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6136B1 - 회전톱 크리닝장치 - Google Patents

회전톱 크리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6136B1
KR101676136B1 KR1020140187212A KR20140187212A KR101676136B1 KR 101676136 B1 KR101676136 B1 KR 101676136B1 KR 1020140187212 A KR1020140187212 A KR 1020140187212A KR 20140187212 A KR20140187212 A KR 20140187212A KR 101676136 B1 KR101676136 B1 KR 101676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w
rotary
brush
cleaning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7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7493A (ko
Inventor
이성진
김홍기
문창호
김병진
김원수
남현웅
최강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주식회사 신진에스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주식회사 신진에스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40187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6136B1/ko
Publication of KR20160077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7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6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61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08B1/32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using rotary clean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028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adhesive surfaces

Landscapes

  • Sa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회전톱 크리닝장치는, 장치프레임; 및 상기 장치프레임에 제공되며, 회전하는 회전톱에서 톱날 사이의 홈에 남은 절삭칩을 제거하도록, 상기 회전톱의 회전 시 외주라인 형상과 대응되게, 회전 시 가변되는 외형을 가진 브러쉬부재를 가진 크리닝수단;을 포함하고,상기 크리닝수단은, 구동회전축이 상기 회전톱의 접선방향과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회전톱의 직경방향과 수직을 이루며, 상기 브러쉬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재; 및 상기 구동부재와 연동되게 연결되며,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진 복수 개의 단위브러쉬를 가진 상기 브러쉬부재; 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회전톱의 회전 시 외주라인 형상과 대응되게, 회전 시 가변되는 외형을 가진 브러쉬부재를 가진 크리닝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회전하는 회전톱을 마찰 손상시키지 않으면서도 회전 중의 회전톱 톱날 사이에 끼인 절삭칩을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회전톱 크리닝장치{Apparatus for cleanning rotary saw}
본 발명은 회전톱 크리닝장치로서, 회전톱의 절삭칩을 제거하는 회전톱 크리닝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회전톱의 일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회전톱 크리닝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회전톱(10)으로 후판과 같은 소재를 절단하는 절단공정에서 절삭칩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절삭칩은 회전톱(10)의 톱날(10a) 사이에 인입된 후, 절단이 끝나는 지점에서 자중에 의해 대부분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회전톱(10)에 묻은 절삭유에 의해 상기 절삭칩 중 일부는 부착되어 떨어지지 않게 되는데, 회전톱(10)의 상부에 설치된 회전톱 크리닝장치(20)에서 구동모터(21)에 의해 회전하는 브러쉬(22)에 의해 떨어지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브러쉬(22)에도 절삭칩 중 일부는 떨어지지 않게 되며, 특히 회전톱(10)에서 몸체(11)의 끝단에 장착된 바이트(12)가 몸체(11)보다 폭이 더 크게 형성됨에 따라, 절삭칩이 걸려서 쉽게 빠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회전톱(10)에서 떨어지지 않는 절삭칩은, 회전톱(10)이 소재를 절단하는 과정에서 바이트(12)와 소재 사이에 끼어듦으로써, 회전톱(10)의 절단성능을 떨어뜨리는 문제를 발생한다.
도 3은 도 2의 회전톱 크리닝장치에서 브러쉬부재가 회전톱에 인접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톱 크리닝장치(20)의 브러쉬는 회전톱(10)에 인접되어 배치되는데,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톱(10)의 외주라인에서 톱날(10a) 사이의 홈(10b) 바닥까지 깊게 배치되면 절삭칩을 제거하는 크리닝 성능을 높일 수 있으나, 회전톱(10)과 브러쉬(22)가 서로 회전하면서 마찰됨으로써 브러쉬(22)의 철모가 바이트(12)를 긁어서 톱날(10a)의 바이트(12)가 손상됨으로써, 회전톱(10)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톱(10)의 외주라인에서 톱날(10a) 사이의 홈(10b) 바닥까지 깊게 배치되지 않고 톱날(10a)에 닿는 정도로만 배치되면, 바이트(12)의 손상을 막을 수 있으나 톱날(10a) 사이에 있는 절삭칩(1)을 제거할 수 없음에 따라, 크리닝 성능이 떨어지는 한계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회전톱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절삭칩을 깨끗하게 제거하는 회전톱 크리닝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톱 크리닝장치는, 장치프레임; 및 상기 장치프레임에 제공되며, 회전하는 회전톱에서 톱날 사이의 홈에 남은 절삭칩을 제거하도록, 상기 회전톱의 회전 시 외주라인 형상과 대응되게, 회전 시 가변되는 외형을 가진 브러쉬부재를 가진 크리닝수단;을 포함하고,상기 크리닝수단은, 구동회전축이 상기 회전톱의 접선방향과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회전톱의 직경방향과 수직을 이루며, 상기 브러쉬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재; 및 상기 구동부재와 연동되게 연결되며,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진 복수 개의 단위브러쉬를 가진 상기 브러쉬부재; 를 구비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구체적으로, 상기 브러쉬부재는, 상기 구동부재의 구동회전축에 설치된 브러쉬몸체; 상기 구동회전축 방향의 중심선 둘레에 복수 개가 배치되며, 회전중심축이 상기 구동회전축과 평행인 상기 단위브러쉬; 및 상기 브러쉬몸체에 장착되며, 상기 단위브러쉬와 연결되어 상기 단위브러쉬를 회전시키는 단위모터;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브러쉬부재를, 상기 단위모터는 상기 단위브러쉬를, 상기 회전톱의 회전방향과 동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크리닝수단은, 상기 회전톱을 회전시키는 톱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계되어, 상기 톱모터의 회전속도를 측정하는 엔코더;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엔코더와 전기적으로 연계되어 상기 톱모터의 회전속도에 따라 작동제어되는 서보모터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크리닝수단은, 상기 회전톱의 외주라인을 따라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톱 크리닝장치는, 회전하는 회전톱을 마찰 손상시키지 않으면서도 회전 중의 회전톱 톱날 사이에 끼인 절삭칩을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회전톱 크리닝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회전톱의 일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회전톱 크리닝장치에서 브러쉬부재가 회전톱에 인접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톱 크리닝장치에 의해 회전톱을 크리닝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톱 크리닝장치에서 브러쉬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회전톱 크리닝장치에 의해 회전톱을 크리닝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도면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톱 크리닝장치에 의해 회전톱을 크리닝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톱 크리닝장치에서 브러쉬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장치프레임과, 상기 장치프레임에 제공되는 크리닝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장치프레임(미도시)은 크리닝수단이 견고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지지고정되도록 구성되면 될 뿐, 구체적인 구조 및 형상에 대해서는 본 발명에 의해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크리닝수단은 회전톱(10)의 회전 시 외주라인 형상과 대응되게 회전 시 가변되는 외형을 가진 브러쉬부재(120)를 가진다.
이러한 크리닝수단은 회전톱(10)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톱날(10a) 사이의 홈에 남은 절삭칩을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크리닝수단은 일례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러쉬부재(120)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재(110)와, 상기 구동부재(110)에 의해 연결된 브러쉬부재(12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구동부재(110)는 구동회전축(110a)이 회전톱(10)과 동일방향에 배치되고 회전톱(10)의 방사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배치구조를 취한다. 이러한 구동부재(110)는 브러쉬부재(120)에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데, 상술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가 활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브러쉬부재(120)를 축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종래의 어떠한 구동구성도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브러쉬부재(120)는 구동부재(110)와 연결되며, 외형이 나선형상으로 이루어진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즉, 상기 브러쉬부재(120)는 중심축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된 복수 개의 브러쉬모의 외부형상이 나선형 구조를 이루게 되는데, 이러한 나선형 구조는 다시 말해 복수 개의 브러쉬모 중 일부가 상대적으로 돌출되면서 돌출된 부분이 중심축을 따라 회전하면서 이어진 구조이다.
이와 같은 나선형상으로 인하여 축회전 시 외형이 가변되는 브러쉬부재(120)는, 회전톱(10)의 회전 시 외주라인 형상의 위치변화에 대응됨으로써, 회전하는 회전톱(10)을 마찰 손상시키지 않으면서도 회전 중의 회전톱(10) 톱날(10a) 사이에 끼인 절삭칩을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다.
나아가, 이와 같은 브러쉬부재(120)는, 나선형상의 외형에서 산(120a)과 산(120a) 사이의 거리가, 회전톱(10)의 외주라인에서 톱날(10a)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회전톱(10)의 외주라인 형상과 대응됨에 따라, 회전톱(10)의 외주라인에 불규칙적으로 또는 일부가 과도하게 마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브러쉬부재(120)는 외형이 나선형상이고, 아울러 나선형상의 외형에서 산(120a)과 산(120a) 사이의 거리가 회전톱(10)의 외주라인에서 톱날(10a) 사이의 거리와 동일함으로써, 회전톱(10)의 손상을 방지하면서도, 회전톱(10)의 외주라인에 걸려진 절삭칩을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크리닝수단은 다른 실시예로서, 브러쉬부재(120)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재(110)와, 상기 구동부재(110)에 의해 연결된 브러쉬부재(12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구동부재(110)는 구동회전축(110a)이 회전톱(10)의 접선방향과 수직을 이루고, 회전톱(10)의 직경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배치구조를 취한다. 이러한 구동부재(110)는 브러쉬부재(120)에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데, 상술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가 활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브러쉬부재(120)를 축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종래의 어떠한 구동구성도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구동부재(110)는 브러쉬부재(120)를 회전톱(10)의 회전방향과 동일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작동제어될 수 있는데, 이로 인하여 서로 접하는 부분에서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회전톱(10)에 대한 크리닝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러쉬부재(1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재(미도시)와 연동되게 연결되며,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진 복수 개의 단위브러쉬(122)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브러쉬부재(120)는 구동부재의 구동회전축(110a)에 설치된 브러쉬몸체(121), 상기 브러쉬몸체(121)에 설치된 단위모터, 상기 단위모터와 연결된 단위브러쉬(122)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단위브러쉬(122)는 구동부재의 구동회전축(110a) 방향의 중심선 둘레에 복수 개가 배치되며, 회전중심축이 상기 구동회전축(110a)과 평행인 배치구조를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톱(10)의 회전시 변화되는 외주라인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적정 직경을 가진 단위브러쉬(122)가 회전하여 회전톱(10) 측에 배치됨으로써, 회전하는 회전톱(10)을 마찰 손상시키지 않으면서도 회전 중의 회전톱(10) 톱날(10a) 사이에 끼인 절삭칩을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단위브러쉬(122)는, 도면에서는 일례로서 세 개가 활용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회전톱(10)의 외주라인 형상에 대응되도록 적절한 수가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단위모터는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브러쉬몸체(121)에 장착되며, 단위브러쉬(122)와 연결되어 단위브러쉬(122)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단위모터는 복수 개의 단위브러쉬(122)와 대응되게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고, 또는 하나가 기어체결구조로서 복수 개의 단위브러쉬(122)와 연동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위모터는 단위브러쉬(122)를 회전톱(10)의 회전방향과 동일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작동제어될 수 있는데, 이로 인하여 서로 접하는 부분에서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회전톱(10)에 대한 크리닝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크리닝수단은,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엔코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엔코더는, 회전톱(10)을 회전시키는 톱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계되어 톱모터의 회전속도를 측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브러쉬부재(120)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재는 엔코더와 전기적으로 연계되어 톱모터의 회전속도에 따라 작동제어되는 서보모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서보모터와 엔코더로 인하여, 회전톱(10)의 회전속도에 대응되도록 브러쉬부재(120)의 회전속도가 작동제어됨으로써, 회전톱(10)의 회전시 변화되는 외주라인의 높이에 정확하게 대응되는 직경을 가진 단위브러쉬(122)를 회전톱(10) 측에 배치시킬 수 있다.
나아가, 상술된 바와 같은 상기 크리닝수단은, 회전톱(10)의 외주라인을 따라 복수 개가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회전톱(10)이 1회 회전 시 복수 회에 걸쳐서 크리닝됨으로써, 절삭칩 제거능력을 더욱더 높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회전톱(10)의 회전 시 외주라인 형상과 대응되게, 회전 시 가변되는 외형을 가진 브러쉬부재(120)를 가진 크리닝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회전하는 회전톱(10)을 마찰 손상시키지 않으면서도 회전 중의 회전톱(10) 톱날(10a) 사이에 끼인 절삭칩을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10 : 구동부재 110a : 구동회전축
120 : 브러쉬부재 120a : 산
121 : 브러쉬몸체 122 : 단위브러쉬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장치프레임; 및
    상기 장치프레임에 제공되며, 회전하는 회전톱에서 톱날 사이의 홈에 남은 절삭칩을 제거하도록, 상기 회전톱의 회전 시 외주라인 형상과 대응되게, 회전 시 가변되는 외형을 가진 브러쉬부재를 가진 크리닝수단;
    을 포함하고,상기 크리닝수단은,
    구동회전축이 상기 회전톱의 접선방향과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회전톱의 직경방향과 수직을 이루며, 상기 브러쉬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재; 및
    상기 구동부재와 연동되게 연결되며,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진 복수 개의 단위브러쉬를 가진 상기 브러쉬부재;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톱 크리닝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부재는,
    상기 구동부재의 구동회전축에 설치된 브러쉬몸체;
    상기 구동회전축 방향의 중심선 둘레에 복수 개가 배치되며, 회전중심축이 상기 구동회전축과 평행인 상기 단위브러쉬; 및
    상기 브러쉬몸체에 장착되며, 상기 단위브러쉬와 연결되어 상기 단위브러쉬를 회전시키는 단위모터;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톱 크리닝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브러쉬부재를, 상기 단위모터는 상기 단위브러쉬를, 상기 회전톱의 회전방향과 동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회전톱 크리닝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크리닝수단은,
    상기 회전톱을 회전시키는 톱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계되어, 상기 톱모터의 회전속도를 측정하는 엔코더;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엔코더와 전기적으로 연계되어 상기 톱모터의 회전속도에 따라 작동제어되는 서보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톱 크리닝장치.
  8.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크리닝수단은,
    상기 회전톱의 외주라인을 따라 복수 개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톱 크리닝장치.
KR1020140187212A 2014-12-23 2014-12-23 회전톱 크리닝장치 KR101676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7212A KR101676136B1 (ko) 2014-12-23 2014-12-23 회전톱 크리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7212A KR101676136B1 (ko) 2014-12-23 2014-12-23 회전톱 크리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7493A KR20160077493A (ko) 2016-07-04
KR101676136B1 true KR101676136B1 (ko) 2016-11-15

Family

ID=56500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7212A KR101676136B1 (ko) 2014-12-23 2014-12-23 회전톱 크리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61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71568B (zh) * 2017-11-24 2019-07-09 象山信基机械厂 一种铝材切割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2150B1 (ko) * 2010-02-02 2013-11-21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브로치 부스러기 제거 장치 및 브로치 부스러기 제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2150B1 (ko) * 2010-02-02 2013-11-21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브로치 부스러기 제거 장치 및 브로치 부스러기 제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7493A (ko) 2016-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82894B2 (ja) ワイヤロープ清掃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保守治具
CN103358206B (zh) 轴瓦去毛刺及抛光一体机
KR101676136B1 (ko) 회전톱 크리닝장치
RU2010147260A (ru) Способ лущения чурака и лущильный станок
CN104369922A (zh) 用于糖果计数的转盘式计数机
KR200456428Y1 (ko) 고무롤러의 지지축 고무 잔존물 제거장치
JP2019214013A (ja) 二軸破砕機
CA2517042C (en) Rotation tool
JP6212418B2 (ja) ブローチ研削盤
US4223440A (en) Cord-type mowing machine
CN104138859B (zh) 碳块碳碗清理机
JP5327997B2 (ja) ドラム型のカッターユニット
JP6063212B2 (ja) 歯間ブラシのブラシ先端研磨方法及びその装置
CN104985505B (zh) 一种偏转线圈磁环打磨装置
KR200477613Y1 (ko) 랩핑기
JP4768692B2 (ja) 研磨装置及び研磨方法
CN105058533B (zh) 全自动木纤维加工机械
JP2008168358A (ja) 球体加工装置
JP3194519U (ja) 屑排出兼ろ過用コンベヤベルト
JP4185902B2 (ja) 浮動式カッター部を有する毛玉取り機
KR20080013688A (ko) 연마용 플랩 휠
CN204052228U (zh) 碳块碳碗清理机
JPS599037A (ja) ゴムインゴツト裁断機
US2740980A (en) Apparatus for cutting and abrading
CN203750707U (zh) 轴承内圈甩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