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8120B1 - 여성 장애인용 패드 용구 - Google Patents

여성 장애인용 패드 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8120B1
KR101678120B1 KR1020150014653A KR20150014653A KR101678120B1 KR 101678120 B1 KR101678120 B1 KR 101678120B1 KR 1020150014653 A KR1020150014653 A KR 1020150014653A KR 20150014653 A KR20150014653 A KR 20150014653A KR 101678120 B1 KR101678120 B1 KR 101678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unit
pads
women
fe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4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3825A (ko
Inventor
백준상
김진성
이우진
공나연
황혜민
Original Assignee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50014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8120B1/ko
Publication of KR20160093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38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8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8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61F13/15268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reus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0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separable parts, e.g. combination of disposable and reus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 A61F2013/42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having an electronic device

Abstract

본 발명은 여성 정신 장애인들의 여성용 패드의 사용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교체 시기를 인지할 수 있는 여성 장애인용 패드 용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초경을 갓 지난 여성 정신 장애인을 위한 여성 장애인용 패드 용구에 있어서, 손목에 착용하여 패드 교체 시간을 알려주는 알람 장치; 및 다수의 단위 패드가 적층되어 구성되며, 상단 단위 패드가 가장 길며, 하단부로 가면서 점차적으로 길이가 줄어드는 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여성 장애인용 패드 용구{Hygienic band appliance for mentally retarded women}
본 발명은 여성 장애인용 패드 용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초경을 시작한 여성 지체장애인용 패드 용구에 관한 것이다.
성인 여성들은 일정한 주기로 생리용 패드(생리대)를 사용하며, 상기 패드는 주로 일회용으로 사용되며, 다양한 형태들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공개특허 제1994-7000040호에는 측면 날개판을 지닌 생리대에 관한 것이다. 이 생리대는 주요부와 이 주요부의 우측과 좌측에서 부터 신장된 날개판을 포함하며, 그 날개판의 각 말단은 그 날개판의 이면이 내측으로 오도록 접혀지고, 그 접힘부는 접착제 부와 이와 마주하고 있는 박리부로 박리가능하게 겹쳐져 있은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공개특허 제1998-702461호에는 이차 흡수부재에 고정된 일차 흡수 부재를 포함한다. 일차 흡수 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액체 불투과성인 외부 커버에 둘러싸인 흡수 코어를 포함한다. 이차 흡수 부재는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이트와 이에 연결된 흡수 물질을 포함한다. 임의적으로, 이차 흡수 부재는 배면시이트, 배면시이트에 연결된 상면시이트 및 배면시이트와 상면시이트 사이에 위치한 흡수 코어를 포함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공개특허 제1998-0033925호에는 월경액은 흡수하는 흡수체가 겉커버와 백시트에 의해 둘러싸인 상태로 이루어진 몸체를 구비하는 생리대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전, 후(앞, 뒤) 양 단부에 월경액이 전, 후로 새는 것을 방지하는 전, 후 플랩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공개특허 제1997-0703119호에는 유체 투과성 상면시이트, 상기 상면시이트에 연결된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이트 및 상기 상면시이트와 상기 배면시이트 사이에 위치된 주변부를 갖는 흡수코어를 포함하는, 주변부를 갖는 생리대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여성용 패드들은 일회용 단일 패드로 구성된 것으로, 제안된 목적에 부합하는 특징이 있으며, 특히 분비물 등의 누설을 방지하는 높은 장점들이 있다.
한편, 여성 장애인, 특히 초경이 시작된 여성 정신 장애인의 경우에는 주로 초등학생 고학년 또는 중학생으로 여성용 패드의 사용이 서툴고, 또한 복잡한 착용 방법 등을 인지하지 못하여 적절한 시간에 패드의 착용이 불가한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해당 장애인의 보호자가 동반된 생활에서는 보호자에 의하여 패드의 착용 등을 지원받을 수 있으나, 교육 등 사회적 활동 시기에는 보호자의 부재에 의하여 독자적인 착용이 필요하나, 이에 대한 대처가 미비하고, 다른 보호자의 경우에는 해당 여성이 패드가 필요한지 여부를 인지하지 못하여 역시 적절한 지원을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여성 정신 장애인이 보호자 없이 사회적인 활동을 하는 경우에도 독자적으로 착용할 수 있으면서, 또한 다른 보호자들도 패드의 착용을 인지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여성용 패드 용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에 의하여 안출된 것으로 여성 정신 장애인들의 여성용 패드의 사용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교체 시기를 인지할 수 있는 여성 장애인용 패드 용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초경을 갓 지난 여성 정신 지체 장애인을 위한 여성 장애인용 패드 용구에 있어서, 손목에 착용하여 패드 교체 시간을 알려주는 알람 장치; 및 다수의 단위 패드가 적층되어 구성되며, 상단 단위 패드가 가장 길며, 하단부로 가면서 점차적으로 길이가 줄어드는 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위 패드는 전방에는 그립의 편리를 위한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부층의 단위 패드에 형성된 관통홀이 노출되도록 단위 패드가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위 패드는 상단 단위 패드와 중간 단위 패드가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간 단위 패드 하단에는 하단 단위 패드가 더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간 단위 패드와 하단 단위 패드의 측면에는 그립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간 단위 패드와 하단 단위 패드는 상기 관통홀이 형성된 반대편의 끝단은 서로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알림 장치는 시계형태의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위치하는 처리장치, 상기 처리장치와 연동하는 무선모듈, 상기 본체 전면에 형성되는 출력부, 상기 처리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상기 처리장치와 연동하는 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처리장치는 사전에 입력된 시간에 상기 출력부를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선모듈은 별도의 스마트폰을 통하여 상기 처리장치에 알람시간을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여성 장애인용 패드 용구는 손목에 착용하는 알람 장치를 통하여 패드의 교체 시기를 손쉽게 인식할 수 있으며, 또한 패드 자체도 다수의 일회용 패드가 적층형태로 구성되어, 하나의 패드로도 몇회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패드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일정 회수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여성 정신 장애인, 특히 초경이 갖 지난 여성 정신 장애인들의 사회적 활동을 편리하게 지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여성 장애인용 패드 용구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알람 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패드의 구성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패드 끝단의 구성도이며,
도 5은 도 4의 다른 실시예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여성 장애인용 패드 용구(100)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성 장애인 특히 초경을 시작하는 여성 정신 장애인(정신 지체 장애인 포함)이 착용하는 알람 장치(90)와 패드(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알람 장치(90)는 장애인이 팔에 착용하는 시계형태이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91)와 상기 본체(91) 내부에 장착되는 처리장치(92), 모선모듈(93), 출력부(94) 및 배터리(95)로 구성된다.
상기 처리장치(92)는 별도의 타이머 기능을 포함하고 있으며, 필요한 경우 외부에서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96)를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현재 시간 등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96)를 통하여 알람을 설정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모선모듈(93)을 통하여 보호자의 스마트폰을 통하여 알람을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이때 상기 무선모듈(93)은 블루투스로 상기 스마트폰과 연동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처리장치(92)는 설정된 시간에 상기 출력부(94)를 구동하여 착용자에게 패드 교체를 알람한다. 상기 출력부(94)는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발생장치를 포함하며, 본체(91) 전면에 엘시디 등을 이용한 화면출력 장치를 포함하여 진동과 더불어 화면으로 알람을 출력한다. 이때 진동을 일정시간 출력하도록 구성하며, 별도의 입력부(96)를 조작하는 경우 해제되도록 구성하며, 화면 출력 역시 동일한 방법으로 제어한다.
따라서 착용자는 상기 알람 장치(90)를 통하여 패드의 교체 시기를 인식할 수 있으며, 특히 초경을 맞이한 정신 장애인의 경우, 초등학교 고학년 또는 중학생 정도의 연령이므로, 상기 방식의 알람을 정확하게 해당 시기를 알려주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여성 장애인용 패드 용구(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패드(10)는 다수의 단위 패드(20)가 적층된 형태로 구성되며, 각 단위 패드(20)는 상단 단위 패드(31), 중간 단위 패드(32) 및 하단 단위 패드(33)로 구분된다.
상기 적층된 각 단위 패드(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부에는 관통홀(21)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쉽게 그리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중간 단위 패드(32)는 상기 상단 단위 패드(31)에 비하여 짧은 길이로 구성하며, 이때 중간 단위 패드(32)는 상단 단위 패드(31)에 형성된 관통홀(21)이 노출되는 길이로 구성된다.
이때 하단 단위 패드(33) 역시 상기 중간 단위 패드(32)와 동일한 관계로 구성된다.
그리고 각 단위 패드(31) 사이는 가압하여 박리할 수 있는 형태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박리 가능한 부착은 통상의 방법으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 단위 패드(32)와 하단 단위 패드(33)의 끝단 하부에는 분리의 편리를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부(22)를 추가하여 구성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그립부(22)는 하단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립핑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패드(10)의 우측 끝단은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일치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나, 필요한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으로 갈수로 좌측으로 부착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위 패드(20)는 3개를 적층하여 구성하므로, 한번 착용 시 별도로 새로운 패드(10)를 소지할 필요가 없으므로 정신 장애인들이 사용하기에 편리하다. 필요한 경우에는 2개의 적층 구조로 구성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하나의 적층 구조를 추가할 수도 있으나, 4개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전체 두께 증가로 인하여 실질적인 사용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을 모두 포함한다.
10: 패드 20: 단위 패드
21: 관통홀 22: 그립부
31: 상단 단위 패드 32: 중간 단위 패드
33: 하단 단위 패드 90: 알람 장치
91: 본체 92: 처리장치
93: 무선모듈 94: 출력부
95: 배터리 96: 입력부
100: 여성 장애인용 패드 용구

Claims (10)

  1. 초경을 갓 지난 여성 정신 장애인을 위한 여성 장애인용 패드 용구에 있어서,
    손목에 착용하여 패드 교체 시간을 알려주는 알람 장치; 및
    다수의 단위 패드가 적층되어 구성되며, 상단 단위 패드가 가장 길며, 하단부로 가면서 점차적으로 길이가 줄어드는 패드;를 포함하되,
    상기 단위 패드는 전방에는 그립의 편리를 위한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부층의 단위 패드에 형성된 관통홀이 노출되도록 단위 패드가 적층되며,
    상기 알람 장치는 시계형태의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위치하는 처리장치, 상기 처리장치와 연동하는 무선모듈, 상기 본체 전면에 형성되는 출력부, 상기 처리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상기 처리장치와 연동하는 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 장애인용 패드 용구.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위 패드는 상단 단위 패드와 중간 단위 패드가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 장애인용 패드 용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중간 단위 패드 하단에는 하단 단위 패드가 더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 장애인용 패드 용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중간 단위 패드와 하단 단위 패드의 측면에는 그립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 장애인용 패드 용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중간 단위 패드와 하단 단위 패드는 상기 관통홀이 형성된 반대편의 끝단은 서로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 장애인용 패드 용구.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처리장치는 사전에 입력된 시간에 상기 출력부를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 장애인용 패드 용구.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무선모듈은 별도의 스마트폰을 통하여 상기 처리장치에 알람시간을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 장애인용 패드 용구.
KR1020150014653A 2015-01-30 2015-01-30 여성 장애인용 패드 용구 KR101678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4653A KR101678120B1 (ko) 2015-01-30 2015-01-30 여성 장애인용 패드 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4653A KR101678120B1 (ko) 2015-01-30 2015-01-30 여성 장애인용 패드 용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3825A KR20160093825A (ko) 2016-08-09
KR101678120B1 true KR101678120B1 (ko) 2016-11-23

Family

ID=56712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4653A KR101678120B1 (ko) 2015-01-30 2015-01-30 여성 장애인용 패드 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81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44276A (zh) * 2016-08-26 2017-01-25 芜湖悠派护理用品科技股份有限公司 应用于拉拉裤的自动提醒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2922Y1 (ko) 2000-08-25 2001-05-15 김판수 이중구조 생리대
KR100370309B1 (ko) * 1994-04-29 2003-06-19 멕네일-피피시, 인코포레이티드 여성용 흡수성 위생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3095230A1 (en) * 2011-12-21 2013-06-27 Sca Hygiene Products Ab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monitoring use of an absorbent product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00821B2 (en) * 2007-08-30 2010-04-2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the need to replace an absorbent artic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0309B1 (ko) * 1994-04-29 2003-06-19 멕네일-피피시, 인코포레이티드 여성용 흡수성 위생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222922Y1 (ko) 2000-08-25 2001-05-15 김판수 이중구조 생리대
WO2013095230A1 (en) * 2011-12-21 2013-06-27 Sca Hygiene Products Ab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monitoring use of an absorbent produ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3825A (ko) 2016-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13835B2 (ja) 多層内に弾性体を有する吸収性物品
JP3995124B2 (ja) ずり上げ穴付大人用完全パンツ型おむつとその製法
US20140135723A1 (en) Absorbent Articles With Feedback Signal Upon Urination
EP2165687A3 (en) A disposable absorbent artcle designed to facilitate an easy intuitive change
JP2017099942A (ja) 多数のグラフィックゾーンを有する吸収性物品
AR044441A1 (es) Prenda quitapon desechable
ATE251437T1 (de) Flexibeler,absorbierender artikel mit steifheit vor der verwendung
MXPA04005060A (es) Calzoncillo de aprendizaje desechable especificamente disenado para aprendizaje de uso del retrete de etapa tardia.
CN112074257A (zh) 用于监控婴儿基本需求的传感器装置和系统
JP2008188349A (ja) テープファスナを備える使い捨ておむつ
CN206167143U (zh) 一种非暴露性的骨盆骨折固定支具结构
KR101678120B1 (ko) 여성 장애인용 패드 용구
KR102081491B1 (ko) 치매환자용 기저귀
SE518063C2 (sv) Absorberande alster med markeringar på bältesdelarna
JPH0192403A (ja) 使い捨ておむつ
JPH06121812A (ja) 生理用パンツ
JPH10314220A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2015223256A (ja) 使い捨ておむつ
JP2006328601A (ja) 失禁者用パンツ、吸収性部材及び抜け防止部材
KR20100003962U (ko) 용변 주머니 탈부착용 팬티
CN212996950U (zh) 一种儿童颈部束缚带
KR101727098B1 (ko) 분리결합형 용변 패드 및 이를 구비한 기저귀
JP2004305601A (ja) 使い捨ておむつ
CN218739316U (zh) 眼部专用冰袋罩
JP2015016074A (ja) 袋状補助具、及びおむつ用補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