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6951B1 - 철골구조 발코니용 열교차단장치와 이를 이용한 발코니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철골구조 발코니용 열교차단장치와 이를 이용한 발코니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6951B1
KR101676951B1 KR1020150044596A KR20150044596A KR101676951B1 KR 101676951 B1 KR101676951 B1 KR 101676951B1 KR 1020150044596 A KR1020150044596 A KR 1020150044596A KR 20150044596 A KR20150044596 A KR 20150044596A KR 101676951 B1 KR101676951 B1 KR 101676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cony
pair
bridge
heat insulating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4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6616A (ko
Inventor
오명호
김영호
Original Assignee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44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6951B1/ko
Publication of KR20160116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66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6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69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03Balconies; Decks
    • E04B1/0038Anch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means for preventing cold bridg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1/1903Connecting n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1/40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90Passive houses; Double facade technolo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코니와 건축물 본체 사이에 설치되는 열교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철골구조 형식의 발코니에 적용이 용이하며 전단저항요소가 구성되어 발코니에 작용하는 수직하중에 대해 효율적으로 전단저항하는 열교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른 철골구조 발코니용 열교차단장치는 서로 평행한 한 쌍의 결합판과 한 쌍의 결합판 사이에 구성되는 단열재로 구성되는 단열블럭; 단열블럭의 상부를 관통하여 양단이 한 쌍의 결합판 외측으로 돌출되는 인장결합체; 단열블럭의 하부를 관통하여 양단이 한 쌍의 결합판 외측으로 돌출되는 압축결합체; 단열블럭내에 일단이 일측 결합판의 상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타측 결합판 하부에 결합되는 전단브릿지; 및 발코니 측 결합판에 발코니 측으로 돌출되는 전단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철골구조 발코니용 열교차단장치와 이를 이용한 발코니 시공방법{Thermal break device for steel framed balcony and balcony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발코니와 건축물 본체 사이에 설치되는 열교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철골구조 형식의 발코니에 적용이 용이하며 전단저항요소가 구성되어 발코니에 작용하는 수직하중에 대해 효율적으로 전단저항하는 열교차단장치와 이를 이용한 발코니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열교(Thermal bridge)란, 건축물 구조체 연결부위에 단열이 연속되지 않은 부분이 있을 때 이 부분이 열적 취약부가 되어 외부로 많은 열량 및 에너지가 손실되는 부위를 말한다. 열교의 발생에 따라 건축물에는 에너지 손실이 발생하고, 열교현상이 발생하는 부위는 표면온도가 낮아지므로 결로가 발생되는 원인이 되며 이에 따라 건축물의 내장재를 훼손시켜 건축물의 가치를 저하시킨다.
열교차단(Thermal break)이란 열교(Thermal bridge) 현상을 차단하는 것으로, 열교현상이 발생하는 부위에 단열설계 및 단열재가 불연속됨이 없도록 단열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취약부위를 강화시키는 설계 및 시공을 하여 열교의 차단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실내와 실외의 열교(Thermal bridge)를 차단하면 단열효과를 향상시켜 실내 난방에너지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른 CO2 발생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열교 현상에 따라 발생하는 결로현상과 곰팡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실내 공기의 질적 향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음 물론 결로 발생으로 인한 내장재 훼손을 방지하여 구조물의 가치를 유지할 수 있다.
열교는 건축물의 구조가 변하는 부분과 자재가 달라지는 부분에서 많이 발생하는데, 특히 발코니의 경우 구조성 열교, 자재성 열교가 모두 일어나는 곳으로 유명하다. 이는 건축물 전체 열교현상의 15~30%를 차지하므로 열교차단을 위해서는 발코니의 열교를 반드시 차단해야한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특허등록 10-0969244‘열교 차단용 구조 단열재'(특허문헌1)가 있다. 이 특허는 "상하 2열로 등간격의 블록 고정홀이 형성된 사각 패널 형상의 단열재와; 상기 단열재의 저면에 부착되는 내화판과; 상기 각각의 블록 고정홀을 관통하여 배근되는 상, 하부 철근과; 서로 대응되는 상기 상, 하부 철근에 결합되는 경사 철근; 및 상기 단열재의 블록 고정홀에 상기 상, 하부 철근 및 경사 철근을 고정시키는 콘크리트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 차단용 구조 단열재"를 제안한다.
그러나 이 특허가 제안하는 열교 차단용 구조 단열재는 상,하부 철근 및 경사 철근이 모두 철근으로 구성되어 철근의 높은 열전도율에 의하여 외기로 많은 열량이 손실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를 철골구조 형식의 발코니에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며, 슬래브에 작용되는 수직력은 전단력으로 구조부재에 작용됨에 따라 건축물 본체와 슬래브 사이에 구성되는 열교차단 부재에도 효과적인 전단저항요소가 요구되지만, 이와 같은 전단저항 요소가 구성되지 않는 문제점도 있었다.
특허등록 제10-0969244호‘열교 차단용 구조 단열재'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발코니와 건축물 본체 사이에 열교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건축물의 단열효과를 향상시키고 결로 발생으로 인한 내장재 훼손을 방지하여 구조물의 가치를 유지할 수 있는 발코니용 열교차단장치와 이를 이용한 발코니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철골구조 형식의 발코니에 적용이 용이하며 발코니에 발생하는 휨하중 에 저항하는 휨저항요수 및 전단력에 저항하는 전단저항요소가 구성된 휨모멘트와 전단력에 효율적으로 저항할 수 있는 열교차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른 철골구조 발코니용 열교차단장치는 서로 평행한 한 쌍의 결합판과 한 쌍의 결합판 사이에 구성되는 단열재로 구성되는 단열블럭; 단열블럭의 상부를 관통하여 양단이 한 쌍의 결합판 외측으로 돌출되는 인장결합체; 단열블럭의 하부를 관통하여 양단이 한 쌍의 결합판 외측으로 돌출되는 압축결합체; 단열블럭내에 일단이 일측 결합판의 상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타측 결합판 하부에 결합되는 전단브릿지; 및 발코니 측 결합판에 발코니 측으로 돌출되는 전단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인장결합체와 압축결합체는 나사산이 형성된 장볼트로 구성되어 각각 한쌍의 결합판 내측과 외측에서 와셔와 너트를 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인장결합체와 압축결합체는 스테인레스 강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단브릿지는, 원형이나 각형 단면의 강봉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단열블럭에는, 원형이나 각형의 강관과 강관 내에 충전되는 충전재로 구성되는 보강슬리브의 양단이 한 쌍의 결합판 중앙부를 잇도록 더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충전재는, ECC(Engineered Cementitious Composite)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른 열교차단장치를 이용한 철골구조 발코니 시공방법은 (a) 서로 평행한 한 쌍의 결합판과 한 쌍의 결합판 사이에 구성되는 단열재로 구성되는 단열블럭, 단열블럭의 상부를 관통하여 양단이 한 쌍의 결합판 외측으로 돌출되는 인장결합체, 단열블럭의 하부를 관통하여 양단이 한 쌍의 결합판 외측으로 돌출되는 압축결합체, 단열블럭내에 일단이 일측 결합판의 상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타측 결합판 하부에 결합되는 전단브릿지 및 발코니 측 결합판에 발코니 측으로 돌출되는 전단돌기를 포함하는 열교차단장치를 제작하는 단계; (b) 구조물 본체 측 인장결합체와 압축결합체를 구조물 본체에 설치하는 단계; (c) 인장결합체와 압축결합체의 상응위치에 볼트홀이 천공되고 돌출돌기 상응위치에 걸침홈이 천공된 엔드플레이트를 H형강 단부에 접합하여 발코니 철골구조를 구성하는 단계; (d) 엔드플레이트의 볼트홀에 인장결합체와 압축결합체를 삽입하고, 엔드플레이트의 걸침홈에 전단돌기를 삽입하여, 걸침홈으로부터 돌출된 전단돌기에 의해 발코니 철골구조를 임시 거치하는 단계; 및 (e) 볼트홀에 삽입된 인장결합체와 압축결합체에 와셔와 너트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골구조 발코니용 열교차단장치는 인장 철근과 압축 철근을 열전도율이 낮은 스테인레스 강으로 형성하여 열전도율이 높은 철근에 의하여 열교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므로 건축물의 단열효과를 향상시켜 실내 난방에너지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른 CO2 발생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열교 현상에 따라 발생하는 곰팡이, 결로 및 부식 등이 구조체 및 마감재에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시각적 문제를 해결할 뿐만 아니라, 내구성 저하를 방지하여 경제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철골구조 발코니용 열교차단장치는 철골구조 형식의 발코니에 적용하기 효과적이며, 전단브릿지와 전단돌기라는 전단저항요소가 구성되어 발코니에 작용하는 수직하중에 대해 효율적으로 전단저항하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철골구조 발코니용 열교차단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측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철골구조 발코니용 열교차단장치가 철골구조물 본체에 적용된 사시도이고, 도 4b는 RC구조물 본체에 적용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철골구조 발코니용 열교차단장치의 역학적 거동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골구조 발코니용 열교차단장치의 단면도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철골구조 발코니용 열교차단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철골구조 발코니용 열교차단장치는 서로 평행한 한 쌍의 결합판(11,11)과 한 쌍의 결합판(11,11) 사이에 구성되는 단열재(12,미도시)로 구성되는 단열블럭(10)과, 단열블럭(10)의 상부를 관통하여 양단이 한 쌍의 결합판(11,11) 외측으로 돌출되는 인장결합체(20), 단열블럭(10)의 하부를 관통하여 양단이 한 쌍의 결합판(11,11) 외측으로 돌출되는 압축결합체(30), 단열블럭(10)내에 일단이 일측 결합판(11)의 상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타측 결합판(11) 하부에 결합되는 전단브릿지(40) 및 발코니측 결합판(11)에 발코니측으로 돌출되는 전단돌기(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단열블럭(10)은 건축물 본체와 발코니 사이에 열교를 차단하는 수단으로 한쌍의 결합판(11,11)은 발코니측과 건축물 본체측에 결합면을 제공하며 인장결합체(20)와 압축결합체(30)가 관통되기 위한 관통홈(111)이 형성된다. 내부 구성을 보다 명확히 도시하고자 단열재(12)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되어 있지 않으며, 인장결합체(20)와 압축결합체(30) 및 전단브릿지(40)가 한쌍의 결합판(11,11)에 결합된 후 한쌍의 결합판(11,11) 사이에 우레탄 폼 등의 이 분야에서 공지된 발포성 단열 재료를 발포하거나 폴리우레탄, 유리면, 암면, 폴리스틸렌 등을 충전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장결합체(20)와 압축결합체(30)는 켄틸레버로 구성되는 발코니에 발생하는 휨에 각각 인장과 압축으로 저항하는 수단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장볼트가 사용될 수 있으며 각각 한쌍의 결합판(11,11) 내측과 외측에서 와셔(W)와 너트(N)를 통하여 결합된다.
인장결합체(20)와 압축결합체(30)의 재질은 금속 중에서도 가장 낮은 열전도율을 갖고 있는 스테인레스 강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이는 단열블럭(10)에 의하여 열교가 차단되더라도, 인장결합체와 압축결합체가 강재로 형성될 경우에는 강재의 높은 열전도율에 의하여 외기로 많은 열량이 손실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인장 철근(21)을 금속 중에 열전도율이 가장 낮은 스테인레스 강으로 형성하는 것이다.
전단브릿지(40)는 켄틸레버로 구성되는 발코니에 발생하는 전단력에 인장력으로 저항하는 수단으로 일측 결합판(11)의 상부와 타측 결합판(11) 하부를 연결, 즉 한쌍의 결합판(11,11)을 경사지게 연결한다. 도 1 내지 도 3에서 전단브릿지(40)는 원형단면의 강봉으로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각형단면의 강봉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전단돌기(50)는 철골구조 형식의 발코니를 설치함에 있어 시공의 편의를 위한 걸침돌기를 제공하는 수단임과 동시에 전단브릿지(40)와 더불어 전단저항력을 보강하는 수단이며 이에 대해서는 이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철골구조 발코니용 열교차단장치가 철골구조물 본체에 적용된 사시도이고, 도 4b는 RC구조물 본체에 적용된 단면도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열교차단장치는 철골구조 형식의 발코니를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골구조의 건축물 본체에 적용할 수 있으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RC구조의 건축물 본체에도 적용할 수 있다.
발코니를 구성하기 위해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철골구조 발코니용 열교차단장치를 건축물 본체에 연결한다. 도 4a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열교차단장치가 철골구조물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발코니 설치 위치에서 철골구조물에 볼트홀을 천공하고 본 발명에 따른 열교차단장치의 인장결합체(20)와 압축결합체(30)를 삽입하여 와셔와 너트를 체결하는 방식으로 간단하게 열교차단장치를 건축물 본체에 설치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열교차단장치가 RC구조물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발코니 설치 위치에 열교차단장치를 먼저 RC구조물에 설치한다. 설치는 이 분야에서 주지된 다양한 방법으로 행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한 예로는 RC구조물을 형성할 때 거푸집 내에 열교차단장치의 인장결합체(20)와 압축결합체(30)를 먼저 선조립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법으로 실시될 수 있다. 이때 열교차단장치와 RC구조물의 견고한 결합을 위하여 RC구조물 측 인장결합체(20)와 압축결합체(30)를 발코니측 인장결합체(20)와 압축결합체(30) 보다 길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축물 본체에 연결된 열교차단장치에는 철골구조 형식의 발코니를 결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교차단장치는 철골구조 형식을 갖는 발코니에 의한 열교생성을 억제하여 건축물 본체에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철골구조 형식을 갖는 발코니는 여러가지 철골부재로 구성될 수 있지만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를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철골부재중에서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H형강(100)과 H형강 단부에 접합을 위해 결합되는 엔드플레이트(110)의 구성을 철골구조 형식 발코니의 대표적인 구성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골구조 발코니용 열교차단장치의 한쌍의 결합판(11,11)은 발코니측과 건축물 본체측에 결합면을 제공하는 것으로 전단돌기(50)가 구성되는 결합판(11)은 H형강(100)의 단부에 접합된 엔드플레이트(110)에 결합된다. 결합을 위하여 엔드플레이트(110)에는 볼트홀 및 돌출돌기 상응위치에 걸침홈(120)이 미리 천공되어 있어야 한다. 걸침홈(120)에는 전단돌기(50)가 삽입되어 볼트홀에는 인장결합체(20)와 압축결합체(30)를 삽입되어 와셔(W)와 너트(N)를 통해 결합된다.
엔드플레이트(110)에 삽입된 인장결합체(20)와 압축결합체(30)의 와셔(W)와 너트(N)를 통한 결합이 완료되기 전에 걸침홈(120)에 삽입된 전단돌기(50)는 걸침홈(120)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발코니 시공시 발코니 구조물의 임시 거치를 가능하게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철골구조 발코니용 열교차단장치의 역학적 거동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코니에 발생한 하중으로 인한 발코니와 구조물 본체의 연결부에 작용하는 휨모멘트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장결합체(20)와 압축결합체(30)는 각각 인장력과 압축력으로 효율적으로 저항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는 효과적인 전단저항 요소가 구성되어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코니에 발생한 하중으로 인한 발코니와 구조물 본체의 연결부에 작용하는 전단력, 즉 본 발명에 따른 열교차단장치가 저항해야하는 전단력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단브릿지(40)가 축방향 인장력으로 저항하여 양측 부재간의 상대 슬립을 방지하며, 전달돌기(50)도 이러한 전단저항에 기여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골구조 발코니용 열교차단장치의 단면도이다.
발코니의 자중과 사용하중을 고려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철골구조 발코니용 열교차단장치에 강도보강이 필요할 때에는 도 6과 같이 단열블럭(10) 내부에 한 쌍의 결합판(11,11) 중앙부를 잇도록 보강슬리브(6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보강슬리브(60)의 설치여부는 구조계산에 따르며 보강슬리브(60)는 원형이나 각형의 강관(61)과 강관 내에 충전되는 충전재(62)로 구성된다. 충전재(62)로는 열교차단장치의 열교차단 능력을 보강하기 위하여 고성능 단열재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ECC(Engineered Cementitious Composite)와 같은 섬유보강 콘크리트나 기포콘크리트가 사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인장 철근과 압축 철근을 열전도율이 낮은 스테인레스 강으로 형성하여 열전도율이 높은 철근에 의하여 열교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므로 건축물의 단열효과를 향상시켜 실내 난방에너지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른 CO2 발생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열교 현상에 따라 발생하는 곰팡이, 결로 및 부식 등이 구조체 및 마감재에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시각적 문제를 해결할 뿐만 아니라, 내구성 저하를 방지하여 경제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철골구조 발코니용 열교차단장치는 철골구조 형식의 발코니에 적용하기 효과적이며, 전단브릿지와 전단돌기라는 전단저항요소가 구성되어 발코니에 작용하는 수직하중에 대해 효율적으로 전단저항하는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0: 단열블럭 11: 결합판
111: 결합판 관통홈 12: 단열재
20: 인장결합체 30: 압축결합체
40: 전단브릿지 50: 전단돌기
60: 보강슬리브 61: 강관
62: 충전재 100: H형강
110: 엔드플레이트 120: 걸침홈

Claims (7)

  1. 서로 평행한 한 쌍의 결합판(11,11)과 한 쌍의 결합판(11,11) 사이에 구성되는 단열재(12)로 구성되는 단열블럭(10); 단열블럭(10)의 상부를 관통하여 양단이 한 쌍의 결합판(11,11) 외측으로 돌출되는 인장결합체(20); 단열블럭(10)의 하부를 관통하여 양단이 한 쌍의 결합판(11,11) 외측으로 돌출되는 압축결합체(30); 단열블럭(10)내에 일단이 일측 결합판(11)의 상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타측 결합판(11) 하부에 결합되는 전단브릿지(40); 및 발코니 측 결합판(11)에 발코니 측으로 돌출되는 전단돌기(50)와; 원형이나 각형의 강관(61)과 강관 내에 충전되는 충전재(62)로 구성되어 양단이 한 쌍의 결합판(11,11) 중앙부를 잇도록 설치되는 보강슬리브(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구조 발코니용 열교차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인장결합체(20)와 압축결합체(30)는 나사산이 형성된 장볼트로 구성되어 각각 한쌍의 결합판(11,11) 내측과 외측에서 와셔(W)와 너트(N)를 통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구조 발코니용 열교차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인장결합체(20)와 압축결합체(30)는 스테인레스 강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구조 발코니용 열교차단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전단브릿지(40)는,
    원형이나 각형 단면의 강봉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구조 발코니용 열교차단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충전재(62)는,
    ECC(Engineered Cementitious Composite)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구조 발코니용 열교차단장치.
  7. (a) 서로 평행한 한 쌍의 결합판(11,11)과 한 쌍의 결합판(11,11) 사이에 구성되는 단열재(12)로 구성되는 단열블럭(10); 단열블럭(10)의 상부를 관통하여 양단이 한 쌍의 결합판(11,11) 외측으로 돌출되는 인장결합체(20); 단열블럭(10)의 하부를 관통하여 양단이 한 쌍의 결합판(11,11) 외측으로 돌출되는 압축결합체(30); 단열블럭(10)내에 일단이 일측 결합판(11)의 상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타측 결합판(11) 하부에 결합되는 전단브릿지(40); 및 발코니 측 결합판(11)에 발코니 측으로 돌출되는 전단돌기(50)와; 원형이나 각형의 강관(61)과 강관 내에 충전되는 충전재(62)로 구성되어 양단이 한 쌍의 결합판(11,11) 중앙부를 잇도록 설치되는 보강슬리브(60);를 포함하는 열교차단장치를 제작하는 단계;
    (b) 구조물 본체 측 인장결합체(20)와 압축결합체(30)를 구조물 본체에 설치하는 단계;
    (c) 인장결합체(20)와 압축결합체(30)의 상응위치에 볼트홀이 천공되고 돌출돌기(50) 상응위치에 걸침홈(120)이 천공된 엔드플레이트(110)를 H형강(100) 단부에 접합하여 발코니 철골구조를 구성하는 단계;
    (d) 엔드플레이트(110)의 볼트홀에 인장결합체(20)와 압축결합체(30)를 삽입하고, 엔드플레이트(110)의 걸침홈(120)에 전단돌기(50)를 삽입하여, 걸침홈(120)으로부터 돌출된 전단돌기(50)에 의해 발코니 철골구조를 임시 거치하는 단계; 및
    (e) 볼트홀에 삽입된 인장결합체(20)와 압축결합체(30)에 와셔(W)와 너트(N)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차단장치를 이용한 철골구조 발코니 시공방법.
KR1020150044596A 2015-03-30 2015-03-30 철골구조 발코니용 열교차단장치와 이를 이용한 발코니 시공방법 KR101676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4596A KR101676951B1 (ko) 2015-03-30 2015-03-30 철골구조 발코니용 열교차단장치와 이를 이용한 발코니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4596A KR101676951B1 (ko) 2015-03-30 2015-03-30 철골구조 발코니용 열교차단장치와 이를 이용한 발코니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6616A KR20160116616A (ko) 2016-10-10
KR101676951B1 true KR101676951B1 (ko) 2016-11-16

Family

ID=57145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4596A KR101676951B1 (ko) 2015-03-30 2015-03-30 철골구조 발코니용 열교차단장치와 이를 이용한 발코니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69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803330D0 (en) * 2018-03-01 2018-04-18 Blackwood Benjamin Fire stopping thermal break balcony bracket
GB2583314B (en) * 2020-07-23 2022-11-02 Laing Orourke Plc Façade construction using through wall thermal stud
SE546038C2 (en) * 2022-03-03 2024-04-23 Balco Group Ab System and method for suspending a framework structure on a load bearing structure of a building and use of such suspension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299B1 (ko) * 2010-12-03 2011-04-29 (주)이에스연구소 모듈러 건축물의 일체 거동을 위한 단위유닛모듈의 접합구조 및 그 방법
KR101462801B1 (ko) * 2013-07-26 2014-11-21 청원화학 주식회사 불연속 철근 및 결합 부재를 이용한 열교차단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9244B1 (ko) 2008-06-12 2010-07-09 (주)대우건설 열교 차단용 구조 단열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299B1 (ko) * 2010-12-03 2011-04-29 (주)이에스연구소 모듈러 건축물의 일체 거동을 위한 단위유닛모듈의 접합구조 및 그 방법
KR101462801B1 (ko) * 2013-07-26 2014-11-21 청원화학 주식회사 불연속 철근 및 결합 부재를 이용한 열교차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6616A (ko) 2016-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2057B1 (ko) 고하중용 열교차단 장치
US8590240B2 (en) Compressive force transmitting connection element
KR101462800B1 (ko) 불연속 철근을 이용한 열교차단 장치
CN108118783B (zh) 一种钢管混凝土柱与钢梁的连接节点
KR101462801B1 (ko) 불연속 철근 및 결합 부재를 이용한 열교차단 장치
KR101377327B1 (ko) 단면증설에 의한 기존 철근콘크리트 모멘트골조 건축물의 내진보강방법
CN108755954B (zh) 一种单边预应力全装配式自复位钢框架节点
KR102274029B1 (ko) 콘크리트 기둥 내진 보강 방법
KR101676951B1 (ko) 철골구조 발코니용 열교차단장치와 이를 이용한 발코니 시공방법
CN204040209U (zh) 一种可更换钢连梁的连接结构
JP4390494B2 (ja) 桁と床版の接合構造及び桁と床版の接合方法
KR20200004056A (ko) 콘크리트 기둥 내진 보강장치 및 그 방법
KR101670553B1 (ko) Pc벽체가 기존 건축물 외면에 접합되는 내진보강구조
JP6638905B2 (ja) 柱梁接合構造および柱梁接合方法
KR101253253B1 (ko) 프리캐스트 벽체와 갱폼을 이용한 현장 중단열벽체 시공방법
KR101577327B1 (ko) 혼합형 합성거더
KR101630045B1 (ko) 경사형 전단철근을 갖는 열교차단 장치
KR20180001721A (ko) Uh형 보강블럭으로 단부가 보강된 압축 보강형 복합보
KR20180090230A (ko) 콘크리트 기둥 내진장치 및 그 방법
CN107614812B (zh) 建筑元件
KR101991938B1 (ko) 콘크리트 기둥 내진 보강장치 및 그 방법
KR102452514B1 (ko) 단열재가 구비된 건축물 일체형 거푸집 및 그 제조방법
KR101559919B1 (ko) 삽입돌기형 스페이서가 구비된 단열데크플레이트
KR20180090231A (ko) 콘크리트 기둥 내진장치 및 그 방법
JP2019027195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