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1223B1 -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와이퍼 장치 - Google Patents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와이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1223B1
KR101681223B1 KR1020140192444A KR20140192444A KR101681223B1 KR 101681223 B1 KR101681223 B1 KR 101681223B1 KR 1020140192444 A KR1020140192444 A KR 1020140192444A KR 20140192444 A KR20140192444 A KR 20140192444A KR 101681223 B1 KR101681223 B1 KR 1016812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per
center
rail
frame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2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2845A (ko
Inventor
노유정
이상진
김경남
김근우
장영근
Original Assignee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케이비와이퍼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케이비와이퍼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92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1223B1/ko
Publication of KR20160082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28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1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1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2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resili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와이퍼 장치에 관한 것으로, 중심에 와이퍼 암과 연결되고, 하부의 와이퍼 블레이드와 연결되어 지지하는 와이퍼 프레임; 상기 와이퍼 프레임에 연결되고 중심으로부터 소정의 곡률을 갖는 탄성 재질의 레일 스프링; 및 상기 레일 스프링과 결착되고, 차량의 윈도쉴드 글래스를 닦는 러버 블레이드를 포함하되, 상기 레일 스프링은 중심 하방으로 볼록한 곡률을 갖고 상기 러버 블레이드는 중심 상방으로 볼록한 곡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종래의 가압력의 불균일 분포를 해소하고, 양 끝단부에 발생하는 비정상적인 가압력을 완화시켜 와이퍼 성능을 높이고 장치의 내구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윈드쉴드 글래스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와이퍼 장치{wiper blade assembly and wiper device using of it}
본 발명은 와이퍼 블레이드에 관한 것으로, 와이퍼 블레이드의 가압 분포를 균일하게 하고 내구성 및 윈드쉴드 글래스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와이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사용되는 와이퍼(Wiper)는 비나 눈이 올 때, 전방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동차의 윈드실드글래스(Windshield Glass)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윈드실드글래스에 묻은 비, 눈, 또는 기타 이물질을 닦아냄으로써, 운전자나 탑승자의 시계를 확보하도록 하는 세척수단이다.
상기 와이퍼의 구성은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모터부와, 일단부는 와이퍼 모터부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와이퍼블레이드에 축지되는 와이퍼 암과, 상기 와이퍼 암으로부터 동력을 받아 자동차의 윈드실드글래스 상에서 왕복 운동하여 상기 윈드실드글래스를 닦는 와이퍼블레이드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용 와이퍼블레이드장치를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도 1의 (a)) 및 단면도(도 1의 (b))이다. 도 1를 참조하여 종래기술을 설명하면, 종래의 와이퍼블레이드장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와이퍼프레임(10)과, 블레이드(20)와, 레일스프링(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와이퍼프레임(10)은 도시되지 않은 와이퍼암과 결합되어 와이퍼암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블레이드(20)가 윈드실드글래스를 닦을 수 있도록 하며, 고무로 된 상기 블레이드(20)가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블레이드(20)의 소정지점과 결합된다.
상기 와이퍼프레임(10)에는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20)와 결합되기 위한 다수개의 결합부(11)가 형성되는데, 상기 결합부(11)의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따라서, 상기 블레이드(20)는 상기 결합부(11)에 착탈되기 위해서 상기 와이퍼프레임(10)의 길이방향으로 끼워지거나 길이방향으로 이탈되어 상기 결합부(11)로부터 이탈된다.
한편, 상기 블레이드(20)는 윈드실드글래스에 직접적으로 밀착되어 윈드실들글래스를 닦는 구성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퍼프레임(10)의 결합부(11)에 결합되어 지지되면서 상기 와이퍼프레임(10)에서 전달되는 가압력에 의해 눌려서 윈드실드글래스에 밀착된다.
이때, 상기 블레이드(20)가 곡면으로 이루어진 윈드실드글래스에 견고하게 밀착되면서 상기 윈드실드글래스의 곡면과 동일한 곡률을 유지하도록 상기 블레이드(20)에는 도2에 자세하게 나타낸 바와 같은 레일스프링(30)이 설치된다. 상기 레일스프링(30)은 상기 블레이드(20)에 설치되어 상기 와이퍼프레임(10)의 결합부(11)에 함께 끼워짐으로써 상기 블레이드(20)가 상기 레일스프링(3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윈드실드글래스에 일정한 탄성력으로 밀착되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차용 와이퍼블레이드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퍼프레임(10)에서의 가압력이 상기 블레이드(20)로 직접 전달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블레이드(20)의 하중이 균일하지 못하고 상기 와이어프레임과 결합되는 블레이드(20) 부위에 국부적인 압력상승이 일어나는바, 이로 인해 와이퍼가 작동될 때 윈드실드글래스와의 밀착력 차이로 인해 소음이 발생하거나 와이퍼작동 후에 마치 무지개 형상의 닦임 불량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블레이드(20)에 가해지는 하중이 균일하지 못하기 때문에 블레이드(20) 또한 이상 마모를 일으켜 와이퍼작동 중에 블레이드(20)가 심하게 떨리는 채터링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도 2는 종래의 자동차용 와이퍼블레이드장치가 가하는 윈드쉴드 글래스의 압력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요크 지점에서 압력이 생성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양 끝단부에 다른 요크 지점보다 훨씬 높은 압력이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이는 레일 스프링이나 러버 블레이드가 중심 상부로 볼록한 구조의 형상으로, 와이퍼 암에서 누르는 중심압력과 더불어 레일 스프링의 곡률로 발생하는 탄성력에 의한 압력이 더해지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다.
이처럼 종래의 와이퍼 장치는 가압 되는 압력의 불균일 분포와 양 끝단부에 형성되는 비정상 압력으로 인해 와이퍼 장치의 내구성을 떨어뜨리고, 윈드쉴드 글래스에 손상을 가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69006호 (등록일자: 2010년07월01일)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본 발명의 과제는 종래의 가압력의 불균일 분포를 해소하고, 양 끝단부에 발생하는 비정상적인 가압력을 완화시켜 장치의 내구성을 높이고, 윈드쉴드 글래스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 및 와이퍼 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중심에 와이퍼 암과 연결되고, 하부의 와이퍼 블레이드와 연결되어 지지하는 와이퍼 프레임; 상기 와이퍼 프레임에 연결되고 중심으로부터 소정의 곡률을 갖는 탄성 재질의 레일 스프링; 및 상기 레일 스프링과 결착되고, 차량의 윈도쉴드 글래스를 닦는 러버 블레이드를 포함하되, 상기 레일 스프링은 중심 하방으로 볼록한 곡률을 갖고 상기 러버 블레이드는 중심 상방으로 볼록한 곡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와이퍼 프레임은 와이퍼암과 중심에서 연결되는 제1 연결 프레임과 제1 연결 프레임 양쪽에 연결되는 제2 연결 프레임과 제2 연결 프레임 양 끝단에 연결되는 요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레일 스프링은, 상기 제1 연결 프레임 양쪽에 연결되는 제2 연결 프레임 각각에 연결된 2개의 요크에 연결되는 2개의 레일 스프링으로 구성하되, 상기 제2 연결프레임 중심 하방으로 볼록한 곡률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레일 스프링은, 2개의 상기 제2 연결 프레임 양 끝단에 연결된 요크에 연결되는 4개의 레일 스프링으로 구성하되, 상기 각 요크 중심 하방으로 볼록한 곡률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2개의 레일 스프링이 서로 연결되어 일체화된 것일 수 있고, 상기 4개의 레일 스프링이 서로 연결되어 일체화된 것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 특징은, 와이퍼 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윈드쉴드 글래스 하단 중심에 고정된 헤드; 상기 헤드에서 연장되는 것으로, 와이퍼 스프링이 구비되어 와이퍼 블레이드에 스프링력을 전달하는 와이퍼 암; 중심에 상기 와이퍼 암의 끝단에 커넥터로 연결되고, 하부의 와이퍼 블레이드와 연결되어 지지하는 와이퍼 프레임; 상기 와이퍼 프레임에 연결되고 중심으로부터 소정의 곡률을 갖는 탄성 재질의 레일 스프링; 및 상기 레일 스프링과 결착되고, 차량의 윈도쉴드 글래스를 닦는 러버 블레이드를 포함하되, 상기 레일 스프링은 중심 하방으로 볼록한 곡률을 갖고 상기 러버 블레이드는 중심 상방으로 볼록한 곡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와이퍼 프레임은 양쪽 끝단부에 연결되는 제1 연결 프레임과 제1 연결 프레임 양쪽에 연결되는 제2 연결 프레임과 제2 연결 프레임 양 끝단에 연결되는 요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레일 스프링은, 상기 제1 연결 프레임 양쪽에 연결되는 제2 연결 프레임 각각에 연결된 2개의 요크에 연결되는 2개의 레일 스프링으로 구성하되, 상기 제2 연결프레임 중심 하방으로 볼록한 곡률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레일 스프링은, 2개의 상기 제2 연결 프레임 양 끝단에 연결된 요크에 연결되는 4개의 레일 스프링으로 구성하되, 상기 각 요크 중심 하방으로 볼록한 곡률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종래의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와 달리, 레일 스프링이 중심 하방으로 볼록한 곡률을 갖는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가압력의 불균일 분포를 해소하고, 양 끝단부에 발생하는 비정상적인 가압력을 완화시켜 와이퍼 성능을 높이고 장치의 내구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윈드쉴드 글래스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용 와이퍼블레이드장치를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도 1의 (a)) 및 단면도(도 1의 (b))이고,
도 2는 종래의 자동차용 와이퍼블레이드장치가 가하는 윈드쉴드 글래스의 압력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 결합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 가하는 윈드쉴드 글래스의 압력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 결합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와이퍼 플레이드 장치에 사용되는 레일 스프링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통해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이란 표현은 전후에 나열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하는"으로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소자 및 장치의 존재 또는 추가를 의미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 결합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는, 중심에 와이퍼 암과 연결되고, 하부의 와이퍼 블레이드와 연결되어 지지하는 와이퍼 프레임(100); 상기 와이퍼 프레임(100)에 연결되고 중심으로부터 소정의 곡률을 갖는 탄성 재질의 레일 스프링(200); 및 상기 레일 스프링(200)과 결착되고, 차량의 윈도쉴드 글래스를 닦는 러버 블레이드(300)를 포함하되, 상기 레일 스프링(200)은 중심 하방으로 볼록한 곡률을 갖고, 상기 러버 블레이드(300)는 중심 상방으로 볼록한 곡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는 종래의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와 달리, 상기 레일 스프링(200)이 결착되는 러버 블레이드(300)는 중심 상방으로 볼록한 곡률을 가지는 반면에, 레일 스프링(200)은 중심 하방으로 볼록한 곡률을 갖는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가압력의 불균일 분포를 해소하고, 양 끝단부에 발생하는 비정상적인 가압력을 완화시켜 장치의 내구성을 높이고, 윈드쉴드 글래스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를 제공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와이퍼 프레임(100)은 와이퍼 암에 연결되고 하부의 와이퍼 블레이드를 연결하는 연결 어셈블리이다. 즉, 와이퍼 프레임(100)은 와이퍼암과 중심에서 연결되는 제1 연결 프레임(130)과 제1 연결 프레임(130) 양쪽에 연결되는 제2 연결 프레임(150)과 제2 연결 프레임(150) 양 끝단에 연결되는 요크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 연결 프레임(130)은 중심에서 와이퍼 암과 커넥터를 통해 연결되고, 양 끝단부에 제2 연결프레임을 연결하기 위한 체결 구조를 형성한다. 그리고 다시, 상기 제1 연결 프레임(130)의 양쪽 끝단부에 각각의 제2 연결 프레임(150)의 중심에 체결하여 연결한다.
제2 연결 프레임(150)의 양 끝단 각각에 요크를 연결하여 4개의 요크(170)를 형성한다. 요크(170)도 중심에 제2 연결 프레임(150)에 연결하고, 양쪽 끝단에 레일 스프링(200)을 연결하는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와이퍼 암에 연결되는 제1 연결 프레임(130) 중심에서 양쪽을 단계적으로 연결되는 단계적(cascade) 프레임으로 형성하여 4개의 요크(170)를 통해 8개의 가압 지점을 형성한다. 도 3에 나타난 실시예는 단계적 프레임 구조를 예시하고 있지만, 하나의 블레이드 구조로 일체화되어 막대형 구조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4개의 각 요크(170) 양쪽 끝단을 통해 레일 스프링(200)을 연결하고, 다시 러버 블레이드(300)를 레일 스프링(200)에 연결하여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를 형성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레일 스프링(200)의 구조를 종래의 레일 스프링(200) 구조와 달리, 중심 하방으로 볼록한 곡률을 갖도록 형성하는 구조를 제안한다.
레일 스프링(200)의 하방의 볼록한 곡률 구조는 러버 블레이드(300)의 중심부가 하방의 오목한 구조(한편으로 상방의 볼록한 곡률 구조)에 대응되어 가압력을 상쇄시키고 양 끝단부에 비정상적으로 크게 나타나는 가압력을 완화하여 전체적으로 균일한 압력으로 분산시켜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중심 하방으로 볼록한 곡률 구조를 갖는 레일 스프링(200)을 사용함으로써, 블레이드 길이 방향의 가압력을 일정부분 제어할 수 있고, 종래의 와이퍼 장치의 작동시 발생하는 가속도의 영향으로 곡률 변화가 큰 윈드쉴드 글래스에서 닦임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큰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 가하는 윈드쉴드 글래스의 압력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요크 지점에서 압력이 생성되는 것을 알 수 있고, 양 끝단부에 다른 요크 지점의 압력이 다른 요크 지점의 압력과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종래의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에서 양 끝단부에 비정상적 크게 나타나는 가압력이 완화되거나 상쇄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요크 지점의 가압점이 러버 블레이드(300)(R2500, R300, R3500)의 종류에 따라 양쪽 끝단으로 미세하게 이동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러버 블레이드(300)의 구조 및 형상에 따라 보다 정밀하게 압력분포를 균일하고 정밀하게 제어가능함을 의미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 결합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와이퍼 플레이드 장치에 사용되는 레일 스프링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 3의 실시예와 달리, 레일 스프링(230)이 제1 연결 프레임(130) 양쪽에 연결된 각 2개의 요크(170)와 연결되는 2개의 분리된 레일 스프링(230)으로 구성하되, 각 레일 스프링(230)은 중심 하방으로 볼록한 곡률을 갖는 구조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레일 스프링(230)의 구조는 양쪽의 제2 연결 프레임(150) 각각에 체결된 2개의 요크(170)에 레일 스프링(230)을 각각 체결함으로써 보다 탄력적이 레일 스프링(230)을 형성하고 요크 지점의 압력을 분산시켜 보다 균일한 분포압을 형성하기 위한 구조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레일 스피링 구조는 와이퍼 프레임(100) 구조와 요크(170)의 구조에 기인하는 분균일한 분포압을 2개의 볼록한 곡률을 갖는 레일 스프링(230)으로 형성하여 균일한 분포압으로 유도하는 구조를 제안한다.
그리고 도 6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 5의 실시예와 달리, 제2 연결 프레임(150)에 체결된 4개의 요크(170) 각각에 중심 하방으로 볼록한 곡률을 갖는 4개의 분리된 레일 스프링(250)으로 형성하는 구조를 제안한다. 이와 같은 레일 스프링(250) 구조는 각각의 요크 지점에서 발생하는 가압력을 각각의 볼록한 곡률을 갖는 레일 스프링(250)에 의해 분산시키고 완화시켜 보다 균일한 분포압을 형성하도록 유도한다.
이처럼, 도 5 및 도 6에 예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는 하나의 단일 레일 스프링(200) 구조와 달리 각각의 요크에 볼록한 곡률을 갖는 레일 스프링(250)을 체결하거나 2개씩 짝을 이루어 2개의 분리된 레일 스프링(230)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와이퍼 프레임(100)과 요크(170)에 기인하는 특정 지점의 가압력을 분산시키고 보다 균일한 분포압을 형성할 수 있는 개선된 구조를 제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에 적용되는 레일 스프링(200)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의 (a)는 도 5에서 예시된 분리된 2개의 레일 스프링(260) 구조를 연결하여 하나의 레일 스프링(260) 구조를 나타내고, 도 7의 (b)는 도 6에서 예시된 분리된 4개의 레일 스프링(270) 구조를 연결하여 하나의 레일 스프링(270) 구조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구조는, 도 5 및 도 6에서 예시한 분리된 레일 스프링(230,250) 구조에서 나타나는 체결의 어려움 또는 구조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는 단점을 개선한 구조로서, 각 요크 지점에 발생하는 가압력을 분산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다수개의 볼록한 곡률구조를 형성하여 균일한 분포압을 유도하고 단일한 레일 스프링(260,270)구조를 통해 구조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가 적용되는 와이퍼 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즉, 차량의 윈드쉴드 글래스 하단 중심에 고정된 헤드; 상기 헤드에서 연장되는 것으로, 와이퍼 스프링이 구비되어 와이퍼 블레이드에 스프링력을 전달하는 와이퍼 암; 중심에 상기 와이퍼 암의 끝단에 커넥터로 연결되고, 하부의 와이퍼 블레이드와 연결되어 지지하는 와이퍼 프레임(100); 상기 와이퍼 프레임(100)에 연결되고 중심으로부터 소정의 곡률을 갖는 탄성 재질의 레일 스프링(200); 및 상기 레일 스프링(200)과 결착되고, 차량의 윈도쉴드 글래스를 닦는 러버 블레이드(300)를 포함하되, 상기 레일 스프링(200)은 중심 하방으로 볼록한 곡률을 갖고 상기 러버 블레이드(300)는 중심 상방으로 볼록한 곡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도시하지 않음) 여기서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는 도 3 내지 제7에서 예시된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가 동일한 것이어서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장치는 윈드 쉴드 글래스에 형성하는 와이퍼의 분포압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키고 완화하여 균일한 분포압을 형성시키고, 균일한 분포압에 따른 닦임성능 및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양질의 차량용 와이퍼 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 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와이퍼 프레임, 130: 제1 연결 프레임, 150: 제2 연결 프레임, 170: 요크, 200,230,250,260,270: 레일 스프링, 300: 러버 블레이드

Claims (10)

  1. 와이퍼 암과 연결되고, 상기 와이퍼암과 중심에서 연결되는 제1 연결 프레임과 상기 제1 연결 프레임 양쪽에 연결되는 제2 연결 프레임과 상기 제2 연결 프레임 양 끝단에 연결되는 요크로 구성되는 와이퍼 프레임;
    상기 와이퍼 프레임에 연결되고 중심으로부터 소정의 곡률을 갖는 탄성 재질의 레일 스프링; 및
    상기 레일 스프링과 결착되고, 차량의 윈드쉴드 글래스를 닦는 러버 블레이드를 포함하되,
    상기 레일 스프링은 중심 하방으로 볼록한 곡률을 갖고 상기 러버 블레이드는 중심 상방으로 볼록한 곡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스프링은,
    상기 제1 연결 프레임 양쪽에 연결되는 제2 연결 프레임 각각에 연결된 2개의 요크에 연결되는 2개의 레일 스프링으로 구성하되,
    상기 제2 연결프레임 중심 하방으로 볼록한 곡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스프링은,
    2개의 상기 제2 연결 프레임 양 끝단에 연결된 요크에 연결되는 4개의 레일 스프링으로 구성하되,
    상기 각 요크 중심 하방으로 볼록한 곡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레일 스프링이 서로 연결되어 일체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4개의 레일 스프링이 서로 연결되어 일체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
  6. 차량의 윈드쉴드 글래스 하단 중심에 고정된 헤드;
    상기 헤드에서 연장되는 것으로, 와이퍼 스프링이 구비되어 와이퍼 블레이드에 스프링력을 전달하는 와이퍼 암;
    중심에 상기 와이퍼 암의 끝단에 커넥터로 연결되고, 양쪽 끝단부에 연결되는 제1 연결 프레임과 상기 제1 연결 프레임 양쪽에 연결되는 제2 연결 프레임과 상기 제2 연결 프레임 양 끝단에 연결되는 요크로 구성되는 와이퍼 프레임;
    상기 와이퍼 프레임에 연결되고 중심으로부터 소정의 곡률을 갖는 탄성 재질의 레일 스프링; 및
    상기 레일 스프링과 결착되고, 차량의 윈드쉴드 글래스를 닦는 러버 블레이드를 포함하되,
    상기 레일 스프링은 중심 하방으로 볼록한 곡률을 갖고, 상기 러버 블레이드는 중심 상방으로 볼록한 곡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스프링은,
    상기 제1 연결 프레임 양쪽에 연결되는 제2 연결 프레임 각각에 연결된 2개의 요크에 연결되는 2개의 레일 스프링으로 구성하되,
    상기 제2 연결프레임 중심 하방으로 볼록한 곡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스프링은,
    2개의 상기 제2 연결 프레임 양 끝단에 연결된 요크에 연결되는 4개의 레일 스프링으로 구성하되,
    상기 각 요크 중심 하방으로 볼록한 곡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레일 스프링이 서로 연결되어 일체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4개의 레일 스프링이 서로 연결되어 일체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
KR1020140192444A 2014-12-29 2014-12-29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와이퍼 장치 KR1016812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2444A KR101681223B1 (ko) 2014-12-29 2014-12-29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와이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2444A KR101681223B1 (ko) 2014-12-29 2014-12-29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와이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2845A KR20160082845A (ko) 2016-07-11
KR101681223B1 true KR101681223B1 (ko) 2016-12-13

Family

ID=56499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2444A KR101681223B1 (ko) 2014-12-29 2014-12-29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와이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122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7282Y1 (ko) * 2003-06-18 2003-09-19 황대삼 자동차용 와이퍼브레이드
WO2004078541A1 (ja) 2003-03-07 2004-09-16 Mitsuba Corporation ワイパブレード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134152B1 (ko) 2010-05-03 2012-04-09 주식회사 캐프 와이퍼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9006B1 (ko) 2008-05-21 2010-07-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블레이드의 균일하중 구조를 갖는 자동차용 와이퍼블레이드장치
CN104114420B (zh) * 2011-12-14 2017-05-17 费德罗-莫格尔公司 雨刮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78541A1 (ja) 2003-03-07 2004-09-16 Mitsuba Corporation ワイパブレード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327282Y1 (ko) * 2003-06-18 2003-09-19 황대삼 자동차용 와이퍼브레이드
KR101134152B1 (ko) 2010-05-03 2012-04-09 주식회사 캐프 와이퍼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2845A (ko) 2016-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19889B2 (en) Windshield wiper assembly
EP2790974B1 (en) Windscreen wiper device
US9714008B2 (en) Flat wiper blade and coupling method thereof
CA2896733C (en) Wiper coupler adaptor and wiper assembly incorporating same
US20120167328A1 (en) Wiper device
US9434353B2 (en) Flat wiper blade
US8327499B2 (en) Windscreen wiper device
JP2006111259A (ja) ワイパーのゴムブレード
US20120311808A1 (en) Windshield wiper with even pressing force
US20140196241A1 (en) Flat wiper blade assembly
KR101158370B1 (ko) 와이퍼 블레이드
US20140101884A1 (en) Beam blade wiper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y
JP5468148B2 (ja) ワイパー装置
KR101729145B1 (ko) 압력 분산형 와이퍼 블레이드
KR101681223B1 (ko)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와이퍼 장치
US2888702A (en) Windshield wiper blade assembly
KR100401790B1 (ko) 자동차용 와이퍼 블레이드 구조
KR100763742B1 (ko) 와이퍼 블레이드
US20150166015A1 (en) End cap for wiper assembly
US10259428B2 (en) Wiper blade
US3390415A (en) Wiping blade for curved windshields
KR100759190B1 (ko) 와이퍼 블레이드
US20140130285A1 (en) Airfoil for wiper assembly
US2721350A (en) Windshield wiper
CN213413734U (zh) 橡胶元件、刮水条和刮水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