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3855B1 - 솔레노이드 밸브 - Google Patents

솔레노이드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3855B1
KR101683855B1 KR1020100063272A KR20100063272A KR101683855B1 KR 101683855 B1 KR101683855 B1 KR 101683855B1 KR 1020100063272 A KR1020100063272 A KR 1020100063272A KR 20100063272 A KR20100063272 A KR 20100063272A KR 101683855 B1 KR101683855 B1 KR 1016838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fluid
seat
outlet
plu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3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2659A (ko
Inventor
감무철
정승환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3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3855B1/ko
Publication of KR20120002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3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38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6Rectilinearly-movable arm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솔레노이드 밸브에 관한 것으로, 밸브바디, 이 밸브바디에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축 삽입되는 플런저, 이 밸브바디에 연결되고 플런저를 수용하며 인렛과 아웃렛을 형성하는 펌프하우징, 이 펌프하우징의 내측에 형성되고 인렛과 연결되는 제 1연결홀을 형성하며 아웃렛에 연결되는 제 2연결홀을 구비한 시트하우징, 및 이 시트하우징 내측에 형성되어 인렛으로 유입되는 유체를 아웃렛 방향으로 유로 전환하는 시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유입되는 유체를 시트하우징 내측에서 유체의 흐름을 전환하면서 유출할 수 있어 맥동을 줄일 수 있음에 따라 유압의 선형 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
본 발명은 솔레노이드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입되는 유체를 시트하우징 내측에서 유체의 흐름을 전환하면서 유출할 수 있어 맥동을 줄일 수 있음에 따라 유압의 선형 제어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전자의 브레이크 페달 조작력을 배력하는 유압을 이용해 주행중인 차량을 제동하는 제동시스템은, 회전중인 차륜을 잡아 회전을 못하게 하는 단순 방식으로 인해 차량의 주행 상태와 노면 조건에 따라 최적의 제동 성능을 구현하지 못하게 된다.
이와 같은, 단순 제동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차륜속도로부터 연산되는 슬립 율에 따라 휠에 가해지는 제동압을 적절히 조절하여 바퀴의 록킹(locking)을 방지하는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Anti lock brake system)을 사용하거나 또는, 차량의 급 발진이나 급 가속 시 과대한 슬립을 방지하기 위해 엔진의 구동력을 조절하는 트랙션 콘트롤 시스템(Traction control system)을 이용하여, 차량의 안정성을 향상하게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Anti lock brake system)이나 트랙션 콘트롤 시스템(Traction control system)의 경우에도 직선 도로를 주행하는 경우 양호한 성능을 발휘할 뿐 만약, 차량이 커브 도로를 선회 주행하는 경우에는 바깥쪽으로 과도하게 기울어지는 언더스티어(Under Steer)나, 이와 반대로 안쪽으로 과도하게 기울어지는 오버스티어(Over Steer)를 완벽하게 제어할 수 없어 차량 안정성에 대한 신뢰성이 저하되어진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제동과 구동 및 조향시스템의 3가지를 모두 고려 즉, 휠속도센서와 요 레이트센서(Yaw Rate Sensor), 횡가속도센서 및 조향각도센서로 부터 입력되는 측정신호에 따라 오버스티어(Over Steer)나 언더스티어(Under Steer)를 판단해 종합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운전자가 요구하는 차량주행방향과 실제 차량의 주행방향과의 차이를 최소화시켜 어떠한 운전조건에서도 안전하게 운전자가 의도한 차량의 주행방향을 유지시켜 주는 ESP(Electronic Stability Program) 시스템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ABS/TCS/ESP 시스템의 경우에는 마스터실린더와 휠 사이에서 제동유압을 공급하는 유압(브레이크) 라인과는 별도로, 마스터실린더로부터 오일을 펌핑(Pumping)해 휠 쪽으로 제동압을 제공하면서 예기치 못한 차량의 회전(예를 들어, 빙판길의 경우) 현상을 방지하도록 작용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마스터실린더와 펌프사이에 오일 흐름 통로를 형성하도록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를 이용하게 된다.
즉, 솔레노이드 밸브는 제동 시 유압 회로를 구성하고, ABS/TCS/ESP 작동 중 유로를 차단하거나 또는 유압 상승속도를 조절함과 더불어, 제동 해제 시 신속한 해제(Fast Release)를 위해 작동되어진다.
기존 솔레노이드 밸브는 온,오프시 노이즈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기존의 솔레노이드 밸브는 저압을 이용한 부가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제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유입되는 유체를 시트하우징 내측에서 유체의 흐름을 전환하면서 안정적으로 유출할 수 있어 맥동을 줄일 수 있음에 따라 유압의 선형 제어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는: 밸브바디, 이 밸브바디에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축 삽입되는 플런저, 이 밸브바디에 연결되고 플런저를 수용하며 인렛과 아웃렛을 형성하는 펌프하우징, 이 펌프하우징의 내측에 형성되고 인렛과 연결되는 제 1연결홀을 형성하며 아웃렛에 연결되는 제 2연결홀을 구비한 시트하우징, 및 이 시트하우징 내측에 형성되어 인렛으로 유입되는 유체를 아웃렛 방향으로 유로 전환하는 시트부를 포함한다.
상기 시트부는, 상기 시트하우징 내측에 고정 형성되는 본체, 상기 인렛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체를 공급받기 위해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제 1유입홀부, 상기 제 1유입홀부와 연결되면서 상기 플런저 방향으로 개방되어 상기 플런저와 상기 본체의 유격시 유체를 상기 시트하우징 내측으로 유출 유도하는 제 1유출홀부,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상기 시트하우징 내측에 유체를 유입하면서 선형 제어로 유로 전환 유도하는 제 2유입홀부, 및 상기 제 2유입홀부와 연결되면서 상기 아웃렛 방향으로 개방되어 유로 전환된 유체를 유출 유도하는 제 2유출홀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1유출홀부에 대응되는 상기 본체는 구면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플런저는 하강시 상기 구면부재를 수용하기 위해 구면홈을 함몰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펌프하우징은 상기 시트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를 필터링하기 위해 필터부재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는 종래 기술과 달리 유입되는 유체를 시트하우징 내측에서 유체의 흐름을 전환하면서 안정적으로 유출할 수 있어 맥동을 줄일 수 있음에 따라 유압의 선형 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의 닫힘 상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의 열림 상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의 열림 상태의 요부 확대 내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의 시트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의 닫힘 상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의 열림 상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의 열림 상태의 요부 확대 내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의 시트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는 밸브바디(10), 플런저(20), 펌프하우징(30), 시트하우징(40) 및 시트부(100)를 포함한다.
편의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는 전류인가 시 전자기력에 의해 유로가 열리는(Normal Close)타입인 아웃렛 솔레노이드 밸브(Outlet Solenoid Valve)로 한다.
따라서, 밸브바디(10)는 축 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연통되게 형성된다. 즉, 밸브바디(10)는 관 형상으로 형성된다.
편의상, 밸브바디(10)는 수직하게 세워지고, 상하방향으로 연통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특히, 밸브바디(10)는 둘레면 내부에 코일(12)을 형성한다.
이 코일(12)은 외부 전원 인가시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코일(12)은 다양한 방식에 의해 밸브바디(10) 내측에 형성된다.
그리고, 플런저(20)는 밸브바디(10)의 축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 플런저(20)는 코일(12)에 공급되는 전원으로 인해 발생하는 전자기력에 의해 밸브바디(10)의 상측으로 올라가려는 힘을 받게 된다.
이때, 플런저(20)는 밸브바디(10)의 내측면에 접한 상태로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아울러, 밸브바디(10)는 내측에 스테이터(stator,22)를 형성한다.
더욱 상세히, 스테이터(22)는 밸브바디(10)의 내부에서 플런저(20)의 상측에 탄성 지지된다.
이 스테이터(22)는 외부 전원 인가시 코일(12)과 상호 작용을 일으키며 전류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펌프하우징(30)은 밸브바디(10) 특히, 밸브바디(10)의 하측에 연결된다.
더욱 상세히, 펌프하우징(30)은 상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되고, 밸브바디(10)는 개방된 상측의 가장자리를 따라 펌프하우징(30)의 상측에 지지된다.
이때, 밸브바디(10)는 펌프하우징(30)의 상측에 견고하게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밸브바디(10)는 볼팅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펌프하우징(30)에 고정 형성된다.
그리고, 펌프하우징(30)은 플런저(20)를 수용한다.
여기서, 플런저(20)는 하측이 개방된 일측을 통해 펌프하우징(30)의 내부로 수용된다.
또한, 펌프하우징(30)은 유체를 내부로 공급받는 인렛(inlet,32)과 공급된 유체를 외부로 토출하는 아웃렛(outlet,34)을 형성한다.
이때, 유체는 작동오일로 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펌프하우징(30)은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한편, 시트하우징(40)은 펌프하우징(30)의 내측에 형성된다.
이때, 시트하우징(40)은 펌프하우징(30)의 내측에 압입되어 견고하게 고정될 수도 있고, 펌프하우징(30)의 가장자리에 걸려 고정 지지될 수도 있다.
물론, 시트하우징(40)이 펌프하우징(30)에 구속되는 방식은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시트하우징(40)은 인렛(32)과 연결되는 제 1연결홀(42)을 형성하며, 아웃렛(34)에 연결되는 제 2연결홀(44)을 구비한다.
이때, 시트하우징(40)과 펌프하우징(30)이 서로 면접될 경우, 인렛(32)과 제 1연결홀(42)은 직접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아웃렛(34)과 제 2연결홀(44)은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반대로, 시트하우징(40)의 외측면이 펌프하우징(30)의 내측면과 소정 유격된다면, 인렛(32)과 제 1연결홀(42)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됨과 아울러 아웃렛(34)과 제 2연결홀(44)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시트부(100)는 시트하우징(40) 내측에 형성되어 인렛(32)으로 유입되는 유체를 아웃렛(34) 방향으로 유로 전환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시트부(100)는 유입되는 유체의 흐름을 선형적으로 안내하기 때문에 맥동을 줄여 선형적 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
여기서, 시트부(100)는 본체(110), 제 1유입홀부(120), 제 1유출홀부(130), 제 2유입홀부(140) 및 제 2유출홀부(15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시트하우징(40) 내측에 고정 형성된다.
더욱 상세히, 본체(110)는 시트하우징(40) 내측에 억지 끼움되어 견고하게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본체(110)는 시트하우징(40)의 내측에 나사 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속 가능하다.
그리고, 제 1유입홀부(120)는 인렛(32)과 제 1연결홀(42)에 대응되도록 본체(110)에 형성된다.
그래서, 제 1유입홀부(120)는 인렛(32)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체를 본체(110) 내부로 공급받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제 1유출홀부(130)는 제 1유입홀부(120)와 연결되면서 플런저(20)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그래서, 유체는 플런저(20)와 본체(110)의 유격시 시트하우징(40) 내측으로 유출 유도된다.
이때, 제 1유입홀부(120)와 제 1유출홀부(130)는 개수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제 2유입홀부(140)는 본체(110)에 형성되어 시트하우징(40) 내측의 유체를 본체(110) 내부로 유입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유체는 시트하우징(40) 내측에 임시 저장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제 2유입홀부(140)를 통해 유로 전환된 상태로 본체(110) 내부에 유입됨으로써 선형 제어된다.
여기서, '선형 제어'는 유체의 맥동을 줄여 본체(110)에 가해지는 충격음을 줄이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제 2유출홀부(150)는 본체(110) 내부에서 제 2유입홀부(140)와 연결되면서 아웃렛(34)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그래서, 유체는 시트하우징(40) 내측에서 유로 전환되며 안정적으로 아웃렛(34)을 통해 유출된다.
특히, 플런저(20)가 밸브바디(10)의 축 방향을 따라 상승 후 하강하면서 본체(110)와 직접적으로 접촉시 이음 발생과 아울러 본체(110)의 파손을 초래한다.
그래서, 제 1유출홀부(130)에 대응되는 본체(110)는 구면부재(162)를 형성하고, 플런저(20)는 하강시 구면부재(162)를 수용하기 위해 구면홈(164)을 함몰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즉, 본체(110)와 플런저(20) 사이에 구면부재(162)가 개재됨으로써, 플런저(20)와 본체(110)의 부딪힘에 따른 이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플런저(20)가 전자기력에 의해 상승하면서 유체가 제 1유입홀부(120)를 통해 유입될 경우, 구면부재(162)는 유체의 미는 힘에 의해 플런저(20)의 구면홈(164)에 수용된다.
또한, 펌프하우징(30)은 시트하우징(40)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를 필터링하기 위해 필터부재(170)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즉, 필터부재(170)는 펌프하우징(30)의 내측에서 시트하우징(40)을 감싸게 형성된다.
물론, 필터부재(170)는 다양한 방식에 의해 펌프하우징(30)이나 시트하우징(40)에 구속된다.
결과적으로, 도 1은 초기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플런저(20)는 자중에 의해 하강하게 되고, 이로 인해, 구면부재(162)가 본체(110)의 제 1유출홀부(130)를 막게 된다.
그리고, 도 2를 참조하면, 전원이 공급되면, 플런저(20)는 전자기력에 의해 강제로 상승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유체는 인렛(32), 제 1연결홀(42), 제 1유입홀부(120) 및 제 1유출홀부(130)를 통해 시트하우징(40) 내부로 공급된다.
이때, 구면부재(162)는 유체의 미는 힘에 의해 플런저(20)의 구면홈(164)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 후, 시트하우징(40)에 저장되는 유체는 제 2유입홀부(140), 제 2유출홀부(150), 제 2연결홀(44) 및 아웃렛(34)을 통해 안정적으로 토출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밸브바디 20: 플런저
30: 펌프하우징 32: 인렛
34: 아웃렛 40: 시트하우징
42,44: 제 1,2연결홀 100: 시트부
110: 본체 120,140: 제 1,2유입홀부
130,150: 제 1,2유출홀부 162: 구면부재
164: 구면홈 170: 필터부재

Claims (4)

  1. 밸브바디;
    상기 밸브바디에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축 삽입되는 플런저;
    상기 밸브바디에 연결되고, 상기 플런저를 수용하며, 인렛과 아웃렛을 형성하는 펌프하우징;
    상기 펌프하우징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인렛과 연결되는 제 1연결홀을 형성하며, 상기 아웃렛에 연결되는 제 2연결홀을 구비한 시트하우징; 및
    상기 시트하우징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인렛으로 유입되는 유체를 상기 아웃렛 방향으로 유로 전환하는 시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부는, 상기 시트하우징 내측에 고정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상기 시트하우징 내측에 유체를 유입 안내하는 제 2유입홀부; 및
    상기 제 2유입홀부와 연결되면서 상기 아웃렛 방향으로 개방되어 유체의 유출을 유도하는 제 2유출홀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 1연결홀을 통해 상기 시트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유체는 개방 상태를 유지한 채, 서로 연결되는 상기 제 2유입홀부와 상기 제 2유출홀부를 통해, 상기 제 2연결홀 측으로 연속되는 유동으로 충격음을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는,
    상기 인렛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체를 공급받기 위해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제 1유입홀부; 및
    상기 제 1유입홀부와 연결되면서 상기 플런저 방향으로 개방되어 상기 플런저와 상기 본체의 유격시 유체를 상기 시트하우징 내측으로 유출 유도하는 제 1유출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유출홀부에 대응되는 상기 본체는 구면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플런저는 하강시 상기 구면부재를 수용하기 위해 구면홈을 함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하우징은 상기 시트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를 필터링하기 위해 필터부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KR1020100063272A 2010-07-01 2010-07-01 솔레노이드 밸브 KR1016838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3272A KR101683855B1 (ko) 2010-07-01 2010-07-01 솔레노이드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3272A KR101683855B1 (ko) 2010-07-01 2010-07-01 솔레노이드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659A KR20120002659A (ko) 2012-01-09
KR101683855B1 true KR101683855B1 (ko) 2016-12-08

Family

ID=45609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3272A KR101683855B1 (ko) 2010-07-01 2010-07-01 솔레노이드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38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1634B1 (ko) * 2014-06-11 2020-11-2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솔레노이드 밸브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3644B1 (ko) 2000-07-18 2004-03-22 주식회사 만도 브레이크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
US20060043326A1 (en) * 2004-08-27 2006-03-02 Linkner Herbert L Jr Solenoid valve with spherical armature
KR100642022B1 (ko) * 1999-06-23 2006-11-02 콘티넨탈 테베스 아게 운트 코. 오하게 특히 슬립 제어 기능을 갖는 유압식 브레이크 장치용 전자밸브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30277U (ko) * 1986-02-07 1987-08-17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2022B1 (ko) * 1999-06-23 2006-11-02 콘티넨탈 테베스 아게 운트 코. 오하게 특히 슬립 제어 기능을 갖는 유압식 브레이크 장치용 전자밸브
KR100423644B1 (ko) 2000-07-18 2004-03-22 주식회사 만도 브레이크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
US20060043326A1 (en) * 2004-08-27 2006-03-02 Linkner Herbert L Jr Solenoid valve with spherical arma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659A (ko) 2012-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8448B1 (ko)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
US10011254B2 (en) Pulsation damping device of hydraulic brake system
US8366207B2 (en) Brake hydraulic pressure control apparatus
JP6161077B2 (ja) 車両用ブレーキ液圧制御装置
US11878665B2 (en) Hydraulic pressure control unit for straddle-type vehicle brake system and straddle-type vehicle brake system
JP2011046283A (ja) 車両用液圧ブレーキの制御ユニット
KR20090009851A (ko) 유압식 제동 시스템
KR101683855B1 (ko) 솔레노이드 밸브
JP5708514B2 (ja) 逆止弁およびそれを用いたブレーキ装置
KR101784662B1 (ko) 솔레노이드 밸브
KR101947063B1 (ko)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
KR20090040087A (ko) 저압 제어용 솔레노이드 밸브
KR100498693B1 (ko) 에이비에스용 펌프 하우징
US20140217809A1 (en) Actuator for controlling brake fluid pressure
JP5342331B2 (ja) 車両用ブレーキ液圧制御装置
KR100711489B1 (ko) 브레이크 오일 흐름 제어용 솔레노이드 밸브
KR101859060B1 (ko) 차량용 솔레노이드 밸브
KR101937471B1 (ko)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
KR102181634B1 (ko) 솔레노이드 밸브
KR20220031613A (ko) 출구 밸브 수용 수단을 구비한 유압 어셈블리의 펌프 하우징
KR101612271B1 (ko) 솔레노이드 밸브
KR100726555B1 (ko) 브레이크 오일 흐름 제어용 솔레노이드 밸브
KR101683858B1 (ko) 유압제어용 솔레노이드 밸브
KR101234947B1 (ko) 이 에스 피 용 고압스위치 밸브
KR101645730B1 (ko) 제동액압제어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