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3523B1 - 차량의 주행가능거리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주행가능거리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3523B1
KR101683523B1 KR1020150126539A KR20150126539A KR101683523B1 KR 101683523 B1 KR101683523 B1 KR 101683523B1 KR 1020150126539 A KR1020150126539 A KR 1020150126539A KR 20150126539 A KR20150126539 A KR 20150126539A KR 101683523 B1 KR101683523 B1 KR 1016835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efficiency
power source
learning
fuel econom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6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규범
이진형
유재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6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35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3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35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097Predicting future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electric propulsion units, e.g. motors or gen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60/00Operating Modes
    • B60L2260/40Control modes
    • B60L2260/50Control modes by future state prediction
    • B60L2260/52Control modes by future state prediction drive range estimation, e.g. of estimation of available travel distance
    • B60W2530/145
    • B60W2550/12
    • B60W2560/0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Hybrid Electric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가능거리 제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저온 시 모터 및 엔진의 협조제어를 고려하여 주행가능거리를 연산할 수 있는 차량의 주행가능거리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주행가능거리 제공 장치는 차량의 동력원인 엔진과 모터; 상기 차량의 외기온을 측정하는 외기온 센서; 및 상기 외기온 센서에서 측정한 외기온을 기반으로 효율이 높은 동력원을 선택하고, 선택한 동력원에 해당하는 학습 연비를 확인하며, 상기 학습 연비 및 보유 연료량을 기반으로 주행가능거리를 연산하는 차량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주행가능거리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DISTANCE TO ENTRY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가능거리 제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저온 시 모터 및 엔진의 협조제어를 고려하여 주행가능거리를 연산할 수 있는 차량의 주행가능거리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의 발달과 함께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하면서 유가가 갈수록 높아져 고유가 시대에 접어들고 있다.
차량을 선택하는 소비자들에게 있어 차량의 디자인 및 성능 등과 함께 연비 또한 차량 선택 기준의 하나로 떠오르고 있다. 즉, 연비는 차량의 단위 연료당 주행 거리를 나타낸 비율로써, 연비가 높은 차량일수록 적은 연료로 더 먼 거리를 주행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차량을 제조하는 업체에서는 연비 향상을 위한 기술개발에 꾸준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소비자들 역시 운전습관 개선 및 차량 내 중량 줄이기 등을 통해 연비를 향상시키기 위해 많은 신경을 쓰고 있다.
저온 시 엔진과 모터의 구동계 드래그(drag)는 상온과 상이하다. 이에 저온에서 주행 시에는 초기 구동계 드래그 때문에 연비가 매우 좋지 않다. 이러한 상황에서 저온 시동 초기에만 주행을 하고 이를 학습 연비로 반영할 경우에는 연비가 나쁜 것만 학습될 것이다. 만약 이렇게 학습된 연비를 기반으로 장기간 주행하게 될 경우에 학습 연비는 매우 낮게 연산되어 운전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저온 시 모터 및 엔진의 협조제어를 고려하여 학습 연비를 연산하며, 연산한 학습 연비를 기반으로 주행가능거리를 연산할 수 있는 차량의 주행가능거리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주행거리를 반영하여 학습 연비를 연산할 수 있는 차량의 주행가능거리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차량의 동력원인 엔진과 모터; 상기 차량의 외기온을 측정하는 외기온 센서; 및 상기 외기온 센서에서 측정한 외기온을 기반으로 효율이 높은 동력원을 선택하고, 선택한 동력원에 해당하는 학습 연비를 확인하며, 상기 학습 연비 및 보유 연료량을 기반으로 주행가능거리를 연산하는 차량 제어기를 포함하는 차량의 주행가능거리 제공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제어기는 미리 설정된 동력원 효율맵을 기반으로 측정한 외기온에 따른 엔진 효율 및 모터 효율을 확인하고, 상기 엔진 효율과 상기 모터 효율을 비교하여 효율이 높은 동력원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력원 효율맵은 외기온 별로 대응되는 엔진 효율 및 모터 효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제어기는 외기온 별로 대응되는 엔진 학습 연비 및 모터 학습 연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제어기는 상기 동력원 연비맵을 기반으로 선택한 동력원에 해당하는 학습 연비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제어기는 상기 차량의 주행이 완료되면 주행한 주행 정보를 기반으로 학습 연비를 연산하고, 연산한 학습 연비를 기반으로 동력원 연비맵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제어기는 주행 연비, 주행 거리, 가중치를 기반으로 학습 연비를 연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제어기는 주행 날짜 별로 상이하게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학습 연비를 연산하며, 주행 날짜가 최근일수록 큰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학습 연비를 연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의 주행가능거리 제공 장치는 상기 주행가능거리 및 상기 학습 연비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출력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시동이 온(on)되면 차량의 외기온을 측정하는 단계; 미리 설정된 동력원 효율맵에서 상기 외기온에 해당하는 엔진 효율 및 모터 효율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엔진 효율과 모터 효율을 비교하여 효율이 높은 동력원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효율이 높은 동력원에 해당하는 학습 연비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학습 연비 및 보유 연비량을 기반으로 주행가능거리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주행가능거리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주행가능거리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전자가 실제 주행한 주행 거리를 반영하고, 저온 시 모터 및 엔진의 협조제어를 고려하여 학습 연비 및 주행가능거리를 연산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정확한 주행가능거리를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 외에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주행가능거리 제공 장치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주행가능거리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력원 효율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력원 연비맵을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주행가능거리 제공 장치 및 방법의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실시 예들 중에서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에만 한정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 또는 통합, 또는 분리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주행가능거리 제공 장치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차량의 주행가능거리 제공 장치(이하 '주행가능거리 제공 장치'로 통칭함, 100)는 엔진(110), 모터(120), 외기온 센서(130), 정보 검출부(140), 차량 제어기(150) 및 출력 장치(160)를 포함한다.
엔진(110)은 연료를 연소시켜 동력을 발생시킨다. 즉, 엔진(110)은 기존의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가솔린 엔진 또는 디젤 엔진 등의 공지된 각종 엔진(110)이 이용될 수 있다.
엔진(110)은 차량 제어기(150)의 제어에 의해 추력이 제어되며, 차량 제어기(150)의 제어에 따라 최적의 운전점으로 구동이 제어된다.
모터(120)는 차량 제어기(150) 또는 모터(120)를 관리하는 모터 제어기(Motor Control Unit: MCU)에서 인가되는 3상 교류전압에 의해 동작되어 토크를 발생시킨다. 모터(120)는 타행 주행 또는 회생 제동 시 발전기로 동작되어 전압을 배터리(125)에 공급한다.
배터리(125)는 두수개의 단위 셀로 이루어지며, 모터(120)에 구동 전압을 제공하기 위한 고전압이 저장된다. 배터리(125)는 EV(Electric Vehicle) 모드나, HEV(Hybrid Electric Vehicle)에서 모터(120)에 구동 전압을 공급하고, 회생 제동 시 모터(120)에서 발전되는 전압으로 충전된다.
배터리(125)는 상용 전원이 플러그인 접속되는 경우에 충전 장치를 통해 전압 및 전류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
외기온 센서(130)는 차량의 외부 온도인 외기온을 측정한다. 외기온 센서(130)는 측정한 외기온을 차량 제어기(150)에 제공한다.
정보 검출부(140)는 차량 정보를 검출한다. 이때, 차량 정보는 주행 날짜, 주행 거리, 소비 연료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 검출부(140)는 검출한 차량 정보를 차량 제어기(150)에 제공할 수 있다.
차량 제어기(150)는 엔진(110), 모터(120), 배터리(125), 외기온 센서(130) 및 정보 검출부(14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엔진(110), 모터(120), 배터리(125), 외기온 센서(130) 및 정보 검출부(14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차량 제어기(150)는 동력원 효율맵을 기반으로 외기온에 따른 엔진 효율 및 모터 효율을 확인한다. 이때, 동력원 효율맵은 차량의 외부 온도 별로 대응되는 엔진(110)의 효율 및 모터(120)의 효율을 포함한다. 동력원 효율맵은 차량 제어기(150)에서 설정되거나, 외부에서 설정되어 입력된 정보일 수 있다.
차량 제어기(150)는 엔진 효율과 모터 효율을 기반으로 효율이 높은 동력원을 선택하고, 선택된 동력원에 해당하는 학습 연비를 확인한다. 이때, 차량 제어기(150)는 동력원 연비맵을 기반으로 학습 연비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동력원 연비맵은 차량의 외부 온도 별로 대응되는 모터(120)의 학습 연비 및 엔진(110)의 학습 연비를 포함한다.
차량 제어기(150)는 확인한 학습 연비 및 보유 연료량을 기반으로 주행가능거리를 연산한다. 차량 제어기(150)는 학습 연비 및 연산한 주행가능거리를 출력 장치(160)를 통해 출력되도록 출력 장치(160)를 제어한다.
이렇게 주행가능거리를 제공하는 방법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차량 제어기(150)는 엔진(110)을 제어하는 엔진 제어기(Engine Control Unit: ECU), 모터(120)를 제어하는 모터 제어기(Motor Control Unit: MCU), 차량을 전체적으로 관리 및 제어하는 차량 총괄 제어기(Vehicle Control Unit: VCU)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엔진 제어기, 모터 제어기, 차량 총괄 제어기 중 적어도 하나에서 주행가능거리를 연산하여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출력 장치(160)는 주행가능거리 및 학습 연비를 출력한다. 이러한 출력 장치(160)는 표시부 또는 스피커일 수 있다.
표시부는 주행가능거리 및 학습 연비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는 주행가능거리 및 학습 연비를 표시할 수 있는 장치이면 그 종류는 무관하다. 예를 들어, 표시부는 차량의 클러스터(cluster), 내비게이션(navigation)일 수 있다. 이때, 클러스터는 차량의 주행 중 운전자에게 차량 속도, 엔진 회전수, 냉각수 등의 차량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는 계기판을 나타낸다.
스피커는 주행가능거리 및 학습 연비를 소리로 출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주행가능거리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앞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주행가능거리 제공 장치(100)의 차량 제어기(150)는 통합되거나 또는 세분화될 수 있는 바, 해당 명치에 구애받지 아니하고,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차량 제어기(15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주행가능거리 제공 장치(100)의 구성이 될 수 있음을 명확히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주행가능거리 제공 장치(100)에서 주행가능거리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함에 있어서, 각 단계의 주체는 차량 제어기(150)가 아닌 주행가능거리 제공 장치(100)를 주체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주행가능거리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주행가능거리 제공 장치(100)는 차량의 시동이 온(on)되는지를 판단한다(S210).
만약, 주행가능거리 제공 장치(100)는 시동이 오프(off) 상태이면 시동이 온되는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주행가능거리 제공 장치(100)는 시동이 온되면 차량의 외기온을 측정한다(S220).
주행가능거리 제공 장치(100)는 외기온에 따른 엔진 효율 및 모터 효율을 확인한다(S230). 즉, 주행가능거리 제공 장치(100)는 미리 설정된 동력원 효율맵에서 단계 S220에서 측정한 외기온에 해당하는 엔진 효율 및 모터 효율을 확인한다. 이러한, 동력원 효율맵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이렇게 외기온에 따른 동력원의 효율을 확인하는 이유는 온도에 따라 엔진(110)과 모터(120)의 효율이 상이할 수 있으며, 특히 저온일 경우에 엔진(110)과 모터(120)의 효율이 더 나빠질 수 있으므로 효율이 좋은 동력원을 구동시켜 주행가능거리를 보다 정확하게 운전자에게 제공하기 위함이다.
주행가능거리 제공 장치(100)는 측정한 외기온에서 엔진 효율이 모터 효율보다 좋높은지를 판단한다(S240). 다시 말하면, 주행가능거리 제공 장치(100)는 엔진 효율과 모터 효율을 통해 효율이 높은 동력원을 선택한다. 예를 들어, -7℃에서 모터(120)의 효율이 엔진(110)의 효율이 좋다면 모터(120)를 선택할 수 있다.
주행가능거리 제공 장치(100)는 엔진 효율이 모터 효율 보다 크면 엔진(110)에 대한 학습 연비를 확인한다(S250). 다시 말하면, 주행가능거리 제공 장치(100)는 엔진 효율이 모터 효율 보다 크면 동력원 연비맵을 통해 외기온에 해당하는 엔진(110)의 학습 연비를 확인한다. 이때, 동력원 연비맵은 운전자가 직접 주행한 정보를 기반으로 형성되는 맵이며, 동력원 연비맵을 설정하는 방법은 도 4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주행가능거리 제공 장치(100)는 모터 효율이 엔진 효율 보다 크면 모터(120)에 대한 학습 연비를 확인한다(S260). 즉, 주행가능거리 제공 장치(100)는 모터 효율이 엔진 효율 보다 크면 동력원 연비맵에서 외기온에 해당하는 모터(120)의 학습 연비를 확인한다.
주행가능거리 제공 장치(100)는 선택한 동력원의 학습 연비 및 보유 연료량을 기반으로 주행가능거리를 연산한다(S270). 다시 말하면, 모터(120)의 효율이 높으면 주행가능거리 제공 장치(100)는 모터 학습 연비와 배터리(125)의 잔여 SOC(State Of Charge)를 곱하기 연산하여 주행가능거리를 연산할 수 있다.
한편, 엔진(110)의 효율이 높으면 주행가능거리 제공 장치(100)는 엔진학습 연비와 연료 탱크에 남아있는 연료량을 곱하기 연산하여 주행가능거리를 연산할 수 있다.
주행가능거리 제공 장치(100)는 주행가능거리 및 학습 연비를 출력한다(S28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력원 연비맵을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주행가능거리 제공 장치(100)는 차량의 주행이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한다(S410).
한편, 주행가능거리 제공 장치(100)는 주행이 완료되지 않았으면 주행이 완료되는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주행가능거리 제공 장치(100)는 차량의 주행이 완료되었으면 주행 정보를 확인한다(S420). 즉, 주행가능거리 제공 장치(100)는 주행 거리, 주행 날짜, 소비 연료량 등을 포함하는 주행 정보를 확인한다. 주행가능거리 제공 장치(100)는 주행 거리 및 소비 연료량을 기반으로 주행 연비를 연산한다.
주행가능거리 제공 장치(100)는 주행 정보 및 주행 연비를 기반으로 학습 연비를 연산한다(S430). 구체적으로, 주행가능거리 제공 장치(100)는 주행 연비, 주행 거리, 가중치를 기반으로 학습 연비를 연산한다. 이때, 학습 연비는 차량의 주행을 모터(120)로 구동하였을 경우 모터(120)의 학습 연비이거나, 엔진(110)으로 구동하였을 경우 엔진(110)의 학습 연비일 수 있다. 가중치는 주행 날짜 별로 상이하게 설정되며, 주행 날짜가 최근일수록 큰 가중치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주행가능거리 제공 장치(100)는 하기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학습 연비를 연산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15086922232-pat00001
여기서, SM은 학습 연비이고, n은 설정 주행 횟수이며, M은 주행 연비이고, D는 주행 거리이며, I는 가중치를 나타낸다. 이때, 설정 주행 횟수는 학습 연비를 연산하기 위해 설정된 주행 횟수를 나타나며, 차량을 관리하는 관리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미리 지정된 알고리즘(예를 들어, 프로그램 및 확률 모델)을 통해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설정 주행 횟수를 20으로 할 경우 20번을 주행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 연비를 연산할 수 있으며, 1이 가장 최근에 주행한 경우이고, 20이 가장 오래 전에 주행한 경우일 수 있다. 이에 n이 1일 경우에 가중치가 가장 높을 수 있으며, n이 20일 경우에 가중치가 가장 낮을 수 있다.
주행가능거리 제공 장치(100)는 주행이 완료되기 이전에 저장된 동력원 연비맵을 확인한다(S440).
주행가능거리 제공 장치(100)는 동력원 연비맵에서 단계 S430에서 연산한 학습 연비를 업데이트한다(S450). 다시 말하면, 주행가능거리 제공 장치(100)는 차량이 주행한 외기온에 해당하는 학습 연비를 검출하고, 검출한 학습 연비를 단계 S430에서 연산한 학습 연비로 업데이트하여 저장한다.
이렇게 운전자가 주행할 때 마다 학습 연비를 업데이트하므로 학습 연비를 이용하여 연산된 주행가능거리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차량의 주행가능거리 제공 장치
110: 엔진
120: 모터
125: 배터리
130: 외기온 센서
140: 정보 검출부
150: 차량 제어기

Claims (16)

  1. 차량의 동력원인 엔진과 모터;
    상기 차량의 외기온을 측정하는 외기온 센서; 및
    미리 설정된 동력원 효율맵을 기반으로 측정한 외기온에 따른 엔진 효율 및 모터 효율을 확인하고, 상기 엔진 효율과 상기 모터 효율을 비교하여 효율이 높은 동력원을 선택하고, 선택한 동력원에 해당하는 학습 연비를 확인하며, 상기 학습 연비 및 보유 연료량을 기반으로 주행가능거리를 연산하는 차량 제어기;
    를 포함하는 차량의 주행가능거리 제공 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원 효율맵은 외기온 별로 대응되는 엔진 효율 및 모터 효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의 주행가능거리 제공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제어기는
    외기온 별로 대응되는 엔진 학습 연비 및 모터 학습 연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동력원 연비맵을 설정하는 차량의 주행가능거리 제공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제어기는
    상기 동력원 연비맵을 기반으로 선택한 동력원에 해당하는 학습 연비를 확인하는 차량의 주행가능거리 제공 장치.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제어기는
    상기 차량의 주행이 완료되면 주행한 주행 정보를 기반으로 학습 연비를 연산하고, 연산한 학습 연비를 기반으로 동력원 연비맵을 업데이트하는 차량의 주행가능거리 제공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제어기는
    주행 연비, 주행 거리, 가중치를 기반으로 학습 연비를 연산하는 차량의 주행가능거리 제공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제어기는
    주행 날짜 별로 상이하게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학습 연비를 연산하며, 주행 날짜가 최근일수록 큰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학습 연비를 연산하는 차량의 주행가능거리 제공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가능거리 및 상기 학습 연비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출력 장치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주행가능거리 제공 장치.
  10. 시동이 온(on)되면 차량의 외기온을 측정하는 단계;
    미리 설정된 동력원 효율맵에서 상기 외기온에 해당하는 엔진 효율 및 모터 효율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엔진 효율과 모터 효율을 비교하여 효율이 높은 동력원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효율이 높은 동력원에 해당하는 학습 연비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학습 연비 및 보유 연비량을 기반으로 주행가능거리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주행가능거리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의 주행가능거리 제공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연비를 확인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동력원 연비맵을 기반으로 효율이 높은 동력원에 해당하는 학습 연비를 확인하는 단계인 차량의 주행가능거리 제공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원 연비맵은 외기온 별로 대응되는 엔진 학습 연비 및 모터 학습 연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의 주행가능거리 제공 방법.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가능거리를 출력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차량의 주행이 완료되면 주행한 주행 정보를 기반으로 학습 연비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동력원 연비맵에 저장된 학습 연비를 연산한 학습 연비로 업데이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주행가능거리 제공 방법.
  14.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연비는 주행 연비, 주행 거리, 가중치를 기반으로 연산되는 차량의 주행가능거리 제공 방법.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는 주행 날짜 별로 상이하게 설정되며, 주행 날짜가 최근일수록 큰 가중치로 설정되는 차량의 주행가능거리 제공 방법.
  1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연비는 하기와 같은 수학식1에 의해 연산되는 차량의 주행가능거리 제공 방법.
    여기서, 수학식 1은
    Figure 112015086922232-pat00002

    이고,
    상기 SM은 학습 연비이고, 상기 n은 설정 주행 횟수이며, 상기 M은 주행 연비이고, 상기 D는 주행 거리이며, 상기 I는 가중치임.


KR1020150126539A 2015-09-07 2015-09-07 차량의 주행가능거리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6835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6539A KR101683523B1 (ko) 2015-09-07 2015-09-07 차량의 주행가능거리 제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6539A KR101683523B1 (ko) 2015-09-07 2015-09-07 차량의 주행가능거리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3523B1 true KR101683523B1 (ko) 2016-12-07

Family

ID=57572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6539A KR101683523B1 (ko) 2015-09-07 2015-09-07 차량의 주행가능거리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35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8116A (ko) 2018-09-06 2020-03-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행 가능 거리 제공 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46042A (ja) * 2010-05-28 2011-12-08 Toyota Motor Corp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JP5704232B2 (ja) * 2011-05-10 2015-04-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用表示装置
KR101518918B1 (ko) * 2013-12-26 2015-05-11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주행가능거리 표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46042A (ja) * 2010-05-28 2011-12-08 Toyota Motor Corp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JP5704232B2 (ja) * 2011-05-10 2015-04-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用表示装置
KR101518918B1 (ko) * 2013-12-26 2015-05-11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주행가능거리 표시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8116A (ko) 2018-09-06 2020-03-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행 가능 거리 제공 장치 및 방법
US10710598B2 (en) 2018-09-06 2020-07-14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distance to empt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17401B2 (en) Map display apparatus, map display method, and computer-readable tangible medium
JP4458020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運転者支援システム。
JP5418785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蓄電制御装置
US20120179315A1 (en)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of using vehicle state information for route modeling
JP2018509880A (ja) 自動車の中の電池のエネルギー状態の値を決定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5928683B2 (ja) 電気自動車の電力供給制御装置
US20140132214A1 (en) Electrically powered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ically powered vehicle
WO2009028357A1 (ja) ハイブリッド車両、ハイブリッド車両の告知方法およびその告知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JP5978632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管理システム及び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GB2568466A (en) Determining a minimum state of charge for an energy storage means of a vehicle
JP6100595B2 (ja) 航続可能距離算出装置
US10836276B2 (en) Display device
KR101683525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 제어 장치 및 엔진 제어 방법
JP2021107180A (ja) 電動車両
JP2009027772A (ja) 電池の余力表示装置及び方法
KR101500384B1 (ko)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의 잔여 주행거리 연산 방법 및 그 장치
KR101683523B1 (ko) 차량의 주행가능거리 제공 장치 및 방법
JP6662003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JP2013075561A (ja) 電動駆動車両
KR20130068983A (ko)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
US9180788B2 (en) Fuel-saving rating device and power amount management device
JP7471274B2 (ja) 消費エネルギー推定装置、消費エネルギー推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162049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燃費算出装置
JP6923001B2 (ja) 燃費表示制御方法及び燃費表示制御システム
US20140379186A1 (en) Electronic contro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