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8854B1 - 현가부재용 열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현가부재용 열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8854B1
KR101678854B1 KR1020150076472A KR20150076472A KR101678854B1 KR 101678854 B1 KR101678854 B1 KR 101678854B1 KR 1020150076472 A KR1020150076472 A KR 1020150076472A KR 20150076472 A KR20150076472 A KR 20150076472A KR 101678854 B1 KR101678854 B1 KR 1016788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suspension member
bracket
pressing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6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화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화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화신
Priority to KR1020150076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88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8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88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08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tubular bodies or pip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08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tubular bodies or pipes
    • C21D9/085Cooling or quench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Articles (AREA)

Abstract

현가부재용 열처리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현가부재용 열처리장치는: 현가부재의 외형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홈을 형성하며 현가부재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현가부재의 외형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홈을 형성하며 현가부재의 상부를 가압하는 가압부와, 지지부와 가압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를 직선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 및 이동부의 측면에 위치하며 현가부재를 냉각시키는 냉각수가 내측에 저장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현가부재용 열처리장치{HEAT TREATMENT DEVICE FOR SUSPENSION MEMBER}
본 발명은 현가부재용 열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현가부재의 열처리를 자동화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현가부재용 열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현가장치에 사용되는 현가부재 중 커플드 토션빔 액슬(CTBA: COUPLED TORSION BEAM AXLE, 이하 '토션빔'으로 함)은 트레일링암과 허브베어링을 통해 휠을 지지한다. 커플드 토션빔 액슬은 양쪽 트레일링암의 사이에 연결되는 토션빔 또는 토션바의 토셔널(TORSIONAL) 특성에 의해 차량의 롤을 조절하는 현가장치의 한 타입으로 구조가 단순하고 경량화 할 수 있는 특징을 구비한다.
종래에는 토션빔의 기계적 특성을 강화하기 위한 열처리작업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므로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4-0042989호(2014.04.08 공개, 발명의 명칭: 현가부재용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현가부재의 열처리를 자동화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현가부재용 열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현가부재용 열처리장치는: 현가부재의 외형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홈을 형성하며 현가부재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현가부재의 외형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홈을 형성하며 현가부재의 상부를 가압하는 가압부와, 지지부와 가압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를 직선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 및 이동부의 측면에 위치하며 현가부재를 냉각시키는 냉각수가 내측에 저장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지지부는, 현가부재의 양측 하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제1지지부 및 제1지지부와 이격되어 현가부재의 몸체 하부를 지지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지지부는 각관 형상으로 형성된 현가부재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측이 개구된 "ㄷ"자 형상의 홈을 구비하며, 제2지지부는 "V"자 형상으로 형성된 현가부재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측이 개구된 "V"자 형상의 홈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압부는, 베이스부에 고정된 프레임부재와, 프레임부재에 고정되며 상하 방향으로 직선 이동을 하는 제1구동부 및 제1구동부에 의해 상하 이동되며 지지부에 안착된 현가부재의 상부를 가압하는 가압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압부는, 프레임부재에 고정되며 제1구동부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을 하는 제2구동부 및 프레임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2구동부에 연결되어 프레임부재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제1구동부의 상측을 커버하는 커버링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구동부는, 프레임부재에 고정되는 제2구동몸체 및 제2구동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로드를 포함하며, 커버링크부는 제2로드에 힌지 연결되는 제1링크와, 제1링크와 이격되어 프레임부재에 고정되는 링크브라켓과, 제1링크와 링크브라켓에 양측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링크와, 제2링크의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링크브라켓의 외형을 따라 이동되는 내측링크와, 링크브라켓과 내측링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내측링크의 이동에 의해 링크브라켓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3링크 및 제3링크에 고정되어 제3링크와 함께 이동되며 제1구동부의 상측을 가압하여 제1구동부의 상측 이동을 구속하는 지지링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내측링크와 마주하는 링크브라켓의 외측에는 내측링크의 이동을 안내하는 곡선 형상의 이동안내홈부가 구비되며, 이동안내홈부에 접하는 내측링크의 외측도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압브라켓은, 현가부재의 양측 상부를 가압하는 한 쌍의 제1가압지그 및 제1가압지그와 이격되어 현가부재의 몸체 상부를 지지하는 제2가압지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가압지그는 각관 형상으로 형성된 현가부재의 상부를 가압하며 하측이 개구된 홈을 구비하며, 제2가압지그는 "V"자 형상으로 형성된 현가부재의 상측으로 삽입되는 가압돌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베이스부는, 이동부에 연결되며 저장부의 내측에서 상하 이동이 이루어지는 베이스몸체 및 베이스몸체의 내측에 위치하며 지지부와 가압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몸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동부는, 저장부의 양측에 고정되는 이동지지부와, 이동지지부에 고정되며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모터부재와, 모터부재에 축 연결되어 회전되는 스크루바 및 베이스몸체에 연결되며 스크루바를 따라 상하 이동되는 이동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저장부는, 베이스몸체와 베이스몸체를 지지하는 이동브라켓이 상측으로 삽입되어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측이 개구된 형상으로 설치되며, 저장부의 양측에 이동부가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현가부재용 열처리장치는, 빔 형상의 현가부재가 지지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가압부가 현가부재의 상측을 가압하여 열처리가 이루어지는 동안에 현가부재의 변형을 방지하므로 현가부재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압부에 의해 지지부 상측에 현가부재가 고정된 상태에서, 이동부의 동작으로 현가부재가 이동되어 냉각수에 잠기거나 냉각수의 상측으로 이동되는 동작이 자동화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부재용 열처리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가 하측으로 이동되어 현가부재가 냉각수에 잠기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에 현가부재가 안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구동부가 동작되어 가압브라켓이 현가부재의 상측을 가압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에 현가부재가 안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구동부가 동작되어 가압브라켓이 현가부재의 상측을 가압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구동부가 동작되어 커버링크부가 제1로드의 상측을 가압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링크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부재용 열처리장치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 실시예에 의한 현가부재는 토션빔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부재용 열처리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가 하측으로 이동되어 현가부재가 냉각수에 잠기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에 현가부재가 안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구동부가 동작되어 가압브라켓이 현가부재의 상측을 가압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에 현가부재가 안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구동부가 동작되어 가압브라켓이 현가부재의 상측을 가압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구동부가 동작되어 커버링크부가 제1로드의 상측을 가압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링크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부재용 열처리장치(1)는, 지지부(20)와 가압부(30)와 베이스부(80)와 이동부(90)와 저장부(100)를 포함한다.
현가부재용 열처리장치(1)에 의해 열처리 작업이 이루어지는 현가부재(10)는 빔이나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지부(20)와 가압브라켓(40) 사이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부재(10)는 토션빔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토션빔은 금속판재를 말아서 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현가부재(10)의 양측은 "ㅁ"자 형상의 개구부를 갖는 각관부(14)가 구비되며, 현가부재(10)의 몸체는 상측이 오목하게 가압되어 "V"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굽힘몸체(12)가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부재(10)의 단면형상이 현가부재(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달라지며, 이러한 단면 형상은 좌우 대칭형으로 형성된다. 현가부재(10)의 각관부(14)는 다른 부재와 용접으로 접합되는 면적이 증가되도록 "ㅁ"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현가부재(10)의 몸체는 외부응력에 대응하기 용이하도록 "V"자 형상의 단면을 구비한다.
지지부(20)는 현가부재(10)의 외형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홈을 형성하며 현가부재(10)의 하부를 지지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20)는 제1지지부(22), 제2지지부(24), 지지베이스(26)를 포함한다.
제1지지부(22)는 현가부재(10)의 양측 하부를 지지하며 2개가 한 쌍을 이루며 설치된다. 제1지지부(22)는 각관 형상으로 형성된 현가부재(10)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측이 개구된 "ㄷ"자 형상의 홈을 구비한다. 제1지지부(22)는 상측을 향하여 연장되며, 현가부재(10)의 각관부(14) 하부를 지지한다. 각관부(14) 하부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므로, 각관부(14)가 삽입되어 좌우 및 하측 이동이 구속되는 제1지지부(22)는 각간부의 하부 외형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홈을 형성한다.
제2지지부(24)는 제1지지부(22)와 이격되어 현가부재(10)의 몸체 하부를 지지한다. 제2지지부(24)는 "V"자 형상으로 형성된 현가부재(10)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측이 개구된 "V"자 형상의 홈을 구비하므로 현가부재(10)의 몸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현가부재(10)의 몸체에 형성된 굽힘몸체(12)의 하부는 하측을 향하여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굽힘몸체(12)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2지지부(24)도 굽힘몸체(12)의 하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홈을 형성한다. 제2지지부(24)도 제1지지부(22)와 함께 현가부재(10)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현가부재(10)를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지지부(22)는 2개가 구비되어 현가부재(10)의 양측을 각각 지지하며, 제2지지부(24)도 2개가 구비되어 굽힘몸체(12)의 하부를 지지한다. 제1지지부(22)와 제2지지부(24)는 현가부재(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 형상으로 설치되어 현가부재(10)의 하부를 지지한다.
지지베이스(26)는 제1지지부(22)와 제2지지부(24)의 하측에 연결되어 제1지지부(22)와 제2지지부(24)를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베이스(26)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지지부(22)와 제2지지부(24)의 하측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다. 제1지지부(22)와 제2지지부(24)는 지지베이스(26)에 고정되며, 지지베이스(26)는 베이스부(80)에 고정된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30)는 현가부재(10)의 외형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홈을 형성하며 현가부재(10)의 상부를 가압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가압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30)는, 프레임부재(32)와 제1구동부(34)와 가압브라켓(40)과 가이드부(50)와 제2구동부(60)와 커버링크부(70)를 포함한다.
프레임부재(32)는 베이스부(80)에 고정되어 베이스부(80)와 함께 상하로 이동되며, 수평으로 설치된 베이스부(80)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제1구동부(34)와 제2구동부(60) 등을 지지한다.
제1구동부(34)는 프레임부재(32)에 고정되며 상하 방향으로 직선 이동을 하면서 가압브라켓(4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구동부(34)는 제1구동몸체(35)와 제1로드(36)를 포함한다.
제1구동몸체(35)는 프레임부재(32)에 상하 방향으로 고정되며, 유체의 공급에 의해 제1로드(36)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제1로드(36)는 제1구동몸체(35)의 상측과 하측으로 각각 돌출된다. 제1로드(36)의 하측에는 가압브라켓(40)에 연결되며, 제1로드(36)의 상측은 제1구동몸체(35)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가압브라켓(40)의 상하 이동과 연동하여 상하로 이동된다. 제1로드(36)의 하측과 가압브라켓(40) 사이에 가이드부(50)의 가이드브라켓(52)이 설치되어 제1로드(36)와 가압브라켓(40)의 상하 이동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 제1구동부(34)의 동작으로 제1로드(36)가 상하로 이동되는 경우, 제1구동몸체(35)의 상측과 하측으로 돌출된 제1로드(36)는 동일하게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가압브라켓(40)은 지지부(20)에 하부가 지지된 현가부재(10)의 상측에 접하여 현가부재(10)의 상측 이동을 구속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브라켓(40)은 현가부재(10)의 양측 상부를 가압하는 한 쌍의 제1가압지그(42) 및 제1가압지그(42)와 이격되어 현가부재(10)의 몸체 상부를 지지하는 제2가압지그(44)를 포함한다.
제1가압지그(42)는 각관 형상으로 형성된 현가부재(10)의 상부를 가압하며 하측이 개구된 홈을 구비하며, 제2가압지그(44)는 "V"자 형상으로 형성된 현가부재(10)의 상측으로 삽입되는 가압돌기(46)를 구비한다. 제1가압지그(42)는 제1지지부(22)의 상측에 위치하며, 제1지지부(22)에 현가부재(10)의 각관부(14)가 안착된 상태에서 각관부(14)의 상측을 향하여 이동하여 각관부(14)의 이동을 구속한다. 제2가압지그(44)는 제2지지부(24)의 상측에 위치하며, 제2가압지그(44)에 현가부재(10)의 굽힘몸체(12)가 안착된 상태에서 굽힘몸체(12)의 상측의 홈부로 삽입되어 굽힘몸체(12)의 이동을 구속한다.
제2가압지그(44)는 금속부재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가압지그(44)가 하측으로 이동할 때 제2가압지그(44)의 양측은 하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현가부재(10)의 굽힘몸체(12) 양측에 걸린다. 또한 제2가압지그(44)의 가운데서 하측으로 연장된 가압돌기(46)는 굽힘몸체(12)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V"자 형상으로 형성된 굽힘몸체(12)의 상측홈부로 삽입되어 굽힘몸체(12)를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가이드부(50)는 제1로드(36)의 상하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1로드(36)를 상하로 가이드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가이드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50)는 가이드브라켓(52)과 가이드바(54)를 포함한다.
가이드브라켓(52)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로드(36)의 하측에 고정되어 제1로드(36)와 함께 상하로 이동된다. 가이드브라켓(52)의 하부에는 가압브라켓(40)이 고정되므로, 제1로드(36)의 상하 이동으로 가이드브라켓(52)과 가압브라켓(40)은 상하로 이동된다.
가이드바(54)는 봉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상하 방향으로 설치된다. 가이드바(54)의 하측은 가이드브라켓(52)에 연결되며, 가이드바(54)의 상측은 프레임부재(32)를 관통하여 상측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제1로드(36)의 상하 이동시 가이드바(54)가 연결된 가이드브라켓(52)도 상하로 이동되므로, 가이드바(54)에 의해 제1로드(36)의 상하 이동이 안정적으로 안내된다.
제2구동부(60)는 프레임부재(32)에 고정되며, 제1구동부(34)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여 제1구동부(34)의 제1로드(36)가 상측으로 이동됨을 구속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구동부(60)는 프레임부재(32)에 고정되는 제2구동몸체(62) 및 제2구동몸체(62)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로드(64)를 포함한다.
제2구동몸체(62)는 상하 방향으로 위치하며, 프레임부재(32)에 고정된다. 프레임부재(32)를 사이에 두고 제1구동부(34)는 프레임부재(32)의 전방에 위치하며 제2구동부(60)는 프레임부재(32)의 후방에 위치한다.
제2구동몸체(62)는 프레임부재(32)에 상하 방향으로 고정되며, 유체의 공급에 의해 제2로드(64)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제2로드(64)는 제2구동몸체(62)의 상측으로 돌출된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링크부(70)는 프레임부재(3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2구동부(60)에 연결되어 프레임부재(32)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제1구동부(34)의 상측을 커버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링크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링크부(70)는, 제1링크(71)와 링크브라켓(72)과 제2링크(74)와 내측링크(75)와 제3링크(76)와 지지링크(77)를 포함한다.
제1링크(71)는 제2로드(64)의 상측에 힌지 연결되며, 제2로드(64)와 함께 상하로 이동된다. 제1링크(71)의 일측은 제2로드(64)에 힌지 연결되며, 제1링크(71)의 타측은 제2링크(74)에 힌지 연결된다.
링크브라켓(72)은 제1링크(71)와 이격되어 프레임부재(32)에 고정된다. 프레임부재(32)의 상단의 양측면에 링크브라켓(72)이 고정된다. 링크브라켓(72)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금속브라켓의 상측에는 오목한 형상의 홈부가 구비된다. 링크브라켓(72)에는 제2링크(74)와 내측링크(75)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링크브라켓(72)의 사이에는 제1링크(71)와 내측링크(75)와 제3링크(76)가 위치한다.
제2링크(74)는 제1링크(71)와 링크브라켓(72)에 양측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ㄴ"자 형상으로 굽어지게 형성된다. 제2링크(74)의 하측은 링크브라켓(7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2링크(74)의 상측에는 제1링크(71)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2링크(74)의 몸체에는 내측링크(75)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내측링크(75)는 제2링크(74)의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링크브라켓(72)의 외형을 따라 이동된다. 내측링크(75)와 마주하는 링크브라켓(72)의 외측에는 내측링크(75)의 이동을 안내하는 곡선 형상의 이동안내홈부(73)가 구비되며, 이동안내홈부(73)에 접하는 내측링크(75)의 외측도 곡선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2로드(64)에 연동하는 내측링크(75)의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내측링크(75)는 2개의 링크브라켓(72) 사이에 위치한다.
제3링크(76)는 링크브라켓(72)과 내측링크(75)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내측링크(75)의 이동에 의해 링크브라켓(72)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제3링크(76)는 일측에는 지지링크(77)가 고정되며, 제3링크(76)의 타측은 링크브라켓(7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3링크(76)의 몸체는 내측링크(75)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지지링크(77)는 제3링크(76)에 고정되어 제3링크(76)와 함께 이동되며, 제1구동부(34)의 상측을 가압하여 제1구동부(34)의 상측 이동을 구속한다. 지지링크(77)는 제1로드(36)의 상측에 위치하며,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제1로드(36)의 상측을 가압하여 제1로드(36)의 후진을 방지한다.
베이스부(80)는 지지부(20)와 가압부(30)의 하부를 지지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80)는 베이스몸체(82)와 받침몸체(84)와 분사노즐(86)을 포함한다.
베이스몸체(82)는 이동부(90)에 연결되며, 저장부(100)의 내측에서 상하 이동이 이루어지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베이스몸체(82)의 하부에는 냉각수(102)가 이동되기 위한 통로가 복수로 구비되며, 저장부(100)의 내측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다.
받침몸체(84)는 베이스몸체(82)의 내측에 위치하며 지지부(20)와 가압부(30)의 하부를 지지한다. 받침몸체(84)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판 형상으로 제1지지부(22)와 제2지지부(24)의 하부에 연결된 지지베이스(26)가 상측에 고정된다.
베이스몸체(82)의 둘레를 따라 설치된 분사노즐(86)을 통해서도 냉각수(102)가 분사되므로, 현가부재(10)의 냉각을 위해 베이스부(80)가 하측으로 이동할 때 현가부재(10)를 향하여 냉각수(102)를 분사하므로 현가부재(10)의 냉각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동부(90)는 베이스부(80)를 상하 직선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이동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90)는, 이동지지부(92), 모터부재(94), 스크루바(96), 이동브라켓(98)을 포함한다.
이동지지부(92)는 상측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저장부(100)의 양측에 고정된다. 모터부재(94)는 이동지지부(92)에 고정되며 회전동력을 공급하며, 스크루바(96)는 모터부재(94)에 축 연결되어 회전된다. 스크루바(96)의 외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이러한 스크루바(96)는 이동브라켓(98)의 일측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이동브라켓(98)은 베이스몸체(82)에 연결되며, 스크루바(96)가 회전됨에 따라 스크루바(96)를 따라 상하 이동된다. 이동브라켓(98)의 상측은 스크루바(96)가 관통되며, 스크루바(96)와 마주하는 내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므로 스크루바(96) 회전시 이동브라켓(98)이 상하 이동된다. 이동브라켓(98)의 하부는 베이스부(80)에 연결되어 모터부재(94)의 구동에 의해 베이스부(80)를 상하로 이동시킨다.
저장부(100)는 이동부(90)의 측면에 위치하며, 현가부재(10)를 냉각시키는 냉각수(102)가 내측에 저장된다. 저장부(100)는, 베이스몸체(82)와 베이스몸체(82)를 지지하는 이동브라켓(98)이 상측으로 삽입되어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측이 개구된 형상으로 설치되며, 저장부(100)의 양측에 이동부(90)가 위치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부재용 열처리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20)에 현가부재(10)가 안착되기 전에는, 가압브라켓(40)은 상측으로 이동되며, 제2로드(64)는 하측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커버링크부(70)의 지지링크(77)는 제1로드(36)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제1로드(36)의 상측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가부재(10)가 설정된 온도로 가열된 뒤 열처리를 위하여 지지부(20)의 상측에 안착된다.
도 4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구동부(34)가 동작되어 제1로드(36)가 하측으로 이동한다. 제1로드(36)의 하측 이동으로 가압브라켓(40)도 하측으로 이동되어 현가부재(10)의 상측 이동을 구속한다.
도 1과 도 5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구동몸체(62)가 동작되어 제2로드(64)가 상측으로 이동하면, 이에 연동하여 커버링크부(70)가 회전되면서 지지링크(77)가 제1로드(36)의 상측을 가압한다. 지지링크(77)가 제1로드(36)의 상측을 가압한 상태에서 현가부재(10)가 하강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부재(94)가 동작되어 스크루바(96)가 회전되면, 스크루바(96)에 연결된 이동브라켓(98)이 하측으로 이동한다. 이동브라켓(98)의 하측 이동으로 베이스부(80)도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현가부재(10)가 저장부(100)에 저장된 냉각수(102)에 침수되어 고온상태의 몸체가 급냉된다. 현가부재(10)가 열처리될 때 현가부재(10)에 뒤틀림이 발생할 수 있으나, 제1구동부(34)에 의한 1차 가압과, 제2구동부(60)에 의한 2차 가압으로 현가부재(1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빔 형상의 현가부재(10)가 지지부(20)에 안착된 상태에서 가압부(30)가 현가부재(10)의 상측을 가압하여 열처리가 이루어지는 동안에 현가부재(10)의 변형을 방지하므로 현가부재(10)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가압부(30)에 의해 지지부(20) 상측에 현가부재(10)가 고정된 상태에서, 이동부(90)의 동작으로 현가부재(10)가 이동되어 냉각수(102)에 잠기거나 냉각수(102)의 상측으로 이동되는 동작이 자동화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일 실시예에 의한 현가부재로 토션빔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빔이나 관 형상으로 형성된 다른 부재의 열처리에도 본 발명에 의한 현가부재용 열처리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현가부재용 열처리장치
10: 현가부재 12: 굽힘몸체 14: 각관부
20: 지지부 22: 제1지지부 24: 제2지지부 26: 지지베이스
30: 가압부 32: 프레임부재 34: 제1구동부 35: 제1구동몸체 36: 제1로드
40: 가압브라켓 42: 제1가압지그 44: 제2가압지그 46: 가압돌기
50: 가이드부 52: 가이드브라켓 54: 가이드바
60: 제2구동부 62: 제2구동몸체 64: 제2로드
70: 커버링크부 71: 제1링크 72: 링크브라켓 73: 이동안내홈부 74: 제2링크 75: 내측링크 76: 제3링크 77: 지지링크
80: 베이스부 82: 베이스몸체 84: 받침몸체 86: 분사노즐
90: 이동부 92: 이동지지부 94: 모터부재 96: 스크루바 98: 이동브라켓
100: 저장부 102: 냉각수

Claims (12)

  1. 현가부재의 외형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홈을 형성하며, 상기 현가부재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현가부재의 외형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홈을 형성하며 상기 현가부재의 상부를 가압하는 가압부;
    상기 지지부와 상기 가압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를 직선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의 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현가부재를 냉각시키는 냉각수가 내측에 저장되는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이동부에 연결되며, 상기 저장부의 내측에서 상하 이동이 이루어지는 베이스몸체; 및
    상기 베이스몸체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지지부와 상기 가압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부재용 열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현가부재의 양측 하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제1지지부; 및
    상기 제1지지부와 이격되어 상기 현가부재의 몸체 하부를 지지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부재용 열처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는 각관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현가부재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측이 개구된 "ㄷ"자 형상의 홈을 구비하며,
    상기 제2지지부는 "V"자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현가부재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측이 개구된 "V"자 형상의 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부재용 열처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된 프레임부재;
    상기 프레임부재에 고정되며, 상하 방향으로 직선 이동을 하는 제1구동부; 및
    상기 제1구동부에 의해 상하 이동되며, 상기 지지부에 안착된 상기 현가부재의 상부를 가압하는 가압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부재용 열처리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프레임부재에 고정되며, 상기 제1구동부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을 하는 제2구동부; 및
    상기 프레임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구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부재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1구동부의 상측을 커버하는 커버링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부재용 열처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동부는, 상기 프레임부재에 고정되는 제2구동몸체; 및
    상기 제2구동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링크부는, 상기 제2로드에 힌지 연결되는 제1링크;
    상기 제1링크와 이격되어 상기 프레임부재에 고정되는 링크브라켓;
    상기 제1링크와 상기 링크브라켓에 양측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링크;
    상기 제2링크의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링크브라켓의 외형을 따라 이동되는 내측링크;
    상기 링크브라켓과 상기 내측링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내측링크의 이동에 의해 상기 링크브라켓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3링크; 및
    상기 제3링크에 고정되어 상기 제3링크와 함께 이동되며, 상기 제1구동부의 상측을 가압하여 상기 제1구동부의 상측 이동을 구속하는 지지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부재용 열처리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링크와 마주하는 상기 링크브라켓의 외측에는 상기 내측링크의 이동을 안내하는 곡선 형상의 이동안내홈부가 구비되며,
    상기 이동안내홈부에 접하는 상기 내측링크의 외측도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부재용 열처리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브라켓은, 상기 현가부재의 양측 상부를 가압하는 한 쌍의 제1가압지그; 및
    상기 제1가압지그와 이격되어 상기 현가부재의 몸체 상부를 지지하는 제2가압지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부재용 열처리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압지그는 각관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현가부재의 상부를 가압하며 하측이 개구된 홈을 구비하며,
    상기 제2가압지그는 "V"자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현가부재의 상측으로 삽입되는 가압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부재용 열처리장치.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저장부의 양측에 고정되는 이동지지부;
    상기 이동지지부에 고정되며,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모터부재;
    상기 모터부재에 축 연결되어 회전되는 스크루바; 및
    상기 베이스몸체에 연결되며 상기 스크루바를 따라 상하 이동되는 이동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부재용 열처리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베이스몸체와 상기 베이스몸체를 지지하는 이동브라켓이 상측으로 삽입되어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측이 개구된 형상으로 설치되며,
    상기 저장부의 양측에 상기 이동부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부재용 열처리장치.
KR1020150076472A 2015-05-29 2015-05-29 현가부재용 열처리장치 KR1016788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6472A KR101678854B1 (ko) 2015-05-29 2015-05-29 현가부재용 열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6472A KR101678854B1 (ko) 2015-05-29 2015-05-29 현가부재용 열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8854B1 true KR101678854B1 (ko) 2016-11-23

Family

ID=57541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6472A KR101678854B1 (ko) 2015-05-29 2015-05-29 현가부재용 열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885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107B1 (ko) * 2008-11-18 2011-07-08 주식회사화신 열간성형장치 및 열간성형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107B1 (ko) * 2008-11-18 2011-07-08 주식회사화신 열간성형장치 및 열간성형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85087A (ko) 벤딩 기능을 갖는 차량 프레임 용접용 지그장치
US9044828B2 (en) Clamping device and laser weld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1189060B1 (ko) 레이저 용접용 지그장치
PT1994997E (pt) Método e máquina de conformação para fabrico de um produto com vários diâmetros
KR101279357B1 (ko) 스트레치 벤딩기용 용접장치
KR102460305B1 (ko) 조립 주택의 스터드와 리브 용접용 위치조정가능한 클램핑지그장치
KR101616348B1 (ko) 롤러 헤밍 장치
KR101678854B1 (ko) 현가부재용 열처리장치
KR101181662B1 (ko) 용접 기능을 갖는 스트레치 벤딩장치
KR20140048352A (ko) 롤 레이저 용접기용 가이드 장치
KR101709052B1 (ko) 휠 접합을 위한 마찰 교반 용접장비
CN214685052U (zh) 一种水利工程用管道焊接装置
JP5556899B2 (ja) ローラヘミング装置
KR102248883B1 (ko) 벤딩 장치
JP3824777B2 (ja) ローラヘミング装置
KR102082101B1 (ko) 차량의 루프레일용 알루미늄관 벤딩머신
KR101247107B1 (ko) 롤 레이저 용접기용 가이드 장치
JP2020093261A (ja) 通電加熱装置
KR102460303B1 (ko) 조립 주택의 스터드 용접용 위치조정가능한 스터드 클램핑지그
KR20210080740A (ko) 용접용 클램핑 지그 장치
KR20110002973U (ko) 오버헤드 백 히팅 작업장치
KR102267140B1 (ko) 용접용 지그
KR101259357B1 (ko) 롤 레이저 용접장치
KR20040083857A (ko) 유로폼의 프레임용 자동 용접장치
CN208342000U (zh) 车灯焊接工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