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8109B1 - 점화코일 경화장치 - Google Patents

점화코일 경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8109B1
KR101678109B1 KR1020150140680A KR20150140680A KR101678109B1 KR 101678109 B1 KR101678109 B1 KR 101678109B1 KR 1020150140680 A KR1020150140680 A KR 1020150140680A KR 20150140680 A KR20150140680 A KR 20150140680A KR 101678109 B1 KR101678109 B1 KR 101678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unit
door
curing
ign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0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무
이수호
고대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테크
Priority to KR1020150140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81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8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8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2Ignition, e.g. for IC eng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gnition Installation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점화코일이 적재된 코일적재부의 상기 점화코일을 경화하는 점화코일 경화장치는, 상기 점화코일이 적재된 코일적재부가 유입되고, 유입된 상기 점화코일을 경화하는 경화부와, 상기 경화부로 상기 코일적재부 유입에 따라 개폐되는 제1 도어를 포함하는 경화유닛 및 상기 경화유닛의 일 측에 설치되며, 상기 코일적재부 유입에 따라 자동 개폐되는 제2 도어와, 상기 제1 도어 및 상기 제2 도어 사이에 상기 제2 도어로 유입된 상기 코일적재부가 거치되는 거치부를 포함하는 코일유입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유입유닛에는 하나의 상기 코일적재부가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점화코일 경화장치{Curing Apparatus of Spark Coil}
본 발명은 점화코일 경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점화코일을 경화하는 점화코일 경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내연기관은 연소가스의 팽창을 기계적인 일에 이용하는 기관이다. 이러한 내연기관 중 가솔린 기관은 연료의 연소를 위해 별도의 점화장치를 필요로 한다.
상기 점화장치는 가솔린 기관의 연소실에 조합되어 불꽃을 튀겨 가솔린 기관의 연소실 내 혼합가스를 압축하는 점화 플러그와, 운전석에 부착되어 점화장치 회로의 전류를 단속하여 가솔린 기관을 시동하거나 정지시키는 스위칭 동작하는 점화 스위치와, 상기 점화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작동되어 상기 점화 플러그가 강한 불꽃을 튀도록 배터리나 발전기의 저전압을 고전압으로 유도하는 점화 코일을 포함한다.
상기 점화장치로 고전압을 전달하는 점화코일은 성형된 점화코일에 에폭시 혼합액을 주입한 후, 에폭시 혼합액을 경화시키는 경화장치에 점화코일을 투입하는 과정을 통해 제조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점화코일 경화장치(1)는 점화코일을 경화시키는 경화부(2)와, 경화부(2)에 설치되며, 상기 코일적재부(50)가 경화부(2)로 투입되도록 하는 도어(3)를 포함한다.
상기 경화장치(1)는 경화장치(1) 외부에서 경화가 이루어질 수 있는 적정량의 코일적재부(50)를 적재한 뒤, 적재된 코일적재부(50)를 경화부(2)에 투입시켜 경화하는 방식으로 점화코일을 경화한다.
상기와 같이 코일적재부(50)가 일정량 이상이 적재된 후 경화부(2)에 투입되기 때문에 점화코일에 주입된 에폭시 혼합액이 외부 온도와 반응하여 에폭시 혼합액의 점도가 상승하거나, 에폭시에 함유된 필러가 침전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에폭시의 온도를 상승시키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에폭시의 물성이 변화할 수 있고, 그 결과, 에폭시가 100% 경화되지 않게 되어 불량 점화코일이 제조되어 점화코일의 신뢰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점화코일의 신뢰성이 향상되도록 점화코일을 경화하는 점화코일 경화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점화코일이 적재된 코일적재부의 상기 점화코일을 경화하는 점화코일 경화장치는, 상기 점화코일이 적재된 코일적재부가 유입되고, 유입된 상기 점화코일을 경화하는 경화부와, 상기 경화부로 상기 코일적재부 유입에 따라 개폐되는 제1 도어를 포함하는 경화유닛 및 상기 경화유닛의 일 측에 설치되며, 상기 코일적재부 유입에 따라 자동 개폐되는 제2 도어와, 상기 제1 도어 및 상기 제2 도어 사이에 상기 제2 도어로 유입된 상기 코일적재부가 거치되는 거치부를 포함하는 코일유입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유입유닛에는 하나의 상기 코일적재부가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일유입유닛은, 상기 코일유입유닛으로 상기 코일적재부 유입 시, 상기 제2 도어에 인접한 상기 코일적재부를 감지하는 센싱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센싱부는, 상기 제2 도어에 설치되며, 상기 코일유입유닛의 선단이 상기 제2 도어에 접하면 개방되고, 상기 코일유입유닛의 후단이 상기 제2 도어에 접하면 제2 도어가 폐쇄되도록 상기 코일적재부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는 터치센터일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상기 센싱부는, 상기 코일유입유닛에 유입되는 상기 코일적재부를 감지하고, 상기 코일적재부 감지 시, 기 설정된 상기 코일유입유닛에 유입되는 상기 코일적재부의 유입시간에 따라 상기 제2 도어가 개폐되도록 타이머가 설정될 수도 있다.
상기 적재부재는, 상기 코일적재부가 거치되며, 적재된 상기 코일적재부를 상기 경화유닛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와, 상기 코일적재부가 상기 적재부재로 투입되는 투입방향과, 상기 코일적재부가 상기 이동부 상에 안착된 안착위치 사이에서 상기 코일적재부의 하면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며, 상기 안착위치 시, 상기 코일적재부의 하중을 지지하는 안착부와, 상기 이동부 상면과 상기 코일적재부 사이에 간격을 형성하여 다른 하나의 코일적재부가 상기 간격에 투입되도록 상기 안착부에 거치된 상기 코일적재부를 상승시키는 리프트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코일적재부는, 상기 코일적재부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다른 하나의 코일적재부가 상기 코일적재부 상에 안착되도록 적재지지부를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코일유입유닛의 제2 도어와 인접하며, 상기 코일적재부를 코일유입유닛으로 투입시키는 튜입유닛을 더 포함한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점화코일을 경화하는 경화유닛의 일 측에 밀폐 가능한 코일유입유닛을 설치하고, 코일유입유닛에 코일적재부를 적재함으로써, 경화를 위해 일정량 이상 코일적재부가 적재되는 동안 코일적재부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코일적재부에 적재된 점화코일에 도포되어 잇는 에폭시 혼합액이 외부와 접촉하여 변성되는 것을 막아 점화코일의 경화 불량을 최소화하며, 점화코일의 생산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점화코일 경화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점화코일 경화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점화코일 경화장치를 통해 점화코일을 경화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적재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적재부재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점화코일 경화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점화코일 경화장치를 통해 점화코일을 경화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적재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적재부재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점화코일이 적재된 코일적재부(50)의 상기 점화코일을 경화하는 점화코일 경화장치(100)는, 점화코일이 적재된 코일적재부(50)가 유입되고, 유입된 점화코일을 경화하는 경화부(120)와, 경화부(120)로 코일적재부(50) 유입에 따라 개폐되는 제1 도어(140)를 포함하는 경화유닛(100) 및 경화유닛(100)의 일 측에 설치되며, 코일적재부(50) 유입에 따라 자동 개폐되는 제2 도어(240)와, 제1 도어(140) 및 제2 도어(240) 사이에 제2 도어(240)로 유입된 코일적재부(50)가 거치되는 거치부(220)를 포함하는 코일유입유닛(200)을 포함하고, 코일유입유닛(200)에는 하나의 코일적재부(50A)가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경화를 위하여 에폭시 혼합액이 주입된 점화코일을 경화하는 경화유닛(100)의 일 측에 코일적재부(50)가 거치되는 거치부(220)을 포함하는 코일유입유닛(200)을 설치하여, 코일적재부(50)가 경화장치(100) 외부에서 대기하지 않고, 점화코일의 선 처리인 에폭시 혼합액이 도포된 코일적재부(50)가 바로 코일유입유닛(200)으로 투입된다. 에폭시 혼합액이 도포된 코일적재부(50)가 외부에 노출되는 시간을 최소화하여 에폭시 혼합액이 온도 변화에 의해 점도, 물성 등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에폭시 혼합액에 함유된 필러가 침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점화코일 경화 시, 점화코일의 불량 발생을 최소화하여 점화코일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른 점화코일 경화장치(100)를 살펴보면, 상기 경화유닛(100)은 점화코일을 경화시키는 장치이다. 이를 위하여, 경화유닛(100) 내부에는 경화부(12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경화부(120)는 다수의 점화코일이 경화되도록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되어 복수의 코일적재부(50)가 수납될 수 있다.
상기 제1 도어(140)는 경화부(120)의 일 측에 설치되며, 경화부(120)에 코일적재부(50)가 수납되면, 경화부(120)를 폐쇄시킨다.
또한, 상기 경화유닛(100)의 일 측에는 코일적재부(50)가 유입되어 거치될 수 있는 코일유입유닛(200)이 설치된다. 상기 코일유입유닛(200)은 평소에는 밀폐된 공간이다가, 코일적재부(50)가 유입되면 제2 도어(240)가 개방되고, 코일적재부(50)가 코일유입유닛(200)에 유입되면 제2 도어(240)가 폐쇄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보다 자세하게, 코일유입유닛(200)은 제1 도어(140)와 인접하게 코일적재부(50)가 거치되는 거치부(2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거치부(220)는 제1 도어(140)의 전방으로 연장된 바닥부(222)와, 경화유닛(100)의 상, 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측면부(224)를 포함한다.
상기 바닥부(222)는 코일적재부(50)가 거치되도록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코일적재부(50)의 너비와 동일하거나 코일적재부(50)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부(224)는 제1 도어(140)가 코일유입유닛(200) 내에서 개방되도록 제1 도어(140)가 개방되었을 때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다. 즉, 일반적으로 경화유닛(100)의 제1 도어(140)는 상, 하 방향으로 개폐된다. 이때, 제1 도어(140)가 개방되었을 때, 제1 도어(140)가 코일유입유닛(200)의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측면부(224)를 최대로 높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도어(140)가 코일유입유닛(200) 내에서 개폐되면서 경화를 위해 제1 도어(140)가 개방되어도 경화유닛(100)에 투입되는 코일적재부(50)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점화코일 경화를 위한 에폭시 혼합액의 변성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코일유입유닛(200)에는 하나의 코일적재부(50A)가 투입될 수 있다. 즉, 경화 전 단계인 에폭시 혼합액을 도포함 점화코일을 밀폐 가능한 코일유입유닛(200)에 투입하여 코일적재부(50)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코일유입유닛(200)의 제2 도어(240)는 코일유입유닛(200)으로 유입되는 코일적재부(50)의 유입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된다. 이를 위하여, 코일유입유닛(200)은, 코일유입유닛(200)으로 코일적재부(50)가 유입될 때, 제2 도어(240)에 인접한 코일적재부(50)를 감지하는 센싱부(260)를 포함한다.
상기 센싱부(260)는 예를 들어, 코일유입유닛(200)으로 유입되는 코일적재부(50)의 선단이 제2 도어(240)에 접하면 개방되고, 코일적재부(50)의 후단이 제2 도어(240)에 접하면 제2 도어(240)가 폐쇄되도록 코일적재부(50)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는 터치센서 중 하나일 수 있다.
이때, 센싱부(260)는 제2 도어(240)에 설치되어 용이하게 코일적재부(50)의 감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센싱부(260)의 설치 위치는 발명의 조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센싱부(260)는 타이머가 설정되어, 코일유입유닛(200)에 유입되는 코일적재부(50)를 감지하고, 기 설정된 코일적재부(50)의 유입 시간에 맞추어 제2 도어(240)가 개폐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다시 도면을 참고하면, 점화코일 경화장치(100)는, 거치부(220)에 설치되고, 제2 도어(240)로 유입된 코일적재부(50)가 적재되는 적재부재(300)를 포함한다.
상기 적재부재(300)는 코일유입유닛(200)으로 유입된 코일적재부(50)가 거치되며, 거치된 코일적재부(50)를 경화유닛(100)으로 이동시키는 부재이다. 이를 위하여 적재부재(300)는 적재된 코일적재부(50)를 경화유닛(100)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320)와, 코일적재부(50)가 적재부재(300)로 투입되는 투입방향과, 코일적재부(50)가 이동부(320) 상에 안착된 안착위치 사이에서 코일적재부(50)의 하면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며, 안착위치 시, 코일적재부(50)의 하중을 지지하는 안착부(340)와, 이동부(320) 상면과 코일적재부(50) 사이에 간격을 형성하여 상기 간격에 다른 하나의 코일적재부(50B)가 투입되도록 안착부(340)에 거치된 코일적재부(50)를 상승시키는 리프트부(36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동부(320)는 제2 도어(240)에서부터 제1 도어(140)까지 연장되게 형성되며, 제1 도어(140) 및 제2 도어(240)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제2 도어(240)로 유입된 코일적재부(50)를 자동으로 경화유닛(100)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동부(320)는 거치부(220)의 바닥부(222)에 설치되며, 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회전롤러(322)와, 회전롤러(322) 상에 설치되며, 회전롤러(322)의 회전에 의해 제1 도어(140) 및 제2 도어(240) 사이에서 이동하며 안착된 코일적재부(50)를 경화유닛(100)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벨트(324)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코일유입유닛(200)에 투입된 코일적재부(50)가 경화를 위한 적정량 이상 적재되면, 회전롤러(322)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회전롤러(322)의 회전에 의해 이동벨트(324)가 경화장치(10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1 도어(140)가 개방되면서, 코일적재부(50)가 경화유닛(100)으로 투입될 수 있다.
한편, 안착부(340)에 대해서 설명하기에 앞서, 코일적재부(50)는 하나씩 코일유입유닛(200)에 투입되되 경화유닛(100)에서 경화가 이루어질 수 있는 적정량까지 복수 개가 적재된다. 이때, 가장 먼저 투입된 코일적재부(50)를 하나의 코일적재부(50A)라고 하고, 상기 하나의 코일적재부(50A) 상에 적재되는 코일적재부(50)를 다른 하나의 코일적재부(50B)라고 지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하나의 코일적재부(50A)가 이동부(320) 상에 투입될 때, 안착부(340)는 코일적재부(50)가 투입되는 투입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임의의 방향 축을 기준으로, 코일적재부(50)가 투입되는 방향을 전방에서 후방이라고 가정하면, 상기 안착부(340)는 전방에서 후방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이때, 다른 하나의 코일적재부(50B)가 앞선 하나의 코일적재부(50A) 상에 거치되기 위해 안착부(340)는 하나의 코일적재부(50A) 하면으로 회동한다. 이후, 리프트부(360)가 상승하며 하나의 코일적재부(50A)를 상측으로 밀어 올리게 된다. 이와 같이 리프트부(360)가 상승하며 하나의 코일적재부(50A)가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하나의 코일적재부(50A) 하부에 소정의 공간이 생기고, 상기 공간에 다른 하나의 코일적재부(50B)가 투입된다. 상기 다른 하나의 코일적재부(50B)가 하나의 코일적재부(50A) 하부에 투입되면, 상기 안착부(340)가 코일적재부(50)의 투입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재 회동한 뒤, 하강한다. 이로 인하여 하나의 코일적재부(50A)가 다른 하나의 코일적재부(50B) 상에 거치되면서 복수의 코일적재부(50)가 적재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코일적재부(50)를 복수 개 적재한 뒤, 경화유닛(100)에서 경화될 수 있는 양의 코일적재부(50)가 적재되면 적재된 코일적재부(50)를 경화유닛(100)으로 투입되게 된다.
한편, 코일적재부(50)가 복수 개 적재되기 위하여, 상기 코일적재부(50)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다른 하나의 코일적재부(50B)가 상기 코일적재부(50) 상에 안착되도록 적재지지부(52)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적재지지부(52)는 다른 하나의 코일적재부(50B) 상에 하나의 코일적재부(50A)가 안착될 때, 복수의 코일적재부(50)가 일정 간격(G)을 두고 적재되게 한다. 다른 하나의 코일적재부(50B) 상부를 하나의 코일적재부(50A)가 밀폐하여 경화 시, 점화코일의 경화가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서, 적재지지부(52)는 코일적재부(50)의 각 모서리에 대응하는 위치 또는,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적재지지부(52)는 적어도 한 쌍이 마주하게 형성되어, 다른 하나의 코일적재부(50B) 상에 하나의 코일적재부(50A)가 안착될 때,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다시 도면을 참고하면, 코일유입유닛(200)의 제2 도어(240)와 인접하며, 에폭시 혼합액이 도포된 점화코일이 적재되어 있는 코일적재부(50)를 코일유입유닛(200)으로 투입시키는 투입부(280)가 마련된다. 상기 투입부(280)는 지면에서 상측에 위치한 코일유입유닛(200)으로 코일적재부(50)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으며, 컨베이어 벨트와 같은 장치를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코일적재부(50)가 코일유입유닛(200)으로 투입될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이, 점화코일을 경화하는 경화유닛(100)의 일 측에 점화코일이 적재된 코일적재부(50)가 거치되며, 밀폐 가능한 코일유입유닛(200)을 설치하여 경화를 위해 일정량 이상 코일적재부(50)가 적재되는 동안 코일적재부(50)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코일적재부(50)에 적재된 점화코일에 도포되어 잇는 에폭시 혼합액이 외부와 접촉하여 변성되는 것을 막아 점화코일의 경화 불량을 최소화하며, 점화코일의 생산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 점화코일 경화장치 50: 코일적재부
100: 경화유닛 120: 경화부
140: 제1 도어 200: 코일유입유닛
220: 거치부 240: 제2 도어
260: 센싱부 280: 투입부
300: 적재부재 320: 이동부
340: 안착부 360: 리프트부

Claims (8)

  1. 점화코일이 적재된 코일적재부(50)의 상기 점화코일을 경화하는 점화코일 경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점화코일이 적재된 코일적재부(50)가 유입되고, 유입된 상기 점화코일을 경화하는 경화부(120)와, 상기 경화부(120)로 상기 코일적재부(50) 유입에 따라 개폐되는 제1 도어(140)를 포함하는 경화유닛(100); 및
    상기 경화유닛(100)의 일 측에 설치되며, 상기 코일적재부(50) 유입에 따라 자동 개폐되는 제2 도어(240)와, 상기 제1 도어(140) 및 상기 제2 도어(240) 사이에 상기 제2 도어(240)로 유입된 상기 코일적재부(50)가 거치되는 거치부(220)를 포함하는 코일유입유닛(200); 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유입유닛(200)에는 하나의 상기 코일적재부(50)가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코일 경화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일유입유닛(200)은,
    상기 코일유입유닛(200)으로 상기 코일적재부(50) 유입 시, 상기 제2 도어(240)에 인접한 상기 코일적재부(50)를 감지하는 센싱부(2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코일 경화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260)는,
    상기 제2 도어(240)에 설치되며, 상기 코일유입유닛(200)의 선단이 상기 제2 도어(240)에 접하면 개방되고, 상기 코일유입유닛(200)의 후단이 상기 제2 도어(240)에 접하면 제2 도어(240)가 폐쇄되도록 상기 코일적재부(50)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는 터치센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코일 경화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260)는,
    상기 코일유입유닛(200)에 유입되는 상기 코일적재부(50)를 감지하고, 상기 코일적재부(50) 감지 시, 기 설정된 상기 코일유입유닛(200)에 유입되는 상기 코일적재부(50)의 유입시간에 따라 상기 제2 도어(240)가 개폐되도록 타이머가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코일 경화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220)에 설치되고, 상기 제2 도어(240)로 유입된 상기 코일적재부(50)가 적재되는 적재부재(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코일 경화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재(300)는,
    상기 코일적재부(50)가 거치되며, 적재된 상기 코일적재부(50)를 상기 경화유닛(100)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320)와,
    상기 코일적재부(50)가 상기 적재부재(300)로 투입되는 투입방향과, 상기 코일적재부(50)가 상기 이동부(320) 상에 안착된 안착위치 사이에서 상기 코일적재부(50)의 하면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며, 상기 안착위치 시, 상기 코일적재부(50)의 하중을 지지하는 안착부(340)와,
    상기 이동부(320) 상면과 상기 코일적재부(50) 사이에 간격을 형성하여 다른 하나의 코일적재부(50B)가 상기 간격에 투입되도록 상기 안착부(340)에 거치된 상기 코일적재부(50)를 상승시키는 리프트부(3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코일 경화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코일적재부(50)는,
    상기 코일적재부(50)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다른 하나의 코일적재부(50B)가 상기 코일적재부(50) 상에 안착되도록 적재지지부(5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코일 경화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일유입유닛(200)의 제2 도어(240)와 인접하며, 상기 코일적재부(50)를 코일유입유닛(200)으로 투입시키는 투입부(2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코일 경화장치.
KR1020150140680A 2015-10-07 2015-10-07 점화코일 경화장치 KR101678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0680A KR101678109B1 (ko) 2015-10-07 2015-10-07 점화코일 경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0680A KR101678109B1 (ko) 2015-10-07 2015-10-07 점화코일 경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8109B1 true KR101678109B1 (ko) 2016-11-29

Family

ID=57706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0680A KR101678109B1 (ko) 2015-10-07 2015-10-07 점화코일 경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810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8551A (ja) 2000-12-21 2002-07-05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点火コイル装置に対する配線組付方法
JP2009182137A (ja) 2008-01-30 2009-08-13 Denso Corp 点火コイルの製造方法
JP2013105961A (ja) 2011-11-15 2013-05-30 Denso Corp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4096473A (ja) 2012-11-09 2014-05-22 Diamond Electric Mfg Co Ltd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8551A (ja) 2000-12-21 2002-07-05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点火コイル装置に対する配線組付方法
JP2009182137A (ja) 2008-01-30 2009-08-13 Denso Corp 点火コイルの製造方法
JP2013105961A (ja) 2011-11-15 2013-05-30 Denso Corp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4096473A (ja) 2012-11-09 2014-05-22 Diamond Electric Mfg Co Ltd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835778B1 (en) Inspection device for detecting crack in battery cell by using eddy current
US10793016B2 (en) Automatic parking system with charging function and parking and charging method thereof
KR101678109B1 (ko) 점화코일 경화장치
CN206932255U (zh) 手机无线充电功能测试治具
EP3105768B1 (en) Pre-charge circuit for an electromechanical relay
JPH0974686A (ja) 充電器
TW202043665A (zh) 高壓氣罐的半自動對齊裝置
CN106574576A (zh) 蒸发燃料处理装置
JP2018159305A (ja) 蒸発燃料処理装置
JP5452109B2 (ja) 充電パレットとそれを備えた機械式駐車装置
US9890759B2 (en)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CN205690457U (zh) 联锁开关结构及微波炉
KR101763006B1 (ko) 전지셀 분류장치
NL1031662C2 (nl) Aanstuurschakeling voor injector met gesloten solenoide voor lpi-motoren en afgesloten solenoide-aanstuurwerkwijze en diagnostische werkwijze daarvan.
JP5013026B1 (ja) 粉体充填装置、粉体入り容器の製造方法
KR101148964B1 (ko) 차량 에이비에스용 노말 클로우즈 솔레노이드 밸브의 슬리브 조립장치 및 조립방법
KR102119110B1 (ko) 2차 전지 셀의 다단 적층 이송용 장치
CN104793064A (zh) 基板检测系统
KR101383749B1 (ko) 엔진의 연속가변밸브 리프트 장치용 세컨드 캠 시험장치 및 시험방법
KR20210155891A (ko) 전자석을 이용한 안전 덮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회전 시험장치
JP5748498B2 (ja) 立体駐車装置の充電機能付パレット
US7068488B1 (en) Static discharging system
BR112012030411B1 (pt) dispositivo e processo para testar injetores de combustível
CN1050903C (zh) 敏振元件
KR101662189B1 (ko) 전극 산화 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기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