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7939B1 - 기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변속기 - Google Patents

기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변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7939B1
KR101677939B1 KR1020150057509A KR20150057509A KR101677939B1 KR 101677939 B1 KR101677939 B1 KR 101677939B1 KR 1020150057509 A KR1020150057509 A KR 1020150057509A KR 20150057509 A KR20150057509 A KR 20150057509A KR 101677939 B1 KR101677939 B1 KR 101677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ring
planetary
main
planetary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7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6473A (ko
Inventor
박현제
Original Assignee
박현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현제 filed Critical 박현제
Priority to KR1020150057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7939B1/ko
Publication of KR20160126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6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7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7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2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2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3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 which an orbital gear has an axis crossing the main axes of the gearing and has helical teeth or is a wo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belts; with V-bel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6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chains
    • F16H2001/28
    • F16H2007/0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02Actuators for final output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Transmis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변속기에 관한 것으로, 링기어, 상기 링기어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선기어, 상기 선기어와 치합되어 있는 메인유성기어, 상기 링기어 및 상기 메인유성기어와 치합되어 있고 상기 링기어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된 링유성기어 및 상기 메인유성기어 및 상기 링유성기어가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메인유성기어 회전속도에 대응되는 속도로 회전할 수 있는 케리어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유성기어 및 상기 링유성기어는 하나의 단위체를 이루고 상기 단위체는 상기 링기어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유성기어는, 복수의 단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메인유성기어의 일단기어는 상기 선기어와 치합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유성기어의 타단기어는 상기 링유성기어와 치합되어 있고, 상기 일단기어의 기어비와 상기 타단기어 기어비는 다르다.

Description

기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변속기{Gear apparatus and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변속기에 적용되는 기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단으로 이루어진 기어를 이용하여 변속비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는 기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변속기에 관한 것이다.
변속기는 엔진, 모터 등의 동력발생장치로부터 발생하는 회전력을 제공받아 적절한 변속비로 변환하여 피동측에 전달한다.
변속 방식에는 복수의 기어가 서로 다른 기어비로 맞물리도록 하는 기어식 변속방법, 벨트나 체인을 이용한 변속방법 및 원추 마찰차와 같은 경사 회전체를 사용한 연속식 변속방법 등 다양한 형태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기어식 변속방법에 적용되는 기어장치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기어(31), 링기어(31) 내부에 위치한 선기어(32), 선기어(32)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선기어(32)와 링기어(31)에 치합된 유성기어(33) 및 복수의 유성기어(33)의 이탈을 막고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하는 케리어(38)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유성기어(33)는 자전하면서 선기어(32) 주변을 공전한다. 케리어(38)는 유성기어(33)의 공전속도로 회전한다.
선기어(32)와 유성기어(33)의 기어비에 따라 케리어(38) 회전속도가 가속 또는 감속될 수 있다. 유성기어(33)의 기어비가 선기어(32)의 기어비보다 작은 경우 선기어(32)의 회전속도는 유성기어(33)의 공전운동에 의해 감속된다. 이에, 케리어(38)의 회전속도는 선기어(32)에 입력되는 회전속도보다 감속되었지만 토크는 증대된 상태로 출력이 발생한다.
선기어(32)의 회전속도를 가속 또는 감속하는 유성기어(33)가 1단으로 형성되어 변속비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없다. 이에 변속비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공개특허 제10-2008-0070534호 (2008.07.30)
본 발명은 변속비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는 기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변속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단으로 형성된 메인유성기어의 기어비 차이로 원하는 변속비를 쉽게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치합기어부에 의해 변속단수를 여러 단으로 할 수 있고, 기어비 차이로 원하는 변속비를 쉽게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메인유성기어의 기어비에 의해 원하는 변속비를 쉽게 얻을 수 있고, 제2 링유성기어와 제2 링기어에 의해 제1 링기어 및 제1 링유성기어를 사용하는 것보다 단수가 배가되므로 변속단 또한 배가되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기어장치는 링기어, 상기 링기어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선기어, 상기 선기어와 치합되어 있는 메인유성기어, 상기 링기어 및 상기 메인유성기어와 치합되어 있고 상기 링기어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된 링유성기어 및 상기 메인유성기어 및 상기 링유성기어가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는 케리어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유성기어 및 상기 링유성기어는 하나의 단위체를 이루고 상기 단위체는 상기 링기어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유성기어는, 복수의 단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메인유성기어의 일단기어는 상기 선기어와 치합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유성기어의 타단기어는 상기 링유성기어와 치합되어 있고, 상기 일단기어의 기어비와 상기 타단기어 기어비는 다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기어장치는 링기어, 상기 링기어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선기어, 상기 선기어와 치합되어 있는 메인유성기어, 상기 링기어와 치합되어 있고 상기 메인유성기어와 떨어져 있는 제1 링유성기어, 상기 링기어와 치합되어 있고 상기 메인유성기어와 떨어져 있는 제2 링유성기어, 상기 제2 링유성기어와 치합되어 있는 제1 치합기어 및 상기 제1 치합기어와 치합되어 있는 제2 치합기어를 포함하는 치합유성기어부, 상기 메인유성기어와 동력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링유성기어 또는 상기 제2 치합기어와 선택적으로 치합될 수 있는 위치유성기어, 상기 선기어, 상기 메인유성기어, 상기 제1 링유성기어, 상기 제2 링유성기어, 상기 치합유성기어부 및 상기 위치유성기어가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는 케리어 및 상기 위치유성기어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링유성기어 또는 상기 제2 치합기어에 선택적으로 치합시키는 위치설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유성기어, 상기 제1 링유성기어, 상기 제2 링유성기어, 상기 치합유성기어부 및 상기 위치유성기어는 하나의 단위체를 이루고 상기 단위체는 상기 링기어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치합기어는 복수의 단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치합기어의 일단기어는 상기 제1 치합기어와 치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치합기어의 타단기어는 상기 위치유성기어와 치합될 수 있고, 상기 일단기어의 기어비와 상기 타단기어 기어비는 다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케리어에는 상기 위치유성기어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메인유성기어와 상기 위치유성기어를 연결하는 동력전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부는 벨트 또는 체인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위치유성기어 이동시 메인유성기어의 중심과 상기 위치유성기어의 중심 거리는 변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위치설정부는 엑추에이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기어장치는 제1 링기어, 상기 제1 링기어 외측에 위치하고 있는 제2 링기어, 상기 제1 링기어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선기어, 상기 선기어와 치합되어 있는 메인유성기어, 상기 제1 링기어 및 상기 메인유성기어와 치합되어 있는 제1 링유성기어, 상기 제1 링기어 및 상기 제2 링기어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링유성기어 및 상기 메인유성기어, 제1 링유성기어 및 상기 제2 링유성기어가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는 케리어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유성기어, 상기 제1 링유성기어 및 상기 제2 링유성기어는 하나의 단위체를 이루고 상기 단위체는 상기 제1 링기어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유성기어는, 복수의 단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메인유성기어의 일단기어는 상기 선기어와 치합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유성기어의 타단기어는 상기 제1 링유성기어와 치합되어 있고, 상기 일단기어의 기어비와 상기 타단기어 기어비는 다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링유성기어의 기어비는 상기 제1 링유성기어의 기어비와 같거나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케리어는, 상기 선기어와 마주하는 중심판 및 상기 중심판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단위체들이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리브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링기어, 상기 선기어, 상기 메인유성기어 및 상기 링유성기어의 치차는 스파이럴 또는 헬리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어장치는, 제1 링기어, 상기 제1 링기어 외측에 위치한 제2 링기어, 상기 제1 링기어 내부에 위치한 선기어, 상기 선기어와 상기 제1 링기어 사이에 위치하고 서로 떨어져 있으며 상기 선기어와 상기 제1 링기어에 선택적으로 치합될 수 있는 제1 및 제2 메인 유성기어 및 상기 제1 링기어와 상기 제2 링기어 사이에 위치하고 서로 떨어져 있으며 상기 제1 링기어와 상기 제2 링기어에 선택적으로 치합될 수 있는 제1 내지 제3 링 유성기어, 제1 및 제2 메인 유성기어, 상기 제1 내지 제3 링 유성기가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된 케리어 및 상기 제1, 2 메인 유성기어와, 상기 제1 내지 제3 링 유성기어를 치합시키는 클러치를 포함하고, 기 제1, 2 메인 유성기어는 상기 제1 링 기어를 통해 상기 제1 내지 제3 링 유성기어 중 선택된 어느 하나와 동력 연결되고, 상기 제1 메인 유성기어, 상기 제2 메인 유성기어, 상기 제1 링 유성기어, 상기 제2 링 유성기어 및 상기 제3 링 유성기어의 기어비는 다르며, 제1 메인 유성기어 및 상기 제2 메인 유성기어는 복수로 형성되고, 복수의 제1 메인 유성기어와 복수의 제2 메인 유성기어는 교번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 내지 제3 링 유성기어는 하나의 단위체를 이루고 상기 단위체는 상기 제1 링기어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메인 유성기어는, 기어비가 다른 일단기어와 타단기어를 가지는 제1 메인 내측 유성기어 및 상기 제1 메인 내측 유성기어의 상기 타단기어와 치합되어 있고 상기 제1 링기어와 선택적으로 치합될 수 있는 제1 메인 외측 유성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메인 내측 유성기어의 상기 일단기어는 상기 선기어와 치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메인 유성기어는, 기어비가 다른 일단기어와 타단기어를 가지는 제2 메인 외측 유성기어 및 상기 제2 메인 외측 유성기어의 타단기어와 치합되어 있고 상기 선기어와 선택적으로 치합될 수 있는 제2 메인 내측 유성기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메인 외측 유성기어의 상기 일단기어는 상기 제2 링기어와 치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메인 외측 유성기어가 상기 제2 링기어와 치합되면 상기 제2 메인 내측 유성기어는 상기 선기어와 떨어져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링 유성기어는, 기어비가 다른 일단기어와 타단기어를 가지는 제1 링 내측기어 및 상기 제1 링 내측기어의 상기 타단기어와 치합되어 있고 상기 제2 링기어와 치합될 수 있는 제1 링 외측기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링 내측기어의 상기 일단기어는 상기 제1 링기어와 치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링 유성기어는, 기어비가 다른 일단기어와 타단기어를 가지는 제2 링 외측기어 및 상기 제2 링 외측기어의 상기 타단기어와 치합되어 있고 상기 제1 링기어와 치합될 수 있는 제2 링 내측기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링 외측기어의 상기 일단기어는 상기 제2 링기어와 치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3 링 유성기어는, 기어비가 다른 일단기어와 타단기어를 가지는 제3 링 외측기어 및 상기 제3 링 외측기어의 상기 타단기어와 치합되어 있고 상기 제1 링기어와 치합될 수 있는 제3 링 내측기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3 링 외측기어의 상기 일단기어는 상기 제2 링기어와 치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링 외측기어, 상기 제2 링 내측기어 및 상기 제3 링 내측기어는 기어비가 다르며, 상기 제1 링 외측기어, 상기 제2 링 내측기어 및 상기 제3 링 내측기어 중 선택된 어느 하나만 상기 링기어와 치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기어장치는 상기 제1 링기어와 상기 제2 링기어 사이에 위치한 후진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후진기어는, 상기 제1 내지 제3 링 유성기어의 단위체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후진기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어로 형성되고 상기 후진기어의 기어 개수는 상기 제1 링 유성기어의 개수보다 하나 더 많거나 적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변속기는 위와 같이 구성된 기어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본 발명은 변속기에 적용되는 기어장치는 메인유성기어의 일단기어와 타단기어의 기어비 차이, 타단기어와 링유성기어의 기어비 차이로 변속이 회전속도는 감속되는 반면에 토크는 증대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단으로 형성된 메인유성기어의 기어비 차이로 원하는 변속비를 쉽게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본 발명은 변속기에 적용되는 기어장치는 제2 치합기어의 일단기어와 타단기어의 기어비 차이로, 위치유성기어가 제1 링유성기어와 치합된 경우와, 제2 치합기어와 치합된 경우 회전비가 달라질 수 있다. 이에 치합기어부에 의해 변속단수를 여러 단으로 할 수 있고, 기어비 차이로 원하는 변속비를 쉽게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변속기에 적용되는 기어장치는 메인유성기어의 기어비에 의해 원하는 변속비를 쉽게 얻을 수 있고, 제2 링유성기어와 제2 링기어에 의해 제1 링기어 및 제1 링유성기어를 사용하는 것보다 단수가 배가되므로 변속단 또한 배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변속기에 적용되는 기어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1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도 5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1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도 7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1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10은 제1 메인 유성기어가 제1 링기어를 통해 제1 내지 제3 메인 링기어와 선택적으로 동력연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11은 제2 메인 유성기어가 제1 링기어를 통해 제1 내지 제3 메인 링거어와 선택적으로 동력연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12는 제1 메인 유성기어가 제1 링기어를 통해 후진기어와 동력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13은 종래의 기어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변속기에 적용되는 기어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1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1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0은 제1 메인 유성기어가 제1 링기어를 통해 제1 내지 제3 메인 링기어와 선택적으로 동력연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11은 제2 메인 유성기어가 제1 링기어를 통해 제1 내지 제3 메인 링거어와 선택적으로 동력연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12는 제1 메인 유성기어가 제1 링기어를 통해 후진기어와 동력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13은 종래의 기어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어장치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변속기에 적용될 수 있는바, 이하에서는 기어장치가 적용된 변속기 위주로 설명한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변속기는 유성기어장치(3a)(이하 기어장치라 칭함)(도 1 참조)가 적용된 것이다. 기어장치(3a)가 적용된 변속기(3a)는 회전 토크의 전달은 다수의 기어 세트에 의해서 이루어지므로 기존의 수동변속기에 사용되는 기어장치에 비해 개별 기어비가 받는 부하가 적게 발생한다. 기어가 항상 서로 맞물려 있으므로, 동기화하지 않아도 변속할 수 있다. 따라서 동력 입력부로부터 동력을 차단하지 않고도 변속이 가능하다. 똑같은 토크를 전달할 경우 다른 변속기구에 비해서 설치공간을 작게 차지한다. 모든 기어가 항상 맞물려 있으므로 작동소음이 적다.
자동변속기에는 기어장치를 2세트 또는 3세트 연속적으로 설치하여, 1세트의 단순 기어장치만으로는 얻을 수 없는 좋은 변속비를 얻는다.
변속기의 상세한 내부 구조는 널리 공지된 수동, 자동 변속기의 구성이 적용될 수 있는바, 상세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기어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변속기에 적용되는 기어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어장치(3a)는 링기어(31), 선기어(32), 메인유성기어(33), 링유성기어(34) 및 케리어(38)를 포함한다.
링기어(31)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 둘레면에는 치차들이 형성되어 있다. 링기어(31)는 하우징 내부에 회전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다.
선기어(32)는 링기어(31)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선기어(32)의 외부 둘레면에는 치차가 형성되어 있고, 선기어(32) 치차는 링기어(31) 치차와 떨어져 있다. 선기어(32)는 토크 컨버터(7)와 동력 연결되어 있다. 이에 선기어(32)는 회전할 수 있다.
링기어(31) 및 선기어(32)에는 동력이 선택적으로 입력, 출력 또는 정지될 수 있다. 링기어(31) 및 선기어(32)의 입력, 출력 또는 정지는 변속기의 변속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메인유성기어(33)는 링기어(31)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자전과 선기어(32) 주변을 공전할 수 있다. 그러나 자전만 할 수도 있다. 메인유성기어(33)는 기어비가 서로 다른 일단기어(33a) 및 타단기어(33b)를 포함한다. 일단기어(33a)와 타단기어(33b)의 외부 둘레면에는 치차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단기어(33a)는 메인유성기어(33)와 치합되어 있다. 그러나 타단기어(33b)가 메인유성기어(33)와 치합될 수 있다. 일단기어(33a)와 타단기어(33b)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일단기어(33a)의 기어비는 타단기어의 기어비보다 적다.
도면 도 1 및 도 2에서 메인유성기어(33)의 기어비를 선기어(32)의 기어비보다 적은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메인유성기어(33)의 기어비가 선기어(32)의 기어비보다 클 수 있다. 이는 변속기의 구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링유성기어(34)는 링기어(31)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외부 둘레면에 치차들이 형성되어 있다. 링유성기어(34)는 타단기어(33b) 및 링기어(31)와 치합되어 있다. 링유성기어(34)의 기어비는 타단기어(33b) 기어비보다 작다. 위 기어비는 변속기(1)의 구조에 따라 서로 변경될 수 있다. 링유성기어(34)는 자전과 선기어(32) 주변을 공전할 수 있다. 그러나 자전만 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메인유성기어(33) 및 링유성기어(34)는 하나의 단위체(A)를 이룬다. 단위체(A)는 링기어(31)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첨부된 도면에는 단위체(A)를 3개로 도시하였으나, 위 단위체(A)의 개수는 변속기(1)의 규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케리어(38)는 메인유성기어(33)와 마주하는 중심판(381) 및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중심판(381) 가장자리에서 링기어(31) 외측 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리브(382)를 포함한다. 리브(382)는 단위체(A)를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한다. 리브(382)의 개수는 단위체(A)의 개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케리어(38)의 지지로 링유성기어(34)는 링기어(31) 내부에서 이탈하지 않고 회전될 수 있다.
케리어(38)는 선기어(32)를 중심으로 회전하거나 고정될 수 있다. 케리어(38)가 회전할 경우 메인유성기어(33) 및 링유성기어(34)는 공전할 수 있고, 케리어(38)가 고정된 경우 메인유성기어(33) 및 링유성기어(34)는 자전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의 기어장치(3a)는 선기어(32), 메인유성기어(33) 및 링유성기어(34)가 서로 치합된 상태에서 변속기어의 변속에 따라 선기어(32), 케리어(38)(메인유성기어, 링유성기어) 및 링기어(31)의 동작이 달라질 수 있다.
케리어(38)를 회전하지 못하게 고정한 경우 메인유성기어(33) 및 링유성기어(34)는 공전할 수 없고 자전만 할 수 있다. 그러나 선기어(32) 또는 링기어(31)가 고정된 경우 케리어(38)는 회전하고 메인유성기어(33) 및 링유성기어(34)는 자전하면서 공전할 수 있다. 선기어(32), 메인유성기어(33) 및 케리어(38)에 선택적으로 동력을 입력, 출력 또는 고정 시켜 변속할 수 있다.
아래 표 1은 변속에 따른 선기어, 케리어 및 링기어 동작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역전감속 역전가속 직진감속1 직진가속1 직진가속2 직진감속2
케리어 고정 고정 동력입력 동력출력 동력입력 동력출력
선기어 동력입력 동력출력 고정 고정 동력출력 동력입력
링기어 동력출력 동력입력 동력출력 동력입력 고정 고정
위 표에서 역전가속을 살펴보면, 케리어(38)를 고정시키고 링기어(31)에 동력을 입력시키고 선기어(32)로 동력을 출력시키면 동력은 링기어(31), 메인유성기어(33) 및 선기어(32)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링기어(31), 메인유성기어(33) 및 선기어(32)의 기어비에 의해 회전수는 더 빨라지고 토크는 감소된 상태로 방향이 바뀌어 출력된다.
아울러, 메인유성기어(33)의 일단기어(33a)와 타단기어(33b)의 기어비 차이, 타단기어(33b)와 링유성기어(34)의 기어비 차이로 변속이 이루어진다. 예컨대, 일단기어(33a), 타단기어(33b) 및 링유성기어(34)의 기어비가 1:2:1이면, 선기어(32)의 회전력이 메인유성기어(33)를 통해 링유성기어(34)에 전달된 회전비는 1/2로 줄어들 수 있다. 이에, 회전속도는 감속되는 반면에 토크는 증대될 수 있다. 따라서 기어비 차이로 원하는 변속비를 쉽게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기어장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어장치(3b)는 링기어(31), 선기어(32), 메인유성기어(33), 제1 링유성기어(34a), 제2 링유성기어(34b), 치합유성기어부(35), 위치유성기어(36), 위치설정부(37) 및 케리어(38)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링기어(31) 및 선기어(32)는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서 설명한 링기어 및 선기어와 같은 구성 및 작용효과를 가지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메인유성기어(33)는 링기어(31)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외부 둘레면에 치차들이 형성되어 선기어(32)와 치합되어 있다.
제1 링유성기어(34a) 및 제2 링유성기어(34b)는 링기어(31)어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서로 떨어져 있다. 제1 링유성기어(34a) 및 제2 링유성기어(34b)는 선기어(32)와도 떨어져 있다. 제1 링유성기어(34a) 및 제2 링유성기어(34b)의 외부 둘레면에는 복수의 치차가 형성되어 링기어(31)와 치합되어 있다.
치합유성기어부(35)는 링기어(31) 내부에 위치하여 선기어(32)와 제2 링유성기어(34b)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치합유성기어부(35)는 외부 둘레면에 치차가 형성되어 서로 치합된 제1 치합기어(35a) 및 제2 치합기어(35b)를 포함한다. 제1 치합기어(35a)는 제2 링유성기어(34b)와 치합되어 있다.
제2 치합기어(35b)는 기어비가 서로 다른 일단기어(351a) 및 타단기어(351b)를 포함한다. 일단기어(351a)와 타단기어(351b)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일단기어(351a)와 타단기어(351b)의 외부 둘레면에는 치차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단기어(351a)의 기어비는 타단기어(351b)의 기어비보다 적다. 일단기어(351a)는 제1 치합기어(35a)와 치합되어 있다.
위치유성기어(36)는 외부 둘레면에 치차가 형성되어 있으며 링기어(31) 내부에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다. 위치유성기어(36)는 메인유성기어(33)와 떨어져 있으며 메인유성기어(33)와 벨트, 체인 등의 동력전달장치(361)로 동력 연결되어 있다. 위치유성기어(36)는 위치에 따라 제1 링유성기어(34a) 또는 제2 치합기어(35b)의 타단기어(351b)와 치합될 수 있다.
위치설정부(37)는 위치유성기어(36)와 연결되어 있다. 위치설정부(37)는 위치유성기어(36)의 중심을 기준으로 움직여 위치유성기어(36)의 위치를 변경한다. 위치설정부(37)의 움직임으로 위치유성기어(36)가 제2 치합기어(35b) 또는 제1 링유성기어(34a) 에 선택적으로 치합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설정부(37)는 한 실시예로 가 적용될 수 있다. 엑추에이터는 하우징과 로드를 포함하고, 로드는 위치유성기어(36)와 연결되어 있다. 엑추에이터의 로드 신장에 따라 위치유성기어(36)가 제2 치합기어(35b) 또는 제1 링유성기어(34a)와 치합될 수 있다. 위치설정부(37)를 엑추에이터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위치설정부(37)는 레일과 , 가이드와 가이드블록, 링크 등 위치설정부(37)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위와 같은 메인유성기어(33), 제1 링유성기어(34a), 제2 링유성기어(34b), 치합유성기어부(35), 위치유성기어(36) 및 위치설정부는 하나의 단위체(A)를 이룬다. 단위체(A)는 링기어(31)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첨부된 도면에는 단위체(A)를 3개로 도시하였으나, 위 단위체(A)의 개수는 변속기(1)의 규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케리어(38)는 메인유성기어(33), 제1 링유성기어(34a), 제2 링유성기어(34b), 치합유성기어부(35) 및 위치유성기어(36)를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하고, 위치설정부(37)가 지지되어 있다. 케리어(38)에는 위치설정부(37)의 엑추에이터의 하우징이 결합되어 있고, 이동하는 위치유성기어(36)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홈(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홈의 가이드로 위치유성기어(36)가 이동할 때 메인유성기어(33)의 중심과 위치유성기어(36)의 중심 거리는 변화하지 않는다. 이에 동력전달장치(361)은 이탈하지 않고 메인유성기어(33)와 위치유성기어(36)를 서로 동력연결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해 선기어(32)와 메인유성기어(33)는 치합되고, 위치유성기어(36)가 메인유성기어(33)와 동력 연결된 상태에서 제2 치합기어(35b)와 치합되어 있다. 제2 치합기어(35b)는 링기어(31)와 치합된 제2 링유성기어(34b)와 치 있다. 그리고 제1 링유성기어(34a)는 링기어(31)와 치합되어 있다.
제2 치합기어(35b)의 일단기어(351a)와 타단기어(351b)의 기어비 차이로, 위치유성기어(36)가 제1 링유성기어(34a)와 치합된 경우와, 제2 치합기어(35b)와 치합된 경우 회전비가 달라질 수 있다. 이에 치합유성기어부(35)에 의해 변속단수를 여러 단으로 할 수 있고, 기어비 차이로 원하는 변속비를 쉽게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살펴본 많은 특징들이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기어장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어장치(3c)는 제1 링기어(31a), 제2 링기어(31b), 선기어(32), 메인유성기어(33), 제1 링유성기어(34a), 제2 링유성기어(34b) 및 케리어(38)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링기어(31a), 선기어(32), 메인유성기어(33), 제1 링유성기어(34a) 및 케리어(38)는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링기어, 선기어, 메인유성기어 및 링유성기어와 같은 구성 및 작용효과를 가지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링기어(31a)는 내부면과 외부면에 모두 치차가 형성되어 있다.
제2 링기어(31b)는 제1 링기어(31a)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2 링기어(31b)의 내부 둘레면에는 치차들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링유성기어(34b)는 제1 링기어(31a)와 제2 링기어(31b) 사이에 위치하며 제1 링기어(31a)와 제2 링기어(31b)에 치합되어 있다. 제2 링유성기어(34b)의 기어비는 제1 링유성기어(34a)의 기어비와 같거나 작을 수 있다. 기어비 차이는 변속기의 규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2 링유성기어(34b)는 케리어(38)에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다. 제2 링유성기어(34b)는 적어도 하나이며, 이때 하나 이상일 경우 그 기어비는 상이할 수 있다.
메인유성기어(33), 제1 링유성기어(34a) 및 제2 링유성기어(34b)는 하나의 단위체(A)를 형성하며, 위 단위체(A)는 선기어(32)을 기준으로 배열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입력과 출력이 제1 링기어(31a)와 제2 링기어(31b)에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유성기어(33)의 기어비에 의해 원하는 변속비를 쉽게 얻을 수 있고, 제2 링유성기어(34b)와 제2 링기어(31b)에 의해 제1 링기어(31a) 및 제1 링유성기어(34a)를 사용하는 것보다 단수가 배가되므로 변속단 또한 배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살펴본 많은 특징들이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대부분 가진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기어장치(3d)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링유성기어(34)를 생략하고 그 대신 메인유성기어(33)를 링기어(31)와 직접 치합한다. 메인유성기어(33)의 일단기어(33a)는 선기어(32)와 치합되고 타단기어(33b)는 링기어(31)와 치합된다. 이외 다른 구성은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의 구성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기어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도 1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어장치(3e)는, 제1 링기어(31a), 제2 링기어(31b), 선기어(32), 제1 메인 유성기어(4), 제2 메인 유성기어(5), 제1 링 유성기어(6), 제2 링 유성기어(7), 제3 링 유성기어(8), 케리어(도시하지 않음) 및 클러치(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링기어(31a), 제2 링기어(31b) 및 선기어(32)는 도 4의 실시예와 대체로 동일하므로 이하,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케리어 및 클러치의 구조는 공지의 변속기에 장착되는 케리어 및 클러치와 유사하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메인 유성기어(4)와 제2 메인 유성기어(5)는 선기어(32)와 제1 링기어(31a)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제1 메인 유성기어(4)와 제2 메인 유성기어(5)는 떨어져 있다. 제1 메인 유성기어(4)와 제2 메인 유성기어(5)는 선기어(32)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교번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에 제1 메인 유성기어(4)와 제2 메인 유성기어(5)는 복수로 형성된다.
제1 메인 유성기어(4)와 제2 메인 유성기어(5)중 선택된 어느 하나만 선기어(32)와 제1 링기어(31a)와 동력 연결한다.
제1 메인 유성기어(4)는 선기어(32)와 치합된 제1 메인 내측 유성기어(41) 및 제1 메인 내측 유성기어(41)와 치합되어 있고 제1 링기어(31a)와 치합될 수 있는 제1 메인 외측 유성기어(42)를 포함한다.
제1 메인 내측 유성기어(41)는 선기어(32)와 치합된 일단기어(411) 및 일단기어(411)와 연결되어 있고, 제1 메인 외측 유성기어(42)와 치합된 타단기어(412)를 포함한다. 일단기어(411)의 비는 타단기어(412)의 비보다 작다.
제1 메인 외측 유성기어(42)는 타단기어(412)의 기어비보다 작으며 클러치의 구동으로 제1 링기어(31a)와 선택적으로 치합될 수 있다.
제2 메인 유성기어(5)는 선기어(32)와 치합될 수 있는 제2 메인 내측 유성기어(51) 및 제1 링기어(31a)와 치합된 제2 메인 외측 유성기어(52)를 포함한다.
제2 메인 외측 유성기어(52)는 제2 링기어(31b)와 치합된 일단기어(521) 및 일단기어(521)와 연결되어 있고, 제2 메인 내측 유성기어(51)와 치합된 타단기어(522)를 포함한다. 일단기어(521)의 비는 타단기어(522)의 비보다 작다.
제2 메인 내측 유성기어(51)는 타단기어(522)의 기어비보다 작으며 클러치 구동으로 선기어(32)와 선택적으로 치합될 수 있다.
제1 링 유성기어(6), 제2 링 유성기어(7) 및 제3 링 유성기어(8)는 제1 링기어(31a)와 제2 링기어(31b) 사이에 위치하여, 서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 제1 링 유성기어(6), 제2 링 유성기어(7) 및 제3 링 유성기어(8)는 하나의 단위체(A)를 이루며, 단위체(A)는 제1 링기어(31a)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제1 링 유성기어(6), 제2 링 유성기어(7) 및 제3 링 유성기어(8)는 선택적으로 제1 링기어(31a)와 제2 링기어(31b)를 동력연결 한다.
제1 링 내측기어(61)는, 제1 링기어(31a)와 치합된 일단기어(611)와 일단기어(611)와 연결되어 있고, 일단기어(611) 보다 기어비가 큰 타단기어(612)를 포함한다.
제1 링 외측기어(62)는, 타단기어(612)와 치합되어 있고, 타단기어(522)보다 기어비가 크며 클러치 구동으로 제2 링기어(31b)와 선택적으로 치합될 수 있다.
제2 링 외측기어(72)는, 제2 링기어(31b)와 치합된 일단기어(721)와 일단기어(721)와 연결되어 있고, 일단기어(721) 보다 기어비가 큰 타단기어(722)를 포함한다.
제2 링 내측기어(71)는, 제1 링 외측기어(62)보다 기어비가 크며 타단기어(722)와 치합되어 있다. 제2 링 내측기어(71)는 클러치 구동으로 제1 링기어(31a)와 선택적으로 치합될 수 있다.
제3 링 외측기어(82)는, 제2 링기어(31b)와 치합된 일단기어(821)와 일단기어(821)와 연결되어 있고, 일단기어(821 보다 기어비가 큰 타단기어(822)를 포함한다.
제3 링 내측기어(81)는, 제1 링 외측기어(62)보다 기어비가 작으며 타단기어(822)와 치합되어 있다. 제3 링 내측기어(81)는 클러치 구동으로 제1 링기어(31a)와 선택적으로 치합될 수 있다.
후진기어(9)는 제1 링 유성기어(6), 제2 링 유성기어(7) 및 제3 링 유성기어(8)가 이루는 단위체(A)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기어로 형성되어 있다. 후진기어(9)의 각 기어의 기어비는 제3 링 유성기어(8)의 제3 링 내측기어(81) 기어비와 같거나 작을 수 있다. 후진기어(9)의 기어 개수는 단위체(A)의 기어보다 하나 더 많거나 적다.
후진기어(9)의 기어 개수가 단위체(A)의 기어보다 하나 더 많거나 적으면 제1 링기어(31a)의 회전 방향과 제2 링기어(31b)의 회전방향이 서로 다르게 된다.
제1 메인 유성기어(4)는 도 7의 (a)와 같이 선기어(32)와 제1 링기어(31a)를 동력연결하고, 제1 링 유성기어(6)는 제1 링기어(31a)와 제2 링기어(31b)를 동력 연결한다. 제2 메인 유성기어(5), 제2 링 유성기어(7) 및 제3 링 유성기어(8)는 동력 연결하지 않는다.
제1 메인 유성기어(4)는 도 7의 (b)와 같이 선기어(32)와 제1 링기어(31a)를 동력연결하고, 제2 링 유성기어(7)는 제1 링기어(31a)와 제2 링기어(31b)를 동력 연결한다. 제2 메인 유성기어(5), 제1 링 유성기어(6) 및 제3 링 유성기어(8)는 동력 연결하지 않는다.
제1 메인 유성기어(4)는 도 7의 (c)와 같이 선기어(32)와 제1 링기어(31a)를 동력연결하고, 제3 링 유성기어(8)는 제1 링기어(31a)와 제2 링기어(31b)를 동력 연결한다. 제2 메인 유성기어(5), 제1 링 유성기어(6) 및 제2 링 유성기어(7)는 동력 연결하지 않는다.
제2 메인 유성기어(5)는 도 8의 (a)와 같이 선기어(32)와 제1 링기어(31a)를 동력연결하고, 제1 링 유성기어(6)는 제1 링기어(31a)와 제2 링기어(31b)를 동력 연결한다. 제1 메인 유성기어(4), 제2 링 유성기어(7) 및 제3 링 유성기어(8)는 동력 연결하지 않는다.
제2 메인 유성기어(5)는 도 8의 (b)와 같이 선기어(32)와 제1 링기어(31a)를 동력연결하고, 제2 링 유성기어(7)는 제1 링기어(31a)와 제2 링기어(31b)를 동력 연결한다. 제1 메인 유성기어(4), 제1 링 유성기어(6) 및 제3 링 유성기어(8)는 동력 연결하지 않는다.
제2 메인 유성기어(5)는 도 8의 (c)와 같이 선기어(32)와 제1 링기어(31a)를 동력연결하고, 제3 링 유성기어(8)는 제1 링기어(31a)와 제2 링기어(31b)를 동력 연결한다. 제1 메인 유성기어(4), 제1 링 유성기어(6) 및 제2 링 유성기어(7)는 동력 연결하지 않는다.
후진기어(9)는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메인 유성기어(4)가 선기어(32)와 제1 링기어(31a)를 동력 연결한 상태에서, 후진기어(9)의 기어들이 서로 치합되어 제1 링기어(31a)와 제2 링기어(31b)를 동력 연결한다. 제1 링 유성기어(6), 제2 링 유성기어(7) 및 제3 링 유성기어(8)는 제1 링기어(31a)와 제2 링기어(31b)를 동력 연결하지 않는다. 한편, 위 설명과 도 9에서 후진기어(9) 작동시 제1 메인 유성기어(4)가 선기어(32)와 제1 링기어(31a)를 동력 연결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제2 메인 유성기어(5)가 선기어(32)와 제1 링기어(31a)를 동력 연결할 수 있다.
선기어(32), 제1 링기어(31a), 제2 링기어(31b) 및 캐리어는 상시 고정될 수 있다. 선기어(32), 제1 링기어(31a) 및 제2 링기어(31b)의 앞, 뒤에는 클러치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모든 기어에 동력은 입,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메인 유성기어(4)와 제1 링 유성기어(6), 제2 링 유성기어(7) 및 제3 링 유성기어(8)가 하나의 변속기가 되고, 제2 메인 유성기어(5)와 제1 링 유성기어(6), 제2 링 유성기어(7) 및 제3 링 유성기어(8)가 하나의 변속기가 될 수 있다. 변속 단수가 많고 넓은 범위의 변속이 가능해 연료효율성이 높아질 수 있다. 변속 단을 바꿔갈 때 변속비 차이가 작아 부드럽게 변속할 수 있어 적용되는 차량의 승차감이 향상될 수 있다. 클러치를 열거나 닫음으로써 변속하는 단은 변속 속도가 매우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참고로 위 설명과 도면에서는 본 발명의 기어의 치차들을 평 치차로 도시하였지만, 치차들은 치차가 축에 대하여 일정한 각을 이루고 있으나 그 형태가 직선인 스파이럴 또는 기어이가 축에 대하여 일정한 각을 이루고 있으면서 그 형태가 곡선인 헬리컬일 수 있다. 치차들의 모양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3a, 3b, 3c, 3d, 3e: 기어장치 31: 링기어
31a: 제1 링기어 31b: 제2 링기어
32: 선기어 33: 메인유성기어
33a: 일단기어 33b: 타단기어
34: 링유성기어 34a: 제1 링유성기어
34b: 제2 링유성기어 35: 치합유성기어부
35a: 제1 치합기어 35b: 제2 치합기어
351a: 일단기어 351b:타단기어
36: 위치유성기어 361: 동력전달장치
37: 위치설정부 38: 케리어
4: 제1 메인 유성기어 41: 제1 메인 내측 유성기어
411: 일단기어 412: 타단기어
42: 제2 메인 외측 유성기어 5: 제2 메인 유성기어
51: 제2 메인 내측 유성기어 52: 제2 메인 외측 유성기어
521: 일단기어 5 22: 타단기어
6: 제1 링 유성기어 61: 제1 링 내측기어
611: 일단기어 612: 타단기어
62: 제1 링 외측기어 7: 제2 링 유성기어
71: 제2 링 내측기어 72: 제2 링 외측기어
721: 일단기어 722: 타단기어
8: 제3 링 유성기어 81: 제3 링 내측기어
82: 제3 링 외측기어 821: 일단기어
822: 타단기어 9: 후진기어
A: 단위체

Claims (16)

  1. 삭제
  2. 링기어,
    상기 링기어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선기어,
    상기 선기어와 치합되어 있는 메인유성기어,
    상기 링기어와 치합되어 있고 상기 메인유성기어와 떨어져 있는 제1 링유성기어,
    상기 링기어와 치합되어 있고 상기 메인유성기어와 떨어져 있는 제2 링유성기어,
    상기 제2 링유성기어와 치합되어 있는 제1 치합기어 및 상기 제1 치합기어와 치합되어 있는 제2 치합기어를 포함하는 치합유성기어부,
    상기 메인유성기어와 동력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링유성기어 또는 상기 제2 치합기어와 선택적으로 치합될 수 있는 위치유성기어,
    상기 선기어, 상기 메인유성기어, 상기 제1 링유성기어, 상기 제2 링유성기어, 상기 치합유성기어부 및 상기 위치유성기어가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는 케리어 및
    상기 위치유성기어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링유성기어 또는 상기 제2 치합기어에 선택적으로 치합시키는 위치설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유성기어, 상기 제1 링유성기어, 상기 제2 링유성기어, 상기 치합유성기어부 및 상기 위치유성기어는 하나의 단위체를 이루고 상기 단위체는 상기 링기어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치합기어는 복수의 단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치합기어의 일단기어는 상기 제1 치합기어와 치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치합기어의 타단기어는 상기 위치유성기어와 치합될 수 있고, 상기 일단기어의 기어비와 상기 타단기어 기어비는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케리어에는 상기 위치유성기어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장치.
  4. 제2항에서,
    상기 메인유성기어와 상기 위치유성기어를 연결하는 동력전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부는 벨트 또는 체인인 기어장치.
  5. 제2항에서,
    상기 위치유성기어 이동시 메인유성기어의 중심과 상기 위치유성기어의 중심 거리는 변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장치.
  6. 제2항에서,
    상기 위치설정부는 엑추에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장치.
  7. 제1 링기어,
    상기 제1 링기어 외측에 위치하고 있는 제2 링기어,
    상기 제1 링기어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선기어,
    상기 선기어와 치합되어 있는 메인유성기어,
    상기 제1 링기어 및 상기 메인유성기어와 치합되어 있는 제1 링유성기어,
    상기 제1 링기어 및 상기 제2 링기어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링유성기어 및
    상기 메인유성기어, 제1 링유성기어 및 상기 제2 링유성기어가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는 케리어
    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유성기어, 상기 제1 링유성기어 및 상기 제2 링유성기어는 하나의 단위체를 이루고 상기 단위체는 상기 제1 링기어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유성기어는, 복수의 단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메인유성기어의 일단기어는 상기 선기어와 치합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유성기어의 타단기어는 상기 제1 링유성기어와 치합되어 있고, 상기 일단기어의 기어비와 상기 타단기어 기어비는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링기어, 상기 선기어, 상기 메인유성기어 및 상기 링유성기어의 치차는 스파이럴 또는 헬리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제2 링유성기어의 기어비는 상기 제1 링유성기어의 기어비와 같거나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장치.
  9. 제2항 또는 제7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리어는,
    상기 선기어와 마주하는 중심판 및 상기 중심판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단위체들이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장치.
  10. 삭제
  11. 제1 링기어,
    상기 제1 링기어 외측에 위치한 제2 링기어,
    상기 제1 링기어 내부에 위치한 선기어,
    상기 선기어와 상기 제1 링기어 사이에 위치하고 서로 떨어져 있으며 상기 선기어와 상기 제1 링기어에 선택적으로 치합될 수 있는 제1 및 제2 메인 유성기어,
    상기 제1 링기어와 상기 제2 링기어 사이에 위치하고 서로 떨어져 있으며 상기 제1 링기어와 상기 제2 링기어에 선택적으로 치합될 수 있는 제1 내지 제3 링 유성기어,
    제1 및 제2 메인 유성기어, 상기 제1 내지 제3 링 유성기가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된 케리어 및
    상기 제1, 2 메인 유성기어와, 상기 제1 내지 제3 링 유성기어를 치합시키는 클러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2 메인 유성기어는 상기 제1 링 기어를 통해 상기 제1 내지 제3 링 유성기어 중 선택된 어느 하나와 동력 연결되고, 상기 제1 메인 유성기어, 상기 제2 메인 유성기어, 상기 제1 링 유성기어, 상기 제2 링 유성기어 및 상기 제3 링 유성기어의 기어비는 다르며, 제1 메인 유성기어 및 상기 제2 메인 유성기어는 복수로 형성되고, 복수의 제1 메인 유성기어와 복수의 제2 메인 유성기어는 교번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 내지 제3 링 유성기어는 하나의 단위체를 이루고 상기 단위체는 상기 제1 링기어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장치.
  12. 제11항에서,
    상기 제1 메인 유성기어는,
    기어비가 다른 일단기어와 타단기어를 가지는 제1 메인 내측 유성기어 및
    상기 제1 메인 내측 유성기어의 상기 타단기어와 치합되어 있고 상기 제1 링기어와 선택적으로 치합될 수 있는 제1 메인 외측 유성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메인 내측 유성기어의 상기 일단기어는 상기 선기어와 치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장치.
  13. 제12항에서,
    상기 제2 메인 유성기어는,
    기어비가 다른 일단기어와 타단기어를 가지는 제2 메인 외측 유성기어 및
    상기 제2 메인 외측 유성기어의 타단기어와 치합되어 있고 상기 선기어와 선택적으로 치합될 수 있는 제2 메인 내측 유성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메인 외측 유성기어의 상기 일단기어는 상기 제2 링기어와 치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메인 외측 유성기어가 상기 제2 링기어와 치합되면 상기 제2 메인 내측 유성기어는 상기 선기어와 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장치.
  14. 제12항에서,
    상기 제1 링 유성기어는
    기어비가 다른 일단기어와 타단기어를 가지는 제1 링 내측기어 및
    상기 제1 링 내측기어의 상기 타단기어와 치합되어 있고 상기 제2 링기어와 치합될 수 있는 제1 링 외측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링 내측기어의 상기 일단기어는 상기 제1 링기어와 치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링 유성기어는,
    기어비가 다른 일단기어와 타단기어를 가지는 제2 링 외측기어 및 상기 제2 링 외측기어의 상기 타단기어와 치합되어 있고 상기 제1 링기어와 치합될 수 있는 제2 링 내측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링 외측기어의 상기 일단기어는 상기 제2 링기어와 치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3 링 유성기어는,
    기어비가 다른 일단기어와 타단기어를 가지는 제3 링 외측기어 및 상기 제3 링 외측기어의 상기 타단기어와 치합되어 있고 상기 제1 링기어와 치합될 수 있는 제3 링 내측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링 외측기어의 상기 일단기어는 상기 제2 링기어와 치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링 외측기어, 상기 제2 링 내측기어 및 상기 제3 링 내측기어는 기어비가 다르며, 상기 제1 링 외측기어, 상기 제2 링 내측기어 및 상기 제3 링 내측기어 중 선택된 어느 하나만 상기 링기어와 치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장치.
  15. 제14항에서,
    상기 제1 링기어와 상기 제2 링기어 사이에 위치한 후진기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후진기어는, 상기 제1 내지 제3 링 유성기어의 단위체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후진기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어로 형성되고 상기 후진기어의 기어 개수는 상기 제1 링 유성기어의 개수보다 하나 더 많거나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장치.
  16. 제2항 내지 제8항, 제1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되어 있는 기어장치를 포함하는 변속기.
KR1020150057509A 2015-04-23 2015-04-23 기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변속기 KR101677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7509A KR101677939B1 (ko) 2015-04-23 2015-04-23 기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변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7509A KR101677939B1 (ko) 2015-04-23 2015-04-23 기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변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6473A KR20160126473A (ko) 2016-11-02
KR101677939B1 true KR101677939B1 (ko) 2016-11-24

Family

ID=57518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7509A KR101677939B1 (ko) 2015-04-23 2015-04-23 기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변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79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45180A1 (fr) * 2020-06-03 2021-12-09 Grolleau Franck Réducteur radial haute densité de puissance pour turbosoufflant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8473B1 (ko) * 2019-11-13 2020-06-03 장재혁 고비율 차동형 감속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2883A (ja) * 2003-07-25 2005-02-17 Nakanishi:Kk 回転速度切換装置
JP2007205396A (ja) * 2006-01-31 2007-08-16 Tadao Nagano トルク伝達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80316A (ja) 2007-01-25 2008-08-07 Sankyo Mfg Co Ltd 遊星歯車機構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2883A (ja) * 2003-07-25 2005-02-17 Nakanishi:Kk 回転速度切換装置
JP2007205396A (ja) * 2006-01-31 2007-08-16 Tadao Nagano トルク伝達構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45180A1 (fr) * 2020-06-03 2021-12-09 Grolleau Franck Réducteur radial haute densité de puissance pour turbosoufflante
FR3111173A1 (fr) * 2020-06-03 2021-12-10 Franck GROLLEAU Réducteur radial haute densité de puissance pour turbosoufflan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6473A (ko) 2016-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69236B2 (ja) Cvt差動装置
US9447830B2 (en) Electric brake actuator for vehicles
EP1629220A1 (en) Gear drive having continuously variable drive
JP2012502238A (ja) 制御装置の存在、不在にかかわらず、ギアの噛み合いを離脱させることなくギア比を変更することができる歯車式自動変速装置
KR101677939B1 (ko) 기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변속기
KR101422135B1 (ko) 다단 변속기
KR20080083620A (ko) 지레대식 치차감속기
KR101362550B1 (ko) 다단 감속 기어
CA2379240A1 (en) Gearing for power sharing in planetary transmission
JP5210311B2 (ja) 多段減速装置
US20110059824A1 (en) Mode changing device for a power branching transmission
KR100931965B1 (ko) 유성치차를 이용한 연속 고변속장치
KR102206092B1 (ko) 듀얼 감속비를 가지는 유성기어 감속기
US3354748A (en) Variable speed drive
US20110132117A1 (en) Variable torque transmitting device
RU2546047C2 (ru) Зубчатый реверсный вариатор
KR101350419B1 (ko) 변속 장치
KR101098151B1 (ko) 후진 기어를 가지는 베벨 마찰 링 기어
KR20080053929A (ko) 기어 장치, 특히 링크 기어 장치
CN103821888A (zh) 一种双向输出转矩的传动装置
JP6910140B2 (ja) 減速機、この減速機を有するシートアジャスタ及びリクライニング装置
KR100982934B1 (ko) 2개의 회전동력원과 기어결합체를 이용한 변속장치
CN109996975B (zh) 紧凑型机动车变速器
CN105134920A (zh) 机械齿轮无限式无级变速器
US20190353240A1 (en) Multi-Speed Orbitless Dri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