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8852A - 인-이어 이어폰 유지 구조물 - Google Patents

인-이어 이어폰 유지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8852A
KR20230008852A KR1020227043223A KR20227043223A KR20230008852A KR 20230008852 A KR20230008852 A KR 20230008852A KR 1020227043223 A KR1020227043223 A KR 1020227043223A KR 20227043223 A KR20227043223 A KR 20227043223A KR 20230008852 A KR20230008852 A KR 202300088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tilever
earphone
ear
wearer
shape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3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이클 앤드류 잘리스크
리암 로버트 켈리
Original Assignee
보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보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30008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88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Earpiece supports, e.g. ear hoo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83Reduction of ambient noi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91Detai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R1/1008 - H04R1/108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5Housing parts, e.g. shells, tips or moulds, or their manufacture
    • H04R25/652Ear tips; Ear moulds
    • H04R25/656Non-customized, universal ear tips, i.e. ear tips which are not specifically adapted to the size or shape of the ear or ear ca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5Housing parts, e.g. shells, tips or moulds, or their manufacture

Abstract

발명 양태는 착용자의 귀 안에 이어폰을 안정화시키고 고정하기 위한 듀얼 평면 유지 피스를 설명한다. 유지 피스는 이어폰으로부터 고정되거나 제거 가능하다. 유지 피스는, 이어폰을 착용하는 경우에 착용자의 귀의 대이주 아래에 유연하게 끼워맞춤되도록 형상화된 제1 캔틸레버형 부분, 이어폰을 착용하는 경우에 착용자의 귀의 대륜 아래에 유연하게 끼워맞춤되도록 형상화된 제2 캔틸레버형 부분, 및 이어폰의 몸체에 유지 피스를 결합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부착 특징부를 포함하되, 몸체는, 이어폰을 착용하는 경우에 착용자의 귀의 하부 이각 내에 끼워맞춤되도록 형상화된다. 양태에서, 제1 및 제2 캔틸레버형 부분은 일체로 형성된다.

Description

인-이어 이어폰 유지 구조물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20년 5월 26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6/883,529호의 우선권 및 이익을 주장하며, 그 내용은 이하에서 완전히 제시된 바와 같이 그 전체가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개시의 양태는 인-이어 오디오 출력 디바이스의 이어폰용 유지 구조물의 다양한 특징부를 설명한다. 본원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유지 구조물은, 안정성을 생성하고 이어폰을 외이도로 밀어내기 위한 스프링 요소로서 작동하는 "스쿠프" 또는 "플랩"을 포함한다.
사람은 장시간 동안 그리고 다양한 유형의 활동에 참여하는 동안 오디오 출력 디바이스를 착용한다. 일례로서, 사람은 통근하고, 작업하고, 운동하면서 하루에 걸쳐 인-이어 이어폰을 착용한다. 인-이어 이어폰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은 인터넷 및 스마트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이어폰의 능력 및 기술 향상으로 계속 개선되고 있다. 이와 같이, 인-이어 이어폰은 사람의 일일 생활에서 더 필수적이 되고 있다. 인-이어 이어폰을 사용하고 인기가 많아지면서, 이어폰이 사용자의 귀 안에 편안하게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 양태는 인-이어 이어폰용 유지 구조물을 제공한다. 일 양태에서, 인-이어 오디오 출력 디바이스의 이어폰용 유지 피스는, 이어폰을 착용하는 경우에 착용자의 귀의 대이주 아래에 유연하게 안착하도록 형상화된 제1 캔틸레버형 부분, 이어폰을 착용하는 경우에 착용자의 귀의 대륜 아래에 유연하게 끼워맞춤되도록 형상화된 제2 캔틸레버형 부분, 및 이어폰의 몸체에 유지 피스를 결합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부착 특징부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는, 이어폰을 착용하는 경우에 착용자의 귀의 하부 이각 내에 끼워맞춤되도록 형상화된다.
양태에서, 부착 특징부는 몸체의 외주부의 일부에 걸쳐 있다. 제1 캔틸레버형 부분은 제1 측면 및 제1 측면에 실질적으로 반대편인 제2 측면을 포함하며, 제1 캔틸레버형 부분의 제1 측면은 부착 특징부에 결합되고, 제2 캔틸레버형 부분은 제1 측면 및 제1 측면에 실질적으로 반대편인 제2 측면을 포함하며, 제2 캔틸레버형 부분의 제1 측면은 부착 특징부에 결합된다.
양태에서, 제1 캔틸레버형 부분의 제2 측면은, 부착 특징부가 착용자의 귀 안에 위치한 이어폰의 몸체에 결합되는 경우에 제1 캔틸레버형 부분의 제1 측면을 향해 접히고, 제2 캔틸레버형 부분의 제2 측면은, 부착 특징부가 이어폰의 몸체에 결합되고 착용자의 귀 안에 위치하는 경우에 제2 캔틸레버형 부분의 제1 측면을 향해 접힌다.
양태에서, 제1 캔틸레버형 부분의 제1 측면은 주로 제1 평면에 있고, 제2 캔틸레버형 부분의 제1 측면은 제1 평면과 상이한 제2 평면에 주로 있다. 양태에서, 제1 평면은, 이어폰을 착용하는 경우에 제2 평면과 비교하면, 착용자의 외이도를 향해 더 깊게 위치한다.
양태에서, 제1 캔틸레버형 부분 또는 제2 캔틸레버형 부분 중 하나는 프린지를 포함한다. 양태에서, 제1 캔틸레버형 부분과 제2 캔틸레버형 부분은 일체로 형성된다. 양태에서, 제1 캔틸레버형 부분과 제2 캔틸레버형 부분은 상이한 듀로미터를 갖는다. 양태에서, 부착 특징부는 몸체의 외주부에 걸쳐 있도록 형상화된다.
양태는 인-이어 오디오 출력 디바이스의 이어폰을 제공하며, 이는, 이어폰을 착용하는 경우에 착용자의 귀의 하부 이각에 끼워맞춤되도록 형상화된 몸체, 및 유지 피스를 포함하되, 상기 유지 피스는 착용자의 귀의 대이주 아래에 유연하게 끼워맞춤되도록 형상화된 제1 캔틸레버형 부분, 착용자의 귀의 대륜 아래에 유연하게 끼워맞춤되도록 형상화된 제2 캔틸레버형 부분, 및 유지 피스를 몸체에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착 특징부를 포함한다.
양태에서, 부착 특징부는 몸체의 외주부의 일부에 걸쳐 있고, 제1 캔틸레버형 부분은 제1 측면 및 제1 측면에 실질적으로 반대편인 제2 측면을 포함하며, 제1 캔틸레버형 부분의 제1 측면은 부착 특징부에 결합되고, 제2 캔틸레버형 부분은 제1 측면 및 제1 측면에 실질적으로 반대편인 제2 측면을 포함하며, 제2 캔틸레버형 부분의 제1 측면은 부착 특징부에 결합된다.
양태에서, 제1 캔틸레버형 부분의 제2 측면은, 이어폰이 착용자의 귀 안에 위치하는 경우에 제1 캔틸레버형 부분의 제1 측면을 향해 접히고, 제2 캔틸레버형 부분의 제2 측면은, 이어폰이 착용자의 귀 안에 위치하는 경우에 제2 캔틸레버형 부분의 제1 측면을 향해 접힌다.
양태에서, 제1 캔틸레버형 부분의 제1 측면은 주로 제1 평면에 있고, 제2 캔틸레버형 부분의 제1 측면은 제1 평면과 상이한 제2 평면에 주로 있다.
양태에서, 제1 평면은, 이어폰을 착용하는 경우에 제2 평면과 비교하면, 착용자의 외이도를 향해 더 깊게 위치한다.
양태에서, 제1 캔틸레버형 부분 또는 제2 캔틸레버형 부분은 프린지를 포함한다. 양태에서, 제1 캔틸레버형 부분과 제2 캔틸레버형 부분은 상이한 듀로미터를 갖는다. 양태에서, 제1 캔틸레버형 부분과 제2 캔틸레버형 부분은 일체로 형성된다. 양태에서, 부착 특징부는 몸체의 외주부에 걸쳐 있도록 형상화된다.
양태에서, 이어폰은, 착용자의 귀의 외이도를 향해 연장되고 평면 원위 단부를 포함한 노즐(상기 노즐은 착용자의 외이도로 음파를 전도하기 위한 음향 통로를 포함함), 노즐의 평면 원위 단부로부터 연장된 실질적으로 구형 돔 형상 밀봉 구조물을 추가로 포함한다. 양태에서, 노즐의 단부는 실질적으로 타원형인 음향 통로용 개구를 포함한다.
양태에서, 실질적으로 타원형인 개구의 장축은, 이어폰이 착용자의 귀 안에 위치하는 경우에 착용자의 외이도의 장축과 실질적으로 정렬된다. 양태에서, 밀봉 구조물은 노즐에 결합된 좁은 단부, 및 전형적인 외이도 폭보다 더 큰 넓은 단부를 포함한다. 양태에서, 유지 피스는 몸체로부터 제거 가능하다.
본원에서 언급되는 모든 예시 및 특징부는 기술적으로 가능한 임의의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다음의 도면과 연관하여 읽는 경우, 다른 특징부, 목적 및 이점이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a는 사람 귀의 측방향 표면의 도면이다.
도 1b 및 도 1c는 사람 귀의 예시적인 단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양태에 따라, 유지 피스, 부착 특징부, 몸체, 노즐, 및 밀봉 구조물을 포함하는 인-이어 이어폰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양태에 따라, 유지 피스, 부착 특징부, 몸체, 노즐 및 밀봉 구조물을 포함하는 인-이어 이어폰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양태에 따라, 유지 부착 특징부, 몸체, 및 밀봉 구조물을 포함하는 인-이어 이어폰에 부착된 노즐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양태에 따라, 착용자의 귀 안에 위치한 이어폰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양태에 따라, 착용자의 귀 안에 위치한 유지 피스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양태에 따라, 착용자의 귀 안에 위치한 이어폰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양태에 따라, 제1 캔틸레버형 부분 및 제2 캔틸레버형 부분 둘 중 제2 자유 측면 상의 프린지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유지 피스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양태에 따라, 제1 캔틸레버형 부분 및 제2 캔틸레버형 부분 모두의 제2 자유 측면 상의 프린지를 포함하는 유지 피스의 측면도이다.
StayHear+ 이어 팁과 같은 일부 이어폰은, 착용자의 귀 내부에 안전하게 안착되어, 이를 제자리로 밀 필요가 없다. 이러한 설계를 갖는 이어폰은 추가 지지를 위해 착용자의 귀의 대륜을 사용한다. 이들 설계는 편안하고, 부드러운 밀봉부를 생성하여 노이즈 감소를 용이하게 하고, 압력 지점을 피하기 위해 착용자의 귀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접촉을 확산시키고, 노이즈 감소를 최대화하면서 일관된 오디오 성능을 제공하는 데 도움을 준다. 그러나, 최신 디자인은 착용자의 이각 주위에 배치된 전자장치의 양을 증가시키려고 시도한다.
본원에 설명된 유지 피스는 과도한 반경 방향 압력 없이 배향 및 안정성을 제공한다. 배향은, 이어폰이 착용자의 귀 안에 적절하게 있음을 보장하는 것을 돕는다. 안정성을 달성하는 것은, 적절하게 삽입되는 경우에 최소한의 움직임으로 이어폰이 착용자의 귀 안에 고정되는 것을 지칭한다. 본 설명의 유지 피스는, 인-이어 이어폰이 착용자의 이각 주위의 영역에 많은 전자장치를 수용하는 것과 착용자가 다양한 활동에 참여하는 동안에 장시간 착용자의 귀 안에 편안하게 안착하는 것을 돕는다.
유지 피스는, 이어폰을 착용하는 경우에 착용자의 귀의 대이주 아래에 유연하게 끼워맞춤되도록 형상화된 제1 캔틸레버형 부분, 및 이어폰을 착용하는 경우에 착용자의 귀의 대륜 아래에 유연하게 끼워맞춤되도록 형상화된 제2 캔틸레버형 부분을 포함한다. 양태에서, 제1 및 제2 캔틸레버형 부분은 일체로 형성된다. 유지 피스는 또한, 유지 피스를 이어폰의 몸체에 결합하거나 달리 부착하는 부착 특징부를 포함한다. 예시된 유지 피스 및 이어폰은 착용자의 오른쪽 귀에 대해 나타나 있다. 착용자의 좌측 귀에 끼워맞춤되도록 설계된 유지 피스 및 이어폰은, 후술하는 유지 피스 및 이어폰의 거울 이미지이고, 동일한 원리에 따라 작동한다.
도 1a는 일부 특징부가 식별된, 사람 오른쪽 귀의 측방향 표면을 나타낸다. 상이한 귀 크기 및 기하 구조가 많이 있다. 일부 귀는 도 1a에 나타내지 않은 추가적인 특징부를 갖는다. 일부 귀는 도 1a에 나타낸 특징부의 일부가 결여되어 있다. 일부 특징부는 도 1a에 나타낸 것보다 더 많거나 덜 두드러질 수 있다.
본원에 설명된 유지 피스는, 스쿠프 또는 플랩으로 지칭될 수 있는 캔틸레버형 특징부를 포함한다. 캔틸레버형 특징부는 전형적인 귀의 기하 구조에 기초하여 적어도 제1 캔틸레버형 부분 및 제2 캔틸레버형 부분을 포함한다. 제1 캔틸레버형 부분은, 이어폰을 착용할 경우에 영역(110)에서 착용자의 귀의 대이주 아래에 끼워맞춤된다. 제2 캔틸레버형 부분은, 이어폰을 착용할 경우에 영역(120)에서 착용자의 귀의 대륜 아래에 끼워맞춤된다. 양태에서, 제2 캔틸레버형 부분은 착용자의 귀의 대륜의 작은 하부 부분 아래에 끼워맞춤된다. 양태에서, 캔틸레버형 부분은 일체로 형성된다. 캔틸레버형 부분은 대이주 및 적어도 대륜의 작은 하부 부분을 따라 귀에 압력을 인가한다. 그 결과, 유지 피스는 안정성을 생성하고 이어폰을 착용자의 외이도로 밀어낸다. 또한, 유지 피스는 착용자의 이각 보울을 따라 전자장치를 수용하는 이어폰 몸체를 지지한다.
도 1b 및 도 1c는 일부 특징부가 식별된 사람 귀의 두 예시적인 단면을 나타낸다. 외이도는, 가변 단면 영역 및 직선이 아닌 중심선을 갖는 불규칙한 형상의 실린더이다. 식별 특징부 중에 외이도 입구 및 외이도 주요 부분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외이도 입구는 이각 근처의 외이도 부분을 지칭하며, 여기서 외이도 벽은 외이도의 중심선에 실질적으로 평행하지 않다. 사람 귀의 정확한 구조는 개인별로 광범위하게 변한다. 예를 들어, 도 1b의 단면에서, 외이도의 중심선(30-1B)에 평행하지 않은 외이도 벽으로부터 외이도의 중심선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벽으로 상대적으로 날카로운 전이가 존재하여, 외이도 입구(32-1B)가 비교적 짧다. 도 1c의 단면에서, 외이도의 중심선에 평행하지 않은 벽으로부터 외이도의 중심선(30-1C)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벽으로 더 완만한 전이가 존재하여, 외이도 입구(32-1C) 가 비교적 길다.
도 2는 유지 피스를 포함하는 인-이어 이어폰(200)의 측면도이고, 도 3은 인-이어 이어폰 및 유지 피스의 정면도(300)이고, 도 4는 본 개시의 양태에 따라 유지 피스를 포함하는 인-이어 이어폰의 노즐(260)의 정면도(400)이다.
유지 피스는, 대이주 아래에 유연하게 끼워맞춤되는 제1 캔틸레버형 부분(210), 대륜 아래에 유연하게 끼워맞춤되는 제2 캔틸레버형 부분(220), 및 부착 특징부(230)를 포함한다. 양태에서, 제1 캔틸레버형 부분(210)과 제2 캔틸레버형 부분(220)은 일체로 형성된다. 제1 및 제2 캔틸레버형 부분 각각은, 부착 특징부(230)와 몸체(240)에 근접한 제1 측면, 및 적어도 이어폰이 착용자의 귀 안에 삽입되지 않을 경우에 부착 특징부(230)와 몸체(240)에서 더 먼 제2 자유 측면을 포함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캔틸레버형 부분은 스쿠프 또는 곡선형 형상을 갖고, 따라서 유지 피스는, 이어폰이 착용자의 귀 안에 삽입되는 경우에 착용자의 대이주 영역(110)과 대륜 영역(120) 형상에 각각 편안하게 순응한다. 만곡된 형상은, 제1 및 제2 캔틸레버형 부분이 대이주와 대륜에 각각 접촉할 경우에 캔틸레버형 부분 각각의 제2 자유 측면으로 하여금 부착 특징부(230)와 몸체(240)를 향해 부드럽게 롤링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유지 피스는 광범위한 귀 기하 구조 및 크기에 대해 이어폰을 고정시킨다. 착용자가 큰 귀를 갖는다면, 캔틸레버형 부분의 자유 측면은, 이어폰이 귀 안에 삽입되는 경우에 몸체(240)를 향해 덜 롤링될 수 있다. 사용자가 더 작은 귀를 갖는다면, 캔틸레버형 부분의 자유 측면은, 자유 측면이 대이주와 대륜과 접촉하는 경우에 몸체(240)를 향해 더 많이 롤링될 수 있다. 그러나, 두 경우 모두에서, 동일한 유지 피스는 이어폰을 제자리에 유지하고 적절하게 배향되도록 안정성을 편안하게 제공하고, 착용자가 몸체(240)를 외이도로부터 당김으로써 이어폰을 제거할 경우에 약간의 저항을 제공한다.
제1 캔틸레버형 부분(210)은, 부착 특징부(230)에 결합된 제1 측면(210a), 및 이어폰(200)이 착용자의 귀 안에 삽입되는 경우에 제1 측면(210a)을 향해 접히는 제2 측면(210b)을 포함한다. 제2 캔틸레버형 부분(220)은, 제1 측면(220a)(예를 들어, 도 3 및 도 6 내지 도 9에 나타냄), 및 이어폰(200)이 착용자의 귀 안에 삽입되는 경우에 제1 측면(220a)을 향해 접히는 제2 측면(220b)을 포함한다. 제1 캔틸레버형 부분(210)의 제1 측면(210a)은 부착 특징부(230)와 결합된다. 제2 캔틸레버형 부분(220)의 제1 측면(220a)은 또한 부착 특징부(230)와 결합된다. 양태에서, 제1 캔틸레버형 부분(210)의 제1 측면(210a), 및 제2 캔틸레버형 부분(220)의 제1 측면(220a)은 부착 특징부(230)에 부착된다. 양태에서, 제1 캔틸레버형 부분(210), 제2 캔틸레버형 부분(220), 및 부착 특징부(230)는 일체로 형성된다.
부착 특징부(230)는 유지 피스를 이어폰(200)에 부착시킨다. 양태에서, 그리고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착 특징부(230)는 이어폰(200)의 몸체(240)의 외주부에 걸치도록 형상화된다. 양태에서, 부착 특징부(230)는 유지 피스를 이어폰(200)으로부터 제거시킬 수 있다. 도면은, 몸체(240)의 외주부 주위에 끼워맞춤되는 슬리브로서 부착 특징부(230)를 나타낸다. 그러나, 양태에서, 부착 특징부는, 제1 캔틸레버형 부분(210)과 제2 캔틸레버형 부분(220)을 이어폰(200)의 몸체(240)에 결합시키는 임의의 특징부이다. 부착 특징부는 몸체(240)의 외주부에 걸쳐 있을 필요가 없다. 일례로서, 부착 특징부는 몸체 외주부의 일부 안으로 스냅 또는 슬라이딩하여 제1 캔틸레버형 부분(210)과 제2 캔틸레버형 부분(220)을 몸체(240)에 연결할 수 있다.
이어폰(200)은 몸체(240), 노즐(250), 및 밀봉 구조물(260)을 포함한다. 몸체(240)는 착용자의 하부 이각 주위 및 그 안에 끼워맞춤되도록 형상화되고 이어폰(200)용 음향 드라이버 및 다른 전자장치를 수용하도록 형상화된다. 양태에서, 유지 피스는 몸체(240)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된다. 다른 양태에서, 제1 캔틸레버형 부분(210), 제2 캔틸레버형 부분(220), 및 부착 특징부(230)의 임의의 조합은 몸체에 부착되거나 몸체와 일체로 형성된다. 일례에서, 제1 및 제2 캔틸레버형 부분(210, 220)이 몸체(240)에 직접 부착되는 경우, 유지 피스는 부착 특징부(230)를 포함하지 않는다.
노즐(250)은 몸체(240)로부터 밀봉 구조물(260)을 향해 연장된다. 노즐(250)은, 음파를 착용자의 외이도로 통과시키는 음향 통로를 포함한다. 도 2, 도 4 및 도 5에서, 노즐(250)은 실질적으로 타원 형상 개구(270)를 갖는 평면 단부를 갖는다. 실질적으로 타원 형상 개구(270)의 장축(280)은, 이어폰이 착용자의 귀 안에 위치하는 경우에 착용자의 외이도의 장축과 실질적으로 정렬된다(도 1b 및 도 5 참조). 즉, 실질적으로 타원 형상 개구(270)의 장축(280)은 착용자 머리의 길이와 정렬된다. 도 2 내지 도 5에서, 노즐은 실질적으로 타원형인 음향 통로용 개구를 포함한다. 그러나, 다른 양태에서, 개구는 난형 형상 또는 레이스트랙 형상이다.
밀봉 구조물(260)은 전형적인 착용자의 외이도와 함께 밀봉부를 생성한다. 밀봉 구조물(260)은 실질적으로 구형 돔 형상이다. 밀봉 구조물은 노즐(250)의 평면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착용자의 외이를 향해 다시 접힌다. 도 2,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밀봉 구조물(260)은 노즐(250)에 결합된 좁은 단부(260a), 및 전형적인 외이도 폭보다 더 큰 넓은 단부(260b)를 포함한다. 밀봉 구조물의 좁은 단부(260a)와 밀봉 구조물의 넓은 단부(260b) 사이에 부드럽고 둥근 연결부가 있다. 일례에서, 좁은 단부(260a)와 넓은 단부(260b) 사이의 연결부는 베개 형상, 돔 형상, 부드럽고/부드럽거나 약간 만곡된 것으로 설명된다. 이러한 유형의 연결은 착용자의 외이도 상에 더 적은 압력을 두고 이어폰(200)을 착용자의 외이도 밖으로 미는 힘 벡터를 감소시킨다.
도 5는 착용자의 귀 안에 위치한 이어폰의 측면 사시도(500)를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직선 연결 대신에, 밀봉 구조물(260)은 밀봉 구조물의 좁은 단부(260a)와 밀봉 구조물의 넓은 단부(260b) 사이에 약간 만곡된(베개 형상, 돔 형상 및/또는 부드러운) 연결부를 갖는다. 또한, 타원형 개구(270)는 전형적인 귀 기하 구조와 정렬되고, 동일한 이어폰으로 하여금 다양한 귀 크기를 편안히 수용할 수 있게 한다.
도 6은 착용자의 귀 안에 위치한 유지 피스의 측면 사시도(600)를 나타내고, 도 7은 본 개시의 양태에 따라, 착용자의 귀 안에 위치한 이어폰의 상부 사시도(700)를 나타낸다.
제1 캔틸레버형 부분(210)과 제2 캔틸레버형 부분(220)의 만곡된 설계가 나타나 있다. 제1 캔틸레버형 부분(210)이 착용자의 대이주와 접촉하는 경우, 제2 자유 측면(210b)은 부착 특징부(230)를 향해 부드럽게 롤링된다. 유사하게, 제2 캔틸레버형 부분(220)이 착용자의 대륜과 접촉하는 경우, 제2 자유 측면(220b)은 부착 특징부(230)를 향해 부드럽게 롤링된다.
양태에서, 전형적인 귀 기하 구조로 인해, 제1 캔틸레버형 부분(210)과 제2 캔틸레버형 부분(220)은 주로 상이한 평면에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캔틸레버형 부분(210)은, 이어폰을 착용하는 경우에 제2 캔틸레버형 부분과 비교하면, 외이도에 더 깊게 안착한다. 양태에서, 제1 캔틸레버형 부분(210)의 제1 측면(210a)은, 이어폰을 착용하는 경우에 제2 캔틸레버형 부분(220)의 제1 측면(220a)과 비교하면, 외이도에 더 가까운 제1 평면에 주로 있다.
도 7에서, 제1 캔틸레버형 부분(210)의 작은 부분 및 제2 캔틸레버형 부분(220)의 작은 부분은, 이어폰이 착용자의 귀 안에 삽입되는 경우에 상부에서 보면 가시적이다. 제2 캔틸레버형 부분의 상부는 착용자의 대륜과 접촉하여 제2 측면(220b)으로 하여금 부착 특징부(230)와 몸체(240)를 향해 만곡시킨다. 외이는 제1 및 제2 캔틸레버형 부분의 나머지의 뷰를 차단한다. 그러나, 이들은, 모두 착용자의 귀의 더 깊은 단면에서 착용자의 외이도에 위치한 유지 피스의 상부도를 예시하기 위해, 점선을 사용하여 나타나 있다.
도 8은 제1 캔틸레버형 부분(210)과 제2 캔틸레버형 부분(220) 상에 프린지를 포함한 유지 피스 예시의 정면도(800)를 나타내고, 도 9는 본 개시의 양태에 따라, 프린지를 포함한 유지 피스의 측면도(900)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캔틸레버형 부분은 다양한 귀 크기 및 기하 구조에 유연성을 제공한다. 양태에서, 유지 피스는 가요성 및/또는 편안함을 증가시키기 위한 다른 특징부를 포함한다. 일례로서, 제2 자유 측면(210b 및 220b)의 외주부 중 하나 이상은 인접하지 않고, 그 대신 프린지(또는 핑거)를 포함한다. 각 핑거의 폭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필요는 없다. 일례에서, 더 얇은 핑거는 영역(110)에서와 같이 더 많은 유연성이 요구되는 영역에서 사용된다. 사람별로 귀 기하 구조 또는 더 많은 변동에서 급격한 변화(예, 곡률)가 존재하는 귀의 영역에서, 프린지는 대부분의 귀에 끼워맞춤되도록 단일 유지 피스에 대한 유연성을 제공한다. 도 8에서, 제1 캔틸레버형 부분의 하부 부분은 제1 및 제2 캔틸레버형 부분의 다른 부분과 비교하면 더 얇은 프린지를 갖는다. 나타내지 않았지만, 양태에서, 제1 또는 제2 캔틸레버형 부분의 일부만이 프린지를 포함한다.
양태에서, 유지 피스는 임의의 생체적합성 재료로 제조되고 다양한 두께를 갖는다. 일례에서, 유연성이 덜 요구되는 경우 더 높은 듀로미터 재료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사람 사이 또는 귀의 만곡 영역 사이의 다양한 귀 기하 구조로 인해 더 큰 유연성이 요구되는 영역에서, 더 낮은 듀로미터 재료가 유연성 증가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나타내지 않은 양태에서, 제1 캔틸레버형 부분(210)은 제1 측면(210a)으로부터 제2 자유 측면(210b)을 향해 두께가 감소한다. 유사하게, 양태에서, 제2 캔틸레버형 부분(220)은 제2 자유 측면(220b)을 향해 더 얇아진다.
듀얼 평면 유지 피스는 외이도를 향한 버드의 방향에 높은 순응도를 갖고, 착용자가 이어폰을 회전 또는 제거하려고 시도할 경우에 수직 방향으로 일부 강성을 제공한다.
본원에 설명된 이어폰은 다양한 장치에 적용 가능하고, 오디오 헤드폰, 보청기, 보청 헤드폰, 노이즈 마스킹 이어버드, ANR 헤드폰, 항공 헤드폰, 및 인-이어 구성요소를 포함한 다른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본원에 개시된 특정 장치 및 기술로부터의 다수의 사용 및 출발은 본 발명의 개념을 벗어나지 않는다면 이루어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본원에 개시된 신규 특징부 각각 그리고 모든 신규 특징부 및 특징부의 신규 조합을 포함하고,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에 의해서만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인-이어 오디오 출력 디바이스의 이어폰용 유지 피스로서,
    상기 이어폰을 착용하는 경우에 착용자의 귀의 대이주 아래에 유연하게 끼워맞춤되도록 형상화된 제1 캔틸레버형 부분;
    상기 이어폰을 착용하는 경우에 상기 착용자의 귀의 대륜 아래에 유연하게 끼워맞춤되도록 형상화된 제2 캔틸레버형 부분; 및
    상기 이어폰의 몸체에 상기 유지 피스를 결합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부착 특징부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는, 상기 이어폰을 착용하는 경우에 상기 착용자의 귀의 하부 이각 내에 끼워맞춤되도록 형상화되는, 유지 피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특징부는 상기 몸체의 외주부의 일부에 걸쳐 있고,
    상기 제1 캔틸레버형 부분은 제1 측면 및 상기 제1 측면에 실질적으로 반대편인 제2 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캔틸레버형 부분의 제1 측면은 상기 부착 특징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캔틸레버형 부분은 제1 측면 및 상기 제1 측면에 실질적으로 반대편인 제2 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캔틸레버형 부분의 제1 측면은 상기 부착 특징부에 결합되는, 유지 피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캔틸레버형 부분의 제2 측면은, 상기 부착 특징부가 상기 착용자의 귀 안에 위치한 상기 이어폰의 몸체에 결합되는 경우에 상기 제1 캔틸레버형 부분의 제1 측면을 향해 접히고,
    상기 제2 캔틸레버형 부분의 제2 측면은, 상기 부착 특징부가 상기 이어폰의 몸체에 결합되고 상기 착용자의 귀 안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제2 캔틸레버형 부분의 제1 측면을 향해 접히는, 유지 피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캔틸레버형 부분의 제1 측면은 주로 제1 평면에 있고, 상기 제2 캔틸레버형 부분의 제1 측면은 상기 제1 평면과 상이한 제2 평면에 주로 있는, 유지 피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평면은, 상기 이어폰을 착용하는 경우에 상기 제2 평면과 비교하면, 상기 착용자의 외이도를 향해 더 깊게 위치하는, 유지 피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캔틸레버형 부분 또는 상기 제2 캔틸레버형 부분 중 하나는 프린지를 포함하는, 유지 피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캔틸레버형 부분과 상기 제2 캔틸레버형 부분은 일체로 형성되는, 유지 피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특징부는 상기 몸체의 외주부에 걸쳐 있도록 형상화되는, 유지 피스.
  9. 인-이어 오디오 출력 디바이스의 이어폰으로서,
    상기 이어폰을 착용하는 경우에 착용자의 귀의 하부 이각에 끼워맞춤되도록 형상화된 몸체; 및
    유지 피스를 포함하되, 상기 유지 피스는 착용자의 귀의 대이주 아래에 유연하게 끼워맞춤되도록 형상화된 제1 캔틸레버형 부분, 상기 착용자의 귀의 대륜 아래에 유연하게 끼워맞춤되도록 형상화된 제2 캔틸레버형 부분, 및 상기 유지 피스를 상기 몸체에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착 특징부를 포함하는, 이어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특징부는 상기 몸체의 외주부의 일부에 걸쳐 있고,
    상기 제1 캔틸레버형 부분은 제1 측면 및 상기 제1 측면에 실질적으로 반대편인 제2 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캔틸레버형 부분의 제1 측면은 상기 부착 특징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캔틸레버형 부분은 제1 측면 및 상기 제1 측면에 실질적으로 반대편인 제2 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캔틸레버형 부분의 제1 측면은 상기 부착 특징부에 결합되는, 이어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캔틸레버형 부분의 제2 측면은, 상기 이어폰이 상기 착용자의 귀 안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제1 캔틸레버형 부분의 제1 측면을 향해 접히고,
    상기 제2 캔틸레버형 부분의 제2 측면은, 상기 이어폰이 상기 착용자의 귀 안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제2 캔틸레버형 부분의 제1 측면을 향해 접히는, 이어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캔틸레버형 부분의 제1 측면은 주로 제1 평면에 있고, 상기 제2 캔틸레버형 부분의 제1 측면은 상기 제1 평면과 상이한 제2 평면에 주로 있는, 이어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평면은, 상기 이어폰을 착용하는 경우에 상기 제2 평면과 비교하면, 상기 착용자의 외이도를 향해 더 깊게 위치하는, 이어폰.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캔틸레버형 부분과 상기 제2 캔틸레버형 부분은 일체로 형성되는, 이어폰.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특징부는 상기 몸체의 외주부에 걸쳐 있도록 형상화되는, 이어폰.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자의 귀의 외이도를 향해 연장되고 평면 원위 단부를 포함한 노즐(상기 노즐은 상기 착용자의 외이도로 음파를 전도하기 위한 음향 통로를 포함함); 및
    상기 노즐의 상기 평면 원위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실질적으로 구형인 돔 형상 밀봉 구조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이어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의 단부는 실질적으로 타원형인 상기 음향 통로용 개구를 포함하는, 이어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실질적으로 타원형인 개구의 장축은, 상기 이어폰이 상기 착용자의 귀 안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착용자의 외이도의 장축과 실질적으로 정렬되는, 이어폰.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구조물은 상기 노즐에 결합된 좁은 단부, 및 넓은 전형적인 외이도보다 더 큰 넓은 단부를 포함하는, 이어폰.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피스는 상기 몸체로부터 제거 가능한, 이어폰.
KR1020227043223A 2020-05-26 2021-04-12 인-이어 이어폰 유지 구조물 KR202300088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883,529 2020-05-26
US16/883,529 US11297408B2 (en) 2020-05-26 2020-05-26 In-ear earpiece retaining structure
PCT/US2021/026807 WO2021242421A1 (en) 2020-05-26 2021-04-12 In-ear earpiece retaining struc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8852A true KR20230008852A (ko) 2023-01-16

Family

ID=75787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3223A KR20230008852A (ko) 2020-05-26 2021-04-12 인-이어 이어폰 유지 구조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3) US11297408B2 (ko)
EP (1) EP4158900A1 (ko)
JP (1) JP2023527406A (ko)
KR (1) KR20230008852A (ko)
CN (1) CN115868175A (ko)
AU (1) AU2021278960A1 (ko)
CA (1) CA3183704A1 (ko)
WO (1) WO20212424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77110B2 (en) 2022-01-13 2024-01-16 Bose Corporation Flow relief features embedded in cosmetic surface of wearables
US20230224617A1 (en) * 2022-01-13 2023-07-13 Bose Corporation In-ear audio output device having a stability band designed to minimize acoustic port blockage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8322C (ko) 1925-12-17
US2430229A (en) * 1943-10-23 1947-11-04 Zenith Radio Corp Hearing aid earpiece
US2874231A (en) * 1955-12-02 1959-02-17 Frank B Wallace Ear mounted hearing aid device
US3935401A (en) * 1974-08-29 1976-01-27 Shore Sidney X Earpiece for acoustic headset
US7068803B2 (en) * 2000-12-22 2006-06-27 Nextlink.To A/S Acoustic device with means for being secured in a human ear
US8625834B2 (en) 2004-09-27 2014-01-07 Surefire, Llc Ergonomic earpiece and attachments
US20080181441A1 (en) * 2005-10-11 2008-07-31 Smith Richard C Adjustable length ear insert
US8611969B2 (en) * 2004-01-29 2013-12-17 Surefire, Llc Cable assembly with earpiece
US20060147079A1 (en) * 2004-12-30 2006-07-06 Nokia Corporation Earphone
WO2006104981A2 (en) * 2005-03-28 2006-10-05 Sound Id Non-occluding ear module for a personal sound system
US7841446B2 (en) * 2007-04-30 2010-11-3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Bandless hearing protector and method
US7986803B1 (en) * 2007-05-10 2011-07-26 Plantronics, Inc. Ear bud speaker earphone with retainer tab
NO328038B1 (no) 2007-06-01 2009-11-16 Freebit As Forbedret oreenhet
GB0922610D0 (en) * 2009-12-23 2010-02-10 B & W Group Ltd Earphone
US8737669B2 (en) * 2011-07-28 2014-05-27 Bose Corporation Earpiece passive noise attenuating
US8600096B2 (en) * 2011-08-02 2013-12-03 Bose Corporation Surface treatment for ear tips
US20150172804A1 (en) * 2012-01-09 2015-06-18 Judd Armstrong Customizable Multi-Directional Anchoring Fit Earphones
NO2690883T3 (ko) * 2012-07-27 2018-03-10
US9398365B2 (en) * 2013-03-22 2016-07-19 Otter Products, Llc Earphone assembly
US9161114B2 (en) * 2013-03-22 2015-10-13 Treefrog Developments, Inc. Earmolds
US9462366B2 (en) * 2014-03-27 2016-10-04 Bose Corporation Earpieces having flexible flaps
US9794653B2 (en) * 2014-09-27 2017-10-17 Valencell,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improving signal quality in wearable biometric monitoring devices
US9635452B2 (en) * 2015-08-05 2017-04-25 Bose Corporation Noise reduction with in-ear headphone
FI126466B (en) * 2015-11-24 2016-12-30 Qon Oy Wireless noise canceling earplug
JP7020398B2 (ja) * 2016-02-23 2022-02-16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ウェアラブル装置
US20190029593A1 (en) * 2016-04-17 2019-01-31 Lifebeam Technologies Ltd. Earbud with physiological sensor and stabilizing element
EP3522842B8 (en) * 2016-10-06 2020-04-15 Koninklijke Philips N.V. Eartip, position reference, and hair processing system
US10149038B2 (en) * 2017-01-20 2018-12-04 Decibullz Llc Earpiece intra-auricular support system
US10587947B2 (en) * 2017-02-21 2020-03-10 Plantronics, Inc. Ear tip with anti-tragus stabilizer
US10334347B2 (en) * 2017-08-08 2019-06-25 Bose Corporation Earbud insertion sensing method with capacitive technology
US10728648B2 (en) * 2017-08-23 2020-07-28 Decibullz Llc Reconfigurable intra-auricular support
US10536764B2 (en) 2018-01-08 2020-01-14 Bose Corporation Integrating wax guards into earphone ear tips
US10667030B2 (en) * 2018-08-31 2020-05-26 Bose Corporation Earpiece tip and related earpiece
US10785553B2 (en) * 2018-09-28 2020-09-22 Apple Inc. Hinge for cases that store wireless listening devices
US10999670B2 (en) * 2019-01-07 2021-05-04 Bose Corporation Ear tip sealing structure
US10820084B2 (en) * 2019-01-07 2020-10-27 Bose Corporation Ear tip sealing structure
US11166093B2 (en) * 2019-03-19 2021-11-02 Logitech Europe S.A. Earphone device support and case
US10820085B1 (en) * 2019-04-23 2020-10-27 Sectio Aurea As Skirt attachment
US11571563B2 (en) * 2019-09-11 2023-02-07 Bose Corporation Electrically conductive ear tips
US11626097B2 (en) * 2019-10-04 2023-04-11 Google Llc Active noise cancelling earbud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42421A1 (en) 2021-12-02
CA3183704A1 (en) 2021-12-02
EP4158900A1 (en) 2023-04-05
CN115868175A (zh) 2023-03-28
JP2023527406A (ja) 2023-06-28
US20220182747A1 (en) 2022-06-09
US20210377640A1 (en) 2021-12-02
US20240007778A1 (en) 2024-01-04
US11800273B2 (en) 2023-10-24
AU2021278960A1 (en) 2022-12-22
US11297408B2 (en) 2022-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89254B2 (en) Earpiece passive noise attenuating
US9955249B2 (en) Earpiece with movable joint
US8776801B2 (en) Quasi-triangular in-ear device
US10009680B2 (en) Retaining structure for an earpiece
US20240007778A1 (en) In-ear earpiece retaining structure
US11146880B2 (en) Skirt attachment
WO2007095572A2 (en) Audio earbud carrier
US11284182B2 (en) Open audio device
EP3731536A1 (en) Auricular structure using skirt attachment
JP3894828B2 (ja) イヤーパッド及び該パッドを具えたイヤホーン
KR101827386B1 (ko) 이어폰용 가변 이어팁
GB2583341A (en) Skirt attachment
JPH04177997A (ja) 耳装着型送受話器
JP2000165975A (ja) ヘッドホ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