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4824B1 - 의료용 시료봉투 삽입장치 - Google Patents

의료용 시료봉투 삽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4824B1
KR101684824B1 KR1020160001405A KR20160001405A KR101684824B1 KR 101684824 B1 KR101684824 B1 KR 101684824B1 KR 1020160001405 A KR1020160001405 A KR 1020160001405A KR 20160001405 A KR20160001405 A KR 20160001405A KR 101684824 B1 KR101684824 B1 KR 1016848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space
sample bag
medical sample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1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재관
송재윤
구익모
전주희
김낙현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01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48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4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4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016Endoscopic cutting instruments, e.g. arthroscopes, resect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0Instruments, other than pincettes or toothpicks, for removing foreign bodies from the human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시료봉투 삽입장치는, 의료용 시료봉투가 내장되는 제 1 공간이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된 본체부;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인 상하방향으로 제 1 공간과 연통되는 제 2 공간이 마련된 커버부; 커버부의 제 2 공간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상태로 내장된 막대봉; 및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본체부에 연결되는 조작부를 포함하고, 조작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의료용 시료봉투의 일부를 제 1 공간의 외부로 밀어내고, 의료용 시료봉투의 일부가 밀려나가 형성된 제 1 공간 내의 빈공간으로 제 2 공간에서 막대봉이 하강한 상태에서 막대봉을 길이방향으로 밀어 막대봉을 통해 의료용 시료봉투의 나머지를 제 1 공간의 외부로 밀어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의료용 시료봉투 삽입장치{SURGICAL SAMPLE BAG INSERT DEVICE}
본 발명은 의료용 시료봉투 삽입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30cm 이상의 크기가 큰 의료용 시료봉투를 용이하게 인체 내로 삽입할 수 있는 의료용 시료봉투 삽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시경(內視鏡: Endoscope)이라고 하는 것은, 위나 식도와 같이 그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성장기(中空性臟器)의 내면이나, 흉강(胸腔) 또는 복강(腹腔) 등과 같은 신체의 내부를 직접 볼 수 있도록 한 의료기구를 총칭하는 것으로서, 그 사용 용도에 따라 기관지경, 후두경, 식도경, 위카메라, 자궁경, 요도경, 관절경, 방광경, 직장경, 복강경, 심장경 등과 같은 매우 다양한 종류로 세분되어진다.
상기와 같은 내시경을 복강(腹腔) 수술에 이용할 경우, 복강 내부의 상태를 관찰함과 동시에 내장이나 종양 등을 채취하는 시술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수술 부위의 진단과 그 치료에 있어 시술자에게 많은 도움을 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수술시 복벽 및 복강장기가 손상되는 부위를 최소화하여 합병증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환자의 회복 시기와 그 회복에 따른 고통 또한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이 내시경을 이용한 복강 수술시 종양을 제거하거나 내장 등을 봉합하는 시술을 행할 경우에는, 내시경 및 수술도구와 함께 여러 가지 의료도구를 복강의 내부로 삽입시키게 되며, 수술 과정에서 제거되는 종양이나 내장 등의 조각은 랩백(Lap-bag)이라 불리우는 의료도구를 이용하여 비닐주머니에 담아서 복강의 외부로 빼내게 된다.
복강경시술에서 큰 암조직을 몸 밖으로 제거하기 위해서는 세절제기(Morcellator)를 이용한 수술을 시행하게 된다. 암덩어리를 세절제기를 이용하여 갈아가며 외부로 꺼낼 때에 암세포가 주변으로 튀게 되면 그곳에서 새로움 암조직이 자라나게 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이때 암세포가 복강의 다른 곳으로 튀는 것을 막기 위하여 복강내에 시료봉투를 넣고 그 안에 암조직을 담아 그 안에서 세절제기를 이용하여 암덩어리를 제거한다. 이때 세절제기를 이용한 시술은 시료봉투의 크기가 클수록 유리하다.
현재는 긴 막대를 이용하여 시료봉투를 밀어 넣도록 되어 있어 삽입을 위한 막대의 길이가 시료봉투의 길이와 같다. 따라서 30cm 길이의 시료봉투를 삽입하기 위해서는 막대기가 30cm가 되어야 하고 이들이 직렬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의료현장에서 사용하기에는 너무 길다. 이에, 현재 사용하고 있는 장치로는 30cm이상의 시료봉투를 삽입하기 어렵다.
한편, 미국공개특허 제US20070135780A1호에는 'Surgical bag and morcellator system and method of use'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의료용 시료봉투와 동일한 길이를 가진 막대봉을 이용하지 않고도, 30cm 이상의 크기가 큰 의료용 시료봉투를 용이하게 인체 내로 삽입할 수 있는 의료용 시료봉투 삽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시료봉투 삽입장치는, 의료용 시료봉투가 내장되는 제 1 공간이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된 본체부;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인 상하방향으로 제 1 공간과 연통되는 제 2 공간이 마련된 커버부; 커버부의 제 2 공간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상태로 내장된 막대봉; 및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본체부에 연결되는 조작부를 포함하고, 조작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의료용 시료봉투의 일부를 제 1 공간의 외부로 밀어내고, 의료용 시료봉투의 일부가 밀려나가 형성된 제 1 공간 내의 빈공간으로 제 2 공간에서 막대봉이 하강한 상태에서 막대봉을 길이방향으로 밀어 막대봉을 통해 의료용 시료봉투의 나머지를 제 1 공간의 외부로 밀어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커버부에 설치되어 막대봉을 가압하여, 막대봉을 제 2 공간에서 제 1 공간으로 하강시키는 막대봉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체부의 외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본체부의 후단에서 본체부의 전단을 향해 조작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마련되고, 조작부는,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본체부에 설치되어, 의료용 시료봉투의 후단과 맞닿아 의료용 시료봉투의 일부를 밀어내는 제 1 조작부; 및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본체부에 설치되어, 제 1 공간으로 하강한 막대봉의 후단과 맞닿아 막대봉을 밀어내어 의료용 시료봉투의 나머지를 제 1 공간의 외부로 밀어내는 제 2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조작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제 1 공간에서 이동가능하게 가이드부에 연결된 제 1 이동판을 포함하고, 제 1 이동판에는 막대봉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마련되어, 제 1 이동판이 의료용 시료봉투의 일부를 제 1 공간에서 밀어낸 후에 막대봉이 제 2 조작부에 의해 전진이동할 때, 막대봉의 전단이 관통홀을 통과하여 의료용 시료봉투의 후단과 맞닿은 상태로 의료용 시료봉투의 나머지를 제 1 공간에서 밀어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조작부는 관통홀이 커버되도록 제 1 이동판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제한부재를 더 포함하고, 이동제한부재는 제1 이동판의 이동에 따라 의료용 시료봉투의 후단과 맞닿아 의료용 시료봉투의 일부를 밀어내고, 제2 조작부가 막대봉을 밀 때 관통홀을 통과한 막대봉에 밀려 의료용 시료봉투의 나머지를 밀어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제한부재는 의료용 시료봉투를 제1 공간으로부터 밀어낸 후 본체부의 전단에 걸려 막대봉의 제1 공간에서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조작부는, 제 1 공간의 외부에서 위치되고, 제 1 이동판에 부착된 상태에서 가이드부에 연결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제 1 이동판이 의료용 시료봉투를 밀도록 하는 제 1 조작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조작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제 1 공간에서 이동가능하게 가이드부에 연결된 제 2 이동판; 및 제 1 공간의 외부에서 위치되고, 제 2 이동판에 부착된 상태에서 가이드부에 연결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제 2 이동판이 막대봉을 밀도록 하는 제 2 조작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에는 의료용 시료봉투와 같은 크기를 가지는 막대봉을 이용하여 의료용 시료봉투를 인체 내로 삽입하는데, 30cm 이상의 큰 크기를 가진 경우에 의료용 시료봉투의 길이와 막대봉의 길이가 더해져 임상의가 의료용 시료봉투를 인체로 삽입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는데 반해, 본 발명은 막대봉을 커버부에 내장하고, 1차적으로 의료용 시료봉투만을 밀어내는 제 1 조작부를 이용하여 의료용 시료봉투를 본체부에서 밀어내고, 2차적으로 막대봉을 밀어내는 제 2 조작부를 이용하여 의료용 시료봉투를 밀어내어, 의료용 4시료봉투와 같은 크기를 가지고도 임상의가 보다 손쉽게 시료봉투를 인체내로 삽입시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시료봉투 삽입장치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시료봉투 삽입장치의 분해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1의 X-X선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1의 Y-Y선에 따라 절단한 단면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조작부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조작부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시료봉투 삽입장치의 작동상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시료봉투 삽입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기존에는 의료용 시료봉투를 인체로 삽입하기 위해, 의료용 시료봉투가 내장된 하우징과 의료용 시료봉투를 하우징에서 밀어내기 위한 막대가 필요로 하는데, 이때, 막대는 하우징과 동일한 길이를 가져야지 의료용 시료봉투를 하우징에서 밀어낼 수 있었다. 기존의 이러한 구조는 임상의로 하여금 의료용 시료봉투를 인체로 삽입하는데 어려움을 주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의료용 시료봉투(111)의 길이를 가진 크기만으로도, 조작부를 이용하여 크기가 큰 의료용 시료봉투(111)라도 용이하게 인체로 삽입할 수 있어, 임상의의 수술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시료봉투 삽입장치(100)는 본체부(110), 커버부(120), 조작부(130), 막대봉가압부(140) 및 막대봉(160)을 포함한다.
본체부(110)는 전단이 개방된 관형 구조를 가진다. 본체부(110)의 후단은 제 2 결합부재(118b)에 의해 폐쇄된다. 본체부(110)는 의료용 시료봉투(111)가 내장되는 제 1 공간(113)이 마련된다.
본체부(110)는 의료용 시료봉투(111)와 비슷한 길이를 가진다. 의료용 시료봉투(111)는 인체 내로 삽입되어, 복강경 시술에 따라 인체에서 분리된 체액 또는 조직을 담는 봉투이다.
의료용 시료봉투(111)는 본체부(110)의 전단을 통해 인체로 삽입된다. 의료용 시료봉투(111)는 본체부(110)본체부의 전단 부분이 인체 내로 삽입된 상태에서, 후술할 조작부(130)의 조작에 의해 인체로 삽입된다.
본체부(110)는 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탈방지가이드라인(112)과 가이드부(115)가 마련된다.
이탈방지가이드라인(112)은 본체부(110)가 인체로 삽입되는 부분에 마련된다. 이탈방지가이드라인(112)은 제 1 조작부(131)에서 분리된 이동제한부재(137)의 이동제한돌기(137a)가 걸리는 부분으로서, 이동제한부재(137)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개구이다.
가이드부(115)는 본체부(110)가 인체로 삽입되지 않은 부분에 마련된다. 가이드부(115)는 이탈방지가이드라인(112)과 일직선 상으로 본체부에 마련된다. 가이드부(115)는 조작부(13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개구이다. 가이드부(115)는 조작부(130)가 인체로 삽입되지 않도록 조작부(13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120)는 제 1 결합부재(118a)와 제 2 결합부재(118b)에 의해 본체부(110)에 결합된다. 커버부(120)는 막대봉(160)이 내장되는 제 2 공간(125)이 마련된다. 제 2 공간(125)에는 본체부(110)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인 상하방향으로 제 1 공간(113)과 연통된다.
막대봉(160)은 제 2 공간(125)에서, 제 1 공간(113)에 내장된 의료용 시료봉투(111)와 나란하게 배치된다. 막대봉(160)은 의료용 시료봉투(111)를 밀어내기 위한 것이다.
커버부(120)의 외면에는 가이드레일(121)이 마련된다. 가이드레일(121)은 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가이드부(115)와 나란하게 위치된다. 가이드레일(121)은 가이드부(115)와 더불어 조작부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레일(121)은 제 1 조작부(131)의 제 1 걸림돌기(131c)와 제 2 조작부(135)의 제 2 걸림돌기(135c)가 걸려, 제 1 조작부(131)와 제 2 조작부(135)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레일이다.
그리고, 커버부(120)에는 제 2 공간(125)과 연통되는 커버개구(122)가 마련된다. 커버개구(122)에는 막대봉가압부(140)가 설치된다. 막대봉가압부(140)는 제 2 공간(125)에 내장된 막대봉(160)을 가압하여, 제 1 공간(113)으로 하강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대봉가압부(140)는 지지부재(141), 지지하우징(142) 및 가압부재(143)로 이루어진다.
지지부재(141)는 커버개구(122)의 테두리 부분에 결합된다. 지지하우징(142)은 지지부재(141)에 결합되어, 가압부재(143)를 지지한다. 가압부재(143)는 커버개구(122)를 통해 제 2 공간(125)으로 삽입가능하게 지지하우징(142)에 연결된다. 가압부재(143)는 커버개구(122)를 관통하여 막대봉(160)을 가압하여, 막대봉(160)을 제 2 공간(125)에서 제 1 공간(113)으로 밀어낸다.
이하에서는 조작부(13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조작부(130)는 가이드부(115)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본체부의 후단에서 본체부의 전단방향으로 이동하면서, 1차적으로 의료용 시료봉투(111)의 일부를 밀어낸 뒤, 다시 본체부의 후단으로 이동한 후에, 막대봉가압부(140)에 의해 막대봉(160)이 본체부의 빈 공간으로 하강되면 막대봉(160)을 통해 의료용 시료봉투의 나머지를 본체부에서 밀어내도록 작동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조작부(130)는 의료용 시료봉투를 밀어내는 제 1 조작부(131)와 막대봉(160)을 밀어내는 제 2 조작부(135)를 별도로 구비하여, 의료용 시료봉투의 이동을 조작할 할 수 있다.
제 1 조작부(131)는 가이드부(115)에 연결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조작부(131)는 본체부(110)의 전단과 제 2 조작부(135) 사이에 위치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조작부(131)는 제 1 이동판(131b), 제 1 조작부재(131a)와 이동제한부재(137)로 이루어진다.
제 1 이동판(131b)은 외부에서 힘이 가해진 경우에, 의료용 시료봉투(111)를 밀어내기 위한 것이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이동판(131b)에는 관통홀(131d)이 마련된다. 관통홀(131d)은 막대봉(160)이 관통하는 개구로서, 막대봉(160)의 단면보다 큰 면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홀(131d)은 이동제한부재(137)에 의해 커버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제한부재(137)는 의료용 시료봉투(111)의 후단과 맞닿게 제 1 이동판(131b)에 결합된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제한부재(137)는 관통홀(131d)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동제한부재(137)의 외면에는 이동제한돌기(137a)가 마련된다. 이동제한돌기(137a)는 본체부(110)의 이탈방지가이드라인(112)에 걸리는 부분이다.
이동제한부재(137)는 제 1 이동판(131b)의 이동에 따라 의료용 시료봉투(111)의 후단과 맞닿아 의료용 시료봉투(111)의 일부를 밀어내고, 제2 조작부(135)가 막대봉(160)을 밀 때 관통홀을 통과한 막대봉(160)에 밀려 의료용 시료봉투(111)의 나머지를 밀어낸다.
그리고, 이동제한부재(137)는 의료용 시료봉투(111)를 제 1 공간(113)으로부터 밀어낸 후 본체부(110)의 전단에 걸려 막대봉(160)의 제 1 공간(113)에서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이동판(131b)은 제 1 공간(113)에 이동가능하게 가이드부(115)에 연결된다. 제 1 이동판(131b)은 의료용 시료봉투(111)의 후단과 맞닿게 제 1 공간(113)에 위치된다.
이때, 제 1 이동판(131b)은 상술한 이동제한부재(137)에 의해 관통홀(131d)이 커버된 상태 또는 커버되지 않은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제 1 이동판(131b)이 이동제한부재(137)에 의해 관통홀(131d)이 커버되지 않은 상태일 때, 관통홀(131d)은 관통홀(131d)의 단면적이 의료용 시료봉투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제 1 이동판(131b)이 의료용 시료봉투(111)를 보다 용이하게 밀기 위하여, 제 1 조작부재(131a)를 제 1 이동판(131b)에 부착할 수 있다.
제 1 조작부재(131a)는 제 1 공간(113)의 외부에 위치된다. 제 1 조작부재(131a)는 제 1 이동판(131b)에 결합되고, 커버부의 가이드레일(121)에 연결된다. 이를 위해, 제 1 조작부재(131a)는 가이드레일(121)에 연결되는 제 1 걸림돌기(131c)가 마련된다.
제 1 조작부재(131a)는 본체부의 후단에서 본체부의 전단을 향해 이동되면서, 제 1 이동판(131b)을 밀어낸다. 이때, 제 1 이동판(131b)은 의료용 시료봉투(111)의 후단과 맞닿아 의료용 시료봉투의 일부를 제 1 공간(113)에서 밀어낸다.
제 1 조작부(131)의 최대 이동거리는 가이드부(115)의 길이만큼이다. 본체부(110)에는 제 1 조작부(131)가 제 1 공간(113)에서 의료용 시료봉투(111)를 밀어낸 거리만큼 빈 공간이 형성된다.
제 2 조작부(135)는 가이드부(115)에 연결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조작부(135)는 제 1 조작부(131)와 본체부(110)의 후단 사이에 위치된다. 본 예에서, 제 2 조작부(135)는 막대봉(160)을 밀어내기 위한 것이다. 제 2 조작부(135)는 제 1 조작부(131)와 별개로 막대봉(160)을 통해 의료용 시료봉투(111)의 이동을 조정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조작부(135)는 제 2 이동판(135b)과 제 2 조작부재(135a)로 이루어진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이동판(135b)은 제 1 공간(113)에 이동가능하게 가이드부(115)에 연결된다. 제 2 이동판(135b)은 막대봉(160)이 제 1 공간(113)에 위치될 때 막대봉(160)의 후단과 맞닿아, 외부에서 제공된 힘으로 막대봉(160)을 밀어낸다. 제 2 이동판(135b)은 막대봉(160)의 후단과 맞닿는 면에 제 2 지지턱(135d)이 마련된다. 제 2 지지턱(135d)을 제 2 공간(125)에서 제 1 공간(113)으로 진입한 막대봉(160)의 종단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 2 이동판(135b)이 막대봉(160)을 손쉽게 밀어내기 위하여, 제 2 조작부재(135a)를 제 2 이동판(135b)에 부착할 수 있다.
제 2 조작부재(135a)는 제 1 공간(113)의 외부에 위치된다. 제 2 조작부재(135a)는 제 2 이동판(135b)에 결합되고, 커버부의 가이드레일(121)에 연결된다. 이를 위해, 제 2 조작부재(135a)는 가이드레일(121)에 연결되는 제 2 걸림돌기(135c)가 마련된다.
제 2 조작부재(135a)는 본체부의 후단에서 본체부의 전단을 향해 이동되면서, 제 2 이동판(135b)을 밀어낸다. 이때, 제 2 이동판(135b)은 막대봉(160)의 후단과 맞닿아 의료용 시료봉투의 나머지를 제 1 공간(113)에서 밀어낸다.
제 2 조작부(135)의 최대 이동거리는 가이드부(115)의 길이만큼이다. 본체부(120)에는 제 2 조작부(135)가 제 1 공간(113)에서 막대봉(160)을 밀어낸 거리만큼 빈 공간이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제 1 조작부(131)와 제 2 조작부(135)의 작동상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했듯이, 본체부(110)는 의료용 시료봉투(111)를 내장할 정도의 크기를 가진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료용 시료봉투(111)는 제 1 조작부(131)의 이동방향(F1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본체부(110)의 개방된 일단을 통해 제 1 공간(113)의 외부로 나간다. 이때, 제 1 조작부(131)는 의료용 시료봉투(111)의 종단과 맞닿게 위치된다. 제 1 조작부(131)는 제 2 조작부(135)와 의료용 시료봉투(111) 사이에 위치된다. 제 1 조작부(131)는 가이드부(115)의 길이만큼 의료용 시료봉투(111)를 밀어낸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조작부(131)의 조작에 의해 의료용 시료봉투(111)의 일부는 제 1 공간(113)의 외부로 이동되면, 가압부재(143)가 제 2 공간(125)에 위치된 막대봉(160)을 F2방향으로 가압하여, 막대봉(160)을 제 2 공간(125)에서 제 1 공간(113)으로 밀어낸다.
즉, 가압부재(143)의 누름동작에 의해, 커버부(120)에 내장된 막대봉(160)은 본체부(110)로 이동된다. 제 1 공간(113)에 안착된 막대봉(160)은 일단이 제 1 조작부(131)와 맞닿게 위치되고, 막대봉(160)의 타단은 제 2 조작부(135)와 맞닿게 위치된다.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조작부(135)는 가이드부(115)의 길이만큼 막대봉(160)을 밀어낸다. 막대봉(160)은 제 2 조작부(135)의 이동방향(F1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의료용 시료봉투(111)를 본체부(110)의 개방된 일단을 통해 제 1 공간(113)의 외부로 밀어낸다. 이때, 막대봉(160)은 제 1 조작부(131)의 이동제한부재(137)를 관통홀(131d)에서 밀어낸다. 관통홀(131d)에서 이탈된 이동제한부재(137)는 막대봉(160)과 의료용 시료봉투(111) 사이에 위치된다. 이동제한부재(137)는 본체부(110)의 이탈방지가이드라인(112)을 따라 이동되면서, 본체부(110)의 개방된 일단을 막도록 위치되어, 막대봉(160)이 본체부(110)에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진 본 발명은 제 1 조작부를 이용하여 1차적으로 의료용 시료봉투의 일부를 본체부에서 밀어낸 후에, 2차적으로 제 2 조작부를 이용하여 막대봉을 통해 간접적으로 의료용 시료봉투의 나머지 일부를 본체부에서 밀어냄으로써, 막대봉이 의료용 시료봉투와 같은 크기를 가지지 않고도, 제 1 조작부와 제 2 조작부의 조작을 통해 의료용 시료봉투를 용이하게 인체내로 삽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의료용 시료봉투 삽입장치 110: 본체부
120: 커버부 130: 조작부
131: 제 1 조작부 135: 제 2 조작부
137: 이동제한부재 140: 막대봉가압부
160: 막대봉

Claims (8)

  1. 의료용 시료봉투가 내장되는 제 1 공간이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된 본체부;
    상기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인 상하방향으로 상기 제 1 공간과 연통되는 제 2 공간이 마련된 커버부;
    상기 커버부의 상기 제 2 공간에 상기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상태로 내장된 막대봉; 및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는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의료용 시료봉투의 일부를 상기 제 1 공간의 외부로 밀어내고, 상기 의료용 시료봉투의 일부가 밀려나가 형성된 상기 제 1 공간 내의 빈공간으로 상기 제 2 공간에서 상기 막대봉이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막대봉을 상기 길이방향으로 밀어 상기 막대봉을 통해 상기 의료용 시료봉투의 나머지를 상기 제 1 공간의 외부로 밀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시료봉투 삽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에 설치되어 상기 막대봉을 가압하여, 상기 막대봉을 상기 제 2 공간에서 상기 제 1 공간으로 하강시키는 막대봉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시료봉투 삽입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외면에는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본체부의 후단에서 상기 본체부의 전단을 향해 상기 조작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마련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의료용 시료봉투의 후단과 맞닿아 상기 의료용 시료봉투의 일부를 밀어내는 제 1 조작부; 및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공간으로 하강한 상기 막대봉의 후단과 맞닿아 상기 막대봉을 밀어내어 상기 의료용 시료봉투의 나머지를 상기 제 1 공간의 외부로 밀어내는 제 2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시료봉투 삽입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조작부는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 1 공간에서 이동가능하게 상기 가이드부에 연결된 제 1 이동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이동판에는 상기 막대봉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마련되어, 상기 제 1 이동판이 상기 의료용 시료봉투의 일부를 상기 제 1 공간에서 밀어낸 후에 상기 막대봉이 상기 제 2 조작부에 의해 전진이동할 때, 상기 막대봉의 전단이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의료용 시료봉투의 후단과 맞닿은 상태로 상기 의료용 시료봉투의 나머지를 상기 제 1 공간에서 밀어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시료봉투 삽입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조작부는 상기 관통홀이 커버되도록 상기 제 1 이동판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제한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제한부재는 상기 제1 이동판의 이동에 따라 상기 의료용 시료봉투의 후단과 맞닿아 상기 의료용 시료봉투의 일부를 밀어내고, 상기 제2 조작부가 상기 막대봉을 밀 때 상기 관통홀을 통과한 상기 막대봉에 밀려 상기 의료용 시료봉투의 나머지를 밀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시료봉투 삽입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제한부재는 상기 의료용 시료봉투를 상기 제1 공간으로부터 밀어낸 후 상기 본체부의 전단에 걸려 상기 막대봉의 상기 제1 공간에서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시료봉투 삽입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조작부는,
    상기 제 1 공간의 외부에서 위치되고, 상기 제 1 이동판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부에 연결되어,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 1 이동판이 상기 의료용 시료봉투를 밀도록 하는 제 1 조작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시료봉투 삽입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조작부는,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 1 공간에서 이동가능하게 상기 가이드부에 연결된 제 2 이동판; 및
    상기 제 1 공간의 외부에서 위치되고, 상기 제 2 이동판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부에 연결되어,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 2 이동판이 상기 막대봉을 밀도록 하는 제 2 조작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시료봉투 삽입장치.


KR1020160001405A 2016-01-06 2016-01-06 의료용 시료봉투 삽입장치 KR101684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1405A KR101684824B1 (ko) 2016-01-06 2016-01-06 의료용 시료봉투 삽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1405A KR101684824B1 (ko) 2016-01-06 2016-01-06 의료용 시료봉투 삽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4824B1 true KR101684824B1 (ko) 2016-12-08

Family

ID=57576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1405A KR101684824B1 (ko) 2016-01-06 2016-01-06 의료용 시료봉투 삽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482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96666A (ja) * 2005-04-19 2006-11-02 Hakujuji Co Ltd 使い捨て布帛挿入器
US20090182292A1 (en) * 2008-01-10 2009-07-16 A.M.I. Agency Of Medical Innovations Medical instrument
JP2012075907A (ja) * 2010-10-04 2012-04-19 Tyco Healthcare Group Lp 標本回収デバイス
JP2015027575A (ja) * 2010-02-03 2015-02-12 コヴィディエン リミテッド パートナーシップ 外科用回収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96666A (ja) * 2005-04-19 2006-11-02 Hakujuji Co Ltd 使い捨て布帛挿入器
US20090182292A1 (en) * 2008-01-10 2009-07-16 A.M.I. Agency Of Medical Innovations Medical instrument
JP2015027575A (ja) * 2010-02-03 2015-02-12 コヴィディエン リミテッド パートナーシップ 外科用回収装置
JP2012075907A (ja) * 2010-10-04 2012-04-19 Tyco Healthcare Group Lp 標本回収デバイス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52057B2 (en) Surgical access device
US9226772B2 (en) Surgical device
US9636104B2 (en) Laparoscopic cannula with suturing passage cutoff
US8337394B2 (en) Overtube with expandable tip
JP4959579B2 (ja) 細長医療部材
US6544271B1 (en) Device for full-thickness resectioning of an organ
US7300445B2 (en) Full thickness resection device
EP2091442B1 (en) Biopsy collection device
US20090143794A1 (en) Tissue resection device
US20100048990A1 (en) Endoscopic needle for natural orifice translumenal endoscopic surgery
KR101475542B1 (ko) 치핵 탈항 치료 장치
US8728121B2 (en) Puncture needle and medical procedure using puncture needle that is performed via natural orifice
US20100056862A1 (en) Access needle for natural orifice translumenal endoscopic surgery
EP3672472B1 (en) Tools for vaginal access
US20100145148A1 (en) Anoscope
JP2008067725A (ja) 内視鏡の外部鉗子チャンネル装置
JP2011110421A (ja) 外科用のポータルおよび導入器アセンブリ
JP2006512108A (ja) 内視鏡とアクセサリの一体型治療装置
CA2649518A1 (en) Suction dome for atraumatically grasping or manipulating tissue
US5860426A (en) Cholecystoscopic cannula and cholecystoscopic gallbladder laser-sclerosis procedure
KR102336100B1 (ko) 복수의 처치구 병용이 가능한 의료용 토출 기구
KR101684824B1 (ko) 의료용 시료봉투 삽입장치
KR100960436B1 (ko) 내시경 수술용 장기 지지홀더
JP2005211652A (ja) アクセス用医療装置および医療処置実行方法
JP2003325659A (ja) 腹腔鏡下手術用ドレナージ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