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3842B1 - 모듈화된 고온 내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듈화된 고온 내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3842B1
KR101673842B1 KR1020160024508A KR20160024508A KR101673842B1 KR 101673842 B1 KR101673842 B1 KR 101673842B1 KR 1020160024508 A KR1020160024508 A KR 1020160024508A KR 20160024508 A KR20160024508 A KR 20160024508A KR 101673842 B1 KR101673842 B1 KR 1016738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frame
heat insulating
region
connection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4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윤석
최재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간
Priority to KR1020160024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38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3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38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0003Linings or 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0003Linings or walls
    • F27D1/0033Linings or walls comprising heat shields, e.g. heat shields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14Supports for li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14Supports for linings
    • F27D1/145Assembl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14Supports for linings
    • F27D1/145Assembling elements
    • F27D1/147Assembling elements for bri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16Making or repairing linings increasing the durability of linings or breaking away linings
    • F27D1/1678Increasing the durability of linings; Means for protec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된 고온 내화 시스템은 재료를 가열하는 가열로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가열로의 내벽에 설치되어 상기 가열로의 단열을 구현하는 모듈화된 고온 내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의 연결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내벽에 고정될 수 있는 프레임; 상기 가열로의 단열을 구현하는 제1 단열부 및 제2 단열부를 구비하는 단열부; 상기 제1 단열부가 상기 프레임의 제1 위치에 연결되도록 상기 제1 단열부와 상기 프레임을 매개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단열부가 상기 프레임의 상기 제1 위치와 상이한 제2 위치에 연결되도록 상기 제2 단열부와 상기 프레임을 매개하는 제2 연결부를 구비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 단열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연결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1 연결부가 상기 복수의 연결영역 중 제1 연결영역에 연결된 경우, 상기 제1 연결영역으로부터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의 N배 만큼 이격된 연결영역 후보군을 제공하여, 상기 연결영역 후보군이 상기 제2 연결부가 연결되는 제2 연결영역이 될 수 있는 후보군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듈화된 고온 내화 시스템{Modulized high temperature refractory system}
본 발명은 모듈화된 고온 내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재료를 가열하는 가열로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가열로의 내벽에 설치되어 상기 가열로의 단열을 구현하는 모듈화된 고온 내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열로는 제철, 제강 공업이나 요업 또는 각종 비철금속이나 석유화학공업등에서 재료를 가공하기 위해 열을 가하는 장치이다.
가열로의 성능에서 중요한 것은 열에너지의 손실을 최소화하는 것으로서, 그 결과 가열로는 열에너지의 누출을 최소화하기 위해 공간을 형성하는 벽 부분과 천정 부분을 단열이 되면서도 열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내화재를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종래 기술에 따른 가열로 천정의 경우 내화재를 양생 공법을 이용하여 한꺼번에 설치하여야 하므로 설치공정이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양생 공법의 경우 별도의 양생(건조) 시간이 상당히 소요되어 작업 착수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일반적인 가열로 천정의 경우, 천정면이 평평하게 형성되어 이로 인해 가열 효율이 낮아지게 되고, 가열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보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내화재보다 단열 및 방사 성능이 좋은 내화재를 사용하여야 하지만, 이는 비용의 증가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단열을 구현하는 단열재를 조립체에 의해 용이하게 원하는 위치에 시공할 수 있어 작업 능력의 고도화를 요구하지 않고, 단열재를 가열로에 시공하는 공사기간을 짧게 할 수 있으며, 밀실하게 단열재를 시공할 수 있어 단열의 성능을 높일 수 있는 것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된 고온 내화 시스템은 재료를 가열하는 가열로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가열로의 내벽에 설치되어 상기 가열로의 단열을 구현하는 모듈화된 고온 내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의 연결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내벽에 고정될 수 있는 프레임; 상기 가열로의 단열을 구현하는 제1 단열부 및 제2 단열부를 구비하는 단열부; 상기 제1 단열부가 상기 프레임의 제1 위치에 연결되도록 상기 제1 단열부와 상기 프레임을 매개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단열부가 상기 프레임의 상기 제1 위치와 상이한 제2 위치에 연결되도록 상기 제2 단열부와 상기 프레임을 매개하는 제2 연결부를 구비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 단열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연결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1 연결부가 상기 복수의 연결영역 중 제1 연결영역에 연결된 경우, 상기 제1 연결영역으로부터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의 N배 만큼 이격된 연결영역 후보군을 제공하여, 상기 연결영역 후보군이 상기 제2 연결부가 연결되는 제2 연결영역이 될 수 있는 후보군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된 고온 내화 시스템의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 단열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연결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1 연결부가 상기 복수의 연결영역 중 상기 제1 연결영역에 연결된 경우, 상기 제1 연결영역으로부터 길이 방향과 폭 방향의 사이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의 N배 만큼 이격된 연결영역 후보군을 제공하여, 상기 연결영역 후보군이 상기 제2 연결부가 연결되는 제2 연결영역이 될 수 있는 후보군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된 고온 내화 시스템의 상기 프레임은, 상기 연결부가 상기 연결영역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영역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상기 연결영역 내에서 위치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된 고온 내화 시스템의 상기 프레임은, 상부 프레임 및 상부 프레임으로부터 높이 방향으로 이격된 하부 프레임을 구비하여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 사이에 상기 연결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단열부에 연결되며 상기 하부 프레임을 가압하는 단열연결부, 상기 단열연결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연결영역을 관통하는 관통부, 상기 관통부 상에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을 가압하는 가압부 및 상기 단열연결부와 상기 가압부가 상기 프레임을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단열연결부와 상기 가압부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조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된 고온 내화 시스템의 상기 관통부는, 상기 길이 방향 및 상기 폭 방향으로의 크기가 상기 연결영역의 상기 길이 방향 및 상기 폭 방향으로의 크기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된 고온 내화 시스템의 상기 가압부는, 상기 길이 방향 또는 상기 폭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의 크기가 상기 연결영역의 상기 길이 방향 및 상기 폭 방향으로의 크기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된 고온 내화 시스템의 상기 단열연결부는, 상기 길이 방향 또는 상기 폭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의 크기가 상기 연결영역의 상기 길이 방향 및 상기 폭 방향으로의 크기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된 고온 내화 시스템의 상기 연결부는, 상기 단열연결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단열부와의 연결면적을 증가시키는 면적증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된 고온 내화 시스템은 복수의 연결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내벽에 고정될 수 있는 프레임; 상기 가열로의 단열을 구현하는 단열부; 상기 단열부가 상기 프레임의 소정의 위치에 연결되도록 상기 단열부와 상기 프레임을 매개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단열부가 상기 연결영역 중 어느 하나인 소정의 기준영역으로부터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의 N배 만큼 이격된 연결영역 후보군을 제공하여, 상기 연결영역 후보군이 상기 연결부가 연결되는 연결영역이 될 수 있는 후보군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된 고온 내화 시스템에 의하면, 단열을 구현하는 단열재를 조립체에 의해 용이하게 원하는 위치에 시공할 수 있어 작업 능력의 고도화를 요구하지 않고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다.
또한, 단열재를 가열로에 시공하는 공사기간을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밀실하게 단열재를 시공할 수 있어 단열의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된 고온 내화 시스템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및 이격방지부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된 고온 내화 시스템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된 고온 내화 시스템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개략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의 개략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부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및 연결부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된 고온 내화 시스템을 이용한 모듈화된 고온 내화 시스템 시공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된 고온 내화 시스템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개략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및 이격방지부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된 고온 내화 시스템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된 고온 내화 시스템의 개략 단면도이며,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개략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의 개략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부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개략 평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및 연결부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우선 방향에 대한 용어의 정의를 살펴보자면,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길이 방향은 상기 프레임(100)의 길이에 대한 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폭 방향은 상기 길이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일 수 있다. 그리고, 사이 방향은 상기 길이 방향과 상기 폭 방향의 사이에 있는 모든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높이 방향은 상하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된 고온 내화 시스템(10)은 재료를 가열하는 가열로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가열로의 내벽(W)에 설치되어 상기 가열로의 단열을 구현하는 것으로서, 복수의 연결영역(S)을 형성하며 상기 내벽(W)에 고정될 수 있는 프레임(100), 상기 가열로의 단열을 구현하는 제1 단열부(210) 및 제2 단열부(220)를 구비하는 단열부(200), 상기 제1 단열부(210)가 상기 프레임(100)의 제1 위치에 연결되도록 상기 제1 단열부(210)와 상기 프레임(100)을 매개하는 제1 연결부(300) 및 상기 제2 단열부(220)가 상기 프레임(100)의 상기 제1 위치와 상이한 제2 위치에 연결되도록 상기 제2 단열부(220)와 상기 프레임(100)을 매개하는 제2 연결부(300')를 구비하는 연결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프레임(100)은 상기 연결부(300) 및 상기 단열부(200)가 상기 가열로의 상기 내벽(W)을 기준으로 소정의 위치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300)가 연결될 수 있는 영역인 복수의 상기 연결영역(S)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례로, 상기 프레임(100)은 상기 단열부(200) 및 상기 연결부(300)의 하중을 상기 길이 방향 또는 상기 폭 방향으로 분산할 수 있어, 상기 단열부(200) 및 상기 연결부(300)가 낙하하지 않고 상기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일례로, 도 1(a), 도 2 내지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0)은 상기 연결영역(S)을 형성하도록 평평한 철판일 수 있다.
상기 평평한 철판에 구멍을 뚫어 상기 연결영역(S)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프레임(100)은 상기 제1 단열부(210)가 상기 제1 위치에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상기 제1 연결부(300)가 연결될 수 있는 제1 연결영역(S1)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1 연결영역(S1)이 형성될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하는 동시에, 상기 제2 단열부(220)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이격된 상기 제2 위치에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상기 제2 연결부(300')가 연결될 수 있는 제2 연결영역(S2)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2 연결영역(S2)이 형성될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영역(S1) 및 상기 제2 연결영역(S2)은 작업자의 의도에 맞게 상기 평평한 철판에 구멍을 뚫어 상기 프레임(100)의 소정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0)은 복수개일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상기 프레임(100)과 이와 이웃하는 다른 프레임(100)간의 이격을 방지하는 이격방지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0)은 상기 이격방지부(500)에 용접에 의해 고정되거나,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볼트 및 너트에 의해 소정의 위치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격방지부(500)는 상기 프레임(100)이 상기 내벽(W)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100)과 상기 내벽(W)을 매개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상기 프레임(100)은 각각 상기 내벽(W)에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이격방지부(500)에 의해 상기 내벽(W)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격방지부(500)는 어느 하나의 상기 프레임(100)과 이와 이웃하는 상기 다른 프레임(100)간의 연결을 매개하며, 상기 프레임(100)간의 하중을 분산시킨다는 점에서, 어느 하나의 상기 프레임(100)이 하중에 대한 한계를 이기지 못하는 상황이 오더라도 상기 다른 프레임(100)과의 연결에 의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격방지부(500)는 상기 내벽(W)에 직접적으로 고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철근, 끈, 고정앵커, U형 볼트 등의 연결부재(L)에 의해 상기 내벽(W)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L)가 상기 내벽(W)에 직접적으로 고정되지 않고 상기 내벽(W)에 설치된 설비 및 보와 같은 구조체(G)에 연결될 수도 있다.
즉, 상기 프레임(100)은 상기 이격방지부(500) 및 상기 연결부재(L)에 의해 상기 내벽(W)을 기준으로 소정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도 1(b)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0)은 상기 연결영역(S)을 형성하도록 평면 격자형의 집합체일 수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간 격자형의 집합체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영역(S)은 상기 프레임(100)에 의해 사각형 또는 육면체의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복수의 상기 연결영역(S) 중 어느 하나와 다른 하나의 상기 연결영역(S)은 구분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프레임(100)은 육각 평면 또는 육각 기둥형상의 집합체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영역(S)은 상기 프레임(100)에 의해 육각형 또는 육각 기둥 형상의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복수의 상기 연결영역(S) 중 어느 하나와 다른 하나의 상기 연결영역(S)은 구분될 수 있다.
즉, 상기 프레임(100)은 상기 연결부(300)가 연결될 수 있는 연결영역(S)을 제공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당업자의 입장에서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다만, 아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프레임(100)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간 격자형의 집합체로 정의하며, 상기 프레임(100)으로 인해 형성되는 상기 연결영역(S)은 육면체의 공간으로 정의한다.
한편, 일례로, 상기 프레임(100)은 상기 단열부(200) 및 상기 연결부(300)의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철근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고강도 플라스틱 또는 고강도 합성수지 등과 같이 상기 단열부(200) 및 상기 연결부(300)의 하중을 견딜 수 있으며 하중을 상기 길이 방향 및 상기 폭 방향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재질이라면 당업자의 입장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영역(S)은 상기 프레임(100)에 의해 정의될 수 있는 가상의 공간일 수 있다.
상기 연결영역(S)은 상기 프레임(100)에 의해 복수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100)에 의해 어느 하나의 연결영역(S)과 다른 하나의 연결영역(S)은 서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영역(S) 간의 구분은 공간적으로 완전히 구분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작업자가 볼 때 어느 하나의 상기 연결영역(S)과 다른 하나의 상기 연결영역(S)이 구분되어지면 족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연결영역(S)은 상기 연결부(300)에 의해서도 정의될 수 있다.
도 10에 볼 수 있듯이, 상기 연결영역(S)은 상기 길이 방향 및 상기 폭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연결부(300)의 중심축(X)이 위치하는 연결영역(S)과 상기 연결부(300)의 중심축(X)이 위치하지 않는 연결영역(S')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단열부(200)는 상기 가열로의 단열을 구현하는 단열재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단열부(210) 및 상기 제2 단열부(220)를 구비하여 복수개일 수 있다.
즉, 상기 제1 단열부(210) 및 상기 제2 단열부(220)는 상기 단열부(200)가 복수개일 수 있다는 것을 정의한다.
일례로, 상기 단열부(200)는 육면체 형상일 수 있으나, 상기 내벽(W)의 형상에 따라 작업자의 의도에 맞게 상기 단열부(200)의 형상은 달라질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아래에서는 상기 단열부(200)의 형상이 육면체 형상인 것으로 정의한다.
한편, 일례로, 상기 단열부(200)는 내화 및 단열이 우수한 알루미나 또는 실리카 재질 일 수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열을 구현할 수 있는 재질이라면 당업자의 입장에서 상기 단열부(200)의 재질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단열부(200)의 재질에 대한 선택에 의해 상기 단열부(200)는 소정의 탄성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연결부(300)는 상기 단열부(200)와 상기 프레임(100)을 매개하는 것으로서, 상기 단열부(200)가 상기 프레임(100)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어 낙하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300)는 상기 제1 연결부(300) 및 상기 제2 연결부(300')를 구비하여 복수개일 수 있다.
즉, 상기 제1 연결부(300) 및 상기 제2 연결부(300')는 상기 연결부(300)가 복수개일 수 있다는 것을 정의한다.
여기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0)은 상기 제1 단열부(210)가 상기 제1 위치에 연결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1 연결부(300)가 상기 복수의 연결영역(S) 중 제1 연결영역(S1)에 연결된 경우, 상기 제1 연결영역(S1)으로부터 상기 길이 방향 및 상기 폭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의 N배 만큼 이격된 연결영역 후보군을 제공하여, 상기 연결영역 후보군이 상기 제2 연결부(300')가 연결되는 제2 연결영역(S2)이 될 수 있는 후보군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연결영역(S2)은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영역일 수 있으며, 또는 상기 폭 방향으로 이격된 영역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소정의 길이는 상기 제1 연결영역(S1)을 형성하는 상기 프레임(100)의 중심간의 상기 길이 방향, 상기 폭 방향 또는 사이 방향의 이격 거리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소정의 길이는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작업자가 상기 단열부(200)의 형상 및 크기, 작업환경 조건 등에 의해 임의로 설정한 길이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N배는 1배 내지 복수배일 수 있다.
그 결과, 작업자는 상기 프레임(100)에 의해 상기 제1 연결영역(S1)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 단열부(210) 및 상기 제2 단열부(220)의 상대적인 크기 및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연결부(300')가 연결될 수 있는 상기 제2 연결영역(S2)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영역(S2)의 선택은 상기 제1 연결영역(S1)과 상기 제2 연결영역(S2)간의 이격 거리의 선택인 동시에 상기 제1 단열부(210)와 상기 제2 단열부(220)간의 이격거리 또는 접촉정도를 결정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작업자는 상기 제1 단열부(210)와 상기 제2 단열부(220)가 상호 접촉하는 부분이 밀실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연결영역(S1)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연결영역(S2)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제2 연결영역(S2)의 선택은 상기 제1 단열부(210)와 상기 제2 단열부(220)의 접촉정도를 결정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상기 프레임(100)에 상기 제1 연결부(300) 및 상기 제2 연결부(300')를 연결하기 전 상기 제1 단열부(210) 및 상기 제2 단열부(220)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연결부(300)가 연결되는 상기 제1 연결영역(S1) 및 상기 제2 연결부(300')가 연결되는 상기 제2 연결영역(S2)을 미리 결정하여 표시할 수 있어, 단열 시공 예측이 용이하여 시공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0)은 상기 제1 단열부(210)가 상기 제1 위치에 연결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1 연결부(300)가 상기 복수의 연결영역(S) 중 상기 제1 연결영역(S1)에 연결된 경우, 상기 제1 연결영역(S1)으로부터 상기 길이 방향과 상기 폭 방향의 상기 사이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의 N배 만큼 이격된 연결영역 후보군을 제공하여, 상기 연결영역 후보군이 상기 제2 연결부(300 )가 연결되는 상기 제2 연결영역(S2)이 될 수 있는 후보군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0)은 상기 제1 연결영역(S1)으로부터 상기 길이 방향 및 상기 폭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의 N배 만큼 이격된 상기 연결영역 후보군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사이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의 N배 만큼 이격된 상기 연결영역 후보군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연결영역 후보군 중 상기 제2 연결영역(S2)이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일례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0)은 상기 연결부(300)가 상기 연결영역(S)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영역(S)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상기 연결영역(S) 내에서 위치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영역(S)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연결부(300)는 상기 프레임(100)의 복수의 상기 연결영역(S) 중 어느 하나의 연결영역(S)에 연결된 후에도 상기 연결부(300)에 연결된 상기 단열부(200)가 상기 프레임(100)을 기준으로 소정의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연결부(300)가 연결된 상기 연결영역(S) 내에서 상기 길이 방향, 상기 폭 방향 또는 상기 사이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단열부(200)는 상기 프레임(100)을 기준으로 위치하는 위치에 대해 상기 연결영역(S) 내에서 미세 위치 조정이 가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자는 상기 제1 단열부(210)와 상기 제2 단열부(220) 간의 접촉 정도를 결정할 수 있어 상기 1 단열부(200)와 상기 제2 단열부(220) 간의 밀실한 단열을 구현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0)은 상부 프레임(110) 및 상부 프레임(110)으로부터 상기 높이 방향으로 이격된 하부 프레임(120)을 구비하여 상기 상부 프레임(110)과 상기 하부 프레임(120) 사이에 상기 연결영역(S)을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상부 프레임(110) 및 상기 하부 프레임(120)을 연결하는 수직 프레임(13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결과, 상기 연결영역(S)은 상기 상부 프레임(110), 상기 하부 프레임(120) 및 상기 수직 프레임(130)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300)는 상기 단열부(200)에 연결되며 상기 하부 프레임(120)을 가압하는 단열연결부(310), 상기 단열연결부(310)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연결영역(S)을 관통하는 관통부(320), 상기 관통부(320) 상에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110)을 가압하는 가압부(330) 및 상기 단열연결부(310)와 상기 가압부(330)가 상기 프레임(100)을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단열연결부(310)와 상기 가압부(330)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조절부(34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단열연결부(310)는 상기 단열부(200)를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 하부 프레임(120)을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부(320)는 상기 상기 단열연결부(310)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높이 방향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상기 연결영역(S)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 프레임(110)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관통부(320)의 상기 높이 방향 길이는 상기 연결영역(S)의 상기 높이 방향 길이, 즉, 상기 프레임(100)의 높이 방향 길이보다 더 클 수 있다.
상기 관통부(320)는 상기 단열연결부(3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단열연결부(310)와 나사 방식으로 착탈될 수도 있다.
상기 관통부(320)와 상기 단열연결부(310)가 나사 방식으로 착탈되는 경우, 나사의 조임 정도에 따라 상기 관통부(320)는 상기 단열연결부(310)를 기준으로 상기 단열연결부(310)로부터의 상기 높이 방향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330)는 상기 관통부(320)의 상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관통부(32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330)는 상기 단열연결부(310)를 기준으로 상기 높이 방향으로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는 점에서, 상기 상부 프레임(110)을 가압할 수 있다.
즉, 상기 프레임(100)은 상기 단열연결부(310)와 상기 가압부(330)의 상대적인 위치 또는 상호 이격 거리에 의해 가압될 수 있고, 그 가압력도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조절부(340)는 상기 관통부(320) 상에서의 위치에 의해 상기 가압부(330)와 상기 단열연결부(310) 간의 상기 높이 방향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상기 관통부(320)는 수나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조절부(340)는 상기 관통부(320)와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암나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관통부(320) 상에서 상기 조절부(340)는 작업자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높이 방향으로 위치 조절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조절부(340)의 위치 조절에 의해 상기 가압부(330)의 위치 조절도 이루어 질 수 있다.
다만, 상기 조절부(340)를 생략하고, 상기 가압부(330)가 암나사로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330) 만으로도 상기 관통부(320) 상에서 작업자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높이 방향으로 위치 조절될 수도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관통부(320)는 상기 길이 방향 및 상기 폭 방향으로의 크기가 상기 연결영역(S)의 상기 길이 방향 및 상기 폭 방향으로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가압부(330)와 상기 단열연결부(310)간의 상기 높이 방향 이격거리가 상기 프레임(100)의 상기 높이 방향 길이보다 커, 상기 연결부(300) 및 상기 단열부(200)의 자중에 의해 상기 상부 프레임(110)에만 상기 가압부(330)의 가압이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서, 작업자는 용이하게 상기 연결부(300)가 연결된 상기 연결영역(S) 내에서 상기 연결부(300)의 미세 위치 조정이 가능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부(300)는 상기 프레임(100)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길이 방향, 상기 폭 방향 및 상기 사이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단열부(200) 및 상기 제2 단열부(220)는 상기 프레임(100)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연결부(300) 및 상기 제2 연결부(300')의 미세 위치 조정에 의해 작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호 밀실하게 접촉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부(330)는 상기 길이 방향 또는 상기 폭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의 크기가 상기 연결영역(S)의 상기 길이 방향 및 상기 폭 방향으로의 크기보다 클 수 있으며, 상기 단열연결부(310)는 상기 길이 방향 또는 상기 폭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의 크기가 상기 연결영역(S)의 상기 길이 방향 및 상기 폭 방향으로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관통부(320)가 상기 연결영역(S) 상에서 상기 길이 방향 및 상기 폭 방향의 어느 위치 상에 있어도, 상기 가압부(330) 및 상기 단열연결부(310)에 의해 상기 단열부(200)는 낙하하지 않고 상기 프레임(100)상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부(300)는 상기 단열연결부(310)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단열부(200)와의 연결면적을 증가시키는 면적증가부(3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도 5 및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단열연결부(310) 및 상기 면적증가부(350)가 상기 단열부(200)에 연결되어 상기 단열연결부(310)간의 연결을 더욱 견고히 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면적증가부(350)는 상기 단열연결부(310)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단열연결부(3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면적증가부(350)의 형상 및 돌출 방향은 도면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단열부(200)와의 연결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는 구성이라면 당업자의 입장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0)은 상기 연결영역(S) 중 어느 하나인 소정의 기준영역(K)으로부터 상기 길이 방향 및 상기 폭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의 N배 만큼 이격된 연결영역 후보군을 제공하여, 상기 연결영역 후보군이 상기 연결부(300)가 연결되는 연결영역(S)이 될 수 있는 후보군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작업자는 작업환경에 따라 소정의 상기 기준영역(K)을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기준영역(K)은 필요에 의해 설비가 위치하는 영역일 수 있으며, 작업자의 의도에 따라 또는 작업환경에 따라 상기 연결부(300)는 상기 기준영역(K)으로부터 의도된 거리만큼 이격된 거리에 설치되어야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프레임(100)이 상기 기준영역(K)으로부터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의 N배 만큼 이격된 상기 연결영역 후보군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작업자는 용이하게 상기 연결부(300)가 연결될 수 있는 상기 후보군 중 상기 연결부(300)가 연결되는 상기 연결영역(S)을 선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프레임(100)은 상기 기준영역(K)으로부터 상기 길이 방향과 상기 폭 방향의 상기 사이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의 N배 만큼 이격된 상기 연결영역 후보군을 제공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아래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된 고온 내화 시스템(10)에 의하여 상기 내벽(W)에 단열을 구현하는 모듈화된 고온 내화 시스템 시공 방법을 설명하겠다.
도 12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된 고온 내화 시스템을 이용한 모듈화된 고온 내화 시스템 시공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및 개략 사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된 고온 내화 시스템 시공 방법은 재료를 가열하는 가열로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가열로의 상기 내벽(W)에 단열을 구현하는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의 상기 연결영역(S)을 구비하는 상기 프레임(100)에 복수의 상기 연결영역(S) 중 어느 하나인 상기 제1 연결영역(S1)에 상기 프레임(100)과 상기 제1 단열부(210)를 매개하는 상기 제1 연결부(300)를 연결하여 상기 제1 단열부(210)가 상기 프레임(100)의 제1 위치에 위치되도록 하는 제1 단계, 상기 프레임(100)과 상기 제2 단열부(220)를 매개하는 상기 제2 연결부(300')를 복수의 상기 연결영역(S) 중 상기 제1 연결영역(S1)으로부터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이격된 상기 제2 연결영역(S2)에 연결하여 상기 제2 단열부(220)가 상기 프레임(100)의 제2 위치에 위치되도록 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프레임(100)을 상기 내벽(W)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단열부(210)와 상기 제1 연결부(300)가 연결된 구성을 제1 단열 모듈로 볼 수 있으며, 상기 제2 단열부(220)와 상기 제2 연결부(300')가 연결된 구성을 제2 단열 모듈로 볼 수 있다.
상기 제1 단열 모듈은 상기 제1 연결부(300)에 상기 제1 단열부(210)를 끼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단열 모듈도 상기 제1 단열 모듈과 같은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단열 모듈 및 상기 제2 단열 모듈의 형성은 상기 가열로에서 구현될 필요는 없으며, 다른 작업장에서 작업되어 상기 가열로에 운송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내벽(W)에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내화물을 해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3 단계를 수행하기 전, 상기 제1 단계에서는 상기 내벽(W)에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내화물을 해체하여, 상기 프레임(100)을 상기 내벽(W)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일례로,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프레임(100)에 내화단열재(600)를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프레임(100)에 상기 제1 연결부(300)를 연결하기 전 상기 내화단열재(600)를 먼저 연결하여 단열의 성능을 더 높일 수 있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3 단계에서의 상기 프레임(100)은 상기 내벽(W)에 철근, 끈, 고정앵커 등의 상기 연결부재(L)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0) 또는 연결부재(L)가 상기 내벽(W)에 직접적으로 고정될 수도 있으나, 상기 내벽(W)에 설치된 설비, 보와 같은 상기 구조체(G)에 연결될 수도 있다.
즉, 상기 프레임(100)은 상기 구조체(G)에 의해 상기 내벽(W)을 기준으로 소정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단열부(200)는 단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열재 유닛이 겹쳐저 하나의 단열부(200)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도 9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단열부(210)는 제1-1 단열부(211) 및 상기 제1-1 단열부(211)의 일면에 접하는 제1-2 단열부(213)를 구비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단열부(220)는 제2-1 단열부(221) 및 상기 제2-1 단열부(221)의 일면에 접하는 제2-2 단열부(223)를 구비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일례로,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제1 연결부(300)를 상기 제1-1 단열부(211)의 상기 일면이 상기 길이 방향으로 향하도록 상기 프레임(100)의 상기 제1 위치에 연결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제2 연결부(300')를 상기 제2-1 단열부(221)의 상기 일면이 상기 폭 방향으로 향하며 상기 프레임(100)의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인접한 상기 제2 위치에 연결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인접한 상기 제2 위치는 작업자의 의도에 따라 설정될 수 있으며, 일례로, 상기 제1 단열부(210)의 상기 폭 방향 측면에 상기 제2 단열부(220)가 접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1 단열부(211)와 상기 제1-2 단열부(213) 간의 접촉 방향과 상기 제2-1 단열부(221)와 상기 제2-2 단열부(223) 간의 접촉 방향이 서로 수직하게 상기 제1 단열부(210) 및 상기 제2 단열부(220)가 상기 프레임(100)에 연결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단열부(200)는 그 재질에 따라 약간의 탄성을 구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상기와 같이 상기 제1 단열부(210) 및 상기 제2 단열부(220)가 상기 프레임(100)에 설치 되는 경우, 상기 제2 단열부(220)가 상기 제1-1 단열부(211)와 상기 제1-2 단열부(213) 간의 접촉을 더욱 밀실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제1-1 단열부(211)와 상기 제1-2 단열부(2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압하는 압축부재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단열부(210)는 상기 폭 방향으로 부피가 증가하는 탄성 복원력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단열부(220)가 상대적으로 상기 제1 단열부(210)에 대한 압축부재의 역할을 수행하여 상기 제1 단열부(210)의 상기 폭 방향으로의 복원을 방해함으로써 상기 제1 단열부(210)를 가압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제2 단열부(220)에 의해 상기 제1-1 단열부(211)와 상기 제1-2 단열부(213) 간의 접촉은 더욱 밀실하게 될 수 있어, 단열의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상기 제1 단열 모듈과 같은 방법으로,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된 고온 내화 시스템 시공 방법은 상기 가열로의 단열을 구현하는 제3 단열부(230)에 제3 연결부가 연결된 제3 단열 모듈을 제공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제3 단열부(230)는 제3-1 단열부(231) 및 상기 제3-1 단열부(231)의 일면에 접하는 제3-2 단열부(233)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단열모듈이 상기 프레임(100)에 연결되는 것과 동일한 원리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프레임(100)과 제3 단열부(230)를 매개하는 제3 연결부를 복수의 상기 연결영역 중 상기 제1 연결영역(S1) 및 상기 제2 연결영역(S2)과 이격된 제3 연결영역(S3)에 연결하여 상기 제3 단열부(230)가 상기 프레임(100)의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인접한 제3 위치에 위치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3 연결부를 상기 제3-1 단열부(231)의 상기 일면이 상기 길이 방향으로 향하며 상기 프레임(100)의 상기 제3 위치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상기 제2-1 단열부(221)와 상기 제2-2 단열부(223) 간의 접촉 방향과 상기 제3-1 단열부(231)와 상기 제3-2 단열부(233) 간의 접촉 방향이 서로 수직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와 동일한 원리로, 상기 프레임(100)에 상기 단열부(200)의 설치를 완료하는 경우,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호 접하는 상기 단열부(200) 간에는 서로 방향이 어긋나게 상기 프레임(10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단열부(200)는 다른 하나의 상기 단열부(200)에 압축부재로서의 기능이 구현되어 밀실한 단열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단열 효과는 앞서 설명한 상기 프레임(100), 상기 연결부(300) 및 상기 단열부(200)의 특징에 의해 구현됨은 자명하다.
또한,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제1 단열부(210)와 상기 제2 단열부(220) 사이에 단열재(800)가 설치되도록 하는 공정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된 고온 내화 시스템 시공 방법은 상기 제1 단열부(210) 및 상기 제2 단열부(220)의 상기 높이 방향 하측 면에 단열 코팅재(800)를 형성하는 제 4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열 코팅재(800)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1 단열부(210) 및 상기 제2 단열부(220) 사이의 갭을 차단하여 가열로의 단열 성능을 더욱 발휘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프레임
200: 단열부
300: 연결부
W: 내벽
S: 연결영역

Claims (12)

  1. 재료를 가열하는 가열로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가열로의 내벽에 설치되어 상기 가열로의 단열을 구현하는 모듈화된 고온 내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내벽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는 프레임;
    상기 가열로의 단열을 구현하는 제1 단열부 및 제2 단열부를 구비하는 단열부;
    상기 제1 단열부가 상기 프레임의 제1 위치에 연결되도록 상기 제1 단열부와 상기 프레임을 매개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단열부가 상기 프레임의 상기 제1 위치와 상이한 제2 위치에 연결되도록 상기 제2 단열부와 상기 프레임을 매개하는 제2 연결부를 구비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 단열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상기 제1 연결부가 연결될 수 있는 제1 연결영역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1 연결영역이 형성될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하는 동시에, 상기 제2 단열부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이격된 상기 제2 위치에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상기 제2 연결부가 연결될 수 있는 제2 연결영역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2 연결영역이 형성될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연결부가 연결될 수 있는 복수의 연결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제1 단열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연결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1 연결부가 상기 복수의 연결영역 중 상기 제1 연결영역에 연결된 경우, 상기 제1 연결영역으로부터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의 N배 만큼 이격된 연결영역 후보군을 제공하여, 상기 연결영역 후보군이 상기 제2 연결부가 연결되는 상기 제2 연결영역이 될 수 있는 후보군이 되도록 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단열부에 연결되며 상기 프레임의 하측을 가압하는 단열연결부, 상기 단열연결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연결영역을 관통하는 관통부, 상기 관통부 상에서 위치 이동되어 상기 프레임의 상측을 가압하는 가압부 및 상기 단열연결부와 상기 가압부가 상기 프레임을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단열연결부와 상기 가압부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조절부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부 프레임 및 상기 상부 프레임으로부터 높이 방향으로 이격된 하부 프레임을 구비하여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 사이에 상기 연결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화된 고온 내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복수개이며,
    어느 하나의 상기 프레임과 이와 이웃하는 다른 프레임간의 이격을 방지하는 이격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화된 고온 내화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방지부는,
    상기 프레임이 상기 내벽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과 상기 내벽을 매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화된 고온 내화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연결부가 상기 연결영역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영역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상기 연결영역 내에서 위치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화된 고온 내화 시스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는,
    상기 길이 방향 및 상기 폭 방향으로의 크기가 상기 연결영역의 상기 길이 방향 및 상기 폭 방향으로의 크기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화된 고온 내화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길이 방향 또는 상기 폭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의 크기가 상기 연결영역의 상기 길이 방향 및 상기 폭 방향으로의 크기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화된 고온 내화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연결부는,
    상기 길이 방향 또는 상기 폭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의 크기가 상기 연결영역의 상기 길이 방향 및 상기 폭 방향으로의 크기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화된 고온 내화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단열연결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단열부와의 연결면적을 증가시키는 면적증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화된 고온 내화 시스템.
  12. 삭제
KR1020160024508A 2016-02-29 2016-02-29 모듈화된 고온 내화 시스템 KR1016738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4508A KR101673842B1 (ko) 2016-02-29 2016-02-29 모듈화된 고온 내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4508A KR101673842B1 (ko) 2016-02-29 2016-02-29 모듈화된 고온 내화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1635A Division KR20170101765A (ko) 2016-10-28 2016-10-28 모듈화된 고온 내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3842B1 true KR101673842B1 (ko) 2016-11-07

Family

ID=57529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4508A KR101673842B1 (ko) 2016-02-29 2016-02-29 모듈화된 고온 내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384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4703Y2 (ja) * 1993-05-17 1997-08-20 ニチアス株式会社 炉壁用耐熱繊維ブロックの支持金具
JP2000256715A (ja) * 1999-03-05 2000-09-19 Nkk Corp 炉の耐火物保持構造
KR20140028676A (ko) * 2012-08-30 2014-03-10 주식회사 리배산업 가열로의 예열대 천정용 단열 블록 및 가열로의 예열대 천정 조립체
KR101574777B1 (ko) * 2015-07-08 2015-12-04 동경중공업(주) 내화벽돌 라이너 유닛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4703Y2 (ja) * 1993-05-17 1997-08-20 ニチアス株式会社 炉壁用耐熱繊維ブロックの支持金具
JP2000256715A (ja) * 1999-03-05 2000-09-19 Nkk Corp 炉の耐火物保持構造
KR20140028676A (ko) * 2012-08-30 2014-03-10 주식회사 리배산업 가열로의 예열대 천정용 단열 블록 및 가열로의 예열대 천정 조립체
KR101574777B1 (ko) * 2015-07-08 2015-12-04 동경중공업(주) 내화벽돌 라이너 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73017B (zh) 散热装置
CN101673884A (zh) 电汇流通道法兰端插头
CN107210389B (zh) 用于封闭能量存储装置的设备
US9273464B2 (en) Structurally integrated accessible floor system
KR101673842B1 (ko) 모듈화된 고온 내화 시스템
KR20170101765A (ko) 모듈화된 고온 내화 시스템
KR20130128429A (ko) 전력 레지스터
KR101673843B1 (ko) 모듈화된 고온 내화 시스템 시공 방법
EP3038222A1 (de) Stromschienensystem mit stromschienen und gebäudeinstallation
US20150337985A1 (en) Fluid control apparatus
US11396746B2 (en) Beam coupler operating as a seismic brake, seismic energy dissipation device and seismic damage control device
US20160002920A1 (en) Compression transfer member
CA2525706A1 (en) Fluid control device with heater
JP4884928B2 (ja) バスダクト支持装置
US3459874A (en) Bus duct having angularly adjustable sections
WO2010135464A1 (en) Structurally integrated accessible floor system
KR101165444B1 (ko) 배관 작업이 용이한 온돌 바닥패널
EP1499835A1 (en) Modular radiating panel for interior air-conditioning
KR102201474B1 (ko) 지중 배전용 케이블 지지장치
KR20130142460A (ko) 냉매 가스를 사용하는 판형 열교환기
KR101190668B1 (ko) 배관 작업이 용이한 조립식 온돌 바닥패널
KR101489646B1 (ko) 클린룸 플로어 지지프레임의 고정장치
US3226472A (en) Adjustable riser duct floor support
CN212231860U (zh) 一种电台机箱
PH12019000373A1 (en) Ventilating and heat dissipating assembly for a ro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