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3878B1 - 전원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전원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3878B1
KR101683878B1 KR1020090120510A KR20090120510A KR101683878B1 KR 101683878 B1 KR101683878 B1 KR 101683878B1 KR 1020090120510 A KR1020090120510 A KR 1020090120510A KR 20090120510 A KR20090120510 A KR 20090120510A KR 101683878 B1 KR101683878 B1 KR 1016838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capacitor
electrically connected
resistor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0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4078A (ko
Inventor
정성혁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0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3878B1/ko
Publication of KR20110064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40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3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38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4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in converters or i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67Converter structures employing plural converter units, other than for parallel operation of the units on a single load
    • H02M1/007Plural converter units in cascad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67Converter structures employing plural converter units, other than for parallel operation of the units on a single load
    • H02M1/0074Plural converter units whose inputs are connected in s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14Arrangements for reducing ripples from dc input or output
    • H02M1/143Arrangements for reducing ripples from dc input or output using compensa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043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transformers or inductors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6Power conversion systems, e.g. maximum power point trac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 1 직류 전압을 제공하는 제 1 직류 전압 제공부와, 제 1 직류 전압 제공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 1 직류 전압 제공부를 통해 제 1 직류 전압을 공급받아 다른 레벨의 제 2 직류 전압을 출력하도록 제 1 직류 전압의 펄스 폭을 조절하는 control IC와, control IC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control IC를 통해 조절된 제 2 직류 전압을 부하에 제공하는 제 2 직류 전압 제공부와, 제 2 직류 전압 제공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control IC의 구동에 의해 잔류하는 부하의 노이즈 신호를 제거하는 필터부, 및 부하로부터 피드백 신호를 공급받아 control IC에 제공하는 피드백부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전원 공급 장치, control IC, 필터부, 노이즈 신호

Description

전원 공급 장치{Apparatus for supplying power}
실시예는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원 공급 장치는 부하에 적정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비되었다.
여기서, 전원 공급 장치는 부하에 적정 전원을 공급하도록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AC/DC Converter 또는 직류 전압을 다른 레벨의 직류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DC/DC Converter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였다.
그러나, 종래 DC/DC Converter는 부하에 적정 전원을 공급할 때에, DC/DC Converter의 구동에 의한 부하의 노이즈 성분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DC/DC Converter의 구동에 의해 잔류하는 부하의 노이즈 성분을 빠르게 제거하여, DC/DC Converter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억제하도록 개선된 전원 공급 장치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행해져 오고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는 DC/DC Converter의 구동에 의해 잔류하는 부하의 노이즈 성분을 빠르게 제거하여, DC/DC Converter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는 제 1 직류 전압을 제공하는 제 1 직류 전압 제공부와, 제 1 직류 전압 제공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 1 직류 전압 제공부를 통해 제 1 직류 전압을 공급받아 다른 레벨의 제 2 직류 전압을 출력하도록 제 1 직류 전압의 펄스 폭을 조절하는 control IC와, control IC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control IC를 통해 조절된 제 2 직류 전압을 부하에 제공하는 제 2 직류 전압 제공부와, 제 2 직류 전압 제공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control IC의 구동에 의해 잔류하는 부하의 노이즈 신호를 제거하는 필터부, 및 부하로부터 피드백 신호를 공급받아 control IC에 제공하는 피드백부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는 DC/DC Converter의 구동에 의해 잔류하는 부하의 노이즈 성분을 빠르게 제거하여, DC/DC Converter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100)는 제 1 직류 전압 제공부(102), control IC(104), 제 2 직류 전압 제공부(106), 필터부(108), 피드백부(110)등을 포함한다.
이때, 전원 공급 장치(100)는 DC/DC Buck Converter를 포함하여 제작될 수가 있다.
제 1 직류 전압 제공부(102)는 제 1 직류 전압을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더욱 자세하게 말하면, 제 1 직류 전압 제공부(102)는 제 1 기준 전압원 제공 단자(102a), 적어도 하나의 제 1 직류 전압 제공용 커패시터(C1, C2), 제 1 직류 전압 제공 단자(102b), 적어도 하나의 제 1 직류 전압 제공용 저항(R1, R2, R3, R4), 적어도 하나의 정류 다이오드(D1), 적어도 다른 하나의 제 1 직류 전압 제공용 커패시터(C3)등을 포함할 수가 있다.
제 1 기준 전압원 제공 단자(102a)는 control IC(104)에 제 1 기준 전압을 제공하여 control IC(104)를 동작시키도록 제공될 수가 있고, 적어도 하나의 제 1 직류 전압 제공용 커패시터(C1, C2)는 제 1 기준 전압원 제공 단자(102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 1 기준 전압원 제공 단자(102a)로부터 공급되는 제 1 기준 전압을 저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제 1 직류 전압 제공용 커패시터(C1, C2)는 제 1 커패시터(C1)와 제 2 커패시터(C2)등을 포함할 수가 있다.
제 1 커패시터(C1)는 일단이 제 1 기준 전압원 제공 단자(102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제 2 커패시터(C2)는 일단이 제 1 기준 전압원 제공 단자(102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 1 커패시터(C1)와 서로 병렬되며, 타단이 접지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제 1 직류 전압 제공 단자(102b)는 직류 전압을 공급받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1 직류 전압 제공용 저항(R1, R2, R3, R4)은 일단이 control IC(10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되어 제 1 직류 전압 제공 단자(102b)를 통해 공급되는 직류 전압을 분배하여 control IC(104)에 적정 레벨의 제 1 직류 전압을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제 1 직류 전압 제공용 저항(R1, R2, R3, R4)은 제 1 저항(R1), 제 2 저항(R2), 제 3 저항(R3), 제 4 저항(R4)등을 포함할 수가 있다.
제 1 저항(R1)은 제 1 직류 전압 제공 단자(102b)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고, 제 2 저항(R2)은 제 1 저항(R1)과 병렬 연결될 수가 있다.
제 3 저항(R3)은 일단이 접지되고 타단이 control IC(104)의 일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으며, 제 4 저항(R4)은 일단이 접지되고 타단이 control IC(104)의 타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정류 다이오드(D1)는 control IC(104)의 입력단 일측과 출력단 일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control IC(104)로부터 공급되는 다른 레벨의 제 2 직류 전압을 정류시키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정류 다이오드(D1)는 제 1 정류 다이오드(D1)를 포함할 수가 있다.
적어도 다른 하나의 제 1 직류 전압 제공용 커패시터(C3)는 일단이 적어도 하나의 정류 다이오드(D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control IC(104)의 출력단 타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정류 다이오드(D1)를 통해 정류된 다른 레벨의 제 2 직류 전압을 저장시키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다른 하나의 제 1 직류 전압 제공용 커패시터(C3)는 제 3 커패시터(C3)를 포함할 수가 있다.
control IC(104)는 제 1 직류 전압 제공부(10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 1 직류 전압 제공부(102)를 통해 제 1 직류 전압을 공급받아 다른 레벨의 제 2 직류 전압을 출력하도록 제 1 직류 전압의 펄스 폭을 조절한다.
제 2 직류 전압 제공부(106)는 control IC(10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control IC(104)를 통해 조절된 제 2 직류 전압을 부하(107)에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이때, 부하(107)는 LED 백라이트를 포함하여 제작될 수가 있다.
더욱 자세하게 말하면, 제 2 직류 전압 제공부(106)는 제 2 기준 전압원 제공 단자(106a), 적어도 하나의 제 2 직류 전압 제공용 커패시터(C4, C5, C6, C7, C8), 제 1 스위칭 소자(SW1), 적어도 다른 하나의 정류 다이오드(D2), 적어도 하나의 제 2 직류 전압 제공용 저항(R5, R6), 제 2 스위칭 소자(SW2), 적어도 다른 하나의 제 2 직류 전압 제공용 저항(R7, R8), 적어도 하나의 인덕터(L1), 적어도 하나의 평활 커패시터(CP1), 적어도 또 다른 하나의 제 2 직류 전압 제공용 저항(R9, R10, R11, R12), 적어도 다른 하나의 제 2 직류 전압 제공용 커패시터(C9, C10)등을 포함할 수가 있다.
제 2 기준 전압원 제공 단자(106a)는 control IC(104)에 제 2 기준 전압을 제공하여 control IC(104)를 동작시키도록 제공될 수가 있고, 적어도 하나의 제 2 직류 전압 제공용 커패시터(C4, C5, C6, C7, C8)는 제 2 기준 전압원 제공 단자(106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 2 기준 전압원 제공 단자(106a)로부터 공급되는 제 2 기준 전압을 저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제 2 직류 전압 제공용 커패시터(C4, C5, C6, C7, C8)는 제 4 커패시터(C4), 제 5 커패시터(C5), 제 6 커패시터(C6), 제 7 커패시터(C7), 제 8 커패시터(C8)등을 포함할 수가 있다.
제 4 커패시터(C4)는 일단이 제 2 기준 전압원 제공 단자(106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되도록 제공될 수가 있고, 제 5 커패시터(C5)는 일단이 제 4 커패시터(C4)와 서로 병렬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제 6 커패시터(C6)는 일단이 제 5 커패시터(C5)와 서로 병렬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되도록 제공될 수가 있고, 제 7 커패시터(C7)는 일단이 제 6 커패시터(C6)와 서로 병렬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제 8 커패시터(C8)는 일단이 제 7 커패시터(C7)와 서로 병렬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제 1 스위칭 소자(SW1)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직류 전압 제공용 커패시터(C4, C5, C6, C7, C8)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control IC(104)로부터 선택적으로 턴온 신호를 공급받아 적어도 하나의 제 2 직류 전압 제공용 커패시터(C4, C5, C6, C7, C8)에 저장된 제 2 기준 전압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제 1 스위칭 소자(SW1)는 MOSFET, BJT, IGBT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가 있다.
적어도 다른 하나의 정류 다이오드(D2)는 제 1 스위칭 소자(SW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 1 스위칭 소자(SW1)를 통해 공급되는 제 2 기준 전압을 정류시키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다른 하나의 정류 다이오드(D2)는 제 2 정류 다이오드(D2)를 포함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2 직류 전압 제공용 저항(R5, R6)은 제 5 저항(R5)과 제 6 저항(R6)을 포함할 수가 있다.
제 5 저항(R5)은 일단이 적어도 다른 하나의 정류 다이오드(D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control IC(1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제 6 저항(R6)은 일단이 적어도 다른 하나의 정류 다이오드(D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 5 저항(R5)과 서로 병렬 연결되며, 타단이 control IC(1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제 2 스위칭 소자(SW2)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제 1 직류 전압 제공용 커패시터(C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control IC(104)로부터 선택적으로 턴온 신호를 공급받아 적어도 다른 하나의 제 1 직류 전압 제공용 커패시터(C3)에 저장된 다른 레벨의 제 2 직류 전압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제 2 스위칭 소자(SW2)는 MOSFET, BJT, IGBT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가 있다.
적어도 다른 하나의 제 2 직류 전압 제공용 저항(R7, R8)은 일단이 control IC(10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제 2 스위칭 소자(SW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부하(107)에 다른 적정 레벨의 제 2 직류 전압을 제공하도록 다른 레벨의 제 2 직류 전압을 분배한다.
적어도 다른 하나의 제 2 직류 전압 제공용 저항(R7, R8)은 제 7 저항(R7)과 제 8 저항(R8)을 포함할 수가 있다.
제 7 저항(R7)은 일단이 control IC(10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제 2 스위칭 소자(SW2)의 일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제 8 저항(R8)은 일단이 control IC(10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제 2 스위칭 소자(SW2)의 타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인덕터(L1)는 제 2 스위칭 소자(SW2)의 일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다른 적정 레벨의 제 2 직류 전압에 해당하는 직류 전류의 흐름을 조절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인덕터(L1)는 제 1 인덕터(L1)를 포함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평활 커패시터(CP1)는 일단이 적어도 하나의 인덕터(L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되어 적어도 하나의 인덕터(L1)를 통해 잔류하는 노이즈 신호를 제거하여 평활화시키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평활 커패시터(CP1)는 제 1 평활 커패시터(CP1)를 포함할 수가 있다.
적어도 또 다른 하나의 제 2 직류 전압 제공용 저항(R9, R10, R11, R12)은 적어도 하나의 인덕터(L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부하(107)에 또 다른 적정 레벨의 제 2 직류 전압을 제공하도록 또 다른 레벨의 제 2 직류 전압을 분배한다.
이때, 적어도 또 다른 하나의 제 2 직류 전압 제공용 저항(R9, R10, R11, R12)은 제 9 저항(R9), 제 10 저항(R10), 제 11 저항(R11), 제 12 저항(R12)을 포함할 수가 있다.
제 9 저항(R9)은 일단이 제 2 스위칭 소자(SW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되도록 제공될 수가 있으며, 제 10 저항(R10)은 적어도 하나의 인덕터(L1) 및 부하(10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제 11 저항(R11)은 제 10 저항(R10)과 서로 직렬 연결되도록 제공될 수가 있으며, 제 12 저항(R12)은 부하(10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 10 저항(R10)과 서로 병렬 연결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다른 하나의 제 2 직류 전압 제공용 커패시터(C9, C10)는 적어도 또 다른 하나의 제 2 직류 전압 제공용 저항(R9, R10, R11, R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적어도 또 다른 하나의 제 2 직류 전압 제공용 저항(R9, R10, R11, R12)에 의 해 분배된 또 다른 적정 레벨의 제 2 직류 전압을 저장하여 부하(107)에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다른 하나의 제 2 직류 전압 제공용 커패시터(C9, C10)는 제 9 커패시터(C9)와 제 10 커패시터(C10)를 포함할 수가 있다.
제 9 커패시터(C9)는 일단이 제 2 스위칭 소자(SW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제 9 저항(R9)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공될 수가 있으며, 제 10 커패시터(C10)는 제 12 저항(R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필터부(108)는 제 2 직류 전압 제공부(10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control IC(104)의 구동에 의해 잔류하는 부하(107)의 노이즈 신호를 제거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필터부(108)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인덕터(L2)와 적어도 다른 하나의 평활 커패시터(CP2)를 포함할 수가 있다.
적어도 다른 하나의 인덕터(L2)는 적어도 하나의 인덕터(L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다른 하나의 인덕터(L2)는 제 2 인덕터(L2)를 포함할 수가 있다.
적어도 다른 하나의 평활 커패시터(CP2)는 일단이 적어도 다른 하나의 인덕터(L2) 및 부하(10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되어 control IC(104)의 구동에 의해 잔류하는 부하(107)의 노이즈 신호를 제거하여 평활화시키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다른 하나의 평활 커패시터(CP2)는 제 2 평활 커패시터(CP2)를 포함할 수가 있다.
피드백부(110)는 부하(107)로부터 피드백 신호를 공급받아 control IC(104)에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이때, 피드백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피드백용 커패시터(C11, C12, C13)와 적어도 하나의 피드백용 저항(R3, R14, R15)을 포함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피드백용 커패시터(C11, C12, C13)는 일단이 control IC (104) 및 부하(10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되어 부하(107)로부터 피드백 신호에 해당하는 피드백 전압을 저장하여 control IC(104)에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피드백용 커패시터(C11, C12, C13)는 제 11 커패시터(C11), 제 12 커패시터(C12), 제 13 커패시터(C13)를 포함할 수가 있다.
제 11 커패시터(C11)는 일단이 부하(107)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되도록 제공될 수가 있으며, 제 12 커패시터(C12)는 일단이 제 11 커패시터(C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control IC(1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제 13 커패시터(C13)는 일단이 제 11 커패시터(C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 12 커패시터(C12)와 서로 병렬 연결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피드백용 저항(R13, R14, R15)은 일단이 control IC(104) 및 부하(107)와 적어도 또 다른 하나의 제 2 직류 전압 제공용 저항(R9, R10, R11, R12) 및 적어도 다른 하나의 제 2 직류 전압 제공용 커패시터(C9, C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되어 control IC(104)에 적정 레벨의 피드백 전압을 제공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피드백용 커패시터(C11, C12, C13)에 저장된 피드백 전압을 분배한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피드백용 저항(R13, R14, R15)은 제 13 저항(R13), 제 14 저항(R14), 제 15 저항(R15)을 포함할 수가 있다.
제 13 저항(R13)은 일단이 부하(107)와 제 11 커패시터(C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제 10 커패시터(C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공될 수가 있으며, 제 14 저항(R14)은 일단이 제 11 저항(R11) 및 제 10 커패시터(C10)와 제 12 커패시터(C12) 및 제 13 커패시터(C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제 15 저항(R15)은 일단이 control IC(104) 및 제 12 커패시터(C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제 13 커패시터(C1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100)는 제 1 직류 전압 제공부(102), control IC(104), 제 2 직류 전압 제공부(106), 필터부(108), 피드백부(110)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100)는 DC/DC Converter의 구동에 의해 잔류하는 부하(107)의 노이즈 성분을 필터부(108)를 통해 빠르게 제거하므로, DC/DC Converter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억제할 수가 있 게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를 나타낸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
100 : 전원 공급 장치 102 : 제 1 직류 전압 제공부
104 : control IC 106 : 제 2 직류 전압 제공부
107 : 부하 108 : 필터부
110 : 피드백부

Claims (25)

  1. 제 1 직류 전압을 제공하는 제 1 직류 전압 제공부와;
    상기 제 1 직류 전압 제공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1 직류 전압 제공부를 통해 상기 제 1 직류 전압을 공급받아 다른 레벨의 제 2 직류 전압을 출력하도록 상기 제 1 직류 전압의 펄스 폭을 조절하는 control IC와;
    상기 control IC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control IC를 통해 조절된 상기 제 2 직류 전압을 부하에 제공하는 제 2 직류 전압 제공부와;
    상기 제 2 직류 전압 제공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control IC의 구동에 의해 잔류하는 상기 부하의 노이즈 신호를 제거하는 필터부; 및
    상기 부하로부터 피드백 신호를 공급받아 상기 control IC에 제공하는 피드백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직류 전압 제공부는,
    상기 control IC에 제 1 기준 전압을 제공하여 상기 control IC를 동작시키는 제 1 기준 전압원 제공 단자와;
    상기 제 1 기준 전압원 제공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 1 기준 전압원 제공 단자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제 1 기준 전압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직류 전압 제공용 커패시터와;
    직류 전압을 공급받는 제 1 직류 전압 제공 단자와;
    일단이 상기 control IC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되어 상기 제 1 직류 전압 제공 단자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직류 전압을 분배하여 상기 control IC에 적정 레벨의 상기 제 1 직류 전압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직류 전압 제공용 저항과;
    상기 control IC의 입력단 일측과 출력단 일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control IC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다른 레벨의 제 2 직류 전압을 정류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정류 다이오드; 및
    일단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류 다이오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control IC의 출력단 타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류 다이오드를 통해 정류된 다른 레벨의 제 2 직류 전압을 저장시키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제 1 직류 전압 제공용 커패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직류 전압 제공부는,
    상기 control IC에 제 2 기준 전압을 제공하여 상기 control IC를 동작시키는 제 2 기준 전압원 제공 단자와;
    상기 제 2 기준 전압원 제공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 2 기준 전압원 제공 단자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제 2 기준 전압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직류 전압 제공용 커패시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직류 전압 제공용 커패시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control IC로부터 선택적으로 턴온 신호를 공급받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직류 전압 제공용 커패시터에 저장된 제 2 기준 전압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제 1 스위칭 소자와;
    상기 제 1 스위칭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 1 스위칭 소자를 통해 공급되는 제 2 기준 전압을 정류시키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정류 다이오드와;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의 정류 다이오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control IC에 적정 레벨의 제 2 기준 전압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 2 기준 전압을 분배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직류 전압 제공용 저항과;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의 제 1 직류 전압 제공용 커패시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control IC로부터 선택적으로 턴온 신호를 공급받아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의 제 1 직류 전압 제공용 커패시터에 저장된 다른 레벨의 제 2 직류 전압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제 2 스위칭 소자와;
    일단이 상기 control IC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스위칭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부하에 다른 적정 레벨의 제 2 직류 전압을 제공하도록 상기 다른 레벨의 제 2 직류 전압을 분배하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제 2 직류 전압 제공용 저항과;
    상기 제 2 스위칭 소자의 일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다른 적정 레벨의 제 2 직류 전압에 해당하는 직류 전류의 흐름을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인덕터와;
    일단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덕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덕터를 통해 잔류하는 노이즈 신호를 제거하여 평활화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평활 커패시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덕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부하에 또 다른 적정 레벨의 제 2 직류 전압을 제공하도록 상기 또 다른 레벨의 제 2 직류 전압을 분배하는 적어도 또 다른 하나의 제 2 직류 전압 제공용 저항; 및
    상기 적어도 또 다른 하나의 제 2 직류 전압 제공용 저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또 다른 하나의 제 2 직류 전압 제공용 저항에 의해 분배된 또 다른 적정 레벨의 제 2 직류 전압을 저장하여 상기 부하에 제공하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제 2 직류 전압 제공용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직류 전압 제공용 커패시터는,
    일단이 상기 제 1 기준 전압원 제공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된 제 1 커패시터와;
    일단이 상기 제 1 기준 전압원 제공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1 커패시터와 서로 병렬되며, 타단이 접지된 제 2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직류 전압 제공용 저항은,
    상기 제 1 직류 전압 제공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1 저항과;
    상기 제 1 저항과 병렬 연결된 제 2 저항과;
    일단이 접지되고, 타단이 상기 control IC의 일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3 저항; 및
    일단이 접지되고, 타단이 상기 control IC의 타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4 저항을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류 다이오드는 제 1 정류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의 제 1 직류 전압 제공용 커패시터는 제 3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직류 전압 제공용 커패시터는,
    일단이 상기 제 2 기준 전압원 제공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된 제 4 커패시터와;
    일단이 상기 제 4 커패시터와 서로 병렬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된 제 5 커패시터와;
    일단이 상기 제 5 커패시터와 서로 병렬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된 제 6 커패시터와;
    일단이 상기 제 6 커패시터와 서로 병렬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된 제 7 커패시터; 및
    일단이 상기 제 7 커패시터와 서로 병렬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된 제 8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칭 소자는 MOSFET, BJT, IGBT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의 정류 다이오드는 제 2 정류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직류 전압 제공용 저항은,
    일단이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의 정류 다이오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control IC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5 저항; 및
    일단이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의 정류 다이오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5 저항과 서로 병렬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control IC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6 저항을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위칭 소자는 MOSFET, BJT, IGBT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의 제 2 직류 전압 제공용 저항은,
    일단이 상기 control IC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스위칭 소자의 일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7 저항; 및
    일단이 상기 control IC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스위칭 소자의 타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8 저항을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덕터는 제 1 인덕터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평활 커패시터는 제 1 평활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또 다른 하나의 제 2 직류 전압 제공용 저항은,
    일단이 상기 제 2 스위칭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된 제 9 저항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덕터 및 상기 부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10 저항과;
    상기 제 10 저항과 서로 직렬 연결된 제 11 저항; 및
    상기 부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10 저항과 서로 병렬 연결된 제 12 저항을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의 제 2 직류 전압 제공용 커패시터는,
    일단이 상기 제 2 스위칭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9 저항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9 커패시터; 및
    상기 제 12 저항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10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덕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다른 하나의 인덕터; 및
    일단이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의 인덕터 및 상기 부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되어 상기 control IC의 구동에 의해 잔류하는 상기 부하의 노이즈 신호를 제거하여 평활화시키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평활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의 인덕터는 제 2 인덕터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의 평활 커패시터는 제 2 평활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21.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부는,
    일단이 상기 control IC 및 상기 부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되어 상기 부하로부터 상기 피드백 신호에 해당하는 피드백 전압을 저장하여 상기 control IC에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피드백용 커패시터; 및
    일단이 상기 control IC 및 상기 부하와 상기 적어도 또 다른 하나의 제 2 직류 전압 제공용 저항 및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의 제 2 직류 전압 제공용 커패시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되어 상기 control IC에 적정 레벨의 피드백 전압을 제공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드백용 커패시터에 저장된 상기 피드백 전압을 분배하는 적어도 하나의 피드백용 저항을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드백용 커패시터는,
    일단이 상기 부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된 제 11 커패시터와;
    일단이 상기 제 11 커패시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control IC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12 커패시터; 및
    일단이 상기 제 11 커패시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12 커패시터와 서로 병렬 연결된 제 13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드백용 저항은,
    일단이 상기 부하와 상기 제 11 커패시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 기 제 10 커패시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13 저항과;
    일단이 상기 제 11 저항 및 상기 제 10 커패시터와 상기 제 12 커패시터 및 상기 제 13 커패시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된 제 14 저항; 및
    일단이 상기 control IC 및 상기 제 12 커패시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13 커패시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15 저항을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2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 장치는 DC/DC Buck Converter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2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는 LED 백라이트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KR1020090120510A 2009-12-07 2009-12-07 전원 공급 장치 KR1016838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510A KR101683878B1 (ko) 2009-12-07 2009-12-07 전원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510A KR101683878B1 (ko) 2009-12-07 2009-12-07 전원 공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4078A KR20110064078A (ko) 2011-06-15
KR101683878B1 true KR101683878B1 (ko) 2016-12-07

Family

ID=44397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0510A KR101683878B1 (ko) 2009-12-07 2009-12-07 전원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38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7867B1 (ko) * 2019-12-11 2021-10-25 엘지전자 주식회사 Emi 필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9602A (ja) 2001-12-17 2003-07-04 Murata Mfg Co Ltd Dc−dcコンバータ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装置
JP2007272641A (ja) * 2006-03-31 2007-10-18 Densei Lambda Kk ディジタル制御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3894B1 (ko) * 2006-05-17 2012-09-1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원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9602A (ja) 2001-12-17 2003-07-04 Murata Mfg Co Ltd Dc−dcコンバータ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装置
JP2007272641A (ja) * 2006-03-31 2007-10-18 Densei Lambda Kk ディジタル制御器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RichTek사 RT9232A datasheet(2005.0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4078A (ko) 201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53348B2 (en) Switching power supply circuit and power factor controller
TWI439042B (zh) 風扇用直流無刷馬達之驅動裝置
US20150077003A1 (en) Method for operating an llc resonant converter for a light-emitting means, converter, and led converter device
EP2289143B1 (en) Impedance correction
US20150029762A1 (en) Voltage converter compensation apparatus and methods
JP2010541256A (ja) 力率補正回路および駆動回路
US20140368128A1 (en) Active capacitor circuit
JP2008048515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9125258B2 (en) Light source driving apparatus, light source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light source driving method of the light source driving apparatus
KR20100023770A (ko)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 광원을 동작시키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
JP2011205868A (ja) 過電流防止式電源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照明器具
US20070126366A1 (en) Power supply for 2-line dimmer
CN104967294A (zh) 开关式并联调节器电路
JP6296091B2 (ja) 光源点灯装置及び照明器具
US20070262753A1 (en) Switching power supply with output ripple suppression
KR101683878B1 (ko) 전원 공급 장치
KR101718410B1 (ko) Led의 정전압 전원공급 회로
US20130170253A1 (en) Auxiliary power generation circuit
US8717790B2 (en) Electrical supply apparatus
KR100706311B1 (ko) 전파정류 펄스폭 변조 제어에 의한 발광다이오드 구동회로
US8154215B2 (en) Discharge lamp lighting apparatus
US20160088704A1 (en) Low flicker alternating current (ac) led driver
CN102468792B (zh) 风扇用直流无刷马达的驱动装置
KR20200053925A (ko) 전력 변환 장치, 이를 포함하는 압축기 및 그 제어 방법
JP2016201194A (ja) Led点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