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2645B1 - 식료품 직거래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식료품 직거래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2645B1
KR101682645B1 KR1020160010123A KR20160010123A KR101682645B1 KR 101682645 B1 KR101682645 B1 KR 101682645B1 KR 1020160010123 A KR1020160010123 A KR 1020160010123A KR 20160010123 A KR20160010123 A KR 20160010123A KR 101682645 B1 KR101682645 B1 KR 1016826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grocery
foodstuff
delivery
reg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0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수진
Original Assignee
장수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수진 filed Critical 장수진
Priority to KR1020160010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26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2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26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06Q30/0635Processing of requisition or of purchase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9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involving significant data processing
    • H04N13/0003
    • H04N13/0048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식료품 직거래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식료품 직거래 방법은 식료품 직거래 서버가 식료품의 판매를 위한 복수의 권역을 설정하는 단계, 식료품 직거래 서버가 복수의 이동식 점포 및 복수의 고정식 점포 각각으로 복수의 권역 각각을 할당하는 단계, 식료품 직거래 서버가 복수의 이동식 점포 각각 및 복수의 고정식 점포 각각에 대응되는 판매자 장치로 복수의 권역에 대한 할당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식료품 직거래 서버가 복수의 판매자 장치로부터 복수의 이동식 점포 각각 및 복수의 고정식 점포 각각에서 판매되는 식료품에 대한 정보 각각을 수신하는 단계와 식료품 직거래 서버가 식료품에 대한 정보를 복수의 권역 각각에 위치한 복수의 소비자 장치로 복수의 식료품에 대한 정보 각각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료품 직거래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direct dealing of groceries}
본 발명은 직거래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식료품을 직거래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1970년대 급속한 경제 성장은 농업 분야에 새로운 변화를 가져왔다. 기술의 발달은 농산물의 대량 생산과 광역적 유통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그 결과 현재의 전국적인 농산물 유통 체계가 형성되었다. 농산물 생산지의 인근에서 소비가 이루어지던 과거와는 달리 최소 3단계 이상의 과정(생산자, 도매상, 중간 도매상, 소매상, 소비자)를 거쳐 농산물이 유통되기 시작하였다. 이후 1980년대에 농산물 수입 개방과 세계화로 인해 농산물 유통에 또 한 번의 변화가 일어났다. 세계 무역 기구(WTO) 체제 하에서 국가를 넘나드는 농산물의 대량 유통이 이루어지면서 어디에서든지 쉽게 수입 농산물을 접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농산물 유통 체계가 발달하면서 사람들은 다양한 농산물을 언제든지 쉽게 구입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농산물 유통 권역이 광역화되면서 단순했던 유통 구조는 점차 복잡하게 변하고 있으며, 농산물의 장거리 이동이 빈번히 일어나고 있다. 생산지에서 소비지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농산물은 여러 단계의 유통 시설을 거치게 된다. 유통 과정이 복잡해질수록 유통 업체에게 돌아가는 중간 비용이 증가하기 때문에 생산자의 수익은 줄어들고 소비자가 지불해야 하는 가격은 증가하게 된다. 또한 이렇게 복잡한 유통 과정과 국가를 넘나드는 장거리 이동은 부패되고 변질되기 쉬운 농산물의 안전성 문제까지 야기하고 있다. 즉, 유통 체계의 복잡화/광역화는 생산자와 소비자의 물리적 거리와 사회적 거리를 확대시킴으로써 지역 농가에게는 경제적 어려움을 안겨주고 소비자에게는 농산물에 대한 불안감을 안겨주었다.
이러한 농산물 유통 체계의 문제에 대한 대응책으로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것이 농산물 직거래 유통이다. 최근에는 로컬 푸드 시스템과 같은 대안 식품 네트워크가 더욱 주목을 받으면서 농산물 직거래에 대한 관심도 더욱 증가하는 추세이다.
KR 10-2009-0111027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식료품 직거래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식료품 직거래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식료품 직거래 방법은 식료품 직거래 서버가 식료품의 판매를 위한 복수의 권역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식료품 직거래 서버가 복수의 이동식 점포 및 복수의 고정식 점포 각각으로 상기 복수의 권역 각각을 할당하는 단계, 상기 식료품 직거래 서버가 상기 복수의 이동식 점포 각각 및 상기 복수의 고정식 점포 각각에 대응되는 판매자 장치로 상기 복수의 권역에 대한 할당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식료품 직거래 서버가 상기 복수의 판매자 장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이동식 점포 각각 및 상기 복수의 고정식 점포 각각에서 판매되는 식료품에 대한 정보 각각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식료품 직거래 서버가 상기 식료품에 대한 정보를 상기 복수의 권역 각각에 위치한 복수의 소비자 장치로 복수의 식료품에 대한 정보 각각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식료품에 대한 정보는 상기 복수의 이동식 점포 각각 및 상기 복수의 고정식 점포 각각에서 판매되는 식료품에 대한 3D(dimension) 원격 영상 정보 및 상기 식료품에 대한 가격 관련 정보, 상기 식료품에 대한 판매 이벤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식료품 직거래 방법은 상기 식료품 직거래 서버가 상기 복수의 판매자 장치로 권역 별 상세 지도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되, 상기 권역 별 상세 지도 정보는 상기 복수의 판매자 장치로 접수된 상기 복수의 소비자 장치의 주문 정보에 포함되는 수령 위치에 대한 정보, 상기 수령 위치까지의 거리 및 상기 수령 위치에 따른 배송 예측 시간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권역은 소비자 정보, 교통망 정보 및 배송 예상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식료품 직거래 방법은 상기 식료품 직거래 서버가 상기 복수의 이동식 점포 각각 및 상기 복수의 고정식 점포 각각의 매출을 고려하여 상기 복수의 권역을 재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식료품 직거래 서버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식료품의 판매를 위한 복수의 권역을 설정하고, 복수의 이동식 점포 및 복수의 고정식 점포 각각으로 상기 복수의 권역 각각을 할당하고, 상기 복수의 이동식 점포 각각 및 상기 복수의 고정식 점포 각각에 대응되는 판매자 장치로 상기 복수의 권역에 대한 할당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복수의 판매자 장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이동식 점포 각각 및 상기 복수의 고정식 점포 각각에서 판매되는 식료품에 대한 정보 각각을 수신하고, 상기 식료품에 대한 정보를 상기 복수의 권역 각각에 위치한 복수의 소비자 장치로 복수의 식료품에 대한 정보 각각을 전송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식료품에 대한 정보는 상기 복수의 이동식 점포 각각 및 상기 복수의 고정식 점포 각각에서 판매되는 식료품에 대한 3D(dimension) 원격 영상 정보 및 상기 식료품에 대한 가격 관련 정보, 상기 식료품에 대한 판매 이벤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복수의 판매자 장치로 권역 별 상세 지도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현될 수 있되, 상기 권역 별 상세 지도 정보는 상기 복수의 판매자 장치로 접수된 상기 복수의 소비자 장치의 주문 정보에 포함되는 수령 위치에 대한 정보, 상기 수령 위치까지의 거리 및 상기 수령 위치에 따른 배송 예측 시간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권역은 소비자 정보, 교통망 정보 및 배송 예상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복수의 이동식 점포 각각 및 상기 복수의 고정식 점포 각각의 매출을 고려하여 상기 복수의 권역을 재설정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료품 직거래 방법 및 시스템은 신선도 유지를 절대적으로 필요로 하는 미가공 농수산물 및 식품 등을 가장 빠른 시간 내 생산자와 수요자가 직거래할 수 있도록 유통에 소요되는 불필요한 비용을 최소화하여 최초 생산자와 최종 소비자의 경제적 만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료품 직거래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료품 직거래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료품 직거래 어플리케이션에서 권역 별 분할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도 상에서 권역을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료품 직거래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직거래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료품의 배달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료품 직거래 서버의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 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위치에 기반한 권역 별 생산자 중심 식료품의 직거래 방법이 개시된다. 식료품 직거래를 위한 권역은 운송 거리 및 수요자 집단 단위를 기준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료품 직거래 방법 및 시스템은 신선도 유지를 절대적으로 필요로 하는 미가공 농수산물 및 식품 등을 가장 빠른 시간 내 생산자와 수요자가 직거래할 수 있도록 유통에 소요되는 불필요한 비용을 최소화하여 최초 생산자와 최종 소비자의 경제적 만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러한 직거래를 통해 중간 유통업자 단계를 배제하여 생산자와 소비자 중심으로 가격 결정권을 돌려주어 최소 20∼30% 저렴한 가격으로 식료품이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직거래 방법을 통해 신선도와 소비 타이밍에 절대적 요소인 운송 소요 시간이 최소화되고 고정 장소(건물의 임대료)에서 해당 품목을 취급해야 하는 데서 오는 비용이 없어지고 배달 장애가 최소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식료품 직거래를 위한 권역은 배달에 소요되는 시간(예를 들어, 5분 권역/10분 권역) 및 지역에 따른 소비자 집단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남구 역삼동 내의 식료품에 대한 소비를 수행하는 거주 주민의 수와 권역 내의 배달 거리 등을 감안하여 역삼 1동을 기준으로 1개의 권역으로 묶을 수 있다. 또는 역삼 1동 뿐만 아니라 역삼2동까지 하나의 권역(5분-10분 단위)으로 묶어 식료품의 배달/소비를 위한 권역이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지역별 단위 권역을 구분하여 식료품을 운반하는 이동식 운반 트럭을 사용한 최단 시간 내 배달 시스템을 통해 오프라인 매장이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료품 직거래 방법 및 시스템에서는 이동성이 있는 이동식 운반 트럭뿐만 아니라 고정된 오프라인 매장(노점 및 슈퍼마켓)을 기반으로 한 식료품 직거래가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료품 직거래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식료품 직거래 시스템은 식료품 직거래 서버(100), 판매자 장치(120) 및 소비자 장치(140)를 기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개시되는 식료품 직거래 서버(100), 판매자 장치(120) 및 소비자 장치(140)의 동작은 판매자 장치(120) 및 소비자 장치(140) 각각에 설치된 식료품 직거래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수행되는 동작일 수 있다. 식료품 직거래 어플리케이션은 식료품 직거래 서버(100)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식료품 직거래 서버(100)는 특정 지역을 농산물의 직거래를 위한 복수의 권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복수의 권역은 소비자 정보, 교통망 정보, 배송 예상 시간 정보 등을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권역은 5분/10분의 단위로 배달이 가능한 5분 배달 권역/10분 배달 권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
식료품 직거래 서버(100)는 복수의 권역 각각에 대해 고유 식별 번호를 부여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식료품 직거래 서버(100)의 권역 분할 방법은 후술한다.
식료품 직거래 서버(100)에 의해 결정된 권역 내에서 차량, 거점 점포를 기반으로 한 식료품에 대한 직거래가 수행될 수 있다. 식료품 직거래 서버(100)에 의해 결정된 권역 내의 식료품 직거래를 위해 식료품 직거래 서버(100)는 판매자 장치(120)로 권역 별 상세 지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권역 별 상세 지도 정보는 배달을 위한 상세한 권역 별 도로 및 건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권역 별 상세 지도 정보는 제한된 범위 내의 권역 별 특화된 초정밀도 위치 기반 지도일 수 있다.
판매자 장치(120)는 권역 내에서 식료품을 판매하는 차량, 거점 점포를 운영하는 판매자의 사용자 장치일 수 있다. 판매자는 생산자와 동일할 수 있다. 판매자 장치(120)는 판매하는 식료품에 대한 정보를 식료품 직거래 서버(100)를 통해 업로드하여 권역 내에 위치한 소비자의 사용자 장치인 소비자 장치(14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매자 장치(120)는 판매자 장치(120)를 통해 판매되는 식료품을 촬상한 식료품에 대한 정보를 식료품 직거래 서버(100)를 통해 소비자 장치(140)로 전달할 수 있다.
또는, 판매자의 차량, 거점 점포에 위치한 영상 촬상 장치가 판매자에 의해 판매되는 식료품을 촬상할 수 있고 촬상된 식료품에 대한 정보는 식료품 직거래 서버(100)를 통해 소비자 장치(140)로 전달될 수 있다.
판매자 장치(120)는 판매되는 식료품에 대한 추가 정보(식료품의 가격, 식료품 판매 이벤트 정보 등)를 식료품 직거래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식료품 직거래 서버(100)는 촬상된 식료품에 대한 영상 정보 및 식료품에 대한 추가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권역에 위치한 소비자 장치(140)로 식료품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식료품 직거래 서버(100)는 제1 권역 위치한 복수의 판매자 장치(120) 각각으로부터 식료품에 대한 영상 정보 및 식료품에 대한 추가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를 가공하여 제1 권역에 위치한 복수의 소비자 장치(140)로 식료품에 대한 영상 정보 및 식료품에 대한 추가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식료품 직거래 서버(100)는 품목별, 제품별, 권역별, 상품별, 지역별에 따른 최저가에 대한 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판매자는 매일 18시경부터 식료품에 대한 할인 판매(또는 에브리데이 블랙 이벤트)를 수행하여 보다 저렴한 가격에 식료품 재고를 처분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소비자는 소비자 장치(140)를 통해 현재 위치한 권역에서 판매되는 식료품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비자는 소비자 장치(140)를 통해 상품 검색(품목별, 가격별)을 수행할 수 있고, 다른 기존의 다른 매장과의 상품 가격에 대한 비교를 수행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소비자는 소비자 장치(140)를 통해 생필품에 대한 마켓팅 이벤트 정보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소비자는 판매되는 식료품에 대한 추가적인 문의 사항이 있는 경우, 실시간으로 판매자와 통화하여 문의를 하거나 별도의 채팅 창을 통해 판매되는 식료품에 대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비자는 소비자 장치(140)를 통해 판매자와 영상 통화를 수행하여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고 상품에 대한 주문도 수행할 수 있다. 소비자와 판매자 간의 상품에 대한 주문을 위한 통화는 주문 내역 정보로서 판매자 장치(120) 및/또는 식료품 직거래 서버(100)에 저장될 수 있다.
소비자가 식료품에 대한 구매를 결정하는 경우, 소비자는 소비자 장치(140)를 통해 식료품에 대한 주문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비자는 식료품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식료품에 대한 구매를 결정할 수 있다. 소비자 장치(140)는 식료품을 수령할 위치에 대한 정보를 판매자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판매자의 판매자 장치(120)에서 출력되는 권역 별 상세 지도 정보 상에서 식료품 수령 위치가 표시될 수 있고, 판매자는 소비자에 의해 주문된 식료품을 식료품 수령 위치로 배송할 수 있다.
판매자가 식료품 수령 위치로의 배송을 수행하는 경우, 권역 별 상세 지도 정보 상에서 현재 위치에서 소비자의 식료품 수령 위치까지의 경로 정보가 판매자 장치(120)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소비자 장치(140)는 수령 위치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로 수령 위치 주변의 영상 촬상 정보를 판매자 장치(120)로 전송하여 판매자가 보다 정확하게 수령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판매자 장치(120)는 식료품을 구매한 소비자의 소비자 장치(140)로의 예상 배송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판매자는 복수의 소비자에 의해 주문된 복수의 식료품에 대한 현재까지의 누적 배송 현황을 고려하여 주기적으로 배송을 수행할 수 있다. 예상 배송 시간에 대한 정보는 복수의 소비자 각각의 복수의 식료품 수령 위치 각각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판매자는 배송을 통한 판매가 아닌 현장에서의 직거래를 통한 판매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료품 직거래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에서는 식료품에 대한 별도의 감정 및 보증을 기반으로 한 식료품에 대한 거래 방법이 개시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식료품에 대한 감정 및 보증을 하는 별도의 감정/보증 절차를 통해 유통되는 식료품의 품질에 대한 감정 및 보증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료품에 대한 품질 감정은 식료품에 대한 원격3D(dimension) 영상을 기반으로 수행될 수 있다(단계 S200).
식료품의 품목, 등급에 따라 식료품에 대한 가격이 설정될 수 있다(단계 S220).
예를 들어, 판매되는 식료품에 대한 보험이 설정되고, 식료품의 판매에 따른 분쟁은 품질 검사관에 의해 판정할 수 있다. 이는 계약 조건으로 사용될 수 있다. 소비자는 판매자에 의해 판매되는 식료품의 품목별, 가격 별, 거리 별 검색을 수행할 수 있고, 식료품에 대한 가격 비교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품 품질 감정은 식료품에 대한 원격3D(dimension) 영상을 기반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식료품을 판매하는 차량을 중심으로 장마당, 노점상, 슈퍼 등까지 아우르는 권역이 형성되는 경우, 별도의 권역 별 배달 서비스를 통해 별도의 배달 서비스를 통해 식료품을 소비자에게 배달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료품 직거래 어플리케이션에서 권역 별 분할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에서는 식료품 직거래 어플리케이션에서 권역 별로 취급되는 식료품의 종류에 따른 점포(이동식 점포 또는 고정식 점포)의 표시 방법이 개시된다. 아래의 점포 표시 방법은 예시적인 방법으로 다른 다양한 방법을 기반으로 식료품을 취급하는 점포가 표시될 수 있다.
권역 별로 배정된 고유 차량/점포들을 취급 물품에 따라 색깔 별 모형으로 분류하여 권역 별 지도마다 나란히 구분하여 병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남구를 복수의 권역으로 나눈 후 각 권역마다 식료품을 판매하는 이동식 점포(식료품 트럭), 고정식 점포가 표시될 수 있다.
(1) 강남구 내 1권역(역삼1동)에서는 이동식 농수산물, 노점상 형태의 농수산물을 판매하는 이동식 점포(300)로서 1호차 내지 n 호차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음식을 판매하는 푸드 트럭(320)으로 1호차 내지 n 호차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식료품/음식을 판매하는 고정식 점포(340)로서 1호 내지 n 호가 설정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기타 점포(360)로 식료품/음식을 판매하는 이동식/고정식 점포로서 1호 내지 n호가 설정될 수 있다.
(2) 마찬가지로 강남구 내 제2권역(잠원1동, 잠원 2동)에서는 이동식 농수산물, 노점상 형태의 농수산물을 판매하는 이동식 점포(300)로서 1호차 내지 n 호차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음식을 판매하는 푸드 트럭(320)으로 1호차 내지 n 호차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식료품/음식을 판매하는 고정식 점포(340)로서 1호 내지 n 호가 설정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기타 점포(360)로 식료품/음식을 판매하는 이동식/고정식 점포로서 1호 내지 n호가 설정될 수 있다.
수요자의 현 위치와 이동 및 정차하고 있는 트럭 간 최단거리 및 가장 많은 이용 거리를 기반으로 하는 초정밀 위치 기반 지도에 선으로 이어 연결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시간 및 거리에 대한 정보가 병기되어 지도에 나타날 수 있다.
또한, 4방향, 8방향 권역으로 묶음 단위로 권역이 분할될 수 있다. 소비자가 소속된 권역을 소권역, 중권역을 기준으로 4방향, 8방향으로 묶음 권역이 지도에 표시될 수 있다. 초정밀 위치 기반 지도는 행정 구역이나 수요자 밀집도에 따라 임으로 설정된 권역을 구획한 후 선으로 분할하여 도시되는 지도 형태로 만들어 질 수 있다.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이동식 점포, 푸드 트럭, 고정식 점포가 동일한 권역을 할당받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나, 이동식 점포, 푸드 트럭, 고정식 점포는 개별적인 권역을 할당받아 식료품을 판매할 수 있다.
식료품 직거래 서버는 판매자 장치로 설정된 권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판매자는 설정된 권역 내에서 이동하면서 식료품에 대한 판매를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도 상에서 권역을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에서는 식료품 직거래 서버가 판매량에 대한 통계를 기준으로 권역을 적응적으로 설정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직거래 서버는 현재 분할된 권역 내에서 각 이동식 점포에서 판매되는 식료품의 판매량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권역(410) 내에서 식료품을 판매하는 이동식 점포 1호차 내지 n호차에서 판매되는 식료품의 판매량이 100이고, 제2 권역(420) 내에서 식료품을 판매하는 이동식 점포 1호차 내지 n호차에서 판매되는 식료품의 판매량이 60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권역(420)을 상대적으로 확장하고 제1 권역(410)을 상대적으로 축소하여 제1 권역(410)에서 판매되는 식료품의 양과 제2 권역(420)에서 판매되는 식료품의 양이 유사 범위에 들어가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권역 내에서 식료품을 판매하는 이동식 점포 1호차 내지 이동식 점포 n 호차 각각에서 판매되는 식료품의 판매량이 유사 범위에 들어오도록 식료품 직거래 서버는 하나의 권역 내에서 이동식 점포 1호차 내지 이동식 점포 n 호차 각각의 하위 권역을 분할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권역 설정을 통해 복수의 이동식 점포의 배달 권역을 설정하여 하나의 이동식 점포에 주문이 밀려 배달 시간이 늦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배달 권역은 1차적으로 행정구역 구획을 기준으로 설정되고 2차적으로 소비자 정보, 교통망 정보 및 배송 예상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식 점포의 배달 권역의 설정은 고정식 점포를 고려하여 수행될 수 있다. 고정식 점포가 위치한 구역은 이동식 점포의 배달 권역에서 제외하거나 이동식 점포와 고정식 점포 간의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식 점포가 고정식 점포의 식료품에 대한 배달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해당 점포가 영업 중인 경우에만 초정밀 위치 기반 지도 상에서 표시될 수 있다. 또는 광량을 기준으로 on/off 상태로서 해당 점포가 휴업 중인지 영업 중인지 여부가 표시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료품 직거래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직거래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식료품 직거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수요자(또는 소비자)와 공급자(또는 판매자) 간에 거리가 선으로 연결되며 거리와 배달 시간이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거리와 배달 시간에 대한 정보를 기준으로 수요자는 개략적인 식료품의 배달 시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식료품 직거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1) 도 4에서 전술한 고유 권역의 해당 고유 차량(품목) 선택(클릭)하고, 2) 수요자(또는 소비자)와 공급자(판매자) 간에 거리가 선으로 연결되며 거리와 배달 시간이 부가적으로 표기될 수 있다. 또한, 자동적으로 3) 고유 권역의 고유 차량(품목) 선택(클릭)하면 필요한 정보 확인(또는 판매자와의 통화)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생산자와 판매자는 식료품 직거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식료품의 잔고량 및 부족량에 대한 정보(500)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권역 별 해당 차량 및 점포 별로 품목별 재고량, 부족량이 단위 기준 그래프로 표기될 수 있다. 품목별 재고량, 부족량에 대한 단위 기준 그래프를 기반으로 생산자가 판매자와 연계하여 수시로 필요량을 조달하며 재고량에 대해서는 권역 별 점포에서 상호 필요량을 조달할 수 있는 네트워크 망이 구축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권역 별로 품목별 가격, 맛 등으로 추천된 만족도를 추천 랭킹 정보(520)로서 그래프로 표시되어 소비자가 보다 나은 선택을 하도록 도와줄 수 있다. 또한, 타 매장 상품과의 품질이나 가격을 서로 비교 모니터링한 결과를 권역 별로 위치한 식료품 직거래 어플리케이션 상의 화면에 타 점포(식료품 직거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거래가 불가한 다른 매장)의 상품과의 가격 비교 정보(540)가 개시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료품의 배달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에서는 이동식 점포에서 복수의 소비자로부터 식료품에 대한 배달 요청을 수신하고, 복수의 소비자의 식료품의 수령 위치를 기반으로 배달 순위 및 배달 경로를 설정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아래와 같은 배달 순위 및 배달 경로는 판매자 장치 또는 식료품 직거래 서버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판매자 장치로 접수된 복수의 소비자의 식료품 수령 위치를 기반으로 배달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복수의 배달 건이 복수의 배달 그룹으로 그룹핑될 수 있다(단계 S600).
예를 들어, 임계 거리를 300m로 설정하여 300m 내에 인접한 식료품의 수령 위치는 동일한 배달 그룹으로 설정될 수 있다.
배달건 A 내지 배달건 J에 대응되는 배달 위치 A 내지 배달 위치J)가 존재하는 경우, 위와 같은 임계 거리에 따라 제1 배달 그룹(배달건A~배달건E), 제2 배달 그룹(배달건F~배달건J)으로 배달 위치가 구분될 수 있다.
위치 상 복수의 배달 그룹에 중첩되어 포함될 수 있는 배달 건은 각 배달 그룹의 중심 위치를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인접한 배달 그룹으로 포함될 수 있다. 또는 위치 상 복수의 배달 그룹에 중첩되어 포함될 수 있는 배달 건은 각 배달 그룹에 포함되는 배달 건과의 이동 경로를 고려하여 상대적으로 짧은 이동 경로를 가지는 배달건과 동일한 배달 그룹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배달 위치에 대한 그룹핑 이후, 제1 배달 그룹 및 제2 배달 그룹 중 먼저 배달할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단계 S610).
만약, 현재 판매자의 위치를 기준으로 제1 배달 그룹이 제2 배달 그룹보다 임계 거리(예를 들어, 1.5km) 이상 떨어진 경우, 제1 배달 그룹에 대한 배달이 제2 배달 그룹에 대한 배달보다 먼저 수행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반대로, 현재 판매자의 위치를 기준으로 제1 배달 그룹이 제2 배달 그룹보다 임계 거리(예를 들어, 1.5km) 미만으로 인접한 경우, 제1 배달 그룹에 대한 배달과 제2 배달 그룹에 대한 배달 중 먼저 접수된 배달 건이 많은 순서대로 배달 순서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배달 그룹에 포함되는 각각의 배달 건의 주문 접수 시간과 제2 배달 그룹에 포함되는 각각의 배달 건의 주문 접수 시간을 합산하여 주문 접수 시간을 기준으로 더 많은 시간이 경과한 배달 그룹에 대한 배달 우선 순위가 높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시간의 합산이 아닌, 제1 배달 그룹에 포함되는 각각의 배달 건의 주문 순위 및 제2 배달 그룹에 포함되는 각각의 배달 건의 주문 순위를 고려하여 더 낮은 주문 순위를 가지는 배달 그룹에 대한 배달 우선 순위가 높도록 설정될 수 있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배달 그룹에 대한 배달 우선 순위를 설정 후 배달 그룹 내에 포함되는 개별 배달 건에 대한 배달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단계 S620).
예를 들어, 제1 배달 그룹 내의 개별 배달 건인 배달건 A 내지 배달건 E 각각의 수령 위치(배달 위치 A 내지 배달 위치E)를 고려하여 최소 이동 경로가 형성되도록 식료품 직거래 서버에 의해 배당 경로가 설정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료품 직거래 서버의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식료품 직거래 서버가 식료품의 판매를 위한 복수의 권역을 설정할 수 있다(단계 S700).
복수의 권역은 소비자 정보, 교통망 정보 및 배송 예상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식료품 직거래 서버가 복수의 이동식 점포 각각 및 복수의 고정식 점포 각각의 매출을 고려하여 복수의 권역을 재설정할 수 있다.
식료품 직거래 서버가 복수의 이동식 점포 및 복수의 고정식 점포 각각으로 복수의 권역 각각을 할당할 수 있다(단계 S710).
식료품 직거래 서버는 분할된 복수의 권역을 복수의 이동식 점포 및 복수의 고정식 점포 각각으로 할당할 수 있다.
식료품 직거래 서버가 복수의 이동식 점포 각각 및 복수의 고정식 점포 각각에 대응되는 판매자 장치로 복수의 권역에 대한 할당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단계 S720).
복수의 이동식 점포 각각 및 복수의 고정식 점포는 할당된 권역 내의 소비자에게 식료품을 판매할 수 있다.
식료품 직거래 서버가 복수의 판매자 장치로부터 복수의 이동식 점포 각각 및 복수의 고정식 점포 각각에서 판매되는 식료품에 대한 정보 각각을 수신한다(단계 S730).
식료품에 대한 정보는 복수의 이동식 점포 각각 및 상기 복수의 고정식 점포 각각에서 판매되는 식료품에 대한 3D(dimension) 원격 영상 정보 및 상기 식료품에 대한 가격 관련 정보, 상기 식료품에 대한 판매 이벤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식료품 직거래 서버가 식료품에 대한 정보를 복수의 권역 각각에 위치한 복수의 소비자 장치로 복수의 식료품에 대한 정보 각각을 전송한다(단계 S740).
식료품 직거래 서버가 복수의 판매자 장치로 권역 별 상세 지도 정보를 전송한다(단계 S750).
권역 별 상세 지도 정보는 복수의 판매자 장치로 접수된 복수의 소비자 장치의 주문 정보에 포함되는 수령 위치에 대한 정보, 수령 위치까지의 거리 및 수령 위치에 따른 배송 예측 시간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식료품 직거래 방법 및 시스템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 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0)

  1. 식료품 직거래 방법은,
    식료품 직거래 서버가 식료품의 판매를 위한 복수의 권역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식료품 직거래 서버가 복수의 이동식 점포 및 복수의 고정식 점포 각각으로 상기 복수의 권역 각각을 할당하는 단계;
    상기 식료품 직거래 서버가 상기 복수의 이동식 점포 각각 및 상기 복수의 고정식 점포 각각에 대응되는 판매자 장치로 상기 복수의 권역에 대한 할당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식료품 직거래 서버가 상기 복수의 판매자 장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이동식 점포 각각 및 상기 복수의 고정식 점포 각각에서 판매되는 식료품에 대한 정보 각각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식료품 직거래 서버가 상기 식료품에 대한 정보를 상기 복수의 권역 각각에 위치한 복수의 소비자 장치로 복수의 식료품에 대한 정보 각각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식료품 직거래 서버가 상기 복수의 이동식 점포 각각 및 상기 복수의 고정식 점포 각각의 매출을 고려하여 상기 복수의 권역을 재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이동식 점포의 권역은 상기 복수의 고정식 점포의 위치를 고려하여 수행되고,
    상기 식료품에 대한 정보는 상기 복수의 이동식 점포 각각 및 상기 복수의 고정식 점포 각각에서 판매되는 상기 식료품에 대한 3D(dimension) 원격 영상 정보 및 상기 식료품에 대한 가격 관련 정보, 상기 식료품에 대한 판매 이벤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식료품에 대한 3D(dimension) 원격 영상 정보는 상기 식료품에 대한 감정을 위해 사용되고,
    상기 식료품에 대한 가격 관련 정보는 상기 식료품에 대한 감정을 기반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료품 직거래 서버가 상기 복수의 판매자 장치로 권역 별 상세 지도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권역 별 상세 지도 정보는 상기 복수의 판매자 장치로 접수된 상기 복수의 소비자 장치의 주문 정보에 포함되는 수령 위치에 대한 정보, 상기 수령 위치까지의 거리 및 상기 수령 위치에 따른 배송 예측 시간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권역 별 상세 지도 정보는 상기 복수의 소비자 장치 각각과 상기 복수의 판매자 각각을 연결한 선 상에서 상기 수령 위치까지의 거리 및 상기 수령 위치에 따른 상기 배송 예측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료품 직거래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권역은 1차적으로 행정 구역을 기반으로 결정되고, 2차적으로 소비자 정보, 교통망 정보 및 배송 예상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료품 직거래 방법.
  5. 삭제
  6. 식료품 직거래 서버에 있어서,
    상기 식료품 직거래 서버가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식료품의 판매를 위한 복수의 권역을 설정하고,
    복수의 이동식 점포 및 복수의 고정식 점포 각각으로 상기 복수의 권역 각각을 할당하고,
    상기 복수의 이동식 점포 각각 및 상기 복수의 고정식 점포 각각에 대응되는 판매자 장치로 상기 복수의 권역에 대한 할당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복수의 판매자 장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이동식 점포 각각 및 상기 복수의 고정식 점포 각각에서 판매되는 식료품에 대한 정보 각각을 수신하고,
    상기 식료품에 대한 정보를 상기 복수의 권역 각각에 위치한 복수의 소비자 장치로 복수의 식료품에 대한 정보 각각을 전송하고,
    상기 식료품 직거래 서버가 상기 복수의 이동식 점포 각각 및 상기 복수의 고정식 점포 각각의 매출을 고려하여 상기 복수의 권역을 재설정하도록 구현되되,
    상기 복수의 이동식 점포 각각의 권역은 상기 복수의 고정식 점포의 위치를 고려하여 수행되고,
    상기 식료품에 대한 정보는 상기 복수의 이동식 점포 각각 및 상기 복수의 고정식 점포 각각에서 판매되는 상기 식료품에 대한 3D(dimension) 원격 영상 정보 및 상기 식료품에 대한 가격 관련 정보, 상기 식료품에 대한 판매 이벤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식료품에 대한 3D(dimension) 원격 영상 정보는 상기 식료품에 대한 감정을 위해 사용되고,
    상기 식료품에 대한 가격 관련 정보는 상기 식료품에 대한 감정을 기반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료품 직거래 서버.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복수의 판매자 장치로 권역 별 상세 지도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현되되,
    상기 권역 별 상세 지도 정보는 상기 복수의 판매자 장치로 접수된 상기 복수의 소비자 장치의 주문 정보에 포함되는 수령 위치에 대한 정보, 상기 수령 위치까지의 거리 및 상기 수령 위치에 따른 배송 예측 시간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권역 별 상세 지도 정보는 상기 복수의 소비자 장치 각각과 상기 복수의 판매자 각각을 연결한 선 상에서 상기 수령 위치까지의 거리 및 상기 수령 위치에 따른 상기 배송 예측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료품 직거래 서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권역은 1차적으로 행정 구역을 기반으로 결정되고, 2차적으로 소비자 정보, 교통망 정보 및 배송 예상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료품 직거래 서버.
  10. 삭제
KR1020160010123A 2016-01-27 2016-01-27 식료품 직거래 방법 및 시스템 KR1016826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0123A KR101682645B1 (ko) 2016-01-27 2016-01-27 식료품 직거래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0123A KR101682645B1 (ko) 2016-01-27 2016-01-27 식료품 직거래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2645B1 true KR101682645B1 (ko) 2016-12-06

Family

ID=57576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0123A KR101682645B1 (ko) 2016-01-27 2016-01-27 식료품 직거래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264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0636A (ko) * 2018-06-26 2020-01-31 주식회사 아이티빌리지 Ai 기반의 농축수산물 직거래 유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N112418972A (zh) * 2019-08-20 2021-02-26 丰田自动车株式会社 服务器装置、信息处理系统、存储介质、移动店铺及信息处理系统的动作方法
KR20220075586A (ko) * 2020-11-30 2022-06-08 정동명 모바일 창고를 이용한 즉시배송을 위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455720B1 (ko) * 2021-09-13 2022-10-18 주식회사 앨리마켓 골목시장 기반 식료품 판매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8409A (ko) * 2003-06-17 2004-12-24 이정구 이동 유통점을 이용한 농수산물 거래 방법
KR20040110952A (ko) * 2003-06-21 2004-12-31 종 해 김 인터넷을 이용하는 지역별 셀단위 전자상거래 시스템과 방법
KR20050018013A (ko) * 2003-08-12 2005-02-23 주식회사 엘지홈쇼핑 배송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090001428A (ko) * 2007-04-11 2009-01-09 백용인 온라인상에서의 유통이익 분배시스템
KR20090111027A (ko) 2008-04-21 2009-10-26 이원재 원터치식 온오프 조작 기능을 구비한 풋스위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8409A (ko) * 2003-06-17 2004-12-24 이정구 이동 유통점을 이용한 농수산물 거래 방법
KR20040110952A (ko) * 2003-06-21 2004-12-31 종 해 김 인터넷을 이용하는 지역별 셀단위 전자상거래 시스템과 방법
KR20050018013A (ko) * 2003-08-12 2005-02-23 주식회사 엘지홈쇼핑 배송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090001428A (ko) * 2007-04-11 2009-01-09 백용인 온라인상에서의 유통이익 분배시스템
KR20090111027A (ko) 2008-04-21 2009-10-26 이원재 원터치식 온오프 조작 기능을 구비한 풋스위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0636A (ko) * 2018-06-26 2020-01-31 주식회사 아이티빌리지 Ai 기반의 농축수산물 직거래 유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138843B1 (ko) * 2018-06-26 2020-07-29 주식회사 아이티빌리지 Ai 기반의 농축수산물 직거래 유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N112418972A (zh) * 2019-08-20 2021-02-26 丰田自动车株式会社 服务器装置、信息处理系统、存储介质、移动店铺及信息处理系统的动作方法
KR20220075586A (ko) * 2020-11-30 2022-06-08 정동명 모바일 창고를 이용한 즉시배송을 위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604035B1 (ko) * 2020-11-30 2023-11-24 정동명 모바일 창고를 이용한 즉시배송을 위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455720B1 (ko) * 2021-09-13 2022-10-18 주식회사 앨리마켓 골목시장 기반 식료품 판매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atchford et al. Online and offline retailing: What we know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Bask et al. E-commerce logistics: a literature research review and topics for future research
US11935104B2 (en) Method, medium, and system for shopper integrity estimation in frictionless retail stores
KR101682645B1 (ko) 식료품 직거래 방법 및 시스템
US11810067B2 (en) Digitally managed shelf space marketplace
CN107220795A (zh) 一种不同门店间关联下单方法及装置
KR20170085741A (ko) 온라인 배송 주문 시스템 및 방법
WO2018175895A1 (en) System for inventory control
KR20200113662A (ko) 아파트생활관리앱 연동 전통시장 통합관리 시스템
CN111178571B (zh) 一种预约购物和分享的电子商务系统
KR20160051934A (ko) 모바일 농수산물 직거래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KR20220160828A (ko) 수산물 유통 도매업 인터넷 판매관리 시스템
KR101709872B1 (ko) 홈쇼핑 방송의 슈퍼배송 시스템
KR100802551B1 (ko) 네트워크화된 소매점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방법
KR102455720B1 (ko) 골목시장 기반 식료품 판매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653234B1 (ko) 글로벌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
CN112328828B (zh) 一种卖场终端形象设计系统与方法
Mufidah et al. The evaluation of distribution channels in managing excess inventories in pandemic COVID-19
Brink Challenges faced in last mile e-grocery delivery: A consumer perspective
Romanowski et al. Factors’ exploration of the innovative delivery formats’ development in e-grocery
Campisi et al. Spatial distribu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onsumers of E-grocery services in sicily: Insights for sustainable urban logistics
KR20150105579A (ko) 네트워크에 기반한 전통 시장의 상거래 방법 및 장치
Kulkarni et al. Personalized Smart Grocery Delivery with IoT Technology Using Collaborative Filtering Algorithms
JP2023126009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Daffodil et al. A COMPREHENSIVE REVIEW ON THE ORDER FULFILMENT STRATEGIES AFFECTING THE CONSUMER BEHAVIOUR IN ONLINE GROCERY RETAI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