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2975B1 - 알로스테릭 plk1-pbd 저해활성을 가지는 고리형 포스포펩티드 화합물 - Google Patents

알로스테릭 plk1-pbd 저해활성을 가지는 고리형 포스포펩티드 화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2975B1
KR101672975B1 KR1020140083248A KR20140083248A KR101672975B1 KR 101672975 B1 KR101672975 B1 KR 101672975B1 KR 1020140083248 A KR1020140083248 A KR 1020140083248A KR 20140083248 A KR20140083248 A KR 20140083248A KR 101672975 B1 KR101672975 B1 KR 1016729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methyl
tetraoxo
mmol
eth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3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4648A (ko
Inventor
심태보
함영진
윤호종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83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2975B1/ko
Publication of KR20160004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4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2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2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7/00Peptides having 5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7/50Cyclic peptides containing at least one abnormal peptide link
    • C07K7/54Cyclic peptides containing at least one abnormal peptide link with at least one abnormal peptide link in the ring
    • C07K7/56Cyclic peptides containing at least one abnormal peptide link with at least one abnormal peptide link in the ring the cyclisation not occurring through 2,4-diamino-butano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12Cyclic peptides, e.g. bacitracins; Polymyxins; Gramicidins S, C; Tyrocidins A, B or 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Immu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로스테릭 PLK1-PBD 저해활성을 갖는 신규 고리형 포스포펩티드 화합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은 PLK1-PBD 저해활성을 가지므로 항종양제로 유용하다.

Description

알로스테릭 PLK1-PBD 저해활성을 가지는 고리형 포스포펩티드 화합물 {CYCLIC PHOSPHOPEPTIDE COMPOUNDS AS ALLOSTERIC PLK1-PBD INHIBITOR}
본 발명은 알로스테릭 PLK1-PBD 저해활성을 갖는 신규 고리형 포스포펩티드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유사 폴로 키나아제 (Polo-Like Kinase, PLK)는 세린/쓰레오닌 단백질 키나아제로서 PLK1, PLK2(SNK), PLK3(FNK 또는 PRK), PLK4 (also known as SAK)의 4개로 하위 구성원으로 분류되고, 분자량은 약 66 kD 정도이다. PLK 중에서도 PLK1의 특성이 가장 잘 규명되어 있다. PLK1(Polo-like kinase 1)은 유사분열(mitosis)의 중심 단계를 조절하여 세포 증식을 증진시키는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PLK1 은 N-터미날 키나아제 도메인과 C-터미날 폴로 박스 도메인(PBD)으로 구성하며, 두 도메인을 연결하는 링커로서 폴로 박스 캡(Pc)이 존재한다. PLK1 은 각종 기질을 포스포릴화 함으로써 유사분열기(M phase) 도입, 중심체의 조절, 염색체의 분리 및 세포질분열의 각 단계에 참여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또한, PLK1 은 식도암, 췌장암, 폐암, 침윤성 직장암, 유방암, 전이성 전립선암, 난소암, 흑색종과 같은 다양한 암세포에서 과발현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며, PLK1의 과발현이 이러한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의 예후와 관련된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Oncogene, Vol. 14, 543, 1997; Cancer Research, Vol. 15, 2794, 1999] 이처럼 PLK1 은 표적 항종양제의 분자표적으로서 유용하며, 전임상 및 초기 임상단계에 대래서는 그 가치가 이미 확립되어 있다.
이에 PLK1 억제활성을 근거로 항종양제로서 유용한 화합물이 다수 공개되어 있다. 예를 들면, 국제특허공개 WO 2007-120752호에는 4,5-디히드로-[1,2,4]트리아졸로[4,3-F]프테리딘 화합물; 국제특허공개 WO 2006-082107호에는 티아졸리딘계 화합물; 국제특허공개 WO 2008-081910호에는 아미노피리미딘계 화합물; 국제특허공개 WO 2008/113711호는 피리미도디아제핀 화합물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신규 구조의 고리형 포스포펩티드 화합물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신규 화합물이 PLK1 에 대한 선택적 억제활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화합물을 부작용이 경감된 표적항종양제로 사용하는 용도 제공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고리형 포스포펩티드 화합물, 이의 수화물, 이의 용매화물, 이의 이성질체, 라세미체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4062969999-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수소원자; C1∼C6 알킬기; C1∼C6 알콕시기; C1∼C6 알킬아미노기; 또는
Figure 112014062969999-pat00002
를 나타내고,
R2
Figure 112014062969999-pat00003
를 나타내고,
A는 C1∼C6 알킬기; C1∼C6 알킬, C1∼C6 알콕시 및 C1∼C6 할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내지 3개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기; 또는 N, O 및 S로부터 선택된 헤테로원자가 1 내지 3개 포함된 5각형 내지 7각형의 포화헤테로고리기를 나타내고,
R3, R4, R5, 및 R6은 서로 같거나 다른 것으로서 수소원자; C1∼C6 알킬기; 또는 (C1∼C6 알킬싸이오)C1∼C6 알킬기를 나타내고,
R7은 C1∼C6 알킬기를 나타내고,
n은 0, 1 또는 2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고리형 포스포펩티드 화합물, 이의 수화물, 이의 용매화물, 이의 이성질체, 라세미체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이 활성성분으로 포함된 PLK1 저해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고리형 포스포펩티드 화합물, 이의 수화물, 이의 용매화물, 이의 이성질체, 라세미체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이 활성성분으로 포함된 항종양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PLK1 에 대한 특이적 저해활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부작용이 경감된 표적항종양제로 유용하다.
즉, 본 발명의 화합물은 식도암, 췌장암, 폐암, 침윤성 직장암, 유방암, 전이성 전립선암, 난소암, 흑색종과 같은 다양한 종양질환의 치료, 예방 및 경감에 유용하다.
도 1은 실시예 5의 화합물에 대한 PLK1-PBD 저해활성을 확인한 결과이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고리형 포스포펩티드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4062969999-pat00004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수소원자; C1∼C6 알킬기; C1∼C6 알콕시기; C1∼C6 알킬아미노기; 또는
Figure 112014062969999-pat00005
를 나타내고,
R2
Figure 112014062969999-pat00006
를 나타내고,
A는 C1∼C6 알킬기; C1∼C6 알킬, C1∼C6 알콕시 및 C1∼C6 할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내지 3개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기; 또는 N, O 및 S로부터 선택된 헤테로원자가 1 내지 3개 포함된 5각형 내지 7각형의 포화헤테로고리기를 나타내고,
R3, R4, R5, 및 R6은 서로 같거나 다른 것으로서 수소원자; C1∼C6 알킬기; 또는 (C1∼C6 알킬싸이오)C1∼C6 알킬기를 나타내고,
R7은 C1∼C6 알킬기를 나타내고,
n은 0, 1 또는 2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비대칭 중심을 가질 수 있고, 이러한 화합물의 경우 거울상 이성체 또는 부분입체이성체가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각 이성체 화합물, 이들 이성체의 혼합물 또는 라세미체 화합물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방사성 원소를 도입시킨 방사성 유도체를 포함하며, 이들 방사성 화합물은 영상화 기술을 통한 생체연구 분야에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염산, 브롬산, 술폰산, 아미도황산, 인산, 질산과 같은 무독성의 무기산, 또는 프로피온산, 숙신산, 글리콜산, 스테아르산, 젖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파라톨루엔설폰산, 메탄설폰산과 같은 무독성의 유기산과 함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이들의 산의 염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일부는 수성 및 유기 용매와 같은 용매로부터 결정화되거나 또는 재결정화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용매화물이 형성될 수 있다. 동결건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 가능한 다양한 양의 물 함유 화합물 이외에 수화물을 비롯한 화학 양론적 용매화물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정의하기 위해 사용된 치환기를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알킬기'는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가진 직쇄상, 분쇄상의 탄소사슬을 모두 포함하며, 선호하는 알킬기는 메틸, 에틸기, 노말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노말부틸기, 이소부틸기, tert-부틸기 등이 있다. '알콕시기'는 산소에 연결된 탄소의 알킬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때 알킬은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할로알킬기'는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아이오도와 같은 할로겐원자가 1 내지 13개 포함되고, 1 내지 6개의 탄소원자를 가진 직쇄상, 분쇄상의 탄소사슬을 모두 포함하며, 선호하는 할로알킬기는 플루오로메틸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 1,2-디클로로에틸기, 1,1-디클로로에틸기, 펜타플루오로에틸기 등이 있다. '포화헤테로고리기'는 N, O, S로 구성된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 및 탄소원자로 구성되는 싸이클로알킬기로서, 피페리디닐, 피페라지닐, 몰포리노, 피롤리디닐, 피라졸리디닐, 트리아졸리디닐 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고리형 포스포펩티드 화합물에 있어서,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R1은 C1∼C6 알콕시기; C1∼C6 알킬아미노기; 또는
Figure 112014062969999-pat00007
를 나타내고, 상기 R2
Figure 112014062969999-pat00008
를 나타내고, 상기 A는 C1∼C6 알킬기; C1∼C6 알콕시 및 C1∼C6 할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내지 3개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기; 또는 피롤리디닐, 피라졸리디닐 및 트리아졸리디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포화헤테로고리기를 나타내고, 상기 R3, R4, R5, 및 R6은 서로 같거나 다른 것으로서 수소원자; C1∼C6 알킬기; 또는 (C1∼C6 알킬싸이오)C1∼C6 알킬기를 나타내고, 상기 R7은 C1∼C6 알킬기를 나타내고, 상기 n은 0, 1 또는 2를 나타내는 화합물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고리형 포스포펩티드 화합물에 있어서,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R1은 메톡시기, 에톡시기, 노말프로폭시기, 이소프로폭시기, 노말부톡시기, 이소부톡시기, 메틸아미노기, 에틸아미노기, 노말프로필아미노기, 이소프로필아미노기, 또는 -NH-CH(이소부틸)-C(O)OCH3를 나타내고, 상기 R2
Figure 112014062969999-pat00009
를 나타내고, 상기 A는 메틸기, 에틸기, 노말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노말부틸기, 이소부틸기, 3-메톡시페닐기, 4-메톡시페닐기, 3,5-다이메톡시페닐기, 3,5-다이(이소부톡시)페닐기, 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기, 또는 피롤리딘-2-일기를 나타내고, 상기 R3 및 R4는 서로 같거나 다른 것으로서 수소원자, 메틸기, 에틸기, 노말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노말부틸기, 이소부틸기, 메틸싸이오메틸기, 또는 메틸싸이오에틸기를 나타내고, 상기 n은 0, 1 또는 2를 나타내는 나타내는 화합물이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고리형 포스포펩티드 화합물을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
메틸 (3S, 6S, 9S, 17R, 19S)-9-아세트아미도-6-(하이드록시메틸)-2,5,8,12-테트라옥소-3-((R)-1-(포스포녹시)에틸)-16-옥사-1,4,7,13-테트라아자바이사이클로[15.2.1]이코산-19-카복실레이트;
메틸 (3S, 6S, 9S, 17R, 19S)-6-(하이드록시메틸)-9-((S)-4-(메틸싸이오)-2-((S)-피롤리딘-2-카복스아미도)부탄아미도)-2,5,8,12-테트라옥소-3-( (R)-1-(포스포녹시)에틸)-16-옥사-1,4,7,13-테트라아자바이시클로[15.2.1]이코산-19-카복실레이트;
메틸 ((3S, 6S, 9S, 17R, 19S)-6-(하이드록시메틸)-9-((S)-4-(메틸싸이오)-2-((S)-피롤리딘-2-카복스아미도)부탄아미도)-2,5,8,12-테트라옥소-3-( (R)-1-(포스포녹시)에틸)-16-옥사-1,4,7,13-테트라아자바이시클로[15.2.1]이코산-19-카보닐)-L-로이시네이트;
메틸 ((3S, 6S, 9S, 17R, 19S)-9-((S)-2-((S)-2-아세트아미도-4-메틸펜탄아미도)-4-메틸펜탄아미도)-6-(하이드록시메틸)-2,5,8,12-테트라옥소-3-((R)-1-(포스포녹시)에틸)-16-옥사-1,4,7,13-테트라아자바이시클로[15.2.1]이코산-19-카보닐)-L-로이시네이트;
메틸 ((3S, 6S, 9S, 17R, 19S)-6-(하이드록시메틸)-2,5,8,12-테트라옥소-3-((R)-1-(포스포녹시)에틸)-9-(3-(트리플루오로메틸)벤자미도)-16-옥사-1,4,7,13-테트라아자바이시클로[15.2.1]이코산-19-카보닐)-L-로이시네이트;
메틸 ((3S, 6S, 9S, 17R, 19S)-9-(3,5-다이이소부톡시벤자미도)-6-(하이드록시메틸)-2,5,8,12-테트라옥소-3-((R)-1-(포스포녹시)에틸)-16-옥사-1,4,7,13-테트라아자바이시클로[15.2.1]이코산-카보닐)-L-로이시네이트; 또는
메틸 (3S, 6S, 9S, 17R, 19S)-9-(3,5-다이이소부톡시벤자미도)-6-(하이드록시메틸)-2,5,8,12-테트라옥소-3-((R)-1-(포스포녹시)에틸)-16-옥사-1,4,7,13-테트라아자바이시클로[15.2.1]이코산-19-카복실레이트.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고리형 포스포펩티드 화합물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알려진 유기합성 경로를 통해 합성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제조방법에 특별한 제한을 두고 있지 않으며,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합성하기 위한 몇 가지 경로를 제시하면 하기 반응식 1 내지 8과 같다.
[반응식 1]
Figure 112014062969999-pat00010
[반응식 2]
Figure 112014062969999-pat00011
[반응식 3]
Figure 112014062969999-pat00012
[반응식 4]
Figure 112014062969999-pat00013
[반응식 5]
Figure 112014062969999-pat00014
[반응식 6]
Figure 112014062969999-pat00015
[반응식 7]
Figure 112014062969999-pat00016
[반응식 8]
Figure 112014062969999-pat00017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서 사용되는 반응 용매는 당 분야에서 사용되어 온 통상의 유기용매는 모두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디클로로메탄, 디클로로에탄 등의 할로겐화탄화수소류, 에틸 아세테이트 (EtOAc) 등의 아세테이트류, 아세토니트릴 등의 니트릴류, 메탄올, 에탄올 등의 알콜류; 헥산, 톨루엔 등의 탄화수소류, 테트라하이드로퓨란 (THF), 디에틸 에테르, 이소프로필 에테르 등의 에테르류, 디메틸포름아미드 (DMF) 등의 아미드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고리형 포스포펩티드 화합물, 이의 수화물, 이의 용매화물, 이의 이성질체, 라세미체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PLK1에 대한 선택적 억제활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표적항종양제의 활성성분으로서 유효하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고리형 포스포펩티드 화합물, 이의 수화물, 이의 용매화물, 이의 이성질체, 라세미체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여기에 통상의 부형제, 담체를 포함시킨 종양의 치료, 예방 또는 경감용 약학 조성물을 권리범위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에 의해 치료, 예방 또는 경감될 수 있는 종양은 식도암, 췌장암, 폐암, 침윤성 직장암, 유방암, 전이성 전립선암, 난소암, 흑색종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고리형 포스포펩티드 화합물, 이의 수화물, 이의 용매화물, 이의 이성질체, 라세미체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에 통상의 무독성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보강제 및 부형제 등을 첨가하여 약학적 분야에서 통상적인 제제 예를 들면 정제, 캅셀제, 트로키제, 액제, 현탁제 등의 경구투여용 제형 또는 비경구투여용 제형으로 제제화할 수 있다.
상기 경구 투여용 제형으로는 예를 들면 정제, 환제, 경/연질 캅셀제, 액제, 현탁제, 유화제, 시럽제, 과립제, 엘릭시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들 제형은 유효성분 이외에 희석제(예: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만니톨, 솔비톨, 셀룰로즈 및/ 또는 글리신), 활택제(예: 실리카, 탈크, 스테아르산 및 그의 마그네슘 또는 칼슘염 및/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를 함유하고 있다. 상기 정제는 또한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전분 페이스트, 젤라틴, 메틸셀룰로즈, 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즈 및/또는 폴리비닐피롤리딘과 같은 결합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전분, 한천, 알긴산 또는 그의 나트륨 염과 같은 붕해제 또는 비등 혼합물 및/또는 흡수제, 착색제, 향미제, 및 감미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비경구 투여용 제형으로는 예를 들면 피하주사, 정맥주사, 근육 내 주사 또는 흉부 내 주사를 주입하는 방법에 의한다. 이때, 비경구 투여용 제형으로 제제화하기 위하여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안정제 또는 완충제와 함께 물에 혼합하여 용액 또는 현탁액으로 제조하고, 이를 앰플 또는 바이알 단위 투여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멸균할 수 있고, 또는 방부제, 안정화제, 수화제 또는 유화 촉진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및/또는 완충제 등의 보조제, 및 기타 치료적으로 유용한 물질을 함유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인 혼합, 과립화 또는 코팅 방법에 따라 제제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인체에 대한 투여용량은 환자의 나이, 몸무게, 성별, 투여형태, 건강상태 및 질환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몸무게가 70 ㎏인 성인 환자를 기준으로 할 때, 일반적으로 0.01 ∼ 1,000 ㎎/일이며, 바람직하게는 1 ∼ 500 ㎎/일이며, 의사 또는 약사의 판단에 따라 일정시간 간격으로 1일 1회 내지 수회로 분할 투여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메틸 (3S, 6S, 9S, 17R, 19S)-9-아세트아미도-6-(하이드록시메틸)-2,5,8,12-테트라옥소-3-((R)-1-(포스포녹시)에틸)-16-옥사-1,4,7,13-테트라아자바이사이클로[15.2.1]이코산-19-카복실레이트
하기와 같이 12단계의 합성과정을 통해 실시예 1의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계 1: (2S, 4R)-1-tert-부틸 2-메틸 4-(알릴록시)피롤리딘-1,2-디카복실레이트
Figure 112014062969999-pat00018
N-Boc-트랜스-4-하이드록시-L-프롤린 메틸 에스테르 (2.38 g, 9.70 mmol)를 DMF (40 mL)에 녹인 용액에, 0 ℃에서 NaH (582 mg, 60% in mineral oil, 14.5 mmol)를 가하였다. 20분 후, 알릴 브로마이드 (1.68 mL, 19.4 mmol)를 첨가하고 상온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한 후 농축하였다. 잔사에 에틸아세테이트와 물을 가한 후, 수층을 여러 번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소금물로 씻어준 후,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하고 여과 및 농축하였다.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겔, EtOAc : Hexane = 2:1)하여 무색 오일의 표제화합물 (1.80 g, 6.31 mmol, 수율 65%)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5.88(m, 1H), 5.28(d, 1H), 5.19(d, 1H), 4.34(t, 1H), 4.13-3.92(m, 2H), 3.97(m, 1H), 3.73(s, 3H), 3.74-3.60(m, 2H), 2.33-2.05(m, 2H), 1.41(s, 9H).
단계 2: (2S, 4R)-1-tert-부틸 2-메틸 4-(하이드록시에톡시)피롤리딘-1,2-디카복실레이트
Figure 112014062969999-pat00019
(2S, 4R)-1-tert-부틸 2-메틸 4-(알릴록시)피롤리딘-1,2-디카복실레이트(1.80 g, 6.31 mmol)와 N-메틸몰폴린-N-옥시드 (NMO; 813 mg, 6.94 mmol)에 THF/물 (28 mL, 3:1)을 가한 후, 2.5 중량% 사산화 오스뮴/tert-부탄올 용액 (3.26 mL, 0.252 mmol)을 상온에서 가하였다. 2시간 30분 후, 아황산나트륨 포화용액 (10 mL)을 가하였다. 반응액을 농축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를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추출된 유기층을 소금물로 씻어준 후,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하고 여과 및 농축하여 무색의 디올 화합물을 얻었다. 상기에서 얻은 디올 화합물에 THF/물 (2:1, 30 mL)를 가한 후, 소듐 페리오데이트 (2.70 g, 12.62 mmol)를 0 ℃에서 가하였다.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를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추출된 유기층을 소금물로 씻어준 후,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하고 여과 및 농축하여 무색의 알데하이드 화합물을 얻었다. 상기에서 얻은 알데하이드 화합물을 메탄올 (40 mL)에 녹인 후, 소듐 보로하이드라이드 (408 mg, 10.78 mmol)를 0 ℃에서 가하였다. 30분 후, 반응물에 물을 가하여 반응을 종결시킨 후 농축시켰다. 얻어진 잔사에 에틸아세테이트와 물을 가한 뒤 여러 번 추출하였다. 추출된 유기층을 소금물로 씻어준 후,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하고 여과 및 농축하여 무색 오일의 표제화합물 (1.40 g, 4.84 mmol, 3단계 총수율 77%)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4.32(t, 1H), 4.11(m, 1H), 3.73(s, 3H), 3.62(m, 2H), 3.58(m, 2H), 3.49(m, 2H), 2.40-2.24(m, 1H), 2.09-2.04(m, 1H), 1.41(s, 9H).
단계 3: (2S, 4R)-1-tert-부틸 2-메틸 4-(2-아지도에톡시)피롤리딘-1,2-디카복실레이트
Figure 112014062969999-pat00020
(2S,4R)-1-tert-부틸 2-메틸 4-(2-하이드록시에톡시)피롤리딘-1,2-다이카복실레이트 (1.40 g, 4.84 mmol)와 트리에틸아민 (TEA; 6.70 mL, 48.4 mmol)를 디클로로메탄 (30 mL)에 녹인 후, 0 ℃에서 메탄설포닐 클로라이드 (1.88 mL, 24.2 mmol)를 가하였다. 1 시간 후, 물을 가하여 반응을 종결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소금물로 씻어주고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한 후 농축하여 무색 오일의 메실레이트 화합물을 얻었다. 상기에서 얻은 메실레이트 화합물에 DMF (20 mL)를 가한 후, 소듐 아자이드 (1.89 g, 29.04 mmol)를 가하고 85 ℃에서 2시간 30 분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농축한 후 에틸아세테이트 (200 mL)를 가하였다. 수차례 물을 가하여 씻어준 후 (50 mL each, 5 times) 마그네슘 설페이트를 이용하여 건조하고 농축하였다.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겔, EtOAc : Hexane = 1 : 1) 하여 무색 오일의 표제화합물 (1.29 g, 4.10 mmol, 2단계 총수율 85%)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4.34(t, 1H), 4.12(m, 1H), 3.73(s, 3H), 3.66(m, 2H), 3.60(m, 2H), 3.35(m, 2H), 2.43-2.28(m, 1H), 2.11-2.02(m, 1H), 1.40(s, 9H).
단계 4: (2S, 4R)-1-tert-부틸 2-메틸 4-(2-아미노에톡시)피롤리딘-1,2-디카복실레이트
Figure 112014062969999-pat00021
(2S,4R)-1-tert-부틸 2-메틸 4-(2-아지도에톡시)피롤리딘-1,2-다이카복실레이트 (2.04 g, 7.64 mmol)를 THF/물 (31 mL, 20:1)에 녹인 후, 트리페닐포스핀 (4.0 g, 15.3 mmol)를 가하였다. 50 ℃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반응물을 에틸아세테이트를 이용하여 추출하고 소금물로 씻어준 후 마그네슘 설페이트를 이용하여 건조한 후 농축하였다.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겔, 디클로로메탄 : MeOH = 10 : 1)하여 무색 오일의 표제화합물 (1.95 g, 6.76 mmol, 수율 88%)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4.32(t, 1H), 4.09(m, 1H), 3.72(s, 3H), 3.64-3.44(m, 2H), 3.46(m, 2H), 2.85(m, 2H), 2.38-2.29(m, 1H), 2.09-2.02(m, 1H), 1.41(s, 9H, rotamer); 13C NMR (125 MHz, CD3OD, rotamer) δ 174.3, 154.5, 80.3, 77.1, 69.2, 58.2 51.6, 48.7, 40.9, 36.0, 27.3.
단계 5: (2S, 3R)-알릴 2-(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3-하이드록시부타노에이트
Figure 112014062969999-pat00022
Boc-L-쓰레오닌 (4.0 g, 18.2 mmol)과 다이이소프로필에틸아민 (DIPEA; 3.17 mL, 18.2 mmol)를 DMF (40 mL)에 녹인 후, 알릴 브로마이드 (2.20 g, 18.2 mmol)를 가하였다. 상온에서 15시간 교반 후, DMF를 증발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를 가하였다. 유기층을 물로 여러 번 씻어준 후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한 후 농축하였고, 얻어진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겔, EtOAc:Hexane=1:1)를 통해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2.84 g, 11.0 mmol, 수율 60%)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3OD) δ 5.79(m, 1H), 5.38(d, 1H), 5.23(d, 1H), 4.66(d, 2H), 4.26(m, 1H), 4.14(d, 1H), 1.46(s, 9H), 1.20(d, 3H).
단계 6: (2S, 3R)-알릴 2-((S)-3-(벤질옥시)-2-(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프로판아미도)-3-하이드록시부타노에이트
Figure 112014062969999-pat00023
4 N HCl/다이옥산 용액 (2.5 mL)을 (2S, 3R)-알릴 2-(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3-하이드록시부타노에이트 (555 mg, 2.14 mmol)에 가하였다. 상온에서 30분간 교반 후 농축하였고, 얻어진 잔사를 이소프로필에테르/헥산을 이용하여 고체화하여 백색의 고체 화합물을 얻었다. 상기에서 얻은 백색의 고체 화합물을 THF (10 mL)에 녹인 후 DIPEA (1.12 mL, 6.42 mmol)와 Boc-Ser(Bn)-OSu ((S)-2,5-다이옥소피롤리딘-1-일 3-(벤질옥시)-2-(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프로파노에이트, 840 mg, 2.14 mmol)를 가하고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1시간 후, 물을 가하여 반응을 종결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소금물로 씻어준 후 마그네슘 설페이트를 가하여 건조하고 농축하였다. 얻은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겔, EtOAc:Hexane=1:1) 하여 표제화합물 (940 mg, 2.11 mmol, 98% yield)을 얻었다.
HPLC Retention time (condition A): 3.66min; 1H NMR (400 MHz, CD3OD) δ 7.37-7.27(m, 5H), 5.98-5.89(m, 1H), 5.34(d, 1H), 5.21(d, 1H), 4.64(m, 2H), 4.55(d, 2H), 4.51(d, 1H), 4.38(m, 1H), 4.31(m, 1H), 3.73(dd, 2H), 1.46(s, 9H), 1.60(d, 3H); 13C NMR (125 MHz, CD3OD δ 172.0, 170.1, 156.5, 138.0, 132.1, 128.2, 127.7, 127.5, 117.4, 79.8, 73.1, 69.8, 67.4, 65.7, 58.0, 54.9, 27.7, 19.1; LRMS [M+1] 437.62(found), 437.22(calc.).
단계 7: (5S, 8S, 11S)-알릴 8-(벤질옥시메틸)-5-(3-tert-부톡시-3-옥소프로필)-1-(9H-플루오렌-9-일)-11-((R)-1-하이드록시에틸)-3,6,9-트리옥소-2-옥사-4,7,10-트리아자도데칸-12-오에이트
Figure 112014062969999-pat00024
(2S, 3R)-알릴 2-((S)-3-(벤질옥시)-2-(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프로판아미도)-3-하이드록시부타노에이트 (3.00 g, 6.87 mmol)에 4 N HCl/다이옥산 용액 (10 mL)을 가하였다. 상온에서 30분간 교반한 후 농축하였다. 이소프로필에테르/헥산을 이용하여 고체화한 후 농축하여 (2S,3R)-알릴 2-((S)-2-아미노-3-(벤질옥시)프로판아미도)-3-하이드록시부타노에이트 염화수소를 백색 고체로 얻었다. [HPLC Retention time: 2.17 min, [M+1] 337.56(found), 337.17(calc.)] 상기에서 얻은 백색 고체 화합물과 DIPEA(3.57 mL, 20.52 mmol)를 THF (30 mL)에 녹인 다음, Fmoc-Glu(t-Bu)-OSu ((S)-5-tert-부틸 1-(2,5-다이옥소피롤리딘-1-일) 2-(((9H-플루오렌-9-일)메톡시)카보닐아미노)펜탄다이오에이트, 3.57 g, 6.84 mmol)를 상온에서 가하였다.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물을 넣어서 반응을 종결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를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유기층은 소금물을 이용하여 씻어준 후, 마그네슘 설페이트를 이용하여 건조하고 농축하였다. 잔사를 아세톤/이소프로필에테르에서 결정화하여 표제화합물 (4.64 g, 6.24 mmol, 수율 91%)을 얻었다.
HPLC Retention time (condition A): 4.67min; 1H NMR (400 MHz, CD3OD) δ 7.78(d, 2H), 7.64(t, 2H), 7.38(t, 2H), 7.31-7.21(m, 7H), 5.98-5.89(m, 1H), 5.34(d, 1H), 5.21(d, 1H), 4.69(t, 1H), 4.62(d, 2H), 4.52(d, 2H), 4.51(m, 1H), 4.35(t, 2H), 4.31(m, 1H), 4.20(m, 2H), 3.73(m, 2H), 2.34(t, 2H), 2.18-1.86(m, 2H), 1.44(s, 9H), 1.12(d, 3H); 13C NMR (125 MHz, CD3OD) δ 173.0, 172.8, 171.1, 170.2, 157.3, 144.1, 143.9, 141.4, 137.9, 132.1, 128.1, 127.7, 127.7, 127.5, 127.0, 125.1, 119.7, 117.4, 80.6, 73.1, 69.5, 68.9, 67.3, 66.9, 65.7, 62.7, 58.2, 54.4, 53.4, 47.2, 33.5, 31.4, 27.2, 25.5, 21.9, 19.2; LRMS [M+1] 744.86(found), 744.34(calc.)
단계 8: (2S, 4R)-1-tert-부틸 2-메틸 4-((7S, 10S, 13S)-7-(((9H-플루오렌-9-일)메톡시)카보닐아미노)-10-(벤질옥시메틸)-13-((R)-1-하이드록시에틸)-4,8,11,14-테트라옥소-15-옥사-3,9,12-트리아자옥타덱-17-에닐록시)피롤리딘-1,2-디카복실레이트
Figure 112014062969999-pat00025
(5S, 8S, 11S)-알릴 8-(벤질옥시메틸)-5-(3-tert-부톡시-3-옥소프로필)-1-(9H-플루오렌-9-일)-11-((R)-1-하이드록시에틸)-3,6,9-트리옥소-2-옥사-4,7,10-트리아자도데칸-12-오에이트 (1.57 g, 2.11 mmol)에, 20% 트리플루오로아세틱 에시드/디클로로메탄 용액(15 mL)을 가하였다.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농축하였다. 잔사를 톨루엔/헥산으로 다시 한번 농축시켜 (S)-4-(((9H-플루오렌-9-일)메톡시)카보닐아미노)-5-((S)-1-((2S,3R)-1-(알릴옥시)-3-하이드록시-1-옥소부탄-2-일아미노)-3-(벤질옥시)-1-옥소프로판-2-일아미노)-5-옥소펜타노익 에시드 (1.41 g, 2.05 mmol)을 얻었다. [HPLC Retention time (condition A): 3.90 min, [M+1] 688.75(found), 688.28(calc.)] 상기에서 얻은 (S)-4-(((9H-플루오렌-9-일)메톡시)카보닐아미노)-5-((S)-1-((2S,3R)-1-(알릴옥시)-3-하이드록시-1-옥소부탄-2-일아미노)-3-(벤질옥시)-1-옥소프로판-2-일아미노)-5-옥소펜타노익 에시드 (1.41 g, 2.05 mmol)를 THF (15 mL)에 녹인 후 DIPEA (0.71 mL, 4.10 mmol)와 (2S,4R)-1-tert-부틸 2-메틸 4-(2-아미노에톡시)피롤리딘-1,2-다이카복실레이트 (591 mg, 2.05 mmol), 1-[비스(다이메틸아미노)메틸렌]-1H-1,2,3-트리아졸로[4,5-b]피리디늄 3-옥사이드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HATU; 1.56 g, 4.10 mmol)를 상온에서 가하였다.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물을 가하여 반응을 종결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소금물을 이용하여 씻어주고 마그네슘 설페이트를 이용하여 건조 후 농축하였다.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겔, 디클로로메탄 : MeOH = 10:1)를 통해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1.95 g, 2.04 mmol, 수율 99%)을 얻었다.
HPLC Retention time (condition A): 4.30 min; 1H NMR (400 MHz, CD3OD) δ 7.80(d, J=7.5 Hz, 2H; Fmoc-CH), 7.67(t, J=7.5 Hz, 2H; Fmoc-CH), 7.39(t, J=7.5 Hz, 2H; Fmoc-CH), 7.33-7.21(m, 7H; 벤질 and Fmoc-CH), 5.98-5.88(m, 1H; 알릴-CH-), 5.33(dd, J=17.2, 1.3 Hz, 1H; 알릴-CH), 5.21(d, J=10.5 Hz, 1H; 알릴-CH'), 4.69(m, 1H; Ser-Ca-H), 4.63(d, J=5.5 Hz, 2H; 알릴-CH2-), 4.54(d, J=4.5 Hz, 2H; 벤질-CH2-), 4.51(m, 1H; Thr-Ca-H), 4.37-4.28(m, 5H; Fmoc-CH2-O, Glu-Ca-H, Thr-Ca-H, Pro-Cd-H), 4.23-4.18(m, 2H; Thr-Cb-H, Fmoc-CH-), 4.10(m, 1H; Pro-Cc-H), 3.80(m, 2H; Ser-Cb-H,H'), 3.69(s, 3H; OMe), 3.50-3.35(m, 5H; X-Cb-H,H', X-Ca-H,H', Pro-Cd-H'), 2.37-2.25(m, 3H; Glu-Cc-H,H', Pro-Cb-H), 2.11-1.95(m, 3H; Pro-Cb-H', Glu-Cb-H,H'), 1.45-1.38(4s, 9H; Boc,rotamer), 1.17(d, J=6.2 Hz, 3H; Thr-Cc-H); LRMS [M+1] 958.90(found), 958.44(calc.).
단계 9: (3S,6S,9S,17R,19S)-메틸 9-(((9H-플루오렌-9-일)메톡시)카보닐아미노)-6-(벤질옥시메틸)-3-((R)-1-하이드록시에틸)-2,5,8,12-테트라옥소-16-옥사-1,4,7,13-테트라아자-바이시클로[15.2.1]이코산-19-카복실레이트
Figure 112014062969999-pat00026
(5S,8S,11S)-알릴 8-(벤질옥시메틸)-5-(3-tert-부톡시-3-옥소프로필)-1-(9H-플루오렌-9-일)-11-((R)-1-하이드록시에틸)-3,6,9-트리옥소-2-옥사-4,7,10-트리아자도데칸-12-오에이트 (1.57 g, 2.11 mmol)에, 20% 트리플루오로아세틱 에시드/디클로로메탄 용액 (15 mL)을 가하였다.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농축하였다. 잔사를 톨루엔/헥산으로 다시 한번 농축시켜 (S)-4-(((9H-플루오렌-9-일)메톡시)카보닐아미노)-5-((S)-1-((2S,3R)-1-(알릴옥시)-3-하이드록시-1-옥소부탄-2-일아미노)-3-(벤질옥시)-1-옥소프로판-2-일아미노)-5-옥소펜타노익 에시드 (1.41 g, 2.05 mmol)을 얻었다. [HPLC Retention time (condition A): 3.90 min, [M+1] 688.75(found), 688.28(calc.)] 얻어진 (S)-4-(((9H-플루오렌-9-일)메톡시)카보닐아미노)-5-((S)-1-((2S,3R)-1-(알릴옥시)-3-하이드록시-1-옥소부탄-2-일아미노)-3-(벤질옥시)-1-옥소프로판-2-일아미노)-5-옥소펜타노익 에시드 (1.41 g, 2.05 mmol)를 THF (15 mL)에 녹인 후 DIPEA (0.71 mL, 4.10 mmol)와 (2S,4R)-1-tert-부틸 2-메틸 4-(2-아미노에톡시)피롤리딘-1,2-다이카복실레이트 (591 mg, 2.05 mmol), HATU (1.56 g, 4.10 mmol)를 상온에서 가하였다.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물을 가하여 반응을 종결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소금물을 이용하여 씻어주고 마그네슘 설페이트를 이용하여 건조 후 농축하였다.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겔, 디클로로메탄 : MeOH = 10:1)를 통해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1.95 g, 2.04 mmol, 수율 99%)을 얻었다.
HPLC Retention time (condition A): 4.30 min; 1H NMR (400 MHz, CD3OD) δ 7.80(d, J=7.5 Hz, 2H; Fmoc-CH), 7.67(t, J=7.5 Hz, 2H; Fmoc-CH), 7.39(t, J=7.5 Hz, 2H; Fmoc-CH), 7.33-7.21(m, 7H; 벤질 and Fmoc-CH), 5.98-5.88(m, 1H; 알릴-CH-), 5.33(dd, J=17.2, 1.3 Hz, 1H; 알릴-CH), 5.21(d, J=10.5 Hz, 1H; 알릴-CH'), 4.69(m, 1H; Ser-Ca-H), 4.63(d, J=5.5 Hz, 2H; 알릴-CH2-), 4.54(d, J=4.5 Hz, 2H; 벤질-CH2-), 4.51(m, 1H; Thr-Ca-H), 4.37-4.28(m, 5H; Fmoc-CH2-O, Glu-Ca-H, Thr-Ca-H, Pro-Cd-H), 4.23-4.18(m, 2H; Thr-Cb-H, Fmoc-CH-), 4.10(m, 1H; Pro-Cc-H), 3.80(m, 2H; Ser-Cb-H,H'), 3.69(s, 3H; OMe), 3.50-3.35(m, 5H; X-Cb-H,H', X-Ca-H,H', Pro-Cd-H'), 2.37-2.25(m, 3H; Glu-Cc-H,H', Pro-Cb-H), 2.11-1.95(m, 3H; Pro-Cb-H', Glu-Cb-H,H'), 1.45-1.38(4s, 9H; Boc,rotamer), 1.17(d, J=6.2 Hz, 3H; Thr-Cc-H); LRMS [M+1] 958.90(found), 958.44(calc.).
단계 10: (3S,6S,9S,17R,19S)-메틸 9-(((9H-플루오렌-9-일)메톡시)카보닐아미노)-6-(벤질옥시메틸)-3-((R)-1-(비스(벤질옥시)포스포릴록시)에틸)-2,5,8,12-테트라옥소-16-옥사-1,4,7,13-테트라아자-바이시클로[15.2.1]이코산-19-카복실레이트
Figure 112014062969999-pat00027
(3S,6S,9S,17R,19S)-메틸 9-(((9H-플루오렌-9-일)메톡시)카보닐아미노)-6-(벤질옥시메틸)-3-((R)-1-하이드록시에틸)-2,5,8,12-테트라옥소-16-옥사-1,4,7,13-테트라아자-바이사이클로[15.2.1]이코산-19-카복실레이트 (200 mg, 0.25 mmol)와 1H-테트라졸 (53 mg, 0.75 mmol)을 디클로로메탄 (3 mL)에 녹인 다음, 다이벤질 N,N-다이이소프로필포스포아미다이트 (90% tech. grade, 259 mg, 0.75 mmol)를 가하였다.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물을 가하여 반응을 종결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소금물로 씻어준 후 마그네슘 설페이트를 가하여 건조하고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에 디클로로메탄 (3 mL)을 가하고 0 ℃로 냉각한 후 m-클로로퍼벤조익 에시드 (129 mg, 0.75 mmol)를 가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을 가하여 반응을 종결시킨 후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소금물로 씻어준 후 마그네슘 설페이트를 가하여 건조하고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겔, EtOAc:Hexane:MeOH = 8:1:1→16:8:1)를 이용해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87 mg, 0.082 mmol, 2단계 총수율 33%)을 얻었다.
HPLC Retention time (condition A): 4.51 min, LRMS [M+1] 1061.08(found), 1060.40(calc.)
단계 11: (3S,6S,9S,17R,19S)-메틸 9-아세트아미도-6-(벤질옥시메틸)-3-((R)-1-(비스(벤질옥시)포스포릴록시)에틸)-2,5,8,12-테트라옥소-16-옥사-1,4,7,13-테트라아자-바이시클로[15.2.1]이코산-19-카복실레이트
Figure 112014062969999-pat00028
(3S,6S,9S,17R,19S)-메틸 9-(((9H-플루오렌-9-일)메톡시)카보닐아미노)-6-(벤질옥시메틸)-3-((R)-1-(비스(벤질옥시)포스포릴옥시)에틸)-2,5,8,12-테트라옥소-16-옥사-1,4,7,13-테트라아자-바이사이클로[15.2.1]이코산-19-카복실레이트 (87 mg, 0.082 mmol)에 1% 피페리딘/THF 용액 (0.7 mL)을 가한 후 상온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농축하고 톨루엔을 이용하여 재농축하여 (3S,6S,9S,17R,19S)-메틸 9-아미노-6-(벤질옥시메틸)-3-((R)-1-(비스(벤질옥시)포스포릴옥시)에틸)-2,5,8,12-테트라옥소-16-옥사-1,4,7,13-테트라아자-바이사이클로[15.2.1]이코산-19-카복실레이트를 얻었다. [HPLC Retention time (condition A): 2.94 min, LRMS [M+1] 838.99(found), 838.34(calc.)] 별도의 정제 없이 다음 반응에 이용하였다. 상기에서 얻은 (3S,6S,9S,17R,19S)-메틸 9-아미노-6-(벤질옥시메틸)-3-((R)-1-(비스(벤질옥시)포스포릴옥시)에틸)-2,5,8,12-테트라옥소-16-옥사-1,4,7,13-테트라아자-바이사이클로[15.2.1]이코산-19-카복실레이트를 디클로로메탄/물 용액 (0.65 mL, 10:3)에 녹인 후, 상온에서 소듐 카보네이트 (9.6 mg, 0.902 mmol)를 가하였다. 반응물에 아세틸 클로라이드 (9.7 mg, 0.123 mmol)를 가한 후 35 ℃로 가온하였다.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디클로로메탄과 물을 가한 후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소금물로 씻어준 후 마그네슘 설페이트를 이용하여 건조, 농축하였다.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겔, EtOAc:Hexane:MeOH = 8:1:1)응 이용해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35 mg, 0.040 mmol, 2단계 총수율 49%)을 얻었다.
HPLC Retention time (condition A): 3.45 min, LRMS [M+1] 880.72(found), 880.35(calc.)
단계 12: (3S,6S,9S,17R,19S)-메틸 9-아세트아미도-6-(하이드록시메틸)-2,5,8,12-테트라옥소-3-((R)-1-(포스포녹시)에틸)-16-옥사-1,4,7,13-테트라아자-바이시클로[15.2.1]이코산-19-카복실레이트 (실시예 1 화합물)
Figure 112014062969999-pat00029
(3S,6S,9S,17R,19S)-메틸 9-아세트아미도-6-(벤질옥시메틸)-3-((R)-1-(비스(벤질옥시)포스포릴옥시)에틸)-2,5,8,12-테트라옥소-16-옥사-1,4,7,13-테트라아자-바이사이클로[15.2.1]이코산-19-카복실레이트 (35 mg, 0.040 mmol)을 에탄올/물 용액(1.5 mL, 2:1)에 녹인 후, Pd/C (10 중량%, 7 mg)을 가하였다. 혼합물을 수소가스 (1 atm)하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한 후, Pd/C (40 mg)을 더 가하고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셀라이트 패드를 통해 여과한 후 에탄올/물 (2/1) 용액으로 여러 번 씻어준 후 농축하고, 얻어진 잔사를 preparatory HPLC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14.7 mg, 0.024 mmol, 60% yield)을 얻었다.
HPLC Retention time (condition A): 1.56 min; 1H NMR (900 MHz, DMSO-d6) δ 9.20(br, 1H; Thr-NH), 8.18(d, J=7.2 Hz, 1H; Ser-NH), 7.91(d, J=8.1 Hz, 1H; Glu-NH), 7.05(m, 1H; X-NH), 4.35(m, 1H; Glu-Ca-H), 4.32(m, 1H; Ser-Ca-H), 4.24(m,3H; Pro-Ca-H, Thr-Ca-H, Thr-Cb-H), 4.19(d, J=10.8 Hz, 1H; Pro-Cd-H'), 4.09(m, 1H; Pro-Cc-H), 3.70(m, 1H; Ser-Cb-H'), 3.60(s, 3H; -OMe), 3.55(m, 2H; X-Cb-H', Ser-Cb-H), 3.43(m, 1H; X-Ca-H'), 3.40(t, J=7.2 Hz, 1H; X-Cb-H), 2.57(m, 1H; Glu-Cc-H'), 2.97(t, J=11.7 Hz, 1H; X-Ca-H), 2.24(m, 1H; Pro-Cb-H'), 2.01(m, 1H; Glu-Cc-H), 1.93(m, 1H; Pro-Cb-H), 1.87(m, 1H; Glu-Cb-H'), 1.82(s, 3H; -COMe), 1.62(m, 1H; Glu-Cb-H), 1.26(m, 3H; Thr-Cc-H); 13C NMR (125 MHz, CD3OD)δ 174.3, 172.7, 172.6, 171.7, 171.1, 169.8, 78.3, 73.0, 68.4, 61.6, 58.6, 58.2, 55.5, 54.0, 52.6, 51.5, 39.3, 35.6, 31.4, 29.2, 21.1, 17.1; [M+1] 610.70(found), 610.20(calc.); 31P NMR (200MHz, DMSO-d6) δ 6.134; HRMS [M+2Na-H] 654.2350 (found), 654.1759 (calc.); [α]D20= -0.009 (c=0.1, MeOH).
실시예 2: 메틸 (3S, 6S, 9S, 17R, 19S)-6-(하이드록시메틸)-9-((S)-4-(메틸싸이오)-2-((S)-피롤리딘-2-카복스아미도)부탄아미도)-2,5,8,12-테트라옥소-3-( (R)-1-(포스포녹시)에틸)-16-옥사-1,4,7,13-테트라아자바이시클로[15.2.1]이코산-19-카복실레이트
하기와 같이 4단계의 합성과정을 통해 실시예 2의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단계 1: (S)-벤질 2-((S)-1-메톡시-4-(메틸싸이오)-1-옥소부탄-2-일카바모일)피롤리딘-1-카복실레이트
Figure 112014062969999-pat00030
L-메티오닌 메틸 에스터 염화수소 (0.80 g, 4.01 mmol)를 THF (15 mL)에 녹인 후, N-Cbz-L-프로린 (1.00 g, 4.01 mmol)과 DIPEA (1.4 mL, 8.02 mmol), HATU (2.29 g, 6.02 mmol)를 상온에서 가하였다.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반응물을 물에 쏟고, 에틸아세테이트를 이용하여 여러 번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소금물을 이용하여 씻어준 후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하고 여과하여 표제화합물을 얻었다.
HPLC Retention time (condition A): 3.30 min, LRMS [M+1] 395.45 (found), 395.16 (calc.).
단계 2: (S)-2-((S)-1-(벤질옥시카보닐)피롤리딘-2-카복스아미도)-4-(메틸싸이오)부타노익 에시드
Figure 112014062969999-pat00031
(S)-벤질 2-((S)-1-메톡시-4-(메틸싸이오)-1-옥소부탄-2-일카바모일)피롤리딘-1-카복실레이트 (1.07 g, 2.71 mmol)의 THF (10 mL)용액에, 0 ℃에서 1 M LiOH 용액 (3.4 mL, 3.4 mmol)을 가하였다. 3시간 동안 교반한 후, 1 N HCl 용액을 이용하여 pH 4로 맞추었다. 반응물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한 후 유기층을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하고 여과한 후 농축하였다. 잔사를 아세톤/이소프로필에테르 용매 하에 재결정하여 백색 고체의 표제 화합물 (1.02 g, 2.68 mmol, 2단계 수율 67% 수율)을 얻었다.
HPLC Retention time (condition A): 2.95 min; 1H NMR (400 MHz, CD3OD) δ 7.33(m, 5H; phenyl-CH), 5.12(s, 2H; phenyl-CH2-), 4.40(m, 1H; Pro-Ca-H), 4.34(m, 1H; Met-Ca-H), 3.51(m, 1H; Pro-Cd-H), 3.48(m, 1H; Pro-Cd-H'), 2.60(m, 1H; Pro-Cb-H'), 2.50-2.10(m, 3H; Pro-Cb-H, Met-Cb-H,H'), 2.09-1.88(m, 4H; Pro-Cc-H,H', Met-Cc-H,H'), 2.01(s, 3H; Met-SMe); LRMS [M+1] 381.46 (found), 381.14 (calc.).
단계 3: (3S,6S,9S,17R,19S)-메틸 9-((S)-2-((S)-1-(벤질옥시카보닐)피롤리딘-2-카복스아미도)-4-(메틸싸이오)부타나미도)-6-(벤질옥시메틸)-3-((R)-1-(비스(벤질옥시)포스포릴록시)에틸)-2,5,8,12-테트라옥소-16-옥사-1,4,7,13-테트라아자-바이시클로[15.2.1]이코산-19-카복실레이트
Figure 112014062969999-pat00032
(3S,6S,9S,17R,19S)-메틸 9-(((9H-플루오렌-9-일)메톡시)카보닐아미노)-6-(벤질옥시메틸)-3-((R)-1-(비스(벤질옥시)포스포릴옥시)에틸)-2,5,8,12-테트라옥소-16-옥사-1,4,7,13-테트라아자-바이사이클로[15.2.1]이코산-19-카복실레이트 (57 mg, 0.054 mmol)에 1% 피페리딘/THF 용액 (0.7 mL)을 가한 후 상온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농축하고 얻어진 잔사를 THF (2 mL)에 녹인 후, DIPEA (7 mg, 0.054 mmol)와 (S)-2-((S)-1-(벤질옥시카보닐)피롤리딘-2-카복스아미도)-4-(메틸싸이오)부타노익 에시드 (21 mg, 0.054 mmol), HATU (41 mg, 0.108 mmol)를 가하였다.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물을 가해 반응을 종결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를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소금물을 이용하여 씻어준 후 마그네슘 설페이트를 이용하여 건조한 후 농축하였다.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겔, EA:Hexane:MeOH = 8:1:1)를 이용해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24 mg, 0.020 mmol, 2단계 총수율 34%)을 얻었다.
HPLC Retention time (condition A): 4.11 min, LRMS [M+1] 1200.90(found), 1200.47(calc.)
단계 4: 메틸 (3S, 6S, 9S, 17R, 19S)-6-(하이드록시메틸)-9-((S)-4-(메틸싸이오)-2-((S)-피롤리딘-2-카복스아미도)부탄아미도)-2,5,8,12-테트라옥소-3-((R)-1-(포스포녹시)에틸)-16-옥사-1,4,7,13-테트라아자바이시클로[15.2.1]이코산-19-카복실레이트 (실시예 2의 화합물)
Figure 112014062969999-pat00033
(3S,6S,9S,17R,19S)-메틸 9-((S)-2-((S)-1-(벤질옥시카보닐)피롤리딘-2-카복스아미도)-4-(메틸싸이오)부탄아미도)-6-(벤질옥시메틸)-3-((R)-1-(비스(벤질옥시)포스포릴옥시)에틸)-2,5,8,12-테트라옥소-16-옥사-1,4,7,13-테트라아자-바이사이클로[15.2.1]이코산-19-카복실레이트 (67 mg, 0.056 mmol)을 에탄올/물 (3 mL, 2:1) 용액에 녹인 후, Pd/C (20 중량%, 130 mg)을 가하였다. 수소가스(1 atm)하에서 혼합물을 8시간 동안 교반한 후, 셀라이트 패드를 통해 여과하고 에탄올/물 (2:1) 로 씻어준 후 농축하였다. 잔사를 preparatory HPLC를 이용하여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10.3 mg, 0.013 mmol, 수율 23%)을 얻었다.
HPLC Retention time (condition A): 2.74 min; 1H NMR (900 MHz, DMSO-d6) δ 10.33(br, 1H; Thr-NH), 8.72(d, J=5.4 Hz, 1H; Met-NH), 8.21(d, J=7.2 Hz, 1H; Ser-NH), 7.84(d, J=6.3 Hz, 1H; Glu-NH), 7.04(m, 1H; X-NH), 4.41(m, 1H; Met-Ca-H), 4.36(d, J=3.6 Hz, 1H; Glu-Ca-H), 4.32(m, 1H; Ser-Ca-H), 4.23(t, J=9.0 Hz, 1H; Pro2-Ca-H), 4.17(d, J=10.8 Hz, 1H; Pro2-Cd-H'), 4.14(m, 2H; Pro1-Ca-H, Thr-Cb-H), 4.09(m, 1H; Pro2-Cc-H), 4.04(d, J=9.0 Hz, 1H; Thr-Ca-H), 3.74(m, 1H; Ser-Cb-H'), 3.62(m, 1H; X-Cb-H'), 3.59(s, 3H; -OMe), 3.54(m, 2H; Pro2-Cd-H, Ser-Cb-H), 3.44(m, 1H; X-Ca-H'), 3.41(t, J=9.9 Hz, 1H; X-Cb-H), 3.18-3.14(m, 2H; Pro1-Cd-H', Pro1-Cd-H), 2.95(t, J=10.8 Hz, 1H; X-Ca-H), 2.45(m, 2H; Met-Cc-H,H'), 2.43(m, 2H; Glu-Cc-H,H'), 2.28(m, 1H; Pro1-Cb-H'), 2.23(m, 1H; Pro2-Cb-H'), 2.02(s, 3H; Met-SCH3), 1.95-1.90(m, 3H; Glu-Cb-H', Met-Cb-H', Pro2-Cb-H), 1.86-1.84(m, 3H; Pro1-Cb-H, Pro1-Cc-H, H'), 1.82-1.79(m, 1H; Met-Cb-H), 1.68(m, 1H; Glu-Cb-H), 1.21(d, J=5.4 Hz, 3H; Thr-Cc-H); 13C NMR (125 MHz, CD3OD) δ 174.9, 173.7, 172.5, 172.0, 170.9, 170.5, 169.3, 78.5, 71.5, 68.5, 61.6, 59.8, 58.9, 55.9, 54.2, 53.1, 52.6, 52.4, 50.3, 46.5, 39.5, 35.6, 31.3, 30.9, 30.0, 29.6, 29.1, 23.9, 17.5, 14.2; 31P NMR (200MHz, DMSO-d6) δ 6.438; HRMS [M+Na] 818.2773 (found), 818.2772 (calc.); LRMS [M+1] 796.69(found), 796.29(calc.).
실시예 3: 메틸 ((3S, 6S, 9S, 17R, 19S)-6-(하이드록시메틸)-9-((S)-4-(메틸싸이오)-2-((S)-피롤리딘-2-카복스아미도)부탄아미도)-2,5,8,12-테트라옥소-3-( (R)-1-(포스포녹시)에틸)-16-옥사-1,4,7,13-테트라아자바이시클로[15.2.1]이코산-19-카보닐)-L-로이시네이트
하기와 같이 4단계의 합성과정을 통해 실시예 3의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단계 1: (S)-메틸 2-((3S,6S,9S,17R,19S)-9-(((9H-플루오렌-9-일)메톡시)카보닐아미노)-6-(벤질옥시메틸)-3-((R)-1-하이드록시에틸)-2,5,8,12-테트라옥소-16-옥사-1,4,7,13-테트라아자-바이시클로[15.2.1]이코산-19-카복스아미도)-4-메틸펜타노에이트
Figure 112014062969999-pat00034
(3S,6S,9S,17R,19S)-메틸 9-(((9H-플루오렌-9-일)메톡시)카보닐아미노)-6-(벤질옥시메틸)-3-((R)-1-하이드록시에틸)-2,5,8,12-테트라옥소-16-옥사-1,4,7,13-테트라아자-바이사이클로[15.2.1]이코산-19-카복실레이트 (1.0 g, 1.25 mmol)과 트리메틴 하이드록사이드(4.52 g, 25.0 mmol)을 1,2-다이클로로에탄 (10 mL)에 녹인 후 80℃로 가온하였다.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트리메틴 하이드록사이드 (1.0 g, 5.53 mmol)를 더 가하고 1시간 동안 80 ℃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상온으로 식힌 후 0.5 N HCl 수용액에 쏟은 후, 에틸아세테이트를 이용하여 세차례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마그네슘 설페이트를 이용하여 건조한 후 여과하여 흰색 잔사를 얻었다. 얻은 잔사를 THF (20 mL)에 녹인 후, L-로이신 메틸 에스터 염화수소 (342 mg, 1.88 mmol)와 HATU(950 mg, 2.5 mmol)를 상온에서 순차적으로 가하였다. 상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물에 혼합물을 붓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세 차례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소금물로 씻어주고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한 후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겔, EtOAc:Hexane:MeOH = 8:1:1)를 이용해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190 mg, 0.208 mmol, 수율 17%)을 얻었다.
HPLC Retention time (condition A): 3.78 min, LRMS [M+1] 913.98 (found), 913.43(calc.)
단계 2: (S)-메틸 2-((3S,6S,9S,17R,19S)-9-(((9H-플루오렌-9-일)메톡시)카보닐아미노)-6-(벤질옥시메틸)-3-((R)-1-(비스(벤질옥시)포스포릴록시에틸)-2,5,8,12-테트라옥소-16-옥사-1,4,7,13-테트라아자-바이시클로[15.2.1]이코산-19-카복스아미도)-4-메틸펜타노에이트
Figure 112014062969999-pat00035
(S)-메틸 2-((3S,6S,9S,17R,19S)-9-(((9H-플루오렌-9-일)메톡시)카보닐아미노)-6-(벤질옥시메틸)-3-((R)-1-하이드록시에틸)-2,5,8,12-테트라옥소-16-옥사-1,4,7,13-테트라아자-바이사이클로[15.2.1]이코산-19-카복스아미도)-4-메틸펜타노에이트 (370 mg, 0.41 mmol)과 1H-테트라졸 (128 mg, 1.82 mmol)를 디클로로메탄 (5 mL)에 녹인 후, 다이벤질 N,N-다이이소프로필포스포아미다이트(90% tech. grade, 628 mg, 1.82 mmol)를 상온에서 가한 후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을 가하여 반응을 종결시키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수차례 추출한 후 유기층을 소금물로 씻어주었다.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하고 농축한 후 얻은 잔사를 디클로로메탄 (5 mL)로 녹인 후 0 ℃로 냉각하였다. m-클로로퍼벤조익 에시드 (314 mg, 1.82 mmol)를 가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물을 가해 반응을 종결시키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여러 번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소금물로 씻어준 후 마그네슘 설페이트 로 건조한 뒤 농축하였다. 얻은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겔, EtOAc:MeOH = 100:1→100:3)를 이용해 정제하여 백색 고체의 표제화합물 (320 mg, 0.273 mmol, 수율 68%)을 얻었다.
HPLC Retention time (condition A): 4.70 min, LRMS [M+1] 1174.14 (found), 1173.49 (calc.)
단계 3: (S)-벤질 2-(S)-1-((3S,6S,9S,17R,19S)-6-(벤질옥시메틸)-3-((R)-1-(비스(벤질옥시)포스포릴록시)에틸)-19-((S)-1-메톡시-4-메틸-1-옥소펜탄-2-일카바모일)-2,5,8,12-테트라옥소-16-옥사-1,4,7,13-테트라아자-바이시클로[15.2.1]이코산-19-일아미노)-4-(메틸싸이오)-1-옥소부탄-2-일카바모일)피롤리딘-1-카복실레이트
Figure 112014062969999-pat00036
(S)-메틸 2-((3S,6S,9S,17R,19S)-9-(((9H-플루오렌-9-일)메톡시)카보닐아미노)-6-(벤질옥시메틸)-3-((R)-1-(비스(벤질옥시)포스포릴옥시)에틸)-2,5,8,12-테트라옥소-16-옥사-1,4,7,13-테트라아자-바이사이클로[15.2.1]이코산-19-카복스아미도)-4-메틸펜타노에이트 (320 mg, 0.273 mmol)를 THF(2.7 mL)에 녹인 후, 상온에서 피페리딘 (27 uL, 0.273 mmol)을 넣고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한 후 얻은 잔사를 THF (5 mL)에 녹인 후, (S)-2-((S)-1-(벤질옥시카보닐)피롤리딘-2-카복스아미도)-4-(메틸싸이오)부타노익 에시드 (156 mg, 0.410 mmol)와 DIPEA(95 uL, 0.546 mmol)를 순차적으로 넣었다. 혼합물에 HATU (156 mg, 0.410 mmol)를 가한 후 세 시간 동안 교반하고 물을 가해 반응을 종결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소금물로 씻어준 후 마그네슘 설페이트를 가하여 건조한 후 여과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겔, EtOAc:Hexane:MeOH = 8:1:1)를 이용해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185 mg, 0.163 mmol, 수율 60%)을 얻었다.
HPLC Retention time (condition A): 4.33 min, LRMS [M+1] 1313.97 (found), 1313.55(calc.)
단계 4: 메틸 ((3S, 6S, 9S, 17R, 19S)-6-(하이드록시메틸)-9-((S)-4-(메틸싸이오)-2-((S)-피롤리딘-2-카복스아미도)부탄아미도)-2,5,8,12-테트라옥소-3-((R)-1-(포스포녹시)에틸)-16-옥사-1,4,7,13-테트라아자바이시클로[15.2.1]이코산-19-카보닐)-L-로이시네이트 (실시예 3의 화합물)
Figure 112014062969999-pat00037
(S)-벤질-2-((S)-1-((3S,6S,9S,17R,19S)-6-(벤질옥시메틸)-3-((R)-1-(비스(벤질옥시)포스포릴옥시)에틸)-19-((S)-1-메톡시-4-메틸-1-옥소펜탄-2-일카바모일)-2,5,8,12-테트라옥소-16-옥사-1,4,7,13-테트라아자-바이사이클로[15.2.1]이코산-9-일아미노)-4-(메틸싸이오)-1-옥소부탄-2-일카바모일)피롤리딘-1-카복실레이트 (185 mg, 0.163 mmol)를 에탄올/물 (10 mL, 7:3)에 녹인 후, Pd/C (20 중량%, 400 mg)를 가하였다. 수소가스 (1 atm) 하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한 후 셀라이트 패드를 통해 여과한 후 에탄올/물 (7:3)으로 여러 번 씻어준 후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에탄올/물 (10 mL, 7:3)에 녹인 후 1,2-에탄다이싸이올 (41 uL, 0.49 mmol)를 가하였다.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혼합물을 셀라이트 패드를 통해 여과한 후 preparatory HPLC를 이용하여 정제하여, 백색 고체의 표제화합물 (34 mg, 0.037 mmol, 수율 23%)을 얻었다.
HPLC Retention time (condition A): 4.60 min; 1H NMR (900 MHz, DMSO-d6) δ 9.25(br, 1H; Thr-NH), 8.70(d, J=7.2 Hz, 1H; Met-NH), 8.27(d, J=6.3 Hz, 1H; Leu-NH), 8.21(d, J=7.2 Hz, 1H; Ser-NH), 7.91(d, J=6.3 Hz, 1H; Glu-NH), 7.03(s, 1H; X-NH), 4.43(q, J=8.1 Hz, 1H; Met-Ca-H), 4.37(t, J=9.0 Hz, 1H; Pro2-Ca-H), 4.35(q, J=7.2 Hz, 1H; Glu-Ca-H), 4.32(q, J=7.2 Hz, 1H; Ser-Ca-H), 4.20-4.18(m, 3H; Thr-Ca-H, Thr-Cb-H, Leu-Ca-H), 4.16(d, J=11.7 Hz, 1H; Pro2-Cd-H') 4.05(m, 1H; Pro2-Cc-H), 3.70(d, J=7.2 Hz, 1H; Ser-Cb-H), 3.61(m, 1H; X-Cb-H), 3.58(s, 3H; -OMe), 3.57(d, J=7.2 Hz, 1H; Ser-Cb-H'), 3.48(m, 2H; Pro2-Cd-H, X-Ca-H'), 3.40(t, J=9.0 Hz, 1H; X-Cb-H), 3.22-3.16(m, 2H; Pro1-Cd-H), 2.97(t, J=12.6 Hz, 1H; X-Ca-H), 2.51-2.43(m, 3H; Met-Cc-H,H', Glu-Cc-H), 2.30(m, 1H; Pro1-Cb-H), 2.14(m, 1H; Pro2-Cb-H), 2.01(s, 3H; Met-SMe), 2.01(m, 1H; Glu-Cc-H). 1.94-1.91(m, 2H; Glu-Cb-H, Met-Cb-H), 1.90-1.83(m, 4H; Pro1-Cb-H, Pro1-Cc-H,H', Pro2-Cb-H), 1.78(m, 1H; Met-Cb-H), 1.68-1.66(m, 2H; Glu-Cb-H, Leu-Cc-H), 1.52-1.44(m, 2H; Leu-Cb-H), 1.27(s, 3H; Thr-Cc-H), 0.88(d, J=6.3 Hz, 3H; Leu-Cd-H), 0.83(d, J=6.3 Hz, 3H; L-Cd-H); 13C NMR (125 MHz, CD3OD) δ 174.5, 173.7, 173.0, 172.2, 171.6, 171.0, 169.7, 168.8, 78.5, 72.5, 68.5, 61.6, 59.8, 59.4, 58.5, 55.8, 54.5, 52.8, 52.4, 51.7, 51.2, 46.2, 40.1, 39.4, 35.9, 31.8, 31.5, 29.9, 29.8, 29.7, 24.6, 23.9, 22.1, 20.7, 17.4, 14.1; 31P NMR (200MHz, MeOD) δ 6.551; HRMS [M+Na] 931.3611(found), 931.3611(calc.); LRMS [M+1] 909.80 (found), 909.37 (calc.); [α]D20= -0.037 (c=0.1, MeOH).
실시예 4: 메틸 ((3S, 6S, 9S, 17R, 19S)-9-((S)-2-((S)-2-아세트아미도-4-메틸펜탄아미도)-4-메틸펜탄아미도)-6-(하이드록시메틸)-2,5,8,12-테트라옥소-3-((R)-1-(포스포녹시)에틸)-16-옥사-1,4,7,13-테트라아자바이시클로[15.2.1]이코산-19-카보닐)-L-로이시네이트
하기와 같이 7단계의 합성과정을 통해 실시예 4의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단계 1: (S)-메틸 2-((S)-2-아세트아미도-4-메틸펜타미도)-4-메틸펜타노에이트
Figure 112014062969999-pat00038
N-아세틸-로이신(0.50 g, 2.89 mmol), L-로이신 메틸 에스터 염화수소 (0.524 mg, 2.89 mmol), DIPEA (1.26 mL, 7.23 mmol)를 THF (10 mL)에 녹인 후, HATU (1.36 g, 3.57 mmol)를 가하였다. 상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 후 탄산수소나트륨 포화용액에 반응물을 붓고 에틸아세테이트를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소금물로 씻고 마그네슘 설페이트를 이용하여 건조한 후 농축하였다. 얻은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겔, EA:Hexane=2:1)롤 이용해 정제하여 (S)-메틸 2-((S)-2-아세트아미도-4-메틸펜탄아미도)-4-메틸펜타노에이트 (840 mg, 2.80 mmol, 수율 97%)을 얻었다.
HPLC Retention time (condition B): 2.54 min; 1H NMR (400 MHz, CD3OD) δ 8.10(d, J=7.6 Hz, 1H), 7.86(d, J=7.4 Hz, 1H), 4.45(m, 2H), 3.66(s, 3H), 1.95(s, 3H), 1.67-1.56(m, 6H), 0.95-0.88(m, 12H); 13C NMR (100 MHz, CDCl3) δ 173.8, 173.3, 171.9, 52.0, 51.6, 50.8, 40.6, 39.9, 24.4, 22.2, 22.1, 21.4, 20.9, 20.7; LRMS [M+1] 301.24 (found), 301.20 (calc.).
단계 2: (S)-메틸 2-((S)-2-아세트아미도-4-메틸펜타미도)-4-메틸펜타노익산
Figure 112014062969999-pat00039
(S)-메틸 2-((S)-2-아세트아미도-4-메틸펜탄아미도)-4-메틸펜타노에이트 (0.21 g, 0.70 mmol)을 THF (5 mL)에 녹인 후, 0 ℃에서 1 M LiOH 용액 (1.05 mL, 1.05 mmol)을 가하였다. 3시간 동안 교반한 후 6N HCl (100 uL, 0.60 mmol)을 이용하여 pH를 5로 맞추었다. 마그네슘 설페이트를 가한 후, 메탄올을 가하였다. 혼합물을 셀라이트 패드를 통해 정제하고 THF/MeOH로 수차례 씻어준 후 농축하여 표제화합물 (190 mg, 0.67 mmol, 95% yield)을 얻었다. 얻은 화합물은 더 이상 정제하지 않고 다음 반응에 이용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4.75(m, 1H), 4.66(m, 1H), 2.35(s, 3h), 2.00-1.93(m, 6H), 1.33-1.26(m, 12H).
단계 3: (3S,6S,9S,17R,19S)-메틸 9-((S)-2-((S)-아세트아미도-4-메틸펜탄아미도)-4-메틸펜탄아미도-6-(벤질옥시메틸)-3-((R)-1-하이드록시에틸)-2,5,8,12-테트라옥소-16-옥사-1,4,7,13-테트라아자-바이시클로[15.2.1]이코산-19-카복실레이트
Figure 112014062969999-pat00040
(3S,6S,9S,17R,19S)-메틸 9-(((9H-플루오렌-9-일)메톡시)카보닐아미노)-6-(벤질옥시메틸)-3-((R)-1-하이드록시에틸)-2,5,8,12-테트라옥소-16-옥사-1,4,7,13-테트라아자-바이사이클로[15.2.1]이코산-19-카복실레이트 (60% purity, 500 mg, 0.63 mmol) 을 THF(6.8 mL) 에 녹인 후, 상온에서 피페리딘 (68 uL, 0.693 mmol)을 가하였다. 15시간 동안 교반한 후, 혼합물을 농축하였다. 얻은 잔사를 THF (5 mL)에 다시 녹인 후, (S)-2-((S)-2-아세트아미도-4-메틸펜탄아미도)-4-메틸펜타노익 에시드 (200 mg, 0.70 mmol)를 THF (2 mL)에 녹인 용액과 DIPEA (165 uL, 0.95 mmol), HATU (360 mg, 0.95 mmol)를 상온에서 순차적으로 가하였다. 15시간 동안 교반한 후, 탄산수소나트륨 포화용액을 이용하여 반응 종결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수차례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소금물로 씻어준 후 건조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겔, EtOAc only → EtOAc:MeOH = 9:1→8:1)를 이용해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145 mg, 0.17 mmol, 27% 수율of 2 steps)을 얻었다.
HPLC Retention time (condition B): 4.11min, LRMS [M+1] 846.57 (found), 846.45(calc.)
단계 4: (3S,6S,9S,17R,19S)-메틸 9-((S)-2-((S)-아세트아미도-4-메틸펜탄아미도)-4-메틸펜탄아미도-6-(벤질옥시메틸)-3-((R)-1-하이드록시에틸)-2,5,8,12-테트라옥소-16-옥사-1,4,7,13-테트라아자-바이시클로[15.2.1]이코산-19-카복실산
Figure 112014062969999-pat00041
(3S,6S,9S,17R,19S)-메틸 9-((S)-2-((S)-2-아세트아미도-4-메틸펜탄아미도)-4-메틸펜탄아미도)-3-((R)-1-하이드록시에틸)-6-(하이드록시메틸)-2,5,8,12-테트라옥소-16-옥사-1,4,7,13-테트라아자-바이사이클로[15.2.1]이코산-19-카복실레이트 (130 mg, 0.154 mmol)를 THF (2 mL)에 녹인 후, 0 ℃에서 1M LiOH 용액 (230 uL, 0.230 mmol)을 가하였다. 같은 온도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 후, 디클로로메탄 과 1 N HCl 용액 (230 uL)를 가하여 pH 4로 맞추어 백색의 고체를 얻었다. 얻은 고체를 여과하여 백색 고체의 표제화합물 (50 mg, 0.060 mmol, 수율 39%)을 얻었다.
HPLC Retention time (condition B): 3.83 min, LRMS [M+1] 832.38 (found), 832.44 (calc.)
단계 5: (S)-메틸 2-((3S,6S,9S,17R,19S)-9-((S)-2-((S)-아세트아미도-4-메틸펜탄아미도)-4-메틸펜탄아미도-6-(벤질옥시메틸)-3-((R)-1-하이드록시에틸)-2,5,8,12-테트라옥소-16-옥사-1,4,7,13-테트라아자-바이시클로[15.2.1]이코산-19-카복스아미도)-4-메틸펜타노에이트
Figure 112014062969999-pat00042
(3S,6S,9S,17R,19S)-9-((S)-2-((S)-2-아세트아미도-4-메틸펜탄아미도)-4-메틸펜탄아미도)-6-(벤질옥시메틸)-3-((R)-1-하이드록시에틸)-2,5,8,12-테트라옥소-16-옥사-1,4,7,13-테트라아자-바이사이클로[15.2.1]이코산-19-카복시산 (50 mg, 0.060 mmol), L-로이신 메틸 에스터 염화수소(14.2 mg, 0.078 mmol), 및 DIPEA(26 uL, 0.15 mmol)를 THF(5 mL)에 녹인 후, HATU(23 mg, 0.09 mmol)를 가하고 4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한 후, 탄산수소나트륨 포화용액에 첨가하였다. 수층을 에틸아세테이트로 수차례 추출한 후 유기층을 감압건조 및 여과하였다. 얻은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겔, EA:MeOH = 8:1)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34 mg, 0.035 mmol, 59% yield)을 얻었다.
HPLC Retention time (condition B): 4.81 min, LRMS [M+1] 959.50 (found), 959.54(calc.)
단계 6: (S)-메틸 2-((3S,6S,9S,17R,19S)-9-((S)-2-((S)-아세트아미도-4-메틸펜탄아미도)-4-메틸펜탄아미도-6-(벤질옥시메틸)-3-((R)-1-(비스(벤질옥시)포스포릴록시)에틸)-2,5,8,12-테트라옥소-16-옥사-1,4,7,13-테트라아자-바이시클로[15.2.1]이코산-19-카복스아미도)-4-메틸펜타노에이트
Figure 112014062969999-pat00043
2-((3S,6S,9S,17R,19S)-9-((S)-2-((S)-2-아세트아미도-4-메틸펜탄아미도)-4-메틸펜탄아미도)-6-(벤질옥시메틸)-3-((R)-1-하이드록시에틸)-2,5,8,12-테트라옥소-16-옥사-1,4,7,13-테트라아자-바이사이클로[15.2.1]이코산-19-카복스아미도)-4-메틸펜타노에이트 (28 mg, 0.0292 mmol, 반응 전에 톨루엔을 가해서 농축 2회)와 1H-테트라졸 (10.2 mg, 0.146 mmol)를 디클로로메탄 (3 mL)에 녹인 후, 다이벤질 N,N-다이이소프로필포스포아미다이트 (90% tech. grade, 50 mg, 0.146 mmol)를 상온에서 가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78 ℃로 냉각한 후, m-클로로퍼벤조익 에시드 (70% purity, 36 mg, 0.0.146 mmol)을 디클로로메탄 (1 mL)에 녹인 용액을 가하였다. 차차 상온으로 온도를 올린 후 1시간 동안 더 교반하고 물을 가해 반응을 종결시킨 후 수 차례 추출하였다. 얻어진 유기층을 소금물로 씻어준 후 건조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겔, EtOAc only→ EtOAc:MeOH = 20:1→9:1)를 이용해 정제하여 백색 고체의 표제화합물 (15 mg, 0.0123 mmol, 42% yield)을 얻었다.
HPLC Retention time (condition B): 5.40 min, LRMS [M+1] 1219.48 (found), 1219.60 (calc.)
단계 7: 메틸 ((3S, 6S, 9S, 17R, 19S)-9-((S)-2-((S)-2-아세트아미도-4-메틸펜탄아미도)-4-메틸펜탄아미도)-6-(하이드록시메틸)-2,5,8,12-테트라옥소-3-((R)-1-(포스포녹시)에틸)-16-옥사-1,4,7,13-테트라아자바이시클로[15.2.1]이코산-19-카보닐)-L-로이시네이트 (실시예 4의 화합물)
Figure 112014062969999-pat00044
(S)-메틸 2-((3S,6S,9S,17R,19S)-9-((S)-2-((S)-2-아세트아미도-4-메틸펜탄아미도)-4-메틸펜탄아미도)-6-(벤질옥시메틸)-3-((R)-1-(비스(벤질옥시)포스포릴옥시)에틸)-2,5,8,12-테트라옥소-16-옥사-1,4,7,13-테트라아자-바이사이클로[15.2.1]이코산-19-카복스아미도)-4-메틸펜타노에이트 (15 mg, 0.0158 mmol)를 에탄올/물 (5 mL, 7:3)에 녹인 후, Pd/C (10 중량%, 15 mg)을 가하였다. 수소기체 (1 atm)하에서 30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여과하고 수차례 씻어주어 백색 고체의 표제화합물 (13 mg, 0.0137 mmol, 87% yield)을 얻었다.
HPLC Retention time (condition B): 4.88 min; 1H NMR (900 MHz, DMSO-d6) δ 10.40(br, 1H; Thr-NH), 8.26(d, J=6.3 Hz, 1H; Leu-NH), 8.12(d, J=7.2 Hz, 1H; Ser-NH), 7.98(d, J-7.2 Hz, 1H; Leu1-NH), 7.97(d, J=6.3 Hz, 1H; Leu2-NH), 7.65(d, J=8.1 Hz, 1H; Glu-NH), 6.99(m, 1H; X-NH), 4.37(t, J=9.0 Hz, 1H; Pro-Ca-H), 4.32(m, 2H; Glu-Ca-H, Ser-Ca-H), 4.27(m, 2H; Leu1-Ca-H, Leu2-Ca-H), 4.19(m, 1H; Leu-Ca-H), 4.16(d, J=11.7 Hz, 1H; Pro-Cd-H), 4.10(m, 1H; Thr-Ca-H), 4.04(m, 1H; Pro-Cc-H), 4.00(d, J=9.0 Hz, 1H; Thr-Cb-H), 3.75(d, J=9.0 Hz, 1H; Ser-Cb-H), 3.58(m, 1H; X-Cb-H'), 3.55(m, 1H; Ser-Cb-H), 3.42(m, 3H; Pro-Cd-H, X-Ha', X-Cb-H), 2.98(t, J=11.7 Hz, 1H; X-Ca-H), 2.50(m, 1H; Glu-Cc-H'), 2.12(m, 1H; Pro-Cb-H'), 2.00(m, 1H; Glu-Cc-H), 1.88(m, 1H; Glu-Cb-H'), 1.82(m, 1H; Pro-Cb-H), 1.68(m, 1H; Leu-Cc-H), 1.60(m, 1H; Glu-Cb-H), 1.58-1.54(m, 2H; Leu1-Cc-H, Leu2-Cc-H), 1.50(m, 1H; Leu-Cb-H'), 1.46-1.40(m, 5H; Leu-Cb-H, Leu1-Cb-H, H', Leu2-Cb-H,H'), 1.18(d, J=6.3 Hz, 3H; Thr-Cc-H), 0.88(d, J=6.3 Hz, 3H; Leu-Cd-H'), 0.86(d, J=6.3 Hz, 3H; Leu-Cd-H), 0.85-0.80(d X4, J=6.3 Hz, 12H; Leu1-Cd-H,H', Leu2-Cd-H,H'); 13C NMR (100 MHz, CD3OD) δ 174.2, 173.6, 173.2, 172.8, 172.5, 171.9, 171.4, 170.4, 170.2, 78.2, 74.4, 70.9, 67.7, 61.9, 59.1, 55.3, 54.0, 52.1, 51.8, 51.4, 51.1, 50.8, 40.4, 40.3, 40.0, 39.2, 35.7, 31.2, 29.4, 24.5, 24.3, 22.1, 22.0, 21.9, 20.9, 20.5, 20.4, 17.5; 31P NMR (200MHz, DMSO-d6) δ 6.326; HRMS [M+Na] (found), (calc.); LRMS [M+1] 949.40 (found), 949.46 (calc.); [α]D20= -0.063 (c=0.1, MeOH).
실시예 5: 메틸 ((3S, 6S, 9S, 17R, 19S)-6-(하이드록시메틸)-2,5,8,12-테트라옥소-3-((R)-1-(포스포녹시)에틸)-9-(3-(트리플루오로메틸)벤자미도)-16-옥사-1,4,7,13-테트라아자바이시클로[15.2.1]이코산-19-카보닐)-L-로이시네이트
Figure 112014062969999-pat00045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9에서 얻은 화합물인 (3S,6S,9S,17R,19S)-메틸 9-(((9H-플루오렌-9-일)메톡시)카보닐아미노)-6-(벤질옥시메틸)-3-((R)-1-하이드록시에틸)-2,5,8,12-테트라옥소-16-옥사-1,4,7,13-테트라아자-바이시클로[15.2.1]이코산-19-카복실레이트와 3-트리플루오로메틸 벤조산을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4와 같은 방법으로 합성을 수행하여 상기 표제화합물을 얻었다.
HPLC Retention time (condition B): 3.91 min; 1H NMR (900 MHz, DMSO-d6) δ 8.67(d, J=7.2 Hz, 1H; Glu-NH), 8.27(d, J=6.3 Hz, 1H; Leu-NH), 8.24(d, J=7.2 Hz, 1H; Ser-NH), 8.20(s, 1H; phenyl-C2-H), 8.15(d, J=7.2 Hz, 1H; phenyl-C6-H), 7.03(br, 1H; X-NH), 7.88(d, J=8.1 Hz, 1H; phenyl-C4-H), 7.70(t, J=7.2 Hz, 1H; phenyl-C5-H), 4.57(m, 1H; Glu-Ca-H), 4.39(t, J=9.0 Hz, 1H; Pro-Ca-H), 4.36(m, 1H; Ser-Ca-H), 4.19(m, 2H; Pro-Cd-H', Leu-Ca-H), 4.14(m, 1H; Thr-Ca-H), 4.05(m, 2H; Pro-Cc-H, Thr-Cb-H), 3.77(m, 1H; Ser-Cb-H'), 3.60(m, 2H; Ser-Cb-H, X-Cb-H'), 3.58(s, 3H; -OMe), 3.47-3.38(m, 3H, Pro-Cd-H, X-Cb-H, X-Ca-H), 3.00(t, J=12.6 Hz, 1H; X-Ca-H), 2.80(t, J=11.7 Hz, 1H; Glu-Cc-H'), 2.14(m, 1H; Pro-Cb-H'), 2.09(m, 1H; Glu-Cc-H), 2.03(m, 1H; Glu-Cb-H), 1.84(m, 1H; Pro-Cb-H), 1.80(m, 1H; Glu-Cb-H), 1.69(m, 1H; Leu-Cc-H), 1.53-1.44(m, 2H; Leu-Cb-H,H'), 1.21(m, 3H; Thr-Cc-Me), 0.89(d, J=6.3 Hz, 3H; Leu-Cd-Me), 0.84(d, J=6.3 Hz, 3H; Leu-Cd-Me'); 13C NMR (100 MHz, CDCl3) δ 174.8, 174.6, 173.1, 172.9, 170.8, 169.7, 168.2, 133.7, 130.7, 129.4, 128.5, 124.4, 78.4, 71.4, 68.0, 62.4, 61.0, 59.1, 58.3, 55.5, 54.2, 53.3, 52.4, 51.2, 48.6, 39.2, 35.5, 31.0, 28.0, 24.2, 21.9, 20.4, 17.2; 31P NMR (200MHz, DMSO-d6) δ 5.894; HRMS [M+2Na-H] 897.2434 (found), 897.2635 (calc.); LRMS [M+1] 853.19 (found), 853.29 (calc.).
실시예 6: 메틸 ((3S, 6S, 9S, 17R, 19S)-9-(3,5-다이이소부톡시벤자미도)-6-(하이드록시메틸)-2,5,8,12-테트라옥소-3-((R)-1-(포스포녹시)에틸)-16-옥사-1,4,7,13-테트라아자바이시클로[15.2.1]이코산-카보닐)-L-로이시네이트
Figure 112014062969999-pat00046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9에서 얻은 화합물인 (3S,6S,9S,17R,19S)-메틸 9-(((9H-플루오렌-9-일)메톡시)카보닐아미노)-6-(벤질옥시메틸)-3-((R)-1-하이드록시에틸)-2,5,8,12-테트라옥소-16-옥사-1,4,7,13-테트라아자-바이시클로[15.2.1]이코산-19-카복실레이트와 3,5-다이이소부톡시 벤조산을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4와 같은 방법으로 합성을 수행하여 상기 표제화합물을 얻었다.
HPLC Retention time (condition B): 5.38 min; 1H NMR (900 MHz, DMSO-d6) δ 10.25(br, 1H; Thr-NH), 8.27(d, J=7.2 Hz, 1H; Leu-NH), 8.25(d, J=7.2 Hz, 1H; Glu-NH), 8.20(d, J=7.2 Hz, 1H; Ser-NH), 7.02(br, 1H; X-NH), 6.97(s, 2H; phenyl-C2,6-H), 6.59(s, 1H; phenyl-C4-H), 4.51(m, 1H; Glu-Ca-H), 4.39(t, J=7.2 Hz, 1H; Pro-Ca-H), 4.34(m, 1H; Ser-Ca-H), 4.20-4.18(m, 2H; Leu-Ca-H, Pro-Cd-H'), 4.13(m, 1H; Thr-Cd-H), 4.05(m, 1H; Pro-Cc-H), 4.03(m, 1H; Thr-Cb-H), 3.77(m, 1H; Ser-Cb-H'), 3.75(d, J=6.3 Hz, 4H; i-BuO-Ca-H), 3.61-3.59(m, 2H; Ser-Cb-H', X-Cb-H'), 3.58(s, 3H; -OMe) 3.47-3.43(m, 3H; Pro-Cd-H, X-Cb-H, X-Ca-H'), 3.01(t, J=10.8 Hz, 1H; X-Ca-H), 2.78(t, J=11.7 Hz, 1H; Glu-Cc-H'), 2.13(m, 1H; Pro-Cb-H'), 2.07(m, 1H; Glu-Cc-H), 2.05(m, 1H; Glu-Cb-H'), 1.98(m, 2H; i-BuO-Cb-H), 1.84(m, 1H; Pro-Cb-H), 1.78(m, 1H; Glu-Cb-H), 1.69(m, 1H; Leu-Cc-H), 1.53-1.44(m, 2H; Leu-Cb-H,H'), 1.20(d, J=5.4 Hz, 1H; Thr-Cc-H), 0.96(d, J=6.3 Hz, 12H; i-BuO-Cc-Me), 0.88(d, J=6.3 Hz, 3H; Leu-Cd-Me), 0.84(d, J=6.3 Hz, 3H; Leu-Cd-Me'); 13C NMR (100 MHz, CD3OD) δ 174.2, 173.2, 172.8, 172.2, 170.4, 168.0, 165.9, 160.5, 105.4, 104.3, 78.3, 74.3, 67.8, 59.2, 59.1, 54.4, 54.0, 53.0, 51.2, 50.8, 50.2, 42.3, 40.0, 39.3, 29.3, 28.1, 24.4, 21.9, 20.4, 18.1, 16.6; 31P NMR (200MHz, DMSO-d6) δ 6.038; HRMS [M+2Na-H] 973.5461(found), 973.3912 (calc.); LRMS [M+1] 929.61 (found), 929.42 (calc.); [α]D 20= -0.004 (c=0.1, MeOH).
실시예 7: 메틸 (3S, 6S, 9S, 17R, 19S)-9-(3,5-다이이소부톡시벤자미도)-6-(하이드록시메틸)-2,5,8,12-테트라옥소-3-((R)-1-(포스포녹시)에틸)-16-옥사-1,4,7,13-테트라아자바이시클로[15.2.1]이코산-19-카복실레이트
Figure 112014062969999-pat00047
HPLC Retention time (condition B): 5.14 min; 1H NMR (900 MHz, DMSO-d6) δ 8.28(br, 1H; Ser-NH), 8.24(d, J=7.2 Hz, 1H; Glu-NH), 7.07(br, 1H; X-NH), 6.97(s, 2H; phenyl-C2,6-H), 6.60(s, 1H; phenyl-C4-H), 4.486(m, 1H; Glu-Ca-H), 4.33(m, 1H; Ser-Ca-H), 4.26(m, 3H; Pro-Ca-H, Thr-Ca-H, Thr-Cb-H), 4.21(d, J=11.7 Hz, 1H; Pro-Cd-H), 4.10(m, 1H; Pro-Cc-H), 3.75(d, J=8.1, 4H; i-BuO-Ca-H), 3.71(m, 1H; Ser-Cb-H'), 3.60(m, 1H; Ser-Cb-H), 3.60(s, 3H; -OMe), 3.55(m, 2H; X-Cb-H', Pro-Cd-H), 3.42(m, 2H; X-Ca-H', X-Cb-H), 3.00(t, J=12.6 Hz, 1H; X-Ca-H), 2.72(m, 1H; Glu-Cc-H'), 2.25(m, 1H; Pro-Cb-H'), 2.08(m, 1H; Glu-Cc-H), 1.99(m, 1H; Glu-Cb-H'), 1.98(m, 2H; i-BuO-Cb-H), 1.93(m, 1H; Pro-Cb-H), 1.82(m, 1H; Glu-Cb-H), 1.27(m, 3H; Thr-Cc-Me), 0.97(d, J=6.3 Hz, 12H; i-BuO-Cc-Me); 13C NMR (100 MHz, CD3OD) δ 174.1, 172.6, 172.3, 169.6, 168.4, 168.1, 132.6, 130.5, 105.4, 104.3, 78.1, 74.3, 73.4, 68.1, 58.4, 58.0, 55.3, 53.6, 53.1, 51.2, 37.4, 35.3, 31.2, 28.6, 28.1, 18.1, 16.9; 31P NMR (200MHz, DMSO-d6) δ 5.995; HRMS [M+2Na-H] 860.3883 (found), 860.3071 (calc.); LRMS [M+1] 816.48 (found), 816.34 (calc.); [α]D 20= -0.035 (c=0.1, MeOH).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신규 화합물은 목적에 따라 여러 형태로 제제화가 가능하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활성성분으로 함유시킨 몇몇 제제화 방법을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제예]
제제 1 : 정제(직접 가압)
활성성분 5.0 ㎎을 체로 친 후, 락토스 14.1 ㎎, 크로스포비돈 USNF 0.8 ㎎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1 ㎎을 혼합하고 가압하여 정제로 만들었다.
제제 2 : 정제(습식 조립)
활성성분 5.0 ㎎을 체로 친 후, 락토스 16.0 ㎎과 녹말 4.0 ㎎을 섞었다. 폴리솔베이트 80 0.3 ㎎을 순수한 물에 녹인 후 이 용액의 적당량을 첨가한 다음, 미립화하였다. 건조 후에 미립을 체질한 후 콜로이달 실리콘 디옥사이드 2.7 ㎎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2.0 ㎎과 섞었다. 미립을 가압하여 정제로 만들었다.
제제 3 : 분말과 캡슐제
활성성분 5.0 ㎎을 체로 친 후에, 락토스 14.8 ㎎, 폴리비닐 피롤리돈 10.0 ㎎,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와 함께 섞었다. 혼합물을 적당한 장치를 사용하여 단단한 No. 5 젤라틴 캡슐에 채웠다.
제제 4 : 주사제
활성성분으로서 100 mg을 함유시키고, 그 밖에도 만니톨 180 mg, Na2HPO4·12H2O 26 mg 및 증류수 2974 mg를 함유시켜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생리활성 평가
실험예 1. in vitro PLK-PBD 저해활성
형광단이 부착된 PBD-결합 펩타이드로서 FITC-펩타이드와 본 발명의 화합물들이 PLK-PBD 결합부위에서 직접 경쟁에 기인한 형광 편광(fp)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PLK-PBD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험화합물 PLK-PBD 저해활성 (IC50, uM)
실시예 3 <3
실시예 4 <3
실시예 5 <3
실시예 6 <3
실험예 2. in vivo 유사분열중단(mitotic arrest) 효능
본 발명의 실시예 5 화합물 12.24 ng 및 24.48 ng을 각각 제브라피시(zebrafish) 배아에 미세주사(microinjection)한 후에, PLK1-PBD 저해활성을 확인한 결과를 도 1의 (A) 및 (B)에 나타내었다.
도 1의 (A)에 의하면, phospho-H3-positive 세포수는 실시예 5 화합물의 용량에 비례하게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1의 (B)는 웨스턴 블롯 분석한 결과로서 실시예 5 화합물의 용량에 비례하게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in vivo 유사분열중단(mitotic arrest) 효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PLK1-PBD 저해에 기인하여 항종양제로 유용함을 알 수 있다.

Claims (6)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고리형 포스포펩티드 화합물, 이의 수화물, 이의 용매화물, 이의 이성질체, 라세미체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이의 염 :
    [화학식 1]
    Figure 112016059206777-pat00048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C1∼C6 알콕시기; 또는
    Figure 112016059206777-pat00049
    를 나타내고,
    R2
    Figure 112016059206777-pat00050
    를 나타내고,
    A는 C1∼C6 알킬기; C1∼C6 알콕시 및 C1∼C6 할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내지 3개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기; 또는 피롤리디닐기를 나타내고,
    R3 및 R4는 서로 같거나 다른 것으로서 수소원자; C1∼C6 알킬기; 또는 (C1∼C6 알킬싸이오)C1∼C6 알킬기를 나타내고,
    R5 및 R6은 서로 같거나 다른 것으로서 수소원자; 또는 C1∼C6 알킬기를 나타내고,
    R7은 C1∼C6 알킬기를 나타내고,
    n은 0, 1 또는 2를 나타낸다.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R1은 메톡시기, 에톡시기, 노말프로폭시기, 이소프로폭시기, 노말부톡시기, 이소부톡시기, 또는 -NH-CH(이소부틸)-C(O)OCH3를 나타내고,
    R2
    Figure 112016059206777-pat00053
    를 나타내고,
    A는 메틸기, 에틸기, 노말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노말부틸기, 이소부틸기, 3-메톡시페닐기, 4-메톡시페닐기, 3,5-다이메톡시페닐기, 3,5-다이(이소부톡시)페닐기, 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기, 또는 피롤리딘-2-일기를 나타내고,
    R3은 수소원자를 나타내고,
    R4는 메틸기, 에틸기, 노말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노말부틸기, 이소부틸기, 메틸싸이오메틸기, 또는 메틸싸이오에틸기를 나타내고,
    n은 0, 1 또는 2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4. 제 1 항에 있어서,
    메틸 (3S, 6S, 9S, 17R, 19S)-9-아세트아미도-6-(하이드록시메틸)-2,5,8,12-테트라옥소-3-((R)-1-(포스포녹시)에틸)-16-옥사-1,4,7,13-테트라아자바이사이클로[15.2.1]이코산-19-카복실레이트;
    메틸 (3S, 6S, 9S, 17R, 19S)-6-(하이드록시메틸)-9-((S)-4-(메틸싸이오)-2-((S)-피롤리딘-2-카복스아미도)부탄아미도)-2,5,8,12-테트라옥소-3-( (R)-1-(포스포녹시)에틸)-16-옥사-1,4,7,13-테트라아자바이시클로[15.2.1]이코산-19-카복실레이트;
    메틸 ((3S, 6S, 9S, 17R, 19S)-6-(하이드록시메틸)-9-((S)-4-(메틸싸이오)-2-((S)-피롤리딘-2-카복스아미도)부탄아미도)-2,5,8,12-테트라옥소-3-( (R)-1-(포스포녹시)에틸)-16-옥사-1,4,7,13-테트라아자바이시클로[15.2.1]이코산-19-카보닐)-L-로이시네이트;
    메틸 ((3S, 6S, 9S, 17R, 19S)-9-((S)-2-((S)-2-아세트아미도-4-메틸펜탄아미도)-4-메틸펜탄아미도)-6-(하이드록시메틸)-2,5,8,12-테트라옥소-3-((R)-1-(포스포녹시)에틸)-16-옥사-1,4,7,13-테트라아자바이시클로[15.2.1]이코산-19-카보닐)-L-로이시네이트;
    메틸 ((3S, 6S, 9S, 17R, 19S)-6-(하이드록시메틸)-2,5,8,12-테트라옥소-3-((R)-1-(포스포녹시)에틸)-9-(3-(트리플루오로메틸)벤자미도)-16-옥사-1,4,7,13-테트라아자바이시클로[15.2.1]이코산-19-카보닐)-L-로이시네이트;
    메틸 ((3S, 6S, 9S, 17R, 19S)-9-(3,5-다이이소부톡시벤자미도)-6-(하이드록시메틸)-2,5,8,12-테트라옥소-3-((R)-1-(포스포녹시)에틸)-16-옥사-1,4,7,13-테트라아자바이시클로[15.2.1]이코산-카보닐)-L-로이시네이트; 및
    메틸 (3S, 6S, 9S, 17R, 19S)-9-(3,5-다이이소부톡시벤자미도)-6-(하이드록시메틸)-2,5,8,12-테트라옥소-3-((R)-1-(포스포녹시)에틸)-16-옥사-1,4,7,13-테트라아자바이시클로[15.2.1]이코산-19-카복실레이트; 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5.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고리형 포스포펩티드 화합물, 이의 수화물, 이의 용매화물, 이의 이성질체, 라세미체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이의 염이 활성성분으로 포함된, 폐암, 침윤성 직장암, 유방암 및 전이성 전립선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
    [화학식 1]
    Figure 112016059206777-pat00055

    상기 화학식 1에서,
    R1
    Figure 112016059206777-pat00056
    를 나타내고,
    R2
    Figure 112016059206777-pat00057
    를 나타내고,
    A는 C1∼C6 알킬기; C1∼C6 알콕시 및 C1∼C6 할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내지 3개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기; 또는 피롤리디닐기를 나타내고,
    R3은 수소원자를 나타내고,
    R4는 C1∼C6 알킬기; 또는 (C1∼C6 알킬싸이오)C1∼C6 알킬기를 나타내고,
    R5는 수소원자를 나타내고,
    R6은 C1∼C6 알킬기를 나타내고,
    R7은 C1∼C6 알킬기를 나타내고,
    n은 0, 1 또는 2를 나타낸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고리형 포스포펩티드 화합물은 :
    메틸 ((3S, 6S, 9S, 17R, 19S)-6-(하이드록시메틸)-9-((S)-4-(메틸싸이오)-2-((S)-피롤리딘-2-카복스아미도)부탄아미도)-2,5,8,12-테트라옥소-3-( (R)-1-(포스포녹시)에틸)-16-옥사-1,4,7,13-테트라아자바이시클로[15.2.1]이코산-19-카보닐)-L-로이시네이트;
    메틸 ((3S, 6S, 9S, 17R, 19S)-9-((S)-2-((S)-2-아세트아미도-4-메틸펜탄아미도)-4-메틸펜탄아미도)-6-(하이드록시메틸)-2,5,8,12-테트라옥소-3-((R)-1-(포스포녹시)에틸)-16-옥사-1,4,7,13-테트라아자바이시클로[15.2.1]이코산-19-카보닐)-L-로이시네이트;
    메틸 ((3S, 6S, 9S, 17R, 19S)-6-(하이드록시메틸)-2,5,8,12-테트라옥소-3-((R)-1-(포스포녹시)에틸)-9-(3-(트리플루오로메틸)벤자미도)-16-옥사-1,4,7,13-테트라아자바이시클로[15.2.1]이코산-19-카보닐)-L-로이시네이트; 및
    메틸 ((3S, 6S, 9S, 17R, 19S)-9-(3,5-다이이소부톡시벤자미도)-6-(하이드록시메틸)-2,5,8,12-테트라옥소-3-((R)-1-(포스포녹시)에틸)-16-옥사-1,4,7,13-테트라아자바이시클로[15.2.1]이코산-카보닐)-L-로이시네이트;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약학조성물.
KR1020140083248A 2014-07-03 2014-07-03 알로스테릭 plk1-pbd 저해활성을 가지는 고리형 포스포펩티드 화합물 KR101672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3248A KR101672975B1 (ko) 2014-07-03 2014-07-03 알로스테릭 plk1-pbd 저해활성을 가지는 고리형 포스포펩티드 화합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3248A KR101672975B1 (ko) 2014-07-03 2014-07-03 알로스테릭 plk1-pbd 저해활성을 가지는 고리형 포스포펩티드 화합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648A KR20160004648A (ko) 2016-01-13
KR101672975B1 true KR101672975B1 (ko) 2016-11-04

Family

ID=55172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3248A KR101672975B1 (ko) 2014-07-03 2014-07-03 알로스테릭 plk1-pbd 저해활성을 가지는 고리형 포스포펩티드 화합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297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65146A1 (en) 2009-05-15 2012-03-15 Government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Department Of Health Peptide mimetic ligands of polo-like kinase 1 polo box domain and methods of use
WO2012142245A2 (en) * 2011-04-12 2012-10-18 The Government Of The United Of Ameri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Department Of Health & Human Services Peptide mimetic ligands of polo-like kinase 1 polo box domain and methods of us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65146A1 (en) 2009-05-15 2012-03-15 Government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Department Of Health Peptide mimetic ligands of polo-like kinase 1 polo box domain and methods of use
WO2012142245A2 (en) * 2011-04-12 2012-10-18 The Government Of The United Of Ameri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Department Of Health & Human Services Peptide mimetic ligands of polo-like kinase 1 polo box domain and methods of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648A (ko) 2016-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153901B (zh) 一类含氮稠杂环类shp2抑制剂化合物、制备方法和用途
ES2744636T3 (es) Derivados de 4,5,6,7-tetrahidropirazolo[1,5-a]pirazina sustituidos como inhibidores de caseína quinasa 1 D/E
JP2022549171A (ja) 縮合ピリドン化合物、ならびにその調製方法および使用
BR112019015364A2 (pt) Composto de quinazolina, seu uso e composição farmacêutica
JP6948659B1 (ja) ピリダジニルチアアゾールカルボキシアミド化合物
EP3816163A1 (en) Cell necrosis inhibitor,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use thereof
EA033646B1 (ru) Гетероциклиламины как ингибиторы pi3k
UA126000C2 (uk) Хроманмонобактамові сполуки для лікування бактеріальних інфекцій
KR20120028877A (ko) 리버스턴 유사체의 신규한 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과 용도
NZ577273A (en) imidazo[1,2-a]pyridine-3-yl-5-substituted pyrimidin-2-yl amines AS PLK1 INHIBITORS
KR20130113950A (ko) Mtor 선택적 키나아제 억제제
TW201831478A (zh) 雙環醯胺化合物及其使用方法
WO2015178265A1 (ja) 新規なグルタミン酸誘導体およびその用途
ES2463820T3 (es) Derivado de imidazotiazol que tiene estructura de anillo de prolina
KR20220042182A (ko) 3,6-디아미노-피리다진-3-일 유도체, 이를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아폽토시스 유발제로서의 용도
EP4365178A1 (en)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intermediate thereof, and application thereof
US20220372030A1 (en) Monoacylglycerol lipase modulators
ES2846741T3 (es) Nuevos derivados de aminoimidazopiridina como inhibidores de la quinasa de Janus y uso farmacéutico de los mismos
EP3967696A1 (en) Compound used as kinase inhibitor and application thereof
CA2956773C (en) Deuterated quinazolinone compound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same
US20210403485A1 (en) Pyrazolopyrimidine derivative as selective trk inhibitor
EP2119720A1 (en) Novel vinblastine derivatives, their preparation, us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the said derivatives
KR101672975B1 (ko) 알로스테릭 plk1-pbd 저해활성을 가지는 고리형 포스포펩티드 화합물
TW202300485A (zh) Plk4抑制劑及其用途
US11691990B2 (en) Salts of compounds and crystals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4