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6611B1 - Warmth analysis system of clothes - Google Patents

Warmth analysis system of cloth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6611B1
KR101676611B1 KR1020140079511A KR20140079511A KR101676611B1 KR 101676611 B1 KR101676611 B1 KR 101676611B1 KR 1020140079511 A KR1020140079511 A KR 1020140079511A KR 20140079511 A KR20140079511 A KR 20140079511A KR 101676611 B1 KR101676611 B1 KR 101676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nequin
garment
temperature
test
thermal res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95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03102A (en
Inventor
박준희
황수경
채승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디엘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디엘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디엘코리아
Publication of KR20150003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10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6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661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5/00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5/00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 G01N25/18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by investigating thermal conductivit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Using Therm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열 마네킹(또는 발한 온열 마네킹)을 이용하여 의복의 열저항을 측정하고, 측정된 값을 자동적으로 분석하여 의복 보온력 정도를 출력하는, 의복 보온력 분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의복 보온력 분석 시스템은, 기립형 마네킹으로, 의복 한 벌이 장착되며, 내부에 발열부를 구비하는, 발열 마네킹; 상기 발열 마네킹의 피부의 위에 장착된 다수의 온도센서를 구비하여, 마네킹의 표면 온도를 검출하는, 마네킹 피부주변온도 측정부; 상기 마네킹 피부주변온도 측정부로부터 수신된 마네킹의 표면 온도를 이용하여, 의복 한 벌과 표면 공기층의 총 열저항을 구하는 연산처리부;연산처리부로부터 수신된 의복 한 벌과 표면 공기층의 총 열저항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rment insulated power analysis system for measuring the thermal resistance of clothes using an exothermic mannequin (or sweating warm mannequin) and automatically analyzing the measured values to output the degree of garment insulation.
The thermal insulation analyz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anding mannequin, a heating mannequin mounted with a garment and having a heating portion inside; A mannequin skin circumference temperature measuring unit having a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mounted on the skin of the heating mannequin to detect a surface temperature of the mannequin; An arithmetic processing unit for obtaining a total thermal resistance of the clothes suit and the surface air layer using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mannequin received from the mannequin skin peripheral temperature measuring unit; And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output signal.

Description

의복 보온력 분석 시스템{Warmth analysis system of clothes}{Warmth analysis system of clothes}

본 발명은 발열 마네킹(또는 발한 온열 마네킹)을 이용하여 의복의 열저항(단열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값을 자동적으로 분석하여 의복 보온력 정도를 출력하는, 의복 보온력 분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rment thermal insulation analysis system for measuring the thermal resistance (thermal insulation value) of a garment by using an exothermic mannequin (or a sweating warm mannequin) and automatically analyzing the measured value to output the degree of garment insulation.

사람들이 입는 의복의 종류에 따라서 인체와 주변환경 사이의 온도변화에 따른 영향이 달라진다. 열전이(heat transfer) 현상은 전도, 대류, 복사와 같이 지각할 수 있는 경우도 있고, 증발과 같이 느끼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Depending on the type of clothing the person wears, the effect of the temperature change between the human body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changes. Heat transfer phenomena can be perceived such as conduction, convection, and radiation, and sometimes they do not feel like evaporation.

한 벌의 의복에 의해 제공되는 단열성은 부품 의류, 의복으로 덥혀지는 인체 표면적, 인체에 걸친 직물 조직층들의 분포, 몸에 맞는 상태에서의 느슨함 또는 조임성, 그리고 열손실로 증가된 표면적을 고려한 디자인 및 재료에 따라 결정된다. The insulation provided by a garment is designed to take into account the surface area increased by parts clothing, body surface area warmed by clothing, distribution of tissue tissue layers across the body, loosening or tightness in the body, and heat loss And the material.

직물조직 상에서 이루어지는 단열 측정은 이러한 요소들만을 산정하지는 않는다. 의복에 의한 건조성 열손실에 대한 저항 측정은 추위 속에서 안락한 환경에 대한 열적 순응과 스트레스의 정도를 결정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하지만, 의복의 투습성(moisture permeability)은 땀의 증발에 의해서 열평형이 이루어지는 환경적 조건에서 더욱 중요하다.Adiabatic measurements made on fabric tissues do not estimate only these factors. Measurement of resistance to drying heat loss by clothing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degree of thermal compliance and stress to a comfortable environment in the cold. However, the moisture permeability of clothing is more important in environmental conditions where thermal equilibrium occurs due to the evaporation of sweat.

선행기술로,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0-0008488호는 의류 및 침구류에 부착되는 바탕부재, 상기 바탕부재에 기재되어 의류 및 침구류의 보온력의 값을 표시하는 숫자부와 보온력의 단위(clo)를 나타내는 단위부를 포함하는 보온력 표시부로 구성되는 의류 및 침구류의 보온력 표시구를 제공한다. 그러나,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0-0008488호는 의복의 단열 값을 측정하고, 이를 토대로 의복 보온력 정도를 분석하는 것에 대해서는 전혀 제시하고 있지 않다.In the prior art,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0-0008488 discloses a base member to be attached to clothing and bedding, a numerical unit for indicating a value of a heating force of clothes and bedding and a unit of a heating force ClO ") < / RTI > of the clothes and bedding. However,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0-0008488 does not disclose any method of measuring the insulation value of clothes and analyzing the degree of insulation of clothes on the basis thereof.

다른 선행기술로,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84227호는 인체의 피부와 외부 환경 사이에서의 직물의 열 및 수분 전달 특성을 정량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인체-의복-환경 시뮬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이 시뮬레이터는, 고온 및 저온 환경을 제공하는 고온 챔버 및 저온 챔버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두 개의 챔버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스킨모델과, 스킨모델의 발열판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수분공급장치와, 두 개의 챔버와 스킨모델을 제어하고 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와 습도 데이터를 처리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인체-의복-환경 시뮬레이터는, 수직형 스킨모델을 구비함으로써 의복의 착용 상태를 보다 적정하게 시뮬레이트할 수 있으며, 두 개의 챔버를 구비함으로써 외부 환경의 극심한 변화에 따른 의복의 열 및 수분 전달 특성을 측정할 수 있다.In another prior art,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4-0084227 relates to a human-wear-environment simulator for quantitatively measuring the heat and moisture transfer characteristics of a fabric between a human skin and an external environment, The simulator includes a high-temperature chamber and a low-temperature chamber providing a high-temperature and low-temperature environment, a skin model selectively mounted in two chambers in a vertically erected state, a moisture supply device for supplying moisture to the heating plate of the skin model,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hamber and the skin model and process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data measured by the sensor. The human body-clothes-environment simulator can simulate the wearing state of the clothes more properly by having the vertical skin model and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heat and moisture transfer characteristics of the clothes due to the extreme change of the external environment by providing the two chambers can do.

그러나,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84227호는 한 벌의 의복에 대해서는 고려하고 있지 않으며, 특히 한 벌의 의복의 경우, 부품 의복으로 덥혀지는 인체 표면적, 인체에 걸친 직물 조직층들의 분포, 몸에 맞는 상태에서의 느슨함 또는 조임성, 그리고 열손실로 증가된 표면적 등을 고려하여 단열성을 측정하여야 하는데, 이에 대한 고려가 전혀되어 있지 않다.However,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4-0084227 does not consider a suit for a suit, and in the case of a suit, in particular, the surface area of the human body which is warmed by the suit, the distribution of the tissue layers over the human body, , The insulation property should be measured in consideration of looseness or tightness in a state suitable for the heat radiation, and surface area increased due to heat loss.

또한,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84227호는, 인체에 따른, 땀의 증발에 의해서 열평형이 이루어지는 환경적 조건을 고려하고 있지 않다.In additio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4-0084227 does not take into consideration environmental conditions in which thermal equilibrium is caused by evaporation of sweat depending on the human body.

따라서, 본 발명은 발열 마네킹(또는 발한 온열 마네킹)을 이용하여 의복의 단열 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값을 분석하여 의복 보온력 정도를 출력하는, 의복 보온력 분석 시스템을 제공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lothing insulation analysis system for measuring the insulation value of a garment using an exothermic mannequin (or a sweating warm mannequin), and analyzing the measured value to output the degree of garment insulation.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발열 마네킹(또는 발한 온열 마네킹)을 이용하여 의복의 단열 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값을 자동적으로 분석하여 의복 보온력 정도를 출력하는, 의복 보온력 분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othing insulation analysis system for measuring the insulation value of clothes using an exothermic mannequin (or sweating warm mannequin) and automatically analyzing the measured values to output the degree of clothing insulation resistance will b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선 자세로 있는 발열 마네킹에서 기준 의복 측정을 행하여, 의복의 단열 값을 측정하되, 발열 마네킹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서늘한 환경에서의 건조성 열 전이에 대한 저항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자동측정하는, 의복 보온력 분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easure the insulation value of a garment by measuring a reference garment in a heating mannequin in a standing posture and measuring the resistance to dry heat transfer in a relatively cool environment from the heating mannequin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system for automatically inspecting a garment thermal insulator.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의복 보온력 분석 시스템은, 기립형 마네킹으로, 의복 한 벌이 장착되며, 내부에 발열부를 구비하는, 발열 마네킹; 상기 발열 마네킹의 피부의 위에 장착된 다수의 온도센서를 구비하여, 마네킹의 표면 온도를 검출하는, 마네킹 피부주변온도 측정부; 상기 마네킹 피부주변온도 측정부로부터 수신된 마네킹의 표면 온도를 이용하여, 의복 한 벌과 표면 공기층의 총 열저항을 구하는 연산처리부; 연산처리부로부터 수신된 의복 한 벌과 표면 공기층의 총 열저항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arment thermal insulation analysis system comprising: a standing mannequin; a heating mannequin mounted with a garment and having a heating portion inside; A mannequin skin circumference temperature measuring unit having a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mounted on the skin of the heating mannequin to detect a surface temperature of the mannequin; An arithmetic processing unit for obtaining a total thermal resistance of the clothes suit and the surface air layer using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mannequin received from the mannequin skin peripheral temperature measuring unit; And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clothes suit received from the operation processing unit and the total heat resistance of the surface air layer.

상기 발열 마네킹에 하나의 의복 한 벌을 착용시키며, 마네킹 피부주변온도 측정부가, 마네킹의 표면 온도를, 시간을 달리하여 3회 검출할 수 있다.One piece of clothing is worn on the heating mannequin, and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mannequin skin temperature measuring part can be detected three times by varying the time of the surface of the mannequin.

상기 발열 마네킹에, 3개의 의복 한 벌 각각을 시간을 달리하여 착용시켜, 마네킹 피부주변온도 측정부로부터, 마네킹의 표면 온도를, 검출할 수 있다.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mannequin can be detected from the temperature measurement unit for the skin around the skin of the mannequin by worn on the heating mannequin each time with three pieces of clothing each having a different time.

연산처리부는, 3개의 의복 한 벌과 표면 공기층의 총 열저항을 구하고, 3개의 의복 한 벌과 표면 공기층의 총 열저항을 평균하여, 의복 한 벌과 표면 공기층의 평균 총 열저항을 구한다.The arithmetic processing unit obtains the total heat resistance of the three-piece suit and the surface air layer by averaging the total heat resistance of the three pieces of clothing and the surface air layer.

연산처리부는 의복 한 벌과 표면 공기층의 평균 총 열저항을 이용하여 의복의 평균 고유 열저항을 구한다.The arithmetic processing unit obtains an average specific heat resistance of the clothes by using the average total heat resistance of the clothing and the surface air layer.

의복 한 벌 및 표면 공기층의 총 열저항(Rt )은,The total thermal resistance ( R t ) of the garment suit and surface air layer,

Figure 112014060454884-pat00001
Figure 112014060454884-pat00001

(단, Rt = 의복 한 벌 및 표면 공기층의 총 열저항[℃·m2/W],(Where, R t = total thermal resistance of a garment surface and make the air layer [℃ · m 2 / W] ,

A = 마네킹 표면적 [m2],A = manikin surface area [m 2 ],

Ts = 마네킹 표면 온도[℃],T s = Manikin surface temperature [° C],

Ta = 의복에 걸쳐 흐르는 공기의 온도[℃],T a = the temperature of the air flowing over the garment [° C],

H = 마네킹을 가열하는 데 필요한 전력 [W] 임)H = power required to heat the mannequin [W])

에 의하여 구하여진다..

의복 한 벌의 평균 고유 열저항은,The average inherent heat resistance of the garment suit,

Figure 112014060454884-pat00002
Figure 112014060454884-pat00002

(단, Rcl = 의복의 평균 고유 열저항[℃·m2/W],(Where R cl = Mean Intrinsic Thermal Resistance of Clothing [° C · m 2 / W],

Rt = 의복 한 벌과 표면 공기층의 총 열저항[℃·m2/W],R t = Total heat resistance [° C · m 2 / W] of the clothing and the surface air layer,

Ra = 나체 마네킹 표면의 공기층의 열저항 [℃·m2/W],R a = Thermal resistance [占 · m 2 / W] of the air layer on the nude manikin surface,

fcl = 의복 면적 인자 임)f cl = Clothing area factor)

에 의해 구하여진다..

의복 면적 인자 fcl은, 표준 ISO 9920에 따라 저장부에 저장된 값이다.The clothing area factor f cl is a value stored in the storage unit according to standard ISO 9920.

삭제delete

발열 마네킹이 나체일 때, 마네킹 피부주변온도 측정부로부터 마네킹의 표면 온도를 검출하여, 나체 마네킹의 표면에서의 공기층의 열저항을 검출한다.When the exothermic mannequin is naked,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mannequin is detected from the temperature measurement part of the skin around the mannequin to detect the heat resistance of the air layer on the surface of the nude mannequin.

또한, 본 발명의 의복 보온력 분석 시스템의 구동방법은, 3번의 의복시험 시, 마네킹 피부주변 온도 측정부에서 검출된 온도신호를 연산처리부가 수신하는, 3번 의복시험의 온도신호 수신단계; 연산처리부는 3번 의복시험의 온도신호 수신단계에서 수신된 3번 의복시험의 온도신호 각각으로부터 의복 총 열저항을 구하고, 구하여진 3개의 의복 총 열저항을 평균하여 의복 평균 총 열저항을 구하는, 의복 평균 총 열저항 연산단계; 3개의 의복 총 열저항 중 의복 평균 총 열저항으로 부터 10% 이상 변동된 것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10% 이상 변동여부 판단단계; 10% 이상 변동여부 판단단계에서, 3개의 의복 총 열저항 중 의복 평균 총 열저항으로 부터 10% 이상 변동된 것이 있다면, 첫 시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첫 시험인지 여부 판단단계; 첫 시험인지 여부 판단단계에서 첫 시험이라면, 연산처리부는 3번의 의복 재시험 안내를 출력부로 출력하고, 3번의 의복 재시험시, 마네킹 피부주변 온도 측정부에서 검출된 온도신호를 연산처리부가 수신한 후, 의복 평균 총 열저항 연산단계로 되돌아가는, 3번 의복 재시험의 온도신호 수신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thod for driving the garment thermal insulation analyz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 temperature signal receiving step of a clothing test No. 3, in which the arithmetic processing unit receives a temperature signal detected by the mannequin skin peripheral temperature measuring unit during three garment tests; The calculation processing unit obtains the total thermal resistance of the clothes from each of the temperature signals of the three times of the clothes test received in the temperature signal reception step of the third test and obtains the mean total thermal resistance of the clothes by averaging the obtained total thermal resistance of the clothes, Calculating average clothing thermal resistance;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variation of 10% or more from the average total thermal resistance of the garments among the three garments total heat resistance;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first test is a first test if there is a variation of 10% or more from the average total thermal resistance of the garment among the total thermal resistance of the three garments in the determination step of 10% or more variation; If it is the first test in the first test, the arithmetic processing unit outputs three clothes retest information to the output unit, and at the time of the third garment retest, the arithmetic processing unit receives the temperature signal detected by the mannequin skin peripheral temperature measuring unit, And a temperature signal reception step of the third garment retest returning to the garment average total heat resistance calculation step.

의복 보온력 분석 시스템의 구동방법은, 첫 시험인지 여부 판단단계에서, 첫 시험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두번째 시험인 재시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재시험인지 여부 판단단계; 재시험인지 여부 판단단계에서 재시험이라면, 3개의 추가의복에 의한 추가 의복 시험에 대한 안내를 출력부로 출력하고, 3개의 추가의복에 의한 추가 의복 시험시, 마네킹 피부주변 온도 측정부에서 검출된 온도신호를 연산처리부가 수신한 후, 의복 평균 총 열저항 연산단계로 되돌아가는, 3개의 추가의복 시험의 온도신호 수신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method of driving the garment heat insulation analysis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retest is a retes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retest is not the first test in the first test; If the retest is judged at the step of judging whether or not the test is retested, a guide to the additional clothing test by three additional clothes is output to the output unit. When the additional clothes are tested by three additional clothes, And a temperature signal receiving step of three additional clothes tests for returning to the clothing average total heat resistance calculating step after receiving the arithmetic processing unit.

의복 보온력 분석 시스템의 구동방법은, 연산처리부는 의복의 평균 고유 열저항을 구하는, 의복의 고유 열저항 연산단계; 의복 평균 총 열저항, 의복의 고유 열저항을 출력부로 출력하는 출력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 method for driving a garment heat insulation analysis system, the operation processing unit comprising: an inherent thermal resistance calculation step of a garment to obtain an average inherent heat resistance of a garment; A garment average total heat resistance, and an intrinsic thermal resistance of the clothes to an output unit; .

의복 보온력 분석 시스템의 구동방법은, 마네킹 나체시험 시, 마네킹 피부주변 온도 측정부에서 검출된 온도신호를 연산처리부가 수신하는 마네킹 나체시험의 온도신호 수신단계;마네킹 나체시험의 온도신호 수신단계에서 수신된 나체 마네킹의 온도신호로부터, 나체 마네킹의 표면에서의 공기층 열저항을 구하는, 나체 마네킹의 공기층 열저항연산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 method for driving a garment heat insulation analysis system includes receiving a temperature signal of a mannequin nude body test in which a calculation processing unit receives a temperature signal detected by a temperature measurement unit for the skin of a mannequin during a mannequin nude body test; And calculating an air layer thermal resistance at the surface of the nude mannequin from the temperature signal of the nude manikin after the nude manikin is heated.

본 발명의 의복 보온력 분석 시스템은, 발열 마네킹을 이용하여 의복의 단열 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값을 자동적으로 분석하여 의복 보온력 정도를 출력하도록 이루어져, 보다 간단하고, 편리하게, 총체적으로, 의복 보온력을 분석할 수 있다.The clothes thermal insulation resistance analysis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measure the insulation value of clothes using an exothermic mannequin and to automatically analyze the measured values to output the degree of the clothing thermal insulation power so as to simplify, Can be analyzed.

또한, 본 발명은, 선 자세로 있는 발열 마네킹에서 기준 의복 측정을 행하여, 의복의 단열 값을 측정하되, 발열 마네킹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서늘한 환경에서의 건조성 열 전이에 대한 저항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측정하여, 보다 정밀도, 정확도를 높였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of measuring the insulation resistance value of a garment by measuring the standard garment resistance in an exothermic mannequin in a straight posture and measuring the resistance of the garment to the dry heat transfer in a relatively cool environment from the heating manikin , More precision and accuracy.

특히, 본 발명은 발열 마네킹을 이용함으로써, 한 벌의 의복의 경우, 부품 의복으로 덥혀지는 인체 표면적, 인체에 걸친 직물 조직층들의 분포, 몸에 맞는 상태에서의 느슨함 또는 조임성, 그리고 열손실로 증가된 표면적 등을 고려하여 단열성을 측정하며, 또한, 땀의 증발에 의해서 열평형이 이루어지는 환경적 조건을 고려하여 측정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한 벌 의복의 단열성을 보다 정확히 측정가능하다.In particular, the use of an exothermic mannequin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se of an exothermic mannequin, in the case of a garment, of a body surface area to be warmed by a part garment, a distribution of tissue tissue layers throughout the body, looseness or tightness in the body, Increased surface area, etc., and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under which thermal equilibrium is achieved by evaporation of the sweat are taken into account.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more accurately measure the thermal insulation of a garment.

도 1은 본 발명의 의복 보온력 분석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의복 보온력 분석 시스템의 개념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의복 보온력 분석 시스템의 구동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의복 보온력 분석 시스템을 이용하여 실험을 행하는 사용상태도이다.
Fig. 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stitution of a garment insulation analysis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anatory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ncept of the garment insulation analysis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driving process of the garment heat insulation analysis system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tate of use in which an experiment is performed using a clothing insulation analysis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의복 보온력 분석 시스템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a clothing insulation analysis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우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를 설명하면, 클로(clo)는, (58 W/m2로 열을 발산하며) 쉬고 있는 사람이 21℃의 온도와 0.1 m/s의 풍속인 환경에서 안락함을 느끼게 하는데 필요한 단열값(열저항값), 또는 대략적으로, 무거운 신사복의 단열값으로서 정의되는 열저항의 단위로서, 숫자 상으로, 1 clo(클로)는 0.155 Km2/W이다.First, the terminology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xplained. Clo (clo) is used to relax a person resting (radiating heat at 58 W / m 2 ) at a temperature of 21 ° C and a wind velocity of 0.1 m / s 1 clo (claw) is 0.155 Km 2 / W, as a unit of heat resistance (heat resistance value) required to make a sensation, or a unit of thermal resistance, which is roughly defined as the heat resistance value of a heavy menswear.

의복 한 벌(clothing ensemble)(설명의 편의상 '의복'이라 함)는 동시에 인체에 함께 착용되는 옷가지의 그룹을 말한다. 단열성(thermal insulation)은 전도, 대류 및 복사를 통한 건조성 열전이에 대한 저항, 즉 열저항을 말한다.A clothing ensemble (referred to as 'apparel' for convenience) is a group of clothing that is worn together at the same time. Thermal insulation refers to the resistance to dry heat transfer through conduction, convection and radiation, or thermal resistance.

다음의 단열값들은 SI 단위들을 사용하는 본 발명이 적용하는 방법에서 결정될 수 있다.The following adiabatic values can be determined in the manner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employs SI units.

R a = 나체 마네킹의 표면에서의 공기층의 열저항(단열성) R a = thermal resistance of the air layer on the surface of the nude mannequin (heat insulation)

R t = 마네킹을 둘러싼 의복 및 표면 공기층의 총 열저항(단열성) R t = total heat resistance of the garment surrounding the mannequin and the surface air layer (heat insulation)

Rcl = 의복의 평균 고유 열저항(단열성) R cl = average intrinsic heat resistance of clothing (heat insulation)

측정값들이 클로 단위로 표기될 때, 기호 IR 대신에 사용된다.
When measured values are expressed in claw units, the symbol I is used instead of R.

I a = 나체 마네킹의 표면에서의 공기층의 열저항(단열성) I a = thermal resistance of the air layer on the surface of the nude mannequin (heat insulation)

I t = 마네킹을 둘러싼 의복 및 표면 공기층의 총 열저항(단열성) I t = total heat resistance of the garment surrounding the mannequin and the surface air layer (heat insulation)

Icl = 의복의 평균 고유 열저항(단열성) I cl = average intrinsic heat resistance of clothing (heat insulation)

모든 단열값들은 마네킹에서 직접 측정되며, 이 값들은 각 시험이 동일한 실험 과정과 시험 조건들에서 수행되는 동안, 서로 다른 의복 한 벌을 비교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고유 의복 단열값들은 해당하는 의복 한 벌의 총 단열값에서 마네킹 주위의 공기층 저항값을 뺀 값으로서 결정된다. All adiabatic values are measured directly on the manikin, and these values can be used to compare different dress suits, while each test is performed in the same experimental procedure and test conditions. The inherent garment insulation values are determined by subtracting the air layer resistance around the mannequin from the total insulation value of the corresponding garment suit.

이 시험 방법은 서로 다른 복식들에서 나타나는 단열성의 적정성을 확인하고 비교하는데 적용되되, 예를 들면, 구성된 옷가지들에 사용된 다양한 디자인 및 직물조직들이 평가될 수 있다. 겹겹이 입혀지고 둘러싸이고 맞게 착복된 옷가지들의 효과가 의복 한 벌들에 관한 것으로서 측정될 수 있다. 의복 한 벌들에 관한 단열값들은 서로 다른 환경 조건들에서 사람의 생리적인 반응을 예측하게 하는 모델들에 사용될 수 있다.This test method is applied to ascertain and compare the adequacy of the adiabatic appearances of different dressings, for example, the various designs and fabric structures used in the constructed clothes can be evaluated. The effect of clothes that are layered, surrounded, and properly entrapped can be measured as relating to apparel suits. Adiabatic values for apparel suits can be used in models that predict the physiological response of humans in different environmental condi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의복 보온력 분석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의복 보온력 분석 시스템의 개념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설명도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garment insulation analysis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anatory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ncept of a garment insulation analysis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발열 마네킹(100)은 마네킹의 내측에 발열부(미도시)를 구비하여, 나체 표면에 걸쳐 일정한 온도 분포를 유지하도록 이루어진 마네킹으로, 보온력을 분석하고자 하는 의복이 장착된다. 상기 발열부는 발열판 또는 히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heating mannequin 100 is provided with a heating unit (not shown) on the inner side of the mannequin, and is designed to maintain a constant temperature distribution over the nude surface. The heat generating portion may be formed of a heating plate, a heater, or the like.

발열 마네킹(100)은 기립형 마네킹으로 성인 남자 또는 여자의 형상과 크기로 만들어지고 일정한 평균 피부 온도(예로 35℃)로 설정되어 사용된다. 이 마네킹은 인간의 신체를 모의실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즉, 마네킹은 머리, 가슴/등, 배/엉덩이, 팔, 손(바람직하게는 장갑을 낄 수 있도록 손가락이 뻗어 있음), 다리 및 발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총 표면적은 1,8±03 m2, 신장은 170±10 cm로 되어 있으며, 마네킹의 치수는 옷가지들의 표준 크기들에 일치하도록 이루어진다. 표면 온도에 있어서, 마네킹은 국부적으로 뜨겁거나 차가운 부분 없이 나체 표면에 걸쳐 일정한 온도 분포를 유지하도록 만들어져 있으며, 마네킹의 평균 피부 온도는 35 ℃이며, 평균 피부 온도로부터의 국부적인 편차는 0.3 ℃이하이다.The fever mannequin 100 is made up of an adult man or woman with a standing mannequin in shape and size and is set to a constant average skin temperature (e.g., 35 ° C). This mannequin is configured to simulate a human body, that is, a mannequin is a human body that includes a head, a chest / back, a belly / hip, an arm, a hand (preferably a fingertip to stretch gloves) Foot. The total surface area is 1,8 ± 03 m 2 , the height is 170 ± 10 cm, and the dimensions of the mannequins are made to match the standard sizes of the garments. At the surface temperature, the mannequin is made to maintain a constant temperature distribution over the nude surface without locally hot or cold portions, the average skin temperature of the mannequin is 35 ° C and the local deviation from the average skin temperature is below 0.3 ° C .

전원공급부(120)는 발열 마네킹(100)에 전력을 공급하여 소정 온도를 유지하게 하는 수단이다. 즉, 전원공급부(120)는 발열 마네킹(100)의 발열부(미도시)에 전원을 공급하여, 발열 마네킹(100)이 소정 온도를 유지하게 한다.The power supply unit 120 is a means for supplying electric power to the heating mannequin 100 to maintai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That is, the power supply unit 120 supplies power to a heating unit (not shown) of the heating mannequin 100 to maintain the heating mannequin 100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전력제어부(130)는 전원공급부(120)로부터 발열 마네킹(100)의 발열부에 공급되는 전력을 측정하여, 발열 마네킹(100)의 발열부에 가해지는 전력이 시험 기간에 걸쳐 평균적으로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수단이다. 이를 위해 시간 및 위상 배분을 이용하여 전력 제어를 행하며, 제어 주기에 걸쳐 평균적으로 전력을 공급하게 한다. 즉, 발열 마네킹(100)의 발열부에서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The power control unit 130 measures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120 to the heating unit of the heating mannequin 100 so that the power applied to the heating unit of the heating mannequin 100 is controlled to be provided on average over the testing period . To do this, power control is performed using time and phase distributions, and power is supplied on average over the control period. That is, the temperature of the heat-generating portion of the heat-generating mannequin 100 is controlled to maintain a constant temperature.

전원공급부(120)와 전력제어부(130)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원공급부(120)와 전력제어부(130)는 전원부(125)라 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20 and the power control unit 130 may be integrated with each other and the power supply unit 120 and the power control unit 130 may be referred to as a power supply unit 125. [

마네킹 피부주변온도 측정부(110)는 마네킹의 피부 온도를 측정하는 수단으로, 마네킹의 피부의 소정 위치에 다수의 온도센서를 장착하고 있다. The mannequin skin peripheral temperature measuring unit 110 measures a skin temperature of the mannequin and is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at predetermined positions on the skin of the mannequin.

온도 센서들은 열전대들(thermocouples), 저항 온도 감지기(RTD), 서미스터(thermistors)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 온도센서에서 검출된 온도는 몸체의 평균 피부 온도를 계산할 때 면적가중되어(area-weighted) 반영된다. 바람직하게는 15개 이상의 온도 센서를 구비하는 것이 필요하며, 온도센서는 머리, 가슴, 등, 배, 엉덩이 양쪽, 팔의 상박과 하박, 손, 넓적다리, 장딴지 및 발에 적어도 위치된다.Temperature sensors can consist of thermocouples, resistance temperature detectors (RTDs), and thermistors. The temperature detected at each temperature sensor is area-weighted when calculating the average skin temperature of the body. Preferably, it is necessary to have at least 15 temperature sensors, which are located at least in the head, chest, back, abdomen, hips, upper and lower arms of the arm, hands, thighs, calves and feet.

발열 마네킹(100)와 마네킹 피부주변온도 측정부(110)를 마네킹부(105)라 할 수 있다.The heating mannequin 100 and the mannequin skin peripheral temperature measuring unit 110 may be referred to as a mannequin unit 105.

본 발명의 의복 보온력 분석 시스템에서 마네킹은 공간적으로든 시간적으로든 균일한 조건들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적어도 1.5 X 1.5 X 2.5 m의 크기로 된 챔버 내에 배치되며, 공기 온도는 ±1.0 ℃, 상대 습도는 ±5 %이고 풍속은 평균값의 ±50 %이고, 이에 더하여, 평균 복사 온도는 평균 대기 온도와 달리 1.0 ℃를 넘지 않도록 이루어져 있다.In the garment thermal insulation analysis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nequin is placed in a chamber of at least 1.5 x 1.5 x 2.5 m in order to provide uniform spatial and temporal conditions, the air temperature is ± 1.0 ° C, the relative humidity is ± 5%, and the wind speed is ± 50% of the average value. In addition, the mean radiation temperature is set so as not to exceed 1.0 ° C, unlike the average atmospheric temperature.

또한, 본 발명에서 시간적 변이는, 공기 온도는 ±0.5 ℃, 평균 복사 온도는 ±0.5 ℃, 상대 습도는 ±5 %, 풍속은 5 분 동안의 데이터 평균값의 ±20 % 를 초과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대 습도 측정장치(미도시), 공기온도센서(미도시), 풍속 지시계(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대 습도 측정 장치는 ±5 %의 상대 습도 정확성과 ±3 %의 반복 정확성을 가진 상대 습도 센싱 장치이고, 공기 온도 센서는 밀폐된 공기 온도 센서로서, ±0.15 ℃의 전체적 정확도를 가진 센서이다. 풍속 지시계는 ±0.05 m/s의 정확도를 가진 무지향성 풍속계가 사용된다.Also, the temporal vari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s such that the air temperature is ± 0.5 ° C., the average radiation temperature is ± 0.5 ° C., the relative humidity is ± 5%, and the wind speed is ± 20% of the average value of data for 5 minutes.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relative humidity measuring device (not shown), an air temperature sensor (not shown), and a wind speed indicator (not shown). The relative humidity measurement device is a relative humidity sensing device with ± 5% relative humidity accuracy and ± 3% repeatability, and the air temperature sensor is a closed air temperature sensor with a total accuracy of ± 0.15 ° C. The wind speed indicator uses an omnidirectional anemometer with an accuracy of ± 0.05 m / s.

연산처리부(200)는 의복 보온력 분석 시스템의 전반적인 제어를 행하며, 또한 본온력 측정을 위한 시험의 전반적인 안내를 행하고, 마네킹 피부주변온도 측정부(110)으로부터 수신된 피부온도 신호로부터, 의복 한 벌의 총 평균 단열값 Rt 또는 마네킹을 둘러싼 의복 및 표면 공기층의 총 열저항 It, 의복 한 벌의 총 고유 단열값 Rcl 또는 의복의 평균 고유 열저항 Icl , 나체 마네킹 주위의 공기충의 단열값 Ra 또는 나체 마네킹의 표면에서의 공기층의 열저항 Ia 등을 계산한다. 이때 계산된 Rt에 6.45를 곱하여, SI 단위(국제 단위계)로 환산된 의복 한 벌의 총 평균 단열값 Rt를, clo 단위의 It로 환산한다. 또한, 키입력부(260)을 통해 시험전 입력된 의복 한 벌에 사용된 옷가지들(예를 들면, 섬유 재질, 디자인 형상, 직조 구조)에 대한 사항을 수신하고 저장부(240)에 저장한다.The arithmetic processing unit 200 performs overall control of the garment heat insulator analysis system and performs overall guidance of the test for measuring the on-the-spot strength. Based on the skin temperature signal received from the mannequin skin peripheral temperature measuring unit 110, Total total heat insulation value R t or total heat resistance of the garment and surface air layer surrounding the mannequin I t , total intrinsic insulation value of the garment suit R cl or average intrinsic heat resistance of the garment I cl , adiabatic value R of the air strand around the nude mannequin R a, or the thermal resistance I a of the air layer at the surface of the naked mannequin. At this time, the calculated R t is multiplied by 6.45, and the total average value R t of the garment suit converted into SI units (International Units) is converted into I t in clo. Also, items of clothes (e.g., a fiber material, a design shape, a woven structure) used in the clothes suits inputted before testing are received through the key input unit 260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240.

일반적으로 1 clo를 열저항치로 환산하면 1clo = 0.155 ㎡℃/w = 0.18 ㎡h℃/kcal = 0.155 Km2/W로, 이를 이용하여, 열저항치를 clo 로 환산할 수 있다.In general, the thermal resistance value can be converted into clo by using 1 cl 0 = 0.155 ㎡ ° C / w = 0.18 h h ° C / kcal = 0.155 Km 2 / W.

연산처리부(200)는 일련의 계산과정이 종료되면, 연산처리부(200)는 출력부(220)을 통해, 온도 센서들의 수와 배치 상태, 키입력부(260)을 통해 시험전 입력된 의복 한 벌에 사용된 옷가지들(예를 들면, 섬유 재질, 디자인 형상, 직조 구조)에 대한 사항, 계산된 의복 한 벌의 총 평균 단열값 Rt 또는 It, 의복 한 벌의 총 고유 단열값 Rcl 또는 Icl , 나체 마네킹 주위의 공기충의 단열값 Ra 또는 Ia , 시험 환경 조건들을 디스플레이하거나 출력하며, 저장부(240)에 저장한다. 연산처리부(200)의 계산과정 등은 후술한다.When the calculation processing unit 200 finishes a series of calculation processes, the calculation processing unit 200 determines 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temperature sensors through the output unit 220, The total average insulation value R t or I t of the calculated apparel suits, the total unique adiabatic value R cl or I of the garment suits, the number of garments to be used (for example, textile material, design geometry, cl , an adiabatic value R a or I a of the air bag around the naked mannequin, test environment conditions are displayed or output,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240. The calculation process of the arithmetic processing unit 200 will be described later.

출력부(220)는 연산처리부(20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출력하는 수단으로, 연산처리부(200)로부터 수신된, 온도 센서들의 수와 배치 상태 정보, 키입력부(260)을 통해 시험전 입력된 의복 한 벌에 사용된 옷가지들(예를 들면, 섬유 재질, 디자인 형상, 직조 구조)에 대한 사항에 대한 정보, 계산된 의복 한 벌의 총 평균 단열값 Rt 또는 It, 의복 한 벌의 총 고유 단열값 R cl 또는 I cl , 나체 마네킹 주위의 공기충의 단열값 R a 또는 I a , 시험 환경 조건에 대한 정보들을 디스플레이하거나 출력한다. 출력부(220)는 디스플레이부 또는 프린터 또는 스피커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output unit 220 is a means for outputting a signal received from the operation processing unit 200. The output unit 220 receives the number of temperature sensors and the arrangement statu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operation processing unit 200, Information on items of clothing used in a suit (e.g., textile material, design shape, weave structure), total average heat insulation value R t or I t of the calculated suit of clothing, total uniqueness of apparel suit The adiabatic value R cl or I cl , the adiabatic value R a or I a of the air bag around the nude mannequin, displays or outputs information about the test environmental conditions. The output unit 220 may be a display unit or a printer or a speaker unit.

저장부(240)는 연산처리부(20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저장하는 수단으로, 시험을 진행하는 동안 시험값 등을 저장하며, 시험종료 후에 연산처리부(200)로부터 수신된, 온도 센서들의 수와 배치 상태 정보, 키입력부(260)을 통해 시험 전 입력된 의복 한 벌에 사용된 옷가지들(예를 들면, 섬유 재질, 디자인 형상, 직조 구조)에 대한 사항에 대한 정보, 계산된 의복 한 벌의 총 평균 단열값 Rt 또는 It, 의복 한 벌의 총 고유 단열값 Rcl 또는 Icl , 나체 마네킹 주위의 공기충의 단열값 Ra 또는 Ia , 시험 환경 조건에 대한 정보들을 저장한다.The storage unit 240 stores the signals received from the operation processing unit 200. The storage unit 240 stores test values and the like while the test is in progress and stores the number of temperature sensors received from the operation processing unit 200 Information on items of clothing items (e.g., fiber material, design shape, weave structure) used in the apparel suited for the test entered through the key input unit 260, The average adiabatic value R t or I t , the total intrinsic adiabatic value R cl or I cl of the apparel suits, the adiabatic value R a or I a of the air strand around the nude mannequin, and the test environment conditions.

키입력부(260)는 시험 전에, 온도 센서들의 수와 배치 상태에 대한 정보, 키입력부(260)를 통해 시험 전 입력된 의복 한 벌에 사용된 옷가지들(예를 들면, 섬유 재질, 디자인 형상, 직조 구조)에 대한 사항에 대한 정보, 시험 환경 조건들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연산처리부(200)으로 전송한다.The key input unit 260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temperature sensors before the test and information on the clothes used in the clothes suits inputted before the test through the key input unit 260 (for example, Structure), and information about test environment conditions inputted by the user to the arithmetic processing unit 200. [0053] FIG.

연산처리부(200), 저장부(240), 키입력부(260), 출력부(220)는 분석부(205)로, 분석부(205)는 컴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operation processing unit 200, the storage unit 240, the key input unit 260, and the output unit 220 may be an analysis unit 205 and the analysis unit 205 may be a computer.

본 발명에서는 표본의 다양성을 반영하기 위하여 3벌의 동일한 의복들을 시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의복 한 벌만이 이용 가능하다면, 이를 이용하여 반복적인 측정들이 진행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desirable to test three identical garments to reflect the diversity of the sample. However, if only one piece of clothing is available, repeated measurements can be made using it.

본 발명에서, 분석에 앞서, 옷가지들은 받은 상태 또는 드라이 클리닝 후 또는 제조자의 지시에 따라 세탁된 상태로 시험되어야 할 것이며, 의복 부속물들을 시험 챔버 내에 적어도 12 시간 동안 두어 챔버 내의 공기와 평형 상태로 되게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prior to analysis, the garments should be tested in the received state or after dry cleaning or in a laundered state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instructions, and clothing appendages are left in the test chamber for at least 12 hours to be in equilibrium with the air in the chamber do.

삭제delete

본 발명의 의복 보온력 분석 시스템을 이용한 시험에 앞서, 환경 시험 조건들 에 있어서, 공기 온도는 시험 동안 마네킹의 평균 온도보다 낮게 유지되게 한다(23 ℃). 특히, 높은 단열값들을 가진 의복 한 벌이 시험 될 때(예를 들면, 방한용 의복), 공기 온도는 마네킹의 부분들로부터 20 W/m2의 최소 열속(heat flux)이 유지되도록 낮아야 할 것이다.Prior to testing using the garment thermal insulation analysis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nvironmental test conditions, the air temperature is kept below the average temperature of the mannequins during the test (23 ° C). In particular, when a suit with high insulation values is tested (for example, in winter clothes), the air temperature should be low enough to maintain a minimum heat flux of 20 W / m 2 from the parts of the mannequin.

풍속은 시험 동안 0.4±0.1 m/s로 유지되게 하며, 상대 습도는 30 %와 70 % 사이에서, 상대 습도 ±5 %, 바람직하게는 50 %를 선택한다. 마네킹의 평균 피부 온도는 30 분 시험 동안 35±0.2 ℃로 유지되게 한다. The wind speed is maintained at 0.4 ± 0.1 m / s during the test and the relative humidity is selected between 30% and 70%, relative humidity ± 5%, preferably 50%. The average skin temperature of the mannequin is maintained at 35 ± 0.2 ° C during a 30 minute test.

착복된 마네킹에 선택된 피부 온도를 부여하고 시스템이 일정 상태로 되게 한다(즉, 마네킹의 평균 피부 온도 및 전력 입력이 ±3 %를 유지하도록 함). (I.e., the average skin temperature and power input of the mannequin is maintained at plus or minus 3%) to the skinned mannequin with the selected skin temperature.

의복 한 벌이 평형 상태에 도달한 후에, 마네킹의 피부 온도와 공기 온도를 1 분마다 기록하며, 30 분에 걸쳐서 측정한다. After the garment suit has reached equilibrium, the skin temperature and air temperature of the mannequin are recorded every minute and measured over 30 minutes.

마네킹에 내장되어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게 하기 위한 히터(미도시)의 전력은 1 분마다 측정하며 이 측정은 시험 기간 동안 계속 진행된다.
The power of a heater (not shown) built into the mannequin to maintain a constant temperature is measured every minute, and this measurement continues during the test period.

다음은, 본 발명에서, 의복시험 및 연산처리부(200)에서의 계산과정을 설명한다.Next, the calculation process in the clothing test and calculation processing unit 200 will be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의복 시험은 3번으로 독립적으로 반복 수행된다. The clothing test is repeated three times independently.

착복한 마네킹의 시험결과와 비교하기 위해, 마네킹의 나체 시험을 행한다. 이 경우, 의복 시험에서 설정되는 동일한 환경 조건들에서 시험을 수행하여 나체 마네킹을 공기층에 의해 발현되는 열저항(단열값)(Ra )을 측정한다.Perform nudity test of the mannequin in order to compare it with the test result of the manikin that is caught. In this case, the test is performed under the same environmental conditions set in the clothing test to measure the thermal resistance (adiabatic value) ( R a ) expressed by the air layer of the naked mannequin.

본 발명에서 연산처리부(200)에서 총 열저항(단열값)의 계산에 있어서는, 의복의 총 열저항이 계산되기 전에, 모든 신체 부위들에서의 면적가중 온도가 합하여 평균되고, 모든 신체 부위들에서의 전력 레벨들이 합해지고, 면적들이 합해지는 과정들이 병행된다. 즉, 마네킹의 모든 신체 부위들의 마네킹 표면 온도를 합하여 평균을 구하여 마네킹 표면 온도(Ts)로 하고, 각 신체 부위들을 가열하기 위한 전력을 모두 합하여 마네킹을 가열하는 데 필요한 전력(H)을 구하고, 마네킹의 모든 면적을 합쳐서 마네킹 표면적(A)를 구한다. 의복에 걸쳐 흐르는 공기의 온도(Ta)는 챔버(107) 내의 온도일 수 있다.In calculating the total heat resistance (adiabatic value) in the calculation processing unit 20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rea weighted temperatures at all body parts are averaged by summing, before the total heat resistance of the clothes is calculated, And the sum of the areas are concurrently performed. That is, an average of the mannequin surface temperatures of all the body parts of the mannequin is averaged to determine the manikin surface temperature (T s ), and the electric power (H) required to heat the mannequin by summing the electric power for heating each body part is obtained, Combine all areas of the mannequin to obtain the mannequin surface area (A). The temperature T a of the air flowing over the garment may be the temperature in the chamber 107.

공기층 저항을 포함하는 의복(복식)의 총 열저항(단열값), 즉, 마네킹을 둘러싼 의복 및 표면 공기층의 총 열저항(이하, 설명의 편의상 '의복의 총 열저항'이라 함)(R t )을, 수학식 1을 이용하여, 계산한다.(Total heat resistance of clothes) ( R t (total heat resistance)) of the clothing surrounding the mannequin and the surface air layer ) Is calculated using Equation (1).

Figure 112014060454884-pat00003
Figure 112014060454884-pat00003

여기서, Rt = 의복 한 벌과 표면 공기층의 총 열저항(단열값)[℃·m2/W]Here, R t = total heat resistance (adiabatic value) [° C · m 2 / W]

A = 마네킹 표면적 [m2]A = manikin surface area [m 2 ]

Ts = 마네킹 표면 온도[℃]T s = Manikin surface temperature [캜]

Ta = 의복에 걸쳐 흐르는 공기의 온도 [℃]T a = temperature of air flowing over clothing [° C]

H = 마네킹을 가열하는 데 필요한 전력 [W] 이다.H = power required to heat the mannequin [W].

3번의 반복 시험으로부터 얻은 값들을 평균함으로써 의복(시료)의 평균 총 열저항(단열값)(R t )을 결정한다. The average total heat resistance (insulation value) ( R t ) of the clothing (sample) is determined by averaging the values obtained from the three repeated tests.

3번의 반복 시험으로부터 얻은 3개의 의복의 총 열저항값들 중 어느 하나가 평균에서 10 % 이상으로 변동된다면, 10 %의 한계를 벗어난 결과일 경우, 시험을 반복하며, 재시험 결과 10 %의 한계 내에서 값이 구해진다면, 그 값을 대신 사용하며, 재시험 결과 여전히 10 %의 한계를 벗어난다면, 3개의 시료(의복)들을 추가하여 시험한다.If any of the total thermal resistance values of the three garments from the three replicate tests fluctuates by more than 10% from the average, the test is repeated if the result is out of the 10% limit. If a value is obtained from the test, the value is used instead, and if the retest is still outside the 10% limit, add 3 samples (apparel) and test.

Rt에 6.45를 곱하여, SI 단위로 환산된 평균값 Rt를 clo 단위의 It로 변환한다.R t is multiplied by 6.45 to convert the average value R t converted in SI units to I t in clo.

평균값 Rt(즉, RM)와 수학식 2를 이용하여 의복의 평균 고유 열저항(단열값) (Rcl)을 결정한다.The average intrinsic heat resistance (adiabatic value) R cl of the garment is determined using the average value R t (i.e., R M ) and the equation (2).

Figure 112016080618037-pat00012

여기서, Rcl = 의복의 평균 고유 열저항(단열값) [℃·m2/W]
Figure 112016080618037-pat00012

Here, R cl = Average inherent heat resistance of clothes (insulation value) [° C · m 2 / W]

삭제delete

RM = 의복 한 벌과 표면 공기층의 평균 총 열저항(단열값)[℃·m2/W]R M = average total heat resistance of the suit and the surface air layer (heat insulation value) [° C · m 2 / W]

Ra = 나체 마네킹 표면의 공기층의 열저항 [℃·m2/W]R a = Thermal resistance of the air layer on the nude manikin surface [° C · m 2 / W]

fcl = 의복 면적 인자(크기 없음) 이다.f cl = Clothing area factor (no size).

의복 면적 인자인 fcl은 표 1 또는 표준 ISO 9920에서의 값들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의복 면적 인자인 fcl은 저장부(240)에 의복종류에 따라 기설정되어 저장된 값일 수 있다.The clothing area factor f cl can be measured using the values in Table 1 or the standard ISO 9920. Clothing area factor f cl may be a value stored in the setter according to the types of clothing in the storage section 240.

의복의 평균 고유 열저항(Rcl)을 SI 단위로 환산되며, 이렇게 구하여진 의복의 평균 고유 열저항(Rcl)에 6.45를 곱하여 clo 단위의 Icl로 변환한다.The average intrinsic heat resistance (R cl ) of the garment is converted into SI units, and the average intrinsic thermal resistance (R cl ) of the garment thus obtained is multiplied by 6.45 to convert it into cl of clo.

표 1은 전형적인 보호용 의복의 면적 인자들(fcl)에 대한 것이다.Table 1 gives the area factors (f cl ) of a typical protective garment.

Figure 112014060454884-pat00005
Figure 112014060454884-pat00005

일련의 계산과정이 종료되면, 연산처리부(200)는 출력부(220)를 통해, 온도 센서들의 수와 배치 상태, 키입력부(260)를 통해 시험 전 입력된 의복 한 벌에 사용된 옷가지들(예를 들면, 섬유 재질, 디자인 형상, 직조 구조)에 대한 사항, 계산된 의복 한 벌의 평균 총 열저항(단열값)(Rt 또는 It) , 의복 한 벌의 총 고유 열저항(단열값)(Rcl 또는 Icl), 나체 마네킹 주위의 공기충의 열저항(단열값) (Ra 또는 Ia), 시험 환경 조건들을 디스플레이하며, 저장부(240)에 저장한다.When the series of calculations is completed, the calculation processing unit 200 determines 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the temperature sensors through the output unit 220 and the clothes used in the clothes suits input before the test through the key input unit 260 (Insulation value) (R t or I t ), the total inherent heat resistance (insulation value) of the garment suit, ( R cl or I cl ) , the thermal resistance (adiabatic value) ( R a or I a ) of the air bag around the nude mannequin, and the test environmental conditions are stored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240.

도 3은 본 발명에서, 의복 보온력 분석 시스템의 구동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Fig. 3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driving process of the garment heat insulation analysis system in the present invention.

의복정보 입력단계로, 의복 한 벌의 섬유 재질, 디자인 형상, 직조 구조 등을 키입력부(260)를 통해 사용자는 입력한다(S110).In step S110, a user inputs a fabric material, a design shape, a woven structure, and the like of a garment through a key input unit 260 as a clothing information input step.

3번의 의복시험 안내단계로, 방송 또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3번의 의복시험을 안내하며, 의복시험 안내에 따라 사용자는 마네킹부(105)에 의복 한 벌을 착용시키는 등의 시험 준비를 한다(S120).In three garment test guiding steps, three garment tests are guided through the broadcasting or display unit. In accordance with the garment test guide, the user prepares a test such as wearing a garment on the mannequin portion 105 (S120).

초기화 단계로, 카운터 등을 초기화한다(S130). 여기서 카운터는 재시험이냐 추가시험이냐 등등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카운터이다.In the initialization step, a counter or the like is initialized (S130). Here, the counter is a counter for confirming whether the test is a retest or an additional test.

3번 의복시험의 온도신호 수신단계로, 의복시험 안내에 따라 3번의 의복시험이 행하여지며, 이때 3번의 의복시험 시 마네킹 피부주변 온도 측정부(110)에서 검출된 온도신호를 연산처리부(200)는 수신한다(S140). 이때 3개의 의복 한 벌로 각기 1번씩 시험하여 3번 시험할 수도 있고, 1개의 의복 한 벌로 3번 시험할 수도 있다. 또한, 신호검출은, 의복 한 벌이 평형 상태에 도달한 후에, 마네킹의 피부 온도와 공기 온도를 1 분마다 기록하며, 30 분에 걸쳐서 측정한다. 마네킹에 내장되어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게 하기 위한 히터(미도시)의 전력은 1 분마다 측정하며 이 측정은 시험 기간 동안 계속 진행된다.The temperature signal detected by the mannequin skin peripheral temperature measuring unit 110 at the time of three garment tests is transmitted to the arithmetic processing unit 200, (S140). At this time, you can test each of three garments one time and three times, or you can test three times with one garment suit. The signal detection also measures the skin temperature and air temperature of the mannequin every minute and measures over 30 minutes after the suit has reached equilibrium. The power of a heater (not shown) built into the mannequin to maintain a constant temperature is measured every minute, and this measurement continues during the test period.

마네킹 나체시험 안내단계로, 방송 또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마네킹 나체시험을 안내하며, 나체시험 안내에 따라 사용자는 마네킹부(105)를 이용한 시험 준비를 한다(S150).In the manikin nudity test guidance step, the manikin nudity test is guided through the broadcast or display unit. In accordance with the nudity test guide, the user prepares the test using the manikin unit 105 (S150).

마네킹 나체시험의 온도신호 수신단계로, 마네킹 나체시험 안내에 따라 마네킹 나체시험이 행하여지되, 3번 의복 시험 시와 동일한 환경조건에서 시험이 행하여지며, 이때 마네킹 피부주변 온도 측정부(110)에서 검출된 온도신호를 연산처리부(200)는 수신한다(S160). 즉, 착복한 마네킹의 시험결과와 비교하기 위해, 마네킹의 나체 시험을 행하되, 의복 시험에서 설정된 동일한 환경 조건들에서 시험을 수행한다.The mannequin nude body test is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mannequin nude body test guide, and the test is performed under the same environmental conditions as in the third garment test. At this time, The arithmetic processing unit 200 receives the temperature signal (S160). That is, to compare with the test results of the manikin that has been subjected to the nakedness test of the manikin, the test is carried out under the same environmental conditions set in the clothing test.

나체 마네킹의 공기층 열저항 연산단계로, 마네킹 나체시험의 온도신호 수신단계에서 수신된 나체 마네킹의 온도신호로부터, 나체 마네킹의 표면에서의 공기층 열저항(단열값)(Ra )을 구한다(S170).(Thermal insulation value) R a at the surface of the nude mannequin is obtained from the temperature signal of the nude mannequin received in the temperature signal reception step of the manikin nude body test in the air layer heat resistance calculation step of the nude mannequin (S170) .

의복(한 벌) 평균 총 열저항 연산단계로, 3번 의복시험의 온도신호 수신단계에서 수신된 3번 의복시험의 온도신호 각각으로부터 의복 총 열저항(Rt )을 구하고, 이렇게 구하여진 3개의 의복 총 열저항(Rt )을 평균하여 의복 평균 총 열저항을 구한다(S180).The total thermal resistance ( R t ) of the garment is obtained from each of the temperature signals of the three times of the clothes test received in the temperature signal receiving step of the clothes test No. 3, The clothing total heat resistance ( R t ) is averaged to obtain the average clothing total thermal resistance (S 180).

카운터 증가단계로, 카운터를 1 증가한다(S190).In the counter increasing step, the counter is incremented by one (S190).

10% 이상 변동여부 판단단계로, 3개의 의복 총 열저항(Rt ) 중 의복 평균 총 열저항으로 부터 10% 이상 변동된 것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없다면, 의복의 고유 열저항 연산단계(S270)으로 간다(S200).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 variation of 10% or more from the total average thermal resistance of clothes among the three garment total thermal resistances ( R t ). If not, (S200).

첫 시험인지 여부 판단단계로, 10% 이상 변동여부 판단단계(S200)에서, 3개의 의복 총 열저항(Rt ) 중 의복 평균 총 열저항으로 부터 10% 이상 변동된 것이 있다면, 첫 시험인지 여부, 즉, 카운터값이 1인지를 판단한다(S210).If it is judged whether or not the test is the first test, if there is a change of more than 10% from the total average thermal resistance of clothes among the total thermal resistance ( R t ) of the three garments in the variation determination step S200 , That is, whether the counter value is 1 (S210).

3번의 의복 재시험 안내단계로, 첫 시험인지 여부 판단단계에서, 카운터 값이 1이라면(즉, 첫 시험이라면), 방송 또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3번의 의복재시험을 안내하며, 의복 재시험 안내에 따라 사용자는 마네킹부(105)에 의복 한 벌을 착용시키는 등의 시험 준비를 한다(S220). If the counter value is 1 (i.e., it is the first test) at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test is the first test, the user is guided through three times of the clothing retest through the broadcasting or display unit. The user prepares a test such as wearing a piece of clothing on the part 105 (S220).

3번 의복 재시험의 온도신호 수신단계로, 3번의 의복 재시험 안내단계 후, 의복시험 안내에 따라 3번의 의복재시험이 행하여지며, 이때 3번의 의복 재시험 시 마네킹 피부주변 온도 측정부(110)에서 검출된 온도신호를 연산처리부(200)은 수신하며(S230), 그 후 의복(한 벌) 평균 총 열저항 연산단계(S180)으로 되돌아간다. 이때, 3번 의복시험의 온도신호 수신단계(S140)에서 행하여진 동일한 의복을 가지고 재시험을 행한다.After three clothes re-examination guiding steps, three clothing re-tests are performed according to the clothing test guide. At this time, when the clothes are re-inspected three times,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mannequin skin temperature measuring unit 110 The operation processing unit 200 receives the temperature signal (S230), and then returns to step S801 of calculating the average total heat resistance of the clothes (clothes). At this time, a retest is performed with the same clothing performed in the temperature signal receiving step (S140) of the third garment test.

재시험인지 여부 판단단계로, 첫 시험인지 여부 판단단계에서, 카운터 값이 1이 아니라면(즉, 첫 시험이 아니라면), 재시험인지 여부, 즉, 카운터값이 2인지를 판단한다(S240).If the counter value is not 1 (that is, if it is not the first tes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test is a retest or not (S240).

3개의 추가의복 시험 안내단계로, 재시험인지 여부 판단단계(S240)에서, 카운터 값이 2 라면(즉, 재시험이라면), 방송 또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3개의 추가의복에 의한 추가 의복 시험을 안내하며, 추가 의복 시험 안내에 따라 사용자는 마네킹부(105)에 의복 한 벌을 착용시키는 등의 시험 준비를 한다(S250). If the counter value is 2 (that is, if it is a retest) 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re-test is to be performed, the additional apparel test by three additional apparel is guided through the broadcast or display unit, In accordance with the clothing test guide, the user prepares a test such as wearing a suit on the mannequin portion 105 (S250).

3개의 추가의복 시험의 온도신호 수신단계로, 3개의 추가의복 시험 안내단계 후, 추가 의복시험 안내에 따라 3개의 추가의복 시험이 행하여지며, 이때 3개의 추가 의복 시험시 마네킹 피부주변 온도 측정부(110)에서 검출된 온도신호를 연산처리부(200)은 수신하며(S260), 그 후 의복(한 벌) 평균 총 열저항 연산단계(S180)으로 되돌아간다. 이때, 3개의 추가의복은 첫 시험 또는 재시험에서 사용되지 않은 별도의 의복일 수 있다.Three additional apparel test temperature signal receiving steps and three additional apparel test guiding steps followed by three additional apparel tests according to the apparel apparel test guideline, The arithmetic processing unit 200 receives the temperature signal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110 in step S260 and then returns to step S180 of calculating the average total thermal resistance of the clothes. At this time, the three additional apparel may be separate apparel not used in the first test or retest.

의복의 고유 열저항 연산단계로, 의복의 평균 고유 열저항(단열값) (Rcl)을 구하고, 구하여진 의복의 평균 고유 열저항(Rcl)을 SI 단위로 환산되며, 이렇게 구하여진 의복의 평균 고유 열저항(Rcl)에 6.45를 곱하여 clo 단위의 평균 고유 열저항(Icl)로 변환한다(S270).The average intrinsic heat resistance R cl of the garment is obtained by calculating the intrinsic heat resistance of the garment, and the average intrinsic heat resistance R cl of the garment is converted into the SI unit. by multiplying 6.45 to the mean specific thermal resistance (R cl) and converts it into an average specific heat resistance (I cl) of clo unit (S270).

출력단계로, 의복 평균 총 열저항, 의복의 고유 열저항을 출력부(220)로 출력한다(S280). 여기서, 출력부(220)는, 온도 센서들의 수와 배치 상태, 키입력부(260)을 통해 시험 전 입력된 의복 한 벌에 사용된 옷가지들(예를 들면, 섬유 재질, 디자인 형상, 직조 구조)에 대한 사항, 계산된 의복 한 벌의 평균 총 열저항(단열값)(Rt 또는 It), 의복 한 벌의 총 고유 열저항(단열값)(Rcl 또는 Icl), 나체 마네킹 주위의 공기충의 열저항(단열값) (Ra 또는 Ia), 시험 환경 조건들을 출력한다.In the output step, the average clothing thermal resistance and the specific heat resistance of the clothes are output to the output unit 220 (S280). Here, the output unit 220 outputs 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the temperature sensors, and the clothes (for example, a fiber material, a design shape, a weaving structure) used for the clothes suits inputted before the test through the key input unit 260 (R t or I t ), the total intrinsic thermal resistance (insulation value) of the garment suit ( R cl or I cl ) , the air around the naked mannequin The thermal resistance (adiabatic value) ( R a or I a ) of the strand , and the test environmental conditions are output.

마네킹 나체시험 안내단계, 마네킹 나체시험의 온도신호 수신단계, 나체 마네킹의 공기층 열저항 연산단계는, 도 3에서는, 의복(한 벌) 평균 총 열저항 연산단계의 앞에 위치되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3번의 의복시험 안내단계의 앞단, 또는, 3번 의복시험의 온도신호 수신단계의 앞단, 또는 의복의 고유 열저항 연산단계의 앞단에 위치될 수 있다.The steps of mannequin nude test guiding step, receiving the temperature signal of the mannequin nudity test, and calculating the air layer heat resistance of the nude mannequin are located in front of the garment (suit) average total heat resistance calculating step in Fig. 3, And may be located at the front end of the three steps of the clothing test guide step, at the front end of the temperature signal reception step of the third garment test, or at the front end of the specific heat resistance calculation step of the garment.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의복 보온력 분석 시스템을 이용하여 실험을 행하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4의 좌측은 나체 마네킹 주위의 공기충의 단열값을 구하기 위한 의복 보온력 분석 시스템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4의 우측은 의복을 착용한 마네킹으로부터 의복 한 벌의 총 평균 단열값, 의복 한 벌의 총 고유 단열값을 구하기 위한 의복 보온력 분석 시스템의 사용상태도이다. Fig. 4 is a state of use in which an experiment is performed using a clothing insulation analysis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The left side of FIG. 4 is a state of use of the clothing insulation analysis system for determining the insulation value of the air bag around the naked mannequin. The right side of FIG. 4 is the state of use of the garment thermal insulation analysis system for obtaining the total average insulation value of the garment suit from the mannequin wearing the garment, and the total inherent insulation value of the garment suit.

본 발명은 인체 위치 및 움직임에 관한 효과는 본 발명의 시험 방법에서는 고려되지 않으며, 본 발명에서 구해진 단열 값은 평가된 측정 의복 한 벌에만 적용되되 각각의 시험은 특정한 환경적 조건에 관한 것이며, 특히 공기 움직임에 관련된 것이다.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human body position and motion is not taken into account in the tes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insulation value obta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only to the evaluated measurement suit, each test being related to a specific environmental condition, Air movement.

본 발명에서 클로(clo) 또는 SI 단위들로 표기된 값들은 표준 값들로 개별적으로 간주된다. 각 복식에서 기술된 값들은 정확한 등가치가 아니므로, 각 복식은 서로 독립적으로 사용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의복 한 벌의 증발 저항성은 시험 방법(F 2370)에 준하여 측정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alues denoted by clo or SI units are regarded separately as standard values. Since the values described in each doubles are not exact equivalents, each doubles must be us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vaporation resistance of a suit of a garment can be measured according to the test method (F 2370).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Modification is possible. Accordingly, it is intended that the scope of the invention be defined by the claims appended hereto, and that all equivalent or equivalent variations thereof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발열 마네킹 110:마네킹 피부주변온도 측정부
120:전원공급부 130:전력제어부
200:연산처리부 220:출력부
240:저장부 260:키입력부
100: heating mannequin 110: mannequin skin ambient temperature measuring unit
120: Power supply unit 130: Power control unit
200: operation processing unit 220:
240: storage unit 260: key input unit

Claims (14)

삭제delete 기립형 마네킹으로, 의복 한 벌이 장착되며, 내부에 발열부를 구비하는, 발열 마네킹;
상기 발열 마네킹의 피부의 위에 장착된 다수의 온도센서를 구비하여, 마네킹의 표면 온도를 검출하는, 마네킹 피부주변온도 측정부;
상기 마네킹 피부주변온도 측정부로부터 수신된 마네킹의 표면 온도를 이용하여, 의복 한 벌과 표면 공기층의 총 열저항을 구하는 연산처리부;
연산처리부로부터 수신된 의복 한 벌과 표면 공기층의 총 열저항을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의복 보온력 분석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발열 마네킹에 하나의 의복 한 벌을 착용시키며, 마네킹 피부주변온도 측정부가 마네킹의 표면 온도를 시간을 달리하여 3회 검출함으로써, 마네킹의 표면 온도를 3개 획득하며,
연산처리부는,
3개의 마네킹의 표면 온도에 대해서, 각 마네킹의 표면 온도를 이용하여, 의복 한 벌과 표면 공기층의 총 열저항을 구함으로써, 3개의 의복 한 벌과 표면 공기층의 총 열저항을 구하고,
3개의 의복 한 벌과 표면 공기층의 총 열저항을 평균하여, 의복 한 벌과 표면 공기층의 평균 총 열저항을 구하며
의복 한 벌과 표면 공기층의 평균 총 열저항을 이용하여 의복 한 벌의 평균 고유 열저항을 구하되,
의복 한 벌의 평균 고유 열저항은
Figure 112016080618037-pat00013

(단, Rcl = 의복 한 벌의 평균 고유 열저항[℃·m2/W],
RM = 의복 한 벌과 표면 공기층의 평균 총 열저항[℃·m2/W],
Ra = 나체 마네킹 표면의 공기층의 열저항 [℃·m2/W],
fcl = 의복 면적 인자 임)
에 의해 구하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보온력 분석 시스템.
A standing mannequin, comprising: a heating mannequin mounted with a garment and having a heating portion therein;
A mannequin skin circumference temperature measuring unit having a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mounted on the skin of the heating mannequin to detect a surface temperature of the mannequin;
An arithmetic processing unit for obtaining a total thermal resistance of the clothes suit and the surface air layer using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mannequin received from the mannequin skin peripheral temperature measuring unit;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clothing suit received from the operation processing unit and the total heat resistance of the surface air layer;
The system of claim 1,
Wherein a temperature of the surface of the mannequin is measured three times at different times to acquire three surface temperatures of the mannequin,
The arithmetic processing unit,
The total thermal resistance of the three suit clothes and the surface air layer was obtained by calculating the total thermal resistance of the clothes suit and the surface air layer using the surface temperature of each mannequin with respect to the surface temperatures of the three mannequins,
The total thermal resistance of the three suit apparels and the surface air layer is averaged to obtain the average total thermal resistance of the suit and the surface air layer
Determine the average intrinsic thermal resistance of the garment suit using the average total heat resistance of the garment suit and surface air layer,
The average inherent heat resistance of the garment suit
Figure 112016080618037-pat00013

(Where R cl = Average specific heat resistance [° C · m 2 / W] of the garment suit,
R M = average total thermal resistance [° C · m 2 / W] of clothing and surface air layer,
R a = thermal resistance [° C · m 2 / W] of the air layer on the nude manikin surface,
f cl = clothing area factor)
And the temperature of the garment is measured.
기립형 마네킹으로, 의복 한 벌이 장착되며, 내부에 발열부를 구비하는, 발열 마네킹;
상기 발열 마네킹의 피부의 위에 장착된 다수의 온도센서를 구비하여, 마네킹의 표면 온도를 검출하는, 마네킹 피부주변온도 측정부;
상기 마네킹 피부주변온도 측정부로부터 수신된 마네킹의 표면 온도를 이용하여, 의복 한 벌과 표면 공기층의 총 열저항을 구하는 연산처리부;
연산처리부로부터 수신된 의복 한 벌과 표면 공기층의 총 열저항을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의복 보온력 분석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발열 마네킹에, 3개의 의복 한 벌 각각을 시간을 달리하여 착용시켜, 마네킹 피부주변온도 측정부로부터, 마네킹의 표면 온도를, 검출함으로써, 마네킹의 표면 온도를 3개 획득하며,
연산처리부는, 3개의 마네킹의 표면 온도에 대해서, 각 마네킹의 표면 온도를 이용하여, 의복 한 벌과 표면 공기층의 총 열저항을 구함으로써, 3개의 의복 한 벌과 표면 공기층의 총 열저항을 구하고,
3개의 의복 한 벌과 표면 공기층의 총 열저항을 평균하여, 의복 한 벌과 표면 공기층의 평균 총 열저항을 구하며,
의복 한 벌과 표면 공기층의 평균 총 열저항을 이용하여 의복 한 벌의 평균 고유 열저항을 구하되,
의복 한 벌의 평균 고유 열저항은
Figure 112016080618037-pat00014

(단, Rcl = 의복 한 벌의 평균 고유 열저항[℃·m2/W],
RM = 의복 한 벌과 표면 공기층의 평균 총 열저항[℃·m2/W],
Ra = 나체 마네킹 표면의 공기층의 열저항 [℃·m2/W],
fcl = 의복 면적 인자 임)
에 의해 구하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보온력 분석 시스템.
A standing mannequin, comprising: a heating mannequin mounted with a garment and having a heating portion therein;
A mannequin skin circumference temperature measuring unit having a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mounted on the skin of the heating mannequin to detect a surface temperature of the mannequin;
An arithmetic processing unit for obtaining a total thermal resistance of the clothes suit and the surface air layer using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mannequin received from the mannequin skin peripheral temperature measuring unit;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clothing suit received from the operation processing unit and the total heat resistance of the surface air layer;
The system of claim 1,
Three surface temperatures of the mannequin are obtained by detecting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mannequin from the temperature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mannequin,
The calculation processing section obtains the total thermal resistance of the three pieces of clothes and the surface air layer by obtaining the total thermal resistance of the clothing piece and the surface air layer using the surface temperature of each manikin with respect to the surface temperatures of the three mannequins ,
The average total thermal resistance of the suit and the surface air layer is obtained by averaging the total heat resistance of the three suit and the surface air layer,
Determine the average intrinsic thermal resistance of the garment suit using the average total heat resistance of the garment suit and surface air layer,
The average inherent heat resistance of the garment suit
Figure 112016080618037-pat00014

(Where R cl = Average specific heat resistance [° C · m 2 / W] of the garment suit,
R M = average total thermal resistance [° C · m 2 / W] of clothing and surface air layer,
R a = thermal resistance [° C · m 2 / W] of the air layer on the nude manikin surface,
f cl = clothing area factor)
And the temperature of the garment is measur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2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의복 한 벌 및 표면 공기층의 총 열저항(Rt )을
Figure 112016080618037-pat00006

(단, Rt = 의복 한 벌 및 표면 공기층의 총 열저항[℃·m2/W]
A = 마네킹 표면적 [m2]
Ts = 마네킹 표면 온도[℃]
Ta = 의복에 걸쳐 흐르는 공기의 온도[℃]
H = 마네킹을 가열하는 데 필요한 전력 [W] 임)
에 의하여 구하여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보온력 분석 시스템.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3,
The total heat resistance ( R t ) of the garment suit and surface air layer is
Figure 112016080618037-pat00006

(Where R t = total heat resistance [° C · m 2 / W]
A = manikin surface area [m 2 ]
T s = Manikin surface temperature [캜]
T a = temperature of air flowing over clothing [° C]
H = power required to heat the mannequin [W])
Wherein the heat insulating member is made of a heat insulating material.
삭제delete 제6항에 있어서,
의복 면적 인자 fcl은, 표준 ISO 9920에 따라 저장부에 저장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보온력 분석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garment area factor fcl is a value stored in the storage unit according to standard ISO 9920. < Desc / Clms Page number 18 >
삭제delete 제6항에 있어서,
발열 마네킹이 나체일 때, 마네킹 피부주변온도 측정부로부터 마네킹의 표면 온도를 검출하여, 나체 마네킹의 표면에서의 공기층의 열저항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보온력 분석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thermal resistance of the air layer on the surface of the naked mannequin is detected by detecting the temperature of the surface of the mannequin from the temperature measuring unit around the skin of the mannequin when the heating mannequin is naked.
3번의 의복 시험 시, 마네킹 피부주변 온도 측정부에서 검출된 온도신호를 연산처리부가 수신하는, 3번 의복시험의 온도신호 수신단계;
연산처리부는 3번 의복시험의 온도신호 수신단계에서 수신된 3번 의복시험의 온도신호 각각으로부터 의복 총 열저항을 구하고, 구하여진 3개의 의복 총 열저항을 평균하여 의복 평균 총 열저항을 구하는, 의복 평균 총 열저항 연산단계;
3개의 의복 총 열저항 중 의복 평균 총 열저항으로부터 10% 이상 변동된 것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10% 이상 변동여부 판단단계;
10% 이상 변동여부 판단단계에서, 3개의 의복 총 열저항 중 의복 평균 총 열저항으로 부터 10% 이상 변동된 것이 있다면, 첫 시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첫 시험인지 여부 판단단계;
첫 시험인지 여부 판단단계에서 첫 시험이라면, 연산처리부는 3번의 의복 재시험 안내를 출력부로 출력하고, 3번의 의복 재시험 시, 마네킹 피부주변 온도 측정부에서 검출된 온도신호를 연산처리부가 수신한 후, 의복 평균 총 열저항 연산단계로 되돌아가는, 3번 의복 재시험의 온도신호 수신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보온력 분석 시스템의 구동방법.
A temperature signal receiving step of a third test for receiving the temperature signal detected by the mannequin skin peripheral temperature measuring unit at the time of the third garment test;
The calculation processing unit obtains the total thermal resistance of the clothes from each of the temperature signals of the three times of the clothes test received in the temperature signal reception step of the third test and obtains the mean total thermal resistance of the clothes by averaging the obtained total thermal resistance of the clothes, Calculating average clothing thermal resistance;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variation of 10% or more from the average total thermal resistance of the garments among the three garment total thermal resistances;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first test is a first test if there is a variation of 10% or more from the average total thermal resistance of the garment among the total thermal resistance of the three garments in the determination step of 10% or more variation;
If it is the first test in the first test, the arithmetic processing unit outputs three clothes retest information to the output unit, and at the time of the third garment retest, the arithmetic processing unit receives the temperature signal detected by the mannequin skin peripheral temperature measuring unit, Receiving the temperature signal of the third garment retest returning to the garment average total heat resistance calculating step;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제11항에 있어서,
첫 시험인지 여부 판단단계에서, 첫 시험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두 번째 시험인 재시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재시험인지 여부 판단단계;
재시험인지 여부 판단단계에서 재시험이라면, 3개의 추가의복에 의한 추가 의복 시험에 대한 안내를 출력부로 출력하고, 3개의 추가의복에 의한 추가 의복 시험 시, 마네킹 피부주변 온도 측정부에서 검출된 온도신호를 연산처리부가 수신한 후, 의복 평균 총 열저항 연산단계로 되돌아가는, 3개의 추가의복 시험의 온도신호 수신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보온력 분석 시스템의 구동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first test is a retest,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second test is a retest;
If the retest is judged at the step of judging whether or not the test is retested, a guide to the additional clothing test by three additional clothes is output to the output unit. When the additional clothes are tested by three additional clothes, A temperature signal reception step of three additional clothes tests, after receiving the arithmetic processing unit, returning to the clothing average total heat resistance calculation step;
The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제12항에 있어서,
연산처리부는 의복의 평균 고유 열저항을 구하는, 의복의 고유 열저항 연산단계;
의복 평균 총 열저항, 의복의 고유 열저항을 출력부로 출력하는 출력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보온력 분석 시스템의 구동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calculation processing unit may calculate an average specific heat resistance of the garment by calculating a specific heat resistance of the garment;
A garment average total heat resistance, and an intrinsic thermal resistance of the clothes to an output unit;
The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제13항에 있어서,
마네킹 나체시험 시, 마네킹 피부주변 온도 측정부에서 검출된 온도신호를 연산처리부가 수신하는 마네킹 나체시험의 온도신호 수신단계;
마네킹 나체시험의 온도신호 수신단계에서 수신된 나체 마네킹의 온도신호로부터, 나체 마네킹의 표면에서의 공기층 열저항을 구하는, 나체 마네킹의 공기층 열저항연산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보온력 분석 시스템의 구동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A temperature signal reception step of mannequin nudity test in which a calculation signal is received by a temperature signal detected by a temperature measurement unit of the skin around the manikin during the manikin nudity test;
Calculating an air layer thermal resistance at the surface of the nude mannequin from the temperature signal of the nude mannequin received in the temperature signal receiving step of the manikin nudity test;
The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KR1020140079511A 2013-06-27 2014-06-27 Warmth analysis system of clothes KR10167661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4143 2013-06-27
KR1020130074143 2013-06-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102A KR20150003102A (en) 2015-01-08
KR101676611B1 true KR101676611B1 (en) 2016-11-17

Family

ID=52476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9511A KR101676611B1 (en) 2013-06-27 2014-06-27 Warmth analysis system of cloth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661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54682A (en) * 2022-01-07 2022-04-15 安徽开润股份有限公司 Method and device for testing radiation cooling performance of textil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9157A (en) * 1993-01-11 1994-07-26 Mitsubishi Electric Corp Mounting of component
JP2524250Y2 (en) * 1993-12-17 1997-01-29 石川県 Apparatus for measuring insulation and moisture permeability of clothing fabrics
JP3350721B2 (en) * 1994-10-07 2002-11-25 シャープ株式会社 Clothing amount measuring device and clothing amount measuring method
JPH10103745A (en) * 1996-10-01 1998-04-21 Yazaki Corp Detecting device of thermal environ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102A (en) 2015-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ang et al. Development and validity of a universal empirical equation to predict skin surface temperature on thermal manikins
Wang et al. Can the PHS model (ISO7933) predict reasonable thermophysiological responses while wearing protective clothing in hot environments?
Tejedor et al. Human comfort modelling for elderly people by infrared thermography: Evaluating the thermoregulation system responses in an indoor environment during winter
JP5100102B2 (en) A device for simulating human sweating and evaluating the vapor permeability and comfort of clothing
Sakoi et al. Thermal comfort, skin temperature distribution, and sensible heat loss distribution in the sitting posture in various asymmetric radiant fields
Wang et al. Localised boundary air layer and clothing evaporative resistances for individual body segments
US20020191669A1 (en) Thermal manikin
Bartels Thermal comfort of aeroplane seats: influence of different seat materials and the use of laboratory test methods
Foda et al. A thermal manikin with human thermoregulatory control: implementation and validation
Qian et al. Interactions of the surface heat and moisture transfer from the human body under varying climatic conditions and walking speeds
CN105203587A (en) Method and equipment for testing heat retention property of down garment
CN104677932A (en) Thermoregulated textile comparison tester and thermoregulation effect detection method
Revel et al. Integration of real-time metabolic rate measurement in a low-cost tool for the thermal comfort monitoring in AAL environments
CN105823792A (en) Thermal resistance computing method for figure simulated ready-to-wear thermal insulation meter
Itani et al. Significance of PCM arrangement in cooling vest for enhancing comfort at varied working periods and climates: Modeling and experimentation
KR101676611B1 (en) Warmth analysis system of clothes
Tu et al. A novel method and parameters for evaluating thermal sensation of textile
Shin et al. Calibration and validation processes for relative humidity measurement by a Hygrochron iButton
Liu et al. Quantitative characterization of clothing's cold protective capability to achieve thermal comfort: A systematic review
Tamura Development of a two-layer movable sweating thermal manikin
Xizhong et al. Application of the heat flux meter in physiological studies
Kuklane et al. Testing sleeping bags according to EN 13537: 2002: details that make the difference
JPH09280907A (en) Thermal environment measuring method
Mohamad The role of tests and manikin in defining fabrics thermal characteristics
Huang Assessment of clothing effects in thermal comfort standards: a revie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