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3921B1 -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3921B1
KR101673921B1 KR1020100041659A KR20100041659A KR101673921B1 KR 101673921 B1 KR101673921 B1 KR 101673921B1 KR 1020100041659 A KR1020100041659 A KR 1020100041659A KR 20100041659 A KR20100041659 A KR 20100041659A KR 101673921 B1 KR101673921 B1 KR 101673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
interest
mobile terminal
location
lo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1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2266A (ko
Inventor
허동규
표종선
정재희
정숙인
곽병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1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3921B1/ko
Priority to US13/095,301 priority patent/US8718929B2/en
Priority to EP11164019.9A priority patent/EP2385350A3/en
Priority to CN201110119288.0A priority patent/CN102288189B/zh
Publication of KR20110122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2266A/ko
Priority to US14/243,272 priority patent/US951312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3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3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0Instruments for performing navigational calcul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05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 G01C21/3617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using user history, behaviour, conditions or preferences, e.g. predicted or inferred from previous use or current mov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79Retrieval, searching and output of POI information, e.g. hotels, restaurants, shops, filling stations, parking facilities
    • G01C21/3682Retrieval, searching and output of POI information, e.g. hotels, restaurants, shops, filling stations, parking facilities output of POI information on a road map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geographic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GPS signal re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Navig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피에스 수신 모드 시, 현재 위치의 위치 정보를 결정하고,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관심 지역에 대응하여 저장된 선호 경로 또는 관심 장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확인하고,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선호 경로 또는 관심 장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고, 위치 정보의 이용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POSITION INFORMATION OF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는 다양한 기능들이 부가되어 복합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즉 현재의 이동 단말기는 통화 기능 이외에 메시지 송수신 기능, 무선 인터넷 기능, 폰북 관리 기능, 스케줄 관리 기능, 네비게이션 기능 등의 각종 편의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이동 단말기는 네비게이션 기능을 통해 위치 검색 모드에서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가 원하는 검색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제공한다. 이 때 위치 정보는 검색 위치 주변의 지역 정보, 현재 위치로부터 검색 위치로의 경로 등일 수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이동 단말기는 일반적인 위치 정보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는 현재 위치로부터 검색 위치로의 최단 경로 또는 우회 경로 등을 제공할 뿐, 이동 단말기 사용자의 선호 경로를 제공하지 않는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는, 예컨대 공원, 병원, 쇼핑 센터, 음식점 등의 장소들을 이동 단말기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공하지 않는다. 이로 인하여, 위치 정보가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효율적으로 이용되지 못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에서 위치 정보의 이용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에서 위치 정보의 이용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 관리 방법은, 지피에스 수신 모드 시, 현재 위치의 위치 정보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관심 지역에 대응하여 저장된 선호 경로 또는 관심 장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확인하는 과정과,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선호 경로 또는 관심 장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정보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확인 과정은, 이동 방향을 예측하여 상기 관심 지역에 대응하여 저장된 포인트 장소를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현재 위치와 포인트 장소를 연결하여 상기 선호 경로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정보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확인 과정은, 상기 관심 지역과 현재 시간에 대응하여 임계치 이상의 선호도를 갖는 관심 장소를 결정하는 과정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 관리 장치는, 지피에스 수신 모드 시, 지피에스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지피에스 수신부와, 상기 지피에스 데이터를 분석하여 현재 위치의 위치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제어부와, 상기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관심 지역에 대응하여 선호 경로 또는 관심 장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선호 경로 또는 관심 장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공하기 위한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정보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이동 방향을 예측하여 상기 관심 지역에 대응하여 저장된 포인트 장소를 검색하고, 상기 현재 위치와 포인트 장소를 연결하여 상기 선호 경로를 결정하고, 상기 경호 경로를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정보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관심 지역과 현재 시간에 대응하여 임계치 이상의 선호도를 갖는 관심 장소를 결정하고, 상기 관심 장소를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는, 현재 위치에 따라 선호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검색 위치가 선택되지 않더라도, 이동 단말기에서 포인트 장소에 따라 목적지를 선택하고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로의 선호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이동 단말기 사용자의 기호에 상응하는 선호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는, 현재 위치에 따라 관심 장소를 제공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하지 않고,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른 관심 장소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고, 위치 정보의 이용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위치 정보 관리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도 1에서 제어부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위치 정보 관리 절차를 도시하는 순서도,
도 4는 도 3에서 정지 포인트 결정 절차를 도시하는 순서도,
도 5는 도 3에서 경로 학습 절차를 도시하는 순서도,
도 6은 도 3에서 경로 학습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은 도 3에서 선호도 학습 절차를 도시하는 순서도,
도 8은 도 3에서 관심 장소 제공 절차를 도시하는 순서도,
도 9는 도 3에서 관심 장소 제공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그리고
도 10은 도 3에서 경로 제공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하기 설명에서, "위치 정보"라는 용어는 이동 단말기에서 관리하기 위한 정보로, 특정 위치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이러한 위치 정보는 좌표 데이터(position), 시간 데이터(time)를 포함한다. 이 때 위치 정보는 선택적으로 해당 위치의 속도 데이터(velocity)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속도 데이터는 해당 위치에 대한 이동 단말기의 통과 속도를 나타낸다. "포인트 장소(point site)"라는 용어는 이동 단말기에서 통과한 적이 있는 위치를 의미한다. "선호 경로(preference route)"라는 용어는 이동 단말기에서 현재 위치와 포인트 장소를 연결하는 경로를 의미한다. 즉 포인트 장소는 이동 단말기에서 최종 목적지 또는 최종 목적지로 이동 중 경유 가능한 중간 목적지로 간주될 수 있다. 이 때 포인트 장소는 정지 포인트(stop point), 경로 포인트(route point) 및 터닝 포인트(turning point)를 포함한다.
"정지 포인트"라는 용어는 이동 단말기에서 일정 시간 간격 동안 머무른 위치를 의미한다. 이 때 "정지 시간 간격(stop period)"이란 용어는 이동 단말기에서 정지 포인트를 결정하기 위한 시간 간격을 의미한다. "정지 영역(stop region)"이라는 용어는 정지 포인트로부터 일정 반경 이내의 영역을 의미한다. "경로 포인트"라는 용어는 이동 단말기에서 통과한 것으로 간주하기 위한 예측 경로 상의 위치를 의미한다. 즉 이동 단말기에서 예측 경로는 경로 포인트들의 조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터닝 포인트"라는 용어는 경로 포인트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며, 예측 경로에서 이동 단말기의 방향이 급변된 위치를 의미한다.
"관심 지역(interest area)"라는 용어는 이동 단말기에서 검색하고자 하는 지역을 나타낸다. 이 때 관심 지역은 특정 위치로부터 일정 반경 이내의 지역을 나타낸다. "관심 장소(interest site)"라는 용어는 이동 단말기에서 관심 지역 검색 시, 관심 지역 상에 제공될 수 있는 위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관심 장소는 병원, 약국, 공원, 관공서, 음식점, 영화관, 쇼핑센터 등일 수 있다. "관심 정보(interest information)"라는 용어는 관심 장소와 관련된 정보로,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관심 정보는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홈페이지 주소, 쿠폰 등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위치 정보 관리를 위한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에서 제어부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가 휴대 전화기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지피에스 수신부(120), 메모리(130), 제어부(140), 오디오 처리부(150), 표시부(160) 및 키 입력부(170)를 포함한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지피에스 수신부(120)는 지피에스 위성으로부터 지피에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지피에스(GPS; Global Positioning System)는 약 20.183km의 고도를 운행하는 24개의 지피에스 위성들을 이용하는 범세계적인 위치 결정 시스템이다.
메모리(130)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그램 메모리는 이동 단말기(100)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을 저장한다. 그리고 프로그램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위치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을 저장한다. 데이터 메모리는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13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위치 정보를 저장한다. 이 때 메모리(130)는 포인트 장소 또는 관심 장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치 정보를 저장한다.
제어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제어부(140)는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한다. 이 때 데이터 처리부는 모뎀(MODEM) 및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지피에스 수신부(120)를 이용하여 지피에스 수신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40)는 지피에스 데이터를 분석하여 현재 위치의 위치 정보를 결정한다. 또한 제어부(140)는 주기적으로 현재 위치의 위치 정보를 결정하여 메모리(130)에 수집한다. 게다가, 제어부(140)는 포인트 장소 또는 관심 장소를 결정하여 메모리(130)에 등록한다. 더욱이, 제어부(140)는 관심 지역을 결정하여 제공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140)는 포인트 장소 결정부(210)와 관심 장소 결정부(220)를 포함한다.
포인트 장소 결정부(210)는 메모리(130)에 수집되어 있는 위치 정보를 분석하여 포인트 장소를 추출하여 등록하고, 이를 이용한다. 이러한 포인트 장소 결정부(210)는 정지 포인트 결정부(211), 경로 학습부(213) 및 경로 제공부(215)를 구비한다. 정지 포인트 결정부(211)는 정지 시간 간격을 고려하여 정지 포인트를 추출한다. 경로 학습부(213)는 예측 경로를 파악하고, 예측 경로로부터 터닝 포인트를 추출한다. 경로 제공부(215)는 현재 위치에 따라 포인트 장소를 선택하고, 현재 위치와 포인트 장소를 연결하는 선호 경로를 제공한다.
관심 장소 결정부(220)는 관심 장소를 검색하기 위한 이벤트를 분석하여 관심 장소 및 관심 장소의 선호도를 결정하여 등록하고, 이를 이용한다. 이러한 관심 장소 결정부(220)는 선호도 학습부(221) 및 관심 장소 제공부(223)를 구비한다. 선호도 학습부(221)는 관심 장소를 분석하여 관심 장소의 선호도를 결정한다. 관심 장소 제공부(223)는 선호도에 따라 관심 장소를 선택하여 제공한다.
오디오 처리부(150)는 데이터 처리부의 오디오 코덱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K)를 통해 재생하거나, 마이크(MIC)로부터 발생되는 송신 오디오 신호를 데이터 처리부의 오디오 코덱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표시부(160)는 제어부(140)의 제어 하에 이동 단말기(100)의 상태를 표시한다. 이 때 표시부(160)는 LCD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표시부(160)는 LCD 제어부, 표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 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LCD를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입력부로 동작할 수도 있다.
키 입력부(170)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 등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위치 정보 관리 절차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도 3에서 경로 제공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위치 정보 관리 절차는, 제어부(140)가 311단계에서 지피에스 수신 모드를 수행하는 것으로부터 출발한다. 이 때 지피에스 수신부(120)를 통해 지피에스 데이터가 수신되면, 제어부(140)가 31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15단계에서 현재 위치를 결정한다. 즉 제어부(140)는 지피에스 데이터를 분석하여 현재 위치의 위치 정보를 결정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317단계에서 메모리(130)에 위치 정보를 수집한다.
다음으로, 학습 주기가 도래하면, 제어부(140)는 31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21단계에서 포인트 장소 결정 절차를 수행한다. 이 때 제어부(140)는 학습 주기 동안 수집된 위치 정보를 분석하여 포인트 장소를 결정한다. 여기서, 제어부(140)는 정지 포인트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40)는 경로 학습을 통해 터닝 포인트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40)의 포인트 장소 결정 절차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도 3에서 정지 포인트 결정 절차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정지 포인트 결정 절차는, 제어부(140)가 411단계에서 정지 영역을 결정하는 것으로부터 출발한다. 즉 제어부(140)는 위치 정보에서 좌표 데이터들을 비교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좌표 데이터들 간 거리가 임계 거리 이하에 해당하는 위치 정보의 조합으로 정지 영역을 결정한다. 이 후 제어부(140)는, 413단계에서 정지 영역이 정지 시간 간격을 초과하도록 지속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제어부(140)는 정지 영역에 해당하는 위치 정보에서 시간 데이터들을 비교한다. 또한 제어부(140)는 시간 데이터들을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정지 시간 간격과 비교한다.
다음으로, 413단계에서 정지 영역이 정지 시간 간격 동안 지속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40)는 415단계에서 정지 영역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정지 포인트를 추출한다. 즉 제어부(140)는 정지 영역에 해당하는 위치 정보에서 정지 포인트를 선택한다. 이 후 제어부(140)는 417단계에서 정지 포인트를 명명한다. 이 때 제어부(140)는 지도 데이터에서 정지 포인트의 주변 정보를 파악하고, 이를 이용하여 임의로 정지 포인트를 명명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40)는 표시부(160)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에 정지 포인트의 명명을 요구하기 위한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키 입력부(170)를 통해 결정되는 바에 따라 정지 포인트를 명명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40)는 419단계에서 정지 포인트를 등록할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때 제어부(140)는, 정지 포인트가 메모리(130)에 미리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40)는 표시부(160)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에 등록 확인 여부의 결정을 요구하기 위한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키 입력부(170)를 통해 결정되는 바에 따라 정지 포인트를 등록할 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후 419단계에서 정지 포인트를 등록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40)는 421단계에서 정지 포인트를 포인트 장소로 등록한다. 이 때 정지 포인트가 메모리(130)에 미리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40)는 정지 포인트를 등록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정지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메모리(130)에 저장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정지 포인트 결정 절차를 종료한 다음, 도 3으로 리턴한다.
한편, 413단계에서 정지 영역이 정지 시간 간격을 초과하도록 지속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거나, 419단계에서 정지 포인트를 등록하지 않아도 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40)는 정지 포인트 결정 절차를 종료한 다음, 도 3으로 리턴한다. 이 때 제어부(140)는 학습 주기 동안 수집된 위치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에서 경로 학습 절차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3에서 경로 학습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로 학습 절차는, 제어부(140)가 511단계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측 경로(611)로 연결되는 경로 포인트(613)들을 결정하는 것으로부터 출발한다. 즉 제어부(140)는 위치 정보에서 좌표 데이터들과 시간 데이터들을 비교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시간 데이터들이 규칙적으로 연결되며, 각각의 시간 데이터에 대응하는 좌표 데이터들이 연결되는 위치 정보의 조합으로 예측 경로(611)를 결정한다. 또한 제어부(140)는 예측 경로(611)에 해당하는 위치 정보를 경로 포인트(613)들로 결정한다. 이 후 제어부(140)는 513단계에서 경로 포인트(613)들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터닝 포인트(615)를 추출한다. 이 때 제어부(140)는 경로 포인트(613) 별로 각각 연속하는 다른 두 개에 의해 형성되는 경로의 절대 각도(α)가 임계 각도를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절대 각도(α)가 임계 각도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40)는 해당 경로 포인트(613)를 터닝 포인트(615)로 추출한다.
다음으로, 제어부(140)는 515단계에서 다수개의 터닝 포인트(615)들이 추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때 515단계에서 다수개의 터닝 포인트(615)들이 추출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40)는 517단계에서 터닝 포인트(615) 별로 터닝 포인트(615)들 간 간격이 임계 간격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후 515단계에서 다수개의 터닝 포인트(615)들이 추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거나, 517단계에서 해당 터닝 포인트(615)로부터 다른 터닝 포인트(615)와 간격이 임계 간격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40)는 519단계에서 해당 터닝 포인트(615)를 등록할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때 제어부(140)는, 터닝 포인트(615)가 메모리(130)에 미리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40)는 표시부(160)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에 등록 확인 여부의 결정을 요구하기 위한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키 입력부(170)를 통해 결정되는 바에 따라 터닝 포인트(615)를 등록할 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519단계에서 터닝 포인트(615)를 등록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40)는 521단계에서 터닝 포인트(615)를 포인트 장소로 등록한다. 이 때 터닝 포인트(615)가 메모리(130)에 미리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40)는 터닝 포인트(615)를 등록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터닝 포인트(615)의 위치 정보를 메모리(130)에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140)는 경로 학습 절차를 종료한 다음, 도 3으로 리턴한다.
한편, 517단계에서 해당 터닝 포인트(615)로부터 다른 터닝 포인트(615)와 간격이 임계 간격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거나, 519단계에서 터닝 포인트(615)를 등록하지 않아도 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40)는 경로 학습 절차를 종료한 다음, 도 3으로 리턴한다. 이 때 제어부(140)는 학습 주기 동안 수집된 위치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한편, 319단계에서 학습 주기의 도래가 감지되지 않은 상태로, 관심 장소가 검색되면, 제어부(140)는 32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25단계에서 선호도 학습 절차를 수행한다. 이 때 제어부(140)는 해당 관심 장소의 선호도를 결정한다. 여기서, 메모리(130)는 하기 <표 1>과 같이 관심 장소의 검색에 상응하는 검색 이벤트들을 다양한 항목들로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40)의 선호도 학습 절차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항목 설명
PREF_DEG_SEARCH_MAP 관심 장소 선택
PREF_DEG_SEARCH_DETAIL 관심 장소의 관심 정보 표시
PREF_DEG_SEARCH_CALL 관심 장소로 호 연결
PREF_DEG_SEARCH_NET 관심 장소로 인터넷 연결
PREF_DEG_DOWNLOAD_COUPON 관심 장소의 쿠폰 다운로드
PREF_DEG_VISIT_BYNAVI 관심 장소로 경로 표시
PREF_DEG_VISIT_SIMPLE 관심 장소 방문
PREF_DEG_VISIT_BYPAY 관심 장소에서 결제
도 7은 도 3에서 선호도 학습 절차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선호도 학습 절차는, 제어부(140)가 711단계에서 관심 장소를 결정하는 것으로부터 출발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713단계에서 관심 지역을 분석한다. 이 때 제어부(140)는 관심 장소를 중심으로 관심 지역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관심 지역이 해당하는 지역 정보를 확인한다. 여기서, 제어부(140)는, 관심 지역이, 예컨대 명동, 강남, 수원 등 중 어느 지역에 해당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715단계에서 관심 카테고리를 분석한다. 즉 제어부(140)는 적어도 하나의 계층으로 이루어지는 관심 카테고리에 따라 관심 정보를 분류한다. 여기서, 메모리(130)는 하기 <표 2>와 같이 관심 카테고리를 제 1 계층으로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아울러, 메모리(130)는 하기 <표 3>과 같이 관심 카테고리를 제 2 계층으로 더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제 1 계층
Auto Service
Bank
Business
Community
Eating and Drinking
Accommodation
Health and Medical
Shopping
Tourist Attraction
Transport
Leisure and Sports
Restaurant
-
-
-
제 2 계층
(Leisure and Sports)
Bowling Center
Casino
Cinema
Golf Course
Ice Skating Rink
Marina
Public Sport Airport
Recreation Facility
Ski Resort
Sports Activity
Sports Center
-
-
-
다음으로, 제어부(140)는 717단계에서 검색 시간을 분석한다. 이 때 제어부(140)는 관심 장소의 검색이 개시된 시점 또는 관심 장소의 검색이 완료된 시점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40)는 검색 시간을 관심 시간, 예컨대 주말과 주중, 오전과 오후 또는 퇴근 전과 후로 구분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이 후 제어부(140)는 719단계에서 관심 장소의 선호도 증가량을 산출한다. 이 때 제어부(140)는 검색 이벤트의 항목, 관심 지역, 관심 카테고리 또는 관심 시간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상이하게 가중치를 적용하여, 관심 장소의 선호도 증가량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40)는 검색 이벤트들의 항목들에서 'PREF_DEG_VISIT_SIMPLE' 또는 'PREF_DEG_VISIT_BYPAY'에 나머지 항목들 보다 높은 가중치를 적용할 수 있다. 또는 관심 지역이 '명동'이면, 제어부(140)는 검색 시간에서 '주중' 보다 '주말'에 높은 가중치를 적용할 수 있다. 또는 관심 지역이 '수원'이면, 제어부(140)는 관심 카테고리에서 'Restaurant'에 보다 높은 가중치를 적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40)는, 721단계에서 관심 장소가 미리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때 721단계에서 관심 장소가 미리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40)는 723단계에서 관심 정보를 검출한다. 즉 제어부(140)는 메모리(130)에서 관심 장소에 대응하는 관심 정보를 검출하거나, 외부 서버(도시되지 않음)에 접속하여 관심 장소에 대응하는 관심 정보를 검색하여 검출한다. 이 후 제어부(140)는 725단계에서 관심 장소를 등록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727단계에서 관심 장소의 선호도 증가량에 대응하여 선호도를 등록한다. 즉 제어부(140)는 관심 장소 및 관심 장소의 선호도를 메모리(130)에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140)는 선호도 학습 절차를 종료한 다음, 도 3으로 리턴한다.
한편, 721단계에서 관심 장소가 미리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40)는 727단계에서 관심 장소의 선호도 증가량에 대응하여 선호도를 변경한다. 즉 제어부(140)는 관심 장소의 선호도를 메모리(130)에서 변경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선호도 학습 절차를 종료한 다음, 도 3으로 리턴한다.
이어서, 제어부(140)는 327단계에서 관심 장소 제공 절차를 수행한다. 이 때 제어부(140)는 관심 지역을 결정하고, 관심 지역 내 관심 장소를 제공한다. 여기서, 메모리(130)는 하기 <표 4>와 같이 관심 장소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40)의 관심 장소 제공 절차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관심 장소 관심 지역 관심 카테고리 관심 시간 관심 정보
(x1, y1, z1) 명동 Shopping 주말/오후 00-000-0000
(x2, y2, z2) 수원 Restaurant 주중/오후 11-111-1111
-
-
-
-
-
-
-
-
-
-
-
-
-
-
-
도 8은 도 3에서 관심 장소 제공 절차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그리고 도 9는 도 3에서 관심 장소 제공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관심 장소 제공 절차는, 제어부(140)가 811단계에서 관심 지역을 결정하는 것으로부터 출발한다. 이 때 제어부(140)는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관심 지역을 결정할 수 있다. 또는 키 입력부(170)를 통해 포인트 장소가 선택되면, 제어부(140)는 포인트 장소를 중심으로 관심 지역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813단계에서 관심 지역에 해당하는 관심 장소를 검색한다. 이 후 제어부(140)는 815단계에서 관심 지역에 해당하는 관심 장소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때 815단계에서 관심 장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40)는 817단계에서 관심 지역을 확대하여 변경한다. 또한 제어부(140)는 813단계 내지 815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한다.
다음으로, 제어부(140)는 819단계에서 관심 장소를 분류한다. 이 때 제어부(140)는 관심 정보 별 선호도를 임계치와 비교하여, 관심 장소들에서 선호도가 임계치 이상인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즉 제어부(140)는 관심 지역, 관심 시간, 관심 카테고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고려하여 관심 장소들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이 후 제어부(140)는 821단계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심 장소(915)를 표시한다. 이 때 제어부(140)는 관심 장소(915)의 관심 정보를 더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선호도 학습 절차를 종료한 다음, 도 3으로 리턴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40)는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위치(911)를 포함하는 관심 지역을 나타내는 지도 데이터(913) 상에 관심 장소(915)를 아이콘으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현재 위치(911)는 포인트 장소로 대체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40)는 관심 카테고리(917)들을 아이콘으로 더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40)는 관심 지역 또는 관심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선호도 순으로 관심 카테고리(917)를 나열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관심 카테고리(917)가 선택되면, 제어부(140)는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심 카테고리(917)에 대응하여 관심 장소(915)들을 재선택하여 아이콘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40)는 도 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심 장소(915)를 리스트로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40)는 관심 카테고리(917)들을 아이콘으로 더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40)는 관심 지역 또는 관심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선호도 순으로 관심 카테고리(917)를 나열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관심 카테고리(917)가 선택되면, 제어부(140)는 도 9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심 카테고리(917)에 대응하여 관심 장소(915)들을 재선택하여 리스트로 표시할 수 있다.
계속해서, 제어부(140)는 329단계에서 현재 위치를 분석하여 위치가 변경된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제어부(140)는 이전의 위치 정보와 현재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위치가 변경된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후 329단계에서 위치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40)는 331단계에서 선호 경로를 인식한다. 즉 제어부(140)는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관심 지역을 확인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관심 지역에 해당하는 포인트 장소를 검색한다. 이 때 제어부(140)는 이전의 위치 정보와 현재의 위치 정보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의 이동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동 방향을 고려하여 포인트 장소를 검색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40)는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 장소를 검출할 수 있다. 게다가, 제어부(140)는 현재 위치와 포인트 장소를 연결하는 선호 경로를 결정한다. 이 때 제어부(140)는 적어도 하나의 선호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어부(140)는 333단계에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호 경로(927)를 제공한다. 즉 제어부(140)는 현재 위치(921)를 포함하는 관심 지역을 나타내는 지도 데이터(923) 상에 포인트 장소(925)를 아이콘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40)는 표시부(160)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에 표시 여부의 결정을 요구하기 위한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키 입력부(170)를 통해 선호 경로(927)를 표시해도 되는 것으로 결정되면, 제어부(140)는 선호 경로(927)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100)에서 현재 위치에 따라 선호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에 의해 검색 위치가 선택되지 않더라도, 이동 단말기(100)에서 포인트 장소에 따라 목적지를 선택하고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로의 선호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의 기호에 상응하는 선호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에서 현재 위치에 따라 관심 장소를 제공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하지 않고, 이동 단말기(100)에서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른 관심 장소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에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고, 위치 정보의 이용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20)

  1.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가 이동한 적이 있는 하나 이상의 포인트 장소를 획득하는 과정과,
    지피에스 수신 모드 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하나 이상의 포인트 장소 중에서 하나의 포인트 장소를 관심 장소로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와 상기 하나 이상의 포인트 장소를 기반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와 상기 관심 장소를 연결하는 선호 경로를 결정하는 과정과,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결정된 선호 경로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관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포인트 장소를 획득하는 과정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일정 시간 동안 머무른 장소를 정지 영역으로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정지 영역 내의 하나의 장소를 상기 포인트 장소로 선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관리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영역으로 결정하는 과정은,
    좌표 데이터를 사용하여 임계 거리 내에 해당하는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정지 영역을 결정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관리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트 장소를 관심 장소로 선택하는 과정은,
    상기 하나 이상의 포인트 장소를 기반으로 상기 포인트 장소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경로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복수 개의 경로 중에서 두 개의 경로 사이에 형성되는 각도가 임계 각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포인트 장소를 관심 장소로 선택하는 과정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관리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 경로를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로부터 특정 반경 내의 관심 영역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관심 영역 내의 포인트 장소를 선택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와 상기 선택된 포인트 장소를 연결하는 상기 선호 경로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관리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 경로를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이동 단말기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 방향과 관련된 포인트 장소를 선택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와 상기 선택된 포인트 장소를 연결하는 상기 선호 경로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관리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선호 경로를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하나 이상의 포인트 장소에 대응하여 상징물 또는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상기 지도 데이터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관리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장소로 접근하는 정보에 기반하여 관심 영역을 결정하는 과정과,
    시간, 카테고리, 위치, 또는 상기 관심 장소의 접근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관심 영역에 대한 선호도를 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관리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영역을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관심 장소와 상기 관심 장소에 대한 선호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관심 영역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관리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 경로를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하나 이상의 포인트 장소에 대응하여 상징물 또는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상기 지도 데이터에 상기 선호 경로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관리 방법.
  11.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 관리 장치에 있어서,
    지피에스 수신 모드 시, 지피에스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지피에스 수신부와,
    지도 데이터에서 경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이동한 적이 있는 하나 이상의 포인트 장소를 획득하고, 상기 지피에스 수신부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포인트 장소 중에서 하나의 포인트 장소를 관심 장소로 선택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와 상기 하나 이상의 포인트 장소를 기반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와 상기 관심 장소를 연결하는 선호 경로를 결정하고, 상기 표시부를 통해 상기 지도 데이터에서 상기 결정된 선호 경로를 표시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관리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일정 시간 동안 머무른 장소를 정지 영역으로 결정하고, 상기 정지 영역 내의 하나의 장소를 상기 포인트 장소로 선택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관리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좌표 데이터를 사용하여 임계 거리 내에 해당하는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정지 영역을 결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관리 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포인트 장소를 기반으로 상기 포인트 장소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경로를 결정하고, 상기 복수 개의 경로 중에서 두 개의 경로 사이에 형성되는 각도가 임계 각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포인트 장소를 관심 장소로 선택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관리 장치.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로부터 특정 반경 내의 관심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관심 영역 내의 포인트 장소를 선택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와 상기 선택된 포인트 장소를 연결하는 상기 선호 경로를 결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관리 장치.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이동 방향과 관련된 포인트 장소를 선택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와 상기 선택된 포인트 장소를 연결하는 상기 선호 경로를 결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관리 장치.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관심 장소로 접근하는 정보에 기반하여 관심 영역을 결정하고, 시간, 카테고리, 위치, 또는 상기 관심 장소의 접근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관심 영역에 대한 선호도를 결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관리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관심 장소와 상기 관심 장소에 대한 선호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관심 영역을 결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관리 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포인트 장소에 대응하여 상징물 또는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상기 지도 데이터에 상기 선호 경로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관리 장치.
  20.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 관리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이동한 적이 있는 하나 이상의 포인트 장소를 획득하는 과정과,
    지피에스 수신 모드 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하나 이상의 포인트 장소 중에서 하나의 포인트 장소를 관심 장소로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와 상기 하나 이상의 포인트 장소를 기반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와 상기 관심 장소를 연결하는 선호 경로를 결정하는 과정과,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결정된 선호 경로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100041659A 2010-05-04 2010-05-04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1673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1659A KR101673921B1 (ko) 2010-05-04 2010-05-04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
US13/095,301 US8718929B2 (en) 2010-05-04 2011-04-27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of mobile terminal
EP11164019.9A EP2385350A3 (en) 2010-05-04 2011-04-28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of mobile terminal
CN201110119288.0A CN102288189B (zh) 2010-05-04 2011-05-04 移动终端的位置信息管理方法和设备
US14/243,272 US9513123B2 (en) 2010-05-04 2014-04-02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of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1659A KR101673921B1 (ko) 2010-05-04 2010-05-04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2266A KR20110122266A (ko) 2011-11-10
KR101673921B1 true KR101673921B1 (ko) 2016-11-08

Family

ID=44260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1659A KR101673921B1 (ko) 2010-05-04 2010-05-04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8718929B2 (ko)
EP (1) EP2385350A3 (ko)
KR (1) KR101673921B1 (ko)
CN (1) CN10228818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59230A1 (en) * 2011-12-15 2013-06-20 Toyota Infotechnology Center Co., Ltd. Data Forgetting System
US8892350B2 (en) 2011-12-16 2014-11-18 Toyoda Jidosha Kabushiki Kaisha Journey learning system
US9228846B2 (en) * 2012-01-18 2016-01-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Generating routes
CN103369669A (zh) * 2012-03-30 2013-10-23 北京千橡网景科技发展有限公司 用于移动终端的无线定位方法和设备
TWI472720B (zh) * 2012-08-22 2015-02-11 Inst Information Industry 興趣點資訊地圖呈現系統、方法及其記錄媒體
CN102880686B (zh) * 2012-09-17 2016-03-02 曹欢欢 一种兴趣点搜索方法和装置
CN102902754A (zh) * 2012-09-24 2013-01-30 曹欢欢 一种兴趣点搜索方法及装置
CN103024664B (zh) * 2012-11-21 2016-08-10 华为技术有限公司 根据事件提醒的方法和装置
GB2500766A (en) * 2013-02-11 2013-10-02 Said Mousa Yassin Environment digital guide
CN103970805B (zh) * 2013-02-05 2018-01-09 日电(中国)有限公司 移动模式挖掘设备和方法
KR101556537B1 (ko) 2013-05-21 2015-10-02 팅크웨어(주) 전자 기기, 서버,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및 위치 정보 제공 방법
US20160076902A1 (en) * 2014-09-12 2016-03-17 Microsoft Corporation Colloquial or user-favored route based navigation instructions
CN104634347B (zh) * 2015-01-23 2018-07-10 北京智慧图科技有限责任公司 路径规划方法和装置
CN105788334A (zh) * 2016-04-01 2016-07-20 东南大学 一种考虑驾驶者个人偏好的城市路径寻找方法
EP3322149B1 (en) * 2016-11-10 2023-09-13 Tata Consultancy Services Limited Customized map generation with real time messages and locations from concurrent users
CN108898516B (zh) 2018-05-30 2020-06-16 贝壳找房(北京)科技有限公司 在虚拟三维空间讲房模式进功能间的方法、服务器和终端
EP3598176A1 (en) * 2018-07-20 2020-01-22 Trimble Nantes S.A.S. Methods for geospatial positioning and portable positioning devices thereof
KR20210042753A (ko) 2019-10-10 2021-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엣지 컴퓨팅 서비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43307A1 (en) 2003-06-02 2004-12-02 Pieter Geelen Personal GPS navigat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2014215A1 (en) * 1991-02-01 1992-08-20 Peterson Thomas 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hortest elapsed time route information to users
JP4258585B2 (ja) * 1999-03-19 2009-04-30 株式会社エクォス・リサーチ 目的地設定装置
US6456234B1 (en) * 2000-06-07 2002-09-24 William J. Johnson System and method for proactive content delivery by situation location
US6542814B2 (en) * 2001-03-07 2003-04-01 Horizon Navigation,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dynamic point of interest display
US7082365B2 (en) * 2001-08-16 2006-07-25 Networks In Motion, Inc. Point of interest spatial rating search method and system
KR100406003B1 (ko) 2001-09-19 2003-11-17 최연석 위치인식기능을 가진 개인휴대단말기
KR100474710B1 (ko) * 2002-02-19 2005-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운전자가 원하는 관심지점 정보 및 주행경로를 등록할 수있는 차량항법 단말장치 및 그 제어 방법 그리고중앙서버의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방법
US7233861B2 (en) * 2003-12-08 2007-06-19 General Motors Corporation Prediction of vehicle operator destinations
US7133775B2 (en) * 2004-02-17 2006-11-07 Delphi Technologies, Inc. Previewing points of interest in navigation system
US20050228553A1 (en) * 2004-03-30 2005-10-13 Williams International Co., L.L.C. Hybrid Electric Vehicle Energy Management System
US7831384B2 (en) * 2004-10-29 2010-11-09 Aol Inc. Determining a route to destination based on partially completed route
US7512487B1 (en) * 2006-11-02 2009-03-31 Google Inc. Adaptive and personalized navigation system
KR20080048786A (ko) * 2006-11-29 2008-06-03 팅크웨어(주) 목적지 주변의 관심지점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8229458B2 (en) * 2007-04-08 2012-07-24 Enhanced Geographic Llc Systems and methods to determine the name of a location visited by a user of a wireless device
US20080268876A1 (en) * 2007-04-24 2008-10-30 Natasha Gelfand Method, Device, Mobile Terminal,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a Point of Interest Based Scheme for Improving Mobile Visual Searching Functionalities
US8385946B2 (en) * 2007-06-28 2013-02-26 Apple Inc. Disfavored route progressions or locations
JP4427759B2 (ja) * 2007-06-29 2010-03-10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車両挙動学習装置及び車両挙動学習プログラム
KR100981179B1 (ko) * 2007-11-23 2010-09-10 (주)엠앤소프트 시간정보가 반영된 관심지점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8700301B2 (en) * 2008-06-19 2014-04-15 Microsoft Corporation Mobile computing devices, architecture and user interfaces based on dynamic direction information
KR101691033B1 (ko) 2009-09-02 2016-12-2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컨텐츠 태깅 방법 및 장치
US8315791B2 (en) * 2010-06-18 2012-11-20 Nokia Co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mart zooming of a geographic represent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43307A1 (en) 2003-06-02 2004-12-02 Pieter Geelen Personal GPS naviga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85350A2 (en) 2011-11-09
US20140214315A1 (en) 2014-07-31
CN102288189B (zh) 2017-05-10
US8718929B2 (en) 2014-05-06
KR20110122266A (ko) 2011-11-10
CN102288189A (zh) 2011-12-21
EP2385350A3 (en) 2016-05-04
US20110276267A1 (en) 2011-11-10
US9513123B2 (en) 2016-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3921B1 (ko)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
JP5718646B2 (ja) 複数の位置ソースの1つを選択可能な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当該ナビゲーション装置で用いられる方法
US8494768B2 (en) Navigation system, method and database using mobile devices
KR100991669B1 (ko) 휴대 단말기의 경로 검색 방법
US757664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location-specific information through a mobile device
US2012022030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fetching location-based data while maintaining user privacy
CN1898974B (zh) 信息分发系统和信息分发服务器以及便携式终端和信息分发方法
JP4722554B2 (ja) Poi情報提供システム、poi情報提供方法、情報配信サーバ、端末装置
CN101784005A (zh) 兴趣点的检索方法及终端
WO2011049845A2 (en) Modification of dynamic contact lists
US2011002231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Determining Practicality of a Trip
US20090305725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ervice information using location information
KR20110024324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컨텐츠 태깅 방법 및 장치
CN107733954A (zh) 用于推送信息的方法及装置
US20080306685A1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for exploiting idle times of a navigation system
JP4347829B2 (ja) 情報登録装置、プログラム、情報登録方法、及び情報提供方法
JP2007205839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11069931A (ja) 案内連動広告システム
JP3962985B2 (ja) 目的地決定支援方法及び装置、並びにそ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6031398A (ja) ナビゲーションサーバ、携帯電話機、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方法
JP2002199434A (ja) 情報提供方法および情報提供装置および精度情報提供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4325648A (ja) 地図情報提供システム、サーバ装置、および地図情報提供方法
JP2005212499A (ja) 列車経路案内方法および列車経路案内システム
JP2002091973A (ja) 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その検索方法
JP2022122777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