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9535B1 - 거푸집 일체형 교량용 거더 및 그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거푸집 일체형 교량용 거더 및 그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9535B1
KR101679535B1 KR1020160029590A KR20160029590A KR101679535B1 KR 101679535 B1 KR101679535 B1 KR 101679535B1 KR 1020160029590 A KR1020160029590 A KR 1020160029590A KR 20160029590 A KR20160029590 A KR 20160029590A KR 101679535 B1 KR101679535 B1 KR 1016795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rder
girder frame
mold
bridge
form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9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순섭
Original Assignee
한우물중공업 주식회사
엄순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우물중공업 주식회사, 엄순섭 filed Critical 한우물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29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95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9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95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2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I-girder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68Composite concrete-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에 적용되는 거더프레임에 거푸집이 일체형으로 구비되면서 거푸집에 배치되는 철근이 거푸집에 고정 설치된 구성으로 콘크리트 타설시 거푸집의 변형을 방지하면서 거푸집에 일체로 배치되어 내구성을 높이고 압축응력에 강한 상부 콘크리트와 인장응력에 강한 하부플랜지로 이루어진 거푸집 일체형 교량용 거더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거푸집 일체형 교량용 거더 및 그 제작방법 {Girder for bridg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거푸집 일체형 교량용 거더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교량에 적용되는 거더프레임에 거푸집이 일체형으로 구비되면서 거푸집에 배치되는 철근이 거푸집에 고정 설치된 구성으로 콘크리트 타설시 거푸집의 변형을 방지하면서 거푸집에 일체로 배치되어 내구성을 높이고 압축응력에 강한 상부 콘크리트와 인장응력에 강한 하부플랜지로 이루어진 거푸집 일체형 교량용 거더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의 거더에 대한 종래의 기술로는 상자형 거더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바, 상자형 거더는 두개의 수직판을 양 옆으로 세우고 그 상, 하단에 각각 플랜지를 고정하여 사각의 통형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자형 거더는 그 폭을 크게 하여 단독으로 교량의 상판을 떠받치거나 폭을 작게 제작하여 여러 개를 사용함으로써 교량의 상판을 지지하게 되면, 상자형 거더의 내부에는 거더의 변형을 막기 위하여 사각형의 판상으로 이루어진 다이아프램을 설치하게 되고, 이웃하는 박스형 거더는 보로 연결되어 하중을 고루 분담하도록 구성된다.
또 다른 종래의 거더로는 복부와 상, 하부의 플랜지로 I자형의 단면 구조를 갖도록 구성한 후, 이렇게 구성된 여러 개의 I자형의 구조물을 수직 및 수평으로 서로 브레이싱하여 교량의 거더로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들은 복부판과 플랜지를 용접하여 고정한 후에 수직 및 수평의 여러 개의 보강재를 별도로 다시 부착하거나 별도의 브레이싱을 필요로 하는 것이어서, 작업성이 매우 떨어지게 되고 따라서 공기가 상당히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고, 수많은 보강 부재들이 필요로 되기 때문에 재료의 소모가 많아 경제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0001) KR 제10-0334635호 KR 제10-1192224호 KR 제10-1234558호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하부플랜지가 형성된 거더프레임의 상부에 거푸집을 일체로 부착하되 상기 거푸집 내에 거더프레임의 상단부가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거푸집에 돌출된 거더프레임의 상측면에 형성된 통공부를 수평으로 관통하여 철근이 배치된 다음 철근의 양끝단부는 거푸집에 부착되어 철근이 고정 설치된 거푸집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구성되는 콘크리트층의 구성으로 상기 하부플랜지에 의해 인장응력이 발생하는 응력분포를 가지도록 하고 압축응력이 발생하는 응력분포를 가지도록 하여서 된 거푸집 일체형 교량용 거더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하부플랜지가 형성되고 상측면에 통공부가 형성되어 있는 거더프레임과, 상기 거더프레임의 상측면에 부착되어 일체로 구성되어 있는 거푸집과, 상기 거푸집 내에 돌출된 거더프레임의 상측면 통공부를 관통하여 연결된 철근의 양끝단이 거푸집에 일체로 고정된 것을 포함하고, 상기 거푸집에 콘크리트가 타설된 콘크리트층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거푸집 일체형 교량용 거더를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거더프레임은 수직으로 된 강재 또는 형강부재에 하부플랜지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 "
Figure 112016023761651-pat00001
"형으로 구비되고, 거더프레임의 상측면에 철근이 관통될 수 있는 복수개의 통공부가 수평으로 일정간격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거푸집은 거더프레임의 상부 양측면에 "
Figure 112016023761651-pat00002
"형 또는 "
Figure 112016023761651-pat00003
"형 거푸집판이 서로 대응된 위치에 각각 부착되어 상향 개구된 거푸집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거푸집의 하부 양측단과 거더프레임의 하부플랜지 양측단을 서로 연결하는 형태로 외장재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철근에 상향 돌출된 전단연결재를 부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거푸집은 거더프레임(10)의 상부 양측면에 "
Figure 112016023761651-pat00004
"형 거푸집판이 서로 대응된 위치에 각각 부착되고, 상기 "
Figure 112016023761651-pat00005
"형 거푸집의 하부 양측단과 거더프레임의 호형으로 된 하부플랜지 양측단을 서로 연결하는 형태로 호형의 외장재를 부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부플랜지가 형성되고 상측면에 복수개의 통공부가 형성된 거더프레임을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거더프레임의 상측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통공부에 철근을 각각 관통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거더프레임의 상부 양측면에 거푸집판을 부착하여 거더프레임에 거푸집을 일체로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거푸집 내에 배치되고, 거더프레임의 통공부에 관통 연결된 철근의 양끝단을 거푸집에 일체로 부착하는 단계와, 상기 거더프레임의 상부에 위치한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교량용 거더 제작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거푸집의 하부 양측단과 거더프레임의 하부플랜지 양측단을 서로 연결하는 외장재가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서 되는 교량용 거더 제작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교량에 적용되는 거더프레임에 거푸집이 일체형으로 구비되면서 거푸집에 배치되는 철근이 거푸집에 고정 설치된 구성으로 콘크리트 타설시 거푸집의 변형을 방지하면서 슬래브(와 일체로 연결되어 압축응력에 강한 상부 콘크리트와 인장응력에 강한 하부플랜지로 이루어져서 충분한 강도 및 강성을 갖고, 시공성이 크게 향상되며, 강재 사용량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교량용 거더를 이용한 거더교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교량용 거더에서 거더프레임과 거푸집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교량용 거더에서 거더프레임과 거푸집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교량용 거더를 이용한 거더교 설치상태를 나타낸 일부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교량용 거더에서 외장재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교량용 거더에 의한 도 3은 압축응력과 인장응력이 발생되는 응력분포를를 나타내는 측면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교량용 거더에서 또 다른 형태의 거푸집에 배치된 철근에 전단연결재가 구비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상기 도 7의 구성에 의한 거더교 설치상태를 나타낸 일부 확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교량용 거더의 또 다른 구성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상기 도 9의 구성에 의한 거더교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교량용 거더에서 거푸집에 배치된 철근에 구비된 전단연결재의 구성을 나타낸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상기 도 11에서 전단연결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3은 상기 도 11에서 전단연결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평면 예시도.
도 14는 도 12는 상기 도 11에서 전단연결재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일반적으로 거더는 교량에서 차도 또는 인도를 구성하는 바닥판을 지지하는 구조물로서 길이방향을 따라 중력 방향으로 하중을 받는다. 따라서 거더는 중력방향으로의 하중에 대해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응력을 갖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아울러 차량이 교량을 고속으로 지나는 경우에는 바닥판에 충격하중과 반복되는 충격하중에 의한 진동하중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거더는 충격하중과 진동하중에 견딜 수 있는 충분한 강도 및 강성을 갖고, 시공성을 높일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교량용 거더는, 하부플랜지(12)가 형성되고 상측면에 통공부(14)가 형성되어 있는 거더프레임(10)과, 상기 거더프레임(10)의 상측면에 부착되어 일체로 구성되고 거더프레임(10)의 상단부가 돌출되어 있는 거푸집(20)과, 상기 거푸집(20) 내에 돌출된 거더프레임(10)의 상측면 통공부(14)를 관통하여 철근(30)이 횡설되고 거푸집(20)의 양측벽에 철근(30)의 끝단부가 연결 부착되어 고정 배치되며, 상기 거푸집에 콘크리트가 타설된 콘크리트층(40)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거더프레임(10)은 수직으로 된 강재 또는 형강부재에 의해 하부플랜지(12)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 "
Figure 112016023761651-pat00006
"형으로 구비되고, 거더프레임(10)의 상측면에 철근이 관통될 수 있는 복수개의 통공부(14)가 수평으로 일정간격 형성되며, 상기 통공부(14)는 거더프레임(10)의 길이방향으로 1단뿐만 아니라 2단 이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거푸집(20)은 거더프레임(10)의 상부 양측면에 서로 대향된 위치에 각각 부착되어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는 거푸집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거푸집(20)은 도 3 및 도 7에서와 같이, 거더프레임(10)의 상부 양측면에 "
Figure 112016023761651-pat00007
"형 또는 "
Figure 112016023761651-pat00008
"형 거푸집판(22)이 서로 대응된 위치에 각각 부착되어 상향 개구된 거푸집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향 개구된 거푸집을 통해 콘크리트 타설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은 "
Figure 112016023761651-pat00009
"형 또는 "
Figure 112016023761651-pat00010
"형 거푸집판(22)이 부착되어 형성된 거푸집(20)의 하부 양측단과 거더프레임(10)의 하부플랜지(12) 양측단을 서로 연결하는 형태로 외장재(60)가 부착된 구성으로 외장재(60)에 의한 커버 기능으로 거더프레임(10)이 내장되도록 한다.
또, 본 발명은 도 7과 같이 철근(30)에 상향 돌출된 전단연결재(50)를 부착하여 전단재에 의해 구조물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이는 거푸집(20)의 콘크리트층에 전단연결재(50)가 소정깊이만큼 묻히도록 타설되면서 전단연결재(50)가 교량의 상판 슬래브(70)와 일체로 연결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11은 철근(30)에 상향 돌출된 전단연결재(50)를 구비한 또 다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12 내지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평선상의 중심을 이루는 상부지지부(52)와, 상부 지지부(52)의 양측이 45도 각도로 하향 경사각을 이루도록 절곡된 경사지지부(54)와, 상기 양측 경사지지부(54)의 내측으로 각각 절곡되고 끝단은 거더프레임(10)의 상측면 양측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한 하부지지부(56)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전단연결재(50)는 도 13과 같이 철근(30)과 철근(30) 사이에 배치되면서 거더프레임(10)의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거푸집(20)은 도 9에서와 같이, 거더프레임(10)의 상부 양측면에 "
Figure 112016023761651-pat00011
"형 거푸집판(22)이 서로 대응된 위치에 각각 부착되어 상향 개구된 거푸집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
Figure 112016023761651-pat00012
"형 거푸집(20)의 하부 양측단과 거더프레임(10)의 호형으로 된 하부플랜지(12) 양측단을 서로 연결하는 형태로 호형의 외장재(60)를 부착하여 전체적으로 원형 단면을 이루는 거더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따른 거더를 제작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강재 또는 형강부재로 하부플랜지(12)가 형성되고 상측면에 복수개의 통공부(14)가 형성된 거더프레임(10)을 제작한다. 하부플랜지(12)는 수평 또는 호형으로 형성되어 인장응력이 발생하는 응력분포를 가지도록 하며, 거더프레임(10)의 상측면에 형성되는 통공부(14)는 철근(30)이 관통상태로 배치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되 거더프레임(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1단뿐만 아니라 2단 이상으로 통공부(14)가 형성되어 철근이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거더프레임(10)의 상측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통공부(14)에는 거푸집에 배치될 수 있는 철근(30)을 각각 관통 연결한다. 상기 철근(30)은 거푸집(20)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함에 있으며, 이러한 철근(30)의 길이는 거푸집(20)의 내측벽에 철근(30)의 양끝단이 맞닿거나 근접된 상태가 될 수 있도록 하여 용접 부착 등으로 고정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이어서 거더프레임(10)의 상부 양측면에 거푸집판(22)을 부착하여 거더프레임(10)에 거푸집(20)이 일체가 되게 한다. 이때 거더프레임(10)의 통공부(14)에 관통 연결된 철근(30)은 거푸집(20)내에 설치되어 배열된 상태가 된다.
거더프레임(10)의 상부 양측면에 거푸집판(22)을 부착하여 형성되는 거푸집(20)은 상향 개구된 형태 뿐만 아니라 원형 거더를 형성하기 위한 호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거푸집(20) 내에 배치되어 있고, 거더프레임(10)의 통공부(14)에 관통 연결된 철근(30)의 양끝단을 거푸집(20)의 양측벽에 용접 등으로 일체로 부착한다. 이와 같이 철근(30)은 거더프레임(10)에 지지됨과 아울러 거푸집(20)에 일체로 부착되어 거푸집(20)의 변형을 방지하면서 내력강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 거더프레임(10)의 상부에 위치한 거푸집(20)에 배치된 철근(30)이 일체로 고정되면,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층(40)을 형성한다. 이러한 콘크리트층(40)은 압축응력이 발생하는 응력분포를 갖게 된다.
그리고 거푸집(20)의 하부 양측단과 거더프레임(10)의 하부플랜지(12) 양측단을 서로 연결하는 외장재(60)가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외장재(60)에 의해 거더프레임(10)의 전체적인 미관을 좋게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교량용 거더는 압축력에 강한 상부 콘크리트층과 인장력에 강한 하부플랜지의 구성으로 강재의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층의 중량으로 진동에 대해서도 강재만으로 이루어진 거더에 비해 진동발생이 적어 사용성에서도 우수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거더프레임 12 : 하부플랜지
14 : 통공부 20 : 거푸집
22 : 거푸집판 30 : 철근
40 : 콘크리트층 50 : 전단연결재
52 : 상부지지부 54 : 경사지지부
56 : 하부지지부 60 : 외장재
70 : 슬래브

Claims (8)

  1. 하부플랜지(12)가 형성되고 상측면에 통공부(14)가 형성되어 있는 거더프레임(10)과,
    상기 거더프레임(10)의 상측면에 부착되어 일체로 구성되고 거더프레임(10)의 상단부가 돌출되어 있는 거푸집(20)과,
    상기 거푸집(20) 내에 돌출된 거더프레임(10)의 상단부에 복수개의 통공부(14)가 수평으로 일정간격 형성되며,
    상기 통공부(14)를 관통하여 연결된 철근(30)의 양끝단이 거푸집(20)에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거푸집(20)에 콘크리트가 타설된 콘크리트층(40)으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거푸집(20)은 거더프레임(10)의 상부 양측면에 "
    Figure 112016075458370-pat00014
    "형 또는 "
    Figure 112016075458370-pat00015
    "형 거푸집판(22)이 서로 대응된 위치에 각각 부착되어 상향 개구된 거푸집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일체형 교량용 거더.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30)에 상향 돌출된 전단연결재(50)를 부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일체형 교량용 거더.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60029590A 2016-03-11 2016-03-11 거푸집 일체형 교량용 거더 및 그 제작방법 KR1016795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9590A KR101679535B1 (ko) 2016-03-11 2016-03-11 거푸집 일체형 교량용 거더 및 그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9590A KR101679535B1 (ko) 2016-03-11 2016-03-11 거푸집 일체형 교량용 거더 및 그 제작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8820A Division KR101704355B1 (ko) 2016-08-03 2016-08-03 복합 교량용 거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9535B1 true KR101679535B1 (ko) 2016-11-24

Family

ID=57705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9590A KR101679535B1 (ko) 2016-03-11 2016-03-11 거푸집 일체형 교량용 거더 및 그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953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4801B1 (ko) * 2013-11-08 2014-07-04 주식회사 한국교량개발연구소 합성거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4801B1 (ko) * 2013-11-08 2014-07-04 주식회사 한국교량개발연구소 합성거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9959B1 (ko) 형고를 유지하면서 단면강성이 향상된 강상자형 거더 및 이의 제작방법
JP5406563B2 (ja) 合成梁、建築物、及び合成梁の施工方法
KR101645462B1 (ko) 프리캐스트 가로보 제작방법 및 프리캐스트 가로보 시공방법
KR101024827B1 (ko) 상자형 강합성 거더의 제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상자형 교량의 시공 방법
KR101228593B1 (ko) 내부중공재를 이용한 합성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KR20090050520A (ko) 리브드 하프피씨 바닥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20108073A (ko) 상자형 강합성 거더의 제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상자형 교량의 시공 방법
JP2016098504A (ja) 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施工方法および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
KR101638093B1 (ko) 힌지 거동형 pc 벽체를 이용한 라멘교 및 이 시공 방법
KR101768056B1 (ko) 교량용 거더의 제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 방법
KR101703820B1 (ko) ㄷ채널을 이용한 콘크리트 충진 박스거더의 제작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교량용 콘크리트 충진 박스거더
KR20160010783A (ko) 강합성 거더의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강합성 거더를 이용한 교량 상부 구조의 시공 방법
KR101705002B1 (ko) 조립식 이중합성 플레이트 거더교 및 그 시공방법
KR101023179B1 (ko) 티형 리브드 슬래브, 그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
KR101458435B1 (ko) 안장형 띠철근과 이중 대근을 이용한 hpc기둥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994089B1 (ko) 인발전단메쉬부재가 구성되며 넓은 폭을 갖는 현장 타설용 하프 pc 슬래브 및 이의 제작방법
KR101679535B1 (ko) 거푸집 일체형 교량용 거더 및 그 제작방법
KR20170108215A (ko) 아이 형강 하프피씨 바닥판 및 이의 제작 방법 그리고 그 시공방법
JP5750246B2 (ja) 合成梁、建築物、及び合成梁の施工方法
JP2016079695A (ja) 梁の構築方法および梁用プレキャスト板
KR20160019286A (ko) 단부다이아프램을 구비한 psc거더 및 이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량 시공방법
KR101704355B1 (ko) 복합 교량용 거더
KR102267643B1 (ko) 안장pc블럭을 이용한 역t형 psc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KR101482523B1 (ko) 안전휀스 설치 구성을 가지는 조립식 노듈러 거더, 이를 이용한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20100045740A (ko) 교량 바닥판의 캔틸레버 부분 시공을 위한 지지 조립체, 이를 이용한 캔틸레버 부분의 시공방법, 이러한 캔틸레버 부분을 구비한 교량 및 교량의 시공방법 및 교량 최외측 거더 외부의 반두께 프리캐스트 바닥판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