조절모듈을 이용하여 양안시차와 주시각을 조절한다. 즉, 상기 조절모듈은 장착된 카메라를 직선 이동시켜 양안시차(d)를 조절하는 기능과 장착된 카메라를 회전시켜 주시각을 조절하는 기능을 함께 수행한다.
그러나, 상기 조절모듈을 이용한 양안시차 조절 및 주시각의 조절은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촬영 현장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많다. 또한, 상기 조절모듈은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제작이 어렵고 그 제작비용이 매우 비싸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양안 시차와 주시각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좌,우안 카메라의 상 크기를 용이하게 같게 할 수 있으며, 광축과 좌,우안 카메라의 높이와 틸팅값을 용이하게 맞출 수 있는, 수평형 단안식 입체 카메라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좌ㆍ우안 카메라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대신에 미러 박스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양안 시차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좌ㆍ우안 카메라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는 대신에 제2 결상렌즈 조립체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좌ㆍ우안 카메라의 상 크기를 동일하게 할 수 있으며, 좌ㆍ우안 카메라를 회동시키는 대신에 제1,2 미러의 기울기를 조절함으로써 광축을 제3 결상렌즈 조립체의 높이 및 틸트 값에 맞출 수 있고, 좌ㆍ우안 카메라를 회전시키는 대신에 제1,2 미러를 회전시킴으로써 주시각을 조절하되 제1,2 미러를 동시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수평형 단안식 입체 카메라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고 있다.
본 출원인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수평형 단안식 입체 카메라를 개발하였는데, [과제의 해결 수단]에서는 그 원리만을 설명하고 그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수평형 단안식 입체 카메라(100)는,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를 통과한 광선 중의 일부는 반사하고 나머지는 통과시키는 하프 미러(H)를 포함하는 미러 박스(20); 하프 미러(H)에 의해 반사된 광선과 하프 미러(H)를 통과한 광선이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광선을 반사하는 제1,2 미러(31)(41); 하프 미러(H)에 의해 반사된 광을 결상하는 제3 결상렌즈 조립체(61); 하프 미러(H)를 통과한 광을 결상하고, 제3 결상렌즈 조립체(61)와 평행하게 설치된 제3 결상렌즈 조립체(71); 및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를 통과한 상을 확대하고 제3 결상렌즈 조립체(61)(71)의 초점 위치를 앞당기는 역할을 함으로써 제1 결상렌즈(10)의 뒤쪽에 맺힌 상을 최종 확대하여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제2 결상렌즈 조립체(51)(52);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제2 결상렌즈 조립체(51)(52)는 하프 미러(H)와 제3 결상렌즈 조립체(61)(71) 사이에 설치되거나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와 하프 미러(H)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이 때, 제2 결상렌즈 조립체가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와 하프 미러(H) 사이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하나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3 결상렌즈 조립체(61)(71)가 근접 확대 촬영이 가능한 마크로 렌즈인 경우에는 제2 결상렌즈 조립체(51)(52)가 구비되거나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3 결상렌즈 조립체(61)(71)가 일반적인 망원 계열의 렌즈인 경우, 제3 결상렌즈 조립체(61)(71)는 제2 결상렌즈 조립체(51)(52)와 조합되어 마크로 렌즈 역할을 함으로써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를 통과한 상을 최종 확대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조리개(62)(72)는 제3 결상렌즈 조립체(61)(71)에 설치되고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에는 설치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조리개가 설치된 렌즈를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로 사용하더라도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에 설치된 조리개는 개방된 상태에서 촬영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수평형 단안식 입체 카메라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좌,우안 카메라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대신에 미러 박스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양안 시차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둘째, 좌,우안 카메라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는 대신에 제2 결상렌즈 조립체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좌,우안 카메라의 상 크기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셋째, 좌,우안 카메라를 이동시키거나 회전시키는 대신에 제1,2 미러의 기울기를 조절함으로써 광축을 제3 결상렌즈 조립체의 높이 및 틸트 값에 맞출 수 있다.
넷째, 좌,우안 카메라를 회전시키는 대신에 제1,2 미러를 회전시킴으로써 주시각을 조절하되 제1,2 미러를 동시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평형 단안식 입체 카메라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입체 카메라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a는 도 1의 입체 카메라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케이스의 일부를 제거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1의 입체 카메라에 구비된 미러 박스와 슬라이딩 유닛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슬라이딩 유닛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3의 A-A' 단면도.
도 6은 도 3의 B-B' 단면도.
도 7은 도 1의 입체 카메라에 구비된 제1,2 미러 유닛과 회전수단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도 1의 입체 카메라에 구비된 제1,2 미러 유닛과 회전수단을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제1,2 미러 유닛을 뒤에서 바라본 도면.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제1,2 미러 유닛의 종단면도.
도 10은 도 9의 C 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11은 도 9의 D 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12는 도 1의 입체 카메라에 구비된 제2 결상렌즈 조립체와 우안 카메라 및 고니오 스테이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고니오 스테이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4는 도 1의 입체 카메라에 구비된 제2 결상렌즈 조립체와 좌안 카메라 및 고니오 스테이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평형 단안식 입체 카메라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수평형 단안식 입체 카메라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수평형 단안식 입체 카메라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과제의 해결 수단]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카메라는 근접 촬영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제1 결상렌즈 조립체에 사용 가능한 렌즈의 선택 폭을 넓힐 수 있는 구성과 효과 등을 갖는다. 그러나, 아래에서는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에서 설명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 결상렌즈 조립체'는 하나의 렌즈로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두 개 이상의 렌즈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1. 양안시차를 용이하게 조절하기 위한 구성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평형 단안식 입체 카메라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a는 케이스의 일부를 제거한 상태의 입체 카메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입체 카메라(100)는 케이스와,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와,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의 후방에 설치된 하프 미러(H)를 포함하는 미러 박스(20)와, 미러 박스(20)를 전후 방향(±x 방향)로 이동시키기 위한 슬라이딩 유닛(24)과, 하프 미러(H)에 의해 반사된 광선을 후방으로 반사하는 제1 미러 유닛(30)과, 제1 미러 유닛(30)에 의해 반사된 광 경로상에 설치된 제2 결상렌즈 조립체(51)와 우안 카메라(60), 하프 미러(H)를 통과한 광선을 후방으로 반사하는 제2 미러 유닛(40)과, 제2 미러 유닛(40)에 의해서 반사된 광 경로상에 설치된 제2 결상렌즈 조립체(52)와 좌안 카메라(70) 및, 제1,2 미러 유닛(30)(40)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수단을 포함한다. 입체 카메라(100)의 상기 구성 요소들은 도 1과 같은 배치를 갖는다.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는 케이스의 전면 패널(2)에 설치된다.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는 피사체(1)로부터 입사된 광을 수렴시킨다.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는 교환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촬영 목적, 피사체(1)의 종류, 피사체(1)까지의 거리 등을 고려하여 적합한 렌즈를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다.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를 통과한 광선은 미러 박스(20)에 입사된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미러 박스(20)는 고정틀(21)과, 고정틀(21)에 수직으로 설치된 하프 미러(H)와, 하프 미러(H)와 수직이 되도록 설치된 미러(M)를 포함한다.
고정틀(21)은 하프 미러(H)와 미러(M)가 설치된 부분 및 미러(M)에 의해 반사된 광선의 경로가 되는 부분이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하프 미러(H)에 의해 반사된 광선은 제1 미러(31)로 진행하고(제1 광 경로), 하프 미러(H)를 통과한 광선은 미러(M)에 의해 반사된 후 제2 미러(41)로 진행한다(제2 광 경로).
미러 박스(20)는 슬라이딩 유닛(24)에 의해서 전후 방향(±x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양안 시차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미러 박스(2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면 제1,2 미러(31)(41)에 의해 좌,우의 광축 간격이 넓어지거나 좁아지므로 양안 시차가 조절될 수 있다.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존의 입체 카메라는 양안 시차를 조절하기 위해서 좌안 카메라 및/또는 우안 카메라 자체를 이동시켰고, 이에 따라 그 구조가 복잡하고 양안 시차 조절이 매우 어려웠다. 이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카메라(100)는, 좌,우안 카메라(60)(70)를 그대로 둔 상태에서 미러 박스(20)만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양안 시차를 조절할 수 있다.
도 3~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슬라이딩 유닛(24)은 상부 블록(27)과, 상부 블록(27)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부 블록(27)에 결합된 하부 블록(25)과, 하부 블록(25)을 밀어서 직선 이동시키는 스크류 게이지(28) 및, 상부 블록(27)과 하부 블록(25)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27b)를 포함한다.
상부 블록(27)은 케이스의 상부 패널(3)에 고정되도록 결합되고, 하부 블록(25)에는 미러 박스(20)의 윗면이 결합된다. 그리고, 상,하부 블록(27)(25)은 레일 구조(27a)에 의해 직선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한편, 슬라이딩 유닛(24)은, 미러 박스(20)의 위가 아니라, 미러 박스(20)의 아래에 설치될 수도 있다. 즉, 상부 블록(27)이 케이스의 바닥 패널(4)에 결합되고, 하부 블록(25)이 상부 블록(27)의 위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며, 하부 블록(25)의 위에는 미러 박스(20)의 아랫면이 결합될 수도 있다.
하부 블록(25)의 측면에는 가압판(26a)이 설치되고, 가압판(26a)에는 x 방향의 장공(26b)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측면에는 볼트 구멍(25b)이 형성되고, 볼트 구멍(25b)에는 노브(26)가 나사 결합되는데, 노브(26)가 정회전되어 가압판(26a)을 가압하면 상,하부 블록(27)(25)이 서로 고정되고 노브(26)가 역회전되어 상기 가압이 해제되면 하부 블록(25)의 슬라이딩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양안시차 조절이 필요한 경우, 하부 블록(25)을 슬라이딩시킨 후 노브(26)를 회전시켜 상,하부 블록(27)(25)을 고정시킨다. 한편, 슬라이딩 유닛(24)이 바닥 패널(4)에 결합된 경우에도 동일한 원리로 상,하부 블록(27)(25)이 고정된다.
스크류 게이지(28)는 상부 블록(27)에 설치된다. 스크류 게이지(28)는 심블 및, 심블의 회전에 의해 직선으로 이동되는 스핀들을 포함한다. 스크류 게이지(28)는 스핀들이 매우 정밀하게 이동될 수 있기 때문에 마이크로미터 등에 사용되고 있고, 그 구조는 이미 공지되어 있다. 따라서, 스크류 게이지(28)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탄성부재(27b)는,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하부 블록(27)(25) 사이에서 상,하부 블록(27)(25)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는데, 상,하부 블록(27)(25)을 서로의 방향으로 당기는 탄성력을 인가한다. 따라서, 탄성부재(27b)에 의해서 스크류 게이지(28)의 선단이 돌출부(25a)에 항상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스크류 게이지(28)가 하부 블록(25)을 정밀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2. 제1,2 미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주시각 조절을 위한 구성)
하프 미러(H)에 의해 반사된 광선은 제1 미러(31)로 진행한 후 제1 미러(31)에 의해 반사되어 제2,3 결상렌즈 조립체(51)(61)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촬상면(63)에 도달하고(제1 광 경로), 하프 미러(H)를 통과한 광선은 미러(M)에 의해 반사되고 제2 미러(41)로 진행한 후 제2 미러(41)에 의해 반사되어 제2,3 결상렌즈 조립체(52)(71)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촬상면(73)에 도달한다(제2 광 경로).
본 발명에서는 주시각을 조절하기 위해서, 좌,우안 카메라 자체를 회전(또는 회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제1,2 미러유닛(30)(40)을 회전시킨다. 따라서, 주시각 조절을 위한 구성이 기존 입체 카메라에 비해 단순하고 효율적이다.
도 7과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2 미러유닛(30)(40)은 케이스의 바닥 패널(4)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지지대(32)와, 지지대(32)에 설치된 고정부와, 고정부에 설치된 제1 미러(31) 또는 제2 미러(41)와, 지지대(32)에 측방향으로 돌출도록 형성된 돌출부(39)를 포함한다.
고정부는 지지대(32)에 세로로 설치된 서포트 패널(33)과, 서포트 패널(33)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설치된 받침대(35)(36)와, 받침대(35)(36)에 지지되어 서포트 패널(33)에 설치되는 제1 미러(31) 또는 제2 미러(41)와, 받침대(35)(36)를 서포트 패널(33)에 결합시키는 볼트(37)와, 서포트 패널(33)의 상,하단에 각각 설치되는 탄성수단(38)을 포함한다.
돌출부(39)는 지지대(32)의 측면에 'ㄷ'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돌출된 부분이다. 돌출부(39)에는 회전용 봉(81)이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된다. 돌출부(39)는 탄성 스프링(83)의 미는 힘에 의해 항상 계단턱(82)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제1,2 미러유닛(30)(40)은 회전수단에 의해서 회전(또는 회동)될 수 있다. 회전수단은 회전용 봉(81)과, 회전용 봉(81)의 양쪽 단부에 설치된 탄성 스프링(83)과, 바닥 패널(4)에 설치된 너트부재(85)를 포함한다.
회전용 봉(81)은 제1 미러유닛(30)에서부터 제2 미러유닛(40)까지 연장된다. 따라서, 회전용 봉(81)의 한쪽 단부는 제1 미러유닛(30)에 대응되고, 회전용 봉(81)의 다른쪽 단부는 제2 미러유닛(40)에 대응된다.
그리고, 회전용 봉(81)의 양쪽 끝단은 베어링(84)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회전용 봉(81)의 가운데 부분은 너트 부재(85)에 삽입된다. 회전용 봉(81)의 적어도 일부분,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운데 부분의 외주면에는 나사산(도면에 미도시)이 형성되고, 너트 부재(85)의 내주면에는 상기 나사산과 나사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서 회전용 봉(81)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회전용 봉(81)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된다.
회전용 봉(81)의 양쪽 단부에는 계단턱(82)과 탄성 스프링(83)이 구비된다. 계단턱(82)은 돌출부(39)와 대응되는 곳에 형성되고, 탄성 스프링(83)은 돌출부(39)가 항상 계단턱(82)에 밀착되도록 미는 힘을 인가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돌출부(39)는 탄성 스프링(83)과 계단턱(82) 사이에서 계단턱(82)에 항상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이에 따라 회전용 봉(81)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면 돌출부(39)도 함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1,2 미러유닛(30)(40)이 정밀하게 회전(또는 회동)하게 된다.
이 때, 제1,2 미러유닛(30)(40)은 회전용 봉(81)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편에 위치하므로 제1,2 미러유닛(30)(40)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회동)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회전용 봉(81)을 회전시켜 우측(도 7의 +y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제1 미러유닛(30)은 z축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도 7의 AR1)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2 미러유닛(40)은 z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도 7의 AR2)으로 회전하게 되어 주시각이 근접하게 된다(컨버전스 포인트가 근접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회전용 봉(81)을 회전시켜 좌측(도 7의 -y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제1 미러유닛(30)은 z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2 미러유닛(40)은 z축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주시각이 멀어지게 된다(컨버전스 포인트가 원거리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나의 회전용 봉(81)을 이동시키면 두 개의 미러 유닛(30)(40)을 한꺼번에 동시에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주시각 조절을 쉽고 빠르게 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하나의 회전수단(하나의 회전용 봉)이 제1,2 미러유닛(30)(40)을 모두 회전시키는 구성을 설명하였으나, 제1,2 미러유닛(30)(40)이 각각의 회전수단(회전용 봉)을 구비하고 각 회전수단(회전용 봉)이 해당 미러 유닛(30)(40)만을 회전시킬 수도 있는데, 이러한 구성은 제1,2 미러유닛(30)(40)을 분리해서 회전(서로 다른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3. 제1,2 미러의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
기존에는 제3 결상렌즈 조립체(61)(71)의 높이와 틸팅 값을 조절하기 위해서 좌,우안 카메라의 높이와 기울기를 조절하였는데, 이러한 기존의 구성은 구조가 매우 복잡해지고 장비 가격이 비싸지며 조절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비해, 본 발명에서는 제1,2 미러(31)(41)의 기울기를 조절함으로써 광축이 제3 결상렌즈 조립체(61)(71)의 높이와 틸팅 값에 맞도록 하는데, 이러한 구성은 구조가 매우 단순해지고 장비가 저렴해지며 그 조절이 용이해진다는 장점을 갖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부는 지지대(32)에 세로로 설치된 서포트 패널(33)과, 서포트 패널(33)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설치된 받침대(35)(36)와, 받침대(35)(36)에 지지되어 서포트 패널(33)에 설치되는 제1 미러(31) 또는 제2 미러(41)와, 받침대(35)(36)를 서포트 패널(33)에 결합시키는 볼트(37)와, 서포트 패널(33)의 상,하단에 각각 설치되는 탄성수단(38)을 포함한다.
도 9 ~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서포트 패널(33)의 상단과 하단에는 제1 볼트공(33a)과 홈(33b)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볼트공(33a)은 제2 볼트공(35a)과 대응되도록 위치하고, 홈(33b)에는 탄성수단(38)이 설치된다. 탄성수단(38)은 제1 미러(31) 또는 제2 미러(41)를 바깥쪽으로 밀어내는 힘을 인가하는데, 스폰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받침대(35)(36)는 제1 미러(31) 또는 제2 미러(41)를 지지하도록 서포트 패널(33)의 상,하단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받침대(35)(36)에는 제2 볼트공(35a)이 형성되어 있는데, 볼트(37)가 제2 볼트공(35a)을 관통하여 제1 볼트공(33a)에 체결되는 것에 의해서 받침대(35)(36)가 서포트 패널(33)에 체결된다.
이 때, 탄성수단(38)으로 인해서 받침대(35)(36)와 서포트 패널(33) 사이에는 간격이 존재하는데, 볼트(37)가 제1 볼트공(33a)에 체결되는 깊이를 조절하면 제1,2 미러(31)(41)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단 볼트(37)의 체결 깊이 보다 하단 볼트(37)의 체결 깊이를 얕게 하면 제1,2 미러(31)(41)가 후방으로 기울어지고, 상단 볼트(37)의 체결 깊이 보다 하단 볼트(37)의 체결 깊이를 깊게 하면 제1,2 미러(31)(41)가 앞쪽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한편, 도 7과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하단의 받침대(36)에는 받침대(36)의 양측에 볼트(37)가 각각 체결되고 상단의 받침대(35)에는 받침대(35)의 중앙에만 볼트(37)가 체결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하단 받침대(36)의 두 볼트(37)의 체결 깊이를 다르게 함으로써 제1,2 미러(31)(41)의 측방향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4. 좌,우안 카메라의 상 크기를 동일하게 하는 구성
기존에는 좌,우안 카메라의 상 크기를 동일하게 하기 위해 좌안 카메라 및/또는 우안 카메라를 직접 이동시켰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은 구조가 매우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비해, 본 발명에서는 좌,우안 카메라를 그대로 둔 상태에서 제2 결상렌즈 조립체(51)를 직선 이동시킴으로써 상 크기를 동일하게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미러(31)에 의해서 반사된 광선은 제2 결상렌즈 조립체(51)와 제3 결상렌즈 조립체(61)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촬상면(63)에 도달하고(제1 광 경로), 제2 미러(41)에 의해서 반사된 광선은 제2 결상렌즈 조립체(52)와 제3 결상렌즈 조립체(71)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촬상면(73)에 도달(제2 광 경로)하는데, 제2,3 결상렌즈 조립체(52)(71) 사이의 간격은 그대로 둔 상태에서 제2 결상렌즈 조립체(51)를 제3 결상렌즈 조립체(61)에 대해 전,후로 이동시킴으로써 좌,우안 카메라의 상 크기를 동일하게 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제2 광경로 상에 있는 제2 결상렌즈 조립체(52)와 좌안 카메라(제3 결상렌즈 조립체와 조리개 및 촬상면 등으로 이루어짐) 및 우안 카메라(제3 결상렌즈 조립체와 조리개 및 촬상면 등으로 이루어짐)를 그대로 둔 상태에서 제1 광 경로상에 있는 제2 결상렌즈 조립체(51)만을 전후 방향(±x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 크기를 동일하게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카메라(100)는,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지지부재(55)와 렌즈 고정부재(57)를 포함한다.
지지부재(55)는 제1 광 경로상에서 바닥패널(4)에 수직으로 설치된다. 지지부재(55)는 원형의 관통공을 가지고, 관통공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재(55)는 렌즈 고정부재(57)가 전,후 방향(±x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간격 여유를 가질 수 있도록 우안 카메라(60)의 선단과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렌즈 고정부재(57)는 제2 결상렌즈 조립체(51)를 그 내부에 고정하는 링 형상의 부재로서, 그 외주면에는 상기 나사산과 형합하는 나사산(57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나사산들이 나사 결합되도록 렌즈 고정부재(57)가 상기 관통공에 설치되고, 렌즈 고정부재(57)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에 의해 제2 결상렌즈 조립체(51)가 전후 방향(±x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제2,3 결상렌즈 조립체(51)(61) 사이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지지부재(55)와 렌즈 고정부재(57)가 제1 광 경로상에만 설치된 것을 설명하였으나, 지지부재(55)와 렌즈 고정부재(57)가 제2 광 경로상에만 설치되거나 제1,2 광 경로에 모두 설치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점은 본 명세서를 참조한 당업자가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참고로, 제2 결상렌즈 조립체(51)(52)는 제3 결상렌즈 조립체(61)(71)와 조합되어 초점 위치를 근접하도록 하는 역할과, 색수차 및 상면만곡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제3 결상렌즈 조립체(61)는 하프 미러(H)에 의해 반사된 광을 결상시키고, 제3 결상렌즈 조립체(71)는 하프 미러(H)를 통과한 광을 결상시킨다.
제3 결상렌즈 조립체(61)(71)는 베이스 렌즈로서, 근접 확대 촬영이 가능한 마크로 렌즈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결상렌즈 조립체(61)(71)에 마크로 렌즈를 사용하여 확대 배율이 충분할 경우에는 제2 결상렌즈 조립체(51)(52)를 없앨 수도 있다.
제3 결상렌즈 조립체(61)(71)에 망원 계열의 렌즈가 사용되는 경우, 제3 결상렌즈 조립체(61)(71)는 제2 결상렌즈 조립체(51)(52)와 조합되어 마크로 렌즈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된다.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로서 다양한 렌즈가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제1 결상렌즈 조립체(10)의 후방에 생긴 가상의 상을 제2 결상렌즈 조립체(51)(52)와 제3 결상렌즈 조립체(61)(71)를 이용하여 확대하여 촬영하는 방식이 바람직하다.
5. 우안 카메라의 롤링을 조절하기 위한 구성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카메라(100)는 우안 카메라(60)의 롤링을 조절함으로써 좌,우안 영상을 일치시킨다. 구체적으로, 도 12 ~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안 카메라(60)는 고니오 스테이지(90) 위에 설치되고, 고니오 스테이지(90)와 우안 카메라(60)는 체결 링(91)에 의해서 서로 결합되어 있다.
고니오 스테이지(90)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234346호 등에 그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손잡이(94)를 돌리면 이동 스테이지(93)가 베이스 스테이지(92)에 대해 슬라이딩되면서 x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이에 따라 우안 카메라(60)도 x축을 중심으로 회전(롤링)될 수 있다. 우안 카메라(60)를 원하는 각도만큼 회전시킨 후에는 고정 노브(95)를 이용해서 이동 스테이지(93)를 고정시킨다.
도면에는 우안 카메라(60)에만 롤링 조절수단이 구비되고 좌안 카메라(70)에는 롤링 조절수단이 구비되지 않은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좌,우안 카메라(60)(70)에 모두 롤링 조절수단이 구비되거나 좌안 카메라(70)에만 롤링 조절수단이 구비될 수도 있다.
6. 좌안 카메라의 틸팅을 조절하기 위한 구성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카메라(100)는 좌안 카메라(70)의 틸팅을 조절하기 위한 구성을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 도 1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좌안 카메라(70)는 고니오 스테이지(90) 위에 설치되고, 고니오 스테이지(90)와 좌안 카메라(70)는 체결 링(91)에 의해서 서로 결합되어 있다.
고니오 스테이지(90)는 도 13의 고니오 스테이지(90)와 동일하지만, 그 설치방향이 다르다. 즉, 도 14에서는 이동 스테이지(93)가 y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고니오 스테이지(90)가 배치된다. 따라서, 도 14에서 이동 스테이지(93)가 y축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제2 결상렌즈 조립체(52)가 아래로 회전되고, 이동 스테이지(93)가 y축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제2 결상렌즈 조립체(52)가 위로 회전된다.
도면에는 좌안 카메라(70)에만 틸팅 조절수단이 구비되고 우안 카메라(60)에는 틸팅 조절수단이 구비되지 않은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좌,우안 카메라(70)(60)에 모두 틸팅 조절수단이 구비되거나 우안 카메라(60)에만 틸팅 조절수단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입체 카메라를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렌즈와 미러 박스 등의 구성을 약간씩 바꾸어서 구현할 수도 있는데, 아래에서는 이 점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7. 본 발명의 제2~4 실시예
도 15 ~ 17의 도면 참조부호 중에서 도 1 ~ 14의 도면 참조부호와 동일한 것은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평형 단안식 입체 카메라의 구성을 보여준다.
상기 입체 카메라(200)는 제2 결상렌즈 조립체(51)가 하프 미러(H)의 앞쪽에 위치한다는 점을 제외하면 입체 카메라(100)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1 실시예의 구성 중 '4. 좌,우안 카메라의 상 크기를 동일하게 하는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1~3, 5~6)이 입체 카메라(200)에도 구비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수평형 단안식 입체 카메라의 구성을 보여준다.
상기 입체 카메라(300)는 미러 박스(20)에 하프 미러(H)만 구비되고 미러(M)가 없다는 점과, 제2 미러(41)가 없다는 점을 제외하면 입체 카메라(100)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1 실시예의 구성 1~6이 입체 카메라(300)에도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입체 카메라(300)에는 제2 미러(41)가 없으므로 제2 미러(41)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 및 제2 미러(41)의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이 필요하지 않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수평형 단안식 입체 카메라의 구성을 보여준다.
상기 입체 카메라(400)는 제2 결상렌즈 조립체(51)가 하프 미러(H)의 앞쪽에 위치한다는 점을 제외하면 입체 카메라(300)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3 실시예의 구성 중 '4. 좌,우안 카메라의 상 크기를 동일하게 하는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1~3, 5~6)이 입체 카메라(400)에도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제2~4 실시예를 구현하는 입체 카메라(200)(300)(400)의 구체적인 구성은 본 명세서를 참조한 당업자가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1 : 피사체 10 : 제1 결상렌즈 조립체
20 : 미러 박스 24 : 슬라이딩 유닛
30 : 제1 미러 유닛 31 : 제1 미러
40 : 제2 미러 유닛 41 : 제2 미러
51, 52 : 제2 결상렌즈 조립체 60 : 우안 카메라
61, 71 : 제3 결상렌즈 조립체 70 : 좌안 카메라
81 : 회전용 봉 90 : 고니오 스테이지
100, 200, 300, 400 : 수평형 단안식 입체 카메라
H : 하프 미러 M : 미러

Claims (10)

  1. 케이스;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광축상에 배열된 제1,2,3 결상렌즈 조립체;
    제1 결상렌즈 조립체 또는 제1,2 결상렌즈 조립체를 통과한 광선을 하프 미러(H)를 통과하는 광선과 하프 미러(H)에 의해 반사된 광선으로 분리하는 미러 박스(20); 및,
    제3 결상렌즈 조립체에 대해 미러 박스(20)를 직선 이동시키는 슬라이딩 유닛(24);을 포함하고,
    광선은 제1,2,3 결상렌즈 조립체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며,
    좌,우안 카메라(70)(60)를 대신하여 슬라이딩 유닛(24)이 미러 박스(20)를 직선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양안 시차가 조절되고, 슬라이딩 유닛(24)이 케이스의 상부 패널(3) 또는 바닥 패널(4)에 설치되며, 슬라이딩 유닛(24)이 상부 패널(3)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미러 박스(20)의 윗면이 슬라이딩 유닛(24)에 결합되고, 슬라이딩 유닛(24)이 바닥 패널(4)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미러 박스(20)의 아랫면이 슬라이딩 유닛(24)에 결합되며,
    하프 미러(H)에 의해서 반사된 광선을 후방으로 반사하는 제1 미러유닛(30);
    하프 미러(H)를 통과한 광선을 후방으로 반사하는 제2 미러유닛(40); 및
    제1,2 미러유닛(30)(40)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포함하고,
    제1,2 미러유닛(30)(40)은,
    케이스의 바닥 패널(4)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지지대(32); 및,
    지지대(32)에 설치되고, 제1 미러(31) 또는 제2 미러(41)를 고정하는 고정부;
    지지대(32)에 측방향으로 돌출도록 형성된 돌출부(39)를 포함하며,
    회전수단은,
    베어링(84)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돌출부(39)와 대응하는 곳에는 계단턱(82)이 형성된 회전용 봉(81);
    회전용 봉(81)의 단부에 설치되고 돌출부(39)가 항상 계단턱(82)에 밀착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 스프링(83) 및,
    바닥 패널(4)에 설치되고 그 내부면에는 회전용 봉(81)의 나사산과 나사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너트부재(85);를 포함하고,
    회전용 봉(81)의 나사산과 너트부재(85)의 나사산이 나사 결합되도록 회전용 봉(81)이 너트부재(85)에 설치되며, 회전용 봉(81)의 회전에 의해서 회전용 봉(81)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되면 탄성 스프링(83)에 의해서 돌출부(39)가 계단턱(82)에 밀착된 상태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여 제1 미러유닛(30) 또는 제2 미러유닛(40)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형 단안식 입체 카메라.
  2. 제1항에 있어서,
    슬라이딩 유닛(24)은,
    케이스의 상부 패널(3) 또는 바닥 패널(4)에 결합된 상부 블록(27);
    상부 블록(27)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부 블록(27)에 결합되고, 상부 블록(27)과 결합된 면의 반대쪽 면에는 미러 박스(20)가 결합된 하부 블록(25);
    하부 블록(25)을 밀어서 직선 이동시키는 스크류 게이지(28); 및,
    상부 블록(27)과 하부 블록(25) 사이에 설치되고, 하부 블록(25)과 스크류 게이지(28)가 밀착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27b);를 포함하고,
    스크류 게이지(28)가 하부 블록(25)을 밀어서 이동시키면 미러 박스(20)도 함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형 단안식 입체 카메라.
  3. 제1항에 있어서,
    하나의 회전용 봉(81)이 길게 연장되도록 설치되고, 회전용 봉(81)의 양측 단부에 제1,2 미러유닛(30)(40)이 설치되되 회전용 봉(81)을 중심으로 반대측에 설치되고,
    회전용 봉(81)의 양측 단부에는 계단턱(82)이 각각 형성되고 탄성 스프링(83)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양측 단부의 계단턱(82)은 제1 미러유닛(30)의 돌출부(39)와 제2 미러유닛(40)의 돌출부(39)에 각각 대응되고,
    회전용 봉(81)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되면 제1,2 미러유닛(30)(40)이 동시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형 단안식 입체 카메라.
  4. 하프 미러(H)에 의해서 반사된 광선은 제1 광 경로를 따라 진행하고 하프 미러(H)를 통과한 광선은 제2 광 경로를 따라 진행하는 단안식 입체 카메라에 있어서,
    제1 광 경로상에 설치된 제2 결상렌즈 조립체(51)와 제3 결상렌즈 조립체(61);
    제2 광 경로상에 설치된 제2 결상렌즈 조립체(52)와 제3 결상렌즈 조립체(71); 및,
    제1,2 광 경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광 경로상에 설치되고, 원형의 관통공을 가지며, 관통공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지지부재(55);를 포함하고,
    지지부재(55)가 설치되어 있는 광 경로상의 제2 결상렌즈 조립체는 렌즈 고정부재(57)에 설치되고, 렌즈 고정부재(57)의 외주면에는 상기 나사산과 나사결합되는 나사산(57a)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산들이 나사 결합되도록 렌즈 고정부재(57)가 상기 관통공에 설치되고, 렌즈 고정부재(57)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에 의해 제2 결상렌즈 조립체와 제3 결상렌즈 조립체 사이의 거리가 조절되고 이에 따라 좌안 카메라(70)와 우안 카메라(60)의 상 크기가 동일하게 되고,
    하프 미러(H)에 의해서 반사된 광선을 후방으로 반사하는 제1 미러유닛(30);
    하프 미러(H)를 통과한 광선을 후방으로 반사하는 제2 미러유닛(40) 및
    제1,2 미러유닛(30)(40)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포함하고,
    제1,2 미러유닛(30)(40)은,
    케이스의 바닥 패널(4)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지지대(32); 및,
    지지대(32)에 설치되고, 제1 미러(31) 또는 제2 미러(41)를 고정하는 고정부;
    지지대(32)에 측방향으로 돌출도록 형성된 돌출부(39);를 포함하며,
    회전수단은,
    베어링(84)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돌출부(39)와 대응하는 곳에는 계단턱(82)이 형성된 회전용 봉(81);
    회전용 봉(81)의 단부에 설치되고 돌출부(39)가 항상 계단턱(82)에 밀착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 스프링(83); 및,
    바닥 패널(4)에 설치되고 그 내부면에는 회전용 봉(81)의 나사산과 나사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너트부재(85);를 포함하고,
    회전용 봉(81)의 나사산과 너트부재(85)의 나사산이 나사 결합되도록 회전용 봉(81)이 너트부재(85)에 설치되며, 회전용 봉(81)의 회전에 의해서 회전용 봉(81)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되면 탄성 스프링(83)에 의해서 돌출부(39)가 계단턱(82)에 밀착된 상태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여 제1 미러유닛(30) 또는 제2 미러유닛(40)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형 단안식 입체 카메라.
  5. 케이스;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광축상에 배열된 제1,2,3 결상렌즈 조립체;
    제1 결상렌즈 조립체 또는 제1,2 결상렌즈 조립체를 통과한 광선을 하프 미러(H)를 통과하는 광선과 하프 미러(H)에 의해 반사된 광선으로 분리하는 미러 박스(20); 및,
    제3 결상렌즈 조립체에 대해 미러 박스(20)를 직선 이동시키는 슬라이딩 유닛(24);을 포함하고,
    광선은 제1,2,3 결상렌즈 조립체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며,
    좌,우안 카메라(70)(60)를 대신하여 슬라이딩 유닛(24)이 미러 박스(20)를 직선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양안 시차가 조절되고, 슬라이딩 유닛(24)이 케이스의 상부 패널(3) 또는 바닥 패널(4)에 설치되며, 슬라이딩 유닛(24)이 상부 패널(3)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미러 박스(20)의 윗면이 슬라이딩 유닛(24)에 결합되고, 슬라이딩 유닛(24)이 바닥 패널(4)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미러 박스(20)의 아랫면이 슬라이딩 유닛(24)에 결합되며,
    하프 미러(H)에 의해서 반사된 광선을 후방으로 반사하는 제1 미러유닛(30); 및,
    제1 미러유닛(30)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포함하고,
    하프 미러(H)를 통과한 광선은 미러(M)와 제2 미러유닛(40)에 의해 순차적으로 반사되어 제3 결상렌즈 조립체(71)에 도달하거나 하프 미러(H)를 통과한 후 미러(M)와 제2 미러유닛(40)에 의한 반사없이 제3 결상렌즈 조립체(71)에 도달하며,
    제1 미러유닛(30)은,
    케이스의 바닥 패널(4)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지지대(32); 및,
    지지대(32)에 설치되고, 제1 미러(31)를 고정하는 고정부;
    지지대(32)에 측방향으로 돌출도록 형성된 돌출부(39);를 포함하며,
    회전수단은,
    베어링(84)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돌출부(39)와 대응하는 곳에는 계단턱(82)이 형성된 회전용 봉(81);
    회전용 봉(81)의 단부에 설치되고 돌출부(39)가 항상 계단턱(82)에 밀착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 스프링(83) 및,
    바닥 패널(4)에 설치되고 그 내부면에는 회전용 봉(81)의 나사산과 나사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너트부재(85);를 포함하고,
    회전용 봉(81)의 나사산과 너트부재(85)의 나사산이 나사 결합되도록 회전용 봉(81)이 너트부재(85)에 설치되며, 회전용 봉(81)의 회전에 의해서 회전용 봉(81)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되면 탄성 스프링(83)에 의해서 돌출부(39)가 계단턱(82)에 밀착된 상태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여 제1 미러유닛(30)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형 단안식 입체 카메라.
  6. 하프 미러(H)에 의해서 반사된 광선은 제1 광 경로를 따라 진행하고 하프 미러(H)를 통과한 광선은 제2 광 경로를 따라 진행하는 단안식 입체 카메라에 있어서,
    제1 광 경로상에 설치된 제2 결상렌즈 조립체(51)와 제3 결상렌즈 조립체(61);
    제2 광 경로상에 설치된 제2 결상렌즈 조립체(52)와 제3 결상렌즈 조립체(71); 및,
    제1,2 광 경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광 경로상에 설치되고, 원형의 관통공을 가지며, 관통공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지지부재(55);를 포함하고,
    지지부재(55)가 설치되어 있는 광 경로상의 제2 결상렌즈 조립체는 렌즈 고정부재(57)에 설치되고, 렌즈 고정부재(57)의 외주면에는 상기 나사산과 나사결합되는 나사산(57a)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산들이 나사 결합되도록 렌즈 고정부재(57)가 상기 관통공에 설치되고, 렌즈 고정부재(57)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에 의해 제2 결상렌즈 조립체와 제3 결상렌즈 조립체 사이의 거리가 조절되고 이에 따라 좌안 카메라(70)와 우안 카메라(60)의 상 크기가 동일하게 되고,
    하프 미러(H)에 의해서 반사된 광선을 후방으로 반사하는 제1 미러유닛(30); 및,
    제1 미러유닛(30)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포함하고,
    하프 미러(H)를 통과한 광선은 미러(M)와 제2 미러유닛(40)에 의해 순차적으로 반사되어 제3 결상렌즈 조립체(71)에 도달하거나 하프 미러(H)를 통과한 후 미러(M)와 제2 미러유닛(40)에 의한 반사없이 제3 결상렌즈 조립체(71)에 도달하며,
    제1 미러유닛(30)은,
    케이스의 바닥 패널(4)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지지대(32); 및,
    지지대(32)에 설치되고, 제1 미러(31)를 고정하는 고정부;
    지지대(32)에 측방향으로 돌출도록 형성된 돌출부(39);를 포함하며,
    회전수단은,
    베어링(84)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돌출부(39)와 대응하는 곳에는 계단턱(82)이 형성된 회전용 봉(81);
    회전용 봉(81)의 단부에 설치되고 돌출부(39)가 항상 계단턱(82)에 밀착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 스프링(83) 및,
    바닥 패널(4)에 설치되고 그 내부면에는 회전용 봉(81)의 나사산과 나사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너트부재(85);를 포함하고,
    회전용 봉(81)의 나사산과 너트부재(85)의 나사산이 나사 결합되도록 회전용 봉(81)이 너트부재(85)에 설치되며, 회전용 봉(81)의 회전에 의해서 회전용 봉(81)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되면 탄성 스프링(83)에 의해서 돌출부(39)가 계단턱(82)에 밀착된 상태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여 제1 미러유닛(30)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형 단안식 입체 카메라.
  7. 케이스;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광축상에 배열된 제1,2,3 결상렌즈 조립체;
    제1 결상렌즈 조립체 또는 제1,2 결상렌즈 조립체를 통과한 광선을 하프 미러(H)를 통과하는 광선과 하프 미러(H)에 의해 반사된 광선으로 분리하는 미러 박스(20); 및,
    제3 결상렌즈 조립체에 대해 미러 박스(20)를 직선 이동시키는 슬라이딩 유닛(24);을 포함하고,
    광선은 제1,2,3 결상렌즈 조립체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며,
    좌,우안 카메라(70)(60)를 대신하여 슬라이딩 유닛(24)이 미러 박스(20)를 직선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양안 시차가 조절되고,
    슬라이딩 유닛(24)이 케이스의 상부 패널(3) 또는 바닥 패널(4)에 설치되며, 슬라이딩 유닛(24)이 상부 패널(3)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미러 박스(20)의 윗면이 슬라이딩 유닛(24)에 결합되고, 슬라이딩 유닛(24)이 바닥 패널(4)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미러 박스(20)의 아랫면이 슬라이딩 유닛(24)에 결합되며,
    하프미러(H)에 의해서 반사된 광선을 후방으로 반사하는 제1 미러유닛(30); 및,
    하프미러(H)를 통과한 광선을 후방으로 반사하는 제2 미러유닛(40);을 포함하고,
    제1,2 미러유닛(30)(40)은,
    지지대(32)에 세로로 설치되고, 상단과 하단에는 제1 볼트공(33a)과 홈(33b)이 각각 형성된 서포트 패널(33);
    제1 미러(31) 또는 제2 미러(41)의 상,하단을 지지하도록 서포트 패널(33)의 상단과 하단에 설치되고, 제1 볼트공(33a)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 볼트공(35a)이 형성된 받침대(35)(36);
    받침대(35)(36)에 지지되어 서포트 패널(33)에 설치되는 상기 제1 미러(31) 또는 제2 미러(41);
    제2 볼트공(35a)을 관통한 후 제1 볼트공(33a)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37); 및
    홈(33b)에 설치되는 탄성수단(38);을 포함하고,
    탄성수단(38)은 제1,2 미러(31)(41)가 받침대(35)(36)에 밀착되도록 외측으로 미는 힘을 인가하고, 볼트(37)가 제1 볼트공(33a)에 체결되는 깊이에 따라 탄성수단(38)이 압축됨에 따라 제1,2 미러(31)(41)의 기울기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형 단안식 입체 카메라.
  8. 케이스;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광축상에 배열된 제1,2,3 결상렌즈 조립체;
    제1 결상렌즈 조립체 또는 제1,2 결상렌즈 조립체를 통과한 광선을 하프 미러(H)를 통과하는 광선과 하프 미러(H)에 의해 반사된 광선으로 분리하는 미러 박스(20); 및,
    제3 결상렌즈 조립체에 대해 미러 박스(20)를 직선 이동시키는 슬라이딩 유닛(24);을 포함하고,
    광선은 제1,2,3 결상렌즈 조립체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며,
    좌,우안 카메라(70)(60)를 대신하여 슬라이딩 유닛(24)이 미러 박스(20)를 직선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양안 시차가 조절되고,
    슬라이딩 유닛(24)이 케이스의 상부 패널(3) 또는 바닥 패널(4)에 설치되며, 슬라이딩 유닛(24)이 상부 패널(3)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미러 박스(20)의 윗면이 슬라이딩 유닛(24)에 결합되고, 슬라이딩 유닛(24)이 바닥 패널(4)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미러 박스(20)의 아랫면이 슬라이딩 유닛(24)에 결합되며,
    하프미러(H)에 의해서 반사된 광선을 후방으로 반사하는 제1 미러유닛(30);을 포함하고,
    하프 미러(H)를 통과한 광선은 미러(M)와 제2 미러유닛(40)에 의해 순차적으로 반사되어 제3 결상렌즈 조립체(71)에 도달하거나 하프 미러(H)를 통과한 후 미러(M)와 제2 미러유닛(40)에 의한 반사없이 제3 결상렌즈 조립체(71)에 도달하며,
    제1 미러유닛(30)은,
    지지대(32)에 세로로 설치되고, 상단과 하단에는 제1 볼트공(33a)과 홈(33b)이 각각 형성된 서포트 패널(33);
    제1 미러(31)의 상,하단을 지지하도록 서포트 패널(33)의 상단과 하단에 설치되고, 제1 볼트공(33a)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 볼트공(35a)이 형성된 받침대(35)(36);
    받침대(35)(36)에 지지되어 서포트 패널(33)에 설치되는 상기 제1 미러(31);
    제2 볼트공(35a)을 관통한 후 제1 볼트공(33a)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37); 및
    홈(33b)에 설치되는 탄성수단(38);을 포함하고,
    탄성수단(38)은 제1 미러(31)가 받침대(35)(36)에 밀착되도록 외측으로 미는 힘을 인가하고, 볼트(37)가 제1 볼트공(33a)에 체결되는 깊이에 따라 탄성수단(38)이 압축됨에 따라 제1 미러(31)의 기울기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형 단안식 입체 카메라.
  9. 하프 미러(H)에 의해서 반사된 광선은 제1 광 경로를 따라 진행하고 하프 미러(H)를 통과한 광선은 제2 광 경로를 따라 진행하는 단안식 입체 카메라에 있어서,
    제1 광 경로상에 설치된 제2 결상렌즈 조립체(51)와 제3 결상렌즈 조립체(61);
    제2 광 경로상에 설치된 제2 결상렌즈 조립체(52)와 제3 결상렌즈 조립체(71); 및,
    제1,2 광 경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광 경로상에 설치되고, 원형의 관통공을 가지며, 관통공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지지부재(55);를 포함하고,
    지지부재(55)가 설치되어 있는 광 경로상의 제2 결상렌즈 조립체는 렌즈 고정부재(57)에 설치되고, 렌즈 고정부재(57)의 외주면에는 상기 나사산과 나사결합되는 나사산(57a)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산들이 나사 결합되도록 렌즈 고정부재(57)가 상기 관통공에 설치되고, 렌즈 고정부재(57)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에 의해 제2 결상렌즈 조립체와 제3 결상렌즈 조립체 사이의 거리가 조절되고 이에 따라 좌안 카메라(70)와 우안 카메라(60)의 상 크기가 동일하게 되고,
    하프미러(H)에 의해서 반사된 광선을 후방으로 반사하는 제1 미러유닛(30);을 포함하고,
    하프 미러(H)를 통과한 광선은 미러(M)와 제2 미러유닛(40)에 의해 순차적으로 반사되어 제3 결상렌즈 조립체(71)에 도달하거나 하프 미러(H)를 통과한 후 미러(M)와 제2 미러유닛(40)에 의한 반사없이 제3 결상렌즈 조립체(71)에 도달하며,
    제1 미러유닛(30)은,
    지지대(32)에 세로로 설치되고, 상단과 하단에는 제1 볼트공(33a)과 홈(33b)이 각각 형성된 서포트 패널(33);
    제1 미러(31)의 상,하단을 지지하도록 서포트 패널(33)의 상단과 하단에 설치되고, 제1 볼트공(33a)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 볼트공(35a)이 형성된 받침대(35)(36);
    받침대(35)(36)에 지지되어 서포트 패널(33)에 설치되는 상기 제1 미러(31);
    제2 볼트공(35a)을 관통한 후 제1 볼트공(33a)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37); 및
    홈(33b)에 설치되는 탄성수단(38);을 포함하고,
    탄성수단(38)은 제1 미러(31)가 받침대(35)(36)에 밀착되도록 외측으로 미는 힘을 인가하고, 볼트(37)가 제1 볼트공(33a)에 체결되는 깊이에 따라 탄성수단(38)이 압축됨에 따라 제1 미러(31)의 기울기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형 단안식 입체 카메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우안 카메라(60)는 고니오 스테이지(90)에 설치되되, 고니오 스테이지(90)의 이동 스테이지(93)는 베이스 스테이지(92)에 대해서 광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이에 따라 우안 카메라(60)의 롤링이 가능하며,
    좌안 카메라(70)는 상기 고니오 스테이지(90)와는 별개의 고니오 스테이지(90)에 설치되되, 고니오 스테이지(90)의 이동 스테이지(93)는 베이스 스테이지(92)에 대해서 광축과 수직을 이루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이에 따라 좌안 카메라(70)의 틸팅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형 단안식 입체 카메라.
KR1020160083236A 2016-07-01 2016-07-01 수평형 단안식 입체 카메라 KR1016862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3236A KR101686239B1 (ko) 2016-07-01 2016-07-01 수평형 단안식 입체 카메라
PCT/KR2017/005134 WO2018004127A1 (ko) 2016-07-01 2017-05-17 수평형 단안식 입체 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3236A KR101686239B1 (ko) 2016-07-01 2016-07-01 수평형 단안식 입체 카메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6239B1 true KR101686239B1 (ko) 2016-12-13

Family

ID=57574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3236A KR101686239B1 (ko) 2016-07-01 2016-07-01 수평형 단안식 입체 카메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86239B1 (ko)
WO (1) WO2018004127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0448A (ja) * 1995-02-09 1996-08-30 Asahi Optical Co Ltd 内視鏡用立体視アダプター
KR20130012436A (ko) * 2011-07-25 2013-02-04 표도연 단안식 입체 영상 카메라
KR20160001045A (ko) * 2014-06-26 2016-01-06 표도연 단안식 입체 카메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2853B1 (ko) * 2005-03-07 2007-04-06 범광기전(주) 입체 카메라
KR100986286B1 (ko) * 2010-04-12 2010-10-07 이용범 사람 눈처럼 주시각 제어가 가능한 직교식 양안 입체 카메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0448A (ja) * 1995-02-09 1996-08-30 Asahi Optical Co Ltd 内視鏡用立体視アダプター
KR20130012436A (ko) * 2011-07-25 2013-02-04 표도연 단안식 입체 영상 카메라
KR20160001045A (ko) * 2014-06-26 2016-01-06 표도연 단안식 입체 카메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04127A1 (ko) 2018-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18055B2 (ja) スチール写真用の可変三次元カメラアセンブリ
EP2753978B1 (en) Variable 3-dimensional adaptor assembly for camera
KR101596146B1 (ko) 단안식 입체 카메라
KR20100001924A (ko) 양안식 입체영상 카메라 장치 및 그 카메라 장착 장치
JPH0836229A (ja) ステレオアダプター
KR101255803B1 (ko) 단안식 입체 영상 카메라
TWM521202U (zh) 以線性及旋轉同步連動之攝影旋轉調校裝置
CN109143767B (zh) 一种基于棱镜折射分光的单镜头3d拍摄结构
KR101889275B1 (ko) 단안식 입체 카메라
KR101686239B1 (ko) 수평형 단안식 입체 카메라
KR101211135B1 (ko) 카메라 제어장치
KR20020042917A (ko) 입체 카메라의 주시각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0874871B1 (ko) 입체 카메라의 광축 제어장치
CN114926548A (zh) 一种基于光学模组的双目相机校准系统及方法
KR102010230B1 (ko) 단안식 입체 카메라
CN205048088U (zh) 以线性及旋转同步连动的摄影旋转调校装置
CN104423136B (zh) 紧凑立体视觉图片获取系统
WO2016035891A1 (ja) 光学アダプタおよびこれを用いた立体撮像システム
KR101668258B1 (ko) 수평방식과 직교방식을 혼합한 다시점 촬영용 리그
US20140354783A1 (en) Human-Perspective Stereoscopic Camera
KR20140087449A (ko) 카메라용 입체영상 장착리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