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9271B1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9271B1
KR101679271B1 KR1020150081419A KR20150081419A KR101679271B1 KR 101679271 B1 KR101679271 B1 KR 101679271B1 KR 1020150081419 A KR1020150081419 A KR 1020150081419A KR 20150081419 A KR20150081419 A KR 20150081419A KR 101679271 B1 KR101679271 B1 KR 1016792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ayment
item
settlemen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1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태훈
설지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81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9271B1/ko
Priority to US14/876,714 priority patent/US20160364715A1/en
Priority to EP16150515.1A priority patent/EP3104311A1/en
Priority to CN201610048262.4A priority patent/CN106251135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9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92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5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using wireless networks
    • H04M1/7252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6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using a pictured code, e.g. barcode or QR-code, being read by the M-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결제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외부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부; 및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어느 품목에 대한 결제 요청 정보를 상기 외부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결제 요청 정보가 수신된 후, 상기 어느 품목에 대한 결제를 승인하는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며, 상기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어느 품목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수신되면, 상기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고, 상기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어느 품목에 대한 결제를 수행되면, 상기 결제가 더 이상 수행되지 않도록 상기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사라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결제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최근에는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품목의 결제를 수행하는 기능이 등장하였다. 이에 따라, 품목의 결제와 관련된 다양한 사용자 요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기능들의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외부 단말기를 통하여 대리 결제를 수행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 단말기를 통하여 대리 결제의 수행 시, 결제와 관련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결제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와 외부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부 및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어느 품목에 대한 결제 요청 정보를 상기 외부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결제 요청 정보가 수신된 후, 상기 어느 품목에 대한 결제를 승인하는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며, 상기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어느 품목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수신되면, 상기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고, 상기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어느 품목에 대한 결제를 수행되면, 상기 결제가 더 이상 수행되지 않도록 상기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사라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어느 품목에 대한 결제가 수행되면, 상기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한 결제의 수행을 제한하도록 결제 승인 정보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근거리의 외부 물체와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느 품목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도록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외부 물체에 전송하는 것을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결제 승인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품목 정보,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제 요청 정보의 전송 후,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상기 어느 품목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상기 어느 품목이 삭제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상기 어느 품목이 삭제되었음을 나타내도록, 상기 어느 품목에 대한 정보의 시각적 외관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상기 어느 품목과 다른 품목에 대한 결제 승인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상기 다른 품목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제1결제방식으로 결제를 수행하는 제1결제모듈와 제2결제방식으로 결제를 수행하는 제2결제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결제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알림 정보의 출력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제의 수행 후, 상기 결제의 승인 여부를 상기 외부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카메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요청에 근거하여, 상기 카메라부를 통하여, 상기 어느 품목에 대응되는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영상을 이용하여 결제 요청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느 품목에 대한 영상의 촬영 후, 상기 어느 품목에 대응되는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영상에 대한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가 가해지면, 상기 어느 품목과 다른 품목이 촬영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상기 어느 품목에 대응되는 영상 대신 상기 카메라부를 통하여 수신된 프리뷰 영상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외부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부 및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어느 품목에 대한 결제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어느 품목에 대한 결제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단말기에서 결제가 수행되도록 상기 어느 품목에 대한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외부 단말기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외부 단말기에서 결제가 수행되면, 상기 외부 단말기 상에서 더 이상 결제가 수행되지 않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단말기에서 상기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제가 수행되면, 상기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메모리 상에서 삭제되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복수의 품목에 대한 결제 요청 정보를 수신한 경우, 사용자의 요청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품목 중 적어도 하나의 품목에 대한 결제 승인 정보를 상기 외부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복수의 품목에 대한 결제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품목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품목에 대한 정보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품목에 대응되는 정보에 가해지는 터치에 근거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품목을 상기 결제 요청 정보에서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지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단말기에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상기 어느 품목에 대한 결제 요청 정보를 출력한 상태에서,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가 가해지는 것에 응답하여,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는 화면 정보를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는, 결제 카드 정보를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가 출력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그래픽 객체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결제 카드 정보에 포함된 결제 금액 정보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결제 요청 정보는 결제 상점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제 상점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어느 품목과 다른 품목을 상기 결제 요청 정보에 추가하여, 상기 결제 승인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품목에 대한 결제 정보를 외부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품목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품목에 대한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품목에 대한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품목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는,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품목에 대한 결제의 수행 후, 결제의 수행이 제한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다양한 결제 방식을 지원하는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결제 요청 단말기와 결제 승인 단말기 간의 대리 결제를 수행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결제 요청 단말기는 원격지의 결제 승인 단말기를 통하여 결제를 수행할 수 있고, 결제 승인 단말기 또한, 원격지의 결제 요청 단말기를 통하여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결제 요청 단말기와 결제 승인 단말기 간에 실시간으로 품목 협상을 함으로써, 결제뿐만 아니라, 결제와 관련된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순히 결제 요청 품목의 결제를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함으로써, 편리한 대리 결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b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들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외부 단말기를 통하여 대리 결제를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도 2a 및 도 2b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개념도들이다.
도 4a, 도 4b, 도 4c, 도 4d, 도 4e 및 도 4f는 결제 요청 단말기에서 결제 요청 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들이다.
도 5a, 도 5b 및 도 5c는 결제 요청 단말기에서, 결제 요청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들이다.
도 6a, 도 6b, 도 7a, 도 7b, 도 8a, 도 8b, 도 9a, 도 9b, 도 10a, 도 10b, 도 10c, 도 11a 및 도 11b는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로부터 결제 요청 정보를 수신한 결제 승인 단말기에서 결제 승인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들이다.
도 12a, 도 12b, 도 12c 및 도 12d는 결제 요청 정보를 전송한 결제 요청 단말기에 있어서, 결제 승인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결제 승인 정보에 기초하여 결제를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들이다.
도 13은 결제 요청 단말기에서 결제의 수행 시, 결제 방식과 관련된 알림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결제 승인 단말기에 있어서, 결제 요청 정보의 수신 전, 결제 승인 정보를 미리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들이다.
도 15a 및 도 15b는 메시지 전송 기능과 연계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결제 요청 정보 및 결제 승인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들이다.
도 16은 결제와 관련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알리는 알림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7a 및 도 17b는 SNS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대리 결제를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감지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a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이동 단말기(100)를 통하여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살펴보기에 앞서,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도 1a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무선 통신부(110)에 대하여 살펴보면, 무선 통신부(110)의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제공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WiBro, HSDPA, HSUPA, GSM, CDMA, WCDMA, LTE, LTE-A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이동 단말기(100)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가 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이동 단말기(100) 주변에,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이동 단말기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115)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110)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정보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입력부(120)는 영상 정보(또는 신호), 오디오 정보(또는 신호), 데이터,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영상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 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메라(121)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되는 복수의 카메라(121)는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는 카메라(121)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에는 다양한 각도 또는 초점을 갖는 복수의 영상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카메라(121)는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좌 영상 및 우 영상을 획득하도록, 스트레오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폰(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3)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123)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23)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고, 이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부(180)는 이러한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구동 또는 동작을 제어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처리,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 할 수 있다. 센싱부(140)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센서 중 대표적인 센서들의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이러한 근접 센서(141)는 위에서 살펴본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 근접 센서(141)는 전도성을 갖는 물체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물체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센서) 자체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명명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명명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물체가 근접 터치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물체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위와 같이, 근접 센서(141)를 통해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데이터(또는 정보)를 처리하며, 나아가, 처리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각적인 정보를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 상의 동일한 지점에 대한 터치가, 근접 터치인지 또는 접촉 터치인지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 또는 데이터(또는 정보)가 처리되도록 이동 단말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자기장 방식 등 여러 가지 터치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또는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터치(또는 터치입력)을 감지한다.
일 예로서,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를 가하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 상에 터치 되는 위치, 면적, 터치 시의 압력, 터치 시의 정전 용량 등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상기 터치 센서에 터치를 인가하는 물체로서, 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포인터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터치 제어기는, 제어부(180)와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 있고, 제어부(180) 자체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스크린 이외에 구비된 터치키)을 터치하는,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거나,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할지 또는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지는, 현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상태 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살펴본 터치 센서 및 근접 센서는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터치 스크린에 대한 숏(또는 탭) 터치(short touch), 롱 터치(long touch), 멀티 터치(multi touch), 드래그 터치(drag touch), 플리크 터치(flick touch), 핀치-인 터치(pinch-in touch), 핀치-아웃 터치(pinch-out 터치), 스와이프(swype) 터치, 호버링(hovering) 터치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터치를 센싱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광 센서와 복수의 초음파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정보를 통해, 파동 발생원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파동 발생원의 위치는, 광이 초음파보다 매우 빠른 성질, 즉, 광이 광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이 초음파가 초음파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보다 매우 빠름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을 기준 신호로 초음파가 도달하는 시간과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파동 발생원의 위치가 산출될 수 있다.
한편, 입력부(120)의 구성으로 살펴본, 카메라(121)는 카메라 센서(예를 들어, CCD, CMOS 등), 포토 센서(또는 이미지 센서) 및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카메라(121)와 레이저 센서는 서로 조합되어,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감지대상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포토 센서는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층될 수 있는데, 이러한 포토 센서는 터치 스크린에 근접한 감지대상의 움직임을 스캐닝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토 센서는 행/열에 Photo Diode와 TR(Transistor)를 실장하여 Photo Diode에 인가되는 빛의 양에 따라 변화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포토 센서 위에 올려지는 내용물을 스캔한다. 즉, 포토 센서는 빛의 변화량에 따른 감지대상의 좌표 계산을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입체 디스플레이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에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안경 방식),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무안경 방식), 프로젝션 방식(홀로그래픽 방식) 등의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3)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3)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틱 모듈(153)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햅틱 모듈(153)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c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광출력부(154)는 이동 단말기(100)의 광원의 빛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이 될 수 있다.
광출력부(154)가 출력하는 신호는 이동 단말기가 전면이나 후면으로 단색이나 복수색의 빛을 발광함에 따라 구현된다. 상기 신호 출력은 이동 단말기가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을 감지함에 의하여 종료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port),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등이 인터페이스부(160)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 있다.
메모리(17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7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7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한편,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과,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 상태를 실행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하거나, 터치 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 상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90)는 연결포트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16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원공급부(190)는 상기 연결포트를 이용하지 않고 무선방식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원공급부(190)는 외부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 방식이나 전자기적 공진 현상에 기초한 공진 결합(Magnetic Resonance Coupling)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1 b 및 1c를 참조하면,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와치 타입, 클립 타입, 글래스 타입 또는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 타입, 플립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특정 유형에 관련될 것이나, 이동 단말기의 특정유형에 관한 설명은 다른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단말기 바디는 이동 단말기(100)를 적어도 하나의 집합체로 보아 이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예를 들면, 프레임,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배치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미들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는 프론트 케이스(101)에 장착되어 프론트 케이스(101)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리어 케이스(102)에도 전자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 가능한 전자부품은 착탈 가능한 배터리, 식별 모듈, 메모리 카드 등이 있다. 이 경우, 리어 케이스(102)에는 장착된 전자부품을 덮기 위한 후면커버(103)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후면 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로부터 분리되면,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된 전자부품은 외부로 노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면,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결합시 리어 케이스(102)는 후면커버(103)에 의해 완전히 가려질 수도 있다. 한편, 후면커버(103)에는 카메라(121b)나 음향 출력부(152b)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들(101, 102, 103)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의 케이스가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위의 예와 달리,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합성수지 또는 금속이 측면에서 후면으로 이어지는 유니 바디의 이동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단말기 바디 내부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는 방수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수부는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사이,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 또는 리어 케이스(102)와 후면 커버(103) 사이에 구비되어, 이들의 결합 시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방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및 제2 카메라(121a, 121b),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 마이크로폰(122), 인터페이스부(16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b 및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디스플레이부(151), 제1 음향 출력부(152a),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카메라(121a) 및 제1 조작유닛(123a)이 배치되고,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제2 조작유닛(123b), 마이크로폰(122) 및 인터페이스부(160)이 배치되며,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제2 음향 출력부(152b) 및 제2 카메라(121b)가 배치된 이동 단말기(100)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들 구성은 이러한 배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구성은 필요에 따라 제외 또는 대체되거나,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제1 조작유닛(123a)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이 아닌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18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한편, 터치센서는, 터치패턴을 구비하는 필름 형태로 구성되어 윈도우(151a)와 윈도우(151a)의 배면 상의 디스플레이(미도시) 사이에 배치되거나, 윈도우(151a)의 배면에 직접 패터닝되는 메탈 와이어가 될 수도 있다. 또는,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의 기판 상에 배치되거나, 디스플레이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센서와 함께 터치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123, 도 1a 참조)로 기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터치 스크린은 제1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
제1 음향 출력부(152a)는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receiver)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에는 제1 음향 출력부(152a)로부터 발생되는 사운드의 방출을 위한 음향홀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사운드는 구조물 간의 조립틈(예를 들어,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간의 틈)을 따라 방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관상 음향 출력을 위하여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홀이 보이지 않거나 숨겨져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이 보다 심플해질 수 있다.
광 출력부(154)는 이벤트의 발생시 이를 알리기 위한 빛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을 들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이 감지되면, 빛의 출력이 종료되도록 광 출력부(154)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21a)는 촬영 모드 또는 화상통화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으며,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일 예로서,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터치, 푸시, 스크롤 등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받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근접 터치(proximity touch), 호버링(hovering) 터치 등을 통해서 사용자의 촉각적인 느낌이 없이 조작하게 되는 방식으로도 채용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1 조작유닛(123a)이 터치키(touch key)인 것으로 예시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푸시키(mechanical key)가 되거나, 터치키와 푸시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메뉴, 홈키, 취소, 검색 등의 명령을 입력 받고, 제2 조작유닛(123b)은 제1 또는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의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한편,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다른 일 예로서, 후면 입력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후면 입력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의 온/오프,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터치입력, 푸시입력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입력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두께방향으로 전면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단말기 바디를 한 손으로 쥐었을 때 검지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조작 가능하도록,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면 입력부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이처럼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후면 입력부가 구비되는 경우, 이를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유저 인터페이스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터치 스크린 또는 후면 입력부가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구비되는 제1 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하여,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제1 조작유닛(123a)이 미배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가 보다 대화면(大畵面)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180)는 지문인식센서를 통하여 감지되는 지문정보를 인증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지문인식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사용자 입력부(123)에 내장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도록 이루어진다. 마이크로폰(122)은 복수의 개소에 구비되어 스테레오 음향을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를 외부기기와 연결시킬 수 있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60)는 다른 장치(예를 들어, 이어폰, 외장 스피커)와의 연결을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등], 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단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제2카메라(121b)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카메라(121b)는 제1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게 된다.
제2카메라(121b)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행렬(matrix) 형식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는, ‘어레이(array) 카메라’로 명명될 수 있다. 제2카메라(121b)가 어레이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보다 나은 품질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하여 빛을 비추게 된다.
단말기 바디에는 제2 음향 출력부(152b)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제1 음향 출력부(152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구비될 수 있다.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케이스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모듈(111, 도 1a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안테나는 필름 타입으로 형성되어 후면 커버(103)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90, 도 1a 참조)가 구비된다. 전원 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배터리(191)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91)는 인터페이스부(160)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91)는 무선충전기기를 통하여 무선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무선충전은 자기유도방식 또는 공진방식(자기공명방식)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서는 후면 커버(103)가 배터리(191)를 덮도록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어 배터리(191)의 이탈을 제한하고, 배터리(191)를 외부 충격과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도록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배터리(191)가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 후면 커버(103)는 리어 케이스(10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외관을 보호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보조 또는 확장시키는 액세서리가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액세서리의 일 예로, 이동 단말기(100)의 적어도 일면을 덮거나 수용하는 커버 또는 파우치를 들 수 있다. 커버 또는 파우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연동되어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세서리의 다른 일 예로,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입력을 보조 또는 확장하기 위한 터치펜을 들 수 있다.
앞서 도 1a를 통해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등의 근거리 통신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이 중,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NFC 모듈은 10cm 안팎의 거리에서 단말 간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 통신을 지원한다. 또한 NFC 모듈은 13.56M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수 있다.
NFC 모듈은 카드 모드, 리더 모드 및 P2P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할 수 있다. NFC 모듈이 카드 모드로 운용되기 위해서, 이동 단말기(100)는 카드 정보를 저장하는 보안 모듈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보안 모듈이란 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예컨대,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SIM(Universal SIM)), Secure micro SD 및 스티커 등 물리적 매체일 수도 있고, 이동 단말기에 임베디드되어 있는 논리적 매체(예컨대, embeded SE(Secure element))일 수도 있다. NFC 모듈과 보안 모듈 사이에는 SWP(Single Wire Protocol)에 기반한 데이터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NFC 모듈이 카드 모드로 운용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는 전통적인 IC 카드처럼 저장하고 있는 카드 정보를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신용카드 또는 버스 카드 등 결제용 카드의 카드 정보를 저장하는 이동 단말기를 요금 결제기에 근접시키면, 모바일 근거리 결제가 처리될 수 있고, 출입용 카드의 카드 정보를 저장하는 이동 단말기를 출입 승인기에 근접 시키면, 출입의 승인 절차가 시작될 수 있다. 신용카드, 교통카드 및 출입카드 등의 카드는 애플릿(applet) 형태로 보안 모듈에 탑재되고, 보안 모듈은 탑재된 카드에 대한 카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결제용 카드의 카드 정보는 카드 고유 번호, 잔액, 사용 내역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고, 출입용 카드의 카드 정보는, 사용자의 이름, 번호(예컨대, 사용자의 학번 또는 사번), 출입 내역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NFC 모듈이 리더 모드로 운용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는 외부의 태그(Tag)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가 태그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는 NFC 포럼에서 정하는 데이터 교환 포맷(NFC Data Exchange Format)으로 코딩될 수 있다. 아울러, NFC 포럼에서는 4개의 레코드 타입을 규정한다. 구체적으로, NFC 포럼에서는 스마트 포스터(Smart Poster), 텍스트(Text),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및 일반 제어(General Control) 등 4개의 RTD(Record Type Definition)를 규정한다. 태그로부터 수신한 데이터가 스마트 포스터 타입인 경우, 제어부는 브라우저(예컨대, 인터넷 브라우저)를 실행하고, 태그로부터 수신한 데이터가 텍스트 타입인 경우, 제어부는 텍스트 뷰어를 실행할 수 있다. 태그로부터 수신한 데이터가 URI 타입인 경우, 제어부는 브라우저를 실행하거나 전화를 걸고, 태그로부터 수신한 데이터가 일반 제어 타입인 경우, 제어 내용에 따라 적절한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NFC 모듈이 P2P(Peer-to-Peer) 모드로 운용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는 다른 이동 단말기와 P2P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P2P 통신에는 LLCP(Logical Link Control Protocol) 가 적용될 수 있다. P2P 통신을 위해 이동 단말기와 다른 이동 단말기 사이에는 커넥션(connection)이 생성될 수 있다. 이때, 생성되는 커넥션은 1개의 패킷을 교환하고 종료되는 비접속형 모드(connectionless mode)와 연속적으로 패킷을 교환하는 접속형 지향 모드(connection-oriented mode)로 구분될 수 있다. P2P 통신을 통해, 전자적 형태의 명함, 연락처 정보, 디지털 사진, URL 등의 데이터 및 블루투스, Wi-Fi 연결을 위한 셋업 파라미터 등이 교환될 수 있다. 다만, NFC 통신의 가용 거리는 짧으므로, P2P 모드는 크기가 작은 데이터를 교환하는 것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이동 단말기를 통한 결제 방식은 NFC를 통한 결제 방식 및 마그네틱 방식(MST, Magnetic Secure Transmission)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 NFC를 통한 결제 방식은, 앞서 설명한 NFC가 카드 모드로 운용되는 경우와 동일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틱 방식은 마그네틱 카드에서 마그네틱을 이용하여 결제를 수행하는 방식을 전자적으로 구현한 방식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그네틱 방식은 마그네틱 정보를 단말기에 저장하고, 상기 마그네틱 정보를 자기장을 이용하여 무선 신호의 형태로, 요금 결제기(POS, Point Of Sales)에 전송하여,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이동 단말기는 기존의 마드네틱 카드처럼 요금 결제기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도, 무선 신호의 전송을 통하여,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요금 결제기는 판매 정보를 집계하는 단말기로써, 품목 관리, 재고 관리 및 크레딧 자동판별 등 결제와 관련된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는 단말기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요금 결제기는 결제 단말기, 신용카드 리더기, 포스기 등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틱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는 카드 정보, 보안 정보를 메모리부에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카드 정보는, 종래의 마그네틱 카드의 카드 고유 번호, 유효 날짜, 보안 번호, 카드 제공 회사 정보 및 카드 마그네틱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안 정보는, NFC 모듈이 카드 모드로 운용되는 경우에 사용되는 보안 정보와 동일한 보안 정보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저장된 카드 정보 및 보안 정보가 자기장에 포함되도록 상기 자기장을 변조 또는 복조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자기장을 변조하는 것은, 자기장의 진폭, 위상 및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기장을 복조하는 것은, 상기 변조된 자기장을 다시 진폭, 위상 및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변조되기 전의 자기장을 생성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자기장의 변복조를 통하여, 상기 저장된 카드 정보 및 보안 정보가 포함된 무선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신호가 생성되면, 상기 이동 단말기는 요금 결제기에 상기 무선 신호를 전송하고, 이를 통하여,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마그네틱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 단말기는 보안을 위하여, 요금 결제기 상에 카드 정보가 저장되지 않도록 상기 카드 정보를 기초로, 가상의 카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가상의 카드 정보를 요금 결제기에 전송하여,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는, 결제의 수행 시마다, 가상의 카드 정보를 새롭게 생성하고, 이를 요금 결제기에 전송함으로써, 요금 결제기 상에서 카드 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상의 카드 정보는 결제시마다 네트워크 인증을 거치거나, 지문 인식 등의 추가적인 보안 절차를 통하여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 단말기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과 관련된 실시 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하의 도면의 설명에서는 왼쪽 위에 그려진 도면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순서를 붙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외부 단말기를 통하여 대리 결제를 수행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외부 단말기를 통하여 대리 결제를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도 2a 및 도2b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개념도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결제 수단을 통하여 직접 결제를 수행할 수도 있고, 외부 단말기를 통하여 대리로 결제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외부 단말기에 결제를 요청하는 단말기를 결제 요청 단말기, 결제를 수행하는 단말기를 결제 승인 단말기로 명명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의 제어부는 180a, 디스플레이부는 151a의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상기 결제 승인 단말기의 제어부는 180b, 디스플레이부는 151b의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 및 결제 승인 단말기 모두에 적용되는 기능에 대해서는, 이동 단말기로 명명하여 설명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는 180, 디스플레이부는 151의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 및 결제 승인 단말기 사이의 결제를 수행하는 동작을 결제 수행 시스템이라고 명명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도 2a를 참조하여, 결제 요청 단말기에서 결제를 수행하는 방법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결제 요청 단말기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결제 요청 정보를 외부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S110).
본 발명에 따른 결제 요청 단말기는, 결제 승인 단말기에게 결제 승인 정보를 요청하기 위하여, 상기 결제 승인 단말기에 결제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요청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결제 요청 기능은 결제 애플리케이션, 외부 단말기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기능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및 외부 물품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이동 단말기에서 실행 가능한 응용 프로그램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결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으로, 이동 단말기의 공장 출고 시, 이동 단말기의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거나,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download)받을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외부 서버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서버로써, 일 예로, 안드로이드 마켓(android marcket), 구글 플레이(google play)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외부 단말기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기능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외부 단말기와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기능과 연계된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상기 외부 단말기와 호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과 연계된 통화 애플리케이션, 외부 서버를 거쳐, 불특정 다수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SNS 애플리케이션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상기 통화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SNS 애플리케이션 등은 이동 단말기의 공장 출고 시, 이동 단말기의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거나,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받을 수 있다.
상기 외부 물품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외부 물품의 인지하기 위하여, 이미지 센서,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등 물체 인식과 관련된 센서를 활성화시키는 기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외부 물품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기능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의 제어부(180a)는 상기 결제 요청 정보를 전송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요청에 근거하여, 상기 결제 애플리케이션, 상기 외부 단말기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기능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외부 물품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를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요청은 터치, 버튼, 음성, 제스쳐 및 본체의 움직임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의 요청은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151a) 상에 출력 중인 상기 결제 애플리케이션과 연계된 아이콘에 대한 터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결제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아이콘에 대한 터치에 응답하여, 상기 결제 요청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의 제어부(180a)는 기 설정된 조건에 근거하여, 상기 결제 요청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의 제어부(180a)는 카메라를 통하여 수신된 영상에 바코드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바코드 정보를 외부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결제 요청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의 제어부(180a)는 위치 수신 모듈을 통하여 현재 위치를 판단하고, 현재 위치가 상점인 경우, 결제 요청 정보를 외부 단말기에 전송하기 위한 결제 요청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요청 기능이 실행되면,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의 제어부(180a)는 디스플레이부(151a) 상에 상기 결제 요청 기능을 나타내는 실행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요청 기능을 나타내는 실행화면은, 상기 결제 요청 정보 입력창 및 상기 결제 요청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외부 단말기의 식별 정보 입력창, 상기 결제 요청 정보를 편집하기 위한 그래픽 객체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결제 요청 정보 입력창은, 텍스트 및 이미지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의 첫번째 그림을 참조하면, 상기 결제 요청 정보 입력창은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영상의 프리뷰(preview) 이미지의 출력창(300)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a)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촬영하여, 결제 요청 정보로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a)는 상기 촬영된 영상에 대하여 기 설정된 방식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분석하고, 상기 이미지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품목에 관련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기 설정된 방식의 알고리즘은 종래의 이미지 분석 기법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결제 요청 정보 입력창은 메모리부에 기 저장된 품목 정보를 입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상기 결제 요청 정보의 입력창에 메모리부에 기 저장된 품목들의 식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요청 정보 입력창에는, 상기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품목을 나타내는 품목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의 첫번째 및 두번째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제 요청 정보 입력창에는 적어도 하나의 품목을 나타내는 품목 정보(310, 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요청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외부 단말기의 식별 정보 입력창은 외부 단말기의 전화번호 정보 등 외부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입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제 요청 정보를 편집하기 위한 그래픽 객체들은 결제 품목을 추가하는 기능과 연계된 그래픽 객체, 결제 품목을 삭제하는 기능과 연계된 그래픽 객체, 품목의 검색과 연계된 그래픽 객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제 요청 정보를 편집하기 위한 그래픽 객체는, 결제와 관련된 부수적인 다양한 기능들에 연계된 그래픽 객체들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제 요청 기능을 나타내는 실행화면은, 상기 외부 단말기와 정보를 송수신한 실행화면 또는 상기 외부 물품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을 나타내는 실행화면과 함께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a)는 메시지 기능의 실행 중, 결제 요청 기능이 실행되는 경우, 메시지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창의 일 영역에 상기 결제 요청 기능을 나타내는 실행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어부(180a)는 통화 기능의 실행 중 결제 요청 기능이 실행되는 경우, 통화 기능의 실행화면의 일 영역 상에 결제 기능의 실행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요청 정보는 결제 상점과 관련된 정보, 결제 금액 정보, 결제 요청자의 식별 정보, 결제 승인 단말기의 식별 정보 및 결제 요청 품목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결제 상점과 관련된 정보는 결제 상점의 식별 정보(예를 들어, 사업자등록번호, 상점 주소, 전화번호 정보 등), 결제 상점에서 판매되는 품목 정보, 결제 상점의 할인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결제 금액 정보는 결제 품목의 금액 정보, 결제 품목과 유사한 품목들의 금액 정보 등일 수 있다. 상기 결제 요청자의 식별 정보는 결제 요청자의 전화번호 정보, 이미지 정보, 지문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결제 승인 단말기의 식별 정보는, 전화번호 정보, 이미지 보, 아이디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결제 요청 품목 정보는 품목의 바코드 정보, 품목의 태그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제 요청 품목 정보는 카메라(121)를 통하여 수신된 품목에 대한 영상 정보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a)는 상기 품목에 대한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품목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80a)는 상기 품목에 대한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품목의 식별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a)는 품목의 영상에서, 바코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제 품목 정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품목들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의 두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제 품목 정보는 2개의 품목 정보(310, 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결제 승인 단말기는 결제 요청 정보의 전송 시,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되거나, 기 지정된 단말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의 사용자는, 상기 결제 요청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결제 승인 단말기의 식별 정보(예를 들어, 전화번호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의 제어부(180a)는 상기 결제 요청 정보를 수신할 결제 승인 단말기를 "엄마"의 단말기로 미리 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의 제어부(180a)는 결제 요청 정보를 자동으로 상기 "엄마"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상기 지정된 단말기를 다른 단말기로 변경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a)는 사용자의 제어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결제 요청 정보를 상기 결제 승인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제어명령은 터치, 음성, 제스쳐, 시선 감지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의 두번째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a)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a) 상에 출력된 결제 요청 정보 전송 기능을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에 대한 터치를 가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결제 요청 정보를 결제 승인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요청 정보의 전송 후, 본 발명에 따른 결제 요청 단말기는 상기 결제 요청 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갱신된 결제 요청 정보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S120).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는, 상기 결제 승인 단말기에 결제 요청 정보의 전송 후, 상기 결제 승인 단말기로부터 갱신된 결제 요청 정보가 수신할 수 있다. 즉, 상기 결제 요청 정보를 수신한 결제 승인 단말기는 상기 결제 요청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결제 요청 정보를 갱신하고, 상기 갱신된 결제 요청 정보를 결제 요청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요청 정보의 갱신은 상기 결제 요청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변경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결제 승인 단말기는, 결제 요청 정보에 포함된 결제 품목 정보를 변경하여, 결제 요청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의 제어부(180a)는 상기 결제 승인 단말기로부터 갱신된 결제 요청 정보를 수신한 경우, 갱신 전 결제 요청 정보 또는 새롭게 갱신된 결제 요청 정보를 상기 결제 승인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S130).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의 제어부(180a)는 결제 요청 정보의 전송 후, 갱신된 결제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갱신된 결제 요청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a)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a)는 사용자의 요청에 근거하여, 상기 갱신된 결제 요청 정보를 다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요청 정보가 다시 변경된 경우, 상기 제어부(180a)는 S110 단계를 다시 진행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요청 정보의 전송 또는 재전송 후,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의 제어부(180a)는 결제 승인 정보 또는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S140).
상기 결제 요청 정보의 변경이 완료되면,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의 제어부(180a)는 결제 승인 단말기로부터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승인 정보는 결제 승인 단말기가, 결제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가결제를 수행한 정보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제 승인 정보는 상기 결제 승인 단말기가 결제와 관련된 외부 서버를 통하여, 결제 요청 정보에 따른 결제를 수행한 뒤 생성되는 정보일 수 있다. 즉, 상기 결제 승인 정보는 결제 승인 단말기 상에서 결제의 수행을 위한 절차를 진행한 결과 정보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결제 카드 정보는 상기 결제 승인 단말기에서 결제 요청 정보에 따른 결제를 수행하지 않고, 결제 요청 단말기가 직접 결제를 수행하도록 설정된 결제 정보일 수 있다. 즉, 상기 결제 카드 정보는 아직 결제의 수행 전이므로, 결제 품목 등이 한정되지 않은 정보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결제 승인 단말기는 결제의 수행을 위한 절차를 진행하지 않고, 곧바로 결제 카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제 카드 정보는 일회성 정보로써, 결제가 수행되면 메모리(170) 상에서 삭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결제 카드 정보에 기초하여 무분별한 결제가 행하여 지지 않도록, 결제가 수행되면 사라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a)는 상기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수신되면, 상기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제를 수행할 수 있음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a)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의 세번째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제 승인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180a)는 요금 결제와 관련된 외부 물체에 결제 요청 단말기를 근접시켜, 결제를 수행하도록 상기 결제 승인 정보(330)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a)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요금 결제와 관련된 외부 물체는 요금 결제기, 카드 리더기, 포스기(POS) 등이 있을 수 있다.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의 제어부(180a)는 상기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무조건 수신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상기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수신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상기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80a)는 상기 결제 승인 단말기로부터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수신되면, 상기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수신 여부의 결정을 위한 화면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a)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수신 여부의 결정을 위한 화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결제 승인 정보의 수신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지 않는다고 결정한 경우, 상기 제어부(180a)는 상기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어느 품목에 대한 결제를 수행할 수 없다.
상기 제어부(180a)는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S150).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는 다양한 결제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는 NFC 결제 방식 및 MST 결제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a)는 결제를 수행하기 위하여, 복수의 결제 방식 중 어느 하나의 결제 방식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어느 하나의 결제 방식은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되거나, 기 설정된 조건에 근거하여 선택되거나, 결제 승인 정보에 근거하여 선택될 수 있다.
상기 결제 방식을 사용자가 선택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80a)는 디스플레이부(151a) 상에 상기 복수의 결제 방식 중 어느 하나의 결제 방식을 선택하기 위한 화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는 터치 입력, 음성 입력, 제스쳐 입력 등 다양한 입력 방식을 통하여, 어느 하나의 결제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기 설정된 조건에 근거하여 상기 결제 방식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은 결제를 요청한 가맹점과 관련된 조건, 위치 정보와 관련된 조건, 기 설정된 결제 우선 순위 조건, 품목과 관련된 조건, 결제 한도와 관련된 조건, 요금과 관련된 외부 물체와의 접촉 지점 조건 등 다양한 조건들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은 사용자에 의하여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이 결제 우선 순위 조건이고, 상기 결제 우선 순위가 우선, 제1결제 방식이 제1우선순위, 제2결제 방식이 제2우선순위인 경우, 상기 제어부(180a)는 우선 상기 제1결제 방식으로 결제가 수행되도록 상기 제1결제 방식을 우선 제공하고, 상기 제1결제 방식으로 결제를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제2결제 방식을 차순위로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이 결제 한도와 관련된 조건인 경우, 상기 제어부(180a)는 결제 금액이 기 설정된 금액 이상인 경우, 제1결제 방식으로 결제가 수행되도록 상기 제1결제 방식을 제공하고, 상기 결제 금액이 기 설정된 금액 미만인 경우, 제2결제 방식으로 결제가 수행되도록 상기 제2결제 방식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결제 방식이 결제 승인 정보 또는 결제 카드 정보에 의하여 선택되는 경우, 상기 결제 승인 정보 또는 결제 카드 정보에는 결제 방식과 관련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결제 승인 정보에 제1결제 방식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제어부(180a)는 상기 제1결제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어느 품목에 대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a)는 상기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근접한 거리 내에 위치한 요금과 관련된 외부물체에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a)는 결제 요청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복수의 결제 방식 중 어느 하나의 결제 방식으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b)는 NFC 결제 방식으로 결제를 수행하는 경우, NFC 결제 방식에 근거하여, 인접한 요금과 관련된 외부물체에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어부(180b)는 MST 결제 방식으로 결제를 수행하는 경우, MST 결제 방식에 근거하여, 인접한 요금 결제기에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a)는 추가적인 인증 정보의 수신 여부에 근거하여, 상기 요금 결제기에 신호의 전송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a)는 추가적인 인증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요금 결제기에 신호를 전송하고, 추가적인 인증 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요금 결제기에 신호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기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 요금 결제기는, 상기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기 저장된 정보를 비교하여, 결제를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요금 결제기는 기존에 존재하는 다양한 결제 방식을 통하여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요금 결제기는, 상기 결제 승인 정보가 기 저장된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결제를 승인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상기 요금 결제기는 상기 결제 승인 정보가 기 저장된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결제를 승인하지 않을 수 있다.
그 후, 상기 제어부(180a)는 결제의 승인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결제의 승인은 상기 요금 결제기가 상기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어느 품목에 대한 결제가 승인된 것을 의미하고, 상기 결제의 거절은 상기 요금 결제기가 상기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어느 품목에 대한 결제를 승인하지 않은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결제의 승인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180a)는 상기 요금 결제기에서 피드백 신호를 수신하거나, 결제와 관련된 외부 서버로부터 결제 완료와 관련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서버는, 카드 제조사의 서버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a)는 상기 피드백 신호 또는 결제 완료와 관련된 신호를 수신한 경우, 결제가 승인되었다고 판단하고, 상기 피드백 신호 또는 결제 완료와 관련된 신호가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수신되지 않은 경우, 결제가 거절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180a)는 상기 결제가 거절되었음을 나타내는 피드백 신호 또는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결제가 거절되었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 결제가 거절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어느 품목에 대한 결제가 거절된 경우, 상기 제어부(180a)는 상기 결제가 거절되었음을 알리는 결제 실패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a)는 상기 결제가 거절되었음을 나타내는 결제 거절 정보를 상기 결제 승인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승인 단말기의 제어부(180a)는 상기 결제 완료 정보 또는 결제 거절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수신된 어느 하나의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51b)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어부(180a)는 상기 결제 완료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에 상기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S160).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 결제 완료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를 메모리(170)에서 삭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의 네번째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결제가 완료되면, 결제 완료 정보와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부(151a)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a)는 상기 어느 품목에 대한 결제가 승인된 후, 상기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에 기초한 결제의 수행을 제한되도록, 상기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를 메모리(170)에서 삭제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3a의 네번째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a)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a) 상에 상기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삭제되었음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에 기초한 결제의 수행을 제한하는 것을 결제 승인 정보를 비활성화하는 것이라고 명명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승인 정보를 비활성화하는 것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른 명칭으로도 다양하게 명명될 수 있다.
상기 결제 승인 정보를 비활성화하는 것은 상기 결제 승인 정보에 기초하여 더 이상 결제가 수행되지 않도록 상기 결제 승인 정보를 삭제 또는 변경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승인 정보가 비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80a)는 상기 결제 승인 정보에 대하여 더 이상 접근할 수 없게 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결제 승인 정보를 활성화하는 것은, 상기 결제 승인 정보에 기초하여 결제가 수행될 수 있도록 상기 결제 승인 정보를 저장 또는 생성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a)는 상기 결제 승인 정보가 비활성화된 경우, 상기 결제 승인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51a) 상에서 더 이상 출력하지 않거나, 결제 승인 정보를 비활성화된 상태로 출력하거나, 결제 승인 정보를 결제 완료 정보로 전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a) 상기 결제 승인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51a) 상에서 사라지게 할 수 있다. 즉, 결제 요청 단말기의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a) 상에서 더 이상 결제 승인 정보를 볼 수 없으며, 나아가, 상기 결제 승인 정보에 기초하여 더 이상 결제를 수행할 수 없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a)는 상기 결제 승인 정보를 비활성화된 상태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a)는 상기 결제 승인 정보의 색을 회색으로 변경하여 출력하거나 상기 결제 승인 정보에 포함된 정보들을 출력되지 않도록 상기 결제 승인 정보를 변경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a)는 상기 결제 승인 정보를 결제 완료 정보로 전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80a)는 상기 결제 승인 정보에 대한 출력 요청에도 불구하고, 상기 결제 승인 정보 대신 결제 완료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결제 승인 정보가 비활성화된 후, 더 이상 상기 결제 승인 정보를 볼 수 없게 된다.
상기 결제 완료 정보는 상기 어느 품목 정보, 상기 어느 품목의 가격 정보, 결제 시간 정보, 결제 상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a)는 상기 결제 완료 정보를 상기 결제 승인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의 네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a)는 결제 완료 정보(340)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80a)는 상기 결제의 수행 후,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와 독립적으로, 결제 승인 정보에 포함된 추가 금액 정보를 메모리(170)에 더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80a)는 추후, 추가 금액 정보에 기초하여,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a)는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가 메모리(170) 상에 삭제되어도, 결제 승인 정보에 포함된 추가 금액 정보를 메모리(170) 상에 저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결제 요청 정보를 수신한 결제 승인 단말기가 결제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결제 승인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도면과 함께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b는 상기 결제 요청 정보를 수신한 결제 승인 단말기가 결제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결제 승인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상기 결제 승인 단말기의 제어부(180b)는 상기 어느 품목에 대한 결제 요청 정보를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S210).
상기 결제 요청 정보가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면, 상기 결제 승인 단말기의 제어부(180b)는 상기 결제 요청 정보가 전송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알림 정보는 시각적, 청각적 및 촉각적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 결제 요청 정보가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b)의 일 영역에 알림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b)의 일 영역은 이동 단말기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상태 표시 영역의 일부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로부터 결제 요청 정보가 전송되었음을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어부(180b)는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광출력부(예를 들어, 램프부)를 통하여 광을 출력하여 알림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의 설명한 알림 방식의 조합을 통하여, 알림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 결제 요청 정보가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결제 요청 정보의 수신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 결제 요청 정보의 전송이 감지되면, 상기 결제 요청 정보의 수신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화면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b)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상기 결제 요청 정보의 수신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화면 정보에 대하여 터치를 가함으로써, 상기 결제 요청 정보의 수신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 결제 요청 정보의 수신을 거절하거나, 상기 결제 요청 정보의 수신을 보류하거나, 상기 결제 요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요청 정보의 수신이 거절된 경우,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에 상기 결제 요청 정보의 수신이 거절되었음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의 사용자는 결제 요청이 거절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요청 정보의 수신이 보류된 경우,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 결제 요청 정보의 수신 보류 상태를 나타내는 알림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b)의 일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에 아직 결제 요청 정보가 수신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의 사용자는 결제 승인 단말기에서 아직 결제 요청 정보를 수신하지 않았음을 인지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요청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결제 승인 단말기의 제어부(180b)는 상기 결제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결제 요청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b)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b의 첫번째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b) 상에 결제 요청 품목 정보, 결제 금액 정보 및 결제 요청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 결제 요청 정보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의 사용자는, 상기 결제 승인 단말기의 사용자가 결제 요청 정보를 인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결제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결제 승인 단말기의 제어부(180b)는 상기 결제 요청 정보를 변경하는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S220).
상기 제어부(180b)는 결제 승인을 위하여, 상기 결제 요청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품목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품목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 결제 요청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품목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품목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결제를 승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 결제 요청 정보에 포함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새로운 품목을 결제 요청 정보에 추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 결제 요청 정보에 포함된 상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결제 요청 정보에 적어도 하나의 새로운 품목을 추가할 수 있다.
상기 상점 정보는 상기 상점에서 판매되는 품목 정보, 상점의 할인 정보, 상점과 관련된 URL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 상점 정보에 포함된 URL 정보에 기초하여,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상점에서 판매되는 품목 정보들을 다운로드(download)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로부터 상기 상점에서 판매되는 품목 정보들을 직접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 상점에서 판매되는 품목 정보 중 상기 결제 요청 정보에 포함된 품목 이외에 적어도 하나의 새로운 품목을 결제 요청 정보에 추가한 경우,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새로운 품목이 추가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의 사용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새로운 품목이 결제 요청 정보에 추가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 결제 요청 정보에 포함된 품목 정보 이외에도, 나머지 정보들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b)는 결제 상점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요청 정보가 변경된 경우, 상기 결제 승인 단말기의 제어부(180b)는 상기 변경된 결제 요청 정보를 결제 요청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S231).
상기 제어부(180b)는 결제 요청 정보가 변경된 경우, 변경된 결제 요청 정보를 결제 요청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는 상기 변경된 결제 요청 정보를 나타내는 화면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51a)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는 결제 승인 단말기에서 추가 및 삭제한 품목들을 상기 결제 승인 단말기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다시 추가 및 삭제(또는 갱신)할 수 있다. 즉,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 및 상기 결제 승인 단말기는 결제 기능의 수행 시, 실시간으로 결제 요청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은 결제 요청 단말기와 결제 승인 단말기 사이의 실시간으로 품목들을 협상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가 상기 갱신된 결제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다시 결제 요청 정보를 전송한 경우, 상기 결제 승인 단말기는, 상기 결제 요청 정보를 다시 수신하는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S232). 이 경우, 상기 결제 승인 단말기의 상기 제어부(180b)는 다시 S220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요청 정보의 변경이 완료되면, 본 발명에 따른 결제 승인 단말기의 제어부(180b)는 상기 변경된 결제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결제 요청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진행 수 있다(S240).
본 발명에 따른 결제 승인 단말기의 제어부(180b)는 결제 요청 정보를 변경하지 않거나, 결제 요청 정보를 변경한 후, 결제 요청 단말기로부터 추가적인 결제 요청 정보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결제 요청 정보의 변경을 완료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 결제 요청 정보에 포함될 품목들의 변경이 완료되면, 결제의 승인을 위한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 수 있다.
상기 결제 승인 정보는 상기 결제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결제 승인 단말기에서, 결제를 수행한 결과 정보일 수 있다. 즉, 상기 결제 승인 정보는 결제 승인 단말기에서, 결제 요청 정보에 포함된 품목들에 대한 가결제를 수행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결제는 결제 요청 정보에 포함된 품목들에 대한 결제가 수행되었지만, 아직 품목들을 인도받기 전의 결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카드 정보는 결제 요청 단말기에서 직접 결제를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결제 카드 정보는 결제 승인 단말기에서 결제를 수행하지 않고, 결제 요청 단말기에서 결제가 수행되도록, 결제에 필요한 정보가 포함된 정보일 수 있다.
상기 결제 카드 정보는 결제를 위한 카드 정보, 보안 정보, 식별 정보, 최대 결제 금액 정보, 최소 결제 금액 정보, 결제 상점 정보,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 등 결제와 관련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카드 정보는 카드 마그네틱 정보, 카드 고유 번호 정보, 카드 유효 날짜 정보, 카드 보안 정보, 카드 제조사 정보, 사용 가능한 국가 정보, 카드 이름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카드 마그네틱 정보는 요금 결제와 관련된 외부 물체에 마그네틱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정보일 수 상기 결제 승인 정보는 결제 요청 단말기에서 결제를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안 정보는 카드의 비밀번호 정보, 보안칩(Secure element) 정보 및 CVC(card validation code) 정보, 카드 소유자의 생체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식별 정보는 결제 승인 단말기의 고유의 정보로써, 결제 승인 단말기 사용자의 지문 정보, 결제 승인 단말기의 전화번호 정보, 결제 승인 단말기의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결제 승인 단말기의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결제 승인 단말기의 Secure Element(SE)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최대 결제 금액 정보는, 결제 가능한 최대 금액 정보이고, 상기 최소 결제 금액 정보는 결제 가능한 최소 금액 정보일 수 있다. 상기 결제 금액 정보는 결제 요청 물품에 대한 금액 정보일 수 있다. 상기 결제 상점 정보는, 결제가 예정된 상점의 식별 정보로써, 예를 들어, 가맹점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위치 정보는 결제 가능한 위치를 나타낸 정보로써, 결제 가능한 상점의 위치 정보, 결제 가능한 위치의 반경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a)는 상기 결제 가능한 위치를 벗어난 경우, 상기 결제 승인 정보에 기초하여, 결제를 수행하지 못할 수 있다.
상기 시간 정보는 결제 가능한 시간을 나타낸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a)는 상기 시간 정보가 오후 6시부터 오후 8시 사이인 경우, 오후 6시부터 오후 8시 사이에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a)는 상기 오후 6시부터 오후 8시가 아닌 시간에 결제를 시도하는 경우, 결제를 수행하지 못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카드 정보의 생성은, 이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또한, 상기 결제 카드 정보는 결제 카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제가 수행되면, 메모리(170)에서 삭제될 수 있다. 즉, 상기 결제 카드 정보는 일회성 결제 정보로써, 결제가 승인되었다고 판단되면, 메모리(170)에서 삭제될 수 있다. 상기 결제 카드 정보가 삭제되면, 상기 제어부(180a)는 더 이상 상기 결제 카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제를 수행할 수 없다.
상기 제어부(180b)는 사용자의 요청에 근거하여, 상기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의 설정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b의 첫번째 및 두번째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b)는 기 설정된 방향의 드래그 입력이 가해지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의 설정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의 설정화면은 결제 승인 정보 설정화면 및 결제 카드 정보 설정화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결제 승인 정보 설정화면은 결제 수단(예를 들어, 카드 결제, 실시간 이체, 모바일 결제, 무통장 입금 결제 등), 결제 금액, 결제 품목, 식별 정보 등을 설정하는 화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카드 정보 설정화면은 결제 요청자 정보, 카드 정보, 결제 금액 정보, 결제 상점 정보, 위치 정보, 시간 정보, 인증 정보 등을 설정하는 화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a의 첫번째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b)는 카드 결제를 수행하기 위한 결제 카드 정보의 설정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카드 정보는 키보드(이때, 키보드는 물리적인 키보드 또는 터치 키보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를 통하여 문자를 입력하거나, 카메라를 통하여 수신된 영상의 영상 분석 정보를 이용하여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b)는 카메라를 통하여, 카드 영상이 수신되면, 상기 카드 영상을 분석하여, 카드 고유 번호 정보, 유효 날짜 정보 및 카드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고, 이를 카드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인증 정보는 결제 수행에 있어서, 보안을 위한 보안 정보일 수 있다. 상기 보안 정보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 암호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생체 정보는 지문 정보, 심박수 정보, 홍채 정보, 얼굴 인식 정보 등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암호 정보는 비밀번호 정보, 패턴 정보, 노크 코드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 인증 정보를 기 저장된 인증 정보와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인증 정보가 기 저장된 인증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결제 승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b)는 입력된 지문 정보를 기 저장된 지문 정보와 비교하고, 상기 입력된 지문 정보가 기 저장된 지문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결제 카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만일,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인증 정보가 기 저장된 인증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 결제 카드 정보를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 인증 정보가 기 저장된 인증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다는 알림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b)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를 통하여 결제 금액 정보, 결제 상점 정보, 위치 정보, 시간 정보 등에 적합한 정보들을 각각 입력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생성되면, 상기 제어부(180b)는 사용자의 요청에 근거하여, 상기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b의 두번째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 결제 승인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151b) 상에 표시된 결제 승인 기능과 연계된 그래픽 객체에 대한 터치에 응답하여, 상기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도 3b의 세번째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 결제 승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80b)는 결제가 승인된 품목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 결제 완료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51b)에 출력할 수 있다.
또는, 도 3b의 네번째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 결제 카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 결제 카드 정보가 전송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b)상에 출력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결제 요청 단말기 및 결제 승인 단말기에 있어서, 결제를 수행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은 결제 요청 단말기 자체에서 결제를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제 요청 단말기가 결제 승인 단말기를 이용하여, 대리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결제 승인 단말기에서, 추가적인 품목의 결제를 요청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은 단순히 결제 요청을 승인할 뿐만 아니라, 결제 승인 단말기에서 요청한 품목도 함께 대리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결제 요청 단말기에서 결제 요청 기능을 실행하는 다양한 방법을 설명한다. 도 4a, 도 4b, 도 4c, 도 4d, 도 4e 및 도 4f는 결제 요청 단말기에서 결제 요청 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들이다.
결제 요청 단말기는 결제 승인 단말기에서 결제를 요청하기 위하여, 결제 요청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요청 기능은 결제 애플리케이션, 외부 단말기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기능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및 외부 물품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이동 단말기에서 실행 가능한 응용 프로그램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요청 기능이 상기 결제 애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실행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80a)는 사용자의 요청에 근거하여, 결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요청은 터치 방식, 음성 입력 방식, 제스쳐 방식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하여 인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e의 첫번째 및 두번째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a)는 음성 명령에 기초하여, 결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외부 단말기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기능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은 외부 단말기와 호신호를 전송하는 통화 애플리케이션, 외부 단말기와 영상 및 호신호를 함께 전송하는 영상 통화 애플리케이션, 외부 단말기와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등이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부 단말기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기능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은, 결제 요청 기능을 더 실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외부 단말기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기능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은 결제 요청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의 첫번째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화 기능의 실행화면 상에는, 결제 요청 기능을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4b의 첫번째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지 기능의 실행화면 상에는, 결제와 관련된 그래픽 객체(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4c의 첫번째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통화 기능의 실행 중, 상기 제어부(180a)는 이동 단말기 본체의 상태가 기 설정된 상태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결제 요청 기능을 상기 영상통화 기능과 함께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a)는 영상 통화 기능의 실행 중, 상기 이동 단말기의 본체가 중력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을 갖는 기준선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각도 이상 회전하는 경우, 결제 요청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a)는 상기 기준선을 기준으로 90도 회전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결제 요청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a)는 이동 단말기의 후면에 구비된 카메라(121b)로부터 결제 요청 품목에 대한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전면에 구비된 카메라(121a)로부터 사용자 얼굴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a) 상에는 상기 결제 요청 품목에 대한 영상 및 사용자 얼굴 영상이 함께 출력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4d의 첫번째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통화 기능의 실행 중, 상기 제어부(180a)는 사용자 입력부를 통하여 사용자의 결제 요청 기능이 수신되면, 결제 요청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전면, 후면 및 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a)는 상기 결제 요청 기능이 실행되면, 상기 외부 단말기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기능의 실행화면 상의 일 영역에 상기 결제 요청 기능과 관련된 실행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 및 도 4b의 두번째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결제 요청 기능을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400)에 대한 터치에 근거하여, 상기 외부 단말기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기능의 실행화면의 일 영역에 결제 요청 기능의 실행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4c 및 도 4d에 두번째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제 요청 기능이 실행되면, 상기 제어부(180a)는 영상 통화로 인하여 디스플레이부(151a)에 출력 중인 상대방 영상 대신, 품목과 관련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요청 기능의 실행화면 상에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영상의 프리뷰 영상(410), 전방 및 후방 카메라 중 어느 하나의 카메라로부터 영상을 수신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기능과 연계된 그래픽 객체(420a), 결제 품목의 삭제 기능과 연계된 그래픽 객체(420b) 및 결제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과 연계된 그래픽 객체(420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요청 기능이 상기 외부 단말기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기능에 의하여 실행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80a)는 상기 외부 단말기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기능 상에 결제 요청 기능을 연계시켜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80a)는 외부 단말기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기능의 실행 중, 결제 요청 기능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외부 단말기를 결제 승인 단말기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a)는 상기 정보를 송수신하는 대상인 외부 단말기에 결제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b의 세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a)는 "엄마" 단말기와 메시지의 전송 중, 상기 결제 요청 기능을 실행하는 경우, 상기 메시지 전송의 대상인 "엄마" 단말기에 결제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80a)는 상기 외부 단말기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기능에서, 상기 외부 기기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결제 요청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제 요청 기능이 외부 물품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실행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80a)는 상기 외부 물품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제 요청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외부 물품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은 카메라(121)를 통하여 외부 물체에 대한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f의 첫번째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a)는 상기 카메라(121)를 통하여 외부 물체에 대한 영상을 수신하는 기능의 실행화면 상에, 결제 요청 기능과 연계된 그래픽 객체(440)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도 4f의 첫번째 및 두번째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a)는 상기 결제 요청 기능과 연계된 그래픽 객체(440)가 선택되면, 상기 카메라(121)를 통하여 촬영된 외부 물체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결제 요청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결제 요청 기능을 실행하는 다양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결제 요청 기능을 독자적으로 실행하거나, 다른 애플리케이션의 기능들과 연동하여 실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결제 요청 단말기에서, 결제 요청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5a, 도 5b 및 도 5c는 결제 요청 단말기에서, 결제 요청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들이다.
결제 요청 단말기의 제어부(180a)는 결제 요청 기능이 실행되면, 디스플레이부(151a)의 일 영역 상에 결제 요청 기능의 실행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도 5a의 첫번째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결제 요청 기능의 실행화면 상에는, 결제 요청 품목을 입력하는 화면 정보,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결제 요청 품목을 나타내는 품목 정보, 결제 요청 품목의 추가 기능과 관련된 그래픽 객체(510) 및 결제 요청 품목의 삭제와 관련된 그래픽 객체(520)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결제 요청 정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결제 상점과 관련된 정보, 결제 금액 정보, 결제 요청자의 식별 정보 및 결제 요청 품목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결제 요청 기능이 실행되면, 상기 제어부(180a)는 사용자의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결제 요청 품목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a의 첫번째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a)는 카메라를 통하여, 결제 요청 품목에 대응되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a)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결제 요청 품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a)는 결제 요청 품목의 추가 기능과 관련된 그래픽 객체(510)를 이용하거나, 디스플레이부(151a)에 가해지는 터치에 근거하여, 상기 결제 요청 품목을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a의 두번째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a)는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가 감지되면, 추가적인 결제 요청 품목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카메라(121)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때, 도 5a의 세번째 및 네번째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a)는 상기 카메라(121)를 통하여 추가적인 결제 요청 품목에 대한 영상 정보를 촬영하고, 이를 결제 요청 품목 정보에 추가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어부(180a)는 결제 요청 품목의 추가 기능과 관련된 그래픽 객체(510)가 선택되면, 결제 요청 품목을 추가하기 위하여, 카메라(121)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a)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결제 요청 품목 정보가 입력된 후,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결제 요청 품목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결제 요청 품목 정보에서 제외(또는 삭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a)는 상기 결제 요청 품목의 삭제를 위한 그래픽 객체를 이용하여, 결제 요청 품목을 삭제할 수도 있고, 상기 결제 요청 품목에 대한 터치에 근거하여, 결제 요청 품목을 삭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삭제를 위한 그래픽 객체를 이용하여, 결제 요청 품목을 삭제하는 경우, 도 5b의 첫번째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a)는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결제 요청 품목(540, 550, 560, 570) 중 적어도 하나의 품목(550, 570)을 선택하기 위하여,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결제 요청 품목(540, 550, 560, 570)이 출력된 영역과 인접한 영역에 각각 선택박스들(530a, 530b, 530c, 530d)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a)는 상기 선택박스들(530a, 530b, 530c, 530d)에 대한 터치에 근거하여, 적어도 하나의 품목(550, 570)을 선택할 수 있다.
도 5a의 첫번째 및 두번째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a)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품목(550, 570)이 선택된 상태에서, 결제 요청 품목의 삭제와 관련된 그래픽 객체(520)에 대한 터치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품목(550, 570)을 삭제할 수 있다. 또한, 도 5b의 두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품목(550, 570)이 삭제되면, 상기 제어부(180a)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품목(550, 570)이 삭제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51a) 상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터치를 이용하여 결제 요청 품목을 삭제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80a)는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결제 요청 품목 정보에 가해지는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에 근거하여, 적어도 하나의 품목을 삭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c의 첫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a)는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결제 요청 품목 정보(620, 540, 550) 중 어느 하나의 결제 요청 품목(540)에 중력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드래그 입력이 가해지면, 상기 드래그 입력이 가해지면, 상기 어느 하나의 결제 요청 품목을 삭제할 수 잇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a)는 상기 드래그 입력이 가해지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결제 요청 품목(540)을 곧바로 삭제하거나, 상기 어느 하나의 결제 요청 품목(540)의 삭제 여부를 사용자에게 요청하는 알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c의 두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a)는 상기 드래그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51a) 상에 상기 어느 하나의 품목(540)의 삭제 여부를 사용자에게 요청하는 알림 정보(600)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a)는 상기 어느 하나의 품목(540)이 삭제된 경우, 상기 어느 하나의 품목(540)이 삭제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610)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a) 상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도 5c의 네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느 하나의 품목(540)이 삭제된 후, 상기 제어부(180a)는 상기 삭제된 어느 하나의 품목(540)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51a) 상에 더 이상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결제 요청 품목 이외에 결제 상점과 관련된 정보, 결제 금액 정보, 결제 요청자의 식별 정보, 결제 승인 단말기의 식별 정보 및 결제 요청 품목 정보를 결제 요청 품목과 유사한 방식으로 삭제, 변경 또는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a)는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결제 승인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추가하거나, 삭제 및 변경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결제 요청 단말기의 사용자는 결제 요청 정보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결제 요청 단말기에서 결제 요청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로부터 결제 요청 정보를 수신한 결제 승인 단말기에서 결제 승인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6a, 도 6b, 도 7a, 도 7b, 도 8a, 도 8b, 도 9a, 도 9b, 도 10a, 도 10b 및 도 10c는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로부터 결제 요청 정보를 수신한 결제 승인 단말기에서 결제 승인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들이다.
결제 승인 단말기는 결제 요청 단말기로부터 결제 요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승인 단말기는 결제 요청 단말기로부터 결제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결제 요청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51b)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승인 단말기의 제어부(180b)는 상기 결제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결제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결제 승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결제 승인 정보는 결제를 위한 카드 정보, 보안 정보, 식별 정보, 최대 결제 금액 정보, 최소 결제 금액 정보, 결제 금액 정보, 결제 상점 정보, 위치 정보, 시간 정보, 결제 횟수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b)는 결제 요청 정보에 포함된 결제 요청 품목 정보를 삭제하거나, 새로운 품목 정보를 추가하여, 결제 승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우선,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 결제 요청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결제 요청 품목 중 적어도 하나의 품목을 결제 요청 품목 정보에서 삭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의 첫번째 및 두번째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b) 상에 출력된 품목 삭제를 위한 그래픽 객체(520)에 대한 터치가 가해지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결제 요청 품목 중 적어도 하나를 삭제하기 위한 선택 박스(530a, 530b, 530c, 530d)를 상기 복수의 결제 요청 품목 각각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도 6a의 두번째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 선택박스(530a, 530b, 530c, 530d)에 의하여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품목(550, 570)을 결제 요청 품목 정보에서 삭제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6a의 세번째 그림에 도시된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 삭제된 적어도 하나의 품목(550, 570)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51b) 상에서 더 이상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 삭제된 적어도 하나의 품목(550, 570)을 삭제 이미지로 전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삭제 이미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품목(550, 570)이 상기 결제 요청 품목 정보에서 삭제되었음을 나타내는 이미지로, 예를 들어, X 표시 이미지이거나, 검은색 박스 이미지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품목(550, 570)이 결제 요청품목 정보에서 삭제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품목(550, 570)이 결제 요청 품목 정보에서 삭제되었음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의 제어부(180a)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품목(550, 570)이 삭제되었음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알림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51a) 상에 상기 삭제된 적어도 하나의 품목(550, 570)을 나머지 품목들과 시각적으로 구별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b의 첫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a)는 결제 승인 단말기에 결제 요청 정보의 전송 후, 상기 결제 승인 단말기로부터 결제 승인 정보의 수신 전, 복수의 결제 요청 품목(540, 550, 560, 570)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51a)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도 6b의 두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a)는 상기 결제 승인 단말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품목(550, 570)이 삭제되었음을 알리는 알림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알림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품목(550, 570)을 명암을 변경하여, 나머지 품목(540, 580)과 시각적으로 구별되도록 시각적 외관을 변경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제 승인 단말기의 제어부(180b)는 상기 결제 요청 정보에 포함된 결제 요청 품목 정보 이외에 적어도 하나의 새로운 품목을 추가하여 결제 승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요청 정보 상에 결제 상점과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새로운 품목을 추가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상점과 관련된 정보는 결제 상점의 식별 정보(예를 들어, 사업자등록번호, 상점 주소, 전화번호 정보 등), 결제 상점에서 판매되는 품목 정보, 결제 상점의 할인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제 상점과 관련된 정보는 상기 결제 상점의 주변 상점 정보 및 주변 상점에서 판매되는 품목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 결제 상점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결제 상점에서 판매되는 품목 정보를 제공하는 웹사이트에 접속하거나, 상기 결제 상점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결제 상점에서 판매되는 품목 리스트를 다운로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51b)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로부터 상기 결제 상점에서 판매되는 품목 정보를 직접 수신하여, 이를 디스플레이부(151b)에 출력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 결제 상점에서 판매되는 품목 중 상기 결제 요청 정보에 포함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새로운 품목을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a의 첫번째 및 두번째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b)는 품목 추가 기능을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510)에 대하여 터치가 가해지는 것에 응답하여, 결제 상점에서 판매되는 품목들의 품목 리스트(590)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품목 리스트(590)에는 상기 결제 상점에서 판매되는 복수의 품목들 및 각 품목들의 가격 정보 항목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 품목 리스트(590)에 포함된 복수의 품목들 중 적어도 하나의 품목이 선택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품목을 상기 결제 요청 품목 정보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품목에 결제 요청품목 정보에 포함된 경우, 도 7a의 세번째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b) 상에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품목(700, 710)을 기존의 복수의 품목(540, 550, 560, 570)과 함께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품목(700, 710)이 결제 요청 품목 정보에 추가된 경우, 추가된 품목 정보를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의 제어부(180a)는 상기 추가된 품목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a) 상에 상기 품목이 추가되기 이전의 결제 요청 품목과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b의 첫번째 및 두번째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a)는 상기 결제 승인 단말기로부터 추가된 품목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추가된 품목 정보에 기초하여, 추가된 품목 정보(700, 710)를 상기 결제 요청 품목과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부(151a)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a)는 상기 추가된 품목 정보(700. 710)를 상기 결제 요청 품목과 시각적으로 구별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a)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a)는 상기 추가된 품목 정보(700, 710)의 주변 영역에 상기 결제 승인 단말기에서 추가된 품목임을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 결제 요청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결제 요청 품목 중 적어도 하나의 품목을 새로운 품목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 결제 요청 정보에 포함된 결제 상점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품목을 결제 상점에서 판매되는 새로운 품목으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a의 첫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제 요청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결제 요청 품목(540, 550, 560, 570)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b) 상에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 복수의 결제 요청 품목(540, 550, 560, 570) 중 어느 하나의 품목(550)에 대하여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가 가해지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품목(550)을 새로운 품목으로 변경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는 숏터치, 롱터치, 멀티 터치 등 다양한 터치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a의 두번째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 어느 하나의 품목(550)에 대하여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가 가해지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b) 상에 품목 리스트가 출력될 수 있다. 상기 품목 리스트는 결제 상점에서 판매되는 품목이거나, 상기 결제 상점에서 판매되는 품목 중 유사 품목군에 포함된 품목일 수 있다. 상기 유사 품목군은 품목의 속성(예를 들어, 품목의 제품군, 품목의 종류 등)에 따라 미리 분류된 품목군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품목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품목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 품목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품목을 상기 어느 하나의 품목(550)을 대신하여, 결제 요청 품목 정보에 추가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 어느 하나의 품목(550)을 상기 결제 요청 품목 정보에서 삭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품목을 상기 결제 요청 품목 정보에 추가할 수 있다. 이때, 도 8a의 세번째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b) 상에 상기 어느 하나의 품목(550)이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품목(800)으로 변경되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 어느 하나의 품목(550)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품목(800)으로 변경한 경우,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에 상기 어느 하나의 품목(550)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품목(800)으로 변경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의 제어부(180a)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품목(800)으로 변경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알림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a)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b의 첫번째 및 두번째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a)는 "감자튀김" 품목(550)이 "고구마 튀김" 품목(800)으로 변경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a) 상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도 8b의 세번째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a)는 상기 변경된 적어도 하나의 품목(800)을 상기 변경 전 결제 요청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품목(540, 560, 570)과 시각적으로 구별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a)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품목(800)과 인접한 영역 상에 변경된 품목임을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를 더 출력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결제 요청 단말기로부터 결제 요청 정보를 수신한 결제 승인 단말기에서, 결제 승인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를 통하여, 결제 승인 단말기는 단순히 결제 요청에 대한 승인을 하는 것이 아니라, 결제 요청 품목 등 결제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들을 변경하여 결제를 승인할 수 있다. 이에, 결제 승인 단말기의 사용자는 원격지에서 자신이 원하는 상품을 편리하게 결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제 승인 단말기의 제어부(180b)는 결제 수단 정보 및 결제 보안 정보를 설정하여 결제 승인 정보를 생성할수 있다.
상기 결제 수단은 카드 결제, 실시간 이체, 모바일 결제, 무통장 입금 결제 등 다양한 결제 수단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 복수의 결제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결제 승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수단은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결제 승인 정보와 관련된 화면 정보는 결제 수단 정보에 기초하여, 서로 다른 방식으로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결제 수단이 카드 결제인 경우, 상기 결제 승인 정보와 관련된 화면 정보는 카드 형태의 그래픽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결제 수단이 실시간 이체인 경우, 상기 결제 승인 정보와 관련된 화면 정보는 통장 형태의 그래픽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결제 수단이 카드 결제로 설정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시간 이체, 모바일 결제 및 무통장 입금 결제 등 다양한 결제 수단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b)는 결제 요청 품목의 설정이 완료되면, 기 설정된 보안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결제 승인 정보와 관련된 화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80b)는 결제를 위하여, 보안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상기 결제를 위한 화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디스플레이부(151b) 상에 결제 요청 품목이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b)의 일 영역에 지문 정보를 인식하라는 알림 정보를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b)의 일 영역 상에 지문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결제를 위한 화면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b)는 결제 요청 품목의 설정이 완료되면, 보안 정보의 수신 여부에 관계 없이,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 또는 사용자 입력부를 통하여 사용자 입력이 가해지는 것에 응답하여, 결제 승인 정보와 관련된 화면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b)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는 디스플레이부(151b)의 전면을 기준으로, 아래에서 위를 향하는 방향을 갖는 드래그 입력 또는 플리킹(flicking) 입력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상기 결제 승인 단말기 본체의 전면, 측면 및 후면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 입력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터치 입력, 지문 정보 입력 및 버튼 입력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a의 첫번째 및 두번째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a)에 상기 결제 요청 정보가 출력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가 가해지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51a) 상에 카드 형태의 그래픽 객체(900)를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9b의 첫번째 및 두번째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a)에 상기 결제 요청 정보가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결제 승인 단말기의 본체의 후면에 배치된 사용자 입력부에 가해지는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51a) 상에 카드 형태의 그래픽 객체(900)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승인을 위한 화면 정보는 결제를 수행 시, 결제 보안과 관련된 보안 정보를 수신하는 화면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안 정보는 지문 정보, 심박수 정보, 홍채 정보, 얼굴 인식 정보, 맥박 정보, 패턴 정보, 사인(sign) 정보, 비밀번호 정보 등 사용자의 생체 정보이거나, 사용자에 의하여 기 설정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a 및 도 9b의 두번째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b) 상에는 결제 승인 정보와 관련된 화면 정보(900) 및 보안 정보를 수신하는 화면 정보(910)를 더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 보안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보안 정보가 기 저장된 보안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결제 승인 정보의 생성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 지문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지문 정보를 기 저장된 지문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 수신된 지문 정보가 기 저장된 지문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결제 승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 생성된 결제 승인 정보를 결제 요청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 지문 정보가 기 저장된 지문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결제 승인 정보를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 보안 정보가 기 저장된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결제 승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 결제 보안 정보와 기 저장된 보안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결제 승인 정보를 결제 요청 단말기에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 보안 정보가 기 저장된 보안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결제 승인 정보를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보안 정보가 기 저장된 보안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결제 승인 정보를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에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는 결제 승인 정보의 수신 여부에 따라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 결제 승인을 위한 화면 정보를 결제 승인과 관련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서로 다른 방식으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승인과 관련된 상태 정보는 보안 정보의 입력 전인 제1상태, 보안 정보가 성공적으로 입력된 제2상태, 보안 정보가 잘못 입력된 제3상태, 결제가 승인된 상태인 제4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안 정보가 성공적으로 입력된 제2상태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보안 정보가 기 저장된 보안 정보와 일치하여 결제 승인이 가능한 상태이고, 상기 보안 정보가 잘못 입력된 제3상태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보안 정보가 기 저장된 보안 정보와 일치하지 않아 결제 승인이 가능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9a의 두번째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 결제 승인과 관련된 상태 정보가 상기 보안 정보의 입력 전인 제1상태인 경우, 상기 결제 승인과 관련된 화면 정보 상에 보안 정보를 입력하라는 알림 정보가 포함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b)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알림 정보는 문자 정보일 수도 있고, 결제를 수행할 수 없음을 나타내는 카드 형태의 그래픽 객체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결제를 수행할 수 없음을 나타내는 카드 형태의 그래픽 객체는 카드 정보가 제한적으로 표시된 그래픽 객체이거나, 해칭(hatching)을 갖는 카드 형태의 그래픽 객체일 수 있다.
또한, 도 9a의 세번째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제 승인과 관련된 상태 정보가 상기 보안 정보가 성공적으로 입력된 제2상태인 경우,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 보안 정보가 성공적으로 입력되어 결제 승인이 가능한 상태임을 나타내는 카드 형태의 그래픽 객체(900)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b)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결제 승인이 가능한 상태임을 나타내는 카드 형태의 그래픽 객체(900)는 카드 정보가 전부 표시된 그래픽 객체이거나, 보안 정보가 입력되었음을 알리는 그래픽 객체일 수 있다.
또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결제 승인과 관련된 상태 정보가 상기 보안 정보가 잘못 입력된 제3상태인 경우,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 보안 정보가 잘못 입력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를 포함한 카드 형태의 그래픽 객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b) 상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도 3b의 세번째 그림을 참조하면, 상기 결제 승인과 관련된 상태 정보가 결제가 승인된 상태인 제4상태인 경우,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 카드 형태의 그래픽 객체를 결제 완료 정보(360)로 전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51b) 상에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설명에서는, 결제 승인 단말기에서 카드 형태의 그래픽 객체가 결제 승인과 관련된 상태 정보에 따라 변경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결제 요청 단말기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 결제 수단이 복수인 경우, 상기 복수의 결제 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결제 수단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a의 첫번째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b) 상에 제1결제수단(900a)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도 10a의 두번째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b)는 기 설정된 방향을 갖는 드래그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제1결제수단(900a)과 다른 제2결제수단(900b)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부(151a)의 일 영역 상에는, 복수의 결제 수단을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들(900b, 920b)이 더 출력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결제 수단을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들(900b, 920b)은 현재 디스플레이부(151b)에 출력된 결제 수단과 연동되어, 상태 표시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a의 첫번째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제수단(900a)가 표시되는 경우, 상기 제1결제수단(900a)에 연동된 제1그래픽 객체(900b)의 색이 변경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10b의 두번째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b) 상에 제1결제수단(900a)에서 제2결제수단(920a)으로 변경되어 표시되는 경우, 상기 제1그래픽 객체(900b)의 색이 다시 변경되고, 상기 제2결제수단(920a)에 연동된 제2그래픽 객체(920b)의 색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b)는 복수의 결제 수단을 나타내는 항목을 포함하는 결제 수단 리스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b의 첫번째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b)는 현재 결제 수단으로 설정된 어느 하나의 카드를 표시하는 제1영역 및 복수의 카드를 나타내는 항목을 포함한 결제 수단 리스트를 표시하는 제2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 어느 하나의 카드가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결제 수단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카드 중 다른 하나의 카드에 대한 터치가 가해지는 것에 근거하여, 결제 수단을 다른 상기 어느 하나의 카드에서 다른 하나의 카드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b의 첫번째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b)는 "생활비 카드"가 선택된 상태에서, "점심 카드"에 대한 터치가 가해지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점심 카드"를 결제 수단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도 10b의 두번째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b)의 제1영역 상에는, "점심 카드"가 표시되고, 상기 제2영역의 일부에는 "생활비 카드"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 복수의 결제 수단 중 적어도 두 개를 동시에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 결제 요청 정보의 총 결제 금액의 적어도 일부를 제1결제 수단을 통하여 결제를 수행하고, 나머지 일부를 제2결제 수단을 통하여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c의 첫번째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b)는 "생활비 카드"와 "용돈 카드"를 결제 수단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0c의 두번째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b)는 "생활비 카드"(1030)에 "8000원", "용돈 카드"(1040)에 "2000원"이 결제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은 각 카드의 결제 한도를 별도로 설정하여,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결제 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카드를 동시에 사용함으로써, 다양하게 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결제 승인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은 원격지의 단말기를 통하여 대리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결제 카드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a 및 도 11b는 결제 카드 정보의 결제 금액을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들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결제 승인 단말기에 있어서, 결제 카드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들이다.
결제 승인 단말기는 기 설정된 조건이 만족되거나 또는 사용자의 요청에 근거하여, 결제 카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은 상기 결제 요청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결제 요청 정보의 수신 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로부터 제어 명령이 전송되지 않는 조건, 상기 결제 요청 정보가 기 저장된 정보와 일치할 조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 결제 요청 정보의 수신 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결제와 관련된 제어명령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결제 카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 결제 카드 정보가 특정 상점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결제 카드 정보를 자동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제 요청 정보의 수신 없이 미리 결제 카드 정보를 전송하거나,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이 만족되는 것에 근거하여 결제 카드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 결제 카드 정보를 상기 결제 요청 정보의 수신 전,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별도의 제어명령 없이도, 결제 요청 단말기가 결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결제 카드 정보를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b) 상에 상기 결제 카드 정보의 설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b의 첫번째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b) 상에 결제 요청자 정보, 결제 금액 정보, 결제 허용 품목 정보, 결제 금지 상점 정보, 보안 정보, 추가 금액 정보 등의 설정을 위한 화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요청자 정보는 결제 카드 정보를 수신할 결제 요청 단말기의 식별 정보로, 연락처 정보, 전화번호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결제 금액 정보는 결제 요청 단말기의 결제 금액의 한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결제 허용 품목 정보는 결제를 허용하는 품목의 정보일 수 있다. 상기 결제 금지 상점 정보는 결제를 시도하여도, 결제를 거절하는 상점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추가 금액 정보는 결제의 수행 후, 추후 결제에 사용될 수 있도록, 결제 요청 단말기에 저장되는 금액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안 정보는 결제 시 필요한 결제 요청 단말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예를 들어, 지문 정보, 홍채 정보, 심박수 정보, 얼굴인식 정보 등) 및 비밀번호 정보, 핀코드 정보, 패턴 정보, 사인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b의 두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의 지문 정보를 미리 등록하도록 지문 인식창(1410)을 출력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은 결제 수행 시, 보안을 보다 강화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결제 금액 정보는 최대 결제 금액 정보 및 최소 결제 금액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요청에 근거하여, 최대 금액 및 최소 금액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할 수도 있다.
상기 결제 금액을 최대 결제 금액 정보 및 최소 결제 금액 정보로 설정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80b)는 사용자로부터 최대 결제 금액 및 최소 결제 금액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결제 승인 정보를 수신한 결제 요청 단말기는 최대 결제 금액 및 최소 결제 금액 사이에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만일, 최대 결제 금액을 초과하는 결제를 시도하는 경우, 결제의 승인이 거절되고, 상기 결제의 승인이 거절되었음을 알리는 알림 정보가 결제 승인 단말기에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 결제 금액을 설정하기 위한 다양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a의 첫번째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b)는 카드 형태의 그래픽 객체(1000)의 크기를 변경함으로써, 결제 금액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카드 형태의 그래픽 객체(1000)의 크기는 카드 형태의 그래픽 객체(1000)의 경계 영역 상에 가해지는 터치에 근거하여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 카드 형태의 그래픽 객체(1000)에 대한 드래그 입력에 근거하여, 카드 형태의 그래픽 객체(1000)의 크기가 작아지는 경우, 상기 결제 금액을 현재 설정된 결제 금액보다 줄여서 설정할 수 있고, 상기 카드 형태의 그래픽 객체(1000)의 크기가 커지는 경우, 상기 결제 금액을 현재 설정된 결제 금액보다 크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a의 두번째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 카드 형태의 그래픽 객체(1000)의 크기가 커지는 경우, 현재 설정된 결제 금액인 "10000원"보다 큰 "20000원"으로 결제 금액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b)는 결제 요청 정보에 포함된 결제 상점과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결제 상점과 관련된 포인트 카드를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포인트 카드는 결제 상점에서 결제한 금액의 일정 부분을 포인트를 적립하는 카드이다. 상기 포인트 카드는 상기 적립된 포인트를 이용하여 상기 결제 상점에서 판매되는 물품을 결제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도 11b의 첫번째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 결제 상점과 관련된 포인트 카드가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b) 상의 일 영역에 포인트 카드와 연계된 그래픽 객체(1110)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 포인트 카드가 없다고 판단되면, 상기 포인트 카드와 연계된 그래픽 객체(1110)를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 결제 상점과 관련된 포인트 카드의 존재 여부에 관련 없이, 포인트 카드와 연계된 그래픽 객체(1110)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포인트 카드와 연계된 그래픽 객체(1110)에 대한 터치가 가해지는 경우,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 결제 상점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포인트 카드가 존재하는 경우, 이를 디스플레이부(151b)에 출력하고, 포인트 카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이를 디스플레이부(151b)에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1b의 두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 포인트 카드와 연계된 그래픽 객체(1110)에 대하여 터치가 가해지는 경우, 포인트 카드 형태의 그래픽 객체(1110)를 디스플레이부(151b)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포인트 카드 형태의 그래픽 객체 상에는, 포인트 적립 기능 및 포인트 결제 기능을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 포인트 카드가 선택되면, 상기 포인트 카드 정보를 상기 결제 카드 정보에 추가하여,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 포인트 적립 기능이 선택되는 경우, 결제 요청 단말기에서 결제 시, 포인트가 적립되도록 결제 카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결제 카드 정보를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1b의 네번째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인트 카드 형태의 그래픽 객체는, 적립 예상 포인트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 포인트 결제 기능이 선택되는 경우, 포인트로 결제를 수행하도록 결제 카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결제 카드 정보를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1b의 세번째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인트 카드 형태의 그래픽 객체는, 포인트로 결제 가능한 결제 예정 포인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결제 승인 단말기에 있어서, 결제 카드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또한,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의 결제 수행 시, 다양한 조건에 근거하여 결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사전에 설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결제 요청 정보를 전송한 결제 요청 단말기에 있어서, 결제 승인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제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12a, 도 12b, 도 12c 및 도 12d는 결제 요청 정보를 전송한 결제 요청 단말기에 있어서, 결제 승인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제를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들이다.
결제 요청 단말기는, 결제 승인 단말기에 결제 요청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결제 요청 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의 제어부(180a)는 결제 승인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80a)는 상기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결제 방식으로, 인접한 영역에 위치한 결제와 관련된 외부 물체(예를 들어, 요금 결제기)에 상기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무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결제 방식은 NFC 방식이거나, MST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a)는 별도의 보안 정보 없이 상기 결제와 관련된 외부 물체에 상기 무선 신호를 전송하거나, 사용자로부터 보안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결제와 관련된 외부 물체에 상기 무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보안 정보는 결제 요청 단말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예를 들어, 지문 정보, 홍채 정보, 심박수 정보, 맥박 정보, 얼굴 인식 정보 등)이거나, 비밀번호 정보(또는, 핀코드 정보), 패턴 정보, 사인(sign) 정보 일 수 있다.
보안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에 한하여, 무선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80a)는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보안 정보와 상기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보안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는 결제 요청 단말기에서 결제 승인 정보의 사용을 제한하기 위한 보안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a의 두번째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a)는 상기 결제 승인 단말기로부터 결제 카드 정보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부(151a) 상에 결제 카드 정보(1200) 및 보안 정보의 입력창(1210)을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안 정보의 입력창(1210)을 통하여, 보안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80a)는 상기 입력된 보안 정보가 상기 결제 카드 정보에 포함된 보안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된 보안 정보가 상기 결제 카드 정보에 포함된 보안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80a)는 결제와 관련된 외부 물체(예를 들어, 요금 결제기)에 결제 카드 정보가 포함된 무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된 보안 정보가 상기 결제 카드 정보에 포함된 보안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180a)는 상기 결제와 관련된 외부 물체(예를 들어, 요금 결제기)에 결제 승인 정보가 포함된 무선 신호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된 보안 정보가 상기 결제 카드 정보에 포함된 보안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180a)는 결제 승인 단말기에 보안 정보가 불일치함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제와 관련된 외부 물체는 상기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무선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결제 승인 정보가 포함된 무선 신호에 근거하여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결제와 관련된 외부 물체는 상기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무선 신호를 전송한 결제 요청 단말기 및 상기 결제 승인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에 결제 승인과 관련된 피드백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결제 승인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드백 정보는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무선 신호에 근거하여, 결제를 승인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드백 정보에 결제를 승인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제어부(180a)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a) 상에 결제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결제 완료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a의 네번째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a)는 결제 품목 및 결제 품목 금액 정보 등이 포함된 영수증 정보(1220)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피드백 정보에 결제가 거절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제어부(180a)는 상기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무선 신호를 다시 상기 결제와 관련된 외부 물체에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180a)는 결제를 더 이상 시도하지 않도록 상기 결제와 관련된 외부 물체에 상기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무선 신호의 전송을 중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a)는 결제가 완료되는 경우,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메모리(170) 상에서 삭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a)는 상기 결제의 수행 중, 상기 결제 승인 단말기에 상기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결제 금액의 증액을 요청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80a)는 상기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제의 수행 중, 상기 결제 승인 단말기에게 결제 금액을 증액하기 위한 증액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증액 정보에는 품목 정보 및 금액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b의 첫번째 및 두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a)는 결제 수행 중, 결제 금액이 부족한 경우, 결제 승인 단말기에 증액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카드 형태의 그래픽 객체(1200)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증액 요청 정보를 요청할 수 있도록 출력된 카드 형태의 그래픽 객체(1200)를 이용하여 결제 승인 단말기에 증액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증액 요청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도 12b의 세번째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a)는 증액 요청과 관련된 정보가 포함되도록 카드 형태의 그래픽 객체(1200)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증액 요청 정보를 수신한 결제 승인 단말기의 제어부(180b)는 앞서 설명한 결제 승인 정보의 생성과 동일한 방식으로, 증액 승인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결제 요청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증액 승인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의 제어부(180a)는 상기 증액 승인 정보에 기초하여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도 12b의 네번째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a)는 증액 승인 정보가 포함된 카드 형태의 그래픽 객체(1200)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a)는 상기 결제의 수행 후, 추가 금액 정보를 메모리(170)에 저장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추가 금액 정보는 결제의 수행 후, 남은 금액이거나, 결제 승인 단말기가 별도로 설정한 금액 정보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80a)는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추가 금액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추가 금액 정보에 기초하여, 추후 결제가 수행되도록 메모리부(170)에 추가 금액 정보를 저장하거나, 상기 추가 금액 정보에 기초하여 더 이상 결제가 수행되지 않도록 결제 승인 단말기에 남은 추가 금액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a)는 결제 승인 정보 또는 결제 카드 정보에 기초하여 추가 금액 정보의 처리 방법을 결정하거나, 사용자의 요청에 근거하여, 추가 금액 정보의 처리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승인 정보 또는 결제 카드 정보에 기초하여 추가 금액 정보의 처리 방법을 결정하는 경우, 결제 승인 단말기는 상기 결제 승인 정보 또는 결제 카드 정보에 미리 추가 금액 정보의 처리 방법과 관련된 정보를 더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근거하여, 추가 금액 정보를 처리하는 경우, 도 12c의 두번째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a)는 결제의 수행 후, 추가 금액 정보의 처리 방법을 묻는 팝업창을 디스플레이부(151a)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a)는 사용자가 메모리(170)에 추가 금액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선택한 경우, 특정 카드에 추가 금액 정보를 연계시켜 처리할 수 있다. 상기 특정 카드는 새롭게 생성된 정보이거나, 기 저장된 정보일 수 있다. 이때, 도 12c의 세번째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a)는 상기 용돈 카드에 남은 금액과 관련된 정보를 연계시켜 처리한 경우, 이를 알리는 알림 정보(1230)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51a)에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의 사용자는 상기추가 금액 정보가 연계된 결제 승인 정보에 기초하여, 추후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a)는 상기 결제 승인 단말기에 추가 금액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추가 금액 정보의 전송 후, 더 이상 결제가 수행되지 않도록 상기 결제 추가 금액 정보를 메모리(170) 상에서 삭제시킬 수 있다. 이때, 도 12c 및 도 12d의 네번째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a)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a)에 상기 결제 승인 단말기(예를 들어, "엄마" 단말기)에 추가 금액 정보가 전송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1240)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는, 추가 결제 정보가 삭제되면, 추후 상기 추가 금액 정보에 기초하여 더 이상 결제를 수행할 수 없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은 결제의 수행과 관련된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결제 요청 단말기에서 결제의 수행과 관련된 기능을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결제 요청 단말기에서 결제의 수행의 방식과 관련된 알림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13은 결제 요청 단말기에서 결제의 수행 시, 결제 방식과 관련된 알림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결제 요청 단말기는 복수의 결제 방식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는 NFC 결제 방식 및 MST 결제 방식을 모두 지원할 수 있다.
한편, 결제 요청 단말기의 사용자는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무선 신호를 결제와 관련된 외부 물체에 전송하기 위하여,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의 본체를 상기 결제와 관련된 외부 물체에 근접시킬 수 있다.
상기 결제와 관련된 외부 물체에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의 본체를 근접시키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의 본체의 특정 영역을 상기 결제와 관련된 외부 물체에 근접시켜야, 상기 결제와 관련된 외부 물체에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무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특정 영역은 상기 무선 신호를 생성 및 전송할 수 있는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결제 모듈이 배치된 영역일 수 있다. 상기 결제 모듈은 NFC 모듈(또는 제1결제방식) 및 MST 모듈(또는 제2결제방식)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NFC 모듈은 NFC 규격을 따르는 신호를 생성 및 전송하는 모듈이고, MST 모듈은 마그네틱 신호를 생성 및 전송 가능한 모듈이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를 참조하면, 상기 NFC 모듈은 NFC 결제 방식의 지원이 가능한 모듈이고, 상기 MST 모듈은 MST 결제 방식의 지원이 가능한 모듈일 수 있다.
상기 NFC 모듈 및 상기 MST 모듈은 동일한 영역 상에 배치되거나, 서로 다른 영역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a)는 결제 승인 정보에 기초하여, 결제 수행 중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51a)의 출력 영역 중 상기 결제 모듈이 배치된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 상에 인디케이터(indicator)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는 사용자가 결제와 관련된 외부 물체와 본체를 근접시켜야하는 영역을 알려주는 그래픽 객체일 수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는 결제 모듈에 따라 서로 다른 시각적 외관(예를 들어, 색, 형태, 출력 위치)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NFC 모듈 및 MST 모듈이 서로 다른 영역에 배치된 경우, 상기 제어부(180a)는 상기 결제 모듈의 종류에 근거하여, 서로 다른 영역에 인디케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의 오른쪽 위에 도시된 그림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a)는 제1결제수단으로 결제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1결제수단이 배치된 영역과 대응되는 제1영역에 인디케이터(1300)를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13의 오른쪽 아래 도시된 그림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a)는 제2결제수단으로 결제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2결제수단이 배치된 영역과 대응되는 제2영역에 인디케이터(1310)을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결제를 수행하기 위하여, 이동 단말기를 근접시켜야하는 영역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한편,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NFC 모듈 및 MST 모듈이 동일한 영역에 배치된 경우, 상기 제어부(180a)는 상기 인디케이터를 동일한 영역 상에 출력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80a)는 상기 NFC 모듈 및 MST 모듈에 따라 상기 인디케이터의 색 또는 형태를 서로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결제 수단에 따라 서로 다른 인디케이터를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메시지 전송 기능과 연계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결제 요청 정보,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15a 및 도 15b는 메시지 전송 기능과 연계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결제 요청 정보,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들이다.
결제 요청 단말기의 제어부(180a)는 메시지 전송 기능과 연계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결제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시지 전송 기능과 연계된 애플리케이션은 결제 요청 정보의 전송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180a)는 상기 결제 요청 정보의 전송 기능을 상기 메시지 전송 기능과 연계시켜 실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결제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결제 승인 단말기는 메시지 전송 기능의 메시지를 수신하는 상대방 단말기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a의 첫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제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결제 승인 단말기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엄마" 단말기일 수 있다.
상기 메시지 전송 기능과 연계된 애플리케이션에 결제 요청 정보의 전송 기능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제어부(180a)는 메시지 전송 기능의 실행화면 상에 결제 요청 정보와 연계된 그래픽 객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a의 첫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지 전송 기능의 실행화면 상에는 결제 요청 정보와 연계된 그래픽 객체(154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메시지 전송 기능과 연계된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결제 요청 정보(1510)를 생성 및 전송하는 것은 도 4b의 설명으로 대신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180a)는 상기 결제 요청 정보 상에 결제 요청 단말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제어부(180a)는 결제 승인 단말기가 결제의 승인 시, 보안을 보다 강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a의 두번째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의 사용자는 상기 결제 요청 정보(1510)에 지문 정보(1510)를 추가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5a의 세번째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a)는 상기 결제 요청 정보(1500) 상에 지문 정보(1510)가 포함시켜 상기 결제 승인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은 대리 결제의 요청 및 수행 시, 보안을 보다 강화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결제 요청 정보를 메시지를 통하여 수신한 결제 승인 단말기는 상기 결제 요청 정보를 포함한 메시지와, 상기 결제 요청 정보를 포함하지 않은 메시지를 구별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b의 첫번째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b)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메시지 항목을 포함한 메시지 리스트에 있어서, 결제 요청 정보를 포함한 메시지 항목이 표시된 영역의 일 영역에 상기 결제 요청 정보가 포함되었음을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1530a, 1530b)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 결제 요청 정보를 포함하지 않은 메시지 항목이 표시된 영역 상에, 상기 결제 요청 정보가 포함되었음을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를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메시지의 내용을 보지 않아도, 결제 요청 정보의 포함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제 승인 단말기의 제어부(180b)는 상기 메시지 전송 기능과 연계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결제 요청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메시지 전송 기능과 연계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시지 전송 기능과 연계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b) 상에는 메시지를 송수신한 상대방 단말기와의 메시지 내용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송수신된 메시지 중 결제 요청 정보를 포함한 메시지가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180b)는 사용자의 요청에 근거하여,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결제 요청 정보를 전송한 상대방 단말기(결제 요청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요청은 터치 입력, 음성 입력, 제스쳐 입력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b의 두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b)는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 기능과 연계된 그래픽 객체에 대한 터치에 응답하여, 상기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기 위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b) 상에 메시지를 송수신한 상대방 단말기와의 메시지 내용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b)에 대하여 기 설정된 방향을 갖는 드래그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기 위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5b의 세번째 및 네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 메시지를 송수신한 상대방 단말기에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앞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메시지 전송 기능과 연계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결제를 수행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결제와 관련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16은 결제와 관련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알리는 알림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결제 요청 단말기 및 결제 승인 단말기의 제어부(180)는 결제와 관련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알림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결제와 관련된 이벤트는 결제 요청 단말기가 결제와 관련된 외부 물체로부터 피드백 신호를 수신하는 이벤트, 결제 요청 단말기가 결제 승인 단말기로부터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이벤트, 결제 승인 단말기가 결제 요청 단말기로부터 결제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이벤트, 결제 승인 단말기가 결제 요청 단말기로부터 증액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이벤트, 결제 승인 단말기가 결제 요청 단말기로부터 결제 완료 정보를 수신하는 이벤트 등 결제와 관련된 다양한 이벤트일 수 있다.
상기 알림 정보는 이동 단말기의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상태표시영역에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상태표시영역은 디스플레이부(151)의 출력 영역 중 일 영역으로, 이동 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현재 시간, 통신 상태 등을 표시하는 영역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상태표시영역에는 상기 결제와 관련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결제와 관련된 이벤트의 발생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6의 첫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 상태표시 영역 상에 결제와 관련된 이벤트의 발생을 알리는 알림 정보(1600)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태표시영역은 디스플레이부(151)에서 고정된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태표시영역은 디스플레이부(151)의 전면을 기준으로 위쪽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상태표시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디스플레이부(151) 영역은 홈스크린 페이지 영역일 수 있다. 상기 홈스크린 페이지 영역은 이동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아이콘, 위젯 등을 표시하는 영역일 수 있다.
한편, 도 16의 두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상태표시영역을 시작 지점으로, 상기 홈스크린 페이지 영역을 향하는 드래그 입력이 가해지면, 상기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표시창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상태표시창은 상기 홈스크린 페이지의 일부와 중첩되는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드래그 입력의 길이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도록 상기 상태표시창을 상기 홈스크린 페이지의 일 영역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태표시창이 표시되지 않은 홈스크린 페이지의 영역 상에는 이동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아이콘, 위젯 등을 포함하는 홈스크린 페이지나, 이동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드래그 입력이 기 설정된 길이 이상 가해지는 경우, 상기 홈스크린 페이지 대신, 상기 상태표시창을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 상태표시창에 상기 결제와 관련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결제와 관련된 이벤트의 내용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6의 세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상태표시창에 "새로운 카드가 도착하였습니다" 및 "결제가 완료되었습니다"와 같은 결제와 관련된 이벤트의 내용을 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상태표시영역 상에 결제와 관련된 이벤트의 발생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상태표시창에는 상기 결제와 관련된 이벤트의 내용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결제와 관련된 이벤트의 내용의 출력 순서는 이벤트의 발생 시간 및 이벤트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6의 세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새로운 카드가 도착하였습니다"라는 이벤트가상기 "결제가 완료되었습니다"라는 이벤트보다 현재 시간을 기준으로 최근에 발생한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최근에 발생한 이벤트 순서대로 이벤트와 관련된 내용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상태표시창에 출력된 상기 결제와 관련된 이벤트의 내용에 대하여 터치가 가해지면, 상기 결제와 관련된 이벤트에 연계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80)는 결제와 관련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상태표시영역이 아닌, 홈스크린 페이지 영역 상에 알림 정보를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홈스크린 페이지 영역 중 일 영역 상에 상기 결제와 관련된 이벤트의 발생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상태표시창과 동일한 방식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결제와 관련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SNS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대리 결제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17a 및 도 17b는 SNS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대리 결제를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들이다.
결제 요청 단말기는 결제 승인 단말기에 직접적으로, 결제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고, SNS(Social Network Service)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불특정 다수에게 결제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SNS 애플리케이션은 복수의 사용자가 기 설정된 외부 서버(예를 들어, Facebook 서버)에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정보를 다른 사용자와 공유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이다. 예를 들어, 어느 하나의 사용자가 facebook 서버에 정보를 업로드(upload)하는 경우, 상기 어느 하나의 사용자가 전송한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이 있는 다른 사용자가 상기 facebook 서버에 접속함으로써, 상기 어느 하나의 사용자가 업로드한 정보를 볼 수 있다.
상기 SNS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결제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의 제어부(180a)는 SNS 서버에 결제 요청 정보를 업로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a의 첫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SNS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 상에 결제 요청 정보의 업로드 기능을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1700)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a)는 상기 결제 요청 정보의 업로드 기능을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1700)에 대한 터치가 가해지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결제 요청 정보의 업로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a의 두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a)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a) 상에 상기 결제 요청 품목 정보 및 결제 금액 정보 등을 입력하는 화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요청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80a)는 사용자의 요청에 근거하여, 상기 결제 요청 정보를 SNS 서버에 업로드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7a의 세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a)는 SNS 서버에 결제 요청 정보(1710)를 업로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SNS 서버는 상기 결제 요청 정보에 대하여, 결제 승인 단말기로부터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7a의 네번째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SNS 서버는 상기 결제 요청 정보(1710)를 결제 승인 정보(1730)로 전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요청 정보(1710)가 결제 승인 정보(1730)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80a)는 상기 결제 승인 정보(1730)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17b의 첫번째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제 승인 단말기의 제어부(180b)는 SNS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결제 요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 결제 요청 정보(1710)에 근거하여, 결제 승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b의 두번째 및 세번째 그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b)는 결제 승인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SNS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결제 승인 정보의 생성은 앞서 설명한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SNS 서버에 전송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80b)는 상기 결제 요청 단말기에서만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결제 승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SNS를 통하여 결제를 수행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은 불특정 다수에게 간편하게 결제 요청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불특정 다수 중 적어도 일부로부터 결제 승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자신의 연락처에 저장된 사람 이외에, 다른 사람들에게도 대리 결제를 요청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결제 방식을 지원하는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결제 요청 단말기와 결제 승인 단말기 간의 대리 결제를 수행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결제 요청 단말기는 원격지의 결제 승인 단말기를 통하여 결제를 수행할 수 있고, 결제 승인 단말기 또한, 원격지의 결제 요청 단말기를 통하여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결제 요청 단말기와 결제 승인 단말기 간에 실시간으로 품목 협상을 함으로써, 결제뿐만 아니라, 결제와 관련된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순히 결제 요청 품목의 결제를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함으로써, 편리한 대리 결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20)

  1. 디스플레이부;
    외부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부; 및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품목에 대한 결제 요청 정보를 상기 외부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결제 요청 정보가 상기 외부 단말기에 전송된 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품목 중 일부 품목에 대한 결제를 승인하는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며, 상기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일부 품목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에 포함된 일부 품목은 외부 단말기에서 선택된 정보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수신되면, 상기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고,
    상기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일부 품목에 대한 결제를 수행되면, 상기 결제가 더 이상 수행되지 않도록 상기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사라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일부 품목에 대한 결제가 수행되면, 상기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한 결제의 수행을 제한하도록 결제 승인 정보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근거리의 외부 물체와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부 품목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도록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외부 물체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승인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품목 정보,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제 요청 정보의 전송 후,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품목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품목 중 특정 품목이 삭제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상기 특정 품목이 삭제되었음을 나타내도록, 상기 특정 품목에 대한 정보의 시각적 외관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상기 어느 품목과 다른 새로운 품목에 대한 결제 승인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상기 새로운 품목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1항에 있어서,
    제1결제방식으로 결제를 수행하는 제1결제모듈와 제2결제방식으로 결제를 수행하는 제2결제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결제 방식이 제1결제 방식인 경우, 상기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를 나타내는 알림 정보를 제1출력 위치에 출력하고,
    상기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결제 방식이 제2결제 방식인 경우, 상기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를 나타내는 알림 정보를 제2출력 위치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제의 수행 후, 상기 결제의 승인 여부를 상기 외부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1항에 있어서,
    카메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요청에 근거하여, 상기 카메라부를 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품목에 대응되는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영상을 이용하여 결제 요청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품목에 대한 영상의 촬영 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품목에 대응되는 영상에 대한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가 가해지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품목과 다른 새로운 품목이 촬영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품목에 대응되는 영상 대신 상기 카메라부를 통하여 수신된 프리뷰 영상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디스플레이부 ;
    외부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부 및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품목에 대한 결제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품목 중 결제를 수행할 일부 품목을 선택하여, 상기 일부 품목에 대한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외부 단말기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외부 단말기에서 결제가 수행되면, 상기 외부 단말기 상에서 더 이상 결제가 수행되지 않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단말기에서 상기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제가 수행되면, 상기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메모리 상에서 삭제되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삭제
  15. 제12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품목에 대한 결제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품목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품목에 대한 정보 중 특정 품목에 대응되는 정보에 가해지는 터치에 근거하여, 상기 특정 품목을 상기 결제 요청 정보에서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지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단말기에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7. 제12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상기 일부 품목에 대한 결제 요청 정보를 출력한 상태에서,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가 가해지는 것에 응답하여,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는 화면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는, 결제 카드 정보를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가 출력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그래픽 객체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결제 카드 정보에 포함된 결제 금액 정보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요청 정보는 결제 상점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제 상점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일부 품목과 다른 새로운 품목을 상기 결제 요청 정보에 추가하여, 상기 결제 승인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0. 청구항 2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품목에 대한 결제 정보를 외부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품목 중 일부 품목에 대한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일부 품목에 대한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일부 품목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일부 품목은 상기 외부 단말기에 의하여 선택된 품목이고,
    상기 결제 승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는,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품목에 대한 결제의 수행 후, 결제의 수행이 제한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KR1020150081419A 2015-06-09 2015-06-09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792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1419A KR101679271B1 (ko) 2015-06-09 2015-06-09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4/876,714 US20160364715A1 (en) 2015-06-09 2015-10-06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16150515.1A EP3104311A1 (en) 2015-06-09 2016-01-08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1610048262.4A CN106251135A (zh) 2015-06-09 2016-01-25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1419A KR101679271B1 (ko) 2015-06-09 2015-06-09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9271B1 true KR101679271B1 (ko) 2016-11-24

Family

ID=55129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1419A KR101679271B1 (ko) 2015-06-09 2015-06-09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60364715A1 (ko)
EP (1) EP3104311A1 (ko)
KR (1) KR101679271B1 (ko)
CN (1) CN10625113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72610A1 (ko) * 2018-03-06 2019-09-12 삼성전자 주식회사 오디오 모듈을 이용하여 결제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78472A1 (en) 2008-09-30 2010-04-01 Apple Inc. Group peer-to-peer financial transactions
US10380573B2 (en) 2008-09-30 2019-08-13 Apple Inc. Peer-to-peer financial transaction devices and methods
KR20170008649A (ko) * 2015-07-14 2017-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결제 정보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10410205B2 (en) * 2015-08-21 2019-09-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payment transaction using dynamic MST configuration
KR101644568B1 (ko) * 2015-10-15 2016-08-12 주식회사 한국엔에프씨 이동통신단말기간 카드 결제를 수행하는 모바일 카드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20170112569A (ko) * 2016-03-31 2017-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상품 결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10621581B2 (en) 2016-06-11 2020-04-14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transactions
US20190258318A1 (en) * 2016-06-28 2019-08-22 Huawei Technologies Co., Ltd. Terminal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US20180068313A1 (en) 2016-09-06 2018-03-08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stored-value accounts
US10796294B2 (en) 2017-05-16 2020-10-06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peer-to-peer transfers
US11221744B2 (en) 2017-05-16 2022-01-11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peer-to-peer transfers
US20190151748A1 (en) * 2017-08-21 2019-05-23 Gregory Ewald Electronic bingo system
CN108401458A (zh) * 2017-12-12 2018-08-14 福建联迪商用设备有限公司 一种基于人脸和心电图的支付认证方法及终端
US11100498B2 (en) 2018-06-03 2021-08-24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transfer accounts
JP2021525428A (ja) 2018-06-03 2021-09-24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Apple Inc. 振替口座のための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KR102507519B1 (ko) * 2018-08-20 2023-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기 (em) 신호 검출에 따라 지정된 기능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CN109507895B (zh) * 2018-08-28 2022-04-19 中国银联股份有限公司 基于交互的控制设备与交互控制方法
US20200111096A1 (en) * 2018-10-04 2020-04-09 Capital One Services, Llc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system and method
CN109359981A (zh) * 2018-12-25 2019-02-19 北京乐付通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面向农产品批发市场的电子化交易平台
US11328352B2 (en) 2019-03-24 2022-05-10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managing an account
US11983702B2 (en) 2021-02-01 2024-05-14 Apple Inc. Displaying a representation of a card with a layered structure
US11921992B2 (en) 2021-05-14 2024-03-05 Apple Inc. User interfaces related to time
KR102404095B1 (ko) * 2021-07-30 2022-06-02 쿠팡 주식회사 물품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
US11784956B2 (en) 2021-09-20 2023-10-10 Apple Inc. Requests to add assets to an asset account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45928B2 (ja) * 2000-09-29 2011-03-09 ヤマハ株式会社 入場許可認証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5358603B2 (ja) * 2011-03-18 2013-12-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開閉作動機構制御装置
CN103246946A (zh) * 2012-02-08 2013-08-14 北京磊友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跨终端进行订单管理操作的方法
KR101917688B1 (ko) * 2012-05-21 2018-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BR112015003921A2 (pt) * 2012-08-24 2017-08-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étodo para adquirir e processar informações em um material móvel, e terminal móvel
US8909620B2 (en) * 2012-10-02 2014-12-09 Wal-Mart Stores, Inc. Searching digital receipts at a mobile device
CN102982451A (zh) * 2012-10-24 2013-03-20 钱袋网(北京)信息技术有限公司 支付卡交易方法和移动终端
US20140122270A1 (en) * 2012-10-31 2014-05-01 Wal-Mart Stores, Inc. Managing returns using electronic receipts
CN104636924B (zh) * 2013-11-15 2023-04-25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安全支付方法、服务器以及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72610A1 (ko) * 2018-03-06 2019-09-12 삼성전자 주식회사 오디오 모듈을 이용하여 결제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11556914B2 (en) 2018-03-06 2023-01-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king payment by using audio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04311A1 (en) 2016-12-14
US20160364715A1 (en) 2016-12-15
CN106251135A (zh) 2016-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9271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7035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307303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8190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90392422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1779506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8238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70024736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80062454A (ko) 단말 장치 및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KR20160133948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67450B1 (ko) 식별 코드를 이용하여 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 이동단말기, 결제 서버, 그것들의 결제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721132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486275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0003682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3107273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60140062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18556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29757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131151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4332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2983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750315B1 (ko)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160480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60080777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67783B1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