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4564B1 - 공통 채널 획득 - Google Patents

공통 채널 획득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4564B1
KR101684564B1 KR1020157000360A KR20157000360A KR101684564B1 KR 101684564 B1 KR101684564 B1 KR 101684564B1 KR 1020157000360 A KR1020157000360 A KR 1020157000360A KR 20157000360 A KR20157000360 A KR 20157000360A KR 101684564 B1 KR101684564 B1 KR 101684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equipment
type
common channel
information
uplink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0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3671A (ko
Inventor
신 홍 웡
Original Assignee
알까뗄 루슨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까뗄 루슨트 filed Critical 알까뗄 루슨트
Publication of KR20150023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3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4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4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4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in the uplink, i.e. towards network
    • H04W72/122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4Scheduled access
    • H04W74/06Scheduled access using po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66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a dedicated channel for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2Selection of wireless resources by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measured or perceived qua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충돌하는 명령들이 수신될 때에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업링크 송신을 위한 공통 채널 유형을 선택하는 방법, 그 방법을 수행하도록 동작가능한 사용자 장비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제1 수신된 명령에 따라 정보의 업링크 송신을 위해 제1 유형의 공통 채널 상에서 리소스를 획득하려고 시도하는 단계; 제2 유형의 공통 채널 상에서 임의의 업링크 송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2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전송될 임의의 정보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만약 그렇지 않다면, 제1 유형의 공통 채널 상에서 리소스를 획득하려는 시도들을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설명된 양태들 및 실시형태들은 효율적인 전체 네트워크 동작을 보장하는 것을 목표로 하면서 사용자 장비에 의해 수신되는 커맨드들의 혼합을 해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Description

공통 채널 획득{COMMON CHANNEL AQUISITION}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업링크 송신을 위한 공통 채널 유형을 선택하는 방법, 그 방법을 수행하도록 동작가능한 사용자 장비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관한 것이다.
무선 전기통신 시스템들이 공지되어 있다. 셀룰러 시스템에서는, 셀들이라고 알려진 영역들 내의, 사용자 장비, 예를 들어 휴대 전화들에 무선 커버리지가 제공된다. 무선 커버리지를 제공하기 위해 각각의 셀 내에 기지국이 위치된다. 각각의 셀 내의 사용자 장비는 기지국으로부터 정보 및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 기지국으로 정보 및 데이터를 송신한다.
기지국에 의해 사용자 장비로의 정보 및 데이터의 송신은 통상적으로 "다운링크" 캐리어들이라고 알려진 무선 캐리어들의 채널들 상에서 발생한다. 사용자 장비에 의해 기지국으로 정보 및 데이터의 송신은 "업링크" 캐리어들이라고 알려진 무선 캐리어들의 업링크 데이터 채널들 상에서 발생한다.
CELL_FACH 상태에서 동작하는 사용자 장비의 기능성은 다양한 하위 특징들의 구현에 의해 강화되었다. 2개의 이러한 하위 특징들은 (i) 독립형(standalone) HS-DPCCH 송신 및 (ii) RACH 폴백(fallback)이다.
HS-DPCCH(High Speed-Dedicated Physical Control Channel; 고속 전용 물리 제어 채널)는, 다운링크 HS-DSCH(High Speed-Dedicated Shared Channel; 고속 전용 공유 채널) 패킷들에 대한 확인응답들 및 CQI(Channel Quality Index; 채널 품질 지수)와 같은 제어 정보를 운반하기 위해 업링크 상에서 사용자 장비에 의해 사용되는 채널이다. HS-DPCCH(또는 피드백 채널)는 피드백 정보가 기지국으로 다시 송신될 수 있게 하여, CQI 정보에 기초하여 적절한 전송 블록 크기들이 선정될 수 있도록 하고, ack/nack 메시징의 결과로서 맹목적 재송신(blind retransmission)들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한다.
RACH 폴백 하위 특징에 따르면, CELL_FACH 상태에서 동작하는 사용자 장비는 공통 또는 공유 채널, 예를 들어 E-DCH(Enhanced-Dedicated Channel; 강화된 전용 채널) 리소스의 할당을 요청하도록 동작가능하다. 사용자 장비가 혼잡을 겪고 있는 네트워크의 셀 내부에서 동작하고 있고 공통 채널들이 과하게(heavily) 사용되고 있는 경우, 그 사용자 장비에 할당 가능한 공통 리소스가 없을 수도 있다. RACH 폴백 하위 특징은 기지국으로 하여금 공통 리소스를 요청하는 사용자 장비에게, 그것이 업링크 송신들을 위해 랜덤 액세스 채널(Random Access Channel; RACH)을 사용하여 동작하도록 "폴백"해야 함을 표시하도록 동작할 수 있게 한다.
RACH 폴백 하위 특징 및 독립형 피드백 하위 특징의 공존은 사용자 장비에서의 동작에 충돌을 야기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양태들은 전체 네트워크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고 하위 특징들 사이의 충돌을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제1 양태는 충돌하는 명령들이 수신될 때에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업링크 송신을 위한 공통 채널 유형을 선택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이 방법은:
제1 수신된 명령에 따라 정보의 업링크 송신을 위해 제1 유형의 공통 채널 상에서 리소스를 획득하려고 시도하는 단계; 제2 유형의 공통 채널 상에서 임의의 업링크 송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2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전송될 임의의 정보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만약 그렇지 않다면, 제1 유형의 공통 채널 상에서 리소스를 획득하려는 시도들을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사용자 장비는, 예를 들어 UMTS 전기통신 네트워크에서 다양한 모드에서 동작할 수도 있다. 셀 내의 사용자 장비의 초기 턴온 시에, 사용자 장비는 통상적으로 "유휴 모드(idle mode)"에서 동작할 것이다. 일단 사용자 장비가 동기화하고 그 자신을 기지국에 배속시키면, 사용자 장비는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접속을 얻고 접속 모드에 있다고 불린다. 유휴 모드에 있는 사용자 장비는 무선 리소스 제어(RRC) 접속을 갖지 않는다. 사용자 장비가 RRC 접속되어 있다면, 사용자 장비는 5개의 상이한 RRC 상태들: cell_DCH 상태, cell_FACH 상태, 강화된(enhanced) cell_FACH 상태, cell_PCH 상태 또는 URA_PCH 상태 중 하나에 있을 수 있다. 사용자 장비는 통상적으로 그것의 트래픽이 높을 때에 cell_DCH 상태로 이동하는데, 이는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 장비에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송신하기 위한 전용 채널이 할당되기 때문이다. UMTS 네트워크 아키텍처에서, 사용자 장비는 cell_DCH 상태에 있을 수 있고, 여기서 다량의 트래픽을 가질 거라고 기대된다. cell_DCH 상태에서의 동작은 통상적으로 높은 배터리 전력을 필요로 한다.
사용자 장비는, cell_DCH 상태에 있지 않을 때에, 업링크 상에서 랜덤 액세스 채널(RACH)을 사용하여 동작하고, 기지국은 순방향 액세스 채널(forward access channel; FACH)을 사용하여 사용자 장비와 통신하도록 동작한다. RACH 및 FACH는 매우 작은 데이터 운반 능력을 갖는다. WCDMA 또는 UMTS 시스템들에서, 사용자 장비 및 기지국들이, 사용자 장비가 cell_FACH 상태에 있을 때의 다운링크 및 업링크 상에서 공유 또는 공통 리소스를 사용하여 그들 사이에서 데이터 트래픽을 통신하고 동작하는 역량이, 강화된 cell_FACH를 통해서 도입되었다. 업링크에서 데이터 트래픽 송신은 강화된 전용 채널(E-DCH)을 사용하여 발생하고, 다운링크에서 트래픽은 고속 다운링크 공유 채널(HS-DSCH) 상에서 전송된다. 그러한 채널들은 사용자 장비 및 기지국들이, 사용자 장비가 cell_DCH 상태에 진입할 필요 없이 임시로 그들 자신들 사이에서 더 큰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하고 통신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배열은 사용자 장비로 하여금 더욱 전용 상태(more dedicated state)로 전이하지 않고 cell_FACH 상태에 더 오래 남아 있을 수 있게 하여, 전력 소비 절약을 가능하게 한다.
몇몇 데이터 트래픽은 사실상 특히 버스티(bursty)일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가 웹사이트 페이지를 로딩하는 동안 수요가 높을 수도 있지만, 그 후에 사용자가 그 웹사이트를 판독하는 동안 거의 제로일 수도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스마트폰들에 의해 점점 더 사용되는, 이러한 버스티 트래픽에 대해 완전 cell_DCH 상태에서의 동작은 특히 배터리 낭비일 수 있으므로, 더욱 전용 무선 접속 상태에 진입하지 않고 버스티 트래픽을 취급하는 능력은 유익하다.
CELL_FACH 상태에서 동작하는 사용자 장비의 기능성은 다양한 하위 특징들의 구현에 의해 강화되었다. 2개의 이러한 하위 특징들은 (i) 독립형 HS-DPCCH 송신 및 (ii) RACH 폴백이다.
HS-DPCCH(High Speed-Dedicated Physical Control Channel; 고속 전용 물리 제어 채널)는, 다운링크 HS-DSCH(High Speed-Dedicated Shared Channel; 고속 전용 공유 채널) 패킷들에 대한 확인응답들 및 CQI(Channel Quality Index; 채널 품질 지수)와 같은 제어 정보를 운반하기 위해 업링크 상에서 사용자 장비에 의해 사용되는 채널이다. HS-DPCCH(또는 피드백 채널)는 피드백 정보가 기지국으로 다시 송신될 수 있게 하여, CQI 정보에 기초하여 적절한 전송 블록 크기들이 선정될 수 있도록 하고, ack/nack 메시징의 결과로서 맹목적 재송신들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한다.
전형적으로, CELL_FACH 상태에서 동작하는 사용자 장비는 사용자 장비가 송신할 업링크 데이터를 갖는 경우에만 HS-DPCCH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도록 동작가능할 것이다. 독립형 HS-DPCCH 송신 하위 특징(NB 트리거된 HS-DPCCH 송신들이라고도 알려짐)은 기지국(노드 B)으로 하여금 사용자 장비가 송신할 업링크 데이터를 갖는지의 여부에 상관없이, 사용자 장비가 HS-DPCCH 상에서 피드백 정보를 송신하도록 트리거할 수 있게 한다. 기지국은 통상적으로 사용자 장비에 HS-SCCH(High Speed-Shared Control Channel; 고속 공유 제어 채널) 오더를 전송함으로써 기지국이 사용자 장비로부터 HS-DPCCH 정보를 수신하기를 원함을 표시하도록 동작가능하다. 피드백의 송신을 트리거하는 것은, 기지국이 임의의 HS-DSCH 패킷을 스케줄링하기 전에, 피드백 정보, 예를 들어 CQI 정보를 수집할 수 있게 하여, 이로써 기지국이 사용자 장비로의 송신들을 위해 적절한 전송 블록 크기를 스케줄링할 수 있게 한다. 피드백 정보의 송신을 트리거함으로써, 기지국은 또한 이른(early) HS-DSCH 패킷들에 대해 사용자 장비로부터 피드백 정보, 예를 들어 ACK/NACK 표시자들을 수신할 수도 있고, 그리하여 이들 이른 HS-DSCH 패킷들의 맹목적 재송신을 수행할 필요를 회피할 수도 있는데, 이들 재송신은 일반적으로 사용자 장비가 ACK/NACK 메시지들의 부재 시에 이들 패킷들을 수신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발생한다.
통상적으로 HS-DPCCH 피드백 정보는 사용자 장비로부터 공통("공유"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 채널을 사용하여 기지국에 송신된다. 사용자 장비가 CELL_DCH 상태에서 동작하고 있을 때에, HS-DPCCH 피드백은 전용 리소스 상에서 전송될 수 있다. 네트워크에서의 공유 또는 공통 채널들은 네트워크 내부에서 동작하는 모든 사용자 장비 사이에서 공유되기 때문에 그들은 경합(contention)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RACH 폴백 하위 특징에 따르면, CELL_FACH 상태에서 동작하는 사용자 장비는 공통 또는 공유 채널, 예를 들어 E-DCH(Enhanced-Dedicated Channel; 강화된 전용 채널) 리소스의 할당을 요청하도록 동작가능하다. 사용자 장비가 혼잡을 겪고 있는 네트워크의 셀 내부에서 동작하고 있고 공통 채널들이 과하게 사용되고 있는 경우, 그 사용자 장비에 할당 가능한 공통 리소스가 없을 수도 있다. RACH 폴백 하위 특징은 기지국으로 하여금 공유 리소스를 요청하는 사용자 장비에게, 그것이 업링크 송신들을 위해 랜덤 액세스 채널(Random Access Channel; RACH)을 사용하여 동작하도록 "폴백"해야 함을 표시하도록 동작할 수 있게 한다. 기지국은 그 폴백을 사용자 장비에게, 예를 들어, AICH(Acquisition Indicator Channel; 획득 표시자 채널) 상에서 서명과 EAI 값의 예비 조합의 사용에 의해 표시할 수도 있다. 이러한 표시가 사용자 장비에 의해 수신되면, 사용자 장비는 RACH를 사용하여 네트워크에 다시 액세스하려고 노력하도록 동작가능할 수도 있다. RACH 채널 상에서의 송신에 적합한 정보는 제한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는 램덤 액세스 채널(RACH) 상에서 전용 제어 채널(DCCH) 메시지들 또는 및 공통 제어 채널(CCCH) 메시지들만을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할 수도 있다.
CELL_FACH 상태에서 동작하는 사용자 장비에 대해 피드백 채널, 예를 들어 HS-DPCCH 상에서 전송되는 피드백 메시지들은, 통상적으로 사용자 장비가 이들 피드백 메시지들에 대한 송신을 위해 공통 E-DCH 리소스(특히, E-DCH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스크램블링 코드)를 사용하도록 동작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RACH를 사용하여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한 사용자 장비는 상이한 세트의 공통 리소스를 사용한다. 사용자 장비가 RACH 상에서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할 때에, 사용자 장비는 또한, 예를 들어 HS-DPCCH 상에서 피드백 메시징을 동시에 송신할 수 없다.
RACH 폴백 하위 특징 및 독립형 피드백 하위 특징의 공존은 사용자 장비에서의 동작의 충돌을 야기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특히, 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는 기지국으로의 송신을 수행하기 위한 리소스를 획득하려고 시도하는 프로세스 동안 기지국으로부터 HS-DPCCH 송신을 트리거하기 위한 HS-SCCH 오더를 수신할 수도 있지만, 또한 RACH 폴백 표시자도 수신할 수도 있다. 그 획득은, 예를 들어 공통 E-DCH 리소스 또는 RACH 리소스 중 어느 하나의 획득에 관한 것일 수도 있다.
RACH 폴백 및 독립형 HS-DPCCH 송신의 하위 특징들을 구현하기 위한 동시 요청들이 발생할 수도 있는 다른 시나리오들이 존재함을 이해할 것이다. 하나의 이러한 시나리오는, 사용자 장비가 RACH 폴백을 표시하는 AICH를 수신하기 전에 HS-DPCCH 송신을 위한 오더가 수신되는 경우에 발생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양태들 및 실시형태들은 효율적인 전체 네트워크 동작을 보장하는 것을 목표로 하면서 사용자 장비에 의해 수신되는 커맨드들의 이러한 혼합을 해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하나의 옵션은, 사용자 장비가 RACH 폴백 표시자를 수신하기 전에, 사용자 장비가 독립형 HS-DPCCH 송신들을 수행하기 위한 오더를 수신했다면 RACH 폴백 표시자를 무시하도록 동작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옵션에 따르면, 사용자 장비는 RACH 폴백 표시자를 NACK로서 처리하도록 동작가능할 것이고, 사용자 장비는 그 후에 최대 프리앰블 사이클이 아직 도달되지 않았음을 가정하여, 업링크 송신들을 위해 공통 리소스를 취득하려는 시도들을 계속한다. RACH 폴백 표시자가 기지국에 의해 사용자 장비로 전송될 수도 있는 하나의 이유가 이용가능한 공통 E-DCH 리소스들이 없다는 것을 이러한 구현들이 인식하지 못함을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이용불가능한 리소스를 취득하려고 노력하도록 사용자 장비를 강제로 동작시키는 것은 네트워크의 셀 내부에서 발생하는 혼잡을 악화시킬 수도 있다.
설명된 양태들 및 실시형태들에 따르면, 예를 들어 E-DCH의 HS-DPCCH 상에서 메시지들을 사용하여, 독립형 피드백 송신들을 수행하기 위한 오더를 이전에 수신한 사용자 장비는, 사용자 장비의 버퍼 점유에 의존하여 RACH로 폴백하기 위한 명령을 따르도록 동작가능하다.
제1 양태는, 제2 유형의 공통 채널만을 표시하는 표시자가 사용자 장비에게 이용가능한 경우, 요청되고 있는 제1 유형의 공통 채널은 이용불가능하거나 또는 혼잡을 겪고 있을 가능성이 있고, 따라서 제1 유형의 공통 채널에 대한 요청이 성공하지 못할 것 같음을 인식한다. 그 요청 프로세스는 그 자체가 네트워크 내부의 시그널링을 혼잡하게 하도록 작용할 수 있고, 제1 양태는 그 시그널링을 최소화함으로써 전체 네트워크 동작을 도울 수 있음을 인식한다.
제1 양태는 네트워크에서의 공통 채널들이 셀 내의 사용자 장비 사이에서 공유되고 다수의 사용자 장비를 포함하는 셀이 공유 리소스에 대해 현저한 경합을 겪을 수도 있음을 인식한다. 네트워크 내부에서 이용가능한 유형들의 공통 채널들은 특정 유형의 정보 또는 메시징을 운반하는 데에만 적합할 수도 있다. 제1 유형의 공유 또는 공통 채널은 제1 유형의 정보 또는 메시징을 운반할 수도 있고, 제2 유형은 동일한 유형의 정보 또는 메시징을 운반할 수 없을 수도 있다.
제1 양태는 제2 유형의 공통 채널을 사용하기 위한 명령을 수신하는 것이 요청된 제1 유형의 이용가능한 공통 리소스들이 없다는 것을 표시할 가능성이 있음을 인식한다.
제1 양태는 사용자 장비 버퍼에 기지국으로의 송신을 위한 임의의 정보 또는 데이터가 존재하기 이전에 제1 유형의 공통 채널을 취득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질 수도 있음을 인식한다. 버퍼에 네트워크로 전송될 정보가 없는 경우, 제2 유형의 공유 채널만이 이용가능함이 표시되었을 때에 제1 유형의 채널을 취득하려고 계속해서 노력하는 것은 전체 네트워크 동작에 유해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정보의 업링크 송신을 위해 제1 유형의 공통 채널 상에서 리소스를 획득하려고 시도하는 것은 제1 유형의 공통 채널 상에서 피드백 정보의 업링크 송신을 위해 리소스를 획득하려고 시도하는 것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러한 피드백 정보가 생성되었거나 또는 네트워크로의 송신을 위해 버퍼에 상주하기 이전에, 사용자 장비는 이러한 피드백 정보가 두드러지게 전송될 수 있는 공통 채널을 취득하려고 노력하도록 동작가능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이 방법은 제1 유형의 공통 채널 상에서 피드백 정보의 업링크 송신을 위해 리소스를 획득하기 위한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네트워크 내부의 제1 유형의 공통 채널 상에서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것만이 가능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피드백 정보는 수신된 다운링크 채널들에 관한 채널 품질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피드백 정보는 전체 동작을 개선시키기 위해 네트워크에 의해 사용될 수도 있다. 채널 품질 정보를 수신하는 것은 사용자 장비로의 다운링크 송신들을 위해 적합한 전송 블록 크기를 선정할 때에 기지국을 도울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이 방법은 전송될 정보가 존재하는지의 여부 및 그 정보 중 임의의 것이 제2 유형의 공통 채널 상에서 전송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만약 그렇다면, 그 정보를 제2 유형의 공통 채널 상에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 장비에서 버퍼의 정보 또는 데이터가 존재한다고 결정되면, 비록 이상적으로 그것이 제1 유형의 채널 상에서 전송되어야 할지라도, 제2 유형의 공통 채널 상에서 그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 정보 또는 데이터가 제2 유형의 채널을 사용하여 전송될 수도 있다고 결정되면,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의 적절한 재구성이 발생할 수 있고 그 정보가 제2 유형의 공통 채널 상에서 전송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이 방법은 전송될 정보가 존재하는지의 여부 및 그 정보 중 임의의 것이 제2 유형의 공통 채널 상에서 전송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만약 그렇지 않다면, 제1 유형의 공통 채널 상에서 리소스를 획득하려는 시도들을 계속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 장비에서 버퍼의 정보 또는 데이터가 존재한다고 결정되면, 제2 유형의 공통 채널 상에서 그 정보 중 임의의 것을 전송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결정될 수도 있고, 최대 수의 프리앰블 절차들 또는 일반적인 백 오프 절차들을 조건으로, 이 방법은 제1 유형의 공통 채널을 취득하려는 추가적인 시도들이 계속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제1 유형의 공통 채널은 E-DCH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제2 유형의 공통 채널은 RACH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제1 유형의 공통 채널 상에서 피드백 정보의 업링크 송신을 위해 리소스를 획득하기 위한 명령은, HS-DPCCH 송신들을 수행하기 위한 HS-SCCH 오더를 포함한다.
제2 양태는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에, 제1 양태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동작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한다.
제3 양태는 충돌하는 명령들이 수신될 때에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업링크 송신을 위한 공통 채널 유형을 선택하도록 동작가능한 사용자 장비를 제공하고, 이 사용자 장비는: 제1 수신된 명령에 따라 정보의 업링크 송신을 위해 제1 유형의 공통 채널 상에서 리소스를 획득하려고 시도하도록 동작가능한 획득 로직; 제2 유형의 공통 채널 상에서 임의의 업링크 송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2 명령을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한 수신 로직; 및 전송될 임의의 정보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만약 그렇지 않다면, 상기 제1 수신된 명령에 따라 제1 유형의 공통 채널 상에서 리소스를 획득하려는 시도들을 중단하도록 동작가능한 결정 로직을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획득 로직은 제1 유형의 공통 채널 상에서 피드백 정보의 업링크 송신을 위해 리소스를 획득하려고 시도하도록 동작가능하다.
일 실시형태에서, 사용자 장비는 제1 유형의 공통 채널 상에서 피드백 정보의 업링크 송신을 위해 리소스를 획득하기 위한 명령을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한 피드백 오더 수신 로직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피드백 정보는 수신된 다운링크 채널들에 관한 채널 품질 정보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결정 로직은 전송될 정보가 존재하는지의 여부 및 그 정보 중 임의의 것이 제2 유형의 공통 채널 상에서 전송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만약 그렇다면, 그 정보를 제2 유형의 공통 채널 상에서 전송하도록 동작가능하다.
일 실시형태에서, 결정 로직은, 전송될 정보가 존재하는지의 여부 및 그 정보 중 임의의 것이 제2 유형의 공통 채널 상에서 전송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만약 그렇지 않다면, 상기 제1 유형의 공통 채널 상에서 리소스를 획득하려는 시도들을 계속하도록 상기 획득 로직에게 지시하도록 동작가능하다.
일 실시형태에서, 제1 유형의 공통 채널은 E-DCH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제2 유형의 공통 채널은 RACH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제1 유형의 공통 채널 상에서 피드백 정보의 업링크 송신을 위해 리소스를 획득하기 위한 명령은, HS-DPCCH 송신들을 수행하기 위한 HS-SCCH 오더를 포함한다.
추가적인 특정 바람직한 양태들은 첨부된 독립 청구항들 및 종속 청구항들에서 진술된다. 종속 청구항들의 특징들은 독립 청구항들의 특징들과 적절히 조합될 수도 있고, 청구항들에 명시적으로 진술된 것들 이외의 조합들로 존재할 수도 있다.
장치 특징부가 기능을 제공하도록 동작가능하다고 설명되는 경우, 이것은 그 기능을 제공하거나, 또는 그 기능을 제공하도록 적응 또는 구성된 장치 특징부를 포함함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은 이제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더욱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전기통신 네트워크의 주요 컴포넌트들을 예시한다;
도 2는 사용자 장비가 네트워크에서 리소스를 획득하려고 시도할 때에 구현될 수도 있는 가능한 프로세스들을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도 3 내지 도 5는 실시형태들에 따라 기지국과 사용자 장비 사이의 메시징을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도 1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전기통신 시스템(일반적으로, 10)의 주요 컴포넌트들을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사용자 장비(50)는 무선 전기통신 시스템(10)을 통해 로밍한다. 무선 커버리지(30)의 영역들을 지원하는 기지국들(20)이 제공된다. 다수의 이러한 기지국들(20)은 사용자 장비(50)에 넓은 영역의 커버리지를 제공하기 위해 지리적으로 분산되고 제공된다. 사용자 장비(50)가 기지국(20)에 의해 서비스되는 영역(30) 내에 있을 때에, 연관된 무선 링크들을 통해 사용자 장비(50)와 기지국(20) 사이에 통신들이 확립될 수도 있다. 각각의 기지국(20)은 통상적으로 지리적 서비스 영역(30) 내부의 다수의 섹터들을 지원한다.
통상적으로, 기지국(20) 내부의 상이한 안테나는 각각의 연관된 섹터를 지원한다. 각각의 기지국(20)은 다중 안테나들을 갖는다. 도 1은 통상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10)에 존재할 수도 있는 기지국들(20) 및 사용자 장비(50)의 총 수의 작은 서브세트를 예시함을 이해할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10)은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 40)에 의해 관리된다.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40)는 백홀 통신 링크(60)를 통해 복수의 기지국들(20)과 통신함으로써 무선 전기통신 시스템(10)의 동작을 제어한다. RNC(40)는 또한 각각의 기지국(20)을 통해서 사용자 장비(50)와 통신하므로, 전체 무선 통신 시스템(10)의 지역을 효과적으로 관리한다.
사용자 장비(50)는 "업링크" 또는 "역방향(reverse)" 채널들이라고 알려진 채널들 상에서 데이터 및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기지국(20)과 통신하고, 기지국(20)은 "다운링크" 또는 "순방향(forward)" 채널들이라고 알려진 무선 채널들 상에서 데이터 및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사용자 장비(50)와 통신한다.
개관
실시형태들을 더욱 상세하게 서술하기 전에, 먼저 개관이 제공될 것이다.
CELL_FACH 상태에서 동작하는 사용자 장비의 기능성은 다양한 하위 특징들의 구현에 의해 강화되었다. 2개의 이러한 하위 특징들은 (i) 독립형 HS-DPCCH 송신 및 (ii) RACH 폴백이다.
HS-DPCCH(High Speed-Dedicated Physical Control Channel; 고속 전용 물리 제어 채널)는, 다운링크 HS-DSCH(High Speed-Dedicated Shared Channel; 고속 전용 공유 채널) 패킷들에 대한 확인응답들 및 CQI(Channel Quality Index; 채널 품질 지수)와 같은 제어 정보를 운반하기 위해 업링크 상에서 사용자 장비에 의해 사용되는 채널이다. HS-DPCCH(또는 피드백 채널)는 피드백 정보가 기지국으로 다시 송신될 수 있게 하여, CQI 정보에 기초하여 적절한 전송 블록 크기들이 선정될 수 있도록 하고, ack/nack 메시징의 결과로서 맹목적 재송신들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한다.
전형적으로, CELL_FACH 상태에서 동작하는 사용자 장비는 사용자 장비가 송신할 업링크 데이터를 갖는 경우에만 HS-DPCCH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도록 동작가능할 것이다. 독립형 HS-DPCCH 송신 하위 특징(NB 트리거된 HS-DPCCH 송신들이라고도 알려짐)은 기지국(노드 B)으로 하여금 사용자 장비가 송신할 업링크 데이터를 갖는지의 여부에 상관없이, 사용자 장비가 HS-DPCCH 상에서 피드백 정보를 송신하도록 트리거할 수 있게 한다. 기지국은 통상적으로 사용자 장비에 HS-SCCH(High Speed-Shared Control Channel; 고속 공유 제어 채널) 오더를 전송함으로써 기지국이 사용자 장비로부터 HS-DPCCH 정보를 수신하기를 원함을 표시하도록 동작가능하다. 피드백의 송신을 트리거하는 것은, 기지국이 임의의 HS-DSCH 패킷을 스케줄링하기 전에, 피드백 정보, 예를 들어 CQI 정보를 수집할 수 있게 하여, 이로써 기지국이 사용자 장비로의 송신들을 위해 적절한 전송 블록 크기를 스케줄링할 수 있게 한다. 피드백 정보의 송신을 트리거함으로써, 기지국은 또한 이른 HS-DSCH 패킷들에 대해 사용자 장비로부터 피드백 정보, 예를 들어 ACK/NACK 표시자들을 수신할 수도 있고, 그리하여 이들 이른 HS-DSCH 패킷들의 맹목적 재송신을 수행할 필요를 회피할 수도 있는데, 이들 재송신은 일반적으로 사용자 장비가 ACK/NACK 메시지들의 부재 시에 이들 패킷들을 수신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발생한다.
통상적으로 HS-DPCCH 피드백 정보는 사용자 장비로부터 공유 또는 공통 채널을 사용하여 기지국에 송신된다. 네트워크에서의 공유 또는 공통 채널들은 네트워크 내부에서 동작하는 모든 사용자 장비 사이에서 공유되기 때문에 그들은 경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RACH 폴백 하위 특징에 따르면, CELL_FACH 상태에서 동작하는 사용자 장비는 공통 또는 공유 채널, 예를 들어 E-DCH(Enhanced-Dedicated Channel; 강화된 전용 채널) 리소스의 할당을 요청하도록 동작가능하다. 사용자 장비가 혼잡을 겪고 있는 네트워크의 셀 내부에서 동작하고 있고 공통 E-DCH 채널들이 과하게 사용되고 있는 경우, 그 사용자 장비에 할당 가능한 공유 리소스가 없을 수도 있다. RACH 폴백 하위 특징은 기지국으로 하여금 공유 리소스를 요청하는 사용자 장비에게, 그것이 업링크 송신들을 위해 랜덤 액세스 채널(Random Access Channel; RACH)을 사용하여 동작하도록 "폴백"해야 함을 표시하도록 동작할 수 있게 한다. 기지국은 그 폴백을 사용자 장비에게, 예를 들어, AICH(Acquisition Indicator Channel; 획득 표시자 채널) 상에서 서명과 EAI 값의 예비 조합의 사용에 의해 표시할 수도 있다. 이러한 표시가 사용자 장비에 의해 수신되면, 사용자 장비는 RACH를 사용하여 네트워크에 다시 액세스하려고 노력하도록 동작가능할 수도 있다. RACH 채널 상에서의 송신에 적합한 정보는 제한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는 램덤 액세스 채널(RACH) 상에서 전용 제어 채널(DCCH) 메시지들 또는 및 공통 제어 채널(CCCH) 메시지들만을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할 수도 있다.
CELL_FACH 상태에서 동작하는 사용자 장비에 대해 피드백 채널, 예를 들어 HS-DPCCH 상에서 전송되는 피드백 메시지들은, 통상적으로 사용자 장비가 이들 피드백 메시지들에 대한 송신을 위해 공통 E-DCH 리소스(특히, E-DCH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스크램블링 코드)를 사용하도록 동작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RACH를 사용하여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한 사용자 장비는 상이한 세트의 공통 RACH를 사용한다. 사용자 장비가 RACH 상에서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할 때에, 사용자 장비는 또한, 예를 들어 HS-DPCCH 상에서 피드백 메시징을 동시에 송신할 수 없다.
RACH 폴백 하위 특징 및 독립형 피드백 하위 특징의 공존은 사용자 장비에서의 동작의 충돌을 야기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특히, 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는 기지국으로의 송신을 수행하기 위한 리소스를 획득하려고 시도하는 프로세스 동안 기지국으로부터 HS-DPCCH 송신을 트리거하기 위한 HS-SCCH 오더를 수신할 수도 있지만, 또한 RACH 폴백 표시자도 수신할 수도 있다. 그 획득은, 예를 들어 공통 E-DCH 리소스 또는 RACH 리소스 중 어느 하나의 획득에 관한 것일 수도 있다.
도 2는 사용자 장비가 네트워크에서 리소스를 획득하려고 시도할 때에 구현될 수도 있는 가능한 프로세스들을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기지국이 AICH 시그널링을 통해서 사용자 장비에게, 이용가능한 공통 채널들이 없고 사용자 장비가 RACH를 사용하도록 폴백해야 함을 표시할 수도 있음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그 RACH 폴백 표시자는 시간 T1과 T2 사이에서 사용자 장비에 의해 수신되었을 수 있다. 사용자 장비가 RACH 채널 상에서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동작가능하기 전에, 다시 말해서, 사용자 장비가 E-DCH 송신 대신에 RACH 송신을 수행하도록 재구성하고 RACH 채널을 취득하는 동안, 시간 T2와 T5 사이에서, 사용자 장비는 기지국으로부터 독립형 피드백, 예를 들어 HS-DPCCH 송신들을 수행하기 위한 오더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사용자 장비는 독립형 HS-DPCCH 송신을 수행하기 위한 HS-SCCH 오더를 무시하고 RACH 송신을 계속하도록 동작가능하다는 것에 합의되었다.
RACH 폴백 및 독립형 HS-DPCCH 송신의 하위 특징들을 구현하기 위해 동시 요청들이 발생할 수도 있는 다른 시나리오들이 존재함을 이해할 것이다. 하나의 이러한 시나리오는, 사용자 장비가 RACH 폴백을 표시하는 AICH를 수신하기 전에 HS-DPCCH 송신을 위한 오더가 수신되는 경우에 발생한다. 다시 말해, 기지국이 도 2의 T1 이전에 독립형 피드백을 요청하는 경우, 기지국은 사용자 장비에게 도 2의 T1과 T2 사이에서 RACH로 폴백하려고 함을 표시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양태들 및 실시형태들은 효율적인 전체 네트워크 동작을 보장하는 것을 목표로 하면서 사용자 장비에 의해 수신되는 커맨드들의 이러한 혼합을 해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하나의 옵션은, 사용자 장비가 RACH 폴백 표시자를 수신하기 전에, 사용자 장비가 독립형 HS-DPCCH 송신들을 수행하기 위한 오더를 수신했다면 RACH 폴백 표시자를 무시하도록 동작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옵션에 따르면, 사용자 장비는 RACH 폴백 표시자를 NACK로서 처리하도록 동작가능할 것이고, 사용자 장비는 그 후에 최대 프리앰블 사이클이 아직 도달되지 않았음을 가정하여, 업링크 송신들을 위해 공통 리소스를 취득하려는 시도들을 계속한다. RACH 폴백 표시자가 기지국에 의해 사용자 장비로 전송될 수도 있는 하나의 이유가 이용가능한 공통 E-DCH 리소스들이 없다는 것을 이러한 구현들이 인식하지 못함을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이용불가능한 리소스를 취득하려고 노력하도록 사용자 장비를 강제로 동작시키는 것은 네트워크의 셀 내부에서 발생하는 혼잡을 악화시킬 수도 있다.
아래 상세하게 설명된 양태들 및 실시형태들에 따르면, 예를 들어 E-DCH의 HS-DPCCH 상에서 메시지들을 사용하여, 독립형 피드백 송신들을 수행하기 위한 오더를 이전에 수신한 사용자 장비는, 사용자 장비의 버퍼 점유에 의존하여 RACH로 폴백하기 위한 명령을 따르도록 동작가능하다.
즉, 사용자 장비가 RACH로 폴백하라는 표시를 수신하는 도 2에 나타낸 AICH 페이즈(phase) 동안 및 도 2의 시간 T1 이전에 사용자 장비가 독립형 HS-DPCCH 송신을 수행하기 위한 오더를 수신할 때에, 사용자 장비는 임의의 독립형 HS-DPCCH 송신들을 "취소"하도록 동작가능하고: (i) 사용자 장비 버퍼가 RACH, 예를 들어 DCCH 또는 CCCH 메시지를 사용한 송신에 적합 및/또는 허용되는 데이터를 갖는다고 결정되는 경우 RACH 상에서의 송신으로 폴백하도록 동작가능하거나, 또는 (ii) 사용자 장비 버퍼가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는다고 결정되면 임의의 업링크 송신들을 중지시키도록 동작가능하다.
사용자 장비의 이러한 동작은 기지국이 독립형 HS-DPCCH 송신들을 개시하기 위한 HS-SCCH 오더를 사용자 장비에 전송한 후에 기지국에서의 로딩 조건이 변화할 수도 있음을 인식한다. 로딩 조건들은 기지국이 RACH 폴백을 구현하는 AICH를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기 전에 변화할 수도 있다.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공통 리소스에 대한 요청이 레이어 1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공통 리소스 할당이 완료되고 업링크 송신들이 이루어질 때까지 기지국은 사용자 장비를 식별하는 수단을 갖지 않음을 이해할 것이다. 기지국이 특정한 사용자 장비로의 독립형 피드백 요청과 공통 채널에 대해 사용자 장비에 의해 이루어지는 요청을 조화시킬 방법은 없다.
통상적으로 기지국은 공통 E-DCH 리소스들이 셀 내부에서 혼잡한 경우에 RACH 폴백이 필요하다고 표시할 것임을 이해할 것이다. RACH 폴백이 요구됨을 기지국이 표시하는 경우, HS-DPCCH 송신을 위해 공통 E-DCH 리소스를 취득하기 위한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요청들은 성공적이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양태들은, 셀이 혼잡할 때에 공통 리소스에 대한 지속적인 요청들을 요구하는 동작에서 멀리 사용자 장비를 이동시키는 것이 전체 네트워크 동작에 유익할 수 있음을 인식한다.
양태들은 또한 RACH를 사용하여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전송될 수 있는 CCCH 또는 DCCH 송신들은 그렇게 할 필요가 없다면 지연되지 않아야 함을 인식한다. 즉, 사용자 장비가 RACH 상에서 전송될 수 있는 정보를 가지며 RACH 폴백 표시자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경우, 독립형 HS-DPCCH 송신들을 수행하기 위한 임의의 앞서 수신된 HS-SCCH 오더들에도 불구하고, 그 정보는 RACH 상에서 적절한 메시지들로 전송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사용자 장비가 RACH를 통해서 데이터가 송신될 수 없는 업링크 데이터를 사용자 장비의 버퍼에 가지며 그 업링크 데이터가 독립형 피드백을 수행하기 위한 오더의 수신과 RACH 폴백 표시자의 수신 사이에 그 버퍼에 도달한 경우, 그 사용자 장비는 레거시(legacy) 절차들에 따라 랜덤 시간 주기 동안 백오프한 후 공통 E-DCH 리소스를 요청함으로써 네트워크에 다시 액세스하려고 노력하도록 동작가능할 수도 있다.
실시예 1
도 3은 일 실시형태에 따라 기지국과 사용자 장비 사이의 메시징을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예시된 시나리오에 따르면, 사용자 장비(50)는 시간 τ0에서 독립형 HS-DPCCH 송신들의 개시를 지시하는 HS-SCCH 오더를 기지국(20)으로부터 수신한다. 그 결과, 사용자 장비(50)는 시간 τ1에서 프리앰블 프로세스를 시작하여 기지국(20)으로부터 HS-DPCCH 송신들을 수행하기 위한 공통 E-DCH 리소스를 취득하려고 노력한다. 이용가능한 E-DCH 리소스가 없기 때문에 기지국(20)은 시간 τ2에서 사용자 장비(50)가 RACH로 폴백하려고 함을 표시하는 AICH를 전송한다. 이 시간 τ2에서 사용자 장비(50) 버퍼는 비어 있다고 결정되고, 설명된 양태들에 따라 사용자 장비는 RACH 또는 E-DCH 채널들 상에서의 임의의 업링크 송신들을 중지하도록 동작가능하다.
사용자 장비가 τ2에서 송신할 데이터를 갖지만 그 데이터가 RACH를 통해서 전송될 수 없는 경우, 사용자 장비는 그 데이터를 송신할 공통 E-DCH 리소스를 취득하려고 재시도하기 전에 랜덤 시간 백오프하도록 동작가능할 수도 있다.
실시예 2
도 4는 일 실시형태에 따라 기지국과 사용자 장비 사이의 메시징을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이렇게 예시된 예에 따르면, 사용자 장비(50)는 시간 τ0에서 CCCH 패킷을 송신하기를 원하고, 따라서 시간 τ1에서 프리앰블 램핑을 시작하여 공통 E-DCH 리소스를 취득하려고 노력하도록 동작가능하다. 시간 τ2에서, 프리앰블 램핑 동안, 사용자 장비(50)는 독립형 HS-DPCCH 송신들의 개시를 지시하는 HS-SCCH 오더를 기지국(20)으로부터 수신한다. 시간 τ3에서, 사용자 장비는 사용자 장비가 RACH로 폴백하려고 함을 표시하는 AICH를 기지국(20)으로부터 수신한다. 사용자 장비는 그 후에 독립형 HS-DPCCH 송신 요청을 취소하고 RACH를 통해서 그것의 CCCH의 송신을 진행하도록 동작가능하다. 이것은 도 4(시간 τ3 이후)에 도시된 바와 같이 RACH 송신을 위해 그 자신을 재구성하고 프리앰블 램핑을 수행하여 RACH 리소스를 취득하는 것을 수반한다.
실시예 3
도 5는 일 실시형태에 따라 기지국과 사용자 장비 사이의 메시징을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예시된 시나리오에 따르면, 사용자 장비는 시간 τ0에서 독립형 HS-DPCCH 송신들을 개시하기 위한 HS-SCCH 오더를 기지국(20)으로부터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하다. 그 결과, 사용자 장비(50)는 그것의 HS-DPCCH 송신들을 위해 공통 E-DCH 리소스를 취득하려고 노력하기 위해 시간 τ1에서 프리앰블 프로세스들을 시작하도록 동작가능하다. 프리앰블 램핑 스테이지 동안, 시간 τ2에서, 사용자 장비는 송신할 DCCH 패킷을 가짐을 결정한다. 그 후에 사용자 장비는 시간 τ3에서 기지국(20)으로부터 사용자 장비가 RACH로 폴백해야 함을 표시하는 AICH를 수신한다. DCCH 메시지가 RACH를 통해서 송신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 장비는 HS-DPCCH 송신 요청을 취소한 후 시간 τ3 이후에 RACH 리소스의 취득을 진행하도록 동작가능하다.
설명된 양태들은 사용자 장비가 동시에 발생하는 HS-DPCCH 송신을 위한 HS-SCCH 오더들 및 RACH 폴백 정보를 취급할 수 있게 한다. 양태들은 공통 E-DCH 혼잡을 가중시키지 않지만, 또한 사용자 장비가 RACH를 통해 운반될 수 있는 메시지들을 송신할 수 있게 한다.
당업자들은 다양한 상술된 방법들의 단계들이 프로그래밍된 컴퓨터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용이하게 인식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몇몇 실시형태들은 또한, 머신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하고 명령들의 머신 실행가능 또는 컴퓨터 실행가능 프로그램들을 인코딩하는 프로그램 저장 디바이스들, 예컨대 디지털 데이터 저장 매체들을 커버하도록 의도되고, 여기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상술된 방법들의 단계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행한다. 프로그램 저장 디바이스들은, 예컨대 디지털 메모리들, 자기 디스크들 및 자기 테이프들과 같은 자기 저장 매체, 하드 드라이브들, 또는 광학적으로 판독가능한 디지털 데이터 저장 매체일 수도 있다. 실시형태들은 또한 상술된 방법들의 상기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된 컴퓨터들을 커버하도록 의도된다.
"프로세스들" 또는 "로직"이라고 라벨링된 임의의 기능 블록들을 포함하는, 도면들에 도시된 다양한 엘리먼트들의 기능들은 전용 하드웨어의 사용을 통해서 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함께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의 사용을 통해서도 제공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에, 기능들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에 의해, 단일 공유 프로세서에 의해, 또는 일부가 공유될 수도 있는 복수의 개별 프로세서들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다. 게다가, "프로세서" 또는 "제어기" 또는 "로직"이라는 용어의 명시적인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만을 배타적으로 지칭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네트워크 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판독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및 비휘발성 저장소를 함축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종래의 및/또는 주문 제작된 다른 하드웨어가 또한 포함될 수도 있다. 유사하게, 도면들에 도시된 임의의 스위치들은 개념적인 것일 뿐이다. 그들의 기능은 프로그램 로직의 동작을 통해서, 전용 로직을 통해서, 프로그램 제어 및 전용 로직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또는 심지어 수동으로 실시될 수도 있고, 문맥으로부터 더욱 구체적으로 이해되듯이 특정한 기법이 구현자에 의해 선택가능하다.
당업자들은 본 명세서에서의 임의의 블록도들이 본 발명의 원리들을 구현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 뷰들을 나타냄을 이해해야 한다. 유사하게, 임의의 플로차트들, 흐름도들, 상태 전이도들,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서 실질적으로 나타내질 수도 있고 그래서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는 (이러한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든 아니든) 다양한 프로세스들을 나타냄을 이해할 것이다.
설명 및 도면들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들을 예시한다. 그리하여 본 명세서에 명시적으로 설명 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본 발명의 원리들을 구현하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양한 배열들을 당업자들이 고안할 수 있을 것임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인용된 모든 예들은 주로 독자가 본 발명의 원리들 및 본 발명자(들)에 의해 고려된 개념들을 이해하는 것 내지 기술을 발전시키는 것을 돕기 위해 오직 교육적 목적들을 위해 분명히 의도된 것이고, 이러한 구체적으로 인용된 예들 및 조건들로 제한되지 않고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들, 양태들 및 실시형태들은 물론 그 구체예들을 인용하는 본 명세서 내의 모든 서술들은 그 등가물들을 포괄하도록 의도된 것이다.

Claims (14)

  1. 충돌하는 명령들이 수신될 때에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업링크 송신을 위한 공통 채널 유형을 선택하는 방법으로서,
    제1 수신된 명령에 따라 정보의 업링크 송신을 위해 제1 유형의 공통 채널 상에서 리소스를 획득하려고 시도하는 단계;
    제2 유형의 공통 채널 상에서 임의의 업링크 송신을 수행하라는 제2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전송될 임의의 정보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만약 그렇지 않다면, 상기 제1 수신된 명령에 따라 상기 제1 유형의 공통 채널 상에서 리소스를 획득하려고 시도하는 것을 중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정보의 업링크 송신을 위해 제1 유형의 공통 채널 상에서 리소스를 획득하려고 시도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1 유형의 공통 채널 상에서 피드백 정보의 업링크 송신을 위해 리소스를 획득하려고 시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형의 공통 채널 상에서 피드백 정보의 업링크 송신을 위해 리소스를 획득하라는 제1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정보는 수신된 다운링크 채널들에 관한 채널 품질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의 결과가 전송될 정보가 존재한다는 것인 경우, 상기 방법은 그 정보 중 임의의 것이 상기 제2 유형의 공통 채널 상에서 전송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만약 그렇다면, 그 정보를 상기 제2 유형의 공통 채널 상에서 전송하려고 시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의 결과가 전송될 정보가 존재한다는 것인 경우, 상기 방법은 그 정보 중 임의의 것이 상기 제2 유형의 공통 채널 상에서 전송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만약 그렇지 않다면, 상기 제1 유형의 공통 채널 상에서 리소스를 획득하려고 계속해서 시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형의 공통 채널 상에서 리소스를 획득하려고 재시도하기 전에 백오프 주기(back-off period)를 기다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백오프 주기는 의사 랜덤(pseudorandom)인, 방법.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형의 공통 채널은 E-DCH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형의 공통 채널은 RACH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형의 공통 채널 상에서 피드백 정보의 업링크 송신을 위해 리소스를 획득하라는 상기 제1 수신된 명령은, HS-DPCCH 송신들을 수행하기 위한 HS-SCCH 오더(order)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하는 명령들은 CELL_FACH 상태에서 동작하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수신되는, 방법.
  13.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에,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14. 충돌하는 명령들이 수신될 때에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업링크 송신을 위한 공통 채널 유형을 선택하도록 동작가능한 사용자 장비로서,
    제1 수신된 명령에 따라 정보의 업링크 송신을 위해 제1 유형의 공통 채널 상에서 리소스를 획득하려고 시도하도록 동작가능한 획득 로직;
    제2 유형의 공통 채널 상에서 임의의 업링크 송신을 수행하라는 제2 명령을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한 수신 로직; 및
    전송될 임의의 정보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만약 그렇지 않다면, 상기 제1 수신된 명령에 따라 상기 제1 유형의 공통 채널 상에서 리소스를 획득하려는 시도들을 중단하도록 동작가능한 결정 로직
    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KR1020157000360A 2012-07-12 2013-06-19 공통 채널 획득 KR1016845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2360050.4A EP2685775B1 (en) 2012-07-12 2012-07-12 Common Resource Acquisition
EP12360050.4 2012-07-12
PCT/EP2013/001810 WO2014008978A1 (en) 2012-07-12 2013-06-19 Common channel aquisition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3924A Division KR101761533B1 (ko) 2012-07-12 2013-06-19 공통 채널 획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3671A KR20150023671A (ko) 2015-03-05
KR101684564B1 true KR101684564B1 (ko) 2016-12-09

Family

ID=4678534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3924A KR101761533B1 (ko) 2012-07-12 2013-06-19 공통 채널 획득
KR1020157000360A KR101684564B1 (ko) 2012-07-12 2013-06-19 공통 채널 획득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3924A KR101761533B1 (ko) 2012-07-12 2013-06-19 공통 채널 획득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111249B2 (ko)
EP (1) EP2685775B1 (ko)
JP (1) JP6140821B2 (ko)
KR (2) KR101761533B1 (ko)
CN (1) CN104412693B (ko)
BR (1) BR112015000563B1 (ko)
RU (1) RU2608675C2 (ko)
TW (1) TWI519179B (ko)
WO (1) WO20140089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31950B (zh) * 2017-03-23 2023-11-07 华为技术有限公司 发送反馈信息的方法和设备
US11743936B2 (en) 2018-10-29 2023-08-29 Apple Inc. Random access procedures in new radio unlicensed spectrum (NR- U)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4899B1 (ko) 2001-01-10 2003-05-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끊김없는 주파수간 하드 핸드오버 방법
JP2005012275A (ja) 2003-06-16 2005-01-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送信装置、無線パケット送信方法、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US8687542B2 (en) * 2006-05-18 2014-04-0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of improving throughput in a system including sticky assignments
US20080212615A1 (en) * 2006-07-10 2008-09-04 Ranta-Aho Karri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Data in a Communications System
TW201524149A (zh) * 2007-10-25 2015-06-16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無縣通信競爭式存取中控制上鏈反饋資訊方法及裝置
TW200931868A (en) * 2008-01-04 2009-07-16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an enhanced random access channel procedure in a Cell_FACH state
CN101953123B (zh) * 2008-02-12 2014-03-05 爱立信电话股份有限公司 上行链路和下行链路资源的分配和优先级处理
US7983215B2 (en) * 2008-04-17 2011-07-19 Infineon Technologies Ag Communication device, method for transmitting an uplink transmission control message, method for receiving an uplink transmission control message
GB2489413B (en) * 2011-03-25 2016-08-03 Broadcom Corp Discontinuous reception with user equipment based mobility
US9591623B2 (en) * 2011-04-04 2017-03-07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concurrent deployment of multiple transmission time intervals for uplink transmissions by user equipment in a non-dedicated channel state
US8792447B2 (en) * 2011-08-11 2014-07-29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Channel selection for uplink access
US8761068B2 (en) * 2011-08-15 2014-06-24 Qualcomm Incorporated Supporting DL triggered HS-DPCHH in a cell in CELL—FACH
MY171387A (en) 2012-06-05 2019-10-10 Basf Se Use of multi-stage polymerizate dispersions to coat metal sheets
KR102123039B1 (ko) * 2013-07-19 2020-06-15 니치아 카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발광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121698B1 (ko) * 2019-10-16 2020-06-10 김동현 해외 여행자 정보를 활용한 구매 대행 시스템 및 그 구매 대행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R2-121698*
R2-12303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1533B1 (ko) 2017-07-25
TW201415918A (zh) 2014-04-16
KR20150023671A (ko) 2015-03-05
RU2015104658A (ru) 2016-08-27
EP2685775B1 (en) 2020-05-13
CN104412693B (zh) 2018-06-29
TWI519179B (zh) 2016-01-21
US10111249B2 (en) 2018-10-23
BR112015000563A2 (pt) 2017-06-27
RU2608675C2 (ru) 2017-01-23
US20150189674A1 (en) 2015-07-02
BR112015000563B1 (pt) 2022-09-13
CN104412693A (zh) 2015-03-11
JP2015526975A (ja) 2015-09-10
WO2014008978A1 (en) 2014-01-16
JP6140821B2 (ja) 2017-05-31
KR20160143883A (ko) 2016-12-14
EP2685775A1 (en) 2014-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77583B2 (en) Enhanced dedicated-channel signaling in a CELL—FACH state
EP2883408B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handling connection setups in a telecommunications system
KR101623459B1 (ko) 비-전용 채널 상태에서 사용자 장비에 의한 업링크 전송들을 위한 다수의 전송 시간 간격들의 동시 전개를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11184884B2 (en) Methods and arrangement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20130114518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overriding common enhanced dedicated channel resource selection
WO2020164066A1 (en) Listen before talk wireless communication enhancements
KR101684564B1 (ko) 공통 채널 획득
EP3952579A1 (en) Uplink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uplink scheduling method and apparatus, and communication system
GB2502175A (en) Adjusting backoff time period based on current network load
CN113424642B (zh) 通信装置、第2通信装置、通信系统以及通信方法
US2023036296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saving power in sidelink communications
EP2665319B1 (en) Communicating user equipment capability to a base station
CN111132360A (zh) 消息发送、消息配置方法及装置、存储介质
WO2013023834A1 (en) Indicating the availability of an alternate uplink resource
JPWO2021073032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