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6769B1 - 빗물 차단 장치 및 그의 빗물 차단 방법 - Google Patents

빗물 차단 장치 및 그의 빗물 차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6769B1
KR101676769B1 KR1020150145363A KR20150145363A KR101676769B1 KR 101676769 B1 KR101676769 B1 KR 101676769B1 KR 1020150145363 A KR1020150145363 A KR 1020150145363A KR 20150145363 A KR20150145363 A KR 20150145363A KR 101676769 B1 KR101676769 B1 KR 1016767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
bar
folding door
shielding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5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남철
이민수
최재형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45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67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6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6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93Appurtenances
    • B60J5/0494Rain covers deployed upon opening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1/00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or parts of vehicles, e.g. parking covers
    • B60J11/02Covers wound o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 B60J5/062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for utility vehicles or public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접이식 출입문이 마련된 차량에 장착되는 빗물 차단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출입문에 결합되는 제1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와 소정의 각도를 가지며 연결되는 제2 부재를 포함하는 제1 차단봉과 차체 외벽에 결합되는 비틀림 회전축이 삽입되어 상기 비틀림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제3 부재 및 상기 제3 부재와 개별적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연결되는 제4 부재를 포함하는 제2 차단봉; 및 일단이 상기 제2 부재에 부착되고, 타단이 상기 제4 부재에 롤업 방식으로 감겨 있으며, 상기 접이식 출입문이 개방되는 경우, 상기 제3 부재 및 상기 제4 부재가 회동하여 상기 제1 차단봉 및 상기 제2 차단봉 사이에 펼쳐지는 차단막을 포함하는 빗물 차단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빗물 차단 장치 및 그의 빗물 차단 방법{RAIN INTERCEP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빗물 차단 장치 및 그의 빗물 차단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에 장착되는 빗물 차단 장치 및 그의 빗물 차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이 주행하는 경우에는 차체에 마련되는 출입문에 의해 출입구가 폐쇄되어 있으며, 탑승자가 승차 또는 하차하는 경우에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출입문을 개방하여 승차 또는 하차한다.
그러나, 차량의 출입구는 펼쳐진 우산이 통과할 수 있는 만큼 충분히 넓지 않으며 차량 내부 공간 또한 좁기 때문에, 우천시에는, 탑승자가 반드시 우산을 접고 탑승하여야 한다. 따라서, 차량에 승차 또는 하차하는 시간 동안 비를 맞게 되어 젖은 상태로 운전을 하거나 목적지까지 이동하여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차량의 출입구에 장착되는 빗물 차단 장치가 제안되었다.
종래에 제안된 빗물 차단 장치는 차체와 출입문에 각각 차단막의 양단을 부착하여 출입문이 개방됨에 따라 차단막이 저절로 펼쳐지는 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이때, 상술한 빗물 차단 장치는 여닫이 방식으로 출입문을 개폐하는 차량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탑승자가 수동 또는 자동으로 출입문을 밀거나 당겨 개방함에 따라 차단막이 펼쳐지고 출입문을 폐쇄하는 경우 차단막이 접히는 방식으로 한정되어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시내버스나 봉고 등과 같이 대형 차량의 출입구에는 도 1에 도시된 접이식 출입문을 이용하여 출입구를 개폐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접이식 출입문(10)은 제1 도어 패널(10a)과 제2 도어 패널(10b)이 복수의 경첩(13a, 13b)으로 연결되고, 제1 도어 패널(10a) 또는 제2 도어 패널(10b)에 소정의 압력이 가해지면 제1 도어 패널(10a)과 제2 도어 패널(10b)이 차량 내부 쪽으로 접히면서 접이식 출입문(10)이 개방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은, 접이식 출입문(10)이 마련된 차량에는 상술한 빗물 차단 장치를 적용할 수 없으므로, 새로운 방식의 빗물 차단 장치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57476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빗물 차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의 스프링을 이용하여 접이식 출입문이 마련된 차량에 적용 가능한 빗물 차단 장치 및 그의 빗물 차단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접이식 출입문이 마련된 차량에 장착되는 빗물 차단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출입문에 결합되는 제1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와 소정의 각도를 가지며 연결되는 제2 부재를 포함하는 제1 차단봉; 차체 외벽에 결합되는 비틀림 회전축이 삽입되어 상기 비틀림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제3 부재 및 상기 제3 부재와 개별적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연결되는 제4 부재를 포함하는 제2 차단봉; 및 일단이 상기 제2 부재에 부착되고, 타단이 상기 제4 부재에 롤업 방식으로 감겨 있으며, 상기 접이식 출입문이 개방되는 경우, 상기 제3 부재 및 상기 제4 부재가 회동하여 상기 제1 차단봉 및 상기 제2 차단봉 사이에 펼쳐지는 차단막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2 차단봉은, 상부는 상기 제3 부재에 삽입되고, 하부는 상기 제3 부재를 받칠 수 있도록 받침 부재가 형성되는 상기 비틀림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받침 부재의 일측면이 상기 차체 외벽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차단봉은, 중심점이 상기 비틀림 회전축에 연결되고, 회전점이 상기 제3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제3 부재에 탄성력을 부가하는 비틀림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차단봉은, 상기 접이식 출입문이 개방되는 경우, 상기 제3 부재가 회동하여 상기 제4 부재가 상기 차량 외부 방향을 향하고, 상기 접이식 출입문이 폐쇄되는 경우, 상기 비틀림 스프링에 의해 상기 제3 부재가 회동하여 상기 제4 부재가 상기 차체 외벽에 맞닿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차단봉은, 상기 제3 부재의 일측단은 소정의 각도로 꺾인 형상이고, 상기 제3 부재의 일측단에 형성되는 파워 회전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파워 회전축은 상기 제4 부재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차단봉은, 중심점이 상기 파워 회전축에 연결되고, 회전점이 상기 제4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제4 부재에 탄성력을 부가하는 파워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차단봉은, 상기 접이식 출입문이 개방되는 경우, 상기 제4 부재가 회동하여 감겨있던 상기 차단막이 펼쳐지고, 상기 접이식 출입문이 폐쇄되는 경우, 상기 비틀림 스프링에 의해 상기 제4 부재가 회동하여 상기 제4 부재에 상기 차단막이 감길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차단봉은, 상기 제1 부재의 일측면에 상기 제2 부재가 연결되고, 상기 제1 부재의 타측면에 연결 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차단봉은, 상기 연결 부재에 의해 상기 접이식 출입문에 결합되고, 상기 접이식 출입문의 개폐에 따라 상기 차량 출입구의 양측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접이식 출입문에 결합되는 제1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와 소정의 각도를 가지며 연결되는 제2 부재를 포함하는 제1 차단봉과, 차체 외벽에 결합되는 비틀림 회전축이 삽입되어 상기 비틀림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제3 부재 및 상기 제3 부재와 개별적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연결되는 제4 부재를 포함하는 제2 차단봉 및 일단이 상기 제2 부재에 부착되고, 타단이 상기 제4 부재에 롤업 방식으로 감겨 있는 차단막을 포함하는 빗물 차단 장치의 빗물 차단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출입문이 개방되는 경우, 상기 제1 차단봉이 이동하여 상기 차단막의 일단에 당기는 힘이 가해지고, 상기 차단막의 일단에 가해지는 당기는 힘에 의해 상기 제2 차단봉이 회동하여 상기 제4 부재에 감겨있던 상기 차단막이 상기 제1 차단봉과 상기 제2 차단봉 사이에서 펼쳐진다.
한편, 상기 차단막의 일단에 가해지는 당기는 힘에 의해 상기 제2 차단봉이 회동하는 것은, 상기 제3 부재가 회동하여 상기 제4 부재가 상기 차량의 외부 방향을 향하고, 상기 제4 부재가 회동하여 상기 제4 부재에 감겨있던 상기 차단막이 펼쳐지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이식 출입문이 폐쇄되는 경우, 상기 제3 부재가 회동하여 상기 제4 부재가 상기 차체 외벽에 맞닿고, 상기 제4 부재가 회동하여 상기 제4 부재에 상기 차단막이 감길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이식 출입문이 폐쇄되는 경우, 상기 제3 부재가 회동하여 상기 제4 부재가 상기 차체 외벽에 맞닿는 것은, 상부는 상기 제3 부재에 삽입되고, 하부는 상기 제3 부재를 받칠 수 있도록 받침 부재가 형성되는 비틀림 회전축 및 상기 비틀림 회전축과 상기 제3 부재를 연결하는 비틀림 스프링에 의해 상기 제3 부재에 탄성력이 부가되고, 상기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3 부재가 회동하여 상기 제4 부재가 상기 차체 외벽에 맞닿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이식 출입문이 폐쇄되는 경우, 상기 제4 부재가 회동하여 상기 제4 부재에 상기 차단막이 감기는 것은, 상기 제3 부재의 소정의 각도로 꺾인 일측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4 부재에 삽입되는 파워 회전축 및 상기 파워 회전축과 상기 제4 부재를 연결하는 파워 스프링에 의해 상기 제4 부재에 탄성력이 부가되고, 상기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4 부재가 회동하여 상기 제4 부재에 상기 차단막이 감기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스프링을 이용한 빗물 차단 장치 및 그의 빗물 차단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접이식 출입문이 마련된 차량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접이식 출입문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 도 2b 및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 차단 장치가 도 1에 도시된 접이식 출입문이 마련된 차량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 차단 장치에 포함되는 제1 차단봉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 차단 장치에 포함되는 제2 차단봉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 차단 장치에 포함되는 제2 차단봉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제2 차단봉의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 차단 장치를 이용한 빗물 차단 방법의 순서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 도 2b 및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 차단 장치가 도 1에 도시된 접이식 출입문이 마련된 차량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도 2b 및 도 2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 차단 장치(100)는 제1 차단봉(110), 제2 차단봉(120) 및 차단막(1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차단봉(110)은 접이식 출입문(10)에 장착되고, 제2 차단봉(120)은 차체 외벽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차단막(130)의 양측단은 각각 제1 차단봉(110)과 제2 차단봉(120)에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a 와 같이 접이식 출입문(10)이 폐쇄된 상태에서는 제1 차단봉(110)은 제2 차단봉(120)과 맞닿고, 제2 차단봉(120)의 일측면은 차체 외벽에 맞닿을 수 있다. 이때, 차단막(130)은 제2 차단봉(120)에 롤업 방식으로 감겨 있을 수 있다.
또한, 도 2b와 같이 접이식 출입문(10)이 개방되는 경우, 제1 차단봉(110)이 제2 차단봉(120)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또한, 도 2c와 같이 접이식 출입문(10)이 완전히 개방되는 경우, 제2 차단봉(120)에 감겨 있던 차단막(130)은 제1 차단봉(110)과 제2 차단봉(120) 사이에 펼쳐질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 차단 장치(100)는 접이식 출입문(10)이 개방되는 경우 차량 출입구의 외측 공간에 차단막(130)이 형성되어 빗물을 차단할 수 있다.
여기서, 차단막(130)은 접이식 출입문(10)이 개방되는 경우, 제1 차단봉(110)과 제2 차단봉(120) 사이의 공간에 대응되는 형상, 일예로,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으며, 방수기능이 있는 구조라면, 방수천 또는 방수막이 구비된 면이나 천 등 공지의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 차단 장치(100)에 포함되는 제1 차단봉(110) 및 제2 차단봉(12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 차단 장치에 포함되는 제1 차단봉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차단봉(110)은 제1 부재(111) 및 제2 부재(11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부재(111)에는 연결 부재(111a)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차단봉(110)은 제1 부재(111)와 제2 부재(112)가 소정의 각도, 일예로, 90도의 각도를 가지며 연결된 형상일 수 있다. 즉, 제1 부재(111)의 일측면에 제2 부재(112)가 소정의 각도를 가지며 연결될 수 있다. 일예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차단봉(110)은 제1 부재(111)의 일측면의 꼭지점에 제2 부재(112)가 연결된 형상일 수 있다.
도 3에서는 제1 부재(111) 및 제2 부재(112)가 직육면체 형상인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차량의 종류와 접이식 출입문(10)의 형상에 따라 미리 맞춰진 형상으로 제조되거나, 필요에 따라서는 유연한 재질로 구성되어 구부려서 사용될 수 있도록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제1 차단봉(110)은 접이식 출입문(10)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제1 차단봉(110)은 접이식 출입문(10)의 도어 패널(10a, 10b) 중 차체에 고정되지 않는 도어 패널, 즉, 접이식 출입문(10)의 개폐에 따라 차량 출입구의 양측 사이에서 일측단이 이동하는 제1 도어 패널(10a)의 상부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제1 차단봉(110)은 접이식 출입문(10)이 폐쇄된 경우, 제1 부재(111) 및 제2 부재(112)의 일측면이 제2 차단봉(120)과 맞닿으며, 접이식 출입문(10)이 개방된 경우, 제1 부재(111)는 제1 도어 패널(10a)과 제2 도어 패널(10b)의 사이에 끼이지 않고, 제2 부재(112)는 차량 외부 방향을 향할 수 있도록 장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부재(111)의 너비는 원통 형상의 제2 차단봉(120)의 지름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 부재(111)의 일측면의 꼭지점에 제2 부재(112)가 소정의 각도를 가지며 연결되는 경우, 제1 부재(111)의 일측면, 차체 외벽 및 제2 부재(11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제2 차단봉(120)의 일부분 또는 전체가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부재(111)의 타측면에는 복수의 체결홈(111b)이 구비된 연결 부재(111a)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부재(111)의 제2 부재(112)가 연결되는 일측면과 대응하는 타측면에 연결 부재(111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연결 부재(111a)는 제1 부재(111)와 제2 부재(112)가 형성하는 각도와 동일한 각도를 가지며 제1 부재(111)의 타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 부재(111a)는 접이식 출입문(10)이 개방되는 경우, 제1 도어 패널(10a)과 제2 도어 패널(10b) 사이에 위치하므로 제1 도어 패널(10a)과 제2 도어 패널(10b)이 벌어지지 않도록 얇은 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 도어 패널(10a)에는 복수의 체결홈(111b)에 대응되는 복수의 돌출부가 마련될 수 있으며, 체결홈(111b)과 돌출부를 체결하는 방식으로 연결 부재(111a)를 제1 도어 패널(10a)에 고정할 수 있다. 즉, 제1 차단봉(110)은 연결 부재(111a)에 의해 제1 도어 패널(10a)의 일측면(차량 외부 방향을 향하거나 제2 도어 패널(10b)과 맞닿는 면)에 장착될 수 있다.
이처럼, 제1 차단봉(110)은 차량 상부에서 내려다보는 경우, 제1 부재(111)를 기준으로 제2 부재(112) 및 연결 부재(111a)가 대각선상에 위치하며,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는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접이식 출입문(10)이 폐쇄된 경우, 제1 차단봉(110)의 일측면은 제2 차단봉(120)과 맞닿을 수 있으며, 접이식 출입문(10)이 개방된 경우, 제1 부재(111)의 타측면은 차량 내부 방향을 향하여 제2 도어 패널(10b)과 맞닿을 수 있으며, 제2 부재(112)는 차량 외부 방향을 향할 수 있다.
한편, 제2 부재(112)에는 차단막(130)의 일측단이 부착될 수 있다. 도 3과 같이, 제2 부재(112)가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 제2 부재(112)에서 접이식 출입문(10)이 폐쇄된 경우 제2 차단봉(120)과 맞닿는 면에 차단막(130)의 일측단이 접착 물질 또는 연결 수단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제2 부재(112)의 외측면에 차단막(130)의 일측단이 부착되거나, 제2 부재(112)에 차단막(130)의 일측단이 통과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제2 부재(112)의 내측면에 차단막(130)의 일측단이 부착될 수 있으며 이는 외부 환경에 의해 차단막(130)이 부착된 부분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차단막(130)의 타측단은 제2 차단봉(120)에 감겨 있으므로, 접이식 출입문(10)이 폐쇄되어 제1 차단봉(110)과 제2 차단봉(120)이 맞닿은 경우, 차단막(130) 전체가 제2 차단봉(120)에 감겨 있을 수 있으며, 접이식 출입문(10)이 개방되어 제1 차단봉(110)과 제2 차단봉(120)이 이격되는 경우, 차단막(130)의 일측단에 당기는 힘이 가해져 제2 차단봉(120)에 감겨 있던 차단막이 제1 차단봉(110)과 제2 차단봉(120)사이에서 펼쳐질 수 있다. 이때, 제2 차단봉(120)은 차단막(130)의 일측단에 가해지는 당기는 힘에 의해 회전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 차단 장치에 포함되는 제2 차단봉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 차단 장치에 포함되는 제2 차단봉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 차단 장치에 포함되는 제2 차단봉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2 차단봉(120)은 제3 부재(121) 및 제4 부재(1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3 부재(121)의 내부 공간에는 비틀림 회전축(123) 및 비틀림 스프링(124)이 수용되고, 제4 부재(122)의 내부 공간에는 파워 회전축(125) 및 파워 스프링(126)이 수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차단봉(120)은 제3 부재(121) 및 제4 부재(122)가 연결되어 전체적으로는 소정의 각도로 꺾인 형상일 수 있다. 여기서, 제3 부재(121) 및 제4 부재(122)는 내부 공간을 갖는 봉 형상일 수 있으며, 특히, 제3 부재(121)의 일측단은 소정의 각도, 일예로, 90도의 각도로 꺾인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제2 차단봉(120)은 차체 외벽의 출입구 부근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차단봉(120)은 차체 외벽의 출입구 부근에서 접이식 출입문(10)에 장착되는 제1 차단봉(110)과 대응되는 위치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3 부재(121)의 내부 공간에는 하부에 받침 부재(123a)가 형성된 비틀림 회전축(123)이 삽입될 수 있으며, 제3 부재(121)와 비틀림 회전축(123)은 비틀림 스프링(124)에 의해 연결되어 제3 부재(121)에 탄성력을 부가할 수 있다.
또한, 제2 차단봉(120)에는 차단막(130)의 타측단이 롤업 방식으로 감겨 있을 수 있다. 즉, 차단막(130)의 타측단이 제4 부재(122)에 부착되고, 제4 부재(122)의 회전에 따라 차단막(130)이 제4 부재(122)에 롤업 방식으로 감길 수 있다. 이를 위해, 제4 부재(122)는 제3 부재(121)와 개별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의 (a)는 도 4에 도시된 제2 차단봉(120)의 AA’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6의 (b)는 도 4에 도시된 제2 차단봉(120)의 BB’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비틀림 스프링(124)의 중심점은 비틀림 회전축(123)에 고정되고, 비틀림 스프링(124)의 회전점은 제3 부재(121)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비틀림 회전축(123) 및 제3 부재(121)에 소정의 홈을 형성하고, 비틀림 스프링(124)의 중심점 또는 회전점을 삽입하는 방식으로 비틀림 스프링(124)으로 비틀림 회전축(123) 및 제3 부재(121)를 연결할 수 있다.
한편, 비틀림 스프링(124)은 중심점과 회전점을 가지며, 중심점이 고정되고 회전점에 힘이 가해지는 경우, 중심점을 기준으로 회전점이 회전하고, 회전점에 가해지던 힘이 감소하거나 없어지는 경우, 반대 방향(화살표)으로 탄성력이 발생하여 회전점이 처음의 위치로 되돌아올 수 있다.
또한, 비틀림 회전축(123)은 제3 부재(121)보다 작은 반지름을 갖는 원통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비틀림 회전축(123)은 제3 부재(121)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으며, 이때, 비틀림 회전축(123)이 제3 부재(121)를 받칠 수 있도록, 비틀림 회전축(123)의 하단에는 받침 부재(123a)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3 부재(121)는 받침 부재(123a) 상에서 비틀림 회전축(123)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비틀림 회전축(123)에 형성되는 받침 부재(123a)의 일측면이 차체 외벽에 부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차단봉(120)은 차체 외벽에 부착되는데, 제2 차단봉(120)에 포함되는 받침 부재(123a)의 일측면을 접착 물질을 이용하거나 볼트와 너트의 결합 구조를 이용하여 차체 외벽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제2 차단봉(120)을 차체 외벽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다.
한편, 차단막(130)의 일측단은 제1 차단봉(110)에 부착된 반면 차단막(130)의 타측단은 제2 차단봉(120)에 부착되어 롤업 방식으로 감긴 상태일 수 있다. 여기서, 차단막(130)의 타측단은 제4 부재(122)에 부착되어 롤업 방식으로 감긴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접이식 출입문(10)이 개방되는 경우, 제2 부재(112)가 출입구(11)의 양측 사이에서 이동하여 차단막(130)의 일측단에 당기는 힘이 가해질 수 있으며, 이는 차단막(130)이 감긴 제4 부재(122)를 회전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는, 제4 부재(122)의 회전에 의해 제4 부재(122)의 외측면에 감겨 있던 차단막(130)이 풀리며 제1 차단봉(110)과 제2 차단봉(120) 사이의 공간에 펼쳐질 수 있다.
여기서, 차단막(130)의 일측단에 가해지는 당기는 힘은 제2 차단봉(120)을 회동시킬 수 있다. 즉, 제4 부재(122)에 가해지는 당기는 힘은 제3 부재(121)로 전해지며 이는 제2 차단봉(120)을 회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2 차단봉(120)은 제3 부재(121)를 기준으로 회동함에 따라 제4 부재(122)가 차체 외벽에 맞닿거나 차량 외부 방향을 향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접이식 출입문(10)이 폐쇄되는 경우, 차단막(130)의 일측단이 부착된 제1 차단봉(110)이 차단막(130)의 타측단이 부착된 제2 차단봉(120)을 향해 이동함에 따라 차단막(130)의 일측단에 가해지던 당기는 힘이 없어질 수 있다. 즉, 접이식 출입문(10)이 완전히 폐쇄되는 경우, 제1 차단봉(110)과 제2 차단봉(120)은 맞닿을 수 있으며, 이때, 제1 차단봉(110)과 제2 차단봉(120) 사이에서 펼쳐졌던 차단막(130)이 다시 제2 차단봉(120)에 롤업 방식으로 감기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차단막(130)의 타측단이 부착되는 제4 부재(122)는 제3 부재(121)와 개별적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야 하며, 따라서, 제4 부재(122)는 내부 공간에 제3 부재(121)에 형성되는 파워 회전축(125)이 삽입되고, 제4 부재(122)에 탄성력을 부가하기 위한 파워 스프링(126)에 의해 파워 회전축(125)과 연결되는 방식으로 제3 부재(121)와 연결될 수 있다.
도 6의 (b)를 참조하면, 제4 부재(122)는 파워 스프링(126)에 의해 파워 회전축(125)과 연결되어, 파워 회전축(125)을 중심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360도 회전할 수 있다.
한편, 파워 회전축(125)은 제3 부재(121)의 꺾인 일측단에 형성되고, 봉 형상일 수 있다. 파워 회전축(125)은 제4 부재(122)에 삽입될 수 있도록 파워 회전축(125)의 지름은 제4 부재(122)의 지름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파워 스프링(126)은 중심점과 회전점을 가지며, 중심점이 고정되고 회전점에 시계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경우 중심점을 기준으로 회전점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회전점에 가해지던 힘이 감소하거나 없어지는 경우, 반시계방향으로 탄성력이 발생하여 회전점이 처음의 위치로 되돌아올 수 있다.
이러한 파워 스프링(126)의 중심점은 파워 회전축(125)에 고정되고, 회전점은 제4 부재(122)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파워 회전축(125) 및 제4 부재(122)에 소정의 홈을 형성하고 파워 스프링(126)의 중심점 또는 회전점을 삽입하는 방식으로, 파워 스프링(126)으로 파워 회전축(125) 및 제3 부재(121)를 연결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차단막(130)의 타측단이 제4 부재(122)에 부착될 수 있다. 즉, 차단막(130)은 일측단이 제4 부재(122)의 외측면에 접착 물질에 의하여 부착되므로, 제4 부재(122)의 회전 동작에 따라 제4 부재(122)에 원통 형상으로 돌돌 감기거나, 펼쳐질 수 있다. 이때, 차단막(130)의 일측단은 제1 차단봉(111)에 부착된 상태이다.
이에 따라, 제1 차단봉(110)과 제2 차단봉(120)이 맞닿아 있는 경우, 차단막(130) 전체는 제4 부재(122)에 완전히 감겨 있는 상태이고, 제1 차단봉(110)이 부착된 접이식 출입문(10)이 개방되어 제1 차단봉(110)과 제2 차단봉(120)이 이격되는 경우 감겨있던 차단막(130)이 펼쳐질 수 있다.
즉, 제4 부재(122)에 감겨 있는 차단막(130)의 일측단에 당기는 힘이 가해지면, 제4 부재(122)는 회전될 수 있으며, 제4 부재(122)가 회전함에 따라 차단막(130)이 펼쳐질 수 있다.
또한, 제1 차단봉(110)이 부착된 접이식 출입문(10)이 폐쇄되는 경우, 차단막(130)의 일측단에 가해졌던 당기는 힘이 없어지므로, 제4 부재(122)는 파워 스프링(126)에 의해 반력이 발생하여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차단막(130)은 다시 제4 부재(122)에 감길 수 있다.
여기서, 제4 부재(122)는 원통 형상의 케이스(미도시)에 삽입될 수 있다. 케이스(미도시)는 차단막(130)이 통과할 수 있는 홈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제4 부재(122)는 케이스(미도시) 내측에서 회전할 수 있으며, 제4 부재(122)와 케이스(미도시)의 내벽 사이에 차단막(130)이 감겨 있어, 차단막(130)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차단봉(120)은 개별적으로 회동 가능한 제3 부재(121) 및 제4 부재(122)가 연결된 형상이고, 제1 차단봉(110)과 차단막(13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접이식 출입문(10)의 개방에 따라 차단막(130)에 당기는 힘이 가해지면 제3 부재(121) 및 제4 부재(122)가 회동할 수 있으며, 제3 부재(121)의 회동에 의해 차체 외벽에 맞닿아 있던 제4 부재(122)는 차체 외부 방향을 향하고, 제4 부재(122)의 회동에 의해 제4 부재(122)에 감겨 있던 차단막(130)이 펼쳐질 수 있다.
또한, 접이식 출입문(10)의 폐쇄에 따라 차단막(130)에 가해지던 당기는 힘이 사라지면 제3 부재(121)는 비틀림 스프링(124), 제4 부재(122)는 파워 스프링(126)에 의해 각각 탄성력이 부가되어 반대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제3 부재(121)의 회동에 의해 차체 외부 방향을 향하던 제4 부재(122)는 다시 차체 외벽에 맞닿을 수 있으며, 제4 부재(122)의 회동에 의해 차단막(130)은 제4 부재(122)에 감길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 차단 장치(100)를 이용한 빗물 차단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접이식 출입문(10)이 개방됨에 따라 제1 차단봉(110)과 제2 차단봉(120)이 이격되어 차단막(130)에 당기는 힘이 가해질 수 있다(200). 제1 차단봉(110)은 접이식 출입문(10)에 장착되고, 제2 차단봉(120)은 차체 외벽에 장착되므로, 접이식 출입문(10)이 개방됨에 따라 제1 차단봉(110)과 제2 차단봉(120)은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제1 차단봉(110)이 이동함에 따라, 제1 차단봉(110)에 일측이 부착되고, 제2 차단봉(120)에 타측이 부착되어 감겨 있는 차단막(130)에 당기는 힘이 가해질 수 있다.
이때, 차단막(130)에 가해지는 당기는 힘에 의해 제2 차단봉(120)의 제3 부재(121) 및 제4 부재(122)가 개별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210). 즉, 제2 차단봉(120)은 제3 부재(121) 및 제4 부재(122)가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제3 부재(121)는 비틀림 회전축(123)을 기준으로 회전하고, 제4 부재(122)는 파워 회전축(125)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제3 부재(121)의 회전에 의해 제4 부재(122)가 차량 외부 방향을 향하고, 제4 부재(122)의 회전에 의해 제4 부재(122)에 감겨있던 차단막(130)이 풀릴 수 있다(220). 또한, 접이식 출입문(10)이 완전히 개방되면, 출입구(11)의 양측에 위치하는 제1 차단봉(110)과 제2 차단봉(120) 사이에 차단막(130)이 형성되어 빗물을 차단할 수 있다(230).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접이식 출입문(10)이 폐쇄됨에 따라 제1 차단봉(110)이 제2 차단봉(120)을 향해 이동하여 차단막(130)에 가해지던 당기는 힘이 제거될 수 있다(300). 제1 차단봉(110)은 접이식 출입문(10)에 장착되고, 제2 차단봉(120)은 차체 외벽에 장착되므로, 접이식 출입문(10)이 폐쇄됨에 따라 제1 차단봉(110)은 제2 차단봉(120)을 향해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1 차단봉(110)이 이동함에 따라, 제1 차단봉(110)에 일측이 부착되고, 제2 차단봉(120)에 타측이 부착되어 감겨 있는 차단막(130)에 가해지던 당기는 힘이 제거될 수 있다.
이때, 차단막(130)에 가해지던 당기는 힘이 제거되어, 제2 차단봉(120)의 제3 부재(121)에 삽입된 비틀림 스프링(124) 및 제4 부재(122)에 삽입된 파워 스프링(126)의 복원력에 의해 제3 부재(121) 및 제4 부재(122)가 회전할 수 있다(310). 즉, 제3 부재(121)는 비틀림 회전축(123)과 비틀림 스프링(124)에 의해 연결되고, 제4 부재(122)는 파워 회전축(125)과 파워 스프링(126)에 의해 연결되어, 제3 부재(121) 및 제4 부재(122)는 각각 비틀림 스프링(124)과 파워 스프링(126)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210 단계의 회전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제3 부재(121)의 회전에 의해 제4 부재(122)가 차체 외벽에 맞닿고, 제4 부재(122)의 회전에 의해 제4 부재(122)에 차단막(130)이 감길 수 있다(320).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빗물 차단 장치
110: 제1 차단봉
120: 제2 차단봉
130: 차단막

Claims (14)

  1. 접이식 출입문이 마련된 차량에 장착되는 빗물 차단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출입문에 결합되는 제1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와 소정의 각도를 가지며 연결되는 제2 부재를 포함하는 제1 차단봉;
    차체 외벽에 결합되는 비틀림 회전축이 삽입되어 상기 비틀림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제3 부재 및 상기 제3 부재와 개별적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연결되는 제4 부재를 포함하는 제2 차단봉; 및
    일단이 상기 제2 부재에 부착되고, 타단이 상기 제4 부재에 롤업 방식으로 감겨 있으며, 상기 접이식 출입문이 개방되는 경우, 상기 제3 부재 및 상기 제4 부재가 회동하여 상기 제1 차단봉 및 상기 제2 차단봉 사이에 펼쳐지는 차단막을 포함하는 빗물 차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차단봉은,
    상부는 상기 제3 부재에 삽입되고, 하부는 상기 제3 부재를 받칠 수 있도록 받침 부재가 형성되는 상기 비틀림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받침 부재의 일측면이 상기 차체 외벽에 결합되는 빗물 차단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차단봉은,
    중심점이 상기 비틀림 회전축에 연결되고, 회전점이 상기 제3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제3 부재에 탄성력을 부가하는 비틀림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빗물 차단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차단봉은,
    상기 접이식 출입문이 개방되는 경우,
    상기 제3 부재가 회동하여 상기 제4 부재가 상기 차량 외부 방향을 향하고,
    상기 접이식 출입문이 폐쇄되는 경우,
    상기 비틀림 스프링에 의해 상기 제3 부재가 회동하여 상기 제4 부재가 상기 차체 외벽에 맞닿는 빗물 차단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차단봉은,
    상기 제3 부재의 일측단은 소정의 각도로 꺾인 형상이고, 상기 제3 부재의 일측단에 형성되는 파워 회전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파워 회전축은 상기 제4 부재에 삽입되는 빗물 차단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차단봉은,
    중심점이 상기 파워 회전축에 연결되고, 회전점이 상기 제4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제4 부재에 탄성력을 부가하는 파워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빗물 차단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차단봉은,
    상기 접이식 출입문이 개방되는 경우,
    상기 제4 부재가 회동하여 감겨있던 상기 차단막이 펼쳐지고,
    상기 접이식 출입문이 폐쇄되는 경우,
    상기 파워 스프링에 의해 상기 제4 부재가 회동하여 상기 제4 부재에 상기 차단막이 감기는 빗물 차단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단봉은,
    상기 제1 부재의 일측면에 상기 제2 부재가 연결되고, 상기 제1 부재의 타측면에 연결 부재가 형성되는 빗물 차단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단봉은,
    상기 연결 부재에 의해 상기 접이식 출입문에 결합되고,
    상기 접이식 출입문의 개폐에 따라 상기 차량 출입구의 양측 사이에서 이동하는 빗물 차단 장치.
  10. 접이식 출입문에 결합되는 제1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와 소정의 각도를 가지며 연결되는 제2 부재를 포함하는 제1 차단봉과, 차체 외벽에 결합되는 비틀림 회전축이 삽입되어 상기 비틀림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제3 부재 및 상기 제3 부재와 개별적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연결되는 제4 부재를 포함하는 제2 차단봉 및 일단이 상기 제2 부재에 부착되고, 타단이 상기 제4 부재에 롤업 방식으로 감겨 있는 차단막을 포함하는 빗물 차단 장치의 빗물 차단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출입문이 개방되는 경우, 상기 제1 차단봉이 이동하여 상기 차단막의 일단에 당기는 힘이 가해지고,
    상기 차단막의 일단에 가해지는 당기는 힘에 의해 상기 제2 차단봉이 회동하여 상기 제4 부재에 감겨있던 상기 차단막이 상기 제1 차단봉과 상기 제2 차단봉 사이에서 펼쳐지는 빗물 차단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의 일단에 가해지는 당기는 힘에 의해 상기 제2 차단봉이 회동하는 것은,
    상기 제3 부재가 회동하여 상기 제4 부재가 상기 차체의 외부 방향을 향하고,
    상기 제4 부재가 회동하여 상기 제4 부재에 감겨있던 상기 차단막이 펼쳐지는 것인 빗물 차단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출입문이 폐쇄되는 경우,
    상기 제3 부재가 회동하여 상기 제4 부재가 상기 차체 외벽에 맞닿고,
    상기 제4 부재가 회동하여 상기 제4 부재에 상기 차단막이 감기는 빗물 차단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출입문이 폐쇄되는 경우,
    상기 제3 부재가 회동하여 상기 제4 부재가 상기 차체 외벽에 맞닿는 것은,
    상부는 상기 제3 부재에 삽입되고, 하부는 상기 제3 부재를 받칠 수 있도록 받침 부재가 형성되는 비틀림 회전축 및 상기 비틀림 회전축과 상기 제3 부재를 연결하는 비틀림 스프링에 의해 상기 제3 부재에 탄성력이 부가되고,
    상기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3 부재가 회동하여 상기 제4 부재가 상기 차체 외벽에 맞닿는 것인 빗물 차단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출입문이 폐쇄되는 경우,
    상기 제4 부재가 회동하여 상기 제4 부재에 상기 차단막이 감기는 것은,
    상기 제3 부재의 소정의 각도로 꺾인 일측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4 부재에 삽입되는 파워 회전축 및 상기 파워 회전축과 상기 제4 부재를 연결하는 파워 스프링에 의해 상기 제4 부재에 탄성력이 부가되고,
    상기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4 부재가 회동하여 상기 제4 부재에 상기 차단막이 감기는 것인 빗물 차단 방법.
KR1020150145363A 2015-10-19 2015-10-19 빗물 차단 장치 및 그의 빗물 차단 방법 KR1016767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5363A KR101676769B1 (ko) 2015-10-19 2015-10-19 빗물 차단 장치 및 그의 빗물 차단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5363A KR101676769B1 (ko) 2015-10-19 2015-10-19 빗물 차단 장치 및 그의 빗물 차단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6769B1 true KR101676769B1 (ko) 2016-11-16

Family

ID=57540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5363A KR101676769B1 (ko) 2015-10-19 2015-10-19 빗물 차단 장치 및 그의 빗물 차단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676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2321A (ja) * 2003-10-04 2005-04-28 Tatsuo Makino 自動車用雨よけドアールーフ
KR101116626B1 (ko) * 2011-07-27 2012-03-13 이재호 자동차용 레인커버
KR101357476B1 (ko) 2012-03-21 2014-02-03 김정래 차량용 빗물 차단장치
JP2015013618A (ja) * 2013-07-08 2015-01-22 トーシンテック株式会社 車両用雨よけ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2321A (ja) * 2003-10-04 2005-04-28 Tatsuo Makino 自動車用雨よけドアールーフ
KR101116626B1 (ko) * 2011-07-27 2012-03-13 이재호 자동차용 레인커버
KR101357476B1 (ko) 2012-03-21 2014-02-03 김정래 차량용 빗물 차단장치
JP2015013618A (ja) * 2013-07-08 2015-01-22 トーシンテック株式会社 車両用雨よけ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08785B2 (ja) 回転シャフト及び該回転シャフトを有する電子機器
EP2421231B1 (en) Mobile electronic device
CN105960356B (zh) 具有平移盖的隐藏装置
WO2016024852A2 (ko) 힌지 작동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탄성력을 이용해 끝단의 섭동이 가능한 플렉시블 표시장치
CN211348979U (zh) 投影幕布装置及车辆
KR102188385B1 (ko) 도어 힌지부 손 끼임 방지장치
KR20190079502A (ko) 접이식 디바이스들
JP2011105152A (ja) シェード装置
EP2301112A2 (fr) Structure articulee deployable
KR102174853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개폐 힌지모듈
WO2017012721A1 (fr) Équipement d'enroulement d'écran à attache murale articulée
KR101676769B1 (ko) 빗물 차단 장치 및 그의 빗물 차단 방법
CN110727311A (zh) 可折叠式电子设备及其显示屏的控制方法
KR20090097811A (ko) 힌지 다면체 격실을 구성하는 물체 디스플레이를 위한 요소지지대
KR101266970B1 (ko) 우주탐사선의 착륙용 전개장치
JP6455706B2 (ja) 物品投入機構および物品収容装置
KR100731291B1 (ko) 회전 자유형 클립
ES2556570T3 (es) Voladizo pivotante de una escalera o de un puente de pasajeros de avión
TWM629780U (zh) 門縫防夾簾結構
KR20220027108A (ko) 차량 트렁크 탑재형 운송 로봇 장치
KR20180103463A (ko) 줄 없는 이중 블라인드의 미끄럼방지 하단바
JP6496465B2 (ja) 3面構造を持つフォールディングドアの折り畳み装置
JP2008014002A (ja) スイング式ドア
WO2019111245A1 (en) Roller shutter with tilting slats
FR2941996A1 (fr) Systeme de projection pour volet couliss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