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8520B1 - Fpso 모듈 탑재용 듀얼 해상 크레인 스프레더 빔 시스템 및 이를 가지는 해양구조물 - Google Patents

Fpso 모듈 탑재용 듀얼 해상 크레인 스프레더 빔 시스템 및 이를 가지는 해양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8520B1
KR101678520B1 KR1020150002824A KR20150002824A KR101678520B1 KR 101678520 B1 KR101678520 B1 KR 101678520B1 KR 1020150002824 A KR1020150002824 A KR 1020150002824A KR 20150002824 A KR20150002824 A KR 20150002824A KR 101678520 B1 KR101678520 B1 KR 101678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crane
pin joint
wire
tension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2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5609A (ko
Inventor
조동현
강민제
이철우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02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8520B1/ko
Publication of KR20160085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56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8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8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9/00
    • B63B9/06
    • B63B2009/00
    • B63B2009/0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 대의 크레인을 이용한 고중량물의 인양 시 크레인에 발생되는 수평 하중을 상쇄시켜 크레인의 인양 하중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FPSO 모듈 탑재용 듀얼 해상 크레인 스프레더 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듀얼 크레인에 와이어로 연결되는 후크가 후크핀조인트로 연결되는 복수의 후크 빔과, 상기 후크 빔과 후크 빔을 한 개의 핀조인트인 상부핀조인트로 연결하는 컴프레션 빔과, 상기 후크 빔의 하부에 연결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하부 끝단에 연결되어 수평 하중을 제어하는 텐션바와, 상기 텐션바의 양끝단에 하부핀조인트로 연결되어 모듈을 연결하는 링크플레이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FPSO 모듈 탑재용 듀얼 해상 크레인 스프레더 빔 시스템 및 이를 가지는 해양구조물{DUAL CRANE SPREADER BEAM SYSTEM FOR MODULE LIFTING FPSO AND THE OFFSHORE PLATFOR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FPSO 모듈 듀얼 탑재용 해상 크레인 스프레더 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두 대의 크레인을 이용한 고중량물의 인양 시 크레인에 발생되는 수평 하중을 상쇄시켜 크레인의 인양 하중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FPSO 모듈 탑재용 듀얼 해상 크레인 스프레더 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최근 들어, 공업화와 산업화가 가속화함에 따라 천연자원(석유, 천연가스 등)의 사용량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매장량이 한정된 천연자원의 안정적인 생산과 공급이 대단히 중요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이들 중 FPSO(부유식 원유/가스 생산저장하역설비: FL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는 현재 유전에서 원유를 생산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으며, LNG FPSO는 근래 들어 유전의 고갈 및 청정연료에 대한 수요의 증가로 인해 그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FPSO는 심해저 유전 개발에 있어서 해상에 부유한 상태로 원유나 천연 가스를 정제, 저장 및 하역할 수 있어 부유식 해상 정유공장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FPSO에는 가스압축공정, 주수, 또는 가스주입시스템 등과 같은 원유 생산설비가 설치되며, 분리된 원유는 화물창에 보관되었다가 하역시스템을 통하여 셔틀탱커로 이송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상기 FPSO의 선체 상부에는 상부모듈(TOPSIDE MODULE)이라 불리는 상부 원유정제설비가 마련되어 원유/가스를 효율적으로 생산하기 위한 여러 단계의 공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공정에는 분리, 수처리(WATER TREATMENT), 수분제거(DEHYDRATION), 압축을 포함하는 가스처리(GAS TREATMENT) 등이 포함된다.
상기 상부모듈은 FPSO의 선체와 달리 여러 곳에서 별도로 나뉘어 제작되는데, 상부모듈의 구조는 선박의 경우와 달리 강판(STEEL PLATE)보다 관상(TUBULAR)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상부모듈은 제각기 2,000 ~ 3,000톤의 중량을 갖는 10~16개의 모듈 형태로 설계, 제작된 후 해상 크레인을 통해 FPSO의 선체 위에 설치된다.
최근 FPSO 및 F-LNG 모듈은 4,000톤 이상의 대형 모듈이 만들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를 위해 해상 크레인은 상부모듈을 인양하여 FPSO의 선체 위로 상부모듈을 운반해 상부모듈을 정해진 위치에 탑재시키게 된다.
FPSO 모듈 중량이 약 4,000톤 이상 되기 때문에 기존의 3,600톤 해상크레인으로는 리프팅 수용능력을 초과하게 되며, 4개의 리프팅 포인트를 가진 탑사이드 모듈을 리프팅하기 위한 빔(beam) 개발의 필요성이 인식된다.
통상 1대의 해상 크레인에는 4개의 후크(hook)가 있고 2대의 크레인 사용시 8개의 후크를 가지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탑사이드 모듈을 탑재하기 위한 스프레더 빔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종래 기술의 해상 크레인(10)에 와이어(W)로 연결되는 스프레더 빔(20)은 구조적으로 모듈(30)의 하중에 맞추기 위해 과다한 크기 및 과중량의 구조를 가지게 됨으로써 스프레더 빔(20)에 큰 벤딩(bending)이 발생되며 수평 하중 발생시 상쇄시키기 어려운 문제점과 함께 8개의 후크(21)에 원하는 하중을 발생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해상 크레인 폭에 비해 리프팅 포인트가 좁아서 예각으로 인한 수평 하중이 발생하게 되는데, 수평 하중은 전체 크레인 후크 로드(hook load)에 영향을 미치게 되며, 수평 하중에 의해 원하는 하중을 만들 수가 없어 해상 크레인 인양 하중에 영향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와이어 및 스프레더 빔 구조가 연결되는 다수의 포인트에 한 개의 핀조인트(pin joint)를 구현시켜 각각의 후크에 원하는 하중을 발생시킬 수 있음으로 크레인의 최대 인양 리프팅 수용능력(capacity)을 가질 수 있어 FPSO 탑사이드 모듈을 리프팅할 수 있도록 하는 FPSO 모듈 탑재용 듀얼 해상 크레인 스프레더 빔 시스템 및 이를 가지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FPSO 탑사이드 모듈을 탑재하기 위해 크레인으로 리프팅하는 스프레더 빔 시스템에 있어서, 크레인에 설치되는 복수의 후크 빔; 상기 후크 빔 사이의 하부에 연결되는 컴프레션 빔; 상기 후크 빔의 하부에 연결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하부 끝단에 연결되어 수평 하중을 제어하게 되는 텐션바; 및 상기 텐션바의 양끝단에 설치되어 모듈을 연결하는 링크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후크 빔은, 스프레더 빔을 크레인에 와이어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양쪽에 후크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크는 후크 빔에 후크핀조인트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크 빔의 양쪽 하부에는 컴프레션 빔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후크 빔의 하부 전후에는 와이어가 걸어질 수 있도록 풀리(쉬브)가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컴프레션 빔은, 상기 양쪽의 후크 빔 사이에 후크 빔의 하측에서 수평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컴프레션 빔은 후크 빔과 상부핀조인트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는, 상기 좌우측 각각의 후크 빔의 중앙 하부에 연결되고 텐션바의 양쪽에 연결되면서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텐션바는, 상기 후크 빔에 연결되는 와이어를 연결시키며 모듈을 걸게 되는 링크플레이트와 하부핀조인트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텐션바는 와이어가 경사지게 연결될 수 있도록 컴프레션 빔 보다 가볍고 짧은 길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텐션바의 양끝단 전후에는 와이어가 걸어질 수 있도록 풀리(쉬브)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텐션바는 컴프레션 빔과 수평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링크플레이트는, 상기 텐션바의 양끝단에 하부핀조인트로 연결되며, 모듈 상부에 설치된 패드아이를 연결구로 연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한 고중량물의 모듈을 인양하기 위한 듀얼 크레인에 복수의 후크 빔이 연결되되 후크 빔을 상부핀조인트로 컴프레션 빔에 연결되고 양쪽의 후크 빔에 와이어를 텐션바와 연결하며 텐션바에 탑사이드 모듈을 연결하는 링크플레이트를 설치하여 듀얼 크레인을 이용하여 모듈을 인양 시 크레인에 발생되는 수평 하중을 상쇄시켜 크레인의 수용능력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FPSO 모듈 탑재용 듀얼 해상 크레인 스프레더 빔 시스템을 가지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FPSO 모듈 탑재용 듀얼 해상 크레인 스프레더 빔 시스템에 따르면, 크레인 폭에 비해 리프팅 포인트가 좁아 예각이 발생하고 수평하중이 발생되었던 것을 핀조인트로 연결되는 스프레더 빔을 듀얼 크레인에 설치하여 고중량물의 모듈을 인양하게 됨으로써 수평하중을 상쇄시켜 수평하중에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크레인의 인양 가능 하중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탑사이드 모듈을 탑재하기 위한 스프레더 빔의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해상 크레인 스프레더 빔 시스템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해상 크레인 스프레더 빔 시스템의 후크 빔과 컴프레션 빔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해상 크레인 스프레더 빔 시스템의 텐션바와 링크플레이트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해상 크레인 스프레더 빔 시스템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해상 크레인 스프레더 빔 시스템의 후크 빔과 컴프레션 빔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해상 크레인 스프레더 빔 시스템의 텐션바와 링크플레이트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FPSO 모듈 탑재용 듀얼 해상 크레인 스프레더 빔 시스템은, 후크 빔(200)과, 컴프레션 빔(300)과, 와이어(W)와, 텐션바(400)와, 링크플레이트(500)를 포함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후크 빔(200)은, 듀얼 크레인에 설치되며 스프레더 빔 시스템을 크레인(100)에 와이어(W)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양쪽에 후크(210)가 설치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후크(210)는 후크 빔(200)에 후크핀조인트(600)로 연결되어지게 된다.
즉, 상기 후크(210)와 후크 빔(200)을 후크핀조인트(600)로 연결하게 됨으로써 후크(210)와 후크 빔(200)의 회전 및 기울어짐이 가능하게 되어 모멘트(moment)를 상쇄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후크 빔(200)의 양쪽 하부에는 컴프레션 빔(3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부재(220)가 설치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후크 빔(200)의 하부 전,후에는 크레인(100)에 연결되는 와이어(W)가 연결될 수 있도록 풀리(쉬브)(P)가 설치되어지게 된다.
상기에서 후크 빔(200)은 8개의 후크(210)를 4개의 FPSO 탑사이드 모듈(700)을 리프팅 연결하기 위해 두 개의 후크(210)를 한 개로 모아주게 된다.
이에 두 개의 후크(210) 센터에서 하중이 발생하기 때문에 항상 두 개의 후크(210)가 동일한 하중이 발생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컴프레션 빔(300)은, 상기 후크 빔(200) 하부에 연결되며 좌,우측의 후크 빔(200)을 서로 연결하게 된다.
이때, 상기 컴프레션 빔(300)은, 상기 후크 빔(200)과 후크 빔(200)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되어지게 된다,
상기 컴프레션 빔(300)은 후크 빔(200)의 하부에 상부핀조인트(610)로 연결되어지게 된다.
상기에서 일 예로 69m 지점까지 벌어지는 후크(210)가 25 ~ 40m의 FPSO 모듈(700)을 들기 위해서는 수평하중이 발생하게 됨에 따라 상기 컴프레션 빔(300)으로 복수의 후크 빔(200)을 연결하게 되어 수평 하중을 상쇄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와이어(W)가 걸린 후크 빔(200)의 풀리(쉬브)(P)에서 수평하중이 발생하는 부분과 컴프레션 빔(300)을 동일한 상부핀조인트(610)를 만들어 수평 하중이 추가 모멘트를 만들지 않게 상쇄시키게 된다.
즉, 상기 후크 빔(200) 구조와 와이어(W)가 걸리는 풀리(쉬브)(P) 및 컴프레션 빔(300)이 연결되는 구조를 한 개의 핀조인트(pin joint)인 상부핀조인트(610)를 이용하여 연결시키게 되어 수평 하중이 크레인(100)에 전달되지 않게 된다.
이에 상기 상부핀조인트(610)의 한 개의 핀조인트가 수평력이 발생시키는 우력을 없애기 때문에 수평력으로 인해 크레인(100) 용량이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본 실시예의 와이어(W)는, 상기 후크 빔(200)에 설치되는 풀리(쉬브)(P)와 텐션바(400)에 연결되어 후크 빔(200)과 텐션바(400)를 연결시키게 된다.
상기 와이어(W)는 컴프레션 빔(300)의 양쪽에 연결되는 후크 빔(200)의 풀리(쉬브)(P)에 걸어지면서 텐션바(400)의 양쪽 각각에 연결되어 와이어(W)가 안쪽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지게 된다.
본 실시예의 텐션바(400)는, 상기 와이어(W)의 하부 끝단에 연결되어 구조적으로 발생하는 수평 하중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텐션바(400)의 양끝단 전,후에는 후크 빔(200)의 풀리(쉬브)(P)에 걸어지는 와이어(W)가 연결될 수 있도록 풀리(쉬브)(P)가 설치되어지게 된다.
상기 텐션바(400)는 후크 빔(200)에 연결되는 와이어(W)를 연결시키고 모듈(700)을 걸게 되는 링크플레이트(500)와 하부핀조인트(620)로 연결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텐션바(400)는 와이어(W)가 안쪽으로 경사지게 연결될 수 있도록 컴프레션 빔(300) 보다 짧은 길이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에서 풀리(쉬브)(P)와 링크플레이트(500) 및 텐션바(400)를 하부핀조인트(620)의 동일한 핀(pin)에 연결하게 되어 모멘트를 상쇄시킬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링크플레이트(500)는, 상기 텐션바(400)의 양끝단에 설치되어 고중량물의 모듈(700)을 연결하게 된다.
상기 링크플레이트(500)는 텐션바(400)의 양끝단에 하부핀조인트(620)로 연결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링플레이트(500)에는 모듈(700)을 리프팅하기 위해 모듈(700) 상부에 설치된 패드아이(710)를 연결시킬 수 있도록 연결구(510)가 결합되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전술한 2기의 크레인(100)에 와이어(W)로 연결되는 후크(210)가 후크핀포인트(600)로 후크 빔(200)에 설치되고 후크 빔(200)과 후크 빔(200)을 한 개의 핀조인트(pin joint)인 상부핀조인트(610)로 컴프레션 빔(300)에 연결하며 상기 후크 빔(200)에 텐션바(400)가 와이어(W)로 연결되고 상기 텐션바(400)에 하부핀조인트(620)로 고중량물의 모듈(700)을 걸기 위한 링크플레이트(500)가 설치되는 스프레더 빔 시스템을 크레인(100)에 설치하여 2대의 크레인(100)을 이용한 고중량물의 모듈(700) 인양 시 크레인(100)에 발생되는 수평 하중을 상쇄시켜 크레인(100) 인양 하중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FPSO 모듈 탑재용 듀얼 해상 크레인 스프레더 빔 시스템을 가지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에 적용되어지게 된다.
즉, 크레인(100)에 와이어(W)로 후크(210)가 연결되면서 후크(210)가 후크 빔(200)에 후크핀조인트(600)로 연결되며 후크 빔(200)과 컴프레션 빔(300)이 상부핀조인트(610)로 연결되고 후크 빔(200)에 와이어(W)로 연결되는 텐션바(400)와 링크플레이트(500)가 하부핀조인트(620)의 동일한 핀(pin)으로 연결되어짐으로써 와이어(W) 및 스프레더 빔 시스템의 연결 포인트에 한 개의 핀조인트를 구현시켜 수평 하중의 발생이 상쇄되어짐에 따라 각각의 후크(210)에 원하는 하중을 발생시킬 수 있어 크레인 최대 인양 수용능력(capacity)으로 FPSO 모듈을 리프링할 수 있는 모든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에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FPSO 모듈 탑재용 듀얼 해상 크레인 스프레더 빔 시스템에 따르면, 듀얼 크레인(100)에 와이어(W)로 연결되는 후크(210)가 후크 빔(200)에 후크핀조인트(600)로 연결되어 후크 빔(200)이 회전 및 기울어짐이 가능하여 모멘트(moment)를 상쇄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두 개의 후크(210)가 센터에서 하중이 발생하기 때문에 두 개의 후크(210)에 항상 동일한 하중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상기 후크 빔(200)과 후크(210)가 후크핀조인트(600)로 연결됨으로써 모멘트를 상쇄시켜 크레인(100)의 부하율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후크 빔(200)이 컴프레션 빔(300)에 연결되면서 상부핀조인트(610)로 연결됨으로써 수평 하중이 추가 모멘트를 만들지 않게 상쇄시켜 수평 하중이 크레인(100)에 전달되지 않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모듈(700)을 걸기 위한 링크플레이트(500)가 텐션바(400)와 하부핀조인트(620)로 연결되며 상기 텐션바(400)가 후크 빔(200)에 연결되는 와이어(W)에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W)와 링크플레이트(500) 및 텐션바(400)를 하부핀조인트(620)의 동일한 핀에 연결하여 모멘트를 상쇄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프레더 빔 시스템이 한 개의 핀조인트로 각각 연결되어지게 됨으로써 모멘트를 최소화시킬 수 있고 스프레더 빔 시스템 내에서 수평 하중을 상쇄시켜 크레인의 전체 인양 하중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크레인
200 : 후크 빔
210 : 후크
220 : 지지부재
300 : 컴프레션 빔
400 : 텐션바
500 : 링크플레이트
510 : 연결구
600 : 후크핀조인트
610 : 상부핀조인트
620 : 하부핀조인트
700 : 모듈
710 : 패드아이
W : 와이어
P : 풀리(쉬브)

Claims (14)

  1. FPSO 모듈을 탑재하기 위해 해상 크레인으로 리프팅하는 스프레더 빔 시스템으로서,
    상기 해상 크레인에 와이어로 연결되는 후크가 핀조인트로 연결되는 복수의 후크 빔;
    상기 후크 빔과 후크 빔을 핀조인트로 연결하는 컴프레션 빔;
    상기 후크 빔의 하부에 연결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하부 끝단에 연결되어 수평 하중을 제어하는 텐션바; 및
    상기 텐션바의 양끝단에 핀조인트로 연결되어 모듈을 연결하는 링크플레이트;
    를 포함하며,
    상기 후크 빔의 양쪽 하부에는 컴프레션 빔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PSO 모듈 탑재용 듀얼 해상 크레인 스프레더 빔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상기 후크 빔에 후크핀조인트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PSO 모듈 탑재용 듀얼 해상 크레인 스프레더 빔 시스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빔의 하부 전,후에는 와이어가 걸어질 수 있도록 풀리(쉬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PSO 모듈 탑재용 듀얼 해상 크레인 스프레더 빔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컴프레션 빔은,
    상기 후크 빔과 후크 빔 사이의 하측에서 수평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PSO 모듈 탑재용 듀얼 해상 크레인 스프레더 빔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컴프레션 빔은,
    상기 후크 빔과 한 개의 핀조인트인 상부핀조인트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PSO 모듈 탑재용 듀얼 해상 크레인 스프레더 빔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각각의 후크 빔 중앙 하부에 연결되고 텐션바의 양쪽에 연결되면서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PSO 모듈 탑재용 듀얼 해상 크레인 스프레더 빔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바는,
    상기 후크 빔에 연결되는 와이어를 연결시키며 모듈을 걸게 되는 링크플레이트와 하부핀조인트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PSO 모듈 탑재용 듀얼 해상 크레인 스프레더 빔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바는,
    상기 와이어가 경사지게 연결될 수 있도록 컴프레션 빔 보다 짧은 길이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PSO 모듈 탑재용 듀얼 해상 크레인 스프레더 빔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바의 양끝단 전,후에는 와이어가 걸어질 수 있도록 풀리(쉬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PSO 모듈 탑재용 듀얼 해상 크레인 스프레더 빔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바는,
    상기 컴프레션 빔과 수평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PSO 모듈 탑재용 듀얼 해상 크레인 스프레더 빔 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플레이트는,
    상기 텐션바의 양끝단에 하부핀조인트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PSO 모듈 탑재용 듀얼 해상 크레인 스프레더 빔 시스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플레이트에는 모듈 상부에 설치된 패드아이를 연결시킬 수 있도록 연결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PSO 모듈 탑재용 듀얼 해상 크레인 스프레더 빔 시스템.
  14. 제 1 항 내지 제 2 항 및 제 4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고중량물의 모듈을 인양하기 위한 크레인에 한 개의 핀조인트로 연결되어 수평 하중을 상쇄시켜 크레인 인양 가능 하중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FPSO 모듈 탑재용 듀얼 해상 크레인 스프레더 빔 시스템을 가지는 해양구조물.
KR1020150002824A 2015-01-08 2015-01-08 Fpso 모듈 탑재용 듀얼 해상 크레인 스프레더 빔 시스템 및 이를 가지는 해양구조물 KR101678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2824A KR101678520B1 (ko) 2015-01-08 2015-01-08 Fpso 모듈 탑재용 듀얼 해상 크레인 스프레더 빔 시스템 및 이를 가지는 해양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2824A KR101678520B1 (ko) 2015-01-08 2015-01-08 Fpso 모듈 탑재용 듀얼 해상 크레인 스프레더 빔 시스템 및 이를 가지는 해양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5609A KR20160085609A (ko) 2016-07-18
KR101678520B1 true KR101678520B1 (ko) 2016-11-22

Family

ID=56679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2824A KR101678520B1 (ko) 2015-01-08 2015-01-08 Fpso 모듈 탑재용 듀얼 해상 크레인 스프레더 빔 시스템 및 이를 가지는 해양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85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3574A (ko) * 2016-12-02 2018-06-12 김성국 머신 러닝을 이용한 중고 자동차 p2p 거래를 위한 중고 자동차 거래가격 결정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017736B1 (en) * 2016-11-07 2018-05-23 Heerema Marine Contractors Nl A method of handing over a load, and an arrangement to hand over a load.
CN114184320B (zh) * 2021-11-23 2024-04-19 大连船舶重工集团有限公司 一种fpso卸载系统称重试验工装及试验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2563A (ja) 2002-03-07 2003-09-10 Oriental Construction Co Ltd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撤去方法およびその際用いる吊り金具
JP2008213995A (ja) * 2007-03-01 2008-09-18 Kito Corp 荷役搬送用吊具及びこれを備えた荷役搬送装置並びに荷役搬送方法
JP2014073908A (ja) * 2012-10-05 2014-04-24 Jfe Steel Corp 玉掛け用吊り治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2563A (ja) 2002-03-07 2003-09-10 Oriental Construction Co Ltd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撤去方法およびその際用いる吊り金具
JP2008213995A (ja) * 2007-03-01 2008-09-18 Kito Corp 荷役搬送用吊具及びこれを備えた荷役搬送装置並びに荷役搬送方法
JP2014073908A (ja) * 2012-10-05 2014-04-24 Jfe Steel Corp 玉掛け用吊り治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3574A (ko) * 2016-12-02 2018-06-12 김성국 머신 러닝을 이용한 중고 자동차 p2p 거래를 위한 중고 자동차 거래가격 결정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5609A (ko) 2016-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781698B (zh) 锚索张紧方法
US7011473B2 (en) Method for underwater transportation and installation or removal of objects at sea
US2009026105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ep Water Deployment Operations
KR101678520B1 (ko) Fpso 모듈 탑재용 듀얼 해상 크레인 스프레더 빔 시스템 및 이를 가지는 해양구조물
NL2024562B1 (en) A feeder vessel
KR101356617B1 (ko) 해양 구조물의 다점 계류 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
EP3580121B1 (en) Upending device for upending an elongate support structure
CN102815373A (zh) 一种混合式深水系泊系统
AU2015341033A1 (en) Vessel hull for use as a hull of a floating hydrocarbon storage and/or processing plant, method for producing such a vessel hull, vessel comprising such a vessel hull, as well method for producing such a vessel having such a vessel hull
KR20140141766A (ko) 선박의 앵커 체인 탑재방법
KR20140030476A (ko) 플레어 타워의 분할 탑재 방법
EP3732097A1 (en) A semi submersible vessel
JP6752682B2 (ja) 起重機船による吊荷の設置方法
US20160137267A1 (en) Method of supporting a chain stopper on a vessel, a chain stopper assembly for a vessel, and a vessel
KR20160001236U (ko) 걸이 형 모노레일 직렬 연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해양구조물
CN105947910A (zh) Fpso克令吊上部结构的吊装工艺
KR200482095Y1 (ko) 탑사이드 모듈 구조물 및 이를 구비한 해양 구조물
KR20160005887A (ko) 해상 크레인의 리깅장치
AU2013332507B2 (en) Midwater arch system
US10710845B2 (en) Method of handing over a load, and an arrangement to hand over a load
KR20230083564A (ko) 시스템 발판의 상판 구조물 해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발판의 상판 구조물 해체방법
KR101695487B1 (ko) 구조물의 탑재 방법 및 이를 위한 크레인 결속장치
NO316504B1 (no) Forankringssystem
AU2011303522B2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line-laying operations
KR200486860Y1 (ko) Fpso 내 모노레일 연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