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5806B1 - 선박용 방음도어 - Google Patents

선박용 방음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5806B1
KR101675806B1 KR1020160030054A KR20160030054A KR101675806B1 KR 101675806 B1 KR101675806 B1 KR 101675806B1 KR 1020160030054 A KR1020160030054 A KR 1020160030054A KR 20160030054 A KR20160030054 A KR 20160030054A KR 101675806 B1 KR101675806 B1 KR 101675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mounting
door
walls
doo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0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영우
강종린
정해영
Original Assignee
휴먼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먼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휴먼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30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58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5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58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2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insulation against noi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63B2019/0053Locking means for ports, doors, windows, covers, or the like, e.g. providing for watertight closure when locked
    • B63B2704/00
    • B63B2707/00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1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for ship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2003/7046Door leaves with provisions for locks, hinges or other fit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몸체의 각 벽체 사이에 설치된 상태로 장착 공간을 제공하는 두 장착하우징; 상기 두 장착하우징 간의 대향면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두 장착하우징의 공기 유로를 따라 개방되도록 형성된 장착허브와, 상기 장착허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장착허브를 개폐하는 개폐판과, 상기 두 벽체의 외부로 각각 노출되게 위치되면서 상기 개폐판의 회전 조작을 위한 두 조작핸들과, 상기 두 조작핸들과 개폐판을 연동시키는 연동부로 이루어진 배압 조절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방음도어가 제공되며, 이를 통해 기관실 내외의 압력 차이를 간단한 수동 조작에 의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조작 정도의 조절 및 조작 상태로의 유지가 가능하며, 또한 강도의 확보는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전체적인 무게의 감소를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선박용 방음도어{sound absorbing door}
본 발명은 방음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수동 조작에 의해 실내외의 압력 차이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여 원활한 개폐가 가능하며, 또한 전체적인 무게의 절감을 이룰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선박용 방음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기관실은 엔진 구동에 필요한 외부 공기를 유입할 수 있도록 구성됨과 더불어 이렇게 엔진 구동에 사용된 공기는 다시금 외부로 배출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선박의 기관실은 화재 발생시 연기나 화염이 기관실 외부로 번짐을 방지할 수 있어야 함과 더불어 선박의 침수 발생시 물이 기관실 내부로 유입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밀폐도어로 제공되며, 더욱이 기관실 내의 엔진 구동에 따른 소음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방음 기능을 갖는 방음도어로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기관실 내부에 구비되는 발전기의 동작에 의해 해당 기관실은 항상 음압 상태를 이룰 뿐만 아니라 화재 등의 발생시에는 기관실 내로의 질소가스 제공에 의해 더욱 큰 음압 상태를 이루게 됨으로써 실외와의 압력 차이가 크게 발생되며, 이로 인해 상기 기관실을 개폐하는 방음도어가 기밀을 유지하면서 기관실을 폐쇄한 상태에서는 상기 기관실 내부의 배압에 의해 쉽게 열리지 못하였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방음도어에 배압 조절 장치를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방음도어의 개방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이에 관련하여는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9379호, 등록특허 제10-1148018호, 등록특허 제10-1324111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다.
하지만,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배압 조절 장치의 경우 모두 실내(기관실 내부)에서만 조작 가능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실외(기관실 외부)에서 실내(기관실 내부)로 진입하는 것이 어려웠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방음도어는 실내측 표면 혹은, 실외측 표면에 설치되는 당김손잡이의 체결 부위로 인해 단순히 박판으로 형성할 경우 기밀을 유지하기 어려웠을 뿐만 아니라 강도도 약할 수밖에 없어서 통상적으로 방음도어 전체를 단일의 블럭으로 성형하였으며, 이에 따라 전체적인 방음도어의 무게가 극히 무겁다는 문제점이 추가로 발생되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9379호 등록특허 제10-1148018호 등록특허 제10-1324111호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관실 내외의 압력 차이를 간단한 수동 조작에 의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조작 정도의 조절 및 조작 상태로의 유지가 가능하며, 또한 강도의 확보는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전체적인 무게의 감소를 이룰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선박용 방음도어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선박용 방음도어는 서로 이격된 상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실내측 벽체 및 실외측 벽체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상기 각각의 벽체에는 실내외를 관통하는 실내측 연통공 및 실외측 연통공이 각각 형성된 도어몸체; 상기 도어몸체에 구비되면서 해당 도어몸체의 잠금 및 잠금 해제를 위한 조작 부위로 제공되는 잠금용 조작손잡이; 상기 도어몸체의 각 연통공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관체로 형성되면서 실외와 실내를 연통하는 장착하우징; 상기 장착하우징 내의 공간을 가로막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장착하우징 내를 개폐하는 개폐판과, 상기 두 벽체의 외부로 각각 노출되게 위치되면서 상기 개폐판의 회전 조작을 위한 두 조작핸들과, 상기 두 조작핸들의 회전 조작에 따라 상기 개폐판을 회전시키는 연동부로 이루어진 배압 조절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배압 조절어셈블리의 두 조작핸들은 도어몸체를 관통하는 연결샤프트의 양 끝단에 연결되면서 서로 동일 방향으로 동시에 회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배압 조절어셈블리를 이루는 연동부는 상기 개폐판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상기 장착하우징을 관통하여 상기 연결샤프트의 인접 부위에 이르기까지 연장된 회전샤프트와, 상기 회전샤프트의 끝단에 고정 설치되면서 둘레면을 따라 기어잇이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진 웜휠과, 상기 연결샤프트의 둘레면에 고정되면서 상기 연결샤프트와 함께 회전되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외주면으로는 연결샤프트의 축 방향을 따라 나선형의 돌기가 돌출 되면서 상기 웜휠의 기어잇에 맞물리도록 이루어진 웜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내측 벽체의 연통공 및 실외측 벽체의 연통공에는 중앙으로 갈수록 점차 외향 돌출되는 돔 형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표면에는 다수의 슬롯이 관통 형성되어 이루어진 덮개그릴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두 벽체의 외면에 각각 설치되면서 도어몸체의 개폐를 위한 당김 부위로 제공되는 두 당김손잡이와, 상기 두 벽체 사이 중 상기 두 당김손잡이 사이에 위치되면서 상기 두 당김손잡이와 두 벽체 간의 볼팅 결합에 의해 발생되는 틈새를 차단하면서도 해당 부위의 강도 보강을 위한 강도보강용 블럭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며, 상기 강도보강용 블럭은 상기 두 당김손잡이와의 볼팅 체결을 체결 부위를 제공함과 더불어 상기 체결 부위를 벗어난 중앙측 부위는 개방된 구조의 원형 링 혹은, 다각형 링 구조의 블럭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어몸체를 이루는 실내측 벽체 및 실외측 벽체 사이에 하나 혹은, 둘 이상 복수의 강도보강용 브라켓이 더 구비되고, 상기 강도보강용 브라켓은 상기 실내측 벽체 및 실외측 벽체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됨과 그의 양측 끝단은 상기 실내측 벽체 내면 및 실외측 벽체 내면에 각각 밀착되도록 절곡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방음도어는 기관실 내의 배압 조절이 조작핸들의 간단한 회전 조작에 의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조작 정도의 조절이 가능하면서도 이러한 조절된 조작 상태로의 유지가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선박의 상황에 따른 사용이 가능하게 된 효과를 가진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방음도어는 복수의 강도보강용 브라켓에 대한 제공을 통해 도어몸체의 실내측 벽체와 실외측 벽체에 대한 강도 보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당김손잡이의 설치 부위에는 강도보강용 블럭이 추가로 설치됨으로써 해당 부위에 대한 강도의 보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도 무게를 최소화하는 구조를 통해 선박용 방음도어 전체의 무게 경감을 이룰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방음도어를 실내에서 본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방음도어를 실내에서 본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방음도어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방음도어 중 배압 조절어셈블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상태도
도 6은 도 3의 “B”부 확대도
도 7은 도 3의 “B”부 확대도 중 개폐판의 조작이 이루어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태도
도 8은 도 6의 “C”부 확대도
도 9는 도 6의 “D”부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방음도어의 당김손잡이에 대한 설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선박용 방음도어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방음도어를 실내에서 본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방음도어를 실내에서 본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배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방음도어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방음도어는 크게 도어몸체(100)와, 잠금용 조작손잡이(200)와, 장착하우징(310,320)과, 배압 조절어셈블리(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특히 상기 배압 조절어셈블리(400)는 두 조작핸들(430,440) 중 어느 한 조작핸들의 회전 조작에 의해 장착허브(41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면서 기관실 내부와 기관실 외부와의 배압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상기 도어몸체(100)는 선박용 방음도어의 외관을 형성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도어몸체(100)는 서로 이격된 상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금속재의 실내측 벽체(110) 및 실외측 벽체(120)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전체적인 무게의 저감을 이룰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실내측 벽체(110)에는 실내측 연통공(111)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실외측 벽체(120)에는 실외측 연통공(121)이 형성되면서 기관실 내외의 공간이 서로 연통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도어몸체(100)에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외의 관측이 가능하면서도 공기나 압력의 누설은 방지하도록 기밀하게 설치되는 관찰윈도우(130)가 추가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관찰윈도우(130)는 대략 사람의 눈높이 정도(지면으로부터 150~170cm 사이의 위치)에 구비되면서 기관실 내외의 상황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방음도어의 경우 전체가 금속 재질의 중량물로 이루어짐을 고려할 때 기관실 밖에 여타 선원이나 사람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내에서 실외의 상황 확인이 되지 못하여 방음도어를 순간적으로 개방하게 될 경우 상기 실외에 위치한 선원의 안전사고가 야기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상기 관찰윈도우(130)의 제공을 통해 기관실 내외의 서로 간의 상황 확인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잠금용 조작손잡이(200)는 도어몸체(100)의 폐쇄시 잠금 및 잠금 해제를 위한 조작 부위이다.
이러한 잠금용 조작손잡이(200)는 첨부된 도 1에서와 같이 젖힘식 구조로 제공됨과 더불어 도어몸체(100)의 실내측 벽체(110)와 실외측 벽체(120)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구비되면서 해당 도어몸체(100)의 상측 및 하측의 잠금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장착하우징(310,320)은 실외와 실내를 연통하면서 후술될 배압 조절밸브의 설치를 위한 부위이다.
이와 같은 장착하우징(310,320)은 도어몸체(100)의 실내측 벽체(110)에 설치되는 실내측 장착하우징(310) 및 도어몸체(100)의 실외측 벽체(120)에 장착되는 실외측 장착하우징(320)으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두 장착하우징(310,320)은 상기 각 벽체(110,120)에 형성된 연통공(111,121)에 각각 설치됨과 더불어 서로 나란히 위치된 상태로 서로의 대향면이 맞닿도록 배치되면서 상기 각 벽체(110,120) 사이의 여타 부위로부터 차단된 단일의 공기 유로를 제공하도록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한 두 장착하우징(310,320)의 서로 맞닿는 부위(301,302)는 여타 부위에 비해 확장된 장착 공간(301a,302a)을 각각 제공하도록 절곡 형성된다. 이에 대하여는 첨부된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다.
또한, 상기 실외측 벽체(120)의 외면 및 실내측 벽체(110)의 외면에는 상기 각 장착하우징(310,320)이 각 벽체(110,120)에 고정되도록 체결하기 위한 고정림(311,321)이 각각 구비된다.
이와 함께, 상기 고정림(311,321)의 외벽면에는 중앙으로 갈수록 점차 외향 돌출되는 돔 형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표면에는 다수의 슬롯(331)이 관통 형성되어 이루어진 덮개그릴(330)이 더 구비된다. 이러한 덮개그릴(330)은 공기 및 압력은 통과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각종 이물질이나 동물 혹은, 사람 등의 침입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상기 배압 조절어셈블리(400)는 방음도어에 의해 폐쇄되는 기관실 내부의 압력과 기관실 외부의 압력을 동일하게 유지시켜 상기 방음도어의 개방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부위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압 조절어셈블리(400)는 간단한 수동 조작에 의해 원활히 동작될 수 있으면서도 조작 정도의 조절 및 조작 상태로의 유지가 가능하도록 장착허브(410)와, 개폐판(420)과, 조작핸들(430,440) 및 연동부(45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장착허브(410)는 상기 두 장착하우징(310,320) 간의 대향면 사이에 고정 설치되는 부위로써, 상기 두 장착하우징(310,320)의 공기 유로를 따라 개방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개폐판(420)은 상기 장착허브(410) 내의 공간을 가로막는 원판형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장착허브(410) 내에서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장착허브(410)를 개폐하는 부위이다.
또한, 상기 조작핸들(430,440)은 상기 개폐판(420)의 회전 조작을 위한 부위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조작핸들(430,440)이 두 개로 제공됨과 더불어 그 각각은 실내측 벽체(110) 및 실외측 벽체(120)의 외부로 각각 노출되게 위치되면서 실내 및 실외 모두에서 배압 조절을 위한 조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제시하며, 이를 위해 상기 두 조작핸들(430,440)은 도어몸체(100)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연결샤프트(460)의 양 끝단에 연결되면서 서로 동일 방향으로 동시에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동부(450)는 상기 두 조작핸들(430,440) 중 적어도 어느 한 조작핸들의 회전 조작에 따라 상기 개폐판(420)을 회전시키는 부위로써, 상기 개폐판(420)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상기 장착허브(410)를 관통하여 상기 연결샤프트(460)의 인접 부위에 이르기까지 연장된 회전샤프트(451)와, 상기 회전샤프트(451)의 끝단에 고정 설치되면서 둘레면을 따라 기어잇이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진 웜휠(worm wheel)(452)과, 상기 연결샤프트(460)의 둘레면에 고정되면서 상기 연결샤프트(460)와 함께 회전되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외주면으로는 연결샤프트(460)의 축 방향을 따라 나선형의 돌기가 돌출 되면서 상기 웜휠(452)의 기어잇에 맞물리도록 이루어진 웜(worm)(45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압 조절어셈블리는 실내에 위치되는 조작핸들(430) 혹은, 실외에 위치되는 조작핸들(440) 중 적어도 어느 한 조작핸들의 회전 조작에 의해 개폐판(420)이 동작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배압 조절이 실내나 실외 중 어느 곳에서든지 상관없이 수행될 수 있고, 또한 조작핸들(430,440)의 회전량만큼 개폐판(420)이 회전됨에 따라 장착허브(410)의 개방량에 대한 조절이 가능하면서도 조작핸들(430,440)의 조작 중단시에도 이렇게 조절된 개방량의 유지가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방음도어에는 당김손잡이(50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제시한다.
상기 당김손잡이(500)는 방음도어의 개폐를 위한 당김 부위로 제공되는 부위이며, 도어몸체(100)를 이루는 실내측 벽체(110)의 외면(실내측 벽면) 및 실외측 벽체(120)의 외면(실외측 벽면)에 각각 고정 설치된다. 즉, 방음도어의 개방시 잠금용 조작손잡이(200)를 이용한 잠금 해제를 수행한 후 상기 당김손잡이(500)로써 상기 방음도어를 개방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두 당김손잡이(500)는 상기 각 벽체(110,120)에 볼팅 체결되면서 그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상기한 볼팅 체결의 경우는 볼트의 체결을 위한 체결공(101)의 형성으로 인해 틈새가 발생되는데, 이러한 틈새를 통해서는 기관실 내의 압력 누설이 발생되어 기관실 내의 엔진 구동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또한 두 당김손잡이(500)의 조작시 상기 볼팅 체결 부위로는 도어몸체(100)를 개방할 수 있을 정도의 힘이 제공됨에 따라 해당 부위의 휨 변형과 같은 손상이나 볼트가 빠져버리는 등의 문제점이 우려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첨부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두 벽체(110,120) 사이 중 상기 두 당김손잡이(500) 사이에 상기 두 당김손잡이(500)와 두 벽체(110,120) 간의 볼팅 결합에 의해 발생되는 틈새를 차단하면서도 해당 부위의 강도 보강을 위한 강도보강용 블럭(600)이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추가로 제시한다.
특히, 상기 강도보강용 블럭(600)은 상기 두 당김손잡이(500)와의 볼팅 체결 부위를 제공함과 더불어 상기 체결 부위를 벗어난 중앙측 부위는 개방된 구조의 원형 링 혹은, 다각형 링 구조의 블럭으로 형성되도록 함을 제시한다. 즉, 상기 강도보강용 블럭(600)을 이용하여 상기 당김손잡이(500)가 결합된 부위에 대한 강도를 보강하면서도 전체적인 방음도어의 무게 증가는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어몸체(100)를 이루는 실내측 벽체(110) 및 실외측 벽체(120) 사이에 하나 혹은, 둘 이상 복수의 강도보강용 브라켓(140)이 더 구비되면서 상기 도어몸체(100)의 각 부위에 대한 변형 방지를 위한 강도의 보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을 추가로 제시한다.
이와 같은 강도보강용 브라켓(140)은 상기 실내측 벽체(110) 및 실외측 벽체(120)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됨과 그의 양측 끝단은 상기 실내측 벽체(110) 내면 및 실외측 벽체(120) 내면에 각각 밀착되도록 절곡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특히나 관찰윈도우(130)가 위치되는 부위와 같이 두 벽체(110,120) 내에 여타의 충전물(예컨대, 방음재 등)을 충전할 수 없는 부위의 주변에 각각 구비되면서 해당 부위에 대한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한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방음도어에 대한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방음도어가 닫힌 상태로 엔진이 동작되는 일반적인 운행 상황에서는 첨부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압 조절어셈블리(400)를 이루는 개폐판(420)이 장착허브(410)를 폐쇄하도록 그 위치가 조절된 상태로 유지된다.
즉, 이러한 일반 운행 상황에서는 기관실 내부가 기관실 외부와는 완전히 폐쇄된 공간을 이루면서 이 기관실 내에서 발생되는 소음이나 각종 연기 등이 기관실 외부로 누출됨이 방지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일반적 운행 상황에서 필요에 따라 기관실 내로의 들어가고자 하거나 혹은, 기관실 내로부터 나오고자 할 경우에는 배압 조절어셈블리(400)를 이루는 조작핸들(430,440)을 조작하여 기관실 외부 공간과 기관실 내부 공간이 장착하우징(310,320)을 통해 연통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관실 내의 배압을 해소시킨다.
즉, 기관실 내부 혹은, 기관실 외부에 위치된 두 조작핸들(430,440) 중 어느 한 조작핸들을 회전시키게 되면 이러한 조작핸들의 회전에 의해 연결샤프트(460)가 회전되고, 상기 연결샤프트(460)의 회전에 의해 이 연결샤프트(460)의 웜(453)에 맞물린 웜휠(452)이 회전되면서 회전샤프트(451) 역시 회전되며, 이로써 상기 회전샤프트(451)에 고정된 개폐판(420)이 회전되면서 첨부된 도 7과 같이 장착허브(410)를 개방시킴에 따라 장착하우징(310,320)을 통한 기관실 내부 및 기관실 외부의 두 공간이 서로 연통되면서 각 공간 간의 압력 차이를 해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조작핸들(430,440)은 도어몸체(100)의 실내측 벽체(110)와 실외측 벽체(120) 모두에 각각 구비되기 때문에 선원의 위치에 상관없이 배압 조절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한 배압 조절은 조작핸들(430,440)의 조작 정도에 따라 달리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소리의 누출을 최소화하면서 기관실 내의 배압을 천천히 해소시키거나 혹은, 소리의 누출이 상관없이 기관실 내의 배압을 빠르게 해소시키는 등의 선택이 가능하다.
그리고, 전술된 바와 같은 배압 조절이 이루어진 이후에는 잠금용 조작손잡이(200)의 조작을 통해 잠금을 해제한 상태로 관찰윈도우(130)를 통해 실내외의 상황을 확인하면서 당김손잡이(500)를 이용하여 방음도어를 개방시킨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방음도어는 기관실 내의 배압 조절이 조작핸들(430,440)의 간단한 회전 조작에 의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조작 정도의 조절이 가능하면서도 이러한 조절된 조작 상태로의 유지가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선박의 상황에 따른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방음도어는 복수의 강도보강용 브라켓(140)에 대한 제공을 통해 도어몸체(100)의 실내측 벽체(110)와 실외측 벽체(120)에 대한 강도 보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당김손잡이(500)의 설치 부위에는 강도보강용 블럭(600)이 추가로 설치됨으로써 해당 부위에 대한 강도의 보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도 무게를 최소화하는 구조를 통해 선박용 방음도어 전체의 무게 경감을 이룰 수 있게 된다.
100. 도어몸체 101. 체결공
110. 실내측 벽체 111. 실내측 연통공
120. 실외측 벽체 121. 실외측 연통공
130. 관찰윈도우 140. 강도보강용 브라켓
200. 잠금용 조작손잡이 310,320. 장착하우징
311,321. 고정림 330. 덮개그릴
331. 슬롯 400. 배압 조절어셈블리
410. 장착허브 420. 개폐판
430,440. 조작핸들 450. 연동부
451. 회전샤프트 452. 웜휠
453. 웜 460. 연결샤프트
500. 당김손잡이 600. 강도보강용 블럭

Claims (5)

  1. 서로 이격된 상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실내측 벽체(110) 및 실외측 벽체(120)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상기 각각의 벽체(110,120)에는 실내외를 관통하는 실내측 연통공(111) 및 실외측 연통공(121)이 각각 형성된 도어몸체(100);
    상기 도어몸체(100)에 구비되면서 해당 도어몸체(100)의 잠금 및 잠금 해제를 위한 조작 부위로 제공되는 잠금용 조작손잡이(200);
    상기 도어몸체(100)의 각 벽체(110,120)에 형성된 각 연통공(111,121)에 각각 설치됨과 더불어 서로는 나란히 위치된 상태로 서로의 대향면이 맞닿도록 배치되면서 각 벽체(110,120) 사이의 여타 부위로부터 차단된 단일의 공기 유로를 제공하며, 상기 서로 맞닿도록 배치된 부위(301,302)는 여타 부위에 비해 확장된 장착 공간(301a,302a)을 제공하도록 절곡 형성된 두 장착하우징(310,320);
    상기 실외측 벽체(120)의 외면 및 실내측 벽체(110)의 외면에 각각 구비되면서 상기 각 장착하우징(310,320)이 각 벽체(110,120)에 고정되도록 체결하기 위한 고정림(311,321);
    상기 두 장착하우징(310,320) 간의 대향면 사이 중 절곡 형성된 장착 공간(301a,302a) 내에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두 장착하우징(301,302)에 의해 만들어지는 단일의 공기 유로를 향해 개방되도록 형성된 링형의 장착허브(410)와, 상기 장착허브(41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장착허브(410)를 개폐하는 원판형의 개폐판(420)과, 상기 두 벽체(110,120)의 외부로 각각 노출되게 위치되면서 상기 개폐판(420)의 회전 조작을 위한 링 형의 두 조작핸들(430,440)과, 상기 두 조작핸들(430,440)의 회전 조작에 따라 상기 개폐판(420)을 회전시키는 연동부(450)로 이루어진 배압 조절어셈블리(4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방음도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압 조절어셈블리(400)의 두 조작핸들(430,440)은 도어몸체(100)를 관통하는 연결샤프트(460)의 양 끝단에 연결되면서 서로 동일 방향으로 동시에 회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배압 조절어셈블리(400)를 이루는 연동부(450)는
    상기 개폐판(420)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상기 장착허브(410)를 관통하여 상기 연결샤프트(460)의 인접 부위에 이르기까지 연장된 회전샤프트(451)와,
    상기 회전샤프트(451)의 끝단에 고정 설치되면서 둘레면을 따라 기어잇이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진 웜휠(452)과,
    상기 연결샤프트(460)의 둘레면에 고정되면서 상기 연결샤프트(460)와 함께 회전되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외주면으로는 연결샤프트(460)의 축 방향을 따라 나선형의 돌기가 돌출되면서 상기 웜휠(452)의 기어잇에 맞물리도록 이루어진 웜(453)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방음도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측 벽체(110)의 연통공(111) 및 실외측 벽체(120)의 연통공(121)에는 중앙으로 갈수록 점차 외향 돌출되는 돔 형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표면에는 다수의 슬롯(331)이 관통 형성되어 이루어진 덮개그릴(330)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방음도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두 벽체(110,120)의 외면에 각각 설치되면서 도어몸체(100)의 개폐를 위한 당김 부위로 제공되는 두 당김손잡이(500)와,
    상기 두 벽체(110,120) 사이 중 상기 두 당김손잡이(500) 사이에 위치되면서 상기 두 당김손잡이와 두 벽체 간의 볼팅 결합에 의해 발생되는 틈새를 차단하면서도 해당 부위의 강도 보강을 위한 강도보강용 블럭(600)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며,
    상기 강도보강용 블럭(600)은 상기 두 당김손잡이(500)와의 볼팅 체결을 체결 부위를 제공함과 더불어 상기 체결 부위를 벗어난 중앙측 부위는 개방된 구조의 원형 링 혹은, 다각형 링 구조의 블럭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방음도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몸체(100)를 이루는 실내측 벽체(110) 및 실외측 벽체(120) 사이에 하나 혹은, 둘 이상 복수의 강도보강용 브라켓(140)이 더 구비되고,
    상기 강도보강용 브라켓(140)은 상기 실내측 벽체(110) 및 실외측 벽체(120)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됨과 그의 양측 끝단은 상기 실내측 벽체(110) 내면 및 실외측 벽체(120) 내면에 각각 밀착되도록 절곡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방음도어.
KR1020160030054A 2016-03-14 2016-03-14 선박용 방음도어 KR1016758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0054A KR101675806B1 (ko) 2016-03-14 2016-03-14 선박용 방음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0054A KR101675806B1 (ko) 2016-03-14 2016-03-14 선박용 방음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5806B1 true KR101675806B1 (ko) 2016-11-15

Family

ID=57525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0054A KR101675806B1 (ko) 2016-03-14 2016-03-14 선박용 방음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580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1582B1 (ko) * 2017-11-16 2018-05-28 주식회사 원방테크 기어 타입 압력 밸런싱 도어
KR101872183B1 (ko) * 2018-04-11 2018-06-27 김은실 개방 보조 장치를 구비한 기밀 도어
CN108505904A (zh) * 2018-02-24 2018-09-07 浙江名雅居木业有限公司 设门吸的静音型木门
KR20240044859A (ko) 2022-09-29 2024-04-05 한화오션 주식회사 슬림형 에어벤트를 지닌 방음도어
CN108505904B (zh) * 2018-02-24 2024-05-28 浙江名雅居木业有限公司 设门吸的静音型木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8018B1 (ko) 2010-06-07 2012-05-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기관실 문용 배압 조절 장치가 구비된 선박
KR200469379Y1 (ko) 2009-02-09 2013-10-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여닫이 도어의 개폐 보조장치
KR101324111B1 (ko) 2011-01-21 2013-10-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안전문
KR101389159B1 (ko) * 2012-12-27 2014-04-25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실내 압력 조절 장치
KR101497056B1 (ko) * 2013-12-05 2015-03-03 주식회사 성일 난연 및 방범용 grp 패널 도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379Y1 (ko) 2009-02-09 2013-10-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여닫이 도어의 개폐 보조장치
KR101148018B1 (ko) 2010-06-07 2012-05-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기관실 문용 배압 조절 장치가 구비된 선박
KR101324111B1 (ko) 2011-01-21 2013-10-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안전문
KR101389159B1 (ko) * 2012-12-27 2014-04-25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실내 압력 조절 장치
KR101497056B1 (ko) * 2013-12-05 2015-03-03 주식회사 성일 난연 및 방범용 grp 패널 도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1582B1 (ko) * 2017-11-16 2018-05-28 주식회사 원방테크 기어 타입 압력 밸런싱 도어
CN108505904A (zh) * 2018-02-24 2018-09-07 浙江名雅居木业有限公司 设门吸的静音型木门
CN108505904B (zh) * 2018-02-24 2024-05-28 浙江名雅居木业有限公司 设门吸的静音型木门
KR101872183B1 (ko) * 2018-04-11 2018-06-27 김은실 개방 보조 장치를 구비한 기밀 도어
KR20240044859A (ko) 2022-09-29 2024-04-05 한화오션 주식회사 슬림형 에어벤트를 지닌 방음도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5806B1 (ko) 선박용 방음도어
KR101585378B1 (ko) 화재 대피실용 차열 방화문
KR101324311B1 (ko) 댐퍼 유닛
KR101631707B1 (ko) 시스템루버의 구동유닛과 이것을 이용한 시스템루버 장치
JP2011001755A (ja) 扉用シャッタ装置およびその取付方法
JP2017223103A (ja) 差圧緩和型迅速作動両開き扉
KR101631708B1 (ko) 시스템루버의 구동유닛과 이것을 이용한 시스템루버 장치
JP3165169U (ja) 引戸錠装置
JP7317508B2 (ja) 建具
JP2010024688A (ja) 打掛け錠
JP2018053440A (ja) ドア構造
JP3853495B2 (ja) 差圧調整部材および差圧調整開閉部材
KR100704542B1 (ko) 냉난방 효율을 증대시켜줄 수 있는 공동주택용 전실보조도어
US9015995B2 (en) Security shutter assembly
GB2142070A (en) Lockable pet door
JP2020190183A (ja) 水密扉ユニット
JP4050673B2 (ja) 防犯用二重扉
KR101117942B1 (ko) 출입문
EP1518035A1 (en) Revolving door
JPS5847550B2 (ja) 遮炎ドアラツチノブ装置
JP3179426U (ja)
JP4720741B2 (ja) 防犯窓
KR200492076Y1 (ko) 자동 창문 폐쇄장치
JP3824946B2 (ja) 換気装置
JP2530284B2 (ja) 換気扇取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