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7874B1 - 라바콘 커버 - Google Patents

라바콘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7874B1
KR101677874B1 KR1020160041369A KR20160041369A KR101677874B1 KR 101677874 B1 KR101677874 B1 KR 101677874B1 KR 1020160041369 A KR1020160041369 A KR 1020160041369A KR 20160041369 A KR20160041369 A KR 20160041369A KR 101677874 B1 KR101677874 B1 KR 1016778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weight
display unit
coating layer
boar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1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규
김요한
김진호
Original Assignee
이윤규
김요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윤규, 김요한 filed Critical 이윤규
Priority to KR1020160041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78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7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7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01F9/65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in the form of three-dimensional bodies, e.g. cones; capable of assuming three-dimensional form, e.g. by inflation or erection to form a geometric body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2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free-standing; portable, e.g. for guarding open manholes ; Portable signs or signa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 portable b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with reflectors; with means for keeping reflectors clea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88Free-standing bodies

Abstract

라바콘 커버가 개시된다. 라바콘 커버는 라바콘의 외면을 감싸도록 상기 라바콘에 결합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의 외면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 및 디스플레이부의 외면은 고휘도 반사 시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휘도 반사 시트에는 소정의 문자 및 도형 중 적어도 하나가 인쇄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라바콘 커버{COVER FOR RUBBER CONE}
본 발명은 라바콘 커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라바콘의 오염을 방지하고, 운전자 및 보행자의 안전한 통행을 안내하기 위한 정보를 게시할 수 있는 라바콘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라바콘은 차량이나 보행자가 통행하는 도로, 공사현장 등, 위험요소가 있는 곳에 운전자나 보행자의 안전을 위해 설치하여 사용하며, 통상적으로 라바콘은 원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외면에는 띠 형태의 반사시트가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라바콘은 노면에 노출되어 사용되는 것으로서, 장시간 노면에 노출되어 사용하는 경우 및 장기간 반복적으로 사용함에 따라 라바콘의 외면에는 이물질이 쌓이면서 오염이 발생하고, 오염으로 인해 반사시트가 쉽게 박리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라바콘은 외면에 반사시트만 부착되어 있을 뿐 보행자 또는 운전자에게 공사현장 또는 교통상황 등의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문자 또는 도형 등이 인쇄되어 있지 않으므로 라바콘과 별도로 노면에 세워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안내판을 구비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 20-0343178호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라바콘의 오염을 방지하고, 운전자 및 보행자의 안전한 통행을 안내하기 위한 정보를 게시할 수 있고, 게시된 문자 또는 도형의 시인성을 높여 보행자 및 운전자의 통행을 안전하게 유도할 수 있도록 한 라바콘 커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라바콘 커버는 라바콘의 외면을 감싸도록 상기 라바콘에 결합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의 외면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 및 디스플레이부의 외면은 고휘도 반사 시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휘도 반사 시트에는 소정의 문자 및 도형 중 적어도 하나가 인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예로, 상기 커버부 및 디스플레이부의 고휘도 반사 시트 표면에 인쇄된 문자 및 도형은 "공사중"의 문자 및 방향을 지시하는 ">" 형상의 조합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커버부 및 디스플레이부의 고휘도 반사 시트 표면에 인쇄된 도형은 상기 커버부에 부착된 고휘도 반사 시트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부착된 고휘도 반사 시트의 표면에 이어서 인쇄된 화살표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라바콘 커버는, 상기 커버부는 부채꼴 형상으로 전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라바콘 커버는, 상기 커버부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상기 부채꼴 형상의 부채꼴호의 길이방향에 평행하도록 결합된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부채꼴 형상의 일측 변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라바콘 커버는, 복수의 알림판으로서, 각각의 알림판의 적어도 일면에 고휘도 반사 시트가 부착되고, 각각의 고휘도 반사 시트에 소정의 문자 및 도형 중 적어도 하나가 인쇄되어 있는 복수의 알림판;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 변에 결합되어 상기 복수의 알림판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결합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앞면 및 뒷면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알림판을 넘길 수 있도록 구성된 홀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라바콘 커버에 의하면, 라바콘의 오염을 방지하고, 운전자 및 보행자의 안전한 통행을 안내하기 위한 정보를 게시할 수 있고, 게시된 문자 또는 도형의 시인성을 높여 보행자 및 운전자의 통행을 안전하게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라바콘 커버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라바콘 커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라바콘 커버가 라바콘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바콘 커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제1 실시예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라바콘 커버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라바콘 커버는 커버부(110) 및 디스플레이부(120)를 포함한다.
커버부(110)는 라바콘(10)의 외면을 감싸도록 라바콘(10)에 결합되어 라바콘(10)을 커버한다. 커버부(110)는 라바콘(10)을 감쌀 수 있도록 시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커버부(110)의 외면은 고휘도 반사 시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커버부(110) 전체는 방수 시트로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커버부(110)의 외면을 구성하는 방수 시트의 외면에는 제1 고휘도 반사 시트(111)가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부(110)의 외면 즉, 제1 고휘도 반사 시트(111)의 표면에는 소정의 문자 및 도형 중 적어도 하나가 인쇄될 수 있다. 제1 고휘도 반사 시트(111) 표면에 인쇄된 소정의 문자 또는 도형은 제1 고휘도 반사 시트(111)에 의해 운전자 또는 보행자의 시선을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커버부(110)의 형상은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바콘(10)에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절두된 원뿔 형상일 수 있다. 일 예로, 제1 고휘도 반사 시트(111)는 재귀 반사 시트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공사중 알림 또는 도로상황 등을 운전자 또는 보행자에게 안내하기 위한 목적으로 구비된다. 디스플레이부(120)는 커버부(110)의 외면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된다. 디스플레이부(12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일 수 있다. 플레이트의 외면에는 제2 고휘도 반사 시트(121)가 부착된다. 제2 고휘도 반사 시트(121)에는 소정의 문자 및 도형 중 적어도 하나가 인쇄된다. 제2 고휘도 반사 시트(121) 표면에 인쇄된 소정의 문자 또는 도형은 제2 고휘도 반사 시트(121)에 의해 운전자 또는 보행자의 시선을 유도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고휘도 반사 시트(121)는 재귀 반사 시트일 수 있다.
제1 고휘도 반사 시트(111) 및 제2 고휘도 반사 시트(121)에 인쇄되는 소정의 문자 또는 도형의 형상은 특별한 제한은 없다. 일 예로, 도 1a와 같이 제1 고회도 반사 시트(111)의 표면에는 "공사중"의 문자가 형성되고, 제2 고휘도 반사 시트(121)의 표면에는 방향을 지시하는 ">"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1b와 같이 제1 고휘도 반사 시트(111)의 표면으로부터 제2 고휘도 반사 시트(121)의 표면에 이어서 인쇄된 화살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라바콘 커버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바콘(10)에 끼워져서 커버부(110)가 라바콘(10)의 외면을 감싸며, 디스플레이부(120)는 커버부(110)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위치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커버부(110)는 라바콘(10)의 외면을 커버하여 라바콘(10)의 외면에 이물질이 쌓여서 라바콘(10)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라바콘(10)의 외면에 부착되어 있는 반사시트(미도시)가 라바콘(10)의 외면에 쌓이는 이물질로 인해 오염되어 반사시트가 라바콘(10)의 외면으로부터 쉽게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20)가 라바콘(10)의 축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배치되므로 디스플레이부(120)에 부착되어 있는 제2 고휘도 반사 시트(121)의 표면에 인쇄되어 있는 문자 또는 도형 또는 문자 및 도형은 운전자 및 보행자의 시선에 정면으로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공사현장 또는 도로에 라바콘(10)을 위치시켜서 차량 또는 보행자를 통제하고자 할 때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공사중 알림 또는 도로상황 등을 알리기 위한 문자 또는 도형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라바콘 커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라바콘 커버가 라바콘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다른 라바콘 커버는 커버부(110), 디스플레이부(120), 탄성부재(130), 복수의 알림판(140) 및 홀더(150)를 포함한다.
커버부(110)는 라바콘(10)의 외면을 감싸도록 라바콘(10)에 결합되어 라바콘(10)을 커버한다. 커버부(110)는 도 2와 같이 부채꼴 형상으로 전개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커버부(110)는 외면에 제1 고휘도 반사 시트(111)가 부착된다. 이러한 커버부(110)는 부채꼴 형상으로 전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라바콘 커버의 커버부(110)와 동일하므로 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디스플레이부(120)는 공사중 알림 또는 도로상황 등을 운전자 또는 보행자에게 안내하기 위한 목적으로 구비된다. 디스플레이부(120)는 부채꼴 형상의 일측 변으로부터 연장되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일 수 있다. 플레이트의 외면에는 제2 고휘도 반사 시트(121)가 부착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20)는 부채꼴 형상으로 전개되는 커버부(110)의 부채꼴 형상의 일측 변으로부터 연장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20)와 동일하므로 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탄성부재(130)는 커버부(110)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부채꼴 형상의 부채꼴호의 길이방향에 평행하도록 결합된다. 탄성부재(130)는 판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판스프링은 원형으로 말릴 수 있는 탄성을 갖는다. 이러한 탄성부재(130)는 커버부(110)를 라바콘(10)에 결합할 때 라바콘(10)의 둘레를 따라 감겨서 커버부(110)를 라바콘(10)의 외면에 고정한다.
복수의 알림판(140)은 플레이트 형상이고, 각각의 알림판(140)의 적어도 일면에는 제3 고휘도 반사 시트(141)가 부착된다. 각각의 제3 고휘도 반사 시트(141)에는 소정의 문자 및 도형 중 적어도 하나가 인쇄된다.
홀더(150)는 복수의 알림판(140)을 디스플레이부(120)에 결합한다. 일 예로, 홀더(150)는 디스플레이부(120)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복수의 알림판(140)을 디스플레이부(120)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홀더(150)는 디스플레이부(120)에 결합되는 복수의 알림판(140)을 디스플레이부(120)의 앞면 및 뒷면 방향으로 넘길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홀더(150)는 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복수의 알림판(140)의 상단부에는 홀더(150)에 결합되는 결합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라바콘 커버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130)가 라바콘(10)의 둘레를 따라 감겨서 커버부(110)가 라바콘(10)의 외면에 고정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탄성부재(130)는 원형으로 말리도록 복원되려는 탄성력에 의해 라바콘(10)의 둘레에 견고히 고정되며, 이는 커버부(110)를 라바콘(10)의 외면에 견고히 고정시키게 된다. 따라서, 라바콘(10)이 쓰러지는 경우 커버부(110)는 라바콘(1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20)에는 복수의 알림판(140)이 홀더(150)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므로 복수의 알림판(140)에 부착된 제3 고휘도 반사 시트(141)에 서로 다른 문자 및 도형 중 적어도 하나를 인쇄하고, 각각의 알림판(140)을 디스플레이부(120)의 앞면 및 뒷면 방향으로 넘기면서 다양한 안내 정보를 게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알림판(140)을 통해 라바콘(10)이 위치하는 현장에 맞게 안내 정보를 변경하여 게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의 표면에는 디스플레이부(120)의 표면오염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실리콘 성분을 포함한 코팅층이 형성된다. 상기 코팅층은 먼지 및 오염물질 등의 부착을 억제한다. 상기 코팅액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우선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용액에 디메틸디클로로실란 용액을 부피비로 2-5% 용해시켜 코팅액을 제조한다. 이때, 상기 디메틸디클로로실란 용액의 함량이 2%에 미치지 못하면 코팅의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고, 5%를 초과하면 코팅층이 너무 두꺼워져 효율이 떨어진다. 상기와 같은 비율로 용해된 코팅액은 코팅시간 및 코팅두께를 고려하여 용액의 점도가 0.8-2cp(센티포아제)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점도가 너무 낮으면 코팅시간을 오래해야 하며, 점도가 너무 높으면 코팅이 두껍게 일어나고 건조가 안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제조된 코팅용액으로 디스플레이부(120)의 표면을 1㎛이하의 두께로 코팅한다. 이때, 코팅층의 두께가 1㎛를 초과하면 오히려 먼지 및 오염물질 등의 부착을 억제하는 효과가 저하시키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코팅층의 두께를 1㎛이하로 한정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두께로 코팅하는 방법으로서는 디스플레이부(120) 표면에 2-3회 정도 분사하는 스프레이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홀더(150)는 표면 코팅재가 코팅될 수 있다. 표면 코팅재의 코팅재료는, 알루미늄 분말 5 ~ 30중량%, 알루미나 분말 50 ~ 70중량%, NH4Cl 1 ~ 5중량%, 아연 1 ~ 5중량%, 구리 1 ~ 5중량%, 마그네슘 1 ~ 5중량%, 티타늄 1 ~ 5중량%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요소 중 알루미늄 분말, 아연, 구리 및 마그네슘은 알루미늄의 용융점 온도인 660℃ 이상의 온도로 가열시 증기 상태가 되어 코팅을 필요로 하는 모재 표면에 확산 침투된다.
상기 알루미나 분말은 고온으로 가열될 때 소결, 엉킴, 융착 방지 등의 목적으로 첨가된다.
상기 NH4Cl은 증기 상태의 알루미늄, 아연, 주식, 구리 및 마그네슘과 반응하여 확산 및 침투를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아연은 물에 닿는 금속의 부식을 방지하는 것과 전기 방식용으로 사용되도록 배합된다.
상기 구리는 상기 알루미늄과 조합하여 금속의 경도 및 인장강도를 높이게 된다.
상기 마그네슘은 순수한 금속은 구조강도가 낮으므로 상기 알루미늄 및 아연 등과 함께 조합하여 금속의 경도, 인장강도 및 염수에 대한 내식성을 높이는 용도로 배합된다.
상기 티타늄은 가볍고 단단하고 내부식성이 있는 전이 금속 원소로 은백색의 금속광택이 있는바 뛰어난 내식성과 비중이 낮아 강철 대비 무게는 60% 밖에 되지 않으므로 금속모재에 도포되는 코팅재의 중량은 줄이되 광택을 높이고 뛰어난 방수성 및 내식성을 갖도록 배합된다.
상기 표면 코팅재의 코팅방법은 다음과 같다.
코팅층이 형성되어야 할 모재와 상기 구성으로 배합된 코팅재료를 폐쇄로 내에 함께 투입시키고 폐쇄로 내부에는 모재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2 L/min의 비율로 아르곤 가스를 주입시킨다, 아르곤 가스가 주입된 상태에서 850 내지 950℃의 온도로 4 ~ 6 시간 동안 유지한다.
상기 단계를 수행하여 증기 상태의 알루미늄 분말, 알루미나 분말, 아연, 구리, 마그네슘 및 티타늄이 폐쇄로 내부에 형성되고 알루미늄 분말, 알루미나 분말, 아연, 구리, 마그네슘 및 티타늄 배합물은 모재의 표면에 침투하여 코팅층이 형성된다.
코팅층이 형성된 후 폐쇄로 내부의 온도를 코팅 물질/기재 복합물이 840℃~1,300℃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840℃~1,000℃로 하여 12 ~ 48시간을 유지하면 모재의 표면에는 부식 방지용 코팅층이 형성되어 모재의 표면과 외기를 격리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공정을 수행함에 있어 급격한 온도 변화는 모재 표면의 코팅층이 박리될 수 있으므로 50℃/hr의 비율로 온도 변화를 시킨다.
이러한 표면 코팅재가 홀더(150)에 코팅되면 홀더(150)의 부식 및 변색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탄성부재(130)는 마모방지코팅층으로 코팅될 수 있다. 산화크롬(Cr2O3) 96∼98중량% 및 이산화티타늄(TiO2) 2∼4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분말이 탄성부재(130)에 용사되어서 이루어지고, 50∼600㎛의 두께로 이루어지며, 경도는 900∼1000HV를 유지하도록 플라즈마 코팅된다.
이 마모방지코팅층은 산화크롬(Cr2O3) 96∼98중량% 및 이산화티타늄(TiO2) 2∼4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분말이 용사되어서 이루어진다.
탄성부재(130)의 외주면에 세라믹 코팅을 하는 이유는 마모 방지 및 부식 방지가 주목적이다. 세라믹 코팅은 크롬도금 또는 니켈크롬도금에 비해 내부식성, 내스크래치성, 내마모성, 내충격성 및 내구성이 뛰어나다.
산화크롬(Cr2O3)은, 금속 내부로 침입하는 산소를 차단시키는 부동태피막(Passivity Layer)의 역할을 함으로써 녹이 잘 슬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산화티타늄(TiO2)은, 물리화학적으로 매우 안정적이고 은폐력이 높아서 백색안료로 많이 이용된다. 또한 굴절율이 높아서 고굴절율의 세라믹스에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광촉매적 특성과 초친수성의 특성을 갖는다. 이산화티타늄(TiO2)은, 공기정화 작용, 항균작용, 유해물질 분해작용, 오염방지 기능, 변색 방지기능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이산화티타늄(TiO2)은, 마모방지코팅층이 탄성부재(130)의 외주면에 확실하게 피복되도록 하며, 마모방지코팅층에 부착된 이물질을 분해, 제거하여 마모방지코팅층의 손상을 방지시킨다.
여기서, 산화크롬(Cr2O3)과 이산화티타늄(TiO2)을 혼합하여서 사용할 경우, 이들의 혼합 비율은, 산화크롬(Cr2O3) 96∼98중량%에 이산화티타늄(TiO2) 2∼4중량%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크롬(Cr2O3)의 혼합비율이 96∼98%보다 적을 경우, 고온 등의 환경에서 산화크롬(Cr2O3)의 피복이 파괴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었으며, 이에 따라 탄성부재(130)의 외주면의 녹방지 효과가 급격이 저하되었다.
이산화티타늄(TiO2)의 혼합비율이 2∼4중량%보다 적을 경우, 이를 산화크롬(Cr2O3)에 혼합하는 목적이 퇴색될 정도로 이산화티타늄(TiO2)의 효과가 미미하였다. 즉, 이산화티타늄(TiO2)은 탄성부재(130)의 외주면 둘레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분해, 제거하여서 탄성부재(130)의 외주면이 부식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시키는데, 그 혼합비율이 2∼4중량%보다 작을 경우, 부착된 이물질을 분해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재료들로 이루어진 코팅층은, 탄성부재(130)의 외주면의 둘레에 50∼600㎛의 두께로 이루어지고, 경도는 900∼1000HV, 표면조도는 0.1∼0.3㎛를 유지하도록 플라즈마 코팅된다.
이러한 마모방지코팅층은, 상기의 분말가루와 1400℃의 가스를 마하 2정도의 속도로 탄성부재(130)의 외주면의 둘레에 제트분사하여서 50∼600㎛으로 용사한다.
마모방지코팅층의 두께가 50㎛ 미만일 경우, 상술한 세라믹 코팅층에 의한 효과가 보장되지 못하게 되며, 마모방지코팅층의 두께가 600㎛을 초과할 경우, 상술한 효과의 증대는 미미한 반면 과다한 세라믹코팅에 의해 작업시간 및 재료비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탄성부재(130)의 외주면에 마모방지코팅층이 코팅되는 동안 탄성부재(130)의 외주면의 온도는 상승되는데, 가열된 탄성부재(130)의 외주면의 변형이 방지되도록 탄성부재(130)의 외주면이 냉각장치(미도시)로 냉각되어서 150∼200℃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된다.
마모방지코팅층의 둘레에는 금속계 유리 석영 계통으로 이루어진 무수크롬산(CrO3)으로 이루어진 실링재가 더 도포될 수 있다. 무수크롬산은 무기실링재로써 크롬니켈 분말로 이루어진 코팅층 둘레에 도포된다.
무수크롬산(CrO3)은, 높은 내마모, 윤활성, 내열성, 내식성, 이형성을 필요로 하는 곳에 사용되며, 대기중에서 변색이 안되고, 내구성이 크며, 내마모성과 내식성이 좋다. 실링재의 코팅 두께는 0.3∼0.5㎛ 정도가 바람직하다. 실링재의 코팅두께가 0.3㎛ 미만이면 약간의 스크래치홈에도 실링재가 쉽게 파이면서 벗겨지게 되므로 상술한 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된다. 실링재의 코팅두께가 0.5㎛를 초과할 정도로 두껍게 하면 도금면에 핀홀(pin hole), 균열 등이 많게 된다. 따라서 실링재의 코팅두께는 0.3∼0.5㎛ 정도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탄성부재(130)의 외주면에 내마모성 및 내산화성이 뛰어난 코팅층이 형성되므로 탄성부재(130)의 외주면이 마모되거나 산화되는 것이 방지되고, 이에 따라 제품의 수명이 연장된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라바콘 110 : 커버부
120 : 디스플레이부 130 : 탄성부재
140 : 알림판 150 : 홀더

Claims (5)

  1. 라바콘(10)의 외면을 감싸도록 상기 라바콘(10)에 결합되는 커버부(110); 및
    상기 커버부(110)의 외면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디스플레이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110) 및 디스플레이부(120)의 외면은 고휘도 반사 시트(111, 121)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휘도 반사 시트(111, 121)에는 소정의 문자 및 도형 중 적어도 하나가 인쇄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부(110)는 부채꼴 형상으로 전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라바콘 커버는, 상기 커버부(110)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상기 부채꼴 형상의 부채꼴호의 길이방향에 평행하도록 결합된 탄성부재(1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20)는 상기 부채꼴 형상의 일측 변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라바콘 커버는, 복수의 알림판(140)으로서, 각각의 알림판(140)의 적어도 일면에 고휘도 반사 시트(141)가 부착되고, 각각의 고휘도 반사 시트(141)에 소정의 문자 및 도형 중 적어도 하나가 인쇄되어 있는 복수의 알림판(140);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120)의 일측 변에 결합되어 상기 복수의 알림판(140)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20)에 결합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20)의 앞면 및 뒷면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알림판(140)을 넘길 수 있도록 구성된 홀더(150)를 더 포함하고;
    디스플레이부(120)의 표면에는 실리콘 성분을 포함한 코팅층이 도포되되, 상기 코팅층은,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용액에 디메틸디클로로실란 용액을 부피비로 2-5% 용해시켜 코팅액을 제조하고, 상기의 코팅액은 점도가 0.8-2cp(센티포아제)이며;
    홀더(150)는 표면 코팅재가 코팅되되, 상기 표면 코팅재의 코팅재료는, 알루미늄 분말 5 ~ 30중량%, 알루미나 분말 50 ~ 70중량%, NH4Cl 1 ~ 5중량%, 아연 1 ~ 5중량%, 구리 1 ~ 5중량%, 마그네슘 1 ~ 5중량%, 티타늄 1 ~ 5중량%로 구성되고;
    탄성부재(130)는 마모방지코팅층으로 코팅되되, 상기 마모방지코팅층은, 산화크롬(Cr2O3) 96∼98중량% 및 이산화티타늄(TiO2) 2∼4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분말이 탄성부재(130)에 용사되어서 이루어지고, 50∼600㎛의 두께로 이루어지며, 경도는 900∼1000HV를 유지하도록 플라즈마 코팅되고, 상기 마모방지코팅층의 둘레에는 금속계 유리 석영 계통으로 이루어진 무수크롬산(CrO3)으로 이루어진 실링재가 도포되며, 상기 실링재의 코팅 두께는 0.3∼0.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바콘 커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60041369A 2016-04-05 2016-04-05 라바콘 커버 KR1016778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1369A KR101677874B1 (ko) 2016-04-05 2016-04-05 라바콘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1369A KR101677874B1 (ko) 2016-04-05 2016-04-05 라바콘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7874B1 true KR101677874B1 (ko) 2016-11-29

Family

ID=57706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1369A KR101677874B1 (ko) 2016-04-05 2016-04-05 라바콘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787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1854Y1 (ko) * 2007-06-13 2008-09-11 조형래 전도방지용 라바콘
JP2009042709A (ja) 2007-08-11 2009-02-26 Shigenori Iwatsuki 標識コーン用情報表示具
JP2013015005A (ja) * 2011-06-09 2013-01-24 P-Factory Corp パイロン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1854Y1 (ko) * 2007-06-13 2008-09-11 조형래 전도방지용 라바콘
JP2009042709A (ja) 2007-08-11 2009-02-26 Shigenori Iwatsuki 標識コーン用情報表示具
JP2013015005A (ja) * 2011-06-09 2013-01-24 P-Factory Corp パイロン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65594A (en) Multilayer, temperature resistant, composite label
US20110091860A1 (en) Magnetic glass dry erase board
KR101677874B1 (ko) 라바콘 커버
WO2006137446A1 (ja) 防汚性印刷シート
JP5456373B2 (ja) スパッタ付着防止シート
JP3792731B2 (ja) 燐光特性を有する層状体、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使用
JP2583611B2 (ja) 塗工用ブレードの製造方法
EP1640426A2 (en) Heat-resistant label
JP2014024114A (ja) スパッタ付着防止シート
JP2003127540A (ja) レーザー光書込材料、その形成材及び表示体
US20230140092A1 (en) Aerospace warning tag
JP2006152201A (ja) 取外し位置表示用粘着テープ
KR102105562B1 (ko) 다이아몬드 형상의 돌기를 갖는 스티커형 전주도색판
KR101411469B1 (ko) 열소성을 이용한 안티 글래어 커버글라스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및 그 안티 글래어 커버글라스
CN215381779U (zh) 挂扣式安全帽防雾光学镜片
MXPA03000293A (es) Articulo revestido.
JP2008136922A (ja) 塗装物の製造方法
US20120285052A1 (en) Grommetless multi-layered industrial id tag
CN217868692U (zh) 一种耐冲击力强附着型粉末涂料复合涂层
JPH06102397B2 (ja) 耐汚染性の優れた金属製装飾プレート
CN218437927U (zh) 医用烤瓷洁净板
JP2021138874A (ja) 樹脂製シート及び塗工液セット
KR101977541B1 (ko) 잉크젯 인쇄를 이용한 도로표지판 및 그 제조 방법
JPS63249775A (ja) 耐火クロス
WO2023238941A1 (ja) 溶融めっき鋼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