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5324B1 - Marine Mobile Lift - Google Patents

Marine Mobile Lif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5324B1
KR101685324B1 KR1020160014812A KR20160014812A KR101685324B1 KR 101685324 B1 KR101685324 B1 KR 101685324B1 KR 1020160014812 A KR1020160014812 A KR 1020160014812A KR 20160014812 A KR20160014812 A KR 20160014812A KR 101685324 B1 KR101685324 B1 KR 101685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rope
guide roller
trolley
hoist winch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48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종택
윤재준
문정환
고광일
Original Assignee
(주)카네비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카네비컴 filed Critical (주)카네비컴
Priority to KR1020160014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532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5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5324B1/en
Priority to CN201710048748.2A priority patent/CN107042878B/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3/00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 B63C3/06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by vertical movement of vessel, i.e. by cr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6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 B60P3/1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for carrying bo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B60R1/081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avoiding blind spots, e.g. by using a side-by-side association of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3/00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 B63C3/12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using cra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6Guiding, or otherwise ensuring winding in an orderly manner, of ropes, cable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6Guiding, or otherwise ensuring winding in an orderly manner, of ropes, cables, or chains
    • B66D1/38Guiding, or otherwise ensuring winding in an orderly manner, of ropes, cables, or chains by means of guides movable relative to drum or barre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CSHIP-LIFTING DEVICES OR MECHANISMS
    • E02C5/00Mechanisms for lifting ships vertical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9/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V1/00 - G01V8/0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B63B2736/0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physic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A marine mobile lift is disclosed. The marine mobile lift comprises: a hoist winch in which a wire rope is wound in multiple layers; and a rotation guide roller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 accordance with a change in a layer in which the wire rope is wound in the hoist winch while guiding the wire rope which is wound in or disengaged from the hoist winch.

Description

마린 모바일 리프트{Marine Mobile Lift}Marine Mobile Lift

본 발명은 마린 모바일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rine mobile lift.

일반적으로 요트 인양장치는 어촌의 부두나 해안가, 도크(Dock, 선거) 등(이하 '도크'라 통칭함)에 설치되어서, 선박을 바다로 인양하거나 또는 바다의 선박을 방파제나 육상으로 운반하여 어선의 수리 및 보수하게 되며, 악천후 시에도 선박을 안전지대로 대피시켜 파손 및 침몰을 방지하는 등에 사용되고 있다. Generally, a yacht lifting device is installed in a fishing pier, a coast, a dock (election), etc. (hereinafter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dock") to lift a ship to the sea or to transport a sea ship to a breakwater or land, And it is used to prevent damage and sinking by evacuating the ship to safety zone even in bad weather.

이러한, 요트 인양장치에 관한 종래의 선행기술로는 국내등록특허 제10-0503918호의 '고정식 어선인양기' 및 국내등록특허 제10-0853291호의 '크레인' 등으로 게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의 선행기술은 외팔보 방식으로 작고 가벼운 소형선박의 인양작업에 제한됨으로 중소형급이상의 선박의 경우 인양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구조가 복잡한 고급선박이나 요트 등을 인양하기는 난해하며, 이동이 불안정하고 진동이나 흔들림으로 인해 선박의 손상 및 파손 위험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Conventional prior art related to such a yacht lifting device is disclosed in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503918 as 'Fixed Fishing Vessel Yang' and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853291 'Cranes'. However, since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is limited to the lifting work of small and light small ships in the cantilever manner, it is not possible to raise the vessels of the small and medium-sized vessels, and it is difficult to lift high-grade vessels and yachts having complicated structures, And there is a high risk of damage and breakage of the ship due to vibration or shaking.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국내등록특허 제10-1068012호가 개발되었는데, 구조체의 수직부재의 상부에 수평부재가 결합되고 저부에 바퀴가 구비되며, 상부의 호이스트(Hoist)에 연결된 밴드에 선박이 안착한 상태로 이동 및 인양하게 됨으로, 선박이 흔들리거나 위빙(Weaving)현상을 유발하게 되면서 불안정하게 흔들리고 측방으로 기울여지는 등, 충돌하거나 중심을 잃고 전도될 위험성이 높다. 또한, 태풍이나 강한 바람으로 인해 선박이 심하게 손상 및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선박은 저면이 유선형(곡선)이기 때문에 밴드가 선체에 이탈될 우려가 크고 안정성이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Korean Patent No. 10-1068012 has been developed, in which a horizontal member is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a vertical member of a structure, a wheel is provided at a bottom portion, and a ship is placed on a band connected to an upper hoist The ship is shaken or causes weaving phenomenon, and there is a high risk that the ship will collide unstably and lean sideways, or collide or lose its center. In addition,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ship was seriously damaged and damaged due to typhoon or strong wind. Particularly, since the bottom surface of the ship is streamlined (curv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and is likely to be released to the hull and the stability is poor.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국내등록특허 제10-1304038호(요트 인양장치)가 개발된 바 있다. 이러한 종래의 요트 인양장치는, 선박의 양측으로 직립하면서 하중을 지지하고 저면에 바퀴를 가지는 본체프레임과, 본체프레임의 상부에서 선박에 감기는 밴드를 승강시키는 인양수단과,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이 구비되고 선박을 일정한 장소에 운반 및 인양하도록 구비된다. 이 요트 인양장치의 본체프레임의 하부에는 선박의 선체를 지지하기 위한 선체 고정수단이 구비되며, 이 선체 고정수단은 제1실린더, 제2실린더, 밀착구로 이루어지는 바, 선박의 선체를 향해 제1실린더가 구비되고, 제1실린더의 선단에는 선체에 접촉하도록 밀착구가 구비되며, 본체프레임과 제1실린더 사이에는 제2실린더가 설치되어서 제1실린더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요트 인양장치에 의해 인양되는 선박의 저부를 선체 고정수단에 의해 지지함에 따라, 인양수단의 밴드에 안착하고 있는 선박이 흔들림을 방지하고 안정감을 제공하며 안전하게 운반 및 인양할 수 있게 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Korean Patent No. 10-1304038 (Yacht lifting device) has been developed. Such a conventional yacht lifting device includes a main body frame which stands upright on both sides of a ship and supports a load and has wheels on its bottom surface, lifting means for lifting and lowering a band wound on the ship at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frame, And is provided to transport and lift the ship to a certain place. A hull fastening means for supporting the hull of the ship is provid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frame of the yacht lifting device. The hull fastening means comprises a first cylinder, a second cylinder, A tip end of the first cylinder is provided with an access hole for contacting the hull and a second cylinder is provided between the main body frame and the first cylinder so as to adjust the angle of the first cylinder. Therefore, by supporting the bottom of the ship lifted by the yacht lifting device by the hull fixing mean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hip sitting on the band of the lifting means from being shaken, provide a sense of security, and safely carry and lift.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요트 인양장치는, 선박을 인양하기 위한 수단 외에 선박의 흔들림을 방지시키기 위해 본체의 하부 양측에 고가의 다수 부품들로 이루어진 선체 고정수단이 한쌍 구비되어야 하므로 조립 공수 및 제조 단가가 크게 상승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종래 요트 인양장치의 다른 문제점은, 수동 운전 장비로 선박을 인양시, 운전자의 감각에 의해 조작되므로 인양장비에 과부하가 걸리는지 정확히 확인하기가 불가능하며, 이에 따라 안전사고가 발생될 염려가 상존하게 된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yacht lifting device, in addition to the means for lifting the ship, a pair of hull fastening means composed of a plurality of expensive parts must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in order to prevent the ship from shaking.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greatly increased. Another problem with the conventional yacht lifting device is that it is impossible to accurately check whether the lifting equipment is overloaded because the yacht is operated by the driver's senses when the ship is lifted by the manual operation equipment, .

또한, 상술한 종래의 요트 인양장치에는 선박을 인양하기 위해 한쌍의 선박 인양용 밴드가 구비된다. 이러한 한쌍의 인양용 밴드는 선박의 이물과 고물 부분에 유선형을 따라 밀착되어서 선박의 하부 전후방을 지지한다. 그런데, 한쌍의 인양용 밴드는 선박의 크기에 따라 인양용 밴드의 간격을 벌리거나 좁혀야 하는데, 종래의 요트 인양장치에는 인양용 밴드의 간격을 조절할 별도의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선박을 인양하는데 적합하지 못하였다. 그리고, 종래의 요트 인양장치는 선박을 인양시킬 때에 밴드가 선박의 하부에 유선형을 따라 밀착되면서 밴드에 연결된 와이어로프를 경사지게 당기게 되며, 이에 따라 와이어로프가 비틀리면서 꼬임이 발생된다. 이와 같이 와이어로프가 꼬인 상태로 중량의 선박을 반복적으로 인양할 경우, 와이어로프에 피로가 가중되며 이에 따라 와이어로프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yacht lifting device, a pair of lifting belts for lifting a ship is provided. Such a pair of lifting bands is closely attached to the foreign body and the stern part of the ship along a streamline shape to support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lower part of the ship. However, the pair of lifting bands must open or close the gap between the lifting band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hip. Conventional yacht lifting devices do not have separate means for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lifting bands, It was not suitable for lifting the ship of the kind. In the conventional yacht lifting device, when the ship is lifted, the band is closely attached to the lower part of the ship along a streamline shape, and the wire rope connected to the band is pulled obliquely, thereby twisting the wire rope. When the wire rope is twisted and the weight of the ship is lifted repeatedly, fatigue is added to the wire rope, thereby causing damage to the wire rope.

국내등록특허 제10-0503918호Korean Patent No. 10-0503918 국내등록특허 제10-0853291호Korean Patent No. 10-0853291 국내등록특허 제10-1068012호Korean Patent No. 10-1068012 국내등록특허 제10-1304038호Korean Patent No. 10-1304038

본 발명은 호이스트윈치에 다층으로 권취된 와이어로프가 감기거나 풀리면서 호이스트윈치에 권취된 와이어로프의 층수 변화에 따라, 회전하면서 와이어로프를 가이드하는 롤러를 적용한 마린 모바일 리프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rine mobile lift in which a wire rope wound around a hoist winch is wound or unwound and a roller for guiding a wire rope is applied in accordance with a change in the number of wire ropes wound on the hoist winch.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마린 모바일 리프트가 개시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invention, a marine mobile lift is disclos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린 모바일 리프트는 와이어로프가 다층으로 권취된 호이스트 윈치 및 상기 호이스트윈치에 권취되거나 풀리는 상기 와이어로프를 가이드하면서, 상기 와이어로프가 상기 호이스트윈치에 권취된 층이 변화함에 따라 일정 각도 회전하는 회전 가이드 롤러를 포함한다.The marine mobile lif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ile the wire rope guides the hoist winch wound in multiple layers and the wire rope wound or unwound on the hoist winch, And a rotation guide roller that rotates at a constant angle.

상기 회전 가이드 롤러는, 상기 거더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고정되며, 각 단부에 삽입공이 형성된 제1 지지대 및 제2 지지대, 양단에 각각 제1 회전축 및 제2 회전축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회전축 및 상기 제2 회전축이 각각 상기 제1 지지대 및 상기 제2 지지대의 삽입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지지대 및 상기 제2 지지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브라켓 및 상기 회전 브라켓에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로프가 경유하는 가이드 롤러를 포함한다.The rotation guide rollers are fixed to the girders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have a first support shaft and a second support shaft, the first rotation shaft and the second rotation shaft being formed at both ends of the first support shaft and the second support shaft, A rotation bracket that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s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rods a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rods, Guide rollers.

상기 제2 회전축에는 축을 따라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롤러를 경유한 상기 와이어로프가 상기 중공을 통과한다.A hollow is formed along the axis of the second rotation shaft, and the wire rope passing through the guide roller passes through the hollow.

서로 평행하게 이격된 한쌍의 하부빔, 상기 한쌍의 하부빔 각각의 양단 상부에 설치되는 수직빔들 및 상기 수직빔들의 상단에 설치되는 거더를 포함하는 메인프레임, 상기 하부빔들의 양단 하부에 설치되는 바퀴들, 상기 바퀴들 중 적어도 둘 및 상기 메인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바퀴의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조향부, 평행하게 배열된 상기 거더의 상부에 각각 한쌍씩 구비되고, 상기 거더의 중앙측 및 양단부 측으로 이송되도록 설치되는 트롤리, 상기 트롤리에 연결되어 상기 트롤리와 함께 이송되는 후크블록, 상기 후크불록에 양단이 연결되고 보트의 하부를 지지하는 한쌍의 슬링벨트, 상기 호이스트윈치에 일단이 권취되고, 상기 후크블록 및 상기 상기 트롤리를 경유하며, 타단이 상기 거더에 고정되어 상기 호이스트윈치가 회전하면 권취되거나 풀리면서 상기 후크블록을 승강시키는 와이어로프 및 상기 거더의 상부면 양측의 상기 트롤리 사이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회전 가이드 롤러를 경유한 상기 와이어로프를 상기 트롤리로 가이드하는 트롤리 가이드 롤러를 더 포함하되, 상기 호이스트윈치는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후크블록에 연결되어 상기 후크블록을 승강시킨다.A main frame including a pair of lower beam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parallel to each other, a vertical frame installed at both ends of each of the pair of lower beams, and a girder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vertical beams, A pair of wheels, a pair of wheels, at least two of the wheels, and a steering unit connected to the main frame to control a rotating direction of the wheels, and a pair of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girders arranged in parallel, A pair of sling belt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hook block and supporting a lower portion of the boat, a pair of sling belts wound around the hoisting winch, Block and the trolley,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girder so that the hoist winch is wound when it is rotated Further comprising a trolley guide roller installed between the wire rope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hook block and the trolley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girder while guiding the wire rope passed through the rotation guide roller by the trolley, The hoist winch is installed in the main frame, and is connected to the hook block to lift the hook block.

상기 바퀴들은 상기 하부빔들의 일단 하부에 설치되는 조향바퀴와 상기 하부빔들의 타단 하부에 설치되는 주행바퀴로 구성된다.The wheels are composed of a steering wheel installed at a lower end of one of the lower beams and a traveling wheel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lower beams.

상기 트롤리는, 상기 거더의 상부면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트롤리전용레일, 상기 트롤리전용레일에 안착되어 이를 따라 왕복 이송되는 트롤리브라켓, 상기 트롤리브라켓의 일측에 회동되도록 설치되는 회전블록 및 상기 회전블록에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로프가 경유하는 복수의 수직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블록은 상부가 상기 트롤리브라켓에 블록힌지축으로 결합되어 있다.The trolley includes a trolley-dedicated rail instal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irder, a trolley bracket mounted on the trolley-dedicated rail and reciprocated along the trolley-dedicated rail, a rotary block installed to rotate on one side of the trolley bracket, And a plurality of vertical rollers installed in the rotary block and passed through the wire rope, wherein the rotary block is coupled to the trolley bracket at a block hinge axis at an upper portion thereof.

상기 회전블록은 상기 슬링벨트가 보트의 하부에 밀착되면서 유선형을 따라 당겨질 때에 상기 슬링벨트의 기울어진 각도만큼 상기 블록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The rotary block rotates about the block hinge axis by an angle of inclination of the sling belt when the sling belt is pulled along the streamlined shape while being closely attach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oat.

상기 트롤리 가이드 롤러는 상기 호이스트윈치의 구동시 과부하가 검출되면, 상기 호이스트윈치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과부하방지 역할을 수행한다.The trolley guide roller serves to prevent an overload from stopping the driving of the hoist winch when an overload is detected during driving of the hoist winch.

상기 트롤리 가이드 롤러는, 상기 거더에 설치되는 가이드롤러브라켓, 상기 가이드롤러브라켓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와이어로프가 경유하는 가이드롤러 및 상기 가이드롤러브라켓에 설치되고 롤러가 공회전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와이어로프에 과하중이 전달되어서 상기 호이스트윈치에 과부하가 인가되면, 이를 감지하여 컨트롤러에 전달하는 핀타입로드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Wherein the trolley guide roller is installed on a guide roller bracket provided on the girder and horizontally on the guide roller bracket and is installed on a guide roller passed through the wire rope and the guide roller bracket, And a pin type load cell for detecting an overload applied to the hoist winch when the overload is transferred to the wire rope and transmitting the overload to the controller.

상기 마린 모바일 리프트는 상기 호이스트윈치의 동작 및 주행을 조종하기 위한 무선조종장치를 더 포함한다.The marine mobile lift further includes a radio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operation and running of the hoist winch.

상기 마린 모바일 리프트는 사각지대를 확인하기 위한 카메라 및 주변 위험물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한 장애물 감지센서를 더 포함한다.The marine mobile lift further includes a camera for identifying a blind spot and an obstacle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surrounding dangerous materia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린 모바일 리프트는, 호이스트윈치에 다층으로 권취된 와이어로프가 감기거나 풀리면서 호이스트윈치에 권취된 와이어로프의 층수 변화에 따라, 회전하면서 와이어로프를 가이드하는 롤러가 적용됨으로써, 호이스트윈치와 롤러 사이의 와이어로프 뒤틀림이나 와이어로프가 롤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와이어로프뿐만 아니라 와이어로프가 접촉 또는 연결되는 부분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The marine mobile lif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a roller that guides a wire rope while rotating in accordance with a change in the number of wire ropes wound on a hoist winch while the wire rope wound on the hoist winch is wound or unwound ,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ire rope warp between the hoist winch and the roller or the wire rope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roller,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wire rope as well as the portion where the wire rope is contacted or connec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린 모바일 리프트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회전 가이드 롤러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도 2의 회전 가이드 롤러를 상부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arine mobile li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rotation guide roller;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rotation guide roller of FIG. 2 viewed from above.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ing ", or" comprising "and the like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including the various elements or step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Or may be further comprised of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Also, the terms "part," " module, "and the lik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units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하겠다. 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린 모바일 리프트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회전 가이드 롤러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3은 도 2의 회전 가이드 롤러를 상부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marine mobile li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rotation guide roller, and FIG. 3 is a schematic cross- to be.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린 모바일 리프트는 메인프레임(10), 바퀴(20), 트롤리(30), 후크블록(40), 슬링벨트(50), 호이스트윈치(60), 와이어로프(70), 회전 가이드 롤러(80) 및 트롤리 가이드 롤러(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a marine mobile li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frame 10, a wheel 20, a trolley 30, a hook block 40, a sling belt 50, a hoist winch 60, , A wire rope (70), a rotation guide roller (80), and a trolley guide roller (90).

메인프레임(10)은, 서로 평행하게 이격된 한쌍의 하부빔(11), 한쌍의 하부빔(11) 양단 상부에 설치되는 수직빔(12)들, 수직빔(12)들의 상단에 설치되는 거더(13)로 이루어진다.The main frame 10 includes a pair of lower beams 11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parallel to each other, vertical beams 12 installed on both ends of a pair of lower beams 11, (13).

예를 들어, 거더(13)의 상부면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트롤리전용레일(미도시)이 설치되어 있고, 이 트롤리전용레일에는 후술할 트롤리(30)가 안착되며, 트롤리(30)의 이송을 안내한다.For example, a trolley-dedicated rail (not shown)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irder 13 along its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trolley 30 to be described later is seated on the trolley-dedicated rail. .

바퀴(20)는, 하부빔(11)들의 양단 하부에 설치된다.The wheels 20 are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lower beams 11.

예를 들어, 바퀴(20)는 하부빔(11)들의 일단 하부에 설치되는 조향바퀴와 하부빔(11)들의 타단 하부에 설치되는 주행바퀴로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wheel 20 may include a steering wheel installed at a lower end of one end of the lower beams 11 and a traveling wheel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lower ends of the lower beams 11.

한쌍의 조향바퀴들은 조향축에 회전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두개의 조향바퀴가 독립되어서 구비되며, 타이로드가 구비되지 않는다. 일반적인 조향기구(에커먼 기구)는 한쌍의 조향바퀴가 타이로드로 연결되어 있으며, 핸들을 회전시킬 시 타이로드에 의해 한쌍의 조향바퀴 중 바깥쪽의 조향바퀴보다 안쪽의 조향바퀴가 더 크게 회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린 모바일 리프트는 한쌍의 조향바퀴 사이에 보트 인양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며, 이에 따라 2개의 조향바퀴에 타이로드가 연결되지 못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린 모바일 리프트는 수동핸들을 회전시키면 조향부에 의해 한쌍의 조향바퀴들이 회전되며, 안쪽의 조향바퀴가 바깥쪽의 조향바퀴보다 더 회전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조향부는, 메인프레임(10)과 조향바퀴에 연결되어서 조향바퀴의 회전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A pair of steering wheels can be installed to rotate on the steering shaft, two steering wheels are provided independently, and a tie rod is not provided. In a typical steering mechanism (eccentric mechanism), a pair of steering wheels are connected by a tie rod. When the steering wheel is rotated, the tie rod rotates the steering wheel on the inner side more than the steering wheel on the outer side of the pair of steering wheels . The marine mobile lif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quires a space for lifting the boat between the pair of steering wheels, and thus the tie rods can not be connected to the two steering wheels. Therefore, the marine mobile lif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a structure in which, when the manual handle is rotated, the pair of steering wheels are rotated by the steering portion, and the inner steering wheel is rotated more than the outer steering wheel. Here, the steering unit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frame 10 and the steering wheel to control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steering wheel.

한쌍의 주행바퀴들은 피동바퀴이며, 조향바퀴의 조향 방향 또는 주행 방향에 따라 이동되면서 회전될 수 있다.The pair of running wheels are driven wheels and can be rotated while being moved along the steering direction or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steering wheel.

트롤리(30)는, 평행하게 배열된 거더(13)의 상부에 각각 한쌍씩 구비되고, 한쌍의 트롤리(30)가 동시에 거더(13)의 중앙측 또는 거더(13)의 양단부 측으로 이송되도록 설치된다. The trolleys 30 are each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girders 13 arranged in parallel so that the pair of trolleys 30 are simultaneously transported to the center of the girder 13 or both ends of the girder 13 .

예를 들어, 트롤리(30)는 트롤리전용레일에 안착되어서 이를 따라 왕복 이송되는 트롤리브라켓, 트롤리브라켓의 일측에 회동되도록 설치되는 회전블록 및 회전블록에 설치되고 와이어로프(70)가 경유하는 복수의 수직롤러가 구비될 수 있다. 회전블록은 상부가 트롤리브라켓에 블록힌지축으로 결합되어 있다. 그래서, 회전블록은 슬링벨트(50)가 보트의 하부에 밀착되면서 유선형을 따라 당겨질 때에 슬링벨트(50)의 기울어진 각도만큼 블록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즉, 슬링벨트(50)가 보트의 유선형을 따라 기울어지게 당겨지면 후크블록(40)이 함께 당겨지게 되며 이에 따라 후크블록(40)에 연결된 와이어로프(70)가 슬링벨트(50)의 기울어진 경사각도로 당겨진다. 이때, 회전블록도 와이어로프(70)의 당겨지는 힘에 의해 블록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며 이에 따라 회전블록에 설치된 수직롤러들이 와이어로프(70)의 경사각도에 맞게 기울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슬링벨트(50)가 보트에 밀착되면서 기울어지면, 회전블록 및 수직롤러들도 동일한 각도로 기울어지므로, 그 부분의 와이어로프(70)의 휨 변형 및 롤러의 이상 마모가 방지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trolley 30 includes a trolley bracket that is mounted on a trolley-dedicated rail and is reciprocally transported along the trolley bracket, a rotation block installed to rotate on one side of the trolley bracket, and a plurality of A vertical roller may be provided. The rotating block has a top coupled to the trolley bracket as a block hinge axis. Thus, the rotating block is rotated about the block hinge axis by the tilted angle of the sling belt 50 when the sling belt 50 is pulled along the streamlined shape while closely adher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oat. That is, when the sling belt 50 is pulled obliquely along the streamline of the boat, the hook block 40 is pulled together so that the wire rope 70 connected to the hook block 40 is tilted The angle of inclination is pulled. At this time, the rotating block is also rotated about the block hinge axis by the pulling force of the wire rope 70, so that the vertical rollers installed on the rotating block are inclined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wire rope 70. Therefore, if the sling belt 50 is tilted while closely adhering to the boat, the rotation block and the vertical rollers are also inclined at the same angle, so that the warp deformation of the wire rope 70 and the abnormal wear of the roller can be prevented.

후크블록(40)은, 트롤리(30)에 연결되어서 트롤리(30)와 함께 이송된다. 이러한 후크블록(40)에는 후크블록롤러들이 설치되어 있으며, 트롤리(30)의 롤러들을 경유한 와이어로프(70)가 후크블록롤러들을 경유하게 된다.The hook block 40 is connected to the trolley 30 and is transported together with the trolley 30. The hook block 40 is provided with hook block rollers, and the wire rope 70 via the rollers of the trolley 30 is passed through the hook block rollers.

슬링벨트(50)는, 양단이 후크블록(40)에 연결되어 있고, U자 형태를 이루며, 하부가 바닷물 속에 잠겨 있다가 요트가 도크에 진입하면 그 양단이 상측으로 당겨지면서 슬링벨트(50)가 요트 하부의 유선부에 밀착된다.The lower end of the sling belt 50 is connected to the hook block 40 and has a U-shape. When the lower end of the sling belt 50 is locked in the seawater, when the sail enters the dock, both ends of the sling belt 50 are pulled upward,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wired part under the yacht.

호이스트윈치(60)들은, 메인프레임(10)에 설치되고 후크블록(40)들에 연결되어서 후크블록(40)들을 승강시킨다.The hoist winches 60 are installed in the main frame 10 and connected to the hook blocks 40 to lift and lower the hook blocks 40.

예를 들어, 호이스트윈치(60)들은 메인프레임(10)의 하부빔(11)에 4대가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호이스트윈치(60)의 내부에는 와이어로프(70)에 걸리는 장력을 감지하도록 압력센서(미도시)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 압력센서는 호이스트윈치(60)의 내부에 설치되어서 와이어로프(70)의 인장력이 호이스트윈치(60)에 전달되면 이를 감지한다. 측정된 와이어로프(70)의 인장력이 세팅값보다 더 클 경우, 호이스트윈치(60)의 권상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For example, the hoist winches (60) may be arranged in the lower beam (11) of the main frame (10). A pressure sensor (not shown) may be installed inside the hoist winch 60 to sense the tension applied to the wire rope 70. This pressure sensor is installed inside the hoist winch 60 and detects the tensile force of the wire rope 70 when it is transmitted to the hoist winch 60. When the tensile force of the measured wire rope 70 is larger than the set value, the hoisting operation of the hoist winch 60 can be stopped.

와이어로프(70)는, 일단이 호이스트윈치(60)들에 권취되고, 후크블록(40)과 트롤리(30)를 경유하며, 타단이 거더(13)에 고정되어서 호이스트윈치(60)들이 회전되면 권취되거나 풀리면서 후크블록(40)을 승강시킨다.The wire rope 70 is wound around one end of the hoist winch 60 and passes through the hook block 40 and the trolley 30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girder 13 so that the hoist winch 60 is rotated The hook block 40 is lifted or lowered while being wound or unwound.

예를 들어, 와이어로프(7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4줄로 이루어질 수 있다.For example, the wire rope 70 may have four rows, as shown in FIG.

즉, 4줄의 와이어로프(70) 중 좌측의 첫번째 와이어로프(70)는 일단이 4대의 호이스트윈치(60) 중 좌측의 첫번째 호이스트윈치(60)에 권취되고, 거더(13) 상부의 회전 가이드 롤러(80) 및 트롤리 가이드 롤러(90)를 경유하며, 거더(13) 상부면의 후방 우측에 배치된 트롤리(30)의 수직롤러 및 후크블록(40)의 후크블록롤러를 경유한 후 거더(13)의 상부면에 고정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wire rope 70 on the left side of the four wire ropes 70 is wound around the first hoist winch 60 on the left side of the four hoist winches 60, After passing through the vertical roller of the trolley 30 and the hook block roller of the hook block 40 disposed on the rear right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girder 13 via the roller 80 and the trolley guide roller 90, 13).

그리고, 4줄의 와이어로프(70) 중 두번째 와이어로프(70)는 일단이 4대의 호이스트윈치(60) 중 좌측으로부터 두번째 호이스트윈치(60)에 권취되고 거더(13) 상부의 회전 가이드 롤러(80), 롤러(14) 및 트롤리 가이드 롤러(90)를 경유하며, 거더(13) 상부면의 후방 좌측에 배치된 트롤리(30)의 수직롤러 및 후크블록(40)의 후크블록롤러를 경유한 후 거더(13)의 상부면에 고정될 수 있다.The second wire rope 70 of the four-row wire rope 70 is wound around the second hoist winch 60 from the left one of the four hoist winches 60, Via the vertical roller of the trolley 30 disposed on the rear left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girder 13 and the hook block roller of the hook block 40 via the roller 14 and the trolley guide roller 90 And can be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girder 13.

그리고, 4줄의 와이어로프(70) 중 세번째 와이어로프(70)는 일단이 4대의 호이스트윈치(60) 중 좌측으로부터 세번째 호이스트윈치(60)에 권취되고, 거더(13) 상부의 회전 가이드 롤러(80) 및 트롤리 가이드 롤러(90)를 경유하며, 거더(13) 상부면의 전방 우측에 배치된 트롤리(30)의 수직롤러 및 후크블록(40)의 후크블록롤러를 경유한 후 거더(13)의 상부면에 고정될 수 있다.The third wire rope 70 of the four-row wire rope 70 is wound around the third hoist winch 60 from the left one of the four hoist winches 60 at one end, 80 and the trolley guide roller 90 and passes through the vertical roller of the trolley 30 disposed on the front right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girder 13 and the hook block roller of the hook block 40, As shown in FIG.

그리고, 4줄의 와이어로프(70) 중 네번째 와이어로프(70)는 일단이 4대의 호이스트윈치(60) 중 좌측으로부터 네번째 호이스트윈치(60)에 권취되고, 거더(13) 상부의 회전 가이드 롤러(80), 롤러(14) 및 트롤리 가이드 롤러(90)를 경유하며, 거더(13) 상부면의 전방 좌측에 배치된 트롤리(30)의 수직롤러 및 후크블록(40)의 후크블록롤러를 경유한 후 거더(13)의 상부면에 고정될 수 있다.The fourth wire rope 70 of the four-row wire rope 70 is wound around the fourth hoist winch 60 from the left one of the four hoist winches 60 at one end, The vertical roller of the trolley 30 disposed on the front left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girder 13 and the hook block roller of the hook block 40 via the roller 14 and the trolley guide roller 90 Can be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ck girder (13).

회전 가이드 롤러(80)는 거더(13)의 상부면 일측에 설치되며, 호이스트윈치(60)에 권취되거나 풀리는 와이어로프(70)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4개의 회전 가이드 롤러(80)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빔(11)에 설치된 각 호이스트윈치(60)의 위치에 상응하는 거더(13)의 상부면에 설치될 수 있다.The rotation guide roller 8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girder 13 and serves to guide the wire rope 70 wound or unrolled to the hoist winch 60. For example, four rotation guide rollers 80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irder 13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each hoist winch 60 installed on the lower beam 11, as shown in Fig. have.

이때, 회전 가이드 롤러(80)는 호이스트윈치(60)에 다층으로 권취된 와이어로프(70)가 감기거나 풀리면서, 호이스트윈치(60)에 권취된 와이어로프(70)의 층수 변화에 따라 이동하는 와이어로프(70)의 이동방향에 맞춰 일정 각도 회전하면서 와이어로프(70)를 가이드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otation guide roller 80 moves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in the number of layers of the wire rope 70 wound on the hoist winch 60 while the wire rope 70 wound in multiple layers on the hoist winch 60 is wound or unwound The wire rope 70 can be guided while rotating at a predetermined angle in accordance with the moving direction of the wire rope 70. [

예를 들어, 호이스트윈치(60)에 권취된 와이어로프(70)는 감기거나 풀리면서 호이스트윈치(60) 상에서 감기거나 풀리는 권취층의 위치가 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감기거나 풀리는 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그래서, 호이스트윈치(60)에 권취된 와이어로프(70)를 가이드하는 롤러가 고정되어 있는 경우, 해당 부분의 와이어로프(70)의 휨 변형 및 롤러의 이상 마모가 발생할 수 있으며, 나아가 와이어로프(70)가 롤러로부터 이탈될 수 있는 상황까지 발생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wire rope 70 wound on the hoist winch 60 may be wound or unwound while the winding layer unwound or unwound on the hoist winch 60 may vary in position, Lt; / RTI > Therefore, when the roller for guiding the wire rope 70 wound around the hoist winch 60 is fixed, the wire rope 70 at that portion may be warped and abnormal roller abrasion may occur. Further, the wire rope 70 70 may be released from the roller.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 가이드 롤러(80)는 호이스트윈치(60)에 권취되거나 풀리는 와이어로프(70)를 가이드하면서, 와이어로프(70)가 호이스트윈치(60)에 권취된 층이 변화함에 따라 일정 각도 회전할 수 있다.The rotation guide roller 8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uides the wire rope 70 wound or unwound to the hoist winch 60 while the wire rope 70 is wound on the hoist winch 60 As it changes, it can rotate at a certain angle.

예를 들어, 이러한 회전 가이드 롤러(80)는 도 2를 참조하면, 거더(13)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고정되며, 각 단부에 삽입공이 형성된 제1 지지대(81) 및 제2 지지대(82), 양단에 각각 제1 회전축(84) 및 제2 회전축(85)이 형성되며, 제1 회전축(84) 및 제2 회전축(85)이 각각 제1 지지대(81) 및 제2 지지대(82)의 삽입공에 삽입되어, 제1 지지대(81) 및 제2 지지대(8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브라켓(83) 및 회전 브라켓(83)에 설치되며 와이어로프(70)가 경유하는 가이드 롤러(8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회전축(85)에는 축을 따라 중공이 형성되며, 가이드 롤러(86)를 경유한 와이어로프(70)가 중공을 통과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 롤러(86)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Y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며, 이에 따라 와이어로프(70)는 가이드 롤러(86)의 테두리 중심부분에 안착될 수 있다. 그래서, 호이스트윈치(60)에 권취된 와이어로프(70)가 감기거나 풀리면서 호이스트윈치(60)에 권취된 층이 변하여 이동할 때, 가이드 롤러(86)는 와이어로프(70)에 의하여 당겨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가이드 롤러(86)가 결합된 회전 브라켓(83)이 제1 회전축(84) 및 제2 회전축(85)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 가이드 롤러(80)는 360도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으나, 실험 결과에 따르면, 약 10도 ~ 15도만 회전하여도 충분할 수 있다.2, the rotation guide roller 80 includes a first support 81 and a second support 82, which are spaced apart from the girder 13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have insertion holes formed at their ends, A first rotation shaft 84 and a second rotation shaft 85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first support shaft 81 and the second support shaft 82. The first rotation shaft 84 and the second rotation shaft 85 are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shaft 81 and the second support shaft 82, A rotation bracket 83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81 and the second support 82 and a guide roller 82 installed on the rotation bracket 83 and passed through the wire rope 70 86). Here, a hollow is formed along the axis of the second rotary shaft 85, and the wire rope 70 passing through the guide roller 86 can pass through the hollow. The guide roller 86 has a Y-shaped cross section, as shown in FIG. 2, so that the wire rope 70 can be seat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rim of the guide roller 86. The guide roller 86 can be pulled by the wire rope 70 when the wire rope 70 wound on the hoist winch 60 is rolled or loosened and the layer wound on the hoist winch 60 is changed and moved The rotation bracket 83 to which the guide roller 86 is coupled can rotate around the first rotation axis 84 and the second rotation axis 85 by a predetermined ang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 guide roller 80 may be configured to be rotatable by 360 degrees, but it may suffice to rotate only about 10 to 15 degrees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results.

예를 들어, 이러한 회전 가이드 롤러(80)는 도 3에 도시된 단면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지지대(81) 및 제2 지지대(82)는 지지대 몸체(1) 및 축삽입 모듈(2)이 결합됩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축삽입 모듈(2)은 지지대 몸체(1)에 결합되어 고정 나사(3)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축삽입 모듈(2)에는 제1 회전축(84) 및 제2 회전축(85)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삽입된 제1 회전축(84) 및 제2 회전축(85)과 축삽입 모듈(2) 사이에는 회전축(84, 85)의 원활한 회전을 위하여 베어링(4)이 장착될 수 있다.For example, such a rotation guide roller 80 may be configured to have the cross section shown in Fig. Referring to FIG. 3, the first support 81 and the second support 82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support body 1 and the shaft insertion module 2 are coupled. That is, the shaft insertion module 2 can be fixed to the support body 1 by the fixing screw 3. The shaft insertion module 2 is formed with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first rotation shaft 84 and the second rotation shaft 85 are inserted and the first and second rotation shafts 84 and 85, (4) can be mounted between the rotating shaft (2) and the rotating shaft (84, 85) for smooth rotation.

트롤리 가이드 롤러(90)는 거더(13)의 상부면 양측의 트롤리(30)들 사이에 각각 설치되며, 회전 가이드 롤러(80)를 경유한 와이어로프(70)를 트롤리(30)로 가이드한다.The trolley guide rollers 90 are installed between the trolleys 30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girder 13 and guide the wire rope 70 passed through the rotation guide roller 80 to the trolley 30.

또한, 트롤리 가이드 롤러(90)는 호이스트윈치(120)의 구동시 과부하가 검출되면 호이스트윈치(60)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과부하방지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trolley guide roller 90 may perform an overload prevention function for stopping the driving of the hoist winch 60 when an overload is detected when the hoist winch 120 is driven.

예를 들어, 트롤리 가이드 롤러(90)는 거더(13)에 설치되는 가이드롤러브라켓(미도시), 가이드롤러브라켓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와이어로프(70)가 경유하는 가이드롤러(미도시), 가이드롤러브라켓에 설치되고 롤러가 공회전되도록 결합되며 와이어로프(70)에 과하중이 전달되어서 호이스트윈치(60)에 과부하가 인가되면 이를 감지하여서 컨트롤러(미도시)에 전달하는 핀타입로드셀(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트롤리 가이드 롤러(90)는 거더(13)의 상부면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바, 4줄의 와이어로프(70) 중 첫번째 와이어로프(70)와 세번째 와이어로프(70)는 우측의 트롤리 가이드 롤러(90)를 경유하여서 그 핀타입로드셀에 인장력을 인가하며, 두번째 와이어로프(70)와 네번째 와이어로프(70)는 좌측의 트롤리 가이드 롤러(90)를 경유하여서 그 핀타입로드셀에 인장력을 인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롤리 가이드 롤러(90)는, 후크블록(40)에 과부하가 걸리면, 핀타입로드셀이 이를 감지하여 컨트롤러에 전달하고, 컨트롤러에 의해 호이스트윈치(60)의 권상 동작이 정지되며 과부하를 해제할 수 있도록 후크블록(40)이 하강될 수 있다. 따라서, 네개의 후크블록(40) 중 특정 부분에 과부하가 인가되면, 호이스트윈치(60)의 권상 동작이 정지되므로, 호이스트윈치(60)의 파손 및 안전사고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trolley guide roller 90 includes a guide roller bracket (not shown) installed on the girder 13, a guide roller (not shown) installed horizontally on the guide roller bracket and passed through the wire rope 70, A pin type load cell (not shown) installed on the guide roller bracket and coupled to the rollers so as to rotate idly and to detect an overload applied to the hoist winch 60 when the overload is transmitted to the wire rope 70, Time). The trolley guide rollers 90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girder 13 so that the first wire rope 70 and the third wire rope 70 of the four wire ropes 70, The second wire rope 70 and the fourth wire rope 70 apply a tensile force to the pin type load cell via the left trolley guide roller 90 . When the hook block 40 is overloaded, the trolley guide roller 9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pin type load cell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ler. When the hoist winch 60 is hoisted The hook block 40 can be lowered to release the overload. Therefore, when an overload is applied to a specific one of the four hook blocks 40,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hoist winch 60 is stopped, so that the breakage and safety accident of the hoist winch 60 can be prevented in advanc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린 모바일 리프트는 주행과 호이스트윈치(60)의 동작을 조종하기 위한 무선조종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린 모바일 리프트의 컨트롤러는 무선통신부를 구비하여 무선조종장치와 무선으로 통신 연결될 수 있으며, 무선조종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호이스트윈치(60), 바퀴(20) 및 조향부를 구동시키고 제어할 수 있다.The marine mobile lif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radio control device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raveling and hoist winch 60. For example, the controller of the marine mobile lift may be wirelessly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radio control unit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drive the hoist winch 60, the wheel 20 and the steering unit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radio control unit And control.

무선조종장치는 복수의 호이스트윈치(60)를 개별, 그룹 또는 전체적으로로 조종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조종장치는 4개의 호이스트윈치(60)를 2개씩 나누어 조종하거나, 4개 전체를 조종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The radio control device can provide the function of controlling a plurality of hoist winches 60 individually, groupwise or globally. For example, the radio control device can provide a function of controlling four hoist winches 60 by dividing two hoists or controlling all four hoist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린 모바일 리프트는 주변 감시를 위한 카메라(미도시) 또는 장애물 감지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rine mobile lif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amera (not shown) or an obstacle detection sensor (not shown) for surrounding surveillance.

예를 들어, 카메라는 사각지대를 촬영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무선조종장치는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한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할 수 있다. 그래서, 사용자는 사각지대를 확인하고, 이를 고려하면서 마린 모바일 리프트의 전반적인 동작을 조종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amera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the blind spot is photographed, and the radio control device may include a display for receiving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and outputting the received image. Thus, the user can check the blind spot and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arine mobile lift while considering this.

예를 들어, 장애물 감지센서는 마린 모바일 리프트 주변의 위험물의 존재를 검출할 수 있으며, 마린 모바일 리프트에 구비된 알람장치나 무선조종장치로 검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For example, an obstacle detection sensor can detect the presence of dangerous substances around a marine mobile lift, and can transmit a detection signal to an alarm device or a radio control device provided in a marine mobile lift.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Should be regarded as belonging to the following claims.

10: 메인프레임
11: 하부빔
12: 수직빔
13: 거더
20: 바퀴
30: 트롤리
40: 후크블록
50: 슬링벨트
60: 호이스트윈치
70: 와이어로프
80: 회전 가이드 롤러
90: 트롤리 가이드 롤러
10: Main frame
11: Lower beam
12: Vertical beam
13: Girder
20: Wheels
30: Trolley
40: hook block
50: Sling belt
60: Hoist winch
70: Wire rope
80: rotation guide roller
90: Trolley guide roller

Claims (11)

와이어로프가 다층으로 권취된 호이스트 윈치; 및
상기 호이스트윈치에 권취되거나 풀리는 상기 와이어로프를 가이드하면서, 상기 와이어로프가 상기 호이스트윈치에 권취된 층이 변화함에 따라 일정 각도 회전하는 회전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 가이드 롤러는,
거더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고정되며, 각 단부에 삽입공이 형성된 제1 지지대 및 제2 지지대;
양단에 각각 제1 회전축 및 제2 회전축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회전축 및 상기 제2 회전축이 각각 상기 제1 지지대 및 상기 제2 지지대의 삽입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지지대 및 상기 제2 지지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브라켓; 및
상기 회전 브라켓에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로프가 경유하는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회전축에는 축을 따라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롤러를 경유한 상기 와이어로프가 상기 중공을 통과하고,
상기 가이드 롤러는 Y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와이어로프는 가이드 롤러의 테두리 중심부분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호이스트윈치에 권취된 상기 와이어로프가 감기거나 풀리면서 상기 호이스트윈치에 권취된 층이 변하여 이동할 때, 상기 가이드 롤러는 상기 와이어로프에 의하여 당겨지며, 상기 가이드 롤러가 결합된 상기 회전 브라켓이 상기 제1 회전축 및 상기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회전하고,
상기 제1 지지대 및 상기 제2 지지대는 지지대 몸체 및 축삽입 모듈이 결합된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축삽입 모듈은 상기 지지대 몸체에 결합되어 고정 나사에 의하여 고정되고, 상기 축삽입 모듈에는 상기 제1 회전축 및 상기 제2 회전축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삽입된 상기 제1 회전축 및 상기 제2 회전축과 상기 축삽입 모듈 사이에는 회전축의 원활한 회전을 위하여 베어링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린 모바일 리프트.
A hoist winch wound with multiple layers of wire rope; And
And a rotation guide roller for guiding the wire rope wound or unwound on the hoist winch and rotating the wire rope by a predetermined angle as the layer wound on the hoist winch changes,
The rotation guide roller
A first support and a second support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girder and each have an insertion hole formed therein;
A first rotation shaft and a second rotation shaft are formed at both ends, respectively, and the first rotation shaft and the second rotation shaft are inserted into insertion holes of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respectively, A rotation bracket rotatably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And
And a guide roller installed on the rotation bracket and passing through the wire rope,
A hollow is formed along the axis of the second rotation shaft, the wire rope passing through the guide roller passes through the hollow,
The guide roller has a Y-shaped cross section, and the wire rope is seat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rim of the guide roller so that the wire rope wound on the hoist winch is rolled or loosened and the layer wound on the hoist winch is changed and moved The guide roller is pulled by the wire rope and the rotation bracket to which the guide roller is coupled is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about the first rotation axis and the second rotation axis,
Wherein the first support and the second support are coupled to a support body and a shaft insertion module, the shaft insertion module is coupled to the support body and fixed by a fixing screw, And a bearing is mounted between the first rotation shaft and the second rotation shaft and the shaft insertion module for smooth rotation of the rotation shaf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서로 평행하게 이격된 한쌍의 하부빔, 상기 한쌍의 하부빔 각각의 양단 상부에 설치되는 수직빔들 및 상기 수직빔들의 상단에 설치되는 거더를 포함하는 메인프레임;
상기 하부빔들의 양단 하부에 설치되는 바퀴들;
상기 바퀴들 중 적어도 둘 및 상기 메인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바퀴의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조향부;
평행하게 배열된 상기 거더의 상부에 각각 한쌍씩 구비되고, 상기 거더의 중앙측 및 양단부 측으로 이송되도록 설치되는 트롤리;
상기 트롤리에 연결되어 상기 트롤리와 함께 이송되는 후크블록;
상기 후크블록에 양단이 연결되고 보트의 하부를 지지하는 한쌍의 슬링벨트;
상기 호이스트윈치에 일단이 권취되고, 상기 후크블록 및 상기 상기 트롤리를 경유하며, 타단이 상기 거더에 고정되어 상기 호이스트윈치가 회전하면 권취되거나 풀리면서 상기 후크블록을 승강시키는 와이어로프; 및
상기 거더의 상부면 양측의 상기 트롤리 사이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회전 가이드 롤러를 경유한 상기 와이어로프를 상기 트롤리로 가이드하는 트롤리 가이드 롤러를 더 포함하되,
상기 호이스트윈치는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후크블록에 연결되어 상기 후크블록을 승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린 모바일 리프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main frame including a pair of lower beam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parallel to each other, vertical beams installed at both ends of each of the pair of lower beams, and a girder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vertical beams;
Wheels mounted on both lower ends of the lower beams;
At least two of the wheels and a steering unit connected to the main frame to control a rotating direction of the wheels;
A trolley provided on each of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girders arranged in parallel and installed to be transferred to the center side and both ends of the girder;
A hook block connected to the trolley and conveyed together with the trolley;
A pair of sling belts connected at both ends to the hook block and supporting a lower portion of the boat;
A wire rope wound around the hoist winch, routed through the hook block and the trolley,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girder so that the hoist winch is wound or unwound when the hoist winch rotates; And
And a trolley guide roller installed between the trolleys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girder and guiding the wire rope passed through the rotation guide roller by the trolley,
Wherein the hoist winch is installed in the main frame, and is connected to the hook block to elevate the hook block.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들은 상기 하부빔들의 일단 하부에 설치되는 조향바퀴와 상기 하부빔들의 타단 하부에 설치되는 주행바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린 모바일 리프트.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wheels comprise a steering wheel installed at a lower end of one of the lower beams and a traveling wheel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lower beam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트롤리는,
상기 거더의 상부면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트롤리전용레일;
상기 트롤리전용레일에 안착되어 이를 따라 왕복 이송되는 트롤리브라켓;
상기 트롤리브라켓의 일측에 회동되도록 설치되는 회전블록; 및
상기 회전블록에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로프가 경유하는 복수의 수직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블록은 상부가 상기 트롤리브라켓에 블록힌지축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린 모바일 리프트.
5. The method of claim 4,
The trolley,
A trolley-dedicated rail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irder along its longitudinal direction;
A trolley bracket mounted on the rail dedicated to the trolley and reciprocated along the rail;
A rotating block installed to rotate on one side of the trolley bracket; And
A plurality of vertical rollers installed in the rotary block and passed through the wire rope,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rotary block is coupled to the trolley bracket at a block hinge axi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블록은 상기 슬링벨트가 보트의 하부에 밀착되면서 유선형을 따라 당겨질 때에 상기 슬링벨트의 기울어진 각도만큼 상기 블록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린 모바일 리프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rotation block rotates about the block hinge axis by an angle of inclination of the sling belt when the sling belt is pulled along the streamlined shape while being closely attach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oa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트롤리 가이드 롤러는 상기 호이스트윈치의 구동시 과부하가 검출되면, 상기 호이스트윈치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과부하방지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린 모바일 리프트.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trolley guide roller performs an overload preventing function to stop the driving of the hoist winch when an overload is detected during driving of the hoist winch.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트롤리 가이드 롤러는,
상기 거더에 설치되는 가이드롤러브라켓;
상기 가이드롤러브라켓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와이어로프가 경유하는 가이드롤러; 및
상기 가이드롤러브라켓에 설치되고 롤러가 공회전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와이어로프에 과하중이 전달되어서 상기 호이스트윈치에 과부하가 인가되면, 이를 감지하여 컨트롤러에 전달하는 핀타입로드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린 모바일 리프트.
9. The method of claim 8,
The trolley guide roller
A guide roller bracket installed on the girder;
A guide roller installed horizontally in the guide roller bracket and passed through the wire rope; And
And a pin type load cell installed on the guide roller bracket and connected to the rollers so as to idly rotate, and an overload is transmitted to the wire rope so that an overload is applied to the hoist winch, Marin Mobile Lif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이스트윈치의 동작 및 주행을 조종하기 위한 무선조종장치를 더 포함하는 마린 모바일 리프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radio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and running of the hoist winch.
제1항에 있어서,
사각지대를 확인하기 위한 카메라; 및
주변 위험물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한 장애물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마린 모바일 리프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amera for checking a blind spot; And
Further comprising an obstacle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surrounding dangerous goods.


KR1020160014812A 2016-02-05 2016-02-05 Marine Mobile Lift KR101685324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4812A KR101685324B1 (en) 2016-02-05 2016-02-05 Marine Mobile Lift
CN201710048748.2A CN107042878B (en) 2016-02-05 2017-01-22 Ocean traveling hois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4812A KR101685324B1 (en) 2016-02-05 2016-02-05 Marine Mobile Lif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5324B1 true KR101685324B1 (en) 2016-12-09

Family

ID=57574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4812A KR101685324B1 (en) 2016-02-05 2016-02-05 Marine Mobile Lift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85324B1 (en)
CN (1) CN107042878B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8441B1 (en) * 2017-06-27 2018-03-14 이창건 system for transferring a ship
KR20180124780A (en) * 2017-05-11 2018-11-21 (주)카네비컴 Marine mobile lift system
KR101918928B1 (en) * 2018-07-10 2019-02-08 해전산업 주식회사 Ship bottom protection structure
WO2019086936A1 (en) * 2017-11-03 2019-05-09 Cimolai Technology Spa Boat lifting gantry crane
KR20230120828A (en) * 2022-02-10 2023-08-17 (주)카네비모빌리티 Eco-friendly marine mobile lift changeable its width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5134A (en) * 1997-07-17 1999-02-09 Sumitomo Heavy Ind Ltd Inspection truck in air floating type conveyer
KR100503918B1 (en) 2004-01-20 2005-08-17 (주) 뉴텍 Fixed type fishing boat salvage device
KR100853291B1 (en) 2007-04-17 2008-08-20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Crane
JP2011051784A (en) * 2009-09-04 2011-03-17 Makitekku:Kk Moving shelf system
KR101068012B1 (en) 2009-09-17 2011-09-26 이정상 Yacht Crane
KR101304038B1 (en) 2011-12-30 2013-09-04 이정상 The lifting gear for ship
KR101399312B1 (en) * 2014-03-13 2014-05-28 주식회사 아이엘엔지니어링 Marine mobile lif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68260C (en) * 2005-12-27 2008-02-13 国营武昌造船厂 Gravity balance type ship vertical lifter
US7534069B1 (en) * 2007-11-09 2009-05-19 Stanley James C Programmable boatlift system with boat position sensor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5134A (en) * 1997-07-17 1999-02-09 Sumitomo Heavy Ind Ltd Inspection truck in air floating type conveyer
KR100503918B1 (en) 2004-01-20 2005-08-17 (주) 뉴텍 Fixed type fishing boat salvage device
KR100853291B1 (en) 2007-04-17 2008-08-20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Crane
JP2011051784A (en) * 2009-09-04 2011-03-17 Makitekku:Kk Moving shelf system
KR101068012B1 (en) 2009-09-17 2011-09-26 이정상 Yacht Crane
KR101304038B1 (en) 2011-12-30 2013-09-04 이정상 The lifting gear for ship
KR101399312B1 (en) * 2014-03-13 2014-05-28 주식회사 아이엘엔지니어링 Marine mobile lift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4780A (en) * 2017-05-11 2018-11-21 (주)카네비컴 Marine mobile lift system
KR102042348B1 (en) * 2017-05-11 2019-12-02 (주)카네비컴 Marine mobile lift system
KR101838441B1 (en) * 2017-06-27 2018-03-14 이창건 system for transferring a ship
WO2019086936A1 (en) * 2017-11-03 2019-05-09 Cimolai Technology Spa Boat lifting gantry crane
US11794866B2 (en) 2017-11-03 2023-10-24 Cimolai Technology Spa Boat lifting gantry crane
KR101918928B1 (en) * 2018-07-10 2019-02-08 해전산업 주식회사 Ship bottom protection structure
KR20230120828A (en) * 2022-02-10 2023-08-17 (주)카네비모빌리티 Eco-friendly marine mobile lift changeable its width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2644357B1 (en) * 2022-02-10 2024-03-07 (주)카네비모빌리티 Eco-friendly marine mobile lift changeable its width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042878B (en) 2019-05-14
CN107042878A (en) 2017-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5324B1 (en) Marine Mobile Lift
KR101399312B1 (en) Marine mobile lift
US5772360A (en) Topless watercraft lifting apparatus with a differential gearing system
KR101304038B1 (en) The lifting gear for ship
CN100436300C (en) Wire rope reeving support system for cargo container handling gantry cranes
CN115258979A (en) Ship lifting device based on image monitoring and method thereof
CN112978602B (en) Lifting mechanism, ship lift, dock and working method of lifting mechanism
KR101856988B1 (en) Appratus for lifting yacht
JP4568632B2 (en) Lifting device
US8888072B1 (en) Underwater fairlead assembly
CN209957276U (en) Port ship unloader with anti-collision function
JP4361637B2 (en) Anti-sway device for suspension hook in hoist ship
KR101016638B1 (en) Lifting device for a small boat
CN112850477B (en) Ship lift, dock and working method of ship lift
KR101399310B1 (en) Steering system for marine mobile lift
JP5348947B2 (en) How to lift a ship
KR102042348B1 (en) Marine mobile lift system
JP7322528B2 (en) Jib mooring device
CN113526354A (en) Intelligent lifting capacity monitoring system of crane
JPH02183055A (en) Unloading device of small sized ship
JP2864084B2 (en) Bulk unloading machine
KR101720734B1 (en) Rolling-up system of bridge
CN113636474B (en) Lifting device for boats and ships
JPH0544794U (en) Boating equipment
CN114044422B (en) Wharf cargo lifting device and use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