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1911B1 - 오염수로부터 슬러지를 분리 배출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오염수로부터 슬러지를 분리 배출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1911B1
KR101681911B1 KR1020160023790A KR20160023790A KR101681911B1 KR 101681911 B1 KR101681911 B1 KR 101681911B1 KR 1020160023790 A KR1020160023790 A KR 1020160023790A KR 20160023790 A KR20160023790 A KR 20160023790A KR 101681911 B1 KR101681911 B1 KR 1016819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contaminated water
tank
water supply
inclined bott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3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광석
Original Assignee
문광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광석 filed Critical 문광석
Priority to KR1020160023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19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1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19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6Separation of sediment aided by centrifugal force or centripetal force
    • B01D21/265Separation of sediment aided by centrifugal force or centripetal force by using a vortex inducer or vortex guide, e.g. co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06Settling tanks provided with means for cleaning and mainten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1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using flocculat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 B01D21/2472Means for fluidising the sediments, e.g. by jets or mechanical agit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8Mechanical auxiliary equipment for acceleration of sedimentation, e.g. by vibrato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4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with addition of chemical agent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오염수로부터 슬러지를 분리 배출하기 위한 장치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측벽과, 상기 원기둥 형상의 측벽의 하부에 결합되며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바닥부와, 상기 경사바닥부의 하부 중심에 형성되는 슬러지배출부를 포함하는 탱크부재와, 상기 탱크부재 내부로 오염수를 공급하기 위한 오염수공급부재와, 상기 탱크부재의 중심부에 배치되며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탱크부재의 외면에는 원형의 보강부가 접합되고, 상기 탱크부재에는 상기 탱크부재 내부에 쌓인 슬러지에 물을 분사하기 위한 물분사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오염수공급부재는 상기 탱크부재와 완충부재를 가로질러 배치되되, 상기 오염수공급부재의 유출부는 상기 완충부재의 내면을 향하도록 굽혀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침전조 내부에 형성되는 와류에 의해 밀도가 높은 슬러지와 낮은 슬러지를 보다 신속히 분리할 수 있어, 오염수 처리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침전조 내부의 모서리부에 쌓이는 슬러지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오염수로부터 슬러지를 분리 배출하기 위한 장치{APPARATUS FOR SEPERATING AND DISCHARGING SLUDGE FROM CONTAMINATED WATER}
본 발명은 오염수로부터 슬러지를 분리하여 배출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밀도가 높은 슬러지와 낮은 슬러지를 보다 신속히 분류하며, 장치 내부에 적체되는 슬러지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오염수로부터 슬러지를 분리 배출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건설 폐기물의 처리 과정에서는 물과 폐기물이 혼합된 오염수가 발생되며, 상기와 같은 오염수에 대한 수처리 공정은 오염수 내의 슬러지를 응집 및 침전시키고 나머지의 물들을 여과 처리하는 방식이 이용된다.
상기와 같은 오염수 처리공정에서는 슬러지의 응집을 위한 응집제가 오염수로 투입되며, 상기 응집제가 슬러지와 반응하여 침전된다.
도 1 은 종래 오염수로부터 슬러지를 분리 배출하기 위한 장치의 사시도이다.
상기 장치는 오염수를 유입하기 위한 관(150)을 통해 침전조(100) 내부로 오염수를 유입하며, 이때 침전조 내부로는 응집제가 투여된다.
그리하여, 상기 응집제와 슬러지가 반응하여 침전되며, 침전된 슬러지들은 배출구(130)를 통해 배출되고 밀도가 낮은 부유물질들은 부상하여 배출관(160)을 통해 별도 배출된다.
이때, 상기 침전조(100) 내부로 유입되는 오염수를 내부의 원기둥 형상 완충부(140) 벽에 부딪히도록 함으로써, 유입되는 오염수의 운동에너지를 감소시켜 슬러지가 용이하게 침전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슬러지 분리 배출 장치에서는, 밀도가 높은 슬러지와 낮은 슬러지가 함께 상기 완충부(140)의 벽에 부딪힌 이후 침전조 바닥(120)으로 낙하되는데, 이러한 점은 결국 밀도가 낮은 슬러지가 밀도가 높은 슬러지와 엉겨붙은 상태가 오래 지속되도록 하며, 따라서 오염수의 처리에 장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상기 침전조(100)에서는 침전조의 측벽과 바닥부(120) 사이의 경계부에 슬러지반응물(200)들이 쌓이게 되는데, 상기 경계부에 쌓인 슬러지반응물(200)는 상기 침전조(100) 내부에 설치되는 사다리(110)를 이용하여 관리자가 침전조 내부로 들어간 상태에서 이를 직접 제거해야 하는데, 특히 날씨가 추운 겨울의 경우 쌓여진 슬러지반응물이 얼게 되어 상기와 같은 제거 작업은 매우 번거로운 작업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침전조 내부에 와류를 형성함으로써 밀도가 높은 슬러지와 낮은 슬러지의 분리 효율을 높이도록 구성되는 슬러지 분리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침전조 내부의 모서리부에 쌓이는 슬러지를 용이하게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슬러지 분리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오염수로부터 슬러지를 분리 배출하기 위한 장치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측벽과, 상기 원기둥 형상의 측벽의 하부에 결합되며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바닥부와, 상기 경사바닥부의 하부 중심에 형성되는 슬러지배출부를 포함하는 탱크부재와, 상기 탱크부재 내부로 오염수를 공급하기 위한 오염수공급부재와, 상기 탱크부재의 중심부에 배치되며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탱크부재의 외면에는 원형의 보강부가 접합되고, 상기 탱크부재에는 상기 탱크부재 내부에 쌓인 슬러지에 물을 분사하기 위한 물분사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오염수공급부재는 상기 탱크부재와 완충부재를 가로질러 배치되되, 상기 오염수공급부재의 유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오염수가 상기 완충부재 내면을 따라 유동되도록 상기 유출부는 상기 완충부재의 내면을 향하도록 굽혀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탱크부재 상부에는 부유물을 분리 배출하기 위한 부유물배출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부유물배출부재는 상기 완충부재와 탱크부재를 가로질러 설치되되, 상기 부유물배출부재는 제 1 격벽과 제 2 격벽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격벽에는 요철부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물분사부재는 상기 경사바닥부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원기둥 형상의 상기 완충부재에서 원주 방향 일측이 개방되며, 개방된 일측의 일단부는 상기 개방된 일측의 타단부보다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오염수공급부재의 단부는 상기 개방된 일측의 타단부에 접하여 설치되어, 상기 오염수공급부재의 단부로부터 배출된 오염수가 상기 완충부재의 내면을 따라 유동된 이후 상기 개방된 일측을 통해 탱크부재 내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완충부재의 하부에는 상기 경사바닥부를 향해 경사지게 돌출 형성된 제 2 경사바닥부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 경사바닥부는 측단면 상 만곡된 곡선의 형태로 아래를 향할수록 방사상 외부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물분사부재는 상기 측벽과 경사바닥부가 만나는 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물분사부재는 상기 제 2 경사바닥부와 완충부재의 상부가 만나는 경계 부분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바닥부와 측벽이 만나는 부분의 상부에는 상기 경사바닥부가 기울어진 각도보다 큰 각도로 기울어져 설치되는 슬러지적체방지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물분사부재는 상기 슬러지적체방지부재와 측벽이 만나는 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물분사부재는 상기 제 2 경사바닥부와 완충부재의 상부가 만나는 부분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물분사부재는 상기 완충부재의 접선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개방된 일측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의 반경 방향 폭은 상기 오염수공급부재의 유입부 직경과 가공오차 범위 이내에서 동일하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염수공급부재의 유입부 직경은 상기 오염수공급부재의 단부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물분사부재에 압력을 제공하기 위한 물공급펌프는 상기 물분사부재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물공급펌프는 상기 오염수공급부재의 유입부가 배치되는 높이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의해, 침전조 내부에 형성되는 와류에 의해 밀도가 높은 슬러지와 낮은 슬러지를 보다 신속히 분리할 수 있어, 오염수 처리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침전조 내부의 모서리부에 쌓이는 슬러지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첨부의 하기 도면들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도면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은 종래 오염수로부터 슬러지를 분리 배출하기 위한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오염수로부터 슬러지를 분리 배출하기 위한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 은 상기 장치에 포함되는 오염수공급부재와 완충부재의 평면도이며,
도 4 는 상기 장치에 포함되는 부유물배출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5 는 상기 장치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의 오염수공급부재와 완충부재의 평면도이며,
도 6 은 상기 슬러지 분리배출장치의 측단면도이며,
도 7 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슬러지 분리배출장치의 측단면도이며,
도 8 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분리배출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9 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분리배출장치의 측단면도이며,
도 10 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분리배출장치의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은 종래 오염수로부터 슬러지를 분리 배출하기 위한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오염수로부터 슬러지를 분리 배출하기 위한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 은 상기 장치에 포함되는 오염수공급부재와 완충부재의 평면도이며, 도 4 는 상기 장치에 포함되는 부유물배출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5 는 상기 장치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의 오염수공급부재와 완충부재의 평면도이며, 도 6 은 상기 슬러지 분리배출장치의 측단면도이며, 도 7 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슬러지 분리배출장치의 측단면도이며, 도 8 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분리배출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9 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분리배출장치의 측단면도이며, 도 10 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분리배출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2 와 3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오염수로부터 슬러지를 분리 배출하기 위한 장치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측벽(8)과, 상기 원기둥 형상의 측벽(8)의 하부에 결합되며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바닥부(20)와, 상기 경사바닥부(20)의 하부 중심에 형성되는 슬러지배출부(30)를 포함하는 탱크부재(10)와, 상기 탱크부재(10) 내부로 오염수를 공급하기 위한 오염수공급부재(40)와, 상기 탱크부재(10)의 중심부에 배치되며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완충부재(50)를 포함하며, 상기 탱크부재(10)의 외면에는 원형의 보강부(12)가 접합되고, 상기 탱크부재(10)에는 상기 탱크부재(10) 내부에 쌓인 슬러지에 물을 분사하기 위한 물분사부재(62, 64, 66, 68)가 설치되며, 상기 오염수공급부재(40)는 상기 탱크부재(10)와 완충부재(50)를 가로질러 배치되되, 상기 오염수공급부재(40)의 유출부(42)를 통해 배출되는 오염수가 상기 완충부재(50) 내면을 따라 유동되도록 상기 유출부(42)는 상기 완충부재의 내면을 향하도록 굽혀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탱크부재(10)는 금속재 강판을 이용하여 형성되며, 내부에 수용되는 오염수에 대한 지지강도를 보강을 위해 탱크부재(10)의 외면에는 보강부(12)가 설치된다.
슬러지를 포함하는 오염수는 상기 오염수공급부재(40)의 유입부(41)를 통해 유입되고 유출부(42)를 통해 유출되어 상기 완충부재(50)의 내면에 부딪힌다.
이때, 도 3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완충부재(50)의 내면을 따라 오염수가 유동되도록 상기 유출부(42)는 완충부재(50)의 내면을 향해 구부려져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유입부(41) 관의 직경을 PD1 이라 하고, 유출부(42) 관의 직경을 PD2 라 할때, 상기 유입부(41) 관의 직경을 유출부(42) 관의 직경보다 크게 함으로써, 상기 유출부(42)를 통해 유출되는 오염수가 보다 빠른 속도로 완충부재(50)의 내면에 부딪히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유출부(42)가 완충부재(50)의 내면을 향해 굽혀 형성되므로, 상기 유출부(42)를 통해 유출된 오염수에 의해 와류가 생성되고, 이러한 와류에 의해 밀도가 높은 슬러지는 응집제와 응집된 상태에서 아래로 가라앉고, 밀도가 낮은 슬러지는 부유된다.
슬러지가 혼합된 오염수에 와류를 일으키지 않을 경우에는 단지 중력만이 작용되므로, 밀도가 높은 슬러지는 서서히 가라앉고 밀도가 낮은 슬러지는 서서히 상부로 이동된다.
상기와 같이 밀도차가 나는 물질이 중력에 의해 침전 분리되며, 이때 인위적으로 중력을 강하게 해주는 경우에는 침전 현상의 속도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중력을 강하게 해주는 대신 오염수에 와류를 일으켜 와류에 의한 원심력을 오염수에 가함으로써, 슬러지의 침전 속도를 높일 수 있다.
여기서, 보다 강하게 와류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유입부(41)의 직경(PD1)을 유출부(42)의 직경(PD2)보다 크게 하고, 상기 유출부(42)를 통해 배출되는 오염수가 상기 완충부재(50)의 내면을 따라 회전 유동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유출부(42)를 통해 상기 완충부재(50)의 외면에 오염수를 배출하는 경우에는, 완충부재(50)의 내면을 따라 오염수를 배출하는 경우에 비해, 오염수가 회전되는 와류 형성력이 약해지고 대신 상기 완충부재(50)로부터 반사되는 직선적인 운동성분이 보다 강해진다.
따라서, 상기 유출부(42)를 통해 유출되는 오염수의 운동에너지를 보다 강한 회전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상기 완충부재(50)의 내면을 따라 오염수가 유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오염수의 회전에 의해 밀도가 낮은 슬러지 반응물들은 상부로 부유되며, 이와 같이 수면으로 부유되는 부유물들은 상기 부유물배출부재(70)를 통해 배출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5 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완충부재(50)에서 원주 방향 일측이 개방되며, 개방된 일측의 일단부(59)는 상기 개방된 일측의 타단부(57) 보다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유출부(42)를 통해 배출된 오염수가 상기 완충부재(50)의 내면을 따라 유동된 이후 상기 개방된 측부를 통해 탱크부재(10)의 내부 공간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탱크부재(10) 내부에서의 와류 형성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상기 개방된 일측의 일단부(59)와 타단부(57) 사이의 반경 방향 폭(WT)은 상기 오염수공급부재의 유입부(41) 직경(PD1)과 가공오차 범위 이내에서 동일하게 형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유출부(42)를 통해 유출된 오염수가 상기 개방된 일측의 일단부(59)와 타단부(57) 사이의 공간을 통해 원활히 탱크부재(10) 내부 공간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부유물배출부재(70)는 상기 탱크부재(10)의 상부에서 상기 완충부재(50)와 탱크부재의 측벽(8)을 가로질러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부유물배출부재(70)는 제 1 격벽(72)과 제 2 격벽(74) 및 바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격벽(74)에는 산과 골을 포함하는 요철부(75)가 형성된다.
그리하여, 수면으로 부유되는 밀도가 낮은 슬러지 반응물들은 상기 요철부(75)의 골부분으로 배출된다.
한편, 도 8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물분사부재(62, 64, 66, 68)는 상기 경사바닥부(20)와 측벽이 만나는 경계부분(15)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 설치된다.
비록, 도 2 에서는 물공급펌프(90)에 하나의 물분사부재(62)가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호스에 의해 나머지 물분사부재(64, 66, 68)들에도 상기 물공급펌프(90)가 연결된다.
상기 탱크부재(10) 내부에서 상기 측벽과 경사바닥부(20)가 만나는 경계부분(15)에 슬러지가 적체되며, 따라서 상기 경계부분(15)에 물을 분사하기 위한 노즐들을 설치함으로써, 물공급펌프(90)를 통해 물을 공급하여 적체된 슬러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물공급펌프(90)를 통해 공급되는 물의 분사력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상기 물공급펌프(90)는 대략 상기 오염수공급부재(40)가 배치되는 높이 정도에 배치된다.
그리하여, 상기 물공급펌프(90)를 통해 공급되는 물의 위치에너지가 분사 운동에너지로 변환되도록 함으로써, 물의 분사력을 강화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완충부재(50)의 하부에 상기 경사바닥부(20)를 향해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는 제 2 경사바닥부(54)가 설치될 수 있다.
슬러지가 응집제와 반응하여 형성되는 반응물 중에서 금속재 강판으로 형성되는 상기 탱크부재(10)에 부착되는 성질을 강하게 갖는 반응물이 존재하는데, 이러한 강한 부착성을 갖는 반응물이 상기 경사바닥부와 탱크부재(10)의 측벽 사이의 경계부분(15)에 주로 적체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강한 부착성을 갖는 반응물을 상기 완충부재(50)의 상부(52)와 제 2 경사바닥부(54)가 만나는 경계부분(53)으로 분산 적체되도록 하고, 상기 경계부분(53)으로 물분사부재(62, 64, 66, 68)를 통해 물을 강하게 분사함으로써, 상기 경계부분(15, 53)들에 적체되는 슬러지 반응물을 보다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6 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물분사부재(62, 64, 66, 68)는 탱크부재(10)의 측벽과 경사바닥부(20)가 만나는 부분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경사바닥부(54)와 완충부재의 상부(52)가 만나는 경계부분(53)을 향해 물을 분사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도 7 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경사바닥부(20)와 측벽(8)이 만나는 부분의 상부에 상기 경사바닥부(20)가 기울어진 각도(a1)보다 큰 각도(a2)로 기울어져 설치되는 슬러지적체방지부재(80)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경사바닥부(20)에 비해 큰 각도(a2)로 기울어져 설치되는 상기 슬러지적체방지부재(80)에 의해 상기 경사바닥부(20)와 측벽(80)이 만나는 경계부분으로 슬러지 반응물이 적체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슬러지적체방지부재(80)와 측벽(8)이 만나는 경계부분에 상기 물분사부재(62, 64, 66, 68)들이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경사바닥부(54)와 완충부재의 상부(52)가 만나는 경계부분(53)으로 물을 분사하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물분사부재(62, 64, 66, 68)가 도 6 에 도시된 실시예에 비해 보다 높은 위치에서 급격한 각도로 물을 분사함으로써, 적체된 슬러지 반응물에 보다 강한 분사압력을 가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에서 상기 물분사부재(62, 64, 66, 68)는 도 8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완충부재(50)의 접선 방향으로 물을 분사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물분사부재(62, 64, 66, 68)들은 상기 완충부재의 상부(52)와 제 2 경사바닥부(54)가 만나는 경계부분에 대해 접선 방향으로 물을 분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제한된 갯수의 물분사부재들로써 원형 단면으로 형성되는 상기 완충부재(50)의 원주 방향을 따르는 보다 넓은 범위로 물이 분사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 9 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6 에 도시된 실시예의 변형 예로서, 상기 제 2 경사바닥부(54)는 측단면 상 만곡된 곡선의 형태로 아래를 향할수록 방사상 외부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도 10 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7 에 도시된 실시예의 변형 예로서, 상기 제 2 경사바닥부(54)는 측단면 상 만곡된 곡선의 형태로 아래를 향할수록 방사상 외부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도 9 및 10 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2 경사바닥부(54)가 측단면 상 부드러운 곡선의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제 2 경사바닥부(54)와 완충부재의 상부(52)가 만나는 부분에 슬러지 반응물이 적체되는 현상을 감소시키고, 또한 적체된 슬러지 반응물이 상기 물분사부재들에 의해 보다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0: 탱크부재
20: 경사바닥부
30: 슬러지배출부
40: 오염수공급부재
50: 완충부재
62, 64, 66, 68: 물분사부재

Claims (15)

  1.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측벽과,
    상기 원기둥 형상의 측벽의 하부에 결합되며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바닥부와,
    상기 경사바닥부의 하부 중심에 형성되는 슬러지배출부를 포함하는 탱크부재와;
    상기 탱크부재 내부로 오염수를 공급하기 위한 오염수공급부재와;
    상기 탱크부재의 중심부에 배치되며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탱크부재의 외면에는 원형의 보강부가 접합되고,
    상기 탱크부재에는 상기 탱크부재 내부에 쌓인 슬러지에 물을 분사하기 위한 물분사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오염수공급부재는 상기 탱크부재와 완충부재를 가로질러 배치되되, 상기 오염수공급부재의 유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오염수가 상기 완충부재 내면을 따라 유동되도록 상기 유출부는 상기 완충부재의 내면을 향하도록 굽혀져 형성되며,
    원기둥 형상의 상기 완충부재에서 원주 방향 일측이 개방되며, 개방된 일측의 일단부는 상기 개방된 일측의 타단부보다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수로부터 슬러지를 분리 배출하기 위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부재 상부에는 부유물을 분리 배출하기 위한 부유물배출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부유물배출부재는 상기 완충부재와 탱크부재를 가로질러 설치되되,
    상기 부유물배출부재는 제 1 격벽과 제 2 격벽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격벽에는 요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수로부터 슬러지를 분리 배출하기 위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분사부재는 상기 경사바닥부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수로부터 슬러지를 분리 배출하기 위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수공급부재의 단부는 상기 개방된 일측의 타단부에 접하여 설치되어, 상기 오염수공급부재의 단부로부터 배출된 오염수가 상기 완충부재의 내면을 따라 유동된 이후 상기 개방된 일측을 통해 탱크부재 내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수로부터 슬러지를 분리 배출하기 위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의 하부에는 상기 경사바닥부를 향해 경사지게 돌출 형성된 제 2 경사바닥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수로부터 슬러지를 분리 배출하기 위한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물분사부재는 상기 측벽과 경사바닥부가 만나는 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물분사부재는 상기 제 2 경사바닥부와 완충부재의 상부가 만나는 부분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수로부터 슬러지를 분리 배출하기 위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바닥부와 측벽이 만나는 부분의 상부에는 상기 경사바닥부가 기울어진 각도보다 큰 각도로 기울어져 설치되는 슬러지적체방지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수로부터 슬러지를 분리 배출하기 위한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물분사부재는 상기 슬러지적체방지부재와 측벽이 만나는 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물분사부재는 상기 제 2 경사바닥부와 완충부재의 상부가 만나는 부분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수로부터 슬러지를 분리 배출하기 위한 장치.
  9. 제 5 항 또는 8 항에 있어서,
    상기 물분사부재는 상기 완충부재의 접선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수로부터 슬러지를 분리 배출하기 위한 장치.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된 일측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의 반경 방향 폭은 상기 오염수공급부재의 유입부 직경과 가공오차 범위 이내에서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수로부터 슬러지를 분리 배출하기 위한 장치.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경사바닥부는 측단면 상 만곡된 곡선의 형태로 아래를 향할수록 방사상 외부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수로부터 슬러지를 분리 배출하기 위한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수공급부재의 유입부 직경은 상기 오염수공급부재의 단부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수로부터 슬러지를 분리 배출하기 위한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분사부재에 압력을 제공하기 위한 물공급펌프는 상기 물분사부재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수로부터 슬러지를 분리 배출하기 위한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펌프는 상기 오염수공급부재의 유입부가 배치되는 높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수로부터 슬러지를 분리 배출하기 위한 장치.
  15. 삭제
KR1020160023790A 2016-02-27 2016-02-27 오염수로부터 슬러지를 분리 배출하기 위한 장치 KR1016819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3790A KR101681911B1 (ko) 2016-02-27 2016-02-27 오염수로부터 슬러지를 분리 배출하기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3790A KR101681911B1 (ko) 2016-02-27 2016-02-27 오염수로부터 슬러지를 분리 배출하기 위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1911B1 true KR101681911B1 (ko) 2016-12-02

Family

ID=57571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3790A KR101681911B1 (ko) 2016-02-27 2016-02-27 오염수로부터 슬러지를 분리 배출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191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5265A (ko) * 2018-11-30 2020-06-09 주식회사 포스코 알카리 용액 탱크의 슬러지 제거장치
KR20210128857A (ko) * 2020-04-19 2021-10-27 윤성구 조립식 침전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8135B1 (ko) * 2000-12-29 2003-04-07 중앙종합기계 주식회사 고효율 침전조
KR20060029765A (ko) * 2004-10-04 2006-04-07 한국수자원공사 정수처리용 상향류식 일체형 응집·침전장치
JP2007253134A (ja) * 2006-03-27 2007-10-04 Suido Kiko Kaisha Ltd 沈殿槽
KR20090131102A (ko) * 2008-06-17 2009-12-28 비피씨 주식회사 원형조 슬러지 수집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8135B1 (ko) * 2000-12-29 2003-04-07 중앙종합기계 주식회사 고효율 침전조
KR20060029765A (ko) * 2004-10-04 2006-04-07 한국수자원공사 정수처리용 상향류식 일체형 응집·침전장치
JP2007253134A (ja) * 2006-03-27 2007-10-04 Suido Kiko Kaisha Ltd 沈殿槽
KR20090131102A (ko) * 2008-06-17 2009-12-28 비피씨 주식회사 원형조 슬러지 수집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5265A (ko) * 2018-11-30 2020-06-09 주식회사 포스코 알카리 용액 탱크의 슬러지 제거장치
KR102163286B1 (ko) * 2018-11-30 2020-10-08 주식회사 포스코 알카리 용액 탱크의 슬러지 제거장치
KR20210128857A (ko) * 2020-04-19 2021-10-27 윤성구 조립식 침전조
KR102432027B1 (ko) * 2020-04-19 2022-08-11 윤성구 조립식 침전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730478U (zh) 一种污水处理用斜管沉淀池
JPS60255122A (ja) 分離装置
KR100883312B1 (ko) 무동력 고효율 침전조
KR101681911B1 (ko) 오염수로부터 슬러지를 분리 배출하기 위한 장치
CN103880131A (zh) 一种微涡旋高效澄清反应器的方法与装置
CN103408088A (zh) 微纳米气浮池
CN108889002A (zh) 排污设备、排污系统及排污方法
JP2023153410A (ja) 固液分離システム
USRE32312E (en) Inlet and outlet baffle structure for sewage treatment tanks
CN105289051A (zh) 一种竖流式沉淀池中心筒装置
JP2023103340A (ja) 固液分離システム
CN202700154U (zh) 用于压力式抽排水出口处的泥渣处理装置
CN204588786U (zh) 一种塔式水处理泥水分离装置
KR20180100004A (ko) 수위조절이 가능한 부유식 배출구와 선회접촉조를 이용한 원형 가압부상장치
CN207361854U (zh) 高效快速泥水分离器
CN215327063U (zh) 一种旋流气浮设备
CN107552252B (zh) 餐厨垃圾用砂浆分离设备
CN202519078U (zh) 一种新型高效的一体化反应沉淀装置
KR100772121B1 (ko) 원형 침전지
CN109603216A (zh) 一种无动力微絮凝反应沉淀池
CN109331506A (zh) 竖流沉淀池
JP2014008487A (ja) 沈砂分離装置
KR102078099B1 (ko) 선회류 침전장치
CN110876861B (zh) 卧式泥水分离器
CN210396670U (zh) 灌注桩二次清孔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