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5902B1 - 피어―투―피어 네트워킹을 위한 대안적인 경로 구성 - Google Patents

피어―투―피어 네트워킹을 위한 대안적인 경로 구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5902B1
KR101675902B1 KR1020147012062A KR20147012062A KR101675902B1 KR 101675902 B1 KR101675902 B1 KR 101675902B1 KR 1020147012062 A KR1020147012062 A KR 1020147012062A KR 20147012062 A KR20147012062 A KR 20147012062A KR 101675902 B1 KR101675902 B1 KR 1016759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o technology
metric
communication
wireless device
pe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2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3005A (ko
Inventor
지빈 우
조지오스 트시르트시스
빈센트 디. 박
매튜 스코트 코슨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40083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3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5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59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정보가 제 1 라디오 기술을 사용하여 제 2 무선 디바이스와 피어-투-피어 통신을 통해 교환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이 제공된다.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라디오 기술에 관한 것이다. 또한, 제 2 무선 디바이스와의 피어-투-피어 통신을 위해 제 1 라디오 기술보다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라디오 기술 중 제 2 라디오 기술을 사용할지가 결정된다. 또한, 제 1 라디오 기술은 제 2 라디오 기술에 대한 제어 정보를 교환하도록 사용된다.

Description

피어―투―피어 네트워킹을 위한 대안적인 경로 구성{ALTERNATIVE PATH CONFIGURATION FOR PEER―TO―PEER NETWORKING}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통신 시스템들에 관한 것이며, 더 상세하게는, 피어-투-피어 네트워킹을 위한 대안적인 경로 구성에 관한 것이다.
피어-투-피어 네트워크에서, 서로 직접적으로 통신하는 라디오 디바이스들은 호환 가능한 라디오들을 사용하고, 그 라디오 기술의 호환 가능한 설정들에 따라 작동해야 한다. 무선 디바이스들에는 종종 상이한 액세스 기술들의 다수의 라디오들 또는 상이한 액세스 기술들 사이에서 스위칭할 수 있는 단일 인지(cognitive) 라디오가 설치된다. 액세스 기술들은 상이한 특성들을 갖는다. 액세스 기술들의 상이한 특성들을 최적화하기 위해, 피어-투-피어 네트워크들을 위한 대안적인 라디오 기술 경로 구성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양상에서, 제 1 무선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은 제 1 라디오 기술을 사용하여 피어-투-피어 통신을 통해 제 2 무선 디바이스와 정보를 교환하는 것을 포함한다.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라디오 기술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방법은 제 2 무선 디바이스와의 피어-투-피어 통신을 위해 제 1 라디오 기술보다는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라디오 기술 중 제 2 라디오 기술을 사용할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제 2 라디오 기술에 대한 제어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제 1 라디오 기술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1은 프로세싱 시스템을 사용하는 장치에 대한 하드웨어 구현의 예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무선 피어-투-피어 통신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3은 라디오 기술을 사용하는 설정 및 통신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복수의 라디오 기술들을 사용하는 예시적인 설정 및 통신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예시적인 방법을 예시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제 1 무선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제 2 무선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제 3 무선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는 예시적인 장치의 기능을 예시한 개념적인 블록도이다.
첨부 도면들과 관련하여 아래에 제시되는 상세한 설명은 다양한 구성들의 설명으로 의도되며, 본원에서 설명되는 개념들이 실시될 수 있는 구성들만을 나타내는 것으로 의도되는 것은 아니다. 상세한 설명은 다양한 개념들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할 목적으로 특정 세부사항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개념들이 이러한 특정 세부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도 있음이 당업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다. 어떤 경우들에는, 이러한 개념들을 모호하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잘 알려진 구조들 및 컴포넌트들은 블록도 형태로 도시된다.
이제 통신 시스템들의 여러 양상들이 다양한 장치 및 방법들을 참조하여 제시될 것이다. 이러한 장치 및 방법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될 것이며 첨부 도면에서 (집합적으로 "엘리먼트들"로 지칭되는) 다양한 블록들, 모듈들, 컴포넌트들, 회로들, 단계들, 프로세스들, 알고리즘들 등으로 예시될 것이다. 이러한 엘리먼트들은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엘리먼트들이 하드웨어로 구현되는지 아니면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지는 전체 시스템에 부과된 설계 제약들 및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의존한다.
예로서, 엘리먼트나 엘리먼트의 임의의 부분 또는 엘리먼트들의 임의의 조합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들의 예들은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마이크로컨트롤러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digital signal processor)들, 필드 프로그래밍 가능한 게이트 어레이(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들, 프로그래밍 가능한 논리 디바이스(PLD: programmable logic device)들, 상태 머신들, 게이티드(gated) 논리, 이산 하드웨어 회로들, 및 본 발명 전반에 걸쳐 설명되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다른 적당한 하드웨어를 포함한다. 프로세싱 시스템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하드웨어 디스크립션 언어 또는 다른 방식으로 지칭되든지 간에, 명령들, 명령 세트들, 코드, 코드 세그먼트들,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들, 서브프로그램들, 소프트웨어 모듈들, 애플리케이션들,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 소프트웨어 패키지들, 루틴들, 서브루틴들, 객체들, 실행 가능물(executable)들, 실행 스레드들, 프로시저들, 함수들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광범위하게 해석되어야 한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 상에 상주할 수 있다.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일 수 있다. 비-일시적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는, 예로서, 자기 저장 디바이스(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자기 스트립), 광 디스크(예를 들어, 콤팩트 디스크(CD: compact disk),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digital versatile disk)), 스마트 카드,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예를 들어, 카드, 스틱, 키 드라이브),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판독 전용 메모리(ROM: read only memory), 프로그래밍 가능한 ROM(PROM: programmable ROM), 소거 가능한 PROM(EPROM: erasable PROM),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한 PROM(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M), 레지스터, 제거 가능 디스크, 및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및 판독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명령들을 저장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당한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세싱 시스템 내에 상주하거나, 프로세싱 시스템 외부에 있을 수도 있고, 또는 프로세싱 시스템을 포함하는 다수의 엔티티들에 걸쳐 분산될 수도 있다.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프로그램 물건에 구현될 수 있다. 예로서, 컴퓨터-프로그램 물건은 패키징 재료들에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된다면, 이 기능들은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 상에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저장 또는 인코딩될 수 있다.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들은 컴퓨터 저장 매체들을 포함한다. 저장 매체들은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이용 가능한 매체들일 수 있다. 한정이 아닌 예시로, 이러한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들은 RAM, ROM, EEPROM, CD-ROM이나 다른 광 디스크 스토리지, 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또는 다른 자기 스토리지 디바이스들, 또는 명령들이나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전달 또는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디스크(disk 및 disc)는 콤팩트 디스크(CD: compact disc), 레이저 디스크(laser disc), 광 디스크(optical disc),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digital versatile disc),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 및 블루-레이 디스크(Blu-ray disc)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disk)들은 보통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는 한편, 디스크(disc)들은 데이터를 레이저들을 사용하여 광학적으로 재생한다. 상기의 조합들은 또한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들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당업자들은 전체 시스템에 부과된 전체 설계 제약들 및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본 발명 전반에 제시되는 설명되는 기능을 어떻게 최상으로 구현할지를 인식할 것이다.
도 1은 프로세싱 시스템(114)을 이용하는 장치(100)에 대한 하드웨어 구현의 예를 예시한 개념도이다. 프로세싱 시스템(114)은 일반적으로 버스(102)로 표현되는 버스 아키텍처로 구현될 수 있다. 버스(102)는 프로세싱 시스템(114)의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설계 제약들에 따라 임의의 수의 상호 접속 버스들 및 브리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버스(102)는 일반적으로 프로세서(104)로 표현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및/또는 하드웨어 모듈들, 그리고 일반적으로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106)로 표현되는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회로들을 함께 링크한다. 버스(102)는 또한, 해당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그리고 이에 따라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타이밍 소스들, 주변 장치들, 전압 조정기들 및 전력 관리 회로들과 같은 다양한 다른 회로들을 링크할 수 있다. 버스 인터페이스(108)는 버스(102)와 트랜시버(110)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트랜시버(110)는 전송 매체를 통해 다양한 다른 장치들과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프로세서(104)는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106)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의 실행을 포함하여, 버스(102)의 관리 및 일반 프로세싱을 담당한다. 소프트웨어는 프로세서(104)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싱 시스템(114)으로 하여금 임의의 특정 장치에 대해 아래에 설명되는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게 한다.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106)는 또한 소프트웨어 실행시 프로세서(104)에 의해 조작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예시적인 피어-투-피어 통신 시스템(200)의 도면이다. 피어-투-피어 통신 시스템(200)은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들(206, 208, 210, 212)을 포함한다. 피어-투-피어 통신 시스템(200)은 예를 들어, WWAN(wireless wide area network)과 같은 셀룰러 통신 시스템과 중첩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들(206, 208, 210, 212) 중 일부는 피어-투-피어 통신으로 함께 통신할 수 있고, 일부는 기지국(204)과 통신할 수 있으며, 일부는 두 가지 모두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디바이스들(206, 208)은 피어-투-피어 통신 중이고, 무선 디바이스들(210, 212)은 피어-투-피어 통신 중이다. 무선 디바이스(212)는 또한 기지국(204)과 통신하고 있다.
무선 디바이스는 대안으로 당업자들에 의해 사용자 장비(UE: user equipment), 이동국, 가입자국, 모바일 유닛, 가입자 유닛, 무선 유닛, 무선 노드, 원격 유닛, 모바일 디바이스, 무선 통신 디바이스, 원격 디바이스, 모바일 가입자국, 액세스 단말, 모바일 단말, 무선 단말, 원격 단말, 핸드셋, 사용자 에이전트, 모바일 클라이언트, 클라이언트, 또는 몇몇의 다른 적당한 전문용어로 지칭될 수도 있다. 기지국은 대안으로 당업자들에 의해 액세스 포인트, 기지국 트랜시버, 라디오 기지국, 라디오 트랜시버, 트랜시버 기능, 기본 서비스 세트(BSS: basic service set), 확장 서비스 세트(ESS: extended service set), 노드 B, 이벌브드 노드 B, 또는 몇몇의 다른 적당한 전문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아래에서 논의되는 예시적인 장치들과 방법들은, 예를 들어, IEEE 802.11 표준에 기초한 Wi-Fi, FlashLinQ, WiMedia, 블루투스, 또는 지그비(ZigBee)에 기초하는 무선 피어-투-피어 통신 시스템과 같은 다양한 무선 피어-투-피어 통신 시스템들 중 임의의 시스템에 적용 가능하다. 논의를 간단히 하기 위해, 예시적인 방법들 및 장치는 FlashLinQ의 맥락에서 논의될 수 있다. 그러나, 당업자는 예시적인 방법들과 장치들이 보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다른 무선 피어-투-피어 통신 시스템들에 적용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3은 Wi-Fi 라디오 기술을 사용하는 설정 및 통신을 예시한 도면(300)이다. 2 개의 무선 디바이스들이 피어-투-피어 접속을 함께 설정하기를 원할 때, 라디오 기술이 보통 사용된다. 예를 들면, 무선 디바이스들(302, 304)은 Wi-Fi 라디오들(305)을 사용하여 피어-투-피어 접속을 설정할 수 있다. Wi-Fi 다이렉트 규격은 설정 절차가 Wi-Fi 라디오 통신을 통해 발생할 것을 요구한다. 이로써, Wi-Fi 접속을 설정하기 위해, 무선 디바이스들(302, 304)은 Wi-Fi 라디오 기술을 사용하여 디바이스 발견(306), 서비스 발견(308), 및 인증 및 그룹 소유자 선출 프로세스(310)에 참여한다. 일단 Wi-Fi 접속이 설정되면, 무선 디바이스들(302, 304)은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다(312).
라디오들이 보통 PHY(physical) 및 MAC(medium access control) 파라미터들(예를 들면, 채널, 전송 전력 등)의 매우 많은 다양한 설정들에 따라 작동하기 때문에, 라디오 경로 설정(306-310)을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하는 것은 모든 가능한 채널들의 동적 스캐닝 및 데이터 레이트, 액세스 타이밍 및 다른 PHY 및 MAC 파라미터들의 협상을 종종 요구한다. 그러한 프로세스는, 양자의 라디오들이 잘 정의된 표준 절차를 따를 때조차 시간-소모적이고, 많은 배터리 전력을 사용한다. 또한, 새로운 피어-투-피어 접속을 위한 어떠한 기존의 보안 설정도 없다면, 피어-투-피어 그룹 협상들 및 네트워크 형성은 다양한 종류들의 공격에 노출될 수 있다. 또한, 무선 디바이스들(302, 304)이 실현 가능한 통신 범위 내에 있지 않기 때문에, 설정 시도가 간단히 실패할 수 있다. 이로써, 무선 디바이스들(302, 304)이 서로를 발견하고 라디오 링크를 설정하고 피어-투-피어 그룹을 형성하는 것이 문제가 될 수 있다.
도 4는 복수의 라디오 기술들을 사용하는 예시적인 설정 및 통신을 예시한 도면(400)이다. FlashLinQ, WiMedia, Bluetooth, ZigBee 및 Wi-Fi와 같은 라디오 액세스 기술들은 접속을 설정하는 것의 효율, 발견 성능, 전력 사용, 보안, 비용 및 다른 성능 특성들에 관련하여 상이한 특성들을 갖는다. 예시적인 방법에 따라, 무선 디바이스들(402, 404)은 서로를 발견하고(410), 제 1 라디오 기술(406)을 사용하여 접속 설정(412)을 수행한다. 이어서, 이용 가능한 다수의 액세스 기술들의 상이한 특성들 중 적어도 하나를 최적화하기 위해, 무선 디바이스들(402, 404)은 피어-투-피어 통신에 사용하기 위해 제 2 라디오 기술(408)에 관한 정보를, 제 1 라디오 기술(406)을 통해, 교환한다. 이어서, 무선 디바이스들(402, 404)은 피어-투-피어 데이터 전송(418)을 위해 제 1 라디오 기술(406)보다 제 2 라디오 기술(408)을 사용할지를 결정한다. 무선 디바이스들(402, 404)이 피어-투-피어 데이터 전송(418)을 위해 제 1 라디오 기술(406)보다 제 2 라디오 기술(408)을 사용하기로 결정하면, 무선 디바이스(402, 404)는 제 1 라디오 기술(406)을 사용하여 제 2 라디오 기술을 통한 대안적인 경로를 구성한다(414). 제 2 라디오 기술을 통한 대안적인 경로를 구성하기 위해, 무선 디바이스들(402, 404)은 제 2 라디오 기술(408)에 대한 PHY 계층 파라미터들, MAC 계층 파라미터들, 네트워크 계층 파라미터들 및/또는 보안 파라미터들을 교환한다. 이어서, 무선 디바이스들(402, 404)은 피어-투-피어 데이터 전송(418)을 위해 제 2 라디오 기술(408)을 준비하기 위해 교환된 파라미터들로 제 2 라디오 기술(408)을 구성한다(416). 이후에, 무선 디바이스들(402, 404)은 피어 디바이스 발견 및 제 2 라디오 기술(408)에 대해 보통 요구되는 접속 파라미터 협상을 수행하지 않고 제 2 라디오 기술(408)을 통해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다(418).
예는 대안적인 경로 구성을 최상으로 보여준다. 무선 디바이스들 각각이 FlashLinQ 라디오 및 Wi-Fi 라디오를 갖는다고 가정하라. 접속을 설정하는 것의 효율, 발견 성능, 전력 사용, 보안 및/또는 다른 성능 이점들에 기초하여, 무선 디바이스들(402, 404)은 피어 발견(410) 및 접속 설정(412)을 위해 Wi-Fi 라디오들보다는 자신들의 FlashLinQ 라디오들을 사용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자신들의 FlashLinQ 라디오들을 사용하여 피어 발견(410) 및 접속 설정(412)을 실시한 후에, 무선 디바이스들(402, 404)은, 자신들 각각이 Wi-Fi 라디오를 갖는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이어서, 무선 디바이스들(402, 404)은 자신들이 현재 접속을 갖는 자신들의 FlashLinQ 라디오들보다 피어-투-피어 데이터 전송(418)을 위해 자신들의 Wi-Fi 라디오들을 사용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들(402, 404)은 자신들의 FlashLinQ 라디오들을 사용하기 위한 제 1 메트릭 및 자신들의 Wi-Fi 라디오들을 사용하기 위한 제 2 메트릭을 결정한다. 이어서, 무선 디바이스들은 제 1 및 제 2 메트릭들의 비교에 기초하여 피어-투-피어 데이터 전송(418)을 위해 자신들의 FlashLinQ 라디오들보다 자신들의 Wi-Fi 라디오들을 사용할지를 결정한다. 제 1 및 제 2 메트릭들은 무선 액세스 기술들의 성능, 스루풋, 전력 사용, 보안, 비용 또는 다른 특성들에 관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메트릭들은 라디오 액세스 기술들 각각을 사용하기 위한 비용과 연관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들(402, 404)은, 자신들의 FlashLinQ 라디오들을 사용하는 것보다 자신들의 Wi-Fi 라디오들을 사용하는 것이 데이터를 통신하기 위한 비용이 더 적을 때, 자신들의 Wi-Fi 라디오들을 사용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대해, 제 1 메트릭은 FlashLinQ 라디오의 하나 이상의 성능 특성들과 연관될 수 있고, 제 2 메트릭은 Wi-Fi 라디오의 하나 이상의 성능 특성들과 연관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들(402, 404)은, 제 1 및 제 2 메트릭들의 비교가 자신들의 Wi-Fi 라디오들을 통한 피어-투-피어 데이터 전송이 자신들의 FlashLinQ 라디오들을 통한 피어-투-피어 데이터 전송보다 더 양호한 성능을 가질 것이라는 것을 나타낼 때, 자신들의 Wi-Fi 라디오들을 사용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메트릭들이 비용과 연관될 때, 비용은 통신된 바이트들에 대해 에어-링크 운영자에 의해 과금되는 비용과 같이 금전적(monetary)일 수 있다. 비용은 또한 라디오 액세스 기술의 다양한 성능 특성들(예를 들면, 전력 사용 또는 1/스루풋)과 같이 비-금전적인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비용은 또한 금전적 및 비-금전적인 것 모두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비용은 금전적 비용 및 비-금전적 비용들의 가중된 함수일 수 있다. 또한, 무선 디바이스들(402, 404)은, 모든 공통 라디오 액세스 기술들 중 하나로 바꾸기로 선택하기 전에 실현 가능성, 비용, 스루풋, 보안, 전력 사용, 또는 다른 성능 특성들에 대해 그 공통 라디오 액세스 기술들을 고려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은 다수의 라디오 액세스 기술들의 사용은 FlashLinQ와 같이, 강건하고 자동화된 발견 특징을 갖는 제 1 라디오 기술이 제 2 라디오 기술을 통한 대안적인 라디오 경로의 발견 및 설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제어 계획을 설정하도록 허용할 것이다. 제 1 라디오 기술을 사용하여 2 개의 피어들 간의 보안 링크를 먼저 설정함으로써, 제 2 라디오 기술에서 보통 발생할 모든 네이티브(native) 협상들 및 다른 제어 시그널링이 전송을 위해 제 1 라디오 기술로 이동될 수 있다. 예시적인 방법은 많은 이점들을 갖는다. 첫째, 바람직한 채널/주파수 설정들이 대역외 수단에 의해 이미 결정되기 때문에, 제 2 라디오 기술로 인한 너무 긴 디바이스 발견 단계(phase)가 회피될 수 있다. 둘째, 제 2 라디오 기술의 라디오 접속이 비현실적이거나 불안정한 위험들(pitfalls)이 회피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범위 추정은, 디바이스들이 제 2 라디오 기술의 통신 범위 내에 있을 때에만, 제 2 라디오 기술의 링크 설정이 발생하게 안내될 수 있도록 기존의 라디오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실시될 수 있다. 간섭 또는 다른 이유들로 발생되는 원하지 않는 스펙트럼이 배제될 수 있다. 셋째, 제 1 라디오 기술은 더 양호한 보안을 제공할 수 있고, 따라서 디바이스 발견 및 접속 설정을 위해 사용하기에 더 양호할 수 있다. 넷째, 제 2 라디오 기술의 라디오 도메인에서 피어-투-피어 네트워크 형성은, 대역내 시그널링을 처리하기에 보통 불편하거나 불가능한 제어 계획에서의 광범위한 협상들을 통해 모든 수반되는 디바이스들에 의해 공동으로 최적화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다수의 라디오 기술들은 전체 통신 성능의 최적화 및 라디오 기술들 각각의 다양한 성능 이점들 및/또는 비용 절감들의 이용에 기초하여 무결절로(seamlessly)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예시적인 방법을 예시하기 위한 도면(500)이다. 무선 디바이스들(502, 504)에는 제 1 라디오 기술 및 제 2 라디오 기술 모두가 설치된다. 제 1 라디오 기술은 제 2 라디오 기술보다 더 큰 통신 범위를 갖는다. 무선 디바이스들(502, 504)은 제 2 라디오 기술을 통해 통신하고자 할 수 있지만, 무선 디바이스들(502, 504)이 그들 사이의 거리(d1)로 인해 범위 내에 있지 않기 때문에, 무선 디바이스들(502, 504)은 제 1 라디오 기술을 사용하여 발견, 접속 설정 및 제어 정보 교환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들(502, 504)이 제 1 라디오 기술의 범위 내에는 있지만 제 2 라디오 기술의 범위 외부에 계속해서 있다면, 무선 디바이스들(502, 504)은 제 1 라디오 기술을 통해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다. 그러나, 무선 디바이스들(502, 504)이 그들 사이의 거리(d2)로 인해 제 2 라디오 기술의 범위 내로 이동하면, 무선 디바이스들(502, 504)은 교환된 제어 정보로 제 2 라디오 기술을 구성하고, 제 2 라디오 기술을 통해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들(502, 504)이 제 2 라디오 기술의 통신 범위 내에 있지 않지만 미래의 언젠가 제 2 라디오 기술의 통신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예상할 때, 무선 디바이스들(502, 504)은 설정 및 제어 정보 교환을 위해 제 1 라디오 기술을 사용하고, 통신 범위 내에서 한 번 제 2 라디오 기술을 사용하는 것으로 스위칭할 수 있다. 이로써, 무선 디바이스들(502, 504)은, 제 1 통신 범위가 그들 사이의 현재 거리(d1)보다 더 크고 제 2 통신 범위가 그들 사이의 현재 거리(d1)보다 더 작을 때 자신들의 제 1 라디오 기술을 사용하여 정보를 교환할 수 있고, 무선 디바이스들(502, 504)은 제 2 통신 범위가 무선 디바이스들(502, 504) 사이의 미래의 거리(d2)보다 더 클 것이라고 예상한다.
도 6은 제 1 무선 통신 방법의 흐름도(600)이다. 상기 방법은 제 1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무선 디바이스는 관심있는 피어들을 발견하기 위해 제 1 라디오 기술의 발견 서비스를 사용한다(602). 제 2 무선 디바이스를 발견한 후에, 제 1 무선 디바이스는 제 1 라디오 기술을 통해 제 2 무선 디바이스와 통신 세션을 설정한다(604). 제 1 무선 디바이스는 대안적인 라디오 경로에 대한 다른 이용 가능한 라디오 기술들을 결정하기 위해 제 2 무선 디바이스와 통신한다(606). 제 1 무선 디바이스는 다른 라디오 기술들을 사용하는 것의 실현 가능성(예를 들면, 범위 내에 있는지, 비용, 스루풋, 효율, 전력 사용 및/또는 다른 성능 특성들)을 결정하고, 대안적인 라디오 경로에 대한 제 2 라디오 기술을 선택하기 위해 제 2 무선 디바이스와 통신한다(608). 일단 제 2 라디오 기술이 선택되면, 제 1 무선 디바이스는 제 2 라디오 기술의 구성 파라미터들을 교환하기 위해 제 2 무선 디바이스와 통신한다(610). 구성 파라미터들은, 제 2 라디오 기술을 통해 피어 디바이스 발견 및 접속 파라미터 협상을 수행하지 않고 제 2 라디오 기술이 사용되도록 허용한다. 일단 접속이 제 2 라디오 기술을 통해 설정되면, 제 1 무선 디바이스는 제 2 라디오 기술을 통해 트래픽 링크를 설정한다(612). 이어서, 제 1 무선 디바이스는 트래픽을 제 1 라디오 기술로부터 제 2 라디오 기술로 이동시키고, 제 1 라디오 기술을 통한 접속을 드롭한다(614). 단계들(608, 610, 612, 614)은 다양한 다른 라디오 기술들을 사용하여 반복될 수 있다.
도 7은 제 2 무선 통신 방법의 흐름도(700)이다. 상기 방법은 제 1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된다. 상기 방법에 따라, 제 1 무선 디바이스는 제 1 라디오 기술을 사용하여 제 2 무선 디바이스와 피어-투-피어 통신을 통해 정보를 교환한다(702).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라디오 기술에 관한 것이다(702). 제 1 무선 디바이스는, 제 1 라디오 기술을 통해 제 2 무선 디바이스와 피어 발견을 실시하고, 제 1 라디오 기술을 통해 제 2 무선 디바이스와의 피어-투-피어 통신 링크를 형성하고,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라디오 기술에 대한 정보를 교환함으로써, 제 1 라디오 기술을 사용하여 제 2 무선 디바이스와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제 1 무선 디바이스는 제 2 무선 디바이스와의 피어-투-피어 통신을 위해 제 1 라디오 기술보다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라디오 기술 중 제 2 라디오 기술을 사용할지를 결정한다(704). 제 1 무선 디바이스는 제 2 라디오 기술에 대한 제어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제 1 라디오 기술을 사용한다(706). 제어 정보는 제 2 라디오 기술에 대한 PHY 계층 파라미터들, MAC 계층 파라미터들, 네트워크 계층 파라미터들, 또는 보안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 1 무선 디바이스는 교환된 제어 정보를 사용하여 제 2 라디오 기술을 구성한다(708). 제 1 무선 디바이스는, 제 2 라디오 기술에 대한 제어 정보를 교환할 때, 제 1 라디오 기술을 통한 제 2 무선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종결한다(710). 제 1 무선 디바이스는 제 2 라디오 기술을 통해 제 2 무선 디바이스와 통신한다(712).
도 8은 제 3 무선 통신 방법의 흐름도(800)이다. 상기 방법은 제 1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된다. 상기 방법에 따라, 제 1 무선 디바이스는, 제 1 라디오 기술을 사용하기 위한 제 1 메트릭을 결정하고(802), 제 2 라디오 기술을 사용하기 위한 제 2 메트릭을 결정하고(804), 제 1 및 제 2 메트릭들에 기초하여 제 2 라디오 기술을 사용할지를 결정(806)함으로써, 단계(704)에서 제 2 라디오 기술을 사용할지를 결정한다. 일 구성에서, 제 1 메트릭은 제 1 라디오 기술을 사용하기 위한비용이고, 제 2 메트릭은 제 2 라디오 기술을 사용하기 위한 비용이고, 제 2 라디오 기술은 제 2 메트릭이 제 1 메트릭보다 더 적을 때 사용되는 것으로 결정된다. 일 구성에서, 제 1 메트릭은 제 1 라디오 기술의 적어도 하나의 성능 특성에 기초하고, 제 2 메트릭은 제 2 라디오 기술의 적어도 하나의 성능 특성에 기초하고, 제 1 메트릭 및 제 2 메트릭의 비교가 제 2 라디오 기술이 제 1 라디오 기술보다 더 양호한 성능을 가질 것이라는 것을 나타낼 때, 제 2 라디오 기술이 사용되도록 결정된다. 일 구성에서, 제 1 메트릭은 제 1 라디오 기술을 사용하는 통신의 제 1 데이터 전송 레이트이고, 제 2 메트릭은 제 2 라디오 기술을 사용하는 통신의 제 2 데이터 전송 레이트이고, 제 2 메트릭이 제 1 메트릭보다 더 클 때, 제 2 라디오 기술이 사용되도록 결정된다. 일 구성에서, 제 1 무선 디바이스 및 제 2 무선 디바이스가 거리만큼 분리되고, 제 1 라디오 기술은 제 1 통신 범위를 갖고, 제 2 라디오 기술은 제 1 통신 범위보다 더 작은 제 2 통신 범위를 갖고, 제 2 통신 범위가 상기 거리보다 더 클 때 제 2 라디오 기술이 사용되도록 결정된다. 그러한 구성에서, 제 1 통신 범위가 상기 거리보다 더 크고 제 2 통신 범위가 상기 거리보다 더 작고, 제 1 무선 디바이스는 제 2 통신 범위가 제 1 및 제 2 무선 디바이스들 사이의 미래의 거리보다 더 클 것이라고 예상할 때, 제 1 무선 디바이스는 제 1 라디오 기술을 사용하여 제 2 무선 디바이스와 정보를 교환한다.
도 9는 예시적인 장치(100)의 기능을 예시한 개념적인 블록도(900)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디바이스(212)와 같은 무선 디바이스일 수 있는 장치(100)는 제 1 라디오 기술을 사용하여 제 2 무선 디바이스와 피어-투-피어 통신을 통해 정보를 교환하는 모듈(902)을 포함한다.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라디오 기술에 관한 것이다. 장치(100)는 제 2 무선 디바이스와의 피어-투-피어 통신을 위해 제 1 라디오 기술보다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라디오 기술 중 제 2 라디오 기술을 사용할지를 결정하는 모듈(904)을 더 포함한다. 장치(100)는 제 2 라디오 기술에 대한 제어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제 1 라디오 기술을 사용하는 모듈(906)을 더 포함한다. 장치(100)는 상술된 흐름도들 내의 단계들 각각을 수행하는 부가적인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상술된 흐름도들 내의 각각의 단계는 모듈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장치(100)는 이러한 모듈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하나의 구성에서,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100)는 제 1 라디오 기술을 사용하여 제 2 장치와 피어-투-피어 통신을 통해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라디오 기술에 관한 것이다. 장치(100)는 제 2 장치와의 피어-투-피어 통신을 위해 제 1 라디오 기술보다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라디오 기술 중 제 2 라디오 기술을 사용할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한다. 장치(100)는 제 2 라디오 기술에 대한 제어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제 1 라디오 기술을 사용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한다. 일 구성에서, 제 2 라디오 기술을 사용할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제 1 라디오 기술을 사용하기 위한 제 1 메트릭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제 2 라디오 기술을 사용하기 위한 제 2 메트릭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제 1 및 제 2 메트릭들에 기초하여 제 2 라디오 기술을 사용할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장치(100)는 교환된 제어 정보를 사용하여 제 2 라디오 기술을 구성하기 위한 수단, 제 2 라디오 기술에 대한 제어 정보를 교환할 때 제 1 라디오 기술을 통한 제 2 장치와의 통신을 종결하기 위한 수단, 및 제 2 라디오 기술을 통해 제 2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된 수단은 상술된 수단에 의해 언급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싱 시스템(114)이다.
개시된 프로세스들의 단계들의 특정 순서 또는 계층 구조가 예시적인 접근 방식들의 예시인 것이 이해된다. 설계 선호들을 기초로, 프로세스들의 단계들의 특정 순서 또는 계층 구조가 재배열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첨부한 방법 청구항들은 다양한 단계들의 엘리먼트들을 예시적인 순서로 제시하며, 제시된 특정 순서 또는 계층 구조로 한정되는 것으로 여겨지는 것은 아니다.
상기 설명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임의의 자가 본원에서 설명된 다양한 양상들을 실시할 수 있게 하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양상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이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쉽게 명백할 것이며, 본원에 정의된 일반 원리들은 다른 양상들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청구항들은 본원에 도시된 양상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의도되는 것이 아니라 청구항 문언과 일치하는 최대 범위에 따르는 것이며, 여기서 엘리먼트에 대한 단수 언급은 구체적으로 그렇게 언급하지 않는 한 "하나 및 단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는 것이 아니라, 그보다는 "하나 이상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구체적으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일부"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을 지칭한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알려진 또는 나중에 알려지게 될 본 개시 전반에 걸쳐 설명된 다양한 양상들의 엘리먼트들에 대한 모든 구조적 그리고 기능적 등가물들은 인용에 의해 본원에 명백히 포함되며, 청구항들에 의해 포괄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또한, 본원에 개시된 내용은, 청구항들에 이러한 개시 내용이 명시적으로 기재되어 있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공중이 사용하도록 의도되는 것은 아니다. 청구항 엘리먼트가 명백히 "~을 위한 수단"이라는 문구를 사용하여 언급되거나, 방법 청구항의 경우에는 엘리먼트가 "~을 위한 단계"라는 문구를 사용하여 언급되지 않는 한, 어떠한 청구항 엘리먼트도 35 U.S.C.§112 6항의 조항들 하에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Claims (40)

  1. 제 1 무선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제 1 라디오 기술을 사용하여 제 2 무선 디바이스와 피어-투-피어 통신을 통해 정보를 교환하는 단계 ― 상기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라디오 기술에 관한 것이고, 상기 제 1 무선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는 거리만큼 분리되고, 상기 제 1 라디오 기술은 제 1 통신 범위를 갖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라디오 기술 중 제 2 라디오 기술은 상기 제 1 통신 범위보다 더 작은 제 2 통신 범위를 가짐― ,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와의 피어-투-피어 통신을 위해 상기 제 1 라디오 기술보다 상기 제 2 라디오 기술을 사용할지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 2 라디오 기술은 상기 제 2 통신 범위가 상기 거리보다 더 클 때 사용되도록 결정됨 ―, 및
    상기 제 2 라디오 기술에 대한 제어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상기 제 1 라디오 기술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 1 무선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라디오 기술을 사용할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라디오 기술을 사용하기 위한 제 1 메트릭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2 라디오 기술을 사용하기 위한 제 2 메트릭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메트릭 및 제 2 메트릭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라디오 기술을 사용할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 1 무선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트릭은 상기 제 1 라디오 기술을 사용하기 위한 비용이고,
    상기 제 2 메트릭은 상기 제 2 라디오 기술을 사용하기 위한 비용이고,
    상기 제 2 라디오 기술은, 상기 제 2 메트릭이 상기 제 1 메트릭보다 더 적을 때 사용되도록 결정되는,
    제 1 무선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트릭은 상기 제 1 라디오 기술의 적어도 하나의 성능 특성에 기초하고,
    상기 제 2 메트릭은 상기 제 2 라디오 기술의 적어도 하나의 성능 특성에 기초하고,
    상기 제 2 라디오 기술은, 상기 제 1 메트릭 및 상기 제 2 메트릭의 비교가 상기 제 2 라디오 기술이 상기 제 1 라디오 기술보다 더 양호한 성능을 가질 것이라는 것을 나타낼 때, 사용되도록 결정되는,
    제 1 무선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트릭은 상기 제 1 라디오 기술을 사용하는 통신의 제 1 데이터전송 레이트이고,
    상기 제 2 메트릭은 상기 제 2 라디오 기술을 사용하는 통신의 제 2 데이터 전송 레이트이고,
    상기 제 2 라디오 기술은, 상기 제 2 메트릭이 상기 제 1 메트릭보다 더 클 때 사용되도록 결정되는,
    제 1 무선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라디오 기술을 사용하여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와 정보를 교환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통신 범위가 상기 거리보다 더 크고, 상기 제 2 통신 범위가 상기 거리보다 더 작고, 상기 제 1 무선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통신 범위가 상기 제 1 무선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 간의 미래의 거리보다 더 클 것이라고 예상할 때, 발생하는,
    제 1 무선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라디오 기술을 사용하여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와 정보를 교환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라디오 기술을 통해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와 피어 발견을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 1 무선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교환된 제어 정보는 상기 제 2 라디오 기술에 대한 PHY(physical) 계층 파라미터들, MAC(media access control) 계층 파라미터들, 네트워크 계층 파라미터들, 또는 보안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 1 무선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된 제어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제 2 라디오 기술을 구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라디오 기술에 대한 상기 제어 정보를 교환할 때, 상기 제 1 라디오 기술을 통한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종결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라디오 기술을 통해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 1 무선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
  11.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제 1 라디오 기술을 사용하여 제 2 장치와 피어-투-피어 통신을 통해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라디오 기술에 관한 것이고, 상기 장치 및 상기 제 2 장치는 거리만큼 분리되고, 상기 제 1 라디오 기술은 제 1 통신 범위를 갖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라디오 기술 중 제 2 라디오 기술은 상기 제 1 통신 범위보다 더 작은 제 2 통신 범위를 가짐 ― ,
    상기 제 2 장치와의 피어-투-피어 통신을 위해 상기 제 1 라디오 기술보다 상기 제 2 라디오 기술을 사용할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제 2 라디오 기술은 상기 제 2 통신 범위가 상기 거리보다 더 클 때 사용되도록 결정됨 ―, 및
    상기 제 2 라디오 기술에 대한 제어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상기 제 1 라디오 기술을 사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라디오 기술을 사용할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제 1 라디오 기술을 사용하기 위한 제 1 메트릭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 2 라디오 기술을 사용하기 위한 제 2 메트릭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제 1 메트릭 및 제 2 메트릭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라디오 기술을 사용할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트릭은 상기 제 1 라디오 기술을 사용하기 위한 비용이고,
    상기 제 2 메트릭은 상기 제 2 라디오 기술을 사용하기 위한 비용이고,
    상기 제 2 라디오 기술은, 상기 제 2 메트릭이 상기 제 1 메트릭보다 더 적을 때 사용되도록 결정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트릭은 상기 제 1 라디오 기술의 적어도 하나의 성능 특성에 기초하고,
    상기 제 2 메트릭은 상기 제 2 라디오 기술의 적어도 하나의 성능 특성에 기초하고,
    상기 제 2 라디오 기술은, 상기 제 1 메트릭 및 상기 제 2 메트릭의 비교가 상기 제 2 라디오 기술이 상기 제 1 라디오 기술보다 더 양호한 성능을 가질 것이라는 것을 나타낼 때, 사용되도록 결정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트릭은 상기 제 1 라디오 기술을 사용하는 통신의 제 1 데이터전송 레이트이고,
    상기 제 2 메트릭은 상기 제 2 라디오 기술을 사용하는 통신의 제 2 데이터 전송 레이트이고,
    상기 제 2 라디오 기술은, 상기 제 2 메트릭이 상기 제 1 메트릭보다 더 클 때 사용되도록 결정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6. 삭제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라디오 기술을 사용하여 상기 제 2 장치와 정보를 교환하는 것은, 상기 제 1 통신 범위가 상기 거리보다 더 크고, 상기 제 2 통신 범위가 상기 거리보다 더 작고, 상기 장치는, 상기 제 2 통신 범위가 상기 장치와 상기 제 2 장치 간의 미래의 거리보다 더 클 것이라고 예상할 때 발생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라디오 기술을 사용하여 상기 제 2 장치와 정보를 교환하는 것은, 상기 제 1 라디오 기술을 통해 상기 제 2 장치와 피어 발견을 실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9. 제 11 항에 있어서,
    교환된 제어 정보는 상기 제 2 라디오 기술에 대한 PHY(physical) 계층 파라미터들, MAC(media access control) 계층 파라미터들, 네트워크 계층 파라미터들, 또는 보안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된 제어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제 2 라디오 기술을 구성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 2 라디오 기술에 대한 상기 제어 정보를 교환할 때, 상기 제 1 라디오 기술을 통한 상기 제 2 장치와의 통신을 종결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제 2 라디오 기술을 통해 상기 제 2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1.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프로세싱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제 1 라디오 기술을 사용하여 제 2 장치와 피어-투-피어 통신을 통해 정보를 교환하고 ― 상기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라디오 기술에 관한 것이고, 상기 장치 및 상기 제 2 장치는 거리만큼 분리되고, 상기 제 1 라디오 기술은 제 1 통신 범위를 갖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라디오 기술 중 제 2 라디오 기술은 상기 제 1 통신 범위보다 더 작은 제 2 통신 범위를 가짐 ― ,
    상기 제 2 장치와의 피어-투-피어 통신을 위해 상기 제 1 라디오 기술보다 상기 제 2 라디오 기술을 사용할지를 결정하고 ― , 상기 제 2 라디오 기술은 상기 제 2 통신 범위가 상기 거리보다 더 클 때 사용되도록 결정됨 ―, 및
    상기 제 2 라디오 기술에 대한 제어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상기 제 1 라디오 기술을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라디오 기술을 사용할지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상기 제 1 라디오 기술을 사용하기 위한 제 1 메트릭을 결정하고,
    상기 제 2 라디오 기술을 사용하기 위한 제 2 메트릭을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제 1 메트릭 및 제 2 메트릭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라디오 기술을 사용할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트릭은 상기 제 1 라디오 기술을 사용하기 위한 비용이고,
    상기 제 2 메트릭은 상기 제 2 라디오 기술을 사용하기 위한 비용이고,
    상기 제 2 라디오 기술은, 상기 제 2 메트릭이 상기 제 1 메트릭보다 더 적을 때 사용되도록 결정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트릭은 상기 제 1 라디오 기술의 적어도 하나의 성능 특성에 기초하고,
    상기 제 2 메트릭은 상기 제 2 라디오 기술의 적어도 하나의 성능 특성에 기초하고,
    상기 제 2 라디오 기술은, 상기 제 1 메트릭 및 상기 제 2 메트릭의 비교가 상기 제 2 라디오 기술이 상기 제 1 라디오 기술보다 더 양호한 성능을 가질 것이라는 것을 나타낼 때, 사용되도록 결정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트릭은 상기 제 1 라디오 기술을 사용하는 통신의 제 1 데이터전송 레이트이고,
    상기 제 2 메트릭은 상기 제 2 라디오 기술을 사용하는 통신의 제 2 데이터 전송 레이트이고,
    상기 제 2 라디오 기술은, 상기 제 2 메트릭이 상기 제 1 메트릭보다 더 클 때 사용되도록 결정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6. 삭제
  27.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라디오 기술을 사용하여 상기 제 2 장치와 정보를 교환하는 것은, 상기 제 1 통신 범위가 상기 거리보다 더 크고, 상기 제 2 통신 범위가 상기 거리보다 더 작고, 상기 장치는, 상기 제 2 통신 범위가 상기 장치와 상기 제 2 장치 간의 미래의 거리보다 더 클 것이라고 예상할 때, 발생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8.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라디오 기술을 사용하여 상기 제 2 장치와 정보를 교환하는 것은, 상기 제 1 라디오 기술을 통해 상기 제 2 장치와 피어 발견을 실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9. 제 21 항에 있어서,
    교환된 제어 정보는 상기 제 2 라디오 기술에 대한 PHY(physical) 계층 파라미터들, MAC(media access control) 계층 파라미터들, 네트워크 계층 파라미터들, 또는 보안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상기 교환된 제어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제 2 라디오 기술을 구성하고,
    상기 제 2 라디오 기술에 대한 상기 제어 정보를 교환할 때, 상기 제 1 라디오 기술을 통한 상기 제 2 장치와의 통신을 종결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라디오 기술을 통해 상기 제 2 장치와 통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31. 제 1 무선 디바이스 내의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로서,
    제 1 라디오 기술을 사용하여 제 2 무선 디바이스와 피어-투-피어 통신을 통해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코드 ― 상기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라디오 기술에 관한 것이며, 상기 제 1 무선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는 거리만큼 분리되고, 상기 제 1 라디오 기술은 제 1 통신 범위를 갖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라디오 기술 중 제 2 라디오 기술은 상기 제 1 통신 범위보다 더 작은 제 2 통신 범위를 가짐 ― ,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와의 피어-투-피어 통신을 위해 상기 제 1 라디오 기술보다 상기 제 2 라디오 기술을 사용할지를 결정하기 위한 코드 ― 상기 제 2 라디오 기술은 상기 제 2 통신 범위가 상기 거리보다 더 클 때 사용되도록 결정됨 ―, 및
    상기 제 2 라디오 기술에 대한 제어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상기 제 1 라디오 기술을 사용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제 1 무선 디바이스 내의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라디오 기술을 사용할지를 결정하기 위한 코드는,
    상기 제 1 라디오 기술을 사용하기 위한 제 1 메트릭을 결정하기 위한 코드,
    상기 제 2 라디오 기술을 사용하기 위한 제 2 메트릭을 결정하기 위한 코드, 및
    상기 제 1 메트릭 및 제 2 메트릭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라디오 기술을 사용할지를 결정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제 1 무선 디바이스 내의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트릭은 상기 제 1 라디오 기술을 사용하기 위한 비용이고,
    상기 제 2 메트릭은 상기 제 2 라디오 기술을 사용하기 위한 비용이고,
    상기 제 2 라디오 기술은, 상기 제 2 메트릭이 상기 제 1 메트릭보다 더 적을 때 사용되도록 결정되는,
    제 1 무선 디바이스 내의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
  34.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트릭은 상기 제 1 라디오 기술의 적어도 하나의 성능 특성에 기초하고,
    상기 제 2 메트릭은 상기 제 2 라디오 기술의 적어도 하나의 성능 특성에 기초하고,
    상기 제 2 라디오 기술은, 상기 제 1 메트릭 및 상기 제 2 메트릭의 비교가 상기 제 2 라디오 기술이 상기 제 1 라디오 기술보다 더 양호한 성능을 가질 것이라는 것을 나타낼 때, 사용되도록 결정되는,
    제 1 무선 디바이스 내의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
  35.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트릭은 상기 제 1 라디오 기술을 사용하는 통신의 제 1 데이터전송 레이트이고,
    상기 제 2 메트릭은 상기 제 2 라디오 기술을 사용하는 통신의 제 2 데이터 전송 레이트이고,
    상기 제 2 라디오 기술은, 상기 제 2 메트릭이 상기 제 1 메트릭보다 더 클 때 사용되도록 결정되는,
    제 1 무선 디바이스 내의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
  36. 삭제
  37.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라디오 기술을 사용하여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와 정보를 교환하는 것은, 상기 제 1 통신 범위가 상기 거리보다 더 크고, 상기 제 2 통신 범위가 상기 거리보다 더 작고, 상기 제 1 무선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통신 범위가 상기 제 1 무선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 간의 미래의 거리보다 더 클 것이라고 예상할 때, 발생하는,
    제 1 무선 디바이스 내의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
  38.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라디오 기술을 사용하여 제 2 무선 디바이스와 정보를 교환하는 것은, 상기 제 1 라디오 기술을 통해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와 피어 발견을 실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 1 무선 디바이스 내의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
  39. 제 31 항에 있어서,
    교환된 제어 정보는 상기 제 2 라디오 기술에 대한 PHY(physical) 계층 파라미터들, MAC(media access control) 계층 파라미터들, 네트워크 계층 파라미터들, 또는 보안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 1 무선 디바이스 내의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는,
    상기 교환된 제어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제 2 라디오 기술을 구성하기 위한 코드,
    상기 제 2 라디오 기술에 대한 상기 제어 정보를 교환할 때, 상기 제 1 라디오 기술을 통한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종결하기 위한 코드, 및
    상기 제 2 라디오 기술을 통해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하는,
    제 1 무선 디바이스 내의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
KR1020147012062A 2011-10-03 2012-10-03 피어―투―피어 네트워킹을 위한 대안적인 경로 구성 KR1016759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252,018 US8838031B2 (en) 2011-10-03 2011-10-03 Alternative path configuration for peer-to-peer networking
US13/252,018 2011-10-03
PCT/US2012/000495 WO2013052130A1 (en) 2011-10-03 2012-10-03 Alternative path configuration for peer-to-peer network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3005A KR20140083005A (ko) 2014-07-03
KR101675902B1 true KR101675902B1 (ko) 2016-11-14

Family

ID=47178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2062A KR101675902B1 (ko) 2011-10-03 2012-10-03 피어―투―피어 네트워킹을 위한 대안적인 경로 구성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838031B2 (ko)
EP (1) EP2764730B1 (ko)
JP (1) JP5932046B2 (ko)
KR (1) KR101675902B1 (ko)
CN (1) CN103858488B (ko)
IN (1) IN2014CN02017A (ko)
WO (1) WO20130521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28204B2 (en) * 2012-08-24 2018-07-17 Blackberry Limited Supporting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in a rich communication service context
KR20140124304A (ko) * 2013-04-16 2014-10-24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9843995B2 (en) * 2013-05-15 2017-12-1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metrics for merging with a neighborhood aware network
US9596602B2 (en) * 2013-05-21 2017-03-14 Intel Corporation Elastic communication network
US10154402B2 (en) 2013-07-10 2018-12-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iscovery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protocol stack architecture for the same
KR102020350B1 (ko) * 2013-07-19 2019-09-10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이동통신시스템에서 d2d 통신을 지원/사용하는 단말기의 이동성을 지원하는 방안
WO2015050544A1 (en) * 2013-10-02 2015-04-09 Bodhi Technology Ventures Llc Cloud phone notifications
CN104754763B (zh) 2013-12-30 2019-10-22 索尼公司 用于调整终端到终端资源分配的方法、基站和用户设备
KR102036686B1 (ko) * 2014-07-11 2019-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을 선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0743255B2 (en) 2014-07-25 2020-08-11 Apple Inc. Power optimization modes for communication between device and server
EP2983441A1 (en) * 2014-08-08 2016-02-10 Alcatel Lucent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KR20160018244A (ko) 2014-08-08 2016-02-17 주식회사 아이티엘 D2d 통신을 위한 d2d 데이터 자원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US9775186B2 (en) 2014-08-08 2017-09-26 Innovative Technology Lab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2D data based on resource pattern
CN110740435B (zh) * 2018-07-18 2023-04-07 北京小米松果电子有限公司 点对点通信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JP7282634B2 (ja) 2019-08-22 2023-05-29 積水成型工業株式会社 防音畳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14230A (ja) * 2004-06-29 2006-01-12 Toshiba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端末
JP2008543163A (ja) 2005-05-26 2008-11-27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通信ノードならびに少なくとも一つのリンクに対する少なくとも一つのメトリックおよび該メトリックに対するセンシティビティ・パラメータを計算することにより通信ネットワーク中のトラヒックをルーティングする方法
US20100128695A1 (en) 2008-11-24 2010-05-27 Qualcomm Incorporated Air interface selection between nodes in peer-to-peer/ad-hoc networks
JP2010534422A (ja) 2007-07-06 2010-11-04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ピア・ツー・ピアタイミング構造に関する同期化に関連する通信方法及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101460A1 (en) * 1997-02-14 2004-01-30 Canon Kk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JP2003332963A (ja) * 2002-05-17 2003-11-21 Toshiba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装置
JP4092692B2 (ja) 2003-06-06 2008-05-28 ソニー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7545784B2 (en) * 2004-02-11 2009-06-09 Yahoo! Inc.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previously known and unknown users
US7697893B2 (en) * 2004-06-18 2010-04-13 Nokia Corporation Techniques for ad-hoc mesh networking
CN1798019A (zh) * 2004-12-29 2006-07-05 国际商业机器公司 用于在私有网络中共享媒体内容的方法、系统和装置
US20080311912A1 (en) 2007-06-15 2008-12-18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selection based on application requirements and preferences
US8130747B2 (en) * 2007-08-06 2012-03-06 Blue Coat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of traffic inspection and stateful connection forwarding among geographically dispersed network appliances organized as clusters
KR101344760B1 (ko) * 2008-04-30 2013-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시스템 정보 블럭 송수신 방법및 장치
US8891557B2 (en) * 2008-05-21 2014-11-1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information via selection of resources used for transmission
US8169931B2 (en) * 2008-05-21 2012-05-01 Airhop Communic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base stations and their provisioning, management, and networking
KR101191369B1 (ko) * 2008-06-24 2012-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식별 방법 및 장치
KR101381776B1 (ko) * 2008-08-13 2014-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페이징 방법 및 장치
US8509785B2 (en) * 2008-09-23 2013-08-1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rrangements in a cellular network with femtocells
US8812013B2 (en) 2008-10-27 2014-08-19 Microsoft Corporation Peer and composite localization for mobile applications
JP2010136216A (ja) * 2008-12-05 2010-06-17 Olympus Imaging Corp 携帯機器
US9900779B2 (en) 2008-12-30 2018-02-20 Qualcomm Incorporated Centralized control of peer-to-peer communication
US8706113B2 (en) 2009-04-14 2014-04-22 Cisco Technology, Inc. Interworking function for communication networks
US8750178B2 (en) 2009-06-01 2014-06-10 Qualcomm Incorporated Connection manager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101615116B1 (ko) * 2009-07-13 2016-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펨토 셀 또는 피코셀을 위한 프리코딩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
KR101565619B1 (ko) * 2009-07-22 2015-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의 세션 전환 방법 및 장치
US9091746B2 (en) * 2010-07-01 2015-07-28 Qualcomm Incorporated Determination of positions of wireless transceivers to be added to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EP2453711B1 (en) * 2010-11-15 2015-06-03 NTT DoCoMo, Inc. Method for assigning frequency subbands to a plurality of interfering nod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ontroller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8909747B2 (en) * 2011-02-24 2014-12-09 Alcatel Lucent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lization in peer-to-peer system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14230A (ja) * 2004-06-29 2006-01-12 Toshiba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端末
JP2008543163A (ja) 2005-05-26 2008-11-27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通信ノードならびに少なくとも一つのリンクに対する少なくとも一つのメトリックおよび該メトリックに対するセンシティビティ・パラメータを計算することにより通信ネットワーク中のトラヒックをルーティングする方法
JP2010534422A (ja) 2007-07-06 2010-11-04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ピア・ツー・ピアタイミング構造に関する同期化に関連する通信方法及び装置
US20100128695A1 (en) 2008-11-24 2010-05-27 Qualcomm Incorporated Air interface selection between nodes in peer-to-peer/ad-hoc networ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838031B2 (en) 2014-09-16
EP2764730A1 (en) 2014-08-13
US20130084914A1 (en) 2013-04-04
JP2015504255A (ja) 2015-02-05
JP5932046B2 (ja) 2016-06-08
CN103858488A (zh) 2014-06-11
CN103858488B (zh) 2018-07-13
EP2764730B1 (en) 2017-08-16
IN2014CN02017A (ko) 2015-05-29
KR20140083005A (ko) 2014-07-03
WO2013052130A1 (en) 2013-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5902B1 (ko) 피어―투―피어 네트워킹을 위한 대안적인 경로 구성
JP7206399B2 (ja) ネットワークアクセス制御方法並びにそ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電子機器
TWI559788B (zh) 在無線通訊裝置中針對多重用戶身份再使用無線電路之方法及設備
TWI583238B (zh) 支援用於無線通信裝置之多個用戶身分之平行通信之方法及設備
TWI586121B (zh) 用以管理用於無線通訊器件中多用戶身份之資料連結的方法及裝置
TWI571085B (zh) 用於在一無線通訊器件中支援多重用戶識別的方法與設備
EP2484173B1 (en) Wlan peer-to-peer group owner negotiation
US8554970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reating a wireless docking group
CA2911210C (en) Method and terminal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 connection
JP2021114768A (ja) チャネル測定と測定結果報告の方法及び装置
JP2014504065A (ja) ダイレクトリンク接続のためのプローブメッセージング
JP6225260B2 (ja) ユーザーイクイップメントによりワイヤレス・フィディリティ(Wi−Fi)にアクセスする方法およびWi−Fiアクセスポイント
CN106576292B (zh) 用于在无线lan系统中扫描接入点的方法和设备
CN104956761A (zh) 使用nfc的wi-fi直连服务方法及其设备
CN104221467A (zh) 无线通信设备及在设备间形成对等(p2p)无线连接的方法
KR101688556B1 (ko) 다중모드 사용자 장비의 서비스 구축 방법, 장치, 및 시스템
EP2723114B1 (en) Method and devices for negotiating algorithms of machine type communication device group
JP2022104925A (ja) サービング周波数測定のためのビーム報告設定
EP3817437B1 (en) Establishment of communication links between a base station with a function of configuring a network and another base station, as well as notification to a control apparatus
US2021030638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Security Protection Mode
CN104254145A (zh) 一种基于wlan的直接通信建立方法及装置
EP2595433B1 (en) Method and system for network-centric discovering of points of attachement to the network for mobile devices within networks having plural access points
US20220417725A1 (en) Method and system for sensor data type identification in a nb-iot network
CN108174422B (zh) 高低频切换方法、配置终端的方法及装置
JP5518237B2 (ja) 通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