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3431B1 - 용접지그용 폴가이드 브라켓 이종조립 방지시스템 - Google Patents

용접지그용 폴가이드 브라켓 이종조립 방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3431B1
KR101683431B1 KR1020160139901A KR20160139901A KR101683431B1 KR 101683431 B1 KR101683431 B1 KR 101683431B1 KR 1020160139901 A KR1020160139901 A KR 1020160139901A KR 20160139901 A KR20160139901 A KR 20160139901A KR 101683431 B1 KR101683431 B1 KR 101683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sensor
welding
pole
paw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9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승운
임병건
Original Assignee
임승운
임병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승운, 임병건 filed Critical 임승운
Priority to KR1020160139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34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3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3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05Inspection and final contro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4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6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by using a jig or the like; Positioning of the ji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4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passenger compartment fittings, e.g. seats, linings, trim, instrument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esistance We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전방시트의 생산과정에서, 전방시트에 조립되는 헤드레스트의 양쪽 폴가이드의 이종조립을 방지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접지그에서 폴가이드 브라켓에 장착되는 폴가이드가 적합한 부품인지 부적합품 또는 불량인지 여부를 감지하여 적합한 부품인 경우에만 용접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적합여부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용접지그용 폴가이드 브라켓 이종조립 방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종감지센서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작업장내에서 이종방지장치의 작동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용접지그 위에서도 용접스펙터로 인한 오작동 또는 고장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폴가이드 브라켓이 안착된 상태에서만 작동이 되도록 하고, 이종방지장치가 확실하게 작동되어야만 용접작업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용접지그용 폴가이드 브라켓 이종조립 방지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으며, 이종폴가이드 검출기, 검출기이동장치, 안착센서,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용접지그용 폴가이드 브라켓 이종조립 방지시스템 {Preventing System for Assembling Wrong Parts of Pole-guide Bracket}
본 발명은 자동차 전방시트의 생산과정에서, 전방시트에 조립되는 헤드레스트의 양쪽 폴가이드의 이종조립을 방지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접지그에서 폴가이드 브라켓에 장착되는 폴가이드가 적합한 부품인지 부적합품 또는 불량인지 여부를 감지하여 적합한 부품인 경우에만 용접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적합여부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전방시트에는 평상시 운전자 및 탑승자의 머리를 편안하게 받쳐주고, 자동차 충돌시에는 운전자 및 탑승자의 목 부분을 보호해주는 헤드레스트가 설치되는데, 이 헤드레스트는 상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타입과 스윙 가능하게 설치되는 타입 등이 있는데, 주로 상하 높이가 조절되는 타입이 많이 설치되어 사용된다.
자동차 전방시트에서 헤드레스트가 상하로 높이가 조절되는 타입의 헤드레스트 설치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도 1 참조). 헤드레스트(10)의 아래쪽 양측에는 폴(12, 13)이 구비되고, 일 측의 폴(12)의 외경에는 록킹홈(14)이 형성된다. 한편, 전방시트는 탑승객의 엉덩이 부분이 접촉하는 시트쿠션(50)과 등부분이 접촉하는 시트백(40)으로 이루어지는데, 헤드레스트(10)는 전방시트의 시트백(40) 상단에 설치된다. 시트백(40) 내부에는 시트백프레임(미도시)이 설치되고, 이 시트백프레임의 상부에는 폴가이드 브라켓(미도시)이 고정 설치된다. 상기 폴가이드 브라켓에는 헤드레스트(10)의 폴(12, 13)이 삽입되는 폴가이드(20, 30)가 양측에 고정 장착된다. 한편, 상기 외경에 록킹홈(14)이 형성된 폴(12)과 대응되는 일 측의 폴가이드(20)에는 헤드레스트(1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22)이 구비된다. 따라서 헤드레스트(10)는 각각의 폴(12, 13)에 대응되는, 외관은 유사하지만 세부구조가 각각 다른 폴가이드(20, 30)에 각각의 폴이 삽입되며, 록킹홈(14)이 형성된 폴(14)이 삽입되는 폴가이드(20)에 설치되는 높이조절수단(22)을 조작하여 헤드레스트(10)를 고정하거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폴가이드(20, 30)에는 헤드레스트(10)의 양 폴(12, 13)이 삽입되어야 하므로 상호 간격이 일정해야 한다. 따라서 폴가이드(20, 30)는 폴가이드 브라켓에 미리 고정 설치되게 되며, 폴가이드(20, 30)가 장착된 폴가이드 브라켓은 제품 제조시 상기 시트백프레임에 일체로 결합되므로, 제품에 대한 하자검사시 폴가이드 브라켓 자체를 검사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폴가이드(20, 30)는 그 특성상 좌, 우의 역할이 달라서 구조가 다른 반면, 외관은 비슷하기 때문에 조립과정에서 좌,우가 바뀔 가능성도 있고, 동일한 부품이 장착될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조립 전에 일일이 검사를 해야 하는데, 폴가이드의 불량 여부를 검사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육안으로 검사해야 하는 불편함과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개선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특허 제10-1130349(2012.3.19.) “폴가이드 브라켓 이종방지 장치”가 있는데, 상기 문헌에 개시된 내용에 따르면, 폴가이드 브라켓의 한 쪽 폴가이드에 형성된 가이드슬릿에 맞물리는 결합홈이 하단부에 형성된 헤드부와 헤드부로부터 연장되는 몸통부를 구비하는 이종방지핀, 내부에 이종방지핀을 삽입하여 이동할 수 있는 가이드 경로를 구비한 메인블록, 이종방지핀의 이동을 감지하여 신호를 송출하는 센서 등을 포함하는 구성에 의하여 폴가이드 브라켓이 전방시트에 설치되기 전에, 폴가이드 브라켓에 설치된 폴가이드가 적합한 부품으로 장착되었는지 또는 불량품인지 여부를 자동으로 검사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은 센서의 오작동으로 인한 검사오류가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즉, 센서가 단순히 주변 물체의 움직임만을 감지하고, 움직임이 감지될 경우 무조건 폴가이드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하기 때문에, 센서 근처에서 작업자가 공구 등을 조작하거나 부품등을 이동할 때도 센서가 이를 이동방지핀의 움직임으로 오인감지하여 오작동을 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용접지그상에서 용접작업으로 인한 용접스펙터의 비산 등으로 오작동이 발생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오작동들을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작업장 내에 상기 이종방지장치가 여러 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어떤 이종방지장치에서 부적합한 폴가이드가 검출되었는지를 쉽게 알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폴가이드 브라켓이 안착되기도 전에 상기 이종감지 장치가 작동될 경우도 있는데, 이러한 오작동도 방지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폴가이드 브라켓의 불량여부를 검사는 용접작업의 전단계에서 하는데, 종래기술에 의한 이종감지장치를 용접지그에서 사용하는 경우 용접 스펙터가 이종방지핀에 부착되고 이로 인하여 이종방지핀의 전후방 이동이 어렵게 되어 작동불능상태가 되어서 용접지그위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하여 상기 폴가이드 브라켓에 대한 검사공정과 용접공정을 따로 운영해야 하므로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없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종감지센서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작업장내에서 이종방지장치의 작동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용접지그 위에서도 용접스펙터로 인한 오작동 또는 고장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여 용접지그 위에서 검사와 용접을 연이어서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폴가이드 브라켓이 안착된 상태에서만 작동이 되도록 하고, 이종방지장치가 확실하게 작동되어야만 용접작업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용접지그용 폴가이드 브라켓 이종조립 방지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동차 전방시트의 폴가이드 브라켓 용접지그상에서 상기 폴가이드 브라켓에 설치된 폴가이드의 적합여부를 검사하여 적합한 폴가이드에 대하여만 용접을 진행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이종폴가이드 검출기, 검출기이동장치, 안착센서 및 제어장치로 이루어 지는 용접지그용 폴가이드 브라켓 이종조립 방지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종 폴가이드 검출기는, 하단부에 상기 폴가이드 브라켓의 일 측 폴가이드에 형성된 가이드슬릿에 맞물리는 결합홈이 형성된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로부터 원통형으로 연장되는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의 단부에 끼움결합되는 결합블록으로 구성된 이종검출핀, 상기 이종검출핀 중 상기 몸통부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이종검출핀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상기 이종검출핀이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는 가이드 경로와 상기 폴가이드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이 형성된 메인블록, 상기 메인블록의 상단에 나사결합으로 고정설치되는 ㄴ자 형상의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ㄴ자 형상의 양 단부 중 상기 결합블록의 이동방향 쪽 일 단부에 결합 설치되며 상기 결합블록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감지신호를 송출하되 상기 결합블록과의 거리에 따라 상기 감지신호의 출력을 달리 하는 이종감지센서, 상기 지지대의 ㄴ자 형상의 양 단부 중 상기 이종감지센서가 설치되지 않은 쪽 단부에 고정 결합되는 각각 적색과 녹색으로 이루어 진 두 개의 표시램프, 상기 헤드부 전면과 양 측면을 감싸는 ㄷ자 형상으로 하여 상기 ㄷ자 형상의 양 단부가 상기 메인블록에 나사결합으로 고정되며 상기 ㄷ자 형상의 가운데면에는 상기 헤드부 및 상기 폴가이드가 이동 가능하도록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운데면 상부에는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날개가 형성되어 있는 보호커버로 이루어 져 있으며; 상기 검출기이동장치는, 상기 이종폴가이드 검출기가 부착되고, 상기 이종폴가이드 검출기를 실린더에 의하여 상기 폴가이드 브라켓이 안착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용접지그의 상판 위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안착센서는, 상기 폴가이드 브라켓이 상기 상판 위에 안착되면 이를 감지하여 안착신호를 송출하도록 상기 상판 위 상기 폴가이드 브라켓이 안착되는 위치에 매립설치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이종감지센서 및 상기 안착센서에서 송출하는 상기 감지신호 및 상기 안착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안착센서로부터 상기 안착신호가 수신되었을 경우 상기 실린더를 제어하여 상기 이종폴가이드 검출기를 상기 폴가이드 브라켓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안착신호가 수신되는 상태에서 상기 이종감지센서로부터 상기 감지신호가 수신되고 상기 감지신호의 출력이 상기 결합블록과 상기 이종감지센서 간의 거리가 가까워지는 쪽으로 변화되는 경우에는 상기 폴가이드가 적합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표시램프에 녹색등을 점등한 후 상기 용접장치가 작동 가능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안착신호가 수신된 상태에서 일정 시간 이내에 상기 이종감지센서로부터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지 못하거나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했지만 상기 감지신호의 출력이 상기 결합블록과 상기 이종감지센서 간의 거리가 가까워지는 쪽으로 변화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폴가이드가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표시램프에 적색등을 점등한 후 상기 용접장치의 작동이 불가능한 상태로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용접지그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지그용 폴가이드 브라켓 이종조립 방지시스템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어장치에, 상기 이종감지센서에 상기 결합블록이 접근함에 따른 감지신호의 변화에 대한 고유패턴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이종감지센서 및 상기 안착센서에서 송출하는 상기 감지신호 및 상기 안착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안착센서로부터 상기 안착신호가 수신되었을 경우 상기 실린더를 제어하여 상기 이종폴가이드 검출기를 상기 폴가이드 브라켓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안착신호가 수신되는 상태에서 상기 이종감지센서로부터 수신되는 감지신호의 변화패턴이 상기 고유패턴과 동일한 경우에는 상기 폴가이드가 적합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표시램프에 녹색등을 점등한 후 상기 용접장치가 작동 가능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안착신호가 수신된 상태에서 일정 시간 이내에 상기 이종감지센서로부터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지 못하거나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했지만 상기 감지신호의 상기 변화패턴이 상기 고유패턴과 동일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폴가이드가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표시램프에 적색등을 점등한 후 상기 용접장치의 작동이 불가능한 상태로 제어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용접지그용 폴가이드 브라켓 이종조립 방지시스템은 폴가이드 브라켓에 설치된 폴가이드가 제대로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용접지그 상에서 폴가이드 브라켓에 폴가이드를 용접하기 전에 미리 자동으로 검지 할 수 있고, 불량 여부를 확실하게 검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제품 제작 전에 적합품 여부를 미리 감지하여 제품조립의 신뢰성 향상을 꾀할 수 있으며, 불량 제품이 납품되어 자동차에 장착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안전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종감지센서가 단순히 결합블록의 움직임만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결합블록과 이종감지센서의 거리에 따라 감지신호의 출력을 발생시키고 이를 근거로 판단하게 되므로 센서의 오작동으로 인한 검사오류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서 정확도와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종품 검출시에는 표시램프가 작동하기 때문에 작업장 내에서 특히, 상기 이종방지 장치가 여러 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어떤 이종방지장치에서 불량 폴가이드가 검출되었는지를 쉽게 알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필요한 조치를 신속하게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종검출핀의 헤드부 부분에 보호커버를 구비함으로써 용접지그에서 사용하더라도 용접스펙터로 등으로 인한 작동불능이나 고장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에는 별도의 검사대에서 검사작업을 따로 진행한 후 용접지그로 옮겨 용접작업을 하던 불편함이 있었으나, 이종검출핀의 헤드부 부분에 보호커버를 붙이고 제어장치에 의하여 공정을 자동화 함으로써 용접지그 내에서 검사와 용접을 연이어서 자동으로 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작업자의 불편해소는 물론, 이로 인하여 공정의 신속성와 효율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적합한 폴가이드가 장착된 폴가이드 브라켓일 경우에만 용접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제어하기 때문에 불량품의 생산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과정에서 실수로 발생될 수 있는 부품의 낭비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용접지그 위에 폴가이드 브라켓이 안착되었는지를 검출하는 안착센서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폴가이드 브라켓이 안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폴가이드 이종검출기가 작동하지도 않을 뿐만 아니라 실수로 인하여 용접작업이 진행되는 것도 미연에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제어장치가 폴가이드 이종검출기의 감지센서와 안착센서의 신호를 종합하여 적합한 폴가이드가 안착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에 따라 용접작업을 제어하기 때문에 장비의 오작동으로 인한 불의의 사고 등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헤드레스트가 자동차 전방시트에 장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지그용 폴가이드 브라켓 이종조립 방지시스템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용접지그용 폴가이드 브라켓 이종조립 방지시스템을 갖춘 용접지그에 폴가이드 브라켓이 안착된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지그용 폴가이드 브라켓 이종조립 방지시스템의 전체 시스템구성 연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지그용 폴가이드 브라켓 이종조립 방지시스템의 구성요소중 이종폴가이드 검출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지그용 폴가이드 브라켓 이종조립 방지시스템의 구성요소중 이종폴가이드 검출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용접지그용 폴가이드 브라켓 이종조립 방지시스템의 구성요소중 이종폴가이드 검출기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용접지그용 폴가이드 브라켓 이종조립 방지시스템의 구성요소 중 이종폴가이드 검출기가 검출기이동장치에 설치되어 정상적인 폴가이드 브라켓을 검사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용접지그용 폴가이드 브라켓 이종조립 방지시스템의 구성요소 중 이종폴가이드 검출기가 검출기이동장치에 설치되어 비정상적인 폴가이드 브라켓을 검사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술한 목적과 특징이 분명해지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여러 가지 실시 예들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한 공지기술로서 이미 그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는 것으로서, 그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시되는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다양한 부가적 실시 예들을 가질 수 있는데, 여기에서는 특정한 실시 예들이 도면에 표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실시 예들을 특정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 예들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이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되었다.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 가운데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발명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에서 “또는”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의 어떠한, 그리고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A 또는 B”는, A를 포함할 수도, B를 포함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A 와 B 모두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 가운데 “제1,”“제2,”“첫째,”또는“둘째,”등의 표현들이 실시 예들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수식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 짓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 예들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양한 실시 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실시 예들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지그용 폴가이드 브라켓 이종조립 방지시스템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용접지그용 폴가이드 브라켓 이종조립 방지시스템을 갖춘 용접지그에 폴가이드 브라켓이 안착된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지그용 폴가이드 브라켓 이종조립 방지시스템의 전체 시스템구성 연결도이다. 이하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본 발명에 의한 용접지그용 폴가이드 브라켓 이종조립 방지시스템은 이종폴가이드 검출기(100), 검출기이동장치(300), 안착센서(500) 및 제어장치(600)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구성요소들 각각에 대한 상세구성과 작동원리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용접지그의 상판(201)위에는 실린더(301)와 상기 실린더(301)에 의하여 이동가능한 이동지지대(302)를 포함하는 상기 검출기이동장치(300)가 고정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지지대(302)의 좌측 단부 가까이에는 상기 이종폴가이드 검출기(100)가 고정설치되고, 반대 쪽인 우측 단부 가까이에는 폴가이드 삽입부재(303)가 고정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용접지그의 상판(201)위에는 안착센서(500)가 매립설치되는데, 상기 안착센서(500)의 위치는 대략 폴가이드 브라켓(200)의 안착위치(도 3 참조)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착센서(500)는 광센서 또는 근접센서 등으로서, 금속재질로 된 상기 폴가이드 브라켓(200)의 안착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라면 어떤 센서라도 관계 없으나, 작업장 환경상 먼지, 용접스펙터 등이 많이 발생하므로 이물질에 의하여 오작동이 발생할 가능성이 많은 광센서 보다는 근접센서 또는 압력센서가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 실린더(301)는 후술하는 상기 제어장치(600)에 의하여 제어가 되는 것인데, 즉 상기 폴가이드 브라켓(200)이 상기 용접지그의 상판(201) 위 정위치에 안착되고, 상기 안착센서(500)가 상기 폴가이드 브라켓(200)의 안착신호를 제어장치(600)에 보내오면, 상기 제어장치(600)가 상기 폴가이드(210, 220) 하단에 위치하게 되는 클램프(304)를 작동시켜 상기 폴가이드(210,220)를 고정시킨 후 상기 실린더(301)를 작동시켜 상기 이동지지대(302)를 상기 폴가이드 브라켓(200) 방향으로 밀게 되므로 이에 따라 상기 이종폴가이드 검출기(100)도 상기 폴가이드 브라켓(20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폴가이드(210)의 적합여부를 검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폴가이드(210)의 적합여부 검사와 관련한 상세한 내용과 작동원리는 상기 이종폴가이드 검출기(100)에 대한 상세구성을 설명할 때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이종폴가이드 검출기(100) 반대쪽에 고정설치된 상기 폴가이드 삽입부재(303)는 두 개의 폴가이드(210, 220) 중 상기 이종폴가이드 검출기(100)에 의한 검사대상이 아닌 폴가이드(220)가 단순 삽입되도록 삽입홀(3031)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삽입홀(3031)외에 전방에 돌출부(3032)를 형성하면, 삽입되는 폴가이드(220)의 외경 단부에 형성된 가이드슬릿(212)이 작을 경우, 즉 좌측에 설치되어야 하는 폴가이드(210)가 우측에 설치된 경우 삽입시 상기 돌출부(3032)에 간섭되어 저지되도록 하여 상기 이동지지대(302), 상기 이종폴가이드 검출기(100) 및 상기 폴가이드 삽입부재(303)가 더 이상 상기 폴가이드 브라켓(200)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게 만드는 효과가 있다. 상기 가이드슬릿에 관한 상세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제어장치(600)는 상기 용접지그에 설치할 수도 있으며, 현장 상황에 따라서 별도의 장치로 하여 상기 용접지그의 인근장소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한데, 상기 안착센서(500)가 송출하는 안착신호 및 상기 이종감지센서(150)가 송출하는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클램프(304) 및 상기 검출기이동장치(300)의 실리더(301)와 상기 용접지그에 설치되어 있는 용접장치(4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장치(600)는 상기 안착센서(500)로부터 상기 안착신호가 수신되었을 경우 즉, 상기 용접지그 위 일정한 위치에 상기 폴가이드 브라켓(200)이 안착되었을 경우, 상기 클램프(304)를 제어하여 상기 폴가이드(210, 220)을 고정시킨 후 상기 검출기이동장치(300)에 포함된 상기 실린더(301)를 제어하여 상기 이종폴가이드 검출기(100)를 상기 폴가이드 브라켓(200)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안착신호가 수신되는 상태에서, 상기 이종폴가이드 검출기(100)에 포함된 이종감지센서(150)의 감지신호를 분석한 결과 상기 폴가이드(210)가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이종폴가이드 검출기에 부착된 표시램프(170)에 녹색 등을 점등한 후 상기 용접장치(400)의 작동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안착신호가 수신된 상태에서, 일정 시간 이내에 상기 이종감지센서(150)로부터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지 못하거나,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했지만 정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표시램프(170)에 적색등을 점등한 후 상기 용접장치(400)의 작동이 불가능한 상태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지그용 폴가이드 브라켓 이종조립 방지시스템의 구성요소 중 상기 이종폴가이드 검출기(100)의 사시도이며, 도 6은 상기 이종폴가이드 검출기(100)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이종폴가이드 검출기(100)는 이종검출핀(110), 메인블록(120), 지지대(160), 이종감지센서(150), 표시램프(170) 및 보호커버(180)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 이종검출핀(110)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헤드부(112), 상기 헤드부(112)로부터 원통형으로 연장되는 몸통부(114) 및 상기 몸통부(114)의 단부에 끼움결합되는 결합블록(1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헤드부(112)는 그 단부가 대략 열쇠구멍모양으로서 몸통부(114)보다 대략 반경이 크고, 상기 헤드부(112)의 하단부 앞쪽에는 결합홈(112a)을 형성하되, 상기 결합홈(112a)은 좌측 폴가이드(210)의 외경 단부에 형성된 가이드슬릿(212, 도 8 참조)에 맞물리도록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 즉 상기 결합홈(112a)이 상기 가이드슬릿(212)보다 약간 작도록 하여 상기 결합홈(112a)이 상기 가이드슬릿(212)에 끼워지도록 하고, 상기 헤드부(112)에서 상기 결합홈(112a)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하단부의 폭을 상기 가이드슬릿(212, 도 8 참조)의 폭보다 넓게하여 상기 결합홈(112a)과 상기 나머지 하단부 간에 형성된 턱이 상기 가이드슬릿(212, 도 8 참조)입구에 걸리도록 하되, 상기 나머지 하단부의 폭이 우측 폴가이드(210`, 도9 참조, 우측에 들어가야 할 폴가이드가 좌측에 들어간 상황을 보여주는 도면임)에 형성된 가이드슬릿(212`, 도9 참조)의 폭 보다는 좁게 형성하여 우측 폴가이드(210`)의 가이드슬릿(212`)에는 무난히 삽입되어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폴가이드 브라켓(200)에는 양 쪽에 두 개의 폴가이드(210, 220)가 결합되는데, 각각의 폴가이드(210, 220)에는 각각의 외경 단부에 각각의 가이드슬릿(212, 212`)이 형성되지만, 우측 폴가이드(220)에 형성된 가이드슬릿(미도시)은 좌측 폴가이드(210)에 형성된 가이드슬릿(212)보다 그 폭이 크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112a)은 물론 상기 헤드부(112)의 하단부 폭 보다도 넓기 때문에 만일 조립과정에서 실수로 우측 폴가이드(220)에 사용되는 폴가이드가 좌측 폴가이드(210) 자리에 조립되어 있더라도 상기 우측 폴가이드(220)의 가이드슬릿은 그 폭이 넓어 상기 헤드부(112) 및 결합홈(112a)과 맞물리지 않으며 상기 헤드부(112)가 가이드슬릿 내에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결합블록(140)은 대략 상기 몸통부(114)보다 반경이 큰 원통형으로 하고 원통형의 중간에는 상기 몸통부(114)와 끼워맞춤될 수 있도록 삽입홈(142)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블록(140)은 상기 이종감지센서(150)가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는 금속재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메인블록(120)은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메인블록(120)의 내부에는 상기 이종검출핀(110)이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경로(122)가 형성되고, 상기 이종검출핀(110)의 상기 가이드경로(122) 하단에는 상기 좌측 폴가이드(210)가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폴가이드 삽입경로(123)가 연이어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인블록(120) 내부에는 상기 이종검출핀(110)의 상기 몸통부(114)를 감싸는 스프링(130)이 설치되어 상기 이종검출핀(110)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대(160)는 대략 ㄴ자 형상으로서 중간에 절곡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지지대(160)의 중간(162)은 상기 메인블록(120)의 상측면과 나사결합으로 고정되며, ㄴ자 형상 양 단부 중 절곡부가 형성된 쪽의 일 단부(164)에는 구멍을 형성하여 상기 이종감지센서(150)를 결합하는 구조로 하고, 나머지 일 단부(165)에는 표시램프(170)를 결합할 수 있는 결합구멍(1621, 1622)이 형성되어 상기 표시램프(170)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종감지센서(150)는 상기 결합블록(140)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감지신호를 송출하는 것으로서, 상기 결합블록(140)과의 거리에 따라 상기 감지신호의 출력을 달리 하는 센서, 즉 측정거리가 짧은 비접촉식 변위센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서 와전류식 변위센서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와전류식 변위센서를 이용하면 짧은 거리에서만 센싱이 가능하고 거리에 따라 센서 감지신호가 변하기 때문에 센서의 오작동을 예방하는데 큰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표시램프(170)는 경우에 따라서 하나만 설치할 수도 있는데, 하나만 설치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램프에서 상기 입력신호의 종류에 따라 적색 또는 녹색으로 점등이 가능한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호커버(180)는 상기 용접지그에서 스펙터 등이 발생할 경우 상기 이종검출핀(110)의 상기 헤드부(112)에 달라붙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헤드부(110) 전면과 양 측면을 감싸는 대략 ㄷ자 형상으로 하여 상기 ㄷ자 형상의 양 단부(184)가 상기 메인블록(120)에 나사결합으로 고정되며 상기 ㄷ자 형상의 가운데면에는 상기 헤드부(110) 및 상기 폴가이드가 이동 가능하도록 헤드부의 단면에 대응되는 형상인 대략 열쇠구멍모양 절개부(181) 및 반원형의 절개부(182)를 연이어서 형성하고 상기 가운데면 상부에는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날개(183)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정의 각도는 30도 내지 60도 정도가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서 상기 용접지그상에 설치하더라도 용접스펙터 등이 튀어도 상기 헤드부(112)는 물론 상기 이종감지핀(110)에 부착되는 것을 예방하여 오류나 고장을 방지할 수 있게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용접지그용 폴가이드 브라켓 이종조립 방지시스템의 구성요소중 이종폴가이드 검출기(100)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용접지그용 폴가이드 브라켓 이종조립 방지시스템의 구성요소 중 이종폴가이드 검출기(100)가 검출기이동장치(300)에 설치되어 정상적인 폴가이드 브라켓을 검사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용접지그용 폴가이드 브라켓 이종조립 방지시스템의 구성요소 중 이종폴가이드 검출기(100)가 검출기이동장치(300)에 설치되어 비정상적인 폴가이드 브라켓을 검사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 7 내지 도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용접지그용 폴가이드 브라켓 이종조립 방지시스템이 폴가이드(210, 220)가 장착되는 폴가이드 브라켓(200)의 적합여부를 검지하여 이종품이 혼입되어 조립된 불량품을 감지하는 동작, 특히 이종폴가이드 검출기(100)의 동작원리를 중심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정상적인 폴가이드들이 장착된 상기 폴가이드 브라켓(200)이 안착된 경우를 살펴보면, 폴가이드 브라켓(200)이 용접지그상의 정위치에 안착되면 상기 안착센서(500)에서 안착신호를 상기 제어장치(600)에 안착신호를 보내게 되고, 상기 제어장치(600)는 상기 클램프(304)를 작동시켜 상기 폴가이드(210, 220)을 고정시킨 후, 상기 검출기이동장치(300)에 포함된 실린더(301)를 작동시켜 상기 이동지지대(302)를 상기 폴가이드 브라켓(200)방향 즉 C방향으로 가압 이동시킨다. 이렇게 되면 상기 폴가이드(210, 220)중 우측 폴가이드(220)의 단부는 폴가이드 삽입부재(303, 도2 참조)의 삽입홀(3031, 도2 참조) 내부로 삽입되게 된다. 반면, 좌측 폴가이드(210)는 상기 가이드슬릿(212)이 상기 이종검출핀(110)의 헤드부에 형성된 결합홈(112a)과 맞물린 상태가 되고, 그 상태에서 상기 헤드부(112)가 자연스럽게 A방향으로 밀려 이동하게되므로 상기 이종검출핀(110)과 이에 결합된 상기 결합블록(140)은 B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이종감지센서(150) 하단에 위치하게 된다.
그 과정에서 상기 이종감지센서(150)는 금속재질로 된 상기 결합블록(140)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결합블록(140)과 상기 이종감지센서(150)와의 거리에 따라 감지신호의 출력을 달리한다. 즉 점진적으로 출력신호의 세기가 증가하는 상태의 상기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장치(600)에 전송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어장치(600)는, 상기 안착신호가 수신되는 상태이고, 상기 이종감지센서(150)로부터 상기 감지신호가 수신되는데 상기 감지신호의 출력이 상기 결합블록(140)과 상기 이종감지센서(150) 간의 거리가 가까워지는 쪽으로 변화되는 것이므로, 이는 상기 폴가이드 브라켓(200)에 설치된 폴가이드들(210, 220)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표시램프에 녹색 표시등을 점등한 후 상기 용접장치(400)가 작동 가능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용접장치(400)의 작동제어는 자동용접장치가 작동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상기 용접장치의 전원 등을 제어하여 작업자가 수동으로 용접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반면, 도 9을 참조하여 비정상적인 폴가이드가 장착된 상기 폴가이드 브라켓(200)이 안착된 경우를 살펴보면, 폴가이드 브라켓(200)이 용접지그상의 정위치에 안착되면 상기 안착센서(500)에서 안착신호를 상기 제어장치(600)에 보내게 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클램프(304)를 작동시켜 상기 폴가이드(210, 220)을 고정시킨 후, 상기 검출기이동장치(300)에 포함된 실린더(301)를 작동시켜 상기 이동지지대(302)를 상기 폴가이드 브라켓(200)방향 즉 C방향으로 가압 이동시킨다.
이 경우, 상기 폴가이드 브라켓(200)에 장착된 폴가이드(210, 220)가 양쪽 모두 우측 폴가이드(220)에 들어갈 부품으로 잘못 장착된 경우를 예를 먼저 들어보면, 우측 폴가이드(220)는 정상적인 폴가이드(220) 이므로 우측 폴가이드(220)의 단부는 폴가이드 삽입부재(303, 도2 참조)의 삽입홀(3031, 도2 참조) 내부로 삽입되게 된다. 반면, 좌측 폴가이드(210)는 상기 가이드슬릿(212’)이 상기 이종검출핀(110)의 헤드부(112)에 형성된 결합홈(112a) 및 상기 헤드부(112)의 아래쪽 단면보다 큰 상태여서 맞물리지 않으므로 좌측 폴가이드(210)가 상기 메인블록(120)에 형성된 폴가이드 삽입경로(123)로 삽입되는 동안에도 상기 헤드부(112)는 A방향으로 밀리지 않고 그대로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이종검출핀(110)과 이에 결합된 상기 결합블록(140) 또한 제자리에 있게 된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폴가이드 브라켓(200)에 장착된 폴가이드들이 양쪽 모두 좌측 폴가이드(210)에 들어갈 폴가이드가 장착된 경우에는 상기 이동지지대(302)의 우측에 설치된 삽입부재(303)에 있는 돌출부(3032)가 상기 가이드슬릿(212)보다 크므로 상기 폴가이드(220)가 상기 삽입부재 안으로 삽입되지 않고 대치되는 상태가 되므로 C방향으로 가압이 되더라도 좌측 폴가이드(210)가 더 이상 진전할 수 없으므로 이종검출핀의 헤드부(112)를 밀 수 없는 상대가 되며, 이로 인하여 상기 이종검출핀(110)과 이에 결합된 상기 결합블록(140) 또한 제자리에 있게된다.
그 과정에서 상기 이종감지센서(150)는 상기 결합블록(140)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없게 되므로 상기 제어장치(600)는 상기 안착신호는 수신되는 상태에서 일정 시간 이내에 상기 이종감지센서로부터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지 못하게 되므로 상기 폴가이드(210, 220)가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표시램프에 적색등을 점등한 후 상기 용접장치의 작동이 불가능한 상태로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용접장치(400)를 작동이 불가능한 상태로 제어한다는 것은 자동용접장치의 경우 자동용접장치의 작동이 진행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으며, 상기 용접장치의 전원 등을 차단제어하여 작업자가 수동으로 용접작업을 진행할 수 없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부적합한 폴가이드(210,220)가 장착됨으로 인하여, 상기 안착신호는 감지되었으나 감지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작업자가 주변에서 공구, 부품 등의 금속물을 움직여서 상기 이종감지센서(150)가 그 움직임을 오인 감지한다 하더라도, 상기 제어장치(600)는 상기 감지신호의 출력이 감지대상 물체와 상기 이종감지센서(150) 간의 거리가 가까워지는 쪽으로 변화되는 것이 아닌 한 이를 적합한 경우로 판단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용접지그의 주변에 있는 금속물 등을 작업자 등이 옮기거나 공구 등을 조작하다가 상기 결합블록(140)에 가까이 접근하는 경우도 흔히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감지신호의 출력이 상기 결합블록(140)과 상기 이종감지센서(150) 간의 거리가 가까워지는 쪽으로 감지신호의 출력변화가 감지된다 하더라도, 정해진 패턴에 따른 변화(속도, 신호강도 등)가 아닌 경우에는 정상적인 작동이 않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즉, 변위센서의 경우 센서가 감지하여 송출하는 감지신호의 출력은 대상물의 재질과 크기 등에 따라 달라지며, 접근거리에 따라 일정한 변화패턴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결합블록(140)의 재질, 크기, 접근거리, 접근속도 등이 고유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감지신호의 출력변화도 고유패턴을 가질 수 있고, 상기 고유패턴을 상기 제어장치(600)에 기억시켰다가 이종감지센서(150)에서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고유패턴과 비교하여 동일한 경우에만 정상적인 작동으로 판단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고유패턴을 저장해놓고 비교하는 방식으로 판단하도록 하는 경우 보다 정확한 판단과 오작동 예방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여러 가지 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예들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이종 폴가이드 검출기
110 : 이종검출핀 120 : 메인블록
130 : 스프링 140 : 결합블록
150 : 이종감지센서 160 : 지지대
170 : 표시램프
200 : 폴가이드 브라켓
210 : 좌측 폴가이드 220 : 우측 폴가이드
300 : 검출기 이동장치
301 : 실린더 302 : 이동지지대
303 : 폴가이드 삽입부재 304 : 클램프
400 : 용접장치
500 : 안착센서
600 : 제어장치

Claims (2)

  1. 자동차 전방시트의 폴가이드 브라켓 용접지그상에서 상기 폴가이드 브라켓에 설치된 폴가이드의 적합여부를 검사하여 적합한 폴가이드에 대하여만 용접을 진행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이종폴가이드 검출기, 검출기이동장치, 안착센서 및 제어장치로 이루어 지는 용접지그용 폴가이드 브라켓 이종조립 방지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종 폴가이드 검출기는, 하단부에 상기 폴가이드 브라켓의 일 측 폴가이드에 형성된 가이드슬릿에 맞물리는 결합홈이 형성된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로부터 원통형으로 연장되는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의 단부에 끼움결합되는 결합블록으로 구성된 이종검출핀, 상기 이종검출핀 중 상기 몸통부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이종검출핀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상기 이종검출핀이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는 가이드 경로와 상기 폴가이드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이 형성된 메인블록, 상기 메인블록의 상단에 나사결합으로 고정설치되는 ㄴ자 형상의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ㄴ자 형상의 양 단부 중 상기 결합블록의 이동방향 쪽 일 단부에 결합 설치되며 상기 결합블록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감지신호를 송출하되 상기 결합블록과의 거리에 따라 상기 감지신호의 출력을 달리 하는 이종감지센서, 상기 지지대의 ㄴ자 형상의 양 단부 중 상기 이종감지센서가 설치되지 않은 쪽 단부에 고정 결합되는 각각 적색과 녹색으로 이루어 진 두 개의 표시램프, 상기 헤드부 전면과 양 측면을 감싸는 ㄷ자 형상으로 하여 상기 ㄷ자 형상의 양 단부가 상기 메인블록에 나사결합으로 고정되며 상기 ㄷ자 형상의 가운데면에는 상기 헤드부 및 상기 폴가이드가 이동 가능하도록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운데면 상부에는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날개가 형성되어 있는 보호커버로 이루어 져 있으며;
    상기 검출기이동장치는, 상기 이종폴가이드 검출기가 부착되고, 상기 이종폴가이드 검출기를 실린더에 의하여 상기 폴가이드 브라켓이 안착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용접지그의 상판 위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안착센서는, 상기 폴가이드 브라켓이 상기 상판 위에 안착되면 이를 감지하여 안착신호를 송출하도록 상기 상판 위 상기 폴가이드 브라켓이 안착되는 위치에 매립설치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이종감지센서 및 상기 안착센서에서 송출하는 상기 감지신호 및 상기 안착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안착센서로부터 상기 안착신호가 수신되었을 경우 상기 실린더를 제어하여 상기 이종폴가이드 검출기를 상기 폴가이드 브라켓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안착신호가 수신되는 상태에서 상기 이종감지센서로부터 상기 감지신호가 수신되고 상기 감지신호의 출력이 상기 결합블록과 상기 이종감지센서 간의 거리가 가까워지는 쪽으로 변화되는 경우에는 상기 폴가이드가 적합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표시램프에 녹색등을 점등한 후 상기 용접지그에 설치되는 용접장치가 작동 가능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안착신호가 수신된 상태에서 일정 시간 이내에 상기 이종감지센서로부터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지 못하거나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했지만 상기 감지신호의 출력이 상기 결합블록과 상기 이종감지센서 간의 거리가 가까워지는 쪽으로 변화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폴가이드가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표시램프에 적색등을 점등한 후 상기 용접장치의 작동이 불가능한 상태로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용접지그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지그용 폴가이드 브라켓 이종조립 방지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에는, 상기 이종감지센서에 상기 결합블록이 접근함에 따른 감지신호의 변화에 대한 고유패턴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이종감지센서 및 상기 안착센서에서 송출하는 상기 감지신호 및 상기 안착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안착센서로부터 상기 안착신호가 수신되었을 경우 상기 실린더를 제어하여 상기 이종폴가이드 검출기를 상기 폴가이드 브라켓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안착신호가 수신되는 상태에서 상기 이종감지센서로부터 수신되는 감지신호의 변화패턴이 상기 고유패턴과 동일한 경우에는 상기 폴가이드가 적합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표시램프에 녹색등을 점등한 후 상기 용접장치가 작동 가능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안착신호가 수신된 상태에서 일정 시간 이내에 상기 이종감지센서로부터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지 못하거나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했지만 상기 감지신호의 상기 변화패턴이 상기 고유패턴과 동일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폴가이드가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표시램프에 적색등을 점등한 후 상기 용접장치의 작동이 불가능한 상태로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용접지그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지그용 폴가이드 브라켓 이종조립 방지시스템
KR1020160139901A 2016-10-26 2016-10-26 용접지그용 폴가이드 브라켓 이종조립 방지시스템 KR101683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9901A KR101683431B1 (ko) 2016-10-26 2016-10-26 용접지그용 폴가이드 브라켓 이종조립 방지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9901A KR101683431B1 (ko) 2016-10-26 2016-10-26 용접지그용 폴가이드 브라켓 이종조립 방지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3431B1 true KR101683431B1 (ko) 2016-12-06

Family

ID=57576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9901A KR101683431B1 (ko) 2016-10-26 2016-10-26 용접지그용 폴가이드 브라켓 이종조립 방지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34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65970A (zh) * 2018-06-06 2018-08-31 柳州煜华科技有限公司 汽车后排左侧座椅坐垫骨架焊接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551A (ja) * 1992-07-13 1994-02-08 Mitsubishi Motors Corp 部品の装着位置検査装置
KR970023351U (ko) * 1995-11-29 1997-06-18 차체 조립용 브라켓트 부착감지장치
KR20050011552A (ko) * 2003-07-23 2005-01-29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볼트사양 검출장치
KR101130349B1 (ko) * 2010-09-17 2012-03-27 광명산업(주) 폴 가이드 브라켓 이종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551A (ja) * 1992-07-13 1994-02-08 Mitsubishi Motors Corp 部品の装着位置検査装置
KR970023351U (ko) * 1995-11-29 1997-06-18 차체 조립용 브라켓트 부착감지장치
KR20050011552A (ko) * 2003-07-23 2005-01-29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볼트사양 검출장치
KR101130349B1 (ko) * 2010-09-17 2012-03-27 광명산업(주) 폴 가이드 브라켓 이종방지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65970A (zh) * 2018-06-06 2018-08-31 柳州煜华科技有限公司 汽车后排左侧座椅坐垫骨架焊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40486B2 (en) Device for monitoring abnormality in a chain
JP2005319517A (ja) 工作機械の安全を確保するための方法、及びこのような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光電式センサ
US20040046433A1 (en) Seat position detection unit
US20160178432A1 (en) Machine tool with protective cover detector
US8028405B2 (en) Device and method for fitting printed circuit boards with contact pins
KR101683431B1 (ko) 용접지그용 폴가이드 브라켓 이종조립 방지시스템
KR101683432B1 (ko) 용접지그용 폴가이드 브라켓 이종조립 방지 및 모니터링시스템
KR101496682B1 (ko) 브라켓용 너트 나사산 감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060181092A1 (en) Manipulator-guided gripping device having a deflection safety device that can prevent collisions
US8925215B2 (en) Vehicle steering shaft checking tool
EP2922650B1 (en) System for rivet fastening
JP4415883B2 (ja) 部品組付方法および部品組付装置
JP6151586B2 (ja) 溶接ボルト検査ユニット及び溶接ボルト検査装置
KR101913696B1 (ko) 피검출물 누락 검사용 장치
KR101361007B1 (ko) 라이터 검사장치
KR20070062330A (ko) 오일홀 관통 검사장치
KR101130349B1 (ko) 폴 가이드 브라켓 이종방지 장치
JP6697995B2 (ja) エアバッグ検査装置及び方法
KR102192816B1 (ko) 툴링핀의 마모도 측정장치
KR100492635B1 (ko) 볼트사양 검출장치
JP2008307589A (ja) 部品溶接装置
CN109346343B (zh) 一种用于自动检测固定孔孔径和位置的开关装置
US7126462B2 (en) Tool and method for measuring force associated with engaging a child restraint anchorage
KR101755312B1 (ko) 자동차 암레스트용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KR20150079018A (ko) 볼트 나사산 감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