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5090B1 - 마감캡이 구비된 슬림 구조의 미닫이 창호 - Google Patents

마감캡이 구비된 슬림 구조의 미닫이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5090B1
KR101675090B1 KR1020140145779A KR20140145779A KR101675090B1 KR 101675090 B1 KR101675090 B1 KR 101675090B1 KR 1020140145779 A KR1020140145779 A KR 1020140145779A KR 20140145779 A KR20140145779 A KR 20140145779A KR 101675090 B1 KR101675090 B1 KR 101675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air
roller shaft
window
low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5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9239A (ko
Inventor
최선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쓰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쓰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쓰리
Priority to KR1020140145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5090B1/ko
Publication of KR20160049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9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5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5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88Edge-protecting devices for door leav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2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insulation against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림 구조에도 뒤틀림이 억지되며 결합피스의 외부노출이 차단되어 외관이 미려한 슬림 구조의 미닫이 창호를 개시한다. 이를 위하여 투명부재의 두께에 대응되는 사이간격으로 배치된 한 쌍의 제1 지지판과, 상기 한 쌍의 제1 지지판 사이에 구비되며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과 마주보는 부분에 피스 관통홀이 형성된 접촉판, 및 각 제1 지지판 일측 말단부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된 고정턱으로 구성된 제1,2 측벽프레임, 및 각 지지판의 고정턱 사이간격을 커버하도록 고정턱과 고정턱 사이에 끼움결합되는 마감캡을 포함하는 슬림한 구조의 미닫이 창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측벽프레임을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에 연결시키기 위해 사용된 결합피스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결합피스의 외부에 마감캡을 사용하므로, 사용자에게 미려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마감캡이 구비된 슬림 구조의 미닫이 창호{SLIDING DOOR TYPE FITTINGS}
본 발명은 측벽프레임의 너비가 슬림화 된 슬림 구조의 미닫이 창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슬림 구조에도 뒤틀림이 억지되며 결합피스의 외부노출이 차단되어 외관이 미려한 슬림 구조의 미닫이 창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닫이는 실내의 출입구나 실내의 일정한 공간을 구획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문틀에 장착된 문짝이 옆으로 밀려서 개폐되는 문을 말한다.
미닫이는 실내의 폭이 넓은 장소에서는 여러 개의 문짝이 설치되는 것이 대부분이어서 설치되는 각각의 문짝이 개별적인 외력에 의해 개폐될 수도 있으나 최근에는 하나의 문짝만 이동시키면 나머지 다른 문짝이 동시에 연동되어 개폐되는 구조가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일예로서, 도 1은 본 출원인이 종래에 발명한 슬림형 미닫이 창호 중 중간 창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슬림형 미닫이 창호는 투명부재(10)의 테두리를 따라 설치된 테두리판 중 측판(20)의 너비가 기존 미닫이 창호에 비해 좁게 형성되었다. 이는, 미닫이 창호에서 투명부재가 차지하는 면적을 보다 넓도록 하여 사용자가 우수한 시야감 및 개방감을 확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이러한 슬림형 미닫이 창호는 사용자의 개방감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독특한 구조의 창호 연동장치가 설치되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창호 연동장치는 중간 창호의 상단면에 구비되는 안내레일(100), 상기 안내레일(100)에 설치되는 한 쌍의 회전부재(210, 220), 상기 회전부재(210, 220)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회전벨트(300), 상기 안내레일(100)과 회전벨트(300)에 연결되는 창호 고정부재(410, 420), 상기 중간 창호의 좌측에 배치된 제 1 창호의 상단면에 구비되는 제 1 안내레일, 및 상기 중간 창호의 우측에 배치된 제 2 창호의 상단면에 구비되는 제 2 안내레일을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상기 중간 안내레일(100)과 회전부재에 연결되는 회전부재 이동수단(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안내레일(100)은 중간 창호의 두께와 동일 또는 유사한 너비를 갖도록 평판형으로 형성된 평판부(110)와 상기 평판부(110)의 길이 방향에 의한 양 측면에 수직으로 돌출된 지지돌출부(120)로 구성되었다.
또한, 중간 안내레일은 중간 창호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그 좌측 말단이 중간 창호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었다.
그러나, 전술한 슬림형 미닫이 창호는 사용기간이 경과할수록 뒤틀림이 발생될 수 있고, 측판(20)을 상판과 하판에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된 고정피스가 외부에 노출되기 때문에 미감이 떨어지며, 미닫이 창호의 하판에 호차를 설치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큰 사이즈로 제작된 경우에 노약자가 사용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19900호(2014.07.16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28352호(2013.02.01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슬림 구조가 적용된 미닫이 창호에 미려한 외관을 제공하고, 슬림 구조에도 충분한 내구성을 부여할 수 있는 슬림 구조의 미닫이 창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투명부재를 중심으로 상기 투명부재의 테두리를 따라 구비되어 투명부재의 외부골격을 제공하는 상부프레임, 하부프레임, 제1 측벽프레임 및 제2 측벽프레임으로 형성된 프레임부를 포함하는 미닫이 창호에 있어서, 상기 투명부재의 두께에 대응되는 사이간격으로 배치된 한 쌍의 제1 지지판과, 상기 한 쌍의 제1 지지판 사이에 구비되며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과 마주보는 부분에 피스 관통홀이 형성된 접촉판, 및 각 제1 지지판 일측 말단부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된 고정턱으로 구성된 제1,2 측벽프레임, 및 각 지지판의 고정턱 사이간격을 커버하도록 고정턱과 고정턱 사이에 끼움결합되는 마감캡을 포함하는 슬림한 구조의 미닫이 창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미닫이 창호는 투명부재를 중심으로 투명부재의 테두리를 따라 상부프레임, 하부프레임, 제1 측벽프레임, 제2 측벽프레임을 설치하여 내구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미닫이 창호의 사용 기간이 경과되더라도 뒤틀림 발생이 억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창호는 측벽프레임을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에 연결시키기 위해 사용된 결합피스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결합피스의 외부에 마감캡을 사용하므로, 사용자에게 미려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미닫이 창호에 설치된 호차의 높낮이를 남녀노소 누구나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미닫이 창호의 설치 및 제거가 편리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미닫이 창호의 구조가 슬림화되고, 미닫이 창호의 내부에 설치된 유리창의 크기가 증가되므로, 개방감이 향상되고 넓은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미닫이 창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창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창호 연동장치가 설치된 미닫이 창호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부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마감캡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마감캡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호차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의한 슬림 구조의 미닫이 창호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창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창호 연동장치가 설치된 미닫이 창호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슬림 구조의 미닫이 창호는 유리창 등의 투명부재(100)를 중심으로 상기 투명부재(100)의 테두리를 따라 구비되어 투명부재(100)의 외부골격을 제공하는 상부프레임(210), 하부프레임(220), 제1 측벽프레임(230), 제2 측벽프레임(240)으로 형성된 프레임부, 및 제1 측벽프레임(230)과 제2 측벽프레임(240)에 끼움 결합되는 마감캡(300)을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하부프레임(220)에 설치되는 호차(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슬림 구조의 미닫이 창호는 프레임부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부는 미닫이 창호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투명부재(100)를 미닫이 창호에 고정시키도록 투명부재(100)의 테두리를 따라 구비되는 것으로, 상부프레임(210)과 하부프레임(220)과 제1 측벽프레임(230) 및 제2 측벽프레임(240)으로 구성된다. 이때, 프레임부는 외력에 의한 비틀림을 방지하도록 알루미늄, 철재 등의 금속이나 ABS수지(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resin) 등의 합성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프레임(210) 및 제1, 2 측벽프레임(230, 240)과 하부프레임(220) 및 제1,2 측벽프레임(230, 240)은 서로 접촉된 상태로 다수개의 결합피스(250), 예컨대 볼트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때, 결합피스(250)는 측벽프레임(230, 240)을 관통한 상태로 그 일단이 상부프레임(210) 또는 하부프레임(220)에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프레임(210)은 투명부재(100)의 상부에 구비되어 문틀 상부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미도시)에 접촉하는 것으로서, 상부프레임(210)의 상단면 양단에는 롤러부가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을 한다. 필요에 따라, 상부프레임(210)은 창호 연동장치(60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연동장치 삽입홈이 상부에 형성된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상부프레임(210)은 한 쌍의 제2 지지판 사이에 구비된 2개의 안착판이 서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며, 임의의 제1 안착판과 제2 안착판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에 결합피스 결합구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피스 결합구는 측벽프레임을 통해 내삽되는 결합피스(250)에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하단면이 "o"이거나 "u" 또는 "∩"형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하부프레임(220)은 투명부재(100)의 하단에 구비되어 바닥면 또는 하부 문틀에 형성된 바닥레일(미도시)에 접촉되는 것으로서, 제1 측벽프레임(230) 및 제2 측벽프레임(240)에 일단이 접촉되어 고정된다. 필요에 따라, 하부프레임(220)에는 호차(400)가 구비되어 바닥면이나 바닥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을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부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프레임(220)은 호차(400)가 내삽될 수 있도록 투명부재(100)의 두께에 대응되는 사이간격으로 배치된 한 쌍의 제2 지지판(222)과, 상기 한 쌍의 제2 지지판(222) 사이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안착판(224), 및 각 제2 지지판 일측 말단부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된 안착돌기(226)로 구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안착돌기(226)는 각 제2 지지판 일측 말단부에 일정간격으로 2 내지 4쌍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하부프레임(220)에 내삽되는 호차(400)의 위치를 가변적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미닫이 창호의 다양한 설치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효과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예컨대 안착돌기(226)가 도 4와 같이 3쌍이 형성된 경우, 문틀 내부 공간의 상하길이에 비해 미닫이 창호의 상하길이가 짧으면 호차(400)는 3쌍 중 제일 하단에 위치한 1쌍의 안착돌기에 내삽되며, 문틀 내부 공간의 상하길이와 미닫이 창호의 상하길이가 대등하면 호차(400)는 3쌍 중 제일 상단에 위치한 1쌍의 안착돌기에 내삽된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하부프레임(2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2 지지판(222) 사이에 구비된 2개의 안착판(224)이 서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며, 임의의 제1 안착판과 제2 안착판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에 결합피스 결합구(228)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피스 결합구(228)는 측벽프레임(230, 240)을 통해 내삽되는 결합피스(250)에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하단면이 "o"이거나 "u" 또는 "∩"형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부프레임(210)을 구성하는 제2 지지판, 안착판, 결합피스 결합구와 하부프레임(220)을 구성하는 제2 지지판, 안착판, 결합피스 결합구는 그 외형이나 기능을 동일하므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부는 결합보조캡(2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보조캡(260)은 상부프레임(210)과 하부프레임(220)과 제1 측벽프레임(230) 및 제2 측벽프레임(240)으로 구성된 프레임부를 결합피스(250)를 통해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조립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상부프레임(210)과 제1 측벽프레임(230) 사이, 상부프레임(210)과 제2 측벽프레임(240) 사이, 하부프레임(240)과 제1 측벽프레임(230) 사이, 하부프레임(240)과 제2 측벽프레임(240) 사이에 각각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결합보조캡(260)은 상부프레임(210)의 양단에 각각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상부프레임(210)의 말단에 대응되는 외형을 갖도록 형성된 제1 결합보조캡과, 하부프레임(220)의 양단에 각각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하부프레임(220)의 말단에 대응되는 외형을 갖도록 형성된 제2 결합보조캡으로 구성되며, PVC나 알루미늄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보조캡(260)은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에 원활히 결합될 수 있도록 그 테두리를 따라 복수개의 결합홈(26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결합보조캡은 제1,2 측벽프레임(230, 240)을 통해 상부프레임(210)으로 삽입된 결합피스(250)의 일부가 내삽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결합피스 내삽홀이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제2 결합보조캡은 제1,2 측벽프레임(230, 240)을 통해 하부프레임(220)으로 삽입된 결합피스(250)의 일부가 내삽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결합피스 내삽홀(264)이 형성된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제2 결합보조캡은 도 4와 같이 3개의 결합피스 내삽홀(26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3개의 결합피스 내삽홀 중 상대적으로 작은 2개의 결합피스 내삽홀은 결합피스를 통해 제2 결합보조캡을 하부프레임(220)에 결합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중앙에 배치된 1개의 결합피스 내삽홀은 결합피스를 통해 제2 결합보조캡을 제1 측벽프레임(230)에 결합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필요에 따라, 결합보조캡(260)에 형성된 결합피스 내삽홀(264)은 결합피스(250)의 외경보다 넓은 내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결합피스 내삽홀(264)에 결합피스(250)를 끼움 결합시키는 과정을 통해 제1,2 측벽프레임(230, 240)을 상부프레임(210)과 하부프레임(220)에 결합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결합보조캡(260)에 형성된 결합피스 내삽홀(264)에는 나사산이나 나사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결합피스로는 볼트 등을 사용한다.
한편, 제1,2 측벽프레임(230, 240)은 투명부재(100)의 양 측면에 각각 배치되어 투명부재(100)를 지지하는 것으로, 상부프레임(210)과 하부프레임(220)에 양단이 접촉되어 고정된다.
이러한 제1,2 측벽프레임(230, 240)은 슬림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미닫이 창호는 탁 트인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상부프레임(210) 및 하부프레임(220)과 달리 제1,2 측벽프레임의 너비가 종래 미닫이 창호의 측판에 비해 50 내지 70%가 줄어들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2 측벽프레임(230, 2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부재(100)의 두께에 대응되는 사이간격으로 배치된 한 쌍의 제1 지지판(231)과, 상기 한 쌍의 제1 지지판(231) 사이에 구비되며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과 마주보는 부분에 피스 관통홀이 형성된 접촉판(233), 및 각 제1 지지판(231) 일측 말단부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된 고정턱(234)으로 구성된다.
필요에 따라, 접촉판(233)에는 제1 드라이버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드라이버 관통홀은 하부프레임(220)에 내삽된 호차(40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드라이버가 호차(400)의 높낮이 조절볼트에 접촉될 수 있도록 드라이버를 통과시키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인 미닫이 창호는 하부프레임이 측벽프레임에 접촉된 상태로 2개 정도의 결합피스를 통해 결합되어 있지만, 이러한 구조는 사용기간이 경과됨에 따라 유격이 발생되기 때문에 미닫이 창호를 이동시키는 경우 흔들거림이 발생될 수 있다.
물론, 측벽프레임이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의 일부를 내삽시킬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흔들거림의 발생이 억지될 수도 있으나, 이러한 구조가 적용된 미닫이 창호는 측벽프레임의 두께가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의 두께보다 넓은 두께로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제1,2 측벽프레임이 15 내지 25㎜의 두께를 갖는 슬림한 구조를 적용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은 측벽프레임(230, 240)이 상부프레임(210)과 하부프레임(220)의 일부를 내삽시킬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지 않고 측벽프레임(230, 240)이 상부프레임(210) 및 하부프레임(220)과 대등한 두께로 형성되는 슬림한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흔들거림의 발생이 억지되는 효과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결합보조캡(260)을 상부프레임(210) 및 측벽프레임(230, 240) 사이와, 하부프레임(220) 및 측벽프레임(230, 240) 사이에 설치함으로써 상부프레임(210)과 하부프레임(220)에 설치된 결합피스 결합구(228)의 숫자보다 많은 숫자의 결합피스(250)를 각 프레임 사이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일반적인 미닫이 창호는 접촉판(233)과 결합피스 결합구(228)만이 결합피스에 접촉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더하여 결합보조캡(260)이 결합피스(250)에 접촉되므로, 상기 결합피스(250)에 접촉되는 미닫이 창호의 면적이 증가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결합보조캡(260)을 추가함으로써 종래의 미닫이 창호에 비해 각 프레임간의 결합력이 향상되기 때문에 미닫이 창호를 이동 시에도 흔들거림의 발생이 억지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슬림 구조의 미닫이 창호는 마감캡(300)을 포함한다.
상기 마감캡(300)은 제1,2 측벽프레임(230, 240)에 결합된 결합피스(25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결합피스(250)를 외부로부터 차단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제1 측벽프레임(230)과 제2 측벽프레임(240)에 각각 끼움 결합된다. 이때, 마감캡(300)은 각 지지판의 고정턱(234) 사이간격을 커버하도록 고정턱(234)과 고정턱(234) 사이에 끼움 결합된다. 이러한 마감캡(300)은 안정적인 성능을 제공하도록 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수지와 알루미늄과 ABS수지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마감캡(300)은 서로 이격된 고정턱(234)의 사이간격에 대응되는 너비로 형성된 마감판(310)과, 상기 마감판(31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마감판(310)의 양단에서 접촉판(233)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한 쌍의 끼움돌기(320)로 구성된다.
이때, 마감판(310)은 결합피스(25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고정턱(234)과 고정턱(234) 사이의 공간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끼움돌기(320)는 고정턱(234)에 접촉되어 고정턱(234)과의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에 의해 마감판(310)이 측벽프레임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필요에 따라, 고정턱(234)과 접촉되는 끼움돌기(320)의 표면에는 고정턱(234)과의 마찰력이 극대화되도록 고무재질의 미끄럼방지판이 구비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마감캡(300)은 도 5 및 도 6과 같이 마감판(310)으부터 접촉판(233)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끼움돌기(320)와 끼움돌기(320) 사이에 배치된 완충돌기(3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완충돌기(330)는 제1,2 측벽프레임이 벽이나 문틀과 충돌하는 경우에 제1,2 측벽프레임에 작용하는 충격을 완화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 5와 같이 지그재그형 구조로 형성되거나 도 6과 같이 뒤집어진 'V'자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제1,2 측벽프레임(230, 240)은 기존 미닫이 창호의 측판에 비해 얇은 두께로 형성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작용하는 충격에 의해 뒤틀림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지만, 전술한 완충돌기(330)를 통해 제1,2 측벽프레임에 작용하는 충격의 세기를 완화시켜 외부 충격에 의한 측벽프레임의 뒤틀림 발생을 억지한다. 이를 위해, 고정턱(234)과 고정턱(234) 사이의 끼움결합된 마감캡(300)의 마감판(310)이 고정턱(234)과 고정턱(234) 사이 공간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제1 측벽프레임(230)과 제2 측벽프레임(240)에 끼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마감캡(300)은 마감판(310)이 고정턱(234)과 고정턱(234) 사이의 외부에 배치되되, 외부의 충격에도 그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완충돌기(330)가 고정턱(234)의 길이보다 긴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끼움돌기(320)는 완충돌기(330)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 상기 마감캡(300)에는 제2 드라이버 관통홀(34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드라이버 관통홀(340)은 마감캡(300)이 제1,2 측벽프레임(230, 240)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도 하부프레임(220)에 내삽된 호차(40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드라이버가 호차(400)로 진입할 수 있도록 드라이버에 통로를 제공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 제2 드라이버 관통홀(340)은 호차(400)의 높낮이 조절볼트에 드라이버가 접촉될 수 있도록 관통홀의 일측에 드라이버가 통과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마감캡(300)이 제1,2 측벽프레임(230, 240)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도 제1 드라이버 관통홀과 제2 드라이버 관통홀(340)을 통해 드라이버를 하부프레임(220)에 내삽된 호차(400)의 높낮이 조절볼트에 접촉시켜 호차(40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슬림 구조의 미닫이 창호는 호차(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호차(400)는 하부프레임(220)의 내부로 내삽되어 바닥면에 위치한 구조물에 따라 미닫이 창호를 이동시키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예에 따른 호차(400)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호차(400)는 하우징(420)과 롤러축(430) 및 롤러(44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420)은 하부프레임(220)의 내부로 삽입되어 롤러축(430) 및 롤러(440)를 하부프레임(220)의 하부에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형성된 하우징이라면 어떠한 형태의 하우징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플레이트(422)를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결합하며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422)의 서로 마주하는 측면에 가이드공(424)이 구비된 하우징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필요에 따라, 상기 하우징(420)의 상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프레임(220)에 형성된 여러 쌍의 안착돌기(226) 중 어느 한 쌍의 안착돌기(226)에 안착될 수 있도록 'ㅠ'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롤러축(430)은 상기 하우징(420)의 내측에 삽입되되 상기 가이드공(424)에 결합수단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서, 일체형구조 또는 분리형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양태로서, 일체형구조로 형성된 롤러축(430)은 연동장치의 일단부가 직접 연결설치될 수 있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 양태로서, 분리형구조로 형성된 롤러축(430)은 롤러축(43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 1 롤러축(431), 제 2 롤러축(433) 및 고정캡(435)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롤러축(431)의 일단부는 하우징(420)의 가이드공(424)에 결합수단을 매개로 연결설치되고, 상기 일단부에 대응되는 타단부는 연결고리, 바람직하게는 "T"자형 연결고리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롤러축(433)의 일단부는 상기 롤러(440)에 연결설치되고, 상기 일단부에 대응되는 타단부는 상기 제 1 롤러축의 연결고리(432)에 대응되는 연결고리(434)가 형성된다. 또한, 고정캡(435)은 서로 결합된 제 1 롤러축의 연결고리(432)와 제 2 롤러축의 연결고리(434) 외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롤러축의 연결고리(432)와 제 2 롤러축의 연결고리(434)를 체결시킨다. 이때, 호차(400)는 고정캡(435)이 제 1 롤러축의 연결고리(432)와 제 2 롤러축의 연결고리(434)의 결합부분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고정캡(435) 및 제 1 롤러축(431) 또는 상기 고정캡(435) 및 제 2 롤러축(433)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고정캡 결합수단(436)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호차(400)는 그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롤러(440)의 수직방향으로 상기 하우징(420)에 구비된 높낮이 조절볼트(426, 428)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높낮이 조절볼트(426, 428)는 상기 롤러축(430)의 회동 방향과 동일 선상의 롤러축(430)의 양 측면에서 하우징(420)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420)의 내부로 삽입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롤러축(430)에 접촉되는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롤러축(430)의 회동 위치를 조절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임의의 제 1 높낮이 조절볼트(426)와 제 2 높낮이 조절볼트(428)는 하우징(420)의 내부로 삽입되는 깊이가 동일하면 수직 방향에 대한 롤러축(430)의 길이는 최대가 되며, 임의의 제 1 높낮이 조절볼트(426)와 제 2 높낮이 조절볼트(428)는 하우징(420)의 내부로 삽입되는 깊이의 차이가 최대가 되면 수직 방향에 대한 롤러축(430)의 길이는 최소가 된다.
상기 롤러(440)는 상기 롤러축(430)에 연결설치된 것으로서, 상부레일을 따라 호차(400)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롤러라면 어떠한 형태의 롤러를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닥레일 안쪽에서 발생하는 공명 현상이 최소화되도록 바닥레일과의 이격공간을 최소화하는 롤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창호는 그 하부가 바닥면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 롤러(440)를 통해 바닥면에 접촉하여 미닫이 창호와 바닥면의 접촉 면적이 감쇄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창호는 바닥면을 따라 이동할 경우 미닫이 창호와 바닥면의 접촉면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을 감쇄됨으로써, 흔들리지 않고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창호는 하부프레임(220)에 호차(400)를 구비함으로써, 문틀과 미닫이 창호의 높이가 맞지 않더라도 호차(400)에 구비된 롤러(44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미닫이 창호가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거리로 이격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서, 미닫이 창호는 방음성, 단열성이 향상되고,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는 효과를 얻는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슬림 구조의 미닫이 창호는 창호 연동장치(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창호 연동장치는 중간 창호, 제1 창호, 제2 창호로 구성된 3연동 미닫이 창호에 사용되는 창호 연동장치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상기 창호 연동장치(600)는 중간 창호의 상단면에 구비되는 중간 안내레일(610), 상기 중간 안내레일(610)에 설치되는 한 쌍의 회전부재(622, 624), 상기 회전부재(622, 624)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회전벨트(630), 상기 안내레일(610)과 회전벨트(630)에 연결되는 창호 고정부재(642, 644)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간 안내레일(610)은 중간 창호의 상단면에 구비되어 창호 고정부재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며, 상기 창호 고정부재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서, 중간 창호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그 좌측 말단이 중간 창호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중간 안내레일(610)의 하부에는 회전부재 이동수단(650)을 하부에 내삽시킬 수 있도록 안착부(616)가 중간 안내레일(6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착부(616)는 회전부재 이동수단(650)의 외형에 따라 그 형태가 변형될 수 있지만, 범용적인 사용을 위해 안착홈에 의해 상부가 개방된 사각관형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중간 안내레일(610)은 중간 창호의 두께와 동일 또는 유사한 너비를 갖도록 평판형으로 형성된 평판부(612)와 상기 평판부(612)의 길이 방향에 의한 양 측면에 수직으로 돌출된 지지돌출부(614)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롤러부(660)는 중간 창호의 상부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고, 상부문틀에 형성된 안내레일에 접촉되어 중간 창호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상기 회전부재(622, 624)는 상기 중간 안내레일(610) 양단의 상단면에 구비되어 자체적으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중간 안내레일(610) 상단면의 일단에 구비되는 제 1 회전부재(622) 및 상기 일단에 대응되는 타단에 구비되는 제 2 회전부재(624)로 구성되며, 회전벨트(630)의 회전을 가이드 한다.
상기 회전벨트(630)는 제 1 회전부재(622) 및 제 2 회전부재(624)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외력에 의해 회전하는 것으로서, 벨트 또는 와이어 등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창호 고정부재(642, 644)는 제 1 고정부재(642)와 제 2 고정부재(644)로 구성되어 상기 회전벨트(630)의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연결설치되고, 각각 중간 안내레일(610)의 상부에 연결설치되며, 외력에 의한 회전벨트(630)의 이동에 따라 중간 안내레일(610)의 상부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또한, 각각의 고정부재(642, 644)는 양측 회전부재(622, 624)의 사이에서 왕복 이동하도록 상기 회전벨트(630)에 연결설치된다.
도 도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슬림 구조의 미닫이 창호는 합성수지판(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합성수지판(500)은 프레임부의 표면을 커버하는 것으로, 상부프레임(210)과 하부프레임(220) 및 제1,2 측벽프레임의 표면을 커버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합성수지판(500)은 프레임부의 내측 표면을 커버하는 제 1 합성수지판과 외측 표면을 커버하는 제 2 합성수지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합성수지판(500)은 4 내지 6 ㎜의 두께를 갖는 판상 구조로 형성되며, 목분이나 목섬유가 포함된 합성수지판인 MDF, HDF, HPL(High Pressure Laminate), LPL(Low Pressure Laminate) 등의 목질 보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합성수지판(500)은 인쇄, NC 가공, 종이 접합, 벽지 접합, 무늬목 접합, 가죽 접합, 합성수지 필름 접합, 샌드 에칭, 표면 엠보, 고광택(하이그로시) 도장 등을 통해 외관의 화려함을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합성수지판(500)의 표면에 다양한 인쇄 또는 NC 가공에 의한 음각을 형성하여 화려함을 부여할 수 있고, 소재 가공 측면에서 무늬목을 입힌 HDF나 MDF, 하이그로시 도장한 HDF나 MDF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합성수지판(500)이 프레임부의 열전도를 차단시켜 종래의 미닫이 창호와 동일한 보온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투명부재 210 : 상부프레임
220 : 하부프레임 230 : 제1 측벽프레임
231 : 제1 지지판 233 : 접촉판
234 : 고정턱 240 : 제2 측벽프레임
250 : 결합피스 260 :결합보조캡
262 : 결합홈 264 : 결합피스 관통홀
300 : 마감캡 310 : 마감판
320 : 끼움돌기 330 : 완충돌기
400 : 호차 500 : 합성수지판
600 : 창호 연동장치

Claims (8)

  1. 투명부재를 중심으로 상기 투명부재의 테두리를 따라 구비되어 투명부재의 외부골격을 제공하는 상부프레임, 하부프레임, 상기 투명부재의 두께에 대응되는 사이간격으로 배치된 한 쌍의 제1 지지판과 상기 한 쌍의 제1 지지판 사이에 구비되며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과 마주보는 부분에 피스 관통홀이 형성된 접촉판 및 각 제1 지지판 일측 말단부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된 고정턱으로 구성된 제1,2 측벽프레임, 및 각 지지판의 고정턱 사이간격을 커버하도록 고정턱과 고정턱 사이에 끼움결합되는 마감캡으로 형성된 프레임부를 포함하는 미닫이 창호에 있어서,
    상기 마감캡은 마감판으로부터 접촉판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끼움돌기와 끼움돌기 사이에 배치된 완충돌기가 구비되며, 각 지지판의 고정턱 사이에 끼움결합된 마감캡의 마감판이 고정턱과 고정턱 사이 공간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완충돌기가 고정턱의 길이보다 긴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끼움돌기는 완충돌기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프레임은 상기 투명부재의 두께에 대응되는 사이간격으로 배치된 한 쌍의 제2 지지판과, 상기 한 쌍의 제2 지지판 사이에 구비된 안착판, 및 각 제2 지지판 일측 말단부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된 2 내지 4쌍의 안착돌기로 구성되며,
    상기 안착판과 안착돌기 사이의 공간으로 내삽되어 바닥면에 위치한 구조물에 따라 미닫이 창호를 이동시키는 호차와,
    상부프레임과 제1 측벽프레임 사이, 상부프레임과 제2 측벽프레임 사이, 하부프레임과 제1 측벽프레임 사이, 하부프레임과 제2 측벽프레임 사이에 각각 구비되며, 결합피스의 일부가 내삽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결합피스 내삽홀이 형성되며,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에 원활히 결합될 수 있도록 그 테두리를 따라 복수개의 결합홈이 형성된 결합보조캡을 포함하는 슬림한 구조의 미닫이 창호.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돌기는
    지그재그형 구조이거나 'Λ'형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한 구조의 미닫이 창호.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차는 한 쌍의 플레이트를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결합하고,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의 서로 마주하는 측면에 가이드공을 구비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삽입되되 상기 가이드공에 결합수단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롤러축과, 상기 롤러축에 연결설치된 롤러, 및 상기 롤러축의 회동 방향과 동일 선상의 롤러축의 양 측면에서 하우징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된 위치에 따라 상기 롤러축에 접촉되는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롤러축의 회동 위치를 조절하는 한 쌍의 높낮이조절볼트로 구성되며,
    상기 높낮이조절볼트에 드라이버가 접촉될 수 있도록 호차와 마주보는 접촉판에 드라이버 관통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한 구조의 미닫이 창호.
  8. 삭제
KR1020140145779A 2014-10-27 2014-10-27 마감캡이 구비된 슬림 구조의 미닫이 창호 KR101675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5779A KR101675090B1 (ko) 2014-10-27 2014-10-27 마감캡이 구비된 슬림 구조의 미닫이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5779A KR101675090B1 (ko) 2014-10-27 2014-10-27 마감캡이 구비된 슬림 구조의 미닫이 창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9239A KR20160049239A (ko) 2016-05-09
KR101675090B1 true KR101675090B1 (ko) 2016-11-22

Family

ID=56020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5779A KR101675090B1 (ko) 2014-10-27 2014-10-27 마감캡이 구비된 슬림 구조의 미닫이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50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7784A (ko) 2017-07-13 2019-01-23 현대플러스 주식회사 비철거식 개보수용 슬림 창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8688B1 (ko) * 2016-05-23 2018-10-16 주식회사 태양자동문 아존바형 수직단열프레임 및 수평단열프레임의 결합구조
KR102235214B1 (ko) * 2019-02-14 2021-04-01 김영윤 미세먼지 방충망 설치구조
CN110284814A (zh) * 2019-07-30 2019-09-27 陈建明 一种插入式接角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0045B1 (ko) * 2011-03-30 2012-02-29 최영이 손보호구를 갖는 안전도어
KR101146110B1 (ko) * 2009-11-17 2012-05-16 주식회사 태양자동문 반자동문용 도어 안전장치
KR101419900B1 (ko) * 2013-12-16 2014-07-16 주식회사 씨쓰리 슬림 구조의 문짝에 적용할 수 있는 3연동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3연동 미닫이 창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9241B1 (ko) * 2009-09-30 2011-12-27 주식회사 씨쓰리 행거도어가 연동하도록 결합된 미닫이 창호 및 이를 이용한 포켓문
KR101228352B1 (ko) 2012-07-19 2013-02-01 주식회사 씨쓰리 마감캡이 구비된 도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6110B1 (ko) * 2009-11-17 2012-05-16 주식회사 태양자동문 반자동문용 도어 안전장치
KR101110045B1 (ko) * 2011-03-30 2012-02-29 최영이 손보호구를 갖는 안전도어
KR101419900B1 (ko) * 2013-12-16 2014-07-16 주식회사 씨쓰리 슬림 구조의 문짝에 적용할 수 있는 3연동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3연동 미닫이 창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7784A (ko) 2017-07-13 2019-01-23 현대플러스 주식회사 비철거식 개보수용 슬림 창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9239A (ko) 2016-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5090B1 (ko) 마감캡이 구비된 슬림 구조의 미닫이 창호
JP7322263B2 (ja) 磁気浮上ドア
US9879458B2 (en) Easily displaceable sliding door
CN101171482A (zh) 用于家用电器的门
CA2819079A1 (en) Door assembly
US11371274B2 (en) Push-pull door/window
JP4642852B2 (ja) 中実のドアフレームおよびスライドドアアッセンブリ
KR20200001929A (ko) 외부 비노출형 레일 창호
KR101794259B1 (ko)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
KR20180001371U (ko) 회동식 창호용 스테이바
JP4976197B2 (ja) カーテン保持具
KR102251901B1 (ko) 유연한 구조를 가지는 일체형 모서리 조립구
JP6300388B2 (ja) 無目カバーの固定構造
KR101103152B1 (ko) 창호 시스템
JPH075184Y2 (ja) 上枠カバーの取付け構造
JP5619097B2 (ja) 装飾板付き引き戸
JP2007170082A (ja) 引き戸ユニット
AU2016291070B2 (en) Window or door covering assembly for a vehicle
US20090056227A1 (en) Adjustable slide door assembly
JP7094855B2 (ja) 建具
JP4805209B2 (ja) 引き戸
JP4334405B2 (ja) スライド扉装置
JP4462628B2 (ja) 建具
JP6994322B2 (ja) 引戸の窓構造
JP5464831B2 (ja) 引き違い戸の外止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