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7673B1 - 풍력발전타워로 사용될 수 있는 지주 구조물, 내부 결합띠를 구비한 수평분할체의 일체 결합에 의한 지주 구조물의 시공방법, 및 이를 위한 내부 결합띠 구비형 수평분할체 - Google Patents

풍력발전타워로 사용될 수 있는 지주 구조물, 내부 결합띠를 구비한 수평분할체의 일체 결합에 의한 지주 구조물의 시공방법, 및 이를 위한 내부 결합띠 구비형 수평분할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7673B1
KR101677673B1 KR1020160057721A KR20160057721A KR101677673B1 KR 101677673 B1 KR101677673 B1 KR 101677673B1 KR 1020160057721 A KR1020160057721 A KR 1020160057721A KR 20160057721 A KR20160057721 A KR 20160057721A KR 101677673 B1 KR101677673 B1 KR 101677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ly divided
circumferential direction
main body
band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7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욱
문종훈
박태균
정구상
양규영
이지엽
Original Assignee
대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57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76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7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7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3/00Assembly, mounting or commissioning of wind motors;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wind motor components
    • F03D13/20Arrangements for mounting or supporting wind motors; Masts or towers for wind motors
    • F03D13/22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wind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1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with or without internal or external reinforcements, e.g. with metal coverings, with permanent form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30/00Manufacture
    • F05B2230/50Building or constructing in particular w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90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 F05B2240/91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on a stationary structure
    • F05B2240/912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on a stationary structure on a tow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30Retaining components in desired mutual position
    • F05B2260/301Retaining bolts or nu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8Onshore wind turb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직방향으로 원형의 평단면을 가지는 원통형의 지주 구조물을 구축함에 있어서, 원통형 부재를 원주방향으로 복수개로 분할한 형태의 "수평분할체"를 원주방향으로 연속 배치한 후 수평분할체를 일체로 결합하되, 수평분할체의 내측에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내부 결합띠(band)를 배치하고, 원주방향으로 연속 배치된 수평분할체들 사이에서 내부 결합띠를 일체로 연결하여 폐합된 링 형태를 만든 후 내부 결합띠를 수평분할체 내면에 접근시킴으로써, 내부 결합띠에 원주방향의 가압력을 발생시켜서 수평분할체들을 견고하게 일체화시키는 구조를 가지는 지주 구조물과 그 시공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내부 결합띠를 구비한 수평분할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풍력발전타워로 사용될 수 있는 지주 구조물, 내부 결합띠를 구비한 수평분할체의 일체 결합에 의한 지주 구조물의 시공방법, 및 이를 위한 내부 결합띠 구비형 수평분할체{Tower Structure, Constructing Method of such Tower Structure, and Precast Member having Inner Band for such Tower Structure}
본 발명은 풍력발전타워, 송전탑 등과 같이 연직하게 기둥형태로 세워져 설치되는 지주 구조물과 그 시공방법, 그리고 이에 사용되는 수평분할체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연직방향으로 원형의 평단면을 가지는 원통형의 지주 구조물을 구축함에 있어서, 원통형 부재를 원주방향으로 복수개로 분할한 형태의 "수평분할체"를 원주방향으로 연속 배치한 후 수평분할체를 일체로 결합하되, 수평분할체의 내측에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내부 결합띠(band)를 배치하고, 원주방향으로 연속 배치된 수평분할체들 사이에서 내부 결합띠를 일체로 연결하여 폐합된 링 형태를 만든 후, 내부 결합띠를 수평분할체 내면에 접근시킴으로써, 내부 결합띠에 원주방향의 가압력을 발생시켜서 수평분할체들을 견고하게 일체화시키는 구조를 가지는 지주 구조물과 그 시공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내부 결합띠를 구비한 수평분할체에 관한 것이다.
풍력발전타워 또는 송전탑 등과 같은 지주(支柱) 구조물은, 연직방향으로 원형의 단면을 가지고 있으며, 연직하게 위쪽으로 연장되면서 원형 단면이 점차로 축소하는 기둥형태로 이루어진다. 물론 지주 구조물의 연직방향 단면이 완전한 원이 아니라 타원이 될 수도 있으므로, 편의상 본 명세서에서 "원형 단면"이라는 용어는 완전한 원(圓)을 이루는 단면뿐만 아니라, 타원 형태의 단면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원주방향"이라 함은 지주 구조물의 원형 단면에서의 원주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지주 구조물을 구축함에 있어서, 연직방향으로 지주 구조물을 복수개의 단(段)으로 분할하고, 각 단에서는 원주방향으로 지주 구조물을 복수개의 분할체 즉, 수평분할체로 분할하여,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사전 제작된 수평분할체를 서로 결합하는 방식이 종래 기술로서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일예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71265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수평분할체를 원주방향으로 연속배치하고 일체로 결합하여 지주 구조물의 각 단을 구축하면서, 복수개의 단을 연직하게 적층 시공하는 종래 기술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점 중의 하나는 "복수개의 수평분할체 간의 견고한 일체화"이다. 위에서 예시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71265호의 종래 기술에서는 수평분할체(타워 세그먼트)가 서로 마주 접하게 될 원주방향으로의 횡측면에 이음철물 등을 수평분할체 자체에 매립해두고, 수평분할체의 횡측면이 접한 상태에서 이음철물을 연결한 후, 이음철물이 매립되도록 모르타르 등의 그라우트재를 채우는 방식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기술은 결국, 수평분할체들의 원주방향의 일체화를 단지 이음철물 간의 결합에만 의존하고 있다. 즉, 수평분할체들을 서로 분리되게 만드는 외력을 오로지 이음철물 간의 결합에 의해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수평분할체들의 일체화 정도가 낮으며, 결국 지주 구조물 전체의 구조적 안정성이 저하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71265호(2014. 12. 09. 공고).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원주방향으로 수평분할체들이 연속 배치되어 원형 단면을 이룬 상태에서 단순히 연결철물에만 의존하여 수평분할체들이 일체화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원주방향으로 수평분할체들을 서로 강하게 밀착시킬 수 있는 힘이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수평분할체들이 종래 기술보다 더욱 견고하게 일체화되도록 하며, 그에 따라 지주 구조물 전체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연직 방향으로 복수개의 단으로 구분되어 있고, 각 단에서 원주방향으로 복수개의 수평분할체로 분할되어 있고; 수평분할체는, 곡률을 가지고 휘어져 있는 판형의 부재로 이루어진 본체와, 지주 구조물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띠 형태로 이루어지고 본체의 내면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거나 또는 본체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구비되는 내부 결합띠와, 내부 결합띠와 본체 사이에서 내측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구비되며 외측 단부는 본체의 내면에 결합되고 내측 단부는 내부 결합띠를 관통하고 내부 결합띠를 관통한 내측 단부에는 헤드부가 구비되어 있는 체결가압부재를 포함하며; 복수개의 수평분할체가 횡측면이 서로 접하도록 원주방향으로 연속 배치되고 각 수평분할체의 내부 결합띠는 원주방향으로 서로 연결되어 폐합된 하나의 원형 링을 형성하여 지주 구조물의 각 단을 이루게 되는데, 헤드부가 내부 결합띠를 외측 방향으로 밀어서 가압함으로써, 내부 결합띠가 이루고 있는 원형 링의 지름을 증가시키려는 응력이 내부 결합띠에 작용하여, 서로 이웃하는 수평분할체의 본체에 원주방향으로 압축력이 가해지게 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 구조물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위와 같은 지주 구조물의 시공방법이 제공되며, 더 나아가 상기한 지주 구조물을 시공하는데 이용되는 수평분할체가 제공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지주 구조물, 그 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수평분할체에서, 체결가압부재를 설치함에 있어서, 체결가압부재의 외측 단부를 본체에 고정된 상태로 결합하고, 내부 결합띠를 관통한 체결가압부재의 내측 단부에는, 헤드부를 체결가압부재의 돌출길이를 따라 그 위치가 변화될 수 있도록 구비하여, 헤드부가 체결가압부재를 따라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헤드부가 본체의 내면에 밀착하면서 내부 결합띠를 외측 방향으로 밀어서 가압하게 되는 구성을 가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본 발명에서는 본체의 내면에는, 체결가압부재의 외측 단부가 결합되는 삽입구를 구비하고, 체결가압부재의 외측 단부가 삽입구에 대해 삽입되는 깊이가 변화될 수 있는 상태로, 체결가압부재를 본체에 결합하고; 헤드부는 체결가압부재의 내측 단부에 고정된 형태로 구비하여, 체결가압부재의 외측 단부가 삽입구에 더 깊게 삽입됨에 따라 헤드부가 본체의 내면에 밀착하여 내부 결합띠를 외측 방향으로 밀어서 가압하게 되는 구성을 가지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원주방향으로 수평분할체들이 연속 배치되어 원형 단면을 이룬 상태에서 단순히 연결철물에만 의존하여 수평분할체들이 일체화되는 종래 기술과 달리, 원주방향으로 수평분할체들 사이에는 수평분할체들을 서로 강하게 밀착시킬 수 있는 힘(가압력/압축력)이 작용하게 됨으로써 수평분할체들이 종래 기술보다 더욱 견고하게 일체화되도록 하며, 그에 따라 구조물 전체의 구조적 안정성이 크게 향상된 지주 구조물을 구축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지주 구조물의 하나의 단을 구축하는데 이용되는 수평분할체의 제1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평분할체의 개략적인 조립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평분할체에 대한 도 1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수평분할체의 개략적인 조립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평분할체 2개가 원주방향으로 서로 접하도록 배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상태에 후속하여 이웃하는 수평분할체의 연속 배치가 완료되고 이웃하는 수평분할체의 내부 결합띠가 서로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평분할체 2개가 원주방향으로 서로 접하도록 배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상태에 후속하여 이웃하는 수평분할체의 연속 배치가 완료되고 이웃하는 수평분할체의 내부 결합띠가 서로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최종 수평분할체를 삽입하는 형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1은 최종 수평분할체까지 모두 배치하여 일체화된 후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 9에 후속된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2는 최종 수평분할체를 배치하여 일체화시키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 10에 후속되는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체결가압부재가 삽입구에 더 깊게 삽입되어 헤드부에 의해 내부 결합띠가 외측 방향으로 밀려가면서 가압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 13에 후속하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평분할체가 모두 배치되어 일체화된 후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 13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헤드부가 외측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내부 결합띠가 외측 방향으로 밀려가면서 가압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 14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라 지주 구조물의 하나의 단을 구축하는데 이용되는 수평분할체(100)의 제1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수평분할체(100)의 개략적인 조립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지주 구조물은, 연직방향 아래로 내려다볼 때 원형 단면을 가지면서 연직하게 세워져 설치되는 기둥 형태의 구조물로서, 연직 방향으로 소정 높이를 가지는 복수개의 단으로 구분되어 있고, 각 단에서 지주 구조물의 원형 평단면은 복수개의 수평분할체(100)로 분할되어 복수개의 수평분할체(100)가 원주방향으로 연속 배치되고 서로 일체로 결합됨으로써, 원통형의 각 단을 이루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평분할체(100)는,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본체(1)와, 내부 결합띠(2)와, 체결가압부재(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본체(1)는 두께를 가지면서 곡률을 가지고 휘어져 있는 판형의 부재로서, 예를 들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웃하는 수평분할체(100)와의 결합을 위하여, 수평분할체(100)의 원주방향 측면 즉, 이웃하는 수평분할체의 본체와 서로 마주 접하게 될 횡측면 중 일측의 횡측면에는 볼록 전단키(11)가 구비될 수 있으며, 타측 횡측면에는 볼록 전단키(11)가 삽입될 수 있는 오목부(12)가 구비될 수 있다. 참고로 청구범위를 포함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지주 구조물의 원형 단면 중심을 향하는 방향을 "내측 방향"(도 1에서 화살표 R로 표시된 방향)이라고 기재하며, 이와 반대되는 방향을 "외측 방향"(도 1에서 화살표 S로 표시된 방향)이라고 기재한다. 따라서 수평분할체(100)의 본체(1)에서 내측 방향을 바라보는 면은 "본체의 내면"이라고 기재하며, 후술하는 내부 결합띠(2)에 있어서도 내측 방향을 바라보는 면을 "내부 결합띠의 내면"이라고 기재한다. 물론 이와 반대되는 방향의 면은 각각 "외면"에 해당한다. 또한 후술하는 체결가압부재(3)에 있어서도 외측 방향으로의 단부는 "외측 단부"라고 기재하며 내측 방향으로의 단부는 "내측 단부"라고 기재한다.
본체(1)의 내면 전방에는 내부 결합띠(2)가 배치된다. 내부 결합띠(2)는 지주 구조물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띠 형태의 부재로서, 본체(1)의 내면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거나 또는 본체(1)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내부 결합띠(2)의 원주방향 길이는 본체(1)의 원주방향 폭과 대응될 수 있다.
내부 결합띠(2)와 본체(1) 사이에는 내측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의 체결가압부재(3)가 설치되는데, 체결가압부재(3)의 외측 단부는 본체(1)의 내면에 결합되며 체결가압부재(3)의 내측 단부는 내부 결합띠(2)를 관통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내부 결합띠(2)에는 체결가압부재(3)의 관통을 위한 관통공(20)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내부 결합띠(2)의 재질로는 강재 판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평분할체(100)의 경우, 체결가압부재(3)의 내측 단부에는 관통공(20)을 통과할 수 없는 크기의 헤드부(30)가 결합 구비되어 있으며, 체결가압부재(3)의 외측 단부는 나사부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도 1 및 도 2의 제1실시예에서는 헤드부(30)가 체결가압부재(3)의 내측 단부에 완전히 일체로 고정 구비되어 있는 바,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체결가압부재(3)의 일예로는 볼트부재가 있으며, 이 경우 볼트부재의 볼트머리가 헤드부(30)에 해당하게 된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 따른 수평분할체(100)에서, 본체(1)의 내면에는 체결가압부재(3)의 외측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구(14)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실시예의 수평분할체(100)에서는 체결가압부재(3)의 외측 단부가 내부 결합띠(2)의 관통공(20)을 관통한 후 본체(1)의 삽입구(14)에 나사결합되면서 삽입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후술하는 것처럼 수평분할체(100)의 일체화를 위하여, 내부 결합띠(2)와 본체(1) 사이의 간격을 줄이게 되는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제1실시예의 경우, 체결가압부재(3)의 외측 단부가 본체(1)의 내면으로 삽입되는 깊이가 변화됨으로써 즉, 체결가압부재(3)를 회전시켜 체결가압부재(3)의 외측 단부가 삽입구(14)에 더 깊게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본체(1)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체결가압부재(3)의 길이(체결가압부재의 돌출길이)가 줄어들게 되며, 그에 따라 헤드부(30)가 본체(1)의 내면에 밀착한 상태에서 체결가압부재(3)의 돌출길이가 더 줄어들면서 내부 결합띠(2)가 외측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어 내부 결합띠(2)와 본체(1) 사이의 간격이 줄어들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체결가압부재(3)는 위와 같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3 및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평분할체(100)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3는 제2실시예에 따른 수평분할체(100)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제2실시예에 따른 수평분할체(100)의 개략적인 조립 사시도이다.
앞서 살펴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 따른 수평분할체(100)의 경우에는, 헤드부(30)가 체결가압부재(3)의 내측 단부에 완전히 고정된 상태로 구비되고 체결가압부재(3)의 외측 단부가 본체(1)의 내부로 삽입되는 깊이가 변화됨으로써 내부 결합띠(2)와 본체(1) 사이의 간격이 변화되는 구성을 가지고 있었지만,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제2실시예에 따른 수평분할체(100)의 경우, 체결가압부재(3)의 외측 단부가 본체(1)에 완전히 고정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수평분할체(100)에서, 체결가압부재(3)는 그 외측 단부가 본체(1)를 이루는 콘크리트에 매립되어 있다. 그리고 제2실시예에 따른 수평분할체(100)의 경우, 헤드부(30)는 체결가압부재(3)의 내측 단부에서, 체결가압부재(3)의 돌출길이를 따라 그 위치가 변화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예를 들어, 체결가압부재(3)의 내측 단부에 나사부를 형성하고, 헤드부(30)를 체결가압부재(3)의 내측 단부에 나사결합함으로써, 헤드부(30)의 위치가 변화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이러한 헤드부(30)로서 체결가압부재(3)에 나사결합되는 너트부재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제2실시예의 경우, 헤드부(30)가 체결가압부재(3)를 따라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헤드부(30)가 본체(1)의 내면에 밀착하게 되는데, 이 상태에서 헤드부(30)가 더욱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내부 결합띠(2)가 외측 방향으로 밀려가게 되어 내부 결합띠(2)와 본체(1) 사이의 간격이 줄어들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수평분할체(100)의 경우, 본체(1)를 제작할 때부터 체결가압부재(3)의 외측 단부가 본체(1)에 매립된 상태로 일체로 구비되어 체결가압부재(3)가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내부 결합띠(2)를 본체(1) 내면을 향하여 접근하여 체결가압부재(3)의 내측 단부가 관통공(20)을 통과한 후, 체결가압부재(3)의 내측 단부에 헤드부(30)를 결합하고 있다. 그러나 체결가압부재(3)의 외측 단부를 본체(1)에 고정하는 방법으로는, 본체(1)의 내면에 삽입구(14)를 설치해두고, 체결가압부재(3)의 외측 단부를 삽입구(14)에 나사결합하되, 체결가압부재(3)의 외측 단부가 삽입구(14)에 삽입되는 깊이를 변화시키지 않는 형태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체결가압부재(3)의 내측 단부에 헤드부(30)를 미리 결합해두고, 체결가압부재(3)의 외측 단부를 관통공(20)에 통과시킨 후, 삽입구(14)에 결합할 수도 있다. 물론 체결가압부재(3)의 외측 단부를 본체(1)에 매립하여 고정시키는 경우에도, 이와 같이 체결가압부재(3)의 내측 단부에 헤드부(30)를 미리 결합해두고, 체결가압부재(3)의 외측 단부를 관통공(20)에 통과시켜서 본체(1)에 매립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의 제1실시예 및 도 3 및 도 4의 제2실시예의 경우 모두, 아직 수평분할체(100)가 이웃하는 수평분할체와 결합되기 전의 상태에서는, 체결가압부재(3)가 본체(1)에 결합되어 있고 체결가압부재(3)의 내측 단부가 내부 결합띠(2)를 관통하여 헤드부(30)가 내부 결합띠(2)의 내면 쪽에 위치하고 있지만, 내부 결합띠(2)는 체결가압부재(3)에 끼워진 상태로 체결가압부재(3)의 돌출길이 범위 내에서 내측 방향 및 외측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상태에 있게 된다. 이는 후술하는 것처럼 최종 수평분할체(110)를 삽입할 때, 매우 유용하다.
본 발명에서 수평분할체(100)는 위와 같이 본체(1), 내부 결합띠(2) 및 체결가압부재(3)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데, 이러한 수평분할체(100)는, 복수개가 원주방향으로 연속 배치되어 원형을 이루게 된다. 도 5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 따른 수평분할체 2개가 원주방향으로 서로 접하도록 배치되는 상태가 개략적인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배치가 완료되고 이웃하는 수평분할체의 내부 결합띠가 서로 연결된 상태가 개략적인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7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제2실시예에 따른 수평분할체 2개가 원주방향으로 서로 접하도록 배치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8에는 배치가 완료되고 이웃하는 수평분할체의 내부 결합띠가 서로 연결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수평분할체(100)는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원주방향으로의 횡측면이 서로 접하도록 연속 배치되는데, 이 때 횡측면에 형성된 볼록 전단키(11)는 이웃하는 수평분할체(100)의 오목부(12)에 끼워진다. 그리고 원주방향으로 이웃하는 수평분할체(100) 간의 내부 결합띠(2) 역시 서로 연속되도록 접하게 되고,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볼트(25)와 결합판(26)을 이용한 스플라이스 방식에 의하거나 또는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하여 내부 결합띠(2)가 서로 일체로 결합되어 연속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원주방향으로 복수개의 수평분할체(100)가, 그 본체(1)의 횡측면이 서로 접하도록 연속 배치되고, 내부 결합띠(2) 역시 하나의 폐합된 원형 띠를 이루도록 연속된다. 복수개의 수평분할체(100)가 폐합된 형태의 원형 단면을 이루도록 하기 위해서는 이미 내부 결합띠(2)가 서로 연결되어 있는 수평분할체(100) 사이에 마지막의 최종 수평분할체를 삽입하여야 하는데, 수평분할체의 횡측면에 볼록 전단키(11)가 돌출되어 있는 경우에는 최종 수평분할체를 무작정 끼워넣을 수는 없다.
도 9에는 최종 수평분할체(110)를 삽입하는 형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0에는 도 9에 도시된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9 및 도 10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최종 수평분할체를 도면부호 110로 표시하여 이미 연속 배치된 수평분할체와 구분하였다. 앞서 살펴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제2실시예의 수평분할체는 체결가압부재(3)의 구성 및 그에 따라 후술하는 내부 결합띠(2)의 외측 방향으로의 밀착 구성에서만 도 1 및 도 2의 제1실시예와 상이할 뿐이므로, 비록 아래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제1실시예의 수평분할체를 예시하고 있는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최종 수평분할체를 조립하는 것을 설명하지만, 이 내용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제2실시예를 이용한 것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따라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제2실시예에 대한 도 9 내지 도 13에 대응되는 도면은 도시를 생략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이미 내부 결합띠(2)가 서로 연결되어 있는 수평분할체(100) 사이에 마지막의 최종 수평분할체(110)를 삽입할 때에는 기존에 연속 배치된 수평분할체들을 외측 방향으로 움직여서 최종 수평분할체(110)가 삽입될 공간을 조금 벌려서 크게 만들어야 하는데, 이미 연결된 내부 결합띠(2)는 체결가압부재(3)에 끼워진 채로 내측 방향으로 조금 이동할 수 있으므로, 내부 결합띠(2)의 위치가 변경되면서, 기존에 연속 배치된 수평분할체들은 쉽게 그 사이가 벌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볼록 전단키(11)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최종 수평분할체(110)를 기존에 연속 배치된 수평분할체들 사이의 간격에서 정해진 위치로 용이하게 삽입 배치할 수 있게 된다.
최종 수평분할체(110)까지 모두 배치한 후에는 최종 수평분할체(110)의 양쪽 횡측면이 각각 이웃하는 수평분할체의 횡측면에 밀착되게 만들고, 최종 수평분할체(110)에 구비되어 있던 내부 결합띠(2) 역시 이웃하는 내부 결합띠(2)와 일체로 결합하여 내부 결합띠(2)가 하나로 결합되어 폐합된 원형 링을 이루게 만든다. 도 11에는 이와 같이 최종 수평분할체(110)까지 모두 배치하여 일체화된 후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 9에 후속된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2에는 최종 수평분할체(110)를 배치하여 일체화시키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 10에 후속되는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3에는 최종 수평분할체(110)까지 모두 배치하여 일체화된 후의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 즉, 도 11에 도시된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에서 점선은 아직 최종 수평분할체(110)의 양쪽 횡측면이 각각 이웃하는 수평분할체의 횡측면에 밀착되지 않은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며, 실선은 횡측면이 밀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와 같이 최종 수평분할체(110)를 포함한 복수개의 수평분할체(100)들이 각각 그 횡측면이 밀착되어 폐합된 원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더 나아가 내부 결합띠(2) 역시 모두 연결되어 하나의 링을 이루게 된 후, 내부 결합띠(2)를 외측 방향으로 움직이게 함으로써, 내부 결합띠(2)와 본체(1) 사이의 간격이 줄어들게 만들어 내부 결합띠(2)를 수평분할체의 내면에 더욱 가깝게 접근시키고, 그에 따라 내부 결합띠(2)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수평분할체(100)들을 견고하게 결속시킬 수 있는 힘(가압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 따른 수평분할체(100)를 이용하여 지주 구조물을 구축하는 경우, 체결가압부재(3)을 회전시켜서 체결가압부재(3)의 외측 단부를 삽입구(14)에 더 깊게 삽입시키게 되면, 그에 따라 체결가압부재(3)의 내측 단부에 고정되어 있던 헤드부(30) 역시 외측 방향으로 움직여서 내부 결합띠(2)의 내면에 밀착되면서 내부 결합띠(2)를 외측 방향으로 밀어주게 된다. 도 14에는 이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수평분할체(100)에서 체결가압부재(3)의 헤드부(30)에 의해 내부 결합띠(2)가 외측 방향으로 밀려가면서 가압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 13에 후속하는 개략적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제2실시예에 따른 수평분할체(100)를 이용하여 지주 구조물을 구축하는 경우, 헤드부(30)를 회전시켜서 헤드부(30)를 외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내부 결합띠(2)의 내면에 헤드부(30)가 밀착되도록 하며, 이러한 상태에서 헤드부(30)를 더욱 회전시키면 내부 결합띠(2)는 내면에 밀착된 헤드부(30)에 의해 외측 방향으로 밀리게 된다. 즉, 헤드부(30)를 이동시켜서 내부 결합띠(2)를 외측 방향으로 밀어주게 되는 것이다. 도 15에는 제2실시예에 따른 수평분할체(100)가 모두 배치되어 일체화된 후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 13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6에는 도 15에 도시된 상태에 후속하여 체결가압부재(3)의 헤드부(30)가 외측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내부 결합띠(2)가 외측 방향으로 밀려가면서 가압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 14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 14 및 도 16에서는 체결가압부재(3)의 헤드부(30)가 내부 결합띠(2)를 외측 방향으로 밀어줌에 따라 폐합된 내부 결합띠(2)가 이루고 있는 원형 링(띠)의 지름이 증가되는 것을 다소 과장되게 도시하였으며, 도 14 및 도 16에서 점선은 체결가압부재(3)의 헤드부(30)가 내부 결합띠(2)를 외측 방향으로 밀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며, 실선은 폐합된 내부 결합띠(2)가 이루고 있는 원형 링의 지름이 다소 증가된 상태를 나타낸다.
제1실시예에 따른 수평분할체(100)의 경우처럼 체결가압부재(3)를 회전시켜서 체결가압부재(3)의 외측 단부를 삽입구(14)에 더 깊게 삽입시켜서 체결가압부재(3)의 헤드부(30)가 내부 결합띠(2)를 외측 방향으로 밀어주게 만들거나, 또는 제2실시예에 따른 수평분할체(100)의 경우처럼 헤드부(30)를 회전시켜서 헤드부(30)를 외측 방향으로 움직여서 헤드부(30)가 내부 결합띠(2)를 외측 방향으로 밀어주게 만들게 되면, 위의 도 13와 같이 폐합된 상태의 내부 결합띠(2)가 이루고 있는 원형 링의 지름을 증가시키려는 응력이 내부 결합띠(2)에 작용하게 된다. 그런데 내부 결합띠(2)는 체결가압부재(3)에 의해 본체(1)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내부 결합띠(2)의 원형 링 지름을 증가시키려고 작용하는 응력은, 결국 폐합된 원형을 이루도록 연결되어 있는 수평분할체(100)의 본체(1)로 전달되어, 도 14 및 도 N9의 화살표 P로 표시된 것처럼, 지주 구조물의 원형 단면 중심을 향하는 방향 즉, 내측 방향으로 작용하는 구심가압력(P)을 유발하게 된다.
이러한 구심가압력(P)은 결국 서로 이웃하는 수평분할체(100) 사이에서, 횡측면이 서로 접해있는 본체(1)를 이웃하는 수평분할체의 본체를 향하여 강하게 밀어주는 힘으로 작용하게 되며, 그에 따라 복수개의 수평분할체(100)는 매우 견고하게 원주방향으로 연속 배열된 것을 유지하면서 더욱 견고하게 일체화되며, 그에 따라 복수개의 수평분할체(100)로 이루어진 지주 구조물은 전체인 구조적 안정성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내부 결합띠(2)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수평분할체(100)에 압축력이 도입되므로, 지주 구조물에 작용하는 외력으로 인하여 원주방향으로 수평분할체(100)에 발생하는 휨 인장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되며, 수평분할체(100)가 콘크리트 부재로 제작될 경우, 이러한 효과에 의하여 콘크리트의 균열 발생을 억제할 수 있게 되고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수평분할체(1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특히, 수평분할체(100)를 제작함에 있어서 완벽을 기하려고 하더라도 예상하지 못한 이유로 인하여 제작 오차가 존재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수평분할체(100)를 원주방향으로 연속 배치하여 조립할 때, 수평분할체(100) 간에 어긋남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수평분할체(100)가 제작 오차 없이 모두 동일한 형상을 가지도록 제작된 경우에도, 수평분할체(100)를 원주방향으로 연속 배치할 때, 배치 위치에 오차가 생길 수 있다. 이 경우, 이웃하는 수평분할체(100)를 정확한 위치에서 서로 연결조립하여 원형의 단면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어렵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것처럼 단순히 수평분할체(100)만 원주방향으로 조립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각 수평분할체(100)에 구비된 내부 결합띠(2)도 서로 연속하여 일체화시켜 원형 링을 만들게 되고, 내부 결합띠(2)에 의해 수평분할체(100)에 원주 방향으로 압축력을 도입하게 되므로, 그 과정에서 수평분할체(100)가 설계된 원형을 이루도록 서로 조립되며, 이러한 원주방향 조립 작업도 매우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제작된 지주 구조물 역시 설계에 충실한 형상을 가질 수 있게 되며, 수평분할체(100) 간의 어긋남으로 인하여 집중응력의 발생 등의 문제점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앞서 예시한 이음철물의 연결에 의해 수평분할체를 연결하는 종래 기술의 경우, 이음철물 연결 후 수평분할체 사이의 간격에 모르타르 등의 그라우팅재를 타설하는 그라우팅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그라우팅 작업시간 및 그 양생시간 등이 필요하여 시공기간이 길어지지만, 본 발명의 경우, 수평분할체(100) 간의 원주방향 연속 배치, 내부 결합띠(2)의 원형 링 형태의 일체화, 및 체결가압부재(3) 자체의 이동 또는 헤드부(30)의 이동 작업만 수행하면 되므로, 종래 기술보다 시공기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겨울철 저온 환경에서 그라우팅 작업을 해야 할 경우가 발생하여 그 만큼 작업이 어려워지고 시간 및 비용 증가의 단점이 발생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에는 계절에 상관없이 상시 적용하여 지주 구조물의 구축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더 나아가, 종래 기술의 경우, 원주방향으로 수평분할체 사이의 좁은 틈에서 이음철물의 연결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그만큼 작업이 어렵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수평분할체의 조립으로 이루어진 원통형의 내부공간에서 체결가압부재(3)를 외측 방향으로 움직이는 작업(체결가압부재가 볼트부재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볼트에 돌려서 외측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는 작업) 또는 체결가압부재(3)의 헤드부(30)를 외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종래 기술보다 월등히 우수한 시공효율을 발휘하며, 시공시간도 크게 단축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무엇보다도, 본 발명에 의하면, 지주 구조물의 각 단에서 수평분할체의 조립으로 이루어진 원통형 구조물 내에, 내부 결합띠에 의한 원형 링이 배치되어 더 보강된 형태가 되므로, 지주 구조물 전체의 휨강성이 증가됨은 물론이고 내진성능의 향상도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내부 결합띠의 연속화에 의해 만들어져서 지주 구조물의 내부 공간에 존재하게 되는 원형 링은 후속 작업을 수행할 때 발판 내지 지지대로서 활용될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지주 구조물 시공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장점도 가진다.
위의 설명에서는 수평분할체(100)에 하나의 내부 결합띠(2)가 구비된 것을 예시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각각의 수평분할체(100)에는 복수개의 내부 결합띠(2)가 연직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된 상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복수개의 수평분할체(100)를 원주방향으로 연속배치하고 서로 일체화시킴으로써, 지주 구조물의 하나의 단을 형성하고, 이러한 단을 연직방향으로 연속하여 복수개의 층으로 즉, 복수개의 단으로 구축함으로써, 전체적인 지주 구조물을 구축할 수 있게 된다. 각 단 사이의 연직방향으로의 일체화는 종래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1: 본체
2: 내부 결합띠
3: 체결가압부재
11: 볼록 전단키
12: 오목부
14: 삽입구
20: 관통공
25: 볼트
26: 결합판
30: 헤드부
100: 수평분할체
110: 최종 수평분할체

Claims (5)

  1. 연직 방향으로 복수개의 단으로 구분되어 있고, 각 단에서 원주방향으로 복수개의 수평분할체(100)로 분할되어 있고;
    수평분할체(100)는, 곡률을 가지고 휘어져 있는 판형의 부재로 이루어진 본체(1)와, 지주 구조물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띠 형태로 이루어지고 수평분할체(100)의 원주방향 조립이 이루어지기 전에는 본체(1)의 내면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내부 결합띠(2)와, 내부 결합띠(2)와 본체(1) 사이에서 내측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구비되며 외측 단부는 본체(1)의 내면에 결합되고 내측 단부는 내부 결합띠(2)를 관통하고 내부 결합띠(2)를 관통한 내측 단부에는 헤드부(30)가 구비되어 있는 체결가압부재(3)를 포함하며;
    이웃하는 수평분할체와의 결합을 위하여, 수평분할체(100)의 본체(1)에서 원주방향으로의 횡측면 중 일측 횡측면에는 볼록 전단키(11)가 구비되어 있고 본체(1)의 타측 횡측면에는 볼록 전단키(11)가 삽입될 수 있는 오목부(12)가 구비되어 있으며;
    본체(1)의 일측 횡측면에 형성된 볼록 전단키(11)가 이웃하는 수평분할체의 본체(1)의 타측 횡측면에 형성된 오목부(12)에 삽입되도록 복수개의 수평분할체(100)가 횡측면이 서로 접하여서 원주방향으로 연속 배치되는데, 내부 결합띠(2)가 체결가압부재(3)에 끼워진 채로 내측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연속 배치된 수평분할체들 사이가 벌어진 상태에서, 최종 수평분할체(110)가 기존에 연속 배치된 수평분할체들 사이의 간격에 삽입 배치된 후, 최종 수평분할체(110)의 양쪽 횡측면이 각각 이웃하는 수평분할체의 횡측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각 수평분할체(100)의 내부 결합띠(2)는 원주방향으로 서로 일체로 연결되어 폐합된 하나의 원형 링을 형성하여 지주 구조물의 각 단을 이루게 되는데, 내부 결합띠(2)가 하나의 폐합된 원형 링을 형성한 이후에, 체결가압부재(3)의 헤드부(30)가 내부 결합띠(2)를 외측 방향으로 가압하여 밀어주어 내부 결합띠(2)를 수평분할체(100)의 내면에 더 가깝게 되도록 이동시켜서 내부 결합띠(2)와 수평분할체(100) 사이의 간격이 줄어들게 만들므로써, 내부 결합띠(2)가 이루고 있는 원형 링의 지름을 증가시키려는 응력이 내부 결합띠(2)에 발생하고, 상기 내부 결합띠(2)에 발생하는 응력이 내측 방향으로 작용하는 구심가압력(P)을 유발하며, 서로 이웃하는 수평분할체(100) 사이에서, 상기 구심가압력(P)은 횡측면이 서로 접해있는 본체(1)를 원주방향으로 이웃하는 수평분할체의 본체를 향하여 밀어주는 가압력으로 작용하게 되어, 복수개의 수평분할체(100)가 원주방향으로 연속 배열되어 일체화된 것을 유지하게 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체결가압부재(3)의 외측 단부는 본체(1)에 고정된 상태로 결합되어 있으며;
    내부 결합띠(2)를 관통한 체결가압부재(3)의 내측 단부에는, 헤드부(30)가 체결가압부재(3)의 돌출길이를 따라 그 위치가 변화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어서;
    헤드부(30)가 체결가압부재(3)를 따라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헤드부(30)가 본체(1)의 내면에 밀착하면서 내부 결합띠(2)를 외측 방향으로 밀어서 가압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 구조물.
  3. 제1항에 있어서,
    본체(1)의 내면에는, 체결가압부재(3)의 외측 단부가 결합되는 삽입구(14)가 구비되어 있고;
    체결가압부재(3)는, 그 외측 단부가 삽입구(14)에 대해 삽입되는 깊이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본체(1)에 결합되어 있으며;
    헤드부(30)는 체결가압부재(3)의 내측 단부에 고정된 형태로 구비되어 있고;
    체결가압부재(3)의 외측 단부가 삽입구(14)에 삽입됨에 따라 헤드부(30)가 본체(1)의 내면에 밀착하여 내부 결합띠(2)를 외측 방향으로 밀어서 가압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 구조물.
  4. 연직 방향으로 복수개의 단으로 구분되어 있고, 각 단에서 원주방향으로 복수개의 수평분할체(100)로 분할되어 있으며, 복수개의 수평분할체(100)를 원주방향으로 조립하여 각 단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면서 적층 조립함으로써 지주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수평분할체(100)는, 곡률을 가지고 휘어져 있는 판형의 부재로 이루어진 본체(1)와, 지주 구조물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띠 형태로 이루어지고 수평분할체(100)의 원주방향 조립이 이루어지기 전에는 본체(1)의 내면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내부 결합띠(2)와, 내부 결합띠(2)와 본체(1) 사이에서 내측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구비되며 외측 단부는 본체(1)의 내면에 결합되고 내측 단부는 내부 결합띠(2)를 관통하고 내부 결합띠(2)를 관통한 내측 단부에는 헤드부(30)가 구비되어 있는 체결가압부재(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웃하는 수평분할체와의 결합을 위하여, 수평분할체(100)의 본체(1)에서 원주방향으로의 횡측면 중 일측 횡측면에는 볼록 전단키(11)가 구비되어 있고, 본체(1)의 타측 횡측면에는 볼록 전단키(11)가 삽입될 수 있는 오목부(12)가 구비되어 있으며;
    본체(1)의 횡측면에 형성된 볼록 전단키(11)가 이웃하는 수평분할체(100)의 본체(1)에 형성된 오목부(12)에 삽입되도록 복수개의 수평분할체(100)가 횡측면이 서로 접하여서 원주방향으로 연속 배치되는데, 내부 결합띠(2)가 체결가압부재(3)에 끼워진 채로 내측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연속 배치된 수평분할체들 사이가 벌어진 상태에서, 최종 수평분할체(110)가 기존에 연속 배치된 수평분할체들 사이의 간격에 삽입 배치된 후, 최종 수평분할체(110)의 양쪽 횡측면이 각각 이웃하는 수평분할체의 횡측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각 수평분할체(100)의 내부 결합띠(2)는 원주방향으로 서로 일체로 연결되어 폐합된 하나의 원형 링을 형성하여 지주 구조물의 각 단을 형성하되, 내부 결합띠(2)가 하나의 폐합된 원형 링을 형성한 이후에, 체결가압부재(3)의 헤드부(30)가 움직이도록 하여 내부 결합띠(2)를 외측 방향으로 가압하여 밀어주어 내부 결합띠(2)를 수평분할체(100)의 내면에 더 가깝게 되도록 이동시켜서 내부 결합띠(2)와 수평분할체(100) 사이의 간격이 줄어들게 만들므로써, 내부 결합띠(2)가 이루고 있는 원형 링의 지름을 증가시키려는 응력이 내부 결합띠(2)에 발생하고, 상기 내부 결합띠(2)에 발생하는 응력이 내측 방향으로 작용하는 구심가압력(P)을 유발하며, 서로 이웃하는 수평분할체(100) 사이에서, 상기 구심가압력(P)은 횡측면이 서로 접해있는 본체(1)를 원주방향으로 이웃하는 수평분할체의 본체를 향하여 밀어주는 가압력으로 작용하게 되어 복수개의 수평분할체(100)가 원주방향으로 연속 배열되어 일체화된 것을 유지하게 만드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 구조물의 시공방법.
  5. 복수개가 원주방향으로 연속배치되고 결합됨으로써, 연직 방향으로 복수개의 단으로 구분되어 있는 지주 구조물의 각 단을 이루게 되는 수평분할체(100)로서,
    곡률을 가지고 휘어져 있는 판형의 부재로 이루어진 본체(1)와, 지주 구조물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띠 형태로 이루어지고 수평분할체(100)의 원주방향 조립이 이루어지기 전에는 본체(1)의 내면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내부 결합띠(2)와, 내부 결합띠(2)와 본체(1) 사이에서 내측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구비되고 외측 단부는 본체(1)의 내면에 결합되며 내측 단부는 내부 결합띠(2)를 관통하고, 내부 결합띠(2)를 관통한 내측 단부에는 헤드부(30)가 구비되어 있는 체결가압부재(3)를 포함하며;
    이웃하는 수평분할체와의 결합을 위하여, 수평분할체(100)의 본체(1)에서 원주방향으로의 횡측면 중 일측 횡측면에는 볼록 전단키(11)가 구비되어 있고, 본체(1)의 타측 횡측면에는 볼록 전단키(11)가 삽입될 수 있는 오목부(12)가 구비되어 있으며;
    본체(1)의 횡측면에 형성된 볼록 전단키(11)가 이웃하는 수평분할체(100)의 본체(1)에 형성된 오목부(12)에 삽입되도록 복수개의 수평분할체(100)가 횡측면이 서로 접하여서 원주방향으로 연속 배치되는데, 내부 결합띠(2)가 체결가압부재(3)에 끼워진 채로 내측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연속 배치된 수평분할체들 사이가 벌어진 상태에서, 최종 수평분할체(110)가 기존에 연속 배치된 수평분할체들 사이의 간격에 삽입 배치된 후, 최종 수평분할체(110)의 양쪽 횡측면이 각각 이웃하는 수평분할체의 횡측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각 수평분할체(100)의 내부 결합띠(2)는 원주방향으로 서로 일체로 연결되어 폐합된 하나의 원형 링을 형성함으로써 지주 구조물의 각 단을 이루게 되는데, 내부 결합띠(2)가 하나의 폐합된 원형 링을 형성한 이후에, 체결가압부재(3)의 헤드부(30)가 내부 결합띠(2)를 외측 방향으로 가압하여 밀어주어 내부 결합띠(2)를 수평분할체(100)의 내면에 더 가깝게 되도록 이동시켜서 내부 결합띠(2)와 수평분할체(100) 사이의 간격이 줄어들게 만들므로써, 내부 결합띠(2)가 이루고 있는 원형 링의 지름을 증가시키려는 응력이 내부 결합띠(2)에 발생하고, 상기 내부 결합띠(2)에 발생하는 응력이 내측 방향으로 작용하는 구심가압력(P)을 유발하며, 서로 이웃하는 수평분할체(100) 사이에서, 상기 구심가압력(P)은 횡측면이 서로 접해있는 본체(1)를 원주방향으로 이웃하는 수평분할체의 본체를 향하여 밀어주는 가압력으로 작용하게 되어, 복수개의 수평분할체(100)가 원주방향으로 연속 배열되어 일체화된 것을 유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 구조물의 형성을 위한 수평분할체.
KR1020160057721A 2016-05-11 2016-05-11 풍력발전타워로 사용될 수 있는 지주 구조물, 내부 결합띠를 구비한 수평분할체의 일체 결합에 의한 지주 구조물의 시공방법, 및 이를 위한 내부 결합띠 구비형 수평분할체 KR101677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7721A KR101677673B1 (ko) 2016-05-11 2016-05-11 풍력발전타워로 사용될 수 있는 지주 구조물, 내부 결합띠를 구비한 수평분할체의 일체 결합에 의한 지주 구조물의 시공방법, 및 이를 위한 내부 결합띠 구비형 수평분할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7721A KR101677673B1 (ko) 2016-05-11 2016-05-11 풍력발전타워로 사용될 수 있는 지주 구조물, 내부 결합띠를 구비한 수평분할체의 일체 결합에 의한 지주 구조물의 시공방법, 및 이를 위한 내부 결합띠 구비형 수평분할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7673B1 true KR101677673B1 (ko) 2016-11-18

Family

ID=57537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7721A KR101677673B1 (ko) 2016-05-11 2016-05-11 풍력발전타워로 사용될 수 있는 지주 구조물, 내부 결합띠를 구비한 수평분할체의 일체 결합에 의한 지주 구조물의 시공방법, 및 이를 위한 내부 결합띠 구비형 수평분할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76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44928A1 (en) * 2019-05-27 2020-12-02 Soletanche Freyssinet Wind turbine tower and method of fabrication and assembling
WO2022019771A1 (en) * 2020-07-20 2022-01-27 Equinor Energy As Construction of wind turbine towers for heavy lifting operation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21710A (ja) * 2006-06-02 2007-12-13 Oriental Construction Co Ltd タワー構築用ブロック
KR20120073785A (ko) * 2010-12-27 2012-07-05 주식회사 포스코 풍력발전기용의 모듈러형 풍력발전탑
KR20130079483A (ko) * 2011-11-04 2013-07-10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타워 내장품 브래킷 구조 및 풍력 발전 장치
KR20140045711A (ko) * 2012-10-09 2014-04-17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기둥 구조물의 내력 보강 장치
KR101471265B1 (ko) 2010-01-27 2014-12-09 보벤 프로퍼티즈 게엠베하 풍력 발전소 및 풍력 발전소 타워 세그먼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21710A (ja) * 2006-06-02 2007-12-13 Oriental Construction Co Ltd タワー構築用ブロック
KR101471265B1 (ko) 2010-01-27 2014-12-09 보벤 프로퍼티즈 게엠베하 풍력 발전소 및 풍력 발전소 타워 세그먼트
KR20120073785A (ko) * 2010-12-27 2012-07-05 주식회사 포스코 풍력발전기용의 모듈러형 풍력발전탑
KR20130079483A (ko) * 2011-11-04 2013-07-10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타워 내장품 브래킷 구조 및 풍력 발전 장치
KR20140045711A (ko) * 2012-10-09 2014-04-17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기둥 구조물의 내력 보강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44928A1 (en) * 2019-05-27 2020-12-02 Soletanche Freyssinet Wind turbine tower and method of fabrication and assembling
WO2020239587A1 (en) 2019-05-27 2020-12-03 Soletanche Freyssinet Wind turbine tower and method of fabrication and assembling
CN112424433A (zh) * 2019-05-27 2021-02-26 索列丹斯法西奈公司 风力涡轮机塔架及其制造和组装方法
CN112424433B (zh) * 2019-05-27 2023-02-24 索列丹斯法西奈公司 风力涡轮机塔架及其制造和组装方法
WO2022019771A1 (en) * 2020-07-20 2022-01-27 Equinor Energy As Construction of wind turbine towers for heavy lifting operation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98208B1 (en) An elongate structural element
TW201608087A (zh) 柱與樑間之接合構造及方法
KR101677673B1 (ko) 풍력발전타워로 사용될 수 있는 지주 구조물, 내부 결합띠를 구비한 수평분할체의 일체 결합에 의한 지주 구조물의 시공방법, 및 이를 위한 내부 결합띠 구비형 수평분할체
KR101620096B1 (ko) 휨 성능 개선을 위한 파형강판 결합구조 및 이를 이용한 파형강판 구조물 시공방법
KR101403178B1 (ko) 철골구조물 내진 보강용 분절형 비좌굴 가새
WO2019119735A1 (zh) 连接构件、混凝土塔筒分片及模具、塔筒及其制作方法
KR101460562B1 (ko) 고강도 중공 콘크리트 말뚝의 연결구조 및 연결시공방법
JP4750751B2 (ja) 仮設型枠部材、これを用いた仮設型枠組立体、及び、下水道施設の再構築方法
KR20170015872A (ko) 철골 보 접합부 시공방법
KR20130121622A (ko) 지지파일용 연결장치, 이를 구비한 지지파일 및 이를 이용한 지지파일 시공방법
KR20150081264A (ko) 말뚝의 무용접 조인트
JP2008291462A5 (ko)
JPH10273976A (ja) コンクリート柱の耐震補強装置
JP4015758B2 (ja) 合成構造ライナーとその製作方法
JP6676363B2 (ja) 仮設構造物組立用接続部材
JP2008038367A (ja) 解体自在型柱・梁接合部
KR101597895B1 (ko) 흙막이 벽체 지지용 버팀보의 연결구조 및 그 연결방법
WO1997017504A1 (fr) Rattachement d'un montant et d'une poutre ou de deux montants entre eux
JP2017020270A (ja) 構造物補強用部材
JP6945960B2 (ja) 構造物補強用部材及び継手構造
KR101591224B1 (ko) 조립식 플레이트와 정착 채널을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를 이용한 구조물의 복합화 시공방법
JP2015132106A (ja) 鋼管杭の継手構造
JP2015021309A (ja) 柱状構造物の補強構造
KR20190077687A (ko) 강관 연결장치
KR20140059043A (ko) H형강 기둥의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h형강 기둥의 보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