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3156B1 - 블록의 중량 도출 방법 - Google Patents

블록의 중량 도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3156B1
KR101683156B1 KR1020150048120A KR20150048120A KR101683156B1 KR 101683156 B1 KR101683156 B1 KR 101683156B1 KR 1020150048120 A KR1020150048120 A KR 1020150048120A KR 20150048120 A KR20150048120 A KR 20150048120A KR 101683156 B1 KR101683156 B1 KR 101683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weight value
block
value
measu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8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9455A (ko
Inventor
장찬익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48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3156B1/ko
Publication of KR20160119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94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3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3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63B9/00
    • B63B9/06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9/00Methods of, or apparatus for, the determination of weight,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G1/00 - G01G7/0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블록의 중량 도출 방법이 개시된다. 블록의 중량 도출 방법은, (a) 복수개의 부분 블록의 중량을 측정하고, 부분 블록의 측정된 중량을 합하여 제1 중량값을 도출하는 단계와, (b) 부분 블록을 이용하여 조립된 조립 블록의 중량을 측정하여 제2 중량값을 도출하는 단계와, (c) 제1 중량값과 제2 중량값의 차이를 비교한 비교값을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와, (d) 비교값이 설정 범위를 초과하면, 제1 중량값과 제2 중량값 중에 상대적으로 큰 중량값을 측정 중량값으로 설정하는 단계와, (e) 조립 블록의 설계 단계의 모델링 중량값을 도출하고, 측정 중량값과 모델링 중량값의 차이를 비교하는 단계와, (f) 측정 중량값과 모델링 중량값 중에 상대적으로 큰 중량값을 최종 중량값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블록의 중량 도출 방법{METHOD FOR DERIVING WEIGHT FOR BLOCK}
본 발명은 선박 블록의 중량 측정 오류를 방지하는 블록의 중량 도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 블록의 건조 작업 과정은, 강재를 부분 블록으로 절단하고, 절단된 부분 블록을 이용하여 소조 블록, 중조 블록 및 대조 블록으로 순차적으로 조립하여 선박 블록의 건조 작업이 진행된다.
이러한 선박 블록은 건조 작업 과정에서 크레인을 이용하여 작업 위치에서 적절하게 위치 이동되면서 건조 작업이 진행된다.
이때, 크레인을 이용하여 선박 블록을 이동하는 과정에서, 선박 블록의 설계 단계의 모델링 중량을 기준으로 선박 블록을 리프팅하여 이동한다.
그러나 선박 블록의 중량을 모델링 중량에 의존하여 중량을 판단하는 바, 모델링 중량 오류가 발생되는 경우 크레인을 이용한 블록 이동이 불가하다. 따라서, 선박 블록의 중량 측정 오류가 발생되는 경우, 선박 블록을 절단하거나 추가 러그(LUG)를 설치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선박 건조 작업 과정에서 블록의 리프팅 하중을 적절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한 블록의 리프팅 중량 도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a) 복수개의 부분 블록의 중량을 측정하고, 부분 블록의 측정된 중량을 합하여 제1 중량값을 도출하는 단계와, (b) 부분 블록을 이용하여 조립된 조립 블록의 중량을 측정하여 제2 중량값을 도출하는 단계와, (c) 제1 중량값과 제2 중량값의 차이를 비교한 비교값을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와, (d) 비교값이 설정 범위를 초과하면, 제1 중량값과 제2 중량값 중에 상대적으로 큰 중량값을 측정 중량값으로 설정하는 단계와, (e) 조립 블록의 설계 단계의 모델링 중량값을 도출하고, 측정 중량값과 모델링 중량값의 차이를 비교하는 단계와, (f) 측정 중량값과 모델링 중량값 중에 상대적으로 큰 중량값을 최종 중량값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 단계는, (a-1) 강재를 공급하는 단계와, (a-2) 상기 강재를 복수개의 부분 블록으로 절단하는 단계와, (a-3) 중량 측정 정반을 이용하여 부분 블록의 중량을 측정하여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로 전송하는 단계와, (a-4) 상기 (a-3)에서 전송된 중량을 합산하여 제1 측정 중량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b) 단계의 상기 조립 블록은 대조 블록이며, 대조 블록의 중량을 중량 측정 지그를 이용하여 측정하여 제2 중량값을 측정할 수 있다.
중량 측정 지그는, 측정 베이스와, 측정 베이스 상에 복수개로 돌출되어 조립 블록을 지지하며 중량 센서가 설치된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c) 단계는, 비교값이 설정 범위를 초과하면 비교값을 오류 데이터로 설정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d) 단계는, 비교값이 설정 범위 이내이면, 제1 중량값과 제2 중량값 중에 상대적으로 큰 중량값을 최종 중량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선박의 건조 과정에서 크레인의 블록 리프팅 중량을 적절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여, 블록을 리프팅하는 과정에서 중량 설정 오류에 따라 블록을 리프팅하는 오류가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의 리프팅 중량 도출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부분 블록으로부터 제1 중량값을 도출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부분 블록을 이용하여 제1 중량값을 도출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중량 측정 지그를 이용하여 조립 블록의 중량을 측정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블록의 중량 도출 방법은 선박 블록을 건조하는 과정에서 블록의 하중을 정확하게 측정하여 크레인을 이용한 블록의 리프팅 과정에서, 블록의 중량 오차에 의해 리프팅 오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대해서 이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의 리프팅 중량 도출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의 리프팅 중량 도출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복수개로 절단된 부분 블록(10a)의 중량을 측정하고, 부분 블록(10a)의 측정된 중량을 합하여 제1 중량값을 도출한다(S10). (S10) 단계는 선박을 건조하는 과정에서 강재(10)를 복수개의 부분 블록(10a)으로 절단하여 제1 중량값을 도출하는 것이다.
도 2는 부분 블록으로부터 제1 중량값을 도출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3은 부분 블록을 이용하여 제1 중량값을 도출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에서 도 2 및 도 3을 참조 하여 (S10) 단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강재(10)를 공급한다(S11).
이어서, 강재(10)를 복수개의 부분 블록(10a)으로 1차적으로 절단한다(S12). (S12) 단계에서 부분 블록(10a)은 선박의 블록 건조 대상에 대응하여 다양한 형상 및 크기로 절단될 수 있다.
이어서 부분 블록(10a)의 중량을 측정하여 서버로 전송한다(S13). 여기서 부분 블록(10a)의 중량은 중량 측정 정반(20)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중량 측정 정반(20)은 부분 블록(10a)이 안착된 상태로 중량이 측정되는 것으로서, 중량이 측정되는 센서가 설치된 평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중량 측정 정반(20)은 공지된 것으로서 그 구성 및 작동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 (S13) 단계에서 측정된 부분 블록(10a)들의 중량을 합산하여 제1 측정 중량을 측정하여 도출한다(S14). (S14) 단계에서 제1 측정 중량을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부분 블록(10a)들의 측정 중량들을 합산하여 도출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1 측정 중량을 도출하는 것은, 선박 블록의 건조 작업 과정에서 부분 블록(10a)으로 절단된 단계에서 중량을 측정하고, 이후 단계에서 측정된 중량값과 비교하여 보다 정확한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음, 부분 블록(10a)을 이용하여 조립된 조립 블록(40)의 중량을 측정하여 제2 중량값을 도출한다(S20). (S20) 단계에서 조립 블록(40)은 대조 블록을 말하는 것으로서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를 사용한다. 본 실시예에서 대조 블록(40)은 중조 블록들이 조립되어 형성되는 것을 말한다. 즉, 대조 블록(40)은 부분 블록(10a)에 조립된 소조 블록과, 소조 블록이 조립된 중조 블록의 조립 단계를 거쳐 조립되어 형성될 수 있다.
(S20) 단계에서 조립 블록(40)의 중량은 중량 측정 지그(50)를 이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도 4는 중량 측정 지그를 이용하여 조립 블록의 중량을 측정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량 측정 지그(50)는, 측정 베이스(51)와, 측정 베이스(51)에 돌출되며 중량 센서가 설치되는 지지대(53)를 포함할 수 있다.
측정 베이스(51)는 측정 공간의 바닥면에 위치되는 부분을 말하는 것으로서 상부에 평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측정 베이스(51)의 상측에는 복수개의 지지대(53)가 돌출될 수 있다.
지지대(53)는 측정 베이스(51)의 상측에서 등간격의 복수개로 돌출되는 것으로서 측정 대상인 대조 블록(40)을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대(53)에는 중량 센서(미도시)가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여 대조 블록(40)의 정확한 중량의 측정이 가능하다.
다음, 제1 중량값과 제2 중량값의 차이를 비교한 비교값을 서버(30)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한다(S30). (S30) 단계에서 비교값을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은, 제1 중량값과 제2 중량값을 누적하여 저장하여 중량 측정 오류 발생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즉, 작업자는 제1 중량값과 제2 중량값의 비교값이 설정 범위를 초과한 상태로 상이하게 측정되면, 중량 측정 과정에서 측정 오류가 발생된 것으로 인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비교값이 설정 범위를 초과하면 이후 단계를 진행하여 보다 정확한 중량 측정값을 도출할 수 있다.
이어서, 비교값이 설정 범위를 초과하면(S40), 제1 중량값과 제2 중량값 중에 상대적으로 큰 중량값을 측정 중량값으로 설정한다(S50). 여기서, 제1 중량값과 제2 중량값 중에 상대적으로 큰 중량을 측정 중량값으로 설정하는 것은,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블록의 리프팅이 실시되는 과정에서 보다 높은 중량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여, 크레인의 리프팅 중량의 한계를 벗어난 상태로 리프팅 오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S40) 단계에서 비교값이 설정 범위를 초과한 경우, 비교값 데이터를 오류 데이터로 지정하여 서버(30)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오류 데이터를 서버(30)의 데이터 베이스에 축적하여, 별도의 분석을 통해 중량 측정 오류의 발생 원인을 분석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S40) 단계에서 비교값이 설정 범위에 포함되면, 측정 중량값을 최종 중량값으로 설정한다(S41). 즉 (S41) 단계는 제1 중량값과 제2 중량값의 비교값이 설정 범위 이내에면 블록의 중량 측정오류가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고, 제1 중량값과 제2 중량값 중의 상대적으로 큰 중량값을 최종 중량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음, 대조 블록(40)의 모델링 중량값을 도출하고, 측정 중량값과 모델링 중량값의 차이를 비교한다(S60). (S60) 단계는 (S40) 단계의 비교값이 설정 범위를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실시되는 것으로서, 보다 정확한 중량을 도출하기 위해 실시된다. (S60) 단계에서 모델링 중량값은 실제 측정 중량이 아닌, 대조 블록(40)의 설계 단계에서 결정되는 중량값을 말한다.
이어서, 측정 중량값과 모델링 중량값 중에 상대적으로 큰 중량값을 최종 중량값으로 설정한다(S70). (S70) 단계에서 측정 중량값과 모델링 중량값 중에 상대적으로 큰 중량값을 최종 중량값으로 설정하는 것은, 크레인을 이용한 리프팅 과정에서 크레인의 사양을 초과한 리프팅 중량이 적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종래 대조 블록(40)의 중량이 측정 오류에 의해 크레인의 리프팅 중량을 초과하는 경우, 대조 블록(40)을 절단하여 크레인 리프팅 작업을 실시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대조 블록(40)을 절단 과정이 필요없고 (S70) 단계에서 대조 블록(40)의 실제 중량을 측정 중량값과 모델링 중량값을 고려하여 최종 중량값으로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대조 블록(40)의 중량 측정 오류를 방지하고 크레인을 이용한 리프팅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강재 10a..부분 블록
20...측정 정반 30...서버
40...대조 블록 50...중량 측정 지그
51...측정 베이스 53...지지대

Claims (6)

  1. (a) 복수개의 부분 블록의 중량을 측정하고, 상기 부분 블록의 측정된 중량을 합하여 제1 중량값을 도출하는 단계;
    (b) 상기 부분 블록을 이용하여 조립된 조립 블록의 중량을 측정하여 제2 중량값을 도출하는 단계;
    (c) 상기 제1 중량값과 상기 제2 중량값의 차이를 비교한 비교값을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d) 상기 비교값이 설정 범위를 초과하면, 상기 제1 중량값과 상기 제2 중량값 중에 상대적으로 큰 중량값을 측정 중량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e) 상기 조립 블록의 설계 단계의 모델링 중량값을 도출하고, 상기 측정 중량값과 상기 모델링 중량값의 차이를 비교하는 단계; 및
    (f) 상기 측정 중량값과 상기 모델링 중량값 중에 상대적으로 큰 중량값을 최종 중량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블록의 중량 도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강재를 공급하는 단계;
    (a-2) 상기 강재를 복수개의 부분 블록으로 절단하는 단계;
    (a-3) 중량 측정 정반을 이용하여 상기 부분 블록의 중량을 측정하여 서버의 상기 데이터 베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및
    (a-4) 상기 (a-3)에서 전송된 중량을 합산하여 제1 측정 중량을 측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블록의 중량 도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상기 조립 블록은 대조 블록이며,
    상기 대조 블록의 중량을 중량 측정 지그를 이용하여 측정하여 제2 중량값을 측정하는, 블록의 중량 도출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 측정 지그는,
    측정 베이스; 및
    상기 측정 베이스 상에 복수개로 돌출되어 상기 조립 블록을 지지하며 중량 센서가 설치된 지지대
    를 포함하는, 블록의 중량 도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비교값이 설정 범위를 초과하면 상기 비교값을 오류 데이터로 설정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블록의 중량 도출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비교값이 설정 범위 이내이면, 상기 제1 중량값과 상기 제2 중량값 중에 상대적으로 큰 중량값을 최종 중량값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블록의 중량 도출 방법.
KR1020150048120A 2015-04-06 2015-04-06 블록의 중량 도출 방법 KR101683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8120A KR101683156B1 (ko) 2015-04-06 2015-04-06 블록의 중량 도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8120A KR101683156B1 (ko) 2015-04-06 2015-04-06 블록의 중량 도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9455A KR20160119455A (ko) 2016-10-14
KR101683156B1 true KR101683156B1 (ko) 2016-12-06

Family

ID=57157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8120A KR101683156B1 (ko) 2015-04-06 2015-04-06 블록의 중량 도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31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0142B1 (ko) * 2020-12-31 2022-11-22 강태욱 중량 변화를 이용한 선박용 선체블록의 공정 진행률 검출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2705A (ko) * 2011-06-29 2013-01-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모듈러를 이용한 선박의 경사시험방법
KR101408901B1 (ko) * 2012-04-03 2014-06-17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설계정보 내 블록별 중량정보 검증시스템
KR20140005460U (ko) * 2013-04-12 2014-10-2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블록 리프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9455A (ko) 2016-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68644B (zh) 受到裝在機床上之被測量工件之負載引起機床變形所導致測量機器之測量誤差之補償方法及依此方法之測量機器之操作方法。
EP3584064B1 (en) Three-dimensional lamination shaping condition determination method, three-dimensional lamination shaping execution method, three-dimensional lamination shaping condition determination device, and three-dimensional lamination shaping execution device
KR102475949B1 (ko) 잔류 응력 산출 방법
US10191475B2 (en) Virtual component alignment
US10509329B2 (en) Breakdown analysis of geometry induced overlay and utilization of breakdown analysis for improved overlay control
US9182379B2 (en) Method of carrying out a vibratory fatigue test of a mechanical part
CN111077845B (zh) 刀具误差补偿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US20180292803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chine workpiece alignment
KR101683156B1 (ko) 블록의 중량 도출 방법
JP2015516314A (ja) 注型用金型に鋳造型を位置決めして固定する方法
US20190236472A1 (en) Manufacturing assistance apparatus
KR20130072026A (ko) 공작 기계용 공구 마모 자동 보정 장치 및 그 방법
CN108918106B (zh) 一种分阶段加载的风力机叶片的疲劳测试方法
US10852709B2 (en) Machine tool certification for part specific working volume
JP5725849B2 (ja) 固定治具
KR20220070207A (ko) 전동 실린더 시스템
KR20150134733A (ko) 선박 제조 방법
CN108804755A (zh) 通过测量来校准包括主结构和至少一个支撑结构的模型的支撑结构的刚度的方法
KR20130008113A (ko) 블록 정도 관리 시스템
JP7160619B2 (ja) 精度調整装置、精度調整方法及び精度調整プログラム
KR20180102198A (ko) 오버레이 분산 안정화 방법 및 시스템
KR20130083250A (ko) 초대형 구조물 중량 측정방법
KR20210141681A (ko) 스프링 백량 괴리 요인 부위 특정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스프링 백량 괴리 요인 부위 특정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
JP6709704B2 (ja) 加工装置、加工制御装置および加工条件決定方法
JP5931977B2 (ja) 固定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