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1042B1 - 패턴인식에 기초한 전원공급형 완구 - Google Patents

패턴인식에 기초한 전원공급형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1042B1
KR101681042B1 KR1020150079664A KR20150079664A KR101681042B1 KR 101681042 B1 KR101681042 B1 KR 101681042B1 KR 1020150079664 A KR1020150079664 A KR 1020150079664A KR 20150079664 A KR20150079664 A KR 20150079664A KR 101681042 B1 KR101681042 B1 KR 101681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terminal
terminal portion
power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9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영수
전무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자석나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자석나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자석나라
Priority to KR1020150079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10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1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1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26Magnetic or electric toy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9/00Drive mechanisms for toys in general
    • A63H29/22Electric driv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22Optical, colour, or shadow toy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5/00Musical or noise- producing devices for additional toy effects other than acoustic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패턴인식에 기초한 전원공급형 완구는 일 표면에 배터리와 연결된 복수 개의 제1 패턴단자가 제1 패턴으로 배열된 제1 단자부를 구비한 제1 구조체와, 제1 구조체와 조립되고, 일 표면에 복수 개의 제2 패턴단자가 제2 패턴으로 배열된 제2 단자부를 구비한 제2 구조체를 포함하고, 제2 구조체는, 제1 구조체와 조립시 제1 단자부 및 제2 단자부가 서로 전기적으로 접촉된 상태에서 제1 패턴단자를 통해 공급되는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제1 패턴을 인식하며, 제2 구조체는, 제2 단자부가 구비된 제2 형상을 갖는 제2 프레임과, 제2 프레임에 구비되고, 제2 단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빛과 소리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출력부와, 제1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부를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빛과 소리에 상응하는 음향정보 및 발광정보가 저장된 메모리와, 제1 패턴단자와 접촉된 제2 패턴단자에 인가된 전류에 기초하여 제1 패턴을 인식하는 패턴 인식부와, 제1 패턴에 상응하는 음향 정보 또는 발광 정보를 메모리에서 추출하여 출력부로 제공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패턴인식에 기초한 전원공급형 완구{Power supply type toy based on pattern cognition}
본 발명은 패턴인식에 기초한 전원공급형 완구에 관한 것이다.
요즘 들어, 어린이들의 인지, 공간, 청각, 시각, 창의 등과 같은 능력을 복합적으로 개발하기 위한 기능을 겸비한 다양한 완구들이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러한 복합적인 능력을 개발하기 위한 완구들의 경우, 제작 비용 증가에 따른 판매 가격 증가로 인하여, 판매 수요가 떨어지는 실정이거나, 또는 인지, 공간, 청각, 시각 중 한가지 또는 두 가지만을 향상시키도록 초점을 맞추도록 제작함으로써, 제작비용을 낮춰 판매 수요를 증가시키도록 제작되는 것이 현 추세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80766호 (발명의 명칭: 자석을 이용한 전원접속기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0-0060598호 (발명의 명칭: 다기능 완구블록)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패턴인식에 기초한 전원공급형 완구는 전원단자들 간의 탈부착 행위만으로, 전원이 공급되고, 또한, 완구가 여러 형상으로 조립될 경우, 조립되는 구조체 별로 서로 구별되는 소리 또는 빛을 유아들에게 제공함으로써, 유아들의 인지력 및 창의력 등과 같은 능력을 복합적으로 개발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패턴인식에 기초한 전원공급형 완구는 일 표면에 배터리와 연결된 복수 개의 제1 패턴단자가 제1 패턴으로 배열된 제1 단자부를 구비한 제1 구조체; 및 상기 제1 구조체와 조립되고, 일 표면에 복수 개의 제2 패턴단자가 제2 패턴으로 배열된 제2 단자부를 구비한 제2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구조체는, 상기 제1 구조체와 조립시 상기 제1 단자부 및 제2 단자부가 서로 전기적으로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패턴단자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제1 패턴을 인식하며, 상기 제2 구조체는, 상기 제2 단자부가 구비된 제2 형상을 갖는 제2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제2 단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빛과 소리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출력부와, 상기 제1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부를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빛과 소리에 상응하는 음향정보 및 발광정보가 저장된 메모리와, 상기 제1 패턴단자와 접촉된 상기 제2 패턴단자에 인가된 전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패턴을 인식하는 패턴 인식부와, 상기 제1 패턴에 상응하는 음향 정보 또는 발광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서 추출하여 상기 출력부로 제공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패턴인식 기반의 전원공급형 완구는 별도의 전원스위치 없이도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전원단자와 전원단자 간의 결합 시 별도의 체결부재가 필요없고, 완구 제작 시에 특정형상의 결속부재를 추가적으로 제작할 필요가 없어, 제작이 용이하고, 더불어, 완구 이용 시에 결속부재의 파손에 따른 위험이 없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완구가 여러 형상으로 조립될 경우, 조립되는 구조체 별로 서로 구별되는 소리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패턴인식 기반의 전원공급형 완구는 단순 구조를 통해 인지력 및 창의력 등과 같은 능력을 복합적으로 개발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패턴인식에 기초한 전원공급형 완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단자부 및 제2 단자부 내에 배열된 제1 패턴 및 제2 패턴의 일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2 단자부, 제어부, 출력부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제1 단자부의 제1 패턴에 따라 패턴 인식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패턴인식에 기초한 전원공급형 완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단자부 및 제2 단자부 내에 배열된 제1 패턴 및 제2 패턴의 일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2 단자부, 제어부, 출력부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패턴인식에 기초한 전원공급형 완구(100)는 제1 구조체(200) 및 제2 구조체(30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구조체(200)는 배터리(B)를 수용하고, 일 표면에 복수 개의 제1 패턴단자(Tn)가 제1 패턴으로 배열된 제1 단자부(22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단자부(220)는 복수 개의 전원단자(Pu+, Pu-)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구조체(200)는 제1 프레임(210) 및 제1 단자부(2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210)은 제1 형상을 가지며, 제1 형상은 경찰차, 소방차, 앰뷸런스, 비행기 등과 같은 서로 구별되는 특정 형상의 일부분이거나 또는 형상이 구체화지 않은 불특정, 예컨대, 기하학적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프레임(210)은 배터리(B)를 수용하기 위한 배터리 수용공간(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B)는 건전지 또는 충전이 가능한 2차 전지일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는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특정한 타입이나 종류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참고로, 건전지는 망간전지 및 알카라인전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2차 전지는 Ni-Cd(니켈카드늄) 배터리, Ni-MH(니켈수소) 배터리, Lithium(리튬이온) 배터리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제1 단자부(220)는 복수 개의 제1 패턴단자(Tn)와 복수 개의 전원단자(Pu+, Pu-)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제1 패턴단자(Tn)는 상기 제1 프레임(210)의 일 면에 제1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제1 패턴은 점패턴, 선패턴, 도형패턴 또는 형상 패턴일 수 있다(도 2를 참조).
상기 복수 개의 제1 패턴단자(Tn)는 원,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등 도형 형상이거나 또는 라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여기서, 상기 복수 개의 제1 전원단자의 형태는 전원을 전달할 수 있는 한 특정한 형태로 한정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원 형태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1 패턴단자(Tn) 및 상기 전원단자 중 적어도 하나는 영구자석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패턴단자(Tn) 및 전원단자는 전원라인을 통해 배터리와 연결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2 구조체(300)는 제2 프레임(310), 제2 단자부(320), 출력부(330) 및 제어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프레임(310)은 제2 형상을 가지며, 제2 형상은 경찰차, 소방차, 앰뷸런스, 비행기 등과 같은 서로 구별되는 특정 형상의 일 부분이거나 또는 형상이 구체화지 않은 불특정, 예컨대, 기하학적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2 단자부(320)는 복수 개의 제2 패턴단자(Rm)를 포함하고, 제2 패턴단자(Rm)는 상기 제2 프레임(210)의 일 면에 제2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2 패턴은 점패턴, 선패턴, 도형패턴 또는 형상 패턴일 수 있으며, 특정한 형태로 한정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바둑판 배열형태의 패턴를 그 예로 설명한다(도 2를 참조).
여기서, 상기 제2 패턴단자(Rm)는 원,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등 도형형상이거나 또는 라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여기서, 상기 복수 개의 제2 패턴단자들의 형태는 전원을 전달할 수 있는 한 특정한 형태로 한정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원 형태를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제2 패턴단자(Rm) 및 전원단자(Pu+, Pu-) 중 적어도 하나는 영구자석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패턴단자(Rm)는 제1 패턴단자(Tn)와 자력으로 접촉된다.
또한, 제2 단자부(320)의 전원단자(Pu+, Pu-)는 제1 단자부(220)의 전원단자(Pu+, Pu-)와 접촉되어, 상기 제1 단자부(220)의 전원단자(Pu+, Pu-)에서 인가하는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패턴단자(Rm)는 전원라인을 통해 제어부(340)와 연결된다. 상기 제어부(340)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 단자부(320)에 배열된 상기 제2 패턴단자(Rm)의 개수는 상기 제1 단자부(220)에 배열된 상기 제1 패턴단자(Tn)의 개수보다 많도록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출력부(330)는 상기 제2 프레임(310)에 구비되고, 상기 제2 단자부(320)의 전원단자(Pu+, Pu-)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빛과 소리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출력부(330)는 발광 유닛 및 음향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발광 유닛 또는 음향 유닛은 제2 구조체(300)에 표면 또는 내부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어부(340)에 의해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발광 유닛은 다양한 형태를 갖는 복수 개의 발광체(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발광체는 EL(Electric Luminescence) 또는 LED(Light Emitting Diode)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광을 방사할 수 있는 한 특정한 발광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상기 음향 유닛은 제어부(340)에서 제공된 음향정보에 따른 소리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음향정보는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고, 자동차 소리, 비행기 소리, 구급차 소리, 경찰차 소리 등과 같이 상기 제2 구조체(300)을 구별할 수 있는 소리가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340)는 제1 단자부(220)의 제1 패턴에 기초하여 출력부(330)의 동작을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340)는 패턴 인식부(341), 신호 처리부(342) 및 메모리(3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턴 인식부(341)는 제2 패턴단자(Rm)에 인가된 전류에 기초하여 제1 패턴단자(Tn)의 제1 패턴을 인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패턴 인식부(341)는 제1 패턴을 인식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다이오드(Dm) 및 전류 검출부(341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다이오드(Dm) 각각은 전원라인을 통해 복수 개의 제2 패턴단자(Rm)와 연결된다.
상기 전류 검출부(341a)는 전류가 도통된 다이오드를 검출한 다이오드 검출정보를 신호 처리부(342)로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다이오드 검출정보는 상기 메모리 내에 저장된 상기 음향정보 및 발광정보의 저장위치정보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구조체(300)는 제어부(340) 및 출력부(330)의 동작 전원이 상이할 경우, 상기 제어부(340) 및 출력부(330)의 동작전원에 맞게 변환하여 제공하는 전원공급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신호 처리부(342)는 다이오드 검출정보에 상응하는 음향 정보 및 발광 정보를 메모리에서 추출하여, 출력부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메모리(353)는 다이오드 검출정보에 상응하는 음향 정보 및 발광 정보가 저장된 저장매체일 수 있다. 여기서, 다이오드 정보는 메모리 내에 저장된 음향정보 및 발광 정보의 위치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이오드 검출정보가 D1, D2, D8, D9이면, 상기 신호 처리부(342)는 메모리(343) 내에서 D1, D2, D8, D9이 기록된 위치에 저장된 음향 정보 및 발광 정보를 추출하며, 다이오드 검출정보가 D1, D3, D5, D8이면, 상기 신호 처리부(342)는 메모리 내에서 D1, D3, D5, D8이 기록된 위치에 저장된 음향 정보 및 발광 정보를 추출한다.
한편, 상기 메모리(343)는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OM, 플래시 메모리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제1 단자부의 제1 패턴에 따라 패턴 인식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복수 개의 제1 패턴단자(T1~T5)가 도 2의 (a)와 같은 형태의 제1 패턴으로 배열될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제1 패턴단자(T1~T5)와 접촉되는 복수 개의 제2 패턴단자(R1, R2, R3, R4, R7)에 전류가 인가된다.
전류가 인가된 복수 개의 제2 패턴단자(R1, R2, R3, R4, R9)과 연결된 다이오드(D1, D2, D3, D4, D9)에 전류가 도통되고, 패턴 인식부(341)의 전류 검출부(341a)는 전류가 도통된 다이오드(D1, D2, D3, D4, D9)를 검출한 다이오드 검출정보로 제1 패턴단자(Tn)의 배열구조인 제1 패턴을 인식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복수 개의 제1 패턴단자(T1~T5)가 도 2의 (b)와 같은 형태의 제1 패턴으로 배열될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제1 패턴단자들(T1~T5)과 접촉되는 복수 개의 제2 패턴단자(R1, R4, R7, R8, R9)에 전류가 인가된다. 이후, 전류가 인가된 복수 개의 제2 패턴단자(R1, R4, R7, R8, R9)과 연결된 다이오드(D1, D4, D7, D8, D9)에 전류가 도통되고, 패턴 인식부(341)의 전류 검출부(341a)는 전류가 도통된 다이오드를 검출한 다이오드 검출정보로 제1 패턴단자의 배열구조인 제1 패턴을 인식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복수 개의 제1 패턴단자(T1~T5)가 도 2의 (C)와 같은 형태의 제1 패턴으로 배열될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제1 패턴단자(T1~T5)와 접촉되는 복수 개의 제2 패턴단자(R1, R5, R7, R9)들에 전류가 인가된다. 이후, 전류가 인가된 복수 개의 제2 패턴단자(R1, R5, R7, R9)과 연결된 다이오드(D1, D5, D7, D9)에 전류가 도통되고, 패턴 인식부(341)의 전류 검출부(341a)는 전류가 도통된 다이오드를 검출한 다이오드 검출정보로 제1 패턴단자의 배열구조인 제1 패턴을 인식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제시된 신호 처리부(342)는 컴퓨팅 디바이스일 수 있으며,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싱 유닛은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CFU), 그래픽처리장치(GF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AFFlication SF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Frogrammable Gate Arrays(FFGA)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코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는 추가적인 스토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리지는 자기 스토리지, 광학 스토리지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스토리지에는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이 저장될 수 있고, 운영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도 저장될 수 있다. 스토리지에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은 프로세싱 유닛에 의해 실행되기 위해 메모리에 로딩될 수 있다.
한편, 컴퓨팅 디바이스는 네트워크을 통하여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게 하는 통신접속(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접속(들)은 모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무선 주파수 송신기/수신기, 적외선 포트, USB 접속 또는 컴퓨팅 디바이스를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접속시키기 위한 다른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접속(들) 은 유선 접속 또는 무선 접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컴퓨팅 디바이스의 각 구성요소는 버스 등의 다양한 상호접속(예를 들어, 주변 구성요소 상호접속(FCI), USB, 펌웨어(IEEE 1394), 광학적 버스 구조 등)에 의해 접속될 수도 있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접속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 부" 같은 용어들은 일반적으로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중인 소프트웨어인 컴퓨터 관련 엔티티를 지칭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구성요소는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중인 프로세스, 프로세서, 객체, 실행 가능물(executable),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 상에서 구동중인 애플리케이션 및 컨트롤러 모두가 구성요소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는 프로세스 및/또는 실행의 스레드 내에 존재할 수 있으며, 구성요소는 하나의 컴퓨터상에서 로컬화될 수 있고, 둘 이상의 컴퓨터 사이에서 분산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인 패턴인식에 기초한 전원공급형 완구(100)는 제2 단자부의 전원단자와 제1 단자부의 전원단자의 탈부착만으로도 상기 제2 구조체에 전원을 인가 또는 차단할 수 있어, 구조체와 구조체 간에 조립시에도 별도의 전원스위치 없이 구조체에서 구조체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상기 제1 패턴단자(Tn)는 재질이 영구자석임으로, 상기 제1 구조체(200)를 상기 제2 구조체(300)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재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패턴단자(Rm) 또한 재질이 영구자석임으로, 상기 제2 구조체를 상기 제1 구조체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재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는 체결부재 없이도 패턴단자만을 이용하여 구조체와 구조체를 결속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어, 제1 구조체(200) 및 제2 구조체(300) 제작시, 특정형상의 결속부재를 추가적으로 제작할 필요가 없고, 제작이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더불어, 완구 이용 시에 결속부재의 파손에 따른 위험이 없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패턴인식에 기초한 전원공급형 완구(100)는 완구가 여러 형상으로 조립될 경우, 조립되는 구조체 별로 서로 구별되는 소리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패턴인식 기반의 전원공급형 완구는 단순 구조를 통해 인지력 및 창의력 등과 같은 능력을 복합적으로 개발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실시 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패턴인식에 기초한 전원공급형 완구 200: 제1 구조체
210: 제1 프레임 220: 제1 단자부
T1~Tn: 제1 패턴단자 C: 배터리 수용공간
300: 제2 구조체 310: 제2 프레임
320: 제2 단자부 330: 출력부
340: 제어부 341: 패턴 인식부
341a: 전류 검출부 342: 신호 처리부
343: 메모리

Claims (9)

  1. 일 표면에 배터리와 연결된 복수 개의 제1 패턴단자가 제1 패턴으로 배열된 제1 단자부를 구비한 제1 구조체; 및
    상기 제1 구조체와 조립되고, 일 표면에 복수 개의 제2 패턴단자가 제2 패턴으로 배열된 제2 단자부를 구비한 제2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구조체는, 상기 제1 구조체와 조립시 상기 제1 단자부 및 제2 단자부가 서로 전기적으로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패턴단자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제1 패턴을 인식하며,
    상기 제2 구조체는, 상기 제2 단자부가 구비된 제2 형상을 갖는 제2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제2 단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빛과 소리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출력부와, 상기 제1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부를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빛과 소리에 상응하는 음향정보 및 발광정보가 저장된 메모리와, 상기 제1 패턴단자와 접촉된 상기 제2 패턴단자에 인가된 전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패턴을 인식하는 패턴 인식부와, 상기 제1 패턴에 상응하는 음향 정보 또는 발광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서 추출하여 상기 출력부로 제공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패턴인식에 기초한 전원공급형 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부 및 상기 제2 단자부는,
    복수 개의 전원단자를 더 포함하는 패턴인식에 기초한 전원공급형 완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 단자 및 상기 제2 패턴 단자 중 적어도 하나는 영구자석인 패턴인식에 기초한 전원공급형 완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부의 전원단자 및 상기 제2 단자부의 전원단자 중 적어도 하나는 영구자석인 패턴인식에 기초한 전원공급형 완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자부에 배열된 상기 제2 패턴단자의 수는 상기 제1 단자부에 배열된 상기 제1 패턴단자의 수 보다 많은 패턴인식에 기초한 전원공급형 완구.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인식부는,
    상기 복수 개의 제2 패턴단자와 각각 연결된 복수 개의 다이오드; 및
    상기 복수 개의 다이오드 중 전류가 도통된 다이오드를 검출한 다이오드 검출정보를 상기 신호 처리부로 제공하는 전류 검출부를 포함하는 패턴인식에 기초한 전원공급형 완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오드 검출정보는,
    상기 메모리 내에 저장된 상기 음향정보 및 발광정보의 저장위치정보인 패턴인식에 기초한 전원공급형 완구.
KR1020150079664A 2015-06-05 2015-06-05 패턴인식에 기초한 전원공급형 완구 KR101681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9664A KR101681042B1 (ko) 2015-06-05 2015-06-05 패턴인식에 기초한 전원공급형 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9664A KR101681042B1 (ko) 2015-06-05 2015-06-05 패턴인식에 기초한 전원공급형 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1042B1 true KR101681042B1 (ko) 2016-12-01

Family

ID=57577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9664A KR101681042B1 (ko) 2015-06-05 2015-06-05 패턴인식에 기초한 전원공급형 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104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3751A (ja) * 1994-01-26 1995-08-15 Barashima Kogyo Kk パターン認識装置とそれを用いた発音玩具
KR20000060598A (ko) 1999-03-17 2000-10-16 한종웅 고온 접착강도를 갖는 보수 또는 접합용 내화재
KR20020080766A (ko) 2001-04-17 2002-10-26 신형진 자석을 이용한 전원접속기구
KR100939166B1 (ko) * 2008-07-24 2010-01-28 신필순 블록 놀이 기구 및 그 작동 방법
KR100946794B1 (ko) * 2009-11-30 2010-03-11 광주광역시 남구 자력 조립형 발광 블록장치
JP2015100660A (ja) * 2013-11-28 2015-06-04 秀邦 平井 識別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3751A (ja) * 1994-01-26 1995-08-15 Barashima Kogyo Kk パターン認識装置とそれを用いた発音玩具
KR20000060598A (ko) 1999-03-17 2000-10-16 한종웅 고온 접착강도를 갖는 보수 또는 접합용 내화재
KR20020080766A (ko) 2001-04-17 2002-10-26 신형진 자석을 이용한 전원접속기구
KR100939166B1 (ko) * 2008-07-24 2010-01-28 신필순 블록 놀이 기구 및 그 작동 방법
KR100946794B1 (ko) * 2009-11-30 2010-03-11 광주광역시 남구 자력 조립형 발광 블록장치
JP2015100660A (ja) * 2013-11-28 2015-06-04 秀邦 平井 識別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03160B (zh) 线缆连接器组件
US20200144862A1 (en) Charging system, charging device, and control device of electrical treatment device
US8376807B2 (en) Toy with an illuminated part
US20170140235A1 (en) Remote control device based on computer vision technology
US20130069305A1 (en) Puzzle toy
CN103930182A (zh) 用于玩具件的基板组件
KR101544045B1 (ko) 전기적 모듈러 빌딩 장치
US20150029005A1 (en) Remotely Activated Illuminated Shoe
KR20170085667A (ko) 자석을 이용한 모듈형 로봇 완구 및 로봇 완구 시스템
KR101681042B1 (ko) 패턴인식에 기초한 전원공급형 완구
US20140239888A1 (en) Wireless charger
US20200077056A1 (en) Shoe capable of changing images
EP3135354A1 (en) Puzzle system capable of cooperating with external device
KR20160026522A (ko) 조립 완구
ES2952545T3 (es) Sistema robótico modular
KR101374741B1 (ko) 전기자동차용 인렛
KR101923557B1 (ko) 블럭완구를 이용한 로봇 제어 시스템
US20150109110A1 (en) Remote control for a toy
JP2015187968A (ja) 無線機能付きスイッチ装置
CN211798811U (zh) 一种发光拼接模组
CN209805909U (zh) 一种移动终端用保护壳及系统
CN203776249U (zh) 一种盲人导航鞋垫
CN207270704U (zh) 一种玩具机器人的红外感应高度的防跌落机构
CN206611996U (zh) 宠物项圈
US9991926B2 (en) Cover s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