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5345B1 - 세탁물 처리기기 - Google Patents

세탁물 처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5345B1
KR101685345B1 KR1020120119174A KR20120119174A KR101685345B1 KR 101685345 B1 KR101685345 B1 KR 101685345B1 KR 1020120119174 A KR1020120119174 A KR 1020120119174A KR 20120119174 A KR20120119174 A KR 20120119174A KR 101685345 B1 KR101685345 B1 KR 101685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panel
handle
assembly
top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9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2715A (ko
Inventor
김지맹
박영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9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5345B1/ko
Priority to AU2013245562A priority patent/AU2013245562B2/en
Priority to CN201310512145.5A priority patent/CN103774383B/zh
Priority to US14/063,110 priority patent/US10060069B2/en
Priority to JP2013222137A priority patent/JP6373569B2/ja
Publication of KR20140052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2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5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5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18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washing machines or laundry dr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리드 어셈블리의 전방에 전방 및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리드 핸들이 구비되고, 상기 리드 핸들과 컨트롤 패널 사이에 이격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손으로 상기 리드 핸들을 잡아서 들어 올리거나, 사용자가 손가락을 상기 이격 공간에 삽입하여 상기 리드 핸들을 들어 올리는 것이 용이하여,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드 핸들은 상기 리드 어셈블리의 전면에 좌,우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잡기 편리할 뿐만 아니라, 심미성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누출 방지부가 이격 공간에 배치되어, 내부의 수분이나 열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세탁물 처리기기{Laundry treatment machine}
본 발명은 세탁물 처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 편의성 및 심미성이 확보될 수 있는 리드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물 처리기기는 물과 세제 및 기계적인 작용 등을 이용하여 의복, 침구 등(이하,'포'라 칭함)에 묻은 오염을 떼어내는 세탁기와, 히터에 의해 가열된 건조한 열풍과 기계적인 작용 등을 이용하여 젖은 포를 건조하는 건조기와, 세탁기능과 건조기능을 겸하는 건조 겸용 세탁기와, 포에 가열된 증기 등을 분사하여 포로 인한 알러지를 방지하는 리프레셔 등을 포함하며, 포에 물리적 작용 및 화학적 작용을 가하여 포를 처리하는 각종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세탁물 처리기기는 포가 출입되는 포 출입홀의 위치에 따라 구분될 수도 있다. 상기 포 출입홀이 캐비닛의 상면에 형성되고 세탁조의 회전시 생기는 회전수류에 의해 세탁이 이루어지는 탑로드 타입과, 상기 포 출입홀이 캐비닛의 전면에 형성되고 드럼의 회전시 포의 낙차에 의해 세탁이 이루어지는 드럼 타입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탑로드 타입의 세탁물 처리기기는 포 출입홀이 캐비닛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캐비닛의 상측에는 상기 포 출입홀을 개폐하는 리드 어셈블리가 배치된다.
KR 10-2011-0013136 A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이 편리하면서도 심미성이 확보될 수 있는 리드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캐비닛의 상면에 배치되고, 포 출입홀이 형성된 탑 커버와, 상기 탑 커버의 상측 전방에 설치된 컨트롤 패널과, 상기 탑 커버의 상측에서 상기 컨트롤 패널보다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포출입홀을 개폐하는 리드 어셈블리와, 상기 리드 어셈블리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리드 어셈블리의 상면보다 상향 돌출되고, 상기 컨트롤 패널과의 사이에 사용자의 손이 들어가도록 이격 공간을 형성하는 리드 핸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리드 어셈블리의 전방에 전방 및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리드 핸들이 구비되고, 상기 리드 핸들과 컨트롤 패널 사이에 이격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손으로 상기 리드 핸들을 잡아서 들어 올리거나, 사용자가 손가락을 상기 이격 공간에 삽입하여 상기 리드 핸들을 들어 올리는 것이 용이하여,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드 핸들은 상기 리드 어셈블리의 전면에 좌,우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잡기 편리할 뿐만 아니라, 심미성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누출 방지부가 이격 공간에 배치되어, 내부의 수분이나 열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상면이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탑 커버와 리드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탑커버와 리드 어셈블리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드 핸들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이하, '세탁기'라 칭함)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상면이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탑 커버와 리드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탑커버와 리드 어셈블리의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세탁물 처리기기는, 캐비닛(미도시), 탑 커버(10), 후방 패널(20), 컨트롤 패널(30), 리드 어셈블리(40) 및 리드 핸들(60)을 포함한다.
상기 탑 커버(10)는, 상기 캐비닛(미도시)의 개구된 상면에 배치되고, 포 출입홀(10a)이 형성된다. 상기 탑 커버(10)에는 세제가 수용되는 세제 박스(미도시)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상기 세제 박스로 안내하는 급수 장치(미도시), 세탁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기판(34) 등이 설치된다. 상기 탑 커버(10)의 상측 전방에는 상기 컨트롤 기판(34)이 설치되는 안착부(1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탑 커버(10)에는 상기 리드 어셈블리(40)를 잠금하는 리드 록 어셈블리(70)가 설치된다. 상기 탑 커버(10)의 상면은, 상기 컨트롤 패널(30), 리드 어셈블리(40) 및 후방 패널(20)이 덮게 된다.
상기 컨트롤 패널(30)은 상기 탑 커버(10)의 상측 전방에 설치된다. 상기 컨트롤 패널(30)은 상기 안착부(12)에 설치된 상기 컨트롤 기판(34)의 상부를 덮는다. 상기 컨트롤 패널(30)에는 상기 세탁기의 동작을 설정하기 위한 복수의 기능 버튼들과, 상기 세탁기의 상태를 알리는 표시부 등이 구비된다.
상기 후방 패널(20)은, 상기 탑 커버(10)의 상측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급수장치(미도시) 등의 상부를 덮는다.
상기 리드 어셈블리(40)는, 상기 탑 커버(10)의 상측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포 출입홀(10a)을 개폐한다. 상기 리드 어셈블리(40)는 상기 탑 커버(10)에 회동가능토록 설치된다. 상기 리드 어셈블리(40)는, 리드 상부 패널(42)과 리드 하부 패널(44)을 포함한다.
상기 리드 상부 패널(42)은, 상기 리드 어셈블리(40)의 상측 외관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리드 상부 패널(42)은 유리 재질로 이루어진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리드 상부 패널(42)은 유리부와, 상기 유리부의 둘레를 지지하고 상기 리드 하부 패널(44)과 결합되는 프레임부로 이루어지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리드 하부 패널(44)은 상기 리드 상부 패널(42)의 하부에 결합된다. 상기 리드 하부 패널(44)은 상기 리드 상부 패널(42)의 하부 둘레를 지지하도록 프레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리드 핸들(60)은,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리드 핸들(60)은 상기 리드 어셈블리(40)의 전면에서 전방을 향해 돌출된다. 상기 리드 핸들(60)은, 상기 리드 어셈블리(40)의 좌,우 폭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되, 좌,우측에서 중앙측으로 갈수록 전방을 향한 돌출 길이가 증가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리드 어셈블리(40)의 전면 전체에 상기 리드 핸들(60)이 구비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사용이 편리해질 수 있다.
상기 리드 핸들(60)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리드 어셈블리(40)의 상면보다 상향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컨트롤 패널(30)과의 사이에 사용자의 손이 들어가도록 이격 공간(S)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리드 핸들(60)은 상기 리드 어셈블리(40)의 상면을 기준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컨트롤 패널(30)과의 사이에 이격 공간(S)을 형성할 수 있는 형상, 예를 들어 상향 돌출된 후 전방으로 절곡된 형상 등도 물론 가능하다.
또한, 상기 리드 핸들(60)은, 도 4를 참조하면, 단면이 변곡점(A)을 갖는 곡선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리드 핸들(60)은, 제1곡률반경(R1)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제1라운드부(60a)와, 상기 제1라운드부(60a)에서 연장되되 제2곡률반경(R2)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제2라운드부(60b)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라운드부(60a)와 상기 제2라운드부(60b)가 연결된 부분이 변곡점(A)이다. 상기 제1라운드부(60a)는 상기 리드 어셈블리(40)의 상면에서 매끄럽게 이어지도록 상기 제1곡률반경(R1)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2라운드부(60a)는, 사용자의 손이 들어갈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의 이격공간(S)을 만들도록 볼록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1곡률반경(R1)과 제2곡률반경(R2)는 동일한 크기인 것도 가능하고, 서로 다른 크기로 설정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리드 핸들(60)은 상기 리드 어셈블리(40)와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리드 어셈블리(40)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리드 어셈블리(40)의 전방에서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리드 핸들(60)은 상기 리드 어셈블리(40)에 결합 고정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리드 핸들(60)은, 상기 리드 상부 패널(42)과 상기 리드 하부 패널(4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리드 핸들(60)은 상기 리드 상부 패널(42)에 끼워지고, 상기 리드 하부 패널(44)에 후크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리드 핸들(60)은, 상기 리드 상부 패널(42)에 끼워지는 단차부(62)와, 상기 리드 하부 패널(44)에 후크 결합되는 후크 결합부(64)를 포함한다.
상기 단차부(62)는, 상기 리드 핸들(60)의 제1라운드부(60a)의 후방에서 하향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리드 상부 패널(42)의 전방 하부(42a)에 끼워진다. 상기 단차부(62)는 상기 제1라운드부(60a)에서 하향 돌출된 하향 돌출부(62a)와, 상기 돌출부(62a)에서 후방으로 절곡 형성된 후방 절곡부(62b)로 이루어진다. 상기 후방 절곡부(62b)가 상기 리드 상부 패널(42)의 전방 하부(42a)의 하측에 끼워진다.
상기 후크 결합부(64)는, 상기 제1라운드부(60a)에서 하향 돌출된 리브(64a)와, 상기 리브(64a)에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 후크(64b)로 이루어진다. 상기 후크(64b)는 상기 리드 하부 패널(44)의 후크홀(44b)에 결합된다. 상기 후크홀(44b)은 상기 리드 하부 패널(44)에서 상향 돌출된 결합부(44a)에 형성된다.
상기 리드 하부 패널(44)에는 상기 리브(64a)의 하단이 전후방향으로 걸림되는 걸림턱부(44c)가 형성된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세탁기는, 상기 이격 공간(S)에 배치되어, 상기 포 출입홀(10a)을 통해 수분이나 열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누출 방지부(46)를 더 포함한다.
상기 누출 방지부(46)는, 상기 리드 하부 패널(44)의 하부에서 상기 이격 공간을 향해 연장 형성된 리브이다. 상기 누출 방지부(46)는 상기 리드 핸들(60)보다 전방을 향한 돌출 길이가 짧게 형성된다. 상기 탑 커버(10)에는 상기 누출 방지부(46)의 전방 단부가 안착되는 단턱부(14)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리드 핸들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세탁기의 작동 이전에 포를 투입하고자 하는 경우나 세탁이 완료되어 포를 꺼내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상기 리드 핸들(60)을 손으로 잡아 상기 리드 어셈블리(40)를 들어 올리거나, 상기 리드 핸들(60) 하부의 이격 공간(S)으로 손가락을 넣어 상기 리드 핸들(60)을 들어 올릴 수 있다.
상기 리드 핸들(60)이 전방 및 상방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잡거나 들고 올리는 것이 매우 용이하다. 또한, 상기 리드 핸들(60)의 제2라운드부(60b)가 볼록하게 라운드진 형상이므로 사용자가 잡거나 사용자가 손가락을 구부려 들어 올리기가 매우 용이하다.
상기 리드 어셈블리(40)와 컨트롤 패널(30)사이에 이격 공간(S)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을 삽입하는 것이 용이하며, 상기 이격 공간(S)에는 상기 누출 방지부(46)가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세탁기의 작동 중에 내부의 수분이나 열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도 차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양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탑 커버 10a: 포 출입홀
20: 후방 패널 30: 컨트롤 패널
40: 리드 어셈블리 42: 리드 상부 패널
44: 리드 하부 패널 46: 누출 방지부
60: 리드 핸들 60a: 제1라운드부
60b: 제2라운드부 62: 단차부
64: 후크 결합부

Claims (11)

  1. 캐비닛의 상측에 배치되고, 포 출입홀이 형성된 탑 커버;
    상기 탑 커버의 상측에 설치된 컨트롤 패널;
    상기 탑 커버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컨트롤 패널과 연속된 면을 형성하고,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포 출입홀을 개폐시키는 리드 어셈블리;
    상기 리드 어셈블리 및 컨트롤 패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리드 어셈블리에 조립되며, 상기 연속된 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컨트롤 패널과 이격 공간(S)을 형성시키는 리드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리드 어셈블리는,
    상측 외관을 형성하는 리드 상부 패널; 상기 리드 상부 패널의 하측에 결합되는 리드 하부 패널; 상기 리드 하부 패널에 형성되고, 상기 탑 커버에 지지되어 자중에 의해 상기 포 출입홀을 차폐시키는 누출방지부;을 포함하고,
    상기 이격 공간(S)은 상기 탑커버의 외측을 향하게 형성되고,
    상기 리드 핸들은,
    상기 리드 상부 패널 및 리드 하부 패널과 결합되고, 상기 리드 상부 패널 보다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리드 하부 패널과 상기 이격 공간(S)을 형성하고,
    상기 이격공간(S)의 상측에 상기 리드핸들이 배치되어 상기 컨트롤 패널과의 연속된 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이격공간(S)의 하측에 상기 누출방지부가 배치되어, 상기 포 출입홀을 차폐시키도록 배치되고,
    상기 리드핸들은 상기 누출방지부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이격 공간(S)을 형성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드 핸들은,
    상기 리드 어셈블리의 좌,우 폭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좌,우측에서 중앙측으로 갈수록 전방을 향한 돌출 길이가 증가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된 세탁물 처리기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드 핸들은,
    상기 리드 하부 패널과 후크 결합되는 후크 결합부;
    상기 리드 상부 패널에 지지되는 단차부;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는
    상기 리드 상부 패널의 전방 측 단에 지지되는 돌출부;
    상기 돌출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리드 상부 패널의 저면에 밀착되어 지지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리드 하부 패널은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에는 전후 방향으로 후크홀이 형성되며,
    상기 후크 결합부는 전후 방향으로 상기 후크홀에 삽입되어 조립되는 후크;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후크 결합부는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리브;
    상기 리브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상기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리드 하부 패널에는 상기 리드 핸들의 조립 시, 상기 리브와 걸림을 형성시키는 걸림턱부가 형성된 세탁물 처리기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누출 방지부는, 상기 리드 어셈블리의 하부에서 연장 형성된 세탁물 처리기기.
  10. 삭제
  11. 삭제
KR1020120119174A 2012-10-25 2012-10-25 세탁물 처리기기 KR101685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9174A KR101685345B1 (ko) 2012-10-25 2012-10-25 세탁물 처리기기
AU2013245562A AU2013245562B2 (en) 2012-10-25 2013-10-21 Laundry treatment machine
CN201310512145.5A CN103774383B (zh) 2012-10-25 2013-10-25 洗涤物处理装置
US14/063,110 US10060069B2 (en) 2012-10-25 2013-10-25 Laundry treatment machine
JP2013222137A JP6373569B2 (ja) 2012-10-25 2013-10-25 洗濯物処理機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9174A KR101685345B1 (ko) 2012-10-25 2012-10-25 세탁물 처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2715A KR20140052715A (ko) 2014-05-07
KR101685345B1 true KR101685345B1 (ko) 2016-12-12

Family

ID=50545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9174A KR101685345B1 (ko) 2012-10-25 2012-10-25 세탁물 처리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060069B2 (ko)
JP (1) JP6373569B2 (ko)
KR (1) KR101685345B1 (ko)
CN (1) CN103774383B (ko)
AU (1) AU2013245562B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7517B1 (ko) * 2013-07-01 2020-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도어 및 이를 가지는 의류처리장치
CN107447454B (zh) * 2016-05-16 2021-01-15 东芝生活电器株式会社 洗衣机
JP2018102753A (ja) * 2016-12-27 2018-07-05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電気洗濯機
CN108691160B (zh) * 2017-04-11 2023-12-15 上海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一种顶开式洗衣机及其开盖方法
JP2020089458A (ja) * 2018-12-04 2020-06-11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洗濯槽の開閉蓋、および、これを備えた縦型洗濯機
JP7185654B2 (ja) * 2020-03-23 2022-12-07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洗濯機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6224B2 (ja) * 1993-07-09 2000-07-17 三洋電機株式会社 洗濯機の蓋装置
US5620213A (en) * 1994-02-08 1997-04-15 Ellis; Frederick G. Window lock
KR100386581B1 (ko) * 2000-10-19 2003-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경사형 도어를 갖는 세탁기의 도어 힌지어셈블리
KR101072758B1 (ko) * 2004-06-01 2011-10-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리드구조
JP2006101966A (ja) * 2004-10-01 2006-04-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洗濯機等の蓋装置
KR20060039185A (ko) * 2004-11-02 2006-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도어
JP2008029371A (ja) * 2006-07-26 2008-02-14 Mitsubishi Electric Corp 洗濯機
KR20080090043A (ko) * 2007-04-03 2008-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의 도어 개폐 장치
CN201232124Y (zh) * 2008-04-04 2009-05-06 合肥荣事达洗衣设备制造有限公司 滚筒洗衣机门把手
KR101602666B1 (ko) 2009-07-31 2016-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JP5370230B2 (ja) * 2010-03-24 2013-12-1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洗濯機の蓋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洗濯機
JP5583499B2 (ja) * 2010-07-02 2014-09-0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衣類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3245562B2 (en) 2016-01-21
AU2013245562A1 (en) 2014-05-15
JP6373569B2 (ja) 2018-08-15
JP2014083449A (ja) 2014-05-12
CN103774383B (zh) 2016-08-31
CN103774383A (zh) 2014-05-07
US10060069B2 (en) 2018-08-28
KR20140052715A (ko) 2014-05-07
US20140116096A1 (en) 2014-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5345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2254890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602666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180090003A (ko) 의류처리장치
EP2565314A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110013008A (ko) 의류처리장치의 도어 어셈블리
KR20060039185A (ko) 세탁기의 도어
KR101636074B1 (ko) 드럼세탁기
KR101270607B1 (ko) 세탁기의 캐비닛 커버 조립 구조
JP6773689B2 (ja) 洗濯分類機能を有する洗濯機
KR101014711B1 (ko) 세탁기의 탑커버와 조작부 커버
EP2065506B1 (en) Laundry machine
KR20210112225A (ko) 의류처리장치
KR101788047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602667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1422004B1 (ko) 세탁물 처리장치
KR101038257B1 (ko) 세탁기
KR101675729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0751138B1 (ko) 드럼 세탁기 도어의 조립 구조 및 조립 방법
KR100716248B1 (ko) 드럼세탁기
KR20060025735A (ko) 세탁기
KR101152370B1 (ko) 세탁기의 데코 패널 조립 구조
KR100751137B1 (ko) 드럼 세탁기 도어의 조립 구조 및 조립 방법
KR101904937B1 (ko) 세탁장치
KR20160084076A (ko) 세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