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5954B1 - 휨과 연결이 용이한 경계블럭 - Google Patents

휨과 연결이 용이한 경계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5954B1
KR101675954B1 KR1020140176173A KR20140176173A KR101675954B1 KR 101675954 B1 KR101675954 B1 KR 101675954B1 KR 1020140176173 A KR1020140176173 A KR 1020140176173A KR 20140176173 A KR20140176173 A KR 20140176173A KR 101675954 B1 KR101675954 B1 KR 1016759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ent
boundary block
connecting portion
main body
curv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6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9933A (ko
Inventor
박종오
Original Assignee
(주)플러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플러버 filed Critical (주)플러버
Priority to KR1020140176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5954B1/ko
Publication of KR20160069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99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5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59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02Paving elements having fixed spacing fea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 E01C2201/162Elements joined together with breaking lines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양단에 형성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는 경계블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일측은 돌출턱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턱의 상단 중앙에 삽입돌기가 형성되도록 하며, 타측 연결구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의 하단 중앙에는 삽입홈이 형성되도록 하여 인접하는 경계블럭끼리 각각 서로 대응하는 연결부가 결합되어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휨과 연결이 용이한 경계블럭.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효과로는 본체의 양단에는 연결부로 형성하되, 상기 연결부는 좌우로 서로의 이탈을 방지하게 하는 돌출턱과 오목부가 형성되고 또 전후로 서로의 이탈을 방지하는 삽입돌기와 삽입홈을 형성함으로써 인접하는 경계블럭끼리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게 되며, 시공불량 및 지반침하로 인해 경계블럭 간의 단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 측판에 절개부 및 오목홈 등 휨가능수단을 형성함으로써 미리 곡률을 정하지 않고 현장의 곡선구간 곡률에 맞춰 경계블럭을 휠 수 있게 되어 시공이 간편하고, 미관을 아름답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무를 재질로 제작되므로 어린이 보호구역 등에 설치할 경우 아이들이 다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휨과 연결이 용이한 경계블럭{A boundary block}
본 발명은 휨과 연결이 용이한 경계블럭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재질이 고무여서 부딪치더라도 충격이 크지 않고, 휨이 부드럽고 자연스러워 곡선구간에도 시공이 용이하여 학교나 놀이터와 같은 어린이 보호구역의 경계블럭으로 사용하기 매우 용이한 경계블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계블럭이라 함은 보도에 경계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단턱을 형성하게 된다.
종래의 경계블럭은 단순히 콘크리트,인조 화강석,화강석,플라스틱 및 프리캐스트를 이용하여 도로와 보도 사이에 설치되기도 하나, 이와 같이 강고한 재질들은 학교나 놀이터와 같이 어린이들이 노는 곳에 설치할 경우 크게 다칠 우려가 높은 것이다.
따라서 고무를 재질로 하는 경계블럭이 사용되기도 하나, 종래의 경계블럭은 처음 배열은 경계블럭과 인접하는 경계블럭의 높이를 맞추어 시공하나, 이후 경계블럭과 인접하는 경계블럭의 연결부위에 지반침하가 발생하거나 단차가 발생하는 경우 각 경계블럭 사이에 단차가 발생하게 되어 미관을 불량하게 하고, 견고한 지탱을 곤란하게 하는 단점을 갖는다.
또 다수 개의 경계블럭 설치시 곡률반경을 유지해야 하는 경우 종래 경계블럭은 모두 직선(直線)형이거나 처음부터 곡선(曲線)형이어서 두가지 종류의 도로경제석을 모두 제작하여야 하는 단점을 갖게된다.
따라서 직선형은 라인이 예쁘게 나오지 않게 되고, 미리 곡선으로 제작된 경계블럭은 곡률반경이 다를 경우 사용이 불가능한 단점을 갖는 것이다. 또한 경계블럭 하나하나를 곡률에 맞춰 시공하는 경우 수작업에 의해야 하므로 오랜 작업시간과 작업자의 노동력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을 갖는다.
[선행기술문헌]
1. 국내실용신안등록 : 제20-0200924호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경계블럭 시공시 시공불량 및 지반침하로 인해 경계블럭 간의 단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 부드러운 휨이 가능하도록 휨가능수단을 형성함으로써 미리 곡률을 정하지 않고 현장의 곡선구간 곡률에 맞춰 경계블럭을 시공할 수 있어 기존의 경계블럭보다 미관을 아름답게 할 수 있고 아이들의 부상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경계블럭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수단을 살펴보면,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양단에 형성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는 경계블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일측은 돌출턱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턱의 상단 중앙에 삽입돌기가 형성되도록 하며, 타측 연결구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의 하단 중앙에는 삽입홈이 형성되도록 하여 인접하는 경계블럭끼리 각각 서로 대응하는 연결부가 결합되어 연결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의 하부에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받침대를 구비하되, 상기 받침대와 받침대 사이의 측판 하단에는 절개부가 형성되어 쉽게 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의 측판에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오목홈이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쉽게 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로는 본체의 양단에는 연결부로 형성하되, 상기 연결부는 좌우로 서로의 이탈을 방지하게 하는 돌출턱과 오목부가 형성되고 또 전후로 서로의 이탈을 방지하는 삽입돌기와 삽입홈을 형성함으로써 인접하는 경계블럭끼리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게 되며, 시공불량 및 지반침하로 인해 경계블럭 간의 단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 측판에 절개부 및 오목홈 등 휨가능수단을 형성함으로써 미리 곡률을 정하지 않고 현장의 곡선구간 곡률에 맞춰 경계블럭을 휠 수 있게 되어 시공이 간편하고, 미관을 아름답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무를 재질로 제작되므로 어린이 보호구역 등에 설치할 경우 아이들이 다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계블럭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경계블럭들의 연결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사시도.
도 4는 도 3을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을 곡선상태로 시공한 상태를 보이기 위한 사용상태 참고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계블럭의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또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사시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 예를 들면 제조 방법 및/또는 사양의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편평하다고 도시되거나 설명된 영역은 일반적으로 거칠거나/거칠고 비선형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날카로운 각도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된 부분은 라운드질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은 원래 대략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들의 형태는 영역의 정확한 형태를 도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좁히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휨과 연결이 용이한 경계블럭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계블럭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경계블럭들의 연결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을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을 곡선상태로 시공한 상태를 보이기 위한 사용상태 참고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계블럭의 사시도이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휨과 연결이 용이한 경계블럭(100)은,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양단에 형성되는 연결부(130)로 이루어지는 경계블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30)의 일측은 돌출턱(131)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턱(131)의 상단 중앙에 삽입돌기(131a)가 형성되도록 하며, 타측 연결구는 상기 돌출턱(131)에 대응하는 오목부(132)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132)의 하단 중앙에는 역시 삽입돌기(131a)에 대응하는 삽입홈(132a)이 형성되도록 하여 인접하는 경계블럭끼리 서로 대응하는 연결부(130)가 결합되어 연결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연결부(130)의 돌출턱(131)과 오목부(132)는 인접하여 연결된 경계블럭의 양단이 좌우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고, 상기 삽입돌기(131a)와 삽입홈(132a)은 전후로 서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또한 상기 본체(130)의 하부에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받침대(120)를 구비하되, 상기 받침대(120)와 받침대(120) 사이의 측판(140) 하단에는 절개부(141)가 형성되되 하나 이상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절개부(141)는 본 발명 경계블럭(100)의 곡선 시공시 쉽게 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상기 측판(140)에 절개부(141)가 형성됨으로 인해 절개부(141)가 형성된 부분은 다른 측판(140) 부분에 비해 취약한 상태가 되고, 따라서 상기 절개부(141) 휨에 취약한 상태가 되어 약간만 힘을 주더라도 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은 상기한 절개부(141) 외에도 다른 다양한 방법에 의해 본 발명 경계블럭을 휘게 시공할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를 예로 들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판(140)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오목홈(142)을 수직으로 형성하여 역시 다른 측판(140) 부분에 비해 휨에 취약한 상태를 만들어 약간의 힘만으로도 자연스럽게 휘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술 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들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00: 본 발명 경계블럭
110: 본체 120: 받침대
130: 연결부 131: 돌출턱
131a: 삽입돌기 132: 오목부
132a: 삽입홈
140: 측판

Claims (2)

  1. 측판을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양단에 형성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부의 일측은 돌출턱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턱의 상단 중앙에 삽입돌기가 형성되도록 하며, 타측 연결구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의 하단 중앙에는 삽입홈이 형성되도록 하여 인접하는 경계블럭끼리 각각 서로 대응하는 연결부가 결합되어 연결되는 경계블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부 내측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받침대가 측판을 지지하고 받침대와 받침대 사이는 빈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받침대와 받침대 사이의 측판 하단에 절개부가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절개부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다수개 형성되어 본체가 쉽게 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휨과 연결이 용이한 경계블럭.


  2. 삭제
KR1020140176173A 2014-12-09 2014-12-09 휨과 연결이 용이한 경계블럭 KR1016759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6173A KR101675954B1 (ko) 2014-12-09 2014-12-09 휨과 연결이 용이한 경계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6173A KR101675954B1 (ko) 2014-12-09 2014-12-09 휨과 연결이 용이한 경계블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9933A KR20160069933A (ko) 2016-06-17
KR101675954B1 true KR101675954B1 (ko) 2016-11-14

Family

ID=56343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6173A KR101675954B1 (ko) 2014-12-09 2014-12-09 휨과 연결이 용이한 경계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59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6546A (ko) 2018-02-09 2019-08-20 주식회사 대성피앤씨 시공편리성이 향상된 경계블럭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25250A (zh) * 2018-04-24 2018-10-09 凤阳县凤城建安预制厂 用于道路两侧或中间分隔带的拼接式路缘石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13676A (ja) * 2007-07-05 2009-01-22 Earth Kensetsu Consultant Kk 縁石ブロッ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3072U (ko) * 1996-06-04 1998-03-30 송영남 고분자수지 색채 경계블럭
KR100470981B1 (ko) * 2001-07-18 2005-03-08 (주)시명종합건축사사무소 토목 및 도로매설용 만곡성 보강 하수관용 거푸집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13676A (ja) * 2007-07-05 2009-01-22 Earth Kensetsu Consultant Kk 縁石ブロッ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6546A (ko) 2018-02-09 2019-08-20 주식회사 대성피앤씨 시공편리성이 향상된 경계블럭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9933A (ko) 2016-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87475B2 (en) Leveling and aligning device for installing tiles
KR101769884B1 (ko) 목재용 데크의 연결조립체
KR101531811B1 (ko) 장식판재 결합체를 구비한 옹벽패널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US20140260020A1 (en) Wedge-Lock Quoin Corner Assembly
US8950155B2 (en) Pool stair forms and methods of forming pool stairs
KR101151520B1 (ko) 금형틀에 의한 전면에 자연석재판이 장착된 패널의 제조방법
KR101675954B1 (ko) 휨과 연결이 용이한 경계블럭
KR20200007335A (ko) 붕괴 방지를 위한 조립식 블록구조체
JP2015527512A (ja) 構造ユニット及び位置決め部材
KR101805368B1 (ko) 지주용 프레임
CN107882292A (zh) 一种便于安装的砂塑地板
KR101471917B1 (ko) 바닥면 및 벽면 타일 지지장치
EP3192938B1 (en) Supporting system for raised floors and floor comprising said supporting system
JP5651559B2 (ja) 緑化舗装材
KR200396208Y1 (ko)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옹벽블록
KR101744295B1 (ko) 블록 조립체
KR200473316Y1 (ko) 측면 돌출부재를 갖는 기능성 블록
KR101650135B1 (ko) 탄성포장 시공용 틀
CN219312401U (zh) 一种组合式景观雕塑固定件
KR20180106537A (ko) 친환경적인 건축용 옹벽
KR20110109037A (ko) 인접구역간의 경계블록 설치가 용이한 가이드 패널
KR200297349Y1 (ko) 타일 부착형 보도블록 조립체
KR200340238Y1 (ko) 건축물 계단 마감재의 구조
KR200403161Y1 (ko) 실족 방지용 안전망
KR101199902B1 (ko) 도로경계석의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