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5667A - 자석을 이용한 모듈형 로봇 완구 및 로봇 완구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석을 이용한 모듈형 로봇 완구 및 로봇 완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5667A
KR20170085667A KR1020160005057A KR20160005057A KR20170085667A KR 20170085667 A KR20170085667 A KR 20170085667A KR 1020160005057 A KR1020160005057 A KR 1020160005057A KR 20160005057 A KR20160005057 A KR 20160005057A KR 20170085667 A KR20170085667 A KR 201700856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output
input
unit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5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호
Original Assignee
(주)로봇보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로봇보이 filed Critical (주)로봇보이
Priority to KR1020160005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85667A/ko
Publication of KR20170085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56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26Magnetic or electric toy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3/00Toy figures with self-moving parts, with or without movement of the toy as a who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9/00Drive mechanisms for toys in general
    • A63H29/22Electric driv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9/00Drive mechanisms for toys in general
    • A63H29/24Details or accessories for drive mechanisms, e.g. means for winding-up or starting toy engin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36Details;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42Toy models or toy scenery not otherwise covered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봇 완구에 있어서, 입력 모듈 또는 출력 모듈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연결된 모듈이 상기 입력 모듈 또는 상기 출력 모듈인지 여부를 자석 센서로 감지하여 스위칭을 수행하는 스위칭부; 상기 스위칭부의 동작에 따라, 상기 연결된 모듈이 입력 모듈인 경우, 상기 입력 모듈의 로봇 식별 회로와 연결되어 입력 정보를 처리하는 입력 처리부; 및 상기 스위칭부의 동작에 따라, 상기 연결된 모듈이 출력 모듈인 경우, 상기 출력 모듈의 출력부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출력 처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석을 이용한 모듈형 로봇 완구 및 로봇 완구 시스템{A MODULE-TYPE ROBOT TOY USING MAGNETS AND A ROBOT TOY SYSTEM}
본 발명은 모듈형 로봇 완구 및 로봇 완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완구류, 특히 움직임이 요구되는 로봇완구는 전기 동력을 이용하여 모터를 구동시키는 리모트 콘트롤러 방식의 형태나, 태엽 등을 이용한 단순한 형태로 구분되며, 미리 설정된 방식의 조작을 통해 몸체 내의 모터 구동을 제어하여 이동 방향, 속도 또는 관절 등을 움직이게 함으로써 조정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로봇 완구들은 단지 특정한 동작만을 수행할 수 있을 뿐, 사용자가 그의 모든 기능을 수회 실행하게 되면 쉽게 싫증나고 사용자로 하여금 관심의 대상이 되지 못하기 때문에 실제로 사용에 따른 수명이 짧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로봇완구들은 단일 형태로 상품화되어 나오고 있어, 사용자가 하나의 로봇 완구를 구입하면, 그 형태만을 사용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즉, 강아지 로봇 또는 공룡 로봇 또는 인간 로봇 등의 다양한 형태로 확장 구현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특히 관절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회로, 제어, 기구적 연결 및 결합에 있어서 특별한 장치와 비용이 요구되어 일반인들이 사용하기에 많은 부담을 안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특히 최근에는 복잡하고 다양한 캐릭터들이 출현하는 컨텐츠가 증가함에 따라 각각의 캐릭터 상품들이 별도로 출시되고 있는데, 이에 대한 단일 형태의 로봇 완구들을 모두 구입하여 수집하기에는 많은 비용이 소요되어 소비자가 쉽게 구매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캐릭터에 따라 다양한 외관 및 기능을 갖는 모듈들을 연결하면, 각 모듈에 대응되는 입력 및 출력 기능의 제어를 수행하여 저비용으로도 다양한 형태로 확장 가능한 모듈형 로봇 완구 및 로봇 완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로봇 완구에 있어서, 입력 모듈 또는 출력 모듈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연결된 모듈이 상기 입력 모듈 또는 상기 출력 모듈인지 여부를 자석 센서로 감지하여 스위칭을 수행하는 스위칭부; 상기 스위칭부의 동작에 따라, 상기 연결된 모듈이 입력 모듈인 경우, 상기 입력 모듈의 로봇 식별 회로와 연결되어 입력 정보를 처리하는 입력 처리부; 및 상기 스위칭부의 동작에 따라, 상기 연결된 모듈이 출력 모듈인 경우, 상기 출력 모듈의 출력부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출력 처리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로봇 완구 시스템에 있어서, 로봇 식별 회로 및 하나 이상의 입력부를 포함하는 입력 모듈; 제어부 및 하나 이상의 출력부를 포함하는 출력 모듈; 및 상기 입력 모듈 또는 출력 모듈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연결된 모듈이 상기 입력 모듈 또는 상기 출력 모듈인지 여부를 자석 센서로 감지하여 스위칭을 수행하는 스위칭부; 상기 스위칭부의 동작에 따라, 상기 연결된 모듈이 입력 모듈인 경우, 상기 입력 모듈의 로봇 식별 회로와 연결되어 입력 정보를 처리하는 입력 처리부; 및 상기 스위칭부의 동작에 따라, 상기 연결된 모듈이 출력 모듈인 경우, 상기 출력 모듈의 출력부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출력 처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캐릭터에 따라 다양한 입력 모듈 또는 출력 모듈을 제어 모듈과 연결하면, 각 모듈에 대응되는 음성 출력 및 동작 제어를 수행하여 저비용으로도 다양한 형태로 확장 가능한 모듈형 로봇 완구, 로봇 완구용 모듈 및 로봇 완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최근과 같이 복잡하고 다양한 캐릭터들이 등장하는 컨텐츠에 맞추어, 각 캐릭터에 대응하는 모듈만 구매하면 기 구매한 로봇 완구에 연결하여 다양한 형태의 캐릭터를 로봇 완구로 구현할 수 있게 되므로, 소비자의 기호 및 수집욕을 충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력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출력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모듈 및 스위칭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봇 식별 테이블을 나타낸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에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 표현된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 소자의 조합 또는 펌웨어/마이크로 코드 등을 포함하는 모든 형식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든 방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었으며, 상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한 적절한 회로와 결합된다. 이러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은 다양하게 열거된 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들이 결합되고 청구항이 요구하는 방식과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본 명세서로부터 파악되는 것과 균등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봇 완구 시스템은 입력 입력 모듈(100), 출력 모듈(200) 및 제어 모듈(3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입력 모듈(100) 및 출력 모듈(200) 각각은 미리 결정된 식별정보(예를 들어, 로봇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외관을 갖는 하우징을 가질 수 있다. 각각의 입력 모듈(100) 및 출력 모듈(200)의 하우징은 다양한 형태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각각의 외관은 미리 결정된 로봇 식별 정보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모듈(100) 및 출력 모듈(200)의 하우징은 캐릭터, 차량, 강아지, 공룡, 인형 등의 다양한 외관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입력 모듈(100) 및 출력 모듈(200)은 커넥터 또는 연결 포트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모듈(300)에 연결되어, 조립을 통한 다양한 로봇 완구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300)는 입력 모듈(100) 및 출력 모듈(200)이 연결되면, 입력 모듈(100) 및 출력 모듈(200)의 내부 회로와 연결되어 입력 모듈(100)로부터 수신되는 로봇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모듈(300)는 로봇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출력 모듈(200)의 동작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 모듈(300)는 동작 정보에 따라 출력 모듈(20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입력 모듈(100)에 맞는 음성 출력, 이동 패턴 제어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완구 시스템은 입력 모듈(100) 또는 출력 모듈(200)만 교체함으로써 다변화되는 역할을 수행 가능한 제어 모듈(300)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력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력 모듈(100)은 하우징(105), 로봇 식별 회로(110), 커넥터(120), 입력부(130) 및 연결부(140)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입력 모듈(100)은 미리 결정된 로봇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외관을 갖는 하우징(105)을 포함한다. 하우징(105)는 금속, 합성수지, 고무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로봇 식별 정보에 맞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하우징(105)의 외관을 통해 로봇의 동작을 예상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로봇 식별 회로(110)는 하우징(105)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로봇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특정 값을 갖는 회로 소자를 포함한다.
로봇 식별 회로(110)는 입력 모듈(100)이 제어 모듈(300)에 연결되면, 커넥터(120)를 통해 제어 모듈(3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제어 모듈(300)로부터 수신되는 공급 전원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로봇 식별 회로(110)는 제어 모듈(300)로 입력 모듈(100)의 로봇 식별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로봇 식별 회로(110)는 다양한 저장매체를 구비하여 제어 모듈(300)와 통신할 수도 있다.
그리고, 커넥터(120)는 상기 하우징(105)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며, 상기 로봇 식별 회로(110)를 상기 로봇 완구의 연결 포트와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커넥터(120)는 예를 들어, 이어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어 모듈(300)의 이어폰 단자형 연결 포트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커넥터(120)는 제어 모듈(300)에서 입력 모듈(100)인지 여부를 센싱할 수 있도록 하는 자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모듈(300)은 자석의 자기력 여부에 따라 연결된 모듈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입력 모듈(100)은 자석 연결 커넥터를 포함하는 모듈이며, 출력 모듈(200)은 비자석 연결 포트를 포함하는 모듈일 수 있다. 따라서, 제어 모듈(300)은 자기력 감지에 따라 입력 모듈(100) 또는 출력 모듈(200)이 연결되었는지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120)는 상기 하우징(105)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로봇 완구에 연결이 용이하도록 형성되는 연결부(140)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연결부(140)는 제어 모듈(300)의 수용부에 용이하게 수용되도록 하우징(105)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제어 모듈(300)의 연결 포트에 커넥터(120)가 고정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입력부(13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제어 모듈(300)로 전달하기 위한 다양한 입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30)는 버튼, 마이크, 터치스크린 등 다양한 방식의 입력장치를 지원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출력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출력 모듈(200)은 제어 모듈(300)로부터 로봇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출력 신호를 수신하여 다양한 동작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출력 모듈(200)은 연결 포트(215), 제어부(210), 센서부(220), 통신부(230), 저장부(240), 음성출력부(250), 광출력부(260), 이동부(270)를 포함한다.
연결 포트(215)는 제어 모듈(3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통신선 및 전원선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 모듈(300)의 자기력 센서가 출력 모듈(200)임을 인식할 수 있도록 비자석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10)는 출력 모듈(200)의 각 구성요소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소자를 포함한다. 제어부(210)는 연결 포트(215), 센서부(220), 저장부(240), 음성출력부(250), 광출력부(260), 이동부(270)의 제어를 통해 출력 모듈(200)의 이동 및 광 또는 음성 출력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210)는 연결 포트(215)의 전압 변화를 감지하여, 제어 모듈(300)이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10)는 연결 포트(215)와 상기 제어 모듈(30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전압 제어를 통해 제어 모듈(3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상기 전원 공급에 따라 상기 로봇 완구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 모듈(300)은 입력 모듈(100)에서 식별되는 식별 정보에 따라 적절한 전원 및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 모듈(200)로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 모듈(300)은 입력 모듈(100)의 로봇 식별 회로(110)가 갖는 값을 식별하기 위한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AD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DC는 입력 모듈(100)의 로봇 식별 회로(110)의 아날로그 로봇 식별 정보에 따라 변화되는 아날로그 출력을 디지털 값으로 변환할 수 있다. 변환된 디지털 값은 미리 결정된 로봇 식별 정보에 대응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240)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각 구성요소에서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저장하거나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4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센서부(220)는 동작 정보에 따른 로봇 구동에 필요한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센서부(220)는 근접 센서, 가속도 센서, 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적외선 센서, 카메라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센서부(220)에서 출력되는 다양한 센싱 값에 기초하여 이동 경로를 체크하거나, 각 출력부(250, 26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220)는 제어 모듈(300)가 주행하는 경로에 위치한 장애물들을 센싱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센싱 결과에 따라, 제어 모듈(300)의 이동 경로를 체크하거나, 직선주행, 회피주행 등의 이동 패턴에 따른 이동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음성출력부(250)는 로봇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음성 정보에 따라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로봇 식별 정보와 저장부(240)에 저장된 로봇 식별 테이블을 이용하여 음성출력부(250)에서 출력될 음성 정보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음성출력부(250)는 제어부(210)에서 음성 정보를 재생함에 따른 음향 신호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성출력부(250)는 다양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어 모듈(300)은 각 입력 모듈(100) 및 출력 모듈(200)이 연결될 때마다 서로 다른 시점에 서로 다른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광출력부(260)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저장부(240)에 저장된 광 출력 정보에 기초하여 로봇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광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광출력부(260)는 다양한 광 출력을 위한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출력부(260)는 음성 출력 시점에 발광되는 하나 이상의 LED 전구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모듈(300)은 연결된 입력 모듈(100) 및 출력 모듈(200)마다 서로 다른 색상 및 점등패턴에 따른 광 출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동부(270)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로봇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모듈(300)에 전달한 이동 패턴에 따른 이동 제어를 수행한다. 제어 모듈(300)의 이동 제어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액츄에이터와 연결되는 복수의 모터들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동부(270)는 이동 패턴 정보에 따라 출력 모듈(200)이 이동하도록 각각의 모터의 회전 방향 및 속도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210)는 로봇 식별 테이블로부터 획득되는 이동 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부(27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으며, 각 입력 모듈(100) 및 출력 모듈(200)마다 서로 다른 특정 시점에 특정 방향 및 특정 속도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모듈 및 스위칭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모듈(300)은 센서(310), 스위칭부(320), 입력 처리부(330), 출력 처리부(340) 및 저장부(350)를 포함한다.
센서(310)는 입력 모듈(100) 및 출력 모듈(200)의 인식을 위한 자석 모듈 또는 비자석 모듈을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310)는 하나 이상의 자기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칭부(320)는 상기 센서(310)의 센싱 결과에 따라, 상기 입력 모듈(100) 을 입력 처리부(330)의 입력 포트와 연결하거나, 상기 출력 모듈(200)을 출력 처리부(340)의 출력 포트와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입력 모듈(100)의 자석이 근접한 경우, 센서(310)는 자기력을 센싱하며, 스위칭부(320)는 이에 따라 회로를 입력 포트로 스위칭할 수 있다.
또한, 출력 모듈(200)의 비자석 모듈이 근접한 경우, 센서(310)에서 자기력이 센싱되지 않음에 따라, 스위칭부(320)는 회로를 출력 포트로 스위칭하여, 출력 모듈(200)이 출력 처리부(340)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입력 처리부(330) 및 출력 처리부(340)는 연결된 입력 모듈(100) 또는 출력 모듈(200)로부터 입력되는 정보 또는 출력될 제어 신호의 처리를 각각 수행할 수 있다. 각 신호 처리는 상기 입력 모듈(100) 또는 출력 모듈(200)에 포함된 로봇 식별 정보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 처리부(330) 및 상기 출력 처리부(340)는 상기 입력 모듈 (100)또는 상기 출력 모듈(200)이 최초 접속시 모듈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부(350)에 저장함으로써, 시스템에 등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력 처리부(330) 및 출력 처리부(340)의 처리 알고리즘 및 로봇 식별 테이블은 저장부(350)에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 모듈(300)은 연결된 입력 모듈(100)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연결된 출력 모듈(200)로 출력할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출력 모듈(200)로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저장부(350)는 상기 로봇 식별 정보에 매핑되는 동작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동작정보는 음성 정보 및 이동패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출력 모듈(200)에 복수의 관절부가 포함된 경우, 동작정보는 각각의 관절부의 모터들에 대응되는 구동패턴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350)는 동작정보와 상기 로봇 식별 정보가 매핑된 로봇 식별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봇 식별 테이블을 나타낸다.
제어 모듈(300)은 연결되는 각각의 입력 모듈(100) 또는 출력 모듈(200)의 로봇 식별 회로 인식 값을 ADC로 변환하여 로봇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3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봇 식별 테이블을 이용하여 로봇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입력 모듈(100) 및 출력 모듈(200)의 제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로봇 식별 테이블은 저장부(350)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로봇 식별 정보는 미리 결정된 이름에 대응될 수 있으며, 또한 각각의 음성 정보, 광 출력 정보 및 이동패턴 정보에 대응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모듈(100)로부터 식별되는 로봇 식별 정보(ID)는 '1'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 모듈(300)은 입력 모듈(100)이 연결되면, 그 이름을 'princess'로 식별할 수 있으며, 로봇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음성 정보 'A', 'B', 'C'를 이용하여 음성 파일을 재생할 수 있고, 출력 모듈(200)을 통해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300)은 로봇 식별 정보 '1'에 대응되는 광 출력 정보 'pink'를 이용하여 출력 모듈(200)의 광 출력부(260)를 제어하여 광 출력부(260)와 연결된 LED 등의 조명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300)은 로봇 식별 정보 '1' 에 대응되는 이동 패턴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이동 패턴 정보는 예를 들어, 'AABBAA'와 같이 미리 결정된 이동 패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 모듈(300)은 출력 모듈(200)의 이동부(270)를 제어하여 광 출력부(270)와 연결된 액츄에이터 또는 모터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이동 패턴에 따른 이동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입력 모듈(100)로부터 식별되는 로봇 식별 정보(ID)는 '2'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 모듈(300)은 입력 모듈(100)이 연결되면, 그 이름을 'ironman'으로 식별할 수 있으며, 로봇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음성 정보 'D', 'E', 'F'를 이용하여 음성 파일을 재생할 수 있고, 출력 모듈(200)의 음성 출력부(250)를 통해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300)은 로봇 식별 정보 '2'에 대응되는 광 출력 정보 'red'를 이용하여 출력 모듈(200)의 광 출력부(260)를 제어하여 광 출력부(260)와 연결된 LED 등의 조명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300)은 로봇 식별 정보 '2' 에 대응되는 이동 패턴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이동 패턴 정보는 예를 들어, 'ABCABC'와 같이 앞서 ID가 '1'인 경우와는 상이하게 미리 결정된 이동 패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 모듈(300)은 출력 모듈(200)의 이동부(270)를 제어하여 광 출력부(270)와 연결된 액츄에이터 또는 모터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이동 패턴에 따른 이동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 모듈(100)로부터 식별되는 로봇 식별 정보(ID)는 '3'일 수 있으며, 제어 모듈(300)은 입력 모듈(100)이 연결되면, 로봇 식별 테이블에 기초하여 그 이름을 'spiderman'으로 식별할 수 있으며, 로봇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음성 정보 'G', 'H'를 이용하여 음성 파일을 재생할 수 있고, 출력 모듈(200)의 음성 출력부(250)를 통해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300)은 로봇 식별 정보 '3'에 대응되는 광 출력 정보 'red'를 이용하여 출력 모듈(200)의 광 출력부(260)를 제어하여 광 출력부(260)와 연결된 LED 등의 조명 제어를 수행할 수 있고, 제어 모듈(300)은 로봇 식별 정보 '3' 에 대응되는 이동 패턴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이동 패턴 정보는 예를 들어, 'DDACCA'와 같이 앞서 ID가 '1' 또는 '2'인 경우와는 상이하게 미리 결정된 이동 패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 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입력 모듈
200: 출력 모듈
300: 제어 모듈

Claims (7)

  1. 로봇 완구에 있어서,
    입력 모듈 또는 출력 모듈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연결된 모듈이 상기 입력 모듈 또는 상기 출력 모듈인지 여부를 자석 센서로 감지하여 스위칭을 수행하는 스위칭부;
    상기 스위칭부의 동작에 따라, 상기 연결된 모듈이 입력 모듈인 경우, 상기 입력 모듈의 로봇 식별 회로와 연결되어 입력 정보를 처리하는 입력 처리부; 및
    상기 스위칭부의 동작에 따라, 상기 연결된 모듈이 출력 모듈인 경우, 상기 출력 모듈의 출력부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출력 처리부를 포함하는
    모듈형 로봇 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처리부 또는 상기 출력 처리부는
    상기 입력 모듈 또는 상기 출력 모듈이 최초 접속시 모듈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시스템에 등록시키는
    모듈형 로봇 완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연결된 모듈에 포함된 자석의 자기력을 감지하는 자석 센서; 및
    상기 자석 센서의 자기력 센싱 결과에 따라, 통신회로를 입력 포트 또는 출력 포트 중 어느 하나로 연결시키는 스위칭 회로를 포함하는
    모듈형 로봇 완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모듈 또는 출력 모듈은
    상기 제어 모듈의 전원 공급에 따라 상기 입력 모듈 또는 출력 모듈의 로봇 식별 정보를 상기 제어 모듈로 전달하는
    모듈형 로봇 완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모듈은
    상기 제어 모듈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하나 이상의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모듈형 로봇 완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모듈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제어되는 음성출력부, 광출력부 및 이동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모듈형 로봇 완구.
  7. 로봇 완구 시스템에 있어서,
    로봇 식별 회로 및 하나 이상의 입력부를 포함하는 입력 모듈;
    제어부 및 하나 이상의 출력부를 포함하는 출력 모듈; 및
    상기 입력 모듈 또는 출력 모듈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연결된 모듈이 상기 입력 모듈 또는 상기 출력 모듈인지 여부를 자석 센서로 감지하여 스위칭을 수행하는 스위칭부;
    상기 스위칭부의 동작에 따라, 상기 연결된 모듈이 입력 모듈인 경우, 상기 입력 모듈의 로봇 식별 회로와 연결되어 입력 정보를 처리하는 입력 처리부; 및
    상기 스위칭부의 동작에 따라, 상기 연결된 모듈이 출력 모듈인 경우, 상기 출력 모듈의 출력부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출력 처리부를 포함하는
    모듈형 로봇 완구 시스템.
KR1020160005057A 2016-01-15 2016-01-15 자석을 이용한 모듈형 로봇 완구 및 로봇 완구 시스템 KR201700856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5057A KR20170085667A (ko) 2016-01-15 2016-01-15 자석을 이용한 모듈형 로봇 완구 및 로봇 완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5057A KR20170085667A (ko) 2016-01-15 2016-01-15 자석을 이용한 모듈형 로봇 완구 및 로봇 완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5667A true KR20170085667A (ko) 2017-07-25

Family

ID=59426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5057A KR20170085667A (ko) 2016-01-15 2016-01-15 자석을 이용한 모듈형 로봇 완구 및 로봇 완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85667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31182A1 (ko) 2018-05-30 2019-12-05 (주) 로봇팩토리 모듈러 로봇 시스템
WO2019231181A1 (ko) 2018-05-30 2019-12-05 (주) 로봇팩토리 모듈러 로봇 시스템
WO2020019887A1 (zh) * 2018-07-25 2020-01-30 上海葡萄纬度科技有限公司 一种组装积木组件
KR20200059701A (ko) 2018-11-21 2020-05-29 (주) 로보라이즌 모듈러 로봇 시스템
KR20200059708A (ko) 2018-11-21 2020-05-29 (주) 로보라이즌 모듈러 로봇 시스템
KR20210009520A (ko) 2019-07-17 2021-01-27 (주) 로보라이즌 조립 편의성이 향상된 모듈러 로봇 시스템
KR20210009521A (ko) 2019-07-17 2021-01-27 (주) 로보라이즌 원점 인식이 가능한 스텝모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모듈러 로봇 시스템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31182A1 (ko) 2018-05-30 2019-12-05 (주) 로봇팩토리 모듈러 로봇 시스템
WO2019231181A1 (ko) 2018-05-30 2019-12-05 (주) 로봇팩토리 모듈러 로봇 시스템
KR20190136372A (ko) 2018-05-30 2019-12-10 (주) 로보라이즌 모듈러 로봇 시스템
KR20190136371A (ko) 2018-05-30 2019-12-10 (주) 로보라이즌 모듈러 로봇 시스템
US11623345B2 (en) 2018-05-30 2023-04-11 RoboRisen Co., Ltd. Modular robot system
US11878416B2 (en) 2018-05-30 2024-01-23 RoboRisen Co., Ltd. Modular robot system
WO2020019887A1 (zh) * 2018-07-25 2020-01-30 上海葡萄纬度科技有限公司 一种组装积木组件
KR20200059701A (ko) 2018-11-21 2020-05-29 (주) 로보라이즌 모듈러 로봇 시스템
KR20200059708A (ko) 2018-11-21 2020-05-29 (주) 로보라이즌 모듈러 로봇 시스템
KR20210009520A (ko) 2019-07-17 2021-01-27 (주) 로보라이즌 조립 편의성이 향상된 모듈러 로봇 시스템
KR20210009521A (ko) 2019-07-17 2021-01-27 (주) 로보라이즌 원점 인식이 가능한 스텝모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모듈러 로봇 시스템
US11951414B2 (en) 2019-07-17 2024-04-09 Robo Risen Co., Ltd. Modular robot system having improved assembly convenien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85667A (ko) 자석을 이용한 모듈형 로봇 완구 및 로봇 완구 시스템
KR102108669B1 (ko) 변경 가능한 캐릭터를 가진 로봇
KR101696151B1 (ko) IoT 기반의 모듈러 로보틱스 시스템
JP5563464B2 (ja) 玩具構築システム
TW542739B (en)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about the orientation of a robot and information about the distance between the system and a robot
US9878261B1 (en) Toy reactive to a signal
KR20140071232A (ko) 동작 완구
JP2003522556A (ja) 相互作用する玩具
US20190076748A1 (en) IR Dongle with Speaker for Electronic Device
US7996111B2 (en) Robotic device
KR20210032871A (ko) 툴 커플러, 툴 체인저 및 이를 포함하는 툴체인지 시스템
CN205750377U (zh) 一种多关节小型机器人电控系统
US11207785B2 (en) Tool changer and tool change system
JP6196915B2 (ja) ブロック、ブロックシステム、およびブロック間電力供給方法
KR101712488B1 (ko) 로봇, 스마트 블록 완구 및 이를 이용한 로봇 제어 시스템
KR20190067035A (ko) 장난감 식별 블록을 구비한 알고리즘 생성 장치
KR20170085668A (ko)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모듈형 로봇 완구 및 로봇 완구 시스템
JP2017035617A (ja) 動作玩具
US20120330446A1 (en) Micro-processing device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use thereof
CN110812858A (zh) 一种磁感触发玩具及其控制方法
KR20160149584A (ko) 카트리지형 로봇 완구, 로봇 완구용 카트리지 및 로봇 완구 시스템
KR101708408B1 (ko) 조립 블록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완구
KR100956134B1 (ko) 웹 환경 내에서 이루어지는 완구용 로봇의 활용시스템
KR102721237B1 (ko) 툴 체인저 및 이를 포함하는 툴 체인지 시스템
US20190137959A1 (en) Operation replay module using history stor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