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9951B1 - 차량 운행 중 조작 제한이 가능한 정보기기 및 그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운행 중 조작 제한이 가능한 정보기기 및 그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9951B1
KR101679951B1 KR1020150012095A KR20150012095A KR101679951B1 KR 101679951 B1 KR101679951 B1 KR 101679951B1 KR 1020150012095 A KR1020150012095 A KR 1020150012095A KR 20150012095 A KR20150012095 A KR 20150012095A KR 101679951 B1 KR101679951 B1 KR 101679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tate
driver
information device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2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1689A (ko
Inventor
정우철
정의석
최영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12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9951B1/ko
Publication of KR20160091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16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9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99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0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15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229Attention level, e.g. attentive to driving, reading or slee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운행 중 조작제한이 가능한 정보기기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정보기기의 차량 탑승 여부를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정보기기의 차량 탑승을 인식하면 상기 차량 내 차량데이터 관리부로부터 전송되는 차량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차량의 주행상태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주행상태에 근거하여 운전자의 주의요망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운전자의 주의가 필요한 경우 상기 운전자의 기기 조작을 제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운행 중 조작 제한이 가능한 정보기기 및 그의 제어 방법{INFORMATION APPARATUS LIMITABLE FOR HANDLING DURING DRIVING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운전자의 정보기기 조작을 제한할 수 있는 차량 운행 중 조작 제한이 가능한 정보기기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 사고를 유발하는 요인은 다양하지만, 운전 중 스마트폰 및 내비게이션 등과 같은 정보기기(infortainment)의 사용으로 인한 사고 발생률이 급증하고 있어 운전자의 운행 중 주의 분산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각종 규제와 범칙금을 통해서 차량 운행 시 위해가 되는 운전 중 정보기기의 사용을 금지시키려고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운전자의 정보기기 조작을 제한할 수 있는 차량 운행 중 조작 제한이 가능한 정보기기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주행 중 운전자가 정보기기의 조작을 시도하면 경고를 출력하는 차량 운행 중 조작 제한이 가능한 정보기기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차량 운행 중 조작 제한이 가능한 정보기기의 제어 방법은 정보기기의 차량 탑승 여부를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정보기기의 차량 탑승을 인식하면 상기 차량 내 차량데이터 관리부로부터 전송되는 차량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차량의 주행상태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주행상태에 근거하여 운전자의 주의요망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운전자의 주의가 필요한 경우 상기 운전자의 기기 조작을 제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량 탑승 여부 인식 단계는, 정보기기가 차량 내 충전 거치대에 연결되면 차량 탑승상태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량 탑승 여부 인식 단계는, 정보기기가 차량 내 통신장치와 연결되면 차량 탑승상태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신장치는, 무선인터넷(Wi-Fi), 블루투스, 근거리 무선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과 같은 통신기술 중 어느 하나의 통신기술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행상태 확인단계는, 상기 차량 탑승 시 차량의 주행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차량이 주행중이면 주행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기조작 제한 단계는, 현재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주행모드에서 사용불가 어플리케이션인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사용불가이면 상기 운전자의 기기 조작을 제한하며 경고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행상태 확인단계는, 상기 차량 탑승 시 주행모드로 진입하는 단계와, 상기 주행모드 진입 후 차량데이터를 분석하여 현재 주행상태에서 인지부하레벨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의요망 여부 확인단계는, 상기 인지부하레벨의 기준 레벨이상인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행상태 확인단계는, 상기 차량 탑승 시 주행모드로 진입하는 단계와, 상기 주행모드 진입 후 현재 주행도로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의요망 여부 확인단계는, 상기 현재 주행도로가 위험구간인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행 중 조작제한이 가능한 정보기기는 차량 내 차량데이터 관리부로부터 전송된 차량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차량데이터를 분석하여 차량의 운행상태 및 주행상황을 확인하고, 상기 운행상태 및 주행상황에 근거하여 운전자의 주의요망 여부를 결정하며 그 결정에 따라 기기조작을 제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정보기기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운전자의 주의요망을 알리는 경고를 시각정보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경고를 청각정보로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운전자의 정보기기 조작을 일시적으로 제한하므로 차량 운행 중 기기 조작으로 인한 운전자의 주의 분산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운행 중 운전자가 정보기기 조작을 시도하면 사고 위험성이 높아짐을 경고하므로,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주의분산 방지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행 중 조작제한이 가능한 정보기기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정보기기의 조작제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행 중 조작제한이 가능한 정보기기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행 중 조작제한이 가능한 정보기기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 "하나" 및 "그" 등의 관사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라 정보기기의 사용을 일시적으로 중지시키고, 기기조작 시 사고 위험성이 높아짐을 운전자에게 경고하므로 차량 운행 중 운전자의 주의 분산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주의분산 방지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 주의분산 방지 시스템은 차량데이터 관리부(100)와 정보기기(200)를 포함한다.
차량데이터 관리부(100)는 차량의 운행에 따라 발생되는 차량 데이터를 수집하고 그 수집한 차량 데이터를 가공하여 전송한다.
이러한 차량데이터 관리부(100)는 수집부(110), 가공부(120), 전송부(130)를 포함한다.
수집부(110)는 차량 네트워크를 통해 차량 내 장착된 전자제어장치(Electronic Control Unit, ECU) 및 각종 조작계(예: 기어, 방향지시기, 전조등 스위치 등) 제어 시 발생하는 차량 데이터(신호)를 수집한다. 전자제어장치는 자동차의 엔진, 변속기, 조향장치, 제동장치, 현가장치 등의 기계장치를 제어한다.
여기서, 차량 네트워크는 고속 및 저속 CAN(Controller Area Network), MOST(Media Oriented Systems Transport) 네트워크,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등과 같은 통신기술들 중 하나 이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가공부(120)는 수집부(110)를 통해 실시간으로 수집한 차량 데이터로부터 운전자의 주행 상태 분석에 필요한 데이터만 선별하여 가공한다. 여기서, 차량 데이터는 차량 속도, 빗물 세기 및 양, 요레이트(yaw rate), 조도, 조작계별 조작 여부 등을 포함한다.
또한, 가공부(120)는 차량 시동 시 발생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시동 온(on) 알림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시동 온 알림 신호는 차량 내 장착된 블루투스 장치의 식별정보(블루투스 장치명) 또는 무선 공유기의 식별정보(Wi-Fi Service Set Identifier, SSID) 등일 수 있다.
전송부(130)는 가공부(120)에 의해 가공된 차량 데이터를 특정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전송한다. 여기서, 통신방식은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NFC(Near Field Communication), RF(Radio Frequency) 통신 등과 같은 무선통신과 USB(Universal Serial Bus),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 등과 같은 유선통신 중 어느 하나의 통신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정보기기(200)는 통신부(210), 제어부(220), 디스플레이부(230), 음향 출력부(240), 저장부(2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정보기기(200)는 통신부(210)를 통해 차량데이터 관리부(100)로부터 제공받은 차량데이터를 원격지에 위치하는 서버로 전송하여 관리한다.
통신부(210)는 차량데이터 관리부(100)의 전송부(13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이러한 통신부(210)는 USB 및 UART 등과 같은 유선통신 및 WLAN(Wireless LAN, 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과 같은 무선 인터넷 기술 중 중 어느 하나의 통신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통신부(210)는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중 어느 하나의 통신기술을 이용할 수도 있다.
제어부(220)는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되는 차량 데이터를 분석하여 정보기기(200)의 차량 탑승여부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20)는 차량 내 구비된 충전 거치대(dock)에서 전송하는 자기장, 유도전류, 커넥터 접점 연결신호, NFC 신호 등의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수신하면 정보기기(200)의 차량 탑승상태로 인식한다. 즉, 정보기기(200)과 충전 거치대의 연결이 감지되면 제어부(220)는 정보기기(200)가 차량 내에 위치한다고 인식한다.
또는, 제어부(220)는 통신부(210)를 통해 기설정된 차량의 블루투스 장치명 또는 Wi-Fi SSID를 수신하면 정보기기(200)가 차량 탑승상태인 걸로 인식한다. 다시 말해서, 제어부(220)는 정보기기(200)가 차량 내 구비된 블루투스 장치와 페어링이 이루어지거나 또는 차량 내 무선 공유기와 무선통신이 연결(설정)되면 차량 탑승상태로 인식한다.
제어부(220)는 정보기기(200)의 차량 탑승이 인식되면 주행모드로 진입한다. 그리고, 제어부(220)는 통신부(210)를 통해 차량 데이터 관리부(100)로부터 전송되는 차량 데이터를 수집하고, 그 수집한 차량 데이터(차량 신호)를 분석하여 현재 차량의 운행상태 및 주행상황을 확인한다.
제어부(220)는 차량의 운행상태 및 주행상황에 근거하여 운전자의 주의필요 여부를 결정한다. 제어부(220)는 운전자의 주의가 필요한 경우 운전자의 기기 조작을 제한한다. 여기서, 기기는 정보기기(200) 또는 차량 내 편의장치 조작계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운전자의 주의가 필요한 상태에서 기기 조작을 시도하면 사고 위험성이 높아짐을 알리는 경고를 출력한다. 경고는 시각정보 및 청각정보, 촉각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로 구현된다.
한편, 제어부(220)는 운전자의 주의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 운전자의 기기 조작을 허가한다. 예를 들어, 차량 주행(예: 차량 속도가 0km/h 초과) 중 운전자가 통화를 시도하면 제어부(220)는 핸즈프리(예: 블루투스 또는 이어폰 등) 가능여부를 확인하여 핸즈프리 상태이면 통화할 수 있도록 한다. 반면, 차량 주행 중 운전자가 문자메시지 입력을 시도하면 제어부(220)는 문자메시지 입력을 제한하며 경고 메시지를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230) 및 음향 출력부(240)는 제어부(220)의 제어에 따라 운전자의 주의분산을 방지하기 위한 경고를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23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투명디스플레이, 헤드업 디스플레이(head-up display, HUD), 터치스크린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240)는 경고 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하거나 또는 경고음을 출력한다. 음향 출력부(240)는 음성 및 경고음을 함께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음향 출력부(240)는 '시속 5km 이상에서는 기기조작을 할 수 없습니다' 또는 '운행 중 사용할 수 없습니다'와 같은 음성메시지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저장부(250)는 제반 프로그램 및 사용자에 의해 설치된 각종 어플리케이션(App, 앱), 정보기기(200)의 동작에 의해 발생되는 데이터, 차량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행 중 조작제한이 가능한 정보기기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정보기기(200)의 제어부(220)는 차량 탑승 여부를 인식한다(S11). 정보기기(200)가 차량 내에 장착된 충전 거치대에 연결되면, 제어부(220)는 정보기기(200)의 차량 탑승상태로 인식한다. 또는, 정보기기(200)의 제어부(220)는 차량 내 무선통신이 가능한 기기와의 무선통신이 연결되면 차량 탑승상태로 인식한다.
정보기기(200)의 제어부(220)는 정보기기(200)가 차량 탑승상태이면 주행모드로 진입한다(S13). 이때, 제어부(220)는 주행 여부를 확인하여 주행중이면 주행모드로 진입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제어부(220)는 주행모드 진입 후 차량데이터 관리부(100)로부터 전송되는 차량 데이터를 수집하고 그 수집한 차량 데이터를 분석하여 주행상태(운행상태 및 주행상황)를 확인한다(S15).
정보기기(200)는 확인한 주행상태에 따라 운전자의 주의요망 여부를 결정한다(S17).
정보기기(200)는 운전자의 주의가 필요하면 운전자에 의한 정보기기(200) 조작을 제한한다(S19).
한편, 정보기기(200)는 운전자의 주의가 필요하지 않으면 운전자의 기기조작(예: 정보기기 또는 차량 내 편의장치 조작계)을 허가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정보기기의 조작제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정보기기(200)의 제어부(220)는 주행모드 진입 후 주행상태를 확인하여 운전자의 주의가 필요한 경우, 현재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이하, 앱)을 확인한다(S191).
제어부(220)는 현재 실행중인 앱 각각에 대해 주행모드에서 사용불가 앱인지를 확인한다(S192).
제어부(220)는 현재 실행중인 앱이 주행모드에서 사용불가이면 해당 앱의 실행을 중단하여 운전자의 정보기기 조작을 제한하고 경고를 출력한다(S193).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행 중 조작제한이 가능한 정보기기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정보기기(200)의 제어부(220)는 주행모드 진입 후 통신부(210)를 통해 차량데이터 관리부(100)에서 전송하는 차량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한다.
제어부(220)는 수신한 차량 데이터를 분석하여 현재 주행상태에서 운전자의 인지부하량(인지부하레벨)을 검출한다(S215). 예를 들어, 제어부(220)는 표 1과 같이 차량속도, 빗물의 세기 및 양, 요레이트, 조도 등을 고려하여 인지부하레벨을 결정한다.
인지부하레벨 속도 레인센서 요레이트 조도센서
양호
(레벨 1)
5km/h 이하 off 직진 주간
조심
(레벨 2)
5km/h 초과 80km 미만 가랑비
(1단계)
완만한 커브 초저녁
위험
(레벨 3)
80km 이상 강우/폭우
(2~3단계)
급커브 심야
제어부(220)는 검출한 인지 부하량이 기준 레벨(예: 레벨 2) 이상인지를 확인한다(S217).
제어부(220)는 검출한 인지 부하량이 기준 레벨 이상이면 기기조작을 제한하고 경고를 출력한다(S219). 예를 들어, 제어부(220)는 운전자가 정보기기(200) 또는 차량 내 편의장치 조작계(내비게이션, 오디오, 기타 공조 등)의 조작을 시도하면 경고를 출력한다.
한편, 제어부(220)는 검출한 인지 부하량이 기준 레벨 미만이면 주행모드에서 허용되는 앱 조작을 허가한다(S221).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행 중 조작제한이 가능한 정보기기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정보기기(200)의 제어부(220)는 주행모드로 진입하면 현재 주행중인 도로상태를 모니터링한다(S315).
제어부(220)는 현재 주행도로가 위험구간인지를 확인한다(S317). 이때, 제어부(220)는 주행도로가 위험구간인지 여부를 교통센터로부터 제공받거나 또는 각종 센서를 통해 측정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현재 주행도로가 위험구간이면 기기조작을 제한하고 경고를 출력한다(S319). 다시 말해서, 제어부(220)는 운전자가 정보기기(200) 조작을 시도하면 경고 메시지를 출력한다.
한편, 제어부(220)는 현재 주행도로가 위험구간이 아니면 주행모드에서 허용되는 앱 조작을 허가한다(S321). 이때, 제어부(220)는 차량 내 편의장치 조작계 중 주행모드에서 허용되는 조작계의 조작을 가능하게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이 소정 형태로 결합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수단, 예를 들어,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술한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차량데이터 관리부
110: 수집부
120: 가공부
130: 전송부
200: 정보기기
210: 통신부
220: 제어부
230: 디스플레이부
240: 음향 출력부
250: 저장부

Claims (12)

  1. 정보기기의 차량 탑승 여부를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정보기기의 차량 탑승을 인식하면 상기 차량 내 차량데이터 관리부로부터 전송되는 차량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차량의 주행상태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주행상태에 근거하여 운전자의 주의요망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운전자의 주의가 필요한 경우 상기 운전자의 기기 조작을 제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주행상태 확인단계는,
    상기 차량 탑승 시 주행모드로 진입하는 단계와,
    상기 주행모드 진입 후 차량데이터를 분석하여 현재 주행상태에서 인지부하레벨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운행 중 조작제한이 가능한 정보기기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탑승 여부 인식 단계는,
    정보기기가 차량 내 충전 거치대에 연결되면 차량 탑승상태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운행 중 조작제한이 가능한 정보기기의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탑승 여부 인식 단계는,
    정보기기가 차량 내 통신장치와 연결되면 차량 탑승상태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운행 중 조작제한이 가능한 정보기기의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장치는,
    무선인터넷(Wi-Fi), 블루투스, 근거리 무선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과 같은 통신기술 중 어느 하나의 통신기술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운행 중 조작제한이 가능한 정보기기의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상태 확인단계는,
    상기 차량 탑승 시 차량의 주행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차량이 주행중이면 주행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운행 중 조작제한이 가능한 정보기기의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조작 제한 단계는,
    현재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주행모드에서 사용불가 어플리케이션인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사용불가이면 상기 운전자의 기기 조작을 제한하며 경고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운행 중 조작제한이 가능한 정보기기의 제어 방법.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의요망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인지부하레벨의 기준 레벨이상인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운행 중 조작제한이 가능한 정보기기의 제어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상태 확인단계는,
    상기 차량 탑승 시 주행모드로 진입하는 단계와,
    상기 주행모드 진입 후 현재 주행도로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운행 중 조작제한이 가능한 정보기기의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주의요망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주행도로가 위험구간인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운행 중 조작제한이 가능한 정보기기의 제어 방법.
  11. 차량 내 차량데이터 관리부로부터 전송된 차량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차량데이터를 분석하여 차량의 운행상태 및 주행상황을 확인하고, 상기 운행상태 및 주행상황에 근거하여 운전자의 주의요망 여부를 결정하며 그 결정에 따라 기기조작을 제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정보기기가 차량 탑승상태이면 주행모드로 진입한 후 차량데이터를 분석하여 현재 차량의 운행상태 및 주행상황에서 인지부하레벨을 검출하고,
    상기 차량데이터는 차량 내 장착된 전자제어장치 및 각종 조작계 제어 시 발생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운행 중 조작제한이 가능한 정보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운전자의 주의요망을 알리는 경고를 시각정보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경고를 청각정보로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운행 중 조작제한이 가능한 정보기기.
KR1020150012095A 2015-01-26 2015-01-26 차량 운행 중 조작 제한이 가능한 정보기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679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2095A KR101679951B1 (ko) 2015-01-26 2015-01-26 차량 운행 중 조작 제한이 가능한 정보기기 및 그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2095A KR101679951B1 (ko) 2015-01-26 2015-01-26 차량 운행 중 조작 제한이 가능한 정보기기 및 그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1689A KR20160091689A (ko) 2016-08-03
KR101679951B1 true KR101679951B1 (ko) 2016-11-25

Family

ID=56708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2095A KR101679951B1 (ko) 2015-01-26 2015-01-26 차량 운행 중 조작 제한이 가능한 정보기기 및 그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99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7232B1 (ko) * 2017-11-24 2019-04-09 오한선 차량 운전중 휴대단말의 사용 방지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43126A (ja) 2012-08-24 2014-03-13 Denso Corp 携帯端末の操作制限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43126A (ja) 2012-08-24 2014-03-13 Denso Corp 携帯端末の操作制限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1689A (ko) 2016-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30242B2 (en) Vehicle emergency broadcast
US8774842B2 (en) System and method for limiting usag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10099608B2 (en) Haptic vehicle alert based on wearable device
JP6331975B2 (ja) 停車時車両制御装置
US9759574B2 (en) Vehicle emergency broadcast and relay
US7825782B2 (en) Device and method for wireless vehicle communication
US8952800B2 (en) Prevention of texting while operating a motor vehicle
US20140227991A1 (en) Method and system for location-based notifications relating to an emergency event
US20140195125A1 (en) Motor vehicle
CN106370195B (zh) 用于对车辆的驾驶员进行支持的方法和设备
JP2008505542A (ja) 移動体通信デバイスのユーザに警告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20080074286A1 (en) Emergency vehicle alert system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GB2535246A (en) A method and system for increasing driver awareness
US20150045987A1 (en) Configurable traffic zone control system
US11853058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autonomous vehicle systems
JP2018131202A (ja) 停車時車両制御装置
JP2016181032A (ja) 自動走行制御装置及び自動走行制御システム
KR20180059663A (ko) 긴급차량 접근 알림 신호 시스템
US20060176190A1 (en) Emergency vehicle alert system
US1034888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miting portable device functionality
WO2014054153A1 (ja) 車載情報処理装置
KR101679951B1 (ko) 차량 운행 중 조작 제한이 가능한 정보기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90061395A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신호등 변화 알림 장치 및 방법
JP2018507479A (ja) 自動車用の運転者支援システム
US9749084B2 (en) Method for temporarily blocking incoming and outgoing wireless communication for a mobile 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