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5016B1 - 이어폰의 이어팁 - Google Patents

이어폰의 이어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5016B1
KR101675016B1 KR1020150085211A KR20150085211A KR101675016B1 KR 101675016 B1 KR101675016 B1 KR 101675016B1 KR 1020150085211 A KR1020150085211 A KR 1020150085211A KR 20150085211 A KR20150085211 A KR 20150085211A KR 101675016 B1 KR101675016 B1 KR 1016750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hone
ear
ear tip
fitted
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5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닷
Priority to KR1020150085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50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5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50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Details of 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earphones or monophonic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어폰의 이어팁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어폰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귓구멍에 끼워진 상태를 탄력적으로 유지시키되, 귓구멍의 사이즈에 따라 직경이 가변되는 한편, 귓속과 외부를 인위적으로 연통시키는 이어폰의 이어팁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어폰 헤드(20)에 마련되어 귓구멍에 끼워진 상태와 기밀을 유지시키는 이어팁(10)에 있어서, 이어폰 헤드(20)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부(11); 상기 고정부(11)에서 출력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운데 고정부(11) 방향으로 절곡되면서 겹쳐진 꽃잎 형태로 마련되어, 귓구멍의 사이즈에 따라 겹쳐진 정도가 가변되면서 신축되는 탄력착용부(12);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고정부(11)에서 출력 방향으로 겹쳐진 꽃잎 형태로 돌출 마련된 탄력착용부(12)가 착용자의 귓구멍 사이즈에 따라 마치 꽃잎이 펼쳐지거나 오므려지는 것과 같이 신축 작용(직경이 가변됨)함으로써, 어떠한 사이즈의 귓구멍에도 통증 없이 착용이 가능하고 착용 후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또한 최적의 착용감과 착용성을 유지시키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탄력착용부(12)가 귓구멍에 끼워지면서 귓구멍을 완전 밀폐시키지 않고 외부와 공기의 흐름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귓속이 진공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이어폰에 의해 고막에 무리한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장시간 음향 출력에 노출되어 고막의 피로도가 가중되는 것을 방지하고, 나아가 고막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는다.

Description

이어폰의 이어팁{EAR TIP OF EARPHONE}
본 발명은 이어폰의 이어팁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어폰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귓구멍에 끼워진 상태를 탄력적으로 유지시키되, 귓구멍의 사이즈에 따라 직경이 가변되는 한편, 귓속과 외부를 인위적으로 연통시키는 이어폰의 이어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어폰은 음악이나 방송을 듣기 위하여 귀에 끼우거나 밀착할 수 있게 되어 있는 기구를 총칭한다.
신기술의 연속적인 발전과 함께, 전자 제품은 보다 얇고 가벼운 것으로서 발전되도록 의도되며, 따라서 사람들은 라디오 또는 워크맨과 같은 미니 전자 제품을 언제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다.
더욱이, 개인적인 디지털 제품이 현재 매우 유행하고 있으므로, MP3 워크맨, 휴대 전화, PDA(개인 디지털 단말기) 또는 랩탑 컴퓨터(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미니 전자 제품이 우리의 일상 생활에 불가피한 것이 되고 있다.
특히, 라디오 수신과 MP3 플레이 기능들을 모두 지원하는 이동 전화가 현재 시장에서 상용화되어 있다.
어떠한 유형의 전자 제품인가에 무관하게, 다른 사람들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전자 제품에 의해 제공되는 오디오 정보를 즐기려는 사용자들을 지원하기 위하여, 이어폰(earphone)은 전자 제품의 필수적인 액세서리로 자리 잡았다.
더욱이, 음향이 환경을 통하여 전달되었을 때 불분명한 음향의 문제를 회피하기 위하여, 이어폰은 청취자에게 보다 나은 음향의 송신을 제공함으로써, 청취자는 음향의 내용을 명확하게 듣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이어폰의 종래 구성을 살펴보면, 첨부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향출력 유닛이 내장된 좌우 한 쌍의 헤드(1)와, 외부의 음원제공장치(미도시)와 연결시키는 플러그(2)가 전선(3)을 통해 각각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이어폰의 경우, 각 모델마다 이어폰 헤드(1)의 사이즈가 모두 동일하기 때문에, 착용자의 귓구멍 크기보다 이어폰 헤드(1)의 사이즈가 큰 경우 착용이 불가능하거나 통증으로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착용자의 귓구멍 크기 보다 이어폰 헤드(1)의 사이즈가 작은 경우, 착용자의 귀에서 쉽게 빠지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최근에는 첨부 도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커널형 이어폰(귀속에 꽂는 이어폰)이 소개되었다.
상기 커널형 이어폰은 이어폰 헤드(1)에 플렉시블한 실리콘 팁으로 이루어진 이어팁(1')이 마련되어, 귀에 꽂아서 사용하게 되므로, 첨부 도면 도 1의 종래 이어폰에 비해 착용감과 고정상태가 견고히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커널형 이어폰 역시, 귓속에 꽂히는 플렉시블한 이어팁(1') 부분이 유연성을 가지고 있어 정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전술한 종래 이어폰의 문제점이 그대로 나타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최근에는 하나의 이어폰에 다양한 형태와 사이즈의 이어팁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귓구멍 사이즈에 맞는 것을 골라서 이어폰 헤드에 결합시켜 사용하고 있으나, 이 경우, 나머지 이어팁의 보관이 난해한 문제점이 있으며, 이어폰의 제조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커널형 이어폰은 귓구멍에 삽입되어 외이도와 밀착되면 이어폰의 저음은 풍부해지지만, 외부와 밀폐됨으로써, 귓속과 외부의 압력차가 커져서 일정 시간 이상 착용할 경우, 귀가 아프거나 두통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선(3)이 움직이거나 옷에 스칠 때, 그 노이즈가 전선(3)을 타고 귓구멍에 꽂혀진 이어폰으로 전달되어 음질 연화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이어폰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귓구멍에 끼워진 상태를 탄력적으로 유지시키되, 귓구멍의 사이즈에 따라 직경이 가변되는 한편, 귓속과 외부를 인위적으로 연통시키는 이어폰의 이어팁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이어폰 헤드(20)에 마련되어 귓구멍에 끼워진 상태와 기밀을 유지시키는 이어팁(10)에 있어서, 이어폰 헤드(20)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부(11); 상기 고정부(11)에서 출력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운데 고정부(11) 방향으로 절곡되면서 겹쳐진 꽃잎 형태로 마련되어, 귓구멍의 사이즈에 따라 겹쳐진 정도가 가변되면서 신축되는 탄력착용부(12);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어폰 헤드(20)에 마련되어 귓구멍에 끼워진 상태와 기밀을 유지시키는 이어팁(10)에 있어서, 이어폰 헤드(20)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부(11); 상기 고정부(11)에서 출력 방향으로 만곡지게 확장되면서 벌어진 꽃잎 형태로 마련되어, 귓구멍에 끼워질 때 고정부(11) 방향으로 말리면서 접혀져 귓구멍의 사이즈에 따라 신축되는 탄력착용부(12);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은 고정부(11)에서 출력 방향으로 겹쳐진 꽃잎 형태로 돌출 마련된 탄력착용부(12)가 착용자의 귓구멍 사이즈에 따라 마치 꽃잎이 펼쳐지거나 오므려지는 것과 같이 신축 작용(직경이 가변됨)함으로써, 어떠한 사이즈의 귓구멍에도 통증 없이 착용이 가능하고 착용 후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또한 최적의 착용감과 착용성을 유지시키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탄력착용부(12)가 귓구멍에 끼워지면서 귓구멍을 완전 밀폐시키지 않고 외부와 공기의 흐름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귓속과 외부의 압력차 발생을 방지하고, 이어폰에 의해 고막에 무리한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며, 이를 통해, 장시간 음향 출력에 노출되어 고막의 피로도가 가중되는 것을 방지하고, 나아가 고막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종래 일반 이어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커널형 이어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종래 커널형 이어폰의 이어폰 헤드와 이어버드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부분 측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중 탄력착용부가 펼쳐진 상태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중 탄력착용부가 접혀져 사용 가능한 상태로 된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이어폰 헤드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신축 상태(직경이 가변되는 상태)를 도시한 부분 측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펼쳐지고 오므려지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엠보싱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리브형 돌기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중 탄력착용부가 펼쳐진 상태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작용을 도시한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측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이 일반형 이어폰의 헤드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측 단면도.
이와 같이 제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폰 헤드(20)에 마련되어 귓구멍에 끼워진 상태와 기밀을 유지시키는 이어팁(10)에 있어서, 이어폰 헤드(20)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부(11); 상기 고정부(11)에서 출력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운데 고정부(11) 방향으로 절곡되면서 겹쳐진 꽃잎 형태로 마련되어, 귓구멍의 사이즈에 따라 겹쳐진 정도가 가변되면서 신축되는 탄력착용부(12);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인 이어팁(10)은 실리콘 또는 러버(Rubber)일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실리콘을 일실시예로 적용하였다.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고정부(11)는 이어폰 헤드(20)의 고정부위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두께를 갖는 림(Rim) 형태로 이루어진 것 일 수 있다.
상기, 고정부(11)는 예시적으로, 이어폰 헤드(20)의 출력 방향의 본체 테두리에 형성되는 환홈(21)에 끼워지는 내향된 환형 돌기일 수도 있고, 이어폰 헤드(20)의 출력 방향의 본체 테두리에 형성되는 환형 돌기에 끼워지는 내향된 환홈일 수도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탄력착용부(12)는 고정부(11)의 일측 면으로부터 다수개의 탄력편(12-1 ~ 12-n)이 연장 돌출되어지되, 상기 각각의 탄력편의 일측 단부는 인접한 탄력편의 타측 단부와 겹쳐진 상태에서 각각의 중간 부분이 상기 고정부(11) 방향으로 절곡되어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탄력편(12-1 ~ 12-n)의 개수는 일실시예적으로 6개를 적용하였으나, 3개 ~ 10개의 정도이면 만족한다.
또한, 상기 탄력편(12-1 ~ 12-n) 각각은 고정부(11)에서부터 선단부 방향으로 가면서 점진적으로 그 두께가 얇아지는 것으로, 탄력편(12-1 ~ 12-n)이 접혀져서 2중으로 된 상태에서,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꺼운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은 귓구멍에 착용시 이어팁(10)의 형상을 유지시키며,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은 외측 부분은 탄력편이 겹쳐진 상태에서 펼쳐지거나 오므려지면서 직경이 가변되면서 신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력편(12-1 ~ 12-n) 각각은 첨부 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11)로부터 연장 돌출된 상태에서 중간 부분이 외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될 경우, 볼록한 부분을 기준으로 외향 절곡시킬 경우, 절곡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첨부 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중의 탄력체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력편(12-1 ~12-n) 각각은 귓구멍과 접하는 면은 마찰력이 크거나 점착성을 띠며, 타측 면은 마찰력이 작아 슬립성(Slip : 미끄러짐)을 띠는 것일 수 있다.
상기에서, 점착성은 실리콘 또는 러버의 재질적 특성에 의한 것일 수 있고, 슬립성은 마찰력을 저감시키는 입자가 도포되거나 코팅되어서 나타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인 이어폰의 이어팁(10)은 상기 고정부(11)의 일측 면으로부터 6개의 탄력편(12-1 ~ 12-n)이 연장 돌출되어지되, 상기 각각의 탄력편의 일측 단부는 인접한 탄력편의 타측 단부와 겹쳐진 상태에서 각각의 중간 부분이 상기 고정부(11) 방향으로 절곡되면서 탄력착용부(12)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이어팁(10)은 첨부 도면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폰 헤드(20)의 출력 방향 선단부(출력단) 외주면에 형성된 환홈(21)에 림 형상으로 이루어진 고정부(11)가 탄력적으로 끼워져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탄력착용부(12)의 탄력편(12-1 ~ 12-n) 각각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11)에서부터 선단부 방향으로 가면서 점진적으로 그 두께가 얇아지는 것으로, 상기 탄력편(12-1 ~ 12-n)이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면서 2중으로 이루어지게 되면,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꺼운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은 귓구멍에 착용시 이어팁(10)의 형상을 유지시키며,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은 외측 부분은 탄력편이 겹쳐진 상태에서 펼쳐지거나 오므려지면서 직경이 가변된다.(도 8 참조)
상기와 같이, 상기 탄력편(12-1 ~ 12-n)들이 귓구멍에 착용되는 과정에서 귓구멍의 사이즈에 따라 겹쳐진 상태에서 펼쳐지거나 오므려지면서 직경이 가변되는 상태는 첨부 도면 도 9에 좀 더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되는 본 발명은 고정부(11)에서 출력 방향으로 겹쳐진 꽃잎 형태로 돌출 마련된 탄력착용부(12)가 착용자의 귓구멍 사이즈에 따라 마치 꽃잎이 펼쳐지거나 오므려지는 것과 같이 신축 작용(직경이 가변됨)함으로써, 어떠한 사이즈의 귓구멍에도 통증 없이 착용이 가능하고 착용 후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최적의 착용감과 착용성을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각의 탄력편(12-1 ~ 12-n)이 겹쳐지는 내측 면이 엠보싱(13) 처리되어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엠보싱(13)은 반구형상의 돌기가 일정한 패턴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탄력편(12-1 ~ 12-n)의 겹쳐진 부분이 마찰력이 저감되어, 상기탄력착용부(12)가 귓구멍에 인입 착용되는 과정에서 귓구멍의 사이즈에 따라 상기 탄력편(12-1 ~ 12-n)들이 펼쳐지거나 오므려지는 작용이 원활히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각각의 탄력편(12-1 ~ 12-n)이 겹쳐지는 내측 면이 엠보싱(13) 처리되면, 겹쳐진 탄력편(12-1 ~ 12-n) 각각의 면에 발췌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이 형성되어 공기의 흐름 경로를 확보할 수 있어, 귓구멍에 착용 시 진공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이어폰의 음향 출력에 의해 고막에 직접적으로 강한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탄력착용부(12)가 귓구멍에 끼워지면서 귓구멍을 완전 밀폐시키지 않고 외부와 공기의 흐름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귓속이 진공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이어폰에 의해 고막에 무리한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장시간 음향 출력에 노출되어 고막의 피로도가 가중되는 것을 방지하고, 나아가 고막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각의 탄력편(12-1 ~ 12-n)이 겹쳐지는 내측 면에 직선 또는 커브를 그리면서 높이를 갖는 리브(13')가 복수개 예컨대, 3~6개가 마련되어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첨부 도면 도 10의 엠보싱(13)과 같은 기능과 작용을 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첨부 도면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폰 헤드(20)에 마련되어 귓구멍에 끼워진 상태와 기밀을 유지시키는 이어팁(10)에 있어서, 이어폰 헤드(20)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부(11); 상기 고정부(11)의 일측 면으로부터 원통 형상으로 연장되어지되, 고정부(11) 방향으로 절곡되는 부분이 겹쳐진 꽃잎 형태로 확장 마련되어, 귓구멍의 사이즈에 따라 겹쳐진 정도가 가변되면서 신축되는 탄력착용부(12);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탄력착용부(12)는 고정부(11)의 일측 면으로부터 원통 형상으로 연장되어지되, 외측 방향으로 접혀진 선단부 부분이 다수개의 탄력편(12-1 ~ 12-n)이 연장 돌출되고, 상기 각각의 탄력편의 일측 단부는 인접한 탄력편의 타측 단부와 겹쳐진 상태에서 각각의 중간 부분이 상기 고정부(11) 방향으로 절곡되어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에서, 탄력편(12-1 ~12-n)이 마련되는 위치는 탄력착용부(12)가 일직선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고정부(11) 반대 방향의 단부에 전체 길이 중 1/2 또는1/5 ~ 1/4 만큼인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이어폰 헤드부(20)의 출력단에서 출력되는 음향이 탄력착용부(12)의 원통 형상으로 되면서 매끈하게 이루어진 경로를 통과하게 되므로, 음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첨부 도면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력착용부(12)가 고정부(11)에서 출력 방향으로 만곡지게 확장되면서 벌어진 꽃잎 형태로 마련되어, 귓구멍에 끼워질 때 고정부(11) 방향으로 말리면서 접혀져 귓구멍의 사이즈에 따라 신축되는 것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되면, 탄력착용부(12)의 제조가 용이할 뿐 아니라, 귓구멍에 탄력적으로 끼워지면서 착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첨부 도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력착용부(12)의 고정부(11)에 끼워져 고정되는 일측 단 부분의 외부면과 절곡된 탄력편(12-1 ~12-n)의 내면 사이의 공간에 마련되어, 외부에서 유입되거나 귓바퀴에서 반사되는 음을 흡수하는 흡음부(14)를 더 포함하여서 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흡음부(14)는 고정부(11)에 끼워져 고정되는 일측 단 부분의 외부면에 고정되는 스펀지 또는 젤이 내장된 흡음부재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흡음부(14)가 외부에서 유입되거나 귓바퀴에서 반사되는 음을 흡수하면서 필터링하여 음질이 깨끗하게 전달되도록 한다.
끝으로,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널형 이어폰이 아닌, 일반형 이어폰의 헤드(30)에 적용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일반형 이어폰 헤드(30)의 외곽 테두리 부분 또는 테두리 부분에 형성된 돌기 또는 홈 부분에 고정부(11)가 탄력적으로 끼워지면서 결합되어 고정이 이루어지고, 이어폰의 출력 방향으로 상기 탄력착용부(12)가 위치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능과 작용을 나타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 밖에도,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 : 이어폰용 이어팁 11 : 고정부
12 : 탄력착용부 12-1 ~ 12-n : 탄력편
13 : 엠보싱 20 : 이어폰 헤드
21 : 환홈 30 : 일반형 이어폰 헤드

Claims (12)

  1. 이어폰 헤드(20)에 마련되어 귓구멍에 끼워진 상태와 기밀을 유지시키는 이어팁(10)에 있어서,
    이어폰 헤드(20)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부(11);
    상기 고정부(11)에서 출력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운데 고정부(11) 방향으로 절곡되면서 겹쳐진 꽃잎 형태로 마련되어, 귓구멍의 사이즈에 따라 겹쳐진 정도가 가변되면서 신축되는 탄력착용부(12);
    상기 탄력착용부(12)의 겹쳐지는 내측 면은 엠보싱(13) 처리되거나, 리브(13')가 형성되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의 이어팁.
  2. 이어폰 헤드(20)에 마련되어 귓구멍에 끼워진 상태와 기밀을 유지시키는 이어팁(10)에 있어서,
    이어폰 헤드(20)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부(11);
    상기 고정부(11)의 일측 면으로부터 원통 형상으로 연장되어지되, 고정부(11) 방향으로 접혀지면서 절곡되는 부분이 겹쳐진 꽃잎 형태로 확장 마련되어, 귓구멍의 사이즈에 따라 겹쳐진 정도가 가변되면서 신축되는 탄력착용부(12);
    상기 탄력착용부(12)의 겹쳐지는 내측 면은 엠보싱(13) 처리되거나, 리브(13')가 형성되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의 이어팁.
  3. 이어폰 헤드(20)에 마련되어 귓구멍에 끼워진 상태와 기밀을 유지시키는 이어팁(10)에 있어서,
    이어폰 헤드(20)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부(11);
    상기 고정부(11)에서 출력 방향으로 만곡지게 확장되면서 벌어진 꽃잎 형태로 마련되어, 귓구멍에 끼워질 때 고정부(11) 방향으로 말리면서 접혀져 귓구멍의 사이즈에 따라 신축되는 탄력착용부(12);
    상기 탄력착용부(12)의 겹쳐지는 내측 면은 엠보싱(13) 처리되거나, 리브(13')가 형성되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의 이어팁.
  4. 제1항 또는 2항 또는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팁(10)은 재질적으로,
    실리콘 또는 러버를 포함하는 탄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의 이어팁.
  5. 제1항 또는 2항 또는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1)는,
    이어폰 헤드(20)의 출력 방향 본체 테두리에 형성되는 환홈(21)에 끼워지는 내향된 환형 돌기 형태 또는 이어폰 헤드(20)의 출력 방향의 본체 테두리에 형성되는 환형 돌기에 끼워지는 내향된 환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의 이어팁.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력착용부(12)는,
    고정부(11)의 일측 면으로부터 다수의 탄력편(12-1 ~ 12-n)이 연장 돌출되어지되, 상기 각각의 탄력편의 일측 단부는 인접한 탄력편의 타측 단부와 겹쳐진 상태에서 각각의 중간 부분이 상기 고정부(11) 방향으로 절곡되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의 이어팁.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력착용부(12)는,
    상기 탄력착용부(12)는 고정부(11)의 일측 면으로부터 원통 형상으로 연장되어지되, 외측 방향으로 접혀진 선단부 부분이 다수개의 탄력편(12-1 ~ 12-n)이 연장 돌출되고, 상기 각각의 탄력편의 일측 단부는 인접한 탄력편의 타측 단부와 겹쳐진 상태에서 각각의 중간 부분이 상기 고정부(11) 방향으로 절곡되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의 이어팁.
  8. 제6항 또는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력편(12-1 ~ 12-n) 각각은,
    고정부(11)에서부터 선단부 방향으로 가면서 점진적으로 그 두께가 얇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의 이어팁.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혀지는 중간 부분은,
    외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의 이어팁.
  10. 삭제
  11. 제1항 또는 2항 또는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1)가 고정되는 부위는,
    커널형 이어폰 헤드의 관 형태로 돌출된 출력단 선단부에 형성된 환홈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의 이어팁.
  12. 제1항 또는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1)가 고정되는 부위는,
    일반형 이어폰 헤드의 외곽 테두리 부분 또는 테두리 부분에 형성된 돌기 또는 홈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의 이어팁.
KR1020150085211A 2015-06-16 2015-06-16 이어폰의 이어팁 KR1016750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5211A KR101675016B1 (ko) 2015-06-16 2015-06-16 이어폰의 이어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5211A KR101675016B1 (ko) 2015-06-16 2015-06-16 이어폰의 이어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5016B1 true KR101675016B1 (ko) 2016-12-06

Family

ID=57576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5211A KR101675016B1 (ko) 2015-06-16 2015-06-16 이어폰의 이어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501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49947A1 (de) * 2018-02-05 2019-08-08 Paul Gregor Junke Universal-adapter für hörgeräte und ohrhörer
CN110933546A (zh) * 2018-09-20 2020-03-27 苹果公司 设计使能以声学体积的压力变化进行耳内检测的耳机顶端
US11425515B1 (en) 2021-03-16 2022-08-23 Iyo Inc. Ear-mount able listening device with baffled sea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61011A (ja) * 1989-11-20 1991-07-11 Toshiba Corp 防湿庫
JP3161011B2 (ja) * 1992-02-25 2001-04-25 東ソー株式会社 二酸化炭素の還元方法
JP2010130517A (ja) * 2008-11-28 2010-06-10 Sony Corp イヤピース及びイヤホン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61011A (ja) * 1989-11-20 1991-07-11 Toshiba Corp 防湿庫
JP3161011B2 (ja) * 1992-02-25 2001-04-25 東ソー株式会社 二酸化炭素の還元方法
JP2010130517A (ja) * 2008-11-28 2010-06-10 Sony Corp イヤピース及びイヤホン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49947A1 (de) * 2018-02-05 2019-08-08 Paul Gregor Junke Universal-adapter für hörgeräte und ohrhörer
CN111684821A (zh) * 2018-02-05 2020-09-18 保罗·格雷戈·郡克 用于耳机和助听器的通用适配器
US11218819B2 (en) * 2018-02-05 2022-01-04 Paul Gregor Junke Universal adapter for hearing aids and earphones
CN111684821B (zh) * 2018-02-05 2022-05-31 保罗·格雷戈·郡克 用于耳机和助听器的通用适配器
CN110933546A (zh) * 2018-09-20 2020-03-27 苹果公司 设计使能以声学体积的压力变化进行耳内检测的耳机顶端
US11425515B1 (en) 2021-03-16 2022-08-23 Iyo Inc. Ear-mount able listening device with baffled seal
WO2022197562A1 (en) * 2021-03-16 2022-09-22 Iyo Inc. Ear-mountable listening device with baffled se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46877B2 (en) Sound output device and sound guiding device
JP6644858B2 (ja) イヤピース位置決めおよび保持構造体
KR101762142B1 (ko) 이어윙
JP6037483B2 (ja) イヤーピースパッシブノイズ減衰
US20080298626A1 (en) Audio earbud carrier
US10009680B2 (en) Retaining structure for an earpiece
US8428289B2 (en) Headphone adaptation and positioning device
US9462366B2 (en) Earpieces having flexible flaps
US8213668B2 (en) In-ear earphone
WO2018058878A1 (zh) 耳机套及具有该耳机套的耳机
US11388499B2 (en) Universal adjustable ear tip
KR101675016B1 (ko) 이어폰의 이어팁
WO2016151952A1 (ja) ウェアラブル装置
KR101535916B1 (ko) 음향필터가 설치된 이어피스 및 이어폰
KR101827386B1 (ko) 이어폰용 가변 이어팁
KR20090010390A (ko) 이어 러버
KR20190142029A (ko) 이어팁
CN216122820U (zh) 一种耳机
CN104105022A (zh) 耳罩式耳机
US20140161299A1 (en) Ear tip
KR20230008852A (ko) 인-이어 이어폰 유지 구조물
KR20170011352A (ko) 이어폰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