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2605B1 - 수납공간 열림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수납공간 열림 방지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82605B1 KR101682605B1 KR1020150068880A KR20150068880A KR101682605B1 KR 101682605 B1 KR101682605 B1 KR 101682605B1 KR 1020150068880 A KR1020150068880 A KR 1020150068880A KR 20150068880 A KR20150068880 A KR 20150068880A KR 101682605 B1 KR101682605 B1 KR 10168260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se
- holder
- spring
- bar
- holder cas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3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6010000370 Accident at hom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37 cosme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45 desinfec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99 deter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17 insectic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453 shampoo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44 soap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747 swallow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03—Locking bars, cross bars, security ba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4—Keyplates; Ornaments or the like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14—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to prevent opening by children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05C3/12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flush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납공간 열림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서랍 또는 도어를 가지는 가구나 가전제품의 외측면에 밀착 고정되며 그 일측에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홀더케이스와, 상기 홀더케이스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걸림턱을 가지고 받침스프링에 의해 상향 탄성 바이어스되는 승강부재와, 상기 홀더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며 외력에 의해 변위하면서 상기 승강부재를 하강시키는 가압수단을 구비하는 홀더부와; 상기 홀더케이스에 대응 배치되는 래치케이스와, 상기 래치케이스의 내부에 그 일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일정두께의 플레이트형 부재로서, 회동운동을 통해 상기 홀더케이스의 슬릿을 통과해 홀더케이스의 내부로 삽입되어 승강부재의 걸림턱에 걸려 지지되고, 승강부재의 하강시 걸림턱으로부터 벗어나 래치케이스 외부로 배출되는 회동바를 갖는 래치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수납공간 열림 방지장치는, 구조가 간단하고 내구성이 뛰어나며 회동바를 통해 잠금상태가 유지되므로 비정상적인 힘을 가해도 쉽게 해제되지 않아 그만큼 신뢰성이 뛰어나며, 체결의 해제시 판스프링의 작용에 의해 회동바의 분리가 탄력적으로 이루어지므로 도어나 서랍의 신속개방이 가능하여 사용이 편리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수납공간 열림 방지장치는, 구조가 간단하고 내구성이 뛰어나며 회동바를 통해 잠금상태가 유지되므로 비정상적인 힘을 가해도 쉽게 해제되지 않아 그만큼 신뢰성이 뛰어나며, 체결의 해제시 판스프링의 작용에 의해 회동바의 분리가 탄력적으로 이루어지므로 도어나 서랍의 신속개방이 가능하여 사용이 편리하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납공간 열림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어린이 안전사고는, 일반인들이 비교적 안전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가정 내에서 의외로 많이 발생한다. 한국소비자보호원의 조사 자료에 따르면, 가정 내 안전사고는 유형별로, 넘어짐, 화상, 추락, 베임, 찔림, 미끄러짐, 충돌 등이 있으며, 방이나 거실에서 주로 발생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또한, 상기 안전사고는 (어린이와 관련이 없는) 각종 물품으로부터 비롯되는 경우가 많다. 가령, 의약품, 소독약, 살충제, 화장품, 세정제, 접착제, 가위, 망치, 톱, 송곳, 못, 바늘, 핀, 라이터, 성냥, 비누, 샴푸, 스프레이, 농기구, 농약, 담배 등(이하, 사고유발물품)을, 어린이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책상 위나 서랍 또는 화장대 등의 수납공간에 아무렇게나 보관하고, 어린이가 사고유발물품에 접근하여 사고가 발생하는 것이다.
어린이는 호기심이 많기 때문에, 주변의 신기한 물건이 무엇이든지 만지고 빨고 삼키는 습성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어린이가 있는 가정에서는, 사고유발물품을 어린이의 손에 닿지 않는 수납공간에 별도로 보관해야 하며, 필요하다면 더 나아가 잠금기구 등을 이용해 어린이가 수납공간을 열 수 없도록 조치해야 한다.
수납공간을 잠그기 위한 잠금기구로서,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7090호를 통해 도어 잠금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 도어 잠금장치는, 수납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의 전면에 고정되는 제1,2고정구와, 상기 제1,2고정구를 상호 연결하여 제1,2고정구의 간격을 유지하는 록킹바를 구비한다.
상기 록킹바는, 그 일단부가 제1고정구에 회동 가능하도록 링크되고, 타단부가 제2고정구에 결합함으로써 도어의 잠김상태를 유지한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도어 잠금장치는, 록킹바의 내부 구조가 다소 복잡하고 내구성이 떨어져 강제로 힘을 가할 때 쉽게 파손되거나 고장날 수 있다.
또한, 사용이 오래될수록 록킹바 내부의 탄성로드가 탄성복원력을 점차 잃어 동작 정확성이 떨어진다는 문제도 갖는다. 탄성로드가 정확히 작동하지 않으면 당연히 차단편이 록킹핀을 제대로 고정하지 못하게 된다.
이에 더하여, 록킹바에서의 제1고정구가 결합하는 힌지홈이 수평방향, 즉 도어의 열림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으므로, 예컨대 도어를 강제로 당길 때 제1고정구가 록킹바로부터 쉽게 빠질 수 있다. 그만큼 록킹바의 신뢰성이 좋지 못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고 내구성이 뛰어나며 회동바를 통해 잠금상태가 유지되므로 비정상적인 힘을 가해도 쉽게 해제되지 않아 그만큼 신뢰성이 뛰어난 수납공간 열림 방지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체결의 해제시 판스프링의 작용에 의해 회동바의 분리가 탄력적으로 이루어지므로 도어나 서랍의 신속개방이 가능하여 사용이 편리한 수납공간 열림 방지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납공간 열림 방지장치는, 서랍(13) 또는 도어(15)를 가지는 가구나 가전제품에 장착되어 상기 서랍 또는 도어의 열림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 상기 가구나 가전제품의 외측면에 밀착 고정되며 그 일측에 슬릿(23c)이 형성되어 있는 홀더케이스(23e)와, 상기 홀더케이스(23e)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걸림턱(23q)이 형성된 승강부재(23m)와, 상기 승강부재(23m)를 상향 탄성 바이어스하는 받침스프링(23s)과, 상기 홀더케이스(23e)의 외부로 노출되며 외력에 의해 변위하면서 상기 승강부재(23m)를 하강시키는 가압수단을 구비하는 홀더부(23) ; 상기 홀더케이스(23e)에 대응 배치되는 래치케이스(29c)와, 상기 래치케이스(29c)의 내부에 그 일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일정두께의 플레이트형 부재로서 회동운동을 통해 상기 홀더케이스(23e)의 슬릿(23c)을 통과해 상기 홀더케이스(23e)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승강부재(23m)의 걸림턱(23q)에 걸려 지지되고 상기 승강부재(23m)의 하강시 상기 걸림턱(23q)으로부터 벗어나 상기 래치케이스(29c)의 외부로 배출되는 회동바(29f)를 갖는 래치부(29) ; 를 포함하며,
상기 홀더케이스(23e)는, 상기 가구나 가전제품에 고정되는 하부케이스편(23a)과, 상기 하부케이스편(23a)의 바닥부에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승강부재(23m)의 승강운동을 가이드하며 그 상부에 상기 받침스프링(23s)이 배치되는 스프링받침(23t)과, 상기 하부케이스편(23a)의 상부에 결합하며 중앙부에 버튼설치구멍(23g)을 갖는 상부케이스편(23b)으로 구성되고 ;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하부케이스편(23a)의 버튼설치구멍(23g)에 끼워지며 외력에 의해 눌려져 상기 승강부재(23m)를 하강시킴으로써 상기 걸림턱(23q)을 상기 회동바(29f)의 회동경로로부터 벗어나게 하는 해제버튼(23d)이며 ;
상기 스프링받침(23t)의 측부에는 상기 회동바(29f)가 상기 홀더케이스(23e)의 내부로 진입할 때 상기 회동바(29f)에 의해 밀려 압축되며 상기 회동바(29f)를 홀더케이스(23e)의 외측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판스프링(23r)이 구비되며 ;
상기 승강부재(23m)는, 원통 형태로서 그 내부에 상기 받침스프링(23s)이 배치된 상태로 상기 스프링받침(23t)이 삽입되는 스프링수용부(23n)와, 상기 스프링수용부(23n)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편으로 연장되며 상기 걸림턱(23q)을 갖는 한 쌍의 록킹부(23p)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홀더케이스(23e)는, 상기 가구나 가전제품에 고정되는 하부케이스편(23a)과, 상기 하부케이스편(23a)의 바닥부에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승강부재(23m)의 승강운동을 가이드하며 그 상부에 상기 받침스프링(23s)이 배치되는 스프링받침(23t)과, 상기 하부케이스편(23a)의 상부에 결합하며 중앙부에 버튼설치구멍(23g)을 갖는 상부케이스편(23b)으로 구성되고 ;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하부케이스편(23a)의 버튼설치구멍(23g)에 끼워지며 외력에 의해 눌려져 상기 승강부재(23m)를 하강시킴으로써 상기 걸림턱(23q)을 상기 회동바(29f)의 회동경로로부터 벗어나게 하는 해제버튼(23d)이며 ;
상기 스프링받침(23t)의 측부에는 상기 회동바(29f)가 상기 홀더케이스(23e)의 내부로 진입할 때 상기 회동바(29f)에 의해 밀려 압축되며 상기 회동바(29f)를 홀더케이스(23e)의 외측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판스프링(23r)이 구비되며 ;
상기 승강부재(23m)는, 원통 형태로서 그 내부에 상기 받침스프링(23s)이 배치된 상태로 상기 스프링받침(23t)이 삽입되는 스프링수용부(23n)와, 상기 스프링수용부(23n)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편으로 연장되며 상기 걸림턱(23q)을 갖는 한 쌍의 록킹부(23p)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상기에 있어서, 상기 회동바(29f)의 타단부에는 폭방향으로 개방되어 상기 승강부재(23m)를 그 내부에 수용하는 끼움공간(29k)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공간(29k)의 내측에는 상기 록킹부(23p)의 걸림턱(23q)에 걸리도록 이루어진 걸림부(29j)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래치케이스(29c)는, 상기 회동바(29f)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회동축(29n)이 구비되어 있는 하부케이스편(29a)과, 상기 하부케이스편(29a)의 상부에 결합하며 그 중앙부에 버튼설치구멍(29m)을 갖는 상부케이스편(29b)으로 이루어지고 ; 상기 상부케이스편(29b)의 버튼설치구멍(29m)에는 상기 회동바(29f)의 일단부를 회동축으로 지지하는 고정버튼(29e)이 장착되는 것 ; 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수납공간 열림 방지장치는, 구조가 간단하고 내구성이 뛰어나며 회동바를 통해 잠금상태가 유지되므로 비정상적인 힘을 가해도 쉽게 해제되지 않아 그만큼 신뢰성이 뛰어나며, 체결의 해제시 판스프링의 작용에 의해 회동바의 분리가 탄력적으로 이루어지므로 도어나 서랍의 신속개방이 가능하여 사용이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공간 열림 방지장치의 사용 예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수납공간 열림 방지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공간 열림 방지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수납공간 열림 방지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공간 열림 방지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기본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수납공간 열림 방지장치(21)는, 어린이가 있는 가정내에서의 (사고유발물품이 수납되어 있는) 가구나 가전제품에 장착되어, 가구나 가전제품의 서랍이나 도어가 열리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어린이가 사고유발물품을 손에 넣지 못하도록 하는 기본 목적을 갖는 것이다.
상기 가구에는, 서랍장이나 장롱 또는 거실장이나 장식장 또는 화장대나 싱크대 또는 책상서랍통 등이 있을 것이며, 가전제품에는 대표적으로 냉장고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공간 열림 방지장치(21)의 사용 예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서랍(13)과 도어(15)가 구비되어 있는 가구에 본 실시예에 따른 열림 방지장치(21)가 적용되어 있다.
상기 열림 방지장치(21)는, 홀더부(23)와 래치부(29)의 기본 구성을 이루며, 가구나 가전제품(이하, 적용제품)의 외부에 부착되어, 어린이에 의한 서랍(13)이나 도어(15)의 열림을 방지한다.
도면에서는 서랍(13)에 홀더부(23)가 고정되는 한편 가구본체(11)에 래치부(29)가 고정되어 있지만, 경우에 따라 서랍(13)에 래치부(29)가 고정되고 가구본체(11)에 홀더부(23)가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도어(15)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홀더부(23)나 래치부(29)를 도어(15)에 고정하고, 래치부(29)나 홀더부(23)를 가구본체(11)에 고정할 수도 있다.
아울러, 적용제품에 대한 홀더부(23) 및 래치부(29)의 고정방식은, 접착시트(도 4의 31)를 이용한 접착방식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 나사못 등을 이용하여 보다 강력하게 고정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수납공간 열림 방지장치(21)는, 슬릿(23c)과 해제버튼(23d)을 갖는 홀더부(23)와, 상기 홀더부(23)에 대응 배치되며 회동식 회동바(29f)를 구비한 래치부(29)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동바(29f)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슬릿(23c)으로 삽입되어, 홀더부(23)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승강부재(23m)에 걸려 고정된다. 회동바(29f)가 승강부재(23m)에 걸림으로써 열림 방지장치가 잠긴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잠긴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홀더부(23)의 해제버튼(23d)을 화살표 p 방향으로 누른다. 해제버튼(23d)을 누르면 상기 승강부재(23m)가 눌리며 회동바(29f)의 회동경로상에서 이탈된다. 이와 같이 승강부재(23m)가 눌리는 순간 후술할 판스프링(23r)이 작용하여 회동바(29f)를 홀더케이스(23e)로부터 튕겨낸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열림 방지장치는, 회동바(29f)의 회동 삽입과, 해제버튼(23d)을 통해 잠금과 풀림이 구현되므로 작동이 그만큼 간편한 것이다.
상기 홀더부(23)와 래치부(29)의 구성은 도 2 및 도 3을 통해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수납공간 열림 방지장치(2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수납공간 열림 방지장치(21)는, 승강부재(23m)와 판스프링(23r)을 구비한 홀더부(23)와, 상기 홀더부(23)에 일대일 대응 배치되며 회동바(29f)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래치부(29)를 갖는다.
상기 홀더부(23)는, 내부공간(23k)을 제공하며 적용제품에 밀착 고정되고 바닥부 중앙에 스프링받침(23t)을 갖는 하부케이스편(23a)과, 상기 스프링받침(23t)의 상부에 설치되는 받침스프링(23s)과, 상기 스프링받침(23t)의 측부에 설치되는 판스프링(23r)과, 상기 스프링받침(23t)의 연직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부재(23m)과, 상기 하부케이스편(23a)의 상부에 씌워져 결합하고 그 중앙부에 버튼설치구멍(23g)을 구비한 상부케이스편(23b)과, 상기 버튼설치구멍(23g)에 지지된 상태로 승강부재(23m)의 상부에 위치하며 사용자에 의해 눌려 승강부재(23m)를 하강 시키는 해제버튼(23d)을 포함한다.
상기 스프링받침(23t)은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 부재로서, 상기 승강부재(23m)의 승강운동을 가이드한다. 아울러 스프링받침(23t)에는 승강부재(23m)의 자세를 유지하기 위하여 승강부재 가이드돌기(23t-1)가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스프링받침(23t)은 받침스프링(23s)을 그 상부에 올린 상태로 승강부재(23m)의 스프링수용부(23n) 내부로 일부 삽입된다.
상기 승강부재(23m)는, 속이 빈 원통의 형태를 취하며 스프링받침(23t)의 연직 상부에 위치하는 스프링수용부(23n)와, 상기 스프링수용부(23n)의 양측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록킹부(23p)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프링수용부(23n)는 하부로 개방된 원통으로서, 그 내부에 받침스프링(23s)과 스프링받침(23t)의 상단부 일부를 수용한다. 아울러 스프링수용부(23n)의 일측에는 승강부재 가이드돌기(23t-1)가 삽입되기 위한 가이드 절개부(23n-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록킹부(23p)는 스프링수용부(23n)를 중심에 두고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된 블록형 부재로서 그 상면에 경사면부(23u)를 갖는다. 상기 경사면부(23u)는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살표 F 방향으로 들어오는 회동바(29f)의 폭방향 모서리부에 의해 가압되며 승강부재(23m)가 화살표 a 방향으로 하강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스프링수용부(23n)의 내부에 받침스프링(23s)이 내장되고, 또한 받침스프링(23s)이 스프링받침(23t)에 올라가 있으므로, 상기 승강부재(23m)는 받침스프링(23s)의 탄성력을 받으며 승강 가능하다. 승강부재(23m)를 하부로 누르면 받침스프링(23s)이 압축되고, 가압력을 제거하면 받침스프링(23s)의 복원력에 의해 승강부재(23m)가 상승하여 처음 위치로 복귀한다.
또한 상기 판스프링(23r)은 대략 ㄷ 자의 형태를 취하는 탄성편으로서, 상기 스프링받침(23t)과 하부케이스편(23a)의 일측벽에 장착된다. 상기 판스프링(23r)은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더케이스(23e) 내부로 압입되는 회동바(29f)에 의해 화살표 e방향으로 눌러 탄성 변형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판스프링(23r)은 ㄷ자 형태의 몸체(23r-1)와 몸체(23r-1)의 일측에 형성된 가압부(23r-2)로 이루어진다.
판스프링(23r)의 ㄷ자 형태의 몸체(23r-1)는 회동바(29f)의 이동 경로와 무관한 것이며, 판스프링(23r)의 가압부(23r-2)는 회동바(29f)의 이동 경로에 위치되어 회동바(29f)와 접하게 되는 부위이다.
따라서 회동바(29f)는 판스프링(23r)의 가압부(23r-2)를 가압하게 되고, 이에 의하여 판스프링(23r)의 ㄷ자 형태의 몸체(23r-1)가 함께 변형되면서 탄성 에너지를 저장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판스프링(23r)의 가압부(23r-2)는 회동바(29f)의 한 쌍의 입구부(29h) 중 어느 하나(특히 외측에 위치한 입구부(29h))에 의해서만 가압되며 다른 하나의 입구부(29h)와는 접촉되지 않게 되도록 배치되어, 가장 많은 탄성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판스프링(23r)은, 탄성 복원력을 가져 회동바(29f)를 화살표 e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탄력 가압한다.
상기 상부케이스편(23b)은 하부케이스편(23a)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승강부재(23m)와 판스프링(23r)을 보호한다. 특히 상기 상부케이스편(23b)에 형성되어 있는 버튼설치구멍(23g)에는 해제버튼(23d)이 설치된다.
상기 해제버튼(23d)은 일정직경을 갖는 디스크형 부재로서 버튼설치구멍(23g)의 테두리부 저면에 걸려 지지된다. 아울러 상기 해제버튼(23d)은 스프링수용부(23n)와 접하며 스프링수용부(23n)에 의해 상향 탄성바이어스된다. 실제로는 상기 받침스프링(23s)이 승강부재(23m)와 해제버튼(23d)을 상향 탄성 지지하는 것이다.
도면부호 23f는 슬릿형성홈이다. 상기 슬릿형성홈(23f)은 상부케이스편(23b)을 하부케이스편(23a)에 결합시켰을 때, 상기 슬릿(23c)을 형성하는 홈이다.
한편, 상기 래치부(29)는, 적용제품에 밀착 고정되며 그 바닥부 중앙에 회동축(29n)을 갖는 하부케이스편(29a)과, 일단부가 상기 회동축(29n)에 지지되며 회동운동 가능한 회동바(29f)와, 상기 하부케이스편(29a)에 결합하고 버튼설치구멍(29m)을 갖는 상부케이스편(29b)과, 상기 버튼설치구멍(29m)에 고정되며 회동바(29f)를 회동축(29n)에 지지시키는 고정버튼(29e)으로 구성된다.
도면부호 29p는 슬릿형성홈이다. 상기 슬릿형성홈(29p)은, 하부케이스편(29a)에 상부케이스편(29b)을 결합했을 때 가이드슬릿(29d)을 형성하는 홈이다. 상기 가이드슬릿(29d)은 회동바(29f)의 회동 경로이다.
상기 회동바(29f)는 일정두께를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띠형 부재로서 그 일단부에 축수용보스(29q)를 갖는다. 상기 축수용보스(29q)는 회동축(29n)에 끼워지는 원통형 부재이다.
상기 축수용보스(29q)는 고정버튼(29e)에 의해 하부로 눌려 회동축(29n)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상기 고정버튼(29e)이 회동바(29f)와 회동축(29n)의 링크를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고정버튼(29e)은 원판의 형태를 취하며 그 테두리부가 버튼설치구멍(29m)의 테두리부 저면에 걸려 하향 지지된다. 따라서, 하부케이스편(29a)에 상부케이스편(29b)을 결합함으로써, 고정버튼(29e)이 축수용보스(29q)를 회동축(29n)으로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회동바(29f)의 자유단부 즉, 축수용보스(29q)가 위치한 일단부의 반대편 타단부에는 끼움공간(29k)과 입구부(29h)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입구부(29h)는 일정간격을 갖는 통로로서 끼움공간(29k)을 폭방향으로 개방시킨다.
상기 입구부(29h)는 회동바(29f)가 회동 운동하여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더케이스(23e) 내부로 진입할 때, 스프링수용부(23n)를 통과시킨다. 이때 상기 록킹부(23p)는 입구부(29h)를 통과하지 않고 화살표 a방향으로 눌린 상태로 입구부(29h) 하부를 넘어간다. 다시 말하면 상기 입구부(29h)가 록킹부(23p)를 하부로 누르며 록킹부(23p)를 넘어가는 것이다.
특히 상기 끼움공간(29k)의 내측부에는 걸림부(29j)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걸림부(29j)는,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끼움공간(29k) 내부에 승강부재(23m)가 수용된 상태에서 걸림턱(23q)에 대향하는 부분이다.
이와 같이, 걸림부(29j)가 걸림턱(23q)를 막고 있으므로, 회동바(29f)가 그 높이에서 수평이동해서는 홀더케이스(23e)로부터 빠져나가지 못한다. 승강부재(23m)를 하강시켜, 걸림부(29j)와 걸림턱(23q)을 완전히 어긋나게 해야 빠질 수 있다.
도면부호 29g는 프레싱돌기이다. 상기 프레싱돌기(29g)는 회동바(29f)의 자유단부의 폭방향 타단부 즉, 입구부(29h)의 반대편에 일체로 형성된 부분으로서, 회동바(29f)를 홀더케이스(23e)의 슬릿(23c)에 보다 깊게 밀어넣기 위해 사용된다.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공간 열림 방지장치(21)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승강부재(23m)와 해제버튼(23d)이 상기 받침스프링(도 3의 23s)의 작용에 의해 상향 탄성 지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해제버튼(23d)이 버튼설치구멍(23g)의 테두리부에 걸쳐져 있기 때문에 해제버튼(23d)이 상부로 이탈되지 않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도면부호 31은 접착시트이다. 상기 접착시트는 이를테면 양면테이프로서, 홀더케이스(23e)와 래치케이스(29c)를 가구나 가전제품의 외표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킨다.
상기 상태에서 회동바(29f)를 화살표 F 방향으로 회동시켜 슬릿(23c)의 내부로 삽입하면, 상기 회동바(29f)의 단부가 상기 경사면부(23u)를 가압하며 승강부재(23m)를 화살표 a 방향으로 하강시킨다.(도 4b참조)
상기 상태에서 회동바(29f)를 더욱 삽입하면, 상기 끼움공간(29k)의 내부에 승강부재(23m)가 완전히 삽입되고 그 순간, 눌려있던 승강부재(23m)가 다시 상승하여 처음의 위치로 복귀한다.
승강부재(23m)가 다시 상승함에 따라, 승강부재(23m)의 걸림턱(23q)이 걸림부(29j)에 대향하게 된다. 걸림부(29j)가 걸림턱(23q)에 걸려 화살표 b 방향으로 빠지지 못한다.
아울러 상기 회동바(29f)가 홀더케이스(23e)의 내부로 삽입되는 동안, 상기 판스프링(23r)을 화살표 e 방향으로 가압 변형시킨다. 판스프링(23r)이 회동바(29f)에 눌려 압축되는 것이다.
상기 과정을 통해 열림 방지장치(21)의 잠금 과정이 완료된다.
열림 방지장치(21)를 다시 개방하기 위해서는 상기 해제버튼(23d)을 화살표 p방향으로 가압하여 승강부재(23m)를 하강시킨다.
상기와 같이 승강부재(23m)가 하강하면, 도 4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턱(23q)이 하강하여 걸림부(29j)의 이동 경로상에서 이탈된다. 걸림부(29j)를 막고 있던 록킹부(23p)가 하강하는 순간, 회동바(29f)는 상기 판스프링(23r)의 작용에 의해 홀더케이스(23e)의 외부로 튕겨나가 도 4e의 상태가 된다. 이후 해제버튼(23d)을 누르던 힘을 제거하면 해제버튼(23d)과 승강부재(23m)가 상승하여 처음의 위치로 복귀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1:가구본체 13:서랍 15:도어
21:열림방지장치 23:홀더부 23a:하부케이스편
23b:상부케이스편 23c:슬릿 23d:해제버튼
23e:홀더케이스 23f:슬릿형성홈 23g:버튼설치구멍
23k:내부공간 23m:승강부재 23n:스프링수용부
23p:록킹부 23q:걸림턱 23r:판스프링
23s:받침스프링 23t:스프링받침 23u:경사면부
29:래치부 29a:하부케이스편 29b:상부케이스편
29c:래치케이스 29d:가이드슬릿 29e:고정버튼
29f:회동바 29g:프레싱돌기 29h:입구부
29j:걸림부 29k:끼움공간 29m:버튼설치구멍
29n:회동축 29p:슬릿형성홈 29q:축수용보스
31:접착시트
21:열림방지장치 23:홀더부 23a:하부케이스편
23b:상부케이스편 23c:슬릿 23d:해제버튼
23e:홀더케이스 23f:슬릿형성홈 23g:버튼설치구멍
23k:내부공간 23m:승강부재 23n:스프링수용부
23p:록킹부 23q:걸림턱 23r:판스프링
23s:받침스프링 23t:스프링받침 23u:경사면부
29:래치부 29a:하부케이스편 29b:상부케이스편
29c:래치케이스 29d:가이드슬릿 29e:고정버튼
29f:회동바 29g:프레싱돌기 29h:입구부
29j:걸림부 29k:끼움공간 29m:버튼설치구멍
29n:회동축 29p:슬릿형성홈 29q:축수용보스
31:접착시트
Claims (5)
- 서랍(13) 또는 도어(15)를 가지는 가구나 가전제품에 장착되어 상기 서랍 또는 도어의 열림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
상기 가구나 가전제품의 외측면에 밀착 고정되며 그 일측에 슬릿(23c)이 형성되어 있는 홀더케이스(23e)와, 상기 홀더케이스(23e)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걸림턱(23q)이 형성된 승강부재(23m)와, 상기 승강부재(23m)를 상향 탄성 바이어스하는 받침스프링(23s)과, 상기 홀더케이스(23e)의 외부로 노출되며 외력에 의해 변위하면서 상기 승강부재(23m)를 하강시키는 가압수단을 구비하는 홀더부(23) ;
상기 홀더케이스(23e)에 대응 배치되는 래치케이스(29c)와, 상기 래치케이스(29c)의 내부에 그 일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일정두께의 플레이트형 부재로서 회동운동을 통해 상기 홀더케이스(23e)의 슬릿(23c)을 통과해 상기 홀더케이스(23e)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승강부재(23m)의 걸림턱(23q)에 걸려 지지되고 상기 승강부재(23m)의 하강시 상기 걸림턱(23q)으로부터 벗어나 상기 래치케이스(29c)의 외부로 배출되는 회동바(29f)를 갖는 래치부(29) ;
를 포함하며,
상기 홀더케이스(23e)는, 상기 가구나 가전제품에 고정되는 하부케이스편(23a)과, 상기 하부케이스편(23a)의 바닥부에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승강부재(23m)의 승강운동을 가이드하며 그 상부에 상기 받침스프링(23s)이 배치되는 스프링받침(23t)과, 상기 하부케이스편(23a)의 상부에 결합하며 중앙부에 버튼설치구멍(23g)을 갖는 상부케이스편(23b)으로 구성되고 ;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하부케이스편(23a)의 버튼설치구멍(23g)에 끼워지며 외력에 의해 눌려져 상기 승강부재(23m)를 하강시킴으로써 상기 걸림턱(23q)을 상기 회동바(29f)의 회동경로로부터 벗어나게 하는 해제버튼(23d)이며 ;
상기 스프링받침(23t)의 측부에는 상기 회동바(29f)가 상기 홀더케이스(23e)의 내부로 진입할 때 상기 회동바(29f)에 의해 밀려 압축되며 상기 회동바(29f)를 홀더케이스(23e)의 외측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판스프링(23r)이 구비되며 ;
상기 승강부재(23m)는, 원통 형태로서 그 내부에 상기 받침스프링(23s)이 배치된 상태로 상기 스프링받침(23t)이 삽입되는 스프링수용부(23n)와, 상기 스프링수용부(23n)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편으로 연장되며 상기 걸림턱(23q)을 갖는 한 쌍의 록킹부(23p)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공간 열림 방지장치.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바(29f)의 타단부에는 폭방향으로 개방되어 상기 승강부재(23m)를 그 내부에 수용하는 끼움공간(29k)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공간(29k)의 내측에는 상기 록킹부(23p)의 걸림턱(23q)에 걸리도록 이루어진 걸림부(29j)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공간 열림 방지장치.
-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케이스(29c)는, 상기 회동바(29f)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회동축(29n)이 구비되어 있는 하부케이스편(29a)과, 상기 하부케이스편(29a)의 상부에 결합하며 그 중앙부에 버튼설치구멍(29m)을 갖는 상부케이스편(29b)으로 이루어지고 ;
상기 상부케이스편(29b)의 버튼설치구멍(29m)에는 상기 회동바(29f)의 일단부를 회동축으로 지지하는 고정버튼(29e)이 장착되는 것 ;
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공간 열림 방지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68880A KR101682605B1 (ko) | 2015-05-18 | 2015-05-18 | 수납공간 열림 방지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68880A KR101682605B1 (ko) | 2015-05-18 | 2015-05-18 | 수납공간 열림 방지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35501A KR20160135501A (ko) | 2016-11-28 |
KR101682605B1 true KR101682605B1 (ko) | 2016-12-06 |
Family
ID=57576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68880A KR101682605B1 (ko) | 2015-05-18 | 2015-05-18 | 수납공간 열림 방지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82605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648678B (zh) * | 2020-05-21 | 2024-07-02 | 益阳科力远电池有限责任公司 | 适用不同厚度共享移动电源的锁止与弹出机构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145009A (ja) * | 2000-11-17 | 2002-05-22 | Ashimori Ind Co Ltd | バックル装置 |
JP2004360192A (ja) | 2003-06-02 | 2004-12-24 | Nitomuzu:Kk | 扉開き防止装置 |
JP2006063720A (ja) * | 2004-08-30 | 2006-03-09 | Richell Corp | 扉開放防止具 |
JP2008069532A (ja) * | 2006-09-13 | 2008-03-27 | S K Koki:Kk | 扉の開放防止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87090Y1 (ko) | 2002-06-04 | 2002-08-27 | (주)광성 | 도어 잠금장치 |
-
2015
- 2015-05-18 KR KR1020150068880A patent/KR10168260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145009A (ja) * | 2000-11-17 | 2002-05-22 | Ashimori Ind Co Ltd | バックル装置 |
JP2004360192A (ja) | 2003-06-02 | 2004-12-24 | Nitomuzu:Kk | 扉開き防止装置 |
JP2006063720A (ja) * | 2004-08-30 | 2006-03-09 | Richell Corp | 扉開放防止具 |
JP2008069532A (ja) * | 2006-09-13 | 2008-03-27 | S K Koki:Kk | 扉の開放防止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35501A (ko) | 2016-11-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970656C (en) | Container for receving multiple flexible bag assemblies | |
US10208510B1 (en) | Integral positive unlock device for drawer and cabinet safety locks | |
US5823649A (en) | Drawer slide child lock | |
AU2007235035A1 (en) | Container with sealable lid | |
KR101682605B1 (ko) | 수납공간 열림 방지장치 | |
US10030419B2 (en) | Fire door lock | |
KR101712999B1 (ko) | 수납공간 열림 방지장치 | |
KR200488276Y1 (ko) | 영유아를 위한 안전 잠금장치를 장착한 서랍장 | |
US4895401A (en) | Cabinet door fastener | |
US20120126676A1 (en) | Hands free waste container | |
US20210330080A1 (en) | Household appliance and guide rail assembly | |
CN114059853A (zh) | 用于滑动窗或门的儿童锁 | |
CA2699128A1 (en) | Lateral file drawer and anti-tip device | |
US7694357B2 (en) | Safety bar for a bathtub | |
KR200428963Y1 (ko) | 소형 수제금고의 서랍개폐장치 | |
CN211722827U (zh) | 烹饪器具 | |
KR20150076563A (ko) | 가구용 영유아안전잠금장치 | |
KR100810525B1 (ko) | 도어 고정장치 | |
KR102116018B1 (ko) | 가구용 하부경첩 | |
CN218773342U (zh) | 一种气溶胶生成制品的按压式提取结构及气溶胶生成装置 | |
EP3390752B1 (en) | Piece of furniture with improved handle | |
AU2015100018A4 (en) | Locking device for two-way travel drawer | |
JP2000316653A (ja) | 把 手 | |
US9330857B2 (en) | Switch and switch operator assembly with safety mechanism | |
JP3021095U (ja) | 回転扉内収納物の落下防止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