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4633B1 - 선박 엔진용 오토 에어 벤트 장치 - Google Patents

선박 엔진용 오토 에어 벤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4633B1
KR101674633B1 KR1020150160346A KR20150160346A KR101674633B1 KR 101674633 B1 KR101674633 B1 KR 101674633B1 KR 1020150160346 A KR1020150160346 A KR 1020150160346A KR 20150160346 A KR20150160346 A KR 20150160346A KR 101674633 B1 KR101674633 B1 KR 101674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gas
inflow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0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설현
주경영
정진규
Original Assignee
백설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설현 filed Critical 백설현
Priority to KR1020150160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46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4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4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P1/00 - F01P9/00
    • F01P11/02Liquid-coolant filling, overflow, venting, or draining devices
    • F01P11/0285Vent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G01F23/3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rotatable arms or other pivotable transmission elements
    • G01F23/36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rotatable arms or other pivotable transmission elements using electrically actuated indicat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5/00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a physical condition
    • H01H35/18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liquid level or of liquid density, e.g. float switc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2025/00Measuring
    • F01P2025/70Lev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2050/00Applications
    • F01P2050/02Marine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2050/00Applications
    • F01P2050/02Marine engines
    • F01P2050/04Marine engines using direct coo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의 엔진을 위해 사용되는 용수에 포함된 기체를 배출하기 위한 선박 엔진용 오토 에어 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진동으로 인한 배출밸브의 오작동을 최소화하여 작동 신뢰성을 보장하고 용수에 기준용량 이상의 기체가 포함된 경우 자동으로 감지하여 방출밸브를 거치지 않고 배관을 통해 강제로 배출하는 선박 엔진용 오토 에어 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선박의 엔진을 위해 공급배관을 따라 공급되는 용수에 포함된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선박 엔진용 오토 에어 벤트 장치에 있어서, 선박에 수평으로 고정되고 공급배관이 일측 하부에 연결되는 유입탱크; 상기 유입탱크의 타측 상부에 연결되고 상방 수직으로 절곡된 엘보 형상의 유입관; 상기 유입관의 단부에 수직으로 연결되어 유입관을 통해 내부에 채워지는 용수의 수두 높이가 용수에 포함된 기체에 의해 기준높이보다 낮아질 때 열려 기체를 외부로 방출하는 방출밸브; 상기 유입관의 단부에 방출밸브를 내포하도록 설치되고 상부가 개방되어 기체와 함께 방출밸브에서 방출되는 용수를 회수하는 회수통; 및 상기 회수통의 하부에 연결되어 회수통에 회수된 용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엔진용 오토 에어 벤트 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선박 엔진용 오토 에어 벤트 장치{Auto air vent device for vessel engine}
본 발명은 선박 엔진에 사용되는 용수에 포함된 기체를 배출하기 위한 선박 엔진용 오토 에어 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진동으로 인한 배출밸브의 오작동을 최소화하여 작동 신뢰성을 보장하고 용수에 기준용량 이상의 기체가 포함된 경우 자동으로 감지하여 방출밸브를 거치지 않고 배관을 통해 강제로 배출하는 선박 엔진용 오토 에어 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엔진에는 많은 용수가 필요한데 이를 위해 엔진에는 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용수공급장치가 설치된다. 단, 용수공급장치에서 엔진으로 공급되는 용수에는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 공기나 가스 등의 기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용수 내에 기체가 포함될 경우 용수의 흐름 압력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용수의 용도에 따라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용수가 공급되는 공급배관에 용수에 포함된 기체를 외부로 방출하는 선박 엔진용 오토 에어 벤트 장치가 별도로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선박 엔진용 오토 에어 벤트 장치는 공급배관의 일측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유입관과, 유입관의 단부에 연결되는 방출밸브와, 방출밸브의 외측에 설치되는 회수통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공급배관을 통과하는 용수에 기체가 포함될 경우 방출밸브가 개방되면서 기체가 외부로 방출되는 구조이다.
그러나 종래의 선박 엔진용 오토 에어 벤트 장치는 방출밸브가 공급배관의 상측에 유입관을 매개로 하여 수직으로 높게 설치됨에 따라 선박 기동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심하게 유동하면서 용수에 기체가 포함되지 않은 상황에서도 개방되어 오작동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선박 엔진용 오토 에어 벤트 장치는 용수에 기체가 많이 포함된 경우 방출밸브를 통해 많은 양의 기체를 한 번에 신속하게 방출하지 못하므로 기체가 용수에 포함된 상태로 순환 공급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20-0454395호, 2011.06.24.자 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방출밸브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고 다량의 기체를 신속하게 강제 방출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선박 엔진용 오토 에어 벤트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엔진용 오토 에어 벤트 장치는 선박의 엔진을 위해 공급배관을 따라 공급되는 용수에 포함된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선박 엔진용 오토 에어 벤트 장치에 있어서, 선박에 수평으로 고정되고 공급배관이 일측 하부에 연결되는 유입탱크; 상기 유입탱크의 타측 상부에 연결되고 상방 수직으로 절곡된 엘보 형상의 유입관; 상기 유입관의 단부에 수직으로 연결되어 유입관을 통해 내부에 채워지는 용수의 수두 높이가 용수에 포함된 기체에 의해 기준높이보다 낮아질 때 열려 기체를 외부로 방출하는 방출밸브; 상기 유입관의 단부에 방출밸브를 내포하도록 설치되고 상부가 개방되어 기체와 함께 방출밸브에서 방출되는 용수를 회수하는 회수통; 및 상기 회수통의 하부에 연결되어 회수통에 회수된 용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입탱크의 내부에는 유입탱크에 유입된 용수의 수위를 통해 용수에 기체가 기준용량 이상으로 포함된 것인지를 감지하는 레벨스위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벨스위치에 의해 용수에 기준용량 이상의 기체가 포함된 것으로 감지될 때 기체를 배출관을 통해 강제 배출하기 위한 강제배출수단이 더 포함되되, 상기 강제배출수단은 상기 유입관에 설치되는 제1밸브; 상기 회수통과 배출관을 연결하는 연결관; 및 상기 연결관에 설치되는 제2밸브;로 구성되어 제1밸브를 닫고 제2밸브를 열면 기체가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강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벨스위치는 유입탱크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고 일단이 유입탱크의 외부로 노출되고 타단이 유입탱크의 내부에 삽입되는 브래킷; 상기 브래킷의 타단에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용수의 일정수위 이상에서 상방으로 회동하면서 부상하는 플로트; 상기 브래킷의 타단 하측에 설치되는 고정접점; 상기 플로트의 단부에 설치되어 용수의 일정수위 미만일 때 고정접점에 접촉되는 가동접점; 및 상기 브래킷의 일단에 설치되어 가동접점이 고정접점에 접촉될 때 용수에 기체가 기준용량 이상으로 포함된 것임을 전기적 신호로 출력하는 신호출력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효과들을 기대할 수 있다.
먼저, 방출밸브의 설치 높이를 최대한 낮게 하고 지지대를 통해 견고하게 고정 지지함으로써 선박의 기동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으로 인한 오작동을 최소화하여 작동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유입탱크의 내부에 다량의 기체 유입을 감지하는 레벨스위치가 설치되고 레벨스위치의 감지신호에 따라 다량의 기체가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게 하는 강제배출수단이 구비되어 방출밸브를 거치지 않고 다량의 기체를 신속하게 강제 배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 엔진용 오토 에어 벤트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 엔진용 오토 에어 벤트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 엔진용 오토 에어 벤트 장치를 도시한 일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 엔진용 오토 에어 벤트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도 4의 B-B선 단면도.
도 6은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 엔진용 오토 에어 벤트 장치의 레벨스위치를 도시한 일측면도.
도 7은 도 6의 레벨스위치의 작동을 도시한 예시도.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엔진용 오토 에어 벤트 장치는 선박의 엔진을 위해 공급배관을 따라 공급되는 용수에 포함된 기체를 외부로 방출하는 장치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엔진용 오토 에어 벤트 장치는 선박의 기동에 따른 진동에 의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고 용수에 다량의 기체가 포함된 경우 이를 감지하여 신속하게 강제 방출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특징은 방출밸브의 높이를 최대한 낮게 하여 진동에 의한 용수의 유동을 최소한 구조와, 용수의 수위에 따라 용수에 포함된 다량의 기체를 수동 및 자동으로 강제 배출하는 구조의 의해 달성된다.
즉, 용수가 유입되는 유입탱크의 일측에 엘보 형태의 유입관이 설치되고 엘보관의 단부에 방출밸브가 연결되며, 유입탱크의 일측에 용수의 수위를 통해 용수에 기준용량 이상의 기체가 포함된 상태를 감지하는 레벨스위치가 설치되고 유입탱크의 타측이 배출관과 연결되며 유입관과 배출관에 각각 수동 혹은 자동으로 제어되는 단속밸브가 각각 설치된 구조에 의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 엔진용 오토 에어 벤트 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 엔진용 오토 에어 벤트 장치(100)는 도 1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탱크(200)와 유입관(300)과 방출밸브(400)와 회수통(500) 및 배출관(600)으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유입탱크(200)는 공급배관의 용수를 내부로 유입시키는 구성이다. 즉, 유입탱크(200)는 공급배관을 따라 공급되는 용수에 포함된 기체를 용수와 함께 내부로 유입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유입탱크(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공급배관(미도시)에 연결되고 내부에 일측을 통해 유입된 용수가 저수되는 저수공간(미도시)이 구비되며 타측은 후술할 유입관(300)에 연결된다.
단, 유입탱크(200)는 방출밸브(400)의 설치높이를 최대한 낮추기 위해 수평으로 뉘어진 상태로 선체에 고정된다. 이때 유입탱크(200)의 하부 양측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브래킷(210)이 각각 설치되어 선체에 수평 방향으로 뉘어진 상태로 고정된다.
다음으로, 상기 유입관(300)은 유입탱크(200)에 저수된 용수를 후술할 방출밸브(400)로 유입시키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유입관(300)은 도 1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유입탱크(200)의 타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방출밸브(400)에 연결된다.
단, 유입관(300)은 타단에 방출밸브(400)가 수직으로 연결되도록 유입탱크(200)의 설치방향에 의해 상방 수직으로 절곡된 엘보관으로 구성된다. 즉, 유입관(300)은 방출밸브(400)의 설치높이를 최대한 낮추기 위해 유입탱크(200)와는 수평으로 연결되고 방출밸브(400)와는 수직으로 연결되도록 엘보 형상으로 구성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방출밸브(400)는 유입관(300)을 통해 내부로 유입된 용수에 포함된 기체를 외부로 방출하는 구성이다.
즉, 방출밸브(400)는 용수에 포함된 기체에 의해 용수의 수두압이 순간적으로 저하될 때 개방되면서 용수에 포함된 기체를 외부로 방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방출밸브(4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에 유입관(300)의 타단과 연결되는 유입구(410)가 형성되고 내부에 유입구(410)를 통해 유입된 용수가 챔버(미도시)가 구비되며 챔버의 내부에 용수의 수두압에 따라 승강하는 플로트(미도시)가 설치되고 상단에 챔버의 상부와 연결되는 방출노즐(420)이 설치된다.
따라서 공급배관을 따라 공급되는 용수에 기체가 포함될 경우 기체가 유입탱크(200)와 유입관(300)을 통해 챔버로 유입되어 용수의 수두압이 기준 수두압보다 낮아짐에 따라 플로트가 하강하고 방출노즐(420)과 챔버가 연통되면서 방출밸브(400)가 개방되어 기체가 외부로 방출된다.
그리고 방출노즐(420)을 통해 기체가 방출된 후에는 기체의 방출량과 대응되는 용수가 유입탱크(200)와 유입관(300)을 통해 챔버의 내부에 채워져 용수의 수두압이 다시 기준 수두압보다 높아짐에 따라 플로트가 상승하여 복귀되고 방출노즐(420)과 챔버가 격리되면서 방출밸브(400)가 폐쇄되어 방출동작이 중지된다.
다음으로, 상기 회수통(500)은 방출밸브(400)에서 기체가 방출될 때 기체와 함께 일부 방출되는 용수를 회수하는 구성이다.
즉, 회수통(500)은 방출밸브(400)가 순간적으로 개방되면서 기체와 함께 외부로 방출되는 용수가 선체로 낙하하지 않도록 회수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회수통(5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통체 형상으로 구성되어 유입관(300)의 타단 외측에 방출밸브(400)를 내포하도록 설치된다.
한편, 회수통(500)은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출밸브(400)가 선박 기동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의 영향을 최대한 적게 받도록 유입탱크(200)의 상측에 상향 경사지게 설치된 지지대(900)에 의해 지지 설치된다.
이때 지지대(9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에 유입탱크(200)의 상측에 면 접촉되어 연결되는 제1연결부(910)가 수평으로 절곡되고 타단에 회수통(500)의 일측에 면 접촉되어 연결되는 제2연결부(920)가 수직으로 절곡된 형태로 구성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배출관(600)은 회수통(500)에서 회수된 용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배출관(6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수통(500)의 하부 일측에 연결 설치된다. 그리고 배출관(600)의 단부에는 배출된 용수를 한 곳으로 모을 수 있도록 하방 수직으로 절곡된 엘보 형태의 접속관(610)이 더 연결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 엔진용 오토 에어 벤트 장치(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탱크(200)의 내부에 레벨스위치(700)가 수평 방향으로 더 설치된다.
상기 레벨스위치(700)는 유입탱크(200)에 유입된 용수의 수위를 통해 용수에 기체가 기준용량 이상으로 포함된 것인지를 감지하는 것이다. 이는 유입탱크(200)에 유입된 용수의 수위가 용수에 포함된 다량의 기체에 의해 순간적으로 낮아지면서 기준수위에 미달될 때를 감지하여 다량의 기체를 신속 배출하도록 알리기 위함이다.
이때 레벨스위치(700)는 도 6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브래킷(710)과 플로트(720)와 고정접점(730)과 가동접점(740) 및 신호출력단(750)으로 구성된다.
상기 설치브래킷(710)은 유입탱크(20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고 일단이 유입탱크(200)의 외부로 노출되고 타단이 유입탱크(200)의 내부에 삽입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플로트(720)는 설치브래킷(710)의 타단에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용수의 수위가 기준수위 이상일 때 상방으로 회동하면서 부상하는 것이다.
상기 고정접점(730)은 설치브래킷(710)의 타단 하측에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동접점(740)은 플로트(720)의 단부에 설치되어 용수의 수위가 기준수위 미만일 때 고정접점(730)에 접촉되는 것이다.
상기 신호출력단(750)은 설치브래킷(710)의 일단에 설치되어 가동접점(740)이 고정접점(730)에 접촉될 때 용수에 기체가 기준용량 이상으로 포함된 것임을 나타내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즉, 레벨스위치(700)는 유입탱크(200)의 내부에 유입된 용수 내에 기체가 기준용량 이상으로 포함될 때 플로트(720)가 하방으로 회동되어 가동접점(740)이 고정접점(730)에 접촉되면서 신호출력단(750)을 통해 전기전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다량의 기체가 용수 내에 존해므로 신속한 배출이 필요함을 알리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도시하지 않았지만 레벨스위치(700)에는 검지구(미도시)가 더 설치되는데, 상기 검지구는 고정접점(730)을 가동접점 측으로 강제로 유동시켜 가동접점(740)과 고정접점(730)의 접촉에 따른 전기적 신호가 신호출력단을 통해 정상 출력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 엔진용 오토 에어 벤트 장치(100)는 레벨스위치(700)에 의해 용수에 기준용량 이상의 기체가 포함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기체를 배출관(600)을 통해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강제배출수단(800)이 더 포함된다.
상기 강제배출수단(8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관(300)에 설치되는 제1밸브(810)와, 회수통(500)과 배출관(600)을 연결하는 연결관(820)과, 연결관(820)에 설치되는 제2밸브(830)로 구성된다.
즉, 레벨스위치(700)를 통해 전기적 신호가 출력되면서 제1밸브(810)가 닫히고 제2밸브(830)가 열리면 유입탱크(200)의 내부에 존재하는 다량의 기체가 배출관(600)을 통해 신속하게 배출된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100: 선박 엔진용 오토 에어 벤트 장치
200: 유입탱크
210: 고정브래킷
300: 유입관
400: 방출밸브
410: 유입구
420: 방출노즐
500: 회수통
600: 배출관
610: 접속관
700: 레벨스위치
710: 설치브래킷
720: 플로트
730: 고정접점
740: 가동접점
750: 신호출력단
800: 강제배출수단
810: 제1밸브
820: 연결관
830: 제2밸브
900: 지지대
910: 제1연결부
920: 제2연결부

Claims (4)

  1. 선박의 엔진에 공급배관을 따라 공급되는 용수에 포함된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선박 엔진용 오토 에어 벤트 장치에 있어서,
    선박에 수평으로 고정되고 공급배관이 일측 하부에 연결되는 유입탱크;
    상기 유입탱크의 타측 상부에 연결되고 상방 수직으로 절곡된 엘보 형상의 유입관;
    상기 유입관의 단부에 수직으로 연결되어 유입관을 통해 내부에 채워지는 용수의 수두 높이가 용수에 포함된 기체에 의해 기준높이보다 낮아질 때 열려 기체를 외부로 방출하는 방출밸브;
    상기 유입관의 단부에 방출밸브를 내포하도록 설치되고 상부가 개방되어 기체와 함께 방출밸브에서 방출되는 용수를 회수하는 회수통; 및
    상기 회수통의 하부에 연결되어 회수통에 회수된 용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엔진용 오토 에어 벤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탱크의 내부에는
    유입탱크에 유입된 용수의 수위를 통해 용수에 기체가 기준용량 이상으로 포함된 것인지를 감지하는 레벨스위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엔진용 오토 에어 벤트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스위치에 의해 용수에 기준용량 이상의 기체가 포함된 것으로 감지될 때 기체를 배출관을 통해 강제 배출하기 위한 강제배출수단이 더 포함되되,
    상기 강제배출수단은
    상기 유입관에 설치되는 제1밸브;
    상기 회수통과 배출관을 연결하는 연결관; 및
    상기 연결관에 설치되는 제2밸브;로 구성되어 제1밸브를 닫고 제2밸브를 열면 기체가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강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엔진용 오토 에어 벤트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스위치는
    유입탱크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고 일단이 유입탱크의 외부로 노출되고 타단이 유입탱크의 내부에 삽입되는 브래킷;
    상기 브래킷의 타단에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용수의 일정수위 이상에서 상방으로 회동하면서 부상하는 플로트;
    상기 브래킷의 타단 하측에 설치되는 고정접점;
    상기 플로트의 단부에 설치되어 용수의 일정수위 미만일 때 고정접점에 접촉되는 가동접점; 및
    상기 브래킷의 일단에 설치되어 가동접점이 고정접점에 접촉될 때 용수에 기체가 기준용량 이상으로 포함된 것임을 전기적 신호로 출력하는 신호출력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엔진용 오토 에어 벤트 장치.
KR1020150160346A 2015-11-16 2015-11-16 선박 엔진용 오토 에어 벤트 장치 KR1016746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0346A KR101674633B1 (ko) 2015-11-16 2015-11-16 선박 엔진용 오토 에어 벤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0346A KR101674633B1 (ko) 2015-11-16 2015-11-16 선박 엔진용 오토 에어 벤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4633B1 true KR101674633B1 (ko) 2016-11-09

Family

ID=57528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0346A KR101674633B1 (ko) 2015-11-16 2015-11-16 선박 엔진용 오토 에어 벤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46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29280A (zh) * 2019-07-31 2019-12-03 上海中船三井造船柴油机有限公司 船用柴油机缸盖/缸套冷却水的透气管路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1620U (ko) * 2006-12-04 2008-06-1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엔진의 청수 에어 배출장치
KR200454395Y1 (ko) 2006-12-19 2011-06-3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에어벤트 유닛
KR20130137843A (ko) * 2012-06-08 2013-12-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냉각시스템
KR20140102857A (ko) * 2013-02-15 2014-08-2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엔진 냉각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1620U (ko) * 2006-12-04 2008-06-1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엔진의 청수 에어 배출장치
KR200454395Y1 (ko) 2006-12-19 2011-06-3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에어벤트 유닛
KR20130137843A (ko) * 2012-06-08 2013-12-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냉각시스템
KR20140102857A (ko) * 2013-02-15 2014-08-2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엔진 냉각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29280A (zh) * 2019-07-31 2019-12-03 上海中船三井造船柴油机有限公司 船用柴油机缸盖/缸套冷却水的透气管路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69838A (en) Fiber optic liquid level sensor
KR100951152B1 (ko) 밀폐형 팽창탱크를 구비한 가스보일러
AU2014343680B2 (en) Fire extinguishing system
US20080035303A1 (en) Expansion tank with alarm system
AU2014343680A1 (en) Fire extinguishing system
KR101674633B1 (ko) 선박 엔진용 오토 에어 벤트 장치
KR101606038B1 (ko) 베이퍼 회수장치
JP5601988B2 (ja) 負圧湿式スプリンクラー設備
CN110126771A (zh) 一种车用防淹方法、装置及系统
JP5179432B2 (ja) 負圧湿式スプリンクラーシステム
CN111946441A (zh) 液位报警装置、方法、冷却系统和车辆
JP2019018897A (ja) 液体燃料供給装置
JP7001435B2 (ja) 負圧湿式予作動スプリンクラー設備
US10336184B2 (en) Fuel storage assembly
JP4143095B2 (ja) 油分流出防止装置
US10941643B2 (en) Vapor recovery apparatus and method for oil and gas wells
JP5006892B2 (ja) 油漏れ検知装置
KR20170096714A (ko) 선박의 소화수 공급장치
CN214223069U (zh) 一种新型无塔多管旋膜除氧器
CN211066210U (zh) 咖啡机供水装置
JP6542495B1 (ja) 圧送装置の異常判定システム及び異常判定方法
CN216477899U (zh) 潜水泵装置
US1708033A (en) Signal for detecting oil in water tanks
CN110082035B (zh) 排水保气预警装置
JP2016079951A (ja) 水位維持装置とポンプ設備および水位維持方法並びにポンプの運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