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0153B1 - 매체 방출장치 - Google Patents

매체 방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0153B1
KR101680153B1 KR1020160101025A KR20160101025A KR101680153B1 KR 101680153 B1 KR101680153 B1 KR 101680153B1 KR 1020160101025 A KR1020160101025 A KR 1020160101025A KR 20160101025 A KR20160101025 A KR 20160101025A KR 101680153 B1 KR101680153 B1 KR 101680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auxiliary
housing
loading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1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일
장진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하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하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하산업
Priority to KR1020160101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01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0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0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3Dispensing operations within AT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00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B65H7/02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 B65H7/06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responsive to presence of faulty articles or incorrect separation or f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9/00Registering, e.g. orientating, articles; Devices therefor
    • B65H9/16Inclined tape, roller, or like article-forwarding side registers
    • B65H9/166Roller
    • G07D11/0039
    • G07D11/0084
    • G07D7/166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181Testing mechanical properties or condition, e.g. wear or tear
    • G07D7/183Detecting folds or doub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납된 매체를 일정한 속도로 한 매씩 정확하게 방출함으로써 장비 신뢰도 및 사용 편의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고, 배출경로로 2매의 매체가 유입될 때 분리롤러가 상부 매체를 확실하게 밀착시킴으로써 장비 신뢰도 및 사용 편의성을 더욱 높일 수 있으며, 분리롤러가 하방으로 탄발적으로 지지되도록 구성됨으로써 2매의 매체가 유입될 때 상부 매체를 밀착시켜 상부 매체의 이동을 더욱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허용두께 이상의 매체가 유입되더라도 장비에러 및 고장을 방지할 수 있고, 분리롤러가 일방향 클러치에 의하여 매체가 방출하기 위한 회전방향인 정방향으로는 회전하지 않도록 구성됨으로써 오류데이터 검출 시 역회전만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유입된 매체가 2매일 때 역회전하여 이들을 매체 수납공간으로 다시 복귀시킬 수 있는 매체 방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매체 방출장치{Media ejecting device}
본 발명은 매체 방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로는 지폐 등의 수납된 매체를 일정한 속도로 한 매씩 외부로 방출하되, 2매 이상의 매체 방출을 차단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매체 방출의 정확성 및 신뢰도를 현저히 높일 수 있는 매체 방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매체란, 지폐, 상품권, 공문서 등과 같이 일면 또는 양면에 기 설정된 텍스트 및 이미지가 인쇄되는 일정한 크기의 종이, 비닐 등의 재질의 판상으로 정의되고, 소지가 간단함과 동시에 출력 및 편집이 용이한 장점으로 인해 각종 다양한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매체는 사용분야가 다양함과 동시에 사용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각 금융기관, 관공서 등에서는 현금 자동 입출금장치(ATM, Automatic Teller Machine) 등과 같은 무인 자동화기기를 설치 및 운용하여 업무효율의 향상 및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있다.
이러한 무인 자동화기기는 통상적으로, 본체의 내부에 매체를 수납하여 보관하면서 사용자의 요청에 대응되는 수량의 매체를 자동으로 외부로 방출시키기 위한 매체 방출장치를 구비하고 있고, 매체 방출장치는 사용자가 요청한 금액 또는 수량에 따라 수납된 매체를 정확하게 외부로 방출시켜야 한다.
이에 따라 수납된 매체를 외부의 요청에 따라 정확하게 방출하도록 하는 매체 방출장치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도 1은 국내등록특허 제10-1070588호(발명의 명칭 : 2매 방출 방지기능을 갖는 지폐 카세트)에 개시된 지폐 카세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지폐 픽업롤러 및 지폐 이송롤러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과 2의 지폐 카세트(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200)는 내측으로 지폐(P)가 수납되며 일측면에 지폐가 방출되는 지폐방출공(211)이 형성되는 지폐수납함(210)과, 지폐수납함(210)의 상면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220)와, 지폐수납함(210)의 바닥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지폐수납함(210)에 저장된 지폐(P)를 지폐방출공(211) 측으로 밀어내는 한 쌍의 지폐 픽업롤러(230)들과, 지폐방출공(211)의 내측 상면에 고정 배치되는 2매 분리롤러(240)와, 2매 분리롤러(240)와 평행하게 이격되되 지폐방출공(211)의 내하부에 배치되어 구동모터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지폐 이송롤러(250)로 이루어진다.
또한 2매 분리롤러(240)는 지폐방출공(211)과 평행하게 이격된 중심축(241)을 갖고, 외측면에 원통형으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돌출된 다수의 마찰돌기(242)들이 형성된다.
또한 지폐 이송롤러(250)는 2매 분리롤러(240)와 평행하게 이격된 회전축(251)을 갖고, 구동모터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며, 외측면에 마찰돌기(242)와 대응되게 원통형으로 함몰 형성되어 마찰돌기(242)의 끝단이 삽입되는 마찰홈(252)들이 형성된다.
즉 종래기술(200)은 지폐(P)가 2매 분리롤러(240) 및 지폐 이송롤러(250) 사이를 통과할 때 마찰돌기(242) 및 마찰홈(252) 사이로 삽입됨으로써 마찰돌기(242) 및 마찰홈(252)의 각 모서리에 점접촉하게 되고, 이에 따라 지폐(P)의 단면이 상, 하 방향으로 함몰 및 돌출이 반복되면서 지폐(P)가 상, 하 방향 곡선이 반복되는 엠보싱 형상으로 탄성 변형됨으로써 2장의 지폐(P)가 유입될 때 2매 분리롤러(240)와 접촉되는 상부측 지폐(P)는 지폐방출공(211)의 내측에 그대로 남아있게 되고, 하부측 지폐(P) 만이 지폐방출공(211)으로 밀려나가게 되어 지폐(P)가 2장씩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기술(200)은 유입된 지폐가 2매 분리롤러(240)의 마찰돌기(242) 및 지폐 이송롤러(250)의 마찰홈(252)에 의하여 단면이 상, 하 방향으로 함몰 및 돌출된 상태로 이들 사이를 통과하기 때문에 매체의 다양한 두께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없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종래기술(200)은 2매 분리롤러(240)가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2매의 지폐가 유입되는 에러 발생 시 지폐를 다시 내부로 복귀시킬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지폐 이송롤러(250)의 회전으로 인해 밀착된 상부지폐를 조금씩 앞으로 전진시키는 잼 현상이 발생하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종래기술(200)은 2매 분리롤러(240)의 마찰돌기(242)들이 지폐 이송롤러(250)의 마찰홈(252)들로 각각 삽입되게 설치됨에 따라 2매 분리롤러(240) 및 지폐 이송롤러(250)가 맞닿는 최초 진입영역으로 지폐가 이송될 때 이송된 지폐의 선단부가 2매 분리롤러(240)의 마찰돌기(242) 및 지폐 이송롤러(250)의 마찰홈(252)의 사이로 진입하지 못하여 지폐의 이송이 차단되어 장비고장 및 점검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종래기술(200)은 만약 2매 분리롤러(240) 및 지폐 이송롤러(250) 사이로 유입될 수 있는 허용두께보다 두꺼운 지폐가 유입(예를 들어 3매 이상의 지폐가 유입) 되는 경우, 유입된 지폐가 2매 분리롤러(240) 및 지폐 이송롤러(250) 사이로 진입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즉 1)수납된 매체를 정확하게 한 매씩 방출할 수 있으며, 2)2매의 매체 유입 시 철저하게 이들의 방출을 차단함과 동시에 유입된 2매의 매체를 다시 내부 수납공간으로 원활하게 복귀시킨 후 재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며, 3)허용두께보다 큰 두께의 매체의 유입으로 인한 장비고장 및 에러를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매체 방출장치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수납된 매체를 일정한 속도로 한 매씩 정확하게 방출할 수 있는 매체 방출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배출경로로 2매의 매체가 유입될 때 분리롤러가 상부 매체를 확실하게 밀착시켜 2매의 매체가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하는 매체 방출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분리롤러가 하방으로 탄발적으로 지지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매체의 다양한 두께에 탄력적으로 대응이 가능한 매체 방출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분리롤러가 일방향 클러치에 의하여 매체가 방출하기 위한 회전방향인 정방향으로는 회전하지 않되, 오류데이터 검출 시 역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유입된 매체가 2매일 때 역회전하여 이들을 매체 수납공간으로 다시 복귀시키도록 하는 매체 방출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보조 이송롤러들이 하방으로 탄발적으로 지지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배출경로로 유입된 매체를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하기 위한 매체 방출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매체 수납공간에 수납된 매체의 상부에 안착되어 수납된 매체를 압착시키기 위한 가압부를 더 포함함으로써 이송롤러에 의하여 수납된 매체가 용이하게 배출경로로 이송될 수 있는 매체 방출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회전운동을 발생시키는 구동수단; 내부에 매체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납공간에 인접하게 매체가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배출경로(S`)가 형성되는 하우징; 회전 시 상기 수납공간의 최하부 매체를 상기 배출경로(S`)로 이송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송롤러를 포함하는 이송부; 상측영역이 상기 배출경로(S`)의 진입영역으로 상향 돌출되어 상기 이송롤러에 의해 유입된 매체를 상기 배출경로(S`)의 내측으로 이송시키는 로딩롤러를 포함하는 로딩부; 하측영역이 상기 배출경로(S`)의 진입영역으로 하향 돌출되되 상기 로딩롤러와 접촉되며, 2매 이상의 매체들이 유입될 때 최상부 매체의 이동을 차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리롤러와, 상기 매체가 외부로 방출되기 위한 상기 구동수단의 회전방향을 정회전이라고 할 때 상기 분리롤러를 역회전으로만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일방향 클러치들을 포함하는 분리부; 상기 분리롤러를 하방으로 탄발적으로 지지하는 탄발지지수단; 상측영역이 상기 배출경로(S`)의 진출영역으로 상향 돌출되어 상기 로딩롤러에 의해 이송된 매체를 외부로 방출시키는 방출롤러로 구성되는 방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딩롤러 및 상기 방출롤러는 상기 구동수단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고, 상기 분리부는 분리부 회전축과, 중앙이 상기 분리부 회전축에 결합되는 상기 분리롤러와, 상기 분리부 회전축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상기 일방향 클러치들과, 일측이 개구되어 내부에 상기 일방향 클러치들 각각이 높이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구조물에 결합되는 브라켓들과, 상기 브라켓들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일방향 클러치들을 하방으로 탄발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들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로딩부는 로딩부 회전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로딩롤러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의 패드부가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로딩부 회전축의 중앙에 설치되는 메인 로딩롤러; 일측이 개구되며 중앙이 상기 로딩부 회전축에 결합되는 서브 로딩롤러 지지체와,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서브 로딩롤러 지지체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서브 패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로딩롤러의 양측에 결합되는 서브 로딩롤러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패드부는 외주면에 원호를 따라 연결되는 복수개의 홈들이 형성되고, 상기 서브 패드부는 상기 원호와 수직인 방향으로 복수개의 홈들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분리롤러는 외주면에 원호를 따라 연결되는 분리패드들이 형성되고, 상기 분리패드는 상기 로딩부의 상기 패드부 및 상기 서브 패드부보다 마찰계수가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하우징은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대향되는 단부에 수직 연결되는 연결판들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판의 하부에 상기 구동수단, 상기 이송부, 상기 로딩부 및 상기 방출부가 설치되는 하우징몸체; 내부에 상기 분리부가 설치되며, 상기 바닥판 중 일부 영역으로부터 상향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배출경로(S`)를 형성하는 상부하우징; 평평한 판재로 형성되되 상기 연결판들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바닥판의 양측부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바닥판과 상기 하우징몸체를 지지하는 수직판과, 상기 수직판의 단부 중 상기 바닥판의 상부에 대응되는 단부에 수직 연결되는 차단판을 포함하는 좌측하우징 및 우측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좌측하우징의 상기 차단판과, 상기 우측하우징의 상기 차단판, 상기 바닥판, 상기 상부하우징의 측벽에 의해 상기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매체 방출장치는 상기 상부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보조 이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이송부는 장방향의 판재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하우징의 내면에 결합되는 고정체와, 장방향의 판재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체의 양단부로부터 수직 연결되되 단부를 향할수록 상향되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탄발지지체들과, 상기 탄발지지체들보다 작은 길이의 판재로 형성되어 상기 탄발지지체들이 연결되는 방향으로 상기 고정체에 이격되게 연결되는 보조체들을 포함하는 탄발지지부; 상기 탄발지지체들 각각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1 보조 회전축과, 상기 제1 보조 회전축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 보조 이송롤러를 포함하는 제1 보조 이송롤러; 상기 보조체들 각각의 단부에 결합되되 상기 고정체보다 큰 길이로 형성되어 양 단부가 상기 탄발지지체들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 보조 회전축과, 상기 제2 보조 회전축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 보조 이송롤러들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체, 상기 탄발지지체들 및 상기 보조체들은 판 스프링으로 형성되고, 상기 탄발지지체들은 설치 시 상기 제1 보조 이송롤러의 반지름에 의하여 상기 고정체에 연결되는 지점보다 상기 제1 보조 회전축에 결합되는 단부가 상향되어 상기 제1 보조 회전축을 하방으로 탄발적으로 지지하고, 상기 보조체들은 설치 시 상기 제2 보조 이송롤러들의 반지름에 의하여 상기 고정체에 연결되는 지점보다 상기 제2 보조 회전축에 결합되는 단부가 상향되어 상기 제2 보조 회전축을 하방으로 탄발적으로 지지하고, 상기 상부하우징은 상기 바닥판에 대향되는 지지판에 상기 제1 보조 이송롤러 및 상기 제2 보조 이송롤러들의 하측 영역이 삽입되는 설치공들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보조 이송롤러들은 직하부에 방출롤러들이 각각 배치되어 상기 방출롤러들 각각과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와 해결수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수납된 매체를 일정한 속도로 한 매씩 정확하게 방출함으로써 장비 신뢰도 및 사용 편의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배출경로로 2매의 매체가 유입될 때 분리롤러가 상부 매체를 확실하게 밀착시켜 방출을 차단시킴으로써 장비 신뢰도 및 사용 편의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분리롤러가 하방으로 탄발적으로 지지되도록 구성됨으로써 2매의 매체가 유입될 때 상부 매체의 방출을 더욱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허용두께 이상의 매체가 유입되더라도 이에 탄력적으로 대응이 가능하여 장비에러 및 고장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분리롤러가 일방향 클러치에 의하여 매체가 방출하기 위한 회전방향인 정방향으로는 회전하지 않되, 오류데이터 검출 시 역방향으로는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유입된 매체가 2매일 때 역회전하여 이들을 매체 수납공간으로 다시 복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보조 이송롤러들이 하방으로 탄발적으로 지지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배출경로로 유입된 매체를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매체 수납공간에 수납된 매체의 상부에 안착되어 수납된 매체를 압착시키기 위한 가압부를 더 포함함으로써 이송롤러에 의하여 수납된 매체가 용이하게 배출경로로 이송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국내등록특허 제10-1070588호(발명의 명칭 : 2매 방출 방지기능을 갖는 지폐 카세트)에 개시된 지폐 카세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지폐 픽업롤러 및 지폐 이송롤러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매체 방출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도 3의 A-A`선을 절단한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하우징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상부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4의 이송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4의 로딩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5의 분리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4는 보조 이송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구성수단을 제거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매체 방출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의 제1 커버 및 제2 커버를 제거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도 3의 A-A`선을 절단한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매체 방출장치(1)는 장입된 매체를 수납하되, 외부 요청에 따라 수납된 매체를 한 매씩 일정한 속도로 방출시키는 장치이다. 이때 매체는 지폐, 상품권, 공문서 등과 같이 일면 또는 양면에 기 설정된 텍스트 및 이미지가 인쇄되는 일정한 크기의 종이 재질의 판재로 정의되고, 본 발명에서는 매체로 지폐를 적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매체 방출장치(1)는 도 3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과, 제1 커버(3), 제2 커버(4), 측부덮개(5), (5)들, 이송부(11), 로딩부(12), 분리부(13), 보조 이송부(14), 방출부(15), 모터(16), 가압부(6)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1 커버(3)에서 제2 커버(4)를 향하는 방향을 `+X`축으로 하고, 수직인 방향을 `Y`축으로 하고, 높이 방향을 `Z`축으로 하고, `+X`축 방향을 전방으로, `-X`축 방향을 후방이라고 한다.
또한 매체 방출장치(1)는 더욱 상세하게로는 지폐가 수납되는 지폐 수납공간(S1), 상부 설치공간(S2), 하부 설치공간(S3) 및 배출경로(S`)가 내부에 형성됨과 동시에 구성수단들이 내부에 설치되는 하우징(2)과, 하우징(2)의 지폐 수납공간(S1)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 커버(3)와, 하우징(2)의 상부 설치공간(S2)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 커버(4)와, 하우징(2)의 양측부에 결합되는 측부덮개(5), (5`)들과, 하우징(2)의 하부 설치공간(S3)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상부가 하우징(2)의 바닥판(211)으로 상향 돌출되어 지폐 수납공간(S1)에 수납된 지폐(P)를 배출경로(S`)로 이동시키는 이송롤러(111), (111`)들을 포함하는 이송부(11)와, 배출경로(S`)의 진입부근의 하부 설치공간(S3)에 설치되어 이송부(11)에 의해 이송된 지폐를 배출경로(S`)의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로딩롤러(121)를 포함하는 로딩부(12)와, 배출경로(S`)의 진입부근의 상부 설치공간(S2)에 설치되어 이송부(11)에 의해 이송된 지폐가 2매일 때 상부 지폐의 이동을 차단하는 분리롤러(131), (131`)들을 포함하는 분리부(13)와, 배출경로(S`)의 후단에 인접한 상부 설치공간(S2)에 설치되어 로딩부(12)에 의해 배출경로(S`)로 장입된 지폐(P)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보조 이송롤러(1411), (1431), (1431`)들을 포함하는 보조부(14)와, 배출경로의 후단에 인접한 하부 설치공간(S3)에 설치되어 로딩부(12)에 의해 배출경로(S`)로 장입된 지폐(P)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방출롤러(151), (151`)들을 포함하는 방출부(15)와, 회동운동을 발생시켜 이송롤러(111), (111`)들, 로딩롤러(121) 및 방출롤러(151), (151`)들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인 모터(16)와, 지폐 수납공간(S1)에 수납된 지폐를 가압시키는 가압부(6)로 이루어진다.
도 7은 도 4의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하우징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하우징(2)은 상부에 제1 커버(3) 및 제2 커버(4)가 설치되며, 양측부에 측부덮개(5), (5`)들이 각각 설치되며, 내부에 이송부(11), 로딩부(12), 분리부(13), 보조 이송부(14), 방출부(15) 및 모터(16)가 설치되는 함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2)은 도 7과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몸체(21)와, 좌측하우징(23), 우측하우징(25), 상부하우징(27)으로 이루어진다.
하우징몸체(21)는 평평한 판재로 형성되되 내부에 양면을 관통하는 설치공(2111), (2112), (2113), (2115), (2116)들이 형성되는 바닥판(211)과, 바닥판(211)의 선단 및 후단에 수직 연결되는 연결판(213), (215)들로 이루어진다.
즉 하우징몸체(21)는 바닥판(211) 및 연결판(213), (215)들이 `
Figure 112016077013515-pat00001
`자 형상으로 연결된다.
또한 하우징몸체(21)는 연결판(213), (215)들이 형성되지 않은 양측부로 좌측하우징(23) 및 우측하우징(25)이 결합된다.
또한 바닥판(211)은 선후단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는 중심선과 인접한 후방 영역에 양면을 관통하는 이송롤러 설치공(2111), (2112)들이 폭 방향으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이때 이송롤러 설치공(2111), (2112)들로는 후술되는 도 10의 이송부(11)의 이송롤러(111), (111`)들 각각의 상측이 돌출되게 된다.
또한 바닥판(211)은 선후단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선단에 인접한 영역에 양면을 관통하는 로딩롤러 설치공(2113)이 형성된다. 이때 로딩롤러 설치공(2113)은 바닥판(211)의 선단부와 이격되게 형성되고, 로딩롤러 설치공(2113)으로는 후술되는 도 11의 로딩부(12)의 로딩롤러(121)의 상측이 상향 돌출되게 된다.
또한 바닥판(211)은 로딩롤러 설치공(2113)의 양측의 선단의 연결판(213)과 인접한 위치에 양면을 관통하되 단부가 바닥판(211)의 선단부에 연결되는 방출롤러 설치공(2115), (2116)들이 대향되게 설치되고, 방출롤러 설치공(2115), (2116)들로는 방출부(15)의 방출롤러(151), (151`)들 각각의 상측이 상향 돌출되게 된다.
또한 연결판(213), (215)들은 하단부가 지면 또는 구조물에 접촉되어 본 발명을 고정 및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하우징몸체(21)의 바닥판(211)의 상면, 상세하게로는 바닥판(211)의 길이 방향의 중간지점으로부터 선단부(연결판(213)이 연결되는 단부)까지의 영역의 상부에는 상부하우징(27)이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설치된다. 즉 상부하우징(27)의 지지판(271)과, 하우징몸체(21)의 바닥판(211) 사이에는 소정 공간인 배출경로(S`)가 형성되고, 배출경로(S`)는 수납된 지폐(P)가 외부로 방출되는 경로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하우징몸체(21)의 바닥판(211)의 하부에 형성되는 공간인 하부 설치공간(S3)에는 모터(16), 이송부(11), 로딩부(12), 방출부(15)가 설치되고, 상부하우징(27)의 내부 공간인 상부 설치공간(S2)에는 분리부(13) 및 보조 이송부(14)가 설치된다.
좌측하우징(23)은 평평한 판재로 형성되어 하우징몸체(21)의 좌측부에 결합되는 수직 결합되는 수직판(231)과, 수직판(231)의 하단부에 수직 연결되어 지면 또는 구조물에 대접되는 대접판(233)과, 수직판(231)의 후단부 중 상부영역으로부터 수직 연결되는 차단판(235)으로 이루어진다.
수직판(231)은 하우징몸체(21)의 좌측부에 수직 연결되며, 하우징몸체(21)의 설치높이보다 큰 높이로 형성된다.
또한 수직판(231)은 하우징몸체(21)의 바닥판(211)의 하부에 대응되는 영역에, 양면을 관통하는 관통공(2311)들이 복수개가 형성되고, 관통공(2311)들 각각으로는 모터(16)의 모터 회전축(161), 후술되는 도 10의 이송부(11)의 이송부 회전축(113), 후술되는 도 11의 로딩부(12)의 로딩부 회전축(123), 도 4의 방출부(15)의 방출부 회전축(153)이 관통된다.
또한 수직판(231)은 바닥판(211)의 상부에 대응되는 영역의 후단부에 차단판(235)이 수직 연결된다.
우측하우징(25)은 좌측하우징(23)과 동일하게 수직판(251), 대접판(253) 및 차단판(255)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좌측하우징(23) 및 우측하우징(25)은 조립 시 수직판(231), (251)들이 하우징몸체(21)의 양측부를 각각 밀폐시킴과 동시에 차단판(233), (253)들이 이 하우징몸체(21)의 바닥판(211)의 상부영역의 후단부에 수직 설치되어 후단부의 일부를 밀폐시킴으로써 상부하우징(27), 하우징몸체(21)의 바닥판(211), 좌측하우징(23)의 수직판(231) 및 차단판(235), 우측하우징(25)의 수직판(251) 및 차단판(255)에 의하여 지폐가 수납할 수 있는 지폐 수납공간(S1)이 형성되게 된다.
도 9는 도 8의 상부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부하우징(27)은 상부가 개구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우징몸체(21)의 바닥판(211)으로부터 상향 이격되게 설치됨으로써 상부하우징(27)의 지지판(271)과 하우징몸체(21)의 바닥판(211) 사이의 공간에 지폐의 배출경로(S`)가 형성되게 된다.
또한 상부하우징(27)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한 판재로 형성되는 지지판(271)과, 지지판(271)의 선단부 및 후단부에 수직 연결되는 보조판(273), (275)들로 이루어진다.
지지판(271)은 사각 형상의 평평한 판재, 상세하게로는 하우징몸체(21)의 바닥판(211)의 길이의 2분의 1의 길이(L)로 형성되며, 바닥판(211)과 동일한 폭(D)을 갖는 판재로 형성된다.
또한 지지판(271)은 중앙에 양면을 관통하여 후술되는 도 14의 보조 이송부(14)의 제1 보조 이송롤러(1411)의 하측이 삽입되는 제2 설치공(2713)이 형성되고, 선단의 보조판(273)과 인접한 지점에 양면을 관통하여 보조 이송부(14)의 제2 보조 이송롤러(1431), (1431`)들 각각의 하측이 삽입되는 제3 설치공(2715), (2715`)들이 형성된다.
또한 지지판(271)은 제2 설치공(2713)을 대칭으로 양측에 양면을 관통하되 후단의 보조판(217)까지 연장되는 제1 설치공(2711), (2711`)들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이때 제1 설치공(2711), (2711`)들은 일단부가 지지판(271)에 형성되되 타단부가 후단의 보조판(273)까지 연장되게 형성됨으로써 후술되는 도 12의 분리부(13)의 분리롤러(131), (131`)들 각각이 삽입된다.
또한 선단의 보조판(273)의 양측부에는 좌측하우징(23) 및 우측하우징(25)과 볼트 체결하기 위한 볼트체결부(2731), (2731`)들이 형성됨으로써 상부하우징(27)을 좌측하우징(23) 및 우측하우징(25)에 볼트 체결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하우징(2)은 하우징몸체(21)의 바닥판(211)의 양측부로 좌측하우징(23) 및 우측하우징(25)이 결합되고, 상부하우징(27)은 지지판(271)이 하우징몸체(21)의 바닥판(211)의 선단부에 인접한 상면으로부터 상향 이격되도록 좌측하우징(23) 및 우측하우징(25)에 결합된다.
이때 상부하우징(27)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을 상부 설치공간(S2)이라고 하고, 상부 설치공간(S2)에는 분리부(13) 및 보조 이송부(14)가 설치된다.
또한 하우징몸체(21)의 바닥판(211)의 하부에 형성되는 내부 공간을 하부 설치공간(S3)이라고 하고, 하부 설치공간(S3)에는 이송부(11), 로딩부(12), 방출부(15) 및 모터(16)가 설치된다.
또한 하우징몸체(21)의 바닥판(211)의 상부, 상세하게로는 바닥판(211)의 상면, 상부하우징(27)의 후단의 보조판(275), 좌측하우징(23)의 수직판(231) 및 차단판(235), 우측하우징(25)의 수직판(251) 및 차단판(255)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지폐 수납공간(S1)이라고 하고, 지폐수납공간(S1)에는 지폐가 수납되게 된다. 이때 지폐수납공간(S1)으로 지폐가 수납되면, 최상부 지폐의 상부에 가압부(6)가 안착됨에 따라 지폐 수납공간(S1)으로 수납된 지폐들은 가압부(6)에 의하여 압력을 받아 구동 시 후술되는 도 10의 이송부(11)의 이송롤러(111), (111`)들에 의하여 용이하게 배출경로(S`)로 진입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도 4의 이송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이송부(11)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우측하우징(25)의 수직판(251)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타단부가 좌측하우징(23)의 수직판(231)을 관통하는 회전축(113)과, 좌측하우징(23)의 수직판(231)을 관통한 회전축(113)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이송부 회전풀리(115)와, 회전축(113)의 중앙 지점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이송롤러(111), (111`)들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이송부(11)는 회전축(113)의 타단부가 좌측하우징(23)의 수직판(231)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고, 회전축(113)의 돌출 부위에는 이송부 회전풀리(115)가 결합되기 때문에 이송롤러(111), (111`)들은 하우징(2)의 하부 설치공간(S3)의 내부에 배치되게 된다.
즉 이송부(11)는 설치 시 하부 설치공간(S3)의 내부에 이송롤러(111), (111`)들이 배치되게 설치되고, 이때 이송롤러(111), (111`)들은 상측이 하우징몸체(21)의 바닥판(211)의 이송롤러 설치공(2111), (2112)들 각각으로 삽입되어 바닥판(211)으로부터 상측이 상향 돌출된다.
다시 말하면, 이송부(11)의 이송롤러(111), (111`)들은 하우징(2)의 하부 설치공간(S3)에 설치되되 상측이 하우징몸체(21)의 바닥판(211)의 이송롤러 설치공(2111), (2112)들로 삽입되어 바닥판(211)으로부터 상향 돌출되고, 이때 바닥판(211)으로부터 상향 돌출된 이송롤러 설치공(2111), (2112)들은 하우징(2)의 지폐 수납공간(S1)에 배치되기 때문에 지폐 수납공간(S1)에 배치된 지폐(P)들 중 최하부 지폐와 접촉되고, 이에 따라 회동 시 최하부 지폐는 이송롤러(111), (111`)들에 의하여 배출경로(S`)를 향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아 이송하게 된다.
도 11은 도 4의 로딩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의 로딩부(12)는 하우징몸체(21)의 바닥판(211)의 하부, 즉 하부 설치공간(S3)에 설치되되 로딩롤러(121)의 상측영역이 바닥판(211)으로부터 상향 돌출되게 설치되며, 바닥판(211)으로부터 상향 돌출된 로딩롤러(121)의 부위는 바닥판(211)과 상부하우징(27) 사이의 공간인 배출경로(S`)에 배치되고, 더욱 상세하게로는 배출경로(S`)의 진입지점에 배치된다.
또한 로딩부(12)는 일단부가 우측하우징(25)의 수직판(251)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도 타단부는 좌측하우징(23)의 수직판(231)을 관통하게 설치되는 회전축(123)과, 회전축(123)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로딩부 회전풀리(125)와, 회전축(123)의 중앙에 결합되는 로딩롤러(121)로 이루어진다.
로딩롤러(121)는 회전축(123)의 중앙에 설치되는 메인 로딩롤러(1211)와, 중앙 로딩롤러(1211)의 양측의 회전축(123)에 설치되는 서브 로딩롤러(1213), (1215)들로 이루어진다.
메인 로딩롤러(1211)는 외주면에 마찰계수가 높은 고무, 실리콘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패드부(1213)가 형성되며, 패드부(1213)의 외주면에는 원호를 따라 홈(1215)들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서브 로딩롤러(1213), (1215)들은 메인 로딩롤러(1211)의 양측의 회전축(123)에 메인 로딩롤러(1211)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또한 서브 로딩롤러(1213), (1215)들은 일측이 절개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앙에 회전축(123)이 결합되는 서브 로딩롤러 지지체(12131)와, 마찰계수가 높은 고무, 실리콘 등의 재질로 형성되어 서브 로딩롤러 지지체(1231)의 절개된 부위에 설치되는 서브 패드부(1233)로 이루어진다. 이때 서브 패드부(1233)는 외주면에 원호에 수직인 방향으로 홈(1234)들이 원호를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로딩부 회전풀리(125)는 모터(16)의 회전축(161)과 벨트로 연결되어 모터(16)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게 되고, 로딩부 회전풀리(125)의 회전운동은 회전축(123) -> 로딩롤러(121)로 전달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로딩부(12)는 로딩롤러(121)가 하부 설치공간(S3)에 배치되되 로딩롤러(121)의 상측영역이 하우징몸체(21)의 바닥판(211)의 로딩롤러 설치공(2113)을 통과하여 상향 돌출되게 설치된다. 이때 로딩롤러(121)의 상향 돌출된 영역은 배출경로(S`)의 진입부근에 배치됨에 따라 이송부(11)에 의하여 배출경로(S`)로 진입된 지폐(P)를 배출경로(S`)의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로딩롤러(121)는 메인 로딩롤러(1211)가 마찰계수가 높은 패드부(1213)가 외주면에 형성됨과 동시에 서브 로딩롤러(1213), (1215)들의 외주면에 서브 패드부(1234)들이 각각형성됨에 따라 배출경로(S`)로 진입된 지폐(P)를 강한 마찰력으로 밀착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배출경로(S`)로 상향 돌출된 로딩롤러(121)의 상부에는 분리부(13)의 분리롤러(131), (131`)들의 하측영역이 접촉되게 설치된다. 즉 로딩롤러(121)의 상측영역과 분리롤러(131), (131`)들의 하측영역 사이로 지폐가 삽입된다.
도 12는 도 5의 분리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2와 13의 분리부(13)는 상부하우징(27)의 내부에 설치되되, 분리롤러(131), (131`)들의 하측영역이 상부하우징(27)의 지지판(271)으로부터 하향 돌출되게 설치되며, 바닥판(211)으로부터 하향 돌출된 분리롤러(131), (131`)들의 부위는 지지판(271)과 하우징몸체(21)의 바닥판(211) 사이의 공간인 배출경로(S`)에 배치되고, 더욱 상세하게로는 배출경로(S`)의 진입지점에 배치된다.
또한 분리부(13)는 이송부(11)에 의하여 배출경로(P)로 진입되는 지폐가 2매일 때 2매의 지폐들 중 상부에 배치된 지폐를 밀착시켜 상부 지폐의 이동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분리부(13)는 회전축(133)과, 회전축(133)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일방향 클러치(135), (135`)들과, 회전축(133)의 중앙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분리롤러(131), (131`)들과, 일측이 개구되어 내부에 일방향 클러치(135), (135`)들 각각이 설치되며 상부하우징(27)의 양측부에 결합되는 브라켓(137), (137`)들과, 브라켓(137), (137`)들 각각의 내부에 일방향 클러치들의 상부에 설치되어 일방향 클러치를 하방으로 가압시키는 스프링(139), (139`)들로 이루어진다.
분리롤러(131)들은 회전축(133)에 결합되는 분리롤러 몸체(1311)와, 마찰계수가 높은 고무, 실리콘 등의 재질로 형성되어 분리롤러 몸체(1311)의 외주면에 원호를 따라 연결되는 분리패드(1313)들로 이루어진다.
일방향 클러치(135), (135`)들은 회전축(133)의 양단부에 결합되며, 지폐를 방출시키기 위한 회전방향으로는 회전축(133)의 회전을 차단하며, 그 대향되는 방향(배출경로로 진입된 지폐를 다시 지폐 수납공간으로 복귀시키는 방향)으로는 회전축(133)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일방향 클러치(135), (135`)들은 브라켓(137), (137`)들 각각의 내부에, 높이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매체의 두께에 탄력적인 대응이 가능하게 된다.
브라켓(137), (137`)들은 내부에 일방향 클러치(135), (135`)들이 높이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브라켓(137), (137`)들은 개구부에 대향되는 외면이 상부하우징(27)의 양측부에 각각 결합된다.
또한 브라켓(137), (137`)들의 내부에는 일방향 클러치(135), (135`)들의 상부에 스프링(139), (139`)들이 각각 설치되고, 스프링(139), (139`)들은 대응되는 일방향 클러치를 하방으로 가압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분리부(13)는 브라켓(137), (137`)들이 상부하우징(27)의 양측부에 결합되되 분리롤러(131), (131`)들이 상부하우징(27)의 지지판(271) 및 후단의 보조판(275)의 제1 설치공(2711), (2711`)들 각각으로 삽입되어 일부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이때 (137), (1 37`)들 내부에 설치되는 일방향 클러치(135), (135`)들은 상부에 설치되는 스프링(139), (139`)들에 의하여 하방으로 탄발적으로 압력을 받게 된다.
즉 스프링(139), (139`)들에 의해 가압되는 힘은 회전축(133) -> 분리롤러(131), (131`)들로 전달됨에 따라 분리롤러(131), (131`)들은 하방으로 힘을 받게 된다.
또한 상부하우징(27)의 지지판(271)으로부터 하향 돌출되는 분리롤러(131), (131`)들의 돌출부위는 배출경로(S`)에 배치되고, 분리롤러(131), (131`)들의 직하부에는 로딩부(12)의 서브 로딩롤러(1213), (1215)들이 각각 접촉되게 설치된다. 이때 분리롤러(131), (131`)들은 서브 로딩롤러(1213), (1215)들을 탄발적으로 지지함에 따라 지폐의 두께에 탄력적인 대응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송롤러(111), (111`)들에 의하여 배출경로(S`)로 진입된 지폐는 하부면이 로딩롤러(121)에 접촉되되, 상부면은 분리롤러(131), (131`)들에 접촉된다. 이때 로딩롤러(121)는 모터의 회전에 따라 정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지폐를 배출경로(S`)의 내측으로 이동시키려는 힘(F1)을 발생시키게 되나, 분리롤러(131), (131`)들은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로딩롤러(121)에 의해 힘을 받은 지폐의 이동을 정지시키려는 힘을 발생시키게 된다. 즉 지폐는 로딩롤러(121) 및 분리롤러(131), (131`)들에 의해 서로 대향되는 방향의 힘을 받게 되나, 본 발명에서는 로딩롤러(121) 및 지폐의 마찰계수가 분리롤러(131), (131`)들 및 지폐의 마찰계수 보다 크도록 구성함으로써 지폐는 로딩롤러(121)에 의하여 배출경로(S`)의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만약 배출경로(S`)로 진입된 지폐가 2매인 경우 하부 지폐는 로딩롤러(121)에 접촉되어 배출경로(S`)의 내측으로 이동하게 되나, 상부 지폐는 분리롤러(131), (131`)들에 의해 밀착되어 이동이 차단된다. 이때 상부지폐 및 하부지폐 사이의 마찰계수는 분리롤러(131) 및 지폐의 마찰계수보다 작기 때문에 하부 지폐는 로딩롤러(121)에 의하여 배출경로(S`)의 내측으로 이동하나, 상부 지폐는 분리롤러(131)에 밀착되어 이동하지 않게 된다.
이때 만약 분리부(13)가 스프링(139), (139`)들을 포함하지 않아 분리롤러(131), (131`)들이 스프링(139), (139`)들에 의하여 하방으로 탄발적으로 힘을 받지 않게 되는 경우, 분리롤러(131), (131`)들 및 로딩롤러(121)의 서브 로딩롤러(1213), (1215)들 사이로 허용두께 이상의 지폐(3매 이상의 지폐)가 통과하는 경우 과부하가 발생하여 장비고장이 발생하거나 지폐가 찢기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나, 본 발명에서는 분리롤러(131), (131`)들이 스프링(139), (139`)들에 의하여 하방으로 탄발적으로 힘을 받도록 구성됨으로써 3매 이상의 지폐가 유입되더라도 유연하게 이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부하우징(27)의 지지판(271)과 하우징몸체(21)의 바닥판(211) 사이의 공간인 배출경로(S`)에는 센서(미도시)가 설치되고, 센서는 배출경로로 진입된 지폐의 오류(지폐의 재질, 진입된 지폐가 1매인지의 여부 등)를 검출하며, 만약 오류가 검출되는 경우 오류데이터를 CPU(미도시)로 입력하고, CPU는 센서로부터 오류 데이터를 전송받으면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킨 후 반대되는 방향으로 일정 회동시킴으로써 배출경로(S`)로 진입된 2매의 지폐는 모두 지폐 수납공간(S1)으로 다시 복귀된다.
도 14는 보조 이송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의 보조 이송부(14)는 탄발지지부(145)와, 제1 보조 이송부(141), 제2 보조 이송부(143)로 이루어진다.
탄발지지부(145)는 장방향의 판재로 형성되는 고정체(1451)과, 장방향의 판재로 형성되어 고정체(1451)의 양단부로부터 수직 연결되되 단부를 향할수록 상향되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탄발지지체(1453), (1453`)들과, 탄발지지체(1453), (1453`)들보다 작은 길이의 판재로 형성되어 탄발지지체(1453), (1453`)들이 연결되는 방향으로 고정체(1451)의 일측에 이격되게 연결되는 보조체(1455), (1455`)들로 이루어진다.
또한 탄발지지체(1453), (1453`)들 및 보조체(1455), (1455`)들의 단부에는 하방으로 수직 연결되는 연결체(14531)들이 각각 형성되고, 연결체(14531)의 하단부에는 내측으로 반원 형상의 홈(14533)이 형성된다.
또한 탄발지지체(1453), (1453`)들 및 보조체(1455), (1455`)들은 판 스프링으로 형성된다.
제1 보조 이송부(141)는 양측부가 탄발지지체(1453), (1453`)들의 연결체(14531)들 각각의 홈(14533)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1 보조 회전축(1413)과, 제1 보조 회전축(1413)의 중앙에 설치되는 제1 보조 이송롤러(1411)로 이루어진다.
제2 보조 이송부(143)는 보조체(1455), (1455`)들의 연결체들 각각의 홈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2 보조 회전축(1433)과, 제2 보조 회전축(1433)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제2 보조 이송롤러(1431), (1431`)들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2 보조 회전축(1433)은 고정체(1451)보다 큰 길이로 형성되어 양단부가 탄발지지체(1453), (1453`)들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이에 따라 제2 보조 이송롤러(1431), (1431`)들은 탄발지지체(1453), (1453`)들의 외측에 설치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보조 이송부(14)는 고정체(1451)가 상부하우징(27)의 지지판(271)에 볼트 체결되고, 제1 보조 이송롤러(1411)는 하측영역이 상부하우징(27)의 지지판(271)의 제2 설치공(2713)으로 삽입되고, 제2 보조 이송롤러(1431), (1431`)들은 하측영역이 상부하우징(27)의 지지판(271)의 제3 설치공(2715), (2715`)들 각각 삽입됨으로써 배출경로(S`)로 돌출되게 된다. 이때 탄발지지체(1453), (1453`)들은 설치 시 제1 보조 이송롤러(1411)의 반지름에 의하여 상부하우징(27)의 지지판(271)과 수평하게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고정체(1451)에 연결되는 부위보다 단부가 높은 위치에 배치되게 되고, 이에 따라 탄발지지체(1453), (1453`)들은 압축 복원력에 의해 제1 보조 이송롤러(1411)를 하방으로 탄발적으로 지지함으로써 로딩롤러(121)에 의하여 배출경로(S`)로 진입된 지폐를 전달받아 배출경로(S`)의 내측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보조체(1455), (1455`)들 역시 설치 시 제2 보조 이송롤러(1431), (1431`)들의 반지름에 의하여 상부하우징(27)의 지지판(271)과 수평하게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고정체(1451)에 연결되는 부위보다 단부가 높은 위치에 배치되게 되고, 이에 따라 압축 복원력에 의해 제2 보조 이송롤러(1431), (1431`)들을 하방으로 탄발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제1 보조 이송롤러(1411)에 의하여 배출경로(S`)를 이동하는 지폐를 전달받아 이를 외부로 용이하게 방출하도록 한다.
또한 배출경로(S`)로 돌출된 제2 보조 이송롤러(1431), (1431`)들의 하측 영역의 직하부에는 도 5의 방출부(15)의 방출롤러(151), (151`)들이 각각 배치되며, 배출경로(S`)로 진입된 지폐는 제2 보조 이송롤러(1431), (1431`)들 및 방출롤러(151), (151`)들에 의하여 외부로 방출되게 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구성수단을 제거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을 제1 커버(3), 제2 커버(4), 좌측덮개(5`) 및 좌측하우징(213)을 제거한 사시도이다.
매체 방출장치(1)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설치공간(S3)에 모터모터(16), 이송부(11), 로딩부(12), 방출부(15)가 설치되고, 상부하우징(27)의 내부 공간인 상부 설치공간(S2)에 분리부(13) 및 보조 이송부(14)가 설치된다.
또한 매체 방출장치(1)는 상부하우징(27)의 지지판(271) 및 하우징몸체(21)의 바닥판(211) 사이의 공간에 배출경로(S`)가 형성된다.
또한 하부 설치공간(S3)에 설치되는 모터(16), 이송부(11), 로딩부(12), 방출부(15)의 회전축들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좌측하우징(23)을 통과하여 외측으로 돌출되고, 이 돌출된 단부들에는 회전풀리(163), (113), (125), (155)들이 설치되고, 이 회전풀리(163), (113), (125), (155)들은 벨트(B)로 연결된다.
즉 모터(16)에 의해 발생된 회동운동은 벨트(B)에 의하여 이송부(11), 로딩부(12), 방출부(15)의 회전풀리(113), (125), (155)들로 전달되고, 이에 따라 이송부(11)의 이송롤러(111), (111`), 로딩부(12)의 로딩롤러(121), 방출부(15)의 방출롤러(151)가 회전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지폐 수납공간(S1)에 수납된 지폐들은 모터(16)의 회전에 따라 이송롤러(111)들에 의하여 배출경로(S`)로 진입되고, 배출경로(S`)로 진입된 지폐는 로딩롤러(131)에 의하여 배출경로(S`)의 내측으로 이송되고, 배출경로(S`)의 내측으로 진입된 지폐는 보조 이송롤러(1411), (1431), (1431`)들 및 방출롤러(151)에 의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매체 배출장치(1)는 만약 이송롤러(111)에 의하여 2매의 지폐가 배출경로(S`)로 진입될 때 로딩롤러(131)는 2매의 지폐 중 하부 지폐를 밀착시켜 배출경로(S`)의 내측으로 이송시키려 하고, 분리롤러(131), (131`)들은 2매의 지폐 중 상부 지폐를 밀착시켜 상부 지폐의 이송을 차단한다.
이때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배출경로(S`)의 내부에는 오류를 검출하는 센서(미도시)가 설치됨에 따라 만약 2매의 지폐가 진입되는 경우 센서가 오류데이터를 검출한 후 이를 CPU로 전달하고, CPU는 센서로부터 오류데이터를 전송받으면, 모터(16)의 회동을 즉각 정지시킨 후 모터(16)가 역방향으로 회동하도록 모터(16)를 제어한다.
또한 모터(16)가 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배출경로(S`)로 진입된 2매의 지폐는 다시 역으로 지폐 수납공간(S1)으로 배출되게 된다. 이때 분리롤러(131), (131`)들은 일방향 클러치(135), (135`)들에 의하여 역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됨으로써 로딩롤러(121)가 정회전하는 경우에는 회동하지 않으나, 로딩롤러(121)가 역회전 하는 경우 같이 역회전하여 밀착된 상부 지폐를 지폐 수납공간(S1)으로 복귀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매체 방출장치(1)는 수납된 매체를 일정한 속도로 한 매씩 정확하게 방출함으로써 장비 신뢰도 및 사용 편의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매체 방출장치(1)는 배출경로(S`)로 2매의 매체가 유입될 때 분리롤러가 상부 매체를 확실하게 밀착시킴으로써 장비 신뢰도 및 사용 편의성이 더욱 증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매체 방출장치(1)는 분리롤러가 하방으로 탄발적으로 지지되도록 구성됨으로써 2매의 매체가 유입될 때 상부 매체를 더욱 밀착시켜 상부 매체의 이동을 더욱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허용두께 이상의 매체가 유입되더라도 장비에러 및 고장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매체 방출장치(1)는 분리롤러가 일방향 클러치에 의하여 매체가 방출하기 위한 회전방향인 정방향으로는 회전하지 않도록 구성됨으로써 오류데이터 검출 시 역회전만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유입된 매체가 2매일 때 역회전하여 이들을 매체 수납공간으로 다시 복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매체 방출장치(1)는 보조 이송롤러들이 하방으로 탄발적으로 지지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배출경로로 유입된 매체를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매체 방출장치(1)는 매체 수납공간에 수납된 매체의 상부에 안착되어 수납된 매체를 압착시키기 위한 가압부를 더 포함함으로써 이송롤러에 의하여 수납된 매체가 용이하게 배출경로로 이송될 수 있게 된다.
1:매체 방출장치 2:하우징 3:제1 커버
4:제2 커버 5, 5`:측부덮개들 6:가압부
11:이송부 12:로딩부 13:분리부
14:보조 이송부 15:방출부 16:모터
21:하우징몸체 23:좌측하우징 25:우측하우징
27:상부하우징 111, 111`:이송롤러들
113:이송부 회전축 121:로딩롤러 123:로딩부 회전축
131, 131`:분리롤러들 133:분리부 회전축
135, 135`:일방향 클러치들 137, 137`:브라켓들
139, 139`:스프링들 1211:메인 로딩롤러
1213:서브 로딩롤러 141:제1 보조 이송부
143:제2 보조 이송부 1411:제1 보조 이송롤러
1431, 1431`:제2 보조 이송롤러

Claims (7)

  1. 회전운동을 발생시키는 구동수단;
    내부에 매체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납공간에 인접하게 매체가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배출경로(S`)가 형성되는 하우징;
    회전 시 상기 수납공간의 최하부 매체를 상기 배출경로(S`)로 이송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송롤러를 포함하는 이송부;
    상측영역이 상기 배출경로(S`)의 진입영역으로 상향 돌출되어 상기 이송롤러에 의해 유입된 매체를 상기 배출경로(S`)의 내측으로 이송시키는 로딩롤러를 포함하는 로딩부;
    하측영역이 상기 배출경로(S`)의 진입영역으로 하향 돌출되되 상기 로딩롤러와 접촉되며, 2매 이상의 매체들이 유입될 때 최상부 매체의 이동을 차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리롤러와, 상기 매체가 외부로 방출되기 위한 상기 구동수단의 회전방향을 정회전이라고 할 때 상기 분리롤러를 역회전으로만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일방향 클러치들을 포함하는 분리부;
    상기 분리롤러를 하방으로 탄발적으로 지지하는 탄발지지수단;
    상측영역이 상기 배출경로(S`)의 진출영역으로 상향 돌출되어 상기 로딩롤러에 의해 이송된 매체를 외부로 방출시키는 방출롤러로 구성되는 방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딩롤러 및 상기 방출롤러는 상기 구동수단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고,
    상기 분리부는 분리부 회전축과, 중앙이 상기 분리부 회전축에 결합되는 상기 분리롤러와, 상기 분리부 회전축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상기 일방향 클러치들과, 일측이 개구되어 내부에 상기 일방향 클러치들 각각이 높이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구조물에 결합되는 브라켓들과, 상기 브라켓들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일방향 클러치들을 하방으로 탄발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방출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부는 로딩부 회전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로딩롤러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의 패드부가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로딩부 회전축의 중앙에 설치되는 메인 로딩롤러;
    일측이 개구되며 중앙이 상기 로딩부 회전축에 결합되는 서브 로딩롤러 지지체와,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서브 로딩롤러 지지체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서브 패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로딩롤러의 양측에 결합되는 서브 로딩롤러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패드부는 외주면에 원호를 따라 연결되는 복수개의 홈들이 형성되고, 상기 서브 패드부는 상기 원호와 수직인 방향으로 복수개의 홈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방출장치.
  5. 청구항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롤러는 외주면에 원호를 따라 연결되는 분리패드들이 형성되고,
    상기 분리패드는 상기 로딩부의 상기 패드부 및 상기 서브 패드부보다 마찰계수가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방출장치.
  6. 청구항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대향되는 단부에 수직 연결되는 연결판들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판의 하부에 상기 구동수단, 상기 이송부, 상기 로딩부 및 상기 방출부가 설치되는 하우징몸체;
    내부에 상기 분리부가 설치되며, 상기 바닥판 중 일부 영역으로부터 상향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배출경로(S`)를 형성하는 상부하우징;
    평평한 판재로 형성되되 상기 연결판들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바닥판의 양측부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바닥판과 상기 하우징몸체를 지지하는 수직판과, 상기 수직판의 단부 중 상기 바닥판의 상부에 대응되는 단부에 수직 연결되는 차단판을 포함하는 좌측하우징 및 우측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좌측하우징의 상기 차단판과, 상기 우측하우징의 상기 차단판, 상기 바닥판, 상기 상부하우징의 측벽에 의해 상기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방출장치.
  7. 청구항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 방출장치는 상기 상부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보조 이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이송부는
    장방향의 판재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하우징의 내면에 결합되는 고정체와, 장방향의 판재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체의 양단부로부터 수직 연결되되 단부를 향할수록 상향되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탄발지지체들과, 상기 탄발지지체들보다 작은 길이의 판재로 형성되어 상기 탄발지지체들이 연결되는 방향으로 상기 고정체에 이격되게 연결되는 보조체들을 포함하는 탄발지지부;
    상기 탄발지지체들 각각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1 보조 회전축과, 상기 제1 보조 회전축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 보조 이송롤러를 포함하는 제1 보조 이송롤러;
    상기 보조체들 각각의 단부에 결합되되 상기 고정체보다 큰 길이로 형성되어 양 단부가 상기 탄발지지체들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 보조 회전축과, 상기 제2 보조 회전축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 보조 이송롤러들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체, 상기 탄발지지체들 및 상기 보조체들은 판 스프링으로 형성되고, 상기 탄발지지체들은 설치 시 상기 제1 보조 이송롤러의 반지름에 의하여 상기 고정체에 연결되는 지점보다 상기 제1 보조 회전축에 결합되는 단부가 상향되어 상기 제1 보조 회전축을 하방으로 탄발적으로 지지하고, 상기 보조체들은 설치 시 상기 제2 보조 이송롤러들의 반지름에 의하여 상기 고정체에 연결되는 지점보다 상기 제2 보조 회전축에 결합되는 단부가 상향되어 상기 제2 보조 회전축을 하방으로 탄발적으로 지지하고,
    상기 상부하우징은 상기 바닥판에 대향되는 지지판에 상기 제1 보조 이송롤러 및 상기 제2 보조 이송롤러들의 하측 영역이 삽입되는 설치공들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보조 이송롤러들은 직하부에 방출롤러들이 각각 배치되어 상기 방출롤러들 각각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방출장치.
KR1020160101025A 2016-08-09 2016-08-09 매체 방출장치 KR101680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025A KR101680153B1 (ko) 2016-08-09 2016-08-09 매체 방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025A KR101680153B1 (ko) 2016-08-09 2016-08-09 매체 방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0153B1 true KR101680153B1 (ko) 2016-11-28

Family

ID=57706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1025A KR101680153B1 (ko) 2016-08-09 2016-08-09 매체 방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015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8800Y1 (ko) 2000-05-02 2000-10-02 주식회사한틀시스템 매체분리장치
KR101178919B1 (ko) 2011-04-22 2012-09-03 주식회사 푸른기술 매체 방출기용 카세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8800Y1 (ko) 2000-05-02 2000-10-02 주식회사한틀시스템 매체분리장치
KR101178919B1 (ko) 2011-04-22 2012-09-03 주식회사 푸른기술 매체 방출기용 카세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05912B2 (en) Device for aligning notes of value
KR950015158A (ko) 지폐처리장치
EP3296231B1 (en) Recycling bin
JP2010271887A (ja) 紙葉類取扱装置
US20180305147A1 (en) Card transport device
RU2475856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ема и выдачи банкнот
JP2725123B2 (ja) シート計数機
KR101680153B1 (ko) 매체 방출장치
JP4998127B2 (ja) 記録媒体収納装置および記録媒体処理装置
US20190300311A1 (en) Paper sheet handl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foreign object
KR101408575B1 (ko) 수평방향으로 복수의 집적부를 갖는 매체집적장치 및 매체집적방법
EP2227792B1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paper media and automatic teller machine having the same
KR101414754B1 (ko) 지엽류 속출 장치, 지엽류 처리 장치
JP2011141612A (ja) 紙葉類取扱装置
KR102498664B1 (ko) 매체 저장 장치
JP2001240294A (ja) 紙葉類集積装置および紙葉類収納庫および紙葉類取扱装置
RU2479043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ема и выдачи банкнот
KR102323433B1 (ko) 매체 수납 방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매체 처리 장치
JP6459401B2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966678B1 (ko) 종이매체 공급장치
CN107430796B (zh) 纸币处理装置
JP2009093279A (ja) 紙幣取扱装置
JP2022042788A (ja) 媒体搬送装置
JP2517053Y2 (ja) 紙幣自動支払装置
JP4158672B2 (ja) 紙葉類集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