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6744B1 - 타프 거치대 및 이를 이용한 캠핑용 카고 트레일러 - Google Patents

타프 거치대 및 이를 이용한 캠핑용 카고 트레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6744B1
KR101676744B1 KR1020160056188A KR20160056188A KR101676744B1 KR 101676744 B1 KR101676744 B1 KR 101676744B1 KR 1020160056188 A KR1020160056188 A KR 1020160056188A KR 20160056188 A KR20160056188 A KR 20160056188A KR 101676744 B1 KR101676744 B1 KR 1016767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unit bar
hole
uni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6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수
Original Assignee
(주)연에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연에너텍 filed Critical (주)연에너텍
Priority to KR1020160056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67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6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67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04H15/06Tents at least partially supported by vehicles
    • E04H15/08Trailer awning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44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 E04H15/48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foldable, i.e. having pivoted or hinged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지붕이나 캠핑용 카고 트레일러에 설치되어 타프의 일측을 거치할 수 있는 타프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소정 간격 서로 이격하여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힌지결합부재와, 힌지결합부재에 수직 회전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수직바와, 한 쌍의 수직바의 상단을 가로지르도록 결합되며 다단으로 신축되는 확장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타프 거치대 및 이를 이용한 캠핑용 카고 트레일러{TARP STANDS AND CARGO TRAILR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타프 거치대 및 이를 이용한 캠핑용 카고 트레일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지붕이나 캠핑용 카고 트레일러에 설치되어 타프의 일측을 거치할 수 있는 타프 거치대와, 이 타프 거치대가 장착된 캠핑용 카고 트레일러에 관한 것이다.
캠핑용 타프(Tarp)는 캠핑시에 텐트와 함께 캠핑을 위한 필수 장비에 해당하는 것으로, 그늘을 제공하여 캠핑을 즐길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캠핑용 타프는 펼친 형태에 따라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6각형 형태를 갖는 '헥사 타프'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태를 갖는 '렉타 타프'로 구분된다.
이와 같은 캠핑용 타프를 설치하는 방법은 우선, 중앙의 메인 폴(10) 2개를 세우고, 메인 폴(10)이 안정적으로 설치된 이후에 양쪽 측면의 사이드 폴(20) 4개를 세우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 폴(10)을 세우기 위해서는 메인 폴(10) 하나당 2개의 팩다운을 하고 2개의 스트링으로 연결한다. 이때, 메인 폴(10) 자체가 자립이 되지 않기 때문에 누군가는 메인 폴(10)을 잡고 있어야만 한다. 특히, 양쪽의 메인 폴(10)이 모두 설치되기 전까지는 메인 폴(10) 자체가 자립이 되지 않아 양쪽 메인 폴(10)이 자립하도록 설치하는 동안 계속 누군가가 메인 폴(10)을 지탱하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캠핑용 타프를 설치함에 있어서는 메인 폴(10)을 설치하는데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캠핑용 타프를 안정적으로 설치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8개에서 많게는 14개의 팩다운을 해야 하는데 많은 팩다운으로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캠핑 사이트가 협소하여 팩다운을 할만한 공간적인 여유가 없는 경우에는 캠핑용 타프를 설치하기 곤란한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최근에는 캠핑시 캠핑용 타프의 활용도가 더욱 증가하고 있어 캠핑을 즐기는 대부분은 캠핑용 타프를 소유하고 있으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캠핑용 타프 설치의 어려움 때문에 활용도가 낮은 문제점이 있다.
한편, 기존 캠핑용 타프에 비해 설치가 용이한 차량용 어닝이 있으나, 차량용 어닝의 경우 폭이 차량의 지붕 길이에 한정되어 최대 2m 미만으로 크기가 작아 실제 캠핑시에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의 지붕이나 캠핑용 카고 트레일러에 설치되어 타프의 일측을 고정할 수 있는 타프 거치대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술한 타프 거치대가 장착된 캠핑용 카고 트레일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확장바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다양한 규격의 타프를 설치할 수 있는 타프 거치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필요에 따라 0~90°까지 각도 조절이 가능하고, 차량 이동시 접어서 보관할 수 있어 안전운행과 편의성을 증대시킨 타프 거치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존의 타프를 차량용 어닝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어닝 및 타프의 공용 설치가 가능한 타프 거치대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정 간격 서로 이격하여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힌지결합부재; 상기 힌지결합부재에 수직 회전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수직바; 및 상기 한 쌍의 수직바의 상단을 가로지르도록 결합되며, 다단으로 신축되는 확장바를 포함하는 타프 거치대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힌지결합부재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폭 방향 양측에서 상향 절곡 형성되는 한 쌍의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관통홀과, 상기 제1 관통홀의 상측에 소정 각도로 서로 이격하여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수직바는 상기 힌지결합부재와의 결합시 상기 제1 관통홀과 연통하도록 일측에 형성되는 제3 관통홀과, 회전시 상기 제2 관통홀과 차례로 연통하도록 상기 제3 관통홀의 상측에 이격하여 형성되는 제4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수직바의 일측에 결합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확장바는, 일측에 제1 고정홀이 관통 형성되는 제1 단위바와, 상기 제1 단위바 내에 슬라이드 결합되며 일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제1 체결홀이 관통 형성되는 제2 단위바와, 상기 제1 고정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체결홀에 삽입되는 길이조절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확장바는, 상기 길이조절구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1 단위바의 일측에 결합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길이조절구의 외주면에 개재되며 상기 길이조절구를 상기 제1 고정홀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확장바는, 상기 제2 단위바의 일면을 가압 지지하도록 상기 제1 단위바의 일면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아이 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충격 및 소음 흡수를 위해 상기 수직바의 일면에 결합되는 완충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타프 거치대가 일측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용 카고 트레일러를 제공함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타프 거치대에 의하면, 차량의 지붕이나 캠핑용 카고 트레일러에 설치될 수 있으므로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타프 거치대에 의하면, 확장바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규격의 타프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타프 거치대에 의하면, 타프 설치 조건에 따라 수직바의 각도를 0~90°까지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타프 거치대에 의하면, 기존의 타프를 차량용 어닝처럼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타프 거치대가 장착된 캠핑용 카고 트레일러에 의하면, 원하는 장소에 타프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캠핑용 타프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프 거치대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프 거치대의 전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바의 결합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프 거치대의 측면 사용 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프 거치대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프 거치대의 전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프 거치대(100)는 한 쌍의 힌지결합부재(200)와, 힌지결합부재(200)에 수직 회전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수직바(300)와, 한 쌍의 수직바(300)의 상단을 가로지르도록 결합되며 다단으로 신축되는 확장바(4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프 거치대(100)는 캠핑용 카고 트레일러(T, 도 7 참조)의 상측, 또는 차량의 지붕(roof)에 설치되어 타프(30, 도 7 참조)의 일측을 지지하며, 이를 위해 힌지결합부재(200)가 캠핑용 카고 트레일러(T)의 상측 또는 차량의 지붕에 볼트 등의 체결구를 이용하여 체결되거나 용접에 의해 결합된다.
힌지결합부재(200)는 캠핑용 카고 트레일러(T)의 상측이나 차량의 지붕에 직접 결합될 수 있으며, 캠핑용 카고 트레일러(T)의 상측 또는 차량의 지붕에 별도의 지지 프레임(미도시)을 설치하고, 그 지지 프레임 위에 힌지결합부재(200)를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지지 프레임의 형태와 규격은 지지 프레임이 설치되는 물품의 종류와 규격 및 타프(30) 설치 높이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힌지결합부재(200)는 캠핑용 카고 트레일러(T)나 차량의 지붕 또는 별도로 마련되는 지지 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바닥부(210)와, 바닥부(210)의 폭 방향 양측에서 상향 절곡 형성되는 한 쌍의 측벽부(220)를 포함한다.
측벽부(220)의 일측 하단부에는 제1 관통홀(221)이 관통 형성되고, 제1 관통홀(221)의 상측에는 제1 관통홀(221)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로 서로 이격하는 복수 개의 제2 관통홀(222)이 관통 형성된다.
수직바(300)는 힌지결합부재(200)에 수직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확장바(4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수직바(300)는 목재나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수직바(300)의 하단부 양측에는 서로 대향하도록 제3 관통홀(310)이 관통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사각 단면을 갖는 파이프 형태로서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수직바(300)를 도시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수직바(300)의 단면 형태는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힌지결합부재(200)에 수직바(300)를 조립할 때에는, 수직바(300)의 하단부가 한 쌍의 측벽부(220) 사이로 삽입되어 측벽부(220)의 제1 관통홀(221)과 수직바(300)의 제3 관통홀(310)이 서로 연통하게 되며, 측벽부(220)의 제1 관통홀(221)을 관통하여 수직바(300)의 제3 관통홀(310)로 체결되는 볼트 등의 체결구에 의해, 수직바(300)와 힌지결합부재(200)의 힌지 결합이 이루어진다.
힌지결합부재(200)에 결합된 수직바(300)는 제1 관통홀(221)과 제3 관통홀(310)을 관통하여 체결된 체결구를 중심으로 수직 회전 가능하며, 이때 수직바(300)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킨 후 고정할 수 있도록, 수직바(300)의 제3 관통홀(310) 상부에 제4 관통홀(320)이 관통 형성된다.
수직바(300) 회전시 수직바(300)의 제4 관통홀(320)은 힌지결합부재(200)의 제2 관통홀(222)과 차례로 연통하게 되며, 측벽부(220)의 제2 관통홀(222)을 관통하여 수직바(300)의 제4 관통홀(320)로 볼트 등의 체결구를 체결함으로써, 수직바(300)를 힌지결합부재(200)의 바닥부(210)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고정할 수 있다.
수직바(300)는 예컨대 0 ~ 90°의 각도로 회전 가능하다(도 7 참조). 이때, 힌지결합부재(200)의 일측에는 수직바(30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이 스토퍼는 양쪽의 측벽부(220)를 관통하도록 결합된 핀부재(미도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수직바(300)를 90°의 각도로 세웠을 때 수직바(300)의 뒷면 일측이 이 핀부재에 걸리게끔 함으로써 수직바(300)의 회전 각도범위를 0 ~ 90°로 제한할 수 있다.
한편, 수직바(300)의 상단부 일측에는 손잡이(330)가 구비되며, 사용자는 손잡이(330)를 파지한 상태로 들어올리거나 내림으로써, 수직바(300)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아울러, 수직바(300)의 일면에는 고무나 실리콘 등 탄성 재질의 완충재(340)가 결합되어, 수직바(300)를 접을 때 수직바(300)가 캠핑용 카고 트레일러(T) 또는 차량의 프레임과 충돌하면서 발생되는 충격과 소음을 흡수할 수 있다.
확장바(400)는 한 쌍의 수직바(300)의 상단을 가로지르도록 결합되며, 복수 개의 단위바가 다단으로 신축 가능하게 결합되어 전체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다. 예컨대, 거치하고자 하는 타프(30)의 폭 등 규격에 따라 확장바(400)의 길이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총 5개의 단위바가 다단으로 결합되어 확장바(400)를 형성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위바의 전체 개수와 각각의 규격은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ㄱ'자 형태의 브라켓(500)에 의해, 한 쌍의 수직바(300)의 상단에 제1 단위바(410)의 길이 방향 양단이 각각 결합된다. 제1 단위바(410)의 길이 방향 일측 내부에 제2 단위바(420)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 단위바(420)의 길이 방향 일측 내부에는 제3 단위바(430)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제1 단위바(410)의 길이 방향 타측 내부에 제4 단위바(440)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4 단위바(440)의 길이 방향 타측 내부에는 제5 단위바(450)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단위바(410) 내지 제5 단위바(450)는 목재나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사각 단면을 갖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파이프 형태로 도시되고 있으나, 단위바의 단면 형태와 폭 및 길이 등의 규격은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여기서, 제4,제5 단위바(440,450)는 제2,제3 단위바(420,430)와 각각 대응되므로, 이하에서는 제1 단위바(410) 내지 제3 단위바(430)의 구성 및 결합관계를 중심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바(40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단위바(410)는 한 쌍의 수직바(300)의 상단에 길이 방향 양단이 브라켓(500)에 의해 각각 결합되며, 제1 단위바(410)의 길이 방향 양측 단부에는 제1 고정홀(411)이 관통 형성된다.
제2 단위바(420)는 제1 단위바(410)의 길이 방향 일측 내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 단부에 제2 고정홀(421)이 관통 형성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제1 체결홀(422)이 소정 간격 서로 이격하여 관통 형성된다.
제3 단위바(430)는 제2 단위바(420)의 길이 방향 일측 내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제2 체결홀(431)이 관통 형성된다.
제2 단위바(420)가 제1 단위바(410)의 바깥쪽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고, 제3 단위바(430)가 제2 단위바(420)의 바깥쪽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 확장바(400)의 전체 길이가 늘어나게 된다. 반대로, 제2 단위바(420)가 제1 단위바(410) 내부로 수납되고, 제3 단위바(430)가 제2 단위바(420) 내부로 수납되면, 확장바(400)의 전체 길이가 줄어들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바의 결합 구조도이다.
제1 단위바(410)에 대한 제2 단위바(420)의 길이 고정은, 제1 단위바(410)의 제1 고정홀(411)을 관통하여 제2 단위바(420)의 제1 체결홀(422)에 삽입되는 길이조절구(600)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사용자는 제2 단위바(420)를 제1 단위바(410)로부터 원하는 길이만큼 꺼내거나 제1 단위바(410) 내부로 밀어넣은 후, 제1 단위바(410)를 관통하여 제2 단위바(420)에 길이조절구(600)를 체결함으로써 제1 단위바(410)에 제2 단위바(420)를 고정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길이조절구(600)는 제1 단위바(410)의 제1 고정홀(411)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며, 이를 위해 제1 단위바(410)의 일측에 지지부재(610)가 결합된다. 이 지지부재(610)는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돌출되게끔 'U'자형 단면을 가진 몸체(611)와, 몸체(611)의 폭 방향 양측에서 수직하게 절곡되어 제1 단위바(410)에 결합되는 플랜지부(612)를 포함한다.
길이조절구(600)의 일단은 지지부재(610)의 몸체(611)를 관통하여 제1 고정홀(411)로 삽입되며, 길이조절구(600)의 외주면에는 코일스프링 등의 탄성부재(620)가 개재된다. 이 탄성부재(620)는 일단이 몸체(611)의 내측에 지지되고 타단이 길이조절구(600)의 외주면 일측에 돌출 형성된 돌출부(601)에 지지되며, 길이조절구(600)를 제1 고정홀(411) 방향으로 탄성 지지한다. 이때, 돌출부(601)는 예컨대 링 형태의 와셔를 길이조절구(600)의 외주면에 용접 결합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길이조절구(600)를 제1 고정홀(411)의 바깥쪽으로 잡아당기면, 탄성부재(620)가 압축되면서 길이조절구(600)가 제2 단위바(420)의 제1 체결홀(422)로부터 이탈한다. 이때, 제1 단위바(410)의 중공을 따라 제2 단위바(420)를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어서 길이조절구(600)를 놓으면, 탄성부재(62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길이조절구(600)의 일단이 제1 단위바(410)의 제1 고정홀(411)을 통해 제2 단위바(420)의 제1 체결홀(422)로 삽입되며, 이때 제2 단위바(420)는 길이조절구(600)에 걸려서 더 이상 이동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지지부재(610)와 길이조절구(600)는 제2 단위바(420)의 일단에도 마련되며, 제2 단위바(420)의 길이조절구(600)는 제2 단위바(420)의 제2 고정홀(421)을 통해 제3 단위바(430)의 제2 체결홀(431)로 삽입되어 제2 단위바(420)에 대한 제3 단위바(430)의 상대 이동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제2 단위바(420)의 제1 체결홀(422)과 제3 단위바(430)의 제2 체결홀(431)이, 각각의 단위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서로 이격하여 복수 개 형성되는 경우, 사용자는 제1 단위바(410)에 대한 제2 단위바(420)의 전개 길이, 또는 제2 단위바(420)에 대한 제3 단위바(430)의 전개 길이를 적절히 선택하여 고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단위바(410) 내지 제3 단위바(430)에는 타프(30) 설치를 위한 스트링(40)을 고리부(710)에 묶거나 연결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 볼트(700)가 각각의 외측면을 관통하여 체결된다. 이때, 제1,제2 단위바(410,420)의 아이 볼트(700)는 내부에 삽입된 제2,제3 단위바(420,430)의 외측면을 가압 지지함으로써 확장바(400)의 신축 길이를 제한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프 거치대의 측면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프 거치대(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핑용 카고 트레일러(T)의 상측, 차량의 지붕, 또는 이들에 결합되어 별도로 마련되는 지지 프레임에 고정 설치한 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타프 거치대(100)의 힌지결합부재(200)는 볼트 등 별도의 체결구나 체결장치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고, 용접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 : 타프 거치대 200 : 힌지결합부재
300 : 수직바 400 : 확장바
410 : 제1 단위바 420 : 제2 단위바
430 : 제3 단위바 440 : 제4 단위바
450 : 제5 단위바 500 : 브라켓
600 : 길이조절구 601 : 돌출부
610 : 지지부재 620 : 탄성부재
700 : 아이 볼트

Claims (9)

  1. 소정 간격 서로 이격하여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힌지결합부재;
    상기 힌지결합부재에 수직 회전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며, 일측에 손잡이가 구비되고 일면에는 충격 및 소음 흡수를 위한 완충재가 결합되는 한 쌍의 수직바;및
    상기 한 쌍의 수직바의 상단을 가로지르도록 결합되며, 다단으로 신축되는 확장바를 포함하되,
    상기 확장바는, 일측에 제1 고정홀이 관통 형성되는 제1 단위바와, 상기 제1 단위바 내에 슬라이드 결합되며 일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제1 체결홀이 관통 형성되는 제2 단위바와, 상기 제1 고정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체결홀에 삽입되는 길이조절구와, 상기 길이조절구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1 단위바의 일측에 결합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길이조절구의 외주면에 개재되며 상기 길이조절구를 상기 제1 고정홀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돌출되게끔 'U'자형 단면을 가진 몸체와, 상기 몸체의 폭 방향 양측에서 수직하게 절곡되어 상기 제1 단위바에 결합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프 거치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힌지결합부재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폭 방향 양측에서 상향 절곡 형성되는 한 쌍의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관통홀과, 상기 제1 관통홀의 상측에 소정 각도로 서로 이격하여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프 거치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직바는 상기 힌지결합부재와의 결합시 상기 제1 관통홀과 연통하도록 일측에 형성되는 제3 관통홀과, 회전시 상기 제2 관통홀과 차례로 연통하도록 상기 제3 관통홀의 상측에 이격하여 형성되는 제4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프 거치대.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확장바는, 상기 제2 단위바의 일면을 가압 지지하도록 상기 제1 단위바의 일면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아이 볼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프 거치대.
  8. 삭제
  9. 삭제
KR1020160056188A 2016-05-09 2016-05-09 타프 거치대 및 이를 이용한 캠핑용 카고 트레일러 KR1016767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6188A KR101676744B1 (ko) 2016-05-09 2016-05-09 타프 거치대 및 이를 이용한 캠핑용 카고 트레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6188A KR101676744B1 (ko) 2016-05-09 2016-05-09 타프 거치대 및 이를 이용한 캠핑용 카고 트레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6744B1 true KR101676744B1 (ko) 2016-11-17

Family

ID=57542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6188A KR101676744B1 (ko) 2016-05-09 2016-05-09 타프 거치대 및 이를 이용한 캠핑용 카고 트레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674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3868A (ko) * 2017-08-30 2019-03-08 최한식 확장 가능한 이동형 캠핑 하우스
KR20200000064U (ko) * 2018-06-29 2020-01-08 송영진 차량용 확장형 차박텐트
KR20240032418A (ko) 2022-09-02 2024-03-12 하승석 차량용 타프거치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1424A (ja) * 2000-08-21 2002-02-28 Sadayuki Okugawa テント
KR101424104B1 (ko) * 2014-04-08 2014-08-01 구은애 루프탑 텐트용 리프트
KR101495568B1 (ko) * 2013-09-03 2015-02-26 엑스스포츠이엔지 주식회사 승용차 상부에 설치가능한 확장형 텐트
KR101535604B1 (ko) * 2014-11-24 2015-07-09 주식회사 이앤지 매트 일체형 접이식 텐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1424A (ja) * 2000-08-21 2002-02-28 Sadayuki Okugawa テント
KR101495568B1 (ko) * 2013-09-03 2015-02-26 엑스스포츠이엔지 주식회사 승용차 상부에 설치가능한 확장형 텐트
KR101424104B1 (ko) * 2014-04-08 2014-08-01 구은애 루프탑 텐트용 리프트
KR101535604B1 (ko) * 2014-11-24 2015-07-09 주식회사 이앤지 매트 일체형 접이식 텐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3868A (ko) * 2017-08-30 2019-03-08 최한식 확장 가능한 이동형 캠핑 하우스
KR102023364B1 (ko) * 2017-08-30 2019-09-20 최한식 확장 가능한 이동형 캠핑 하우스
KR20200000064U (ko) * 2018-06-29 2020-01-08 송영진 차량용 확장형 차박텐트
KR200491890Y1 (ko) * 2018-06-29 2020-06-25 송영진 차량용 확장형 차박텐트
KR20240032418A (ko) 2022-09-02 2024-03-12 하승석 차량용 타프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21385B2 (en) Truck ladder rack
KR101676744B1 (ko) 타프 거치대 및 이를 이용한 캠핑용 카고 트레일러
US7296836B1 (en) Truck rack apparatus
US9387739B2 (en) Adjustable device for supporting hitch mounted accessories
US7137660B2 (en) Convertible top for an all-terrain vehicle
US7222838B1 (en) Collapsible vehicle ramp
US9945179B1 (en) Removable step ladder for recreational vehicle
US20090166390A1 (en) Over cab extension kit
US6439645B1 (en) Mobile all-terrain vehicle enclosure
US20090056592A1 (en) Combined cargo carrier and portable table
US6729485B2 (en) Storage device mounting system
US20120193942A1 (en) Trailer with multi-position panels
KR200474777Y1 (ko) 차량의 루프에 설치되어 캠핑용 타프를 거치하는 확장형 타프 거치대
US10378234B1 (en) Compact, collapsible awning systems for all-terrain vehicles
US10155480B2 (en) Vehicle rack for both short and long ladders
US7066526B2 (en) Convertible top for ATV
CA2486281A1 (en) Collapsible soft top cover and overhead rack system for a pickup truck
JP7300907B2 (ja) 簡易設置型の日除け
US8857892B1 (en) Camp and utility trailer
US20200307728A1 (en) Storage stand
JP2005509768A (ja) 折畳み可能梯子
US20200070731A1 (en) Cargo Rack System for a Vehicle with a Convertible or Removable Roof and Its Associated Method of Installation
US11440480B2 (en) Ladder hanging bracket
JP2016125194A (ja) 仮設囲い
GB2529835A (en) Utility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