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0436B1 - Inkjet record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Inkjet record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0436B1
KR101680436B1 KR1020147006977A KR20147006977A KR101680436B1 KR 101680436 B1 KR101680436 B1 KR 101680436B1 KR 1020147006977 A KR1020147006977 A KR 1020147006977A KR 20147006977 A KR20147006977 A KR 20147006977A KR 101680436 B1 KR101680436 B1 KR 101680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head
flow path
heads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69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64876A (en
Inventor
레호 간
Original Assignee
코니카 미놀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니카 미놀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코니카 미놀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64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487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0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043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96Ink pumps, ink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8Ink recircula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02Frame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8Ink recirculation systems
    • B41J2/185Ink-collectors; Ink-catchers
    • B41J2002/1856Ink-collectors; Ink-catchers waste ink containers

Landscapes

  • Ink Jet (AREA)

Abstract

기록 매체에 동일 색의 잉크를 토출하는 복수의 헤드(3)와, 복수의 헤드 각각에 공급하는 잉크를 저류하는 잉크 탱크(84)와, 잉크 탱크로부터 헤드측으로 잉크를 보내는 송액부(850)를 구비하고, 각 헤드는, 그의 내부에 잉크가 채워지는 매니폴드와, 당해 매니폴드(34)에 연통하는 제1 및 제2 포트(341, 342)를 갖고, 각 헤드의 제1 포트와 제2 포트 각각에 이어지는 잉크 유로에, 개폐 전환 가능한 밸브(874, 875)를 설치하고, 각 헤드의 제1 및 제2 포트 각각에 이어지는 밸브의 개폐를 개별로 제어하는 제어부(9)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개개의 헤드마다 잉크 토출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잉크의 소비를 억제하면서 신속한 유지 보수를 가능하게 한다.A plurality of heads 3 for ejecting ink of the same color on a recording medium, an ink tank 84 for storing ink to be suppli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heads, and a liquid delivering section 850 for sending ink from the ink tank to the head side And each head has a manifold in which ink is filled, and first and second ports (341, 342) communicating with the manifold (34), and the first port and the second port And a control section 9 for individually opening and closing the valve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ports of the respective heads, respectively, by providing valves 874 and 875 which can be opened and closed in the ink flow path following each of the ports. The ink ejection is enabled for each head, thereby enabling quick maintenance while suppressing ink consumption.

Description

잉크젯 기록 장치 {INKJET RECORDING APPARATUS}[0001] INKJET RECORDING APPARATUS [0002]

본 발명은 헤드에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 공급 장치를 구비한 잉크젯 기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k jet recording apparatus provided with an ink supply device for supplying ink to a head.

보통지나 플라스틱 박판 등의 다양한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할 수 있는 기록 장치로서 잉크젯 프린터가 있다. 잉크젯 프린터는, 노즐 구멍으로부터 잉크를 토출하는 헤드를 구비하고 있다. 헤드의 노즐 구멍으로부터 기록 매체를 향해 미세한 액적으로서 잉크를 토출함으로써, 기록 매체에 화상이 형성된다.There is an ink jet printer as a recording apparatus capable of forming an image on various recording media such as ordinary or plastic thin plates. The inkjet printer has a head for ejecting ink from a nozzle hole. An image is formed on the recording medium by ejecting ink as fine droplets from the nozzle hole of the head toward the recording medium.

헤드는 잉크가 저류된 탱크에 접속되어 있고, 이 탱크로부터 헤드에 잉크가 공급된다.The head is connected to a tank in which ink is stored, and ink is supplied to the head from the tank.

그때, 잉크에 용존 기체나 기포가 혼입되어 있거나, 잉크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혼입되어 있으면, 토출 불량의 원인이 되므로, 종래의 잉크젯 기록 장치에서는 홈 포지션에 있어서 헤드의 유지 보수를 행하고 있다.At this time, if dissolved gas or air bubbles are mixed in the ink, or foreign matter such as dust is mixed in the ink, it causes the discharge failure. 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ink jet recording apparatus, maintenance of the head is performed in the home position.

헤드의 유지 보수는, 홈 포지션에 설치된 캡핑 수단의 캡 케이스를 헤드의 노즐에 밀착시켜, 잉크 탱크로부터 헤드에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 유로에 설치된 전자기 밸브를 폐쇄하여 캡 케이스 내를 펌프에 의해 부압화하고, 목표 압력까지 저하한 후 전자기 밸브를 개방한다. 이에 의해, 잉크 탱크 내의 잉크가 헤드를 통과하여 캡 케이스 내로 급격하게 유입되고, 그 기세에 의해 헤드 내의 기포나 헤드 내부에 부착된 오염이나 이물질을 전부 헤드 외부로 배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Maintenance of the head is performed by closing the electromagnetic valve provided in the ink flow path for supplying the ink from the ink tank to the head by closely contacting the cap case of the capping means provided at the home position with the nozzle of the head, And the electromagnetic valve is opened after lowering to the target pressure. As a result, the ink in the ink tank rapidly flows into the cap case through the head, and the bubbles in the head and the dirt and foreign matter adhering to the inside of the head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ead owing to the momentum For example, see Patent Document 1).

또한, 다른 잉크젯 기록 장치는, 헤드에 잉크의 공급을 행하는 공급 유로와, 헤드로부터 잉여 잉크를 회수하는 회수 유로를 구비하고, 유지 보수 시에는 공급 유로로부터 헤드에 잉크를 공급하고, 헤드 내를 순환하여 회수 유로로부터 헤드 밖으로 잉크를 배출시킨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2 참조).Another ink-jet recording apparatus has a supply flow path for supplying ink to the head and a recovery flow path for recovering surplus ink from the head, and supplies ink to the head from the supply flow path during maintenance, And the ink is discharged from the recovery flow path to the head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2).

또한, 헤드는 회수 유로의 앞쪽에 먼지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가 설치되어 있다. 즉, 헤드에 대하여 잉크의 순환을 행함으로써, 잉크의 혼입물 등을 필터로 제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Further, the head is provided with a filter for filtering dust and foreign matter in front of the recovery flow path. That is, by circulating the ink with respect to the head,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ink mixture or the like with a filter.

또한, 다른 잉크젯 기록 장치는 헤드를 복수 구비하고, 각 헤드에는, 내부에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 포트와 공급된 잉크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 포트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헤드의 배출 포트를 다른 헤드의 공급 포트에 접속함으로써, 전체 헤드를 직렬로 연결하고, 일단부로부터 잉크를 공급함으로써 모든 헤드에 대하여 유지 보수를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3 참조).In another inkjet recording apparatus, a plurality of heads are provided, and each head is provided with a supply port for supplying ink therein and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supplied ink. By connecting the discharge port of each head to the supply port of the other head, it is possible to perform maintenance on all the heads by connecting the entire heads in series and supplying ink from one end (see, for example, Patent 3).

일본 특허 공개 제2001-113726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1-113726 일본 특허 공개 제2007-261234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7-261234 일본 특허 공개 제2009-285900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9-285900

그러나 상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종래의 잉크젯 기록 장치에서는, 복수의 헤드에 대하여 동시에 캡핑을 행하고, 전체 헤드로부터 캡 케이스에 대하여 잉크를 토출시킨다. 이로 인해, 토출이 양호한 헤드에 대해서도 동시에 캡핑이 행해져, 불필요한 잉크의 소비가 증가하는 것이 문제가 되고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ink-jet recording apparatus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a plurality of heads are simultaneously capped, and ink is ejected from the entire head to the cap case. As a result, there has been a problem in that capping is performed for a head having good ejection at the same time, and consumption of unnecessary ink is increased.

그 점에서, 특허 문헌 2의 잉크젯 기록 장치에서는, 헤드 내를 통과한 잉크는 회수 유로에서 회수되어 다시 잉크 탱크로 복귀시키고 있으므로, 불필요한 잉크의 소비를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잉크를 잉크 탱크로 복귀시키므로, 잉크 탱크측으로 혼입물이 침입되지 않도록, 각 헤드 내에 필터를 설치하는 것이 필요해지고 있었다. 또한, 각 헤드에 필터를 설치함으로써, 필터의 정기적인 점검도 필요해진다고 하는 문제도 발생하고 있었다.In this regard, in the inkjet recording apparatus of Patent Document 2, the ink that has passed through the head is recovered in the recovery channel and returned to the ink tank, so that unnecessary consumption of ink is not caused. However, since the ink is returned to the ink tank, it has become necessary to provide a filter in each head so as to prevent the ingress of water into the ink tank. Further, by providing a filter on each head, it is necessary to periodically check the filter.

또한, 특허 문헌 3의 잉크젯 기록 장치에서는 헤드를 직렬로 접속하고 있으므로, 필터는 하나로 충분하지만, 직렬 접속으로 인해, 잉크 순환에 따른 유지 보수 작업에 장시간을 필요로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In the inkjet recording apparatus of Patent Document 3, since the heads are connected in series, one filter is sufficient, but there is a problem that a long time is required for the maintenance work due to ink circulation due to the series connection.

본 발명은, 잉크의 소비를 억제하면서 신속히 헤드의 유지 보수를 실현하는 잉크젯 기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k-jet recording apparatus that can rapidly maintain the maintenance of the head while suppressing the consumption of ink.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은 기록 매체에 동일 색의 잉크를 토출하는 복수의 헤드와, 상기 복수의 헤드 각각에 공급하는 잉크를 저류하는 잉크 탱크와, 상기 잉크 탱크로부터 상기 헤드측으로 잉크를 보내는 송액부를 구비하고, 상기 각 헤드는, 그의 내부에 잉크가 채워지는 매니폴드와, 당해 매니폴드에 연통하는 제1 및 제2 포트를 갖고, 상기 각 헤드의 제1 포트와 제2 포트 각각에 이어지는 잉크 유로에, 개폐 전환 가능한 밸브를 설치하고, 상기 각 헤드의 제1 및 제2 포트 각각에 이어지는 밸브의 개폐를 개별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k jet recording head comprising: a plurality of heads for ejecting ink of the same color on a recording medium; an ink tank for storing ink to be suppli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heads; Wherein each of the heads has a manifold in which ink is filled and first and second ports communicating with the manifold, wherein each of the first port and the second port of the head And a control section for separately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valve following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ports of each of the heads.

또한, 본 발명은 모든 상기 헤드의 제1 포트가 상기 밸브를 개재하여 병렬로 접속된 공통 유로를 구비하고, 상기 각 헤드에 대하여 상기 공통 유로를 통해 잉크가 공급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first ports of all of the heads have a common flow passage connected in parallel through the valve, and ink is supplied to each of the heads through the common flow passag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공통 유로에 접속되어 당해 공통 유로의 내부의 잉크를 배출하는 배출 유로와, 당해 배출 유로에 설치된 개폐 전환 가능한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출 유로의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a discharge flow path connected to the common flow path for discharging the ink inside the common flow path, and a valve that can be switched on and off provided in the discharge flow path, and the control section controls .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잉크 탱크로부터 상기 각 헤드에 이르는 잉크 유로의 도중에, 상기 각 헤드 내를 대기압보다 낮은 부압 상태로 유지하는 부압 형성부를 설치하고, 상기 부압 형성부를 통하지 않고 잉크 공급을 행하는 우회 유로와, 상기 부압 형성부의 전후에 잉크 공급 시의 압력을 차단하기 위한 개폐 전환 가능한 밸브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middle of the ink flow path from the ink tank to each of the heads, a negative pressure forming portion for maintaining the inside of each of the heads at a negative pressure lower than the atmospheric pressure is provided, And a valve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for blocking the pressure at the time of ink supply may be provided before and after the negative pressure forming por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 발명은 복수 헤드의 제1 및 제2 포트 각각에 밸브를 설치하고, 제어부에 의해 당해 각 밸브의 개폐를 개별로 제어하는 구성으로 했으므로, 어느 하나의 헤드에 대하여 유지 보수의 필요가 발생한 경우에, 당해 유지 보수의 대상이 되는 헤드만 선택적으로 잉크 공급을 행할 수 있어, 유지 보수 작업에 있어서의 잉크의 소비량 저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a valve is provided for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ports of a plurality of heads, and the opening and closing of each valve is individually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supply the ink only to the head which is the object of the maintenance in the case of necessity of maintenance,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nsumption amount of the ink in the maintenance work.

또한, 유지 보수에 사용한 잉크를 잉크 탱크로 복귀시키지 않더라도 유지 보수 작업에 있어서의 잉크의 소비량 저감이 가능하므로, 각 헤드마다 필터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이로 인해, 필터에서 걸러진 이물질에 의한 헤드 내에서의 노즐 막힘의 발생을 회피하는 동시에, 필터의 점검도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다.Further, even if the ink used for the maintenance is not returned to the ink tank,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nsumption of ink in the maintenance work, so that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 filter for each hea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avoid the occurrence of clogging of the nozzle in the head due to the foreign matter filtered by the filter, and it may not be necessary to check the filter.

또한, 전체 헤드를 직렬 접속하여 유지 보수를 행하는 경우에 비해, 유지 보수 대상이 되는 일부의 헤드에만 유지 보수를 행하면 되므로, 그 소요 시간도 대폭으로 단축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maintenance is performed by connecting all the heads in series, the maintenance can be performed only on a part of the maintenance target head, so that the time required can be greatly shortened.

또한, 모든 헤드의 제1 포트에 밸브를 개재하여 병렬로 접속된 공통 유로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에는, 복수의 헤드를 직렬 접속하는 경우와 달리, 어떤 헤드 내의 기포나 혼입물이 다른 헤드 내로 이동하는 일이 없어, 단시간에 효과적으로 유지 보수를 행할 수 있게 된다.In the case of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common flow path connected in parallel via the valve to the first port of all the heads is provided, unlike the case where a plurality of heads are connected in series, So that maintenance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in a short period of time.

또한, 예를 들어 헤드 내의 압력 조정 등은, 이 공통 유로를 통하여 행함으로써 전체 헤드에 대하여 한번에 행할 수 있다.In addition, for example, pressure adjustment in the head can be performed on the entire head at one time by performing this through the common flow path.

또한, 공통 유로 내부의 잉크를 배출하는 배출 유로를 설치한 경우에는, 공통 유로 내에 발생한 기포를 배출 유로로부터 간단하게 배출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discharge flow path for discharging the ink inside the common flow path is provided, the bubbles generated in the common flow path can be easily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flow path.

또한, 부압 형성부와 우회 유로를 구비하는 구성의 경우에는, 유지 보수 시에 헤드에 대하여 통상 시보다도 높은 압력을 부여하는 경우에도, 부압 형성부의 전후 밸브를 폐쇄함으로써 압력의 영향을 피할 수 있어, 부압 형성부의 보호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Further, in the case of the configuration including the negative pressure forming portion and the bypass passage, even when a higher pressure than the normal pressure is applied to the head during maintenance, the influence of the pressure can be avoided by closing the front and rear valves of the negative pressure forming portion, The negative pressure forming portion can be protected.

도 1은 잉크젯 기록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캐리지 위의 헤드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헤드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잉크 공급 장치의 개략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5는 공통 유로와 각 헤드의 접속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6은 잉크젯 기록 장치의 제어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액면 감시 제어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유지 보수 대상이 되는 일부의 헤드에 대한 헤드 유지 보수 제어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는 송액 제어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은 부압 형성부 배압 조정 제어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1은 와이핑 제어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2a는 소정의 헤드의 기록 동작용 밸브를 개방하여, 유지 보수 밸브를 폐쇄한 상태에서의 유지 보수에 있어서의 공급 압력을 단계적으로 바꾸어 행한 경우의 노즐 막힘의 회복 상황을 나타낸 도표이다.
도 12b는 소정의 헤드의 기록 동작용 밸브와 유지 보수 밸브의 양쪽을 개방한 상태에서의 유지 보수에 있어서의 공급 압력을 단계적으로 바꾸어 행한 경우의 헤드 내의 기포 제거 상황을 나타낸 도표이다.
도 13은 전체 헤드에 대한 헤드 유지 보수 제어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4a는 공통 유로의 변형예를 나타낸 개략 정면도이며, 공통 유로의 우측 단부에 제8 잉크 유로를 접속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b는 공통 유로의 변형예를 나타낸 개략 정면도이며, 공통 유로의 좌측 단부에 제8 잉크 유로를 접속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c는 공통 유로의 변형예를 나타낸 개략 정면도이며, 공통 유로의 중앙부에 제8 잉크 유로를 접속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kjet recording apparatus.
2 is a plan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heads on the carriag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head.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outline of an ink supply device.
Fig. 5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the connection state of each head and the common flow path.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system of the inkjet recording apparatus.
7 is a flow chart showing the liquid level monitoring control.
8 is a flowchart showing the head maintenance control for a part of the heads to be subjected to maintenance.
Fig. 9 is a flowchart showing the liquid delivery control.
10 is a flowchart showing the negative pressure forming sub-pressure regulating control.
11 is a flowchart showing the wiping control.
FIG. 12A is a chart showing a recovery situation of nozzle clogging in the case where the recording operation valve of a predetermined head is opened and the supply pressure in the maintenance in the state where the maintenance valve is closed is changed stepwise.
FIG. 12B is a chart showing a bubble removal state in the head when the supply pressure in the maintenance operation is changed stepwise in a state where both the recording operation valve and the maintenance valve of the predetermined head are opened.
13 is a flowchart showing head maintenance control for the entire head.
14A is a schematic front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common flow path, and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eighth ink flow path is connected to the right end portion of the common flow path.
Fig. 14B is a schematic front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common flow path,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eighth ink flow path is connected to the left end of the common flow path. Fig.
Fig. 14C is a schematic front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common flow passage,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eighth ink flow passage is connect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common flow passage. Fig.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인 잉크 공급 장치를 탑재한 잉크젯 기록 장치(10)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3에 의거하여 설명을 행한다. 도 1은 잉크젯 기록 장치(10)의 전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The ink-jet recording apparatus 10 equipped with the ink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3.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whole of the inkjet recording apparatus 10.

잉크젯 기록 장치(10)는 기록 매체를 수평 방향을 따라서 반송하는 반송 장치(20)와, 반송되는 기록 매체에 상방으로부터 잉크를 토출하는 복수의 헤드(3)(도 2 참조)를 탑재하는 캐리지(4)와, 캐리지(4)를 기록 매체의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수평 방향을 따라서 반송하는 주주사 장치(5)와, 캐리지(4)에 탑재된 각 헤드(3)의 유지 보수를 행하는 유지 보수부(7), 캐리지(4)에 탑재된 각 헤드(3)의 노즐(311)의 보습을 행하는 노즐 보습부(6)와, 캐리지(4)에 탑재된 각 헤드(3)에의 잉크 공급을 행하는 잉크 공급 장치(8)(도 4 참조)와, 이들 각 구성을 제어하는 제어부로서의 제어 장치(9)(도 6 참조)와, 전체를 지지하는 프레임(100)을 주로 구비하고 있다.The inkjet recording apparatus 10 includes a carriage 20 for carrying a recording medium along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carriage (not shown) for mounting a plurality of heads 3 (see Fig. 2) A main maintenance unit 5 for carrying the carriage 4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onveyance direction of the recording medium and a maintenance unit 5 for maintenance of each head 3 mounted on the carriage 4, A nozzle moisturizing section 6 for moisturizing the nozzles 311 of each head 3 mounted on the carriage 4 and an ink supply section 6 for supplying ink to each head 3 mounted on the carriage 4 The ink supply device 8 (see Fig. 4), a control device 9 (see Fig. 6) a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se components, and a frame 100 for supporting the whole.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수평 방향이며 기록 매체의 반송 방향을 따른 방향을 Y축 방향, 수평 방향이며 캐리지(4)의 반송 방향을 따른 방향을 X축 방향 또는 주주사 방향, 연직 상하 방향을 Z축 방향이라 하기로 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the direction along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recording medium is the Y axis direction, the direction along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carriage 4 is the X axis direction or the main scanning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is the Z axis Direction.

[반송 장치][Return Device]

반송 장치(20)는 구동 롤러(21) 및 종동 롤러(도시 생략)와, 구동 모터(22)와, 반송 벨트(23)를 구비하고 있다.The conveying apparatus 20 includes a driving roller 21 and a driven roller (not shown), a driving motor 22, and a conveying belt 23.

구동 롤러(21) 및 종동 롤러는,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고, 구동 롤러(21)는 주주사 방향(X)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구동 모터(22)는 구동 롤러(21)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구동원이며, 구동 롤러(21)의 일단부측에 설치되어 있다.The drive roller 21 and the driven roller are rotatably supported by a shaft, and the drive roller 21 is arranged to extend in the main-scan direction X. The drive motor 22 is a drive source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drive roller 21 and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drive roller 21. [

반송 벨트(23)는 무단부 형상으로 형성되어, 구동 롤러(21)와 종동 롤러 사이에 걸쳐져 있다. 반송 벨트(23)는 구동 롤러(21)가 회전하면 구동 롤러(21)와 종동 롤러 사이를 주회하여 그 상면에 적재된 기록 매체를 Y축 방향을 따른 반송 방향(F)을 향해 반송하고, 구동 롤러(21)의 회전이 정지되면, 양 롤러 사이에서의 주회를 정지하고, 기록 매체의 반송을 정지한다.The conveyor belt 23 is formed in an endless shape and runs between the drive roller 21 and the driven roller. When the drive roller 21 rotates, the conveyor belt 23 circulates between the drive roller 21 and the driven roller, conveys the recording medium stack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in the conveying direction F along the Y-axis direction, When the rotation of the rollers 21 is stopped, the main circulation between the rollers is stopped and the conveyance of the recording medium is stopped.

구동 모터(22)는 제어 장치(90)의 제어에 따라, 헤드(3)가 X축 방향을 따른 편도 1회분의 주사가 종료되면, 구동 롤러(21)를 소정량만큼 회전시켜서 기록 매체를 반송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반송시켜서 정지시키고, 헤드(3)가 주주사 방향(X)의 반대 방향으로의 주사를 개시하여 종료되면, 구동 롤러(21)를 다시 소정량만큼 회전시켜서 기록 매체를 반송 방향(F)으로 소정 거리만큼 반송시켜서 정지시키는 것을 반복하여, 기록 매체를 소위 간헐 반송한다.The drive motor 22 rotates the drive roller 21 by a predetermined amount and drives the recording medium to be transported by the drive motor 21 when the head 3 finishes scanning the one- When the head 3 starts to scan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main scanning direction X and finishes, the driving roller 21 is rotated again by a predetermined amount to move the recording medium in the transport direction F for a predetermined distance to stop the recording medium, so that the recording medium is intermittently conveyed.

또한, 기록 매체로서는 종이나 포백(패브릭) 외에, 수지 필름이나 금속류 등을 사용할 수 있다.As the recording medium, a resin film, a metal or the like can be used in addition to a paper or fabric (fabric).

[프레임][frame]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00)은 X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직사각형의 본체부(101)와, 본체부(101)에 있어서의 X축 방향 일단부를 지지하는 제1 토대부(102)와, 본체부(101)에 있어서의 X축 방향 타단부를 지지하는 제2 토대부(103)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1, the frame 100 includes a rectangular main body portion 101 extending along the X-axis direction, a first toothed portion 102 (see Fig. 1) supporting the one end portion in the X- And a second toe portion 103 for supporting the other end portion in the X-axis direc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101. [

제1 토대부(102)는 그 내부에 노즐 보습부(6)를 저장 보유 지지하면서 본체부(101)의 일단부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고 있다. 또한, 제2 토대부(103)는 그 내부에 유지 보수부(7)를 저장 보유 지지하면서 본체부(101)의 타단부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고 있다.The first toe portion 102 supports one end of the main body portion 101 from below while storing and holding the nozzle moisturizing portion 6 therein. The second toe portion 103 supports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portion 101 from below while storing and retaining the maintenance portion 7 therein.

본체부(101)는, 후술하는 주주사 장치(5)의 한 쌍의 캐리지 레일(51, 51)을 X축 방향을 향하게 한 상태에서 내측에 저장 보유 지지하고 있고, 캐리지(4)는 본체부(101)의 내부에서 X축 방향을 따라서 반송된다.The main body 101 stores and holds a pair of carriage rails 51 and 51 of the main scanning device 5 described later in the X axis direction while the carriage 4 is in the main body 101 in the X-axis direction.

또한, 제1 토대부(102)와 제2 토대부(103)는, 전술한 반송 장치(20)를 사이에 두고 X축 방향의 양측에 배치되고, 본체부(101)는 반송 장치(20)의 상방에 가설되어 있다. 이에 의해, 반송 장치(20)에 의한 기록 매체의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캐리지(4)를 반송하면서 당해 캐리지(4)에 탑재된 각 헤드(3)로부터 잉크를 토출하여 화상 형성을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The first toe portion 102 and the second toe portion 103 are disposed on both sides in the X axis direction with the carrying device 20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main body portion 101 is supported by the carrying device 20, As shown in Fig. Thereby, the ink is ejected from each head 3 mounted on the carriage 4 while conveying the carriage 4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onveyance direction of the recording medium by the conveyance device 20, .

[주주사 장치 및 캐리지][Main equipment and carriage]

주주사 장치(5)는 프레임(100)의 본체부(101) 내부에 있어서, X축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지지된 막대 형상의 한 쌍의 캐리지 레일(51, 51)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한 쌍의 캐리지 레일(51, 51)은, 반송 장치(20)의 반송 벨트(23)의 상방을 걸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캐리지 레일(51, 51)에는, 상자 형상의 캐리지(4)가 X축 방향을 따라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The main scanning apparatus 5 has a pair of rod-shaped carriage rails 51, 51 which are supported so as to extend along the X-axis direction in the main body 101 of the frame 100. As shown in Fig. These pair of carriage rails 51 and 51 are provided so as to extend over the conveying belt 23 of the conveying device 20. [ On the carriage rails 51, 51, a box-shaped carriage 4 is supported so as to be reciprocally movable along the X-axis direction.

캐리지(4)는 상부가 개방된 대략 직사각형의 하우징이며, 그 저판에 복수의 헤드(3)가 탑재된다. 캐리지(4)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Y축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면의 상부에 있어서 Y축 방향 양측을 향해 아암부(42, 42)가 연장되어 있고, 당해 각 아암부(42, 42)가 각각 리니어 가이드를 거쳐 캐리지 레일(51, 51)의 상부에 적재되어 있고, 이에 의해 캐리지 레일(51, 51) 위를 X축 방향을 따라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The carriage 4 i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housing with an open top, and a plurality of heads 3 are mounted on the bottom plate. 1, the carriage 4 has arm portions 42 and 42 extending toward both sides in the Y-axis direction on both sides in the Y-axis direction, and each of the arm portions 42, 42 are respectively mounted on the carriage rails 51, 51 via the linear guides so that they can slide on the carriage rails 51, 51 along the X-axis direction.

또한, 캐리지 레일(51, 51)과 캐리지(4)의 아암부(42, 42) 사이에는 리니어 모터가 장비되어 있다. 즉, 각 캐리지 레일(51, 51)에는 리니어 모터의 고정자가 장비되고, 캐리지(4)의 각 아암부(42, 42)에는 가동자가 장비되어 있고, 고정자측의 코일의 전류 제어에 의해 캐리지(4)는 X축 방향을 따른 반송 동작이 부여된다.A linear motor is provided between the carriage rails 51 and 51 and the arm portions 42 and 42 of the carriage 4. That is, each of the carriage rails 51 and 51 is equipped with a stator of a linear motor, and each of the arm portions 42 and 42 of the carriage 4 is equipped with a mover. By controlling the current of the coil on the stator side, 4 are given a carrying operation along the X-axis direction.

도 2는, 캐리지(4)의 저판(41)을 상방으로부터 본 개략 설명도이다. 이 잉크젯 기록 장치(10)에서는, Y(옐로우), Lm(라이트 마젠타), Or(오렌지), M(마젠타), Bk(블랙), Bl(블루), Lk(라이트 블랙), C(시안), Lc(라이트 시안)의 9색의 컬러에 대하여 각각 9개의 헤드(3)를 구비하고, 합계 81기의 헤드(3)가 캐리지(4)의 저판에 설치되어 있다.2 is a schematic explanatory view of the bottom plate 41 of the carriage 4 as viewed from above. In this inkjet recording apparatus 10, Y (yellow), Lm (light magenta), Or (orange), M (magenta), Bk (black) , And Lc (light cyan), and a total of 81 heads 3 are provided on the bottom plate of the carriage 4, respectively.

각 색채의 헤드군은, 도시한 바와 같이, X축 방향을 따라서 Y, Lm, Or, M, Bk, Bl, Lk, C, Lc의 순서로 배열하고 있으며, 각 헤드군의 9개의 헤드(3)는 Y축 방향을 따라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하여 배치되어 있다.The head group of each color is arranged in the order of Y, Lm, Or, M, Bk, Bl, Lk, C and Lc along the X- Are arranged in a zigzag shape along the Y-axis direction.

또한, 저판(41)은 각 헤드(3)의 설치 위치마다 Y축 방향을 따른 슬릿 형상의 개구를 구비하고 있고, 저판(41)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설치된 각 헤드(3)는 개구를 통하여 캐리지(4)의 바로 아래에 잉크의 액적을 토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The bottom plate 41 is provided with slit-shaped openings along the Y-axis direction for each mounting position of each head 3 and each head 3 provided from above to the bottom plate 41 is fixed to the carriage 4) in the ink droplet.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각 색채에 대해서, 9개의 헤드(3)를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함으로써, 캐리지(4)의 저판(41)에 있어서의 Y축 방향의 대략 전체 폭에 걸친 범위 내에서 임의의 위치에 각 색채의 잉크 토출을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by arranging the nine heads 3 in a staggered shape for each color, it is possible to arrange the nozzles 3 of the carriage 4 on the bottom plate 41 in an arbitrary So that ink can be ejected in each color.

[헤드][head]

도 3은 헤드(3)의 개략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헤드(3)는 잉크를 토출하는 복수의 노즐(311)이 형성된 노즐 플레이트(31)와, 잉크를 각 노즐(311)로 유도하는 복수의 채널(321)과 채널(321)에 대하여 용적 변화를 부여하여 잉크를 토출시키는 복수의 압전 소자(322)를 갖는 헤드 칩(32)과, 헤드 칩(32)의 각 압전 소자(322)에 구동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배선 기판(33)과, 헤드 칩(32)의 각 채널(321)에 필터(343)를 거쳐 잉크를 도입하는 매니폴드(34)를 주로 구비하고 있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chematic structure of the head 3. As shown in Fig. The head 3 has a nozzle plate 31 in which a plurality of nozzles 311 for ejecting ink are formed and a plurality of channels 321 and channels 321 for guiding ink to the nozzles 311, A wiring board 33 for applying a driving voltage to each piezoelectric element 322 of the head chip 32 and a head chip 32 for applying a driving voltage to the piezoelectric element 322 of the head chip 32. The head chip 32 has a plurality of piezoelectric elements 322, And a manifold 34 for introducing ink to each channel 321 of the ink tank 32 through a filter 343.

노즐 플레이트(31)는 직사각형의 평판이며, 헤드(3)가 캐리지(4)에 탑재된 상태에 있어서, 그 평판면이 X-Y 평면에 평행이 되고, 그 길이 방향이 Y축 방향에 평행하게 된다.The nozzle plate 31 is a rectangular flat plate and the flat surface thereof is parallel to the XY plane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is parallel to the Y axis direction in a state in which the head 3 is mounted on the carriage 4.

또한, 노즐 플레이트(31)에는 노즐(311)이 되는 관통 구멍이 Y축 방향을 따라서 일렬로 배열하여 복수 형성되어 있다.In the nozzle plate 31,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which become the nozzles 311, are arranged in a line along the Y-axis direction.

헤드 칩(32)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저면에는 노즐 플레이트(3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헤드 칩(32)은 노즐 플레이트(31)의 각 노즐(311)의 배치에 맞추어 복수의 채널(321)이 Y축 방향을 따라서 일렬로 배열하여 복수 형성되어 있다. 각 채널(321)은 헤드 칩(32)을 상하로 관통한 잉크 유로이며, 매니폴드(34) 내의 잉크를 개별로 노즐(311)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채널(321)에는 각각 압전 소자(322)가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고, 임의의 압전 소자(322)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당해 압전 소자(322)가 팽창 또는 신축되어, 대응하는 노즐(311)로부터 잉크의 토출을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The head chip 32 is form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a nozzle plate 31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thereof. A plurality of channels 321 are arranged in a line along the Y-axis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arrangement of the nozzles 311 of the nozzle plate 31. As shown in FIG. Each of the channels 321 is an ink flow path passing through the head chip 32. The ink in the manifold 34 can be individually guided to the nozzle 311. [ A piezoelectric element 322 is provided adjacent to each of the channels 321. By selectively applying a voltage to any piezoelectric element 322, the piezoelectric element 322 expands or contracts, So that the ink can be discharged from the corresponding nozzle 311.

헤드 칩(32)의 상면에는 배선 기판(33)이 설치되어 있다. 배선 기판(33)은, 도시하지 않은 헤드 구동 회로와 가요성 기판을 거쳐 접속되어 있고, 헤드 구동 회로로부터의 구동 전압을 헤드 칩(32)의 각 압전 소자(322)에 대하여 인가하기 위한 배선이 실시되어 있다.On the top surface of the head chip 32, a wiring board 33 is provided. The wiring board 33 is connected to a head drive circuit (not shown) via a flexible board, and wiring for applying a drive voltage from the head drive circuit to each piezoelectric element 322 of the head chip 32 .

또한, 배선 기판(33)은 매니폴드(34)의 개방된 하부를 폐색하도록 당해 매니폴드(34)에 설치되어 있고, 매니폴드(34) 내의 잉크가 헤드 칩(32)의 각 채널(321)측에 유통하도록, 직사각형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The wiring substrate 33 is provided in the manifold 34 so as to close the opened lower portion of the manifold 34 so that the ink in the manifold 34 flows into the respective channels 321 of the head chip 32, And a rectangular opening is formed so as to be communicated to the side of the valve body.

매니폴드(34)는 길이 방향이 Y축 방향을 따른 상태로 배치된 내부 중공의 직육면체이며, 전술한 바와 같이, 그 저부는 개방되어 있지만, 당해 개방부에 배선 기판(33)이 끼워 넣어져서 폐색되어 있다.The manifold 34 is an inner hollow rectangular parallelepiped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Y axis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the bottom portion of the manifold 34 is open, but the wiring substrate 33 is inserted into the open portion, .

또한, 매니폴드(34)의 Y축 방향의 일단부측과 타단부측의 상부에는, 각각 내부에 통하는 원통 형상의 제1 포트(341)와 제2 포트(342)가 형성되어 있다.A cylindrical first port 341 and a second port 342 are formed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one end side and the other end side of the manifold 34 in the Y axis direction.

또한, 매니폴드(34)의 내부는 잉크의 혼입물을 걸러내는 필터(343)에 의해 상하로 나뉘어져 있고, 상측 영역은 제1 포트(341) 및 제2 포트(342)로 이어져 있고, 하측 영역은 헤드 칩(32)으로 이어져 있다. 즉, 제1 포트(341) 또는 제2 포트(342)에 의해 외부로부터 매니폴드(34) 내에 공급된 잉크는, 필터(343)에 의해 여과되어서 헤드 칩(32)측으로 이동하고, 각 노즐(311)로부터 토출된다.The inside of the manifold 34 is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portions by a filter 343 for filtering the mixture of ink and the upper region is connected to the first port 341 and the second port 342, Which is connected to the head chip 32. That is, the ink supplied from the outside into the manifold 34 by the first port 341 or the second port 342 is filtered by the filter 343 to move toward the head chip 32, 311).

[유지 보수부][Maintenance Department]

유지 보수부(7)는 비기록 동작 시에 각 헤드(3)의 유지 보수를 행한다. 유지 보수부(7)는 반송 장치(20)로부터 벗어나, 캐리지 레일(51, 51)의 일단부측에 설치되어 있다. 즉, 캐리지(4)가 캐리지 레일(51, 51)의 일단부의 유지 보수부(7)와의 대향 위치까지 이동한 상태에서 유지 보수가 실시된다.The maintenance section 7 performs maintenance of each head 3 in the non-recording operation. The maintenance part 7 is provided at one end side of the carriage rails 51 and 51, away from the conveying device 20. [ That is, maintenance is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carriage 4 is moved to a position opposed to the maintenance part 7 at one end of the carriage rails 51, 51.

이 유지 보수부(7)는, 각 헤드(3)의 노즐 플레이트(31)의 하면 오염을 닦아내는 청소 장치와, 유지 보수 대상이 되는 헤드(3)에 의한 잉크의 토출을 행할 때의 받침 접시가 되는 잉크 트레이(71)(도 4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The maintenance section 7 includes a cleaning device for wiping off contamination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nozzle plate 31 of each head 3 and a cleaning device for cleaning the surface of the base plate 3 when discharging ink by the head 3 to be maintenance- And an ink tray 71 (see Fig. 4).

상기 청소 장치는, 주로 노즐 플레이트(31)의 하면에 미끄럼 접촉하는 X축 방향을 따른 회전축 주위로 회전 가능한 청소 롤러와, 당해 청소 롤러를 Y축 방향을 따라서 반송하는 롤러 반송 기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청소 롤러는 캐리지(4)에 탑재된 9색 헤드군 중의 3색분 헤드군의 닦아내기가 가능해지도록, X축 방향에 있어서의 폭이 설정되어 있고, 1왕복 반의 이동 동작에 의해 모든 헤드(3)의 청소를 실시한다. 그리고 이에 의해, 잉크의 고화에 의한 노즐(311) 막힘을 방지한다.The cleaning apparatus is mainly composed of a cleaning roller which is rotatable about a rotation axis along the X axis direction which is in sliding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nozzle plate 31 and a roller transport mechanism which conveys the cleaning roller along the Y axis direction . The width of the cleaning roller in the X-axis direction is set so that the head group of three colors in the nine-color head group mounted on the carriage 4 can be wiped off. Perform cleaning. This prevents clogging of the nozzle 311 due to solidification of the ink.

또한, 유지 보수 시의 잉크 트레이(71)에 대한 잉크의 토출은, 헤드(3)의 압전 소자(322)의 구동이 아닌, 잉크 공급 장치(8)의 잉크 공급압을 가지고 행해지고, 이에 의해 헤드(3) 내의 잉크 유로의 막힘 등을 해소할 수 있다.The ejection of the ink to the ink tray 71 at the time of maintenance is carried out with the ink supply pressure of the ink supply device 8 instead of driving the piezoelectric element 322 of the head 3, Clogging of the ink flow path in the ink tank 3 can be solved.

[노즐 보습부][Nozzle moisturizing part]

노즐 보습부(6)는 반송 장치(20)로부터 벗어나, 캐리지 레일(51, 51)의 타단부측에 설치되어 있다. 즉, 비기록 동작 시에, 캐리지(4)가 캐리지 레일(51, 51)의 타단부의 노즐 보습부(6)와의 대향 위치까지 이동하고, 이러한 상태에서 각 헤드(3)의 노즐(311)의 보습을 행한다.The nozzle moisturizing part 6 is provided on the other end side of the carriage rails 51, 51, away from the conveying device 20. [ That is, the carriage 4 moves to the opposite position to the nozzle moisturizing section 6 at the other end of the carriage rails 51, 51 in the non-recording operation, and the nozzle 311 of each head 3, .

즉, 이 노즐 보습부(6)는 노즐 플레이트(31)의 각 노즐(311)에 밀착되어, 각 노즐 내부를 보습액의 저장부에 접속한 상태로 하기 위한 것이고, 주로 보습액의 저장부와 그 승강 기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That is, the nozzle moisturizing part 6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espective nozzles 311 of the nozzle plate 31 so that the inside of each nozzle is connected to the storage part of the moisturizing liquid. It is composed by mechanism.

[잉크 공급 장치][Ink supply device]

도 4는 잉크 공급 장치(8)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잉크젯 기록 장치(10)는 이 잉크 공급 장치(8)를 각 색마다 구비하고 있다.Fig. 4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the ink supply device 8. Fig. The inkjet recording apparatus 10 has the ink supply device 8 for each color.

잉크 공급 장치(8)는 잉크를 저류하는 2개의 제1 탱크로서의 메인 탱크(81, 81)와, 각 메인 탱크(81, 81)로부터 잉크가 공급되는 제2 탱크로서의 서브 탱크(82)와, 서브 탱크(82)의 잉크 공급 방향 하류측에 설치된 탈기 장치(83)와, 탈기 장치(83)의 잉크 공급 방향 하류측에 설치되어, 잉크를 일시적으로 저류하는 잉크 탱크로서의 중간 탱크(84)와, 중간 탱크(84)의 잉크 공급 방향 하류측에 설치된 부압 형성부(86)와, 각 헤드(3)에 대하여 잉크를 공급하기 위해 각 헤드(3)가 제1 포트(341)가 병렬로 접속된 공통 유로(87)를 주로 구비하고 있다.The ink supply device 8 includes main tanks 81 and 81 as two first tanks for storing ink and a sub tank 82 as a second tank to which ink is supplied from the main tanks 81 and 81, An intermediate tank 84 provid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deaerator 83 in the ink supply direction and serving as an ink tank for temporarily storing the ink, A negative pressure forming portion 86 provided on the downstream side in the ink supply direction of the intermediate tank 84 and a first port 341 connected in parallel to each head 3 for supplying ink to each head 3 And a common flow path 87 which is formed as a whole.

또한, 도 4에서는 유지 보수부(7)의 잉크 트레이(71)도 도시하고 있다.In Fig. 4, the ink tray 71 of the maintenance section 7 is also shown.

상기 메인 탱크(81, 81)는, 그 상부가 대기에 개방된 용기이며, 2개의 메인 탱크(81, 81)는 비게 되었을 때에 교환할 수 있도록, 모두 잉크젯 기록 장치(10)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메인 탱크(81, 81)는 2개이므로, 한쪽이 비게 된 경우 및 그 교환 시에도, 다른 한쪽 메인 탱크(81)로부터 잉크 공급이 가능하므로, 잉크젯 기록 장치(10)의 기록 동작의 중단을 회피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이 메인 탱크(81)의 탑재 개체수는 보다 많게 해도 된다.The main tanks 81 and 81 are all open to the atmosphere and the two main tanks 81 and 81 are detachable from the ink jet recording apparatus 10 so that they can be replaced when they become empty have. In addition, since there are two main tanks 81 and 81, ink can be supplied from the other main tank 81 even when one side becomes empty or when it is exchanged. Therefore, the recording operation of the inkjet recording apparatus 10 is stopped Can be avoided. In addition, the number of mounted main tanks 81 may be larger.

도 4에 있어서의 부호 815는 각 메인 탱크(81, 81)의 잉크가 비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잔량 센서이다.Reference numeral 815 in Fig. 4 is a remaining amount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ink in each of the main tanks 81 and 81 is empty.

각 메인 탱크(81, 81)와 서브 탱크(82) 사이에는, 일단부가 각각의 메인 탱크(81, 81)측에 분기되어 있고, 타단부가 합류하여 서브 탱크(82)에 이르는 제1 잉크 유로(81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1 잉크 유로(811)에 있어서의 각 메인 탱크(81, 81)의 근방에는, 유로의 개폐 상태를 전환 가능한 전자기 밸브인 접속 전환부로서의 탱크 밸브(812, 812)가 설치되어 있다.The first ink channel 81 is branched between the main tanks 81 and 81 and the sub tank 82 so that one end is branched to the main tanks 81 and 81 and the other ends are joined to the sub tank 82. [ (811). In the vicinity of the main tanks 81 and 81 in the first ink passage 811, there are provided tank valves 812 and 812 as connection switching portions which are electromagnetic valves capable of switching the opening and closing states of the oil passage.

또한, 제1 잉크 유로(811)에 있어서의 서브 탱크(82)측의 경로 도중에는, 잉크로부터 티끌, 먼지 등의 혼입물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813)가 설치되고, 필터(813)보다도 더 서브 탱크(82)측에는 잉크를 서브 탱크측으로 보내는 제1 송액부로서의 제1 송액 펌프(814)가 설치되어 있다.A filter 813 for removing substances such as dust and dirt from the ink is provided in the path of the sub tank 82 side of the first ink channel 811 so that the filter 813 is more sub- On the side of the tank 82, there is provided a first liquid sending pump 814 as a first liquid sending section for sending the ink to the sub tank side.

서브 탱크(82)는 하방을 향함에 따라서 직경이 축소되는 측벽부(821)를 갖는 깔때기 형상이며, 상부는 천장판(822)으로 폐색되어 있다.The sub tank 82 is in the form of a funnel having a side wall portion 821 whose diameter is reduced as it goes downward, and the upper portion is closed by a ceiling plate 822.

서브 탱크(82)는 그 저부 중심이 제2 잉크 유로(823)에 접속되어 있고, 당해 제2 잉크 유로(823)를 통하여 서브 탱크(82) 내의 잉크를 탈기 장치(83)측에 공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The sub tank 82 is connected to the second ink passage 823 at the center of its bottom and the ink in the sub tank 82 is supplied to the deaerator 83 side via the second ink passage 823 .

또한, 서브 탱크(82)의 천장판(822)에는, 서브 탱크(82) 내를 대기압으로 유지하는 대기 개방관(824)이 설치되어 있다. 이 대기 개방관(824)은 외부로부터의 먼지, 티끌 등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필터(825)가 장비되어 있다.The roof plate 822 of the sub tank 82 is provided with an atmospheric release pipe 824 for keeping the inside of the sub tank 82 at atmospheric pressure. The atmospheric release pipe 824 is equipped with a filter 825 for preventing intrusion of dust, dirt, etc. from the outside.

또한, 서브 탱크(82)의 천장판(822)에는, 제1 잉크 유로(811)의 선단부가 천장판(822)을 관통하여 내부까지 인입한 상태에서 접속되어 있다.The top end of the first ink channel 811 is connected to the top plate 822 of the sub tank 82 with the top plate 822 penetrating through the top plate 822 to the inside.

이 제1 잉크 유로(811)의 선단부는, 서브 탱크(82)의 측벽(822)의 내면에 접촉되거나 접촉되기 직전의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고, 제1 잉크 유로(811)로부터 공급되는 잉크가 측벽(822)을 타고 서브 탱크(82) 내의 액면에 부어지도록 되어 있다.The tip portion of the first ink channel 811 extends to a position just before contact or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822 of the sub tank 82. The ink supplied from the first ink channel 811, (822) to be poured into the liquid level in the sub tank (82).

또한, 서브 탱크(82)는, 후술하는 액면 감시 제어에 의해, 잉크의 액면 상한 위치가 정해져 있고, 제1 잉크 유로(811)의 선단부는 잉크 액면의 상한 위치보다도 높은 위치에서 측벽(822)에 잉크를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The liquid level surveillance control of the sub tank 82 determines the liquid level upper limit position of the ink and the leading end of the first ink channel 811 is position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upper limit position of the ink liquid level on the side wall 822 Thereby supplying ink.

서브 탱크(82)에 대한 제1 잉크 유로(811)의 선단부 위치를 상술한 바와 같이 설정함으로써, 제1 잉크 유로(811)로부터 공급되는 잉크는 항상 서브 탱크(82)의 측벽부(822)의 내면을 타고 액면에 주입되게 된다. 이에 의해, 경사면을 따라 잉크가 완만하게 흘러서 서브 탱크(82) 내에 저류되므로, 제1 잉크 유로(811)로부터 공급되는 잉크에 시각적으로 인식 가능한 크기의 기포가 혼입된 경우에 있어서, 당해 기포는 잉크의 액면에 체류된다. 또한, 경사면을 따라 잉크가 완만하게 흐르므로, 잉크의 액면에서 새로운 기포가 발생하여 혼입되는 것도 방지된다.The ink supplied from the first ink passage 811 is always supplied to the side wall portion 822 of the sub tank 82 by setting the position of the tip end portion of the first ink passage 811 with respect to the sub tank 82 as described above. It is injected into the liquid surface through the inner surface. Thus, in the case where visually recognizable bubbles are mixed in the ink supplied from the first ink channel 811, the bubbles are mixed with the ink in the sub tank 82, As shown in FIG. In addition, since the ink flows gently along the inclined surface, new bubbles are prevented from being generated and mixed in the liquid surface of the ink.

또한, 서브 탱크(82) 내의 잉크는 저부이며 그 가장 깊은 곳으로부터 제2 잉크 유로(823)를 통하여 하류측에 송액되므로, 서브 탱크(82)보다도 하류측에 공급되는 잉크로부터 기포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Since the ink in the sub tank 82 is fed to the downstream side from the deepest portion through the second ink flow path 823, it is possible to remove air bubbles from the ink supplied to the downstream side of the sub tank 82 .

즉, 이 서브 탱크(82)는 잉크로부터 탈포를 행하는 탈포 수단으로서 기능한다.That is, the sub tank 82 functions as defoaming means for performing defoaming from the ink.

또한, 서브 탱크(82) 내에는, 후술하는 액면 감시 제어에 있어서의 잉크의 액면 상한 위치를 규정하는 제1 액면 센서(826)와 잉크의 액면 하한 위치를 규정하는 제2 액면 센서(827)가 설치되어 있다.A first liquid level sensor 826 for defining the liquid level upper limit position of the ink in the liquid level monitoring control described later and a second liquid level sensor 827 for defining the lower liquid level position of the ink are provided in the sub tank 82 Is installed.

이들 액면 센서(826, 827)는 모두, 부표를 구비하는 플로트식의 센서이며, 부표의 높이로부터 액면이 상한 위치 또는 하한 위치보다 위인지 아래인지를 검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액면 감시 제어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These liquid level sensors 826 and 827 are all float-type sensors provided with a buoy, and it is possible to detect whether the liquid level is above or below the upper or lower limit position from the height of the buoy. The liquid level monitoring control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서브 탱크(82)와 탈기 장치(83) 사이에는, 전술한 제2 잉크 유로(823)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2 잉크 유로(823)에 있어서의 도중에는, 탈기 장치(83)로부터 서브 탱크(82)로의 잉크의 복귀를 방지하는 역지 밸브(828)와, 서브 탱크(82)로부터 탈기 장치(83)로 잉크를 보내는 제2 송액부로서의 제2 송액 펌프(829)가 설치되어 있다.The above-described second ink passage 823 is provided between the sub tank 82 and the degassing device 83. [ A check valve 828 for preventing ink from returning from the degassing device 83 to the sub tank 82 and a check valve 828 for preventing the ink from returning from the sub tank 82 to the degassing device 83 And a second liquid sending pump 829 as a second liquid sending section for sending ink are provided.

탈기 장치(83)는 제2 잉크 유로(823)의 말단부가 접속된 탈기 모듈(831)과, 탈기 모듈(831)에 대하여 진공화를 행하는 진공 펌프(832)와, 탈기 모듈(831) 내의 압력 검출을 행하는 진공압 센서(833)와, 탈기 모듈(831) 내를 대기압에 개방하는 전자기 밸브인 누설 밸브(834)를 구비하고 있다.The degassing apparatus 83 includes a degassing module 831 to which the distal end of the second ink passage 823 is connected, a vacuum pump 832 to evacuate the degassing module 831, And a leakage valve 834 serving as an electromagnetic valve for opening the inside of the degassing module 831 to atmospheric pressure.

탈기 모듈(831)은 진공 펌프(832)에 의해 진공화가 행해지는 진공 용기와, 진공 용기 내에서 내측으로 잉크를 통과시키는 중공자막을 구비하는 구성이며, 진공화에 의해, 잉크 내의 용존 기체가 중공자막을 거쳐 외측으로 분출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The degassing module 831 is configured to include a vacuum container for vacuuming by a vacuum pump 832 and a hollow capturing film for allowing ink to pass inward in the vacuum container, And is ejected outward through the caption.

진공압 센서(833)는 진공화 시에 목표 압력까지 압력이 저하되었는지를 측정하는 검출 수단이다. 또한, 누설 밸브(834)는 잉크젯 기록 장치(10)의 전원 정지 시에 있어서, 탈기 모듈(831)의 유지 보수를 위해서, 당해 탈기 모듈(831)이 진공 상태로부터 대기압 상태가 되도록 제어 장치(9)에 의해 개방 제어가 행해진다.The vacuum pressure sensor 833 is a detection means for measuring whether the pressure has decreased to the target pressure during vacuuming. The leakage valve 834 is connected to the control device 9 so that the deaeration module 831 is brought into the atmospheric pressure state from the vacuum state for maintenance of the deaeration module 831 when the power supply of the inkjet recording apparatus 10 is stopped. The opening control is performed.

탈기 모듈(831)과 중간 탱크(84) 사이에는, 제3 잉크 유로(835)가 설치되어 있다. 중간 탱크(84)에는, 제2 및 제3 잉크 유로(823, 835)를 거쳐 제2 송액 펌프(829)에 의한 공급압에 의해 잉크가 공급된다.A third ink passage 835 is provided between the degassing module 831 and the intermediate tank 84. The ink is supplied to the intermediate tank 84 by the supply pressure of the second liquid-delivery pump 829 via the second and third ink passages 823 and 835.

중간 탱크(84)는 가요성이 있는 주머니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저류하는 잉크량이 변동함으로써 팽창/수축되도록 되어 있다.The intermediate tank 84 is formed by a flexible bag, and is expanded / contracted by fluctuating amount of stored ink.

또한, 이 중간 탱크(84)에는, 잉크가 규정량 저류되어 있는 상태를 검출하는 액량 센서(841)가 병설되어 있다. 서브 탱크(82)로부터 잉크가 공급될 때에는, 이 액량 센서(841)에 의해 규정량에 달한 것이 검출될 때까지 제2 송액 펌프(829)에 의한 잉크의 공급이 행해진다.The intermediate tank 84 is also provided with a liquid level sensor 841 for detecting a state in which a predetermined amount of ink is stored. When ink is supplied from the sub tank 82, the ink is supplied by the second liquid-delivery pump 829 until it is detected by the liquid level sensor 841 that the predetermined amount has been reached.

중간 탱크(84)로부터 부압 형성부(86)까지의 사이에는, 제4 내지 제7 잉크 유로(842 내지 845)가 설치되고, 이들을 통하여 잉크 공급이 행해진다. 그리고 제4 잉크 유로(842)와 제5 잉크 유로(843) 사이에는 전자기 전환 밸브인 제1 삼방 전환 밸브(846)가 개재되고, 제5 잉크 유로(843)와 제6 잉크 유로(844) 사이에는 전자기 전환 밸브인 제2 삼방 전환 밸브(847)가 개재되고, 제6 잉크 유로(844)와 제7 잉크 유로(845) 사이에는 전자기 전환 밸브인 제3 삼방 전환 밸브(848)가 개재되어 있다.The fourth to seventh ink passages 842 to 845 are provided between the intermediate tank 84 and the negative pressure forming portion 86, and ink is supplied through the fourth to seventh ink passages 842 to 845. A first three-way switching valve 846, which is an electromagnetic switching valve, is interposed between the fourth ink channel 842 and the fifth ink channel 843 and between the fifth ink channel 843 and the sixth ink channel 844 And a third three-way switching valve 848 as an electromagnetic switching valve is interposed between the sixth ink passage 844 and the seventh ink passage 845 .

또한, 제5 잉크 유로(843)에는, 제1 삼방 전환 밸브(846)로부터 제2 삼방 전환 밸브(847)를 향하는 방향의 유동만을 허용하는 역지 밸브(849)와, 당해 역지 밸브(849)가 허용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송액을 행하는 송액부로서의 제3 송액 펌프(850)와, 당해 제3 송액 펌프(850)의 하류측에 있어서 규정 압력을 초과한 경우에, 잉크를 서브 탱크(82)로 복귀시키는 릴리프 밸브(851)가 설치되어 있다.The fifth ink passage 843 is provided with a check valve 849 for allowing only the flow from the first three-way selector valve 846 to the second three-way selector valve 847 and the check valve 849 A third liquid delivery pump 850 serving as a liquid delivery section for delivering liqui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irection in which the liquid is supplied to the sub tank 82 and a second liquid delivery pump 850 for delivering ink to the sub tank 82 when the prescribed pressure is exceed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third liquid delivery pump 850, And a relief valve 851 for returning the relief valve 851 to the outside.

제6 잉크 유로(844)는 그 도중에 분기 유로(852)의 일단부가 접속되어 있고, 당해 분기 유로(852)의 타단부는 제1 삼방 전환 밸브(846)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1 삼방 전환 밸브(846)는 제어 장치(9)의 제어에 의해, 제5 잉크 유로(843)를 제4 잉크 유로(842)에 접속한 상태와 제5 잉크 유로(843)를 분기 유로(852)에 접속한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One end of the branch passage 852 is connected to the sixth ink passage 844 and the other end of the branch passage 852 is connected to the first three-way switch valve 846. The first three-way selector valve 846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device 9 so that the fifth ink passage 843 is connected to the fourth ink passage 842 and the fifth ink passage 843 is branched It is possible to switch to the state of being connected to the flow path 852.

또한, 제2 삼방 전환 밸브(847)는 서브 탱크(82)에 잉크를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 유로(853)에도 접속되어 있고, 당해 제2 삼방 전환 밸브(847)는 제어 장치(9)의 제어에 의해, 제5 잉크 유로(843)를 제6 잉크 유로(844)에 접속한 상태와 제5 잉크 유로(843)를 복귀시켜 유로(853)에 접속한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The second three-way switching valve 847 is also connected to the return flow path 853 for returning the ink to the sub tank 82. The second three-way switching valve 847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device 9 The state in which the fifth ink channel 843 is connected to the sixth ink channel 844 and the state in which the fifth ink channel 843 is connected to the channel 853 can be switched.

그리고 상기 제1과 제2 삼방 전환 밸브(846, 847)는, 제어 장치(9)에 의해 조합하여 동시에 전환 제어가 행해지고, 중간 탱크(84)로부터 제4, 5, 6의 잉크 유로(842, 843, 844)를 지나 부압 형성부(86)측에 잉크의 송액을 행하는 공급 접속 상태(도 4에 있어서의 백색 화살표)와, 부압 형성부(86)측으로부터 분기 유로(852), 제5 잉크 유로(843), 복귀 유로(853)를 지나 서브 탱크(82)측에 잉크의 송액을 행하는 복귀 접속 상태(도 4에 있어서의 흑색 화살표)를 전환하는 제어가 행해진다.The first and second three-way switching valves 846 and 847 are switched and controlled simultaneously by the control device 9 and the fourth, fifth and sixth ink passages 842, (A white arrow in Fig. 4) for feeding the ink to the side of the negative pressure forming portion 86 through the first to fourth ink passages 843 and 844 and the branch passage 852 from the negative pressure forming portion 86 side, Control is performed to switch the return connection state (black arrow in Fig. 4) in which the ink is fed to the sub tank 82 side through the flow path 843 and the return flow path 853.

즉, 제3 송액 펌프(850)의 송출 압력을 이용하여, 부압 형성부(86)측으로의 잉크 공급과 부압 형성부(86)측으로부터의 잉크 회수를 자유롭게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That is, it is possible to freely and selectively perform the ink supply to the negative pressure forming portion 86 side and the ink recovery from the negative pressure forming portion 86 side using the delivery pressure of the third liquid delivery pump 850.

제3 삼방 전환 밸브(848)는 부압 형성부(86)를 통하지 않고 헤드측에 잉크 공급을 행하는 우회 유로(854)도 접속되어 있고, 제어 장치(9)의 제어에 의해, 제6 잉크 유로(844)와 제7 잉크 유로(845)를 접속하는 상태와 제6 잉크 유로(844)와 우회 유로(854)를 접속하는 상태를 전환할 수 있게 되어 있다.The third three-way switching valve 848 is also connected to a bypass flow path 854 for supplying ink to the head without passing through the negative pressure forming portion 86.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device 9, 844 and the seventh ink passage 845 and the state in which the sixth ink passage 844 and the bypass passage 854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즉, 이 전환에 의해, 부압 형성부(86)에 대한 잉크의 공급과 회수를 실행 가능한 상태와, 헤드(3)측[엄밀하게는 공통 유로(87)]에 대한 잉크의 공급과 회수를 실행 가능한 상태를 전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That is, by this switching, supply and recovery of the ink to and from the side of the head 3 (strictly speaking, the common flow path 87) can be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ink supply and recovery to the negative pressure forming portion 86 can be carried out, It is possible to switch the possible states.

부압 형성부(86)는 전방면에 크게 개구부가 형성된 직사각형의 본체 용기(861)와 본체 용기(861)의 개구부를 폐색하는 가요성 수지 필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필름 부재(862)와 본체 용기(861)의 내부로부터 외측을 향해 필름 부재(862)의 중심을 가압하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으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The negative pressure forming portion 86 includes a rectangular main body container 861 having a large opening formed in its front surface and a film member 862 including a flexible resin film for closing the opening of the main container 861, (Not shown) for pressing the center of the film member 862 outward from the inside of the film member 862.

본체 용기(861)는, 전술한 제7 잉크 유로(845)와 9개 헤드(3)의 모든 제1 포트(341)가 병렬로 접속된 공통 유로(87)에 통하는 제8 잉크 유로(863)에 접속되어 있다.The main body container 861 includes an eighth ink passage 863 communicating with the seventh ink passage 845 and the common passage 87 in which all the first ports 341 of the nine heads 3 are connected in parallel, Respectively.

또한, 필름 부재(862)는 스프링에 의해 중앙부를 외측으로 가압하고 있으므로, 대략 원뿔 형상으로 외측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긴장 상태로 되어 있다.Further, since the film member 862 presses the central portion outward by a spring, it is in a state of being in a state of being protruded outward in a substantially conical shape.

그리고 대기압과 동일한 압력으로 본체 용기(861) 내에 잉크를 채운 후에, 전술한 제1과 제2 삼방 전환 밸브(846, 847)를 복귀 접속 상태로 하여 본체 용기(861) 내로부터 잉크를 회수하면, 공통 유로(87)를 거쳐 각 헤드(3)의 내부를 대기압보다 낮은 부압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헤드(3)의 내부를 부압으로 유지하는 것은, 예를 들어 노즐(3) 내를 대기압으로 하면 노즐(311)로부터 잉크가 누설되기 쉽고, 또한 노즐(311) 주위에 잉크가 부착되기 쉬워져서 토출 불량이나 도트 지름의 편차가 발생하기 쉬워지므로,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When ink is filled in the main container 861 with the same pressure as the atmospheric pressure and then the first and second three-way switching valves 846 and 847 are returned to the connected state to recover the ink from the main container 861, The inside of each of the heads 3 can be brought into a negative pressure state lower than the atmospheric pressure via the common flow path 87. The negative pressure in the interior of the head 3 can prevent the ink from leaking from the nozzle 311 when the inside of the nozzle 3 is at atmospheric pressure, It is liable to adhere and deviation of ejection failure and dot diameter easily occurs, so that this is to prevent this.

또한, 부압으로 하는 목표 압력은 본체 용기(861) 내의 잉크의 회수량을 조절함으로써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arget pressure to be a negative pressure can be controlled by adjusting the amount of ink recovered in the main container 861. [

또한, 상기 부압 형성부(86)의 본체 용기(861)의 상부에는, 당해 본체 용기(861)의 내부에 연통하여 상방으로 연장된 연통관(864)이 설치되어 있다. 연통관(864)의 본체 용기(861)측의 단부에는 액면 센서(865)가 설치되어 있고, 연통관(864)의 상단부에는 압력 센서(866)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연통관(864)에 있어서의 중간부에는, 일단부가 대기 중에 개방된 수평하게 연장되는 분기관(867)이 접속되고, 당해 분기관(867)의 도중에는 당해 분기관(867)을 개폐하는 개방 밸브(868)와, 공기를 여과하는 에어 필터(869)가 설치되어 있다.An upper portion of the main container 861 of the negative pressure forming portion 86 is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pipe 864 extending upwardly in communication with the main container 861. A liquid level sensor 865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communicating tube 864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container 861 and a pressure sensor 866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communicating tube 864. A horizontally extending branch pipe 867 having one end open to the atmosphere is connected to the intermediate portion of the communicating pipe 864 and an opening valve 867 for opening and closing the branch pipe 867 is provided at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branch pipe 867, An air filter 868 for filtering air, and an air filter 869 for filtering air.

이들은 본체 용기(861) 내에 잉크를 공급하여 소정의 부압으로 제어할 때에 사용되는 구성이다. 즉, 개방 밸브(868)를 개방한 상태에서 액면 센서(865)에 의해 액면이 검출될 때까지 본체 용기(861) 내에 잉크를 공급하고, 그 후 개방 밸브(868)를 폐쇄하여, 압력 센서(866)가 목표가 되는 부압 압력을 나타낼 때까지 본체 용기(861) 내로부터 잉크를 회수한다. 이에 의해, 부압 형성부(86)를 통하여 각 헤드(3) 내를 소정의 부압 상태로 할 수 있다.These components are used to control the ink in the main body container 861 to a predetermined negative pressure. That is, the ink is supplied into the main container 861 until the liquid level is detected by the liquid level sensor 865 with the open valve 868 opened, then the open valve 868 is closed, 866 return the target negative pressure. Thereby, the inside of each head 3 can be brought into a predetermined negative pressure state through the negative pressure forming portion 86.

부압 형성부(86)로부터 연장되는 제8 잉크 유로(863)는 도중에서 전술한 우회 유로(854)와 합류하여 공통 유로(87)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 제8 잉크 유로(863)에 있어서의 우회 유로(854)와의 합류점보다도 부압 형성부(86)측에는, 상시 개방식의 전자기 밸브인 보호 밸브(871)가 설치되어 있다.The eighth ink passage 863 extending from the negative pressure forming portion 86 joins the bypass passage 854 described above and is connected to the common passage 87. A protective valve 871, which is an electromagnetic valve of normally open type,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negative pressure forming portion 86 than the junction point of the eighth ink passage 863 with the bypass passage 854.

공통 유로(87)는 정면에서 보아 형상이 대략 이등변 삼각 형상(정확하게는 이등변 삼각형 저변의 양단부를 연직 상하 방향을 따라서 절제하여 이루어지는 오각형 형상)이 되는 평판 형상의 내부 중공의 용기이며, 그 저부 및 내저면이 수평하게 되도록 캐리지(4) 위에 탑재되어 있다. 그리고 이 공통 유로(87)는 이등변 삼각형의 정점에 상당하는 부위에 제8 잉크 유로(863)가 접속되고, 이등변 삼각형의 저변에 상당하는 부위에 동일한 색채의 9개의 헤드(3)의 제1 포트(341)가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The common flow path 87 is an inner hollow container in the shape of a flat plate whose shape is a substantially isosceles triangle (exactly, a quadrangular shape formed by cutting both ends of the isosceles triangle bottom side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s viewed from the front, And is mounted on the carriage 4 so that the bottom surface is level. The common flow path 87 is connected to the eighth ink flow path 863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apex of the isosceles triangle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port of nine heads 3 of the same color at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base of the isosceles triangle (341) are connected in parallel.

공통 유로(87)는 외부 형상과 동일한 대략 삼각 형상의 형상을 입체화한 내부 공간을 잉크가 통과한다. 그때, 정점의 위치로부터 잉크가 공급되므로, 저변의 각부에 접속된 각 헤드(3)에 대하여 큰 치우침을 발생하지 않고 균등하게 잉크가 공급된다.The common flow path 87 passes through the inner space formed by solidifying the shape of the substantially triangular shape same as the outer shape. At this time, since the ink is supplied from the position of the vertex, the ink is uniformly supplied to each head 3 connected to the corner of the bottom without causing large deviations.

또한, 이 공통 유로(87)는 잉크가 공급되는 내부 공간의 정면에서 본 형상이 대략 이등변 삼각 형상이면 되고, 외부의 형상은 대략 이등변 삼각 형상이 아니라도 된다.The shape of the common flow path 87 as viewed from the front face of the inner space to which the ink is supplied may be a substantially isosceles triangle, and the shape of the outer flow path may not be substantially isosceles triangle.

또한, 공통 유로(87)의 정점 위치 근방에는 도시하지 않은 폐액 탱크에 통하는 배출 유로로서의 폐액 유로(872)가 접속되어 있다. 이 폐액 유로(872)는 상시 폐쇄식의 전자기 밸브인 폐액 밸브(873)가 설치되어 있고, 공통 유로(87)를 잉크로 채울 때에 폐액 밸브(873)를 개방하여 기포를 배출하기 위해 잉크를 배출하기 위한 유로이다. 폐액 유로(872)가 공통 유로(87)의 상단부가 되는 정점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공통 유로(87)가 잉크로 채워진 상태에서 다시 잉크 공급을 행함으로써 기포는 공통 유로(87) 내에서 상방으로 떠올라 잉크와 함께 효과적으로 배출된다. 이에 의해, 잉크의 토출 불량의 원인이 되는 기포를 제거할 수 있어, 안정적인 토출을 행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 waste liquid flow path 872 as a discharge path communicating with a waste liquid tank (not shown) is connected to the vicinity of the peak position of the common flow path 87. The waste liquid flow path 872 is provided with a waste liquid valve 873 which is a normally closed type electromagnetic valve. When the common flow path 87 is filled with ink, the waste liquid valve 873 is opened to discharge ink . Since the waste liquid flow path 872 is connected to the apex of the upper end of the common flow path 87, the bubbles float upward in the common flow path 87 by supplying the ink again with the common flow path 87 filled with ink And is efficiently discharged together with the ink. As a result, the bubbles which cause the ejection failure of the ink can be removed, and stable ejection can be performed.

도 5는 공통 유로(87)와 각 헤드(3)의 접속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통 유로(87)는 상시 개방식의 전자기 밸브인 기록 동작용 밸브(874)를 거쳐 각 헤드(3)의 제1 포트(341)에 접속되어 있다.5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the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common flow path 87 and each head 3. A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common flow path 87 is connected to the first port 341 of each head 3 via a recording operation valve 874, which is an electromagnetic valve of normally open type.

또한, 각 헤드(3)의 제2 포트(342)는 각각이 상시 폐쇄식의 유지 보수 밸브(875)를 거쳐 공통 폐액 유로(876)에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공통 폐액 유로(876)는, 전술한 폐액 유로(872)에 대하여 폐액 밸브(873)의 하류측에서 합류되어 폐액 탱크에 접속되어 있다.The second ports 342 of the respective heads 3 are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common waste liquid flow path 876 via maintenance valves 875 of normally closed type. The common waste liquid flow path 876 joins the waste liquid flow path 872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waste liquid valve 873 and is connected to the waste liquid tank.

또한, 폐액 유로(872)로부터 배출되는 잉크는 공통 유로(87) 내의 기포를 배출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으므로, 이 공통 폐액 유로(876)와는 합류시키지 않고, 폐액 유로(872)만을 서브 탱크(82)에 접속하여 잉크의 재이용을 도모해도 된다. 그 경우, 공통 폐액 유로(876)는 단독으로 폐액 탱크에 접속된다.Since the ink discharged from the waste liquid flow path 872 mainly aims to discharge the bubbles in the common flow path 87, only the waste liquid flow path 872 is not merged with the common waste liquid flow path 876, 82 to allow reuse of the ink. In this case, the common waste liquid flow path 876 is connected to the waste liquid tank alone.

[제어 장치][controller]

도 6은 잉크 공급 장치(8)의 제어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에 기재된 제어 장치(9)는 잉크젯 기록 장치(10) 전체의 제어를 행하지만, 여기에서는 잉크 공급 장치(8)의 구성만을 도시하고, 다른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를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복수인 구성에 대해서는 하나만을 도시하였다.Fig.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trol system of the ink supply device 8. Fig. The control device 9 shown in Fig. 6 controls the entire inkjet recording apparatus 10, but only the configuration of the ink supply device 8 is shown here, and other configurations are omitted. In addition, only one of the plural components is shown.

제어 장치(9)는,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된 기록 매체에 기록해야 할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헤드(3)의 각 노즐(311)에 대응하는 데이터로 변환하는 등, 잉크 공급 장치(8)의 제어뿐만 아니라, 잉크젯 기록 장치(10)의 각 부의 구동도 제어한다.The control device 9 controls the control of the ink supply device 8 such as converting the image data of the image to be recorded on the recording medium inputted from the external device into data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nozzles 311 of the head 3, In addition, the driving of each section of the inkjet recording apparatus 10 is also controlled.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장치(9)는 CPU(91), ROM(92), RAM(93), 도시하지 않은 입출력 인터페이스 등이 버스에 접속된 범용의 컴퓨터로 구성되어 있다.6, the control device 9 includes a CPU 91, a ROM 92, a RAM 93, an input / output interface (not shown), and a general-purpose computer connected to the bus.

이 제어 장치(9)에는, 제1 내지 제3 송액 펌프(814, 829, 850), 진공 펌프(832), 탱크 밸브(812), 누설 밸브(834), 제1 내지 제3 삼방 전환 밸브(846, 847, 848), 개방 밸브(868), 보호 밸브(871), 폐액 밸브(873), 기록 동작용 밸브(874), 유지 보수 밸브(875)가 접속되어 있고, 제어 장치(9)에서는 이들을 제어 대상으로 하고 있다.The control device 9 is provided with first to third liquid delivery pumps 814, 829 and 850, a vacuum pump 832, a tank valve 812, a leakage valve 834, first to third three- 846, 847 and 848, a release valve 868, a protection valve 871, a waste liquid valve 873, a recording operation valve 874 and a maintenance valve 875 are connected to the control device 9 And these are controlled objects.

또한, 제어 장치(9)에는, 잔량 센서(815), 제1 및 제2 액면 센서(826, 827), 액량 센서(841), 액면 센서(865), 진공압 센서(833), 압력 센서(866)가 접속되어 있고, 이들로부터 각종 검출 신호가 입력된다.The control device 9 is also provided with a remaining amount sensor 815, first and second liquid level sensors 826 and 827, a liquid level sensor 841, a liquid level sensor 865, a vacuum pressure sensor 833, 866 are connected, and various detection signals are input from them.

또한, 제어 장치(9)에는, 오퍼레이터로부터의 각종 동작의 실행 등의 지지 입력을 행하는 입력 조작부(94), 에러 정보 등 각종 정보 표시를 행하는 표시부(95) 등도 접속되어 있다.The control unit 9 is also connected with an input operation unit 94 for performing support input such as execution of various operations from the operator and a display unit 95 for displaying various information such as error information.

그리고 제어 장치(9)는 이들의 검출 정보에 따라, 상기 각 제어 대상에 대하여 서브 탱크(82)의 액면 감시 제어, 헤드(3)의 유지 보수 제어 등을 실시한다.Then, the control device 9 performs liquid level monitoring control of the sub tank 82, maintenance control of the head 3, and the like, for each of the control objects in accordance with these detection information.

[액면 감시 제어][Level monitoring control]

상기 제어 장치(9)가 행하는 서브 탱크(82)의 액면 감시 제어에 대하여 도 7의 흐름도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liquid level monitoring control of the sub tank 82 performed by the control device 9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이 액면 감시 제어는, 잉크의 메인 탱크(81)로부터 서브 탱크(82)로 잉크의 공급을 행하는 동시에, 서브 탱크(82)에 있어서, 일정한 잉크량을 유지 확보하기 위한 제어이며, 미리 정해진 주기로 반복하여 실시된다.This liquid level monitoring control is a control for supplying ink from the main tank 81 of the ink to the sub tank 82 and for maintaining and maintaining a constant amount of ink in the sub tank 82, .

이 액면 감시 제어에서는, 각 메인 탱크(81, 81) 중 어느 한쪽 탱크 밸브(812)를 개방하고, 다른 한쪽 탱크 밸브(812)는 폐쇄된 상태에 있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In this liquid level monitoring control, it is premised that either one of the tank valves 812 of the main tanks 81 and 81 is opened and the other tank valve 812 is closed.

제어 장치(9)는, 우선 처음에, 현재 서브 탱크(82)와 접속되어 있는 메인 탱크(81)가 비었는지를 판정하기 위한 타이머 카운터를 초기화한다(스텝 S1).The control device 9 first initializes a timer counter for determining whether the main tank 81 connected to the present sub tank 82 is empty (step S1).

계속해서, 제1 액면 센서(826)에 의해, 서브 탱크(82) 내의 잉크가 가득 찬 것을 나타내는 제1 액면 센서(826)에 의한 검출 레벨에 달하였는지를 판정한다(스텝 S3).Subsequently, it is judged by the first liquid level sensor 826 whether or not the detection level of the first liquid level sensor 826 indicating that the ink in the sub tank 82 is full (step S3).

그 결과, 잉크가 제1 액면 센서(826)에 의한 검출 레벨에 달하였음이 검출된 경우에는, 서브 탱크(82) 내의 잉크는 목표량에 달하였으므로, 제어 장치(9)는 액면 감시 제어를 종료한다.As a result,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ink has reached the detection level by the first level sensor 826, the ink in the sub tank 82 has reached the target amount, so the control device 9 ends the level monitoring control .

한편, 잉크가 제1 액면 센서(826)에 의한 검출 레벨에 달하지 못한 것이 검출된 경우에는, 메인 탱크(81)가 비었는지를 판정하기 위한 타이머의 카운트를 개시하는 동시에, 제1 송액 펌프(814)를 작동시켜서, 메인 탱크(81)로부터 서브 탱크(82)로의 잉크 공급을 실행한다(스텝 S5).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ink has not reached the detection level by the first liquid level sensor 826, the timer for counting the timer for determining whether the main tank 81 is empty is started and the first liquid sending pump 814 To operate the ink supply from the main tank 81 to the sub tank 82 (step S5).

이어서, 제어 장치(9)는 제2 액면 센서(827)에 의해, 서브 탱크(82) 내의 잉크가 거의 다 빈 것을 나타내는 제2 액면 센서(827)에 의한 검출 레벨에 달하고 있는지를 판정한다(스텝 S7).Subsequently, the control device 9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second level sensor 827 reaches the detection level of the second level sensor 827 indicating that the ink in the sub tank 82 is almost empty (step S7).

그 결과, 잉크가 제2 액면 센서(827)에 의한 검출 레벨에는 달하였음이 검출된 경우에는, 제어 장치(9)는 타이머에 의한 계시 시간이 미리 설정된 송액 시간을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9).As a result,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ink has reached the detection level by the second liquid level sensor 827, the control device 9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time of counting by the timer has passed the predetermined feeding time (step S9).

그리고 타이머에 의한 계시 시간이 미리 설정된 송액 시간을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3으로 처리를 복귀시켜, 서브 탱크(82)가 가득 찼는지 여부를 판정한다.When the time counted by the timer does not pass the predetermined feeding time,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3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sub tank 82 is full.

상기 스텝 S9의 판정에 있어서의 송액 시간은, 제1 송액 펌프의 송액 능력으로 서브 탱크(82)를 가득 채우는 데 충분한 시간으로 설정되어 있다. 즉, 이 송액 시간이 경과해도 서브 탱크(82)가 가득 채워지지 못한 경우에는, 메인 탱크(81)가 이미 비었다고 추정된다.The liquid delivery time in the determination of the step S9 is set to a time sufficient to fill the sub tank 82 with the liquid delivery ability of the first liquid delivery pump. That is, when the sub tank 82 is not filled up even after the lapse of time, it is assumed that the main tank 81 is already empty.

따라서, 제어 장치(9)는 제1 송액 펌프(814)의 구동을 정지하고(스텝 S11), 메인 탱크(81)가 비었다고 판단하여(스텝 S13), 그때까지 개방되어 있던 탱크 밸브(812)를 폐쇄하고, 다른 한쪽 탱크 밸브(812)를 개방하여, 서브 탱크(82)로의 잉크 공급을 행하는 메인 탱크의 전환을 실행한다(스텝 S15). 이때, 한쪽 메인 탱크(81)가 빈 것을 표시부(95)에 의해 통지하는 표시 제어를 행해도 된다.Therefore, the control device 9 stops driving the first liquid-delivery pump 814 (step S11), determines that the main tank 81 is empty (step S13), and controls the tank valve 812, And the other tank valve 812 is opened to switch the main tank for supplying ink to the sub tank 82 (step S15). At this time, display control may be performed to notify the display unit 95 that one of the main tanks 81 is vacant.

또한, 메인 탱크(81)의 전환 후는, 제어 장치(9)는 다시 스텝 S1로 처리를 복귀시켜, 서브 탱크(82)로의 잉크 공급을 재개한다.After switching the main tank 81, the control device 9 again returns the process to step S1 to resume ink supply to the sub tank 82. [

또한, 제1 송액 펌프(814)로 송액을 행하고 있음에도, 스텝 S7에서 제2 액면 센서(827)에 의해 서브 탱크(82)의 빈 상태가 검출된 경우에는(스텝 S7: "아니오"), 메인 탱크(81, 81)가 모두 빈 상태에 있고, 메인 탱크(81, 81) 및 서브 탱크(82) 내의 모든 잉크가 다 사용되어 가고 있는 상태에 있는 것을 나타내므로, 제어 장치(9)는 기록 동작 불량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록 동작 중이면 잉크젯 기록 장치(10)의 모든 기록 동작을 정지시킨다. 또한, 이때, 표시부(95)에 있어서, 에러 정지가 된 것을 나타내는 통지 표시 및 잉크가 빈 것을 나타내는 경고 표시를 실행하는 표시 제어를 행해도 된다.When the empty state of the sub tank 82 is detected by the second liquid level sensor 827 in step S7 (step S7: "NO"), even if the liquid is supplied to the first liquid-delivery pump 814, The controller 9 indicates that all the tanks 81 and 81 are in an empty state and all of the ink in the main tanks 81 and 81 and the sub tank 82 are being used up, All recording operations of the inkjet recording apparatus 10 are stopped in the recording operation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defects. At this time, display control may be performed on the display unit 95 to display a notification indicating that an error has occurred and a warning indicating that ink is empty.

[유지 보수 제어(일부의 헤드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Maintenance control (for some heads)]

상기 제어 장치(9)가 행하는 헤드(3)의 유지 보수 제어에 대하여 도 8의 흐름도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미리 전체 헤드(3)를 대상으로 하여 토출 시험을 행하여 유지 보수가 필요한 헤드(3)를 특정하고, 입력 조작부(94)에서 유지 보수 대상이 되는 헤드(3)의 입력이 끝난 것을 전제로 한다.The maintenance control of the head 3 performed by the control device 9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Here, it is assumed that the ejection test is performed on the entire head 3 in advance to specify the head 3 that needs maintenance, and that the input operation of the head 3 to be maintenance- .

또한, 캐리지(4)는 유지 보수부(7)의 바로 위에 대기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Further, it is assumed that the carriage 4 is standing just above the maintenance section 7.

우선, 제어 장치(9)는 제1과 제2 삼방 전환 밸브(846, 847)를 공급 접속 상태(도 4의 백색 화살표의 접속)로 전환하는 동시에, 제3 삼방 전환 밸브(848)를 제6 잉크 유로(844)로부터 우회 유로(854)에 접속되도록 전환한다(스텝 S21).First, the control device 9 switches the first and second three-way switching valves 846 and 847 to the supply connection state (connection of the white arrow in Fig. 4) To be connected to the bypass flow path 854 from the ink flow path 844 (step S21).

또한, 제어 장치(9)는 공통 유로(87)의 폐액 밸브(873)를 개방하고, 보호 밸브(871)를 폐쇄하여, 전체 헤드(3)의 기록 동작용 밸브(874)를 폐쇄하도록 제어한다(스텝 S23).The control device 9 also controls the waste fluid valve 873 of the common flow path 87 to be closed and the protection valve 871 to close so as to close the recording operation valve 874 of the entire head 3 (Step S23).

그리고 잉크의 송액 제어를 실행한다(스텝 S25).Then, the liquid delivery control of ink is executed (step S25).

여기서, 송액 제어에 대하여 도 9의 흐름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Here, the pumping contro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송액 시에는 제어 수단은 제3 송액 펌프(850)를 작동시켜(스텝 S251), 그대로 미리 설정된 작동 시간 T1의 경과 판정을 행하고(스텝 S253), 작동 시간 T1이 경과할 때까지, 제3 송액 펌프(850)의 작동을 계속한다.At the time of pumping, the control means actuates the third liquid-delivery pump 850 (step S251), and makes a determination as to whether or not the operation time T1 has elapsed in advance (step S253) Lt; RTI ID = 0.0 > 850 < / RTI >

이러한 제3 송액 펌프(850)의 작동에 의해, 중간 탱크(84) 내의 잉크가 부압 형성부(86)를 우회하여 직접적으로 공통 유로(87)에 공급된다. 이때, 전체 헤드(3)의 기록 동작용 밸브(874)가 폐쇄되어 있고, 또한 유지 보수 밸브(875)는 상시 폐쇄 밸브이므로, 각 헤드(3)측에는 잉크가 공급되는 일 없이, 공통 유로(87) 내에 잉크가 채워진다. 또한, 공통 유로(87) 내에 잉크가 채워지면, 잉여 잉크는 폐액 유로(872)로부터 배출된다. 이러한 공급이 일정 시간 계속해서 행해짐으로써, 공통 유로(87) 내의 기포는 공통 유로(87)의 상부로 부상하여 폐액 유로(872)로부터 배출된다.The ink in the intermediate tank 84 bypasses the negative pressure forming portion 86 and is directly supplied to the common flow path 87 by the operation of the third liquid feed pump 850. [ At this time, since the recording operation valve 874 of the entire head 3 is closed and the maintenance valve 875 is a normally closed valve, no ink is supplied to each of the heads 3, ) Is filled with ink. Further, when ink is filled in the common flow path 87, surplus ink is discharged from the waste liquid flow path 872. The bubbles in the common flow path 87 float up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mmon flow path 87 and are discharged from the waste liquid flow path 872.

그리고 작동 시간 T1이 지나면, 제3 송액 펌프(850)를 정지시켜(스텝 S255), 대기 시간 T2가 경과할 때까지 대기한다. 이에 의해, 공통 유로(87) 내에 주입됨으로써 발생한 기포가 공통 유로(87) 내의 상부로 부상하여 모아진다.When the operation time T1 has elapsed, the third liquid feed pump 850 is stopped (step S255), and the process waits until the waiting time T2 elapses. As a result, bubbles generated by being injected into the common flow path 87 float up to the upper portion in the common flow path 87 and are collected.

그리고 대기 시간 T2가 지나면, 제어 장치(9)는 잉크의 공급과 대기의 반복 횟수가 미리 설정된 목표 횟수 N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259).When the waiting time T2 has elapsed, the controller 9 determines whether the number of repetitions of the supply of the ink and the waiting has reached the preset target number N (step S259).

그리고 목표 횟수에 달하지 않았으면 스텝 S251로 처리를 복귀시켜, 잉크의 공급과 대기를 다시 실행한다.If the target number of times has not been reached,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251, and the supply of the ink and the wait are executed again.

또한, 작동 시간 T1, 대기 시간 T2, 목표 횟수 N은, 미리 입력 조작부(94)에 의해 제어 장치(9)에 대하여 설정할 수 있다. 반복의 목표 횟수 N은, 대기에 의해 공통 유로(87)의 상부로 부상한 기포를 다음의 잉크 공급에서 배출할 수 있도록, 적어도 2회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the operation time T1, the waiting time T2, and the target number of times N can be set to the control device 9 by the input operation unit 94 in advance. It is preferable that the target number N of repetition is set to be at least two or more times so that bubbles floating above the common flow path 87 by the atmosphere can be discharged from the next ink supply.

다시, 도 8로 돌아와 설명한다.Returning to Fig. 8, description will be given again.

송액 제어가 끝나면, 제어 장치(9)는 공통 유로(87)의 폐액 밸브(873)를 폐쇄하고(스텝 S27), 유지 보수 대상의 헤드(3)의 기록 동작용 밸브(874) 및 유지 보수 밸브(875)를 개방하도록 제어한다(스텝 S29).The control device 9 closes the waste liquid valve 873 of the common flow path 87 (step S27), and the recording operation valve 874 of the maintenance target head 3 and the maintenance valve 873 (Step S29).

그리고 다시 송액 제어를 실행한다(스텝 S31). 이때의 작동 시간 T1, 대기 시간 T2, 목표 횟수 N에 대해서는, 스텝 S25와 동일한 값으로 해도 되고, 다른 값으로 설정해도 된다.Then, the liquid delivery control is executed again (step S31). At this time, the operation time T1, the waiting time T2, and the target number of times N may be the same values as in step S25, or may be set to different values.

이 경우의 잉크 공급 시에는, 공통 유로(87)로부터 제1 포트(341)를 통하여 유지 보수 대상의 헤드(3) 내에 잉크가 공급된다. 그리고 공급된 잉크는, 제2 포트(342)를 통하여 공통 폐액 유로(876)에 배출되고, 또한 일부의 잉크는 헤드(3)의 노즐(311)로부터 잉크 트레이(71)에 토출된다.In this case, ink is supplied from the common flow path 87 to the maintenance target head 3 via the first port 341. The supplied ink is discharged to the common waste liquid flow path 876 through the second port 342 and part of the ink is also discharged from the nozzle 311 of the head 3 to the ink tray 71. [

2회째의 송액 제어가 끝나면, 제어 장치(9)는 유지 보수 대상인 헤드(3)의 유지 보수 밸브(875)를 폐쇄한다(스텝 S33).When the second pumping control is completed, the control device 9 closes the maintenance valve 875 of the head 3 to be maintained (step S33).

그리고 3회째의 송액 제어를 실행한다(스텝 S35). 이때도 작동 시간 T1, 대기 시간 T2, 목표 횟수 N에 대해서는, 스텝 S25 또는 S31과 동일한 값으로 해도 되고, 다른 값으로 설정해도 된다.Then, the third pumping control is executed (step S35). At this time, the operation time T1, the waiting time T2, and the target number of times N may be the same values as in step S25 or S31, or may be set to different values.

이 경우의 잉크 공급 시에는, 공통 유로(87)로부터 제1 포트(341)를 통하여 유지 보수 대상의 헤드(3) 내에 잉크가 공급되고, 노즐(311)로부터 잉크 트레이(71)로 토출된다. 이때, 잉크의 공급압은 모든 노즐(311)로부터의 토출에 작용하므로, 예를 들어 막힘 등이 발생하고 있던 노즐(311)에 대해서도, 이물질 등을 밀어내어, 막힘의 해소를 도모할 수 있다.Ink is supplied from the common flow path 87 to the maintenance target head 3 through the first port 341 and is discharged from the nozzle 311 to the ink tray 71. In this case, At this time, since the supply pressure of the ink acts on the discharge from all of the nozzles 311, it is possible to push out the foreign substance or the like even on the nozzle 311 which has been clogged, for example, to solve the clogging.

그리고 3회째의 송액 제어가 끝나면, 제어 장치(9)는 유지 보수 대상의 헤드(3) 이외의 모든 헤드(3)의 기록 동작용 밸브(874)도 모두 개방하고(스텝 S37), 또한 보호 밸브(871)를 개방하는 동시에 제3 삼방 전환 밸브(848)를 제6 잉크 유로(844)와 제7 잉크 유로(845)가 접속되는 상태로 전환한다(스텝 S39).When the third pumping control is completed, the control device 9 also releases all the recording operation valves 874 of all the heads 3 other than the head 3 to be maintained (step S37) The third three-way switching valve 848 is switched to the state in which the sixth ink passage 844 and the seventh ink passage 845 are connected (step S39).

그리고 제어 장치(9)는 부압 형성부 배압 조정 제어를 실행하고(스텝 S41), 또한 각 헤드(3)의 와이핑 제어를 실행하여 유지 보수 제어를 종료한다(스텝 S43).Then, the control device 9 executes the negative pressure forming portion back pressure adjustment control (Step S41), and further performs the wiping control of each head 3 to end the maintenance control (Step S43).

여기서, 부압 형성부 배압 조정 제어에 대하여 도 10의 흐름도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 the negative pressure forming portion back pressure adjustment control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우선, 제어 장치(9)는 개방 밸브(868)를 개방하는 동시에 보호 밸브(871)를 폐쇄하도록 전환한다(스텝 S411).First, the controller 9 opens the open valve 868 and closes the protective valve 871 (step S411).

이어서, 부압 형성부(86)에 있어서의 압력 센서(866)의 현재 압력을 대기압으로 설정한다(스텝 S412).Subsequently, the current pressure of the pressure sensor 866 in the negative pressure forming portion 86 is set to the atmospheric pressure (Step S412).

이어서, 제3 송액 펌프(850)의 작동을 개시해서(스텝 S413), 부압 형성부(86)의 본체 용기(861) 내에 공급된 잉크가 본체 용기(861)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액면 센서(865)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414).Subsequently, the operation of the third liquid feed pump 850 is started (step S413), and the ink supplied into the main container 861 of the negative pressure forming portion 86 is guided to the liquid level sensor 865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main container 861 (Step S414).

그리고 잉크가 본체 용기(861)의 상단부에 달하지 않았으면 본체 용기(861)로의 잉크 공급을 계속하고, 잉크가 본체 용기(861)의 상단부에 도달한 경우에는, 제3 송액 펌프(850)를 정지한다(스텝 S415).If the ink does not reach the upper end of the main container 861, the ink supply to the main container 861 is continued. When the ink reaches the upper end of the main container 861, the third feed pump 850 is stopped (Step S415).

그 후, 제어 장치(9)는 개방 밸브(868)를 폐쇄하여(스텝 S416), 제1과 제2 삼방 전환 밸브(846, 847)를 복귀 접속 상태(도 4에 있어서의 흑색 화살표)로 전환하는 제어를 행한다(스텝 S417).Thereafter, the control device 9 closes the opening valve 868 (step S416) and switches the first and second three-way switching valves 846 and 847 to the return connection state (the black arrow in Fig. 4) (Step S417).

그리고 다시, 제3 송액 펌프(850)를 작동시키면(스텝 S418), 부압 형성부(86)의 본체 용기(861)로부터 내부의 잉크가 배출된다. 그 결과, 본체 용기(861)의 내부 압력이 저하된다.When the third liquid feed pump 850 is operated again (step S418), the ink inside the main container 861 of the negative pressure forming portion 86 is discharged. As a result,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main body container 861 is lowered.

각 헤드(3)의 잉크 토출에 적합한 부압의 압력값은 미리 정해져 있고, 압력 센서(866)에 의해, 잉크의 토출에 적합한 부압의 압력값까지 압력이 저하된 것이 검출되면(스텝 S419), 제3 송액 펌프(850)를 정지한다(스텝 S420).When it is detected by the pressure sensor 866 that the pressure is lowered to the negative pressure pressure value suitable for ink ejection (step S419), a negative pressure value suitable for ink ejection of each head 3 is determined, 3 The liquid feed pump 850 is stopped (step S420).

그리고 제어 장치(9)는 보호 밸브(871)를 개방하고(스텝 S421), 이에 의해, 부압 형성부(86)와 각 헤드(3)가 제8 잉크 유로(863) 및 공통 유로(87)를 거쳐 접속된다. 이로 인해, 각 헤드(3)의 내부는, 부압 형성부(86)의 내부와 동일한 부압 압력이 된다.The control device 9 opens the protection valve 871 (step S421) and thereby the negative pressure forming portion 86 and each head 3 move the eighth ink passage 863 and the common passage 87 Respectively. As a result, the inside of each head 3 becomes the same negative pressure as the inside of the negative pressure forming portion 86.

그 후, 제어 장치(9)는 제1과 제2 삼방 전환 밸브(846, 847)를 공급 접속 상태(도 4에 있어서의 백색 화살표)로 전환하는 제어를 행하고(스텝 S422), 부압 형성부 배압 조정 제어를 종료한다.Thereafter, the control device 9 performs control to switch the first and second three-way switching valves 846 and 847 to the supply connection state (white arrow in Fig. 4) (step S422) And ends the adjustment control.

와이핑 제어에 대하여 도 11의 흐름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와이핑 제어에서는, 캐리지(4) 위의 전체 헤드(3)에 대하여 각각의 노즐(311) 주변의 닦아내기가 실시된다.The wiping control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flowchart of Fig. In the wiping control, wiping around the respective nozzles 311 is performed with respect to the entire head 3 on the carriage 4.

그리고 각 노즐(311)의 닦아내기는, X축 방향을 따른 회전축 주위로 회전 구동을 행하는 와이핑 롤러를, 노즐 플레이트(31)의 하면에 미끄럼 접촉시키면서 Y축 방향을 따라서 반송함으로써 행해진다.The wiping of each nozzle 311 is performed by conveying the wiping roller for performing rotational drive around the rotation axis along the X axis direction along the Y axis direction while sliding on the lower face of the nozzle plate 31.

한편, 이 잉크젯 기록 장치(10)는 캐리지(4)에 9개의 각색마다 9개의 헤드(3)가 탑재되어 있으므로, 와이핑을 실시하는 영역도 매우 크게 되어 있다. 따라서, 와이핑 롤러를 편도 1회분의 반송으로 완료시키고자 하면, 와이핑 롤러를 회전축 방향으로 길게 해야만 해, 휨 등이 발생하기 쉬워져서 효과적인 와이핑을 행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inkjet recording apparatus 10, since nine heads 3 are mounted for each of nine colors on the carriage 4, the area for wiping is also very large. Therefore, if the wiping roller is to be completed by one-way transfer, the wiping roller must be elongated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al axis, and warping or the like is liable to occur, thereby making it impossible to perform effective wiping.

따라서, 와이핑 롤러는, X축 방향에 대해서, 3색분의 헤드(3)의 배열 폭과 거의 동일한 크기로 하고, 3회로 나누어 9색분의 전체 헤드(3)의 노즐에 대한 와이핑을 실시한다.Therefore, the wiping roller is wiped with respect to the nozzles of the entire head 3 for nine colors by dividing the wiping roller into three portions in the X-axis direction so as to have the same size as the array width of the heads 3 for the three colors .

이하, 그 동작 제어를 설명한다.The operation control will be described below.

우선, 제어 장치(9)는 와이핑 롤러를 회전시키면서, 그 대기 위치로부터 편도분(왕로)의 반송을 실행한다(스텝 S431). 이에 의해, 3색분의 헤드(3)에 대한 와이핑이 행해진다.First, the control device 9 rotates the wiping roller and carries out a one-minute amount (round trip) from its standby position (step S431). As a result, wiping is performed on the head 3 for three colors.

이어서, 3색분의 헤드(3)의 배열의 X축 방향 폭과 동일한 거리만큼 캐리지(4)를 이동하여(스텝 S433), 와이핑 롤러를 회전시키면서, 편도분(복로)의 반송을 실행한다(스텝 S435). 이에 의해, 다음 3색분의 헤드(3)에 대한 와이핑이 행해진다.Then, the carriage 4 is moved by a distance equal to the width in the X-axis direction of the arrangement of the heads 3 for the three colors (step S433), and the one-way delivery (return) is carried out while rotating the wiping roller Step S435). As a result, wiping is performed on the head 3 of the next three colors.

또한, 3색분 헤드(3)의 배열의 X축 방향 폭과 동일한 거리만큼 캐리지(4)를 이동하여(스텝 S437), 와이핑 롤러를 회전시키면서, 편도분(왕로)의 반송을 실행한다(스텝 S439). 이에 의해, 마지막 3색분의 헤드(3)에 대한 와이핑이 행해진다.The carriage 4 is moved by the same distance as the width of the arrangement of the heads 3 for three colors in the X axis direction (step S437), and the one-way division (forward path) is carried out while rotating the wiping roller S439). Thereby, wiping is performed on the head 3 of the last three colors.

또한, 상기 와이핑은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반복하여 실시된다. 따라서, 제어 장치(9)는 9색분의 와이핑이 끝나면, 현재 와이핑의 실행 횟수와 미리 설정된 반복 횟수를 비교한다(스텝 S441). 그 결과, 현재의 실행 횟수가 설정 반복 횟수에 이르지 않은 경우에는, 처리를 S431로 복귀시키고, 다시 와이핑 동작을 개시한다.The wiping is repeatedly performed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Therefore, when the wiping for nine colors is completed, the control device 9 compares the execution number of the current wiping with the preset repetition number (step S441). As a result, if the current execution number does not reach the set repetition number, the process returns to S431 to start the wiping operation again.

한편, 현재의 실행 횟수가 설정 반복 횟수에 일치한 경우에는, 와이핑 제어를 종료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current execution count matches the setting repeat count, the wiping control is terminated.

도 12a는 도 8의 유지 보수 제어에 있어서의 스텝 S35의 송액 제어, 즉, 유지 보수 대상의 헤드(3)에 접속된 기록 동작용 밸브(874)를 개방하고, 유지 보수 밸브(875)를 폐쇄한 상태에서의 송액에 있어서의 공급 압력을 단계적으로 바꾸어 행한 경우의 노즐(311) 막힘의 회복 상황을 나타낸 도표이다. 또한, 잉크의 공급 압력은 제3 송액 펌프(850)의 구동원인 모터에 대한 PWM 제어에 의해 행해진다.12A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quid delivery control in step S35 in the maintenance control of Fig. 8, that is, the recording operation valve 874 connected to the maintenance target head 3 is opened and the maintenance valve 875 is closed In the case where the supply pressure in the feed in one state is changed stepwise. The supply pressure of the ink is made by PWM control of the motor which is the driving source of the third feed pump 850. [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급압을 10[kPa]로 했을 경우에는 토출 불량은 되지 않지만 완전한 회복에도 이르고 않고, 20[kPa]로 했을 경우에는 토출이 양호해지고, 30, 40[kPa]로 했을 경우에는 보다 양호한 토출이 행해질 정도까지 회복되었다. 즉, 노즐(311) 막힘의 회복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30[kPa] 이상에서 잉크를 공급하여 유지 보수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결과가 얻어졌다.As shown in the drawing, when the supply pressure is 10 [kPa], the ejection failure is not caused but the complete recovery does not occur. When the supply pressure is 20 [kPa], the ejection becomes good and when the feed pressure is 30 and 40 [kPa] And was recovered to such an extent that a better discharge was made. That is, in order to recover the clogging of the nozzle 311, it is preferable to perform maintenance by supplying ink at 30 [kPa] or more.

도 12b는, 도 8의 유지 보수 제어에 있어서의 스텝 S31의 송액 제어, 즉, 유지 보수 대상의 헤드(3)에 접속된 기록 동작용 밸브(874)와 유지 보수 밸브(875)의 양쪽을 개방한 상태에서의 송액에 있어서의 공급 압력을 단계적으로 바꾸어 행한 경우의 헤드(3) 내의 기포 제거 상황을 나타내는 도표이다.12B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quid delivery control in step S31 in the maintenance control in Fig. 8, that is, both the recording operation valve 874 and the maintenance valve 875 connected to the maintenance target head 3 are opened And Fig. 4 is a chart showing the bubble removal situation in the head 3 when the supply pressure in the feed in one state is changed stepwise.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급압을 3[kPa]로 했을 경우에는 헤드(3) 내의 기포를 충분히 배출할 수 없고, 4[kPa], 5[kPa]로 했을 경우에는 일부의 기포는 배출되었지만 아직도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을 정도로 기포가 헤드(3) 내에 잔존하고, 7[kPa], 9[kPa]로 했을 경우에는 헤드(3) 내의 기포가 충분히 배출되고, 10[kPa]로 했을 경우에는 헤드(3) 내의 기포가 더 충분히 배출되었다. 즉, 헤드(3) 내의 기포의 배출을 행하기 위해서는 7[kPa] 이상에서 잉크를 공급하여 유지 보수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결과가 얻어졌다.As shown in the figure, when the supply pressure is 3 [kPa], bubbles in the head 3 can not be sufficiently discharged, and when 4 [kPa] and 5 [kPa] are set, some bubbles are discharged, The air bubbles in the head 3 are sufficiently discharged when the air bubbles are left in the head 3 and the air bubbles are left in the head 3 at 7 kPa and 9 kPa, 3) were discharged more fully. That is, in order to discharge the bubbles in the head 3, it is preferable to perform maintenance by supplying ink at 7 [kPa] or more.

[유지 보수 제어(전체 헤드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Maintenance control (for all heads)]

이어서, 제어 장치(9)가 행하는 전체 헤드(3)의 유지 보수 제어에 대하여 도 13의 흐름도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Next, the maintenance control of the entire head 3 performed by the control device 9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캐리지(4)가 유지 보수부(7)의 바로 위에 대기한 상태에서, 제어 장치(9)는 제1과 제2 삼방 전환 밸브(846, 847)를 공급 접속 상태(도 4의 백색 화살표의 접속)로 하고, 제3 삼방 전환 밸브(848)를 우회 유로(854)에 접속한다(스텝 S51).The control device 9 controls the first and second three-way switching valves 846 and 847 to be in a supply connection state (connection with a white arrow in Fig. 4) ), And connects the third three-way switching valve 848 to the bypass flow path 854 (step S51).

또한, 공통 유로(87)의 폐액 밸브(873)를 개방하고, 보호 밸브(871)를 폐쇄하고, 전체 헤드(3)의 기록 동작용 밸브(874)를 폐쇄한 상태로 한다(스텝 S53).The waste liquid valve 873 of the common flow path 87 is opened and the protection valve 871 is closed so that the recording operation valve 874 of the entire head 3 is closed (step S53).

그리고 잉크의 송액 제어(도 9 참조)를 실행하고(스텝 S55), 공통 유로(87) 내의 기포를 잉크와 함께 배출한다.9) is executed (step S55), and the bubbles in the common flow path 87 are discharged together with the ink.

그리고 송액 제어가 끝나면, 제어 장치(9)는 공통 유로(87)의 폐액 밸브(873)를 폐쇄하고(스텝 S57), 모든 헤드(3)의 기록 동작용 밸브(874) 및 유지 보수 밸브(875)를 개방시킨다(스텝 S59).The control device 9 closes the waste liquid valve 873 of the common flow path 87 (step S57), and the recording operation valve 874 and the maintenance valve 875 of all the heads 3 (Step S59).

그리고 2회째의 송액 제어를 실행하고(스텝 S61), 각 헤드(3) 내의 기포 및 혼입물 등이 존재하면, 노즐(311) 및 제2 포트(342)로부터 외부로 배출한다.Then, the second pumping control is executed (step S61). When bubbles and inclusion in each head 3 are present, the liquid is discharged from the nozzle 311 and the second port 342 to the outside.

그리고 송액 제어가 끝나면, 제어 장치(9)는 모든 헤드(3)의 유지 보수 밸브(875)를 폐쇄한다(스텝 S63).When the pumping control is completed, the control device 9 closes the maintenance valve 875 of all the heads 3 (step S63).

그리고 제어 장치(9)는 부압 형성부 배압 조정 제어(도 10 참조)를 실행하고(스텝 S65), 또한 각 헤드(3)의 와이핑 제어(도 11 참조)를 실행하여 유지 보수 제어를 종료한다(스텝 S67).10) (step S65), and the wiping control (see Fig. 11) of each head 3 is executed to terminate the maintenance control (Step S67).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기술적 효과][Technical Effect in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잉크젯 기록 장치(10)는 동일한 색채에 대하여 9개의 헤드(3)를 구비하고, 각 헤드(3)의 매니폴드(34)는 그 내부에 통하는 제1과 제2 포트(341, 342)를 갖는 동시에 당해 제1 및 제2 포트(341, 342) 각각에 이어지는 유로에는 제어 장치(9)에 의해 개폐 전환 제어가 행해지는 기록 동작용 밸브(874)와 유지 보수 밸브(875)가 설치되어 있다.The inkjet recording apparatus 10 has nine heads 3 for the same color and the manifold 34 of each head 3 has first and second ports 341 and 342 communicating therewith At the same time, a flow path following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ports 341 and 342 is provided with a recording operation valve 874 and a maintenance valve 875 for performing opening / closing switching control by the control device 9.

이로 인해, 제어 장치(9)의 제어에 의해, 임의의 헤드(3)에 대하여 제1 포트(341)와 제2 포트(342)의 개개의 개폐를 행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유지 보수 대상이 되는 일부의 헤드(3)에 대해서만 헤드(3) 내의 혼입물의 배출에 의한 막힘으로부터 복귀나 기포의 배출을 행할 수 있게 된다.This allows the first port 341 and the second port 342 to be individually opened and closed with respect to an arbitrary head 3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device 9, It is possible to return from the clogging due to the discharge of the mixed substance in the head 3 and to discharge the bubbles to only the part of the head 3 which is the head 3.

이에 의해, 유지 보수에 의한 잉크의 소비량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This makes it possible to reduce the amount of ink consumed due to maintenance.

또한, 유지 보수에 사용한 잉크를 회수하지 않고도, 잉크 소비량을 저감할 수 있으므로, 잉크를 회수하기 위해 각 헤드마다 필터를 장비할 필요가 없어, 필터의 점검 작업도 불필요하게 된다.Further, since the amount of ink consumption can be reduced without collecting the ink used for maintenance, it is not necessary to equip each head with a filter in order to collect the ink, and the inspection work of the filter is also unnecessary.

또한, 전체 헤드를 직렬 접속하여 유지 보수를 행하는 경우에 비해, 유지 보수 대상이 되는 일부의 헤드(3)에만 유지 보수를 행하면 되므로, 그 소요 시간도 대폭으로 단축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maintenance is performed by connecting all the heads in series, the maintenance can be performed only on a part of the heads 3 to be maintained, so that the required time can be greatly shortened.

또한, 잉크젯 기록 장치(10)는 각 헤드(3)를 병렬로 접속하는 공통 유로(87)를 구비하므로, 복수의 헤드를 직렬 접속하는 경우와 달리, 어떤 헤드(3) 내의 기포나 혼입물이 다른 헤드(3) 내로 이동하는 일이 없다. 또한, 예를 들어 각 헤드(3) 내의 압력 조정 등은, 이 공통 유로(87)를 거쳐 행함으로써 전체 헤드(3)에 대하여 한번에 행할 수 있다.Since the ink jet recording apparatus 10 has the common flow path 87 for connecting the heads 3 in parallel, unlike the case where a plurality of heads are connected in series, It does not move into the other head 3. Further, for example, the pressure adjustment in each head 3 can be performed at once with respect to the entire head 3 by way of this common flow path 87. [

또한, 공통 유로(87) 내부의 잉크를 배출하는 폐액 유로(872)를 설치한 경우에는, 공통 유로(87) 내에 발생한 기포를 폐액 유로(872)로부터 간단히 배출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waste liquid flow path 872 for discharging the ink inside the common flow path 87 is provided, the bubbles generated in the common flow path 87 can be easily discharged from the waste liquid flow path 872.

또한, 부압 형성부(86)와 우회 유로(854)를 구비하므로, 유지 보수 시에 어느 하나의 헤드(3)에 대하여 통상 시보다도 높은 압력을 부여하는 경우에도, 부압 형성부(86)의 전후에 위치하는 제3 삼방 전환 밸브(848) 및 보호 밸브(871)를 폐쇄함으로써 압력의 영향을 피할 수 있어, 부압 형성부(86)의 보호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Further, since the negative pressure forming portion 86 and the bypass passage 854 are provided, even when a pressure higher than a normal pressure is applied to any one of the heads 3 during maintenance, Closing of the third three-way switching valve 848 and the protection valve 871 located in the first and second three-way switching valves 848 and 871, the influence of the pressure can be avoided and the negative pressure forming portion 86 can be protected.

[기타][Other]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공통 유로(87)의 형상을 정면에서 보아 대략 이등변 삼각형의 평판 형상으로 했지만, 그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shape of the common flow path 87 is a substantially isosceles triangular flat plate shape when viewed from the front, but the shape thereof is not limited thereto.

도 14a 내지 도 14c에 공통 유로(87)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이 변형예의 공통 유로(87A)는, 정면에서 본 형상이, 긴 변이 Y축 방향에 평행해지는 직사각 형상이며, 전체적으로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내부는 중공이며, 내부 공간은 외부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Figs. 14A to 14C show modified examples of the common flow path 87. Fig. The common flow path 87A of this modified example has a rectangular shape whose long side is parallel to the Y-axis direction in the shape seen from the front side, and is form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s a whole. The inside is hollow, and the inside space has the same shape as the outside shape.

이 공통 유로(87A)는, 전술한 공통 유로(87)와 달리, 최상부가 평면 형상으로 되어 있다. 폐액 유로(872)는 공통 유로(87A)의 내부 상면과 거의 동일한 높이로 접속되어 있고, 유지 보수 시에는 공통 유로(87A)의 최상부에 모이는 기포를 배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Unlike the above-described common flow path 87, the common flow path 87A has a flat top. The waste liquid flow path 872 is connected at substantially the same height as the inner top surface of the common flow path 87A, and allows bubbles to collect at the top of the common flow path 87A during maintenance.

도 14a 내지 도 14c는 각각 공통 유로(87)에 대하여 잉크를 공급하는 제8 잉크 유로(863)의 접속 위치를 공통 유로(87A)의 우측 단부, 좌측 단부, 중앙부로 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공통 유로(87A)를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 형상으로 했으므로, 제8 잉크 유로(863)의 접속 위치는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14A to 14C show the case where the eighth ink passage 863 for supplying ink to the common passage 87 is connected to the right end portion, the left end portion and the center portion of the common passage 87A.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ommon flow path 87A is rectangular in plan view, the connection position of the eighth ink flow path 863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산업상 이용 가능성>&Lt; Industrial applicability >

하나의 색채에 대한 복수의 헤드에서 잉크를 토출하는 잉크젯 기록 장치의 분야에 있어서 이용 가능성이 있다.There is a possibility in the field of an ink jet recording apparatus that ejects ink from a plurality of heads for one color.

3: 헤드
9: 제어 장치(제어부)
10: 잉크젯 기록 장치
34: 매니폴드
341: 제1 포트
342: 제2 포트
8: 잉크 공급 장치
81: 메인 탱크(제1 탱크)
811: 제1 잉크 유로
812: 탱크 밸브(접속 전환부)
814: 제1 송액 펌프(제1 송액부)
82, 82A, 82B: 서브 탱크(제2 탱크)
829: 제2 송액 펌프(제2 송액부)
83: 탈기 장치
84: 중간 탱크(잉크 탱크)
848: 제3 삼방 전환 밸브(밸브)
850: 제3 송액 펌프(송액부)
854: 우회 유로
86: 부압 형성부
87: 공통 유로
871: 보호 밸브(밸브)
872: 폐액 유로(배출 유로)
873: 폐액 밸브(밸브)
874: 기록 동작용 전자 밸브(밸브)
875: 유지 보수 밸브(밸브)
3: Head
9: Control device (control section)
10: ink jet recording apparatus
34: Manifold
341: First port
342:
8: ink supply device
81: Main tank (first tank)
811: first ink channel
812: Tank valve (connection switching part)
814: first liquid sending pump (first liquid feeding section)
82, 82A and 82B: sub tank (second tank)
829: Second liquid delivery pump (second delivery section)
83: Deaerator
84: Medium tank (ink tank)
848: Third three-way switching valve (valve)
850: Third pump (pump)
854: Bypass Euro
86: Negative pressure forming part
87:
871: Protection valve (valve)
872: Waste liquid flow path (discharge flow path)
873: Waste liquid valve (valve)
874: Recording action solenoid valve (valve)
875: Maintenance valve (valve)

Claims (10)

기록 매체에 동일 색의 잉크를 토출하는 복수의 헤드와,
상기 복수의 헤드 각각에 공급하는 잉크를 저류하는 잉크 탱크와,
상기 잉크 탱크로부터 상기 헤드측으로 잉크를 보내는 송액부를 구비하고,
상기 각 헤드는, 그의 내부에 잉크가 채워지는 매니폴드와, 당해 매니폴드에 연통하고 각 헤드에 잉크를 공급하는 제1 포트 및 당해 매니폴드에 연통하고 각 헤드로부터 잉크를 배출하는 제2 포트를 갖고,
상기 각 헤드의 제1 포트와 제2 포트 각각에 이어지는 잉크 유로에, 개폐 전환 가능한 밸브를 설치하고,
모든 상기 헤드의 제1 포트가 상기 밸브를 통하여 병렬로 접속된 공통 유로와,
상기 공통 유로에 접속되어 당해 공통 유로의 내부의 잉크를 배출하는 배출 유로와,
당해 배출 유로에 설치된 개폐 전환 가능한 밸브와,
상기 각 헤드의 제1 및 제2 포트 각각에 이어지는 밸브의 개폐를 개별로 제어하고, 상기 배출 유로의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각 헤드에 대하여 상기 공통 유로를 통해 잉크가 공급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복수의 헤드 중 유지 보수 대상이 되는 헤드의 상기 제1 포트에 이어지는 밸브를 개방함과 함께 상기 제2 포트에 이어지는 밸브를 폐쇄하고, 나머지 헤드의 상기 제1 포트에 이어지는 밸브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송액부에 의해 상기 유지 보수 대상인 헤드에 잉크를 공급하여 유지 보수를 행하는 제1 유지 보수 동작과,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복수의 헤드 중 유지 보수 대상이 되는 헤드의 상기 제1 포트에 이어지는 밸브 및 상기 제2 포트에 이어지는 밸브를 개방하고, 나머지 헤드의 상기 제1 포트에 이어지는 밸브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송액부에 의해 상기 유지 보수 대상인 헤드에 잉크를 공급하여 유지 보수를 행하는 제2 유지 보수 동작을 갖고,
상기 제어부는, 모든 상기 헤드의 제1 포트의 상기 밸브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배출 유로의 밸브를 개방함으로써 상기 공통 유로의 내부의 잉크를 상기 배출 유로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기록 장치.
A plurality of heads for ejecting ink of the same color on a recording medium,
An ink tank for storing ink to be suppli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heads,
And a liquid delivering section for sending ink from the ink tank to the head side,
Wherein each of the heads has a manifold in which ink is filled, a first port communicating with the manifold and supplying ink to each head, and a second port communicating with the manifold and discharging ink from each head Have,
A valve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switching is provided in an ink flow path leading to each of the first port and the second port of each head,
A common flow path in which all the first ports of the heads are connected in parallel through the valve,
A discharge flow path connected to the common flow path for discharging the ink inside the common flow path,
An openable and closable valve provided in the discharge passage,
And a control unit for individually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valves following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ports of each of the heads and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valves of the discharge channel,
Ink is supplied to each of the heads through the common flow path,
The control unit opens the valve leading to the first port of the maintenance target head among the plurality of heads and closes the valve following the second port, A first maintenance operation for performing maintenance by supplying ink to the head to be maintained by the liquid delivering unit in a closed state,
The valve leading to the first port and the valve leading to the second port of the head to be subjected to maintenance among the plurality of heads are opened by the control unit and the valve leading to the first port of the remaining head is closed And a second maintenance operation for performing maintenance by supplying ink to the head to be maintained by the liquid delivering section,
Wherein the control unit discharges the ink in the common flow path to the discharge flow path by opening the valve of the discharge flow path in a state in which the valve of the first port of all the heads is clos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탱크로부터 상기 각 헤드에 이르는 잉크 유로의 도중에, 상기 각 헤드 내를 대기압보다 낮은 부압(負壓) 상태로 유지하는 부압 형성부를 상기 각 헤드에 공통으로 설치하고,
상기 부압 형성부를 통하지 않고 잉크 공급을 행하는 우회 유로와,
상기 부압 형성부의 전후에 잉크 공급 시의 압력을 차단하기 위한 개폐 전환 가능한 밸브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기록 장치.
The ink jet recording hea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negative pressure forming portion for holding the inside of each of the heads in a negative pressure state lower than the atmospheric pressure is provided in common in the respective ink heads from the ink tank to the heads,
A bypass flow path for supplying ink without passing through the negative pressure forming section,
Wherein an opening / closing switchable valve for blocking the pressure at the time of ink supply is provided before and after the negative pressure forming portion.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지 보수 동작에 있어서의 상기 송액부에 의한 잉크의 공급 압력이, 상기 제2 유지 보수 동작에 있어서의 상기 송액부에 의한 잉크의 공급 압력 이상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기록 장치.The ink cartridg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supply pressure of the ink by the liquid delivering portion in the first maintenance operation is equal to or more than the supply pressure of the ink by the liquid delivering portion in the second maintenance operation And the ink jet recording head is set to be in a non-ejecting state.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매니폴드의 내부에는, 상기 제1 포트 및 상기 제2 포트에 연통하는 측의 영역과, 잉크를 토출하는 노즐에 연통하는 측의 영역을 구획하는 필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기록 장치.The ink cartridg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a filter for partitioning a region on the sid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port and the second port and a region on the side communicating with the nozzle for discharging ink is provided inside the manifold The inkjet recording apparatus comprising: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탱크보다도 잉크 공급 방향의 상류측에 제2 잉크 탱크가 설치되고, 상기 제2 잉크 탱크로부터 상기 잉크 탱크에 이르는 잉크 유로의 도중에, 잉크의 탈기(脫氣)를 행하는 탈기 모듈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기록 장치.The ink cartridge according to claim 1 or 5, wherein a second ink tank is provided on an upstream side of the ink tank in the ink supply direction, and a deaeration (deactivation) of the ink is provided in the middle of the ink channel from the second ink tank to the ink tank Wherein a degassing module for performing a degassing process is provided on the downstream sid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탈기 모듈은, 진공 펌프에 의해 진공화가 행해지는 진공 용기와, 상기 진공 용기 내에서 내측으로 잉크를 통과시키는 중공자막(中空子膜)을 구비하고, 진공화에 의해, 잉크 내의 용존 기체를 상기 중공자막을 통하여 외측으로 분출하여 잉크의 탈기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기록 장치.The vacuum degass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degassing module includes a vacuum container for vacuuming by a vacuum pump, and a hollow capturing membrane (hollow film) for allowing ink to pass inward in the vacuum container, And the dissolved gas in the ink is ejected outward through the hollow caption membrane to perform the deaeration of the ink.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헤드 중 유지 보수 대상이 되는 헤드를 특정하는 특정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기록 장치.The ink-jet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or 5, further comprising specifying means for specifying a head to be subjected to maintenance among the plurality of heads.
KR1020147006977A 2011-09-21 2012-07-31 Inkjet recording apparatus KR10168043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05422 2011-09-21
JP2011205422 2011-09-21
PCT/JP2012/069383 WO2013042457A1 (en) 2011-09-21 2012-07-31 Inkjet record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4876A KR20140064876A (en) 2014-05-28
KR101680436B1 true KR101680436B1 (en) 2016-11-28

Family

ID=47914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6977A KR101680436B1 (en) 2011-09-21 2012-07-31 Inkjet recording apparatus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759408B1 (en)
JP (1) JP5962661B2 (en)
KR (1) KR101680436B1 (en)
CN (1) CN103874582B (en)
WO (1) WO2013042457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89386B2 (en) * 2014-07-16 2018-09-12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Control method for liquid ejection device and liquid ejection device
CN108349262B (en) 2016-01-15 2021-04-09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Printing fluid container
JP6569577B2 (en) * 2016-03-30 2019-09-04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Ink jet recording apparatus and refresh method for ink jet recording apparatus
EP3446878B1 (en) * 2016-04-18 2020-09-09 Konica Minolta, Inc. Droplet ejecting device and method for maintaining droplet ejecting device
JP6751256B2 (en) 2016-04-21 2020-09-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Liquid ejecting head unit and liquid ejecting apparatus
EP3424724B1 (en) * 2017-07-03 2020-04-22 Canon Kabushiki Kaisha Print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program
CN109203728B (en) * 2018-09-29 2024-05-28 北京大豪科技股份有限公司 Ink jet device of embroidery machine, ink jet control method and system
JP7484334B2 (en) * 2020-03-31 2024-05-1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Inkjet recording device
CN112339432B (en) * 2020-11-05 2022-04-08 武汉数字化设计与制造创新中心有限公司 Ink supply and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spray head for ink-jet printing
WO2023182070A1 (en) * 2022-03-24 2023-09-28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Inkjet recording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45615A (en) 2006-03-17 2007-09-27 Konica Minolta Holdings Inc Inkjet printer
JP2010064389A (en) 2008-09-11 2010-03-25 Fuji Xerox Co Ltd Inkjet recorder
JP2011068033A (en) 2009-09-25 2011-04-07 Fujifilm Corp Method for checking valve operation of liquid supply device, liquid supply device, and ink jet recorder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78956B2 (en) 1999-10-15 2007-09-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Inkjet recording device
JP4012806B2 (en) * 2002-11-15 2007-11-21 株式会社リコー Inkjet recording device
CN1771133A (en) * 2004-01-14 2006-05-10 精工爱普生株式会社 Liquid jetting device
JP4784129B2 (en) * 2005-03-31 2011-10-05 凸版印刷株式会社 Inkjet printing device
JP2007261234A (en) 2006-03-30 2007-10-11 Canon Finetech Inc Ink-jet recording apparatus
JP2007290246A (en) * 2006-04-25 2007-11-08 Canon Inc Inkjet recording head and, function recovery method of inkjet recording head
JP2008094012A (en) * 2006-10-13 2008-04-24 Canon Inc Inkjet record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inkjet recording device
ES2302634B1 (en) * 2006-11-28 2009-05-21 Kerajet, S.A. AUTONOMOUS PRINTING MODULE BY INK JET.
KR101524533B1 (en) * 2007-10-12 2015-06-01 비디오제트 테크놀러지즈 인코포레이티드 Filter for ink supply system
JP2009160896A (en) * 2008-01-10 2009-07-23 Canon Finetech Inc Inkjet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9285900A (en) 2008-05-28 2009-12-10 Konica Minolta Holdings Inc Line type head unit
JP5127649B2 (en) * 2008-09-29 2013-01-2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Liquid ejection device
JP2011051209A (en) * 2009-09-01 2011-03-17 Sharp Corp Liquid droplet discharging device
JP5536410B2 (en) * 2009-10-05 2014-07-0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Inkjet recording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45615A (en) 2006-03-17 2007-09-27 Konica Minolta Holdings Inc Inkjet printer
JP2010064389A (en) 2008-09-11 2010-03-25 Fuji Xerox Co Ltd Inkjet recorder
JP2011068033A (en) 2009-09-25 2011-04-07 Fujifilm Corp Method for checking valve operation of liquid supply device, liquid supply device, and ink jet recor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59408A1 (en) 2014-07-30
EP2759408A4 (en) 2016-10-12
WO2013042457A1 (en) 2013-03-28
JPWO2013042457A1 (en) 2015-03-26
KR20140064876A (en) 2014-05-28
CN103874582A (en) 2014-06-18
JP5962661B2 (en) 2016-08-03
CN103874582B (en) 2015-11-25
EP2759408B1 (en) 2020-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0436B1 (en) Inkjet recording apparatus
EP2572886B1 (en) Ink supply device and ink supply method for inkjet recording apparatus
US8480214B2 (en) Liquid jetting head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384488B2 (en) Ink jet record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7320285A (en) Liquid drop ejection apparatus
US9956784B2 (en) Liquid ejecting apparatus and liquid supply method
JP2012056248A (en) Liquid discharge head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246107B2 (en) Liquid ejector
JP6465060B2 (en) Printing device
US20080252707A1 (en) Liquid supply apparatus, liquid supply method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5174378A (en) Liquid discharge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JP6690380B2 (en) Droplet discharg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droplet discharging apparatus
US8425024B2 (en) Liquid ejection apparatus and printing apparatus
JP2012045868A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1056689A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2196816A (en) Liquid discharging apparatus
JP2011189636A (en) Liquid delivery head unit and image forming device
JP2011230337A (en) Liquid storing tank, liquid ejection head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WO2017183363A1 (en) Droplet ejecting device and method for maintaining droplet ejecting device
JP2007331242A (en) Inkjet recording device
JP2011143614A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20190389204A1 (en) Inkjet recording apparatus
JP2010052194A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20121469A (en) Maintenance unit and image formation apparatus
JP2011046131A (en) Image form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