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4921B1 - 전력 설비 위험도 평가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력 설비 위험도 평가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4921B1
KR101674921B1 KR1020140196007A KR20140196007A KR101674921B1 KR 101674921 B1 KR101674921 B1 KR 101674921B1 KR 1020140196007 A KR1020140196007 A KR 1020140196007A KR 20140196007 A KR20140196007 A KR 20140196007A KR 101674921 B1 KR101674921 B1 KR 101674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evaluation
risk assessment
unit
iss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6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0406A (ko
Inventor
황경록
정재룡
서황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효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to KR1020140196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4921B1/ko
Publication of KR20160090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04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4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4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2Adjustment or analysis of established resource schedule, e.g. resource or task levelling, or dynamic reschedu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5Risk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activiti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전력 설비 위험도 평가 시스템은 전력 설비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Database)화하여 저장하는 자산 데이터베이스, 상기 자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전력 설비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위험도를 평가하되, 평가 항목별 평가 지표를 산출하고, 산출된 각 평가 지표마다 해당하는 가중치(weight)를 적용하고, 가중치가 적용된 평가 지표를 모두 취합하여 종합적 위험도 평가 지표를 산출하는 위험도 평가부, 상기 위험도 평가부에서의 위험도 평가 결과를 기반으로 전력 설비에 대한 유지 보수 의사를 결정하는 의사 결정(Decision-Making)부, 상기 의사 결정부에서 결정된 유지 보수 의사에 따라 전력 설비에 대한 유지 보수 업무를 스케쥴링(scheduling)하는 업무 스케쥴링(Work Scheduling)부, 기술적, 경제적 또는 사회적 이슈(issue)를 입력하기 위한 이슈사항 입력부 및 상기 이슈사항 입력부를 통해 기술적, 경제적 또는 사회적 이슈(issue)가 입력되면, 입력된 이슈에 따라 상기 각 평가 지표 중에서 해당하는 평가 지표에 대한 가중치를 일시적으로 조절하는 가중치 조절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력 설비의 위험도 평가 시에 기술적, 경제적, 사회적인 이슈에 따라 가중치를 일시적으로 조절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이슈를 반영하여 전력 설비의 위험도를 평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력 설비 위험도 평가 시스템 및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ng risk of electric power equipment}
본 발명은 전력 설비의 위험도를 평가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산업체나 일반 가정에서 전기에 대한 의존도가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또한 전력설비의 대형화, 밀집화, 다기능화로 전력설비의 고장으로 인한 전기사고 발생 시에는 그 경제ㆍ산업적 피해가 막대하다. 특히 반도체와 같이 산업체의 생산 설비에 공급되는 전력의 품질이 생산하는 제품의 성능이나 불량률에 영향을 크게 미치는 고정밀 산업에 있어서는 전력설비의 자그마한 고장까지도 막대한 손실을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전력설비의 신뢰성이 크게 요구 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기존 유지보수 방법은 설비의 상태에 관계없이 스케줄에 따라 유지 보수를 함으로써, 비용적인 측면에서도 비효율적이었으며, 설비 고장 예방에도 한계가 많았었다. 이에 따라 전력설비에 대한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유지보수 방법으로 전력설비의 운전이력, 진단이력, 유지보수 이력 및 경제적 위험도 등을 통한 위험도 평가 및 위험도 평가 시스템을 포함하고 있는 변전소 자산관리 시스템을 통한 통합적인 유지보수 방법 및 시스템이 주목받고 있다.
종래에는 전력 설비 운영시 각 지표에 고정된 가중치를 적용하여 정기적으로 업데이트 기능을 제공하고 있는데, 다양한 기술적, 경제적, 사회적 이슈가 발생하는 경우, 이러한 이슈를 반영하는 것이 어렵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9288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력 설비의 위험도 평가 시, 일시적으로 발생한 큰 수준의 기술적, 경제적 또는 사회적인 이슈에 따라 각 지표들에 대한 가중치를 일시적으로 조절하여 유지보수 의사결정에 반영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전력설비 위험도 평가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력 설비 위험도 평가 시스템은 전력 설비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Database)화하여 저장하는 자산 데이터베이스, 상기 자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전력 설비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위험도를 평가하되, 평가 항목별 평가 지표를 산출하고, 산출된 각 평가 지표마다 해당하는 가중치(weight)를 적용하고, 가중치가 적용된 평가 지표를 모두 취합하여 종합적 위험도 평가 지표를 산출하는 위험도 평가부, 상기 위험도 평가부에서의 위험도 평가 결과를 기반으로 전력 설비에 대한 유지 보수 의사를 결정하는 의사 결정(Decision-Making)부, 상기 의사 결정부에서 결정된 유지 보수 의사에 따라 전력 설비에 대한 유지 보수 업무를 스케쥴링(scheduling)하는 업무 스케쥴링(Work Scheduling)부, 기술적, 경제적 또는 사회적 이슈(issue)를 입력하기 위한 이슈사항 입력부 및 상기 이슈사항 입력부를 통해 기술적, 경제적 또는 사회적 이슈(issue)가 입력되면, 입력된 이슈에 따라 상기 각 평가 지표 중에서 해당하는 평가 지표에 대한 가중치를 일시적으로 조절하는 가중치 조절부를 포함한다.
상기 위험도 평가부에서는 수명 평가, 상태 평가, 건전도 지수 평가, 경제적 위험도 평가 및 사회적 위험도 평가를 포함하는 평가 항목별 평가 지표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가중치 조절부에서 입력된 데이터의 내용을 자산 데이터베이스에 제공하여 가중치를 조절할 대상 및 항목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가중치 조절부에서 조절되는 가중치의 변동 범위가 정해질 수 있다.
상기 가중치 조절부에서 조절된 가중치를 유지하는 기간이 정해져 있으며, 상기 기간이 지나면 원래의 가중치로 복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력 설비 위험도 평가 시스템에서의 전력 설비 위험도 평가 방법에서, 전력 설비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Database)화하여 저장하는 자산 데이터베이스 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전력 설비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위험도를 평가하되, 평가 항목별 평가 지표를 산출하고, 산출된 각 평가 지표마다 해당하는 가중치(weight)를 적용하고, 가중치가 적용된 평가 지표를 모두 취합하여 종합적 위험도 평가 지표를 산출하는 위험도 평가 단계, 상기 위험도 평가단계에서의 위험도 평가 결과를 기반으로 전력 설비에 대한 유지 보수 의사를 결정하는 의사 결정(Decision-Making) 단계, 상기 의사 결정 단계에서 결정된 유지 보수 의사에 따라 전력 설비에 대한 유지 보수 업무를 스케쥴링(scheduling)하는 업무 스케쥴링(Work Scheduling) 단계, 기술적, 경제적 또는 사회적 이슈(issue)를 입력하는 단계 및 기술적, 경제적 또는 사회적 이슈(issue)가 입력되면, 입력된 이슈에 따라 상기 각 평가 지표 중에서 해당하는 평가 지표에 대한 가중치를 일시적으로 조절하는 가중치 조절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위험도 평가 단계에서는 수명 평가, 상태 평가, 건전도 지수 평가, 경제적 위험도 평가 및 사회적 위험도 평가를 포함하는 평가 항목별 평가 지표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가중치 조절 단계에서 조절되는 가중치의 변동 범위가 정해질 수 있다.
상기 가중치 조절 단계에서 조절된 가중치를 유지하는 기간이 정해져 있으며, 상기 기간이 지나면 원래의 가중치로 복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력 설비의 위험도 평가 시에 기술적, 경제적, 사회적인 이슈에 따라 가중치를 일시적으로 조절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이슈를 반영하여 전력 설비의 위험도를 평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설비 위험도 평가 시스템의 개념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설비 위험도 평가 시스템에서의 평가 절차를 예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설비 위험도 평가 시스템의 개념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력 설비 위험도 평가 시스템은 가중치 조절부(100), 자산 데이터베이스(200), 위험도 평가부(300), 의사 결정(Decision-Making)부(400), 업무 스케쥴링(Work Scheduling)부(500), 이슈사항 입력부(600)를 포함한다.
이슈사항 입력부(600)를 통해 기술적, 경제적 또는 사회적 이슈(issue)를 입력한다.
가중치 조절부(100)는 기술적, 경제적 또는 사회적 이슈(issue)가 입력되면, 입력된 이슈에 따라 각 평가 지표 중에서 해당하는 평가 지표에 대한 가중치를 일시적으로 조절한다.
가중치 조절부(100)에서 입력 데이터의 내용을 자산데이터 베이스(200)에 제공하여 가중치 조절할 대상 및 항목을 결정한다. 본 발명에서 가중치 조절부(100)에서 조절된 가중치는 위험도 평가부(300)에 제공된다.
자산 데이터베이스(200)는 전력 설비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Database)화하여 저장한다.
위험도 평가부(300)는 자산 데이터베이스(200)로부터 전력 설비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위험도를 평가하되, 평가 항목별 평가 지표를 산출하고, 산출된 각 평가 지표마다 해당하는 가중치(weight)를 적용하고, 가중치가 적용된 평가 지표를 모두 취합하여 종합적 위험도 평가 지표(360)를 산출한다.
의사 결정부(400)는 위험도 평가부(300)에서의 위험도 평가 결과를 기반으로 전력 설비에 대한 유지 보수 의사를 결정한다.
업무 스케쥴링부(500)는 의사 결정부(400)에서 결정된 유지 보수 의사에 따라 전력 설비에 대한 유지 보수 업무를 스케쥴링(scheduling)한다.
본 발명에서 위험도 평가부(300)에서는 수명 평가(310), 상태 평가(320), 건전도 지수 평가(330), 경제적 위험도 평가(340) 및 사회적 위험도 평가(350)를 포함하는 평가 항목별 평가 지표를 산출한다.
여기서, 수명 평가(310)에 대한 가중치는 W1이고, 상태 평가(320)에 대한 가중치는 W2이고, 건전도 지수 평가(330)에 대한 가중치는 W3이고, 경제적 위험도 평가(340)에 대한 가중치는 W4이고, 사회적 위험도 평가(350)에 대한 가중치는 W5이다.
본 발명에서 W1 내지 W5의 가중치는 가중치 조절부(100)에 의해 조절될 수 있는 가변적인 가중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중치 조절부(100)에서 조절되는 가중치의 변동 범위가 정해져 있다.
또한, 가중치 조절부(100)에서 조절된 가중치를 유지하는 기간이 정해져 있으며, 유지 기간이 지나면 원래의 가중치로 복귀한다.
예를 들어, 기술적 이슈는 특정 기기, 제조사, 설계, 부품에 대한 기술적 결함을 발견하거나, 상태 진단시 이상을 발견하거나, 고장이 발생하거나, 진단 장비가 고장난 경우 등이 있다.
그리고, 경제적 이슈는 특정 부품에 대한 가격, 재고 상황이 변동되거나, 유지보수 정책, 예산이 변동되거나, 수용가의 전력공급 손실이 변동되는 경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그리고, 사회적 이슈는 환경적 요소, 안전 요소, 고장 허용도, 대외 신임도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전력 설비 위험도 평가 시스템에서의 전력 설비 위험도 평가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자산 데이터베이스 단계에서 전력 설비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Database)화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위험도 평가 단계에서 자산 데이터베이스(200)로부터 전력 설비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위험도를 평가하되, 평가 항목별 평가 지표를 산출하고, 산출된 각 평가 지표마다 해당하는 가중치(weight)를 적용하고, 가중치가 적용된 평가 지표를 모두 취합하여 종합적 위험도 평가 지표(360)를 산출한다.
그리고, 의사 결정 단계에서 위험도 평가 단계에서의 위험도 평가 결과를 기반으로 전력 설비에 대한 유지 보수 의사를 결정한다.
그리고, 업무 스케쥴링 단계에서는 의사 결정 단계에서 결정된 유지 보수 의사에 따라 전력 설비에 대한 유지 보수 업무를 스케쥴링(scheduling)한다.
본 발명에서 가중치 조절 단계는 기술적, 경제적 또는 사회적 이슈(issue)가 입력되면, 입력된 이슈에 따라 각 평가 지표 중에서 해당하는 평가 지표에 대한 가중치를 일시적으로 조절한다.
본 발명에서 위험도 평가 단계에서는 수명 평가, 상태 평가, 건전도 지수 평가, 경제적 위험도 평가 및 사회적 위험도 평가를 포함하는 평가 항목별 평가 지표를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중치 조절 단계에서 조절되는 가중치의 변동 범위가 정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중치 조절 단계에서 조절된 가중치를 유지하는 기간이 정해져 있으며, 유지 기간이 지나면 원래의 가중치로 복귀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설비 위험도 평가 시스템에서의 평가 절차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력 설비 중에서 변압기를 예시한다. 변압기 중에서도 OTLC(On Head Tap Changer) 모델에 결함(고장)이 발견되는 이슈가 발생한 상황이다(①).
그러면, 전력기기 또는 발전소 등의 관리 담당자가 시스템에 이슈 관련 정보를 입력한다(②).
관리 담당자가 입력하는 이슈 관련 정보에는, 1) 대상기기/제조사/부품, 대상위치, 2) 대상 지표, 3) 가중치 변동 범위, 4) 가중치 상향 조정 기간을 포함한다. 도 2의 실시예에서는, 대상기기는 결함이 발견된 특정 모델 OLTC를 포함하는 변압기이고, 대상 지표는 건전도 지수 평가이고, 가중치 변동 범위는 1~4이고, 가중치 상향조정 기간은 1년이다.
다음, 동일한 OLTC가 적용된 기기들을 자산 데이터베이스(200)의 기기 정보를 통해서 분류한다(③).
그리고, OLTC의 건전도 지수 가중치를 상향 조절한다(④).
그러면, 종합 위험도 평가 지표가 일시적으로 상향되고(⑤), 동일 OLTC 모델이 적용된 변압기의 유지보수 우선 순위가 상향된다(⑥).
그리고, 유지보수 사전 수행으로 사고를 사전에 예방한다(⑦). 그리고, 일정기간 이후에 원래의 가중치로 복귀한다.
본 발명의 전력 설비 위험도 평가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정리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전력 설비 위험도 평가 시스템은 다양한 기술, 경제, 사회적 파라미터들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수명 평가 지표, 상태 평가 지표, 건전도 지수평가 지표, 경제적 위험도 평가 지표, 사회적 위험도 평가 지표 등을 산출하고, 이러한 평가 지표들은 다시 각각 가중치를 적용하여 최종 위험도 평가를 산출하게 된다.
이때 가중치는 전력 설비 운영 및 상황에 맞게 초기 설정되어 있다. 가중치 조절부(100)를 포함한 본 발명의 경우, 일시적인 기술적, 경제적, 사회적 이슈 발생시 초기 설정된 가중치를 일시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전력 설비 위험도 평가시스템으로 다수의 발전소, 다수의 전력기기에 대해 관리를 하고 있는 경우, 특정 변압기 점검 시 해당 변압기에 적용된 특정 모델의 OLTC의 기술적 결함이 발견되는 일시적인 기술적인 이슈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적 이슈 발생시, 해당 발전소 관리 담당자는 해당 기술적 이슈에 대한 정보를 위험도 평가 시스템에 입력하여 일시적으로 가중치를 조정하여 유지보수 우선순위를 조정한다.
이때 입력 내용은 문제가 되는 OLTC 정보(이슈별 해당 전력기기를 분류해 낼 수 있는 기존 Asset DB에 저장된 정보 입력), OLTC 결함(기술적 이슈)이 영향을 미치는 파라미터 및 평가지표(건전도 지수평가 등), 기술적 이슈가 영향을 미치는 파라미터 및 평가지표의 가중치 변경 내용(가중치를 1에서 4로 상향조절), 가중치 상향 조정 기간(1년) 등이다.
그리고, 입력된 정보를 바탕으로 동일한 OLTC가 적용된 변압기들을 자산 데이터베이스(200)의 기기정보로 분류한다. 이를 통해 멀리 떨어진 발전소에서도 해당 기술적 이슈의 영향을 받는 변압기에 대해 효율적인 분류 및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분류된 해당 OLTC가 적용된 변압기에 대한 위험도 평가 시, 건전도 지수평가의 가중치를 입력한 가중치 변동 범위로 상향 조정하여 위험도 평가지표를 산출한다. 이렇게 상향 조정된 위험도 평가 지수로 인하여 해당 OLTC 모델이 적용된 변압기 유지보수 우선순위가 상향 조정되게 되어, 우선적으로 유지보수나 교체 작업이 진행된다. 이러한 사전 유지보수 수행으로 인해 본 발명에서는 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기술적 이슈에 대한 조치가 완료된 시점(입력한 가중치 설정된 기간 종료) 후에는 가중치를 초기 설정값으로 복귀하도록 하여 기존의 위험도 평가 방식을 적용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00 가중치 조절부 200 자산 데이터베이스
300 위험도 평가부 400 의사 결정부
500 업무 스케쥴링부 600 이슈사항 입력부

Claims (9)

  1. 전력 설비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Database)화하여 저장하는 자산 데이터베이스;
    상기 자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전력 설비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위험도를 평가하되, 평가 항목별 평가 지표를 산출하고, 산출된 각 평가 지표마다 해당하는 가중치(weight)를 적용하고, 가중치가 적용된 평가 지표를 모두 취합하여 종합적 위험도 평가 지표를 산출하는 위험도 평가부;
    상기 위험도 평가부에서의 위험도 평가 결과를 기반으로 전력 설비에 대한 유지 보수 의사를 결정하는 의사 결정(Decision-Making)부;
    상기 의사 결정부에서 결정된 유지 보수 의사에 따라 전력 설비에 대한 유지 보수 업무를 스케쥴링(scheduling)하는 업무 스케쥴링(Work Scheduling)부;
    기술적, 경제적 또는 사회적 이슈(issue)를 입력하기 위한 이슈사항 입력부; 및
    상기 이슈사항 입력부를 통해 기술적, 경제적 또는 사회적 이슈(issue)가 입력되면, 입력된 이슈에 따라 상기 각 평가 지표 중에서 해당하는 평가 지표에 대한 가중치를 일시적으로 조절하는 가중치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회적 이슈는 환경적 요소, 안전요소, 고장 허용도, 및 대외 신임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위험도 평가부에서는 수명 평가, 상태 평가, 건전도 지수 평가, 경제적 위험도 평가 및 사회적 위험도 평가를 포함하는 평가 항목별 평가 지표를 산출하고,
    상기 가중치 조절부에서 입력된 데이터의 내용을 자산 데이터베이스에 제공하여 가중치를 조절할 대상 및 항목을 결정하고 가중치 조절부에서 조절된 가중치를 상기 위험도 평가부에 제공하고,
    상기 가중치 조절부에서 조절되는 가중치의 변동 범위가 정해져 있으며,
    상기 가중치 조절부에서 조절된 가중치를 유지하는 기간이 정해져 있으며, 상기 기간이 지나면 원래의 가중치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설비 위험도 평가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전력 설비 위험도 평가 시스템에서의 전력 설비 위험도 평가 방법에서,
    전력 설비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Database)화하여 저장하는 자산 데이터베이스 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전력 설비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위험도를 평가하되, 평가 항목별 평가 지표를 산출하고, 산출된 각 평가 지표마다 해당하는 가중치(weight)를 적용하고, 가중치가 적용된 평가 지표를 모두 취합하여 종합적 위험도 평가 지표를 산출하는 위험도 평가 단계;
    상기 위험도 평가단계에서의 위험도 평가 결과를 기반으로 전력 설비에 대한 유지 보수 의사를 결정하는 의사 결정(Decision-Making) 단계;
    상기 의사 결정 단계에서 결정된 유지 보수 의사에 따라 전력 설비에 대한 유지 보수 업무를 스케쥴링(scheduling)하는 업무 스케쥴링(Work Scheduling) 단계;
    기술적, 경제적 또는 사회적 이슈(issue)를 입력하는 단계; 및
    기술적, 경제적 또는 사회적 이슈가 입력되면, 입력된 이슈에 따라 상기 각 평가 지표 중에서 해당하는 평가 지표에 대한 가중치를 일시적으로 조절하는 가중치 조절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회적 이슈는 환경적 요소, 안전요소, 고장 허용도, 및 대외 신임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위험도 평가 단계에서는 수명 평가, 상태 평가, 건전도 지수 평가, 경제적 위험도 평가 및 사회적 위험도 평가를 포함하는 평가 항목별 평가 지표를 산출하고,
    상기 가중치 조절 단계에서 조절되는 가중치의 변동 범위가 정해져 있으며,
    상기 가중치 조절 단계에서 조절된 가중치를 유지하는 기간이 정해져 있으며, 상기 기간이 지나면 원래의 가중치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설비 위험도 평가 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40196007A 2014-12-31 2014-12-31 전력 설비 위험도 평가 시스템 및 방법 KR101674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6007A KR101674921B1 (ko) 2014-12-31 2014-12-31 전력 설비 위험도 평가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6007A KR101674921B1 (ko) 2014-12-31 2014-12-31 전력 설비 위험도 평가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0406A KR20160090406A (ko) 2016-08-01
KR101674921B1 true KR101674921B1 (ko) 2016-11-11

Family

ID=56706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6007A KR101674921B1 (ko) 2014-12-31 2014-12-31 전력 설비 위험도 평가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49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24570A1 (ko) * 2017-12-18 2019-06-27 한국 전기안전공사 인공지능기법을 이용한 전기설비 안전도 평가 시스템
KR20230007013A (ko) 2021-07-05 2023-01-12 한국 전기안전공사 전기설비의 건전도 평가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86220B (zh) * 2017-10-23 2022-01-25 广西电网有限责任公司南宁供电局 一种基于历史因素分析的配电线路风险概率评估方法
CN108629510A (zh) * 2018-05-04 2018-10-09 浙江四方格林系统工程有限公司 一种电气误操作隐患排查与评估的分析方法及装置
KR102196748B1 (ko) * 2018-12-12 2020-12-30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동적 위험성 평가 시스템 및 평가 방법
CN111626448B (zh) * 2020-05-29 2023-12-22 中冶华天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风险最小的预防性维护计划动态编排方法
CN112668832A (zh) * 2020-11-25 2021-04-16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基于指标管理体系的风险量化评估方法、装置以及电子设备
CN115760074A (zh) * 2022-12-07 2023-03-07 中国南方电网有限责任公司超高压输电公司广州局 电力设备运维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17134503B (zh) * 2023-10-23 2024-01-19 武汉宏联电线电缆有限公司 一种大型电力供电装置的状态监测方法及系统
CN117172555B (zh) * 2023-11-02 2024-01-19 合肥优尔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电网风险预警通知单智能生成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0368B1 (ko) * 2012-04-27 2012-11-14 대한민국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2883B1 (ko) 2010-11-04 2011-12-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상하수도 관망의 자산관리 시스템
KR101341248B1 (ko) * 2012-03-27 2013-12-12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발전설비의 위험도 기반 정비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0368B1 (ko) * 2012-04-27 2012-11-14 대한민국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24570A1 (ko) * 2017-12-18 2019-06-27 한국 전기안전공사 인공지능기법을 이용한 전기설비 안전도 평가 시스템
KR20200008621A (ko) * 2017-12-18 2020-01-28 한국 전기안전공사 인공지능기법을 이용한 전기설비 안전도 평가 시스템
KR102275126B1 (ko) * 2017-12-18 2021-07-09 한국전기안전공사 인공지능기법을 이용한 전기설비 안전도 평가 시스템
KR20230007013A (ko) 2021-07-05 2023-01-12 한국 전기안전공사 전기설비의 건전도 평가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0406A (ko) 2016-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4921B1 (ko) 전력 설비 위험도 평가 시스템 및 방법
KR101683256B1 (ko) 전력 설비 자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4992270B (zh) 输变电设备状态检修辅助决策系统及方法
KR101683262B1 (ko) 전력 설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6295956B (zh) 一种考虑核电厂供电系统可修复多状态复杂特性的可靠性评估方法
US20140156031A1 (en) Adaptive Stochastic Controller for Dynamic Treatment of Cyber-Physical Systems
Velásquez et al. Reliability, availability and maintainability study for failure analysis in series capacitor bank
JP6678222B2 (ja) 設備管理システム及び設備管理方法
Gu et al. Early detection and optimal corrective measures of power system insecurity in enhanced look-ahead dispatch
WO2007087537A2 (en) System and method for grading electricity distribution network feeders susceptible to impending failure
DE102016211898A1 (de) Verfahren zum Überwachen einer Batterie
WO2013043863A1 (en) Adaptive stochastic controller for energy efficiency and smart buildings
CN102629364A (zh) 一种电力设备状态的量化评分方法
CN103745293A (zh) 一种rcm分析方法
Dupuy et al. Airline fleet maintenance: Trade-off analysis of alternate aircraft maintenance approaches
Rehak et al. Indication of critical infrastructure resilience failure
CN105184490A (zh) 电网调度操作过程风险辅助预控系统
Luo et al. A new accident analysis method based on complex network and cascading failure
CN114386655A (zh) 变压器质量检测任务调度方法及系统
dos Santos et al. Reliability and availability analysis methodology for power system protection schemes
Fidanoglu et al. Application of Weibull distribution method for aircraft component life estimation in civil aviation sector
JP2017522670A (ja) 技術的設備のメンテナンス期日を状態に基づいて算定する方法、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製品
Hardowar et al. Prioritizing the restoration of network transformers using distribution system loading and reliability indices
Xu et al. Real-time online risk monitoring and management method for maintenance optimization in nuclear power plant
Ambühl et al. Different reliability assessment approaches for wave energy convert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